KR20070001799A - 콘텐츠 취득 장치, 콘텐츠 취득 방법 및 콘텐츠 취득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콘텐츠 취득 장치, 콘텐츠 취득 방법 및 콘텐츠 취득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1799A
KR20070001799A KR1020060054118A KR20060054118A KR20070001799A KR 20070001799 A KR20070001799 A KR 20070001799A KR 1020060054118 A KR1020060054118 A KR 1020060054118A KR 20060054118 A KR20060054118 A KR 20060054118A KR 20070001799 A KR20070001799 A KR 20070001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ata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스무 이지치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1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571Chords; Chord sequences
    • G10H2210/576Chord progres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005Algorithm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or musical processing, e.g. for automatic composition or resource allocation
    • G10H2250/011Genetic algorithms, i.e. using computational steps analogous to biological selection, recombination and mutation on an initial population of, e.g. sounds, pieces, melodies or loops to compose or otherwise generate, e.g. evolutionary music or sound synthe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현격히 효율적으로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음악재생 단말(4)은 음악제공 서버(2)로부터 제공된 음악관리 리스트 L1 중의 음악식별 정보를 표시부(12)에 출력해서 표시할 때, 단말기억부(8)에 아직 기억 보유되어 있지 않은 음악 데이터의 음악식별 정보에 대해서는, 아직 기억 보유되어 있지 않은 내용을 나타내는 미기억 형태(체크 박스 CKB을 대응시켜서 표시하는 형태)로서 출력해서 표시하고, 단말기억부(8)에 이미 기억 보유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의 음악식별 정보에 대해서는, 이미 기억 보유되어 있는 내용을 나타내는 기기억 형태(체크 박스 CKB을 대응시키지 않고 표시하는 형태)로서 출력해서 표시한다.
콘텐츠, 단말, 데이터, 음악, 서버

Description

콘텐츠 취득 장치, 콘텐츠 취득 방법 및 콘텐츠 취득 프로그램{CONTENT ACQUISITION APPARATUS, CONTENT ACQUISITION METHOD AND CONTENT ACQUISITION PROGRAM}
도 1은 콘텐츠 취득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음악구입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3은 음악재생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4는 휴대음악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5는 음악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6은 음악관리 리스트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다.
도 7은 음악관리 리스트의 전파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다.
도 8은 취득음악 선택화면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다.
도 9는 취득음악 선택화면표시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0은 취득 음악선택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1은 전송 구입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2는 전송 구입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3은 리스트 갱신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4는 음악재생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5는 기타 실시예에 의한 음악관리 리스트 (1)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다.
도 16은 음악재생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7은 기타 실시예에 의한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다.
도 18은 기타 실시예에 의한 취득음악 선택화면 (1)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다.
도 19는 기타 실시예에 의한 음악관련 리스트 (2)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다.
도 20은 기타 실시예에 의한 음악재생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21은 기타 실시예에 의한 구입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22는 기타 실시예에 의한 음악전송 요구 리스트 생성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23은 기타 실시예에 의한 취득음악 선택화면 (2)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다.
도 24는 기타 실시예에 의한 취득음악 선택화면 (3)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다.
도 25는 기타 실시예에 의한 취득음악 선택화면 (4)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음악구입 전송 시스템, 2 음악제공 서버,
4 음악재생 단말, 5 휴대음악 재생장치,
L1 관리 리스트.
[기술분야]
본 발명은 콘텐츠 취득 장치, 콘텐츠 취득 방법 및 콘텐츠 취득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를 기억 보유하는 음악기억장치로부터 음악재생장치에 음악 데이터를 전송하는 음악전송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이 종류의 음악전송 시스템은, 음악기억장치로부터 음악재생장치에 전송시키는 음악 데이터가 유저에 의해 선택되면, 그 선택된 음악 데이터를 식별하는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를 나타낸 전송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음악전송 시스템에서는, 음악기억장치와 음악재생장치가 접속되었을 때, 그 생성된 전송 리스트 중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음악 데이터가, 음악기억장치로부터 음악재생장치에 전송된다. 이렇게 하여 이 음악전송 시스템에 의하면, 음악재생장치에 음악 데이터를 취득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1-93226 공보
[발명의 개시]
그런데 상기 구성의 음악전송 시스템에서는, 음악기억장치로부터 음악재생장치에 전송 가능한 음악 데이터가 다량으로 존재할 경우, 유저는 이 다량의 음악 데이터 중에서 음악재생장치에 아직 기억 보유되지 않는 음악 데이터를 찾아내서 전송 리스트를 작성하게 되므로 번거롭게 되고, 그 결과 이 음악재생장치에 음악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득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현격히 효율적으로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시킬 수 있는 콘텐츠 취득 장치, 콘텐츠 취득 방법 및 콘텐츠 취득 프로그램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각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과,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콘텐츠 취득 수단을 설정하고, 출력 수단은, 콘텐츠 기억부에 아직 기억되지 않은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와, 콘텐츠 기억부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다르게 표시 출력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유저는,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된 콘텐츠 식별 정보 중에서 선택할 때, 콘텐츠 취득 장치에 이미 기억 보유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와 콘텐츠 취득 장치에 아직 기억 보유되지 않은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가 다르게 표시되어, 교호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취득해야 할 콘텐츠 데이터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1) 개요
도 1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개요를 설명한다. 또한 이 개요를 설명한 후, 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콘텐츠 취득 장치(100)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101)와,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각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표시부(102)에 출력하는 출력부(103)와, 출력부(103)에 의해 표시부(102)에 출력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콘텐츠 취득부(104)를 가진다. 이와 관련하여 표시부(102)는 콘텐츠 취득 장치(100)에 고정적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되고, 콘텐츠 취득 장치(100)와는 다른 장치로 설치되어도 된다.
그리고 이 출력부(103)는 콘텐츠 기억부(101)에 아직 기억되지 않은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해서는 아직 기억되지 않은 내용을 나타내는 미기억 형태로서 표시부(102)에 출력하고, 콘텐츠 기억부(101)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해서는 이미 기억되어 있는 내용을 나타내는 기(旣)기억 형태로서 표시부(102)에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2) 음악구입 전송 시스템의 구성
도 2에 있어서 1은 전체로서 음악구입 전송 시스템(1)을 나타내고, 음악 데이터를 제공하는 음악제공 서버(2)와, 음악제공 서버(2)로부터 네트워크(3)를 통해 제공되는 음악 데이터를 수신해서 기억 보유하는 음악재생 단말(4)과, 음악재생 단말(4)에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음악재생 단말(4)에 기억 보유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가 상기 음악재생 단말(4)로부터 송신되면 상기 송신된 음악 데이터를 수신해서 기억 보유하는 휴대음악 재생장치(5)를 가진다.
요컨대 음악재생 단말(4)은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악제공 서버(2)로부터 네트워크(3)를 통해 제공된 음악 데이터를 단말통신부(6)를 통해 수신하면, 이 음악재생 단말(4)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7)는, 상기 수신한 음악 데이터를 단말기억부(8)에 기억한다. 그리고 음악재생 단말(4)의 조작부(9)에 대하여 음악재생 조작이 이루어지면, 이에 따라 이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단말기억부(8)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음악 데이터를 재생부(10)에 의해 재생 처리하고, 이에 따라 방음부(11)로부터 음악을 방음(放音)한다. 또 이때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재생 처리하고 있는 음악 데이터의 아티스트명이나 타이틀 등을 표시부(12)에 표시한다. 또 음악재생 단 말(4)의 제어부(7)는 휴대음악 재생장치(5)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을 때, 단말기억부(8)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를 통신 접속부(13)를 통해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송신할 수 있다.
휴대음악 재생장치(5)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지점의 음악재생 단말(4)로부터 송신된 음악 데이터를 통신 접속부(14)를 통해 수신하면, 이 휴대음악 재생장치(5)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5)는 상기 수신한 음악 데이터를 기억부(이하, 이것을 휴대 기억부라고 부른다)(16)에 기억한다. 그리고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조작부(17)에 대하여 음악재생 조작이 이루어지면, 이에 따라 이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휴대 기억부(16)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음악 데이터를 재생부(18)에 의해 재생 처리하고, 이에 따라 방음부(19)로부터 음악을 방음한다. 또 이때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재생 처리하고 있는 음악 데이터의 아티스트명이나 타이틀 등을 표시부(20)에 표시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음악제공 서버(2)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악재생 단말(4)에 대하여 유상 제공하는 복수의 음악 데이터와 이들 음악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음악관리 정보(음악관리 리스트)를 기억하는 서버 기억부(21)를 가진다.
여기에서 이 음악관리 리스트의 포맷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음악관리 리스트 L1은, 이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식별하기 위한 음악관리 리스트 식별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이 음악관리 리스트 L1은, 음악 데이 터를 식별하기 위한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도면 중의 「ID」)와, 그 음악 데이터에 관련된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그 음악의 아티스트명이나 앨범 이름이나 재킷 화상 등)와, 그 음악 데이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가 대응되어 표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이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는, 예를 들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기억하고 있는 장치(음악제공 서버(2), 음악재생 단말(4), 또는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그 음악 데이터가 기억 보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음악 데이터 유무 정보와, 그 음악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도록 요구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취득 요구 유무 정보가 표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음악 데이터가 기억 보유되어 있는 경우의 음악 데이터 유무 정보를 「존재 유」라고 표시하고, 음악 데이터가 기억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음악 데이터 유무 정보를 「존재 무」라고 표시한다. 또한 음악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도록 요구되어 있는 경우의 취득 요구 유무 정보를 「요구 유」라고 표시하고, 음악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도록 요구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취득 요구 유무 정보를 「요구 무」라고 표시한다.
따라서 이 음악제공 서버(2)는 서버 기억부(21)에 기억 보유하고 있는 음악 데이터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와, 그 음악 데이터의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와, 「존재 유」 및 「요구 무 」로 된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를 대응시켜서 등록한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서버 기억부(21)에 기억 보유한다.
또한 이 음악제공 서버(2)의 서버 기억부(21)에 대하여 새로운 음악 데이터 가 추가 기억되면, 이것에 따라 음악제공 서버(2)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2)는 상기 추가 기억된 음악 데이터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와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와 「존재 유」 및 「요구 무 」로 된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를 대응시키고, 서버 기억부(21)에 기억 보유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에 추가 등록하는 것에 의해 새로운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새로운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서버 기억부(21)에 기억한다. 또 이때 이 음악제공 서버(2)의 제어부(22)는 이전의 음악관리 리스트 L1에 표시되어 있던 음악관리 리스트 식별 정보와는 다른 음악관리 리스트 식별 정보를 새로운 음악관리 리스트 L1에 대하여 나타내게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이 음악관리 리스트 식별 정보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의 신구세대를 판별하기 위한 버전 정보에 해당한다.
이 음악제공 서버(2)의 제어부(22)는 예를 들면 음악재생 단말(4)로부터 통신 접속하도록 요구되었을 때 상기 요구에 따라 서버 통신부(23) 및 네트워크(3)를 차례로 거쳐 음악재생 단말(4)과 통신 접속하는 동시에, 도 7에 개념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기억부(21)에 기억되어 있는 최신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음악재생 단말(4)의 단말기억부(8)에도 기억 보유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하여 음악재생 단말(4)은, 음악제공 서버(2)에 보유되어 있는 모든 음악 데이터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나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나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가 표시된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단말기억부(8)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가 상기 취득한 음악관리 리스트 L1에 표시되어 있을 경우, 이 음악관리 리스트 L1 중의 음악 데이 터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를 「존재 유」로 설정 변경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이 음악재생 단말(4)은, 상기 취득한 음악관리 리스트 L1의 정보량을 음악제공 서버(2)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보다도 삭감해서 단말기억부(8)에 기억 보유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이 정보량의 삭감은, 예를 들면 음악관리 리스트 L1에서의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의 일부를 소거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이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예를 들면 휴대음악 재생장치(5)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접속하면, 단말기억부(8)에 기억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휴대 기억부(16)에 기억 보유시키도록 이루어져 있기도 하다. 이렇게 하여 휴대음악 재생장치(5)는 음악제공 서버(2)에 보유되어 있는 모든 음악 데이터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나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나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가 표시된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휴대 기억부(16)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가 상기 취득한 음악관리 리스트 L1에 표시되어 있을 경우, 이 음악관리 리스트 L1 중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를 「존재 유」로 설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이 휴대음악 재생장치(5)는 상기 취득한 음악관리 리스트 L1의 정보량을 음악재생 단말(4)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보다도 삭감해서 휴대 기억부(16)에 기억 보유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이 정보량의 삭감은, 예를 들면 음악관리 리스트 L1에서의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의 일부를 소거함으로써 실현 된다.
이렇게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기억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음악재생 단말(4)이나 휴대음악 재생장치(5)는 상기 기억 보유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취득음악 선택화면을 표시하는 취득음악 선택화면표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는, 휴대음악 재생장치(5)가 실행할 경우를 일례로 해서 취득음악 선택화면표시 처리 절차 RT1(도 9)을 설명한다. 또한 음악재생 단말(4)도 같은 취득음악 선택화면표시 처리 절차 RT1을 실행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스텝 SP1에서, 취득음악 선택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취득음악 선택화면표시 조작이 이루어지면, 이에 따라 스텝 SP2로 진행하고, 휴대 기억부(16)에 기억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도 6a)의 예를 들면 첫째 줄을 표시 위치로서 인식한다.
계속해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이때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표시부(20)에 아직 아무 표시가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부터 다음 스텝 SP3에서 부정 결과를 얻어서 스텝 SP4로 진행한다. 스텝 SP4에 있어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표시 위치로서 인식한 예를 들면 첫째 줄의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참조하여, 상기 참조한 첫째 줄 부분으로부터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된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와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스텝 SP5로 진행되고, 상기 판독한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타이틀이나 아티스트명)를 표시부(20)에 표시하고, 다 음 스텝 SP6으로 이동한다.
스텝 SP6에 있어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상기 판독한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에 있어서 「존재 유」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스텝 SP6에서 예를 들면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에 있어서의 첫째 줄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음악 데이터가 휴대 기억부(16)에 기억 보유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이때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스텝 SP7로 이동하고, 스텝 SP5에 의해 표시한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만을 표시한 상태로 함으로써, 그 음악 데이터가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존재하는 내용을 유저에 인식시키도록 하고, 스텝 SP11로 이동한다.
이에 반해 이 스텝 SP6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에 있어서의 첫째 줄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음악 데이터가 휴대 기억부(16)에 기억 보유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이때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스텝 SP8로 이동하고, 스텝 SP5에 의해 표시한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에 대응하도록 해서 범위 화상(체크 박스) CKB을 표시함으로써, 그 음악 데이터가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존재하지 않는 내용을 유저에 인식시키도록 하고, 스텝 SP9로 이동한다.
스텝 SP9에 있어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상기 판독한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에 있어서 「요구 유」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스텝 SP9에서 예를 들면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에 있어서의 첫째 줄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음악 데이터를 외부에서 취득하도록 요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이때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스텝 SP10으로 이동하고, 스텝 SP8에 의해 표시한 체크 박스 CKB 중에 체크표시 CKM을 표시함으로써, 그 음악 데이터가 취득 요구되어 있는 내용을 유저에 인식시키도록 하고, 스텝 SP11로 이동한다.
이에 반해 이 스텝 SP9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에 있어서의 첫째 줄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음악 데이터를 외부에서 취득하도록 요구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이때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그대로 스텝 SP11로 이동한다.
스텝 SP11에 있어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에 있어서의 다음 행을 표시 위치로서 인식하고, 스텝 SP3으로 되돌아온다. 이렇게 하여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스텝 SP3∼스텝 SP11을 반복해 실행함으로써,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표시부(20)에 표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음악관리 리스트 L1의 각 행을 판독해서 표시 처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외부에서 취득하는 음악 데이터를 이 취득음악 선택화면을 거쳐서 선택시킬 때의 취득 음악선택 처리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휴대음악 재생장치(5)가 실행할 경우를 일례로 해서 취득 음악선택 처리 절차 RT2(도 10)를 설명한다. 또한 음악재생 단말(4)도 같은 취득 음악선택 처리 절차 RT2을 실행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스텝 SP21에 있어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표시부(20)에 표시하고 있는 취득음악 선택화면 내의 체크 박스 CKB 중 취 득 요구하는 음악 데이터에 대응하는 체크 박스 CKB에 대하여 체크표시 CKM을 붙이는 취득 음악선택 조작이 이루어지면 스텝 SP22로 이동하고, 예를 들면 상기 취득 음악선택 조작에 의해 선택된 음악 데이터를 취득해도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정보를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표시부(20)에 표시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음악재생 단말(4)은 음악제공 서버(2)로부터 네트워크(3)를 통해 유상으로 음악 데이터를 취득하게 되므로, 특히 이 취득 음악선택 처리 절차 RT2이 음악재생 단말(4)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을 경우, 이 스텝 SP21의 처리에 의해 유저에 유상으로 음악 데이터를 취득해도 되는지 여부를 확인시킬 수 있다.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유저로부터의 확인 결과로서 음악 데이터를 취득해도 된다는 내용의 조작이 행해진 것을 인식하면 스텝 SP23에서 긍정 결과를 얻어서 스텝 SP24로 이동하고, 휴대 기억부(16)에 기억 보유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에 표시된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 중, 상기 체크표시 CKM가 붙은 체크 박스 CKB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참조한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를 「요구 유」로 설정한다. 이에 대하여 유저로부터의 확인 결과로서 음악 데이터를 취득해서는 안 되는 내용의 조작이 행해진 것을 인식하면 스텝 SP23에서 부정 결과를 얻고, 이러한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를 「요구 무」로 설정한 상태로 종료 스텝 SP25로 이동하고 취득 음악선택 처리 절차 RT2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유저는, 외부(이 경우 음악재생 단말(4))로부터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취득시키고 싶은 음악 데이터를 이 취득음악 선택화면을 통해서 선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음악재생 단말(4)로부터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음악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실행되는 전송 구입 처리를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여기에서는 이 전송 구입 처리를,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서 실행되는 음악전송 요구 처리 절차 RT3과, 음악재생 단말(4)에서 실행되는 음악구입 전송 처리 절차 RT4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음악전송 요구 처리 절차 RT3의 스텝 SP31에 있어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음악재생 단말(4)에 대하여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접속된 것을 인식하면, 스텝 SP32로 진행한다.
스텝 SP32에 있어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자신이 기억 보유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보다도 음악재생 단말(4)이 기억 보유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이 새로운 경우, 상기 새로워진 차분 부분만을 나타낸 차분 음악관리 리스트를 음악재생 단말(4)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차분 음악관리 리스트를 자신이 기억 보유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과 통합함으로써, 최신 음악관리 리스트 L1로 갱신하는 리스트 갱신 처리를 실행한다. 이 리스트 갱신 처리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이어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스텝 SP33으로 진행되고, 자신이 기억 보유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의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요구 유」가 설정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를 나타낸 음악전송 요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음악전송 요구 리스트를 음악재생 단말(4)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이 경우 음악전송 요구 리스트에는, 복수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가 리스트 형태로 표시된다.
이어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음악재생 단말(4)로부터 전송된 음악 데이터를 수신하면 스텝 SP34에서 긍정 결과를 얻어서 스텝 SP35로 진행하고, 상기 수신한 음악 데이터를 휴대 기억부(16)에 기억하고, 종료 스텝 SP36으로 이동하고 음악전송 요구 처리 절차 RT3을 종료한다. 이렇게 하여 휴대음악 재생장치(5)는 음악재생 단말(4)에 접속되었을 때, 유저에 의해 사전에 취득하도록 요구된 음악 데이터를 음악재생 단말(4)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한편 음악구입 전송 처리 절차 RT4의 스텝 SP41에 있어서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대하여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접속된 것을 인식하면, 스텝 SP42로 진행한다.
스텝 SP42에 있어서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자신이 기억 보유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보다도 휴대음악 재생장치(5)가 기억 보유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이 오래된 경우, 새로워진 차분 부분만을 나타낸 차분 음악관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차분 음악관리 리스트를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송신함으로써, 휴대음악 재생장치(5)가 기억 보유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최신 음악관리 리스트 L1로 갱신하는 리스트 갱신 처리를 실행한다. 이 리스트 갱신 처리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계속해서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휴대음악 재생장치(5)로부터 음악 전송 요구 리스트를 수신하면 스텝 SP43에서 긍정 결과를 얻어서 스텝 SP44로 진행하고, 예를 들면 상기 수신한 음악전송 요구 리스트를 참조함으로써 이것에 표시되어 있는 첫 번째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음악 데이터가 단말기억부(8)에 기억 보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스텝 SP44에 있어서 예를 들면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휴대음악 재생장치(5)로부터 전송 요구된 첫 번째 음악 데이터가 음악재생 단말(4)에 기억 보유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이때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스텝 SP45로 진행하고,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전송하는 음악 데이터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가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는 전송 리스트에 대하여, 이러한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를 나타내도록 한 후, 스텝 SP46으로 이동한다.
이 스텝 SP46에 있어서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음악 데이터를 기억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가, 휴대음악 재생장치(5)로부터 수신한 음악전송 요구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스텝 SP46에서 예를 들면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때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스텝 SP44로 돌아가고, 예를 들면 음악전송 요구 리스트에 표시되어 있는 두 번째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음악 데이터가 단말기억부(8)에 기억 보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스텝 SP44에서 예를 들면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휴대음악 재생장치(5)로부터 전송 요구된 두 번째 음악 데이터가 음악재생 단말(4)에 기억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이때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스텝 SP47로 이동한다.
이 스텝 SP47에 있어서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상기 기억 보유되어 있지 않다고 인식한 음악 데이터를 음악제공 서버(2)로부터 구입해도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정보를 음악재생 단말(4)의 표시부(12)에 표시한다. 그리고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유저에 의해 구입하지 않는 내용의 확인조작이 행해진 것에 의해 이 스텝 SP47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 음악 데이터를 구입하지 않고 스텝 SP46로 이동하고, 이에 반해 유저에 의해 구입하는 내용의 확인조작이 행해진 것에 의해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 스텝 SP48로 이동하여, 네트워크(3)를 통해 음악제공 서버(2)와 통신 접속하고, 그리고 이 음악 데이터를 구입하는 구입 처리를 음악제공 서버(2) 사이에서 실행함으로써 음악제공 서버(2)로부터 유상으로 이 음악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음악 데이터를 단말기억부(8)에 기억한다.
이후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스텝 SP49로 진행하고, 음악제공 서버(2)에서 유상으로 취득한 음악 데이터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를 전송 리스트에 나타낸 후 스텝 SP46로 이동하고, 음악 데이터를 기억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이 아직 되어 있지 않은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가, 휴대음악 재생장치(5)로부터 수신한 음악전송 요구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스텝 SP46에서 예를 들면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때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스텝 SP50로 진행하고, 전송 리스트에 표시된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음악 데이터를 단말기억부(8)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음악 데이터를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송신하고, 종료 스텝 SP51로 이동하고 음악구입 전송 처리 절차 RT4을 종료한다. 이와 관련하여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스텝 SP43에 있어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로부터 음악전송 요구 리스트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종료 스텝 SP51로 이동하고 음악구입 전송 처리 절차 RT4을 종료한다. 이렇게 하여 음악재생 단말(4)은, 휴대음악 재생장치(5)로부터 전송 요구된 음악 데이터를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제공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3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음악전송 요구 처리 절차 RT3의 스텝 SP32 및 음악구입 전송 처리 절차 RT4의 스텝 SP42에 있어서 실행되는 리스트 갱신 처리를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여기에서는 이 리스트 갱신 처리를,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있어서 실행되는 리스트 갱신 요구 처리 절차 RT5과, 음악재생 단말(4)에 있어서 실행되는 차분 리스트 송신 처리 절차 RT6으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리스트 갱신 요구 처리 절차 RT5의 스텝 SP61에 있어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음악재생 단말(4)이 기억 보유하고 있는 최신 음악관리 리스트 L1의 음악관리 리스트 식별 정보를 통지하도록 요구하는 최신음악관리 리스트 식별 정보통지 요구 신호를 음악재생 단말(4)에 송신한다.
이어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음악재생 단말(4)이 기억 보유 하고 있는 최신 음악관리 리스트 L1의 음악관리 리스트 식별 정보가 표시된 최신음악관리 리스트 식별 정보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스텝 SP62에서 긍정 결과를 얻어서 스텝 SP63로 진행하고, 상기 최신음악관리 리스트 식별 정보통지 신호에 나타나 있는 최신 음악관리 리스트 식별 정보가, 자신의 휴대 기억부(16)에 기억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의 음악관리 리스트 식별 정보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스텝 SP63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음악재생 단말(4)에 기억 보유되어 있는 최신 음악관리 리스트 L1과,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기억 보유되어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이 같은 것을 의미하고 있고, 이때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기억 보유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갱신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고, 종료 스텝 SP69로 이동하고 리스트 갱신 요구 처리 절차 RT5을 종료한다.
이에 반해 스텝 SP63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음악재생 단말(4)에 기억 보유되어 있는 최신 음악관리 리스트 L1과,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기억 보유되어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가 다른 것으로,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기억 보유되어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이 오래된 것을 의미하고 있고, 이때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스텝 SP64로 이동하고, 휴대 기억부(16)에 현재 기억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의 음악관리 리스트 식별 정보를 나타낸 현재 음악관리 리스트 식별 정보통지 신호를 음악재생 단말(4)에 송신한다.
이어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다음 스텝 SP65에 있어서, 음악재생 단말(4)이 기억 보유하고 있는 최신 음악관리 리스트 L1에는 표시되어 있고 휴대음악 재생장치(5)가 현재 기억 보유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은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와 이것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와 이것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가 표시된 차분 음악관리 리스트를, 음악재생 단말(4)로부터 수신하면 스텝 SP66으로 이동하고, 휴대 기억부(16)에 이미 기억 보유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과 같은 형태가 되도록 상기 수신한 차분 음악관리 리스트 중의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의 일부를 소거하고, 이것에 의해 이 차분 음악관리 리스트의 정보량을 삭감한다.
이어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스텝 SP67로 진행하고, 휴대 기억부(16)에 이미 기억 보유하고 있는 음악 데이터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가 차분 음악관리 리스트에 표시되어 있을 경우, 상기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를 「존재 유」로 설정 변경하고, 스텝 SP68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P68에 있어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휴대 기억부(16)에 기억 보유하고 있는 오래된 음악관리 리스트 L1과 이러한 차분 음악관리 리스트를 통합함으로써 최신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생성하고, 종료 스텝 SP69로 이동하여 리스트 갱신 요구 처리 절차 RT5를 종료한다.
한편 차분 리스트 송신 처리 절차 RT6의 스텝 SP71에 있어서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휴대음악 재생장치(5)로부터 최신음악관리 리스트 식별 정보통지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스텝 SP72로 진행하고, 단말기억부(8)에 기억 보유하고 있는 최신 음악관리 리스트 L1의 음악관리 리스트 식별 정보를 나타낸 최신음악관 리 리스트 식별 정보통지 신호를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송신한다.
이어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휴대음악 재생장치(5)로부터 현재 음악관리 리스트 식별 정보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스텝 SP73에서 긍정 결과를 얻어서 스텝 SP74로 진행하고, 음악재생 단말(4)이 기억 보유하고 있는 최신 음악관리 리스트 L1에는 표시되어 있고 휴대음악 재생장치(5)가 현재 기억 보유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은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와 이것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와 이것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가 표시된 차분 음악관리 리스트를 생성하고, 스텝 SP75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P75에 있어서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상기 생성한 차분 음악관리 리스트를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송신하고, 종료 스텝 SP76으로 이동하고 차분 리스트 송신 처리 절차 RT6을 종료한다. 이와 관련하여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스텝 SP73에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로부터 현재 음악관리 리스트 식별 정보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종료 스텝 SP76으로 이동하고 차분 리스트 송신 처리 절차 RT6을 종료한다.
계속해서, 전술한 취득음악 선택화면을 거쳐서 음악 데이터를 재생시킬 때의 음악재생 처리 절차 RT7을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여기에서는, 음악재생 단말(4)이 이 음악재생 처리 절차 RT7을 실행할 경우에 대해서 서술하지만, 휴대음악 재생장치(5)도 마찬가지로 이 음악재생 처리 절차 RT7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음악재생 처리 절차 RT7의 스텝 SP81에 있어서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 부(7)는 취득음악 선택화면 중에 표시된 복수의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아티스트명이나 타이틀) 중 하나를 지정해서 이것을 재생하도록 명령하는 음악재생 명령 조작이 행해진 것을 인식하면 스텝 SP82로 이동하고, 단말기억부(8)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지정된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에 있어서 「존재 유」가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스텝 SP82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음악재생 명령 조작에 의해 지정된 음악 데이터가 음악재생 단말(4)의 단말기억부(8)에 기억 보유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이때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스텝 SP83으로 이동하고, 단말기억부(8)로부터 이 음악 데이터를 판독해서 재생 처리함으로써 음악을 방음하고, 종료 스텝 SP84로 이동하고 음악재생 처리 절차 RT7을 종료한다.
이에 반해 이 스텝 SP82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음악재생 명령 조작에 의해 지정된 음악 데이터가 음악재생 단말(4)의 단말기억부(8)에 기억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있고, 이때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스텝 SP85로 이동하고, 이 음악 데이터를 외부에서 취득(이 경우, 음악제공 서버(2)로부터의 구입)시키도록 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정보를 음악재생 단말(4)의 표시부(12)에 표시한다.
그리고 이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유저에 의해 취득하지 않는 내용의 확인조작이 행해진 것을 인식하면, 스텝 SP86에서 부정 결과를 얻어서 종료 스텝 SP84로 진행하고 음악재생 처리 절차 RT7을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음악재생 단 말(4)의 제어부(7)는 유저에 의해 취득하는 내용의 확인조작이 행해진 것을 인식하면, 스텝 SP86에 있어서 긍정 결과를 얻어서 스텝 SP87로 이동하고, 단말기억부(8)에 기억 보유하고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참조하고, 음악재생 명령 조작에 의해 지정된 음악 데이터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를 「요구 유」에 설정 변경하고, 종료 스텝 SP84으로 이동하고 음악재생 처리 절차 RT7을 종료한다. 이에 따라 이후 음악재생 단말(4)은, 음악재생 명령 조작에 의해 지정된 음악 데이터를 음악제공 서버(2)로부터 유상으로 취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음악구입 전송 시스템(1)에 대하여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적용했지만,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음악관리 리스트 L1X를 적용한 경우에는, 도 14과의 대응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부착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음악재생 처리 절차 RT7X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즉 이 도 15에 나타내는 음악관리 리스트 L1X에 있어서는, 음악 데이터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 (「ID」)와, 그 음악 데이터의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와, 그 음악 데이터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시청 데이터와, 그 음악 데이터의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음악재생 단말(4)에 의해 실행될 경우를 일례로 음악재생 처리 절차 RT7X를 설명하면, 이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음악재생 명령 조작에 의해 지정된 음악 데이터가 음악재생 단말(4)의 단말기억부(8)에 기억 보유되어 있지 않 은 것으로 스텝 SP82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스텝 SP88로 이동하고, 이러한 음악관리 리스트 L1X 중에 이 음악 데이터의 시청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스텝 SP88에 있어서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는 스텝 SP89로 이동하고, 이 음악관리 리스트 L1X로부터 시청 데이터를 판독해서 재생 처리함으로써 유저에 시청시킨 후 스텝 SP85로 이동하고, 이 음악 데이터를 외부에서 취득(이 경우, 음악제공 서버(2)로부터의 구입)시키도록 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3)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음악제공 서버(2)는 음악재생 단말(4)에 대하여 제공 가능한 음악 데이터를 복수 보유하고, 상기 제공 가능한 각 음악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음악식별 정보(본 실시예의 경우,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나 음악 데이터 관련 정보)가 표시된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음악재생 단말(4)에 제공한다.
음악재생 단말(4)은, 음악제공 서버(2)로부터 제공된 음악관리 리스트 L1 중의 음악식별 정보를 표시부(12)에 출력해서 표시한다. 그리고 이 음악재생 단말(4)은, 상기 표시된 음악식별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이 음악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음악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요구하는 취득 요구 조작이 이루어지면, 네트워크(3)를 통해 음악제공 서버(2)에 통신 접속했을 때에 이 음악 데이터를 음악제공 서버(2)로부터 취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경우 이 음악재생 단말(4)은, 음악제공 서버(2)로부터 제공된 음악관리 리스트 L1 중의 음악식별 정보를 표시부(12)에 표시할 때, 단말기 억부(8)에 아직 기억 보유되지 않은 음악 데이터의 음악식별 정보에 대해서는, 아직 기억 보유되지 않은 내용을 나타내는 미기억 형태(체크 박스 CKB을 대응시켜서 표시하는 형태)로서 표시부(12)에 출력해서 표시하고, 단말기억부(8)에 이미 기억 보유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의 음악식별 정보에 대해서는, 이미 기억 보유되어 있는 내용을 나타내는 기기억 형태(체크 박스 CKB을 대응시키지 않고 표시하는 형태)로서 표시부(12)에 출력해서 표시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유저는, 표시부(12)에 표시된 음악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취득 요구 조작을 행할 때, 음악재생 단말(4)에 이미 기억 보유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의 음악식별 정보와 음악재생 단말(4)에 아직 기억 보유되지 않은 음악 데이터의 음악식별 정보가 다르게 표시되어, 교호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고, 그렇게 하여 취득해야 할 음악 데이터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표시부(12)에 표시된 음악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취득 요구 조작을 행할 때, 음악재생 단말(4)에 이미 기억 보유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의 음악식별 정보와 음악재생 단말(4)에 아직 기억 보유되지 않은 음악 데이터의 음악식별 정보가 다르게 표시되어, 교호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으므로, 취득해야 할 음악 데이터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그 결과 현격히 효율적으로 음악 데이터를 음악재생 단말(4)에 취득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리스트 갱신 처리로서 리스트 갱신 요구 처리 절차 RT5가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서 실행되고 차분 리스트 송신 처리 절차 RT6이 음악재생 단말(4)에서 실행될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 리스트 갱신 요 구 처리 절차 RT5 및 차분 리스트 송신 처리 절차 RT6은 각각 음악재생 단말(4) 및 음악제공 서버(2)에서도 적절히 실행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음악제공 서버(2)에 기억 보유되어 있는 최신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음악재생 단말(4) 측에 반영시킬 수 있다.
(4) 기타 실시예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악관리 리스트 L1 내의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에 있어서, 이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기억하고 있는 장치에 그 음악 데이터가 기억 보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음악 데이터 유무 정보와, 그 음악 데이터를 외부에서 취득하도록 요구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취득 요구 유무 정보가 표시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득 요구 유무 정보로 전환하고, 음악 데이터를 외부에서 무상으로 취득하도록 요구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전송 요구 유무 정보와, 음악 데이터를 외부에서 유상으로 취득하도록 요구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구입 요구 유무 정보가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음악재생 단말(4)(또는 휴대음악 재생장치(5))은,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크 박스 CKB에 대하여 구입 요구하는 내용의 구입 마크 PM을 붙이는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이것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 중의 구입 요구 유무 정보를 구입 요구되어 있는 내용을 나타내는 「구입 요구 유」로 설정하고, 한편 체크 박스 CKB에 대하여 전송 요구하는 내용의 체크표시 CKM을 붙이는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이것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 중의 전송 요구 유무 정보 를 전송 요구되어 있는 내용을 나타내는 「전송 요구 유」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 음악재생 단말(4)(또는 휴대음악 재생장치(5))은,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가 「구입 요구 유」 로 설정되었을 경우, 이것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를 외부(음악제공 서버(2) 등)로부터 유상으로 취득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한편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가 「전송 요구 유」 로 설정되었을 경우, 이것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를 외부에서 무상으로 취득하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취득음악 선택화면으로서 도 8a를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이것이 표시되는 표시장치의 능력(표시 영역의 크기 등)에 따라,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티스트의 초상으로 된 재킷 화상을 표시해도 되고,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되는 정보를 더 간략화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휴대음악 재생장치(5)가 음악제공 서버(2)에 대하여 직접 접속하지 않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휴대음악 재생장치(5)가 음악제공 서버(2)에 대하여 직접 접속할 수 있게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휴대음악 재생장치(5)는, 상기의 음악재생 단말(4)과 같은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음악제공 서버(2)로부터 직접 음악 데이터를 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휴대음악 재생장치(5)는 음악제공 서버(2)에 의해 기억 보유되어 있는 음악관리 리스트 L1을, 음악재생 단말(4)을 통해 취득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음악제공 서버(2)와 직접 통신할 수 있으면, 음악제공 서버(2)로부터 직접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콘텐츠 데이터로서 음악 데이터를 적용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영상 데이터나 프로그램 데이터를 적용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음악관련 리스트 L1에는 음악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음악 데이터 식별정보와, 그 음악 데이터에 관련된 음악 데이터 관련정보와, 그 음악 데이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가 대응되어 표시되며, 그 중의 음악 데이터 식별정보는 예를 들면 데이터의 ID를 나타내고, 음악 데이터 관련정보는 음악 데이터에 근거하는 음악의 예를 들면, 타이틀, 아티스트명, 앨범명, 재킷 화상 등을 표시하도록 한 경우에 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악관련 리스트 L1의 음악 데이터 식별정보에 별도의 음악 데이터의 정보를 포함시켜도 된다. 이 경우, 음악 데이터 식별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음악 데이터의 ID 외에도, 별도 음악 데이터로의 링크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한 경우의 음악관련 리스트 L1Y의 구조를 도 19a 및 b에 나타낸다.
이 경우, 음악관련 리스트 L1Y의 기본적인 구조 자체는 도 6에 나타낸 음악관련 리스트 L1과 거의 동일하지만,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악 데이터 식별정보의 부분이 확장되어 있다. 이 도 19b에서는 일례로, 다른 콘텐츠로의 링크를 2개 가지고 있는 경우의 음악 데이터 식별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음악 데이터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링크 수의 상한은 특별히 규정되지는 않고, 동 음악 데이터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종료 데이터까지의 복수의 링크를 보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당연히 링크의 상한의 수를 규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링크는 예를 들면, 같은 앨범 내의 콘텐츠를 묶는 데 사용한다.
이러한 구조의 음악관련 리스트 L1Y로 한 경우, 취득음악 선택화면 표시처리, 취득음악 선택처리, 전송구입처리, 및 리스트 갱신처리에 대해서는, 음악 데이터 식별정보 내의 콘텐츠 ID(도 6의 ID에 상당)를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절차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으로, 음악재생처리에 관해서는 이하와 같은 절차로 할 수 있다. 즉 도 20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악재생 처리절차 RT8의 스텝 SP100에 있어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유저에 의해 음악재생 명령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인식하면, 스텝 SP101로 이동하고, 그 음악재생 명령조작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 자체(즉 음악 데이터)의 재생처리를 행하여 다음의 스텝 SP102로 이동한다. 이 처리는 전술한 음악재생 처리절차 RT7의 스텝 SP83(도 14)와 동일한 처리다.
스텝 SP102에 있어서 제어부(15)는 콘텐츠의 재생처리 종료 후, 음악 데이터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이 콘텐츠에 링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는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이때 제어부(15)는 종료 스텝 SP103으로 이동하여, 이 음악재생 처리절차 RT8을 종료한다. 이에 반해 이 스텝 SP102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는 링크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이때 제어부(15)는 스텝 SP104로 이동한다.
스텝 SP104에 있어서 제어부(15)는 음악 데이터 식별정보 내의 링크를 차례로 찾아 가고, 스텝 SP105에서 링크 지점의 콘텐츠의 재생처리를 실행하고, 음악 데이터 식별정보 내의 링크 지점의 콘텐츠를 모두 재생처리해내면, 종료 스텝 SP103으로 이동하여, 이 음악재생 처리절차 RT8을 종료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 식별정보 내의 링크가 동일한 앨범 내의 콘텐츠를 묶도록 등록되어 있으면, 이 음악재생 처리절차 RT8에 따라, 휴대음악 재생장치(5)가 앨범 내의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 앨범 단위의 재생시에, 앨범 단위로 구입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각 링크 지점에서의 구입 확인을 유저에게 확인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앨범 단위의 재생시에, 앨범 단위로 구입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구입 처리를 링크 지점의 콘텐츠도 포함해서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구입 처리를 도 21의 흐름도에 나타낸다. 즉 구입처리절차 RT9의 스텝 SP110에 있어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조작부(17)를 통해 유저에 의한 앨범 단위의 구입 요구를 접수하면, 스텝 SP111로 이동하고, 앨범 자체(예를 들면 앨범 내의 1 콘텐츠)의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가 「존재 유」가 아닌 경우에는, 「요구 유」로 설정하고 다음 스텝 SP112로 이동한다.
스텝 SP112에 있어서 제어부(15)는 앨범 자체의 음악 데이터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링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는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이때 제어부(15)는 종료 스텝 SP113으로 이동하고, 이 구입처리절차 RT9를 종료한다. 이에 반해 이 스텝 SP112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는 링크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이때 제어부(15)는 스텝 SP114로 이동한다.
스텝 SP114에 있어서 제어부(15)는 음악 데이터 식별정보 내의 링크를 차례 로 찾아가고, 스텝 SP115에서 링크 지점의 콘텐츠의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가 「존재 유」가 아닌 경우에는, 「요구 유」로 설정하고, 음악 데이터 식별정보 내의 링크 지점의 콘텐츠의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를 모두 확인해내면, 종료 스텝 SP113으로 이동하여, 이 음악구입 처리절차 RT9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이 구입 처리절차 RT9에 따라, 휴대음악 재생장치(5)가 앨범 내의 콘텐츠의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를 한번에 「요구 유」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앨범만의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를 「요구 유」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이렇게 음악 데이터 식별정보에 동일한 앨범 내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링크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 앨범 내의 곡(콘텐츠)을 일괄 취득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앨범의 전곡을 단순히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면, 이미 취득이 끝난 곡이나 곡 단위로 전송 요구한 곡과 겹칠 수 있다. 이러한 곡을 구입하는 것은 유저에게 불필요한 비용을 부담시키게 되므로, 동일 곡을 취득하지 않는(또는 취득하기 위한 구입 처리가 발생하지 않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러한 조건에 따른 휴대음악 재생장치(5)로 음악전송요구 리스트를 생성하는 음악전송요구 리스트 생성처리에 관하여, 도 22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 음악전송요구 리스트 생성처리는 전술한 음악전송요구 처리절차 RT3의 스텝 SP33(도 11)에서 실행하는 처리다.
즉 음악전송요구 리스트 생성처리 절차 RT10의 스텝 SP120에 있어서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는 음악처리 리스트 L1Y 내의 콘텐츠를 모두 검색해내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음악처리 리스트 L1Y에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으면, 이때 제어부(15)는 아직 하나도 콘텐츠를 검색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 스텝 SP120에서 부정 결과를 얻어, 스텝 SP121로 이동한다.
스텝 SP121에서 있어서 제어부(15)는 첫 번째 콘텐츠를 검색하고, 이 콘텐츠의 음악 데이터 상태정보가 「요구 유」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7)는 스텝 SP120로 되돌아오고, 다음 콘텐츠의 검색으로 이동한다. 이에 반해 이 스텝 SP121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는 검색한 콘텐츠가 전송 요구된 콘텐츠인 것을 의미하고 있고, 이때 제어부(15)는 스텝 SP122로 이동한다.
스텝 SP122에 있어서 제어부(15)는 이 전송 요구된 콘텐츠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에 링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는, 이 전송 요구된 콘텐츠가, 예를 들면 1곡뿐인 싱글인 것을 나타내며, 이때 제어부(7)는 스텝 SP123로 이동하고, 이 콘텐츠를 음악전송 요구 리스트에 추가하고, 스텝 SP120으로 되돌아오고, 다음 콘텐츠의 검색으로 이동한다. 이에 반해 이 스텝 SP122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는, 이 전송 요구된 콘텐츠가, 예를 들면 복수 곡을 수록한 앨범 내의 1콘텐츠인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이때 제어부(15)는 스텝 SP124로 이동한다.
스텝 SP124에 있어서 제어부(15)는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 내의 링크를 차례로 찾아가고, 스텝 SP125에 있어서 링크 지점의 콘텐츠가 음악관리 리스트 L1Y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즉 취득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존재한다고 판정하면 스텝 SP124에 되돌아와서 다음 링크로 이동하고,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면 스텝 SP126으로 이동한다. 스텝 SP126에 있어서 제어부(15)는 링크 지점의 콘텐츠가 음악전송 요구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존재한다고 판정하면 스텝 SP124로 되돌아와서 다음 링크로 이동하고,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면 스텝 SP127로 이동한다. 스텝 SP127에 있어서 제어부(15)는 링크 지점의 콘텐츠를 음악전송 요구 리스트에 추가한다. 그리고 이 스텝 SP124∼125까지의 처리를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 내의 모든 링크 지점의 콘텐츠에 대하여 실행해내면, 제어부(7)는 스텝 SP120으로 되돌아오고, 다음 콘텐츠의 검색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7)는, 전송 요구된 콘텐츠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 내에 링크가 존재할 경우, 각 링크 지점의 콘텐츠가 이미 취득을 끝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취득이 완료되지 않았다면, 계속해서 전송 요구 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전송 요구가 완료되지 않았다면, 취득도 전송 요구도 이루어지지 않은 콘텐츠라고 인식하고, 이 콘텐츠를 음악전송 요구 리스트에 추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음악관리 리스트 L1Y에 기록된 모든 콘텐츠에 대한 검색이 종료되면, 제어부(7)는 스텝 SP120에서 긍정 결과를 얻고, 종료 스텝 SP128로 이동하여, 이 음악전송 요구 리스트 생성 처리 절차 RT10을 종료한다.
이러한 음악전송요구 리스트 생성 처리 절차 RT10에 따라서, 음악전송요구 리스트를 생성함으로써, 음악재생 단말(4)은 앨범 단위의 콘텐츠의 전송 요구를 중복 없이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위의 서버 측(예를 들면 휴대음악 재생장치(5)로부터 본 음악재생 단말(4))로 필요한 곡(즉 전송하는 콘텐츠)을 뽑아내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송 요구와 동시에 예를 들면 하위의 장치(예를 들면 휴대음악 재생장치(5)) 내에 존재하는 전곡 데이터를 상위에 송신한다. 상위에서는 전송요구가 앨범 단위인 경우, 그 앨범 내의 링크를 찾고 그것이 하위의 단말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필요한 곡만을 단말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렇게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에 다른 음악 데이터의 정보로서 링크를 포함하도록 했을 경우, 이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는, 앨범 단위의 링크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티스트, 연예인, 유명인 등이, 자신이 좋아하는 곡 또는 앨범을 임의의 재생 순으로 배열한 플레이 리스트(소위 Celebrity PlayList) 단위의 링크 등, 이 밖에 여러 가지 단위로 그룹화되는 콘텐츠의 링크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 내에, 앨범 타이틀이나, 이 앨범의 아티스트명 등을 포함하거나, 플레이 리스트명이나, 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한 작성자명(아티스트명, 연예인명, 유명인명 등) 등을 포함해도 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득음악 선택화면에는, 앨범 단위의 정보(예를 들면 앨범 타이틀 및 아티스트명)를 표시할 수 있는 동시에, 기억 보유하고 있지 않은 앨범의 정보에 대하여는 체크 박스 CKB가 대응되어 표시된다.
그래서 예를 들면 이 체크 박스 CKB에 체크표시 CKM을 붙이는 조작이 이루어지면, 음악재생 단말(4)이나 휴대음악 재생장치(5)는 해당하는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ID 및 링크를 바탕으로, 전술한 음악전송 요구 리스트 생성 처리 절차 RT10에 따라 음악전송요구 리스트를 생성함으로써, 필요한 음악 데이터의 전송을 외부에 요구하고, 이 앨범에 포함되는 음악 데이터를 일괄 취득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득음악 선택화면에는, 플레이 리스트 단위의 정보(예를 들면 플레이 리스트명 및 작성자명)를 표시할 수 있는 동시에, 기억 보유하고 있지 않은 플레이 리스트의 정보에 대하여는 체크 박스 CKB가 대응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이 체크 박스 CKB에 체크표시 CKM을 붙이는 조작이 이루어지면, 음악재생 단말(4)이나 휴대음악 재생장치(5)는 해당하는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ID 및 링크를 바탕으로, 전술한 음악전송요구 리스트 생성 처리 절차 RT10에 따라 음악전송요구 리스트를 생성함으로써, 필요한 음악 데이터의 전송을 외부에 요구하고, 이 플레이 리스트에 포함되는 음악 데이터를 일괄 취득한다.
이와 같이, 앨범이나 플레이 리스트에 포함되는 곡의 음악 데이터를 일괄 취득함으로써 복수 곡의 음악 데이터를 취득할 경우의 조작을 현격히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괄 취득시인 때, 상기 앨범이나 플레이 리스트에 포함되는 음악 데이터의 일부가 이미 휴대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음악 데이터를 제외하고 필요한 음악 데이터만을 외부에 요구하도록 해도 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음악관련 리스트 L1Y에는, 다른 단위의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즉 링크의 수가 다른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가 혼재해서 있어도 되고,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득음악 선택화면에는, 1곡 단위의 정보(예를 들면 곡 타이틀 및 아티스트명), 앨범 단위의 정보(예를 들면 앨범 타이틀 및 아티스트명), 플레이 리스트 단위의 정보(예를 들면 플레이 리스트명 및 작성자)가 혼재해서 표시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음악제공 서버(2)의 제어부(22)나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나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가 미리 인스톨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전술한 각 처리 절차 RT1∼RT7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행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 처리 절차 RT1∼RT7을 하드웨어적으로 실행시켜도 된다. 또한 이들 각 처리 절차 RT1∼RT7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CD(Compact Disc)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두어도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에 나타낸 콘텐츠 취득 장치(100)는 음악재생 단말(4)이나 휴대음악 재생장치(5)에 해당하고, 도 1에 나타낸 표시부(102)는 음악재생 단말(4)의 표시부(12)나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표시부(20)에 해당하고, 도 1에 나타낸 콘텐츠 기억부(101)는 단말기억부(8)나 휴대 기억부(16)에 해당하고, 도 1에 나타낸 출력부(103)는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나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에 해당하고, 도 1에 나타낸 콘텐츠 취득부(104)는 음악재생 단말(4)의 제어부(7)나 휴대음악 재생장치(5)의 제어부(15)에 해당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PC나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 등의 콘텐츠 취득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된 콘텐츠 식별 정보 중에서 선택할 때, 콘 텐츠 취득 장치에 이미 기억 보유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와 콘텐츠 취득 장치에 아직 기억 보유되지 않은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가 다르게 표시되어, 교호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취득해야 할 콘텐츠 데이터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 결과, 현격히 효율적으로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각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과,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콘텐츠 취득 수단을 가지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아직 기억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다르게 표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취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아직 기억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해서는 아직 기억되어 있지 않은 내용을 나타내는 미기억 형태로서 출력하고,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해서는 이미 기억되어 있지 않은 내용을 나타내는 기기억 형태로서 출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취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각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가 표시된 제공 가능 리스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리스트 취득 수단을 가지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제공 가능 리스트에 표시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취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취득 수단은,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에 보유되어 있는 상기 제공 가능 리스트에 표시되어 있고 상기 콘텐츠 취득 장치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공 가능 리스트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가 있을 경우, 상기 표시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 식별 정보만을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취득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해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정보를 출력하는 확인 정보출력 수단을 가지고,
    상기 콘텐츠 취득 수단은, 상기 확인 정보를 출력한 후 취득해야 할 내용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취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정보출력 수단은 취득해야 할 콘텐츠 데이터가 요금부과 대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인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취득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는, 복수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취득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는, 복수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취득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 리스트를 나타내는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에 근거해서 콘텐츠를 취득할 때에는 일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취득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일괄 취득할 때, 상기 플레이 리스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 중에서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는 취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취득 장치.
  11.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각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출력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콘텐츠 취득 스텝을 가지고,
    상기 출력 스텝에서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 수단에 아직 기억되어 있지 않은 콘 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다르게 표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취득 장치의 콘텐츠 취득 방법.
  12. 컴퓨터에 대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각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출력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선택된 콘텐츠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콘텐츠 취득 스텝을 실행시키는 콘텐츠 취득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출력 스텝에서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 수단에 아직 기억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다르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취득 프로그램.
KR1020060054118A 2005-06-29 2006-06-16 콘텐츠 취득 장치, 콘텐츠 취득 방법 및 콘텐츠 취득프로그램 KR200700017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90489 2005-06-29
JP2005190489 2005-06-29
JPJP-P-2005-00268619 2005-09-15
JP2005268619A JP4273424B2 (ja) 2005-06-29 2005-09-15 コンテンツ取得装置、コンテンツ取得方法及びコンテンツ取得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799A true KR20070001799A (ko) 2007-01-04

Family

ID=37654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118A KR20070001799A (ko) 2005-06-29 2006-06-16 콘텐츠 취득 장치, 콘텐츠 취득 방법 및 콘텐츠 취득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685225B2 (ko)
EP (1) EP1762974B1 (ko)
JP (1) JP4273424B2 (ko)
KR (1) KR20070001799A (ko)
CN (1) CN18928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9083B2 (ja) * 2006-12-04 2013-08-07 ソニー株式会社 マッシュアップ用データの配布方法、マッシュアップ方法、マッシュアップ用データのサーバ装置およびマッシュアップ装置
US20080250328A1 (en) 2007-04-03 2008-10-09 Nokia Corporation Systems,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rranging a user's media files
JP4325695B2 (ja) * 2007-04-09 2009-09-02 株式会社デンソー 情報通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出力装置、ユーザ側装置、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出力装置用プログラム、ユーザ側装置用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配信装置用プログラム
JP4935569B2 (ja) * 2007-08-06 2012-05-23 株式会社ニコン 処理実行プログラム、および処理実行装置
JP2009140169A (ja) * 2007-12-05 2009-06-25 Sony Corp サーバ装置、端末装置、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送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83596B2 (ja) * 2007-12-28 2012-07-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データ提供システムとデータ提供装置
JP5211686B2 (ja) * 2007-12-28 2013-06-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データ提供システムとデータ提供装置
JP4623390B2 (ja) * 2008-10-03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再生プログラム
CN102143192A (zh) * 2010-01-28 2011-08-03 中国移动通信集团江西有限公司 点对点视频文件传输方法、终端及服务器
JP5644472B2 (ja) 2010-12-21 2014-12-24 ソニー株式会社 転送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サーバ装置、再生装置および転送方法
US9324377B2 (en) * 2012-03-30 2016-04-26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rendering visualizations related to audio data
US9769244B2 (en) 2014-06-18 2017-09-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urier network service
US9232383B1 (en) 2014-06-25 2016-01-05 Microsoft Corporation Courier network
CN107277165A (zh) * 2017-07-21 2017-10-20 成都柏硕文化传播有限公司 音乐耳机云同步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8686A (en) * 1991-02-19 1995-04-18 Mankovitz; Roy J. Apparatus and methods for music and lyrics broadcasting
JPH0784587A (ja) * 1993-09-13 1995-03-31 Pioneer Electron Corp 表示制御装置
JP3218946B2 (ja) * 1995-09-29 2001-10-15 ヤマハ株式会社 歌詞データ処理装置及び補助データ処理装置
US6351442B1 (en) 1998-06-03 2002-02-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tion apparatus with reproduction path flag information
JP2003178533A (ja) 1998-06-03 2003-06-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媒体、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US6226618B1 (en) * 1998-08-13 2001-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content delivery system
JP2001093226A (ja) 1999-09-21 2001-04-06 Sony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情報通信装置および方法
EP1156424A2 (en) 2000-05-17 2001-11-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mmendation system
US7693992B2 (en) * 2000-06-14 2010-04-06 Disney Enterprises, Inc. Technique for providing access to data
US20040068536A1 (en) * 2000-07-14 2004-04-08 Demers Timothy B. Multimedia player and browser system
JP2002074499A (ja) * 2000-08-24 2002-03-15 Sony Corp サービス提供方法
ATE552562T1 (de) * 2000-11-10 2012-04-15 Aol Musicnow Llc Verteilungs und -abonnementsystem für digitalen inhalt
EP1209581A3 (en) * 2000-11-27 2004-05-26 Yamaha Corporatio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n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using network
US6423892B1 (en) * 2001-01-29 2002-07-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wireless MP3 player and system for downloading MP3 files from the internet
JP4742427B2 (ja) 2001-02-05 2011-08-10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名前解決方法
JP3743298B2 (ja) * 2001-03-05 2006-02-08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US20040019396A1 (en) * 2001-03-30 2004-01-29 Mcmahon Maureen Methods for recording music to optical media
EP1398902A4 (en) * 2001-06-04 2007-0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A FLEXIBLE AND COMMON IPMP SYSTEM FOR PROVIDING AND PROTECTING CONTENTS
US7333935B2 (en) * 2001-07-11 2008-02-19 Son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compact discs and issuing corresponding credits
KR20040015714A (ko) * 2001-07-17 2004-02-19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컨텐츠 이용장치와 네트워크 시스템, 및 라이센스 정보취득방법
WO2003017045A2 (en) * 2001-08-16 2003-02-27 Trans World New York Llc User-personalized media sampling, recommendation and purchasing system using real-time inventory database
US20030052913A1 (en) * 2001-09-19 2003-03-20 Barile Steven E. Method and apparatus to supply relevant media content
JP3807275B2 (ja) * 2001-09-20 2006-08-09 ヤマハ株式会社 コード提示装置およびコード提示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275105B2 (en) * 2002-01-16 2007-09-25 Laszlo Systems, Inc. Enabling online and offline operation
US20040117276A1 (en) * 2002-12-17 2004-06-17 Edward Kettler Online list generation process and method
US7346320B2 (en) * 2003-01-17 2008-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tuning radio stations with user-defined play lists
JP4027242B2 (ja) * 2003-02-17 2007-12-26 三洋電機株式会社 コンテンツ取り込み装置
JP4789802B2 (ja) * 2003-04-25 2011-10-12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メディアアイテムをブラウズ、サーチおよび提示する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7373274B2 (en) * 2003-07-10 2008-05-13 Erc-Ip, Llc Methods and structure for improved interactive statistical analysis
EP1664997A4 (en) * 2003-09-10 2007-12-19 Yahoo Inc MUSIC PURCHASING AND PLAYING SYSTEM AND METHOD
RU2345403C2 (ru) * 2003-10-03 2009-01-27 Лаймлайт Нетворкс, Инк. Расширенная загрузка контента
JP2005156982A (ja) * 2003-11-26 2005-06-16 Yamaha Corp 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134904B2 (ja) * 2003-12-26 2008-08-20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音楽装置、音楽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及び音楽コンテンツ処理プログラム
JP2005216391A (ja) 2004-01-30 2005-08-11 Hitachi Ltd 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US20060167574A1 (en) * 2004-06-08 2006-07-27 Takashi Kawakami Data transmission system,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program
US7739151B2 (en) * 2004-10-25 2010-06-15 Apple Inc. Reservation of digital media items
US7735012B2 (en) * 2004-11-04 2010-06-08 Apple Inc. Audio user interface for computing devices
JP2006145855A (ja) * 2004-11-19 2006-06-08 Yamaha Corp 自動伴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GB0426736D0 (en) * 2004-12-06 2005-01-12 Omnifone Ltd MyFone
US8370216B2 (en) * 2005-03-04 2013-02-05 Amazon Technologies, Inc. Personalized preloading of digital content
JP2006252734A (ja) * 2005-03-14 2006-09-2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転送方法
US7686215B2 (en) * 2005-05-21 2010-03-30 Apple Inc. Techniques and systems for supporting podcasting
JP4835053B2 (ja) * 2005-07-05 2011-12-14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
JP2007018199A (ja) * 2005-07-07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サブ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を利用したサブコンテンツ配信方法
JP4508028B2 (ja) * 2005-08-01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80147557A1 (en) * 2005-10-03 2008-06-19 Sheehy Dennis G Display based purchase opportunity originating from in-store identification of sound recordings
JP5066963B2 (ja) * 2007-03-22 2012-11-07 ヤマハ株式会社 データベース構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74777A1 (en) 2010-07-08
EP1762974B1 (en) 2016-01-13
US7685225B2 (en) 2010-03-23
EP1762974A3 (en) 2010-06-02
US20070012163A1 (en) 2007-01-18
JP4273424B2 (ja) 2009-06-03
CN1892881B (zh) 2010-09-29
CN1892881A (zh) 2007-01-10
EP1762974A2 (en) 2007-03-14
US8463842B2 (en) 2013-06-11
JP2007042253A (ja)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3424B2 (ja) コンテンツ取得装置、コンテンツ取得方法及びコンテンツ取得プログラム
US7547841B2 (en) Music composition instruction system
CN103957184A (zh) 内容再现系统、内容再现装置、内容提供装置和方法
US7601905B2 (en) Electronic musical apparatus for reproducing received music content
JP5000093B2 (ja) データ処理方法、携帯型再生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
JP2002230315A (ja) データ再生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8186512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2007225740A (ja) 携帯情報端末及び選曲装置
JP6094610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5176708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2006259089A (ja) 楽曲再生装置、サーバおよび楽曲配信システム
JP2007263994A (ja) カラオケ再生装置
JP4538723B2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プログラム
JP4186760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4302136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レイリストのリンク方法
JP5418647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5700103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システム
KR101386753B1 (ko) 음원을 재생하는 재생 단말기 및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
JP2005258010A (ja) カラオケシステムおよびカラオケ用リモコン装置
JP2009134786A (ja) 音声再生装置、音声再生制御装置、音声再生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7317257A (ja) コンテンツ取得装置及び方法、コンテンツ供給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038603A (ja) 再生装置、再生システム、及び再生プログラム
JP2008310369A (ja) コンテンツ情報転送装置、コンテンツ情報再生装置、コンテンツ情報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情報転送方法
JP2007071767A (ja) 車載用コンテンツ検索装置
JP2010257533A (ja) データ再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