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818A - 치환 또는 무치환 아미노기를 도입한 4-피리딜알킬티오기를갖는 신규 고리형 화합물 - Google Patents

치환 또는 무치환 아미노기를 도입한 4-피리딜알킬티오기를갖는 신규 고리형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818A
KR20060135818A KR1020067019034A KR20067019034A KR20060135818A KR 20060135818 A KR20060135818 A KR 20060135818A KR 1020067019034 A KR1020067019034 A KR 1020067019034A KR 20067019034 A KR20067019034 A KR 20067019034A KR 20060135818 A KR20060135818 A KR 20060135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ylmethylthio
pyridine
carboxamid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9840B1 (ko
Inventor
다카히로 혼다
히사시 다지마
겐지 가와시마
가즈요시 오카모토
미노루 야마모토
다카아키 이나바
유리코 다케노
Original Assignee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5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2Nitrogen atoms
    • C07D213/73Unsubstituted amino or imino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2Nitrogen atoms
    • C07D213/74Amino or imino radicals substituted by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2Nitrogen atoms
    • C07D213/75Amino or imino radicals, acylated by carboxylic or carbonic acids, or by sulfur or nitrogen analogues thereof, e.g. carba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1Amides; Imides
    • C07D213/82Amides; Imides in position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으로서 유용한 치환 또는 무치환 아미노기를 도입한 4-피리딜알킬티오기를 갖는 신규 고리형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혈관신생이 관여하는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제공된다. 하기 화학식 I 중, 고리 A는 벤젠 고리, 또는 시클로알칸 고리와 축합하고 있어도 좋은 방향족 복소 5 또는 6원환을, B는 알킬렌기를, R1과 R2는 H, (치환)아릴기, (치환)복소 고리기 등을, R3과 R4는 H, (치환)알킬기, (치환)시클로알킬기, -Z-R5 등을, R5는 (치환)알킬기, (치환)아릴기, (치환)복소 고리기 등을, X와 Y는 H 등을, Z는 -CO-, -COO-, -CONR6-, -SO2- 등을, R6은 H 등을, p는 0, 1 또는 2를, q는 0 또는 1을 각각 나타낸다.
화학식 I

Description

치환 또는 무치환 아미노기를 도입한 4-피리딜알킬티오기를 갖는 신규 고리형 화합물{NOVEL CYCLIC COMPOUND HAVING 4-PYRIDYLALKYLTHIO GROUP HAVING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MINO INTRODUCED THEREIN}
본 발명은 의약으로서 유용한 치환 또는 무치환 아미노기를 도입한 4-피리딜알킬티오기를 갖는 신규 고리형 화합물 또는 그의 염에 관한 것이다. 이들 화합물은 혈관신생이나 혈관투과성의 항진이 관여하는 질환의 치료제, 특히 암, 관절류머티즘, 가령성황반변성, 당뇨병망막증, 미숙아망막증, 망막정맥폐색증, 폴립형 맥락막혈관증, 당뇨병황반부종, 심상성건선, 죽상동맥경화 등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혈관신생이란 기존의 혈관으로부터 새로운 혈관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현상으로서, 주로 세소 혈관에서 관찰된다. 혈관신생은 원래 생리적인 현상으로서, 태생기의 혈관 형성에 있어서 필수이지만, 성인은 통상 자궁내막, 난포 등의 한정된 부위나 창상 치유의 과정 등의 한정된 시기에 밖에 관찰되지 않는다. 그런데, 암, 관절류머티즘, 가령성황반변성, 당뇨병망막증, 미숙아망막증, 망막정맥폐색증, 폴립형 맥락막혈관증, 당뇨병황반부종, 심상성건선, 죽상동맥경화 등의 질환에 있어서 병적인 혈관신생이 관찰되며, 이들 질환의 병태 진전과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다. 혈관신생이나 혈관투과성의 항진은 그 촉진 인자와 억제 인자의 밸런스에 의해 조 절되고 있고, 이들의 밸런스가 무너짐으로써 혈관신생이나 혈관투과성의 항진이 진행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비특허 문헌 1, 비특허 문헌 2 참조).
혈관내피세포 증식인자(이하, 『VEGF』라고 함)는 혈관내피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Flt-1, KDR/Flk-1 등)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유주(遊走), 관강(管腔) 형성에 의한 모세혈관 네트워크의 구축을 촉진하는 인자로서, 혈관신생의 발생이나 혈관투과성의 항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VEGF를 저해하여 혈관신생의 발생이나 혈관투과성의 항진을 제어함으로써, 혈관신생이나 혈관투과성의 항진이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는 시도가 많이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치료에 이용하는 약물로서, 예컨대, 인돌린-2-온 유도체(특허 문헌 1 참조), 프탈라진 유도체(특허 문헌 2 참조), 퀴나졸린 유도체(특허 문헌 3 참조), 안트라닐산 아미드 유도체(특허 문헌 4 참조), 2-아미노니코틴산 유도체(특허 문헌 5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 문헌에는 4-피리딜알킬티오기를 갖는 고리형 화합물에 관한 기재는 행해져 있지 않고, 더구나, 4-피리딜알킬티오기의 피리딘 고리에 치환 또는 무치환 아미노기를 도입한 화합물에 관한 기재는 전혀 행해져 있지 않다.
한편, 치환 또는 무치환 아미노기를 도입한 4-피리딜알킬티오기를 갖는 고리형 화합물에 비교적 가까운 화학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비특허 문헌 3 및 특허 문헌 6에 보고되어 있다. 비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화합물은 3-피리딜알킬티오기를 갖는 안식향산 아미드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서, 그 용도로서 항균 작용을 들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6은 치환 알킬아민 유도체와 그 의약 용도에 관한 것으 로서, 방대한 조합의 화학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고, 그 일례로서 4-피리딜알킬아미노기를 갖는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미노기를 도입한 4-피리딜알킬티오기를 갖는 고리형 화합물에 관한 기재는 전혀 행해져 있지 않다.
비특허 문헌 1 : Molecular Medicine vol. 35 임시 증간호 「증후·병태의 분자 메카니즘」, 나카야마 서점, 73-74(1998)
비특허 문헌 2 : 단백질 핵산 효소 증간 「최선단 창약」, 쿄리쯔 출판, 1182-1187(2000)
비특허 문헌 3 : ∥ Farmaco-Ed. Sc., 18, 288(1963)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WO98/50356호 팜플렛
특허 문헌 2 : 국제 공개 WO98/35958호 팜플렛
특허 문헌 3 : 국제 공개 WO97/30035호 팜플렛
특허 문헌 4 : 국제 공개 WO00/27819호 팜플렛
특허 문헌 5 : 국제 공개 WO01/55114호 팜플렛
특허 문헌 6 : 국제 공개 WO02/066470호 팜플렛
치환 또는 무치환 아미노기를 도입한 4-피리딜알킬티오기를 갖는 신규 고리형 화합물의 합성 연구 및 이들 화합물의 약리 작용을 발견하는 것은 매우 흥미 있는 과제이다.
본 발명자들은 치환 또는 무치환 아미노기를 도입한 4-피리딜알킬티오기를 갖는 신규 고리형 화합물의 합성 연구를 행하여 다수의 신규 화합물을 창제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또한, 이들 화합물의 약리 작용을 여러 가지 연구한 결과, 이들 화합물은 세포증식 억제작용, 종양증식 억제작용, 발 부종 억제작용 및/또는 맥락막 혈관신생 저해효과를 가지며, 혈관신생 및/또는 혈관투과성의 항진이 관여하는 질환의 치료제, 특히 암, 관절류머티즘, 가령성황반변성, 당뇨병망막증, 미숙아망막증, 망막정맥폐색증, 폴립형 맥락막혈관증, 당뇨병황반부종, 심상성건선, 죽상동맥경화 등의 치료제로서 유용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은 의약으로서 유용한 치환 또는 무치환 아미노기를 도입한 4-피리딜알킬티오기를 갖는 신규 고리형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고리형 화합물은 우수한 세포증식 억제작용, 종양증식 억제작용, 발 부종 억제작용 및/또는 맥락막 혈관신생 저해효과를 가지며, 혈관신생 및/또는 혈관투과성의 항진이 관여하는 질환, 예컨대, 암, 관절류머티즘, 가령성황반변성, 당뇨병망막증, 미숙아망막증, 망막정맥폐색증, 폴립형 맥락막혈관증, 당뇨병황반부종, 심상성건선, 죽상동맥경화 등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하, 특기하지 않는 한 『본 발명 화합물』이라 함) 및 본 발명 화합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화합물은 4-피리딜알킬티오기의 피리딘 고리 부분에 치환 또는 무치환 아미노기를 도입한 점에 화학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 화합물의 의약 용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혈관신생 및/또는 혈관투과성의 항진이 관여하는 질환의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암, 관절류머티즘, 가령성황반변성, 당뇨병망막증, 미숙아망막증, 망막정맥폐색증, 폴립형 맥락막혈관증, 당뇨병황반부종, 심상성건선, 죽상동맥경화 등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6066828628-PCT00001
상기 식에서 고리 A는 벤젠 고리, 또는 시클로알칸 고리와 축합하고 있어도 좋은 방향족 복소 5원환 또는 방향족 복소 6원환을 나타내고;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 복소 고리, 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아미노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 아실기를 나타내며;
R1과 R2는 함께 치환 또는 무치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고;
R3 및 R4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 복소 고리, 히드로카르보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카르보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카르보닐기 또는 Z-R5를 나타내며;
R3과 R4는 함께 치환 또는 무치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고;
Z는 CO, CS, COB2O, CSB2O, CONB2R6, CSB2NR6, CONB2R6SO2, CSB2NR6SO2 또는 SO2를 나타내며;
R5는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 복소 고리,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혹은 그 아미드, 히드로카르보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카르보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카르보닐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 복소 고리 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5와 R6은 함께 치환 또는 무치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으며;
R6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기를 나타내고;
X 및 Y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아미노기, 머캅토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 티오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티오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또는 그 아미드,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나타내며;
B1은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B2는 단일결합 또는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p는 0, 1 또는 2를 나타내고;
q는 0 또는 1을 나타낸다. 이하, 동일하다.
상기에서 규정한 각 원자, 고리 또는 기는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서 하기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한다.
『시클로알칸 고리』란 탄소 원자수 3∼8개의 시클로알칸 고리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시클로프로판 고리, 시클로부탄 고리, 시클로펜탄 고리, 시클로헥산고리, 시클로헵탄 고리, 시클로옥탄 고리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복소 5원환』이란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및 황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헤테로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단환식 방향족 복소 5원환을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질소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피롤 고리, 피라졸 고리, 이미다졸 고리 또는 [1,2,3]트리아졸 고리를, 산소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푸란 고리를, 황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티오펜 고리를, 질소 원자와 산소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옥사졸 고리 또는 이소옥사졸 고리를, 질소 원자와 황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티아졸 고리 또는 이소티아졸 고리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피라졸 고리, 푸란 고리 또는 티오펜 고리를 들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티오펜 고리를 들 수 있 다.
『시클로알칸 고리와 축합한 방향족 복소 5원환』이란 시클로알칸 고리와 방향족 복소 5원환이 축합한 2환계를 나타낸다.
『방향족 복소 6원환』이란 1 또는 복수의 질소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단환식 방향족 복소 6원환을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피리딘 고리, 피리다진 고리, 피리미딘 고리, 피라진 고리, [1,2,3]트리아진 고리, [1,2,4]트리아진 고리 또는 [1,2,3,4]테트라진 고리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피리딘 고리 또는 피라진 고리를 들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피리딘 고리를 들 수 있다.
『시클로알칸 고리와 축합한 방향족 복소 6원환』이란 시클로알칸 고리와 방향족 복소 6원환이 축합한 2환계를 나타낸다.
『알킬렌』이란 탄소 원자수 1∼8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을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메틸렌, 에틸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옥타메틸렌, 메틸메틸렌, 디메틸메틸렌, 프로필렌, 2-메틸트리메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란 탄소 원자수 1∼6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n-부톡시, n-펜톡시, n-헥실옥시, 이소프로폭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이소펜톡시 등을 들 수 있다.
『알킬』이란 탄소 원자수 1∼6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을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n-펜틸, n-헥실,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이소펜틸 등을 들 수 있다.
『시클로알킬』이란 탄소 원자수 3∼8개의 시클로알킬을 나타낸다. 또한, 2 또는 3개의 시클로알칸 고리의 축합에 의해 형성되는 포화 다환식 탄화수소도 본원 발명의 『시클로알킬』에 포함된다. 시클로알킬의 구체예로서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등, 포화 다환식 탄화수소의 구체예로서, 아다만틸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이란 탄소 원자수 6∼14개의 단환식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2환식 또는 3환식의 축합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과 시클로알칸 고리의 축합에 의해 형성되는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도 본원 발명의 『아릴』에 포함된다. 단환식 방향족 탄화수소의 구체예로서 페닐을 들 수 있고, 축합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의 구체예로서 나프틸, 안트릴, 페난트릴 등을 들 수 있으며,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의 구체예로서 인다닐, 테트라히드로나프틸, 테트라히드로안트라닐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옥시』란 탄소 원자수 6∼14개의 단환식 방향족 탄화수소옥시 또는 축합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옥시, 또는 이들과 시클로알칸 고리의 축합에 의해 형성되는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옥시를 나타낸다. 단환식 방향족 탄화수소옥시의 구체예로서 페녹시를 들 수 있고, 축합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옥시의 구체예로서 나프틸옥시, 안트릴옥시, 페난트릴옥시 등을 들 수 있으며,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옥시의 구체예로서 인다닐옥시, 테트라히드로나프틸옥시, 테트라히드로안트라닐옥시 등을 들 수 있다.
『복소 고리』란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및 황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헤테로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단환식 복소 고리 또는 2환식 또는 3환식의 축합 다환식 복소 고리를 나타낸다.
포화의 단환식 복소 고리의 구체예로서 질소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아지리딘, 아제티딘, 피롤리딘, 피라졸리딘, 이미다졸리딘, 트리아졸리딘, 피페리딘, 헥사히드로피리다진, 헥사히드로피리미딘, 피페라진, 호모피페리딘, 호모피페라진 등을, 산소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옥시란, 테트라히드로푸란, 테트라히드로피란 등을, 황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테트라히드로티오펜, 테트라히드로티오피란 등을, 질소 원자와 산소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옥사졸리딘, 이소옥사졸리딘, 모르폴린 등을, 질소 원자와 황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티아졸리딘, 이소티아졸리딘, 티오모르폴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포화의 단환식 복소 고리는 벤젠 고리 등과 축합하여 디히드로인돌, 디히드로인다졸, 디히드로벤조이미다졸, 테트라히드로퀴놀린,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테트라히드로신놀린, 테트라히드로프탈라진, 테트라히드로퀴나졸린, 테트라히드로퀴녹살린, 디히드로벤조푸란, 디히드로이소벤조푸란, 크로만, 이소크로만, 디히드로벤조티오펜, 디히드로이소벤조티오펜, 티오크로만, 이소티오크로만, 디히드로벤조옥사졸, 디히드로벤조이소옥사졸, 디히드로벤조옥사진, 디히드로벤조티아졸, 디히드로벤조이소티아졸, 디히드로벤조티아진, 크산텐, 4a-카르바졸, 페리미딘 등의 축합 다환식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다.
불포화의 단환식 복소 고리의 구체예로서 질소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디히드로피롤, 피롤, 디히드로피라졸, 피라졸, 디히드로이미다졸, 이미다졸, 디히드로 트리아졸, 트리아졸, 테트라히드로피리딘, 디히드로피리딘, 피리딘, 테트라히드로피리다진, 디히드로피리다진, 피리다진,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 디히드로피리미딘, 피리미딘, 테트라히드로피라진, 디히드로피라진, 피라진 등을, 산소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디히드로푸란, 푸란, 디히드로피란, 피란 등을, 황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디히드로티오펜, 티오펜, 디히드로티오피란, 티오피란 등을, 질소 원자와 산소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디히드로옥사졸, 옥사졸, 디히드로 이소옥사졸, 이소옥사졸, 디히드로옥사진, 옥사진 등을, 질소 원자와 황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디히드로티아졸, 티아졸, 디히드로이소티아졸, 이소티아졸, 디히드로티아진, 티아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불포화의 단환식 복소 고리는 벤젠 고리 등과 축합하여 인돌, 인다졸, 벤조이미다졸, 벤조트리아졸, 디히드로퀴놀린, 퀴놀린, 디히드로이소퀴놀린, 이소퀴놀린, 페난트리딘, 디히드로신놀린, 신놀린, 디히드로프탈라진, 프탈라진, 디히드로퀴나졸린, 퀴나졸린, 디히드로퀴녹살린, 퀴녹살린, 벤조푸란, 이소벤조푸란, 크로멘, 이소크로멘, 벤조티오펜, 이소벤조티오펜, 티오크로멘, 이소티오크로멘, 벤조옥사졸, 벤조 이소옥사졸, 벤조옥사진, 벤조티아졸, 벤조이소티아졸, 벤조티아진, 페노크산틴, 카르바졸, β-카르볼린, 페난트리딘, 아크리딘, 페난트롤린, 페나진, 페노티아진, 페녹사진 등의 축합 다환식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다.
『알킬아미노』란 탄소 원자수 1∼6개의 모노알킬아미노 또는 탄소 원자수 2∼12개의 디알킬아미노를 나타낸다. 모노알킬아미노의 구체예로서 메틸아미노, 에 틸아미노, 헥실아미노 등을 들 수 있고, 디알킬아미노의 구체예로서 에틸메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디헥실아미노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아미노』란 탄소 원자수 6∼20개의 모노아릴아미노 또는 탄소 원자수12∼28개의 디아릴아미노를 나타낸다. 모노아릴아미노의 구체예로서 페닐아미노, 나프틸아미노, 에틸페닐아미노 등을 들 수 있고, 디아릴아미노의 구체예로서 디페닐아미노, 디안트릴아미노 등을 들 수 있다.
『아실』이란 히드로카르보닐, 알킬카르보닐, 시클로알킬카르보닐, 아릴카르보닐 또는 복소 고리 카르보닐을 나타낸다. 히드로카르보닐의 구체예로서 포르밀을, 알킬카르보닐의 구체예로서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레릴, 이소발레릴, 피발로일, 모노클로로아세틸, 트리플루오로아세틸 등을, 시클로알킬카르보닐의 구체예로서 시클로펜탄카르보닐, 시클로헥산카르보닐 등을, 아릴카르보닐의 구체예로서 벤조일, 나프토일, 톨루오일 등을, 복소 고리 카르보닐의 구체예로서 푸로일, 테노일, 피콜리노일, 니코티노일, 이소니코티노일 등을 들 수 있다.
『알케닐』이란 탄소 원자수 2∼8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케닐을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비닐, 알릴, 1-프로페닐, 3-부테닐, 3-펜테닐, 4-헥세닐, 5-헵테닐, 7-옥테닐, 1-메틸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알키닐』이란 탄소 원자수 2∼8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키닐을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에티닐, 2-프로피닐, 2-부티닐, 3-펜티닐, 4-헥시닐, 5-헵티닐, 7-옥티닐, 2-메틸부티닐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이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나타낸다.
『카르복시기의 에스테르』란 알킬알코올, 아릴알코올 등과의 에스테르를 나타낸다. 알킬알코올의 구체예로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벤질알코올, 페네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알코올의 구체예로서 페놀, 나프톨, 안트롤, 크레졸, 크실레놀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시기의 아미드』란 알킬아민, 시클로알킬아민, 아릴아민, 복소 고리 아민 등과의 아미드를 나타낸다. 알킬아민의 구체예로서 메틸아민, 에틸아민, 에틸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벤질아민 등을, 시클로알킬아민의 구체예로서 시클로펜틸아민, 시클로헥실아민, 시클로헥실메틸아민 등을, 아릴아민의 구체예로서 아닐린, 나프틸아민, 디페닐아민, 에틸페닐아민, 아니시딘, 톨루이딘 등을, 복소 고리 아민의 구체예로서 벤조푸란아민, 퀴놀릴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알킬카르보닐』이란 탄소 원자수 2∼7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카르보닐을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메틸카르보닐, 에틸카르보닐, n-프로필카르보닐, n-부틸카르보닐, n-펜틸카르보닐, n-헥실카르보닐, 이소프로필카르보닐, 이소부틸카르보닐, sec-부틸카르보닐, tert-부틸카르보닐, 이소펜틸카르보닐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카르보닐』이란 탄소 원자수 7∼15개의 단환식 방향족 탄화수소카르보닐 혹은 축합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카르보닐, 또는 이들과 시클로알칸 고리의 축합에 의해 형성되는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카르보닐을 나타낸다. 단환식 방향족 탄화수소카르보닐의 구체예로서 페닐카르보닐을, 축합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카르보닐의 구체예로서 나프틸카르보닐, 안트릴카르보닐, 페난트릴카르보닐 등을,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의 구체예로서 인다닐카르보닐, 테트라히드로나프틸카르보닐, 테트 라히드로안트라닐카르보닐 등을 들 수 있다.
『복소 고리 카르보닐』이란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및 황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헤테로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단환식 복소 고리 카르보닐 혹은 2환식 또는 3환식의 축합 다환식 복소 고리 카르보닐을 나타낸다.
『알킬술포닐』이란 탄소 원자수 1∼6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술포닐을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메틸술포닐, 에틸술포닐, n-프로필술포닐, n-부틸술포닐, n-펜틸술포닐, n-헥실술포닐, 이소프로필술포닐, 이소부틸술포닐, sec-부틸술포닐, tert-부틸술포닐, 이소펜틸술포닐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술포닐』이란 탄소 원자수 6∼14개의 단환식 방향족 탄화수소술포닐 혹은 축합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술포닐, 또는 이들과 시클로알칸 고리의 축합에 의해 형성되는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술포닐을 나타낸다. 단환식 방향족 탄화수소술포닐의 구체예로서 페닐술포닐을, 축합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술포닐의 구체예로서 나프틸술포닐, 안트릴술포닐, 페난트릴수포닐 등을,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술포닐의 구체예로서 인다닐술포닐, 테트라히드로나프틸술포닐, 테트라히드로안트라닐술포닐 등을 들 수 있다.
『알킬티오』란 탄소 원자수 1∼6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티오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메틸티오, 에틸티오, n-프로필티오, n-부틸티오, n-펜틸티오, n-헥실티오, 이소프로필티오, 이소부틸티오, sec-부틸티오, tert-부틸티오, 이소펜틸티오 등을 들 수 있다.
『아릴티오』란 탄소 원자수 6∼14개의 단환식 방향족 탄화수소티오 또는 2환식 또는 3환식 축합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티오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과 시클로알칸 고리의 축합에 의해 형성되는 2환식∼4환식의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티오를 나타낸다. 단환식 방향족 탄화수소티오의 구체예로서 페닐티오를 들 수 있고, 축합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티오의 구체예로서 나프틸티오, 안트릴티오, 페난트릴티오를 들 수 있으며,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티오의 구체예로서 인단티오, 테트라히드로나프틸티오, 테트라히드로안트릴티오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게노알콕시』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1 또는 복수의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히드록시알콕시』란 1 또는 복수의 히드록시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알콕시알콕시』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1 또는 복수의 알콕시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아릴옥시알콕시』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1 또는 복수의 아릴옥시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할로게노알킬』이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1 또는 복수의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히드록시알킬』이란 1 또는 복수의 히드록시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알콕시알킬』이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1 또는 복수의 알콕시기를 치환 기로서 갖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아릴옥시알킬』이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1 또는 복수의 아릴옥시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히드록시아릴』이란 1 또는 복수의 히드록시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알콕시아릴』이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1 또는 복수의 알콕시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치환 알콕시기』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기로 치환된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알콕시기로 치환된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또는 그 아미드,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치환 아릴옥시기』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혹은 그 아미드,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아릴옥시기를 나타낸다.
『치환 알킬기』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시클로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혹은 그 아미드,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치환 시클로알킬기』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혹은 그 아미드,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치환 아릴기』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혹은 그 아미드,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아릴기, 또는, 고리 내에 1 또는 복수의 카르보닐기 또는 티오카르보닐기를 갖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치환 복소 고리』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혹은 그 아미드,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 의 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복소 고리, 또는, 고리 내에 1 또는 복수의 카르보닐기 또는 티오카르보닐기를 갖는 복소 고리를 나타낸다.
『치환 알킬아미노기』란 그 알킬 부분이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혹은 그 아미드,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알킬아미노기를 나타낸다.
『치환 아릴아미노기』란 그 아릴 부분이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혹은 그 아미드,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아릴아미노기, 또는, 고리 내에 1 또는 복수의 카르보닐기 또는 티오카르보닐기를 갖는 아릴아미노기를 나타낸다.
『치환 아실기』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혹은 그 아미드,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아실기를 나타낸다.
『치환 알케닐기』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시클 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혹은 그 아미드,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치환 알키닐기』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혹은 그 아미드,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알키닐기를 나타낸다.
『치환 알킬카르보닐기』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시클로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혹은 그 아미드,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알킬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치환 아릴카르보닐기』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혹은 그 아미드,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 수의 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아릴카르보닐기, 또는, 고리 내에 1 또는 복수의 카르보닐기 또는 티오카르보닐기를 갖는 아릴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치환 복소 고리 카르보닐기』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혹은 그 아미드,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복소 고리 카르보닐기, 또는, 고리 내에 1 또는 복수의 카르보닐기 또는 티오카르보닐기를 갖는 복소 고리 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치환 알킬티오기』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기로 치환된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알콕시기로 치환된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혹은 그 아미드,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알킬티오기를 나타낸다.
『치환 아릴티오기』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혹은 그 아미드,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아릴티오기, 또는, 고리 내에 1 또는 복수의 카르보닐기 또는 티오카르보닐기를 갖는 아릴티오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 화합물이 유리 히드록시기, 유리 아미노기, 유리 알킬아미노기, 유리 아릴아미노기 또는 유리 머캅토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경우, 이들 치환기는 보호기로 보호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복소 고리기가 유리 질소 원자를 갖는 경우도 이 질소 원자는 보호기로 보호되어 있어도 좋다.
『유리 히드록시기의 보호기』란 메틸기, 메톡시메틸기, 벤질기, 4-메톡시페닐메틸기, 알릴기 등의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기 또는 무치환 알케닐기; 3-브로모테트라히드로피라닐기, 테트라히드로피라닐기, 테트라히드로푸라닐기 등의 치환 또는 무치환 복소 고리기; 아세틸기,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 벤조일기, 4-클로로벤조일기 등의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카르보닐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카르보닐기;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이소부톡시카르보닐기, tert-부톡시카르보닐기, 벤질옥시카르보닐기, 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기,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기, 비닐옥시카르보닐기, 알릴옥시카르보닐기, 페닐옥시카르보닐기, p-니트로페닐옥시카르보닐기 등의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옥시카르보닐기, 무치환 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기; 트리메틸실릴기, 트리에틸실릴기, 트리이소프로필실릴기, tert-부틸디메틸실릴기, tert-부틸디페닐실릴기 등의 치환 실릴기; 등의 보호기로서 범용되는 것을 나타낸다.
『유리 아미노기, 유리 알킬아미노기, 유리 아릴아미노기 또는 복소 고리기가 질소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경우에 있어서의 유리 질소 원자의 보호기』란 알릴기 등의 무치환 알케닐기; 포르밀기 등의 히드로카르보닐기; 아세틸기, 트리클로로아세틸기,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 벤조일기, 4-클로로벤조일기, 피콜리노일기 등 의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카르보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카르보닐기 또는 무치환 복소 고리 카르보닐기; 메톡시카르보닐기, 이소부톡시카르보닐기, tert-부톡시카르보닐기,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기, 벤질옥시카르보닐기, 디페닐메톡시카르보닐기, 페녹시카르보닐기, m-니트로페녹시카르보닐기 등의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옥시카르보닐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기; 메틸술포닐기, 벤질술포닐기, 페닐술포닐기, 4-클로로페닐술포닐기, 톨릴술포닐기, 2,4,6-트리메틸페닐술포닐기 등의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술포닐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술포닐기; 등의 보호기로서 범용되는 것을 나타낸다.
『유리 머캅토기의 보호기』란 메틸기, 메톡시메틸기, 벤질기, 4-메톡시페닐메틸기, 알릴기 등의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기 또는 무치환 알케닐기; 3-브로모테트라히드로피라닐기, 테트라히드로피라닐기, 테트라히드로푸라닐기 등의 치환 또는 무치환 복소 고리기; 아세틸기,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 벤조일기, 4-클로로벤조일기 등의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카르보닐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카르보닐기;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이소부톡시카르보닐기, tert-부톡시카르보닐기, 벤질옥시카르보닐기, 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기,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기, 비닐옥시카르보닐기, 알릴옥시카르보닐기, 페닐옥시카르보닐기, p-니트로페닐옥시카르보닐기 등의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옥시카르보닐기, 무치환 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기; 등의 보호기로서 범용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복수의 기』는 각각의 기가 동일한 것이어도 좋고, 다 른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기』에는 각 원자 및 각 고리도 포함된다.
본 발명 화합물에 있어서의 『염』이란 의약으로서 허용되는 염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의 무기산과의 염, 아세트산, 푸마르산, 말레산, 호박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아디프산, 젖산, 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의 유기산과의 염,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과의 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과의 염, 암모니아, 요오드화메틸 등과의 4급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에 기하이성체 또는 광학이성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들 이성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 화합물은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도 좋다.
게다가, 본 발명 화합물에 프로톤 호변이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들 호변이성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a) 본 발명 화합물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예로서 하기의 규정을 충족시키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에 있어서,
(a1) 고리 A는 벤젠 고리, 티오펜 고리 또는 피리딘 고리를 나타내고; 및/또는
(a2) R1은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를 나타내며; 및/또는
(a3) R1이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아릴기, 히드록시아릴기 및 알콕시아릴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및/또는
(a4) R1이 아릴기인 경우, 이 아릴기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할로게노알콕시기, 히드로카르보닐옥시기, 알킬카르보닐옥시기, 아릴카르보닐옥시기, 알킬기, 할로게노알킬기 및 아릴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a5) R2는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a6) R2가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카르복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및 아릴옥시카르보닐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a7) R3은 수소 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 또는 Z-R5를 나타내고; 및/또는
(a8) R3이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및 아릴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a9) R3이 복소 고리인 경우, 이 복소 고리는 1 또는 복수의 시아노기를 치 환기로서 가져도 좋고; 및/또는
(a10) R3과 R4는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으며; 및/또는
(a11) R3과 R4가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한 경우, 이 복소 고리는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알콕시알킬기, 아릴옥시알킬기, 아릴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카르복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히드로카르보닐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아미노카르보닐기,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및 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또한, 이 복소 고리는 고리 내에 카르보닐기를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a12) R4는 수소 원자, 알킬기, 아릴기, 히드로카르보닐기, 알킬카르보닐기 또는 아릴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a13) R4가 알킬카르보닐기인 경우, 이 알킬카르보닐기는 1 또는 복수의 알킬카르보닐옥시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a14) Z가 CO, CS, CO-B2-O, CS-B2-O, CO-B2-NR6, CS-B2-NR6, CO-B2-NR6SO2, CS-B2-NR6SO2 또는 SO2를 나타내고; 및/또는
(a15) R5는 수소 원자,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 카르복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히드로카르보닐 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복소 고리 카르보닐기, 아미노카르보닐기,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또는 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를 나타내며; 및/또는
(a16) R5가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알콕시기, 아릴옥시알콕시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 카르복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히드로카르보닐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히드로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카르보닐아미노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및 시아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및/또는
(a17) R5가 아릴기인 경우, 이 아릴기는 1 또는 복수의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a18) R5가 복소 고리인 경우, 이 복소 고리는 알킬기 및 아릴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및/또는
(a19) R5가 알킬카르보닐기인 경우, 이 알킬카르보닐기는 카르복시기, 히드로카르보닐옥시기, 알킬카르보닐옥시기, 아릴카르보닐옥시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또는 아릴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a20) R5와 R6은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고; 및/또는
(a21) R5와 R6이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 이 복소 고리는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알콕시알킬기, 아릴옥시알킬기, 카르복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카르보닐기, 히드로카르보닐기, 알킬카르보닐기 및 아릴카르보닐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또한, 이 복소 고리는 고리 내에 카르보닐기를 가져도 좋고; 및/또는
(a22) R6은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며; 및/또는
(a23) X 및 Y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및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나타내며; 및/또는
(a24) B1은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a25) B2는 단일결합 또는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및/또는
(a26) p는 0, 1 또는 2를 나타내고; 및/또는
(a27) q는 0 또는 1을 나타낸다.
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a1), (a2), (a3), (a4), (a5), (a6), (a7), (a8), (a9), (a10), (a11), (a12), (a13), (a14), (a15), (a16), (a17), (a18), (a19), (a20), (a21), (a22), (a23), (a24), (a25), (a26) 및 (a27)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각 조합으로 이루어진 화합물 또는 그의 염.
(b) 본 발명 화합물에 있어서의 보다 바람직한 예로서 하기의 규정을 충족시키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에 있어서,
(b1) 고리 A가 벤젠 고리, 티오펜 고리 또는 피리딘 고리를 나타내고; 및/또는
(b2) R1이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를 나타내며; 및/또는
(b3) R1이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1 또는 복수의 알콕시아릴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고; 및/또는
(b4) R1이 아릴기인 경우, 이 아릴기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할로게노알콕시기, 알킬카르보닐옥시기, 알킬기 및 할로게노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b5) R2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b6) R2가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카르복시기 및 알콕시카르보닐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b7) R3이 수소 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 또는 Z-R5를 나타내고; 및/또는
(b8) R3이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히드록시기 및 알킬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b9) R3이 복소 고리인 경우, 이 복소 고리는 1 또는 복수의 시아노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고; 및/또는
(b10) R3과 R4가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으며; 및/또는
(b11) R3과 R4가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한 경우, 이 복소 고리는 히드록시기,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알킬아미노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알킬카르보닐기 및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또한, 이 복소 고리는 고리 내에 카르보닐기를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b12) R4가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알킬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b13) R4가 알킬카르보닐기인 경우, 이 알킬카르보닐기는 1 또는 복수의 알킬카르보닐옥시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b14) Z가 CO, CO-B2-O, CO-B2-NR6, CS-B2-NR6, CO-B2-NR6SO2 또는 SO2를 나타내고; 및/또는
(b15) R5가 수소 원자,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 알콕시카르보닐기, 알킬카르보닐기, 복소 고리 카르보닐기 또는 알킬아 미노카르보닐기를 나타내며; 및/또는
(b16) R5가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알콕시기, 시클로알킬기, 복소 고리, 카르복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티오기 및 시아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및/또는
(b17) R5가 아릴기인 경우, 이 아릴기는 1 또는 복수의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b18) R5가 복소 고리인 경우, 이 복소 고리는 1 또는 복수의 알킬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고; 및/또는
(b19) R5가 알킬카르보닐기인 경우, 이 알킬카르보닐기는 카르복시기, 알킬카르보닐옥시기 및 알킬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b20) R5와 R6이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고; 및/또는
(b21) R5와 R6이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 이 복소 고리는 히드록시기,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알킬카르보닐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또한, 이 복소 고리는 고리 내에 카르 보닐기를 가져도 좋고; 및/또는
(b22) R6이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며; 및/또는
(b23) X 및 Y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및/또는
(b24) B1이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및/또는
(b25) B2가 단일결합 또는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b26) p가 0 또는 1을 나타내며; 및/또는
(b27) q가 0을 나타낸다.
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b1), (b2), (b3), (b4), (b5), (b6), (b7), (b8), (b9), (b10), (b11), (b12), (b13), (b14), (b15), (b16), (b17), (b18), (b19), (b20), (b21), (b22), (b23), (b24), (b25), (b26) 및 (b27)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각 조합으로 이루어진 화합물 또는 그의 염.
(c) 본 발명 화합물에 있어서의 보다 바람직한 예로서 하기의 규정을 충족시키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에 있어서,
(c1) 고리 A가 벤젠 고리, 티오펜 고리 또는 피리딘 고리를 나타내고; 및/또는
(c2) R1이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를 나타내며; 및/또는
(c3) R1이 아릴기인 경우, 이 아릴기는 할로겐 원자, 할로게노알콕시기, 알킬기 및 할로게노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및/또는
(c4) R2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및/또는
(c5) R3이 수소 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 또는 Z-R5를 나타내고; 및/또는
(c6) R3이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1 또는 복수의 알킬아미노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c7) R3이 복소 고리인 경우, 이 복소 고리는 1 또는 복수의 시아노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고; 및/또는
(c8) R3과 R4가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으며; 및/또는
(c9) R3과 R4가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한 경우, 이 복소 고리는 알킬기 및 알킬카르보닐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및/또는
(c10) R4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며; 및/또는
(c11) Z가 CO, CO-B2-O, CO-B2-NR6, CO-B2-NR6SO2 또는 SO2를 나타내고; 및/또는
(c12) R5가 수소 원자, 알킬기, 아릴기, 알킬카르보닐기 또는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를 나타내며; 및/또는
(c13) R5가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복소 고리, 알킬아미노기 및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및/또는
(c14) R5가 아릴기인 경우, 이 아릴기는 1 또는 복수의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c15) R5가 알킬카르보닐기인 경우, 이 알킬카르보닐기는 1 또는 복수의 카르복시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고; 및/또는
(c16) R5와 R6이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으며; 및/또는
(c17) R5와 R6이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 이 복소 고리는 1 또는 복수의 히드록시알킬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고; 및/또는
(c18) R6이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며; 및/또는
(c19) X 및 Y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및/또는
(c20) B1이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및/또는
(c21) B2가 단일결합 또는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c22) p가 0을 나타내며; 및/또는
(c23) q가 0을 나타낸다.
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c1), (c2), (c3), (c4), (c5), (c6), (c7), (c8), (c9), (c10), (c11), (c12), (c13), (c14), (c15), (c16), (c17), (c18), (c19), (c20), (c21), (c22) 및 (c23)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각 조합으로 이루어진 화합물 또는 그의 염.
(d) 본 발명 화합물에 있어서의 약리 활성적으로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a)∼(c)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규정을 충족시키고, 또한, 화학식 1에 있어서, 고리 A가 피리딘 고리 또는 티오펜 고리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들 수 있으며, 고리 A가 피리딘 고리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e) 본 발명 화합물에 있어서의 약리 활성적으로 보다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a) 내지 (d)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규정을 충족시키고, 또한, 화학식 1에 있어서, 부분 구조 C와 부분 구조 D가 고리 A 상의 인접한 탄소 원자에 결합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6066828628-PCT00002
Figure 112006066828628-PCT00003
(f) 본 발명 화합물에 있어서의 약리 활성적으로 보다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d)의 규정 및 상기 (e)의 규정을 충족시키고, 또한, 부분 구조 C 또는 D가 고리 A 상의 헤테로 원자의 α위에 위치하는 탄소 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들 수 있다.
(g) 본 발명 화합물에 있어서의 특히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a)∼(f)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규정을 충족시키고, 또한, 하기의 규정을 충족시키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에 있어서,
(g1) R3이 Z-R5를 나타내고; 및/또는
(g2) Z가 CO, CO-B2-O, CO-B2-NR6, CO-B2-NR6SO2를 나타내며; 및/또는
(g3) R5가 수소 원자, 알킬기, 아릴기, 알킬카르보닐기 또는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g4) R5가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복소 고리, 알킬아미노기 및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g5) R5가 아릴기인 경우, 이 아릴기는 1 또는 복수의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고; 및/또는
(g6) R5가 알킬카르보닐기인 경우, 이 알킬카르보닐기는 1 또는 복수의 카르 복시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g7) R5와 R6이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고; 및/또는
(g8) R5와 R6이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 이 복소 고리는 1 또는 복수의 히드록시알킬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으며; 및/또는
(g9) R6이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g10) B2가 단일결합 또는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즉, 상기 (a)∼(f)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규정을 충족시키고, 또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g1), (g2), (g3), (g4), (g5), (g6), (g7), (g8), (g9) 및 (g10)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각 조합으로 이루어진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본 발명 화합물에 있어서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적 화합물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N-(3,5-디메틸페닐)-2-[2-(4-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시클로프로필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모르폴리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4-아세틸피페라진-1-일)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인단-5-일)-2-(2-모르폴리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4-아세틸피페라진-1-일)피리딘-4-일메틸티오]-N-(인단-5-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n-펜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인단-5-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tert-부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1H-인다졸-6-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N-ter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5-시아노티아졸-2-일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인단-5-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tert-부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1H-인다졸-6-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인단-5-일)-2-(2-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 드
·2-(2-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이소퀴놀린-3-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벤자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벤자미드
·3-(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티오펜-2-카르복사미드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프로피오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이소부티릴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피발로일아미노피리진-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N-아세틸-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1H-인다졸-6-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벤자미드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tert-부틸페닐)벤자미드
·3-(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티오펜-2-카르복사미드
·3-(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티오펜-2-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N’-n-프로필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N’-tert-부틸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N’-4-클로로페닐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포르밀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페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N’-메틸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N’-메틸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클로로페닐)-2-[2-(N’-메틸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N’-메틸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클로로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이소퀴놀린-3-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클로로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인단-5-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3-히드록시카르보닐프로피오닐옥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메탄술포닐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이소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모르폴리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모르폴리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3-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클로로페닐)-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히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클로로페닐)-2-[2-(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히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2-히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이소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이소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3-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2-모르폴리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3-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3-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모르폴리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메틸페닐)-2-[2-(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N-(2-히드록시에틸)-N-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본 발명 화합물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개개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 [제조예 페이지]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합성 경로 안에서 사용되고 있는 Hal은 할로겐 원자를, Boc은 tert-부톡시카르보닐기를, TBS는 tert-부틸디메틸실릴기를 나타낸다. 하기의 식 중 R1, R2, R3, R4, R5, R6에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 등이 함유되는 경우에는 범용 되는 방법에 의해 보호 및 탈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치환기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그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1) 본 발명 화합물 Ia(R3, R4가 알킬, 아릴, 수소 원자 등)는 합성 경로 1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화합물 Ia는 화합물 IIa와 아민 III을 무용매 또는 트리부틸아민 등의 유기 용매 중, 100℃∼200℃에서 1시간∼12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1
Figure 112006066828628-PCT00004
화합물 IIa를 함유하는 화합물 II(Hal이 F, Cl, Br)는 합성 경로 1-1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화합물 II는 화합물 IV와 아민 V를 염화메틸렌, N,N-디메틸포름아미드(이하, 『DMF』라 함) 등의 유기 용매 중,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이하, 『DCC』라 함),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이하, 『HATU』라 함), N-벤질-N’-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폴리머바운드 등의 축합제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의 염기 존재 하에 실온∼50℃에서 1시간∼24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1-1
Figure 112006066828628-PCT00005
화합물 IV는 합성 경로 1-2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화합물 IV는 화합물 VI과 화합물 VII을 DMF 등의 유기 용매 중, 트리에틸아민 등의 염기 존재 하에 0℃∼실온에서 1시간∼12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1-2
Figure 112006066828628-PCT00006
화합물 VII은 합성 경로 1-3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화합물 VII은 화합물 VIII을 아세토니트릴 등의 유기 용매 중, 과산화벤조일 등의 라디칼 개시제 및 N-클로로호박산이미드, N-브로모호박산이미드 등의 할로겐화제 존재 하에 가열 환류 하에서 1시간∼12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하기의 합성 경로 안에서 사용되고 있는 R7 및 R8은 수소 원자, 알킬기 등을 나타낸다.
합성 경로 1-3
Figure 112006066828628-PCT00007
2) 본 발명 화합물 Ib(R3이 알킬, 아릴, 수소 원자, R4가 알킬, 아릴, 수소 원자, COR5, CONR5R6 등)는 합성 경로 2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합성 경로 1-1에서 얻어지는 화합물 IIb를 아세트산팔라듐,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등의 천이 금속 촉매와 탄산세슘 등의 염기,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 등의 촉매 배위자의 존재 하에 아민, 아미드 또는 우레아인 III과 1,4-디옥산 등의 유기 용매 중, 80℃∼150℃에서 1시간∼12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2
Figure 112006066828628-PCT00008
3) 본 발명 화합물 Ic(Z가 CO, SO2 등)는 합성 경로 3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화합물 Ic는 본 발명 화합물 Id와 무수 아세트산 등의 산 무수물 IX 또는 피발로일클로라이드 등의 산 할로겐화물 X를 피리딘 등의 유기 용매 중, 0℃∼80℃에서 1시간∼12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3
Figure 112006066828628-PCT00009
4) 본 발명 화합물 Ie(Z가 CO, CS 등)는 합성 경로 4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화합물 Ie는 본 발명 화합물 Id와 이소시안산 n-프로필 등의 이소시안산에스테르 XI 또는 이소티오시안산메틸 등의 이소티오시안산에스테르 XII와, DMF 등의 유기 용매 중, 실온∼100℃에서 1시간∼12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4
Figure 112006066828628-PCT00010
5) 본 발명 화합물 Ib(R3이 알킬, 아릴, 수소 원자, R4가 알킬, 아릴, 수소 원자, COR5, CONR5R6 등)는 합성 경로 5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화합물 Ib는 화합물 XIII과 아민 V를 염화메틸렌, DMF 등의 유기 용매 중, DCC, HATU, N-벤질-N’-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폴리머 바운드 등의 축합제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의 염기 존재 하에 실온∼50℃에서 1시간으로부터 12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5
Figure 112006066828628-PCT00011
화합물 XIII은 합성 경로 5-1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화합물 XIII은 화합물 VI과 화합물 XIV(W가 할로겐 원자, 메탄술포닐옥시기, 톨루엔술포닐옥시기 등의 이탈기)를 DMF 등의 유기 용매 중, 트리에틸아민 등의 염기 존재 하에 0℃∼실온에서 1시간∼12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5-1
Figure 112006066828628-PCT00012
화합물 XIVa는 합성 경로 5-2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화합물 XIVa는 화 합물 XV와 4브롬화탄소-트리페닐포스핀 등의 할로겐화제를 염화메틸렌 등의 유기 용매 중, 0℃∼실온에서 1시간∼4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5-2
Figure 112006066828628-PCT00013
화합물 XIVb는 합성 경로 5-3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화합물 XIVb는 화합물 XV와 염화메탄술포닐을 염화메틸렌 등의 유기 용매 중,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의 염기 존재 하에 0℃∼실온에서 30분간∼3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5-3
Figure 112006066828628-PCT00014
6) 본 발명 화합물 If는 합성 경로 6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화합물 If는 본 발명 화합물 Id와 N-포르밀벤조트리아졸 등의 포르밀화제를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유기 용매 중, 가열 환류 하에서 3시간∼24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6
Figure 112006066828628-PCT00015
7) 본 발명 화합물 Ig(R2가 알킬 등)는 합성 경로 7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화합물 Ig는 본 발명 화합물 Ih와 R2-할라이드 XVI(R2가 알킬 등)를 테트라히드로푸란, DMF 등의 유기 용매 중, 수소화나트륨 등의 염기 존재 하에 0℃∼실온에서 30분간∼3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7
Figure 112006066828628-PCT00016
8) 본 발명 화합물 Ii는 합성 경로 8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화합물 Ii는 본 발명 화합물 Id와 R3-할라이드 XVII(R3이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 등)를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등의 유기 용매 중, 아세트산팔라듐,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등의 천이 금속 촉매와 트리페닐포스핀, 1,4-비스(디페닐포스피노)부탄,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 등의 촉매 배 위자와 탄산칼륨, 탄산세슘 등의 염기 존재 하에 50℃∼120℃에서 3시간∼24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8
Figure 112006066828628-PCT00017
9) 본 발명 화합물 Ij(p=0, 1 또는 2, q=0 또는 1)는 합성 경로 9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화합물 Ib(R3이 알킬, 아릴, 수소 원자, R4가 알킬, 아릴, 수소 원자, COR5, CONR5R6 등) 중의 황 원자 혹은 질소 원자가 산화된 본 발명 화합물 Ij는 본 발명 화합물 Ib를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 용매 중, m-클로로과벤조산, 과산화수소 등의 산화제 존재 하에 0℃∼실온에서 1시간∼12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9
Figure 112006066828628-PCT00018
10) 본 발명 화합물 Ik(B2가 알킬렌 등, R7, R8이 알킬, 수소 원자 등)는 합 성 경로 10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화합물 Ik는 본 발명 화합물 Il(B2이 알킬렌 등, W가 할로겐 원자 등)고 아민 XVIII을 무용매 또는 DMF, 메탄올 등의 유기 용매 중, 실온∼100℃에서 10분간∼12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10
Figure 112006066828628-PCT00019
11) 본 발명 화합물 Il(B2가 알킬렌 등)은 합성 경로 11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화합물 Il은 본 발명 화합물 Im과 염화티오닐 등의 할로겐화제를 염화메틸렌 등의 유기 용매 중, 0℃∼50℃에서 10분간∼12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11
Figure 112006066828628-PCT00020
12) 본 발명 화합물 In(R3이 알킬, 아릴, 수소 원자 등, R4가 알킬, 아릴, 수소 원자, COR5, CONR5R6 등)은 합성 경로 12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화합물 In은 화합물 XIX와 화합물 XIV(W가 브롬 원자, 메탄술포닐옥시기 등의 이탈기)를 DMF 등의 유기 용매 중, 트리에틸아민 등의 염기 존재 하에 0℃∼50℃에서 30분간으로부터 24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12
Figure 112006066828628-PCT00021
화합물 XIX는 합성 경로 12-1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화합물 XIX는 아민 V와 화합물 VIa를 DMF 등의 유기 용매 중, DCC, HATU, 카르보닐디이미다졸 등의 축합제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의 염기 존재 하에 0℃∼50℃에서 1시간∼12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12-1
Figure 112006066828628-PCT00022
화합물 XIVc는 합성 경로 12-2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화합물 XIVc는 화합물 XV와 브롬화수소산수용액 등의 할로겐화제를 물 혹은 염화메틸렌, DMF 등의 유기 용매 중, 0℃∼100℃에서 3시간∼12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12-2
Figure 112006066828628-PCT00023
13) 본 발명 화합물 Io(B2가 알킬렌 등)은 합성 경로 13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화합물 Io는 본 발명 화합물 Ip와 히드라진 1 수화물 혹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등의 염기 존재 하에 메탄올, 1,4-디옥산 등의 유기 용매 중, 실온에서 100℃∼1시간∼24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13
Figure 112006066828628-PCT00024
본 발명 화합물의 유용성을 발견하기 위해서 이하 1∼4의 약리 시험을 실시하여 본 발명 화합물의 약리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의 실시예[약리 시험의 항]에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 화합물은 1의 약리 시험(시험관 내에서)에 있어서, 우수한 세포증식 저해작용을 나타내고, 혈관신생 저해효과를 발견하는 동시에, 혈관투과성의 항진 저해가 시사되었다. 또한, 본 발명 화합물은 구체적인 질환 모델 동물을 이용한 2∼4의 약리 시험(생체 내에서)에 있어서, 우수 한 종양증식 억제작용, 발 부종 억제작용 및 맥락막 혈관신생 저해효과를 나타내고, 혈관신생 및/또는 혈관투과성 항진이 관여하는 구체적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한 것을 발견하였다.
1. 혈관신생 저해효과의 평가 시험
약물의 시험관 내에서의 혈관신생 저해효과를 평가하는 범용되는 방법의 하나인 VEGF 유발 HUVEC 증식반응 평가계(또한, HUVEC는 정상 인간 제대정맥 유래 내혈관 내피세포를 의미함)를 이용하여 본 발명 화합물의 세포증식 저해작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2. 항암 효과의 평가 시험
약물의 생체 내에서의 항암 효과를 평가하는 범용되는 방법의 하나인 마우스 담암(擔癌) 모델을 이용하여 본 발명 화합물의 종양증식 억제작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3. 항관절염 효과의 평가 시험
약물의 생체 내에서에 항관절염 효과를 평가하는 범용되는 방법의 하나인 래트 아쥬반트 관절염 모델을 이용하여 본 발명 화합물의 발 부종 억제작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4. 맥락막 혈관신생 저해효과의 평가 시험
약물의 생체 내에서의 맥락막 혈관신생 저해효과를 평가하는 범용되는 방법의 하나인 래트 맥락막 혈관신생 모델을 이용하여 본 발명 화합물의 신생혈관 발현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상, 1∼4로부터 본 발명 화합물은 혈관신생 및/또는 혈관투과성의 항진이 관여하는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암, 관절류머티즘, 가령성황반변성증, 당뇨병성망막증, 미숙아망막증, 망막정맥폐색증, 폴립형 맥락막혈관증, 당뇨병황반부종, 심상성건선, 죽상동맥경화의 치료제로서 매우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 화합물은 경구 투여로도, 비경구로도 투여할 수 있다. 투여 제형으로서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주사제, 점안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범용되는 기술을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예컨대,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등의 경구제는 젖당, 만니톨, 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경질 무수 규산, 탄산칼슘, 인산수소칼슘 등의 부형제,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탈크 등의 활택제,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시트르산칼슘 등의 붕괴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매크로골, 실리콘수지 등의 코팅제,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벤질알코올 등의 안정화제, 감미료, 산미료, 향료 등의 교미 교취제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주사제, 점안제 등의 비경구제는 염화나트륨, 농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염화칼륨, 소르비톨, 만니톨 등의 등장화제, 인산나트륨, 인산수소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시트르산, 빙초산, 트로메타몰 등의 완충화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스테아린산폴리옥시 40, 폴리옥시에틸렌 경 화 피마자유 등의 계면활성제, 시트르산나트륨, 에데트산나트륨 등의 안정화제, 염화벤잘코늄, 파라벤, 염화벤조토늄,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안식향산나트륨, 클로로부탄올 등의 방부제 등, 염산, 시트르산, 인산, 빙초산,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pH 조정제, 벤질알코올 등의 무통화제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의 투여량은 증상, 연령, 제형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경구제는 통상 1일당 0.01∼1000 ㎎, 바람직하게는 1∼100 ㎎을 1회 또는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점안제는 통상 0.0001%∼10%(w/v), 바람직하게는 0.01%∼5%(w/v)의 농도의 것을 1회 또는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예, 제제예, 약리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의 예시는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참고예 1
4-클로로메틸-2-플루오로피리딘(참고 화합물 1-1)
실온 하에서 2-플루오로-4-피콜린(5.0 g, 45 mmol)의 아세토니트릴(25 ㎖) 용액에 N-클로로호박산이미드(8.8 g, 66 mmol), 아세트산(0.15 ㎖) 및 과산화벤조일(220 ㎎, 0.91 mmol)을 첨가하여 2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그 반응 용액에 물(200 ㎖)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300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200 ㎖)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그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아세트산에틸(1:1)을 첨가하여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표기 참고 화합물 6.5 g을 조생성물로서 얻었다.
Figure 112006066828628-PCT00025
1H-NMR(500MHz, DMSO-d6)
δ 4.83(s, 2H), 7.26(s, 1H), 7.43(d, J=5.2Hz, 1H), 8.27(d, J=5.2Hz, 1H)
이하,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참고 화합물 1-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참고 화합물 1-2를 얻었다.
2-브로모-4-클로로메틸피리딘(참고 화합물 1-2)
1H-NMR(500MHz, DMSO-d6)
δ 4.51(s, 2H), 7.28(s, 1H), 7.52(d, J=5.2Hz, 1H), 8.36(d, J=5.2Hz, 1H)
참고예 2
2-(2-플루오로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실산(참고 화합물 2-1)
빙냉 하에서 4-클로로메틸-2-플루오로피리딘(참고 화합물 1-1, 5.5 g, 38 mmol) 및 2-머캅토니코틴산(6.2 g, 40 mmo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40 ㎖) 용액 에 트리에틸아민(7.0 ㎖, 50 mmo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20 ㎖) 용액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아세트산에틸(50 ㎖)을 첨가하여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00 ㎖)으로 추출하였다. 수층을 1N 염산에 의해 pH 5로 하고,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그 결정을 감압 하에 80℃에서 건조시켜 표기 참고 화합물 5.3 g을 갈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53%).
Figure 112006066828628-PCT00026
1H-NMR(500MHz, DMSO-d6)
δ 4.43(s, 2H), 7.20(s, 1H), 7.23(dd, J=7.9, 4.9Hz, 1H), 7.39(d, J=5.2Hz, 1H), 8.13(d, J=5.2Hz, 1H), 8.24(dd, J=7.9, 1.8Hz, 1H), 8.64(dd, J=4.9, 1.8Hz, 1H), 14.60(br s, 1H)
이하, 참고 화합물 1-2,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참고 화합물 2-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참고 화합물 2-2을 얻었다.
2-(2-브로모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실산(참고 화합물 2-2)
1H-NMR(500MHz, DMSO-d6)
δ 4.37(s, 2H), 7.28(dd, J=7.8, 4.7Hz, 1H), 7.48(dd, J=4.9, 1.4Hz, 1H), 7.69(dd, J=1.4, 0.4Hz, 1H), 8.23(dd, J=7.8, 1.7Hz, 1H), 8.27(dd, J=4.9, 0.4Hz, 1H), 8.63(dd, J=4.7, 1.7Hz, 1H), 13.55(s, 1H)
참고예 3
N-(3,5-디메틸페닐)-2-(2-플루오로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3-1)
실온 하에서 2-(2-플루오로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실산(참고 화합물 2-1, 1.5 g, 5.7 mmol), 3,5-크실리딘(0.90 g, 7.4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0 ㎖, 11 mmo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20 ㎖) 용액에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우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0 g, 7.9 mmol)를 첨가하여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아세트산에틸(30 ㎖)을 첨가하여 포화 식염수(50 ㎖)로 세정한 후,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그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한 후,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기 참고 화합물 0.91 g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44%).
1H-NMR(500MHz, DMSO-d6)
δ 2.26(s, 6H), 4.46(s, 2H), 6.76(s, 1H), 7.18(s, 1H), 7.29(dd, J=7.3, 4.6Hz, 1H), 7.32(s, 2H), 7.38(d, J=5.2Hz, 1H), 7.94(dd, J=7.3, 1.5Hz, 1H), 8.13(d, J=5.2Hz, 1H), 8.58(dd, J=4.6, 1.5Hz, 1H), 10.32(s, 1H)
이하, 참고 화합물 2-1, 2-2,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참고 화합물 3-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참고 화합물 3-2∼7을 얻었다.
2-(2-플루오로피리딘-4-일메틸티오)-N-(인단-5-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3-2)
1H-NMR(500MHz, DMSO-d6)
δ 1.98-2.06(m, 2H), 2.79-2.90(m, 4H), 4.46(s, 2H), 7.16-7.20(m, 2H), 7.29(dd, J=7.3, 4.9Hz, 1H), 7.38(dd, J=4.6, 1.5Hz, 2H), 7.61(s, 1H), 7.95(dd, J=7.3, 1.5Hz, 1H), 8.13(d, J=5.2Hz, 1H), 8.58(dd, J=4.9, 1.5Hz, 1H), 10.35(s, 1H)
2-(2-플루오로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3-3)
1H-NMR(500MHz, DMSO-d6)
δ 4.47(s, 2H), 7.18(s, 1H), 7.32(dd, J=7.6, 4.9Hz, 1H), 7.35-7.40(m, 3H), 7.81(d, J=8.2Hz, 2H), 8.00(dd, J=7.6, 1.8Hz, 1H), 8.13(d, J=5.2Hz, 1H), 8.61(dd, J=4.9, 1.8Hz, 1H), 10.67(s, 1H)
2-(2-브로모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3-4)
1H-NMR(400MHz, DMSO-d6)
δ 2.26(s, 6H), 4.41(s, 2H), 6.76(s, 1H), 7.29(dd, J=7.6, 4.9Hz, 1H), 7.32(s, 2H), 7.47(dd, J=5.1, 1.5Hz, 1H), 7.67(d, J=0.7Hz, 1H), 7.94(dd, J=7.6, 1.7Hz, 1H), 8.27(dd, J=5.1, 0.7Hz, 1H), 8.58(dd, J=4.9, 1.7Hz, 1H), 10.32(s, 1H)
2-(2-브로모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3-5)
1H-NMR(500MHz, DMSO-d6)
δ 4.42(s, 2H), 7.32(dd, J=7.6, 4.9Hz, 1H), 7.38(d, J=8.7Hz, 2H), 7.47(d, J=5.1Hz, 1H), 7.67(s, 1H), 7.80(d, J=8.7Hz, 2H), 8.00(dd, J=7.6, 1.7Hz, 1H), 8.27(dd, J=5.1Hz, 1H), 8.60(dd, J=4.9, 1.7Hz, 1H), 10.68(s, 1H)
2-(2-브로모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3-6)
1H-NMR(400MHz, DMSO-d6)
δ 4.41(s, 2H), 7.31(dd, J=7.6, 4.9Hz, 1H), 7.42(d, J=9.0Hz, 2H), 7.47(dd, J=5.0, 1.5Hz, 1H), 7.67(d, J=0.7Hz, 1H), 7.73(d, J=9.0Hz, 2H), 8.00(dd, J=7.6, 1.7Hz, 1H), 8.27(dd, J=5.0, 0.7Hz, 1H), 8.60(dd, J=4.9, 1.7Hz, 1H), 10.61(s, 1H)
2-(2-브로모피리딘-4-일메틸티오)-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3-7)
1H-NMR(400MHz, DMSO-d6)
δ 4.41(s, 2H), 7.16(t, J=74.2Hz, 1H), 7.19(d, J=8.8Hz, 2H), 7.31(dd, J=7.6, 4.9Hz, 1H), 7.47(dd, J=5.1, 1.5Hz, 1H), 7.67(s, 1H), 7.73(d, J=8.8Hz, 2H), 7.99(dd, J=7.6, 1.7Hz, 1H), 8.27(d, J=5.1Hz, 1H), 8.59(dd, J=4.9, 1.7Hz, 1H), 10.56(s, 1H)
참고예 4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탄올(참고 화합물 4-1)
실온 하에서 (2-아미노피리딘-4-일)메탄올(3.0 g, 24 mmol)의 tert-부탄올(60 ㎖) 용액에 디-tert-부틸디카르보네이트(7.1 g, 32 mmol)를 첨가하여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한 후, 얻어진 잔류물에 아세트산에틸(20 ㎖)을 첨가하여 불용물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한 후,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기 참고 화합물 3.6 g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수율 60%).
Figure 112006066828628-PCT00028
1H-NMR(500MHz, CDCl3)
δ 1.56(s, 9H), 1.86(t, J=6.1Hz, 1H), 4.73(d, J=6.1Hz, 2H), 7.00(d, J=5.2Hz, 1H), 7.53(br s, 1H), 7.92(s, 1H), 8.21(d, J=5.2Hz, 1H)
참고예 5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피리딘(참고 화합물 5-1)
실온 하에서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탄올(참고 화합물 4-1, 6.2 g, 28 mmo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120 ㎖) 용액에 이미다졸(2.1 g, 31 mmol) 및 염화tert-부틸디메틸실릴(4.4 g, 29 mmol)을 첨가하여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아세트산에틸(300 ㎖)을 첨가하여 물(750 ㎖)과 포화 식염수(200 ㎖)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표기 참고 화합물 9.0 g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96%).
Figure 112006066828628-PCT00029
1H-NMR(400MHz, DMSO-d6)
δ 0.09(s, 6H), 0.92(s, 9H), 1.46(s, 9H), 4.72(s, 2H), 6.93(dd, J=4.9, 0.9Hz, 1H), 7.78(s, 1H), 8.16(d, J=4.9Hz, 1H), 9.67(s, 1H)
참고예 6
2-(N-ter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 피리딘(참고 화합물 6-1)
60% 수소화나트륨(310 ㎎, 7.6 mmol)을 헥산(5.0 ㎖)으로 세정하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20 ㎖)에 현탁시켰다. 빙냉 하에서 그 현탁액에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피리딘(참고 화합물 5-1, 1.3 g, 3.7 mmol)을 15분간 걸쳐 적하하고, 요오드화메틸(2.4 ㎖, 39 mmol)을 더 첨가하여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현탁액에 물(70 ㎖)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100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조수(50 ㎖)와 포화 식염수(100 ㎖)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그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표기 참고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1.4 g을 주황색 적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Figure 112006066828628-PCT00030
1H-NMR(500MHz, CDCl3)
δ 0.11(s, 6H), 0.95(s, 9H), 1.51(s, 9H), 3.39(s, 3H), 4.73(s, 2H), 7.01(d, J=5.2Hz, 1H), 7.57(s, 1H), 8.31(d, J=5.2Hz, 1H)
참고예 7
[2-(N-ter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탄올(참고 화합물 7-1)
실온 하에서 2-(N-ter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tert-부틸디메틸실 릴옥시메틸)피리딘(참고 화합물 6-1, 1.4 g, 3.7 mmol)의 테트라히드로푸란(20 ㎖) 용액에 테트라-n-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3수화물(1.3 g, 4.2 mmol)의 테트라히드로푸란(20 ㎖) 용액을 5분간에 걸쳐 첨가하여 15분간 더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아세트산에틸(50 ㎖) 및 물(100 ㎖)을 첨가하여 분배하고, 그 수층을 아세트산에틸(50 ㎖)로 더 추출하였다. 이들의 유기층을 합하여 포화 식염수(100 ㎖)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그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한 후,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기 참고 화합물 450 ㎎을 적갈색 유상물로서 얻었다(수율 50%).
Figure 112006066828628-PCT00031
1H-NMR(500MHz, CDCl3)
δ 1.53(s, 9H), 1.93(t, J=5.6Hz, 1H), 3.40(s, 3H), 4.73(d, J=5.6Hz, 2H), 7.02(d, J=5.1Hz, 1H), 7.70(s, 1H), 8.34(d, J=5.1Hz, 1H)
참고예 8
4-브로모메틸-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참고 화합물 8-1)
빙냉 하에서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탄올(참고 화합물 4-1, 690 ㎎, 3.1 mmol)의 염화메틸렌(20 ㎖) 용액에 트리페닐포스핀(970 ㎎, 3.7 mmol) 및 4브롬화탄소(1.5 g, 4.6 mmo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아세트산에틸(30 ㎖)을 첨가하여 포화 중조수(20 ㎖)와 포화 식염수(20 ㎖)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얻어진 고체를 아세트산에틸로 여과하여 취하여 표기 참고 화합물 550 ㎎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62%).
Figure 112006066828628-PCT00032
1H-NMR(400MHz, CDCl3)
δ 1.54(s, 9H), 4.38(s, 2H), 6.99(d, J=5.1Hz, 1H), 7.61(br s, 1H), 7.98(s, 1H), 8.22(d, J=5.1Hz, 1H)
이하, 참고 화합물 7-1,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참고 화합물 8-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참고 화합물 8-2∼3을 얻었다.
4-브로모메틸-2-(N-ter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피리딘(참고 화합물 8-2)
1H-NMR(500MHz, DMSO-d6)
δ 1.48(s, 9H), 3.29(s, 3H), 4.67(s, 2H), 7.17(d, J=5.1Hz, 1H), 7.70(s, 1H), 8.35(d, J=5.1Hz, 1H)
4-브로모메틸-2-프탈로일아미노피리딘(참고 화합물 8-3)
1H-NMR(500MHz, CDCl3)
δ 4.48(s, 2H), 7.39(dd, J=5.2, 1.5Hz, 1H), 7.48(s, 1H), 7.80-7.84(m, 2H), 7.96-8.00(m, 2H), 8.67(d, J=5.2Hz, 1H)
참고예 9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실산(참고 화합물 9-1)
빙냉 하에서 4-브로모메틸-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참고 화합물 8-1, 500 ㎎, 1.7 mmol)과 2-머캅토니코틴산(270 ㎎, 1.7 mmo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3.0 ㎖)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75 ㎖, 5.4 mmo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2.0 ㎖) 용액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아세트산에틸(20 ㎖)을 첨가하여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으로 추출하였다. 수층을 1N 염산에 의해 pH 5로 하고, 석출되는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그 결정을 감압 하에 60℃에서 건조시켜 표기 참고 화합물 560 ㎎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수율 88%).
Figure 112006066828628-PCT00033
1H-NMR(500MHz, DMSO-d6)
δ 1.46(s, 9H), 4.35(s, 2H), 7.05(d, J=5.2Hz, 1H), 7.26(dd, J=7.9, 4.9Hz, 1H), 7.87(s, 1H), 8.12(d, J=5.2Hz, 1H), 8.23(dd, J=7.9, 1.8Hz, 1H), 8.63(dd, J=4.9, 1.8Hz, 1H), 9.67(s, 1H), 13.50(br s, 1H)
이하, 참고 화합물 8-2, 8-3,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참고 화합물 9-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참고 화합물 9-2∼6을 얻었다.
2-[2-(N-ter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실산(참고 화합물 9-2)
1H-NMR(500MHz, DMSO-d6)
δ 1.40(s, 9H), 3.25(s, 3H), 4.38(s, 2H), 7.17(dd, J=5.2, 1.5Hz, 1H), 7.27(dd, J=7.6, 4.9Hz, 1H), 7.61(s, 1H), 8.21-8.26(m, 2H), 8.63(dd, J=4.9, 1.8Hz, 1H), 13.49(br s, 1H)
2-(2-프탈로일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실산(참고 화합물 9-3)
1H-NMR(400MHz, DMSO-d6)
δ 4.46(s, 2H), 7.27(dd, J=7.7, 4.8Hz, 1H), 7.56(d, J=5.1Hz, 1H), 7.61(s, 1H), 7.91-8.00(m, 4H), 8.23(dd, J=7.7, 1.8Hz, 1H), 8.52(d, J=5.1Hz, 1H), 8.63(dd, J=4.8, 1.8Hz, 1H), 13.55(br s, 1H)
2-[2-(5-시아노티아졸-2-일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실산(참고 화합물 9-4)
1H-NMR(400MHz, DMSO-d6)
δ 4.39(s, 2H), 7.12(d, J=5.1Hz, 1H), 7.21(s, 1H), 7.27(dd, J=7.8, 4.6Hz, 1H), 8.23(dd, J=7.8, 1.7Hz, 1H), 8.25(s, 1H), 8.29(d, J=5.1Hz, 1H), 8.62(dd, J=4.6, 1.7Hz, 1H), 12.19(s, 1H), 13.52(br 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안식향산(참고 화합물 9-5)
1H-NMR(500MHz, DMSO-d6)
δ 1.47(s, 9H), 4.22(s, 2H), 7.09(d, J=5.2Hz, 1H), 7.22(t, J=7.6Hz, 1H), 7.42(d, J=7.6Hz, 1H), 7.47(t, J=7.6Hz, 1H), 7.88(s, 1H), 7.89(d, J=7.6Hz, 1H), 8.16(d, J=5.2Hz, 1H), 9.74(s, 1H), 13.10(br s, 1H)
3-(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티오펜-2-카르복실산(참고 화합물 9-6)
1H-NMR(400MHz, DMSO-d6)
δ 1.47(s, 9H), 4.33(s, 2H), 7.09(d, J=5.1Hz, 1H), 7.17(d, J=5.1Hz, 1H), 7.85(d, J=5.1Hz, 1H), 7.90(s, 1H), 8.17(d, J=5.1Hz, 1H), 9.76(s, 1H), 13.04(br s, 1H)
참고예 10
N-(3,5-디메틸페닐)-2-티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10-1)
빙냉 하에서 2-머캅토니코틴산(90 g, 0.58 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660 ㎖)에 현탁시키고, 카르보닐디이미다졸(110 g, 0.70 mo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물(5.4 ㎖)을 첨가하여 40분간 교반한 후, 3,5-크실리딘(76 ㎖, 0.61 mol)을 첨가하여 60℃에서 16시간 교반하였다. 방냉한 후, 물(1.3 ℓ)을 첨가하여 석출되는 고체를 여과하여 취하고, 감압 하에서 45℃로 가열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표기 참고 화합물 130 g을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89%).
Figure 112006066828628-PCT00034
1H-NMR(500MHz, DMSO-d6)
δ 2.27(s, 6H), 6.77(s, 1H), 7.10(dd, J=7.6, 6.0Hz, 1H), 7.34(s, 2H), 8.03(dd, J=6.0, 1.8Hz, 1H), 8.55(dd, J=7.6, 1.8Hz, 1H), 12.90(s, 1H), 14.18(s, 1H)
이하,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참고 화합물 10-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참고 화합물 10-2∼10을 얻었다.
2-티옥소-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사미 드(참고 화합물 10-2)
1H-NMR(500MHz, DMSO-d6)
δ 7.08(dd, J=7.5, 5.8Hz, 1H), 7.39(d, J=8.8Hz, 2H), 7.82(d, J=8.8Hz, 2H), 8.03(dd, J=5.8, 1.8Hz, 1H), 8.48(dd, J=7.5, 1.8Hz, 1H), 12.91(s, 1H), 14.19(s, 1H)
N-(4-클로로페닐)-2-티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10-3)
1H-NMR(400MHz, DMSO-d6)
δ 7.08(dd, J=7.6, 6.1Hz, 1H), 7.43(d, J=8.7Hz, 2H), 7.74(d, J=8.7Hz, 2H), 8.03(dd, J=6.1, 1.8Hz, 1H), 8.48(dd, J=7.6, 1.8Hz, 1H), 12.90(s, 1H), 14.19(s, 1H)
N-(인단-5-일)-2-티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10-4)
1H-NMR(400MHz, DMSO-d6)
δ 1.98-2.06(m, 2H), 2.81-2.89(m, 4H), 7.09(dd, J=7.6, 4.8Hz, 1H), 7.20(d, J=8.1Hz, 1H), 7.43(dd, J=8.1, 2.0Hz, 1H), 7.62(s, 1H), 8.03(dd, J=4.8, 1.7Hz, 1H), 8.55(dd, J=7.6, 1.7Hz, 1H), 12.93(s, 1H), 14.18(s, 1H)
N-(4-tert-부틸페닐)-2-티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 합물 10-5)
1H-NMR(400MHz, DMSO-d6)
δ 1.28(s, 9H), 7.09(dd, J=7.6, 5.9Hz, 1H), 7.39(d, J=8.8Hz, 2H), 7.62(d, J=8.8Hz, 2H), 8.03(dd, J=5.9, 1.9Hz, 1H), 8.55(dd, J=7.6, 1.9Hz, 1H), 12.90(s, 1H), 14.19(s, 1H)
N-(3-메틸페닐)-2-티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10-6)
1H-NMR(400MHz, DMSO-d6)
δ 2.32(s, 3H), 6.95(d, J=7.6Hz, 1H), 7.10(dd, J=7.6, 5.9Hz, 1H), 7.25(t, J=7.6Hz, 1H), 7.52-7.55(m, 2H), 8.03(dd, J=5.9, 2.0Hz, 1H), 8.54(dd, J=7.6, 2.0Hz, 1H), 12.91(s, 1H), 14.19(s, 1H)
2-티옥소-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10-7)
1H-NMR(500MHz, DMSO-d6)
δ 7.09(dd, J=7.6, 5.8Hz, 1H), 7.74(d, J=8.4Hz, 2H), 7.92(d, J=8.4Hz, 2H), 8.04(dd, J=5.8, 1.8Hz, 1H), 8.47(dd, J=7.6, 1.8Hz, 1H), 13.04(s, 1H), 14.20(br s, 1H)
N-(3-클로로페닐)-2-티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10-8)
1H-NMR(500MHz, DMSO-d6)
δ 7.08(dd, J=7.6, 5.8Hz, 1H), 7.19(d, J=7.9Hz, 1H), 7.40(t, J=7.9Hz, 1H), 7.52(d, J=7.9Hz, 1H), 7.96(t, J=2.0Hz, 1H), 8.03(dd, J=5.8, 1.8Hz, 1H), 8.46(dd, J=7.6, 1.8Hz, 1H), 12.90(s, 1H), 14.19(br s, 1H)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10-9)
1H-NMR(500MHz, DMSO-d6)
δ 7.09(dd, J=7.5, 4.8Hz, 1H), 7.18(t, J=74.6Hz, 1H), 7.20(d, J=9.1Hz, 2H), 7.75(d, J=9.1Hz, 2H), 8.03(dd, J=4.8, 1.9Hz, 1H), 8.51(dd, J=7.5, 1.9Hz, 1H), 12.90(s, 1H), 14.18(s, 1H)
N-(이소퀴놀린-3-일)-2-티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10-10)
1H-NMR(400MHz, DMSO-d6)
δ 7.15(dd, J=7.8, 6.1Hz, 1H), 7.58(t, J=7.5Hz, 1H), 7.75(t, J=7.0Hz, 1H), 7.97(d, J=8.1Hz, 1H), 8.08-8.10(m, 2H), 8.69-8.72(m, 2H), 9.19(s, 1H), 13.71(s, 1H), 14.24(s, 1H)
참고예 11
4-아세톡시메틸-2-아세틸아미노피리딘(참고 화합물 11-1)
빙냉 하에서 (2-아미노피리딘-4-일)메탄올(5.0 g, 40 mmol)을 피리딘(20 ㎖)에 현탁시키고, 무수 아세트산(11 ㎖, 120 mmo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아세트산에틸(150 ㎖)을 첨가하여 물(150 ㎖), 포화 중조수(150 ㎖), 포화 식염수(150 ㎖)로 순차 세정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헥산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취하고, 감압 하에서 40℃로 가열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표기 참고 화합물 6.7 g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79%).
Figure 112006066828628-PCT00035
1H-NMR(500MHz, DMSO-d6)
δ 2.09(s, 3H), 2.11(s, 3H), 5.11(s, 2H), 7.04(d, J=5.2Hz, 1H), 8.05(s, 1H), 8.27(d, J=5.2Hz, 1H), 10.51(s, 1H)
참고예 12
(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탄올(참고 화합물 12-1)
빙냉 하에서 4-아세톡시메틸-2-아세틸아미노피리딘(참고 화합물 11-1, 6.6 g, 32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20 ㎖)에 용해하고,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9 ㎖, 38 mmol)을 적하하였다. 실온에서 40분간 교반한 후, 물(100 ㎖)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80 ㎖)로 6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 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얻어진 고체를 아세트산에틸과 헥산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취하고, 감압 하에서 40℃로 가열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표기 참고 화합물 4.5 g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86%).
Figure 112006066828628-PCT00036
1H-NMR(400MHz, DMSO-d6)
δ 2.08(s, 3H), 4.50(d, J=5.9Hz, 2H), 5.40(t, J=5.9Hz, 1H), 7.01(d, J=4.9Hz, 1H), 8.05(s, 1H), 8.20(d, J=4.9Hz, 1H), 10.38(s, 1H)
참고예 13
2-아세틸아미노-4-메탄술포닐옥시메틸피리딘(참고 화합물 13-1)
빙냉 하에서 (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탄올(참고 화합물 12-1, 1.0 g, 6.0 mmol)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9.0 ㎖)에 트리에틸아민(1.7 ㎖, 12 mmol)과 염화메탄술포닐(0.70 ㎖, 9.0 mmol)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3.0 ㎖)을 첨가하여 2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물(30 ㎖)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40 ㎖)로 3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얻어진 고체를 헥산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취하고, 감압 하에 40℃에서 건조시킴으로써, 표기 참고 화합물 1.3 g을 황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87%).
Figure 112006066828628-PCT00037
1H-NMR(400MHz, CDCl3)
δ 2.22(s, 3H), 3.08(s, 3H), 5.25(s, 2H), 7.10(dd, J=5.2, 1.8Hz, 1H), 8.18(s, 1H), 8.23(s, 1H), 8.30(d, J=5.2Hz, 1H)
참고예 14
2-아미노-4-브로모메틸피리딘 브롬화수소산염(참고 화합물 14-1)
실온 하에서 (2-아미노피리딘-4-일)메탄올(15 g, 12 mmol)을 47% 브롬화수소 수용액(120 ㎖, 72 mmol)에 현탁시켜 외부 온도 120℃에서 6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15시간 더 교반한 후, 석출한 고체를 여과하여 취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였다. 고체를 감압 하에 건조시키고, 표기 참고 화합물 23 g을 회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71%).
Figure 112006066828628-PCT00038
1H-NMR(400MHz, DMSO-d6)
δ 4.69(s, 2H), 6.88(dd, J=6.8, 1.7Hz, 1H), 7.04(s, 1H), 7.94(d, J=6.8Hz, 1H), 8.13(br s, 2H), 13.28(br s, 1H)
실시예 1
N-(3,5-디메틸페닐)-2-[2-(4-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
실온 하에서 N-(3,5-디메틸페닐)-2-(2-플루오로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3-1, 100 ㎎, 0.27 mmol)에 N-메틸피페라진(2.0 ㎖)을 첨가하여 관을 밀봉하고, 15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그 반응 용액에 아세트산에틸(20 ㎖)을 첨가하여 포화 식염수(20 ㎖)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얻어진 고체를 아세트산에틸로 여과하여 취하여 표적 화합물 39 ㎎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수율 32%).
Figure 112006066828628-PCT00039
1H-NMR(500MHz, DMSO-d6)
δ 2.19(s, 3H), 2.25(s, 6H), 2.35(t, J=5.0Hz, 4H), 3.42(t, J=5.0Hz, 4H), 4.31(s, 2H), 6.64(dd, J=5.2, 1.2Hz, 1H), 6.76(s, 1H), 6.84(s, 1H), 7.28(dd, J=7.5, 4.9Hz, 1H), 7.32(s, 2H), 7.91(dd, J=7.5, 1.8Hz, 1H), 7.99(d, J=5.2Hz, 1H), 8.59(dd, J=4.9, 1.8Hz, 1H), 10.30(s, 1H)
이하, 참고 화합물 3-1∼3,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화합물 1-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화합물 1-2∼21을 얻었다.
2-(2-시클로프로필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
1H-NMR(500MHz, CDCl3)
δ 0.48-0.53(m, 2H), 0.73-0.77(m, 2H), 2.32(s, 6H), 2.46(m, 1H), 4.41(s, 2H), 5.20(br s, 1H), 6.67(d, J=5.2Hz, 1H), 6.79(s, 1H), 6.81(s, 1H), 7.13(dd, J=7.6, 4.9Hz, 1H), 7.24(s, 2H), 7.88-7.91(m, 2H), 7.93(d, J=5.2Hz, 1H), 8.91(dd, J=4.9, 1.8Hz, 1H)
2-[2-(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
1H-NMR(500MHz, DMSO-d6)
δ 2.13(s, 6H), 2.25(s, 6H), 2.33(t, J=7.0Hz, 2H), 2.94(s, 3H), 3.56(t, J=7.0Hz, 2H), 4.30(s, 2H), 6.53(d, J=5.2Hz, 1H), 6.60(s, 1H), 6.76(s, 1H), 7.28(dd, J=7.6, 4.9Hz, 1H), 7.31(s, 2H), 7.90(dd, J=7.6, 1.5Hz, 1H), 7.93(d, J=5.2Hz, 1H), 8.59(dd, J=4.9, 1.5Hz, 1H), 10.30(s, 1H)
N-(3,5-디메틸페닐)-2-(2-모르폴리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
1H-NMR(500MHz, CDCl3)
δ 2.32(s, 6H), 3.47(t, J=4.9Hz, 4H), 3.80(t, J=4.9Hz, 4H), 4.40(s, 2H), 6.70(s, 1H), 6.72(d, J=5.2Hz, 1H), 6.82(s, 1H), 7.15(dd, J=7.6, 4.8Hz, 1H), 7.24(s, 2H), 7.76(s, 1H), 7.90(dd, J=7.6, 1.5Hz, 1H), 8.10(d, J=5.2Hz, 1H), 8.54(dd, J=4.8, 1.5Hz, 1H)
N-(3,5-디메틸페닐)-2-[2-(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
1H-NMR(500MHz, DMSO-d6)
δ 1.46-1.60(m, 6H), 2.25(s, 6H), 3.46(t, J=5.2Hz, 4H), 4.30(s, 2H), 6.58(d, J=6.1Hz, 1H), 6.76(s, 1H), 6.82(s,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91(m, 1H), 7.96(m, 1H), 8.58(dd, J=4.9, 1.8Hz, 1H), 10.30(s, 1H)
2-[2-(4-아세틸피페라진-1-일)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
1H-NMR(500MHz, CDCl3)
δ 2.13(s, 3H), 2.32(s, 6H), 3.46-3.49(m, 2H), 3.54-3.56(m, 2H), 3.59-3.61(m, 2H), 3.70-3.73(m, 2H), 4.39(s, 2H), 6.72(m, 1H), 6.82(s, 1H), 7.00(s, 1H), 7.15(dd, J=7.6, 4.8Hz, 1H), 7.24(s, 2H), 7.75(s, 1H), 7.89(dd, J=7.6, 1.7Hz, 1H), 8.09(dd, J=4.6, 1.2Hz, 1H), 8.54(dd, J=4.8, 1.7Hz, 1H)
2-[2-(4-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
1H-NMR(400MHz, CDCl3)
δ1.47(s, 9H), 2.29(s, 6H), 3.49(br s, 8H), 4.36(s, 2H), 6.68(d, J=5.3Hz, 1H), 6.70(s, 1H), 6.80(s, 1H), 7.08(dd, J=7.6, 4.9Hz, 1H), 7.29(s, 2H), 7.85(dd, J=7.6, 1.7Hz, 1H), 8.05(s, 1H), 8.07(d, J=5.3Hz, 1H), 8.51(dd, J=4.9, 1.7Hz, 1H)
N-(3,5-디메틸페닐)-2-[2-(N-(2-히드록시에틸)-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8)
1H-NMR(500MHz, CDCl3)
δ 2.17(s, 1H), 2.32(s, 6H), 3.02(s, 3H), 3.66(t, J=5.0Hz, 2H), 3.79(t, J=5.0Hz, 2H), 4.38(s, 2H), 6.59(s, 1H), 6.63(dd, J=5.2, 1.8Hz, 1H), 6.81(s, 1H), 7, 13(dd, J=7.6, 4.9Hz, 1H), 7.24(s, 2H), 7.87(s, 1H), 7.89(dd, J=7.6, 1.5Hz, 1H), 7.94(d, J=5.2Hz, 1H), 8.53(dd, J=4.9, 1.5Hz, 1H)
N-(3,5-디메틸페닐)-2-[2-(4-히드록시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9)
1H-NMR(500MHz, CDCl3)
δ 1.43(s, 1H), 1.48-1.61(m, 2H), 1.92-1.98(m, 2H), 2.32(s, 6H), 3.09-3.14(m, 2H), 3.90(m, 1H), 4.01-4.06(m, 2H), 4.38(s, 2H), 6.64(dd, J=5.1, 1.1Hz, 1H), 6.73(s, 1H), 6.82(s, 1H), 7.14(dd, J=7.6, 4.8Hz, 1H), 7.24(s, 2H), 7.79(s, 1H), 7.90(d, J=4.8Hz, 1H), 8.08(d, J=5.1Hz, 1H), 8.55(dd, J=4.8, 1.8Hz, 1H)
N-(인단-5-일)-2-(2-모르폴리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0)
1H-NMR(500MHz, CDCl3)
δ 2.03-2.13(m, 2H), 2.85-2.94(m, 4H), 3.47(t, J=4.9Hz, 4H), 3.80(t, J=4.9Hz, 4H), 4.39(s, 2H), 6.68-6.72(m, 2H), 7.15(dd, J=7.6, 4.8Hz, 1H), 7.19(d, J=8.3Hz, 1H), 7.24(s, 1H), 7.58(s, 1H), 7.81(s, 1H), 7.91(d, J=7.6Hz, 1H), 8.10(d, J=5.2Hz, 1H), 8.54(dd, J=4.8, 1.8Hz, 1H)
2-[2-(4-아세틸피페라진-1-일)피리딘-4-일메틸티오]-N-(인단-5-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1)
1H-NMR(500MHz, CDCl3)
δ 2.09(t, J=7.3Hz, 2H), 2.13(s, 3H), 2.87-2.94(m, 4H), 3.47(t, J=5.2Hz, 2H), 3.53-3.58(m, 2H), 3.59-3.62(m, 2H), 3.72(t, J=5.2Hz, 2H), 4.39(s, 2H), 6.72(m, 2H), 7.15(dd, J=7.6, 4.8Hz, 1H), 7.19(d, J=8.9Hz, 1H), 7.24(s, 1H), 7.58(s, 1H), 7.80(s, 1H), 7.91(d, J=6.7Hz, 1H), 8.09(m, 1H), 8.54(dd, J=4.8, 1.8Hz, 1H)
2-(2-모르폴리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2)
1H-NMR(500MHz, DMSO-d6)
δ 3.38(t, J=4.8Hz, 4H), 3.66(t, J=4.8Hz, 4H), 4.33(s, 2H), 6.70(dd, J=5.2, 1.2Hz, 1H), 6.86(s, 1H), 7.31(dd, J=7.6, 4.9Hz, 1H), 7.37(d, J=8.6Hz, 2H), 7.80(d, J=8.6Hz, 2H), 7.97(dd, J=7.6, 1.8Hz, 1H), 8.01(d, J=5.2Hz, 1H), 8.62(dd, J=4.9, 1.8Hz, 1H), 10.66(s, 1H)
2-[2-(4-아세틸피페라진-1-일)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3)
1H-NMR(400MHz, CDCl3)
δ 2.05(s, 3H), 3.44-3.49(m, 2H), 3.52-3.57(m, 2H), 3.59-3.63(m, 2H), 3.68-3.73(m, 2H), 4.40(s, 2H), 6.70-6.73(m, 2H), 7.17(dd, J=7.6, 4.9Hz, 1H), 7.23(d, J=8.3Hz, 2H), 7.64(d, J=8.3Hz, 2H), 7.92(dd, J=7.6, 1.7Hz, 1H), 7.98(s, 1H), 8.10(dd, J=5.1, 0.7Hz, 1H), 8.57(dd, J=4.9, 1.7Hz, 1H)
N-(3,5-디메틸페닐)-2-[2-(4-에톡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4)
1H-NMR(400MHz, DMSO-d6)
δ 1.15-1.21(m, 3H), 2.25(s, 6H), 3.18-3.40(m, 2H), 3.41-3.48(m, 6H), 4.03-4.09(m, 2H), 4.32(s, 2H), 6.68(d, J=5.0Hz, 1H), 6.76(s, 1H), 6.88(s,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91(dd, J=7.6, 1.7Hz, 1H), 8.00(d, J=5.0Hz, 1H), 8.59(dd, J=4.9, 1.7Hz, 1H), 10.31(s, 1H)
N-(3,5-디메틸페닐)-2-(2-티오모르폴리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5)
1H-NMR(400MHz, DMSO-d6)
δ 2.25(s, 6H), 2.49-2.56(m, 4H), 3.84-3.87(m, 4H), 4.30(s, 2H), 6.62(d, J=5.3Hz, 1H), 6.76(s, 1H), 6.86(s,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91(dd, J=7.6, 1.7Hz, 1H), 7.98(d, J=5.3Hz, 1H), 8.59(dd, J=4.9, 1.7Hz, 1H), 10.31(s, 1H)
N-(3,5-디메틸페닐)-2-[2-(3-히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6)
1H-NMR(500MHz, DMSO-d6)
δ 1.14(m, 1H), 1.37-1.74(m, 4H), 2.25(s, 6H), 2.71-2.77(m, 2H), 3.24-3.35(m, 2H), 4.12(d, J=13.1Hz, 1H), 4.24(d, J=13.1Hz, 1H), 4.29(s, 2H), 4.54(t, J=5.2Hz, 1H), 6.58(d, J=5.2Hz, 1H), 6.76(s, 1H), 6.82(s, 1H), 7.27(dd, J=7.6, 4.9Hz, 1H), 7.32(s, 2H), 7.91(dd, J=7.6, 1.6Hz, 1H), 7.95(d, J=5.2Hz, 1H), 8.59(dd, J=4.9, 1.6Hz, 1H), 10.30(s, 1H)
2-[2-((2S)-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피롤리딘-1-일)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7)
1H-NMR(400MHz, DMSO-d6)
δ 1.90-2.00(m, 2H), 2.25(s, 6H), 2.76(s, 3H), 3.08(s, 3H), 3.20-3.45(m, 4H), 4.27(d, J=13.6Hz, 1H), 4.33(d, J=13.6Hz, 1H), 4.87(m, 1H), 6.41(s, 1H), 6.53(dd, J=5.4, 1.3Hz, 1H), 6.75(s, 1H), 7.27(dd, J=7.5, 4.9Hz, 1H), 7.32(s, 2H), 7.87(d, J=5.4Hz, 1H), 7.89(dd, J=7.5, 1.7Hz, 1H), 8.59(dd, J=4.9, 1.7Hz, 1H), 10.32(s, 1H)
2-[2-(3-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1-일)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8)
1H-NMR(400MHz, DMSO-d6)
δ 1.75(m, 1H), 2.11(m, 1H), 2.17(s, 6H), 2.25(s, 6H), 2.74(m, 1H), 3.04(m, 1H), 3.28(m, 1H), 3.50(t, J=8.5Hz, 1H), 3.60(dd, J=9.8, 7.1Hz, 1H), 4.30(s, 2H), 6.48(s, 1H), 6.54(dd, J=5.1, 1.2Hz, 1H), 6.76(s, 1H), 7.27(dd, J=7.8, 5.0Hz, 1H), 7.32(s, 2H), 7.89-7.93(m, 2H), 8.59(dd, J=5.0, 1.7Hz, 1H), 10.30(s, 1H)
N-(3,5-디메틸페닐)-2-[2-(2-히드록시에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9)
1H-NMR(400MHz, CDCl3)
δ 2.32(s, 6H), 2.88(s, 1H), 3.43(t, J=4.6Hz, 2H), 3.74(t, J=4.6Hz, 2H), 4.34(s, 2H), 5.08(s, 1H), 6.52(s, 1H), 6.63(dd, J=5.4, 1.2Hz, 1H), 6.81(d, J=0.8Hz, 1H), 7.11(dd, J=7.8, 4.8Hz, 1H), 7.24(s, 2H), 7.83-7.93(m, 3H), 8.51(dd, J=4.8, 1.7Hz, 1H)
N-(3,5-디메틸페닐)-2-(2-n-펜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0)
1H-NMR(500MHz, CDCl3)
δ 0.86-0.92(m, 3H), 1.20-1.38(m, 4H), 1.55-1.60(m, 2H), 2.31(s, 6H), 3.18-3.20(m, 2H), 4.35(s, 2H), 4.57(s, 1H), 6.41(s, 1H), 6.58(dd, J=5.2, 1.5Hz, 1H), 6.80(s, 1H), 7.09(dd, J=7.6, 4.9Hz, 1H), 7.24(s, 2H), 7.86(dd, J=7.6, 1.7Hz, 1H), 7.94(d, J=5.2Hz, 1H), 8.02(s, 1H), 8.51(dd, J=4.9, 1.7Hz, 1H)
N-(3,5-디메틸페닐)-2-[2-(4-에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1)
1H-NMR(500MHz, DMSO-d6)
δ 1.18(t, J=7.0Hz, 3H), 1.48-1.51(m, 2H), 1.82-1.86(m, 2H), 2.25(s, 6H), 2.57(m, 1H), 2.86-2.93(m, 2H), 4.06(q, J=7.0Hz, 2H), 4.13-4.16(m, 2H), 4.30(s, 2H), 6.62(dd, J=5.2, 1.1Hz, 1H), 6.76(s, 1H), 6.87(s,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91(dd, J=7.6, 1.7Hz, 1H), 7.98(d, J=5.2Hz, 1H), 8.59(dd, J=4.9, 1.7Hz, 1H), 10.31(s, 1H)
실시예 2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1)
실온 하에서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실산(참고 화합물 9-1, 500 ㎎, 1.4 mmol)과 3,5-크실리딘(180 ㎎, 1.5 mmol)으로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72 ㎖, 4.1 mmo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7 ㎖) 용액에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우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630 ㎎, 1.7 mmol)를 첨가하여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아세트산에틸(30 ㎖)을 첨가하여 포화 식염수(50 ㎖)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써 정제하여 표적 화합물 670 ㎎을 무색 고체로서 정량적으로 얻었다.
Figure 112006066828628-PCT00040
1H-NMR(500MHz, DMSO-d6)
δ 1.45(s, 9H), 2.25(s, 6H), 4.38(s, 2H), 6.76(s, 1H), 7.03(d, J=5.2Hz,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87(s, 1H), 7.92(dd, J=7.6, 1.8Hz, 1H), 8.11(d, J=5.2Hz, 1H), 8.57(dd, J=4.9, 1.8Hz, 1H), 9.66(s, 1H), 10.30(br s, 1H)
이하, 참고 화합물 9-1∼6,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화합물 2-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화합물 2-2∼36을 얻었다.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2)
1H-NMR(500MHz, DMSO-d6)
δ 1.20(d, J=7.0Hz, 6H), 1.45(s, 9H), 2.86(m, 1H), 4.39(s, 2H), 7.00(d, J=7.6Hz, 1H), 7.04(dd, J=4.9, 1.5Hz, 1H), 7.24-7.30(m, 2H), 7.51(d, J=7.6Hz, 1H), 7.59(s, 1H), 7.87(s, 1H), 7.96(dd, J=7.6, 1.5Hz, 1H), 8.11(m, 1H), 8.58(dd, J=4.9, 1.5Hz, 1H), 9.66(s, 1H), 10.39(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인단-5-일)피리딘- 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3)
1H-NMR(500MHz, DMSO-d6)
δ 1.45(s, 9H), 1.98-2.04(m, 2H), 2.80-2.89(m, 4H), 4.38(s, 2H), 7.03(dd, J=4.9, 1.5Hz, 1H), 7.17(d, J=8.2Hz, 1H), 7.28(dd, J=7.6, 4.9Hz, 1H), 7.38(d, J=8.2Hz, 1H), 7.61(s, 1H), 7.87(s, 1H), 7.93(dd, J=7.6, 1.5Hz, 1H), 8.11(d, J=4.9Hz, 1H), 8.57(dd, J=4.9, 1.5Hz, 1H), 9.67(s, 1H), 10.33(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4)
1H-NMR(500MHz, DMSO-d6)
δ 1.45(s, 9H), 4.39(s, 2H), 7.03(d, J=5.2Hz, 1H), 7.30(dd, J=7.6, 4.9Hz, 1H), 7.37(d, J=8.2Hz, 2H), 7.81(d, J=8.2Hz, 2H), 7.87(s, 1H), 7.98(dd, J=7.6, 1.8Hz, 1H), 8.11(d, J=5.2Hz, 1H), 8.60(dd, J=4.9, 1.8Hz, 1H), 9.67(s, 1H), 10.66(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tert-부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5)
1H-NMR(500MHz, DMSO-d6)
δ 1.27(s, 9H), 1.45(s, 9H), 4.38(s, 2H), 7.03(d, J=5.2Hz, 1H), 7.28(dd, J=7.6, 4.9Hz, 1H), 7.36(d, J=8.8Hz, 2H), 7.60(d, J=8.8Hz, 2H), 7.87(s, 1H), 7.94(dd, J=7.6, 1.5Hz, 1H), 8.11(d, J=5.2Hz, 1H), 8.58(dd, J=4.9, 1.5Hz, 1H), 9.67(s, 1H), 10.39(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1H-인다졸-6-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6)
1H-NMR(500MHz, DMSO-d6)
δ 1.45(s, 9H), 4.40(s, 2H), 7.04(d, J=5.2Hz, 1H), 7.24(d, J=8.3Hz, 1H), 7.31(dd, J=7.6, 4.9Hz, 1H), 7.69(d, J=8.3Hz, 1H), 7.87(s, 1H), 7.97-8.00(m, 2H), 8.11(d, J=5.2Hz, 1H), 8.21(s, 1H), 8.60(dd, J=4.9, 1.6Hz, 1H), 9.68(s, 1H), 10.60(s, 1H), 12.95(s, 1H)
2-[2-(N-ter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7)
1H-NMR(500MHz, DMSO-d6)
δ 1.41(s, 9H), 2.25(s, 6H), 3.24(s, 3H), 4.41(s, 2H), 6.76(s, 1H), 7.15(d, J=5.2Hz, 1H), 7.28(dd, J=7.6, 4.9Hz, 1H), 7.31(s, 2H), 7.64(s, 1H), 7.93(dd, J=7.6, 1.5Hz, 1H), 8.25(d, J=5.2Hz, 1H), 8.58(dd, J=4.9, 1.5Hz, 1H), 10.29(s, 1H)
2-[2-(N-ter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인단-5-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8)
1H-NMR(500MHz, DMSO-d6)
δ 1.41(s, 9H), 2.01(t, J=7.3Hz, 2H), 2.80-2.86(m, 4H), 3.24(s, 3H), 4.41(s, 2H), 7.14-7.18(m, 2H), 7.28(dd, J=7.6, 4.9Hz, 1H), 7.38(d, J=8.6Hz, 1H), 7.61(s, 1H), 7.64(s, 1H), 7.92(dd, J=7.6, 1.8Hz, 1H), 8.24(d, J=4.9Hz, 1H), 8.58(dd, J=4.9, 1.8Hz, 1H), 10.33(s, 1H)
2-[2-(N-ter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9)
1H-NMR(500MHz, DMSO-d6)
δ 1.40(s, 9H), 3.24(s, 3H), 4.43(s, 2H), 7.15(dd, J=5.2, 1.5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6Hz, 2H), 7.63(s, 1H), 7.80(d, J=9.2Hz, 2H), 7.99(dd, J=7.6, 1.8Hz, 1H), 8.23(d, J=5.2Hz, 1H), 8.60(dd, J=4.9, 1.8Hz, 1H), 10.65(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10)
1H-NMR(500MHz, DMSO-d6)
δ 1.45(s, 9H), 4.39(s, 2H), 7.03(d, J=5.2Hz, 1H), 7.29(dd, J=7.6, 4.9Hz, 1H), 7.41(d, J=8.9Hz, 2H), 7.72(d, J=8.9Hz, 2H), 7.87(s, 1H), 7.98(dd, J=7.6, 1.5Hz, 1H), 8.10(d, J=5.2Hz, 1H), 8.59(dd, J=4.9, 1.5Hz, 1H), 9.66(s, 1H), 10.60(s, 1H)
2-[2-(N-tert-부톡시카르보닐-N-에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11)
1H-NMR(400MHz, CDCl3)
δ 1.19(t, J=6.9Hz, 3H), 1.47(s, 9H), 2.31(s, 6H), 3.94(q, J=6.9Hz, 2H), 4.45(s, 2H), 6.79(s, 1H), 7.04(dd, J=5.1, 1.4Hz, 1H), 7.14(dd, J=7.6, 4.9Hz, 1H), 7.22(s, 2H), 7.56(s, 1H), 7.86(dd, J=7.6, 1.8Hz, 1H), 7.97(s, 1H), 8.25(d, J=5.1Hz, 1H), 8.55(dd, J=4.9, 1.8Hz,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12)
1H-NMR(500MHz, DMSO-d6)
δ 1.45(s, 9H), 4.39(s, 2H), 7.03(d, J=5.2Hz, 1H), 7.19(d, J=8.2Hz, 1H), 7.30(dd, J=7.6, 4.9Hz, 1H), 7.38(t, J=8.1Hz, 1H), 7.59(d, J=8.2Hz, 1H), 7.87(s, 1H), 7.89(s, 1H), 7.99(dd, J=7.6, 1.8Hz, 1H), 8.11(d, J=5.2Hz, 1H), 8.60(dd, J=4.9, 1.8Hz, 1H), 9.67(s, 1H), 10.64(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이소퀴놀린-3-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13)
1H-NMR(400MHz, DMSO-d6)
δ 1.45(s, 9H), 4.40(s, 2H), 7.05(dd, J=5.2, 1.5Hz, 1H), 7.28(dd, J=7.6, 4.9Hz, 1H), 7.58(ddd, J=7.1, 6.8, 1.0Hz, 1H), 7.75(ddd, J=7.1, 6.8, 1.0Hz, 1H), 7.88(br s, 1H), 7.98(d, J=7.1Hz, 1H), 8.06(dd, J=7.6, 1.7Hz, 1H), 8.08(br s, 1H), 8.11(d, J=5.2Hz, 1H), 8.59(dd, J=4.9, 1.7Hz, 1H), 8.59(d, J=1.0Hz, 1H), 9.19(s, 1H), 9.68(s, 1H), 11.16(s, 1H)
2-[2-(N-ter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14)
1H-NMR(400MHz, DMSO-d6)
δ 1.40(s, 9H), 3.24(s, 3H), 4.42(s, 2H), 7.15(dd, J=5.2, 1.7Hz, 1H), 7.30(dd, J=7.6, 4.9Hz, 1H), 7.41(d, J=8.9Hz, 2H), 7.63(s, 1H), 7.72(d, J=8.9Hz, 2H), 7.98(dd, J=7.6, 1.7Hz, 1H), 8.24(d, J=5.2Hz, 1H), 8.60(dd, J=4.9, 1.7Hz, 1H), 10.58(s, 1H)
2-[2-(N-ter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15)
1H-NMR(400MHz, DMSO-d6)
δ 1.40(s, 9H), 3.24(s, 3H), 4.43(s, 2H), 7.16-7.18(m, 2H), 7.31(dd, J=7.6, 4.9Hz, 1H), 7.38(t, J=8.1Hz, 1H), 7.58(d, J=9.3Hz, 1H), 7.63(s, 1H), 7.88(t, J=2.0Hz, 1H), 7.99(dd, J=7.6, 1.7Hz, 1H), 8.24(dd, J=5.0, 0.6Hz, 1H), 8.60(dd, J=4.9, 1.7Hz, 1H), 10.63(s, 1H)
2-[2-(N-ter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tert-부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16)
1H-NMR(400MHz, DMSO-d6)
δ 1.27(s, 9H), 1.40(s, 9H), 3.24(s, 3H), 4.41(s, 2H), 7.15(dd, J=5.2, 1.6Hz, 1H), 7.29(dd, J=7.6, 4.9Hz, 1H), 7.36(d, J=8.8Hz, 2H), 7.60(d, J=8.8Hz, 2H), 7.63(s, 1H), 7.94(dd, J=7.6, 1.7Hz, 1H), 8.24(d, J=5.1Hz, 1H), 8.58(dd, J=4.9, 1.7Hz, 1H), 10.37(s, 1H)
2-[2-(N-ter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이소퀴놀린-3-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17)
1H-NMR(500MHz, DMSO-d6)
δ 1.39(s, 9H), 3.24(s, 3H), 4.43(s, 2H), 7.16(dd, J=5.2, 1.5Hz, 1H), 7.28(dd, J=7.6, 4.9Hz, 1H), 7.58(t, J=7.6Hz, 1H), 7.64(s, 1H), 7.75(t, J=8.1Hz, 1H), 7.97(d, J=8.1Hz, 1H), 8.05-8.10(m, 2H), 8.25(d, J=5.2Hz, 1H), 8.59-8.60(m, 2H), 9.19(s, 1H), 11.15(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2-(4-메톡시페닐)에틸]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18)
1H-NMR(500MHz, DMSO-d6)
δ 1.46(s, 9H), 2.75(t, J=7.3Hz, 2H), 3.35-3.41(m, 2H), 3.71(s, 3H), 4.33(s, 2H), 6.83(d, J=8.5Hz, 2H), 7.02(dd, J=4.9, 1.2Hz, 1H), 7.15(d, J=8.5Hz, 2H), 7.21(dd, J=7.6, 4.9Hz, 1H), 7.73(dd, J=7.6, 1.7Hz, 1H), 7.87(br s, 1H), 8.11(d, J=4.9Hz, 1H), 8.52(dd, J=4.9, 1.7Hz, 1H), 8.58(t, J=5.4Hz, 1H), 9.68(s, 1H)
N-(아다만탄-1-일)-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19)
1H-NMR(400MHz, DMSO-d6)
δ 1.47(s, 9H), 1.64(br s, 6H), 2.03(br s, 9H), 4.35(s, 2H), 7.03(dd, J=5.4, 1.5Hz, 1H), 7.17(dd, J=7.6, 4.9Hz, 1H), 7.67(dd, J=7.6, 1.7Hz, 1H), 7.85-7.92(m, 2H), 8.11(d, J=5.4Hz, 1H), 8.48(dd, J=4.9, 1.7Hz, 1H), 9.68(s, 1H)
2-[2-(N-ter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N-메틸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20)
1H-NMR(400MHz, DMSO-d6)
δ 1.44(s, 9H), 2.04(s, 6H), 3.25(s, 3H), 3.32(s, 3H), 4.43(s, 2H), 6.73-6.78(m, 3H), 6.98(m, 1H), 7.10(d, J=5.1Hz, 1H), 7.41(m, 1H), 7.67(s, 1H), 8.25(d, J=5.1Hz, 1H), 8.33(m, 1H)
N-(3,5-디메틸페닐)-2-(2-프탈로일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21)
1H-NMR(400MHz, DMSO-d6)
δ 2.25(s, 6H), 4.50(s, 2H), 6.76(s, 1H), 7.29(dd, J=7.6, 4.9Hz, 1H), 7.32(s, 2H), 7.56(d, J=5.1Hz, 1H), 7.61(s, 1H), 7.94-8.00(m, 5H), 8.52(d, J=5.1Hz, 1H), 8.59(dd, J=4.9, 1.7Hz, 1H), 10.32(s, 1H)
N-(4-클로로페닐)-2-[2-(5-시아노티아졸-2-일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22)
1H-NMR(400MHz, DMSO-d6)
δ 4.43(s, 2H), 7.11(d, J=5.1Hz, 1H), 7.21(s, 1H), 7.31(dd, J=7.6, 4.9Hz, 1H), 7.42(d, J=8.8Hz, 2H), 7.73(d, J=8.8Hz, 2H), 7.99(dd, J=7.6, 1.7Hz, 1H), 8.25(s, 1H), 8.28(d, J=5.1Hz, 1H), 8.60(dd, J=4.9, 1.7Hz, 1H), 10.60(s, 1H), 12.20(s, 1H)
2-[2-(5-시아노티아졸-2-일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23)
1H-NMR(400MHz, DMSO-d6)
δ 4.43(s, 2H), 7.11(d, J=5.1Hz, 1H), 7.22(s, 1H), 7.32(dd, J=7.6, 4.9Hz, 1H), 7.38(d, J=8.3Hz, 2H), 7.81(d, J=8.3Hz, 2H), 8.00(dd, J=7.6, 1.7Hz, 1H), 8.25(s, 1H), 8.28(d, J=5.1Hz, 1H), 8.61(dd, J=4.9, 1.7Hz, 1H), 10.67(s, 1H), 12.21(s, 1H)
2-[2-(5-시아노티아졸-2-일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24)
1H-NMR(500MHz, DMSO-d6)
δ 2.25(s, 6H), 4.42(s, 2H), 6.76(s, 1H), 7.11(d, J=5.2Hz, 1H), 7.21(s, 1H), 7.29(dd, J=7.6, 4.9Hz, 1H), 7.32(s, 2H), 7.94(dd, J=7.6, 1.5Hz, 1H), 8.25(s, 1H), 8.28(d, J=5.2Hz, 1H), 8.58(dd, J=4.9, 1.5Hz, 1H), 10.31(s, 1H), 12.21(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벤자미드(화합물 2-25)
1H-NMR(500MHz, DMSO-d6)
δ 1.45(s, 9H), 4.22(s, 2H), 6.99(d, J=5.2Hz, 1H), 7.30(t, J=7.6Hz, 1H), 7.40(d, J=8.6Hz, 2H), 7.42(t, J=7.6Hz, 1H), 7.48(d, J=7.6Hz, 1H), 7.52(d, J=7.6Hz, 1H), 7.75(d, J=8.6Hz, 2H), 7.83(s, 1H), 8.11(d, J=5.2Hz, 1H), 9.68(s, 1H), 10.48(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tert-부틸페닐)벤자미드(화합물 2-26)
1H-NMR(500MHz, DMSO-d6)
δ 1.27(s, 9H), 1.45(s, 9H), 4.22(s, 2H), 7.00(d, J=5.2Hz, 1H), 7.28(t, J=7.6Hz, 1H), 7.34(d, J=8.6Hz, 2H), 7.40(t, J=7.6Hz, 1H), 7.46(d, J=7.6Hz, 1H), 7.49(d, J=7.6Hz, 1H), 7.62(d, J=8.6Hz, 2H), 7.84(s, 1H), 8.11(d, J=5.2Hz, 1H), 9.70(s, 1H), 10.27(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벤자미드(화합물 2-27)
1H-NMR(500MHz, DMSO-d6)
δ 1.45(s, 9H), 4.23(s, 2H), 6.99(d, J=5.2Hz, 1H), 7.30(t, J=7.6Hz, 1H), 7.35(d, J=8.6Hz, 2H), 7.43(t, J=7.6Hz, 1H), 7.49(d, J=7.6Hz, 1H), 7.53(d, J=7.6Hz, 1H), 7.83(d, J=8.6Hz, 2H), 7.84(s, 1H), 8.11(d, J=5.2Hz, 1H), 9.68(s, 1H), 10.55(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이소퀴놀린-3-일)벤자미드(화합물 2-28)
1H-NMR(400MHz, DMSO-d6)
δ 1.44(s, 9H), 4.24(s, 2H), 7.01(d, J=5.1Hz, 1H), 7.30(d, J=7.3Hz, 1H), 7.43(t, J=8.3Hz, 1H), 7.47(d, J=7.1Hz, 1H), 7.57(t, J=8.3Hz, 1H), 7.61(d, J=7.3Hz, 1H), 7.74(t, J=8.3Hz, 1H), 7.84(br s, 1H), 7.97(d, J=8.3Hz, 1H), 8.08(d, J=8.3Hz, 1H), 8.11(d, J=5.1Hz, 1H), 8.60(s, 1H), 9.18(s, 1H), 9.71(s, 1H), 10.96(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벤자미드(화합물 2-29)
1H-NMR(500MHz, DMSO-d6)
δ 1.20(d, J=6.7Hz, 6H), 1.45(s, 9H), 2.86(m, 1H), 4.23(s, 2H), 6.98(d, J=7.6Hz, 1H), 7.01(d, J=5.2Hz, 1H), 7.24(t, J=7.6Hz, 1H), 7.28(t, J=7.6Hz, 1H), 7.41(t, J=7.6Hz, 1H), 7.46(d, J=7.6Hz, 1H), 7.50-7.55(m, 2H), 7.62(br s, 1H), 7.84(s, 1H), 8.12(d, J=5.2Hz, 1H), 9.70(s, 1H), 10.28(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3-메틸페닐)벤자미드(화합물 2-30)
1H-NMR(500MHz, DMSO-d6)
δ 1.45(s, 9H), 2.32(s, 3H), 4.25(s, 2H), 6.99(d, J=5.2Hz, 1H), 7.29(t, J=7.3Hz, 1H), 7.36(t, J=8.6Hz, 1H), 7.45(m, 1H), 7.51(d, J=7.3Hz, 1H), 7.54(d, J=8.6Hz, 1H), 7.72-7.80(m, 2H), 7.84(br s, 1H), 8.11(d, J=5.2Hz, 1H), 9.70(s, 1H), 10.41(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1H-인다졸-6-일)벤자미드(화합물 2-31)
1H-NMR(500MHz, DMSO-d6)
δ 1.44(s, 9H), 4.24(s, 2H), 7.00(d, J=5.2Hz, 1H), 7.26(d, J=8.6Hz, 1H), 7.30(t, J=8.6Hz, 1H), 7.43(t, J=8.6Hz, 1H), 7.48(d, J=7.3Hz, 1H), 7.54(d, J=7.3Hz, 1H), 7.68(d, J=8.6Hz, 1H), 7.84(s, 1H), 7.99(br s, 1H), 8.11(d, J=5.2Hz, 1H), 8.25(s, 1H), 9.69(s, 1H), 10.49(s, 1H), 12.93(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벤자미드(화합물 2-32)
1H-NMR(500MHz, DMSO-d6)
δ 1.45(s, 9H), 2.25(s, 6H), 4.22(s, 2H), 6.74(s, 1H), 7.00(dd, J=4.9 1.2Hz, 1H), 7.28(t, J=7.3Hz, 1H), 7.35(s, 2H), 7.41(m, 1H), 7.45(s, 1H), 7.48(t, J=7.3Hz, 1H), 7.84(s, 1H), 8.12(d, J=4, 9Hz, 1H), 9.69(s, 1H), 10.18(s, 1H)
3-(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티오펜-2-카르복사미드(화합물 2-33)
1H-NMR(400MHz, DMSO-d6)
δ 1.45(s, 9H), 2.25(s, 6H), 4.26(s, 2H), 6.74(s, 1H), 6.95(d, J=5.1Hz, 1H), 7.24(s, 2H), 7.24(d, J=5.1Hz, 1H), 7.82(s, 1H), 7.83(s, 1H), 8.11(d, J=5.1Hz, 1H), 9.71(s, 1H), 9.82(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34)
1H-NMR(400MHz, DMSO-d6)
δ 1.46(s, 9H), 2.15(s, 6H), 4.37(s, 2H), 7.03(dd, J=5.0, 1.3Hz, 1H), 7.23(s, 2H), 7.26(dd, J=7.6, 4.9Hz, 1H), 7.87(s, 1H), 7.90(dd, J=7.6, 1.6Hz, 1H), 8.10-8.12(m, 2H), 8.56(dd, J=4.9, 1.6Hz, 1H), 9.68(s, 1H), 10.09(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35)
1H-NMR(500MHz, DMSO-d6)
δ 1.45(s, 9H), 4.40(s, 2H), 7.03(dd, J=5.2, 1.5Hz, 1H), 7.32(dd, J=7.6, 4.9Hz, 1H), 7.58(dd, J=8.9, 1.2Hz, 1H), 7.71(dd, J=8.9, 2.4Hz, 1H), 7.87(s, 1H), 8.01(dd, J=7.6, 1.8Hz, 1H), 8.08(d, J=2.4Hz, 1H), 8.10(d, J=5.2Hz, 1H), 8.61(dd, J=4.9, 1.8Hz, 1H), 9.67(s, 1H), 10.81(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36)
1H-NMR(500MHz, DMSO-d6)
δ 1.45(s, 9H), 4.40(s, 2H), 7.04(d, J=5.2Hz, 1H), 7.32(dd, J=7.6, 4.9Hz, 1H), 7.48(d, J=7.9Hz, 1H), 7.60(t, J=7.9Hz, 1H), 7.88(s, 1H), 7.91(d, J=7.9Hz, 1H), 8.03(dd, J=7.6, 1.8Hz, 1H), 8.11(d, J=5.2Hz, 1H), 8.18(s, 1H), 8.61(dd, J=4.9, 1.8Hz, 1H), 9.67(s, 1H), 10.79(s, 1H)
실시예 3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염산염(화합물 3-1)
실온 하에서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1, 420 ㎎, 0.90 mmol)의 1,4-디옥산(5.0 ㎖) 용액에 4N 염화수소1,4-디옥산 용액(5.0 ㎖)을 첨가하여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에탄올(6.0 ㎖)을 첨가하여 석출한 고체를 여과하여 취하였다. 그 고체를 감압 하에 60℃에서 건조시켜 표적 화합물 320 ㎎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수율 88%).
Figure 112006066828628-PCT00041
혹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화합물 3-1의 유리 염기를 합성할 수 있다.
빙냉 하에서 N-(3,5-디메틸페닐)-2-티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10-1, 100 g, 0.39 mol)와 2-아미노-4-브로모메틸피리딘브롬화수소산염(참고 화합물 14-1, 110 g, 0.40 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840 ㎖)에 용해한 후, 트리에틸아민(160 ㎖, 1.2 mol)을 적하하여 실온에서 6시간 교반하였다. 반 응액을 물(2.5 ℓ)에 부어 석출한 고체를 여과하여 취하고, 감압 하에서 45℃로 가열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표적 화합물의 유리 염기 140 g을 담황색 고체로서 정량적으로 얻었다.
1H-NMR(500MHz, DMSO-d6)
δ 2.26(s, 6H), 4.44(s, 2H), 6.77(s, 1H), 6.89(d, J=6.7Hz, 1H), 7.03(s, 1H), 7.32(dd, J=7.6, 4.9Hz, 1H), 7.34(s, 2H), 7.84(d, J=6.7Hz, 1H), 7.97(br s, 2H), 8.00(dd, J=7.6, 1.8Hz, 1H), 8.56(dd, J=4.9, 1.8Hz, 1H), 10.35(s, 1H), 13.40(br s, 1H)
이하, 화합물 2-1∼36,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화합물 3-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화합물 3-2∼37을 얻었다.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염산염(화합물 3-2)
1H-NMR(500MHz, DMSO-d6)
δ 1.21(d, J=6.7Hz, 6H), 2.87(m, 1H), 4.41(s, 2H), 6.89(d, J=6.7Hz, 1H), 7.00-7.03(m, 2H), 7.27(m, 1H), 7.32(dd, J=7.6, 4.9Hz, 1H), 7.53(d, J=7.3Hz, 1H), 7.60(s, 1H), 7.84(d, J=6.7Hz, 1H), 7.95(s, 2H), 8.04(d, J=7.6Hz, 1H), 8.56(d, J=4.9Hz, 1H), 10.44(s, 1H), 13.33(br 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인단-5-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염 산염(화합물 3-3)
1H-NMR(500MHz, DMSO-d6)
δ 1.91-2.05(m, 2H), 2.81-2.90(m, 4H), 4.40(s, 2H), 6.89(m, 1H), 7.03(s, 1H), 7.19(d, J=7.6Hz, 1H), 7.31(dd, J=7.6, 4.9Hz, 1H), 7.41(d, J=7.6Hz, 1H), 7.63(s, 1H), 7.84(d, J=6.7Hz, 1H), 8.00-8.05(m, 3H), 8.56(dd, J=4.9, 1.5Hz, 1H), 10.40(s, 1H), 13.50(br 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tert-부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염산염(화합물 3-4)
1H-NMR(500MHz, DMSO-d6)
δ 1.28(s, 9H), 4.40(s, 2H), 6.89(dd, J=7.7, 1.5Hz, 1H), 7.03(s, 1H), 7.32(dd, J=7.7, 4.9Hz, 1H), 7.37(d, J=8.8Hz, 2H), 7.62(d, J=8.8Hz, 2H), 7.84(d, J=6.4Hz, 1H), 7.97(s, 2H), 8.02(dd, J=7.7, 1.5Hz, 1H), 8.56(dd, J=4.9, 1.5Hz, 1H), 10.44(s, 1H), 13.42(br 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1H-인다졸-6-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염산염(화합물 3-5)
1H-NMR(500MHz, DMSO-d6)
δ 4.42(s, 2H), 6.39(br s, 1H), 6.89(d, J=6.4Hz, 1H), 7.06(s, 1H), 7.29-7.36(m, 2H), 7.70(d, J=8.5Hz, 1H), 7.85(d, J=6.4Hz, 1H), 8.02(s, 1H), 8.02-8.16(m, 3H), 8.23(s, 1H), 8.58(dd, J=4.9, 1.5Hz, 1H), 10.70(s, 1H), 13.71(br s, 1H)
N-(3,5-디메틸페닐)-2-(2-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염산염(화합물 3-6)
1H-NMR(500MHz, DMSO-d6)
δ 2.26(s, 6H), 2.91(d, J=4.9Hz, 3H), 4.41(s, 2H), 5.98(br s, 1H), 6.77(s, 1H), 6.87(dd, J=7.7, 1.5Hz, 1H), 7.10(s, 1H), 7.31(dd, J=7.6, 4.9Hz, 1H), 7.35(s, 2H), 7.81(d, J=7.7Hz, 1H), 8.00(dd, J=7.6, 1.5Hz, 1H), 8.57(dd, J=4.9, 1.5Hz, 1H), 10.39(s, 1H), 13.48(br s, 1H)
N-(인단-5-일)-2-(2-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염산염(화합물 3-7)
1H-NMR(400MHz, DMSO-d6)
δ 1.98-2.06(m, 2H), 2.81-2.87(m, 4H), 2.91(d, J=4.9Hz, 3H), 4.40(s, 2H), 6.87(dd, J=6.8, 1.5Hz, 1H), 7.10(s, 1H), 7.18(d, J=8.3Hz, 1H), 7.31(dd, J=7.6, 4.9Hz, 1H), 7.42(d, J=8.8Hz, 1H), 7.63(s, 1H), 7.80(d, J=6.6Hz, 1H), 8.01(dd, J=7.6, 1.7Hz, 1H), 8.57(dd, J=4.9, 1.7Hz, 1H), 8.97(br s, 1H), 10.44(s, 1H), 13.43(br s, 1H)
2-(2-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 3-카르복사미드 1염산염(화합물 3-8)
1H-NMR(500MHz, DMSO-d6)
δ 2.91(d, J=4.9Hz, 3H), 4.42(s, 2H), 6.87(dd, J=6.7, 1.5Hz, 1H), 7.09(s, 1H), 7.33(dd, J=7.6, 4.9Hz, 1H), 7.38(d, J=8.2Hz, 2H), 7.80-7.85(m, 3H), 8.07(dd, J=7.6, 1.8Hz, 1H), 8.59(dd, J=4.9, 1.8Hz, 1H), 8.90(br s, 1H), 10.77(s, 1H), 13.32(br 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염산염(화합물 3-9)
1H-NMR(500MHz, DMSO-d6)
δ 4.41(s, 2H), 6.89(d, J=6.4Hz, 1H), 7.03(s, 1H), 7.33(dd, J=7.6, 4.9Hz, 1H), 7.43(d, J=8.6Hz, 2H), 7.75(d, J=8.6Hz, 2H), 7.84(d, J=6.4Hz, 1H), 7.96(s, 2H), 8.06(dd, J=7.6, 1.5Hz, 1H), 8.57(dd, J=4.9, 1.5Hz, 1H), 10.66(s, 1H), 13.40(br 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10)
1H-NMR(500MHz, DMSO-d6)
δ 4.25(s, 2H), 5.83(s, 2H), 6.45(s, 1H), 6.48(dd, J=5.2, 1.3Hz, 1H), 7.30(dd, J=7.8, 4.8Hz, 1H), 7.37(d, J=8.2Hz, 2H), 7.77(dd, J=5.2Hz, 1H), 7.81(d, J=8.2Hz, 2H), 7.97(d, J=7.8, 1.8Hz, 1H), 8.60(dd, J=4.8, 1.8Hz, 1H), 10.67(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염산염(화합물 3-11)
1H-NMR(400MHz, DMSO-d6)
δ 4.41(s, 2H), 6.88(d, J=6.6Hz, 1H), 7.05(s, 1H), 7.19(d, J=8.1Hz, 1H), 7.33(dd, J=7.6, 4.9Hz, 1H), 7.40(t, J=8.1Hz, 1H), 7.64(d, J=8.1Hz, 1H), 7.85(d, J=6.6Hz, 1H), 7.93(s, 1H), 8.04(br s, 2H), 8.08(dd, J=7.6, 1.7Hz, 1H), 8.58(dd, J=4.9, 1.7Hz, 1H), 10.78(s, 1H), 13.64(br s, 1H)
N-(3,5-디메틸페닐)-2-(2-에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12)
1H-NMR(400MHz, DMSO-d6)
δ 1.08(t, J=7.2Hz, 3H), 2.25(s, 6H), 3.15-3.22(m, 2H), 4.24(s, 2H), 6.39(t, J=5.5Hz, 1H), 6.42-6.46(m, 2H), 6.76(s, 1H), 7.27(dd, J=7.4, 4.8Hz, 1H), 7.32(s, 2H), 7.83(d, J=5.4Hz, 1H), 7.90(dd, J=7.4, 1.5Hz, 1H), 8.57(dd, J=4.8, 1.5Hz, 1H), 10.30(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이소퀴놀린-3-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13)
1H-NMR(500MHz, DMSO-d6)
δ 4.25(s, 2H), 5.83(s, 2H), 6.46(s, 1H), 6.49(dd, J=5.2, 1.5Hz, 1H), 7.28(dd, J=7.6, 4.9Hz, 1H), 7.58(ddd, J=7.9, 7.9, 1.2Hz, 1H), 7.75(ddd, J=7.9, 7.9, 1.2Hz, 1H), 7.78(d, J=5.2Hz, 1H), 7.98(d, J=7.9Hz, 1H), 8.04(dd, J=7.6, 1.8Hz, 1H), 8.09(d, J=7.9Hz, 1H), 8.59(dd, J=5.2, 1.5Hz, 1H), 8.59(br s, 1H), 9.19(br s, 1H), 11.15(s, 1H)
N-(4-클로로페닐)-2-(2-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14)
1H-NMR(400MHz, DMSO-d6)
δ 2.71(d, J=4.9Hz, 3H), 4.26(s, 2H), 6.46-6.49(m, 3H), 7.29(dd, J=7.6, 4.9Hz, 1H), 7.41(dd, J=6.7, 2.1Hz, 2H), 7.73(d, J=8.8Hz, 2H), 7.85(d, J=5.1Hz, 1H), 7.96(dd, J=7.6, 1.7Hz, 1H), 8.59(dd, J=4.9, 1.7Hz, 1H), 10.60(s, 1H)
N-(3-클로로페닐)-2-(2-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15)
1H-NMR(400MHz, DMSO-d6)
δ 2.71(d, J=4.9Hz, 3H), 4.26(s, 2H), 6.42-6.49(m, 3H), 7.18(ddd, J=8.1, 2.0, 0.9Hz, 1H), 7.30(dd, J=7.6, 4.9Hz, 1H), 7.39(t, J=8.1Hz, 1H), 7.58(d, J=8.1Hz, 1H), 7.85(d, J=5.1Hz, 1H), 7.89(t, J=2.0Hz, 1H), 7.97(dd, J=7.6, 1.7Hz, 1H), 8.60(dd, J=4.9, 1.7Hz, 1H), 10.65(s, 1H)
N-(4-tert-부틸페닐)-2-(2-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16)
1H-NMR(400MHz, DMSO-d6)
δ 1.27(s, 9H), 2.71(d, J=4.9Hz, 3H), 4.25(s, 2H), 6.40-6.49(m, 3H), 7.28(dd, J=7.6, 4.9Hz, 1H), 7.36(d, J=8.8Hz, 2H), 7.60(d, J=8.8Hz, 2H), 7.85(d, J=4.9Hz, 1H), 7.92(dd, J=7.6, 1.7Hz, 1H), 8.58(dd, J=4.9, 1.7Hz, 1H), 10.39(s, 1H)
N-(이소퀴놀린-3-일)-2-(2-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17)
1H-NMR(400MHz, DMSO-d6)
δ 2.71(d, J=4.9Hz, 3H), 4.27(s, 2H), 6.39-6.50(m, 3H), 7.27(dd, J=7.6, 4.8Hz, 1H), 7.58(m, 1H), 7.75(m, 1H), 7.85(d, J=5.4Hz, 1H), 7.98(d, J=8.1Hz, 1H), 8.04(dd, J=7.6, 1.7Hz, 1H), 8.09(d, J=8.3Hz, 1H), 8.58-8.60(m, 2H), 9.19(s, 1H), 11.16(s, 1H)
N-(아다만탄-1-일)-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염산염(화합물 3-18)
1H-NMR(400MHz, DMSO-d6)
δ 1.65(br s, 6H), 2.04(br s, 9H), 4.36(s, 2H), 6.87(d, J=6.7Hz, 1H), 6.99(s, 1H), 7.21(dd, J=7.6, 4.9Hz, 1H), 7.74(dd, J=7.6, 1.2Hz, 1H), 7.84(d, J=6.7Hz, 1H), 7.87(br s, 2H), 7.92(s, 1H), 8.47(dd, J=4.9, 1.2Hz, 1H), 13.34(s, 1H)
N-(3,5-디메틸페닐)-2-[2-(피페라진-1-일)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염산염(화합물 3-19)
1H-NMR(400MHz, DMSO-d6)
δ 2.25(s, 6H), 3.50-4.30(m, 8H), 4.39(s, 2H), 6.76(s, 1H), 6.92(s, 1H), 7.23(s, 1H), 7.30(dd, J=7.7, 4.8Hz, 1H), 7.33(s, 2H), 7.41(s, 1H), 7.98(d, J=5.8Hz, 1H), 8.02(d, J=5.8Hz, 1H), 8.60(dd, J=4.8, 1.8Hz, 1H), 9.20(s, 2H), 10.35(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벤자미드 1염산염(화합물 3-20)
1H-NMR(400MHz, DMSO-d6)
δ 2.26(s, 6H), 4.25(s, 2H), 6.75(s, 1H), 6.82(m, 1H), 6.85(s, 1H), 7.28-7.35(m, 3H), 7.40-7.45(m, 2H), 7.52(d, J=7.3Hz, 1H), 7.84(d, J=6.6Hz, 1H), 7.95(br s, 2H), 10.21(s, 1H), 13.43(br 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벤자미드 1염산염(화합물 3-21)
1H-NMR(500MHz, DMSO-d6)
δ 4.25(s, 2H), 6.81(dd, J=6.7, 1.5Hz, 1H), 6.85(s, 1H), 7.35(t, J=8.6Hz, 1H), 7.41(d, J=8.6Hz, 2H), 7.45(t, J=8.6Hz, 1H), 7.46(d, J=1.5Hz, 1H), 7.56(d, J=8.6Hz, 1H), 7.75(d, J=8.6Hz, 2H), 7.83(d, J=6.7Hz, 1H), 7.92(br s, 2H), 10.51(s, 1H), 13.33(br 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tert-부틸페닐)벤자미드 1염산염(화합물 3-22)
1H-NMR(400MHz, DMSO-d6)
δ 1.28(s, 9H), 4.25(s, 2H), 6.82(d, J=6.6Hz, 1H), 6.84(s, 1H), 7.33(t, J=6.6Hz, 1H), 7.35(d, J=8.8Hz, 2H), 7.40-7.47(m, 2H), 7.53(d, J=6.6Hz, 1H), 7.63(d, J=8.8Hz, 2H), 7.83(d, J=6.6Hz, 1H), 7.90(br s, 2H), 10.29(s, 1H), 13.36(br 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벤자미드 1염산염(화합물 3-23)
1H-NMR(400MHz, DMSO-d6)
δ 4.25(s, 2H), 6.81(d, J=6.7Hz, 1H), 6.84(s, 1H), 7.35(m, 1H), 7.37(d, J=8.9Hz, 2H), 7.43-7.49(m, 2H), 7.57(d, J=6.7Hz, 1H), 7.83(s, 1H), 7.83(d, J=8.9Hz, 2H), 7.88(br s, 2H), 10.57(s, 1H), 13.41(br 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이소퀴놀린-3-일)벤자미드 1염산염(화합물 3-24)
1H-NMR(400MHz, DMSO-d6)
δ 4.27(s, 2H), 6.83(d, J=6.7Hz, 1H), 6.87(s, 1H), 7.35(m, 1H), 7.44-7.46(m, 2H), 7.58(d, J=8.2Hz, 1H), 7.64(d, J=7.0Hz, 1H), 7.76(t, J=7.0Hz, 1H), 7.84(d, J=6.7Hz, 1H), 7.97(d, J=8.2Hz, 1H), 8.00(br s, 2H), 8.09(d, J=8.2Hz, 1H), 8.59(s, 1H), 9.20(s, 1H), 10.99(s, 1H), 13.51(br 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벤자미드(화합물 3-25)
1H-NMR(500MHz, DMSO-d6)
δ 1.20(d, J=7.0Hz, 6H), 2.86(m, 1H), 4.06(s, 2H), 5.86(s, 2H), 6.43(s, 1H), 6.49(d, J=5.2Hz, 1H), 6.98(d, J=7.6Hz, 1H), 7.24(t, J=7.6Hz, 1H), 7.28(d, J=8.2Hz, 1H), 7.42(t, J=8.2Hz, 1H), 7.43(d, J=7.6Hz, 1H), 7.51(d, J=7.6Hz, 1H), 7.54(d, J=8.2Hz, 1H), 7.64(br s, 1H), 7.79(d, J=5.2Hz, 1H), 10.28(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3-메틸페닐)벤자미드(화합물 3-26)
1H-NMR(500MHz, DMSO-d6)
δ 2.32(s, 3H), 4.06(s, 2H), 5.87(s, 2H), 6.42(s, 1H), 6.48(d, J=5.2Hz, 1H), 7.28(t, J=7.6Hz, 1H), 7.37(d, J=8.6Hz, 1H), 7.43(t, J=7.6Hz, 1H), 7.44(d, J=7.6Hz, 1H), 7.51(d, J=7.6Hz, 1H), 7.55(d, J=8.6Hz, 1H), 7.75(br s, 1H), 7.79(d, J=5.2Hz, 1H), 10.42(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1H-인다졸-6-일)벤자미드(화합물 3-27)
1H-NMR(500MHz, DMSO-d6)
δ 4.08(s, 2H), 5.86(s, 2H), 6.43(s, 1H), 6.49(d, J=5.2Hz, 1H), 7.26(d, J=8.6Hz, 1H), 7.30(t, J=7.3Hz, 1H), 7.43(t, J=7.6Hz, 1H), 7.46(d, J=7.6Hz, 1H), 7.54(d, J=7.6Hz, 1H), 7.68(d, J=8.6Hz, 1H), 7.85(d, J=5.2Hz, 1H), 7.99(br s, 1H), 8.26(br s, 1H), 10.50(s, 1H), 12.93(s, 1H)
3-(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티오펜-2-카르복사미드(화합물 3-28)
1H-NMR(400MHz, DMSO-d6)
δ 2.25(s, 6H), 4.10(s, 2H), 5.88(s, 2H), 6.40(s, 1H), 6.46(d, J=5.1Hz, 1H), 6.74(s, 1H), 7.20(d, J=5.1Hz, 1H), 7.26(s, 2H), 7.79(d, J=5.1Hz, 1H), 7.82(d, J=5.1Hz, 1H), 9.83(s, 1H)
2-(3-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29)
1H-NMR(500MHz, CDCl3)
δ 2.30(s, 6H), 4.15-4.60(br s, 2H), 4.38(s, 2H), 6.81(s, 1H), 7.09(d, J=4.9Hz, 1H), 7.13(dd, J=7.6, 4.9Hz, 1H), 7.24(s, 2H), 7.86-7.88(m, 2H), 7.97(s, 1H), 8.13(s, 1H), 8.53(dd, J=4.9, 1.8Hz,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30)
1H-NMR(500MHz, DMSO-d6)
δ 2.15(s, 6H), 4.23(s, 2H), 5.85(s, 2H), 6.45(s, 1H), 6.48(dd, J=5.2, 1.2Hz, 1H), 7.23-7.27(m, 3H), 7.77(d, J=5.2Hz, 1H), 7.88(dd, J=7.6, 1.5Hz, 1H), 8.09(s, 1H), 8.55(dd, J=4.9, 1.5Hz, 1H), 10.09(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31)
1H-NMR(500MHz, DMSO-d6)
δ 4.24(s, 2H), 5.83(s, 2H), 6.45(d, J=0.6Hz, 1H), 6.48(dd, J=5.2, 1.5Hz, 1H), 7.18(d, J=8.8Hz, 2H), 7.18(t, J=74.1Hz, 1H), 7.29(dd, J=7.6, 4.8Hz, 1H), 7.73(d, J=8.8Hz, 2H), 7.77(dd, J=5.2, 0.6Hz, 1H), 7.96(dd, J=7.6, 1.7Hz, 1H), 8.59(dd, J=4.8, 1.7Hz, 1H), 10.55(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tert-부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32)
1H-NMR(400MHz, DMSO-d6)
δ 1.27(s, 9H), 4.24(s, 2H), 5.83(s, 2H), 6.45(s, 1H), 6.48(dd, J=5.2, 1.5Hz, 1H), 7.28(dd, J=7.6, 4.9Hz, 1H), 7.36(d, J=8.5Hz, 2H), 7.61(d, J=8.5Hz, 2H), 7.77(d, J=5.2Hz, 1H), 7.92(dd, J=7.6, 1.7Hz, 1H), 8.58(dd, J=4.9, 1.7Hz, 1H), 10.40(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33)
1H-NMR(400MHz, DMSO-d6)
δ 2.30(s, 3H), 4.24(s, 2H), 5.84(s, 2H), 6.45(s, 1H), 6.48(dd, J=5.2, 1.6Hz, 1H), 6.93(d, J=7.8Hz, 1H), 7.22(t, J=7.8Hz, 1H), 7.28(dd, J=7.6, 4.9Hz, 1H), 7.46(d, J=7.8Hz, 1H), 7.56(s, 1H), 7.77(d, J=5.2Hz, 1H), 7.93(dd, J=7.6, 1.7Hz, 1H), 8.58(dd, J=4.9, 1.7Hz, 1H), 10.39(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34)
1H-NMR(400MHz, DMSO-d6)
δ 4.25(s, 2H), 5.84(s, 2H), 6.45(s, 1H), 6.48(dd, J=5.4, 1.5Hz, 1H), 7.31(dd, J=7.6, 4.9Hz, 1H), 7.73(d, J=8.3Hz, 2H), 7.77(d, J=5.4Hz, 1H), 7.92(d, J=8.3Hz, 2H), 8.00(dd, J=7.6, 1.7Hz, 1H), 8.61(dd, J=4.9, 1.7Hz, 1H), 10.83(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35)
1H-NMR(500MHz, DMSO-d6)
δ 4.25(s, 2H), 5.83(s, 2H), 6.45(s, 1H), 6.48(d, J=5.1Hz, 1H), 7.31(dd, J=7.6, 4.9Hz, 1H), 7.59(d, J=8.9Hz, 1H), 7.72(dd, J=8.9, 2.4Hz, 1H), 7.77(d, J=5.1Hz, 1H), 8.00(dd, J=7.6, 1.8Hz, 1H), 8.09(d, J=2.4Hz, 1H), 8.61(dd, J=4.9, 1.8Hz, 1H), 10.82(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36)
1H-NMR(400MHz, DMSO-d6)
δ 4.25(s, 2H), 5.84(s, 2H), 6.45(s, 1H), 6.48(d, J=5.1Hz, 1H), 7.31(dd, J=7.6, 4.9Hz, 1H), 7.48(d, J=7.1Hz, 1H), 7.61(dd, J=8.1, 7.1Hz, 1H), 7.77(d, J=5.1Hz, 1H), 7.91(d, J=8.1Hz, 1H), 8.02(dd, J=7.6, 1.7Hz, 1H), 8.19(s, 1H), 8.61(dd, J=4.9, 1.7Hz, 1H), 10.80(s, 1H)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37)
1H-NMR(500MHz, DMSO-d6)
δ 1.20(d, J=7.0Hz, 6H), 2.87(m, 1H), 4.24(s, 2H), 5.83(s, 2H), 6.45(br s, 1H), 6.48(d, J=5.2Hz, 1H), 7.00(d, J=7.6Hz, 1H), 7.26(t, J=7.6Hz, 1H), 7.28(dd, J=7.6, 4.9Hz, 1H), 7.52(d, J=7.6Hz, 1H), 7.60(s, 1H), 7.77(d, J=5.2Hz, 1H), 7.94(dd, J=7.6, 1.5Hz, 1H), 8.58(dd, J=4.9, 1.5Hz, 1H), 10.40(s, 1H)
실시예 4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1)
실온 하에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염산염(화합물 3-1, 1.0 g, 2.5 mmol)의 피리딘(10 ㎖) 용액에 무수아세트산(1.0 ㎖, 10 mmol)을 첨가하여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아세트산에틸(30 ㎖)을 첨가하여 물(20 ㎖)과 포화 식염수(20 ㎖)로 세정하고, 그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얻어지는 고체를 헥산/아세트산에틸(1:1) 용액으로 여과하여 취하여 표적 화합물 770 ㎎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수율 76%).
Figure 112006066828628-PCT00042
혹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서도 합성할 수 있다.
빙냉 하, 질소 분위기 하에서 N-(3,5-디메틸페닐)-2-티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10-1, 200 ㎎, 0.77 mmol)와 2-아세틸아미노-4-메탄술포닐옥시메틸피리딘(참고 화합물 13-1, 190 ㎎, 0.77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0 ㎖)에 현탁시키고, 트리에틸아민(0.22 ㎖, 1.5 mmo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아세트산에틸(40 ㎖)을 첨가하여 물(30 ㎖), 포화 식염수(20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디이소프로필에테르와 아세트산에틸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취하고, 감압 하에 40℃에서 건조시킴으로써 표적 화합물 250 ㎎을 황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81%).
1H-NMR(500MHz, DMSO-d6)
δ 2.05(s, 3H), 2.25(s, 6H), 4.39(s, 2H), 6.76(s, 1H), 7.09(dd, J=5.2, 1.5Hz, 1H), 7.28(m, 1H), 7.32(s, 2H), 7.92(dd, J=7.6, 1.8Hz, 1H), 8.15-8.18(m, 2H), 8.57(dd, J=5.2, 1.5Hz, 1H), 10.29(s, 1H), 10.40(s, 1H)
이하, 화합물 3-1∼37,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을 사용하며, 화합물 4-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화합물 4-2∼68을 얻었다.
N-(3,5-디메틸페닐)-2-(2-프로피오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2)
1H-NMR(500MHz, DMSO-d6)
δ 1.05(t, J=7.3Hz, 3H), 2.25(s, 6H), 2.36(q, J=7.3Hz, 2H), 4.39(s, 2H), 6.76(s, 1H), 7.09(d, J=5.1Hz,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93(dd, J=7.6, 1.5Hz, 1H), 8.16(s, 1H), 8.17(s, 1H), 8.58(dd, J=4.9, 1.5Hz, 1H), 10.30(s, 1H), 10.35(s, 1H)
N-(3,5-디메틸페닐)-2-(2-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3)
1H-NMR(400MHz, DMSO-d6)
δ 2.25(s, 6H), 4.45(s, 2H), 6.76(s, 1H), 7.27-7.32(m, 4H), 7.93(dd, J=7.6, 1.7Hz, 1H), 8.03(s, 1H), 8.31(d, J=4.9Hz, 1H), 8.58(dd, J=4.9, 1.7Hz, 1H), 10.30(s, 1H), 11.97(br s, 1H)
N-(3,5-디메틸페닐)-2-(2-이소부티릴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4)
1H-NMR(500MHz, DMSO-d6)
δ 1.06(d, J=6.7Hz, 6H), 2.25(s, 6H), 2.72(m, 1H), 4.40(s, 2H), 6.76(s, 1H), 7.10(dd, J=4.9, 1.8Hz,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93(dd, J=7.6, 1.8Hz, 1H), 8.17-8.19(m, 2H), 8.58(dd, J=4.9, 1.8Hz, 1H), 10.30(s, 1H), 10.34(s, 1H)
N-(3,5-디메틸페닐)-2-(2-피발로일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5)
1H-NMR(400MHz, CDCl3)
δ 1.30(s, 9H), 2.32(s, 6H), 4.49(s, 2H), 6.80(d, J=0.7Hz, 1H), 7.07-7.13(m, 2H), 7.29(s, 2H), 7.86(dd, J=7.6, 1.7Hz, 1H), 8.00(br s, 1H), 8.11-8.15(m, 2H), 8.31(d, J=0.7Hz, 1H), 8.51(dd, J=4.9, 1.7Hz, 1H)
N-(3,5-디메틸페닐)-2-(2-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6)
1H-NMR(400MHz, DMSO-d6)
δ 2.26(s, 6H), 4.43(s, 2H), 6.77(s, 1H), 7.14(d, J=6.3Hz, 1H), 7.28-7.32(m, 3H), 7.72(s, 1H), 7.95-7.99(m, 2H), 8.53(dd, J=4.9, 1.7Hz, 1H), 10.29(s, 1H), 13.99(br s, 1H)
N-(3,5-디메틸페닐)-2-(2-메탄술포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7)
1H-NMR(500MHz, CDCl3)
δ 2.32(s, 6H), 2.94(s, 3H), 4.42(s, 2H), 6.81(s, 1H), 6.85(dd, J=6.1, 1.5Hz, 1H), 7.13(dd, J=7.6, 4.9Hz, 1H), 7.28(s, 2H), 7.46(s, 1H), 7.83(dd, J=7.6, 1.5Hz, 1H), 7.91(s, 1H), 8.03(d, J=6.1Hz, 1H), 8.51(dd, J=4.9, 1.5Hz, 1H), 11.80(br 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8)
1H-NMR(400MHz, DMSO-d6)
δ 1.20(d, J=6.8Hz, 6H), 2.06(s, 3H), 2.87(m, 1H), 4.39(s, 2H), 7.00(d, J=7.6Hz, 1H), 7.10(dd, J=5.1, 1.7Hz, 1H), 7.23-7.30(m, 2H), 7.51(d, J=7.8Hz, 1H), 7.59(s, 1H), 7.96(d, J=5.9Hz, 1H), 8.15-8.18(m, 2H), 8.58(dd, J=4.9, 1.7Hz, 1H), 10.39(s, 1H), 10.40(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인단-5-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9)
1H-NMR(400MHz, DMSO-d6)
δ 1.97-2.06(m, 2H), 2.06(s, 3H), 2.79-2.87(m, 4H), 4.39(s, 2H), 7.09(d, J=5.1, 1.5Hz, 1H), 7.17(d, J=7.8Hz, 1H), 7.28(dd, J=7.6, 4.9Hz, 1H), 7.37(d, J=8.3Hz, 1H), 7.61(s, 1H), 7.93(d, J=5.9Hz, 1H), 8.15-8.18(m, 2H), 8.57(dd, J=4.9, 1.7Hz, 1H), 10.33(s, 1H), 10.40(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10)
1H-NMR(500MHz, DMSO-d6)
δ 2.06(s, 3H), 4.40(s, 2H), 7.09(d, J=5.2Hz, 1H), 7.29(dd, J=7.6, 4.9Hz, 1H), 7.41(d, J=8.6Hz, 2H), 7.72(d, J=8.6Hz, 2H), 7.98(dd, J=7.6, 1.8Hz, 1H), 8.16(s, 1H), 8.17(d, J=5.2Hz, 1H), 8.59(dd, J=4.9, 1.8Hz, 1H), 10.40(s, 1H), 10.59(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11)
1H-NMR(400MHz, DMSO-d6)
δ 2.06(s, 3H), 4.40(s, 2H), 7.10(dd, J=5.2, 1.6Hz, 1H), 7.30(dd, J=7.6, 4.8Hz, 1H), 7.37(d, J=8.6Hz, 2H), 7.80(d, J=8.6Hz, 2H), 7.98(dd, J=7.6, 1.7Hz, 1H), 8.14-8.18(m, 2H), 8.60(dd, J=4.8, 1.7Hz, 1H), 10.41(s, 1H), 10.66(s, 1H)
2-[2-(N-아세틸-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12)
1H-NMR(500MHz, DMSO-d6)
δ 1.96(s, 3H), 2.25(s, 6H), 3.22(s, 3H), 4.43(s, 2H), 6.76(s, 1H), 7.27-7.30(m, 2H), 7.32(s, 2H), 7.52(s, 1H), 7.93(dd, J=7.6, 1.5Hz, 1H), 8.34(d, J=4.9Hz, 1H), 8.58(dd, J=4.9, 1.8Hz, 1H), 10.31(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퀴놀린-6-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13)
1H-NMR(400MHz, DMSO-d6)
δ 2.06(s, 3H), 4.42(s, 2H), 7.11(d, J=5.2Hz, 1H), 7.33(dd, J=7.6, 4.9Hz, 1H), 7.51(dd, J=8.2, 4.3Hz, 1H), 7.89(dd, J=9.2, 2.4Hz, 1H), 8.00(d, J=9.2Hz, 1H), 8.05(dd, J=7.6, 1.5Hz, 1H), 8.15-8.20(m, 2H), 8.34(d, J=7.6Hz, 1H), 8.51(d, J=2.4Hz, 1H), 8.62(dd, J=4.9, 1.5Hz, 1H), 8.81(dd, J=4.3, 1.5Hz, 1H), 10.40(s, 1H), 10.80(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14)
1H-NMR(400MHz, DMSO-d6)
δ 2.06(s, 3H), 4.41(s, 2H), 7.10(d, J=4.9Hz, 1H), 7.32(dd, J=7.6, 4.9Hz, 1H), 7.58(d, J=9.0Hz, 1H), 7.71(d, J=9.0Hz, 1H), 8.01(dd, J=7.6, 1.7Hz, 1H), 8.08(s, 1H), 8.16(s, 1H), 8.17(d, J=4.9Hz, 1H), 8.61(dd, J=4.9, 1.7Hz, 1H), 10.41(s, 1H), 10.80(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이소퀴놀린-3-일)피리딘-3-카르 복사미드(화합물 4-15)
1H-NMR(400MHz, DMSO-d6)
δ 2.05(s, 3H), 4.40(s, 2H), 7.11(dd, J=5.1, 1.5Hz, 1H), 7.28(dd, J=7.6, 4.9Hz, 1H), 7.58(m, 1H), 7.75(m, 1H), 7.97(d, J=8.0Hz, 1H), 8.06(dd, J=7.6, 1.7Hz, 1H), 8.09(d, J=8.0Hz, 1H), 8.15-8.20(m, 2H), 8.58-8.60(m, 2H), 9.19(s, 1H), 10.42(s, 1H), 11.16(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16)
1H-NMR(500MHz, DMSO-d6)
δ 2.06(s, 3H), 4.40(s, 2H), 7.10(dd, J=5.1, 1.5Hz, 1H), 7.18(dd, J=8.1, 1.1Hz, 1H), 7.31(dd, J=7.6, 4.9Hz, 1H), 7.38(t, J=8.1Hz, 1H), 7.58(dd, J=8.1, 1.1Hz, 1H), 7.88(s, 1H), 7.99(dd, J=7.6, 1.8Hz, 1H), 8.16(s, 1H), 8.17(d, J=5.2Hz, 1H), 8.60(dd, J=4.9, 1.8Hz, 1H), 10.40(s, 1H), 10.64(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tert-부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17)
1H-NMR(400MHz, DMSO-d6)
δ 1.27(s, 9H), 2.06(s, 3H), 4.39(s, 2H), 7.10(d, J=5.1Hz, 1H), 7.28(dd, J=7.7, 4.9Hz, 1H), 7.36(d, J=8.7Hz, 2H), 7.60(d, J=8.7Hz, 2H), 7.94(dd, J=7.7, 1.8Hz, 1H), 8.15-8.17(m, 2H), 8.57(dd, J=4.9, 1.8Hz, 1H), 10.39(s, 1H), 10.41(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플루오로-3-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18)
1H-NMR(400MHz, DMSO-d6)
δ 2.06(s, 3H), 2.23(d, J=1.5Hz, 3H), 4.39(s, 2H), 7.09-7.14(m, 2H), 7.29(dd, J=7.6, 4.9Hz, 1H), 7.48(m, 1H), 7.63(d, J=5.6Hz, 1H), 7.95(dd, J=7.6, 1.7Hz, 1H), 8.16-8.17(m, 2H), 8.58(dd, J=4.9, 1.7Hz, 1H), 10.41(s, 1H), 10.44(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플루오로-4-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19)
1H-NMR(400MHz, DMSO-d6)
δ 2.06(s, 3H), 2.20(d, J=1.2Hz, 3H), 4.40(s, 2H), 7.09(dd, J=5.1, 1.5Hz, 1H), 7.24(t, J=8.4Hz, 1H), 7.29(dd, J=7.6, 4.7Hz, 1H), 7.34(d, J=8.4Hz, 1H), 7.59(d, J=13.7Hz, 1H), 7.96(dd, J=7.6, 1.7Hz, 1H), 8.15-8.17(m, 2H), 8.59(dd, J=4.7, 1.7Hz, 1H), 10.41(s, 1H), 10.56(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20)
1H-NMR(400MHz, DMSO-d6)
δ 2.06(s, 3H), 2.30(s, 3H), 4.40(s, 2H), 6.93(d, J=8.1Hz, 1H), 7.10(dd, J=5.1, 1.5Hz, 1H), 7.22(t, J=8.1Hz, 1H), 7.29(dd, J=7.6, 4.9Hz, 1H), 7.45(d, J=8.1Hz, 1H), 7.56(s, 1H), 7.96(dd, J=7.6, 1.7Hz, 1H), 8.16-8.17(m, 2H), 8.58(dd, J=4.9, 1.7Hz, 1H), 10.39(s, 1H), 10.41(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1H-인다졸-5-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21)
1H-NMR(400MHz, DMSO-d6)
δ 2.06(s, 3H), 4.40(s, 2H), 7.10(dd, J=5.1, 1.5Hz, 1H), 7.30(dd, J=7.6, 4.9Hz, 1H), 7.50-7.55(m, 2H), 7.98(dd, J=7.6, 1.7Hz, 1H), 8.05(s, 1H), 8.15-8.18(m, 2H), 8.22(s, 1H), 8.59(dd, J=4.9, 1.7Hz, 1H), 10.41(s, 1H), 10.47(s, 1H), 13.03(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1H-인다졸-6-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22)
1H-NMR(400MHz, DMSO-d6)
δ 2.06(s, 3H), 4.41(s, 2H), 7.10(dd, J=5.2, 1.6Hz, 1H), 7.24(dd, J=8.8, 1.7Hz, 1H), 7.31(dd, J=7.6, 4.9Hz, 1H), 7.70(d, J=8.8Hz, 1H), 7.97-8.00(m, 2H), 8.16-8.18(m, 2H), 8.21(s, 1H), 8.60(dd, J=4.9, 1.7Hz, 1H), 10.41(s, 1H), 10.60(s, 1H), 12.97(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4-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23)
1H-NMR(400MHz, DMSO-d6)
δ 2.06(s, 3H), 2.18(s, 3H), 2.20(s, 3H), 4.40(s, 2H), 7.08-7.10(m, 2H), 7.27(dd, J=7.6, 4.9Hz, 1H), 7.39(d, J=8.1Hz, 1H), 7.48(s, 1H), 7.93(dd, J=7.6, 1.6Hz, 1H), 8.16-8.17(m, 2H), 8.57(dd, J=4.9, 1.6Hz, 1H), 10.29(s, 1H), 10.40(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24)
1H-NMR(400MHz, DMSO-d6)
δ 2.06(s, 3H), 4.41(s, 2H), 7.10(dd, J=5.1, 1.7Hz, 1H), 7.32(dd, J=7.6, 4.9Hz, 1H), 7.36(t, J=2.0Hz, 1H), 7.77(s, 2H), 8.01(dd, J=7.6, 1.7Hz, 1H), 8.17(s, 1H), 8.17(d, J=5.1Hz, 1H), 8.61(dd, J=4.9, 1.7Hz, 1H), 10.41(s, 1H), 10.77(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25)
1H-NMR(400MHz, DMSO-d6)
δ 2.06(s, 3H), 4.41(s, 2H), 7.10(dd, J=5.1, 1.6Hz, 1H), 7.31(dd, J=7.6, 4.9Hz, 1H), 7.73(d, J=8.5Hz, 2H), 7.92(d, J=8.5Hz, 2H), 8.01(dd, J=7.6, 1.7Hz, 1H), 8.16(s, 1H), 8.17(d, J=5.1Hz, 1H), 8.61(dd, J=4.9, 1.7Hz, 1H), 10.41(s, 1H), 10.81(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n-프로필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26)
1H-NMR(400MHz, DMSO-d6)
δ 0.88(t, J=7.3Hz, 3H), 1.52-1.60(m, 2H), 2.06(s, 3H), 2.50-2.53(m, 2H), 4.39(s, 2H), 7.09(dd, J=5.1, 1.5Hz, 1H), 7.16(d, J=8.4Hz, 2H), 7.28(dd, J=7.6, 4.9Hz, 1H), 7.59(d, J=8.4Hz, 2H), 7.94(dd, J=7.6, 1.7Hz, 1H), 8.16(s, 1H), 8.16(d, J=5.1Hz, 1H), 8.57(dd, J=4.9, 1.7Hz, 1H), 10.38(s, 1H), 10.40(s, 1H)
2-[2-(N-아세틸-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27)
1H-NMR(500MHz, DMSO-d6)
δ 1.95(s, 3H), 3.22(s, 3H), 4.43(s, 2H), 7.29-7.31(m, 2H), 7.42(dd, J=6.7, 2.1Hz, 2H), 7.52(s, 1H), 7.72(d, J=8.9Hz, 2H), 7.99(dd, J=7.6, 1.5Hz, 1H), 8.34(d, J=5.2Hz, 1H), 8.60(dd, J=4.9, 1.8Hz, 1H), 10.60(s, 1H)
2-[2-(N-아세틸-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28)
1H-NMR(400MHz, DMSO-d6)
δ 1.95(s, 3H), 3.22(s, 3H), 4.44(s, 2H), 7.30-7.32(m, 2H), 7.38(d, J=8.3Hz, 2H), 7.52(s, 1H), 7.80(d, J=8.3Hz, 2H), 7.99(dd, J=7.6, 1.7Hz, 1H), 8.34(d, J=5.1Hz, 1H), 8.60(dd, J=4.9, 1.7Hz, 1H), 10.66(s, 1H)
2-[2-(N-아세틸-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tert-부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29)
1H-NMR(400MHz, DMSO-d6)
δ 1.27(s, 9H), 1.95(s, 3H), 3.22(s, 3H), 4.43(s, 2H), 7.28-7.30(m, 2H), 7.36(d, J=8.5Hz, 2H), 7.51(s, 1H), 7.60(d, J=8.5Hz, 2H), 7.95(d, J=6.1Hz, 1H), 8.34(d, J=5.1Hz, 1H), 8.58(dd, J=4.9, 1.7Hz, 1H), 10.39(s, 1H)
2-[2-(N-아세틸-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이소퀴놀린-3-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30)
1H-NMR(400MHz, DMSO-d6)
δ 1.95(s, 3H), 3.22(s, 3H), 4.45(s, 2H), 7.28-7.31(m, 2H), 7.52(s, 1H), 7.58(m, 1H), 7.75(m, 1H), 7.98(d, J=8.1Hz, 1H), 8.06-8.09(m, 2H), 8.35(d, J=5.1Hz, 1H), 8.58-8.60(m, 2H), 9.20(s, 1H), 11.17(s, 1H)
2-[2-(N-메틸-N-프로피오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31)
1H-NMR(500MHz, DMSO-d6)
δ 0.93(t, J=7.3Hz, 3H), 2.22(q, J=7.3Hz, 2H), 3.21(s, 3H), 4.44(s, 2H), 7.30-7.32(m, 2H), 7.37(d, J=8.6Hz, 2H), 7.50(s, 1H), 7.81(d, J=8.9Hz, 2H), 8.00(dd, J=7.6, 1.8Hz, 1H), 8.35(d, J=4.9Hz, 1H), 8.60(dd, J=4.7, 1.8Hz, 1H), 10.66(s, 1H)
N-(3-클로로페닐)-2-[2-(N-메틸-N-프로피오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32)
1H-NMR(500MHz, DMSO-d6)
δ 0.93(t, J=7.4Hz, 3H), 2.22(q, J=7.4Hz, 2H), 3.21(s, 3H), 4.44(s, 2H), 7.19(ddd, J=7.9, 2.1, 0.9Hz, 1H), 7.31-7.32(m, 2H), 7.39(t, J=8.2Hz, 1H), 7.51(s, 1H), 7.58(dd, J=8.2, 1.2Hz, 1H), 7.89(t, J=1.8Hz, 1H), 8.00(dd, J=7.6, 1.8Hz, 1H), 8.35(d, J=5.5Hz, 1H), 8.60(dd, J=4.9, 1.8Hz, 1H), 10.64(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2,2-디메틸프로필)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33)
1H-NMR(500MHz, DMSO-d6)
δ 0.90(s, 9H), 2.06(s, 3H), 3.04(d, J=6.4Hz, 2H), 4.36(s, 2H), 7.08(dd, J=5.2, 1.5Hz, 1H), 7.21(dd, J=7.6, 4.9Hz, 1H), 7.77(dd, J=7.6, 1.8Hz, 1H), 8.14(br s, 1H), 8.16(d, J=5.2Hz, 1H), 8.43(t, J=6.4Hz, 1H), 8.51(dd, J=4.9, 1.8Hz, 1H), 10.40(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2-(4-메톡시페닐)에틸]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34)
1H-NMR(500MHz, DMSO-d6)
δ 2.06(s, 3H), 2.75(t, J=7.3Hz, 2H), 3.35-3.41(m, 2H), 3.71(s, 3H), 4.34(s, 2H), 6.83(d, J=8.6Hz, 2H), 7.08(dd, J=5.2, 1.5Hz, 1H), 7.15(d, J=8.6Hz, 2H), 7.21(dd, J=7.6, 4.9Hz, 1H), 7.73(dd, J=7.6, 1.8Hz, 1H), 8.15(br s, 1H), 8.17(d, J=5.2Hz, 1H), 8.52(dd, J=4.9, 1.8Hz, 1H), 8.57(t, J=5.5Hz, 1H), 10.41(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2-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35)
1H-NMR(400MHz, DMSO-d6)
δ 2.06(s, 3H), 4.40(s, 2H), 7.11(dd, J=4.9, 1.5Hz, 1H), 7.24-7.33(m, 2H), 7.39(m, 1H), 7.55(dd, J=8.0, 1.5Hz, 1H), 7.60(d, J=7.3Hz, 1H), 8.04(d, J=6.3Hz, 1H), 8.16-8.19(m, 2H), 8.60(dd, J=4.6, 1.7Hz, 1H), 10.23(s, 1H), 10.42(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5-클로로-2,4-디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36)
1H-NMR(400MHz, DMSO-d6)
δ 2.06(s, 3H), 3.85(s, 3H), 3.90(s, 3H), 4.38(s, 2H), 6.87(s, 1H), 7.10(dd, J=5.1, 1.5Hz, 1H), 7.26(m, 1H), 7.76(s, 1H), 7.96(d, J=6.6Hz, 1H), 8.15-8.18(m, 2H), 8.57(d, J=3.7Hz, 1H), 9.71(s, 1H), 10.41(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37)
1H-NMR(400MHz, DMSO-d6)
δ 2.06(s, 3H), 2.15(s, 6H), 4.38(s, 2H), 7.10(dd, J=5.1, 1.5Hz, 1H), 7.23-7.28(m, 3H), 7.90(dd, J=7.6, 1.7Hz, 1H), 8.09(s, 1H), 8.15-8.18(m, 2H), 8.56(dd, J=4.8, 1.7Hz, 1H), 10.08(s, 1H), 10.41(s, 1H)
N-(3,5-디메틸페닐)-2-[2-(2,5-디옥소피롤리딘-1-일)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38)
1H-NMR(500MHz, DMSO-d6)
δ 2.26(s, 6H), 2.80(s, 4H), 4.48(s, 2H), 6.76(s,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40(s, 1H), 7.52(d, J=4.9Hz, 1H), 7.94(dd, J=7.6, 1.5Hz, 1H), 8.47(d, J=4.9Hz, 1H), 8.57(dd, J=4.9, 1.5Hz, 1H), 10.31(s, 1H)
N-(3,5-디메틸페닐)-2-(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39)
1H-NMR(400MHz, DMSO-d6)
δ 2.25(s, 6H), 3.65(s, 3H), 4.39(s, 2H), 6.76(s, 1H), 7.06(m, 1H), 7.27-7.33(m, 3H), 7.91-7.94(m, 2H), 8.13(d, J=5.4Hz, 1H), 8.57(dd, J=4.9, 1.7Hz, 1H), 10.10(s, 1H), 10.30(s, 1H)
2-[2-(4-클로로페닐)술포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40)
1H-NMR(400MHz, DMSO-d6)
δ 2.26(s, 6H), 4.34(s, 2H), 6.77(s, 1H), 6.85(m, 1H), 7.27-7.31(m, 2H), 7.34(s, 2H), 7.51(d, J=7.6Hz, 2H), 7.77-7.80(m, 3H), 7.97(d, J=6.3Hz, 1H), 8.50(m, 1H), 10.31(s, 1H)
N-(3,5-디메틸페닐)-2-[2-(1-옥소-3-부텐-1-일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41)
1H-NMR(400MHz, DMSO-d6)
δ 2.25(s, 6H), 3.16-3.20(m, 2H), 4.40(s, 2H), 5.10-5.19(m, 2H), 5.98(m, 1H), 6.76(s, 1H), 7.11(dd, J=5.1, 1.5Hz,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92(dd, J=7.6, 1.7Hz, 1H), 8.15(s, 1H), 8.18(d, J=5.1Hz, 1H), 8.57(m, 1H), 10.29(s, 1H), 10.44(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벤자미드(화합물 4-42)
1H-NMR(500MHz, DMSO-d6)
δ 2.06(s, 3H), 4.24(s, 2H), 7.05(d, J=5.2Hz, 1H), 7.30(t, J=7.3Hz, 1H), 7.39(d, J=8.9Hz, 2H), 7.44(t, J=7.3Hz, 1H), 7.48(d, J=7.3Hz, 1H), 7.52(d, J=7.3Hz, 1H), 7.75(d, J=8.9Hz, 2H), 8.11(s, 1H), 8.17(d, J=5.2Hz, 1H), 10.43(s, 1H), 10.48(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벤자미드(화합물 4-43)
1H-NMR(500MHz, DMSO-d6)
δ 2.07(s, 3H), 2.25(s, 6H), 4.23(s, 2H), 6.74(s, 1H), 7.06(dd, J=4.9, 1.5Hz, 1H), 7.28(m, 1H), 7.35(s, 2H), 7.40(m, 1H), 7.45(d, J=9.2Hz, 1H), 7.48(m, 1H), 8.11(s, 1H), 8.18(dd, J=5.2, 0.6Hz, 1H), 10.18(s, 1H), 10.44(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tert-부틸페닐)벤자미드(화합물 4-44)
1H-NMR(500MHz, DMSO-d6)
δ 1.27(s, 9H), 2.07(s, 3H), 4.23(s, 2H), 7.06(d, J=4.9Hz, 1H), 7.28(t, J=7.3Hz, 1H), 7.35(d, J=8.6Hz, 2H), 7.41(t, J=7.3Hz, 1H), 7.47(d, J=7.3Hz, 1H), 7.50(d, J=7.3Hz, 1H), 7.63(d, J=8.6Hz, 2H), 8.11(s, 1H), 8.18(d, J=4.9Hz, 1H), 10.26(s, 1H), 10.43(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벤자미드(화합물 4-45)
1H-NMR(500MHz, DMSO-d6)
δ 2.06(s, 3H), 4.24(s, 2H), 7.06(d, J=5.2Hz, 1H), 7.30(t, J=7.6Hz, 1H), 7.35(d, J=8.6Hz, 2H), 7.43(t, J=7.6Hz, 1H), 7.49(d, J=7.6Hz, 1H), 7.53(d, J=7.6Hz, 1H), 7.83(d, J=8.6Hz, 2H), 8.11(s, 1H), 8.17(d, J=5.2Hz, 1H), 10.43(s, 1H), 10.54(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이소퀴놀린-3-일)벤자미드(화합물 4-46)
1H-NMR(500MHz, DMSO-d6)
δ 2.06(s, 3H), 4.24(s, 2H), 7.07(d, J=4.9Hz, 1H), 7.29(t, J=7.6Hz, 1H), 7.43(t, J=7.6Hz, 1H), 7.48(d, J=7.6Hz, 1H), 7.57(t, J=7.6Hz, 1H), 7.61(d, J=7.6Hz, 1H), 7.74(t, J=7.6Hz, 1H), 7.97(d, J=7.6Hz, 1H), 8.08(d, J=7.6Hz, 1H), 8.11(s, 1H), 8.17(d, J=4.9Hz, 1H), 8.60(s, 1H), 9.18(s, 1H), 10.43(s, 1H), 10.95(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벤자미드(화합물 4-47)
1H-NMR(500MHz, DMSO-d6)
δ 1.20(d, J=7.0Hz, 6H), 2.07(s, 3H), 2.86(m, 1H), 4.24(s, 2H), 6.98(d, J=7.6Hz, 1H), 7.07(d, J=5.2Hz, 1H), 7.24(t, J=7.6Hz, 1H), 7.28(t, J=7.6Hz, 1H), 7.41(t, J=7.6Hz, 1H), 7.46(d, J=7.6Hz, 1H), 7.52(d, J=7.6Hz, 1H), 7.53(d, J=7.6Hz, 1H), 7.62(s, 1H), 8.11(s, 1H), 8.18(d, J=5.2Hz, 1H), 10.27(s, 1H), 10.44(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3-메틸페닐)벤자미드(화합물 4-48)
1H-NMR(500MHz, DMSO-d6)
δ 2.06(s, 3H), 2.32(s, 3H), 4.23(s, 2H), 7.06(d, J=5.2Hz, 1H), 7.29(t, J=7.6Hz, 1H), 7.36(d, J=8.6Hz, 1H), 7.42(t, J=7.6Hz, 1H), 7.48(d, J=7.6Hz, 1H), 7.51(d, J=7.6Hz, 1H), 7.53(m, 1H), 7.74(s, 1H), 8.11(s, 1H), 8.18(d, J=5.2Hz, 1H), 10.40(s, 1H), 10.43(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1H-인다졸-6-일)벤자미드(화합물 4-49)
1H-NMR(500MHz, DMSO-d6)
δ 2.06(s, 3H), 4.25(s, 2H), 7.07(d, J=5.2Hz, 1H), 7.26(d, J=8.6Hz, 1H), 7.31(t, J=7.3Hz, 1H), 7.42(t, J=7.3Hz, 1H), 7.49(d, J=7.3Hz, 1H), 7.55(d, J=7.3Hz, 1H), 7.68(d, J=8.6Hz, 1H), 7.99(s, 1H), 8.11(s, 1H), 8.17(d, J=5.2Hz, 1H), 8.25(s, 1H), 10.43(s, 1H), 10.49(s, 1H), 12.93(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2,2-디메틸프로필)벤자미드(화합물 4-50)
1H-NMR(500MHz, DMSO-d6)
δ 0.91(s, 9H), 2.07(s, 3H), 3.04(d, J=6.4Hz, 2H), 4.20(s, 2H), 7.05(dd, J=4.9, 1.8Hz, 1H), 7.22(t, J=7.6Hz, 1H), 7.31-7.37(m, 2H), 7.40(d, J=7.6Hz, 1H), 8.09(br s, 1H), 8.18(d, J=5.2Hz, 1H), 8.25(t, J=6.4Hz, 1H), 10.43(s, 1H)
3-(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tert-부틸페닐)티오펜-2-카르복사미드(화합물 4-51)
1H-NMR(500MHz, DMSO-d6)
δ 1.27(s, 9H), 2.06(s, 3H), 4.27(s, 2H), 6.99(d, J=4.9Hz, 1H), 7.24(d, J=5.2Hz, 1H), 7.34(d, J=8.9Hz, 2H), 7.52(d, J=8.9Hz, 2H), 7.83(d, J=5.2Hz, 1H), 8.11(s, 1H), 8.16(d, J=4.9Hz, 1H), 9.90(s, 1H), 10.43(s, 1H)
3-(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1H-인다졸-6-일)티오펜-2-카르복사미드(화합물 4-52)
1H-NMR(500MHz, DMSO-d6)
δ 2.04(s, 3H), 4.28(s, 2H), 7.01(d, J=4.9Hz, 1H), 7.20(d, J=8.6Hz, 1H), 7.27(d, J=5.2Hz, 1H), 7.68(d, J=8.6Hz, 1H), 7.85(d, J=5.2Hz, 1H), 7.99(br s, 1H), 8.09(s, 1H), 8.10(s, 1H), 8.16(d, J=4.9Hz, 1H), 10.12(s, 1H), 10.41(s, 1H), 12.94(s, 1H)
3-(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이소퀴놀린-3-일)티오펜-2-카르복사미드(화합물 4-53)
1H-NMR(500MHz, DMSO-d6)
δ 1.96(s, 3H), 4.31(s, 2H), 6.92(d, J=5.2Hz, 1H), 7.32(d, J=5.2Hz, 1H), 7.57(t, J=7.6Hz, 1H), 7.75(t, J=7.6Hz, 1H), 7.91(d, J=5.2Hz, 1H), 7.93(d, J=7.6Hz, 1H), 8.03(s, 1H), 8.08(d, J=5.2Hz, 1H), 8.10(d, J=7.6Hz, 1H), 8.45(s, 1H), 9.17(s, 1H), 10.32(s, 1H), 10.55(s, 1H)
3-(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2,2-디메틸프로필)티오펜-2-카르복사미드(화합물 4-54)
1H-NMR(500MHz, DMSO-d6)
δ 0.85(s, 9H), 2.07(s, 3H), 3.01(d, J=6.1Hz, 2H), 4.24(s, 2H), 6.88(d, J=5.1, 1.7Hz, 1H), 7.23(d, J=5.1Hz, 1H), 7.75(d, J=5.1Hz, 1H), 7.94(d, J=6.1Hz, 1H), 8.04(br s, 1H), 8.16(d, J=5.1Hz, 1H), 10.45(s, 1H)
3-(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2-(4-메톡시페닐)에틸]티오펜-2-카르복사미드(화합물 4-55)
1H-NMR(500MHz, DMSO-d6)
δ 2.06(s, 3H), 2.71(t, J=7.3Hz, 2H), 3.33-3.38(m, 2H), 3.71(s, 3H), 4.19(s, 2H), 6.85(d, J=8.6Hz, 2H), 6.95(dd, J=4.9, 1.5Hz, 1H), 7.14(d, J=8.6Hz, 2H), 7.15(d, J=5.2Hz, 1H), 7.71(d, J=5.2Hz, 1H), 8.06(t, J=5.5Hz, 1H), 8.08(br s, 1H), 8.18(d, J=4.9Hz, 1H), 10.46(s, 1H)
3-(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티오펜-2-카르복사미드(화합물 4-56)
1H-NMR(400MHz, DMSO-d6)
δ 2.05(s, 3H), 2.25(s, 6H), 4.27(s, 2H), 6.74(s, 1H), 6.97(dd, J=5.1, 1.5Hz, 1H), 7.22-7.27(m, 3H), 7.83(d, J=5.1Hz, 1H), 8.11(s, 1H), 8.16(d, J=5.1Hz, 1H), 9.82(s, 1H), 10.43(s, 1H)
3-(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티오펜-2-카르복사미드(화합물 4-57)
1H-NMR(500MHz, CDCl3)
δ 2.11(s, 3H), 3.96(s, 2H), 6.44(dd, J=6.7, 1.9Hz, 1H), 7.16(d, J=5.2Hz, 1H), 7.26(d, J=8.9Hz, 2H), 7.46(d, J=8.9Hz, 2H), 7.57(d, J=5.2Hz, 1H), 8.00(d, J=6.7Hz, 1H), 8.03(s, 1H), 8.07(s, 1H), 9.79(s, 1H)
3-(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티오펜-2-카르복사미드(화합물 4-58)
1H-NMR(400MHz, CDCl3)
δ 2.10(s, 3H), 3.98(s, 2H), 6.48(dd, J=5.1, 1.7Hz, 1H), 7.15(d, J=0.7Hz, 1H), 7.17(d, J=5.1Hz, 2H), 7.54(dd, J=7.8, 2.2Hz, 1H), 7.58(d, J=5.1Hz, 2H), 8.00-8.02(m, 2H), 8.09(s, 1H), 9.84(s, 1H)
N-(3,5-디메틸페닐)-2-(2-메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59)
1H-NMR(500MHz, DMSO-d6)
δ 2.25(s, 6H), 3.35(s, 3H), 4.04(s, 2H), 4.42(s, 2H), 6.76(s, 1H), 7.15(dd, J=5.2, 1.5Hz,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93(dd, J=7.6, 1.8Hz, 1H), 8.17(s, 1H), 8.19(d, J=4.9Hz, 1H), 8.58(dd, J=4.9, 1.5Hz, 1H), 9.89(s, 1H), 10.30(s, 1H)
2-(2-메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 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60)
1H-NMR(500MHz, DMSO-d6)
δ 3.35(s, 3H), 4.03(s, 2H), 4.43(s, 2H), 7.15(dd, J=5.2, 1.5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6Hz, 2H), 7.80(d, J=8.6Hz, 2H), 7.99(dd, J=7.6, 1.5Hz, 1H), 8.17(s, 1H), 8.19(dd, J=5.2, 0.6Hz, 1H), 8.60(dd, J=4.9, 1.8Hz, 1H), 9.89(s, 1H), 10.66(s, 1H)
N-(3,5-디메틸페닐)-2-(2-페녹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61)
1H-NMR(500MHz, DMSO-d6)
δ 2.25(s, 6H), 4.41(s, 2H), 4.76(s, 2H), 6.76(s, 1H), 7.03-7.09(m, 3H), 7.16(d, J=4.9Hz, 1H), 7.27(dd, J=7.6, 4.9Hz, 1H), 7.28-7.30(m, 3H), 7.31(s, 1H), 7.92(dd, J=7.6, 1.8Hz, 1H), 8.15(s, 1H), 8.22(d, J=4.9Hz, 1H), 8.56(dd, J=4.9, 1.8Hz, 1H), 10.30(s, 1H), 10.43(s, 1H)
2-(2-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62)
1H-NMR(500MHz, DMSO-d6)
δ 2.10(s, 3H), 4.41(s, 2H), 4.68(s, 2H), 7.14(d, J=5.2Hz, 1H), 7.29(dd, J=7.6, 4.9Hz, 1H), 7.41(d, J=8.6Hz, 2H), 7.72(d, J=8.6Hz, 2H), 7.98(dd, J=7.6, 1.5Hz, 1H), 8.10(br s, 1H), 8.20(d, J=5.2Hz, 1H), 8.58(dd, J=4.9, 1.5Hz, 1H), 10.59(s, 1H), 10.60(s, 1H)
N-(3,5-디메틸페닐)-2-(3-메탄술포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63)
1H-NMR(500MHz, CDCl3)
δ 2.32(s, 6H), 3.07(s, 3H), 4.36(s, 2H), 6.83(s, 1H), 7.21-7.25(m, 4H), 7.90(d, J=6.4Hz, 1H), 7.94(s, 1H), 8.33(d, J=4.9Hz, 1H), 8.72(dd, J= 4.5, 1.5Hz, 1H), 8.78(s, 1H), 10.64(s, 1H)
2-(3-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64)
1H-NMR(400MHz, CDCl3)
δ 2.19(s, 3H), 2.30(s, 6H), 4.31(s, 2H), 6.81(s, 1H), 7.16-7.22(m, 2H), 7.25(s, 2H), 7.87(d, J=7.6Hz, 1H), 8.18(d, J=5.1Hz, 1H), 8.48-8.52(m, 2H), 8.94(s, 1H), 9.38(s, 1H)
N-(4-아세톡시-3,5-디메틸페닐)-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65)
1H-NMR(500MHz, DMSO-d6)
δ 2.06(s, 3H), 2.07(s, 6H), 2.33(s, 3H), 4.39(s, 2H), 7.10(dd, J=5.2, 1.5Hz, 1H), 7.29(dd, J=7.6, 4.9Hz, 1H), 7.42(s, 2H), 7.94(dd, J=7.6, 1.8Hz, 1H), 8.16-8.18(m, 2H), 8.58(dd, J=4.9, 1.8Hz, 1H), 10.38(s, 1H), 10.41(s, 1H)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66)
1H-NMR(400MHz, DMSO-d6)
δ 2.06(s, 3H), 4.41(s, 2H), 7.10(dd, J=5.1, 1.6Hz, 1H), 7.32(dd, J=7.6, 4.9Hz, 1H), 7.48(d, J=7.6Hz, 1H), 7.61(dd, J=8.3, 7.6Hz, 1H), 7.91(d, J=8.3Hz, 1H), 8.03(dd, J=7.6, 1.7Hz, 1H), 8.16-8.18(m, 3H), 8.61(dd, J=4.9, 1.7Hz, 1H), 10.41(s, 1H), 10.79(s, 1H)
2-[2-(4-히드록시카르보닐부티릴)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67)
1H-NMR(400MHz, DMSO-d6)
δ 1.73-1.82(m, 2H), 2.24(t, J=7.6Hz, 2H), 2.25(s, 6H), 2.39(t, J=7.3Hz, 2H), 4.39(s, 2H), 6.76(s, 1H), 7.10(d, J=6.6Hz,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92(dd, J=7.6, 1.7Hz, 1H), 8.17(d, J=6.6Hz, 1H), 8.17(s, 1H), 8.58(dd, J=4.9, 1.7Hz, 1H), 10.31(s, 1H), 10.40(s, 1H), 12.04(br s, 1H)
2-[2-(3,5-디옥소모르폴린-4-일)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 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68)
1H-NMR(400MHz, DMSO-d6)
δ 2.25(s, 6H), 4.48(s, 2H), 4.54(s, 4H), 6.76(s, 1H), 7.29(dd, J=7.6, 4.9Hz, 1H), 7.33(s, 2H), 7.45(s, 1H), 7.53(d, J=4.9Hz, 1H), 7.94(dd, J=7.6, 1.7Hz, 1H), 8.46(d, J=4.9Hz, 1H), 8.57(dd, J=4.9, 1.7Hz, 1H), 10.33(s, 1H)
실시예 5
N-(3,5-디메틸페닐)-2-[2-(N’-n-프로필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1)
실온 하에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1의 유리 염기, 28 ㎎, 0.077 mmo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0.60 ㎖) 용액에 이소시안산 n-프로필(20 ㎎, 0.23 mmol)을 첨가하여 80℃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아세트산에틸(10 ㎖)을 첨가하여 물(15 ㎖)과 포화 식염수(15 ㎖)로 세정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얻어지는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써 정제하여 표적 화합물 12 ㎎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33%).
Figure 112006066828628-PCT00043
1H-NMR(500MHz, DMSO-d6)
δ 0.87(t, J=7.6Hz, 3H), 1.46(m, 2H), 2.25(s, 6H), 3.11(m, 2H), 4.33(s, 2H), 6.76(s, 1H), 6.93(d, J=5.2Hz,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37(s, 1H), 7.93(dd, J=7.6, 1.5Hz, 1H), 8.05(d, J=5.2Hz, 1H), 8.23(br s, 1H), 8.57(dd, J=4.9, 1.5Hz, 1H), 9.13(s, 1H), 10.29(s, 1H)
이하, 화합물 3-1∼37,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화합물 5-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화합물 5-2∼6을 얻었다.
2-[2-(N’-tert-부틸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2)
1H-NMR(500MHz, DMSO-d6)
δ 1.30(s, 9H), 2.25(s, 6H), 4.33(s, 2H), 6.76(s, 1H), 6.91(d, J=5.2Hz,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42(s, 1H), 7.93(dd, J=7.6, 1.5Hz, 1H), 8.03(d, J=5.2Hz, 1H), 8.06(br s, 1H), 8.57(dd, J=4.9, 1.5Hz, 1H), 8.91(s, 1H), 10.30(s, 1H)
2-[2-(N’-4-클로로페닐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3)
1H-NMR(400MHz, DMSO-d6)
δ 2.25(s, 6H), 4.38(s, 2H), 6.76(s, 1H), 7.05(d, J=5.2Hz, 1H), 7.27- 7.50(m, 4H), 7.53-7.56(m, 4H), 7.94(dd, J=7.6, 1.7Hz, 1H), 8.16(d, J=5.2Hz, 1H), 8, 58(dd, J=4.9, 1.7Hz, 1H), 9.48(s, 1H), 10.30(s, 1H), 10.69(s, 1H)
N-(3,5-디메틸페닐)-2-[2-(N’-메틸티오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4)
1H-NMR(500MHz, DMSO-d6)
δ 2.26(s, 6H), 3.05(d, J=4.6Hz, 3H), 4.35(s, 2H), 6.76(s, 1H), 7.05(dd, J=5.5, 1.5Hz, 1H), 7.21(s, 1H), 7.29(dd, J=7.6, 4.9Hz, 1H), 7.32(s, 2H), 7.94(dd, J=7.6, 1.5Hz, 1H), 8.10(d, J=5.5Hz, 1H), 8.58(dd, J=4.9, 1.5Hz, 1H), 10.29(s, 1H), 10.54(s, 1H), 11.49(d, J=4.6Hz, 1H)
N-(4-클로로페닐)-2-[2-(N’-n-프로필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5)
1H-NMR(400MHz, DMSO-d6)
δ 0.87(t, J=6.3Hz, 3H), 1.40-1.50(m, 2H), 3.10(q, J=6.8Hz, 2H), 4.34(s, 2H), 6.93(d, J=5.4Hz, 1H), 7.30(dd, J=7.6, 4.9Hz, 1H), 7.37(s, 1H), 7.42(d, J=9.0Hz, 2H), 7.73(d, J=9.0Hz, 2H), 7.98(dd, J=7.6, 1.7Hz, 1H), 8.05(d, J=5.4Hz, 1H), 8.24(br s, 1H), 8.59(dd, J=4.9, 1.7Hz, 1H), 9.14(s, 1H), 10.59(s, 1H)
2-[2-(N’-n-프로필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 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6)
1H-NMR(500MHz, DMSO-d6)
δ 0.87(t, J=6.3Hz, 3H), 1.43-1.48(m, 2H), 3.11(q, J=7.0Hz, 2H), 4.35(s, 2H), 6.93(d, J=4.9Hz, 1H), 7.31(dd, J=7.6, 4.9Hz, 1H), 7.36-7.38(m, 3H), 7.81(d, J=8.6Hz, 2H), 7.99(dd, J=7.6, 1.5Hz, 1H), 8.05(d, J=4.9Hz, 1H), 8.23(br s, 1H), 8.60(dd, J=4.9, 1.5Hz, 1H), 9.13(s, 1H), 10.65(s, 1H)
실시예 6
N-(3,5-디메틸페닐)-2-(2-포르밀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1)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1의 유리 염기, 50 ㎎, 0.14 mmol)를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0.20 ㎖)에 용해하고, 거기에 N-포르밀벤조트리아졸(19 ㎎, 0.13 mmol)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0.2 ㎖) 용액을 첨가하여 16시간 가열 환류시켰다. 디클로로메탄(15 ㎖)으로 희석하고,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4.0 ㎖)으로 2회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표적 화합물 60 ㎎을 무색 고체로서 정량적으로 얻었다.
Figure 112006066828628-PCT00044
1H-NMR(400MHz, DMSO-d6)
δ 2.25(s, 6H), 3.30(s, 1H), 4.37(s, 2H), 6.76(s, 1H), 6.97(s, 1H), 7.13(m,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93(d, J=7.6Hz, 1H), 8.16(m, 1H), 8.57(dd, J=4.9, 1.7Hz, 1H), 10.30(s, 1H), 10.54(s, 1H)
실시예 7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1)
빙냉 하에서 60% 수소화나트륨(13 ㎎, 0.30 mmol)의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 현탁액에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1의 유리 염기, 50 ㎎, 0.14 mmol)의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 ㎖) 용액을 적하한 후, 5분간 교반하였다. 그 반응 용액에 브로모아세트산 tert-부틸에스테르(22 ㎕, 0.15 mmo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얼음물(15 ㎖)에 부어 아세트산에틸(15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조수(30 ㎖)와 포화 식염수(30 ㎖)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적 화합물 45 ㎎을 무색 비결정으로서 얻었다(수율 69%).
Figure 112006066828628-PCT00045
1H-NMR(500MHz, DMSO-d6)
δ 1.42(s, 9H), 2.05(s, 6H), 4.27(s, 2H), 4.38(s, 2H), 5.85(s, 2H), 6.45-6.46(m, 2H), 6.77-6.79(m, 3H), 6.95(s, 1H), 7.28(s, 1H), 7.78(dd, J=4.9, 0.9Hz, 1H), 8.33(s, 1H)
실시예 8
N-(3,5-디메틸페닐)-2-(2-페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1)
질소를 버블링시키면서 1,4-디옥산(2.0 ㎖)에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1의 유리 염기, 63 ㎎, 0.18 mmol), 탄산세슘(130 ㎎, 0.38 mmol), 요오드벤젠(37 ㎕, 0.33 mmol),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8.1 ㎎, 0.014 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4.3 ㎎, 0.0047 mmol)을 첨가하였다. 밀봉 관에서 90℃로 20시간 교반시킨 후, 아세트산에틸(30 ㎖)로 희석하고, 포화 중조수(30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써 정제하고, 얻어진 고체를 디에틸에테르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취하였다. 감압 하에서 건조시켜 표적 화합물 31 ㎎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31%).
Figure 112006066828628-PCT00046
1H-NMR(500MHz, DMSO-d6)
δ 2.25(s, 6H), 4.34(s, 2H), 6.75-6.76(m, 2H), 6.85-6.87(m, 2H), 7.22(t, J=7.8Hz, 2H), 7.29(dd, J=7.3, 4.9Hz, 1H), 7.33(s, 2H), 7.61(d, J=7.6Hz, 2H), 7.93(d, J=7.6Hz, 1H), 8.03(d, J=5.5Hz, 1H), 8.58(d, J=4.9Hz, 1H), 8.97(s, 1H), 10.31(s, 1H)
실시예 9
N-(3,5-디메틸페닐)-2-[2-(N’-메틸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1)
질소를 버블링시키면서 1,4-디옥산(2.0 ㎖)에 2-(2-브로모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3-4, 100 ㎎, 0.23 mmol), 탄산세슘(91 ㎎, 0.28 mmol), N-메틸요소(52 ㎎, 0.70 mmol),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8.1 ㎎, 0.014 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4.3 ㎎, 0.0047 mmol)을 첨가하였다. 밀봉 관에서 100℃로 5시간 교반 시킨 후, 아세트산에틸(30 ㎖)로 희석하고, 포화 중조수(30 ㎖)로 2회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써 정제하고, 얻어진 고체를 아세트산에틸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취하였다. 감압 하에서 건조시켜 표적 화합물 21 ㎎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22%).
Figure 112006066828628-PCT00047
1H-NMR(500MHz, DMSO-d6)
δ 2.25(s, 6H), 2.71(d, J=4.6Hz, 3H), 4.33(s, 2H), 6.76(s, 1H), 6.93(dd, J=5.3, 1.4Hz, 1H), 7.28(dd, J=7.5, 4.7Hz, 1H), 7.33(m, 3H), 7.92(dd, J=7.5, 1.5Hz, 1H), 8.05(d, J=5.3Hz, 1H), 8.15(s, 1H), 8.57(dd, J=4.7, 1.5Hz, 1H), 9.20(s, 1H), 10.29(s, 1H)
이하, 참고 화합물 3-4∼7,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화합물 9-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화합물 9-2∼4를 얻었다.
2-[2-(N’-메틸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2)
1H-NMR(500MHz, DMSO-d6)
δ 2.70(d, J=4.6Hz, 3H), 4.34(s, 2H), 6.93(dd, J=5.5, 1.5Hz, 1H), 7.30(dd, J=7.6, 4.8Hz, 1H), 7.33(s, 1H), 7.37(d, J=8.9Hz, 2H), 7.80(d, J=8.9Hz, 2H), 7.99(dd, J=7.6, 1.7Hz, 1H), 8.05(d, J=5.5Hz, 1H), 8.15(s, 1H), 8.60(dd, J=4.8, 1.7Hz, 1H), 9.21(s, 1H), 10.66(s, 1H)
N-(4-클로로페닐)-2-[2-(N’-메틸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3)
1H-NMR(400MHz, DMSO-d6)
δ 2.71(d, J=4.6Hz, 3H), 4.34(s, 2H), 6.93(dd, J=5.1, 1.4Hz, 1H), 7.28-7.33(m, 2H), 7.41(d, J=8.9Hz, 2H), 7.72(d, J=8.9Hz, 2H), 7.98(dd, J=7.6, 1.7Hz, 1H), 8.04(d, J=5.1Hz, 1H), 8.16(s, 1H), 8.59(dd, J=4.9, 1.7Hz, 1H), 9.21(s, 1H), 10.60(s, 1H)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N’-메틸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4)
1H-NMR(400MHz, DMSO-d6)
δ 2.70(d, J=4.6Hz, 3H), 4.34(s, 2H), 6.93(dd, J=5.1, 1.3Hz, 1H), 7.17(t, J=74.1Hz, 1H). 7.18(d, J=8.9Hz, 2H), 7.28-7.33(m, 2H), 7.72(d, J=8.9Hz, 2H), 7.97(dd, J=7.8, 1.7Hz, 1H), 8.04(d, J=5.1Hz, 1H), 8.17(s, 1H), 8.59(dd, J=4.8, 1.7Hz, 1H), 9.22(s, 1H), 10.55(s, 1H)
실시예 10
2-(2-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1)
질소를 버블링시키면서 1,4-디옥산(20 ㎖)에 2-(2-브로모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참고 화합물 3-4, 1.9 g, 4.7 mmol), 탄산세슘(1.8 g, 5.6 mmol), 아세톡시아세트아미드(1.6 g, 5.6 mmol),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810 ㎎, 1.4 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430 ㎎, 0.47 mmol)을 첨가하였다. 밀봉 관에서 100℃로 3시간 교반시킨 후, 아세트산에틸(300 ㎖)로 희석하고, 포화 중조수(300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써 정제하여 표적 화합물 1.0 g을 황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47%).
Figure 112006066828628-PCT00048
혹은 이하와 같이 하여도 합성할 수 있다.
실온 하에서 아세톡시아세트산(1.2 g, 10 mmol)을 피리딘(12 ㎖)에 용해하고, 아세톡시아세트산클로라이드(1.1 ㎖, 10 mmo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 미드(화합물 3-1의 유리 염기, 1.0 g, 2.5 mmol)를 첨가하여 15시간 더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아세트산에틸(100 ㎖)을 첨가하여 1N 염산(150 ㎖)으로 3회, 포화 중조수(150 ㎖)로 2회, 포화 식염수(150 ㎖)로 세정한 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써 정제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아세트산에틸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취하고, 감압 하에서 건조시킴으로써 표적 화합물 0.97 g을 차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77%).
1H-NMR(400MHz, DMSO-d6)
δ 2.10(s, 3H), 2.25(s, 6H), 4.40(s, 2H), 4.68(s, 2H), 6.76(s, 1H), 7.14(dd, J=5.1, 1.5Hz, 1H), 7.28(dd, J=7.6, 4.8Hz, 1H), 7.32(s, 2H), 7.92(dd, J=7.6, 1.8Hz, 1H), 8.10(s, 1H), 8.20(d, J=5.1Hz, 1H), 8.57(dd, J=4.8, 1.8Hz, 1H), 10.30(s, 1H), 10.60(s, 1H)
이하, 참고 화합물 3-4, 3-5, 화합물 3-1∼37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화합물 10-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화합물 10-2∼21을 얻었다.
2-(2-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2)
1H-NMR(400MHz, DMSO-d6)
δ 2.09(s, 3H), 4.41(s, 2H), 4.68(s, 2H), 7.14(dd, J=5.2, 1.5Hz, 1H), 7.30(dd, J=7.6, 4.8Hz, 1H), 7.36(d, J=8.3Hz, 2H), 7.80(d, J=8.3Hz, 2H), 7.98(dd, J=7.6, 1.8Hz, 1H), 8.10(s, 1H), 8.20(d, J=5.2Hz, 1H), 8.59(dd, J=4.8, 1.8Hz, 1H), 10.59(s, 1H), 10.65(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3)
1H-NMR(500MHz, DMSO-d6)
δ 1.39(s, 9H), 2.25(s, 6H), 3.75(d, J=6.3Hz, 2H), 4.40(s, 2H), 6.76(s, 1H), 7.03(m, 1H), 7.12(dd, J=5.1, 1.7Hz, 1H), 7.28(m, 1H), 7.32(s, 2H), 7.92(dd, J=7.6, 1.7Hz, 1H), 8.14(d, J=0.7Hz, 1H), 8.18(dd, J=5.1, 0.7Hz, 1H), 8.57(dd, J=4.9, 1.7Hz, 1H), 10.30(s, 1H), 10.31(s, 1H)
2-[2-(2-아세톡시프로피오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4)
1H-NMR(400MHz, CDCl3)
δ 1.55(d, J=6.7Hz, 3H), 2.19(s, 3H), 2.32(s, 6H), 4.50(s, 2H), 5.31(q, J=6.7Hz, 1H), 6.81(s, 1H), 7.11-7.14(m, 2H), 7.27(s, 2H), 7.85(dd, J=7.6, 1.8Hz, 1H), 8.03(s, 1H), 8.17(d, J=5.2Hz, 1H), 8.29(s, 1H), 8.43(s, 1H), 8.52(dd, J=4.9, 1.8Hz, 1H)
N-(3,5-디메틸페닐)-2-[2-(3-메톡시프로피오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5)
1H-NMR(400MHz, DMSO-d6)
δ 2.25(s, 6H), 2.60(t, J=6.2Hz, 2H), 3.21(s, 3H), 3.59(t, J=6.2Hz, 2H), 4.40(s, 2H), 6.76(s, 1H), 7.11(dd, J=5.2, 1.4Hz,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92(dd, J=7.6, 1.7Hz, 1H), 8.17(s, 1H), 8.18(s, 1H), 8.58(dd, J=4.9, 1.7Hz, 1H), 10.31(s, 1H), 10.42(s, 1H)
2-(2-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인단-5-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6)
1H-NMR(400MHz, DMSO-d6)
δ 2.02-2.06(m, 2H), 2.10(s, 3H), 2.79-2.87(m, 4H), 4.40(s, 2H), 4.68(s, 2H), 7.14(dd, J=5.1, 1.5Hz, 1H), 7.17(d, J=8.1Hz, 1H), 7.28(dd, J=7.6, 4.8Hz, 1H), 7.37(d, J=7.3Hz, 1H), 7.62(s, 1H), 7.93(m, 1H), 8.10(s, 1H), 8.20(d, J=5.1Hz, 1H), 8.57(dd, J=4.8, 1.7Hz, 1H), 10.34(s, 1H), 10.60(s, 1H)
2-(2-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7)
1H-NMR(400MHz, DMSO-d6)
δ 2.10(s, 3H), 2.30(s, 3H), 4.41(s, 2H), 4.69(s, 2H), 6.93(d, J=7.8Hz, 1H), 7.15(dd, J=5.1, 1.5Hz, 1H), 7.22(t, J=7.8Hz, 1H), 7.29(dd, J=7.6, 4.9Hz, 1H), 7.46(d, J=7.8Hz, 1H), 7.57(m, 1H), 7.94(dd, J=7.6, 1.7Hz, 1H), 8.11(s, 1H), 8.20(d, J=5.1Hz, 1H), 8.57(dd, J=4.9, 1.7Hz, 1H), 10.39(s, 1H), 10.60(s, 1H)
2-(2-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8)
1H-NMR(400MHz, DMSO-d6)
δ 2.10(s, 3H), 4.42(s, 2H), 4.72(s, 2H), 7.15(dd, J=5.1, 1.5Hz, 1H), 7.31(dd, J=7.6, 4.9Hz, 1H), 7.73(d, J=8.8Hz, 2H), 7.91(d, J=8.8Hz, 2H), 8.02(dd, J=7.6, 1.7Hz, 1H), 8.11(s, 1H), 8.20(d, J=5.1Hz, 1H), 8.60(dd, J=4.9, 1.7Hz, 1H), 10.60(s, 1H), 10.82(s, 1H)
N-(4-클로로페닐)-2-(2-메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9)
1H-NMR(400MHz, DMSO-d6)
δ 3.35(s, 3H), 4.04(s, 2H), 4.42(s, 2H), 7.15(dd, J=5.1, 1.5Hz, 1H), 7.30(dd, J=7.6, 4.9Hz, 1H), 7.41(d, J=8.8Hz, 2H), 7.73(d, J=8.8Hz, 2H), 7.98(dd, J=7.6, 1.7Hz, 1H), 8.17(s, 1H), 8.19(d, J=5.1Hz, 1H), 8.60(dd, J=4.9, 1.7Hz, 1H), 9.90(s, 1H), 10.60(s, 1H)
2-(2-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tert-부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10)
1H-NMR(400MHz, DMSO-d6)
δ 1.27(s, 9H), 2.10(s, 3H), 4.40(s, 2H), 4.68(s, 2H), 7.14(d, J=5.1Hz, 1H), 7.28(dd, J=7.6, 4.9Hz, 1H), 7.36(d, J=8.5Hz, 2H), 7.60(d, J=8.5Hz, 2H), 7.94(d, J=7.6Hz, 1H), 8.10(br s, 1H), 8.20(d, J=5.1Hz, 1H), 8.57(dd, J=4.9, 1.7Hz, 1H), 10.39(s, 1H), 10.60(s, 1H)
2-[2-(3-메톡시프로피오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11)
1H-NMR(400MHz, DMSO-d6)
δ 2.60(t, J=6.1Hz, 2H), 3.22(s, 3H), 3.59(t, J=6.1Hz, 2H), 4.41(s, 2H), 7.11(dd, J=5.1, 1.5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7Hz, 2H), 7.81(d, J=8.7Hz, 2H), 7.99(dd, J=7.6, 1.7Hz, 1H), 8.18(d, J=5.1Hz, 1H), 8.18(s, 1H), 8.60(d, J=4.9, 1.7Hz, 1H), 10.42(s, 1H), 10.66(s, 1H)
2-(2-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12)
1H-NMR(400MHz, DMSO-d6)
δ 2.10(s, 3H), 4.42(s, 2H), 4.68(s, 2H), 7.15(d, J=5.1Hz, 1H), 7.32(d, J=7.6, 4.9Hz, 1H), 7.59(d, J=9.0Hz, 1H), 7.71(dd, J=9.0, 2.4Hz, 1H), 8.01(dd, J=7.6, 1.7Hz, 1H), 8.08(d, J=2.4Hz, 1H), 8.10(br s, 1H), 8.20(d, J=5.1Hz, 1H), 8.60(dd, J=4.9, 1.7Hz, 1H), 10.61(s, 1H), 10.81(s, 1H)
2-(2-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13)
1H-NMR(400MHz, DMSO-d6)
δ 2.10(s, 3H), 4.42(s, 2H), 4.68(s, 2H), 7.15(d, J=5.1Hz, 1H), 7.32(d, J=7.6, 4.9Hz, 1H), 7.48(d, J=1.8Hz, 1H), 7.60(t, J=8.1Hz, 1H), 7.91(d, J=8.1Hz, 1H), 8.03(dd, J=7.6, 1.7Hz, 1H), 8.11(br s, 1H), 8.18(s, 1H), 8.20(d, J=5.1Hz, 1H), 8.60(dd, J=4.9, 1.7Hz, 1H), 10.61(s, 1H), 10.79(s, 1H)
2-(2-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14)
1H-NMR(400MHz, DMSO-d6)
δ 1.20(d, J=6.8Hz, 6H), 2.13(s, 3H), 2.85(m, 1H), 4.40(s, 2H), 4.68(s, 2H), 7.15(d, J=5.1Hz, 1H), 7.23-7.30(m, 2H), 7.50(m, 1H), 7.58-7.60(m, 2H), 7.96(dd, J=7.6, 1.7Hz, 1H), 8.10(br s, 1H), 8.20(d, J=5.1Hz, 1H), 8.57(dd, J=4.6, 1.7Hz, 1H), 10.40(s, 1H), 10.60(s, 1H)
2-(2-에톡시카르보닐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15)
1H-NMR(400MHz, DMSO-d6)
δ 1.19(t, J=7.1Hz, 3H), 3.53(s, 2H), 4.10(q, J=7.1Hz, 2H), 4.42(s, 2H), 7.15(dd, J=5.1, 1.1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8Hz, 2H), 7.81(d, J=8.8Hz, 2H), 7.99(dd, J=7.6, 1.7Hz, 1H), 8.16(s, 1H), 8.20(d, J=5.1Hz, 1H), 8.60(dd, J=4.9, 1.7Hz, 1H), 10.63(s, 1H), 10.66(s, 1H)
2-[2-(3-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피오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16)
1H-NMR(500MHz, CDCl3)
δ 1.42(s, 9H), 2.59(t, J=5.7Hz, 2H), 3.42-3.50(m, 2H), 4.53(s, 2H), 5.05(s, 1H), 7.09(dd, J=5.2, 1.5Hz, 1H), 7.16(dd, J=7.6, 4.8Hz, 1H), 7.22(d, J=8.9Hz, 2H), 7.70(d, J=8.9Hz, 2H), 7.90(dd, J=7.6, 1.8Hz, 1H), 7.98(s, 1H), 8.15(d, J=5.2Hz, 1H), 8.24(s, 1H), 8.28(s, 1H), 8.54(dd, J=4.8, 1.8Hz, 1H)
2-[2-((4S)-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히드록시펜타노일)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17)
1H-NMR(400MHz, DMSO-d6)
δ 1.36(s, 9H), 1.42(m, 1H), 1.82(m, 1H), 2.32-2.39(m, 4H), 3.22(m, 1H), 4.40(s, 2H), 4.61(m, 1H), 6.47(m, 1H), 7.09(m, 1H), 7.29(dd, J=7.6, 4.8Hz, 1H), 7.37(d, J=8.8Hz, 2H), 7.80(d, J=8.8Hz, 2H), 7.98(dd, J=7.6, 1.8Hz, 1H), 8.16(s, 1H), 8.17(s, 1H), 8.60(dd, J=4.8, 1.8Hz, 1H), 10.34(s, 1H), 10.66(s, 1H)
2-[2-(2-옥소피롤리딘-1-일)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18)
1H-NMR(400MHz, DMSO-d6)
δ 1.97-2.05(m, 2H), 2.51-2.57(m, 2H), 3.94(t, J=7.1Hz, 2H), 4.42(s, 2H), 7.15(dd, J=5.1, 1.5Hz, 1H), 7.30(dd, J=7.6, 4.8Hz, 1H), 7.37(d, J=8.7Hz, 2H), 7.80(d, J=8.7Hz, 2H), 7.99(dd, J=7.6, 1.7Hz, 1H), 8.25(d, J=5.1Hz, 1H), 8.40(s, 1H), 8.60(dd, J=4.8, 1.7Hz, 1H), 10.65(s, 1H)
2-(2-시아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19)
1H-NMR(500MHz, CDCl3)
δ 3.66(s, 2H), 4.55(s, 2H), 7.16(dd, J=7.6, 4.9Hz, 1H), 7.23(d, J=8.6Hz, 2H), 7.24-7.29(m, 2H), 7.75(d, J=8.6Hz, 2H), 7.89(dd, J=7.6, 1.8Hz, 1H), 8.16(d, J=5.5Hz, 1H), 8.20(s, 1H), 8.41(s, 1H), 8.52(dd, J=4.9, 1.8Hz, 1H)
2-(2-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20)
1H-NMR(400MHz, DMSO-d6)
δ 2.06(s, 3H), 3.30(s, 2H), 4.40(s, 2H), 7.10(dd, J=5.1, 1.5Hz, 1H), 7.16(t, J=74.2Hz, 1H), 7.18(d, J=8.8Hz, 2H), 7.30(dd, J=7.6, 4.9Hz, 1H), 7.72(d, J=8.8Hz, 2H), 7.97(dd, J=7.6, 1.7Hz, 1H), 8.16-8.17(m, 2H), 8.59(dd, J=4.9, 1.7Hz, 1H), 10.41(s, 1H), 10.55(s, 1H)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21)
1H-NMR(400MHz, DMSO-d6)
δ 1.39(s, 9H), 3.75(d, J=6.1Hz, 2H), 4.41(s, 2H), 7.04(t, J=6.1Hz, 1H), 7.12(d, J=5.2Hz, 1H), 7.17(t, J=74.2Hz, 1H), 7.18(d, J=8.8Hz, 2H), 7.29(dd, J=7.6, 4.9Hz, 1H), 7.72(d, J=8.8Hz, 2H), 7.96(d, J=7.6, 1.6Hz, 1H), 8.14(s, 1H), 8.18(d, J=5.2Hz, 1H), 8.59(dd, J=4.9, 1.6Hz, 1H), 10.31(s, 1H), 10.54(s, 1H)
실시예 11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카르복시메틸-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염산염(화합물 11-1)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1, 40 ㎎, 0.084 mmol)를 아세트산에틸(1.0 ㎖)에 용해하고, 4N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용액(1.0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8시간 교반하였다. 석출한 고체를 디에틸에테르로 여과하여 취하고, 감압 하에서 건조시켜 표적 화합물 30 ㎎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86%).
Figure 112006066828628-PCT00049
1H-NMR(500MHz, DMSO-d6)
δ 2.04(s, 6H), 4.44(br s, 4H), 5.35(br s, 1H), 6.77(s, 3H), 6.87(d, J=6.9Hz, 1H), 6.98(s, 1H), 7.03(s, 1H), 7.31(s, 1H), 7.87(d, J=6.9Hz, 1H), 8.02(s, 2H), 8.32(s, 1H), 13.52(s, 1H)
이하, 화합물 10-3, 17,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화합물 11-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화합물 11-2∼3을 얻었다.
2-(2-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염산염(화합물 11-2)
1H-NMR(500MHz, DMSO-d6)
δ 2.25(s, 6H), 3.81(s, 2H), 4.46(s, 2H), 6.76(s, 1H), 7.10(br s, 1H), 7.23(dd, J=5.2, 1.3Hz, 1H), 7.29(dd, J=7.6, 4.9Hz, 1H), 7.34(s, 2H), 7.97(dd, J=7.6, 1.8Hz, 1H), 8.13(s, 1H), 8.24(d, J=5.2Hz, 1H), 8.28(s, 2H), 8.57(dd, J=4.9, 1.5Hz, 1H), 10.36(s, 1H), 11.09(s, 1H)
2-[2-((4S)-아미노-5-히드록시펜타노일)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염산염(화합물 11-3)
1H-NMR(500MHz, DMSO-d6)
δ 1.78-1.86(m, 2H), 2.26-2.29(m, 2H), 3.12(s, 1H), 3.36-3.39(m, 2H), 3.44(m, 1H), 3.60(m, 1H), 3.96(s, 1H), 4.42(s, 2H), 7.17(d, J=5.2Hz, 1H), 7.31(dd, J=7.6, 4.8Hz, 1H), 7.37(d, J=8.5Hz, 2H), 7.81(d, J=8.5Hz, 2H), 7.83(s, 1H), 8.01(dd, J=7.6, 1.8Hz, 1H), 8.13(s, 1H), 8.20(d, J=5.2Hz, 1H), 8.60(dd, J=4.8, 1.8Hz, 1H), 10.64(s, 1H), 10.68(s, 1H)
실시예 12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1)
2-(2-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2, 25 ㎎, 0.048 mmol)를 메탄올(2.0 ㎖)과 테트라히드로푸란(1.0 ㎖)의 혼합 용매에 용해하고, 빙냉 하에서 4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60 ㎕)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5분간 교반한 후, 아세트산에틸(30 ㎖)로 희석하고, 포화 중조수(30 ㎖), 포화 식염수(30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표적 화합물 23 ㎎을 엷은 황색 고체로서 정량적으로 얻었다.
Figure 112006066828628-PCT00050
1H-NMR(500MHz, DMSO-d6)
δ 4.01(d, J=5.8Hz, 2H), 4.43(s, 2H), 5.72(t, J=5.8Hz, 1H), 7.15(d, J=6.7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3Hz, 2H), 7.80(d, J=8.3Hz, 2H), 7.98(dd, J=7.6, 1.8Hz, 1H), 8.19(s, 1H), 8.20(s, 1H), 8.60(dd, J=4.9, 1.8Hz, 1H), 9.58(s, 1H), 10.65(s, 1H)
이하, 화합물 10-1∼21,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화합물 12-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화합물 12-2∼16을 얻었다.
N-(3,5-디메틸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2)
1H-NMR(500MHz, DMSO-d6)
δ 2.25(s, 6H), 4.01(d, J=6.1Hz, 2H), 4.42(s, 2H), 5.73(t, J=6.0Hz, 1H), 6.76(s, 1H), 7.15(d, J=6.7Hz, 1H), 7.28(dd, J=7.3, 4.9Hz, 1H), 7.32(s, 2H), 7.93(d, J=5.8Hz, 1H), 8.19-8.20(m, 2H), 8.57(dd, J=4.9, 1.8Hz, 1H), 9.58(s, 1H), 10.30(s, 1H)
N-(4-클로로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3)
1H-NMR(400MHz, DMSO-d6)
δ 4.01(d, J=6.1Hz, 2H), 4.43(s, 2H), 5.74(t, J=6.1Hz, 1H), 7.15(d, J=5.4Hz, 1H), 7.30(dd, J=7.6, 4.9Hz, 1H), 7.41(d, J=8.8Hz, 2H), 7.72(d, J=8.8Hz, 2H), 7.98(dd, J=7.6, 1.7Hz, 1H), 8.18-8.20(m, 2H), 8.59(dd, J=4.9, 1.7Hz, 1H), 9.59(s, 1H), 10.60(s, 1H)
N-(3,5-디메틸페닐)-2-[2-(2-히드록시프로피오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4)
1H-NMR(400MHz, CDCl3)
δ 1.52(d, J=6.9Hz, 3H), 1.64(s, 1H), 2.31(s, 6H), 4.37(q, J=6.9Hz, 1H), 4.49(s, 2H), 6.80(d, J=0.7Hz, 1H), 7.09-7.13(m, 2H), 7.27(s, 2H), 7.84(dd, J=7.6, 1.7Hz, 1H), 8.06(s, 1H), 8.13(dd, J=5.1, 0.5Hz, 1H), 8.34(s, 1H), 8.51(dd, J=4.8, 1.7Hz, 1H), 9.27(s, 1H)
N-(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 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5)
1H-NMR(500MHz, DMSO-d6)
δ 2.15(s, 6H), 4.01-4.05(m, 2H), 4.41(s, 2H), 5.75(br s, 1H), 7.15(dd, J=5.3, 1.4Hz, 1H), 7.24(s, 2H), 7.26(dd, J=7.6, 4.9Hz, 1H), 7.90(dd, J=7.6, 1.5Hz, 1H), 8.10(s, 1H), 8.18-8.20(m, 2H), 8.56(dd, J=4.9, 1.5Hz, 1H), 9.59(s, 1H), 10.09(s, 1H)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6)
1H-NMR(500MHz, DMSO-d6)
δ 2.30(s, 3H), 4.01(d, J=6.1Hz, 2H), 4.42(s, 2H), 5.74(t, J=6.1Hz, 1H), 6.93(d, J=7.8Hz, 1H), 7.16(dd, J=5.2, 1.5Hz, 1H), 7.22(t, J=7.8Hz, 1H), 7.29(dd, J=7.6, 4.9Hz, 1H), 7.46(d, J=7.8Hz, 1H), 7.56(s, 1H), 7.95(dd, J=7.6, 1.7Hz, 1H), 8.18-8.20(m, 2H), 8.58(dd, J=4.9, 1.7Hz, 1H), 9.59(s, 1H), 10.38(s, 1H)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7)
1H-NMR(500MHz, DMSO-d6)
δ 4.01(d, J=6.1Hz, 2H), 4.44(s, 2H), 5.74(t, J=6.1Hz, 1H), 7.16(dd, J=5.2, 1.2Hz, 1H), 7.32(dd, J=7.6, 4.9Hz, 1H), 7.73(d, J=8.6Hz, 2H), 7.92(d, J=8.6Hz, 2H), 8.02(dd, J=7.6, 1.8Hz, 1H), 8.18-8.20(m, 2H), 8.61(dd, J=4.9, 1.8Hz, 1H), 9.59(s, 1H), 10.82(s, 1H)
N-(4-tert-부틸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8)
1H-NMR(400MHz, DMSO-d6)
δ 1.27(s, 9H), 4.01(d, J=5.5Hz, 2H), 4.42(s, 2H), 5.74(t, J=5.5Hz, 1H), 7.16(d, J=6.6Hz, 1H), 7.29(dd, J=7.6, 4.9Hz, 1H), 7.36(d, J=8.5Hz, 2H), 7.60(d, J=8.5Hz, 2H), 7.94(d, J=7.6Hz, 1H), 8.18-8.20(m, 2H), 8.58(dd, J=4.9, 1.7Hz, 1H), 9.59(br s, 1H), 10.40(s, 1H)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이소퀴놀린-3-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9)
1H-NMR(500MHz, DMSO-d6)
δ 4.03(d, J=5.9Hz, 2H), 4.44(s, 2H), 5.74(t, J=5.9Hz, 1H), 7.17(dd, J=5.2, 1.6Hz, 1H), 7.28(dd, J=7.6, 4.9Hz, 1H), 7.58(m, 1H), 7.75(m, 1H), 7.98(d, J=7.6Hz, 1H), 8.05-8.10(m, 2H), 8.17-8.21(m, 2H), 8.58(dd, J=4.9, 1.6Hz, 1H), 8.60(s, 1H), 9.19(s, 1H), 9.60(s, 1H), 11.16(s, 1H)
N-(3-클로로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 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10)
1H-NMR(400MHz, DMSO-d6)
δ 4.01(d, J=5.9Hz, 2H), 4, 43(s, 2H), 5.74(t, J=5.9Hz, 1H), 7.15-7.20(m, 2H), 7.31(dd, J=7.6, 4.9Hz, 1H), 7.39(t, J=7.6Hz, 1H), 7.58(m, 1H), 7.88(d, J=1.7Hz, 1H), 7.99(dd, J=7.6, 1.7Hz, 1H), 8.16-8.19(m, 2H), 8.60(dd, J=4.9, 1.7Hz, 1H), 9.59(s, 1H), 10.65(s, 1H)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인단-5-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11)
1H-NMR(400MHz, DMSO-d6)
δ 1.99-2.06(m, 2H), 2.80-2.87(m, 4H), 4.01(d, J=4.9Hz, 2H), 4.42(s, 2H), 5.74(s, 1H), 7.14-7.18(m, 2H), 7.28(dd, J=7.6, 4.9Hz, 1H), 7.38(d, J=6.9Hz, 1H), 7.61(s, 1H), 7.93(dd, J=7.6, 1.7Hz, 1H), 8.18-8.21(m, 2H), 8.57(dd, J=4.9, 1.7Hz, 1H), 9.58(s, 1H), 10.34(s, 1H)
N-(3-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12)
1H-NMR(400MHz, DMSO-d6)
δ 4.01(s, 2H), 4.44(s, 2H), 5.74(t, J=5.6Hz, 1H), 7.15(d, J=5.1Hz, 1H), 7.32(d, J=7.6, 4.9Hz, 1H), 7.59(d, J=8.8Hz, 1H), 7.71(dd, J=8.8, 2.4Hz, 1H), 8.01(dd, J=7.6, 1.7Hz, 1H), 8.08(d, J=2.4Hz, 1H), 8.19(s, 1H), 8.20(d, J=5.1Hz, 1H), 8.61(dd, J=4.9, 1.7Hz, 1H), 9.59(s, 1H), 10.81(s, 1H)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13)
1H-NMR(400MHz, DMSO-d6)
δ 1.20(d, J=6.8Hz, 6H), 2.88(m, 1H), 4.01(d, J=5.9Hz, 2H), 4.42(s, 2H), 5.74(t, J=5.9Hz, 1H), 7.00(d, J=7.6Hz, 1H), 7.16(d, J=6.6Hz, 1H), 7.26(t, J=8.2Hz, 1H), 7.29(dd, J=7.6, 4.9Hz, 1H), 7.51(d, J=8.2Hz, 1H), 7.59(br s, 1H), 7.96(d, J=6.6Hz, 1H), 8.19(d, J=8.2Hz, 1H), 8.20(s, 1H), 8.58(dd, J=4.9, 1.7Hz, 1H), 9.59(s, 1H), 10.40(s, 1H)
2-(2-히드록시카르보닐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14)
1H-NMR(400MHz, DMSO-d6)
δ 3.42(s, 2H), 4.42(s, 2H), 7.14(dd, J=5.1, 1.3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8Hz, 2H), 7.81(d, J=8.8Hz, 2H), 7.98(dd, J=7.6, 1.7Hz, 1H), 8.17(s, 1H), 8.19(d, J=5.1Hz, 1H), 8.60(dd, J=4.9, 1.7Hz, 1H), 10.58(s, 1H), 10.67(s, 1H)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 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15)
1H-NMR(400MHz, DMSO-d6)
δ 4.01(d, J=5.9Hz, 2H), 4.43(s, 2H), 5.74(t, J=5.9Hz, 1H), 7.14-7.19(m, 3H), 7.19(t, J=74.6Hz, 1H), 7.30(dd, J=7.6, 4.9Hz, 1H), 7.73(d, J=8.8Hz, 2H), 7.97(dd, J=7.6, 1.7Hz, 1H), 8.19-8.20(m, 2H), 8.59(dd, J=4.9, 1.7Hz, 1H), 9.59(s, 1H), 10.55(s, 1H)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16)
1H-NMR(400MHz, DMSO-d6)
δ 4.01(d, J=5.9Hz, 2H), 4.44(s, 2H), 5.74(t, J=5.9Hz, 1H), 7.16(dd, J=5.4, 1.2Hz, 1H), 7.32(dd, J=7.7, 4.9Hz, 1H), 7.48(d, J=8.1Hz, 1H), 7.61(t, J=8.1Hz, 1H), 7.91(d, J=8.1Hz, 1H), 8.03(dd, J=7.7, 1.7Hz, 1H), 8.17-8.20(m, 3H), 8.61(dd, J=4.9, 1.7Hz, 1H), 9.59(s, 1H), 10.79(s, 1H)
실시예 13
2-[2-비스(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1)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11, 800 ㎎, 1.9 mmol)를 피리딘(10 ㎖)에 용해하고, 빙냉 하 에서 아세톡시아세트산클로라이드(0.66 ㎖, 6.1 mmo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8시간 교반하였다. 아세트산에틸(100 ㎖)로 희석하고, 포화 중조수(100 ㎖)로 세정한 후, 1N 염산(50 ㎖)으로 2회 세정하였다. 다시 포화 중조수(100 ㎖)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아세트산에틸-헥산으로 재결정하여 표적 화합물 300 ㎎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30%).
Figure 112006066828628-PCT00051
1H-NMR(400MHz, DMSO-d6)
δ 2.06(s, 6H), 4.48(s, 2H), 4.72(s, 4H), 7.31(dd, J=7.6, 4.9Hz, 1H), 7.38(d, J=8.3Hz, 2H), 7.57-7.59(m, 2H), 7.81(d, J=9.0Hz, 2H), 8.01(dd, J=7.6, 1.7Hz, 1H), 8.49(d, J=5.8Hz, 1H), 8.56(dd, J=4.9, 1.7Hz, 1H), 10.67(s, 1H)
이하, 화합물 3-1∼37,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화합물 13-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화합물 13-2∼14를 얻었다.
2-[2-비스(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2)
1H-NMR(400MHz, DMSO-d6)
δ 2.07(s, 6H), 2.26(s, 6H), 4.47(s, 2H), 4.72(s, 4H), 6.76(s, 1H), 7.28(dd, J=7.6, 4.9Hz, 1H), 7.33(s, 2H), 7.58(s, 1H), 7.59(d, J=5.6Hz, 1H), 7.95(dd, J=7.6, 1.7Hz, 1H), 8.49(d, J=5.6Hz, 1H), 8.54(dd, J=4.9, 1.7Hz, 1H), 10.31(s, 1H)
N-(3,5-디메틸페닐)-2-(2-에톡시카르보닐옥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3)
1H-NMR(500MHz, DMSO-d6)
δ 1.23(t, J=7.0Hz, 3H), 2.25(s, 6H), 4.15(q, J=7.0Hz, 2H), 4.41(s, 2H), 4.73(s, 2H), 6.76(s, 1H), 7.15(dd, J=5.2, 1.6Hz,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92(dd, J=7.6, 1.6Hz, 1H), 8.11(s, 1H), 8.20(d, J=5.2Hz, 1H), 8.57(dd, J=4.9, 1.6Hz, 1H), 10.30(s, 1H), 10.65(s, 1H)
2-[2-(3-히드록시카르보닐프로피오닐옥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4)
1H-NMR(400MHz, DMSO-d6)
δ 2.49-2.52(m, 2H), 2.60-2.64(m, 2H), 4.41(s, 2H), 4.71(s, 2H), 7.15(dd, J=5.1, 1.5Hz, 1H), 7.30(dd, J=7.6, 4.9Hz, 1H), 7.37(d, J=8.3Hz, 2H), 7.80(d, J=8.3Hz, 2H), 7.98(dd, J=7.6, 1.7Hz, 1H), 8.11(br s, 1H), 8.20(d, J=5.1Hz, 1H), 8.59(dd, J=4.9, 1.7Hz, 1H), 10.59(s, 1H), 10.67(s, 1H), 12.28(br s, 1H)
N-(3,5-디메틸페닐)-2-(2-메탄술포닐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5)
1H-NMR(400MHz, DMSO-d6)
δ 2.25(s, 6H), 2.96(s, 3H), 3.89(s, 2H), 4.41(s, 2H), 6.76(s, 1H), 7.14(m, 1H), 7.28(dd, J=7.6, 4.8Hz, 1H), 7.32(s, 2H), 7.47(s, 1H), 7.92(d, J=7.6Hz, 1H), 8.16(s, 1H), 8.10(d, J=4.5Hz, 1H), 8.57(dd, J=4.8, 1.5Hz, 1H), 10.30(s, 1H), 10.38(s, 1H)
2-(2-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6)
1H-NMR(400MHz, DMSO-d6)
δ 1.02-1.14(m, 6H), 3.20-3.34(m, 4H), 4.41(s, 2H), 4.66(s, 2H), 7.13(dd, J=5.1, 1.5Hz, 1H), 7.29(dd, J=7.6, 4.9Hz, 1H), 7.37(d, J=8.8Hz, 2H), 7.80(d, J=8.8Hz, 2H), 7.98(dd, J=7.6, 1.7Hz, 1H), 8.13(s, 1H), 8.19(d, J=5.1Hz, 1H), 8.59(dd, J=4.9, 1.7Hz, 1H), 10.52(s, 1H), 10.66(s, 1H)
2-(2-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7)
1H-NMR(400MHz, DMSO-d6)
δ 2.83(s, 3H), 2.92(s, 3H), 4.42(s, 2H), 4.64(s, 2H), 7.14(dd, J=5.1, 1.3Hz, 1H), 7.30(dd, J=7.6, 4.9Hz, 1H), 7.37(d, J=8.8Hz, 2H), 7.81(d, J=8.8Hz, 2H), 7.99(dd, J=7.6, 1.7Hz, 1H), 8.12(s, 1H), 8.19(d, J=5.1Hz, 1H), 8.60(dd, J=4.9, 1.7Hz, 1H), 10.52(s, 1H), 10.67(s, 1H)
2-(2-모르폴리노카르보닐옥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8)
1H-NMR(400MHz, DMSO-d6)
δ 3.30-3.35(m, 4H), 3.58(t, J=4.9Hz, 4H), 4.42(s, 2H), 4.68(s, 2H), 7.14(dd, J=5.1, 1.5Hz, 1H), 7.30(dd, J=7.6, 4.9Hz, 1H), 7.37(d, J=8.8Hz, 2H), 7.80(d, J=8.8Hz, 2H), 7.99(dd, J=7.6, 1.7Hz, 1H), 8.12(s, 1H), 8.19(d, J=5.1Hz, 1H), 8.59(dd, J=4.9, 1.7Hz, 1H), 10.56(s, 1H), 10.66(s, 1H)
2-(2-이소부티릴옥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9)
1H-NMR(500MHz, DMSO-d6)
δ 1.13(d, J=7.0Hz, 6H), 2.64(m, 1H), 4.41(s, 2H), 4.70(s, 2H), 7.14(dd, J=5.0, 1.2Hz, 1H), 7.30(dd, J=7.5, 4.7Hz, 1H), 7.37(d, J=8.9Hz, 2H), 7.80(d, J=8.9Hz, 2H), 7.98(dd, J=7.5, 1.7Hz, 1H), 8.11(s, 1H), 8.20(dd, J=5.0, 0.6Hz, 1H), 8.59(dd, J=4.7, 1.7Hz, 1H), 10.60(s, 1H), 10.66(s, 1H)
2-[2-(4-히드록시카르보닐부티릴)옥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10)
1H-NMR(400MHz, DMSO-d6)
δ 1.75-1.79(m, 2H), 2.31(t, J=7.3Hz, 2H), 2.44(t, J=7.3Hz, 2H), 4.41(s, 2H), 4.70(s, 2H), 7.14(d, J=5.1Hz, 1H), 7.30(dd, J=7.6, 4.9Hz, 1H), 7.37(d, J=8.3Hz, 2H), 7.80(d, J=8.3Hz, 2H), 7.98(dd, J=7.6, 1.7Hz, 1H), 8.11(s, 1H), 8.20(d, J=5.1Hz, 1H), 8.59(dd, J=4.9, 1.7Hz, 1H), 10.61(s, 1H), 10.67(s, 1H), 12.17(br s, 1H)
2-(2-아세톡시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11)
1H-NMR(400MHz, DMSO-d6)
δ 2.11(s, 3H), 4.42(s, 2H), 4.77(s, 2H), 4.79(s, 2H), 7.15(dd, J=5.1, 1.5Hz, 1H), 7.30(dd, J=7.6, 4.9Hz, 1H), 7.37(d, J=8.8Hz, 2H), 7.80(d, J=8.8Hz, 2H), 7.98(dd, J=7.6, 1.7Hz, 1H), 8.11(s, 1H), 8.20(d, J=5.1Hz, 1H), 8.59(dd, J=4.9, 1.7Hz, 1H), 10.64(s, 1H), 10.66(s, 1H)
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12)
1H-NMR(400MHz, DMSO-d6)
δ 3.22(s, 3H), 3.44-3.47(m, 2H), 3.53-3.58(m, 4H), 3.64-3.67(m, 2H), 4.11(s, 2H), 4.43(s, 2H), 7.16(d, J=5.1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9Hz, 2H), 7.81(d, J=8.9Hz, 2H), 7.99(dd, J=7.6, 1.7Hz, 1H), 8.18-8.20(m, 2H), 8.60(dd, J=4.9, 1.7Hz, 1H), 9.78(s, 1H), 10.66(s, 1H)
2-(2-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13)
1H-NMR(400MHz, DMSO-d6)
δ 2.25(s, 6H), 2.92(s, 2H), 3.95(d, J=5.9Hz, 2H), 4.41(s, 2H), 7.12(dd, J=5.1, 1.5Hz, 1H), 7.29(dd, J=7.7, 4.8Hz, 1H), 7.37(d, J=8.8Hz, 2H), 7.80(d, J=8.8Hz, 2H), 7.98(dd, J=7.7, 1.6Hz, 1H), 8.01(s, 1H), 8.13(s, 1H), 8.19(dd, J=5.1, 0.5Hz, 1H), 8.59(dd, J=4.8, 1.6Hz, 1H), 10.45(s, 1H), 10.66(s, 1H)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14)
1H-NMR(400MHz, DMSO-d6)
δ 2.83(s, 3H), 2.92(s, 3H), 4.41(s, 2H), 4.64(s, 2H), 7.13-7.20(m, 3H), 7.17(t, J=74.0Hz, 1H), 7.29(dd, J=7.6, 4.9Hz, 1H), 7.73(d, J=8.8Hz, 2H), 7.97(dd, J=7.6, 1.7Hz, 1H), 8.11(s, 1H), 8.19(d, J=4.9Hz, 1H), 8.59(dd, J=4.9, 1.7Hz, 1H), 10.52(s, 1H), 10.55(s, 1H)
실시예 14
N-(4-tert-부틸페닐)-2-(2-디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벤자미드(화합물 14-1)
실온 하에서 4-클로로메틸-2-디메틸아미노피리딘(36 ㎎, 0.21 mmol), N-(4-tert-부틸페닐)-2-머캅토벤자미드(36 ㎎, 0.13 mmo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 용액에 트리에틸아민(61 ㎕, 0.44 mmol)을 첨가하여 68시간 교반하였다. 아세트산에틸(30 ㎖)로 희석하고, 포화 중조수(30 ㎖), 포화 식염수(30 ㎖)로 순차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적 화합물 19 ㎎을 엷은 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수율 22%).
Figure 112006066828628-PCT00052
1H-NMR(400MHz, DMSO-d6)
δ 1.27(s, 9H), 2.95(s, 6H), 4.12(s, 2H), 6.55(dd, J=5.1, 1.2Hz, 1H), 6.58(s, 1H), 7.29(m, 1H), 7.35(d, J=8.8Hz, 2H), 7.42(m, 1H), 7.48-7.51(m, 2H), 7.63(d, J=8.5Hz, 2H), 7.95(dd, J=5.1, 0.7Hz, 1H), 10.27(s, 1H)
이하, 참고 화합물 10-1,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 물을 사용하며, 화합물 14-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화합물 14-2를 얻었다.
2-(2-디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2)
1H-NMR(500MHz, DMSO-d6)
δ 2.28(s, 6H), 2.96(s, 6H), 4.35(s, 2H), 6.55(dd, J=5.2, 1.2Hz, 1H), 6.60(s, 2H), 6.62(s, 1H), 6.83(s, 1H), 7.23(dd, J=7.6, 4.9Hz, 1H), 7.60(dd, J=7.6, 1.8Hz, 1H), 7.96(d, J=5.2Hz, 1H), 8.53(dd, J=4.9, 1.8Hz, 1H), 9.78(s, 1H)
실시예 15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술피닐)-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1)
빙냉 하에서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1, 60 ㎎, 0.15 mmol)의 염화메틸렌(3 ㎖) 용액에 m-클로로과벤조산(75%, 60 ㎎, 0.26 mmol)을 첨가하여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아세트산에틸(30 ㎖)로 희석하여 포화 중조수(10 ㎖)로 2회, 포화 식염수(10 ㎖)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농축하여 석출되는 고체를 아세트산에틸에 여과하여 취하여 표적 화합물 30 ㎎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48%).
Figure 112006066828628-PCT00053
1H-NMR(400MHz, DMSO-d6)
δ 2.08(s, 3H), 2.29(s, 6H), 4.20(d, J=12.2Hz, 1H), 4.48(d, J=12.2Hz, 1H), 6.80(s, 1H), 6.94(dd, J=4.9, 1.7Hz, 1H), 7.36(s, 2H), 7.74(dd, J=7.8, 4.9Hz, 1H), 8.05(s, 1H), 8.23(d, J=4.9Hz, 1H), 8.29(dd, J=7.8, 1.5Hz, 1H), 8.86(dd, J=4.9, 1.5Hz, 1H), 10.49(s, 1H), 10.56(s, 1H)
실시예 16
N-(4-tert-부틸페닐)-2-(2-클로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1)
빙냉 하에서 N-(4-tert-부틸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8, 250 ㎎, 0.55 mmol)를 무수 디클로로메탄(5.0 ㎖)에 현탁시키고, 염화티오닐(80㎕, 1.1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6시간 교반한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아세트산에틸로 여과하여 취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정함으로써, 표적 화합물 270 ㎎을 엷은 황색 고체로서 정량적으로 얻었다.
Figure 112006066828628-PCT00054
1H-NMR(400MHz, DMSO-d6)
δ 1.27(s, 9H), 4.37(s, 2H), 4.45(s, 2H), 7.27(d, J=5.4Hz, 1H), 7.30(dd, J=7.6, 4.8Hz, 1H), 7.36(d, J=8.8Hz, 2H), 7.61(d, J=8.8Hz, 2H), 7.97(d, J=7.6Hz, 1H), 8.09(s, 1H), 8.24(d, J=5.4Hz, 1H), 8.58(dd, J=4.8, 1.7Hz, 1H), 10.43(s, 1H), 11.19(s, 1H)
이하, 화합물 12-1∼16,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화합물 16-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화합물 16-2∼9를 얻었다.
2-(2-클로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2)
1H-NMR(400MHz, DMSO-d6)
δ 4.32(s, 2H), 4.43(s, 2H), 7.17(dd, J=5.1, 1.7Hz, 1H), 7.31(dd, J=7.8, 4.9Hz, 1H), 7.37(d, J=8.8Hz, 2H), 7.81(d, J=8.8Hz, 2H), 7.99(dd, J=7.8, 1.7Hz, 1H), 8.15(s, 1H), 8.21(d, J=5.1Hz, 1H), 8.60(dd, J=4.9, 1.7Hz, 1H), 10.66(s, 1H), 10.75(s, 1H)
2-(2-클로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피리딘-3-카 르복사미드(화합물 16-3)
1H-NMR(400MHz, DMSO-d6)
δ 4.32(s, 2H), 4.43(s, 2H), 7.17(dd, J=5.1, 1.5Hz, 1H), 7.30(dd, J=7.6, 4.9Hz, 1H), 7.41(d, J=8.8Hz, 2H), 7.73(d, J=8.8Hz, 2H), 7.98(dd, J=7.6, 1.7Hz, 1H), 8.15(s, 1H), 8.21(dd, J=5.1, 1.5Hz, 1H), 8.60(dd, J=4.9, 1.7Hz, 1H), 10.60(s, 1H), 10.75(s, 1H)
2-(2-클로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4)
1H-NMR(400MHz, DMSO-d6)
δ 2.25(s, 6H), 4.32(s, 2H), 4.42(s, 2H), 6.76(s, 1H), 7.17(dd, J=5.1, 1.5Hz,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93(dd, J=7.6, 1.7Hz, 1H), 8.15(s, 1H), 8.21(dd, J=5.1, 0.7Hz, 1H), 8.58(dd, J=4.9, 1.7Hz, 1H), 10.30(s, 1H), 10.75(s, 1H)
2-(2-클로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5)
1H-NMR(400MHz, DMSO-d6)
δ 4.32(s, 2H), 4.43(s, 2H), 7.17(t, J=74.2Hz, 1H), 7.17-7.19(m, 3H), 7.30(dd, J=7.6, 4.8Hz, 1H), 7.73(d, J=9.0Hz, 2H), 7.97(dd, J=7.6, 1.7Hz, 1H), 8.15(s, 1H), 8.19(d, J=5.1Hz, 1H), 8.59(dd, J=4.8, 1.7Hz, 1H), 10.55(s, 1H), 10.75(s, 1H)
2-(2-클로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6)
1H-NMR(400MHz, DMSO-d6)
δ 2.30(s, 3H), 4.32(s, 2H), 4.42(s, 2H), 6.93(d, J=7.8Hz, 1H), 7.17(dd, J=5.1, 1.3Hz, 1H), 7.22(t, J=7.8Hz, 1H), 7.29(dd, J=7.7, 4.9Hz, 1H), 7.46(d, J=7.8Hz, 1H), 7.56(s, 1H), 7.95(dd, J=7.7, 1.6Hz, 1H), 8.15(s, 1H), 8.22(d, J=5.1Hz, 1H), 8.58(dd, J=4.9, 1.6Hz, 1H), 10.38(s, 1H), 10.75(s, 1H)
2-(2-클로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7)
1H-NMR(400MHz, DMSO-d6)
δ 4.32(s, 2H), 4.44(s, 2H), 7.17(d, J=5.1, 1.0Hz, 1H), 7.32(dd, J=7.7, 4.9Hz, 1H), 7.73(d, J=8.5Hz, 2H), 7.92(d, J=8.5Hz, 2H), 8.02(dd, J=7.7, 1.7Hz, 1H), 8.15(s, 1H), 8.22(d, J=5.1Hz, 1H), 8.61(dd, J=4.9, 1.7Hz, 1H), 10.75(s, 1H), 10.82(s, 1H)
2-(2-클로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8)
1H-NMR(400MHz, DMSO-d6)
δ 4.32(s, 2H), 4.44(s, 2H), 7.18(d, J=5.1, 1.2Hz, 1H), 7.33(dd, J=7.6, 4.8Hz, 1H), 7.48(d, J=8.1Hz, 1H), 7.61(t, J=8.1Hz, 1H), 7.92(d, J=8.1Hz, 1H), 8.04(dd, J=7.6, 1.7Hz, 1H), 8.16(s, 1H), 8.19(s, 1H), 8.22(d, J=5.1Hz, 1H), 8.62(dd, J=4.8, 1.7Hz, 1H), 10.76(s, 1H), 10.80(s, 1H)
2-(2-클로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9)
1H-NMR(500MHz, DMSO-d6)
δ 1.20(d, J=6.7Hz, 6H), 2.87(m, 1H), 4.32(s, 2H), 4.42(s, 2H), 7.00(d, J=7.6Hz, 1H), 7.17(dd, J=5.0, 1.5Hz, 1H), 7.24-7.30(m, 2H), 7.51(d, J=7.6Hz, 1H), 7.59(s, 1H), 7.96(dd, J=7.6, 1.5Hz, 1H), 8.15(s, 1H), 8.21(dd, J=5.0, 0.6Hz, 1H), 8.58(dd, J=4.9, 1.5Hz, 1H), 10.39(s, 1H), 10.75(s, 1H)
실시예 17
N-(4-tert-부틸페닐)-2-(2-모르폴리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1)
N-(4-tert-부틸페닐)-2-(2-클로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1, 50 ㎎, 0.11 mmol)를 모르폴린(1.0 ㎖)에 현탁시켜 밀봉 관 안에서 80℃로 2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아세트산에틸(50 ㎖)을 첨가하여 물(50 ㎖), 포화 식염수(50 ㎖)로 세정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얻어진 고체를 디에틸에테르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취하고, 감압 하에서 건조시킴으로써 표적 화합물 17 ㎎을 엷은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32%).
Figure 112006066828628-PCT00055
1H-NMR(500MHz, CDCl3)
δ 1.32(s, 9H), 2.60(t, J=4.6Hz, 4H), 3.14(s, 2H), 3.78(t, J=4.6Hz, 4H), 4.51(s, 2H), 7.10(dd, J=5.2, 1.5Hz, 1H), 7.13(dd, J=7.6, 4.9Hz, 1H), 7.38(d, J=8.7Hz, 2H), 7.56(d, J=8.7Hz, 2H), 7.87(d, J=7.6Hz, 1H), 8.11(br s, 1H), 8.18(d, J=5.2Hz, 1H), 8.29(s, 1H), 8.54(dd, J=4.9, 1.7Hz, 1H), 9.48(s, 1H)
이하, 화합물 16-1∼9,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화합물 17-1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화합물 17-2∼88을 얻었다.
2-(2-이소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2)
1H-NMR(400MHz, DMSO-d6)
δ 0.99(d, J=6.3Hz, 6H), 2.71(m, 1H), 3.27(s, 2H), 4.43(s, 2H), 7.14(dd, J=5.2, 1.6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8Hz, 2H), 7.81(d, J=8.8Hz, 2H), 7.99(dd, J=7.6, 1.7Hz, 1H), 8.17-8.20(m, 2H), 8.60(dd, J=4.9, 1.7Hz, 1H), 10.12(s, 1H), 10.66(s, 1H)
N-(3,5-디메틸페닐)-2-(2-모르폴리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3)
1H-NMR(400MHz, CDCl3)
δ 2.32(s, 6H), 2.60(t, J=4.6Hz, 4H), 3.14(s, 2H), 3.78(t, J=4.6Hz, 4H), 4.51(s, 2H), 6.81(s, 1H), 7.10(dd, J=5.1, 1.5Hz, 1H), 7.13(dd, J=7.6, 4.9Hz, 1H), 7.27(s, 2H), 7.67(m, 1H), 7.87(dd, J=7.6, 1.7Hz, 1H), 8.19(d, J=5.1Hz, 1H), 8.30(s, 1H), 8.55(dd, J=4.9, 1.7Hz, 1H), 9.48(s, 1H)
2-(2-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4)
1H-NMR(400MHz, CDCl3)
δ 2.32(s, 6H), 2.36(s, 6H), 3.07(s, 2H), 4.51(s, 2H), 6.80(s, 1H), 7.08(dd, J=5.2, 1.6Hz, 1H), 7.12(dd, J=7.5, 4.8Hz, 1H), 7.27(s, 2H), 7.86(dd, J=7.5, 1.8Hz, 1H), 8.12(s, 1H), 8.18(d, J=5.2Hz, 1H), 8.29(s, 1H), 8.53(dd, J=4.8, 1.8Hz, 1H), 9.64(s, 1H)
2-(2-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5)
1H-NMR(500MHz, CDCl3)
δ 2.36(s, 6H), 3.07(s, 2H), 4.53(s, 2H), 7.07(dd, J=5.2, 1.5Hz, 1H), 7.15(dd, J=7.6, 4.9Hz, 1H), 7.21(d, J=8.2Hz, 2H), 7.70(d, J=8.2Hz, 2H), 7.88(dd, J=7.6, 1.9Hz, 1H), 8.18(dd, J=5.2, 0.6Hz, 1H), 8.28(d, J=0.6Hz, 1H), 8.44(s, 1H), 8.54(dd, J=4.9, 1.9Hz, 1H), 9.66(s, 1H)
2-(2-모르폴리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6
)1H-NMR(500MHz, CDCl3)
δ 2.60(t, J=4.6Hz, 4H), 3.13(s, 2H), 3.78(t, J=4.6Hz, 4H), 4.53(s, 2H), 7.09(dd, J=5.2, 1.8Hz, 1H), 7.15(dd, J=7.6, 4.9Hz, 1H), 7.22(d, J=8.3Hz, 2H), 7.69(d, J=8.3Hz, 2H), 7.89(dd, J=7.6, 1.5Hz, 1H), 8.19(d, J=5.2Hz, 1H), 8.28(s, 1H), 8.36(s, 1H), 8.54(dd, J=4.9, 1.5Hz, 1H), 9.50(s, 1H)
N-(4-tert-부틸페닐)-2-(2-시클로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7)
1H-NMR(500MHz, CDCl3)
δ 0.46-0.49(m, 4H), 1.32(s, 9H), 2.15(br s, 1H), 2.27(m, 1H), 3.49(s, 2H), 4.51(s, 2H), 7.07(dd, J=4.9, 1.4Hz, 1H), 7.13(dd, J=7.3, 4.9Hz, 1H), 7.38(d, J=8.4Hz, 2H), 7.56(d, J=8.4Hz, 2H), 7.88(d, J=7.3Hz, 1H), 8.15-8.17(m, 2H), 8.28(s, 1H), 8.54(dd, J=4.9, 1.8Hz, 1H), 9.41(s, 1H)
N-(4-tert-부틸페닐)-2-[2-(N-메틸-N-(1-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8)
1H-NMR(500MHz, CDCl3)
δ 1.26(s, 9H), 1.77-1.80(m, 2H), 1.86-2.01(m, 4H), 2.26(s, 3H), 2.37(s, 3H), 2.80-2.91(m, 3H), 3.17(s, 2H), 4.51(s, 2H), 7.07(dd, J=5.2, 1.8Hz, 1H), 7.13(dd, J=7.5, 4.9Hz, 1H), 7.38(d, J=8.4Hz, 2H), 7.56(d, J=8.4Hz, 2H), 7.87(d, J=7.5Hz, 1H), 8.17(s, 1H), 8.17(dd, J=5.2, 0.8Hz, 1H), 8.29(d, J=0.8Hz, 1H), 8.54(dd, J=4.9, 1.8Hz, 1H), 9.75(s, 1H)
N-(4-tert-부틸페닐)-2-[2-(2-메틸티오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9)
1H-NMR(400MHz, CDCl3)
δ 1.31(s, 9H), 2.10(s, 3H), 2.68(t, J=6.1Hz, 2H), 2.86(t, J=6.1Hz, 2H), 3.40(s, 2H), 4.51(s, 2H), 7.08(dd, J=5.1, 1.5Hz, 1H), 7.13(dd, J=7.6, 4.9Hz, 1H), 7.38(d, J=8.7Hz, 2H), 7.56(d, J=8.7Hz, 2H), 7.87(dd, J=7.6, 1.7Hz, 1H), 8.17-8.18(m, 2H), 8.29(s, 1H), 8.53(dd, J=4.9, 1.7Hz, 1H), 9.75(s, 1H)
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10)
1H-NMR(400MHz, CDCl3)
δ 2.22(s, 6H), 2.41-2.44(m, 2H), 2.69-2.73(m, 2H), 3.38(s, 2H), 4.53(s, 2H), 7.06(dd, J=5.1, 1.7Hz, 1H), 7.14(dd, J=7.7, 4.9Hz, 1H), 7.22(d, J=8.5Hz, 2H), 7.71(d, J=8.5Hz, 2H), 7.87(dd, J=7.7, 1.8Hz, 1H), 8.18(dd, J=5.1, 0.7Hz, 1H), 8.28(d, J=0.7Hz, 1H), 8.51(s, 1H), 8.53(dd, J=4.9, 1.8Hz, 1H), 9.93(s, 1H)
2-[2-(2-모르폴리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11)
1H-NMR(400MHz, CDCl3)
δ 2.41-2.43(m, 4H), 2.48-2.51(m, 2H), 2.73-2.76(m, 2H), 3.38(s, 2H), 3.63-3.66(m, 4H), 4.53(s, 2H), 7.06(dd, J=5.1, 1.7Hz, 1H), 7.15(dd, J=7.6, 4.9Hz, 1H), 7.21(d, J=9.0Hz, 2H), 7.70(d, J=9.0Hz, 2H), 7.86(dd, J=7.6, 1.7Hz, 1H), 8.17(dd, J=5.1, 0.9Hz, 1H), 8.29(d, J=0.9Hz, 1H), 8.50(s, 1H), 8.55(dd, J=4.9, 1.7Hz, 1H), 9.84(s, 1H)
2-[2-(N-메틸-N-(1-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 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12)
1H-NMR(400MHz, CDCl3)
δ 1.54-1.65(m, 2H), 1.76-1.79(m, 2H), 1.88-1.96(m, 2H), 2.26(s, 3H), 2.37(s, 3H), 2.39(m, 1H), 2.88-2.92(m, 2H), 3.16(s, 2H), 4.53(s, 2H), 7.06(dd, J=5.1, 1.5Hz, 1H), 7.14(dd, J=7.6, 4.9Hz, 1H), 7.22(d, J=8.9Hz, 2H), 7.70(d, J=8.9Hz, 2H), 7.88(dd, J=7.6, 1.7Hz, 1H), 8.17(d, J=5.1Hz, 1H), 8.28(s, 1H), 8.48(s, 1H), 8.54(dd, J=4.9, 1.7Hz, 1H), 9.76(s, 1H)
2-[2-(3-메톡시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13)
1H-NMR(400MHz, DMSO-d6)
δ 1.60-1.67(m, 2H), 2.55(t, J=7.0Hz, 2H), 3.20(s, 3H), 3.26(s, 2H), 3.37(t, J=6.3Hz, 2H), 4.42(s, 2H), 7.14(dd, J=5.1, 1.5Hz, 1H), 7.31(dd, J=7.7, 4.9Hz, 1H), 7.37(d, J=8.8Hz, 2H), 7.81(d, J=8.8Hz, 2H), 7.99(dd, J=7.7, 1.7Hz, 1H), 8.18(d, J=5.1Hz, 1H), 8.21(s, 1H), 8.60(dd, J=4.9, 1.7Hz, 1H), 10.08(s, 1H), 10.66(s, 1H)
2-[2-(3-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14)
1H-NMR(500MHz, DMSO-d6)
δ 1.53-1.59(m, 2H), 2.57(t, J=6.9Hz, 2H), 3.26(s, 2H), 3.46(t, J=6.3Hz, 2H), 4.41(br s, 1H), 4.42(s, 2H), 7.14(dd, J=5.2, 1.5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6Hz, 2H), 7.80(d, J=8.6Hz, 2H), 7.99(dd, J=7.6, 1.8Hz, 1H), 8.18(d, J=5.2Hz, 1H), 8.21(s, 1H), 8.60(dd, J=4.9, 1.8Hz, 1H), 10.08(s, 1H), 10.66(s, 1H)
2-[2-(테트라히드로피란-4-일)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15)
1H-NMR(400MHz, DMSO-d6)
δ 1.20-1.30(m, 2H), 1.72-1.75(m, 2H), 2.59(m, 1H), 3.22-3.32(m, 4H), 3.79-3.82(m, 2H), 4.42(s, 2H), 7.14(dd, J=5.1, 1.5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9.0Hz, 2H), 7.81(d, J=9.0Hz, 2H), 7.99(dd, J=7.6, 1.7Hz, 1H), 8.19(d, J=5.1Hz, 1H), 8.20(s, 1H), 8.60(dd, J=4.9, 1.7Hz, 1H), 10.11(br s, 1H), 10.66(s, 1H)
2-[2-(4-히드록시피페리딘-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16)
1H-NMR(400MHz, DMSO-d6)
δ 1.42-1.47(m, 2H), 1.72-1.75(m, 2H), 2.23-2.28(m, 2H), 2.71-2.75(m, 2H), 3.11(s, 2H), 3.47(m, 1H), 4.42(s, 2H), 4.59(d, J=4.2Hz, 1H), 7.15(d, J=6.6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8Hz, 2H), 7.80(d, J=8.8Hz, 2H), 7.99(dd, J=7.6, 1.7Hz, 1H), 8.18-8.19(m, 2H), 8.60(dd, J=4.9, 1.7Hz, 1H), 9.82(s, 1H), 10.66(s, 1H)
2-[2-(1,4-트랜스-4-히드록시시클로헥산-1-일)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17)
1H-NMR(500MHz, DMSO-d6)
δ 1.00-1.15(m, 4H), 1.74-1.82(m, 4H), 2.31(m, 1H), 3.27(s, 2H), 3.34(m, 1H), 4.42(s, 2H), 4.47(d, J=4.6Hz, 1H), 7.14(d, J=5.2, 1.5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2Hz, 2H), 7.81(d, J=8.2Hz, 2H), 7.99(dd, J=7.6, 1.8Hz, 1H), 8.17-8.20(m, 2H), 8.60(dd, J=4.9, 1.8Hz, 1H), 10.08(s, 1H), 10.65(s, 1H)
2-[2-(4-에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18)
1H-NMR(500MHz, DMSO-d6)
δ 1.17(t, J=7.0Hz, 3H), 1.57-1.66(m, 2H), 1.80-1.84(m, 2H), 2.20-2.37(m, 3H), 2.78-2.83(m, 2H), 3.13(s, 2H), 4.07(q, J=7.0Hz, 2H), 4.42(s, 2H), 7.15(d, J=5.2, 1.2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6Hz, 2H), 7.81(d, J=8.6Hz, 2H), 7.99(dd, J=7.6, 1.8Hz, 1H), 8.18(s, 1H), 8.19(d, J=1.8Hz, 1H), 8.60(dd, J=4.9, 1.8Hz, 1H), 9.84(s, 1H), 10.66(s, 1H)
2-(2-디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19)
1H-NMR(400MHz, DMSO-d6)
δ 1.00(t, J=7.1Hz, 6H), 2.59(q, J=7.1Hz, 4H), 3.16(s, 2H), 4.43(s, 2H), 7.16(dd, J=5.1, 1.5Hz, 1H), 7.31(dd, J=7.8, 4.9Hz, 1H), 7.37(d, J=8.9Hz, 2H), 7.81(d, J=8.9Hz, 2H), 7.99(dd, J=7.8, 1.7Hz, 1H), 8.17-8.19(m, 2H), 8.60(dd, J=4.9, 1.7Hz, 1H), 9.82(s, 1H), 10.66(s, 1H)
2-[2-(피롤리딘-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20)
1H-NMR(500MHz, DMSO-d6)
δ 1.71-1.77(m, 4H), 2.55-2.59(m, 4H), 3.27(s, 2H), 4.42(s, 2H), 7.14(dd, J=5.2, 1.5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6Hz, 2H), 7.80(d, J=8.6Hz, 2H), 7.99(dd, J=7.6, 1.8Hz, 1H), 8.18(d, J=5.2Hz, 1H), 8.18(s, 1H), 8.60(dd, J=4.9, 1.8Hz, 1H), 9.81(s, 1H), 10.66(s, 1H)
N-(4-클로로페닐)-2-(2-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21)
1H-NMR(400MHz, DMSO-d6)
δ 2.28(s, 6H), 3.09(s, 2H), 4.42(s, 2H), 7.14(d, J=6.6Hz, 1H), 7.30(dd, J=7.7, 4.8Hz, 1H), 7.41(d, J=8.8Hz, 2H), 7.73(d, J=8.8Hz, 2H), 7.98(dd, J=7.7, 1.6Hz, 1H), 8.17(s, 1H), 8.19(s, 1H), 8.59(dd, J=4.8, 1.6Hz, 1H), 9.81(s, 1H), 10.60(s, 1H)
N-(4-클로로페닐)-2-(2-모르폴리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22)
1H-NMR(500MHz, DMSO-d6)
δ 2.45-2.55(m, 4H), 3.16(s, 2H), 3.61(t, J=4.9Hz, 4H), 4.42(s, 2H), 7.15(d, J=4.9Hz, 1H), 7.30(dd, J=7.6, 4.9Hz, 1H), 7.41(d, J=8.9Hz, 2H), 7.72(d, J=8.9Hz, 2H), 7.98(dd, J=7.6, 1.5Hz, 1H), 8.19(s, 1H), 8.19(d, J=4.9Hz, 1H), 8.59(dd, J=4.9, 1.5Hz, 1H), 9.89(s, 1H), 10.59(s, 1H)
N-(4-클로로페닐)-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23)
1H-NMR(400MHz, DMSO-d6)
δ 2.13(s, 6H), 2.31(t, J=6.1Hz, 2H), 2.60(t, J=6.1Hz, 2H), 3.30(s, 2H), 4.42(s, 2H), 7.13(d, J=5.1Hz, 1H), 7.30(dd, J=7.6, 4.9Hz, 1H), 7.41 (d, J=9.0Hz, 2H), 7.72(d, J=9.0Hz, 2H), 7.98(dd, J=7.6, 1.7Hz, 1H), 8.18(d, J=5.1Hz, 1H), 8.20(s, 1H), 8.59(dd, J=4.9, 1.7Hz, 1H), 10.25(br s, 1H), 10.60(s, 1H)
N-(4-클로로페닐)-2-[2-(피리딘-2-일)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24)
1H-NMR(500MHz, DMSO-d6)
δ 3.36(s, 2H), 3.84(s, 2H), 4.42(s, 2H), 7.13(d, J=4.9Hz, 1H), 7.24(m, 1H), 7.30(dd, J=7.6, 4.9Hz, 1H ), 7.40-7.44(m, 3H), 7.71-7.78(m, 3H), 7.98(dd, J=7.6, 1.8Hz, 1H), 8.17-8.20(m, 2H), 8.50(d, J=4.9Hz, 1H), 8.59(dd, J=4.9, 1.8Hz, 1H), 10.20(s, 1H), 10.59(s, 1H)
N-(4-클로로페닐)-2-[2-(피리디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브롬화물(화합물 17-25)
1H-NMR(400MHz, DMSO-d6)
δ 4.40(s, 2H), 5.70(s, 2H), 7.20(d, J=5.1Hz, 1H), 7.28(dd, J=7.6, 4.9Hz, 1H), 7.41(d, J=8.8Hz, 2H), 7.73(d, J=8.8Hz, 2H), 8.01(dd, J=7.6, 1.5Hz, 1H), 8.07(s, 1H), 8.19-8.27(m, 3H), 8.55(dd, J=4.9, 1.5Hz, 1H), 8.69(t, J=7.7Hz, 1H), 9.06(d, J=5.6Hz, 2H), 10.68(s, 1H), 11.27(s, 1H)
2-(2-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26)
1H-NMR(400MHz, DMSO-d6)
δ 3.27(s, 2H), 4.42(s, 2H), 7.13(dd, J=5.2, 1.5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5Hz, 2H), 7.81(d, J=8.5Hz, 2H), 7.99(dd, J=7.6, 1.8Hz, 1H), 8.18(dd, J=5.2, 0.8Hz, 1H), 8.21(s, 1H), 8.60(dd, J=4.9, 1.8Hz, 1H), 10.66(s, 1H)
2-(2-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27)
1H-NMR(400MHz, DMSO-d6)
δ 2.29(s, 3H), 3.24(s, 2H), 4.42(s, 2H), 7.14(dd, J=5.1, 1.5Hz, 1H), 7.31(dd, J=7.7, 4.8Hz, 1H), 7.37(d, J=9.0Hz, 2H), 7.80(d, J=9.0Hz, 2H), 7.99(dd, J=7.7, 1.6Hz, 1H), 8.18(d, J=5.1Hz, 1H), 8.21(s, 1H), 8.60(dd, J=4.8, 1.6Hz, 1H), 10.66(s, 1H)
2-[2-(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28)
1H-NMR(500MHz, DMSO-d6)
δ 2.13(s, 6H), 2.33(s, 3H), 2.35(t, J=6.4Hz, 2H), 2.55(t, J=6.4Hz, 2H), 3.17(s, 2H), 4.42(s, 2H), 7.12(d, J=5.0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7Hz, 2H), 7.80(d, J=8.7Hz, 2H), 7.99(dd, J=7.6, 1.7Hz, 1H), 8.18(d, J=5.0Hz, 1H), 8.21(s, 1H), 8.60(dd, J=4.9, 1.7Hz, 1H), 10.37(s, 1H), 10.65(s, 1H)
2-[2-(N-(2-디에틸아미노에틸)-N-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29)
1H-NMR(400MHz, DMSO-d6)
δ 0.91(t, J=7.2Hz, 6H), 0.98(t, J=7.1Hz, 3H), 2.43-2.51(m, 6H), 2.61(q, J=7.2Hz, 4H), 3.20(s, 2H), 4.42(s, 2H), 7.12(d, J=5.1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8Hz, 2H), 7.81(d, J=8.8Hz, 2H), 7.99(dd, J=7.6, 1.7Hz, 1H), 8.18(d, J=5.1Hz, 1H), 8.20(s, 1H), 8.60(dd, J=4.9, 1.7Hz, 1H), 10.40(s, 1H), 10.66(s, 1H)
2-[2-(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30)
1H-NMR(500MHz, DMSO-d6)
δ 1.50-1.56(m, 2H), 2.09(s, 6H), 2.23(t, J=7.0Hz, 2H), 2.45-2.50(m, 2H), 3.26(s, 2H), 3.30(br s, 1H), 4.42(s, 2H), 7.13(d, J=5.2, 1.5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9Hz, 2H), 7.81(d, J=8.9Hz, 2H), 7.99(dd, J=7.6, 1.8Hz, 1H), 8.18(d, J=5.2Hz, 1H), 8.20(s, 1H), 8.60(dd, J=4.9, 1.8Hz, 1H), 10.09(s, 1H), 10.66(s, 1H)
2-[2-(2-히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 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31)
1H-NMR(500MHz, DMSO-d6)
δ 2.60(t, J=5.7Hz, 2H), 3.31(s, 2H), 3.43-3.47(m, 2H), 4.42(s, 2H), 4.57(t, J=5.3Hz, 1H), 7.14(d, J=5.0, 1.5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7Hz, 2H), 7.81(d, J=8.7Hz, 2H), 7.99(dd, J=7.6, 1.8Hz, 1H), 8.18(d, J=5.0Hz, 1H), 8.21(s, 1H), 8.60(dd, J=4.9, 1.8Hz, 1H), 10.12(br s, 1H), 10.66(s, 1H)
2-[2-(2-에톡시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32)
1H-NMR(400MHz, DMSO-d6)
δ 1.08(t, J=7.0Hz, 3H), 2.68(t, J=5.5Hz, 2H), 3.30(s, 2H), 3.36-3.42(m, 4H), 4.42(s, 2H), 7.13(d, J=5.1Hz, 1H), 7.31(dd, J=7.7, 4.9Hz, 1H), 7.37(d, J=8.8Hz, 2H), 7.81(d, J=8.8Hz, 2H), 7.99(d, J=7.7Hz, 1H), 8.18(d, J=5.1Hz, 1H), 8.21(s, 1H), 8.60(dd, J=4.9, 1.8Hz, 1H), 10.12(br s, 1H), 10.66(s, 1H)
2-[2-(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33)
1H-NMR(400MHz, DMSO-d6)
δ 2.69(t, J=5.2Hz, 2H), 3.30(s, 2H), 3.40(t, J=5.2Hz, 2H), 3.44-3.49(m, 4H), 4.42(s, 2H), 4.66(br s, 1H), 7.14(dd, J=5.0, 1.5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9Hz, 2H), 7.81(d, J=8.9Hz, 2H), 7.99(dd, J=7.6, 1.7Hz, 1H), 8.17(d, J=5.0Hz, 1H), 8.22(s, 1H), 8.60(dd, J=4.9, 1.7Hz, 1H), 10.13(br s, 1H), 10.66(s, 1H)
2-[2-(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34)
1H-NMR(500MHz, CDCl3)
δ 2.57(br s, 4H), 2.95-2.98(m, 4H), 3.11(s, 2H), 4.53(s, 2H), 7.08(d, J=5.2, 1.8Hz, 1H), 7.14(dd, J=7.6, 4.9Hz, 1H), 7.22(d, J=8.6Hz, 2H), 7.70(d, J=8.6Hz, 2H), 7.88(dd, J=7.6, 1.7Hz, 1H), 8.19(dd, J=5.2, 0.6Hz, 1H), 8.28(d, J=0.6Hz, 1H), 8.41(br s, 1H), 8.54(dd, J=4.9, 1.7Hz, 1H), 9.56(s, 1H)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염산염(화합물 17-35)
1H-NMR(400MHz, DMSO-d6)
δ 2.86(s, 6H), 4.18(s, 2H), 4.44(s, 2H), 7.18(t, J=74.2Hz, 1H), 7.18-7.24(m, 3H), 7.30(dd, J=7.6, 4.9Hz, 1H), 7.75(d, J=9.1Hz, 2H), 8.03(dd, J=7.6, 1.8Hz, 1H), 8.15(s, 1H), 8.25(d, J=5.1Hz, 1H), 8.59(dd, J=4.9, 1.8Hz, 1H), 10.02(s, 1H), 10.63(s, 1H), 11.20(s, 1H)
2-[2-(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36)
1H-NMR(500MHz, DMSO-d6)
δ 1.79(s, 3H), 2.57(t, J=6.1Hz, 2H), 3.11(m, 2H), 3.29(s, 2H), 4.42(s, 2H), 7.14(dd, J=5.0, 1.5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9Hz, 2H), 7.79-7.84(m, 3H), 7.99(dd, J=7.6, 1.8Hz, 1H), 8.18(d, J=5.0Hz, 1H), 8.20(s, 1H), 8.60(dd, J=4.9, 1.8Hz, 1H), 10.08(s, 1H), 10.66(s, 1H)
N-(4-클로로페닐)-2-[2-(2-히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37)
1H-NMR(500MHz, DMSO-d6)
δ 2.60(t, J=5.5Hz, 2H), 3.30(s, 2H), 3.44-3.47(m, 2H), 4.42(s, 2H), 4.57(t, J=5.2Hz, 1H), 7.13(d, J=4.9Hz, 1H), 7.30(dd, J=7.5, 4.9Hz, 1H), 7.41(d, J=8.7Hz, 2H), 7.72(d, J=8.7Hz, 2H), 7.98(d, J=7.5Hz, 1H), 8.18(d, J=4.9Hz, 1H), 8.20(s, 1H), 8.59(d, J=4.9Hz, 1H), 10.13(s, 1H), 10.59(s, 1H)
N-(4-클로로페닐)-2-[2-(3-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38)
1H-NMR(500MHz, DMSO-d6)
δ 1.54-1.59(m, 2H), 2.57(t, J=6.9Hz, 2H), 3.27(s, 2H), 3.46(t, J=6.3Hz, 2H), 4.42(s, 2H), 7.14(d, J=5.0Hz, 1H), 7.30(dd, J=7.5, 5.0Hz, 1H), 7.41(d, J=8.7Hz, 2H), 7.72(d, J=8.7Hz, 2H), 7.98(d, J=7.5Hz, 1H), 8.18(d, J=5.0Hz, 1H), 8.20(s, 1H), 8.59(d, J=5.0Hz, 1H), 10.07(s, 1H), 10.59(s, 1H)
N-(4-클로로페닐)-2-[2-(N-(2-히드록시에틸)-N-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39)
1H-NMR(500MHz, DMSO-d6)
δ 2.31(s, 3H), 2.54(t, J=5.7Hz, 2H), 3.19(s, 2H), 3.46-3.51(m, 2H), 4.42(s, 2H), 4.63(t, J=5.2Hz, 1H), 7.14(dd, J=5.0, 1.5Hz, 1H), 7.30(dd, J=7.6, 4.9Hz, 1H), 7.41(d, J=8.9Hz, 2H), 7.72(d, J=8.9Hz, 2H), 7.98(m, 1H), 8.18(d, J=5.0Hz, 1H), 8.20(s, 1H), 8.59(dd, J=4.9, 1.5Hz, 1H), 9.95(s, 1H), 10.59(s, 1H)
N-(4-클로로페닐)-2-[2-(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40)
1H-NMR(500MHz, DMSO-d6)
δ 2.43(br s, 4H), 2.72(t, J=4.9Hz, 4H), 3.09(s, 2H), 4.42(s, 2H), 7.15(m, 1H), 7.30(dd, J=7.5, 4.9Hz, 1H), 7.41(d, J=8.9Hz, 2H), 7.72(d, J=8.9Hz, 2H), 7.98(m, 1H), 8.18-8.19(m, 2H), 8.59(dd, J=4.9, 1.5Hz, 1H), 9.81(s, 1H), 10.59(s, 1H)
2-[2-(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41)
1H-NMR(500MHz, DMSO-d6)
δ 1.79(s, 3H), 2.57(t, J=6.4Hz, 2H), 3.09-3.13(m, 2H), 3.29(d, J=2.4Hz, 2H), 4.42(s, 2H), 7.14(d, J=5.2Hz, 1H), 7.30(dd, J=7.6, 4.9Hz, 1H), 7.41(d, J=8.9Hz, 2H), 7.72(d, J=8.9Hz, 2H), 7.84(m, 1H), 7.98(d, J=7.6Hz, 1H), 8.18(d, J=5.2Hz, 1H), 8.20(s, 1H), 8.59(dd, J=4.9, 1.7Hz, 1H), 10.08(s, 1H), 10.59(s, 1H)
N-(4-클로로페닐)-2-[2-(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42)
1H-NMR(500MHz, DMSO-d6)
δ 1.51-1.57(m, 2H), 2.10(s, 6H), 2.25(t, J=7.0Hz, 2H), 2.52-2.54(m, 2H), 3.26(s, 2H), 4.42(s, 2H), 7.13(dd, J=5.2, 1.5Hz, 1H), 7.30(dd, J=7.5, 4.7Hz, 1H), 7.41(d, J=8.9Hz, 2H), 7.73(d, J=8.9Hz, 2H), 7.98(dd, J=7.5, 1.7Hz, 1H), 8.18(d, J=5.2Hz, 1H), 8.20(s, 1H), 8.59(dd, J=4.7, 1.7Hz, 1H), 10.09(s, 1H), 10.59(s, 1H)
2-(2-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메틸페닐)피리딘- 3-카르복사미드 1염산염(화합물 17-43)
1H-NMR(400MHz, DMSO-d6)
δ 2.30(s, 3H), 2.86(s, 6H), 4.17(s, 2H), 4.44(s, 2H), 6.94(d, J=7.7Hz, 1H), 7.20-7.25(m, 2H), 7.30(dd, J=7.6, 4.9Hz, 1H), 7.47(d, J=7.7Hz, 1H), 7.57(s, 1H), 7.99(dd, J=7.6, 1.6Hz, 1H), 8.15(s, 1H), 8.25(d, J=5.4Hz, 1H), 8.58(dd, J=4.9, 1.6Hz, 1H), 9.97(s, 1H), 10.43(s, 1H), 11.15(s, 1H)
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44)
1H-NMR(400MHz, DMSO-d6)
δ 2.29(s, 3H), 2, 30(s, 6H), 2.48-2.50(m, 2H), 2.69(t, J=6.3Hz, 2H), 3.36-3.38(m, 2H), 4.41(s, 2H), 6.94(d, J=6.6Hz, 1H), 7.12-7.31(m, 3H), 7.45(d, J=7.3Hz, 1H), 7.56(s, 1H), 7.95(d, J=7.6Hz, 1H), 8.18-8.20(m, 2H), 8.58(dd, J=4.9, 1.7Hz, 1H), 10.31(s, 1H), 10.39(s, 1H)
N-(3-메틸페닐)-2-[2-(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45)
1H-NMR(400MHz, DMSO-d6)
δ 2.30(s, 3H), 2.46-2.50(m, 4H), 2.80(t, J=4.6Hz, 4H), 3.14(s, 2H), 4.41(s, 2H), 6.93(d, J=7.9Hz, 1H), 7.15(d, J=6.1Hz, 1H), 7.22(t, J=7.9Hz, 1H), 7.29(dd, J=7.6, 4.9Hz, 1H), 7.46(d, J=7.9Hz, 1H), 7.56(s, 1H), 7.96(dd, J=7.6, 1.7Hz, 1H), 8.18-8.20(m, 2H), 8.58(dd, J=4.9, 1.7Hz, 1H), 9.87(s, 1H), 10.41(s, 1H)
2-[2-(2-히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46)
1H-NMR(400MHz, DMSO-d6)
δ 2.30(s, 3H), 2.60(t, J=5.6Hz, 2H), 3.30-3.32(m, 2H), 3.43-3.47(m, 2H), 4.41(s, 2H), 4.58(t, J=5.2Hz, 1H), 6.93(d, J=7.8Hz, 1H), 7.13(dd, J=5.1, 1.5Hz, 1H), 7.22(t, J=7.8Hz, 1H), 7.29(dd, J=7.6, 4.9Hz, 1H), 7.45(d, J=7.8Hz, 1H), 7.55(s, 1H), 7.94(dd, J=7.6, 1.6Hz, 1H), 8.18(d, J=5.1Hz, 1H), 8.20(s, 1H), 8.58(dd, J=4.9, 1.6Hz, 1H), 10.14(s, 1H), 10.38(s, 1H)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47)
1H-NMR(400MHz, DMSO-d6)
δ 2.13(s, 6H), 2.31(t, J=6.2Hz, 2H), 2.60(t, J=6.2Hz, 2H), 3.30(s, 2H), 4.41(s, 2H), 7.12(dd, J=5.1, 1.5Hz, 1H), 7.18(d, J=8.0Hz, 2H), 7.18(t, J=74.3Hz, 1H), 7.30(dd, J=7.6, 4.8Hz, 1H), 7.72(d, J=8.0Hz, 2H), 7.97(dd, J=7.6, 1.7Hz, 1H), 8.18-8.20(m, 2H), 8.59(dd, J=4.8, 1.7Hz, 1H), 10.25(s, 1H), 10.54(s, 1H)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2-히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48)
1H-NMR(400MHz, DMSO-d6)
δ 2.60(t, J=5.6Hz, 2H), 3.31(s, 2H), 3.44-3.48(m, 2H), 4.42(s, 2H), 4.58(t, J=5.2Hz, 1H), 7.14(dd, J=5.1, 1.7Hz, 1H), 7.17(t, J=74.2Hz, 1H), 7.18(d, J=8.8Hz, 2H), 7.30(dd, J=7.6, 4.9Hz, 1H), 7.73(d, J=8.8Hz, 2H), 7.97(dd, J=7.6, 1.7Hz, 1H), 8.18-8.21(m, 2H), 8.59(dd, J=4.9, 1.7Hz, 1H), 10.13(s, 1H), 10.55(s, 1H)
2-[2-(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49)
1H-NMR(400MHz, DMSO-d6)
δ 1.79(s, 3H), 2.57(t, J=6.4Hz, 2H), 3.09-3.13(m, 2H), 3.29(s, 2H), 4.42(s, 2H), 7.14(dd, J=5.1, 1.5Hz, 1H), 7.18(t, J=74.2Hz, 1H), 7.18(d, J=9.0Hz, 2H), 7.30(dd, J=7.6, 4.9Hz, 1H), 7.72(d, J=9.0Hz, 2H), 7.84(s, 1H), 7.97(dd, J=7.6, 1.6Hz, 1H), 8.18-8.20(m, 2H), 8.59(dd, J=4.9, 1.6Hz, 1H), 10.08(s, 1H), 10.55(s, 1H)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아 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50)
1H-NMR(400MHz, DMSO-d6)
δ 2.14(s, 6H), 2.33(s, 3H), 2.36(t, J=6.4Hz, 2H), 2.56(t, J=6.4Hz, 2H), 3.17(s, 2H), 4.41(s, 2H), 7.13(dd, J=5.1, 1.1Hz, 1H), 7.17(t, J=74.2Hz, 1H), 7.18(d, J=8.8Hz, 2H), 7.30(dd, J=7.6, 4.9Hz, 1H), 7.73(d, J=8.8Hz, 2H), 7.79(dd, J=7.6, 1.7Hz, 1H), 8.18-8.20(m, 2H), 8.59(dd, J=4.9, 1.7Hz, 1H), 10.38(s, 1H), 10.55(s, 1H)
2-(2-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51)
1H-NMR(500MHz, DMSO-d6)
δ 2.28(s, 6H), 3.09(s, 2H), 4.43(s, 2H), 7.15(dd, J=5.2, 1.5Hz, 1H), 7.32(dd, J=7.6, 4.9Hz, 1H), 7.73(d, J=8.7Hz, 2H), 7.91(d, J=8.7Hz, 2H), 8.02(dd, J=7.6, 1.7Hz, 1H), 8.18(d, J=5.2Hz, 1H), 8.18(s, 1H), 8.61(dd, J=4.9, 1.7Hz, 1H), 9.81(s, 1H), 10.81(s, 1H)
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52)
1H-NMR(400MHz, DMSO-d6)
δ 2.12(s, 6H), 2.30(t, J=6.1Hz, 2H), 2.59(t, J=6.1Hz, 2H), 3.30(s, 2H), 4.43(s, 2H), 7.13(d, J=5.2, 1.5Hz, 1H), 7.31(dd, J=7.7, 4.9Hz, 1H), 7.73(d, J=8.7Hz, 2H), 7.91(d, J=8.7Hz, 2H), 8.02(dd, J=7.7, 1.7Hz, 1H), 8.18(d, J=5.2Hz, 1H), 8.21(s, 1H), 8.61(dd, J=4.9, 1.7Hz, 1H), 10.26(br s, 1H), 10.82(s, 1H)
2-[2-(2-히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53)
1H-NMR(500MHz, DMSO-d6)
δ 2.60(t, J=5.5Hz, 2H), 3.30(s, 2H), 3.43-3.47(m, 2H), 4.43(s, 2H), 4.57(t, J=5.2Hz, 1H), 7.14(dd, J=5.2, 1.5Hz, 1H), 7.32(dd, J=7.6, 4.9Hz, 1H), 7.73(d, J=8.7Hz, 2H), 7.92(d, J=8.7Hz, 2H), 8.02(dd, J=7.6, 1.8Hz, 1H), 8.18(d, J=5.2Hz, 1H), 8.21(s, 1H), 8.61(dd, J=4.9, 1.8Hz, 1H), 10.22(br s, 1H), 10.82(s, 1H)
2-[2-(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54)
1H-NMR(400MHz, DMSO-d6)
δ 2.43(br s, 4H), 2.70-2.73(m, 4H), 3.10(s, 2H), 4.43(s, 2H), 7.15(d, J=5.5Hz, 1H), 7.32(dd, J=7.6, 4.9Hz, 1H), 7.73(d, J=8.8Hz, 2H), 7.91(d, J=8.8Hz, 2H), 8.02(dd, J=7.6, 1.7Hz, 1H), 8.19(d, J=5.5Hz, 1H), 8.20(s, 1H), 8.61(dd, J=4.9, 1.7Hz, 1H), 9.82(br s, 1H), 10.82(s, 1H)
2-(2-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55)
1H-NMR(400MHz, DMSO-d6)
δ 2.28(s, 6H), 3.09(s, 2H), 4.43(s, 2H), 7.15(dd, J=5.1, 1.7Hz, 1H), 7.32(dd, J=7.6, 4.9Hz, 1H), 7.48(d, J=7.8Hz, 1H), 7.61(t, J=7.8Hz, 1H), 7.91(d, J=7.8Hz, 1H), 8.03(dd, J=7.6, 1.7Hz, 1H), 8.18(s, 1H), 8.18(d, J=5.1Hz, 1H), 8.19(s, 1H), 8.61(dd, J=4.9, 1.7Hz, 1H), 9.81(s, 1H), 10.79(s, 1H)
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56)
1H-NMR(400MHz, DMSO-d6)
δ 2.13(s, 6H), 2.31(t, J=6.2Hz, 2H), 2.59(t, J=6.2Hz, 2H), 3.30(s, 2H), 4.43(s, 2H), 7.13(dd, J=5.1, 1.5Hz, 1H), 7.32(dd, J=7.7, 4.9Hz, 1H), 7.48(d, J=7.9Hz, 1H), 7.61(t, J=7.9Hz, 1H), 7.91(d, J=7.9Hz, 1H), 8.03(dd, J=7.7, 1.7Hz, 1H), 8.18(s, 1H), 8.18(d, J=5.1Hz, 1H), 8.21(s, 1H), 8.61(dd, J=4.9, 1.7Hz, 1H), 10.26(br s, 1H), 10.79(s, 1H)
2-[2-(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트리플루오로 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염산염(화합물 17-57)
1H-NMR(400MHz, DMSO-d6)
δ 3.40(br s, 4H), 3.49(br s, 4H), 4.14(br s, 2H), 4.45(s, 2H), 7.26(d, J=5.0Hz, 1H), 7.33(dd, J=7.6, 4.9Hz, 1H), 7.49(d, J=7.9Hz, 1H), 7.61(t, J=7.9Hz, 1H), 7.95(d, J=7.9Hz, 1H), 8.10(dd, J=7.6, 1.5Hz, 1H), 8.18(br s, 1H), 8.22(s, 1H), 8.27(d, J=5.0Hz, 1H), 8.61(dd, J=4.9, 1.5Hz, 1H), 9.70(br s, 2H), 10.91(s, 1H), 11.08(s, 1H)
2-[2-(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58)
1H-NMR(400MHz, DMSO-d6)
δ 2.38(t, J=6.3Hz, 2H), 2.45(br s, 8H), 3.13(s, 2H), 3.32-3.50(m, 2H), 4.38(t, J=5.4Hz, 1H), 4.42(s, 2H), 7.15(d, J=5.1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9Hz, 2H), 7.80(d, J=8.9Hz, 2H), 7.99(dd, J=7.6, 1.5Hz, 1H), 8.18-8.19(m, 2H), 8.60(dd, J=4.9, 1.5Hz, 1H), 9.81(s, 1H), 10.66(s, 1H)
2-[2-(4-아세틸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59)
1H-NMR(400MHz, DMSO-d6)
δ 1.99(s, 3H), 2.46-2.53(m, 4H), 3.20(s, 2H), 3.45-3.47(m, 4H), 4.43(s, 2H), 7.15(dd, J=5.4, 1.2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8Hz, 2H), 7.81(d, J=8.8Hz, 2H), 7.99(dd, J=7.6, 1.6Hz, 1H), 8.18-8.20(m, 2H), 8.60(dd, J=4.9, 1.6Hz, 1H), 9.94(s, 1H), 10.66(s, 1H)
2-[2-(2-히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60)
1H-NMR(500MHz, DMSO-d6)
δ 1.20(d, J=7.1Hz, 6H), 2.60(br s, 2H), 2.86(m, 1H), 3.30(s, 2H), 3.45(t, J=5.5Hz, 2H), 4.41(s, 2H), 7.00(d, J=7.8Hz, 1H), 7.14(m, 1H), 7.23-7.30(m, 2H), 7.51(d, J=8.5Hz, 1H), 7.59(s, 1H), 7.96(d, J=7.8Hz, 1H), 8.18(d, J=5.4Hz, 1H), 8.20(s, 1H), 8.58(dd, J=4.9, 1.7Hz, 1H), 10.15(s, 1H), 10.39(s, 1H)
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61)
1H-NMR(400MHz, CDCl3)
δ 1.25(d, J=6.8Hz, 6H), 2.23(s, 6H), 2.43(t, J=5.7Hz, 2H), 2.71(t, J=5.7Hz, 2H), 2.91(m, 1H), 3.32(m, 1H), 3.38(s, 2H), 4.50(s, 2H), 7.03(d, J=7.6Hz, 1H), 7.07(d, J=5.0Hz, 1H), 7.11(dd, J=7.6, 4.9Hz, 1H), 7.27(m, 1H), 7.46(d, J=7.6Hz, 1H), 7.52(s, 1H), 7.86(d, J=7.3Hz, 1H), 8.17(d, J=5.0Hz, 1H), 8.29(m, 2H), 8.52(m, 1H), 9.89(s, 1H)
2-[2-(4-메틸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62)
1H-NMR(400MHz, CDCl3)
δ 2.38(s, 3H), 2.61-2.69(m, 8H), 3.15(s, 2H), 4.53(s, 2H), 7.08(dd, J=5.1, 1.1Hz, 1H), 7.15(dd, J=7.6, 4.8Hz, 1H), 7.22(d, J=8.9Hz, 2H), 7.70(d, J=8.9Hz, 2H), 7.88(dd, J=7.6, 1.7Hz, 1H), 8.19(d, J=5.1Hz, 1H), 8.28(s, 1H), 8.39(s, 1H), 8.54(dd, J=4.8, 1.7Hz, 1H), 9.50(s, 1H)
N-(4-클로로페닐)-2-[2-(2-프로핀-1-일)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63)
1H-NMR(400MHz, DMSO-d6)
δ 2.80(br s, 1H), 3.10(t, J=2.4Hz, 1H), 3.30-3.40(m, 4H), 4.42(s, 2H), 7.12(d, J=5.1Hz, 1H), 7.30(dd, J=7.6, 4.9Hz, 1H), 7.41(d, J=8.8Hz, 2H), 7.73(d, J=8.8Hz, 2H), 7.98(dd, J=7.6, 1.7Hz, 1H), 8.17-8.20(m, 2H), 8.59(dd, J=4.9, 1.7Hz, 1H), 10.04(s, 1H), 10.60(s, 1H)
N-(4-클로로페닐)-2-[2-(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64)
1H-NMR(400MHz, DMSO-d6)
δ 2.39(t, J=6.3Hz, 2H), 2.40-2.60(m, 8H), 3.13(s, 2H), 3.45-3.49(m, 2H), 4.38(t, J=5.1Hz, 1H), 4.42(s, 2H), 7.15(d, J=5.9Hz, 1H), 7.30(dd, J=7.6, 4.9Hz, 1H), 7.41(d, J=8.8Hz, 2H), 7.72(d, J=8.8Hz, 2H), 7.98(m, 1H), 8.18(s, 1H), 8.19(d, J=5.9Hz, 1H), 8.59(dd, J=4.9, 1.5Hz, 1H), 9.81(s, 1H), 10.60(s, 1H)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N-(2-히드록시에틸)-N-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65)
1H-NMR(400MHz, DMSO-d6)
δ 2.31(s, 3H), 2.54(t, J=5.8Hz, 2H), 3.19(s, 2H), 3.47-3.51(m, 2H), 4.42(s, 2H), 4.63(t, J=5.3Hz, 1H), 7.14(dd, J=5.0, 1.5Hz, 1H), 7.17(d, J=9.0Hz, 2H), 7.17(t, J=74.2Hz, 1H), 7.30(dd, J=7.6, 4.9Hz, 1H), 7.72(d, J=9.0Hz, 2H), 7.97(dd, J=7.6, 1.7Hz, 1H), 8.16-8.20(m, 2H), 8.59(dd, J=4.9, 1.7Hz, 1H), 10.41(s, 1H), 10.54(s, 1H)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66)
1H-NMR(400MHz, DMSO-d6)
δ 2.42(br s, 4H), 2.72(br s, 4H), 3.10(s, 2H), 4.42(s, 2H), 7.15(m, 1H), 7.17(t, J=74.2Hz, 1H), 7.18(d, J=8.9Hz, 2H), 7.30(dd, J=7.6, 4.9Hz, 1H), 7.72(d, J=8.9Hz, 2H), 7.98(d, J=7.6Hz, 1H), 8.18-8.19(m, 2H), 8.59(dd, J=4.9, 1.7Hz, 1H), 9.82(s, 1H), 10.55(s, 1H)
2-(2-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67)
1H-NMR(400MHz, DMSO-d6)
δ 3.33-3.34(m, 2H), 4.42(s, 2H), 7.14(m, 1H), 7.30(dd, J=7.6, 4.9Hz, 1H), 7.41(d, J=8.8Hz, 2H), 7.73(d, J=8.8Hz, 2H), 7.95-8.01(m, 2H), 8.19(m, 1H), 8.59(dd, J=4.9, 1.7Hz, 1H), 10.64(s, 1H)
2-(2-아세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68)
1H-NMR(400MHz, DMSO-d6)
δ 1.87(s, 3H), 3.89(d, J=5.9Hz, 2H), 4.41(s, 2H), 7.12(dd, J=5.1, 1.2Hz, 1H), 7.29(dd, J=7.6, 4.9Hz, 1H), 7.41(d, J=8.8Hz, 2H), 7.73(d, J=8.8Hz, 2H), 7.97(dd, J=7.6, 1.7Hz, 1H), 8.13-8.19(m, 3H), 8.59(dd, J=4.9, 1.7Hz, 1H), 10.39(s, 1H), 10.60(s, 1H)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프탈로일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69)
1H-NMR(400MHz, DMSO-d6)
δ 4.39(s, 2H), 4.49(s, 2H), 7.15-7.19(m, 3H), 7.18(t, J=74.2Hz, 1H), 7.27(dd, J=7.6, 4.9Hz, 1H), 7.70(d, J=9.0Hz, 2H), 7.83-7.95(m, 5H), 8.06(s, 1H), 8.22(d, J=5.1Hz, 1H), 8.55(dd, J=4.9, 1.7Hz, 1H), 10.52(s, 1H), 10.90(s, 1H)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4-메틸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70)
1H-NMR(400MHz, DMSO-d6)
δ 2.17(s, 3H), 2.36(br s, 4H), 2.51(br s, 4H), 3.14(s, 2H), 4.42(s, 2H), 7.14-7.19(m, 3H), 7.18(t, J=74.2Hz, 1H), 7.30(dd, J=7.6, 4.9Hz, 1H), 7.73(d, J=9.0Hz, 2H), 7.97(dd, J=7.6, 1.7Hz, 1H), 8.18-8.19(m, 2H), 8.59(dd, J=4.9, 1.7Hz, 1H), 9.82(s, 1H), 10.54(s, 1H)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이소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71)
1H-NMR(400MHz, DMSO-d6)
δ 0.99(d, J=6.1Hz, 6H), 2.72(m, 1H), 3.26(s, 2H), 4.42(s, 2H), 7.14(dd, J=5.1, 1.5Hz, 1H), 7.17(t, J=74.2Hz, 1H), 7.18(d, J=9.0Hz, 2H), 7.30(dd, J=7.6, 4.9 Hz.1H), 7.72(d, J=9.0Hz, 2H), 7.97(dd, J=7.6, 1.7Hz, 1H), 8.16-8.20(m, 2H), 8.59(dd, J=4.9, 1.7Hz, 1H), 10.10(s, 1H), 10.54(s, 1H)
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72)
1H-NMR(400MHz, DMSO-d6)
δ 2.15(s, 6H), 2.25(s, 6H), 2.33(t, J=6.1Hz, 2H), 2.61(t, J=6.1Hz, 2H), 3.31(s, 2H), 4.41(s, 2H), 6.76(s, 1H), 7.13(dd, J=5.1, 1.5Hz,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92(dd, J=7.6, 1.7Hz, 1H), 8.18-8.20(m, 2H), 8.57(dd, J=4.9, 1.7Hz, 1H), 10.26(s, 1H), 10.29(s, 1H)
N-(3,5-디메틸페닐)-2-(2-이소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73)
1H-NMR(400MHz, DMSO-d6)
δ 0.99(d, J=6.1Hz, 6H), 2.25(s, 6H), 2.73(m, 1H), 3.27(s, 2H), 4.41(s, 2H), 6.76(s, 1H), 7.14(dd, J=5.1, 1.2Hz,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92(dd, J=7.6, 1.7Hz, 1H), 8.16-8.20(m, 2H), 8.57(dd, J=4.9, 1.7Hz, 1H), 10.12(s, 1H), 10.30(s, 1H)
2-[2-(2-프로펜-1-일)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74)
1H-NMR(400MHz, DMSO-d6)
δ 3.18(d, J=5.4Hz, 2H), 3.27(s, 2H), 4.42(s, 2H), 5.07(d, J=10.0Hz, 1H), 5.17(d, J=17.1Hz, 1H), 5.83(m, 1H), 7.14(d, J=5.0Hz, 1H), 7.31(dd, J=7.7, 4.9Hz, 1H), 7.37(d, J=8.7Hz, 2H), 7.81(d, J=8.7Hz, 2H), 7.99(d, J=7.7Hz, 1H), 8.18(d, J=5.0Hz, 1H), 8.20(s, 1H), 8.60(d, J=4.9Hz, 1H), 10.09(br s, 1H), 10.66(s, 1H)
2-[2-(2-메틸아지리딘-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75)
1H-NMR(400MHz, DMSO-d6)
δ 1.13(d, J=5.4Hz, 3H), 1.45(d, J=6.3Hz, 1H), 1.54(d, J=3.7Hz, 1H), 1.63(m, 1H), 3.01(d, J=15.9Hz, 1H), 3.10(d, J=15.9Hz, 1H), 4.43(s, 2H), 7.16(dd, J=5.1, 1.5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8Hz, 2H), 7.81(d, J=8.8Hz, 2H), 7.99(dd, J=7.6, 1.7Hz, 1H), 8.20(d, J=5.1Hz, 1H), 8.20(s, 1H), 8.60(dd, J=4.9, 1.7Hz, 1H), 9.83(s, 1H), 10.66(s, 1H)
2-[2-(N-에틸-N-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76)
1H-NMR(400MHz, DMSO-d6)
δ 1.02(t, J=7.1Hz, 3H), 2.28(s, 3H), 2.49-2.51(m, 2H), 3.13(s, 2H), 4.43(s, 2H), 7.15(dd, J=5.1, 1.5Hz, 1H), 7.31(dd, J=7.6, 4.9Hz, 1H), 7.37(d, J=8.8Hz, 2H), 7.81(d, J=8.8Hz, 2H), 7.99(dd, J=7.6, 1.7Hz, 1H), 8.18(d, J=5.1Hz, 1H), 8.19(s, 1H), 8.60(dd, J=4.9, 1.7Hz, 1H), 9.80(s, 1H), 10.66(s, 1H)
2-[2-(아제티딘-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77)
1H-NMR(400MHz, DMSO-d6)
δ 1.99-2.06(m, 2H), 3.21(s, 2H), 3.28(t, J=7.0Hz, 4H), 4.42(s, 2H), 7.14(d, J=5.1Hz, 1H), 7.30(dd, J=7.6, 4.9Hz, 1H), 7.37(d, J=8.9Hz, 2H), 7.80(d, J=8.9Hz, 2H), 7.99(d, J=7.6Hz, 1H), 8.15(s, 1H), 8.18(d, J=5.1Hz, 1H), 8.60(dd, J=4.9, 1.7Hz, 1H), 9.81(s, 1H), 10.66(s, 1H)
2-[2-(2-(피롤리딘-1-일)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78)
1H-NMR(400MHz, DMSO-d6)
δ 1.65-1.67(m, 4H), 2.41-2.48(m, 6H), 2.63(t, J=6.2Hz, 2H), 3.32(s, 2H), 4.42(s, 2H), 7.13(dd, J=5.1, 1.5Hz, 1H), 7.30(dd, J=7.6, 4.9Hz, 1H), 7.37(d, J=8.8Hz, 2H), 7.80(d, J=8.8Hz, 2H), 7.99(dd, J=7.6, 1.6Hz, 1H), 8.18(d, J=5.1Hz, 1H), 8.20(s, 1H), 8.60(dd, J=4.9, 1.6Hz, 1H), 10.23(s, 1H), 10.66(s, 1H)
N-(4-클로로페닐)-2-[2-(2-(피롤리딘-1-일)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79)
1H-NMR(500MHz, DMSO-d6)
δ 1.65-1.66(m, 4H), 2.42-2.45(m, 4H), 2.47-2.52(m, 2H), 2.62-2.64(m, 2H), 3.29(s, 2H), 4.42(s, 2H), 7.12(dd, J=5.2, 1.7Hz, 1H), 7.30(dd, J=7.6, 4.9Hz, 1H), 7.41(d, J=8.9Hz, 2H), 7.72(d, J=8.9Hz, 2H), 7.98(dd, J=7.6, 1.7Hz, 1H), 8.18(d, J=5.2Hz, 1H), 8.20(s, 1H), 8.59(dd, J=4.9, 1.7Hz, 1H), 10.22(s, 1H), 10.59(s, 1H)
2-[2-(1,4-디히드로-4-옥소피리딘-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80)
1H-NMR(400MHz, DMSO-d6)
δ 4.41(s, 2H), 4.82(s, 2H), 6.06(d, J=7.6Hz, 2H), 7.16(d, J=5.1Hz, 1H), 7.30(dd, J=7.6, 4.9Hz, 1H), 7.37(d, J=8.9Hz, 2H), 7.58(d, J=7.6Hz, 2H), 7.80(d, J=8.9Hz, 2H), 7.98(dd, J=7.6, 1.7Hz, 1H), 8.11(s, 1H), 8.22(d, J=5.1Hz, 1H), 8.58(dd, J=4.9, 1.7Hz, 1H), 10.65(s, 1H), 10.83(s, 1H)
N-(4-클로로페닐)-2-[2-(4-메틸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81)
1H-NMR(400MHz, DMSO-d6)
δ 2.17(s, 3H), 2.35(br s, 6H), 3.14(s, 2H), 3.32(s, 2H), 4.42(s, 2H), 7.15(d, J=6.3Hz, 1H), 7.30(dd, J=7.6, 4.9Hz, 1H), 7.41(d, J=8.8Hz, 2H), 7.72(d, J=8.8Hz, 2H), 7.98(dd, J=7.6, 1.6Hz, 1H), 8.18-8.19(m, 2H), 8.59(dd, J=4.9, 1.6Hz, 1H), 9.82(s, 1H), 10.60(s, 1H)
2-[2-(이미다졸-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82)
1H-NMR(400MHz, DMSO-d6)
δ 4.41(s, 2H), 4.94(s, 2H), 6.88(d, J=1.0Hz, 1H), 7.15-7.16(m, 2H), 7.29(dd, J=7.6, 4.9Hz, 1H), 7.37(d, J=8.8Hz, 2H), 7.62(s, 1H), 7.79(d, J=8.8Hz, 2H), 7.98(dd, J=7.6, 1.7Hz, 1H), 8.11(s, 1H), 8.22(d, J=5.1Hz, 1H), 8.57(dd, J=4.9, 1.7Hz, 1H), 10.65(s, 1H), 10.78(s, 1H)
N-(4-클로로페닐)-2-[2-(아제티딘-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83)
1H-NMR(400MHz, DMSO-d6)
δ 1.90-2.08(m, 2H), 3.21(s, 2H), 3.25-3.34(m, 4H), 4.41(s, 2H), 7.14(d, J=5.1Hz, 1H), 7.30(dd, J=7.6, 4.9Hz, 1H), 7.41(d, J=8.8Hz, 2H), 7.72(d, J=8.8Hz, 2H), 7.98(m, 1H), 8.15-8.19(m, 2H), 8.59(dd, J=4.9, 1.7Hz, 1H), 9.80(s, 1H), 10.59(s, 1H)
N-(3,5-디메틸페닐)-2-[2-(3-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84)
1H-NMR(400MHz, DMSO-d6)
δ 1.50-1.60(m, 2H), 2.25(s, 6H), 2.57(t, J=6.8Hz, 2H), 3.27(s, 2H), 3.46(t, J=6.8Hz, 2H), 4.40(br s, 1H), 4.41(s, 2H), 6.76(s, 1H), 7.14(d, J=5.1Hz,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93(dd, J=7.6, 1.7Hz, 1H), 8.17-8.21(m, 2H), 8.57(dd, J=4.9, 1.7Hz, 1H), 10.07(br s, 1H), 10.59(s, 1H)
N-(3,5-디메틸페닐)-2-[2-(2-모르폴리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85)
1H-NMR(400MHz, DMSO-d6)
δ 2.25(s, 6H), 2.30-2.40(m, 6H), 2.63(t, J=6.1Hz, 2H), 3.30(s, 2H), 3.54(t, J=4.6Hz, 4H), 4.41(s, 2H), 6.76(s, 1H), 7.13(d, J=5.1Hz, 1H), 7.28(dd, J=7.6, 4.9Hz, 1H), 7.32(s, 2H), 7.93(dd, J=7.6, 1.7Hz, 1H), 8.17-8.21(m, 2H), 8.57(dd, J=4.9, 1.7Hz, 1H), 10.17(br s, 1H), 10.30(s, 1H)
2-(2-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86)
1H-NMR(400MHz, CDCl3)
δ 1.15(t, J=7.1Hz, 3H), 2.72(q, J=7.1Hz, 2H), 3.39(s, 2H), 4.52(s, 2H), 7.06(d, J=5.1Hz, 1H), 7.13(dd, J=7.6, 4.9Hz, 1H), 7.21(d, J=8.3Hz, 2H), 7.70(d, J=8.3Hz, 2H), 7.87(dd, J=7.6, 1.7Hz, 1H), 8.18(d, J=5.1Hz, 1H), 8.26(s, 1H), 8.51-8.54(m, 2H), 9.82(br s, 1H)
2-(2-시클로프로필메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87)
1H-NMR(400MHz, DMSO-d6)
δ 0.19-0.23(m, 2H), 0.46-0.51(m, 2H), 1.11(m, 1H), 3.35(d, J=6.8Hz, 2H), 4.09(s, 2H), 4.43(s, 2H), 7.16(dd, J=5.0, 1.5Hz, 1H), 7.31(dd, J=7.7, 4.9Hz, 1H), 7.37(d, J=8.8Hz, 2H), 7.81(d, J=8.8Hz, 2H), 7.99(dd, J=7.7, 1.7Hz, 1H), 8.18(d, J=5.0Hz, 1H), 8.20(s, 1H), 8.60(dd, J=4.9, 1.7Hz, 1H), 9.74(s, 1H), 10.66(s, 1H)
N-(3,5-디메틸페닐)-2-(2-프탈로일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88)
1H-NMR(400MHz, DMSO-d6)
δ 2.24(s, 6H), 4.38(s, 2H), 4.50(s, 2H), 6.74(s, 1H), 7.15(d, J=5.1Hz, 1H), 7.25(dd, J=7.8, 4.9Hz, 1H), 7.30(s, 2H), 7.83(s, 1H), 7.88-7.94(m, 4H), 8.06(br s, 1H), 8.22(d, J=5.1Hz, 1H), 8.53(dd, J=4.9, 1.7Hz, 1H), 10.28(s, 1H), 10.90(s, 1H)
실시예 18
2-(2-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8-1)
실온 하에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프탈로일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69, 50 ㎎, 0.085 mmol)와 히드라진1수화물(42 ㎕, 0.42 mmol)을 메탄올(2.0 ㎖)과 1,4-디옥산(2.0 ㎖)의 혼합 용매에 현탁하고, 80℃로 가열하여 1시간 교반하였다. 아세트산에틸(30 ㎖)로 희석하고, 포화 식염수(30 ㎖)로 2회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적 화합물 11 ㎎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29%).
Figure 112006066828628-PCT00056
1H-NMR(400MHz, DMSO-d6)
δ 3.30(s, 2H), 3.41(s, 2H), 4.43(s, 2H), 7.14-7.20(m, 3H), 7.18(t, J=74.2Hz, 1H), 7.30(dd, J=7.6, 4.9Hz, 1H), 7.73(d, J=9.0Hz, 2H), 7.84(s, 1H), 7.98(d, J=7.6Hz, 1H), 8.30(d, J=5.1Hz, 1H), 8.60(d, J=4.9Hz, 1H), 10.54(s, 1H)
상기한 본 발명 화합물의 화학 구조를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66828628-PCT00057
Figure 112006066828628-PCT00058
Figure 112006066828628-PCT00059
Figure 112006066828628-PCT00060
Figure 112006066828628-PCT00061
Figure 112006066828628-PCT00062
Figure 112006066828628-PCT00063
Figure 112006066828628-PCT00064
Figure 112006066828628-PCT00065
Figure 112006066828628-PCT00066
Figure 112006066828628-PCT00067
Figure 112006066828628-PCT00068
Figure 112006066828628-PCT00069
Figure 112006066828628-PCT00070
Figure 112006066828628-PCT00071
Figure 112006066828628-PCT00072
Figure 112006066828628-PCT00073
Figure 112006066828628-PCT00074
Figure 112006066828628-PCT00075
Figure 112006066828628-PCT00076
Figure 112006066828628-PCT00077
Figure 112006066828628-PCT00078
Figure 112006066828628-PCT00079
[제제예]
본 발명 화합물의 대표적인 제제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1) 정제 100 ㎎ 중
본 발명 화합물 1 mg
젖당 66.4 ㎎
옥수수 전분 20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6 ㎎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4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6 ㎎
상기 처방의 정제에 코팅제(예컨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매크로골, 실리콘수지 등의 통상의 코팅제) 2 ㎎을 이용하여 코팅을 행하고, 목적으로 하는 코팅 정을 얻는다. 또한, 본 발명 화합물 및/또는 첨가물의 종류 및/또는 양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정제를 얻을 수 있다.
2) 캡슐제
처방 2 150 ㎎ 중
본 발명 화합물 5 ㎎
젖당 145 ㎎
본 발명 화합물과 젖당의 혼합비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캡슐제를 얻을 수 있다.
3) 점안제
처방 3 100 ㎖ 중
본 발명 화합물 100 ㎎
염화나트륨 900 ㎎
폴리솔베이트 80 200 ㎎
수산화나트륨 적량
염산 적량
멸균 정제수 적량
본 발명 화합물 및/또는 첨가물의 종류 및/또는 양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점안제를 얻을 수 있다.
[약리 시험]
1. 혈관신생 저해효과의 평가 시험
약물의 혈관신생 저해효과를 평가하는 범용되는 방법의 하나로서 VEGF 유발 HUVEC 증식 반응 평가계를 이용한 세포증식 저해작용 시험이 Cancer Res., 59, 99- 106(1999)에 보고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문헌에 기재한 방법에 준하여 본 발명 화합물의 세포증식 저해작용 시험을 행하고, 그 세포증식 저해율을 산출하여 그것을 지표로 본 발명 화합물의 혈관신생 저해효과를 평가하였다.
(피검 화합물 용액의 조제)
피검 화합물을 디메틸설폭시드(이하, DMSO)에 용해한 후, 계속해서 시판되고 있는 인산 완충 용액(이하, PBS)으로 희석하여 20 μg/㎖의 피검 화합물 용액을 조제하였다.
(HUVEC 현탁액의 조제)
HUVEC를 0.5% 소 태아 혈청(이하, FBS) 함유 F12K 배지에 현탁하고, 2×104 cells/㎖의 HUVEC 현탁액을 조제하였다.
(VEGF 용액의 조제)
VEGF를 0.1% 소 혈청 알부민 함유 PBS에 용해한 후, 계속해서 0.5% FBS 함유 F12K 배지에서 희석하여 400 ng/㎖의 VEGF 용액을 조제하였다.
(시험 방법 및 측정 방법)
1) I형 콜라겐으로 코팅한 96구멍 플레이트에 HUVEC 현탁액을 100 ㎕씩 파종하였다(1구멍 당 2×103 cells).
2) 파종 1일 후, 피검 화합물 용액을 1구멍 당 5 ㎕씩 첨가하였다.
3) 피검 화합물 용액의 첨가 1시간 후, VEGF 용액을 1구멍 당 5 ㎕씩 첨가하였다.
4) VEGF 용액의 첨가 3일 후, WST-8 분석 시약(도진카가꾸)을 1구멍 당 10 ㎕씩 첨가하였다.
5) 3시간 후, 흡광 광도계(멀티 라벨 카운터 ARVO)에 상기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450 ㎚에서의 각 구멍 현탁액(이하, 피검 화합물 현탁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6) 피검 화합물 용액 대신에 1.0% DMSO를 사용하고, 다른 것은 상기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컨트롤로 하였다.
또한, 상기한 각 시험 공정 사이는 전부 인큐베이터 안에서 37℃, 5% 이산화탄소, 95% 산소의 조건 하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 증식 저해율의 산출)
이하에 나타내는 계산식으로부터, 혈관신생 저해효과의 지표가 되는 세포증식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계산식)
세포증식 저해율(%)=100-{(피검 화합물 현탁액의 흡광도-A)/(컨트롤의 흡광도-A)}×100
A: 세포 현탁액(세포+배지)만의 흡광도
(시험 결과 및 고찰)
시험 결과의 일례로서 피검 화합물(화합물 1-1, 화합물 1-2, 화합물 1-3, 화합물 1-4, 화합물 1-5, 화합물 1-6, 화합물 1-10, 화합물 1-11, 화합물 1-20, 화합물 2-1, 화합물 2-2, 화합물 2-3, 화합물 2-4, 화합물 2-5, 화합물 2-6, 화합물 2- 7, 화합물 2-24, 화합물 3-1, 화합물 3-2, 화합물 3-3, 화합물 3-4, 화합물 3-5, 화합물 3-6, 화합물 3-7, 화합물 3-8, 화합물 3-9, 화합물 3-10, 화합물 3-13, 화합물 3-20, 화합물 3-21, 화합물 3-28, 화합물 4-1, 화합물 4-2, 화합물 4-3, 화합물 4-4, 화합물 4-5, 화합물 4-6, 화합물 4-10, 화합물 4-11, 화합물 4-12, 화합물 4-22, 화합물 4-37, 화합물 4-42, 화합물 4-44, 화합물 4-56, 화합물 4-57, 화합물 5-1, 화합물 5-2, 화합물 5-3, 화합물 6-1, 화합물 8-1, 화합물 9-1, 화합물 9-2, 화합물 9-3, 화합물 9-4, 화합물 10-1, 화합물 11-2, 화합물 12-1, 화합물 12-2, 화합물 12-3, 화합물 12-5, 화합물 12-6, 화합물 12-7, 화합물 12-9, 화합물 12-10, 화합물 12-11, 화합물 12-12, 화합물 12-13, 화합물 12-15, 화합물 12-16, 화합물 13-4, 화합물 13-5, 화합물 13-7, 화합물 17-2, 화합물 17-4, 화합물 17-5, 화합물 17-6, 화합물 17-10, 화합물 17-11, 화합물 17-14, 화합물 17-23, 화합물 17-26, 화합물 17-28, 화합물 17-31, 화합물 17-34, 화합물 17-35, 화합물 17-36, 화합물 17-40, 화합물 17-46, 화합물 17-47, 화합물 17-48, 화합물 17-49, 화합물 17-50, 화합물 17-52, 화합물 17-58, 화합물 17-66, 화합물 17-71, 화합물 17-72, 화합물 17-73, 화합물 17-84, 화합물 17-85, 화합물 17-86, 화합물 18-1)의 세포증식 저해율(%)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66828628-PCT00080
표 1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화합물은 우수한 세포증식 저해작용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 화합물은 우수한 혈관신생 저해효과를 갖는다.
2. 항암 효과의 평가 시험
약물의 항암 효과를 평가하는 범용되는 방법의 하나로서 마우스 담암 모델을 이용한 종양증식 억제작용 시험이 Cancer Res., 59, 5209-5218(1999)에 보고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문헌에 기재한 방법에 준하여 본 발명 화합물의 종양증식 억제작용 시험을 행하고, 그 종양 조직 중량 억제율을 산출하여 그것을 지표로 본 발명 화합물의 항암 효과를 평가하였다.
(피검 화합물 현탁액의 조제)
피검 화합물에 1%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첨가하여 이 액을 소니케터(초음파 세포 파쇄기)로 현탁하여 10 ㎎/㎖의 피검 화합물 현탁액을 조제하였다.
(B16 세포 현탁액의 조제)
B16 세포에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3.3×107 cells/㎖의 B16 세포 현탁액을 조제하였다.
(시험 방법 및 측정 방법)
1) 넴부탈 마취 하에, 탈모제를 이용하여 마우스(암컷, 6주령, C57BL/6N 마우스)의 배부를 제모하였다.
2) 제모하고 나서 수일 후, 넴부탈 마취 하에 B16 세포 현탁액(300 ㎕)을 마우스의 배부 피내에 이입(移入)하였다.
3) B16 세포 이입일(0일째)로부터 10일째까지 피검 화합물 현탁액(100 ㎎/㎏/1일)을 1일 1회 연일 경구 투여하였다.
4) 세포 이입으로부터 10일째에 CO2 가스에 의해 마우스를 안락사 처분하였다.
5) 마우스로부터 종양 조직을 적출하여 전자 천칭을 이용하여 그 종양 조직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6) 피검 화합물 현탁액 대신에 1%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사용하고, 다른 것은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컨트롤로 하였다.
(종양 조직 중량 억제율의 산출)
이하에 나타내는 계산식으로부터 항암 효과의 지표가 되는 종양 조직 중량 억제율(1군 9마리의 평균치)을 산출하였다.
(계산식)
종양 조직 중량 억제율(%)=100-(Mx/Mo)×100
Mo: 컨트롤군의 종양 조직 중량
Mx: 피검 화합물 용액 투여군의 종양 조직 중량
(시험 결과 및 고찰)
시험 결과의 일례로서 피검 화합물(화합물 1-4, 화합물 1-6, 화합물 3-1, 화합물 3-2, 화합물 3-6, 화합물 3-8, 화합물 3-10, 화합물 3-20, 화합물 4-1, 화합물 4-2, 화합물 4-10, 화합물 4-11, 화합물 4-14, 화합물 4-16, 화합물 4-20, 화합물 4-43, 화합물 4-56, 화합물 4-59, 화합물 9-1, 화합물 10-1, 화합물 10-2, 화합물 11-2, 화합물 12-1, 화합물 12-2, 화합물 12-3, 화합물 12-5, 화합물 12-7, 화합물 12-9, 화합물 12-11, 화합물 12-12, 화합물 12-15, 화합물 13-7, 화합물 17-2, 화합물 17-5, 화합물 17-10, 화합물 17-11, 화합물 17-14, 화합물 17-23, 화합물 17-35)의 종양 조직 중량 억제율(%)을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66828628-PCT00081
표 2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화합물은 우수한 종양증식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 화합물은 우수한 항암 효과를 갖는다.
3. 항관절염 효과의 평가 시험
약물의 항관절염 효과를 평가하는 범용되는 방법의 하나로서 래트 아쥬반트 관절염 모델을 이용한 발 부종 억제작용 시험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본 발명 화합물의 발 부종 억제작용 시험을 행하고, 그 발 부종 억제율을 산출하여 그것을 지표로 본 발명 화합물의 항관절염 효과를 평가하였다.
(피검 화합물 현탁액의 조제)
피검 화합물에 1%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첨가하여 현탁하고, 2 ㎎/㎖의 피검 화합물 현탁액을 조제하였다.
(아쥬반트의 조제)
마이코박테륨-부티리쿰(Mycobacterium-butyricum)에 유동 파라핀을 첨가하여 현탁하고, 6 ㎎/㎖의 아쥬반트를 조제하였다.
(실험 방법)
1) 래트(수컷, 9주령, Lewis 래트)의 왼쪽 뒷다리 족척 피하에 아쥬반트(0.1 ㎖)를 주입하여 관절염을 유도하였다.
2) 아쥬반트 주입일(0일째)로부터 20일째까지 피검 화합물 현탁액(10 ㎎/㎏/1일)을 1일 1회 연속 연일 경구 투여하였다.
3) 아쥬반트 주입 당일, 1일째, 4일째, 7일째, 11일째, 14일째, 18일째 및 21일째에 프리시스모미터를 이용하여 양쪽 뒷다리의 발 용적을 각 뒷다리마다 측정하였다.
4) 피검 화합물 현탁액 대신에 1%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사용하고, 다른 것은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컨트롤로 하였다.
(평가 방법)
컨트롤군의 아쥬반트 비처치 발(2차 염증 발)에 있어서의 발 부종에 대한 각 피검 화합물 투여군의 2차 염증 발에 있어서의 발 부종의 발 부종 억제율을 산출하고, 그것을 지표로 본 발명 화합물의 항관절염 효과를 평가하였다.
(발 부종 억제율의 산출)
이하에 나타내는 계산식 1로부터, 발 부종율을 산출하고, 계속해서, 계산식 2로부터 항관절염 효과의 지표가 되는 발 부종 억제율(1군 8마리의 평균치)을 산출하였다.
(계산식 1)
발 부종율(%)=(아쥬반트 처치 후의 발 용적/아쥬반트 처치 전의 발 용적)×100
(계산식 2)
발 부종 억제율(%)=100-{(Sx-100)/(So-100)}× 100
So: 컨트롤군의 발 부종율
Sx: 피검 화합물 현탁액 투여군의 발 부종율
(시험 결과 및 고찰)
시험 결과의 일례로서 피검 화합물(화합물 3-1, 화합물 3-6, 화합물 3-8, 화합물 3-10, 화합물 4-1, 화합물 4-10, 화합물 4-11, 화합물 9-1, 화합물 10-1, 화합물 10-2, 화합물 12-1, 화합물 12-2)의 21일째의 발 부종 억제율(%)을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66828628-PCT00082
표 3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화합물은 우수한 발 부종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 화합물은 우수한 항관절염 작용을 갖는다.
4. 맥락막 혈관신생 저해효과의 평가 시험
약물의 맥락막 혈관신생 저해효과를 평가하는 범용되는 방법의 하나로서 래트 맥락막 혈관신생 모델을 이용한 신생혈관 발현 시험이 Graefe's Arch. Cli. Exp. Ophthalmol., 235, 313-319(1997)에 보고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문헌에 기재한 방법에 준하여 본 발명 화합물의 신생혈관 발현 시험을 행하고, 기제 투여군(컨트롤군)의 신생혈관 발현율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 투여군의 혈관신생 발현율의 비율을 산출하여 그것을 지표로 본 발명 화합물의 맥락막 혈관신생 저해효과를 평가하였다.
(피검 화합물 용액의 조제)
피검 화합물에 1%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첨가하여 현탁하고, 6 ㎎/10 ㎖의 피검 화합물 현탁액을 조제하였다.
(레이저 유발 래트 맥락막 혈관신생 모델의 제작)
1) 래트(Brown Norway 수컷 래트, 8주령, 체중 200-250 g)에 5% 염산케타민 주사액과 2% 염산크실라진 주사액의 7:1 혼합액(1 ㎖/㎏)을 근육 내에 투여하여 전신 마취하였다.
2) 트로피카미드·염산페닐레프린 점안액(상품명: 미드린 P)을 점안하여 산동(散瞳)시킨 후, 크립톤 레이저광 응고 장치를 사용하여 래트의 부르흐막을 광 응고하였다.
또한, 레이저 조사는 안저 후국부의 굵은 망막 혈관을 피하고, 그 촛점을 망막 심층에 맞추어 1눈에 대해 8군데 산재형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그 광 응고의 조건은 스폿 사이즈 100 ㎛, 출력 100 mM, 응고 시간 0.1초로 하였다.
3) 광 응고 후, 안저 촬영을 행하여 광 응고(레이저 조사) 부위를 확인하였다.
(시험 방법 및 측정 방법)
1) 레이저 조사일(0일째)로부터 6일째까지 피검 화합물 현탁액(30 ㎎/㎏/1일)을 1일 1회 7일간 연일 경구 투여하였다.
2) 기제 투여군(컨트롤군)으로서 피검 화합물 현탁액 대신에 1%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사용하고, 다른 것은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컨트롤로 하였다.
(평가 방법)
1) 광 응고 7일째에 10% 플루오로세인 수용액 0.1 ㎖를 래트의 미정맥으로부터 주입하여 형광 안저 조영을 실시하였다.
2) 계속해서, 형광 안저 조영으로 형광의 누출이 확인된 스폿을 음성, 형광 누출이 확인된 스폿을 양성으로 하고, 약간의 형광 누출이 확인된 광 응고 부위는 그것이 2군데 존재했을 때에 양성으로 판단하였다.
3) 계산식 1에 따라 신생혈관 발현율을 산출하였다. 각 투여군의 신생혈관 발현율로부터 계산식 2에 따라 기제 투여군에 대한 피검 화합물 투여군의 신생혈관 발현율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계산식 1)
신생혈관 발현율(%)=(양성 광 응고 부위수/전 광 응고 부위수)×100
(계산식 2)
기제 투여군(컨트롤군)에 대한 피검 화합물 투여군의 신생혈관 발현율의 비율(% of control)= Ax/Ao×100
Ao: 기제 투여군(컨트롤군)의 신생혈관 발현율
Ax: 피검 화합물 투여군의 신생혈관 발현율
(시험 결과 및 고찰)
시험 결과의 일례로서 피검 화합물(화합물 1-6, 화합물 3-1, 화합물 3-8, 화합물 3-10, 화합물 4-1, 화합물 4-10, 화합물 4-11, 화합물 4-20, 화합물 9-1, 화합물 10-1, 화합물 10-2, 화합물 11-2, 화합물 12-1, 화합물 12-2, 화합물 12-5, 화합물 12-10, 화합물 17-5)의 기제 투여군(컨트롤군)에 대한 피검 화합물 투여군의 신생혈관 발현율의 비율(% of control)을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66828628-PCT00083
(또한, 수치는 3-4 개체, 6-8눈의 평균치)
표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화합물은 기제에 비하여 낮은 신생혈관 발현율을 나타내며, 맥락막 혈관신생 저해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고리형 화합물은 우수한 세포증식 억제작용, 종양증식 억제작용, 발 부종 억제작용 및/또는 맥락막 혈관신생 저해효과를 가지며, 혈관신생 및/또는 혈관투과성의 항진이 관여하는 질환, 예컨대, 암, 관절류머티즘, 가령성황반변성, 당뇨병망막증, 미숙아망막증, 망막정맥폐색증, 폴립형 맥락막혈관증, 당뇨병황반부종, 심상성건선, 죽상동맥경화 등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화학식 1
    Figure 112006066828628-PCT00084
    상기 식에서 고리 A는 벤젠 고리, 또는 시클로알칸 고리와 축합하고 있어도 좋은 방향족 복소 5원환 또는 방향족 복소 6원환을 나타내고;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 복소 고리, 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아미노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 아실기를 나타내며;
    R1과 R2는 함께 치환 또는 무치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고;
    R3 및 R4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 복소 고리, 히드로카르보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카르보닐기, 치환 또는 무치 환 아릴카르보닐기 또는 Z-R5를 나타내며;
    R3과 R4는 함께 치환 또는 무치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고;
    Z는 CO, CS, COB2O, CSB2O, CONB2R6, CSB2NR6, CONB2R6SO2, CSB2NR6SO2 또는 SO2를 나타내며;
    R5는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 복소 고리,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혹은 그 아미드, 히드로카르보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카르보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카르보닐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 복소 고리 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5와 R6은 함께 치환 또는 무치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으며;
    R6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기를 나타내고;
    X 및 Y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아미노기, 머캅토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알킬티오기, 치환 또는 무치환 아릴티오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에스테르 또는 그 아미 드, 시아노기 및 니트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나타내며;
    B1은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B2는 단일결합 또는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p는 0, 1 또는 2를 나타내고;
    q는 0 또는 1을 나타낸다.
  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화학식 1
    Figure 112006066828628-PCT00085
    상기 식에서 고리 A는 벤젠 고리, 티오펜 고리 또는 피리딘 고리를 나타내고;
    R1은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를 나타내며;
    R1이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아릴기, 히드록시아릴기 및 알콕시아릴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R1이 아릴기인 경우, 이 아릴기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할로 게노알콕시기, 히드로카르보닐옥시기, 알킬카르보닐옥시기, 아릴카르보닐옥시기, 알킬기, 할로게노알킬기 및 아릴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R2는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R2가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카르복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및 아릴옥시카르보닐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R3은 수소 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 또는 Z-R5를 나타내고;
    R3이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및 아릴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R3이 복소 고리인 경우, 이 복소 고리는 1 또는 복수의 시아노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고;
    R3과 R4는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으며;
    R3과 R4가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한 경우, 이 복소 고리는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알콕시알킬기, 아릴옥시알킬기, 아릴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카르복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 옥시카르보닐기, 히드로카르보닐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아미노카르보닐기,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및 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또한, 이 복소 고리는 고리 내에 카르보닐기를 가져도 좋으며;
    R4는 수소 원자, 알킬기, 아릴기, 히드로카르보닐기, 알킬카르보닐기 또는 아릴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4가 알킬카르보닐기인 경우, 이 알킬카르보닐기는 1 또는 복수의 알킬카르보닐옥시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으며;
    Z가 CO, CS, CO-B2-O, CS-B2-O, CO-B2-NR6, CS-B2-NR6, CO-B2-NR6SO2, CS-B2-NR6SO2 또는 SO2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원자,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 카르복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히드로카르보닐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복소 고리 카르보닐기, 아미노카르보닐기,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또는 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를 나타내며;
    R5가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알콕시기, 아릴옥시알콕시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 카르복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히드로카르보닐기, 알킬 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히드로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카르보닐아미노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및 시아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R5가 아릴기인 경우, 이 아릴기는 1 또는 복수의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으며;
    R5가 복소 고리인 경우, 이 복소 고리는 알킬기 및 아릴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R5가 알킬카르보닐기인 경우, 이 알킬카르보닐기는 카르복시기, 히드로카르보닐옥시기, 알킬카르보닐옥시기, 아릴카르보닐옥시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또는 아릴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R5와 R6은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고;
    R5와 R6이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 이 복소 고리는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알콕시알킬기, 아릴옥시알킬기, 카르복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카르보닐기, 히드로카르보닐기, 알킬카르보닐기 및 아릴카르보닐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또한, 이 복소 고리는 고리 내에 카르보닐기를 가져도 좋고;
    R6이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며;
    X 및 Y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및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기를 나타내고;
    B1은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B2는 단일결합 또는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는 0, 1 또는 2를 나타내며;
    q는 0 또는 1을 나타낸다.
  3.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에 있어서,
    고리 A가 벤젠 고리, 티오펜 고리 또는 피리딘 고리를 나타내고;
    R1이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를 나타내며;
    R1이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1 또는 복수의 알콕시아릴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고;
    R1이 아릴기인 경우, 이 아릴기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할로게노알콕시기, 알킬카르보닐옥시기, 알킬기 및 할로게노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R2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2가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카르복시기 및 알콕시카르보닐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R3이 수소 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 또는 Z-R5를 나타내고;
    R3이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히드록시기 및 알킬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R3이 복소 고리인 경우, 이 복소 고리는 1 또는 복수의 시아노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고;
    R3과 R4가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으며;
    R3과 R4가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한 경우, 이 복소 고리는 히드록시기,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알킬아미노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알킬카르보닐기 및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또한, 이 복소 고리는 고리 내에 카르보닐기를 가져도 좋으며;
    R4가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알킬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4가 알킬카르보닐기인 경우, 이 알킬카르보닐기는 1 또는 복수의 알킬카르 보닐옥시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으며;
    Z가 CO, CO-B2-O, CO-B2-NR6, CS-B2-NR6, CO-B2-NR6SO2 또는 SO2를 나타내고;
    R5가 수소 원자,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 알콕시카르보닐기, 알킬카르보닐기, 복소 고리 카르보닐기 또는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를 나타내며;
    R5가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알콕시기, 시클로알킬기, 복소 고리, 카르복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티오기 및 시아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R5가 아릴기인 경우, 이 아릴기는 1 또는 복수의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으며;
    R5가 복소 고리인 경우, 이 복소 고리는 1 또는 복수의 알킬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고;
    R5가 알킬카르보닐기인 경우, 이 알킬카르보닐기는 카르복시기, 알킬카르보닐옥시기 및 알킬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R5와 R6이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고;
    R5와 R6이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 이 복소 고리는 히드록시기,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알킬카르보닐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또한, 이 복소 고리는 고리 내에 카르보닐기를 가져도 좋고;
    R6이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며;
    X 및 Y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B1이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B2가 단일결합 또는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가 0 또는 1을 나타내며;
    q가 0을 나타내는 것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화학식 1에 있어서,
    고리 A가 벤젠 고리, 티오펜 고리 또는 피리딘 고리를 나타내고;
    R1이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를 나타내며;
    R1이 아릴기인 경우, 이 아릴기는 할로겐 원자, 할로게노알콕시기, 알킬기 및 할로게노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R2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R3이 수소 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 또는 Z-R5를 나타내고;
    R3이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1 또는 복수의 알킬아미노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으며;
    R3이 복소 고리인 경우, 이 복소 고리는 1 또는 복수의 시아노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고;
    R3과 R4가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으며;
    R3과 R4가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한 경우, 이 복소 고리는 알킬기 및 알킬카르보닐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R4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며;
    Z가 CO, CO-B2-O, CO-B2-NR6, CO-B2-NR6SO2 또는 SO2를 나타내고;
    R5가 수소 원자, 알킬기, 아릴기, 알킬카르보닐기 또는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를 나타내며;
    R5가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복소 고리, 알킬아미노기 및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 도 좋고;
    R5가 아릴기인 경우, 이 아릴기는 1 또는 복수의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으며;
    R5가 알킬카르보닐기인 경우, 이 알킬카르보닐기는 1 또는 복수의 카르복시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고;
    R5와 R6이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으며;
    R5와 R6이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 이 복소 고리는 1 또는 복수의 히드록시알킬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고;
    R6이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며;
    X 및 Y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B1이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B2가 단일결합 또는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가 0을 나타내며;
    q가 0을 나타내는 것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에 있어서, 고리 A가 피리딘 고리 또는 티오펜 고리를 나타내는 것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6. 제5항에 있어서, 화학식 1에 있어서, 고리 A가 피리딘 고리를 나타내는 것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에 있어서, 하기 부분 구조 C와 하기 부분 구조 D가 고리 A 상의 인접한 탄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것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Figure 112006066828628-PCT00086
    Figure 112006066828628-PCT00087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화학식 1에 있어서, 부분 구조 C와 부분 구조 D가 고리 A 상의 인접한 탄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고, 또한, 이들의 탄소 원자의 위치가 고리 A 상의 헤테로 원자에 대하여 α위치 및 β위치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에 있어서,
    R3이 Z-R5를 나타내고;
    Z가 CO, CO-B2-O, CO-B2-NR6, CO-B2-NR6SO2를 나타내며;
    R5가 수소 원자, 알킬기, 아릴기, 알킬카르보닐기 또는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5가 알킬기인 경우, 이 알킬기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복소 고리, 알킬아미노기 및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으며;
    R5가 아릴기인 경우, 이 아릴기는 1 또는 복수의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고;
    R5가 알킬카르보닐기인 경우, 이 알킬카르보닐기는 1 또는 복수의 카르복시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으며;
    R5와 R6이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고;
    R5와 R6이 함께 복소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 이 복소 고리는 1 또는 복수의 히드록시알킬기를 치환기로서 가져도 좋으며;
    R6이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B2가 단일결합 또는 알킬렌기를 나타내는 것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10. ·N-(3,5-디메틸페닐)-2-[2-(4-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시클로프로필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모르폴리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피페리딘-1-일)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4-아세틸피페라진-1-일)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인단-5-일)-2-(2-모르폴리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4-아세틸피페라진-1-일)피리딘-4-일메틸티오]-N-(인단-5-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n-펜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 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인단-5-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tert-부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1H-인다졸-6-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N-ter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5-시아노티아졸-2-일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인단-5-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tert-부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1H-인다졸-6-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인단-5-일)-2-(2-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이소퀴놀린-3-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벤자미드
    ·2-(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벤자미드
    ·3-(2-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티오펜-2-카르복사미드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 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프로피오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이소부티릴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피발로일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N-아세틸-N-메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1H-인다졸-6-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피 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벤자미드
    ·2-(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tert-부틸페닐)벤자미드
    ·3-(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티오펜-2-카르복사미드
    ·3-(2-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클로로페닐)티오펜-2-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N’-n-프로필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N’-tert-부틸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N’-4-클로로페닐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포르밀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페닐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N’-메틸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N’-메틸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 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클로로페닐)-2-[2-(N’-메틸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N’-메틸우레이도)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세톡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클로로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메틸페닐)피리딘-3- 카르복사미드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이소퀴놀린-3-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클로로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인단-5-일)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이소프로필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3-히드록시카르보닐프로피오닐옥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메탄술포닐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 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이소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모르폴리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모르폴리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3-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클로로페닐)-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 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히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클로로페닐)-2-[2-(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히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2-히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 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이소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이소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3-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2-모르폴리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 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및
    ·2-(2-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3-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3-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5-디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5-디메틸페닐)-2-(2-모르폴리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디메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3-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3-메틸페닐)-2-[2-(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
    ·2-[2-(피페라진-1-일)아세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카르복사미드
    ·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2-(N-(2-히드록시에틸)-N-메틸아미노)아세 틸아미노피리딘-4-일메틸티오]피리딘-3-카르복사미드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혈관신생 및/또는 혈관투과성의 항진이 관여하는 질환의 치료제.
  13. 제12항에 있어서, 혈관신생 및/또는 혈관투과성의 항진이 관여하는 질환이 암, 관절류머티즘, 가령성황반변성, 당뇨병망막증, 미숙아망막증, 망막정맥폐색증, 폴립형 맥락막혈관증, 당뇨병황반부종, 심상성건선 또는 죽상동맥경화인 치료제.
KR1020067019034A 2004-02-17 2005-02-17 치환 또는 무치환 아미노기를 도입한 4-피리딜알킬티오기를갖는 신규 고리형 화합물 KR101179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39862 2004-02-17
JP2004039862 2004-02-17
JP2004294347 2004-09-06
JPJP-P-2004-00294347 2004-09-06
PCT/JP2005/002971 WO2005085201A1 (ja) 2004-02-17 2005-02-17 置換又は無置換アミノ基を導入した4-ピリジルアルキルチオ基を有する新規環式化合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818A true KR20060135818A (ko) 2006-12-29
KR101179840B1 KR101179840B1 (ko) 2012-09-04

Family

ID=34921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034A KR101179840B1 (ko) 2004-02-17 2005-02-17 치환 또는 무치환 아미노기를 도입한 4-피리딜알킬티오기를갖는 신규 고리형 화합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544703B2 (ko)
EP (1) EP1717229B1 (ko)
KR (1) KR101179840B1 (ko)
AT (1) ATE512950T1 (ko)
AU (1) AU2005219689B2 (ko)
BR (1) BRPI0507757A (ko)
CA (1) CA2555712C (ko)
DK (1) DK1717229T3 (ko)
NZ (1) NZ548949A (ko)
PL (1) PL1717229T3 (ko)
PT (1) PT1717229E (ko)
WO (1) WO20050852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9832A (ko) * 2015-03-17 2017-11-27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펩티드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KR102146521B1 (ko) 2020-01-06 2020-08-20 (주)포스젯한도 아연도금설비의 용융아연 도금욕조용 메탈베어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22583B (zh) * 2003-03-07 2014-01-11 參天製藥股份有限公司 具有以4-吡啶烷硫基為取代基之新穎化合物
US7906511B2 (en) 2005-03-31 2011-03-15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Cyclic compound having pyrimidinylalkylthio group
CN103224493A (zh) 2007-01-29 2013-07-31 参天制药株式会社 具有血管新生抑制活性的新型噁二唑衍生物及噻二唑衍生物
CA2767992C (en) 2009-07-17 2017-03-21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2 - [[[2 -[(hydroxyacetyl) amino]- 4 -pyridinyl] methyl] thio]- n -[4 - (trifluoromethoxy) phenyl]- 3 -pyridinecarboxamide benzenesulfonate, crystal of same, crystal polymorph thereof, and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EP3047850A4 (en) * 2013-09-20 2017-05-10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Polyethylene glycol-containing composition
EP3272362B1 (en) * 2015-03-18 2023-12-13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Sustained-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WO2016178900A1 (en) * 2015-05-01 2016-11-10 Odin Biotech Ocular implant for delivery of pyridinecarboxamide derivative
AR105955A1 (es) * 2015-09-08 2017-11-29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Método para producir una piridinacarboxamida
PL237497B1 (pl) * 2018-09-17 2021-04-19 Univ Medyczny Im Piastow Slaskich We Wroclawiu Hydrazyd kwasu N’-[(antracen-9-ylo)metyleno]-2-[4,6-dimetylo- 2-sulfanylopirydyn-3-ylo-karboksamido]octowego, sposób jego otrzymywania i zastosowani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9173A (ja) 1988-11-10 1990-05-17 Ishihara Sangyo Kaisha Ltd トリアゾール系化合物、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有害生物防除剤
DE3929673A1 (de) 1989-09-07 1991-03-14 Bayer Ag Substituierte carbamoyltriazole
JP2501051B2 (ja) 1991-09-30 1996-05-29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搬送用ベルトの製造方法
BR9707495A (pt) 1996-02-13 1999-07-27 Zeneca Ltd Derivado de quinazolina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o mesmo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processo para a produç o de um efeito antiangiogênico e/ou de redução de permeabilidade vascular em um animal de sangue quente
CO4950519A1 (es) 1997-02-13 2000-09-01 Novartis Ag Ftalazinas, preparaciones farmaceuticas que las comprenden y proceso para su preparacion
CA2289102A1 (en) 1997-05-07 1998-11-12 Sugen, Inc. 2-indolinon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protein kinase activity
US6329372B1 (en) * 1998-01-27 2001-12-11 Celltech Therapeutics Limited Phenylalanine derivatives
UA71587C2 (uk) 1998-11-10 2004-12-15 Шерінг Акцієнгезелльшафт Аміди антранілової кислоти та їхнє застосування як лікарських засобів
HN2000000051A (es) * 1999-05-19 2001-02-02 Pfizer Prod Inc Derivados heterociclicos utiles como agentes anticancerosos
GB0001930D0 (en) 2000-01-27 2000-03-22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US6995162B2 (en) 2001-01-12 2006-02-07 Amgen Inc. Substituted alkylamine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EA200400648A1 (ru) 2001-11-08 2005-04-28 Элан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Инк. N, n'-замещен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1,3-диамино-2-гидроксипропана
US20050113450A1 (en) 2002-08-23 2005-05-26 Atli Thorarensen Antibacterial agents
US20040110802A1 (en) 2002-08-23 2004-06-10 Atli Thorarensen Antibacterial benzoic acid derivatives
TWI422583B (zh) * 2003-03-07 2014-01-11 參天製藥股份有限公司 具有以4-吡啶烷硫基為取代基之新穎化合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9832A (ko) * 2015-03-17 2017-11-27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펩티드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KR102146521B1 (ko) 2020-01-06 2020-08-20 (주)포스젯한도 아연도금설비의 용융아연 도금욕조용 메탈베어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17229B1 (en) 2011-06-15
AU2005219689B2 (en) 2011-06-09
WO2005085201A1 (ja) 2005-09-15
CA2555712A1 (en) 2005-09-15
AU2005219689A1 (en) 2005-09-15
EP1717229A4 (en) 2009-07-15
EP1717229A1 (en) 2006-11-02
BRPI0507757A (pt) 2007-07-10
PT1717229E (pt) 2011-09-12
PL1717229T3 (pl) 2011-11-30
ATE512950T1 (de) 2011-07-15
US7544703B2 (en) 2009-06-09
KR101179840B1 (ko) 2012-09-04
NZ548949A (en) 2009-09-25
DK1717229T3 (da) 2011-09-19
CA2555712C (en) 2013-04-23
US20070149574A1 (en)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840B1 (ko) 치환 또는 무치환 아미노기를 도입한 4-피리딜알킬티오기를갖는 신규 고리형 화합물
KR101426966B1 (ko)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결합 활성을 갖는 신규 1,2,3,4-테트라히드로퀴녹살린 유도체
US20020128483A1 (en) Sulfonamide-containing indole compounds
CZ298209B6 (cs) Deriváty kyseliny anthranilové jako modulátory resistence vuci mnoha lékum, zpusob jejich prípravy a pouzití
JP2002507606A (ja) チオ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およびα4インテグリンの阻害剤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FR2767826A1 (fr) Derives d'amines cycliqu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 procedes pour les preparer, et leur utilisation en tant que principe pharmaceutique agissant contre les maladies respiratoires
JPH06504782A (ja) ベンズアミド
US6727239B1 (en) Derivatives of 2-aminopyridines, their use as medicamen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KR20090086069A (ko) 치환 페닐칼코게노 저급 알킬기와 에스테르 구조를 도입한 페닐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신규 1,2-디히드로퀴놀린 유도체
KR20080046230A (ko)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결합 활성을 갖는 신규1,2-디히드로퀴놀린 유도체
JP4626353B2 (ja) 置換又は無置換アミノ基を導入した4−ピリジルアルキルチオ基を有する新規環式化合物
EP2733144B1 (en) Novel compound having parp inhibitory activity
ES2368153T3 (es) Nuevo compuesto cíclico que presenta un grupo 4-piridilalquiltio que presenta amino (no) sustituido introducido en el mismo.
JP2006089485A (ja) ジヒドロオロテートデヒドロゲナーゼ阻害活性を有する新規複素環アミド誘導体
KR20040101563A (ko) 5-ht-2c 수용체 길항제로 유용한 인돌린 유도체를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JP2009235057A (ja) 血管新生阻害活性を有する新規インドール誘導体
JP2003231633A (ja) 医薬組成物
US20080021064A1 (en) Novel cyclic compound having quinolylalkylthio group
WO2006106914A1 (ja) ピリミジニルアルキルチオ基を有する新規環式化合物
KR20000022045A (ko) 5-ht-2c 수용체 길항제로 유용한 인돌린 유도체
US6465471B1 (en) Cinnamic acid derivatives
MXPA06009290A (en) Novel cyclic compound having 4-pyridylalkylthio group having (un)substituted amino introduced therein
CA2290475A1 (en) Indoline derivatives as 5ht2c receptor antagonists
JP2002506879A (ja) 細胞接着性を調節する作用を有するケイ皮酸誘導体
JP2006306861A (ja) ピリミジニルアルキルチオ基を有する新規環式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