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937A - 내시경 캡 - Google Patents

내시경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937A
KR20220080937A KR1020200170233A KR20200170233A KR20220080937A KR 20220080937 A KR20220080937 A KR 20220080937A KR 1020200170233 A KR1020200170233 A KR 1020200170233A KR 20200170233 A KR20200170233 A KR 20200170233A KR 20220080937 A KR20220080937 A KR 20220080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inner diameter
endoscope cap
rear en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희
한정호
Original Assignee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0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0937A/ko
Publication of KR20220080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937A/ko
Priority to KR1020230012195A priority patent/KR20230035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7End pieces at either end of the endoscope, e.g. caps, seals or forceps 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1Manufacturing of endoscop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mea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e.g. by using a sanitary shea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내시경 캡은, 전단부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후단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후단부 내경이 내시경 본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공차값에 따라 형성되는 원통형의 본체; 및 상기 전단부 내경 및 후단부 내경을 구획하되, 상기 본체의 후단부에 상기 내시경 본체가 장착될 경우 상기 내시경 본체의 전면 선단부가 지지되도록 단을 이루며 형성되는 장착단;을 포함함으로써, 인체 내부의 마찰력 증감에 상관없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시경 캡{ENDOSCOPE CAP}
본 발명(Disclosure)은, 내시경 캡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내시경 캡에 구비되는 원통형 본체의 내부에 내시경 본체가 장착되는 장착단을 이루도록 형성하되, 기 설정된 공차값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인체 내부의 마찰력 증감에 상관없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내시경 캡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내시경(endoscope)이란 원래는 수술을 하거나 또는 부검을 하지 않고서는 직접 병변을 볼 수 없는 장기에 대하여 기계를 삽입하여 관찰하도록 고안된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류로는 기관지경, 식도경, 위경, 십이지장경, 직장경, 방광경, 복강경 등이 있고, 그 밖에 특수한 것으로는 흉강경, 종격경, 심장경 등이 있다.
이러한 내시경에는 직달경이라 하여 1개의 통으로 되어 있어서 장기를 직접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형, 렌즈시스템을 이용한 형, 카메라를 직접 장기에 삽입하는 형(위카메라), 유리섬유를 사용한 파이버스코프 등이 있다.
최근에는 위암의 조기발견 진단에 위카메라 혹은 위파이버스코프 등이 크게 활용되고 있는데, 위카메라는 위 안으로 소형 카메라를 삽입하여 직접 위의 점막을 촬영 및 기록하여 미세한 위의 병변을 발견하거나 진단할 수 있고, 위파이버스코프는 해상력이 좋을 뿐만 아니라, 점막상태를 관찰하면서 병변부 조직을 절단하여 검사할 수 있는 장치도 부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화기, 특히 위에 관한 내시경의 고도발달로 인해 보통 내시경이라고 하면 위카메라 혹은 위파이버스코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내시경 검사나 시술 시에는 위장 혹은 대장의 주름구간 혹은 중첩된 구간에 숨어있는 암 혹은 용종 조직을 찾기 위해 스콥을 도구처럼 사용하여 들춰내면서 육안으로 확인을 해야 하는데, 스콥으로 직접적으로 헤집고 다니면 카메라 렌즈에 이물질이 묻어 시야 확보에 문제가 생기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시경 캡을 사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내시경 캡은 인체 내부에 내시경을 삽입할 경우 삽입 시 내부면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내시경 캡에서 카메라가 돌출되거나, 혹은 내시경 시술 후 내시경을 인체 외부로 빼낼 경우 대장 또는 위의 액으로 인해 마찰력이 감소되어 내시경 캡이 탈착된 상태로 카메라만 회수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정밀한 치수로 제작되어야 한다.
또한, 내시경 캡은 인체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인체의 내부 조직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내시경 캡을 제조해야만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3598호(2015.02.09.등록)
본 발명(Disclosure)은, 내시경 캡에 구비되는 원통형 본체의 내부에 내시경 본체가 장착되는 장착단을 이루도록 형성하되, 기 설정된 공차값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인체 내부의 마찰력 증감에 상관없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내시경 캡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Disclosure)은, 내시경 캡에 구비되는 원통형 본체의 전면부에 기 설정된 곡률값을 갖도록 라운드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인체 내부의 조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내시경 캡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내시경 캡은, 전단부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후단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후단부 내경이 내시경 본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공차값에 따라 형성되는 원통형의 본체; 및 상기 전단부 내경 및 후단부 내경을 구획하되, 상기 본체의 후단부에 상기 내시경 본체가 장착될 경우 상기 내시경 본체의 전면 선단부가 지지되도록 단을 이루며 형성되는 장착단;을 포함한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내시경 캡에서, 상기 기 설정된 공차값은, 상기 내시경의 전단부 외경보다 0.05-0.08 mm 작은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내시경 캡에서, 상기 본체는, 전면부에 조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곡률값에 따라 라운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내시경 캡에서, 상기 기 설정된 곡률값은, 상기 내시경 본체의 전단부 외경에 대해 1/0.065-1/0.086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내시경 캡에서, 상기 본체는, 카메라선이 출입할 수 있도록 전단부 측면에 내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내시경 캡에서, 상기 관통홀은, 2.8-3.2 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내시경 캡에서, 상기 본체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제조되되,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할 경우 수축률을 고려하여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 캡에 구비되는 원통형 본체의 내부에 내시경 본체가 장착되는 장착단을 이루도록 형성하되, 기 설정된 공차값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인체 내부의 마찰력 증감에 상관없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 캡에 구비되는 원통형 본체의 전면부에 기 설정된 곡률값을 갖도록 라운드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인체 내부의 조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캡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캡을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캡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캡은 몸체(110), 장착단(120), 관통홀(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면저, 내시경 본체(10)는 긴 튜브 형상으로, 내시경 본체(10)의 내부에는 인체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2)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인체의 내부 촬영 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미도시됨)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내시경 본체(10)의 내부에는 카메라(12)에 인접하여 용종의 병변을 절제할 겸자 기구가 출입하거나 채취된 조직 샘플을 흡입하기 위한 작업 채널(14)이 내시경 본체(10)의 선단부터 후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체 내부의 내시경 시술을 위한 내시경 본체(10)는 그 직경에 따라 13mm, 14mm 등의 두가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내시경 본체(10)는 그 전단부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캡이 결합될 수 있는데, 본체(110)는 전단부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후단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되, 후단부 내경이 내시경 본체(10)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공차값에 따라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0)는 대략 1-1.2mm의 두께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공차값은 내시경 본체(10)의 전단부 외경보다 0.05-0.08 mm 작은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체(110)의 내경이 내시경 본체(10)와 1:1로 제작될 경우(즉, 본체(110)의 내경과 내시경 본체(10)의 외경이 동일하게 제작될 경우) 내시경 본체(110)의 전단부에 내시경 캡을 결합시켜 장착한 후에, 인체 내부에 삽입하게 되면, 인체 내부면의 마찰력으로 인해 내시경 캡의 전단 방향으로 내시경 본체(10)가 돌출되거나, 혹은 내시경 시술 후에 위나 대장에서 발생되는 액으로 인해 인체 내부면에 대한 마찰력이 감소되어 내시경 캡이 내시경 본체(10)에서 탈착되어 내시경 본체(10)만이 인체 내부에서 인출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에 따라 내시경 본체(10)의 전단부 외경보다 더 작은 값을 갖도록 본체(110)의 내경을 설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시경 캡의 후단부에 내시경 본체(10)가 인위적으로 삽입 및 장착될 경우, 또는 내시경 캡에서 내시경 본체(10)를 탈착할 경우 일정 정도의 힘을 가하여야 할 정도로 공차값을 설정하여 설계되어야 하며, 인체 내에 삽입되었을 경우 마찰력으로 인해 탈착되지 않을 정도의 공차값을 설정하여 설계되어야만 한다.
한편, 본체(110)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제조되되,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할 경우 수축률을 고려하여 성형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110)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우레탄(PU)은 금형 설계 시에 폴리우레탄 소재의 수축률을 고려하여 설계 및 제조해야만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캡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에 경도가 75A, 80A, 90A, 55D 등인 폴리우레탄을 주입 및 제조하는 과정을 테스트한 결과, 80A의 경도를 갖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내시경 캡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폴리우레탄 소재의 경도가 강할 경우 내시경 캡에 장착되는 내시경 본체(10)가 탈착되기 쉽고, 경도가 약할 경우 내시경 캡에서 내시경 본체(10)의 탈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80A의 경도를 갖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본체(110)를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수축률은 대략 0.006mm이기 때문에, 금형을 이용한 본체(110)의 제조 시 이 수축률을 고려하여 성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체(110)의 전면부에는 조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곡률값에 따라 라운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기 설정된 곡률값은 내시경 본체(10)의 전단부 외경에 대해 1/0.065-1/0.086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체(110)의 전면부는 내시경 본체(10)의 장착 후 인체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 조직에 접촉하여 이동해야만 하기 때문에, 내부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드럽게 삽입 및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전체 직경에 대응하는 곡률값을 갖도록 전면 선단부의 가장자리를 라운드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13mm 내시경의 경우 대략 0.85R 정도의 R값을 부여하여 그 곡률값은 대략 1/0.065로 설정할 수 있고, 14mm 내시경의 경우 대략 1.2R 정도의 R값을 부여하여 그 곡률값은 대략 1/0.086로 설정할 수 있다.
장착단(120)은 전단부 내경 및 후단부 내경을 구획하되, 본체(110)의 후단부에 내시경 본체(10)가 장착될 경우 내시경 본체(10)의 전면 선단부가 지지되도록 단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단부 내경이 후단부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되, 전단부 내경보다 기 설정된 공차값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도록 후단부 내경이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중앙부 내주면에는 전단부 내경과 후단부 내경을 구획하면서 폭방향으로 전단부의 후방 선단부(즉, 후단부의 전방 선단부)에서 단을 이루며 확장되는 장착단(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착단(120)을 기준으로 후단부 내경이 전단부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대략 0.2-0.3mm만큼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시경 캡에 삽입 장착된 내시경 본체(10)는 장착단(120)에 접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인체 내부에 삽입될 경우에도 내시경 캡의 전단 방향으로 내시경 본체(10)가 돌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후단부 내경은 내시경 본체(10)의 장착을 위해 내시경 본체(10)의 외경보다 0.05-0.08 mm 작은값으로 형성됨으로써, 내시경 캡에 내시경 본체(10)를 삽입 장착하거나, 혹은 탈착시킬 경우, 혹은 인체 내 삽입 시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관통홀(130)은 카메라선이 출입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전단부 측면에 내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2.8-3.2 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시경 시술 시 위 또는 대장의 표면 조직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 카메라(12)를 돌출시켜 측면 조직을 촬영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관통홀(130)을 본체(110) 측면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 캡에 구비되는 원통형 본체의 내부에 내시경 본체가 장착되는 장착단을 이루도록 형성하되, 기 설정된 공차값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인체 내부의 마찰력 증감에 상관없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 캡에 구비되는 원통형 본체의 전면부에 기 설정된 곡률값을 갖도록 라운드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인체 내부의 조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전단부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후단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후단부 내경이 내시경 본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공차값에 따라 형성되는 원통형의 본체; 및
    상기 전단부 내경 및 후단부 내경을 구획하되, 상기 본체의 후단부에 상기 내시경 본체가 장착될 경우 상기 내시경 본체의 전면 선단부가 지지되도록 단을 이루며 형성되는 장착단;을 포함하는 내시경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공차값은, 상기 내시경 본체의 전단부 외경보다 0.05-0.08 mm 작은값으로 설정되는 내시경 캡.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면부에 조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곡률값에 따라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는 내시경 캡.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곡률값은, 상기 내시경 본체의 전단부 외경에 대해 1/0.065-1/0.086으로 설정되는 내시경 캡.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카메라선이 출입할 수 있도록 전단부 측면에 내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내시경 캡.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2.8-3.2 mm의 크기로 형성되는 내시경 캡.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제조되되,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할 경우 수축률을 고려하여 성형되는 내시경 캡.
KR1020200170233A 2020-12-08 2020-12-08 내시경 캡 KR202200809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233A KR20220080937A (ko) 2020-12-08 2020-12-08 내시경 캡
KR1020230012195A KR20230035538A (ko) 2020-12-08 2023-01-30 내시경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233A KR20220080937A (ko) 2020-12-08 2020-12-08 내시경 캡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195A Division KR20230035538A (ko) 2020-12-08 2023-01-30 내시경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937A true KR20220080937A (ko) 2022-06-15

Family

ID=819874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233A KR20220080937A (ko) 2020-12-08 2020-12-08 내시경 캡
KR1020230012195A KR20230035538A (ko) 2020-12-08 2023-01-30 내시경 캡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195A KR20230035538A (ko) 2020-12-08 2023-01-30 내시경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8093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598B1 (ko) 2013-06-12 2015-02-23 박준모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598B1 (ko) 2013-06-12 2015-02-23 박준모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538A (ko)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4234B2 (en) Tip portion of an endoscope
US8167893B2 (en)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EP2022387B1 (en)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US8882656B2 (en) Diagnostic catheter using a vacuum for tissue positioning
US7771349B2 (en) Endoscope
US20030229269A1 (en) Scope sleeve
JP6571183B2 (ja) 心嚢内視鏡システム
US20050043584A1 (en) Endoscope hood
JP2006280602A (ja) 内視鏡
US20100324574A9 (en) Bead for stitching, vacuum cap for suction internal organ and apparatus for stitching internal organ using the same
US20220160218A1 (en) Endoscopic devices and related methods
JP4524393B2 (ja) ラパロポート
CN114176481A (zh) 一种内窥镜前端组件、内窥镜及制造方法
JP5840329B2 (ja) 体液採取用デバイス
KR20220080937A (ko) 내시경 캡
US20200069154A1 (en) Endoscopic puncture needle
JP2009268753A (ja) 内視鏡用処置具
CN211408991U (zh) 胃镜管鞘
JP2007215731A (ja) 超音波内視鏡
KR101633736B1 (ko) 내시경
JP5283463B2 (ja) 内視鏡
JP2004223032A (ja) 圧迫止血装置
JP2007029291A (ja) 内視鏡装置、内視鏡装置の使用方法、内視鏡処置具
KR102342696B1 (ko) 내시경 캡
KR101493598B1 (ko)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