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598B1 -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 Google Patents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598B1
KR101493598B1 KR20130067121A KR20130067121A KR101493598B1 KR 101493598 B1 KR101493598 B1 KR 101493598B1 KR 20130067121 A KR20130067121 A KR 20130067121A KR 20130067121 A KR20130067121 A KR 20130067121A KR 101493598 B1 KR101493598 B1 KR 101493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extension
cap
discharge
gas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918A (ko
Inventor
박준모
Original Assignee
박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모 filed Critical 박준모
Priority to KR20130067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598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7End pieces at either end of the endoscope, e.g. caps, seals or forceps 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2Devices for opening or enlarging the visual field, e.g. of a tube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 끝부분에 장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연장부를 감싸고, 기체 주입 및 배출부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하거나 상기 연장부가 안쪽으로 모이게 하는 기체 커프(air cuff)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내시경 캡이 장착된 내시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ENDOSCOPE CAP AND ENDOSCOP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장기 내부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며, 장기의 내부 공간을 벌어지게 하거나 장기 내부를 원활하게 통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이란, 내장장기(內臟臟器)나 체강(體腔) 내부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의료기구이며, 원래는 수술하거나 또는 부검(剖檢)하지 않고는 직접 병변(病變)을 볼 수 없는 장기에 대해 기계를 삽입하여 관찰하도록 창안된 기구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류로는 기관지경(氣管支鏡)·식도경(食道鏡)·위경(胃鏡)·십이지장경(十二指腸鏡)·직장경(直腸鏡)·방광경(膀胱鏡)·복강경(腹腔鏡) 등이 있고, 그 밖에 특수한 것으로 흉강경(胸腔鏡)·종격경(縱隔鏡)·심장경(心臟鏡) 등이 있다.
내시경에는 직달경(直達鏡)이라 하여 하나의 통(筒)으로 되어 있어 장기를 직접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형, 렌즈 시스템을 이용한 형, 카메라를 직접 장기에 삽입하는 형(胃카메라)과 유리섬유를 사용한 파이버스코프 등이 있다.
최근 위암(胃癌)의 조기발견 진단에 위카메라·위파이버스코프 등이 크게 활용되고 있다. 위카메라는 위 안으로 소형 카메라를 삽입, 직접 위의 점막을 촬영·기록해 미세한 위의 병변을 발견·진단할 수 있다. 위파이버스코프는 해상력(解像力)이 좋고, 점막상태를 관찰하면서 병변부 조직편을 절단해 검사할 수 있는 장치도 부착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종래 내시경의 끝부분에 장착되는 내시경 캡에는 다음과 같은 기술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43873호(2008.05.19 공개)(발명의 명칭 : 내시경용 일회용 캡)에는 "내시경의 광학 헤드(optical head)와 분리가능하게(detachably) 연결될 수 있는 캡(cap)으로서, 상기 캡은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해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에 의해 만들어지는 튜브형(tublar)의 하우징(housing)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에는, 열린 후방 끝단(rear open end)과 전방 면(frontal face)에 의해 막혀진 전방 끝단(frontal end)이 포함되고, 광학 헤드(optical head)의 뷰어(viewer)에 유해반사(parastic reflections)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티글레어 링(antiglare ring)이 포함된다. 상기 안티글레어 링은 상기 캡의 전방 면 내에 파묻혀지며, 상기 안티글레어 링에 의해 한정되는 전방 면의 부분(a portion of the frontal face)을 통해, 광학 헤드가 관심 대상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 링에는 하나 이상의 불연속 부위(discontinuity region)가 제공되어서, 상기 캡을 사출 성형하는 동안, 플라스틱 재료가 상기 불연속 부위를 통해서 흘러들어갈 수 있게 된다."라고 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12245호(2010.10.19 공개)(발명의 명칭 : 내시경용 다용도 캡)에서는, "본 발명은 일반적인 내시경 검사나 시술 시에 내시경 전면부 끝부분에 장착하여 말단부위에 광학렌즈를 보호하고, 병변 부분을 중점적으로 관찰할 때 초점을 맞추어 주는 역할을 하며 내시경용 다용도 캡은 병변 부분 관찰 및 시술을 할 때 병변 부분 부착시키거나 띄워서 관찰하는 과정을 반복하는데, 이 과정에서 각종 이물질들이 광학렌즈 시야를 흐리게 하여 관찰이 어렵게 되며 시야 개선을 위한 별도의 세척 기구를 투입하여 생리 식염수로 세척을 하고 세척 기구를 제거하여 시야 확보 후 에 관찰 및 시술을 하며 이런 과정이 장시간 반복 실시되는데, 내시경용 다용도 캡은 별도 의 세척 기구를 투입 하지 않고 캡 내부에 세척 기구를 장착하는 장착부를 통해 캡과 세척 기구를 같이 장착하여 병변 부분의 관찰과 세척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여 검사 및 시술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할 수 있고, 캡 전면부에 있는 두 개의 고정홀 을 통해서 이물질이 원활하게 흘러 내려 배출 되게 하여 시야 개선 효과를 추가한 다용도 캡으로써 내시경 검사 및 시술 시에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라고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0190호(2010.10.19)(고안의 명칭 : 내시경용 구멍 유동 캡)에서는, "본 고안은 일반적인 내시경 검사 시 내시경 전면 부 끝부분에 장착하여 광학 렌즈를 보호하고, 검사를 요하는 병변 부분 위치에 부착하여 병변 부분을 중점적으로 관찰하기위해 병변 부분 초점을 맞추는 것에 관여하는 것으로, 병변 부분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각종 시술 기구를 정렬 시키는 용도로 사용되어지며, 내시경용 캡 전면부에는 두 개의 구명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병변부위에 내시경을 부착하여 관찰 할 때 순간적인 압착으로 인해 캡 안으로 들어오는 각종 이물질들로 인해 광학 렌즈의 시야 확보가 어려워지는데 시야확보가 안될 경우 병변 부분의 관찰이 어렵고, 구멍이 있는 내시경용 구멍 유동 캡 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물질이 구멍 공간을 통해 흘러 내려 배출 되어져서 렌즈의 시야 개선을 하기 때문에 많은 내시경 검사 및 시술 시에 편리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라고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내시용 캡은 내시경의 시야 확보를 위한 기술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되지 않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43873호(2008.05.19 공개)(발명의 명칭 : 내시경용 일회용 캡)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12245호(2010.10.19 공개)(발명의 명칭 : 내시경용 다용도 캡) 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0190호(2010.10.19)(고안의 명칭 : 내시경용 구멍 유동 캡)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장기 내부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며, 장기의 내부 공간을 벌어지게 하거나 장기 내부를 원활하게 통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캡은, 내시경 끝부분에 장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연장부를 감싸고, 기체 주입 및 배출부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하거나 상기 연장부가 안쪽으로 모이게 하는 기체 커프(air cuff)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와 상기 연장부 내부에, 상기 기체 주입 및 배출부의 배출 동작시에는 상기 연장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며, 상기 기체 주입 및 배출부의 주입 동작시에는 상기 연장부가 안쪽으로 모이게 하는 스프링이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시경이 통과하는 장기의 내부 공간을 벌어지게 할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동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내시경이 장기의 내부 공간에 대해서 원활하게 통과할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가 안쪽으로 모이게 하는 동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체 주입 및 배출부는, 기체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사기; 및 상기 주사기와 연결된 연결 도관;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 커프부는, 상기 연결 도관과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연장부의 하부를 휘감아서 상기 기체 주입 및 배출부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거나 상기 연장부가 안쪽으로 모이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디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부, 상기 연장부, 상기 기체 커프부 및 기체 주입 및 배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은, 내시경 끝부분에 장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연장부를 감싸고, 기체 주입 및 배출부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하거나 상기 연장부가 안쪽으로 모이게 하는 기체 커프(air cuff)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캡이 장착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은 위에서 설명한 내시경 캡이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에 의하면,
첫째, 기체 주입 및 배출부의 동작에 따라서 연장부가 벌어지거나 모이게 되어 필요한 경우 시야 확보가 원활하게 된다.
둘째, 예를 들어, 식도 내부에 생선 가시가 박혀 있어서 이를 빼내는 시술을 하는 경우 등 장기 내부의 공간이 벌어지게 할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 본 발명에서는 기체 주입 및 배출부의 동작에 따라서 연장부가 벌어지게 하여 장기 내부의 추가적인 손상이나 위험 없이 생선 가시 등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손쉽게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캡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캡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캡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캡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캡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캡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캡은, 바디부(100)와, 연장부(200)와, 기체 커프(air cuff)부(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00)는 내시경 끝부분에 장착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내시경의 끝부분 외경에 삽입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으로, 연장부(200)는 바디부(100)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연장부(200)는, 상기 바디부(100)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90도 각도로 4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3개, 5개, 6개 등등의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상기 바디부(100)와 상기 연장부(200) 내부에, 상기 기체 주입 및 배출부(400)의 배출 동작시에는 상기 연장부(200)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며, 상기 기체 주입 및 배출부(400)의 주입 동작시에는 상기 연장부가 안쪽으로 모이게 하는 스프링이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스프링은 다양한 스프링이 사용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판넬형 스프링으로서, 평상시에는 연장부의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제작된 것으로, 기체 주입 및 배출부(400)의 주입 동작시에는 후술하는 기체 커프부(300)의 벌룬닝(ballooning) 동작에 따라서 판넬형 스프링의 외부 방향 탄성력을 넘어서서, 연장부가 안쪽으로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내시경이 통과하는 장기의 내부 공간을 벌어지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200)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동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서, 예를 들어, 식도 내부에 생선 가시가 박혀 있어서 이를 빼내는 시술을 하는 경우 등 장기 내부(식도, 대장 등)의 공간이 벌어지게 할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 기체 주입 및 배출부(400)와 연장부(200)의 동작에 따라서 연장부가 벌어지게 하여 장기 내부의 추가적인 손상이나 위험 없이 생선 가시 등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손쉽게 가능하다.
한편, 내시경이 장기의 내부 공간에 대해서 원활하게 통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200)가 안쪽으로 모이게 하는 동작을 하여 장기 내부 공간을 손쉽게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앞에서 설명한 기체 주입 및 배출부(400)는, 기체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사기(410); 및 상기 주사기(410)와 연결된 연결 도관(420);를 포함한다.
이 경우, 기체 커프부(300)는, 상기 연결 도관(420)과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100) 및 상기 연장부(200)의 하부를 휘감아서 상기 기체 주입 및 배출부(400)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200)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거나 상기 연장부(200)가 안쪽으로 모이게 된다.
여기서, 기체 커프부(300)와 연결 도관(420)은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기체 커프부(300)는, 바디부(100) 및 연장부(200)를 감싸고, 기체 주입 및 배출부(400)의 동작에 따라서 연장부(200)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하거나 연장부(200)가 안쪽으로 모이게 하는 구성이다.
위에서 설명한 상기 바디부(100), 상기 연장부(200), 상기 기체 커프부(300) 및 기체 주입 및 배출부(4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투명한 재질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은, 내시경 끝부분에 장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연장부를 감싸고, 기체 주입 및 배출부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하거나 상기 연장부가 안쪽으로 모이게 하는 기체 커프(air cuff)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캡이 장착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은 위에서 설명한 내시경 캡이 장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바디부
200...연장부
210...판넬형 스프링
300...기체 커프부
400...기체 주입 및 배출부
410...주사기
420...연결 도관

Claims (8)

  1. 내시경 끝부분에 장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 및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연장부를 감싸고, 기체 주입 및 배출부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하거나 상기 연장부가 안쪽으로 모이게 하는 기체 커프(air cuff)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와 상기 연장부 내부에, 상기 기체 주입 및 배출부의 배출 동작시에는 상기 연장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며, 상기 기체 주입 및 배출부의 주입 동작시에는 상기 연장부가 안쪽으로 모이게 하는 스프링이 내장되고,
    상기 기체 커프부는,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연장부의 하부를 휘감아서 상기 기체 주입 및 배출부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거나 상기 연장부가 안쪽으로 모이게 되는,
    내시경 캡.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내시경이 통과하는 장기의 내부 공간을 벌어지게 할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캡.
  4. 제 1 항에 있어서,
    내시경이 장기의 내부 공간에 대해서 원활하게 통과할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가 안쪽으로 모이게 하는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캡.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주입 및 배출부는,
    기체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사기; 및
    상기 주사기와 연결된 연결 도관;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 커프부는,
    상기 연결 도관과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연장부의 하부를 휘감아서 상기 기체 주입 및 배출부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거나 상기 연장부가 안쪽으로 모이게 되는,
    내시경 캡.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상기 연장부, 상기 기체 커프부 및 기체 주입 및 배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캡.
  8.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내시경 캡이 장착된 내시경.
KR20130067121A 2013-06-12 2013-06-12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KR101493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121A KR101493598B1 (ko) 2013-06-12 2013-06-12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121A KR101493598B1 (ko) 2013-06-12 2013-06-12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918A KR20140144918A (ko) 2014-12-22
KR101493598B1 true KR101493598B1 (ko) 2015-02-23

Family

ID=5259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7121A KR101493598B1 (ko) 2013-06-12 2013-06-12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937A (ko) 2020-12-08 2022-06-15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내시경 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1194A (ko) * 2004-03-31 2008-06-10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이것을 적용하는 내시경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1194A (ko) * 2004-03-31 2008-06-10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 삽입 보조용 프로브 및 이것을 적용하는 내시경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937A (ko) 2020-12-08 2022-06-15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내시경 캡
KR20230035538A (ko) 2020-12-08 2023-03-14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내시경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918A (ko) 201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1448A1 (en) Optical Coupler For An Endoscope
JP4772450B2 (ja) 内視鏡
EP3420886B1 (en) Flexible electronic circuit board multi-camera endoscope
US20130150670A1 (en) Thoracic scope port cleaner
JP5432562B2 (ja) 内視鏡清浄器
US20130150674A1 (en) Thoracic scope port sponge cleaner
JP2006014960A (ja) 内視鏡
WO2012120507A1 (en) Multi-element cover for a multi-camera endoscope
JP2014524819A (ja) マルチカメラ内視鏡
US8303489B2 (en) Endoscope with built-in filtering means
JP2010522025A5 (ko)
EP2074929A1 (en) Endoscope main body and endoscope
BR112019004451B1 (pt) Endoscópio flexível
JP2021520929A (ja) 内視鏡検査を無汚染で実行する装置及び方法
JP2011067532A (ja) 内視鏡用補助具及び内視鏡
KR101493598B1 (ko)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JP5836505B2 (ja) 内視鏡用アダプタ及び内視鏡
JP5400118B2 (ja) 内視鏡用鉗子栓
WO2017132057A1 (en) Multi-element cover for a multi-camera endoscope
US20210315442A9 (en) Optical Coupler for an Endoscope
WO2012065940A1 (en) Medical device for using an endoscopic instrument for diagnostic or operating purposes, particularly in urology and gynecology
JP5283463B2 (ja) 内視鏡
KR200492148Y1 (ko)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JP2009183333A (ja) 検診用内視鏡
KR20100010190U (ko) 내시경용 구멍 유동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