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1077A - 아크릴계 수축 섬유 - Google Patents

아크릴계 수축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1077A
KR20070001077A KR1020067011602A KR20067011602A KR20070001077A KR 20070001077 A KR20070001077 A KR 20070001077A KR 1020067011602 A KR1020067011602 A KR 1020067011602A KR 20067011602 A KR20067011602 A KR 20067011602A KR 20070001077 A KR20070001077 A KR 20070001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mer
dyeing
acrylic
preparation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헤이 가와무라
소헤이 니시다
미노루 구로다
도시아키 에비스
마사히코 미호이치
Original Assignee
카네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네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카네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01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07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5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mers of unsaturated nitril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02Preparation of spinning solu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6Washing or dry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4Pig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2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3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rising unsaturated nitriles as the major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2After-treatmen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저온에서 염색 가능하고, 염색 후에 있어서도 고수축률을 갖는 아크릴계 수축 섬유를 얻는다. 아크릴로니트릴 80 ∼ 97 중량%,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0 ∼ 2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3 ∼ 20 중량% 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A) 50 ∼ 99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0 ∼ 89 중량%,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1 ∼ 4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10 ∼ 99 중량% 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B) 1 ∼ 5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이 중합체 (A) 와 이 중합체 (B) 의 합계량이 100 중량부인 염색 가능한 아크릴계 수축 섬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아크릴계 수축 섬유{ACRYLIC SHRINKABLE FIBER}
본 발명은 저온에서 염색 가능한 아크릴계 수축 섬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아크릴계 섬유는 동물의 모(毛)와 유사한 질감을 갖고, 그 특징으로부터 완구, 의료 등의 입모 상품에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입모감, 천연풍의 외관을 갖게 하기 위해, 외관상 다운헤어부를 수축 섬유, 가드헤어부를 비(非)수축 섬유로 구성하는 예가 많다.
파일 포백(布帛)에는, 외관 특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수축 섬유에도 다양한 색상이 요구되지만, 수축 섬유는 방사 공정에서 착색하여 제조되는 한정된 색상인 것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아크릴로니트릴 80 중량% 이상과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0.5 ∼ 5 중량% 및 비닐계 모노머 5 ∼ 15 중량% 의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습식 방사시, 방사 연신 4 ∼ 10 배의 후건조시에 30% 이상 수축시키고, 다시 1.2 ∼ 2.0 배 건열 연신하는 것 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19114호), 또한 아크릴로니트릴 90 ∼ 95 중량%, 술폰산 함유 비닐 모노머 0 ∼ 0.5 중량% 및 다른 비닐 모노머 10 ∼ 4.5 중량% 의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2 ∼ 6 배 방사 연신하여 건조시킨 후, 가압 수증기 중에서 30% 이상 완화시키고, 다시 1.6 ∼ 2.2 배 건열 연신 하는 것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68623호) 등에 의해 고수축의 아크릴계 합성 섬유가 얻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의 지견으로는, 이들의 수축 섬유는 80℃ 이상의 염색에서는 염색시에 수축되어 버리고, 파일 가공시의 파일 이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건조시킴과 함께 수축률 차에 의한 단차를 발현시키는 텐터 공정의 열에서는 수축 불충분해지고, 단차가 발현되지 않는다. 또한, 80℃ 미만의 염색에서는 충분한 염색성이 얻어지지 않고, 따라서, 염색성과 염색 후의 수축을 양립할 수 있는 조건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었다.
또한, 추가로, 섬도가 0.01 ∼ 0.5dtex 의 극세 아크릴 섬유에 있어서, p-스티렌술폰산 (Na) 또는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Na) 및 메타릴옥시벤젠술폰산 (Na) 등의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를 0.4 ∼ 1.4 몰% 공중합함으로써 저온에서의 염색성이 개량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32583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325834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325835호). 그러나, 이들의 방법으로는 섬도가 굵은 경우에는 충분한 저온 염색성을 얻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들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어 있지 않고, 염색 후에 있어서도 고수축률을 갖는 염색 가능한 아크릴계 수축 섬유는 아직 얻어지고 있지 않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고, 저온에서 염색 가능하고, 염색 후에 있어서도 고수축률을 갖는 아크릴계 수축 섬유를 얻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토한 결과, 2 종의 아크릴계 중합체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원액을 방사함으로써 저온에서 염색할 수 있고, 염색 후 고수축률을 갖는 아크릴계 수축 섬유를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 80 ∼ 97 중량%,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0 ∼ 2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3 ∼ 20 중량% 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A) 50 ∼ 99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0 ∼ 89 중량%,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1 ∼ 4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10 ∼ 99 중량% 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B) 1 ∼ 5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이 중합체 (A) 와 이 중합체 (B) 의 합계량이 100 중량부인 염색 가능한 아크릴계 수축 섬유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 (A) 및 중합체 (B) 에 있어서의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의 합계 함유량이 중합체 (A) 및 중합체 (B) 의 모노머 합계량의 0.1 ∼ 1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 80 ∼ 97 중량% 를 포함하는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80℃ 미만의 염색에 있어서의 상대 포화값이 0.2 이상인 아크릴계 수축 섬유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아크릴계 수축 섬유는 80℃ 미만에서 염색한 후, 130℃, 5 분간의 건열 처리에 의한 수축률이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 80 ∼ 97 중량%,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0 ∼ 2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3 ∼ 20 중량% 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A) 50 ∼ 99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0 ∼ 89 중량%,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1 ∼ 4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10 ∼ 99 중량% 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B) 1 ∼ 5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이 중합체 (A) 와 이 중합체 (B) 의 합계량이 100 중량부인 염색 가능한 아크릴계 수축 섬유이다.
중합체 (A) 에 있어서 아크릴로니트릴의 함유량은 80 ∼ 97 중량% 이고, 85 ∼ 95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로니트릴의 함유량이 80 중량% 미만에서는 얻어지는 섬유의 내열성이 낮아지고, 97 중량% 를 초과하면 내열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충분한 염색성, 수축률이 얻어지지 않는다.
중합체 (A) 에 있어서의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알릴술폰산, 메타릴술폰산, 스티렌술폰산, 비닐술폰산, 이소프렌술폰산,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또는 이들의 금속염류 및 아민염류 등이 바람직하고,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체 (A) 에 있어서의 술폰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얻어진 섬유에 보이드가 발생하기 쉽다는 관점으로부터, 0 ∼ 2 중량% 가 바람직하고, 0.5 ∼ 1.5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체 (A) 에 있어서의 그 밖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및 그들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 N- 또는 N,N-알킬 치환된 아미노알킬에스테르 또는 글리시딜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및 그들의 N- 또는 N,N-알킬 치환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이타콘산 등으로 대표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비닐 단량체 및 그들의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염 등의 음이온성 비닐 단량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4 급화 아미노알킬에스테르를 비롯한 양이온성 비닐 단량체, 또는 비닐기 함유 저급 알킬에테르, 아세트산비닐로 대표되는 비닐기 함유 저급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염화 비닐, 염화 비닐리덴, 브롬화 비닐, 브롬화 비닐리덴 등으로 대표되는 할로겐화 비닐 및 할로겐화 비닐리덴류, 나아가서는 스티렌 등이 바람직하고, 이들의 모노머를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체 (A) 에 있어서의 그 밖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함유량은 3 ∼ 20 중량% 이고, 5 ∼ 15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20 중량% 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섬유의 내열성이 낮아지고, 3 중량% 미만에서는 수축률이 얻어지지 않는다.
중합체 (B) 에 있어서의 아크릴로니트릴의 함유량은 0 ∼ 89 중량% 이고, 5 ∼ 70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89 중량% 를 초과하면, 내열성이 높아져 충분한 염색성, 수축률이 얻어지지 않는다.
중합체 (B) 에 있어서의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중합체 (A) 에 있어서의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로서 상기한 화합물이 사용된다. 중합체 (B) 에 있어서의 술폰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1 ∼ 40 중량% 이고, 2 ∼ 30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40 중량% 를 초과하면 섬유에 보이드 또는 교착이 발생하고, 강도의 저하 또는 염색시의 용출이 일어나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1 중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염색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
중합체 (B) 에 있어서의 그 밖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는, 중합체 (A) 에 있어서의 그 밖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 상기한 화합물이 사용된다. 중합체 (B) 에 있어서의 그 밖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함유량은 10 ∼ 99 중량% 이고, 20 ∼ 80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10 중량% 미만에서는 내열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충분한 염색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수축 섬유는 중합체 (A) 50 ∼ 99 중량부 및 중합체 (B) 1 ∼ 5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중합체 (A) 70 ∼ 95 중량부 및 중합체 (B) 5 ∼ 30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중합체 (A) 및 중합체 (B) 는 합계 100 중량부로 되도록 배합한다. 중합체 (B) 가 1 중량부 미만에서는 충분한 염색성이 얻어지지 않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섬유에 보이드 또는 교착이 발생하고, 강도가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수축 섬유에 있어서는, 중합체 (A) 및 중합체 (B) 에 있어서의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의 합계 함유량이 중합체 (A) 및 중합체 (B) 의 모노머 합계량의 0.1 ∼ 1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 5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1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염색성이 얻어지지 않고, 10 중량% 를 넘으면, 섬유에 보이드 또는 교착이 발생하고, 강도가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체 (A) 및 중합체 (B) 는 중합 개시제로서 이미 알려져 있는 화합물, 예를 들어 퍼옥시드계 화합물, 아조계 화합물, 또는 각종 레독스계 화합물을 사용하고, 유화 중합, 현탁 중합, 용액 중합 등 일반적인 비닐 중합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중합체 (A) 및 중합체 (B) 는 유기 용제,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사이드 또는 무기 용제, 예를 들어 염화 아연, 질산, 로단염 등에 용해시켜 방사 원액으로 할 수 있다. 이 방사 원액에 산화 티탄 또는 착색용 안료와 같은 무기 및 / 또는 유기의 안료, 방식(anti-corrosion), 착색 방사, 내후성 등에 효과가 있는 안정제 등을 방사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아크릴계 수축 섬유는 저온에서 염색 가능하다. 염색 온도는 50 ∼ 90℃ 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 8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염색 온도가 50℃ 미만이면 충분히 염색할 수 없고, 90℃ 를 초과하면 염색시에 섬유의 수축이 일어나, 염색 후, 건열 처리에 의한 충분한 수축률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대 포화값이란, 섬유의 염색 능력의 지표로 섬유를 임의의 온도에서 60 분간, 임의의 과포화 농도의 Malachite Green 을 이용하여 욕비 1 : 200 (= 섬유 중량 : 염액 중량) 으로 염색하여, 포화 염착량을 구하고, 포화 염착량으로부터 상대 포화값이 구해진다. 포화 염착량, 상대 포화값은 하기의 식 (1) 및 (2) 로부터 구하였다.
(포화 염착량) = ((Ao-A)/Ao)×X) (1)
A : 염색 후 잔염욕의 흡광도 (파장 : 618㎚)
Ao : 염색 전 염욕의 흡광도 (파장 : 618㎚)
X : Malachite Green 의 과포화 농도(% omf)
(상대 포화값) = (포화 염착량)×400/463 (2)
본 발명의 아크릴계 수축 섬유는 상대 포화값이 0.2 이상에서 담색의 염색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80℃ 미만의 염색에 있어서의 상대 포화값이 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대 포화값이 0.8 이상에서 담색으로부터 농색, 나아가서는 흑색까지 염색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상대 포화값는 0.8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염색 견뢰성, 발색성 및 경제성 면에서 양이온 염료를 이용하여 염색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 염료로서는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치바·스페셜티·케미컬스 (주) 제조의 Maxilon 시리즈 또는 호도가야 (주) 제조의 Cathilon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양이온 염료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염색 온도 범위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수축 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3.0 중량부가 현실성도 포함하여 바람직하다. 염색 촉염제는 특별히 필요하지 않지만, 종래 공지된 염색 촉염제를 공지 기술예에 따라 사용해도 된다. 염색기에 대해서도 종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수축 섬유는 염색 공정을 거친 후, 파일 가공에 있어서의 텐터 공정에서 건열 처리되어 수축된다. 이 때의 섬유의 수축률은 하기 식 (3) 에 의해 구해진다.
염색 후 수축률(%)= ((Ldo-Ld)/Ldo)×100 (3)
Ld : 건열 처리 후의 섬유의 길이
Ldo : 염색 후 (건열 처리 전) 의 섬유의 길이
또한, 텐터 공정은 건열 130℃ 전후이기 때문에, 수축률은 균열 오븐을 사용하여 130℃ 에서 5 분간 건열 처리하여 측정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수축 섬유의 130℃, 5 분간의 건열 처리에 의한 수축률은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축률이 20% 미만이 되면 파일 포백으로 가공했을 때, 비수축 원면(原綿)과의 단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단차가 강조되지 않고, 천연조 또는 의장성이 있는 외관 특성을 갖는 파일 포백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수축 섬유는 통상적인 방법의 습식 또는 건식의 방사법으로 노즐로부터 방출하여, 연신, 건조를 실시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추가로 연신, 열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얻어진 섬유를 70 ∼ 140℃ 에서 1.3 ∼ 4.0 배로 연신하여 수축 섬유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수축 섬유는 저온에서 염색 가능하고, 염색 후에 있어서도 고수축률을 갖는다. 따라서, 의료, 완구 (봉제 완구 등) 및 인테리어용 등 광범위하게 색상이 다양한 새로운 상품 기획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전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의 「부」 및 「%」 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각각 중량부 및 중량% 를 의미한다.
제조예 1
내용적 20L 의 내압 중합 반응 장치에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233 부, 아크릴로니트릴 (AN) 90 부, 아크릴산메틸 (MA) 9.5 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 술폰산나트륨 (이하 SAM 이라고 기재) 0.5 부를 투입하고, 질소 치환하였다. 중합기 내 온도를 65℃ 로 조정하고,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AIVN) 0.5 부를 투입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도중, AIVN 1.0 부를 추가하면서 2 시간 중합하고, 그 후 70℃ 로 승온시키고 10 시간 중합시켜 중합체 (A) (AN/MA/SAM=90/9.5/0.5 (중량비)) 의 30%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내용적 5L 의 내압 중합 반응 장치에 DMF 233 부, AN 40 부, MA 50 부, SAM 10 부를 투입하고, 질소 치환하였다. 중합기 내 온도를 65℃ 로 조정하고, 개시제로서 AIVN 0.5 부를 투입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도중, AIVN 1.0 부를 추가하면서 2 시간 중합하고, 그 후 70℃ 로 승온시키고 2 시간 중합시켜 중합체 (B) (AN/MA/SAM=40/50/10) 의 농도 30% 용액을 얻었다.
중합체의 중량비가 중합체 (A) : 중합체 (B) = 90 : 10 의 비율로 되도록 혼합한 용액을 방사 원액으로 하고, 방사 원액을 0.08㎜φ, 8500 구멍의 구금을 통과시켜 20℃, 50% 의 DMF 수용액 중에 토출시키고, 용제 농도의 순서대로 저하되는 5 개의 세정 연신욕을 통과시켜 2.1 배로 연신한 후 70℃ 에서 수세하였다. 그 후, 얻어진 섬유에 유제를 부여한 후 120℃ 의 분위기 하에서 건조시키고, 열 롤러를 이용하여 120℃ 의 건열 분위기 하에서 1.7 배의 연신 처리를 실시하여 4.4 dtex 의 연신사 (수축 섬유) 를 얻었다.
제조예 2 ∼ 18
표 1 에 나타내는 중합체 (A) 의 조성, 중합체 (B) 의 조성, 및 양자의 혼합비의 방사 원액을 제조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하여 방사를 실시하고, 연 신사를 얻었다.
제조예 중합체 (A) 의 조성 (중량비) 중합체 (B) 의 조성 (중량비) 중합체 (A) 및 (B) 의 혼합비 (중량비) 중합체 전체의 SAM 율 (중량%)
AN MA SAM AN MA SAM (A) (B)
제조예 1 90 9.5 0.5 40 50 10 90 10 1.45
제조예 2 90 9.5 0.5 40 59 1 60 40 0.70
제조예 3 90 9.5 0.5 40 58 2 70 30 0.95
제조예 4 90 9.5 0.5 40 30 30 96 4 1.68
제조예 5 90 9.5 0.5 40 30 30 98 2 1.09
제조예 6 90 9.5 0.5 40 55 5 80 20 1.40
제조예 7 90 9.5 0.5 0 90 10 90 10 1.45
제조예 8 90 9.5 0.5 80 10 10 90 10 1.45
제조예 9 90 9.5 0.5 - - - 100 0 0.50
제조예 10 90 9.5 0.5 40 60 - 50 50 0.50
제조예 11 90 10 - 40 50 10 90 10 1.00
제조예 12 90 10 - - - - 100 0 0.00
제조예 13 90 9 1 40 50 10 90 10 1.90
제조예 14 90 9 1 - - - 100 0 1.00
제조예 15 80 19.5 0.5 40 50 10 90 10 1.45
제조예 16 80 19.5 0.5 - - - 100 0 0.50
제조예 17 95 4.5 0.5 40 50 10 90 10 1.45
제조예 18 95 4.5 0.5 - - - 100 0 0.50
실시예 1 ∼ 12 및 비교예 1 ∼ 14
2.5% omf 의 Malachite Green 염욕 200cc 에 대해 아세트산과 아세트산나트륨을 각각 0.05g/L, 0.02g/L 가 되도록 첨가하고, pH 를 3 ∼ 4 로 조정하였다. 제조예 1 ∼ 18 에서 얻어진 수축 섬유 1g 을, 이 염욕에 의해 각각 표 2 에 기재된 온도에서 60 분간 염색하고, 그 때의 상대 포화값, 염색 후 수축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제조예 1 70 0.8 23
2 제조예 2 70 0.2 21
3 제조예 3 70 1.0 20
4 제조예 4 70 0.6 23
5 제조예 5 70 1.2 23
6 제조예 6 70 0.7 23
7 제조예 7 70 0.9 23
8 제조예 8 70 0.7 22
9 제조예 11 70 0.7 21
10 제조예 13 70 1.0 21
11 제조예 15 70 0.9 22
12 제조예 17 70 0.8 22
비교예 1 제조예 9 70 0.0 25
2 제조예 9 80 0.2 10
3 제조예 9 90 0.4 1
4 제조예 10 60 0.0 15
5 제조예 10 70 0.1 12
6 제조예 10 80 0.3 5
7 제조예 12 70 0.0 25
8 제조예 12 80 0.1 10
9 제조예 14 70 0.0 24
10 제조예 14 80 0.4 10
11 제조예 16 70 0.0 22
12 제조예 16 80 0.2 10
13 제조예 18 70 0.0 22
14 제조예 18 80 0.1 10
실시예 1 ∼ 12 에서는 모든 섬유가 충분한 염색 성능과 염색 후 수축률을 나타냈다. 한편, 비교예 1 ∼ 14 에서는 염색성과 염색 후 수축성의 양방을 만족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 비교예 7 ∼ 14 에서는 중합체 (A) 에 있어서의 SAM 또는 AN 의 비율이 변화되어도 경향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수축 섬유는 저온에서 염색 가능하고, 염색 후에 있어서도 고수축률을 갖는다. 따라서, 의료, 완구 (봉제 완구 등) 및 인테리어용 등 광범위하게 새로운 상품 기획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Claims (4)

  1. 아크릴로니트릴 80 ∼ 97 중량%,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0 ∼ 2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3 ∼ 20 중량% 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A) 50 ∼ 99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0 ∼ 89 중량%,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1 ∼ 4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10 ∼ 99 중량% 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B) 1 ∼ 5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이 중합체 (A) 와 이 중합체 (B) 의 합계량이 100 중량부인 염색 가능한 아크릴계 수축 섬유.
  2.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A) 및 중합체 (B) 에 있어서의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의 합계 함유량이 중합체 (A) 및 중합체 (B) 의 모노머 합계량의 0.1 ∼ 10 중량% 인 아크릴계 수축 섬유.
  3. 아크릴로니트릴 80 ∼ 97 중량% 를 함유하는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80℃ 미만의 염색에 있어서의 상대 포화값이 0.2 이상인 아크릴계 수축 섬유.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80℃ 미만에서 염색 후, 130℃, 5 분간의 건열 처리에 의한 수축률이 20% 이상인 아크릴계 수축 섬유.
KR1020067011602A 2003-12-26 2004-12-24 아크릴계 수축 섬유 KR200700010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35464 2003-12-26
JPJP-P-2003-00435464 2003-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077A true KR20070001077A (ko) 2007-01-03

Family

ID=3473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602A KR20070001077A (ko) 2003-12-26 2004-12-24 아크릴계 수축 섬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55901A1 (ko)
EP (1) EP1698719A4 (ko)
JP (1) JP4533319B2 (ko)
KR (1) KR20070001077A (ko)
CN (1) CN100415961C (ko)
WO (1) WO2005064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8554C (zh) * 2000-07-28 2005-02-09 钟渊化学工业株式会社 外观特性优异的丙烯基系纤维及绒头布帛
KR100549657B1 (ko) * 2001-07-05 2006-02-08 카네카 코포레이션 동물모와 유사한 외관을 갖는 파일 패브릭
JP4545094B2 (ja) * 2003-12-26 2010-09-15 株式会社カネカ 段差パイル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0500958C (zh) * 2004-07-16 2009-06-17 钟渊化学工业株式会社 丙烯酸系收缩纤维及其制造方法
US20070298210A1 (en) * 2004-11-12 2007-12-27 Kohei Kawamura Pile Fabric With Height Differe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007909A (ja) * 2006-06-30 2008-01-17 Kaneka Corp アクリル系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01900A (de) * 1963-06-11 1965-07-30 Geigy Ag J R Verfahren zur Erzeugung von Färbungen auf Textilmaterial aus polymerem oder copolymerem Acrylnitril mit basischen Farbstoffen
DE1595589A1 (de) * 1966-02-02 1970-04-30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crylnitrilmischpolymeren
US3945793A (en) * 1969-10-25 1976-03-23 Ciba-Geigy Ag Process for the colouration of acid-modified synthetic textile fibers and acrylic fibers
US3963790A (en) * 1972-08-09 1976-06-15 Rhone-Poulenc-Textile Non-inflammable filaments comprising acrylonitrile/vinylidene chloride copolymers
DE2554124C3 (de) * 1975-12-02 1986-07-10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ydrophilen Fasern und Fäden aus Acrylnitrilpolymerisaten
GB1549924A (en) * 1976-11-03 1979-08-08 Snia Viscosa Polymer blends for making modacrylic fibres
US4524105A (en) * 1977-11-17 1985-06-18 American Cyanamid Company Melt-spun acrylonitrile polymer fiber of improved properties
DE2922667A1 (de) * 1979-06-02 1980-12-11 Hoechst Ag Faeden und fasern aus acrylnitril- copolymer-mischungen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4294884A (en) * 1980-06-06 1981-10-13 Monsanto Company Acrylic fiber having improved basic dyeabilit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S57121610A (en) * 1981-01-19 1982-07-29 Mitsubishi Rayon Co Ltd Pilling-resistant acrylic synthetic fiber and its production
JPS6342911A (ja) * 1986-08-07 1988-02-24 Kanebo Ltd 異形断面モダクリル繊維の製造法
JP2566890B2 (ja) * 1987-08-17 1996-12-25 鐘紡株式会社 難燃アクリル系高収縮繊維
JP2566891B2 (ja) * 1987-08-24 1996-12-25 鐘紡株式会社 難燃アクリル系高収縮繊維
US5130195A (en) * 1990-12-11 1992-07-14 American Cyanamid Company Reversible crimp bicomponent acrylic fibers
JPH06158422A (ja) * 1992-11-06 1994-06-07 Kanebo Ltd 難燃アクリル系高収縮繊維
US5458968A (en) * 1994-01-26 1995-10-17 Monsanto Company Fiber bundles including reversible crimp filaments having improved dyeability
JP3372100B2 (ja) * 1994-01-27 2003-01-27 日本エクスラン工業株式会社 改良されたアクリル系複合繊維
JP2001303364A (ja) * 2000-04-24 2001-10-3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白度と染色性に優れたアクリル系合成繊維
DE10027338A1 (de) * 2000-06-02 2001-12-06 Dystar Textilfarben Gmbh & Co Verfahren zum Färben von Acrylfas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98719A1 (en) 2006-09-06
CN1890411A (zh) 2007-01-03
EP1698719A4 (en) 2008-03-19
WO2005064051A1 (ja) 2005-07-14
JPWO2005064051A1 (ja) 2007-07-19
US20070155901A1 (en) 2007-07-05
CN100415961C (zh) 2008-09-03
JP4533319B2 (ja)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809B1 (ko) 아크릴계 수축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JP4713481B2 (ja) アクリル系収縮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01077A (ko) 아크릴계 수축 섬유
JP4979175B2 (ja) 人工毛髪繊維の製造方法
EP1698721A1 (en) Step pile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4745194B2 (ja) アクリル系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13877A (ja) 染色性に優れたアクリル系合成繊維
KR101320184B1 (ko) 아크릴계 수축성 섬유
JPH08269814A (ja) 耐候性に優れた難燃アクリル系合成繊維
JP3461966B2 (ja) 耐光性に優れた難燃アクリル系合成繊維
JP2008007909A (ja) アクリル系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40058B2 (ja) パイル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JP3452691B2 (ja) 耐候性に優れた難燃アクリル系合成繊維
JP2009228188A (ja) アクリル系染色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09440A (ja) パイル用原綿
JPH04370220A (ja) 消臭性繊維
JP2008038286A (ja) アクリル系収縮繊維
JP2007327157A (ja) パイル部の色調変化を有するパイル布帛
WO2007060946A1 (ja) アクリル系収縮繊維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