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009A -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이것을 적용하는 내시경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이것을 적용하는 내시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009A
KR20060135009A KR1020067020282A KR20067020282A KR20060135009A KR 20060135009 A KR20060135009 A KR 20060135009A KR 1020067020282 A KR1020067020282 A KR 1020067020282A KR 20067020282 A KR20067020282 A KR 20067020282A KR 20060135009 A KR20060135009 A KR 20060135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endoscope
tip
shape detecting
endoscope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4155B1 (ko
Inventor
히로시 니와
후미유끼 오노다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2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9Flexible endoscopes with bending or curvature detection of the insertion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6Devices, other than using radiation, for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 determining position of probes within or on the body of the patient
    • A61B5/065Determining position of the probe employing exclusively positioning means located on or in the probe, e.g. using position sensors arranged on the prob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ctum, e.g. proctoscopes, sigmoidoscopes, colonoscopes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3)의 삽입부(11)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데 앞서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내시경의 삽입을 보조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1)이며,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형상의 프로브와, 이 프로브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선단부 선도자를 구비하고, 선단부 선도자는 박막형의 수지 부재(31)에 의해 형성되어 유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것에 의해 내시경 삽입부의 체강 내로의 삽입 관통에 앞서 삽입하는 프로브의 삽입성의 향상을 실현하고, 내시경의 체강 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양호한 조작성을 얻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삽입 보조용 프로브, 프로브 본체, 내시경, 모니터, 삽입부, 수지 부재

Description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이것을 적용하는 내시경 장치 {PROBE FOR ASSISTING INSERTION OF ENDOSCOPE AND ENDOSCOPE DEVICE USING THE PROBE}
본 발명은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이것을 적용하는 내시경 장치, 상세하게는 내시경의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데 앞서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내시경의 삽입을 보조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이것을 적용하는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가늘고 긴 삽입부를 굴곡한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체표면을 절개하지 않고 체강 내 심부의 장기 등을 관찰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내시경 삽입부의 처치구 채널 내에 삽입 관통한 처치구를 이용하여 각종 치료나 처치 등을 실현한 의료용 내시경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내시경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항문측으로부터 굴곡한 체강 내로 내시경 삽입부를 삽입 관통시켜 하부 소화관 내의 관찰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내시경 삽입부의 선단부가 체강 내에 있어서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 등 체강 내에 있는 내시경 삽입부의 삽입 상태에 대한 정보를 그 사용자는 검사 중에 알 수 없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내시경 삽입부를 체강 내로 원활하게 삽입하기 위해서는 고도로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예를 들어 체강 내에 삽입한 내시경 삽입부나 프로브의 형상을 검출해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 시스템이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에 대한 다양한 제안이, 종래부터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 등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특허 문헌 1에 의해 개시되어 있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는, 내시경의 삽입부에 자계 발생용 또는 자계 검출용 복수의 코일 장치와, 이 코일 장치에 접속되는 신호선을 구비하고, 외부에 설치한 검출 장치에 의해 삽입부의 코일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신호선을 거쳐서 수신함으로써, 검출 장치의 화면 상에 삽입시에 있어서의 삽입부의 형상을 표시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의해 개시되어 있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는, 내시경에 설치되어 있는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에, 예를 들어 자계 검출 소자를 배치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삽입 관통 배치하고, 이 상태의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검출 장치의 화면 상에 삽입시에 있어서의 삽입부의 형상을 표시시키도록 한 것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2-345727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2003-47586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 등에 의해 개시되어 있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는, 검출 장치의 화면상의 표시에 의해 삽입시에 있어서의 삽입부의 형상이나 그 선단부까지의 위치 등의 정보를 얻을 수는 있지만, 삽입된 상태의 내시경 삽입부보다도 더 앞의 체강 내의 굴곡 상태 등의 정보를 검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고려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내시경의 삽입부의 체강 내로의 삽입 관통에 앞서 삽입하는 프로브의 삽입성의 향상을 실현하고, 내시경의 체강 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양호한 조작성을 실현할 수 있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이것을 적용하는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는, 내시경의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데 앞서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내시경의 삽입을 보조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이며,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형상의 프로브와, 이 프로브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선단부 선도자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 선도자는 박막형의 수지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유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의 삽입부의 체강 내로의 삽입 관통에 앞서 삽입하는 프로브의 삽입성의 향상을 실현하고, 내시경의 체강 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양호한 조작성을 실현할 수 있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이것을 적용하는 내시경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적용하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내부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수지 부재(벌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이며 상기 수지 부재(벌룬)가 수축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가 장관 내에 삽입된 상태이며, 수지 부재(벌룬)가 팽창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도4의 V-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6은 도2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체강 내에 삽입할 때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은 도6에 도시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삽입 형상의 표시 태양이며,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은 도2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체강 내에 삽입할 때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9는 도8에 도시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삽입 형상의 표시 태양이며,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0은 도2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체강 내에 삽입할 때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은 도10에 도시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삽입 형상의 표시 태양이며,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2는 도2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체강 내에 삽입할 때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3은 도12에 도시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삽입 형상의 표시 태양이며,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4는 도2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체강 내에 삽입할 때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5는 도14에 도시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삽입 형상의 표시 태양이며,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6은 도2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체강 내에 삽입할 때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 및 내시 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7은 도16에 도시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삽입 형상의 표시 태양이며,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8은 도2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체강 내에 삽입할 때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9는 도18에 도시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삽입 형상의 표시 태양이며,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0은 도2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체강 내에 삽입할 때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1은 도20에 도시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삽입 형상의 표시 태양이며,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고,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를 적용하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의 내시경 삽입부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4는 도23에 도시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삽입 형상의 표시 태양이며,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6은 도25에 도시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삽입 형상의 표시 태양이며,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8은 도27에 도시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삽입 형상의 표시 태양이며,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0은 도29에 도시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삽입 형 상의 표시 태양이며,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2는 도31에 도시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삽입 형상의 표시 태양이며,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4는 도33에 도시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삽입 형상의 표시 태양이며,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6은 도35에 도시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삽입 형상의 표시 태양이며,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8은 도37에 도시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삽입 형상의 표시 태양이며,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40은 도39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장관 내부에 삽입하였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고, 주로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와 기단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4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와, 이 선단부에 장착하는 커버 부재를 각각 별도로 도시하는 분해 구성도이다.
도43은 도42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커버 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4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45는 도44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더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46은 도44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장관 내부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7은 도46의 47-47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4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4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일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5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와, 이 선단부에 장착하는 커버 부재를 각각 별도로 도시하는 분해 구성도이다.
도51은 도50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커버 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52는 도51의 상태에 있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내부에 있어서 흐르는 유체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5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일부를 도시하고,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통상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54는 도53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굴곡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55는 도53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신장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5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에 있어서의 금속선을 인발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57은 도56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에 있어서의 금속선을 선단부까지 삽입 관통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58은 도57의 58-58선을 따라 절단한 절단면을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59는 도56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에 있어서의 금속선 삽입 개구부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60은 도56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가 체강 내의 굴곡부를 삽입 관통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1은 도56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가 체강 내의 굴곡부 이외의 부위를 삽입 관통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의 내부 구성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6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의 내부 구성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 하는 단면도이다.
도6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65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6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예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67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형 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68은 도67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구형 부재가 설치되어 고정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69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형 부재와 프로브 본체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70은 도69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구형 부재를 설치하여 고정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71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구형 부재를 설치하여 고정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72는 도71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형 부재와 프로브 본체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73은 도64(제10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를 내시경의 겸자 채널에 삽입 관통시켜 사용하는 경우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4는 도64(제10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를 내시경 삽입부의 외부에 있어서 유지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5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76은 도76은 도75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선단부 선도자와 이 선단부 선도자의 설치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77은 도75의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에 적용되는 선단부 선도자의 일 형태와 이 선단부 선도자의 설치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78은 도75의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에 적용되는 선단부 선도자의 다른 일 형태와 이 선단부 선도자의 설치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79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80은 도79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선단부 선도자의 표면에 형성되는 딤플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79의 80-80선을 따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81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82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를 적용하는 내시경 장치(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3은 도82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의 내부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1A, 1B, 1C, 1D, 1E, 1F, 1G, 1H, 1J, 1K, 1L, 1M, 1N, 1P, 1Q, 1R, 1S, 1V, 1W, 1X :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
1Pa, 1Qa, 1Ra, 1x : 프로브 본체
2 :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
3 : 내시경
4 : 비디오 프로세서
5, 8 : 모니터
6 : 삽입 형상 검출용 베드
7 : 삽입 형상 검출 장치
7a : 펌프
7Xa : 송수 펌프
7b : 튜브
8a : 표시 화면
9 : 센스 코일
9a : 케이블
11, 11A, 11B, 11C : 삽입부
11Ba : 겸자 채널
11a : 삽입부 만곡부
11b : 삽입부 가요관부
12 : 조작부
13 : 유니버설 코드
14 : 처치구 삽입구
15 :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20 : 외장 시스
21A 내지 21L : 소스 코일
22, 22X : 커넥터부
22Xa : 송수 튜브 접속부
23 : 코어선
23X : 유체 관로
26 : 신호선
27S : 선단구
27Sa, 28c : 나사부
28, 28T, 28U : 선단부 선도자
28a : 가이드 와이어
28Ua : 탄성 부재
28b, 28Ub : 선도자 베이스
31 : 벌룬
31A, 31B, 35a : 친수 윤활 코팅 처리
31C, 31D, 31E, 31F, 31G : 커버 부재
31Da : 관통 구멍
31Eb : 개구부
31Fa : 미소 구멍
31Fb : 유체
31Ga : 주름형부
32 : 금속선
33 : 멀티 루멘 튜브
34 : 코어선
34A : 외장 시스
35, 35A, 35B, 35C, 35D, 35F, 36 : 구형 부재
35Ba, 35Ca : 탄성 부재
35Bb, 35Cb, 35Fb : 관통 구멍
35Bc, 35Cc : 끼워 맞춤 구멍
35Da, 35Ea : 딤플
35E : 반구 부재
35Fa : 유체 관로
36A, 36B : 반구형 부재
37 : 빠짐 방지 부재
38A, 38C : 선단부 칩
38Ca : 실 형상 부재
39 : 프로브 유지 부재
39a : 유지부
39b : 아암부
45 : 선단부 위치 검출부
50 : 장관
50a : 장벽
51 : 항문
52 : 직장
53 : S형 결장
54 : 하행 결장
55 : 비만곡
56 : 횡행 결장
57 : 간만곡
58 : 상행 결장
59 : 맹장
이하,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적용하는 내시경 장치(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의 내부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를 적용하는 내시경 장치로서,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인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적용하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의 상세를 설명하기 전에, 본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를 적용하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1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하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2)은,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로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2)은, 피검자의 체강 내부 등에 예를 들어 항문으로부터 삽입되어 관찰 부위를 관찰하는 내시경(3)과, 이 내시경(3)에서 촬상하여 얻어진 촬상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비디오 프로세서(4)와, 이 비디오 프로세서(4)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내시경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모니터(5)와, 상기 피검자가 누워서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로부터의 자계를 검지하는 삽입 형상 검출용 베드(6)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 형상 검출용 베드(6)에서 검지한 자계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상기 내시경(3)의 체강 내에서의 삽입 형상을 영상화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와, 이 삽입 형상 검출 장치(7)로부터 출력된 삽입부 형상을 표시하는 모니터(8)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시경(3)은, 선단부측에 위치하여 작은 곡률 반경으로 만곡되는 삽입부 만곡부(11a) 및 이 삽입부 만곡부(11a)보다도 기단부측에 위치하여 비교적 큰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는 삽입부 가요관부(11b)로 이루어져 체강 내에 삽입되는 가늘고 긴 형상의 삽입부(11)와, 이 삽입부(11)의 기단부측에 연결 설치하는 파지부를 겸하는 조작부(12)와, 이 조작부(12)의 측부로부터 연장하여 비디오 프로세서(4) 등의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유니버설 코드(13)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는, 내시경(3)의 조작부(12)에 설치되는 처치구 삽입구(14)로부터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15) 내에 삽입 배치된다. 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에는, 예를 들어 자계를 발생하는 자계 발생용 형상 검출용 소자 인 소스 코일(21)이 복수개 배치되어 있다(상세는 도2 참조). 그리고, 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는, 기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부(22)를 거쳐서 상기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에 접속된다.
한편, 상기 삽입 형상 검출용 베드(6)에는, 상기 소스 코일(21)에서 발생한 자계를 검출하기 위한 자계 검출 소자로서의 센스 코일(9)이 복수개 배치되어 있다. 이 삽입 형상 검출용 베드(6)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장치(7)는 케이블(9a)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센스 코일(9)의 검지 신호는 케이블(9a)을 거쳐서 삽입 형상 검출 장치(7)로 전송된다.
상기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에는, 상기 소스 코일(21)을 구동하는 소스 코일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나, 상기 센스 코일(9)로부터 전송된 신호로부터 상기 소스 코일(21)의 3차원 위치 좌표를 해석하는 소스 코일 위치 해석부(도시하지 않음), 소스 코일(21)의 3차원 위치 좌표 정보로부터 삽입부(11)의 3차원 형상을 산출하여 모니터 표시용 2차원 좌표로 변환하여 영상화하는 삽입 형상 화상 생성부(도시하지 않음)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에는, 커넥터부(22)를 거쳐서 접속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내부에 유체의 송기 또는 송수를 행하는 유체 공급 장치인 펌프 및 그 구동 제어 회로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에 자계 발생용 형상 검출용 소자[소스 코일(21)]를 복수개 배치하고, 삽입 형상 검출용 베드(6)에 자계 검출 소자[센스 코일(9)]를 복수개 배치하도록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 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에 자계 검출용 형상 검출용 소자(센스 코일)를 복수개 배치하고, 삽입 형상 검출용 베드(6)에 자계 발생 소자(소스 코일)를 복수개 배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다음에,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내부 구성의 개략을 도2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1에 도시하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는, 외장 부분을 구성하는 외장 시스(20)와, 중공부를 갖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12개)의 소스 코일(21A, 21B, 21C, 21D, …, 21L)(이하, 21A 내지 21L이라 약칭함)과, 이들 소스 코일(21A 내지 21L)이 접착 고정되는 가늘고 긴 형상의 코어선(23)과, 각각의 소스 코일(21A 내지 21L)에 대해 직렬로 배치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측 시스(24)와, 상기 소스 코일(21A 내지 21L)의 각각과 이것에 인접하는 내측 시스(24)를 덮어 양자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고정 부재인 열수축 튜브(40)와, 기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보하는 커넥터부(22)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에 있어서의 선단부측의 소스 코일(21A)을 제1 소스 코일(21A)로 하고, 이하 차례로 제2 소스 코일(21B), 제3 소스 코일(21C), 제4 소스 코일(21D), …, 제12 소스 코일(21L)로 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소스 코일(21A 내지 21L) 및 상기 내측 시스(24)는, 도2에 도시하는 바 와 같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선단부측으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해 제1 소스 코일(21A), 내측 시스(24), 제2 소스 코일(21B), 내측 시스(24), 제3 소스 코일(21B), …의 순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소스 코일(21A 내지 21L)의 일단부에는, 상기 삽입 형상 검출 장치(7)(도1 참조)의 소스 코일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26)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코어선(23)에 고정되는 각 소스 코일(21A 내지 21L) 중 제1 내지 제3 소스 코일(21A 내지 21C)은 상기 삽입부 만곡부(11a)(도1 참조)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내지 제3 소스 코일(21A 내지 21C)은 상기 삽입부 만곡부(11a)의 형상 데이터를 얻는 만곡부 형상 검출용 소자군이다.
또한, 그 외의 제4 내지 제12 소스 코일(21D 내지 21L)은 상기 삽입부 가요관부(11b)(도1 참조)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4 내지 제12 소스 코일(21D 내지 21L)은 상기 삽입부 가요관부(11b)의 형상 데이터를 얻는 가요관부 형상 검출용 소자군이다.
각 소스 코일(21A 내지 21L)에 접속되는 각 신호선(26)은, 각각의 소스 코일(21A 내지 21L)의 기단부측에 배치되는 내측 시스(24)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여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기단부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즉, 최선단부측의 제1 소스 코일(21A)로부터 연장되는 신호선(26)은, 인접하는 다음의 제2 소스(21B)로부터 최종단부의 소스 코일(21L)까지의 모든 소스 코일의 측주위면을 따라 외장 시스(20) 내를 삽입 관통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기단부측의 커넥터부(22)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 의 기단부측에 위치하는 내측 시스(24)일수록 수많은 신호선(26)이 삽입 관통되어 있게 된다.
상기 각 내측 시스(24)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는 신호선(26)은 코어선(23)을 따라 소정의 이완을 갖고 권취되어 있다. 이것은,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가 만곡되었을 때에, 상기 신호선(26)에 장력이 가해진 상태가 되어 단선 등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에 있어서의 상기 외장 시스(20)의 최선단부에는 선단부측이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된 선단구(27)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선단부 근방에는, 또한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연성을 갖고 신축 가능한 박막형의 수지 부재이며 선단부 선도자인 벌룬(31)이 장착되어 있다. 이 수지 부재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라텍스, 폴리에틸렌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3 및 도4는 도2에 도시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수지 부재[벌룬(31)]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중, 도3은 상기 수지 부재[벌룬(31)]이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4 및 도5는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가 장관 내에 삽입되고, 수지 부재[벌룬(31)]이 팽창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5는 도4의 V-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3 내지 도5의 각 도면에 있어서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내부 구성 부재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3 및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선단부 근방의 소정의 부위이며, 상기 벌룬(31)에 의해 덮어지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1a)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외장 시스(20)의 내벽면과, 상기 각 소스 코일(21)이나 상기 각 내측 시스(24)의 각각의 외주면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1b)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의 커넥터부(22)까지 연속적으로 삽입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삽입 형상 검출 장치(7)(도1)의 유체 공급 장치인 펌프(7a)(도1에서는 도시하지 않는다. 도3 참조)가 구동 제어됨으로써, 상기 펌프(7a)의 측으로부터 커넥터부(22)를 거쳐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내부를 향해 유체가 송기 또는 송수되면, 이 유체는 간극(1b)을 통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선단부에 도달하고, 최종적으로 복수개의 관통 구멍(1a)으로부터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체가 벌룬(31)을 팽창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벌룬(31)은, 도3에 도시하는 수축된 상태로부터 도4 및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략 구체 형상으로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의 펌프(7a)를 구동 제어하여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내부의 유체를 상기 펌프(7a)의 측으로 흡인한다. 이것에 의해, 벌룬(31)은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축된 상태로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로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이용할 때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6 내지 도13은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구비한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체강 내에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를 삽입할 때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6, 도8, 도10, 도12는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7, 도9, 도11, 도13은 상기 도6, 도8, 도10, 도12에 도시하는 각 상태에 있어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삽입 형상을 표시하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내시경(3)의 조작부(12)에 설치되는 처치구 삽입구(14)로부터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15)의 내부에, 선단부에 벌룬(31)을 장착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삽입 배치한다. 이때 벌룬(31)은 수축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선단부가 삽입부(11)의 최선단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상태로 배치한다. 이 내시경(3)의 삽입부(11)를 피검자의 체강 내에 삽입한다.
즉, 우선 내시경(3)의 삽입부(11)를, 예를 들어 피검자의 항문(51)(도6 참조)으로부터 직장(52)으로 삽입한다. 삽입부(11)가 피검자의 체강 내에 약간 삽입된 시점에서 내시경(3)의 삽입부(11)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고, 그 상태에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선단부 부위를 삽입부(11)의 최선단부로부터 전방에 소정량, 즉 벌룬(31)이 장착되어 있는 부위가 노출하는 상태로 되기까지 돌출시킨다.
그리고, 벌룬(31)을 팽창시킨다. 그로 인해, 여기서 삽입 형상 검출 장치(7)(도1 참조)의 펌프(7a)(도3 참조)의 구동 제어를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펌프(7a)의 측으로부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내부를 향해 유체가 송기 또는 송수된다. 그러면, 상기 유체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내부의 간극(1b)을 통해 상기 프로브(1)의 선단부에 도달하여 최종적으로 복수개의 관통 구멍(1a)으로부터 외부, 즉 벌룬(31)의 내부에 토출한다. 그리고, 벌룬(31)이 소정의 크기가 된 시점에서 펌프(7a)(도3 참조)의 구동 제어를 정지한다. 이때의 벌룬(31)의 크기로서는, 예를 들어 도4 및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31)의 직경이 장관(50)의 내측의 장벽(50a)의 최소 직경보다도 작아지는 정도의 크기로 한다.
이러한 같이 하여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벌룬(31)은 팽창한 상태가 된다(도4 및 도5의 상태). 또한, 이 상태에서는 벌룬(31)에 충전된 유체는 역류하지 않도록 펌프(7a)의 측으로부터 소정의 부압이 가해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벌룬(31)의 대략 구체 형상은 유지된다.
이어서, 이 팽창한 벌룬(31)이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만을, 시술자는 조작부(12)의 처치구 삽입구(14)측으로부터 압입하도록 하여 삽입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프로브(1)는 직장(52)의 내부로부터 진행한다. 이때, 상기 벌룬(31)은 진행하면서 직장(52)의 장관(50)의 장벽(50a)의 요철에 접촉하는 일이 있다. 그러나, 벌룬(31)은 장벽(50a)의 요철에 대해 충분히 큰 사이즈의 대략 구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벌룬(31)은 장벽(50a)의 요철에 인입되지 않고, 그것들의 볼록부의 정점을 미끄러지도록 하여 장벽(50a)을 따라 원활하게 삽입되게 된다.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가 직장(52)의 내부에 있어서 어느 정도 삽입된 부 분에서, 삽입부(11)를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따라 삽입 진행시킨다. 즉, 이 경우에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가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삽입부(11)만을 삽입한다. 그리고, 삽입부(11)의 선단부가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벌룬(31)의 삽입되어 있는 부위 근방까지 진행하면, 그 위치에서 다시 삽입부(11)를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어서, 삽입부(11)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만을 진행시킨다.
다음에,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벌룬(31)이 직장(52)을 통과하면, 계속해서 굴곡한 S형 결장(53)에 도달한다. 그러면, 벌룬(31)의 선단부는, 우선 S형 결장(53)의 굴곡 부분에 접촉하지만, 상기 벌룬(31)은 대략 구체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S형 결장(53)의 굴곡 형상에 따라서 장벽(50a)을 따라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벌룬(31)은 S형 결장(53)을 통과하여 하행 결장(54)으로부터 비만곡(55)의 근방에 도달한다. 이때의 상태가 도6에 도시하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의 모니터(8)에는,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표시 화면(8a)이 표시된다. 이 표시 화면(8a)에 있어서 부호 1c로 나타내는 선묘(線描)가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이때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형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6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 다시 삽입부(11)를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따라 삽입 진행시킨다. 이때의 삽입부(11)의 삽입 조작은 모니터(8)의 도7의 표시 화면(8a)을 참조하면서 행한다.
그리고, 삽입부(11)의 선단부가 벌룬(31)의 부위 근방까지 진행한 부분에서 삽입부(11)의 삽입을 정지시키고, 계속해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만을 진행시킨다. 그러면, 도8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이때의 상기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의 모니터(8)에는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표시 화면(8a)이 표시되고, 이때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계속해서, 삽입부(11)를 지지하면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만을 삽입하면 벌룬(31)은 비만곡(55)에 도달하고, 그 굴곡 부분을 통과한다. 이때에도 벌룬(31)은, 그 대략 구체 형상에 의해 장벽(50a)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진행 방향도 변경되고, 상기 프로브(1)는 장관(50)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벌룬(31)이 도10에 도시하는 부위에 도달하였을 때에 삽입부(11)를 상기 프로브(1)를 따라 삽입 진행시킨다. 이때의 삽입부(11)의 삽입 조작은 모니터(8)의 도11의 표시 화면(8a)을 참조하면서 행한다. 그리고,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부(11)의 선단부가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벌룬(31)에 도달하면, 여기서 다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벌룬(31)의 삽입 조작을 행한다. 또한, 도13은 도12의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8a)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같은 순서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와 삽입부(11)를 교대로 삽입 방향으로 진행시켜, 횡행 결장(56)으로부터 간만곡(57)을 경유하여 상행 결장(58)까지 진행시키고, 최종적으로 양자를 맹장(59)의 직전의 위치에 배치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의 펌프(7a)를 구동 제어하여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내부의 유체를 상기 펌프(7a)의 측으로 흡인한다. 이것에 의해, 벌룬(31)은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축된 상태로 변화한다. 그래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15)의 내부에 끌어넣는 조작을 행한다. 이때,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15)로부터 완전히 인발해도 좋고, 적어도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선단부[벌룬(31)이 장착되어 있는 부위]가 삽입부(11)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상태로 되기까지 상기 프로브(1)를 끌어넣는다. 이것에 의해, 내시경(3)의 삽입부(11)를 이용한 관찰 검사를 실시하는 준비가 갖추어진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로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이용할 때의 작용으로서는, 상술한 수술과는 별도로, 다음에 설명한 바와 같이 작용시켜도 좋다.
도14 내지 도21은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구비한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체강 내에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를 삽입할 때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14, 도16, 도18, 도20은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15, 도17, 도19, 도21은 상기 도14, 도16, 도18, 도20에 도시하는 각 상태에 있어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삽입 형상을 표시하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항문(51)으로부터 체강 내로 삽입한 후 벌룬(31)을 직장(52), S형 결장(53), 하행 결장(54), 비만곡(55), 횡 행 결장(56), 간만곡(57), 상행 결장(58)을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맹장(59)의 직전의 위치에 배치시키고, 그 표시 화면(8a)을 참조하면서 이것을 가이드로서 삽입부(11)를 맹장(59)의 직전의 위치까지 삽입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수술과 같은 작용에 대해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고, 주로 다른 작용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우선, 상술한 수술과 마찬가지로, 처치구 삽입구(14)로부터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15)의 내부에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삽입 배치한다. 그리고, 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내부에 삽입 배치한 삽입부(11)를 피검자의 체강 내, 예를 들어 피검자의 항문(51)(도14 참조)으로부터 직장(52)으로 삽입한다.
삽입부(11)가 피검자의 체강 내에 약간 삽입된 시점에서, 상기 삽입부(11)를 지지하면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압입하고, 그 선단부 부위를 삽입부(11)의 최선단부로부터 소정량만큼 돌출시킨다. 이때의 돌출량은, 상술한 수술과 마찬가지로 벌룬(31)이 장착되어 있는 부위가 노출하는 상태로 되는 정도이다.
여기서, 삽입 형상 검출 장치(7)(도1 참조)의 펌프(7a)(도3 참조)의 구동 제어를 행하여 벌룬(31)을 팽창시킨다.
다음에, 팽창한 벌룬(31)이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만을 처치구 삽입구(14)측으로부터 압입하도록 하여 삽입 조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프로브(1)는 직장(52)의 내부에서 진행한다. 이때 벌룬(31)은 장벽(50a)의 요철에 인입되지 않고 장벽(50a)을 따라 원활하게 삽입된다.
또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삽입 조작을 계속하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벌룬(31)은 직장(52)을 통과하여 S형 결장(53)에 도달하고, 또한 이 S형 결장(53)을 벌룬(31)의 대략 구 형상에 의해 원활하게 통과하여 하행 결장(54)으로부터 비만곡(55)의 근방에 도달한다. 이때의 상태가 도14에 도시하는 상태이다. 또한, 이때 상기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의 모니터(8)에는 도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표시 화면(8a)이 표시된다.
이 도14의 상태로부터 또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삽입을 계속하면, 상기 프로브(1)의 벌룬(31)은 비만곡(55)에 도달하고, 그 굴곡 부분을 원활하게 통과하여 횡행 결장(56)의 근방에 도달한다. 이때의 상태가 도16에 도시하는 상태이다. 또한, 이때 모니터(8)에는, 도17에 도시하는 표시 화면(8a)이 표시된다.
그리고, 또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삽입을 계속하면, 상기 프로브(1)의 벌룬(31)은 간만곡(57)을 경유하여 상행 결장(58)까지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맹장(59)의 직전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18에 도시하는 상태이다. 또한, 이때 모니터(8)에는 도19에 도시하는 표시 화면(8a)이 표시된다.
다음에, 이 상태에 있어서 삽입부(11)의 삽입을 개시한다. 이때 삽입부(11)는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가이드로서, 이것을 따르게 하여 삽입하게 된다. 또한, 이때, 모니터(8)의 표시 화면(8a)(도19 참조)에 표시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삽입 형상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면서 원활하게 삽입부(11)를 체강 내의 원하는 목적 부위까지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 및 삽입부(11)를 체강 내의 원하는 목적 부위,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맹장(59)의 직전의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 서, 상술한 수술과 마찬가지로, 상기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의 펌프(7a)를 구동 제어하고,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내부의 유체를 상기 펌프(7a)의 측으로 흡인한다. 이것에 의해 벌룬(31)은 수축된 상태(도3 참조)로 변화한다. 그리고,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15)의 내부로 끌어넣는다. 이것에 의해, 내시경(3)의 삽입부(11)를 이용한 관찰 검사를 실시하는 준비가 갖추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미리 장관(50)의 내부에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로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삽입하고,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를 받아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에서 생성되는 화상 신호를 기초로 하여 모니터(8)에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삽입 형상을 표시하고, 이 삽입 형상 표시를 참조하면서, 체강 내의 장관(50)의 내부에 내시경(3)의 삽입부(11)를 안전하면서 확실하게 삽입하여 진행시키도록 구성한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로서 적용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는, 그 선단부에 유연성을 갖고 신축 가능한 박막형의 탄성 부재인 벌룬(31)을 장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벌룬(31)은 원할 때에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에 의해 펌프(7a)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임의로 소정의 크기가 되도록 팽창시킬 수 있고, 또한 수축된 상태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체강 내의 장관(50)의 내부에 삽입 관통시킬 때에 벌룬(31)을 팽창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장관(50)의 내부를 진행하는 삽 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선단부가 장벽(50a)의 요철 등에 인입되거나, 장관(50)의 굴곡 부분에 접촉하여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진행을 저해하거나 장벽(50a)에 손상을 주지 않고,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는 장관(50)의 굴곡 형상을 따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내시경(3)의 삽입부(11)는, 모니터(8)의 표시 화면(8a)에 표시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삽입 형상을 참조하면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따르게 하여 삽입하면 되므로 용이하면서 원활하게 삽입부(11)를 체강 내의 원하는 목적 부위까지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선단부 근방에 삽입 위치 검출 부재를 갖는 삽입부를 구비한 내시경이 있다. 이러한 타입의 내시경을 포함하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를 적용한 경우의 형태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고,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를 적용하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의 내시경 삽입부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1에 도시하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 중 내시경 삽입부의 형태가 다를 뿐이다. 따라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 다른 부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사용하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의 내시경의 삽입 부(11A)의 선단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조명창 형성용 투과 구멍(도시하지 않음)이나 관찰 촬상창 형성용 투과 구멍(62)이나 촬상 유닛(63)이나 삽입 위치 검출 부재인 선단부 위치 검출부(45) 등을 구비한 선단부 본체(61)와, 이 선단부 본체(61)의 후단부 외주에 연결 설치되어 내부에 설치되는 촬상 유닛(63) 등을 덮는 원통 프레임(67)과, 상기 선단부 본체(61)의 전단부측을 덮는 선단부 커버(68)와, 상기 선단부 본체(61)의 후단부측 및 상기 원통 프레임(67)의 각 외면을 덮는 외피 튜브(69)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촬상 유닛(63)은, 렌즈 프레임(71)에 설치된 대물 렌즈계(72)와, 이 대물 렌즈계(72)의 결상 위치에 배치되는 CCD 등의 촬상 소자로 이루어지는 촬상부(73)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촬상부(73)는 그 후단부로부터 신호 케이블(74)이 연장하고 있다. 상기 대물 렌즈계(72)의 제1 렌즈(72a)는 상기 렌즈 프레임(71)의 전단부면에 접합되어 있고, 이 렌즈 프레임(71)은 상기 선단부 커버(68)에 형성되는 투과 구멍(78a)에 끼워 맞춤으로써 선단부 커버(68)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신호 케이블(44)은 상기 내시경 삽입부(11A) 및 내시경(3)의 조작부(12)(도1 참조)로부터 또한 상기 유니버설 코드(13)를 거쳐서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4)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촬상 유닛(63)과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4)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확보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선단부 본체(61)의 후단부면에는 오목부(6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65)에는 상기 삽입부(11A)의 선단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선단부 위치 검 출부(45)의 선단부 부위가 나사(66)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선단부 위치 검출부(45)는, 그 선단부에 핀(75)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핀(75)은, 이 원통면의 전체 주위에 V홈(7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단부 위치 검출부(45)는 상기 핀(75)이 상기 선단부 본체(61)의 상기 오목부(75)에 끼워 넣어진 후, 또한 상기 나사(66)의 원추형의 선단부가 상기 핀(75)의 V홈(76)에 인입됨으로써, 상기 선단부 본체(61)에 고정 유지되어 있다.
상기 선단부 위치 검출부(45)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지지 부재(80)의 선단부에 상기 핀(75)이 고정되고, 이 핀(75)의 후방측에 코일 장치(81)가 상기 지지 부재(80)에 대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코일 장치(81)는, 페라이트나 퍼멀로이 등의 투자율이 높은 자성 재료로 형성되는 코어(82)에 도선을 소정 횟수만큼 권취시켜 형성한 코일(8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일 장치(81)의 코일(83)의 일단부에는 기판(94)이 접합되어 있다. 즉, 상기 코일 장치(81)는 상기 코어(82)의 상기 코일(83)의 기단부측에 기판(94)을 접합하여 설치하고, 이 기판(84)에 상기 코일(83)의 도선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핀(75)에는 상기 지지 부재(80)가 삽입 관통하는 관통 구멍(7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어(82)에는 상기 지지 부재(80)가 삽입 관통하는 관통 구멍(8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80)는 상기 관통 구멍(75a, 82a)을 삽입 관통하여 접착제 또는 땜납 등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접속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핀(75)과 상기 코일 장치(81) 사이에는, 이들 양자[핀(75)과 코일 장치(81)]가 서로 직접 접촉하는 일은 없도록, 또한 양자[핀(75)과 코일 장치(81)] 사이에서 약간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실리콘 등의 충전제(86)가 충전되어 있다.
상기 핀(75)의 후단부에는 상기 코일 장치(81)와 신호선(85)과 지지 부재(80) 등의 외면측을 덮는 외장 튜브(87)의 선단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외장 튜브(87)는 상기 코일 장치(81)나 신호선(85)이나 지지 부재(80) 등의 외면 형상에 맞추게 하여 밀착하여 배치되고, 그 기단부는 조작부(12)(도1 참조)까지 연장 설치하고 있다.
또한, 삽입부(11A)의 선단부면에는, 도22에 있어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송기 송수 관로나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 등의 투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 근방에 삽입 위치 검출 부재인 선단부 위치 검출부(45)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적용되는 내시경의 삽입부(11A)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 및 이것에 이용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변형예의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를 이용할 때의 작용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23 내지 도3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23, 도25, 도27, 도29는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내시경 삽 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24, 도26, 도28, 도30은 상기 도23, 도25, 도27, 도29에 도시하는 각 상태에 있어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삽입 형상을 표시하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23, 도25, 도27, 도29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6, 도8, 도10, 도12에 대응하고, 도24, 도26, 도28, 도30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7, 도9, 도11, 도13에 대응하고 있다.
본 변형예의 작용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작용과 대략 마찬가지이며, 내시경 삽입부(11A)를 체강 내에 삽입하였을 때에, 상기 삽입부(11A)의 선단부의 위치가 선단부 위치 검출부(45)의 존재에 의해 검출되고, 그 위치 정보가 모니터(8)의 표시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는 점이 다를 뿐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하고 다른 작용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서술한다.
즉, 우선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작용과 마찬가지로, 처치구 삽입구(14)로부터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15)의 내부에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삽입 배치한다. 그리고, 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내부에 삽입 배치한 삽입부(11A)를 피검자의 체강 내, 예를 들어 피검자의 항문(51)(도23 참조)으로부터 직장(52)으로 삽입한다.
삽입부(11A)가 피검자의 체강 내에 약간 삽입된 시점에서, 상기 삽입부(11A) 를 지지하면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압입하고, 그 선단부 부위를 삽입부(11)의 최선단부로부터 소정량만큼 돌출시킨다. 이때의 돌출량은, 상술한 수술과 마찬가지로 벌룬(31)이 장착되어 있는 부위가 노출하는 상태로 되는 정도이다.
여기서, 삽입 형상 검출 장치(7)(도1 참조)의 펌프(7a)(도3 참조)의 구동 제어를 행하여 벌룬(31)을 팽창시킨다.
다음에, 팽창한 벌룬(31)이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만을 처치구 삽입구(14)측으로부터 압입하도록 하여 삽입 조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프로브(1)는 직장(52)의 내부에서 진행한다. 이때 벌룬(31)은 장벽(50a)의 요철에 인입되지 않고 장벽(50a)을 따라 원활하게 삽입된다.
또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삽입 조작을 계속하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벌룬(31)은 직장(52)을 통과하여 S형 결장(53)에 도달하고, 또한 이 S형 결장(53)을 벌룬(31)의 대략 구 형상에 의해 원활하게 통과하고, 하행 결장(54)으로부터 비만곡(55)의 근방에 도달한다.
이때의 상태가 도23에 도시하는 상태이다. 또한, 이때 상기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의 모니터(8)에는 도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표시 화면(8a)이 표시된다. 도24의 표시 화면(8a)에 있어서, 부호 1c로 나타내는 선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형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23의 상태에 도달하였을 때에, 다시 삽입부(11A)를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따라 삽입 진행시킨다. 이때의 삽입부(11A)의 삽입 조작은 모니터(8)의 도24의 표시 화면(8a)을 참조하면서 행한다. 여기서, 삽입부(11A)의 삽입 조작을 행하면, 이것에 수반하여 모니터(8)의 도24의 표시 화면(8a)에는 부호 1d로 나타내는 점묘가 표시된다. 이 부호 1d로 나타내는 점묘는, 삽입부(11A)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선단부 위치 검출부(45)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모니터(8)의 표시 화면(8a)을 참조하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형상에 대한 삽입부(11A)의 선단부의 위치 관계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삽입부(11A)를 삽입할 때에 그 조작이 용이해진다.
삽입부(11A)의 선단부가 벌룬(31)의 부위 근방까지 진행한 바에서 삽입부(11A)의 삽입을 정지시키고, 계속해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만을 진행시킨다. 그러면, 도25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이때의 상기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의 모니터(8)에는 도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표시 화면(8a)이 표시되고, 이때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형상과 삽입부(11A)의 선단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계속해서, 삽입부(11A)를 지지하면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만을 삽입하면 벌룬(31)은 비만곡(55)에 도달하고, 그 굴곡 부분을 통과한다. 이때에도 벌룬(31)은, 그 대략 구체 형상에 의해 장벽(50a)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진행 방향도 변경되고, 상기 프로브(1)는 장관(50)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벌룬(31)이 도27에 도시하는 부위에 도달하였을 때에 삽입부(11A)를 상기 프로브(1)를 따라 삽입 진행시킨다. 이때의 삽입부(11A)의 삽입 조작은 모니터(8)의 도28의 표시 화 면(8a)을 참조하면서 행한다. 그리고, 도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부(11A)의 선단부가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벌룬(31)에 도달하면, 여기서 다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벌룬(31)의 삽입 조작을 행한다. 또한, 도30은 도29의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8a)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같은 순서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와 삽입부(11A)를 교대로 삽입 방향으로 진행시켜, 횡행 결장(56)으로부터 간만곡(57)을 경유하여 상행 결장(58)까지 진행시키고, 최종적으로 양자를 맹장(59)의 직전의 위치에 배치한다. 이때, 모니터(8)의 표시 화면(8a)에 표시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삽입 형상 및 삽입부(11A)의 선단부의 위치를 확인 참조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면서 원활하게 삽입부(11A)를 체강 내의 원하는 목적 부위까지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 및 삽입부(11)를 체강 내의 원하는 목적 부위,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맹장(59)의 직전의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의 펌프(7a)를 구동 제어하고,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내부의 유체를 상기 펌프(7a)의 측으로 흡인한다. 이것에 의해, 벌룬(31)은 수축된 상태(도3 참조)로 변화한다. 그리고,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15)의 내부에 끌어넣는다. 이것에 의해, 내시경(3)의 삽입부(11)를 이용한 관찰 검사를 실시하는 준비가 갖추어진다.
한편,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작용으로서, 상술한 수술과는 별도로, 다음에 설명한 바와 같이 작용시켜도 좋다.
도31 내지 도3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다른 작용을 설 명하는 도면이며, 도31, 도33, 도35, 도37은 대장과 그 장관 내에 삽입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 및 내시경 삽입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32, 도34, 도36, 도38은 상기 도31, 도33, 도35, 도37에 도시하는 각 상태에 있어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삽입 형상을 표시하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변형예의 다른 작용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작용(도14 내지 도21 참조)과 대략 마찬가지이며, 내시경 삽입부(11A)를 체강 내에 삽입하였을 때에, 상기 삽입부(11A)의 선단부의 위치가 선단부 위치 검출부(45)의 존재에 의해 검출되고, 그 위치 정보가 모니터(8)의 표시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작용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하고 다른 작용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서술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항문(51)으로부터 체강 내로 삽입한 후 벌룬(31)을 직장(52), S형 결장(53), 하행 결장(54), 비만곡(55), 횡행 결장(56), 간만곡(57), 상행 결장(58)을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맹장(59)의 직전의 위치에 배치시키고, 그 표시 화면(8a)을 참조하면서 이것을 가이드로서 삽입부(11A)를 맹장(59)의 직전의 위치까지 삽입하는 것이다.
우선, 상술한 수술과 마찬가지로,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15)의 내부에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삽입 배치한 상태의 삽입부(11A)를 피검자의 체강 내, 예를 들어 피검자의 항문(51)(도31 참조)으로부터 직장(52)으로 삽입한다. 여기서, 삽 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선단부 부위를 삽입부(11A)의 최선단부로부터 돌출시킨 후, 소정의 순서로 벌룬(31)을 팽창시킨다.
다음에, 팽창한 벌룬(31)이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만을 처치구 삽입구(14)측으로부터 압입하고, 상기 프로브(1)를 진행시킨다. 이것에 의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벌룬(31)은 직장(52)으로부터 S형 결장(53), 하행 결장(54), 비만곡(55), 횡행 결장(56), 간만곡(57)을 경유하여 상행 결장(58)까지 원활하게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맹장(59)의 직전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31에 도시하는 상태이다. 또한, 이때 모니터(8)에는 도32에 도시하는 표시 화면(8a)이 표시된다. 여기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는 장관(50)의 내부에 있어서 도32의 부호 1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되고, 삽입부(11A)의 선단부는 직장(52)의 내부에 있어서 부호 1d로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이 상태에 있어서 삽입부(11A)의 삽입을 개시한다. 이때 삽입부(11A)는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가이드로서, 이것을 따르게 하여 삽입하게 된다. 이때, 모니터(8)의 표시 화면(8a)(도32 참조)에 표시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삽입 형상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면서 원활하게 삽입부(11A)를 체강 내의 원하는 목적 부위까지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도33은 삽입부(11A)의 선단부 부위가 하행 결장(54)으로부터 비만곡(55)에 도달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34는 이 상태에 대응하는 모니터(8)의 표시 화면(8a)이다. 또한, 도35는 삽입부(11A)의 선단부 부위가 횡행 결 장(56)으로부터 간만곡(57)을 경유하여 상행 결장(58)에 도달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36은 이 상태에 대응하는 모니터(8)의 표시 화면(8a)이다. 그리고, 도37은 삽입부(11A)의 선단부 부위가 맹장(59)에 도달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38은 이 상태에 대응하는 모니터(8)의 표시 화면(8a)이다.
이리하여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 및 삽입부(11A)를 체강 내의 원하는 목적 부위,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맹장(59)의 직전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술한 수술과 같은 순서로 벌룬(31)을 수축된 상태(도3 참조)로 한다. 그리고,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15)의 내부에 끌어넣는다. 이것에 의해, 내시경(3)의 삽입부(11A)를 이용한 관찰 검사를 실시하는 준비가 갖추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부가하여, 삽입부(11A)의 선단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선단부 위치 검출부(45)를 구비한 내시경 삽입부를 이용함으로써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삽입 형상에 가하여 삽입부(11A)의 선단부의 위치를 모니터(8)에 표시하고, 그 표시 화면(8a)을 참조하면서, 체강 내의 장관(50)의 내부에 내시경(3)의 삽입부(11A)를 안전하면서 확실하게 삽입하여 진행시키도록 구성한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로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선단부에 벌룬(31)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장관 내에 삽입할 때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의 선단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벌룬(31)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것을 대신하는 각종 구성이 고려된다. 그것들의 구성에 대해, 이하에 나타내는 각 실시 형태에 의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3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40은 도39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장관 내부에 삽입하였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인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A)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로부터 벌룬(31)을 폐지하여 구성한 형태의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A)는, 그 선단부 부위의 외장 시스(20)의 외면의 소정의 범위에 표면을 원활화하여 삽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친수 윤활 코팅 처리(31A)가 실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A)의 선단부 부위는 선단부 선도자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벌룬(31)을 폐지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프로브(1)의 선단부의 복수개의 관통 구멍(1a)도 폐지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A)는 선단부 부위에 친수 윤활 코팅 처리(31A)가 실시되어 있으므로,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A)를 도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관(50)의 내부에 삽입하였을 때에, 그 선단부가 장벽(50a)의 볼록(50b) 등을 용이하게 타고 넘어 장벽(50a)의 요철에 인입되지 않고 항상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A)의 선단부 부위의 소정의 범위에만 친수 윤활 코팅 처리(31A)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전체에 친수 윤활 코팅 처리를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도4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고, 주로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와 기단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본 변형예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B)는, 그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의 커넥터부(22)에 도달하는 외장 시스(20)의 외면에 친수 윤활 코팅 처리(31B)가 실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B)의 선단부 부위는 선단부 선도자로서 기능한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기 일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와 완전히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벌룬(31)의 외표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친수 윤활 코팅 처리를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벌룬(31)이 대략 구체 형상인 것에 가하여 친수 윤활 코팅 처리에 의해 삽입성의 향상을 더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 및 그 일 변형예에서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A, 1B)의 외장 시스(20)의 외면에 직접 친수 윤활 코팅 처리(31A, 31B)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42 및 도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태로 해도 좋다.
도42 및 도4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 중 도42는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와, 이 선단부에 장착하는 커버 부재를 각각 별도로 도시하는 분해 구성도이다. 도43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커버 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C)는, 그 선단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정의 범위를 덮는 커버 부재(31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31C)는 박막 필름형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C)의 외면을 덮을 수 있도록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관형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31C)의 외표면에는 친수 윤활 코팅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C)의 선단부 부위는 선단부 선도자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프로브 그것 자체는, 일반적인 종래의 형태의 기존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가 이용된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와 완전히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 형상 검출 프 로브(1C)의 선단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부재(31C)를 구비하여 구성하였으므로, 이 커버 부재(31C)를 일반적인 형태의 기존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상기 프로브(1C) 자체의 삽입성의 향상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31C)는 사용시마다 새로운 것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이 커버 부재(31C)를 사용하고 버리는 타입의 것으로 하면, 커버 부재(31C)를 세정하는 등의 공정을 간략화할 수도 있다.
도44 내지 도4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도44 및 도45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중 도44는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45는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더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46 및 도47은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장관 내부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46은 사시도이고, 도47은 도46의 47-47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비되는 벌룬(31)을 폐지하여 구성한 점이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인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는, 도44 및 도4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 근방의 소정의 부위에는, 상술한 제 1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도3 참조)와 같이 복수개의 유체 분출부가 되는 관통 구멍(1Da)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의 외장 시스(20)의 내벽면과 상기 각 소스 코일 등(도시하지 않는다. 도3의 부호 21 참조)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1b)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의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의 커넥터부(도시하지 않는다. 도2의 부호 22 참조)까지 연속적으로 삽입 관통하고 있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의 내부에 유체의 송기 또는 송수를 행하는 펌프(7a) 및 그 구동 제어 회로 등을 구비한 삽입 형상 검출 장치(7)(도1 참조)가 커넥터부(22)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이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에 의해 펌프(7a)의 구동 제어를 행하면, 상기 펌프(7a)의 측으로부터 커넥터부(22)를 거쳐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의 내부를 향해 유체가 송기 또는 송수되도록 되어 있다. 이 유체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의 간극(1b)을 통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의 선단부에 도달하고, 최종적으로 복수개의 관통 구멍(1Da)으로부터 토출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는 항상 장벽(50a)으로부터 이격한 상태로 되므로 원활하게 장관(50)의 내부를 삽입 진행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의 선단부 부위는 선단부 선도자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를 체강 내에 삽입할 때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된다. 즉, 우선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수술(도6 내지 도21과 그 설명을 참조) 등의 소정의 순서로 본 실시 형태의 삽 입 형상 검출 프로브(1D)를 피검자의 체강 내[장관(50)의 내부]에 삽입한다.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가 장관(50)에 삽입된 후,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에 의한 펌프(7a)의 구동 제어를 행하고,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의 내부를 향해 유체의 송기 또는 송수를 개시한다. 그러면, 이 유체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의 간극(1b)을 경유하여 선단부의 복수개의 관통 구멍(1Da)으로부터 토출된다. 이때, 도46 및 도47에 있어서 화살표「Ai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1Da)으로부터, 유체는 장관(50)의 장벽(50a)을 향해 토출된다. 이것에 의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는 항상 장벽(50a)으로부터 이격한 상태가 되므로 원활하게 장관(50)의 내부를 삽입 진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장관(50)의 내부에 삽입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는 관통 구멍(1Da)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에 의해 장벽(50a)으로부터 이격한 상태가 되므로, 장벽(50a)으로의 손상을 주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를 장관(50)의 굴곡 형상을 따라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버 부재를 추가하여 구성하는 형태도 고려된다.
도48은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의 선단부에는, 박막 필름형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커버 부재(31D)가 배치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31D) 는,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브(1D)의 선단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 커버 부재(31D)의 외표면에는 친수 윤활 코팅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31D)가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의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일 때에, 커버 부재(31D)에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측의 관통 구멍(1Da)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관통 구멍(1Da)과 같은 유체 분출부로 되는 관통 구멍(31Da)이 천공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변형예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D)에 있어서는, 선단부 부위에 친수 윤활 코팅 처리를 외면에 실시한 커버 부재(31D)를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도록 하였으므로, 삽입성의 향상에 더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는, 친수 윤활 코팅 처리를 외면에 실시한 커버 부재(31D)를 구비하여 구성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외장 시스에 있어서의 선단부 부위의 소정의 범위의 외표면 또는 외장 시스의 선단부로부터 기단부까지의 외표면 전체에 친수 윤활 코팅 처리를 직접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에 대해, 도49를 기초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4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일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은,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와 대략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지만,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 부위에 형성하는 관통 구멍의 형태와, 선단부 부위로부터 토출시키는 유체의 유로를 별도로 설치하도록 한 점이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인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E)는, 예를 들어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일반적인 종래의 형태의 기존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에 대해,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에 걸쳐 전체를 덮는 커버 부재(31E)를 고정 설치한 형태로 프로브 본체를 구성하고 있다.
커버 부재(31E)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브 본체의 외표면을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에 걸쳐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프로브 본체의 외표면과 커버 부재(31E)의 내표면 사이에는 유체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을 만큼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E)의 선단부로부터 기단부 근방까지 연속적으로 삽입 관통하고 있다.
또한, 커버 부재(31E)의 기단부 근처의 소정의 부위에는, 프로브 본체의 축방향에 대해 후방을 향해 예각을 갖고 형성되는 개구부(31E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31Eb)에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의 펌프(7a)로부터의 유체가 공급되는 튜브(7b)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삽입 형상 검출 장치(7)는 펌프(7a)의 구동 제어, 예를 들어 유체의 공급량의 증감 제어 등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커버 부재(31E)의 선단부 근방에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1Ea)이 천공되어 있 다. 이 관통 구멍(1Ea)의 개구 방향은, 프로브 본체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프로브 본체의 기단부측을 향해 경사지는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관통 구멍(1Ea)의 개구 방향은, 프로브 본체의 축방향에 대해 후방을 향해 예각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의 펌프(7a)가 구동 제어됨으로써 공급되는 유체는, 튜브(7b) 및 커버 부재(31E)의 간극을 거쳐서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E)의 선단부 부위에 도달하고, 각 관통 구멍(1Ea)으로부터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각 관통 구멍(1Ea)은,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을 향해 예각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각 관통 구멍(1Ea)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는,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E)의 선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토출되게 된다. 이 유체의 토출력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E)를 전진시키는 추진력이 된다. 그리고,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에 의한 펌프(7a)의 구동 제어를 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유체의 공급량의 증감 제어를 실행하면, 관통 구멍(1Ea)으로부터의 유체의 토출량의 조정이 행해지고, 따라서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E)의 진행량 등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E)의 선단부 부위는 선단부 선도자로서 기능한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기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유체의 유로를 별도로 확보하도록 하였으므로 보다 확실하게 유체의 유량을 조정하고, 따라서 관통 구멍(1Ea)으로부터의 토출량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E)의 진행량 등을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각 관통 구멍(1Ea)을 후방을 향해 예각을 갖도록 형성하고, 각 관통 구멍(1Ea)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토출 방향이 후방을 향하도록 구성한 것에 의해, 이것을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E)의 추진력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커버 부재(31E)의 외표면에 대해, 예를 들어 친수 윤활 코팅 처리를 직접 실시하거나, 친수 윤활 코팅 처리를 외면에 실시한 박막 필름형의 부재를 설치하도록 구성하면, 삽입성의 향상에 더 기여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에 대해, 도50 내지 도52를 기초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50 내지 도5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도시하고, 도50은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와, 이 선단부에 장착하는 커버 부재를 각각 별도로 도시하는 분해 구성도이다. 도51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커버 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52는 도51의 상태에 있는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내부에 있어서 흐르는 유체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벌룬(31) 대신에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 부위에 장착하는 커버 부재를 설치하고,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윤활제를 포함시키도록 한 점이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도5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F)는, 그 선단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정의 범위를 덮는 커버 부재(31F)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31F)는 유연성을 갖고 신축 가능한 박막형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F)의 외면을 덮을 수 있도록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커버 부재(31F)에는 복수의 미소 구멍(31F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 부재(31F)가 수축된 상태(도50의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미소 구멍(31Fa)은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 커버 부재(31F)가 연신된 상태(도51 및 도52의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미소 구멍(31Fa)은 개방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F)의 선단부 근방에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1Fa)이 천공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Fa)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F)의 내부를 통해 선단부에 도달한 유체(31Fb)가 토출되는 관통 구멍이다.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F)의 내부에는, 간극(1b)을 이용하는 유체(31Fb)의 유로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F)의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의 커넥터부(도시하지 않음)까지 연속적으로 삽입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 유로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7)(도1 참조)의 펌프(7a)(도50 및 도51 참조)에 연결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의 펌프(7a)가 구동 제어되면, 상기 펌프(7a)의 측으로부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F)의 내부를 향해 유체(31Fb)가 송기 또는 송수된다. 이 유체(31Fb)는 간극(1b)(유로)을 통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F)의 선단부에 도달하고, 최종적으로 복수개의 관통 구멍(1Fa)으로부터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Fa)으로부터 토출 한 유체(31Fb)는 커버 부재(31F)를 팽창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31F)는, 도50에 도시하는 수축된 상태로부터 도51 및 도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략 구 형상으로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커버 부재(31F)는 도50에 도시하는 수축된 상태에 있을 때에는 복수의 미소 구멍(31Fa)이 개폐 상태로 되어 있지만, 도51 및 도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략 구체 형상으로 변화되었을 때에는 복수의 미소 구멍(31Fa)은 개방 상태로 된다. 이때 팽창한 커버 부재(31F)의 내부로부터는 유체(31Fb)가 충만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미소 구멍(31Fa)으로부터 약간씩 침출하여, 상기 커버 부재(31F)의 외표면을 덮도록 되어 있다.
이 유체(31Fb)에는 소정의 기체 또는 소정의 유체에 가하여 윤활성을 구비한 윤활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31Fb)가 충만한 상태의 커버 부재(31F)의 상기 복수의 미소 구멍(31Fa)으로부터는 유체(31Fb)에 포함되는 윤활제가 침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체(31Fb)에 포함되는 윤활제가 커버 부재(31F)의 외표면을 덮음으로써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F)의 장관 내부의 삽입 관통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F)의 선단부 부위는 선단부 선도자로서 기능한다.
한편, 상기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의 펌프(7a)를 구동 제어하여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F)의 내부의 유체를 상기 펌프(7a)의 측으로 흡인하면, 커버 부재(31F)는 수축된 상태로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기 제6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커버 부재(31F)에 복수의 미소 구멍(31Fa)을 마련하는 동시에, 유체(31Fb)에 대해 윤활제 등을 포함시키도록 하여 구성하였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 상기 삽입 형성 검출 장치(7)의 펌프(7a)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본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F)의 선단부의 관통 구멍(1Fa)으로부터 유체(31Fb)가 토출되어, 커버 부재(31F)를 팽창시킨다. 이 팽창에 수반하여 커버 부재(31F)의 미소 구멍(31Fa)으로부터는 윤활제를 첨부한 유체(31Fb)가 침출하고, 이것이 커버 부재(31F)의 외표면을 덮어 상기 외표면을 원활면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F)의 장관 내부로의 새로운 삽입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에 대해, 도53 내지 도55를 기초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53 내지 도5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일부를 도시하고, 이 중 도53은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통상 상태를, 도54는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 부를 굴곡시킨 상태를, 도55는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신장시킨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은, 상술한 제5 실시 형태와 대략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커버 부재의 관통 구멍을 폐지하고, 선단부 근방에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주름형부를 설치하여 구성한 점이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5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도53 내지 도5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G)는, 예를 들어 일반적인 종래의 형태의 기존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에 대해,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에 걸쳐 전체를 덮는 커버 부재(31G)를 고정 설치한 형태로 구성된다.
커버 부재(31G)는, 상술한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한 바와 같이 프로브 본체의 외표면을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에 걸쳐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프로브 본체의 외표면과 커버 부재(31G)의 내표면 사이에는, 유체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을 만큼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G)의 선단부로부터 기단부 근방까지 연속적으로 삽입 관통하고 있다.
커버 부재(31G) 자체는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부가하여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G)의 선단부 근방에는 주름형부(31Ga)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G)는 유연한 만곡 동작을 행할 수 있고, 장관(50)의 내부에 있어서의 미세한 굴곡 부위에 추종하여 변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의 펌프(7a)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공급되는 유체는, 튜브(7b) 및 커버 부재(31G)의 간극을 거쳐서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G)의 선단부 부위에 도달하고, 주름형부(31Ga)를 신장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삽입 형상 검출 장치(7)의 펌프(7a)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커버 부재(31G)의 간극의 내부의 유체를 상기 펌프(7a)의 측으로 흡인하면, 커버 부재(31G)의 주름형부(31Ga)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변위하여 본래의 주름 형상으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5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기 제7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프로브 본체를 유연한 소재로 형성한 커버 부재(31G)로 덮고, 그 선단부에는 주름형부(31Ga)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유연한 만곡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장관(50)의 내부에 있어서의 미세한 굴곡 부위, 예를 들어 S형 결장 등 복잡한 형상을 갖는 부위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하고,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G)의 삽입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G)의 선단부 부위는 선단부 선도자로서 기능한다.
한편, 커버 부재(31G)의 내부에 대해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주름형부(31Ga)를 신장시킨 상태로 변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G)의 외형 형상을 직선적인 것으로 하고, 또한 어느 정도의 경도를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굴곡 부위 이외의 부위나 심부에 있어서는, 이 상태로 함으로써 삽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에 대해, 도56 내지 도61을 기초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56 내지 도5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중 도56은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에 있어서의 금속선을 인발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57은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에 있어서의 금속선을 선단부까지 삽입 관통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58은 도57의 58-58선을 따라 절단한 절단면을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59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에 있어서의 금속선 삽입 개구부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60 및 도61은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중 도60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가 체강 내의 굴곡부를 삽입 관통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1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가 체강 내의 굴곡부 이외의 부위를 삽입 관통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기본 사상은 상술한 제7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또한,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기본 사상은,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체강 내의 장관 내부에 삽입하는 데 있어서, 장관의 굴곡 부위에서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유연하게 만곡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한편, 그 것 이외의 부위에서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어느 정도의 경도를 갖게 함으로써 장관 내부의 어떠한 부위에 있어서도 양호한 삽입성을 얻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구성 중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도56 및 도5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인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H)에 있어서는, 그 외장 튜브로서 복수의 루멘을 갖고 유연한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위 멀티 루멘 튜브(33)를 적용하고 있다.
이 멀티 루멘 튜브(33)에는, 도5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 부재가 설치되는 제1 루멘(1Ha)과, 소정의 경도를 구비한 금속선(와이어, 경질선)(32)이 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는 제2 루멘(1H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루멘(1Hb)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H)의 내부에 있어서 선단부 근방으로부터 기단부 근방까지 삽입 관통하고 있고, 기단부 근처의 소정의 부위에는, 도5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루멘(1Hb)의 내부에 상기 금속선(32)을 삽입 관통시키는 개구(1Hc)가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1Hc)로부터 금속선(32)을 제2 루멘(1Hb)의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금속선(32)을 도59에 도시하는 화살표 X방향으로 진퇴시킴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H)는, 그 선단부 근방의 경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A)의 선단부 부위는 선단부 선도자로서 기능한다. 그 외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기 제8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6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항문(51)으로부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H)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경우에 있어서, 체강 내의 장관(50)에 있어서의 굴곡 부위, 예를 들어 S형 결장(53) 등의 부위에서는 금속선(32)을 제2 루멘(1Hb)의 내부로부터 인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것을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H)의 선단부 부위 근방으로부터 후퇴시킨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H)의 선단부를 유연하여 만곡하기 쉬운 형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굴곡 부위에 있어서의 양호한 삽입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금속선(32)의 인발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프로브(1H)의 선단부 근방의 경도를 조정하는 범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6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체강 내의 장관(50)에 있어서의 굴곡 부위 이외의 부위, 예를 들어 하행 결장(54) 등의 부위에서는 금속선(32)을 제2 루멘(1Hb)의 선단부 근방까지 삽입 관통시킨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H)의 선단부는, 어느 정도의 경도를 구비한 형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굴곡 부위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의 양호한 삽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루멘을 갖는 멀티 루멘 튜브(33)를 이용하고, 1개의 금속선(32)을 진퇴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금속선을 삽입 관통할 수 있을 만큼의 루멘을 형성하는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금속선의 수에 의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H)의 선단부의 경도가 적절한 것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금속선은 다른 직경 치수의 것이나 다른 선재의 것을 복수 준비함으로써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H)의 선단부의 경도 조정을 행하는 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에 대해, 도62를 기초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6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의 내부 구성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은, 상술한 제8 실시 형태와 대략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H)의 선단부 근방의 경도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금속선(32)을 멀티 루멘 튜브(33)의 제2 루멘(1Hb)에 삽입 관통하도록 구성하고 있었다(도56 등을 참조). 이것 대신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6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일반적인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에 있어서의 코어선(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2의 부호 23 참조)에 대해 형상 기억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8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J)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6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종래의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본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J)는, 외장 시즈의 내부에 자 계 발생용 복수의 코일 장치나 이 코일 장치에 접속되는 신호선이나 코일 장치를 접착 고정하는 코어선(34) 등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본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J)에 있어서의 코어선(34)은, 예를 들어 직선 상태를 기억한 형상 기억 소재가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J)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경우에 있어서, 장관 내부에 있어서의 S형 결장 등의 굴곡 부위에 있어서는, 프로브 선단부를 유연하게 만곡시켜 상기 굴곡 부위를 통과시킨 후, 하행 결장 등의 굴곡부 이외의 부위에서는, 코어선(34)에 대해 열이나 전기 신호 등을 부여함으로써, 이것을 형상 기억 상태(이 경우에는 직선 상태)로 되도록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J)의 선단부 부위는 선단부 선도자로서 기능한다. 그 외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7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기 제9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제8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J)에 있어서의 코어선(34)에 대해 형상 기억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생산 설비를 변경하지 않고 용이하게 제조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의 향상 및 제조 비용 저감화에도 기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제9 실시예에서는 코어선을 형상 기억 소재로 구성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형상 기억 소재를 끼워 넣은 소재를 이용하여 외장 시스를 구성하는 해도 좋다. 이러한 형태의 일 변형예를, 도63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6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의 내부 구성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K)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9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J)와 마찬가지이다. 단,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J)에 있어서의 코어선(34)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일반적인 종래의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것과 같은 것이 적용되어 있다.
이것 대신에, 본 일 변형예에 있어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K)의 외장 시스(34A)는, 형상 기억 소재를 끼워 넣은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K)의 선단부 부위는 선단부 선도자로서 기능한다. 그 외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9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기 일 변형예 제9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제9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에 대해, 도64를 기초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6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와 대략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 부에 구형 부재를 고정 설치하여 구성한 점이 다르다. 따라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도6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L)는, 그 선단부에 선단부 선도자로서의 중실의 구형 부재(35)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구형 부재(35)는 표면의 미끄럼 이동성이 높고 또한 경량인 것, 예를 들어 테프론(등록 상표), 주라콘, 폴리설폰, 폴리페닐술폰 등이 적용된다. 또한, 투명성이 높은 재질의 것, 예를 들어 아크릴이나 실리콘 등을 이용하면, 내시경(3 ; 도1 참조)을 이용할 때에, 관찰 화면의 시야를 저해하지 않고 완료된다. 또한, 구형 부재(35)의 직경은 프로브 본체의 직경보다도 커지도록, 예를 들어 직경 φ = 10 내지 30 ㎜ 정도, 바람직하게는 직경 φ = 10 내지 20 ㎜ 정도로 설정된다. 또한, 구형 부재(35)는 도64와 같이 진원 이외에도 타원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선단부 선도자의 형상으로서는, 도4에 도시하는 벌룬과 같은 형상이나 원추의 선단부가 둥글게 R형으로 형성된 형상이라도 좋다.
상기 구형 부재(35)에 대해 프로브 본체의 선단부가 매립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A)에 있어서의 외장 시스(20)의 외면에 실시되는 친수 윤활 코팅 처리(31A)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L)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L)는 선단부 부위에 구 형 부재(35)를 설치하였으므로,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L)를 체강 내에 있어서의 장관에 삽입하였을 때에는 그 선단부의 구형 부재가 장벽의 요철부 등을 용이하게 타고 넘어, 그것들의 요철부에 인입되지 않고 항상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한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L)의 선단부 부위에 설치하는 구형 부재(35)에 대해서는, 그 외표면의 전체에 친수 윤활 코팅 처리(35a)를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65에 도시하는 일 변형예와 같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M)의 선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선단부 선도자인 구형 부재(35)의 외표면 전체에 친수 윤활 코팅 처리(35a)를 실시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친수 윤활 코팅 처리(35a)의 작용에 의해 또한 원활한 삽입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구형 부재(35)의 외표면에 실시하는 표면 처리로서는, 상술한 일 변형예에 도시하는 친수 윤활 코팅 처리(35a)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술한 제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형 부재(35)의 내부로부터 윤활제가 침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한편, 상술한 일 변형예에 대해서는, 도66에 도시하는 별도의 변형예와 같이, 중실의 구형 부재(35) 대신에 중공의 구형 부재(35A)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해도 좋다. 이 중공의 구형 부재(35A)의 표면에는, 상술한 일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N)의 선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선단부 선도자인 구형 부재(35A)의 외표면 전체에 친수 윤활 코팅 처리(35a)를 실시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구형 부재(35A)의 중량이 경감화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에 대해, 도67 및 도68을 기초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67 및 도68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 중 도67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형 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68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구형 부재가 설치되어 고정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0 실시 형태 및 그 2개의 변형예와 대략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고정 설치하는 구형 부재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6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P)는, 그 선단부에 선단부 선도자인 중공의 구형 부재(36)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구형 부재(36)는 반구형 부재(36A, 36B)의 2개의 부재를 조합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2개의 반구형 부재(36A, 36B)의 각각에는 나사부(36Aa, 36Ba)가 형성되어 있고, 양자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나사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반구형 부재(36A, 36B)의 양자를 나사 결합시킨 상태의 구형 부재(36)가 도68에 도시하는 상태이다.
이 구형 부재(36)에는 프로브 본체(1Pa)가 매립하도록 설치된다. 그로 인 해, 한쪽의 반구형 부재(36A)의 내측면에는 프로브 본체(1Pa)의 선단부 부분이 끼워 맞추는 오목형부(36A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의 반구형 부재(36B)에는, 프로브 본체(1Pa)의 선단부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36B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반구형 부재(36A, 36B)가 나사 결합하여 구형 부재(36)의 형태가 되었을 때에는 오목형부(36Ab)와 관통 구멍(36Bb)은 동일축 상에 배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오목형부(36Ab)와 관통 구멍(36Bb)이 대향하는 부위에는, 예를 들어 열수축 튜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 부재(37)가 배치되어 있다. 이 빠짐 방지 부재(37)는, 오목형부(36Ab)와 관통 구멍(36Bb)에 프로브 본체(1Pa)가 삽입 관통한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프로브(1Pa)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2개의 반구형 부재(36A, 36B)가 나사 결합하여 구형 부재(36)의 형태가 되었을 때에는, 이 빠짐 방지 부재(37)는 오목형부(36Ab)와 관통 구멍(36Bb) 사이에서 압축되게 된다. 이 압축력은 프로브 본체(1Pa)의 직경 방향으로 작용하고, 상기 프로브 본체(1Pa)가 축방향으로 제거하게 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1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프로브 본체(1Pa)의 선단부에 대해 구형 부재(36)를 확실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는 내시경을 체강 내에 삽입하는 데 앞서 상기 체강 내에 미리 삽입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는, 예를 들어 내시경의 겸자 채널에 삽입 관통시킨 상태로 사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를 피검자의 체강 내부에 삽입한 후에는, 이것 을 가이드로서 내시경을 상기 체강 내로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11 실시 형태에 의한 구형 부재가, 내시경의 시야 범위 내에 항상 존재하고 있는 것은, 내시경에 의한 체강 내의 검사 또는 관찰을 행하는 데 있어서, 그 관찰 화면을 저해하게 되는 요인으로도 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구형 부재와 프로브 본체를 필요에 따라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매우 편리하다. 이것을 고려한 것이, 다음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이다.
도69 및 도7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 중 도69는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형 부재와 프로브 본체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70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구형 부재를 설치하여 고정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0 실시 형태 및 그 2개의 변형예와 대략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고정 설치하는 구형 부재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69 및 도7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Q)는 프로브 본체(1Qa)와 선단부 선도자인 구형 부재(35B)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브 본체(1Qa)의 최선단부에는 외주 방향을 향한 볼록부를 갖고 탄성 부재에 의 해 형성되는 선단부 칩(38A)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편, 구형 부재(35B)에는 외벽면을 관통하여 천공되는 관통 구멍(35Bb)과, 이 관통 구멍(35Bb)에 대향하는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탄성 부재(35B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35Ba)에는 단면 형상이 상기 선단부 칩(38A)과 대략 상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끼워 맞춤 구멍(35Bc)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 구멍(35Bb)을 통과시켜 삽입 관통되는 프로브 본체(1Qa)의 선단부 칩(38A)은 끼워 맞춤 구멍(35Bc)에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선단부 칩(38A)의 볼록부는 끼워 맞춤 구멍(35Bc)의 오목부에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구형 부재(35B)와 프로브 본체(1Qa)와는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70에 도시하는 상태이다.
한편, 이 상태에 있어서, 구형 부재(35B)에 대해 프로브 본체(1Qa)를 도70의 화살표 X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프로브 본체(1Qa)와 구형 부재(35B)와의 끼워 맞춤 상태가 해제되고, 양자는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구형 부재(35B)가 어떠한 고정물에 고정되어 있을 필요가 있지만, 예를 들어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황이 고려된다.
프로브 본체(1Qa)는 내시경(3 ; 도1 참조)의 겸자 채널에 삽입 관통한 상태에 있어서, 그 선단부가 내시경 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그 프로브 본체(1Qa)의 선단부에 구형 부재(35B)가 상술한 끼워 맞춤 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체강 내의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이 경우에 있어서 프로 브 본체(1Qa)로부터 구형 부재(35B)를 제거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우선, 프로브 본체(1Qa)에 대해 이것을 인발하는 방향으로 역량을 가한다. 그러면, 구형 부재(35B)는 내시경 삽입부의 최선단부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구형 부재(35B)는 프로브 본체(1Qa)에 대해 고정 상태로 된다. 여기서, 또한 프로브 본체(1Qa)를 인발하면, 양자의 끼워 맞춤 상태가 해제되어 구형 부재(35B)와 프로브 본체(1Qa)는 분리하고, 구형 부재(35B)는 탈락한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 내시경 삽입부의 선단부의 관찰 시야 내로부터 구형 부재(35B)가 이격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구형 부재(35B)가 관찰 시야를 방해하는 일은 없다. 또한, 탈락한 구형 부재(35B)는 체강 내의 연동 운동 등에 의한 자연 배설 동작에 의해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제1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Q)에 있어서 프로브 본체(1Qa)와 구형 부재(35B)를 임의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였으므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Q)를 가이드로서 내시경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한 후, 구형 부재(35B)를 제거하도록 하였으므로 내시경 삽입부의 관찰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그 후에 행하는 내시경 관찰 동작을 확실하면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제12 실시예에서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Q)에 있어서의 프로브 본체(1Qa)와 구형 부재(35B)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체강 내에 있어서 양자를 분리하였을 때에는 구형 부재(35B)는 체강 내에 탈락시키고, 체강 외로의 추출은 자연 배출에 의한 것이다.
그래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구성하는 프로브 본체와 구형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체강 내에 있어서 양자를 분리하였다고 해도 구형 부재를 탈락 시키지 않고, 그 횟수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매우 편리하다. 이것을 고려한 것이, 다음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이다.
도71 및 도72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 중 도71은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구형 부재를 설치하여 고정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72는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형 부재와 프로브 본체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0 실시 형태 및 그 2개의 변형예와 대략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고정 설치하는 구형 부재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71 및 도7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R)는, 프로브 본체(1Ra)와 선단부 선도자인 구형 부재(35C)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브 본체(1Ra)의 최선단부에는 외주 방향을 향한 볼록부를 갖고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선단부 칩(38C)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편, 구형 부재(35C)에는 외벽면을 관통하여 천공되는 관통 구멍(35Cb)과, 이 관통 구멍(35Cb)에 대향하는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탄성 부재(35C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35Ca)에는 단면 형상이 상기 선단부 칩(38C)과 대략 상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끼워 맞춤 구멍(35Cc)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 구멍(35Cb)을 통과시켜 삽입 관통되는 프로브 본체(1Ra)의 선단부 칩(38C)은 끼워 맞춤 구멍(35Cc)에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선단부 칩(38C)의 볼록부는 끼워 맞춤 구멍(35Cc)의 오목부에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구형 부재(35C)와 프로브 본체(1Ra)와는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71에 도시하는 상태이다.
또한, 탄성 부재(35Ca)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구형 부재(35C)의 내벽면측의 고정부(35Cd)에는, 실 형상 부재(38Ca)의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 형상 부재(38Ca)의 타단부는 상기 선단부 칩(38C)의 최선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구형 부재(35C)와 프로브 본체(1Ra)가 상기 실 형상 부재(38Ca)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상태가 되어 있다.
한편, 이 상태에 있어서, 구형 부재(35C)에 대해 프로브 본체(1Ra)를 도71의 화살표 X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프로브 본체(1Ra)와 구형 부재(35C)와의 끼워 맞춤 상태가 해제되어 양자는 분리하지만, 도7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자는 실 형상 부재(38Ca)에 의해 연결 설치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 내시경 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 구형 부재(35C)가 탈락하여 이격함으로써, 상기 구형 부재(35C)가 관찰 시야의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프로브 본체(1Ra)로부터 분리한 구형 부재(35C)는 실 형상 부재(38Ca)에 의해 프로브 본체(1Ra)와 연결 설치 상태에 있어서, 관찰 검사를 행하면서 내시경 삽입부를 체강 외에 인발하는 동작에 수반하여 이동하고, 내시경 삽입부를 체강 외에 인출하였을 때에, 이것과 함께 체강 외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제1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제12 실시 형태와 같 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과 동시에, 프로브 본체(1Ra)와 구형 부재(35C)를 실 형상 부재(38Ca)에 의해 연결 설치 상태로 하고 있으므로, 체강 내에서 프로브 본체(1Ra)의 선단부로부터 분리시킨 구형 부재(35C)를 내시경 관찰 검사의 종료와 함께 배출할 수 있다.
상술한 제10 내지 제13 실시 형태 및 변형예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즉 프로브 본체의 최선단부에 구형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73 및 도7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태에서 내시경 삽입부와 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도73은 도64의 상술한 제10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를 내시경의 겸자 채널에 삽입 관통시켜 사용하는 경우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7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인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L)의 프로브 본체(1x)를 내시경 삽입부(11B)의 겸자 채널(11Ba)에 삽입 관통시킨 상태로 하고, 그 최선단부 근방은 내시경 삽입부(11B)의 최선단부로부터도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그리고, 프로브 본체(1x)의 최선단부에는 구형 부재(35)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의 내시경 삽입부(11B)를, 예를 들어 항문으로부터 삽입하여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L)를 압입함으로써 장관의 내부에 삽입 진행시키고, 그 선단부의 구형 부재(35)를 체강 내에 있어서의 목적 부위에 도달시킨다. 그 후, 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L)를 가이드로서 내시경 삽입부(11B)를 상기 장관 내에 삽입 진행시키고, 구형 부재(35)가 배치되는 부위까지 도달시킨다. 이것에 의해, 내시경 삽 입부(11B)를 이용한 관찰 검사를 실시하는 준비가 갖추어진다.
한편, 도7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태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74는 도64의 상술한 제10 실시 형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를 내시경 삽입부의 외부에 있어서 유지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7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사용 형태에서는, 내시경 삽입부(11C)의 선단부 근방의 외주측에는, 그 외주면을 파지하여 유지하는 프로브 유지 부재(39)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프로브 유지 부재(39)는 프로브 본체(1x)를 삽입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을 구비한 지지부(39a)와, 내시경 삽입부(11C)의 외주면을 따라 이것을 유지하는 아암부(39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인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L)는, 프로브 유지 부재(39)에 의해 내시경 삽입부(11C)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L)의 프로브 본체(1x)의 최선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형 부재(35)는, 내시경 삽입부(11C)의 선단부로부터도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의 내시경 삽입부(11C)를, 예를 들어 항문으로부터 삽입하여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L)를 압입함으로써 장관의 내부에 삽입 진행시키고, 그 선단부의 구형 부재(35)를 체강 내에 있어서의 목적 부위에 도달시킨다. 그 후, 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L)를 가이드로서 내시경 삽입부(11C)를 상기 장관 내에 삽입 진행시키고, 구형 부재(35)가 배치되는 부위까지 도달시킨다. 이것에 의해, 내시경 삽입부(11C)를 이용한 관찰 검사를 실시하는 준비가 갖추어진다.
그런데,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에 설치하는 선단부 선도자에 관한 다양한 형태에 대해 예시하고 있다. 이들의 선단부 선도자에 대해서는, 각 프로브에 대해 각 고유의 형태의 것을 고정 설치하여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검사 방법 등에 의해 다른 형태의 선단부 선도자를 갖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면, 선단부 선도자의 형태마다 복수 종류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1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에 대해 복수 종류의 선단부 선도자의 중으로부터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면 매우 편리하다.
다음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는, 예를 들어 시술자의 기호나 대장 형상의 차이(예를 들어 피검자가 성인인 경우와 아이인 경우 등)나 검사 방법 등의 용도에 따른 복수 종류의 선단부 선도자를 준비하여, 이들 복수의 선단부 선도자를 1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의 예이다.
도75 및 도76은 본 발명의 제14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중, 도75는 본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76은 도75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선단부 선도자와 이 선단부 선도자의 설치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 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1에 도시하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 중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인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의 구성이 다를 뿐이다. 따라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 다른 부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S)는, 도75 및 도7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에 설치되는 선단구(27S)의 선단부측에 선단부 선도자(2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선단부 선도자(28)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S)의 선단구(27S)의 최선단부 부위에 대해 연결 설치됨으로써 상기 선단구(27S)와 일체화되는 선도자 베이스(28b)와, 이 선도자 베이스(28b)의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 설치되는 가이드 와이어(28a)에 의해 주로 구성된다.
도7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도자 베이스(28b)는 그 기부측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S)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에 선단부측을 향해 깊이 치수를 갖는 나사부(28c)(예를 들어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S)의 선단구(27S)의 최선단부에는, 상기 나사부(28c)에 대응하는 나사부(27Sa)(예를 들어 수나사)가 외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구(27S)의 나사부(27Sa)와 선도자 베이스(28b)의 나사부(28c)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선단구(27S)와 선단부 선도자(28)가 일체화한 형태로 본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S)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구(27S)의 나사부(27Sa)와 선도자 베이스(28b)의 나사부(28c)의 나사 결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선단부 선도자(28)를 선단구(27S)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선단부 선도자(28)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S)의 선단구(27S)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선도자 베이스(28b)에는, 예를 들어 코어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와이어(28a)가, 그 선단부측에 끼워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와이어(28a)는, 선단부측이 진행 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진행하는 형상, 예를 들어 선단부를 향해 볼록형이 되는 R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로 하고 있는 것은, 상기 선단부 선도자(28)를 선단부에 장착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S)가 예를 들어 장관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장벽을 따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이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28a)의 길이 치수에 대해서는 용도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S)의 선단구(27S)의 선단부측에 대해 선단부 선도자(28)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선단부 선도자(28)에 바꾸어서 장착할 수 있는 선단부 선도자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도77 및 도7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것 등이 고려된다.
도77 및 도78은 상기 제14 실시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에 있어 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에 적용되는 2개의 형태의 선단부 선도자와 각 선단부 선도자의 설치 부위를 각각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우선, 도77에 도시하는 형태의 선단부 선도자(28T)는, 그 외형 형상이, 예를 들어 상술한 제10 실시 형태(도64 참조)나 상술한 제12 실시 형태(도69 및 도70 참조)나 상술한 제13 실시 형태(도71 및 도72 참조) 등과 대략 상기 형상의 구형 부재, 즉 단면이 진원 또는 타원 형상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형 부재가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선단부 선도자(28T)는 그 표면이 미끄럼 이동성이 높고 또한 경량인 것, 예를 들어 테프론(등록 상표), 주라콘, 폴리설폰, 폴리페닐술폰 등이 적용된다. 또한, 선단부 선도자(28T)의 직경으로서는, 프로브 본체의 직경보다도 커지도록, 예를 들어 직경 φ = 10 내지 30 ㎜ 정도, 바람직하게는 직경 φ = 10 내지 20 ㎜ 정도로 설정된다.
그리고, 선단부 선도자(28T)의 기부측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S)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에 선단부측을 향해 깊이 치수를 갖는 나사부(28c)(예를 들어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78에 도시하는 형태의 선단부 선도자(28U)는 선단부가 R형으로 형성된 가늘고 긴 형상의 축형 부재이며, 선단부보다도 가는 직경으로 소정의 길이 치수를 갖는 탄성 부재(28Ua)와, 이 탄성 부재(28Ua)가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선도자 베이스(28U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선단부 선도자(28U)의 탄성 부재(28Ua)를 형성하는 소재에 대해서는, 상술한 선단부 선도자(28T)와 같은 것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선단부 선도자(28U)의 선도자 베이스(28Ub)의 기단부 대략 중앙에는,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S)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선단부측을 향해 깊이 치수를 갖는 나사부(28c)(예를 들어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로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S)를 이용할 때의 작용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이것에 부가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검사 전에 복수 종류의 선단부 선도자(28, 28T, 28U)의 중으로부터 필요에 따른 형태의 것을 선택하고,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S)의 선단부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부가하여,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S)의 선단구(27S)에 대해 선단부 선도자(28, 28T, 28U)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였으므로, 복수 종류의 선단부 선도자(28, 28T, 28U) 중으로부터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한 선단부 선도자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종류의 선단부 선도자를 준비하는 것만으로, 선단부의 형상이 다른 복수 종류의 형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S)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용도에 따른 선단부 선도자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삽입 수술에 있어서의 시술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선단부 선도자(28, 28T, 28U)의 측의 나사부(28c)를 암나사로 하고,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S)의 선단구(27S)의 나사부(27Sa)를 수나사로서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나사부(28c)를 수나사로 하고, 나사부(27Sa)를 암나사로 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선단부 선도자(28, 28T, 28U)와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S)의 선단구(27S)를 착탈하는 수단으로서 나사에 의한 체결 수단을 이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12 실시 형태(도69 및 도70 참조)나 상술한 제13 실시 형태(도71 및 도72 참조)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태의 끼워 맞춤 수단, 즉 한쪽에 볼록부를 구비하고, 다른 쪽에 오목부를 구비하여 양자를 끼워 맞추게 하는 수단(소위 패칭 고정 방식) 등과 같은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술한 제12 및 제13 실시 형태의 것에서는, 양 부재(선단부 선도자와 프로브 선단부) 사이의 끼워 맞춤 상태를 비교적 용이하게 해제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탄성 부재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양 부재(선단부 선도자와 프로브 선단부) 사이의 끼워 맞춤 상태는 비교적 견고한 것으로 해 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수지 부재 등의 탄성을 가지면서 경도의 높은 부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선단부 선도자(28, 28T, 28U)와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S)의 선단구(27S)의 양 부재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것 외의 수단을 이용하는 것은 용이하게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용되는 선단부 선도자의 형태는, 도76 내지 도78에 도시하는 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선단부 선도자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외의 형태의 선단부 선도자의 형상으로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도4 참조)에 나타내는 벌룬과 같은 형상의 것, 원추의 선단부가 둥글게 R형으로 형성된 형상의 것, 선단부측을 R형으로 하는 반구 형상의 것 등등 각종 형상의 것이 고려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단부 선도자의 형태는, 상술한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별도의 변형예(도74 참조)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선단부 선도자의 형태에 관한 다른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도79 및 도80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중, 도7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80은 도79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선단부 선도자의 표면에 형성되는 딤플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도79에 도시하는 80-80선을 따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V)에는, 상술한 제10 실시 형태 및 그 각 변형예 등과 대략 같은 형상의 선단부 선도자, 즉 중실 또는 중공의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형 부재(35D)가 그 선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형 부재(35D)는 구 표면 상에 복수의 딤플(dimple ; 오목부)(35Da)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이 딤플(35Da)은, 도8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형 부재(35D)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오목 곡면형으로 형성되는 오목부이다. 그 외의 주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0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선단부 선도자로서의 구형 부재(35D)의 표면 상에 복수의 딤플(35D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구형 부재(35D)의 표면이 장관 등에 접촉할 때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구형 부재(35D)의 표면과 이것에 접촉하는 장관 등의 접촉면 사이에 생기는 마찰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장관 등에 있어서의 평활한 벽면에 대해서는, 구형 부재(35D)가 접촉하여 이동할 때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는 효과는 현저하다. 따라서, 장관 내에 있어서, 특히 평활한 벽면이 존재하는 부위에 있어서는 삽입 역량을 경감할 수 있고, 따라서 삽입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81은 상기 제15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8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W)에 설치되는 선단부 선도자는, 상술한 제15 실시 형태가 있어서의 선단부 선도자[구형 부재(35D)]에 대해, 그 대략 중심점을 통과하는 선을 따라 2분할한 경우의 대략 반구 형상의 한쪽의 부재와 상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반구 부재(35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반구 부재(35E)는, 상술한 구형 부재(35D)와 같이 구 표면 상에 복수의 딤플(35Ea)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이 딤플(35Ea)의 단면 형상은, 상술한 제1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형 부재(35D)의 딤플(35Da)과 동일 형상이다(도80 참조).
이 반구 부재(35E)가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W)의 선단부 부위에 있어서, 구면이 전방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외의 주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0 및 제15 실시 형태 등과 대략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한 제15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5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는, 구형 부재(35F, 35D)의 구 표면 상에 형성하는 딤플(35Da, 35Ea)은 표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한 오목 곡면형으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딤플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형 부재 자체의 구 표면을 곡률이 다른 복수의 곡면에 의해 형성하거나, 구형 부재 자체의 구 표면 상에 선단부 선도자의 진행 방향을 따른 방향에 복수의 홈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가 고려된다.
또한, 상기 제15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구성한 선단부 선도자(35D, 35E)를, 상술한 제14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단부 선도자의 형상으로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도82 및 도83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중 도8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를 적용하는 내시경 장치(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 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83은 도82의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의 내부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기본적인 사고 방식 및 그 구성은, 상술한 제5 실시 형태(도49 참조)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버 부재(31E)(도49) 대신에, 도8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태의 선단부 선도자로서의 구형 부재(35F)를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X)의 선단부 부위에 설치하고, 이 구형 부재(35F) 및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X)에 대해 추진력을 생기게 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한 점이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단부 선도자로서의 구형 부재(35F)는, 상술한 제10 또는 제15 실시 형태 등과 마찬가지로, 중실 또는 중공의 구 형상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구형 부재(35F)에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X)의 선단부로 연결 설치되는 측의 근방에 유체 분출부로 되는 관통 구멍(35F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35Fb)은 적어도 1개 이상 또는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 구멍(35Fb)은, 도8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형 부재(35F)의 내부에 형성되는 선도자측 유체 관로(35Fa)에 연통하고 있다.
한편,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X)에는, 선단부 전방면에 개구(특히 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프로브측 유체 관로(23X)가 연통하고 있다. 이 프로브측 유체 관로(23X)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로 적용되는 코어선(23)으로서 중공 부재를 적용하고, 그 내부에 프로브측 유체 관로(23X)를 형성하고 있 다. 또한, 이것과는 다른 형태로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X)의 외장 시스(20)의 내부에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튜브 부재를 내부 삽입시켜 구성해도 좋다.
프로브측 유체 관로(23X)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X)의 선단부 전방면의 개구로부터 기단부 근방에 설치되는 커넥터부(22X)의 송수 튜브 접속부(22Xa)까지 삽입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송수 튜브 접속부(22Xa)에는 송수 튜브(7aa)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 송수 튜브(7aa)의 타단부는 유체 공급 장치인 송수 펌프(7Xa)의 토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송수 펌프(7Xa)로부터 송수 튜브(7aa),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X)의 커넥터부(22X) 및 프로브측 유체 관로(23X)를 거쳐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X)의 선단부 전방면의 개구까지 연속적인 관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체 부재(35F)와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X)의 선단부가 연결 설치한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구체 부재(35F)의 선도자측 유체 관로(35Fa)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X) 선단부 전방면의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 구체 부재(35F)와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X)의 선단부가 연결 설치 상태로 되면,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X)측의 상기 관로가 구체 부재(35F)의 선도자측 유체 관로(35Fa)로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송수 펌프(7Xa)로부터 압송되는 유체가 상기 관로 및 선도자측 유체 관로(35Fa)를 경유하여 관통 구멍(35Fb)으로부터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관통 구멍(35Fb)의 개구는 구형 부재(35)를 선단부에 설치하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X)의 기단부측이며, 상기 프로브(1X)의 외장 시 스(20)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 구멍(35Fb)의 개구로부터 후방을 향해 토출되는 유체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X)의 외장 시스(20)를 향해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송수 펌프(7Xa)는 소정의 삽입 형상 검출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구동 제어에 의해, 도82에 도시하는 화살표 WA를 따른 방향으로 소정의 유체(예를 들어 물 또는 윤활제 등)를 소정의 시기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유체는,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X)의 상기 관로를 거쳐서 구체 부재(35F)에 공급되고, 각 관통 구멍(35Fb)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을 향해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유체의 토출력에 의해 생기는 추진력은, 상술한 제5 실시 형태(도49 참조)에 있어서의 펌프(7a) 등과 마찬가지로 송수 펌프(7Xa)의 구동 제어에 의해 유체의 토출량의 조정을 행하여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장 시스(20)의 외표면 상에는, 예를 들어 친수 윤활 코팅 처리 등을 실시하도록 하면 더 바람직하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5 또는 제10 실시 형태 등과 대략 마찬가지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한 상기 제16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제5 실시 형태(도49조) 등과 같이 송수 펌프(7Xa)의 구동 제어에 의해 유체의 토출량의 조정 제어를 행함으로써 상기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X)의 진행량 등을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선단부 선도자로서 구체 부재(35F)를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제10 또는 제15 실시 형태 등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1X)의 외장 시스(20)의 외표면에 친수 윤활 코 팅 처리를 실시하여 구성한 경우에는, 구형 부재(35F)의 각 관통 구멍(35Fb)의 개구로부터 후방을 향해 토출되는 유체는 외장 시스(20)의 선단부 근방의 외표면 상을 습윤 상태로 하여 건조 상태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친수 윤활 코팅이 건조함으로써 자기 윤활성이 열화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 외장 시스(20)의 외표면 상은 항상 친수 윤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삽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1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선단부 선도자(구형 부재(35F))의 구 표면에 딤플을 형성한 것을 적용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체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송수 펌프(7Xa)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예를 들어 시린지 등의 수동식의 유체 공급 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를 적용하는 내시경 장치로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를 적용하는 삽입 형상 검출 장치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 대신에 일반적인 프로브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완전히 동일하고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내시경 삽입부의 삽입성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는 본 발명의 효과는 완전히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이것을 적용하는 내 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내시경의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데 앞서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내시경의 삽입을 보조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이것을 적용하는 내시경 장치에 유용하다.

Claims (47)

  1. 내시경의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데 앞서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내시경의 삽입을 보조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이며,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형상의 프로브와,
    이 프로브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선단부 선도자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 선도자는 박막형의 수지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유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는 외표면에 친수 윤활 코팅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삽입부의 위치 검출에 이용되는 자계 발생용 또는 자계 검출용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와,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가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늘고 긴 형상의 코어선과, 상기 형상 검출용 소자 및 상기 신호선 및 상기 코어선을 내부 삽입하는 외장 시스와, 선단부에 탄성 부재를 적어도 구비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4. 내시경의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데 앞서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내 시경의 삽입을 보조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이며,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형상의 프로브와,
    이 프로브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선단부 선도자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 선도자는 상기 프로브의 외표면에 친수 윤활 코팅 처리를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 윤활 코팅은 상기 프로브의 선단부 근처의 일부의 범위에만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 윤활 코팅은 상기 프로브의 외표면 전체에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삽입부의 위치 검출에 이용되는 자계 발생용 또는 자계 검출용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와,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가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늘고 긴 형상의 코어선과, 상기 형상 검출용 소자 및 상기 신호선 및 상기 코어선을 내부 삽입하는 외장 시스와, 선단부에 탄성 부재를 적어도 구비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8. 내시경의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데 앞서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내 시경의 삽입을 보조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이며,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형상의 프로브와,
    이 프로브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선단부 선도자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 선도자는 외표면 상에 친수 윤활 코팅 처리가 실시된 박막형의 관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삽입부의 위치 검출에 이용되는 자계 발생용 또는 자계 검출용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와,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가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늘고 긴 형상의 코어선과, 상기 형상 검출용 소자 및 상기 신호선 및 상기 코어선을 내부 삽입하는 외장 시스와, 선단부에 탄성 부재를 적어도 구비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10. 내시경의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데 앞서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내시경의 삽입을 보조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이며,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형상의 프로브와,
    이 프로브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선단부 선도자와,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 선도자는, 상기 프로브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유체 분출부를 갖고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 용 프로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의 외표면에는 또한 친수 윤활 코팅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 선도자는, 또한 외표면에 친수 윤활 코팅 처리가 실시되어 상기 관통 구멍 이외의 부위를 덮는 박막형의 관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 방향은, 상기 프로브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프로브의 기단부측을 향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의 외표면에는 또한 친수 윤활 코팅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 선도자는, 또한 외표면에 친수 윤활 코팅 처리가 실시되어 상기 관통 구멍 이외의 부위를 덮는 박막형의 관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 선도자는 복수의 미소 구멍을 갖는 박막형의 수지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윤활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지 부재가 상기 유체에 의해 팽창한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상기 수지 부재의 상기 미소 구멍으로부터 상기 유체에 포함되는 상기 윤활제가 침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삽입부의 위치 검출에 이용되는 자계 발생용 또는 자계 검출용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와,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가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늘고 긴 형상의 코어선과, 상기 형상 검출용 소자 및 상기 신호선 및 상기 코어선을 내부 삽입하는 외장 시스와, 선단부에 탄성 부재를 적어도 구비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18. 내시경의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데 앞서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내시경의 삽입을 보조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이며,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형상의 프로브와,
    이 프로브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선단부 선도자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 선도자는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주름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삽입부의 위치 검출에 이용되는 자계 발생용 또는 자계 검출용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와,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가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늘고 긴 형상의 코어선과, 상기 형상 검출용 소자 및 상기 신호선 및 상기 코어선을 내부 삽입하는 외장 시스와, 선단부에 탄성 부재를 적어도 구비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20. 내시경의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데 앞서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내시경의 삽입을 보조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이며,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형상의 프로브와,
    이 프로브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선단부 선도자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브는 멀티 루멘 튜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단부 선도자는, 상기 멀티 루멘 튜브 중 하나의 루멘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와이어 부재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삽입부의 위치 검출에 이용되는 자계 발생용 또는 자계 검출용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와,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가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늘고 긴 형상의 코어선과, 상기 형상 검출용 소자 및 상기 신호선 및 상기 코어선을 내부 삽입하는 외장 시스와, 선단부에 탄성 부재를 적어도 구비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22. 내시경의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데 앞서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내시경의 삽입을 보조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이며,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형상의 프로브와,
    이 프로브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선단부 선도자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 선도자는 형상 기억 소재로 이루어지는 코어선을 적어도 상기 프로브의 선단부 근방에 삽입 관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삽입부의 위치 검출에 이용되는 자계 발생용 또는 자계 검출용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와,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가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늘고 긴 형상의 코어선과, 상기 형상 검출용 소자 및 상기 신호선 및 상기 코어선을 내부 삽입하는 외장 시스와, 선단부에 탄성 부재를 적어도 구비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24. 내시경의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데 앞서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내 시경의 삽입을 보조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이며,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형상의 프로브와,
    이 프로브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선단부 선도자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 선도자는, 형상 기억 소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프로브의 외표면을 덮어 보호하는 외장 시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삽입부의 위치 검출에 이용되는 자계 발생용 또는 자계 검출용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와,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가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늘고 긴 형상의 코어선과, 상기 형상 검출용 소자 및 상기 신호선 및 상기 코어선을 내부 삽입하는 외장 시스와, 선단부에 탄성 부재를 적어도 구비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26. 내시경의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데 앞서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내시경의 삽입을 보조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이며,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형상의 프로브와,
    이 프로브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선단부 선도자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 선도자는 대략 구형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부재는 외표면에 친수 윤활 코팅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부재는 상기 프로브의 선단부에 대해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부재는 구 표면이 곡률이 다른 복수의 곡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부재는 구 표면에 표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한 오목 곡면으로 되는 딤플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부재는 구 표면 상에 상기 선단부 선도자의 진행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부를 갖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부재는 내부가 중실 또는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 선도자는 구면이 선단부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배치되는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3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삽입부의 위치 검출에 이용되는 자계 발생용 또는 자계 검출용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와,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형상 검출용 소자가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늘고 긴 형상의 코어선과, 상기 형상 검출용 소자 및 상기 신호선 및 상기 코어선을 내부 삽입하는 외장 시스와, 선단부에 탄성 부재를 적어도 구비한 삽입 형상 검출 프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와,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을 삽입부에 구비하고 관강 내의 관찰을 행하는 관찰 광학계를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에 구비하는 내시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은 선단부에 위치 검출용 위치 검출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37. 내시경의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데 앞서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내시경의 삽입을 보조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이며,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형상의 프로브와,
    이 프로브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복수 종류의 선단부 선도자와,
    상기 프로브에 대해 상기 선단부 선도자를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는 착탈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 기구는 상기 프로브의 선단부에 대해 복수 종류의 상기 선단부 선도자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기구는, 상기 프로브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나사와 상기 선단부 선도자에 형성되는 나사로 이루어지고, 양자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선단부 선도자를 상기 프로브의 선단부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기구는 끼워 맞춤 방식의 고정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 선도자는 구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부재는 구 표면이 곡률이 다른 복수의 곡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4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부재는 구 표면에 표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한 오목 곡면으로 되는 딤플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43.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부재는 구 표면 상에 상기 선단부 선도자의 진행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부를 갖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44.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부재는 내부가 중실 또는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45.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 선도자는 구면이 선단부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배치되는 반구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46. 내시경의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데 앞서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내 시경의 삽입을 보조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이며,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형상의 프로브와,
    이 프로브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선단부 선도자와,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브는 상기 유체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삽입 관통시키는 프로브측 유체 관로를 갖고,
    상기 선단부 선도자는, 상기 프로브의 선단부에 배치된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프로브측 유체 관로에 연통하는 선도자측 유체 관로와, 이 선도자측 유체 관로에 연통하는 유체 분출부가 되는 관통 구멍을 갖고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출부는 상기 프로브의 기단부측이며 상기 프로브의 외표면을 향해 유체를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KR1020067020282A 2004-03-31 2005-03-30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이것을 적용하는 내시경장치 KR100884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8360 2004-03-31
JPJP-P-2004-00108360 2004-03-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793A Division KR100889138B1 (ko) 2004-03-31 2005-03-30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이것을 적용하는 내시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009A true KR20060135009A (ko) 2006-12-28
KR100884155B1 KR100884155B1 (ko) 2009-02-17

Family

ID=350634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282A KR100884155B1 (ko) 2004-03-31 2005-03-30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이것을 적용하는 내시경장치
KR1020087012793A KR100889138B1 (ko) 2004-03-31 2005-03-30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이것을 적용하는 내시경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793A KR100889138B1 (ko) 2004-03-31 2005-03-30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이것을 적용하는 내시경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73013B2 (ko)
EP (1) EP1731082B1 (ko)
JP (1) JP4505345B2 (ko)
KR (2) KR100884155B1 (ko)
CN (1) CN1946328B (ko)
WO (1) WO20050946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1063A1 (en) * 2005-02-07 2008-04-17 Smart Medical Systems, Ltd. Endoscope assembly
JP5095124B2 (ja) * 2006-05-17 2012-12-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
JP5307338B2 (ja) * 2007-02-05 2013-10-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2008216387A (ja) * 2007-02-28 2008-09-18 Olympus Corp 内視鏡装置
US8821376B2 (en) * 2007-03-12 2014-09-02 David Tolkowsky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medical procedures in tree-like luminal structures
JP5244335B2 (ja) * 2007-05-22 2013-07-24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走式内視鏡
JP5331318B2 (ja) * 2007-08-09 2013-10-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2010145649A (ja) * 2008-12-17 2010-07-01 Olympus Corp ガイドチューブ、ガイドチューブ装置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JP5389429B2 (ja) * 2008-12-17 2014-01-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ガイドチューブ、ガイドチューブ装置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US10004387B2 (en) 2009-03-26 2018-06-26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an operator in endoscopic navigation
US8337397B2 (en) 2009-03-26 2012-12-25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sual guidance to an operator for steering a tip of an endoscopic device toward one or more landmarks in a patient
WO2011047339A2 (en) * 2009-10-15 2011-04-21 Inventio Llc Disposable and reusable complex shaped see-through endoscope
KR101021842B1 (ko) * 2009-12-29 2011-03-21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모니터링용 중공부를 포함하는 자궁경부 검사용 도관 및 이를 포함하는 검출기
IL277376B (en) 2010-03-09 2022-08-01 Smart Medical Systems Ltd Balloon endoscope and methods for its production and use
US8596137B2 (en) 2010-07-09 2013-12-03 Alliant Techsystems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relating to a sensing device
US20120172716A1 (en) * 2010-12-30 2012-07-05 Ran Sela Electromagnetic coil sensor for a medical device
JP5959150B2 (ja) * 2011-01-12 2016-08-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JP5752945B2 (ja) * 2011-01-24 2015-07-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WO2012120492A1 (en) 2011-03-07 2012-09-13 Smart Medical Systems Ltd Balloon-equipped endoscopic devices and methods thereof
US9833126B2 (en) 2011-04-05 2017-12-05 Visualization Balloons, Llc Balloon access device with features for engaging an endoscope
WO2012138815A1 (en) 2011-04-05 2012-10-11 United States Endoscopy Group, Inc. Balloon access device for endoscope
WO2014112101A1 (ja) * 2013-01-18 2014-07-24 ソラテ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心臓内壁確認用具および心臓内壁確認用器具
AU2014269901B2 (en) * 2013-05-21 2019-01-03 Smart Medical Systems Ltd Endoscope reprocessing system and method
KR101493598B1 (ko) * 2013-06-12 2015-02-23 박준모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CN103462582A (zh) * 2013-08-03 2013-12-25 徐怀 一种观察角度可调的内窥探头
CN103462583A (zh) * 2013-08-03 2013-12-25 徐怀 一种调节内窥镜观察角度的方法
US20150073216A1 (en) * 2013-09-09 2015-03-12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Endoscope for tissue dissection and visualization
JP6289120B2 (ja) * 2014-01-23 2018-03-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血管内視鏡システム
US10463235B2 (en) 2014-02-24 2019-11-05 Visualization Balloons, Llc Gastrointestinal endoscopy with attachable intestine pleating structures
CN104361608B (zh) * 2014-10-27 2017-02-01 浙江大学宁波理工学院 一种工业用柔性导管内窥镜的定位跟踪方法
US10398295B2 (en) 2014-12-22 2019-09-03 Smart Medical Systems Ltd. Balloon endoscope reprocessing system and method
WO2016121166A1 (ja) * 2015-01-29 2016-08-0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磁気センサーユニット及びこの磁気センサーユニットを備えた内視鏡
CA2979517C (en) 2015-04-03 2023-08-15 Smart Medical Systems Ltd. Endoscope electro-pneumatic adaptor
KR101720870B1 (ko) 2015-08-20 2017-03-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을 이용한 생체 조직의 특성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N105662321A (zh) * 2016-02-02 2016-06-15 杭州创辉医疗电子设备有限公司 输卵管镜系统
US11460926B2 (en) 2016-03-31 2022-10-04 Sensel, Inc. Human-computer interface system
JP6728386B2 (ja) 2016-03-31 2020-07-22 センセ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Sensel,Inc. 人間コンピュータ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US10866642B2 (en) 2016-03-31 2020-12-15 Sense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sponding to touch inputs with haptic feedback
US10564839B2 (en) 2016-03-31 2020-02-18 Sensel Inc. Method for detecting and characterizing inputs on a touch sensor surface
US11422631B2 (en) 2016-03-31 2022-08-23 Sensel, Inc. Human-computer interface system
KR101940046B1 (ko) 2016-12-22 2019-01-18 주식회사 모멘텀컨설팅 내시경 장치 및 이것의 제어 방법
KR101859717B1 (ko) 2016-12-22 2018-06-01 테라셈 주식회사 내시경 장치 및 이것의 제어 방법
JP6438177B1 (ja) * 2017-03-31 2018-12-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の先端カバー
KR20190006054A (ko) 2019-01-08 2019-01-16 주식회사 모멘텀컨설팅 내시경 장치 및 이것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48223B (de) * 1963-08-07 1967-08-24 Karl Storz Einrichtung an einem biegsamen Endoskop, das mittels einer biegsamen Leitsonde einfuehrbar ist
DE3719250A1 (de) * 1987-06-10 1988-12-22 Kellner Hans Joerg Dr Med Endoskop
US5681260A (en) * 1989-09-22 1997-10-28 Olympus Optical Co., Ltd. Guiding apparatus for guiding an insertable body within an inspected object
US5103804A (en) * 1990-07-03 1992-04-14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Expandable tip hemostatic probes and the like
JPH06217931A (ja) * 1993-01-28 1994-08-09 Olympus Optical Co Ltd 体内挿入補助具
JPH078447A (ja) * 1993-06-29 1995-01-13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の自動挿入装置
JP2758349B2 (ja) * 1993-10-08 1998-05-28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チューブおよび内視鏡
JP3435214B2 (ja) * 1994-06-14 2003-08-11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内視鏡
US5728044A (en) * 1995-03-10 1998-03-17 Shan; Yansong Sensor device for spacial imaging of endoscopes
WO1997029679A2 (en) * 1996-02-15 1997-08-21 Biosense Inc. Precise position determination of endoscopes
JP4077538B2 (ja) * 1997-09-08 2008-04-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挿入形状検出装置
JPH11290263A (ja) * 1998-04-13 1999-10-26 Hironori Yamamoto 消化管内視鏡検査に用いる内視鏡装着用バルーン、バルーン付きスライディングチューブ、及びそれらの使用方法
JP2000023909A (ja) * 1998-07-07 2000-01-25 Hironori Yamamoto 消化管内視鏡検査に用いる消化管内腔一時閉塞固定用バルーン付きカテーテル、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0262487A (ja) * 1999-03-17 2000-09-26 Olympus Optical Co Ltd Mri装置
US6689049B1 (en) * 1999-06-07 2004-02-10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e
AU2001249308A1 (en) * 2000-03-24 2001-10-15 Johns Hopkins University Peritoneal cavity device and method
JP4517321B2 (ja) * 2000-06-05 2010-08-04 有限会社エスアールジェイ オーバーチューブ
JP4633282B2 (ja) * 2001-03-12 2011-02-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JP2002301019A (ja) 2001-04-09 2002-10-15 Hironori Yamamoto 内視鏡装置
JP4526210B2 (ja) * 2001-05-24 2010-08-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挿入形状検出プローブ
US6745065B2 (en) 2001-08-02 2004-06-01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apparatus
JP3615169B2 (ja) * 2001-08-07 2005-01-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挿入形状検出プローブ
JP3923839B2 (ja) * 2002-04-03 2007-06-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形状検出装置
US6953431B2 (en) * 2002-04-11 2005-10-11 University Of South Florida Eccentric dilation balloons for use with endoscopes
JP3774901B2 (ja) * 2003-10-17 2006-05-17 フジノン株式会社 内視鏡装置用のバルーン
US20050154259A1 (en) * 2004-01-14 2005-07-14 Demarco Thomas J. Magnetically guided colonosc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46328A (zh) 2007-04-11
EP1731082A1 (en) 2006-12-13
CN1946328B (zh) 2012-04-04
KR100889138B1 (ko) 2009-03-17
EP1731082A4 (en) 2009-09-30
US20070015966A1 (en) 2007-01-18
JP2005312924A (ja) 2005-11-10
KR20080051194A (ko) 2008-06-10
WO2005094662A1 (ja) 2005-10-13
KR100884155B1 (ko) 2009-02-17
JP4505345B2 (ja) 2010-07-21
EP1731082B1 (en) 2019-02-20
US8273013B2 (en) 2012-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155B1 (ko)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이것을 적용하는 내시경장치
JP4443927B2 (ja) 電極形状を有する自動推進式管腔内器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8784298B2 (en) Instrument for an endoscope
US20060235457A1 (en) Instruments having a rigidizable external working channel
JP4435153B2 (ja) 挿入装置
US20120053419A1 (en) Highly Articulable Catheter
JP2005508710A (ja) 円筒形の中空ヘッドを備えた自動推進式の管腔内器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10265046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proper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probe positioning by using camera for ultrasound imaging
US8870817B2 (en) Methods of using an adjustable variable stiffness medical device
CN101040770A (zh) 与内窥镜一起使用的插管系统
US200902870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within a living body
WO2013122056A1 (ja) 拡張カテーテル
JP5390150B2 (ja) 補助具及び内視鏡システム
JP2005230450A (ja) ガイドワイヤ式カプセル内視鏡装置
CN101138485A (zh) 包括医疗导丝的导丝结构及其使用方法
CN213429966U (zh) 一种内镜外套装置
EP4292510A1 (en) Navigation catheter assembly with endoscopic vision probe
WO2021075229A1 (ja) 気管支鏡、及びその使用方法
WO2021075230A1 (ja) 医療器具セット、及びその使用方法
US20230240513A1 (en) Antitwist mechanism for robotic endoscope camera
JP2005168515A (ja) 内視鏡の挿入補助具
JP2022522318A (ja) カテーテルおよびチューブイントロデューサ
WO2023147188A1 (en) Launcher for introduction of a medical device
JP2020121058A (ja) ミラーカテーテル
JP2023512049A (ja) 器具付属品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430

Effective date: 200812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