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957A - 터널 추진기의 분해/조립을 위한 방법 및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터널 추진기의 분해/조립을 위한 방법 및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957A
KR20060135957A KR1020067024133A KR20067024133A KR20060135957A KR 20060135957 A KR20060135957 A KR 20060135957A KR 1020067024133 A KR1020067024133 A KR 1020067024133A KR 20067024133 A KR20067024133 A KR 20067024133A KR 20060135957 A KR20060135957 A KR 20060135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auxiliary device
propeller unit
assembly
dis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8392B1 (ko
Inventor
라르스-괴란 앤더슨
Original Assignee
롤스 로이스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스 로이스 아베 filed Critical 롤스 로이스 아베
Publication of KR20060135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5/00Dismantling or scrapping vessels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4) 내에서 분해/조립하는 동안 터널(4)을 통하여 운반되는 추진기 유닛(2) 및 추진기 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보조 장치(1)를 이용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 및/또는 조립 방법으로서, 보조 장치(1)가, 주로 압축력에 의해, 분해/조립하는 동안 이동을 제어하도록, 보조 장치(1)가 최종 분해/조립 전에 추진기 유닛(2)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된다.

Description

터널 추진기의 분해/조립을 위한 방법 및 보조 장치 {METHOD AND AUXILIARY DEVICE FOR DISASSEMBLY/ASSEMBLY OF A TUNNEL THRUSTER}
본 발명은 터널 추진기 유닛이 터널을 통하여 끌려 간 후, 터널 내부에서 분해/조립 동안 추진기 유닛 및 이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보조 장치의 이용에 의해 터널 추진기 유닛(tunnel thruster unit)을 분해 및/또는 조립하는 보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널 추진기(tunnel thruster)는 선박 또는 플랫폼을 조타하기 위한 측방 추력을 달성하기 위하여 터널 내에 장착된 프로펠러 유닛이다. 편의를 위해, 용어 "추진기 유닛"은 아래에서 이 같은 터널 추진기를 위한 실제 프로펠러 유닛을 지칭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터널 추진기를 분해 또는 조립할 때 몇몇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하나의 문제점은 터널에 의해 한정되는 제한 공간이며 이는 분해/조립을 어렵게 한다. 하나의 이러한 난점은 분해/조립 동안 프로펠러 단부와 터널 벽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추진기 유닛에서의 프로펠러가 손상되기 쉽다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미국 특허 제 4,036,163호 및 미국 특허 제 4,696,650호에 따른, 종래 기술은 터널을 통하여 운반되기 전에 추진기 유닛을 낮추기 위해 와이어/케이 블을 이용한다. 기사가 그 안에서 작업하기 위해 터널에 의해 제공되는 제한된 공간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적절하게 제어되는 안내를 달성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난점은 터널 내에서의 부착 지점을 넘어 돌출하는 추진기 유닛의 구동 샤프트에 의해 발생하며, 그 결과 스터스터 유닛의 높이는 프로펠러 및 터널의 직경 보다 상당히 더 크게 된다. 이는, 유용한 추진기 성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로펠러 직경에 가능한 근접한 터널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추진기 유닛이 터널로 및 터널로부터 운반되기 위해 경사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추진기 유닛은 분해와 관련하여 낮추어져 경사져야 하며, 조립과 관련하여 반대가 되어야 하며, 이는 물론 일부 시점에서 분해/조립 동안 프로펠러 팁과 터널 표면 사이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적절한 정밀도로 안내되지 않을 수 있는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추진기 유닛은, 이 단계에서 프로펠러 팁과 터널 표면 사이의 접촉을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서도, 터널로부터 운반되는 동안 정밀하게 안내되는 데 난점이 있다. 상술된 단점은, 수중 조립은 안내 및 제어의 관점에서의 방법에 대한 부가 단점을 형성하기 때문에, 오늘날 이 같은 수면 아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회피되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날, 따라서 이러한 작업은 드라이 도크(dry dock) 내에서 수행되며 이는 선박의 수리시간 비용을 포함하여, 매우 종종 하루 당 200,000 유로(Euro) 이상의 매우 많은 비용이 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하나 이상의 문제점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터널 내에서 분해/조립하는 동안 터널을 통하여 운반되는 추진기 유닛 및 상기 추진기 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보조 장치를 이용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 및/또는 조립 방법으로서, 보조 장치가, 주로 압축력에 의해, 분해/조립하는 동안 이동을 제어하도록, 보조 장치가 최종 분해/조립 전에 상기 추진기 유닛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 및/또는 조립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방법 및 보조 장치에 의해, 조립/분해가 용이하게 될 수 있으며, 추진기 유닛은 분해/조립 동안 완벽한 제어로 안내될 수 있어, 프로펠러 단부 상의 손상이 완전히 회피된다. 추진기 유닛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강성 구조를 이용하는 새로운 접근에 의해, 많은 장점이 달성되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해/조립이 수중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여 상당한 비용/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 상기 보조 장치는 추진기 유닛의 총 중량을 지지하도록 설계되고 또한 분해 장소로부터 및/또는 조립 장치로, 터널 내부로의 운반을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해, 하나 및 동일한 보조 장치가 분해 동안(역으로 조립 동안) 하방으로 추진기 유닛을 안내하고 운반을 위해 터널을 통한 안전한 운반을 달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 상기 추진기 유닛에는 고정을 위해 제 1 경계부가 제공되고 상기 보조 장치에는 제 2 경계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경계부의 이용에 의해, 추진기 유닛으로의 보조 장치의 신속하고 정확한 고정이 달성된다.
- 제 1 경계부는 하방으로 지향되어, 추진기 유닛이 운반 동안 보조 장치의 상부에 지지된다. 이러한 설계에 의해, 컴팩트한 보조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 압축력은 보조 장치와 인접면 사이의 접촉과 관련하여 발생하여, 터널의 하나 이상의 벽 부분에서 형성되는 반대의 힘을 발생시키며 상기 인접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 부분(3)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해, 분해/조립 및/또는 수송과 관련하여 구성되는 부가 설비가 필요하지 않으며, 대신 터널 벽 또는 선택적인 일부 부가 슬라이딩면이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 상기 보조 장치에는 하나 이상의 안내 부재가 제공되며, 안내는 안내 부재 및 인접면 사이의 슬라이딩 및/또는 회전 운동에 의해 발생된다. 이러한 양태는 주로 분해와 관련된 작업 로드의 또 다른 단순화를 의미한다.
- 분해 및/또는 조립이 수중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분해/조립이 수중 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되어, 그 결과 상당한 비용 및 시간 절감이 이루어진다.
- 본 발명은 또한 터널 내부에서 추진기 유닛의 제어된 분해/조립을 하도록 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를 위한 보조 장치로서, 보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만곡 부분으로 형성되는 접촉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강성 구성부를 포함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를 위한 보조 장치에 관련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보조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상당한 장점이 발생한다.
보조 장치의 추가의 양태에 따라:
- 상기 구성부는 또한 운반 부재를 포함한다. 상당한 장점이 달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보조 장치가 안내 및 운반 둘다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운반 부재에 배치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해, 보조 장치가 컴팩트하고 합리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달성된다.
- 상기 운반 부재는 하나 이상의 긴 부재, 바람직하게는 두 개 이상의 긴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양태에 의해, 보조 장치의 유리한 안정성 및 강도가 용이하게 달성된다.
- 보조 장치는 긴 부재의 주 연장부와 예각을 형성하는 평면으로 연장하는 경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가 45°보다 작지만 5°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경계부와 운반 부재 사이의 각도에 의해, 터널 내부의 추진기 유닛의 위치설정이 보조 장치에 대해 한정될 수 있어, 공차를 포함하여 터널 내부에서의 원하는 위치설정이 달성된다.
- 상기 안내 부재는 하나 이상의 만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안내를 위한 만곡면의 이용을 위해, 간단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신뢰성있는 안내 기구가 달성된다.
- 안내면은 긴 유닛의 전방 단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합리적인 제조가 달성된다.
- 상기 운반 부재에는 슬라이딩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마모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라, 보조 장치가 이동하는 터널 내부 및/또는 소정의 다른 위치의 베이스 재료에 특히 부드러운 보조 장치 상의 슬라이딩 부재의 이용을 가능하게 할 때, 동시에 보조 장치를 위한 수리 작업이 용이하고 단순화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바람직한 방법에 따라 최종 분해가 실시되기 전의 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추진기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바람직한 보조 장치가 추진기 유닛에 고정되는, 분해의 초기 단계에 있는 동일한 터널 추진기를 보여주며,
도 3은 추진기 유닛이 부착 지점으로부터 아래 중간에서 분리되는 단계에서의 분리를 보여주며,
도 4는 추진기 유닛이 부착 지점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단계에서의 분리를 보여주며,
도 5는 도 4에 따른 분리된 추진기 유닛을 구비한 터널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보조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보조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보조 장치의 다소 변형된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은 측면도로서, 내부에 터널 추진기(tunnel thruster; 2)로 지칭되는, 프로펠러 유닛이 장착되는 터널(4)의 단면을 보여준다. 추진기 유닛(2)은 기어 장 착부/하우징(22)에 저널링되는 프로펠러(20)를 포함하며, 기어 장착 하우징은 차례로 자체적으로 공지된, 터널(4) 내부의 플랜지(31)를 경유하여 고정된다. 터널(4)은 원통형 벽(3)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며, 이 원통형 벽의 중간 상부에 상기 플랜지(31)가 배치된다.
도 1은 이러한 터널 추진기(2)의 분해의 초기 단계를 보여준다. 모터 샤프트(기어 하우징을 경유하여 프로펠러(20)를 구동하는)는 분리되고, 대신 방수 장착 후드(5)가 (자체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추진기 유닛(2)의 액슬 저널에 조립된다. 이러한 후드(5)와 관련된 새로운 개선책은 하나 이상의 전구(51)가 후드의 상단부 벽에서 투명한 캡들 사이의 영역에 후드(5) 대신 배치되어, 보충 조명에 대한 요구없이, 기사가 유용한 조명으로 용이하게 작업하도록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회중 전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액슬 저널의 단부에서, 터널 추진기 유닛(2)이 낮추어 질 때, 추후 단계에서 이용되도록 의도되는 와이어(7)가 배치된다. 바닥 단부에서 추진기 유닛(2)에는 제 1 경계면을 구성하는 평면(21)이 제공되는 것이 도 1에서 추가로 볼 수 있다. 상기 경계면은 보조 장치(1)의 대응하는 제 2 경계면(17A)과 연결되는 것으로 의도되고 보조 장치는 도 1에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터널 추진기(2)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보조 장치(1)는 긴 런너(elongated runners; 11A, 11B)를 포함하며 이 중 하나가 도 1에 도시된다. 당김 수단(12)은 상기 런너의 전방 부분에 배치된다. 보조 장치(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계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후술된다.
도 2는 터널 추진기(2)의 분해의 다음 단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단계에서, 보조 유닛(1)은 추진기 유닛(2)에 고정된다. 고정은 양 경계면(21, 17A)을 모음으로써 발생하며, 그 후 보조 유닛(1)이 터널 추진기(2)에 형성된 나사형 구멍(도시안됨) 내의 스크류에 의해 고정된다. 보조 유닛(1)이 부착되어 고정될 때, 터널 추진기(2)와 플랜지(31)를 연결하는 모든 부착 볼트는 자체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풀어질 수 있어, 그 후 터널 추진기의 전체 중량이 와이어(7)에 매달린다.
도 3은 분해의 다음 단계를 보여주며, 여기서 와이어(7)(도시안됨)는 소정의 거리로 낮추어 진다. 이제 보조 장치(1)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터널 추진기(2)는 하방 및 대각선방향 전방으로 이동한다. 대각선방향 전방으로의 이동은 터널 추진기(2)의 중력 중심(8)으로부터 발생하며 터널 추진기의 중력 중심은 런너(도 5 참조)의 단부 부분(14A, 14B)과 터널 벽(3) 사이의 접촉 지점(9) 뒤에 위치설정된다. 따라서, 보조 장치(1)는 접촉 지점(9)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토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토크로부터 후속하는 수평 성분은 슬라이딩 운동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는 런너(11A, 11B)의 접촉면(14A, 14B)과 터널 벽(3) 사이의 마찰력 보다 상당히 크다. 이는 터널 추진기(2)와 함께 보조 장치(1)가 터널로부터(도면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의미하며, 그 결과 터널 추진기(2)의 회전 운동이 동시에 발생한다. 접촉 지점(9)이 거의 달성된다는 사실은 터널 추진기(2)의 경계면(21)에 대해 경사 각도(α)에 의해 부착되는 런너(1A, 11B)에 종속하며 경계면은 수평하다. 또한, 분해 동안 작동 안내 부재를 구성하는, 런너의 실제 접촉 부재(14A, 14B)는 만곡면으로서 설계된다. 따라서, 초기에, 접촉 지점(9)은 상기 접촉면(14A, 14B)의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설정되고 분해의 진행 동안, 런너(11A, 11B)의 중앙을 향하여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4는 분해의 후속 단계에서 런너(11A, 11B)가 터널 벽(3)의 바닥에 완전히 놓여지는 것을 도시한다(도 5도 참조). 이러한 단계에서, 터널 추진기(2)의 전체 중량은 이에 따라 보조 장치(1)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터널 추진기(2)의 중력 중심(8)은 런너(11A, 11B)의 후방 엣지의 전방에서 일정한 거리에 위치설정되어, 유닛이 런너 상에 안전하게 놓여지는 것을 보장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터널 추진기(2)가 경사(α)에 의해, 터널(4)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 다른 중요한 양태는 경사(α)에 의해, 터널 추진기(2)가 여전히 개략적으로 중앙에 위치설정되는 프로펠러 중심(CP)을 가진다는 것이며, 이는 그렇지 않으면 프로펠러 단부가 터널 벽(3) 측면에 부딪치게 되는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조립 단계의 터널 단부로부터 도시된 도면을 보여준다. 상부 및 바닥 둘다에서 터널 추진기(2)용 간극이 있으며, 터널 벽(3) 주위의 모든 방향으로 프로펠러 단부(20A)용 간극이 존재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안내면(14A, 14B)이 서로에 대해 경사져서, 터널 벽(3)의 대응하는 표면과 평행하게 적용되어, 안내면이 터널 벽(3)의 대응 부분에 대해 실질적인 접선 측방향을 가진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표면(14A, 14B)의 이러한 경사는 런너(도 7 참조)를 따라 연장하는 전체 바닥면에 대해 동일하며 슬러지(sledge)가 이동할 때 유용하게 안내하여 이동이 매우 정밀하게 이루어져, 프로펠러 및/또는 터널에 대한 손상 위험을 최소화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장치(1)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런너(11A, 11B)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런너는 전방 스트럿(strut; 19) 및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판(17)에 의해 서로 강성으로 연결되는 것이 명백하다. 전방에서, 만곡된 스트럿(12)은 런너(11A, 11B)들 사이에 배치되고 여기에서 스트럿은 일측부로 부터 다른 측부로 아크(arch)를 따라 만곡된다. 이러한 만곡의 목적은 아크 내부에 프로펠러 단부(20A)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지지판(17)에는 사각형 경계면(17A)이 제공되는 것을 보여주며 사각형 경계면은 터널 추진기(2)에 대해 적절하게 위치가 설정되도록 소정의 허용오차를 가지고 제조된다. 이러한 경계면(17A) 내부에, 다수의 장착 구멍(17B)이 터널 추진기(2)에 대한 보조 장치(1)의 고정을 위해 이용하기 위해 배치된다. 또한 보조 장치(1)에는 적절하게 리프팅 아이 볼트(10)가 제공되어 적절하게 보조 장치(1) 및 프로펠러를 터널로 당기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도 7은 측면도로 도 6에 따른 보조 장치(1)를 보여준다. 여기서, 브래킷 부재(16)가 런너들(11A, 11B)과 운반판(17)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 원하는 각도(α)가 이루어지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런너(11A, 11B)는 상부 베이스 부분(15)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베이스 부분에서 하부 슬라이딩 부재(13A, 13B, 14A, 14B)가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슬라이딩 부재는 소정의 적절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로발론(ROBALON)(등록상표)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의 마모 부재일 수 있으며 이는 운송 동안 터널(4) 내부의 표면 상의 부드러운 슬라이딩 이 동을 허용한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보조 장치의 다소 변경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베이스 바디가 사용되며 이 부분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가 이용된다. 또한 도 8에는 런너가 전방 및 후방 양 방향으로 연장되고, 런너가 또한 후방 단부에서 벤딩되는 것을 보여준다. 전방 베이스 부분(15B)은 각각의 런너(11)의 상부 베이스 부분(15)에 배치된다(비록 도 8은 도 7과 같이 좌측 런너 만을 도시하였지만, 양 측부가 정확히 동일한 설계임). 부가 슬라이딩 부재(14B')는 이러한 전방 베이스 부분(15B)의 바닥 측부에 배치되고, 부가 슬라이딩 부재는 슬라이딩 부재(14B)와 연결되어 전방 단부에서 연장된 만곡 하부 런너면을 형성한다. 또한 부가 장치의 후방 단부에, 연장된 베이스 부분(15C)이 있으며 연장된 베이스 부분(15C)은 베이스 바디(15)에 비해 약간 작은 수직 두께부의 재료를 가진다. 후방 베이스 부분 부재(15C)의 바닥에, 슬라이딩 부재(13B', 13B")가 또한 배치되며, 이는 상당히 연장된 슬라이딩면 및 또한 보조 장치의 후방 단부에 만곡된 표면(13B")이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경우 지지면(14A, 14B) 및/또는 런너(11A, 11B)가 측방향으로 U형상일 수 있는 단일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실현된다. 또한 소정의 경우, 가능하게는 두 개 이상의 런너를 이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는 것이 실현된다. 또한 소정의 경우, 보조 장치가 분해 동안 안내 중에 총 하중을 지지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운반 전에(또는 바람직하게는 터널 추진기(2)가 와이 어(7)로부터 분리되는 보조 유닛/운반 유닛 상에 완전히 놓이기 전에), 개별 지지 장치에 의해 보조될 수 있는 적은 강도의 안내 유닛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실현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조립이 수중에 배치되는 것이 유용한 경우 조차, 소정의 상황에서 본 방법 및 보조 장치가 건조 또는 반건조 상태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실현된다. 또한 때때로 방향들 중 하나의 방향으로만, 즉 분해 또는 조립을 위해,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실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만곡된 부분"은 그렇지 않은 경우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는 날카로운 에지를 제거하는 다양한 형상을 의미하며, 또한 등가의 장치가 슬라이딩을 달성하도록, 보조 장치(1)와 터널 벽 사이의 접촉 지점/표면을 형성하는 것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문제가 없는 만곡된 스트럿(12)은 직선형 스트럿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실현될 수 있으며 이 직선형 스트럿은 종래의 크로스 바아이며 프로펠러 단부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적절한 거리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술자는 터널(또는 슬러지가 운반/이동되는 일부 다른 표면)에 대한 접촉 부재로서 슬라이딩 부재를 가지는 대신, 슬러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휠, 로울, 무한궤도식 트랙 또는 유사한 부재가 환경에 따라 유사하지만 적응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지만, 적절한 폴리머 재료의 슬라이딩 부재가 많은 장점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Claims (15)

  1. 터널(4) 내에서 분해/조립하는 동안 상기 터널(4)을 통하여 운반되는 추진기 유닛(2) 및 상기 추진기 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보조 장치(1)를 이용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 및/또는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1)가, 주로 압축력에 의해, 분해/조립하는 동안 상기 이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보조 장치(1)가 최종 분해/조립 전에 상기 추진기 유닛(2)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 및/또는 조립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1)는 상기 추진기 유닛의 총 중량을 지지하도록 설계되고 또한 분해 장소로부터 및/또는 조립 장치로, 상기 터널(4) 내부로의 운반을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 및/또는 조립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 유닛(2)에는 상기 고정을 위해 제 1 경계부(21)가 제공되고 상기 보조 장치(1)에는 제 2 경계부(17A)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 및/또는 조립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계부(21)는 하방으로 지향되어, 상기 추진기 유닛(2)이 운반 동안 상기 보조 장치(1)의 상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 및/또는 조립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은 상기 보조 장치(1)와 인접면(3) 사이의 접촉과 관련하여 발생하여, 상기 터널(4)의 하나 이상의 벽 부분(3)에서 형성되는 반대 힘을 발생시키며 상기 인접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 부분(3)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 및/또는 조립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1)에는 하나 이상의 안내 부재(14A, 14B)가 제공되며, 상기 안내는 상기 안내 부재(14A, 14B) 및 상기 인접면(3) 사이의 슬라이딩 및/또는 회전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 및/또는 조립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 및/또는 조립이 수중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 및/또는 조립 방법.
  8. 터널(4) 내부에서 추진기 유닛(2)의 제어된 분해/조립을 하도록 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2)의 분해를 위한 보조 장치(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만곡 부분으로 형성되는 접촉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부재(14A, 14B)를 구비하는 강성 구성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를 위한 보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부(10)는 또한 운반 부재(11A, 1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를 위한 보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14A, 14B)는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부재(14A, 14B)의 형태로, 상기 운반 부재(11A, 11B)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를 위한 보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부재(11A, 11B)는 하나 이상의 긴 부재(11A, 11B), 바람직하게는 두 개 이상의 긴 부재(11A, 11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를 위한 보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긴 부재(11A, 11B)의 주 연장부와 예각(α)을 형성하는 평면으로 연장하는 경계부(17A)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α가 45°> α >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를 위한 보조 장치.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14A, 14B)는 하나 이상의 만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를 위한 보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14A, 14B)은 상기 긴 유닛(11A, 11B)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를 위한 보조 장치.
  15.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부재(11A, 11B)에는 슬라이딩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마모 부재(13A, 13B)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추진기 유닛의 분해를 위한 보조 장치.
KR1020067024133A 2004-04-19 2005-04-12 터널 추진기의 분해/조립을 위한 방법 및 보조 장치 KR101188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401006A SE527012C2 (sv) 2004-04-19 2004-04-19 Metod respektive hjälpmedel för demontage/montage av tunneltruster
SE0401006-2 2004-04-19
PCT/SE2005/000520 WO2005100151A1 (en) 2004-04-19 2005-04-12 Method and auxiliary device for disassembly/assembly of a tunnel thru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957A true KR20060135957A (ko) 2006-12-29
KR101188392B1 KR101188392B1 (ko) 2012-10-05

Family

ID=32294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133A KR101188392B1 (ko) 2004-04-19 2005-04-12 터널 추진기의 분해/조립을 위한 방법 및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549903B2 (ko)
EP (1) EP1737727B1 (ko)
JP (1) JP4786645B2 (ko)
KR (1) KR101188392B1 (ko)
CN (1) CN100532195C (ko)
AU (1) AU2005233057C1 (ko)
CA (1) CA2562866C (ko)
NO (1) NO337198B1 (ko)
NZ (2) NZ581536A (ko)
SE (1) SE527012C2 (ko)
WO (1) WO20051001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3107C2 (sv) * 2008-04-03 2010-06-29 Rolls Royce Ab Metod och arrangemang för fastsättning och/eller demontage/montage av en tunneltruster
NO335623B1 (no) * 2009-11-25 2015-01-12 Rolls Royce Marine As Skyvekraftenhet og fremgangsmåte for installasjon av en skyvekraftenhet
JP6104404B2 (ja) * 2012-12-14 2017-03-29 ロールス ロイス オイ アーベー 格納可能なスラスタユニットの水中部分の取り外しおよび/または取り付け方法
ITMI20130693A1 (it) * 2013-04-26 2014-10-27 Fincantieri Cantieri Navali It Metodo per la manutenzione di un propulsore retrattile
CN103661801B (zh) * 2013-11-29 2016-03-09 大连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海洋工程水下推进器的安装辅助系统及安装方法
CN105857542B (zh) * 2016-04-05 2018-11-30 周邓 一种高速高效安全保障船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56689A1 (de) * 1968-06-27 1970-07-23 Pleuger Friedrich Wilhelm Manoevrierhilfseinrichtung fuer Schiffe
SE383623B (sv) * 1975-06-06 1976-03-22 Karlstad Mekaniska Ab Anordning for montering och demontering av ett propelleraggregat
JPS6030159Y2 (ja) * 1980-06-27 1985-09-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舶用サイドスラスタ
JPS6012599B2 (ja) * 1980-06-30 1985-04-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固形物の捕集装置
GB8401879D0 (en) * 1984-01-25 1984-02-29 Vickers Plc Vessel
SE8402793L (sv) * 1984-05-23 1985-11-24 Kamewa Ab Anordning for montering och demontering av ett propelleraggregat i en oppning i en botten av ett flytetyg
JPS6129991A (ja) * 1984-07-20 1986-02-12 富士通株式会社 現金取扱装置
JPS6129991U (ja) * 1984-07-28 1986-02-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プロペラ取付装置
JP3059148B1 (ja) * 1998-12-28 2000-07-04 株式会社北村商会 重量部品の着脱装置および着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233057C1 (en) 2011-03-31
CA2562866A1 (en) 2005-10-27
SE0401006L (sv) 2005-10-20
CA2562866C (en) 2012-04-03
JP4786645B2 (ja) 2011-10-05
NO20065331L (no) 2006-11-20
SE527012C2 (sv) 2005-12-06
AU2005233057A1 (en) 2005-10-27
NZ581536A (en) 2011-09-30
US20070289516A1 (en) 2007-12-20
SE0401006D0 (sv) 2004-04-19
KR101188392B1 (ko) 2012-10-05
NO337198B1 (no) 2016-02-08
WO2005100151A1 (en) 2005-10-27
NZ550610A (en) 2010-01-29
EP1737727A1 (en) 2007-01-03
AU2005233057B2 (en) 2010-08-12
US7549903B2 (en) 2009-06-23
JP2007532401A (ja) 2007-11-15
EP1737727B1 (en) 2012-08-15
CN1964887A (zh) 2007-05-16
CN100532195C (zh)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392B1 (ko) 터널 추진기의 분해/조립을 위한 방법 및 보조 장치
US4747457A (en) Platform truck for transporting bulky loads
JPH02280788A (ja) 会場用遊戯施設
CN205443904U (zh) 一种可收放的机械化桥桥脚
US6508436B2 (en) Inflatable airfoils, and elevated and propulsion driven vehicles
WO1997046402A3 (en) Man and wind powered aquatic vehicle
KR101580781B1 (ko) 터널 추진기의 부착 및/또는 분해/조립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6164590A (en) Variable body helicopter with tandem lifting rotors
CA2480234A1 (fr) Procede permettant d'eviter les vibrations d'une gouverne de direction d'un aeronef et aeronef mettant en oeuvre ce procede
US20030127566A1 (en) Inflatable airfoils, and elevated and propulsion driven vehicles
EP2789963B1 (fr) Dispositif de support de tourelleau
US4437500A (en) Tree cutting mechanism in a tree harvester
CN209966561U (zh) 一种手推式台车
CA2217997C (fr) Dispositif pour faciliter le deplacement et le positionnement d'une piece cylindrique allongee
JP5210951B2 (ja) 橋桁送出し方法および橋桁送出し設備
KR870000247Y1 (ko) 선박타 및 프로펠라 착탈용 대차
KR101876475B1 (ko) 수륙양용 보트용 리프트 장치
CN216405409U (zh) 模块化组装的打桩机
CN110882519A (zh) 具有扬升装置的跑步机
JPH10280869A (ja) 曲線部シールド掘進機発進台及び曲線部発進方法
CN2774938Y (zh) 小型游艇舷外机与方向盘操作控制系统一体化结构
JP2019218743A (ja) 歩行型除雪機
US837973A (en) Water-cycle.
CN115973277A (zh) 一种机器人行走底盘装置
JP2020002674A (ja) 歩行型除雪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