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441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441A
KR20060133441A KR1020050111765A KR20050111765A KR20060133441A KR 20060133441 A KR20060133441 A KR 20060133441A KR 1020050111765 A KR1020050111765 A KR 1020050111765A KR 20050111765 A KR20050111765 A KR 20050111765A KR 20060133441 A KR20060133441 A KR 20060133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rocess cartridge
side plate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0158B1 (ko
Inventor
도루 오자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3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84Projections on process cartridge for guiding mounting thereof in main mach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사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측판과, 상기 제 1 측판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 배치되는 다른 장치가 사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 2 측판이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장품(電裝品)이 상기 제 2 측판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 장치 본체, 용지 트레이, 배출 트레이, 반송로, 반송 롤러쌍, 감광체 드럼, 대전 롤러, 노광 장치, 현상 롤러, 전사 장치, 정착 장치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상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상 형성 장치 12 장치 본체
14 용지 트레이 20 배출 트레이
22 제 1 반송로 24 반송 롤러쌍
30 감광체 드럼 32 대전 롤러
34 노광 장치 36 현상 롤러
38 전사 장치 40 정착 장치
46 제 2 반송로 48 반송 롤러쌍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전장(電裝) 유닛을 케이싱 프레임의 측판 외측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하고, 또한 전장 유닛의 외측을 케이싱으로 덮은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2-185154호 공보).
그러나, 전장 유닛을 케이싱 프레임의 측판 외측에 배치하면, 그 전장 유닛의 폭만큼 장치 전체의 폭이 커져 장치의 소형화를 저해한다.
또한, 종렬 배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전사 벨트를 구비한 다색 화상 형성 장치에서,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노광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3-208024호 공보).
그러나, 일본국 특개 2003-208024 호 공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구동 모터나 기판 등의 전장품(電裝品)을 측판의 내측에 배치한 경우는 노광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등을 위한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구동 모터나 기판 등의 전장품을 측판의 외측에 배치한 경우는 장치 전체의 폭이 커져 장치의 소형화를 저해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장치 전체의 폭을 작게 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aspect)은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사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측판과, 상기 제 1 측판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 배치되는 다른 장치가 사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 2 측판과, 상기 제 2 측판의 외측에 배치된 전장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사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측판과, 상기 제 1 측판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 배치되는 다른 장치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 2 측판을 일체로 설치한 프레임과, 상기 제 2 측판의 외측에 배치된 전장품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측판과 상기 제 2 측판이 굴곡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대략 H자 형상 또는 대략 コ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장품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투영면 내에 적어도 일부가 걸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은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적어도 감광체를 구비한 프로세스부가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측판과, 상기 제 1 측판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 배치되는 다른 장치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 2 측판과, 상기 제 2 측판의 외측에 배치된 전장품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에 관하여 이루어지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른 실시예의 일례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는 장치 본체(12)를 구비하고, 장치 본체(12)의 하부에는 용지(기록 매체)(P)가 다발 형상으로 적층되어 수납되는 용지 트레이(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용지 트레이(14)의 선단측(도 1에서 우단측)의 상부에는, 용지(P) 상면의 선단 측에 압접(壓接)하여 용지 트레이(14) 내로부터 용지(P)를 꺼내는 피드 롤러(1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용지 트레이(14)의 선단부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완만하게 만곡하고, 장치의 전방측(도 1에서 우측)에서 위쪽을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1 반송로(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반송로(22)를 따라 용지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용지(P)를 삽입 반송하는 복수(예를 들면, 2개)의 반송 롤러쌍(24),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P)를 정전 흡착하여(electrostatically attracted and attached to) 반송하는 무단(無端) 형상의 반송 벨트(26)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벨트(26)는 제 1 반송로(22)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제 1 반송로(22)의 한쪽 측 노면(路面)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반송 벨트(26)는 위쪽에 배치된 스패닝 롤러(spanning roller; 27)와, 아래쪽에 배치된 스패닝 롤러(29)에 걸쳐져 있고, 스패닝 롤러(27) 및 스패닝 롤러(29)의 한쪽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반송 벨트(26)가 A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반송 벨트(26)의 용지 반송 방향 상류 측에는, 반송 벨트(26)의 표면 위를 대전시키는 동시에, 반송 벨트(26)에 정전 흡착되는 용지(P)를 반송 벨트(26)에 누르는 대전 롤러(31)가 반송 벨트(26)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반송로(22)를 사이에 두고 반송 벨트(26)에 대향하는 가로 방향에는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 색에 대응한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가 제 1 반송로(22)를 따라 장치 본체(12)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종렬 배치되어 있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는 각각 소정 방향(도 1에서, 반 시계 회전)으로 회전하는 감광체 드럼(30)을 구비하고, 작상(作像) 프로세스에 관련되는 프로세스부로서 기능한다.
감광체 드럼(30)의 주위에는, 감광체 드럼(30)(화상 담지체)의 회전 방향 상류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각각 감광체 드럼(30)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32)와, 감광체 드럼(30) 위에 형성된 잠상에 각 색의 토너를 부착시켜 현상하는 현상 롤러(36)가 설치되어 있다.
노광 장치(34)의 배면측(도 1에서 좌측)에는, 감광체 드럼(30)에 노광하여 감광체 드럼(30) 위에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34)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35)(도 2 참조)이 노광 장치(34)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 벨트(26)의 내주 측에는, 감광체 드럼(30)에 대향하는 가로 방향으로 각각 감광체 드럼(30) 위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용지(P)에 소정의 전사 위치에서 전사하는 전사 장치(38)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벨트(26)로부터 용지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P)에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40), 용지(P)를 삽입 반송하는 반송 롤러쌍(42), 용지(P)를 배출 트레이(catch tray)(20)로 배출하는 배출 롤러쌍(4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를 반전시켜, 다시 제 1 반송로(22)로 되돌려 보내기 위한 제 2 반송로(46)가 반송 벨트(26)를 사이에 두고 제 1 반송로(22)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반송로(46)에는, 용지(P)를 아래쪽으로 삽입 반송하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반송 롤러쌍(48)이 배치되어 있고, 양면에 화상을 형성할 때에는 한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는 배출 롤러쌍(44)에 의해 스위치백(switchback)되어 제 2 반송로(46)에 인도되고, 복수의 반송 롤러쌍(48)에 의해 아래쪽으로 반송되어 제 1 반송로(22)로 되돌려 보내진다.
다음에,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하는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용지(P)의 한쪽 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용지 트레이(14)로부터 꺼내진 용지(P)는 복수의 반송 롤러쌍(24)에 의해 반송로(22)가 위쪽으로 반송되고, 반송 벨트(26)로 전송된다. 반송 벨트(26)로 전송된 용지(P)는 대전 롤러(31)에 의해 반송 벨트(26)에 눌러지는 동시에, 대전된 반송 벨트(26)에 정전 흡착되어 위쪽으로 반송되고,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 색에 대응한 소정의 전사 위치로 순차 전송된다.
소정의 전사 위치로 전송된 용지(P)는 감광체 드럼(30) 위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 화상이 전사 장치(38)에 의해 전사되어 풀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용지(P)는 또한 정착 장치(40)로 반송되고, 전사된 토너 화상이 정착 장치(40)에 의해 정착되어 배출 롤러쌍(44)에 의해 배출 트레이(20)로 배출된다.
또한, 용지(P)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토너 화상이 정착 장치(40)에 의해 정착되어 한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배출 롤러쌍(44)에서 스위치백하고, 한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는 반전하여 제 2 반송로(46)로 전송된다. 제 2 반송로(46)로부터 다시 제 1 반송로(22)로 전송되어 다른 한쪽 면 측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화상이 형성되고, 용지(P)의 양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일련의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해진다.
다음에,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 및 노광 장치(34)가 장착되는 프레임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치 본체(12)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에서 보면 대략 H형 형상을 한 프레임(70)이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70)은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측판(70A)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 측판(70A)의 간격은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케이싱(33)의 측면(29A)으로부터 측면(29B)까지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70)은 제 1 측판(70A)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 2 측판(70B)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 측판(70B)의 간격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케이싱(33)의 측면(29A)으로부터 측면(29B)까지의 길이보다도 짧고, 프로세스 카트리지 (28Y, 28M, 28C, 28K)에 구비된 감광체 드럼(30)의 축 방향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제 1 측판(70A)과 제 2 측판(70B)은 각각 연결판(70C)으로 연결되고, 제 1 측판(70A)과 연결판(70C)이 연결되어 있는 연결 부분, 제 2 측판(70B)과 연결판(70C)이 연결되어 있는 연결 부분에서는 프레임(70)은 굴곡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 1 측판(70A)은 각각 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된 칸막이 판(70D)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제 1 측판(70A), 제 2 측판(70B), 연결판(70C) 및 칸막이 판(70D)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판(70E) 위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세워 설치되고, 제 1 측판(70A), 제 2 측판(70B), 연결판(70C), 칸막이 판(70D) 및 바닥판(70E)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측판(70A), 제 2 측판(70B), 연결판(70C), 칸막이 판(70D) 및 바닥판(70E)은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 판(70D)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 및 반송 벨트(26)가 수용되는 영역과, 노광 장치(34) 및 노광 장치(34)의 전원(35)이 수용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동시에, 한 쌍의 제 1 측판(70A)을 연결함으로써 제 1 측판(70A)의 강성을 높이는 역할도 하고 있다.
또한, 칸막이 판(70D)에는, 노광 장치(34)로부터 감광체 드럼(30)에 조사되는 노광 빔이 통과되는 슬릿(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 측판(70A) 사이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 배열의 길이 방향이 제 1 측판(70A)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가 장착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손잡이(58) 사이에 반송 벨트(26)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측판(70B) 사이에는 노광 장치(34) 및 노광 장치(34)의 전원(35)이 장착되어 있다.
한쪽(도 2에서 하측)의 제 2 측판(70B) 외측에는, 전장품으로서의 화상 형성 동작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전자 부품이 일체로 구성된 기판(60)이 배치되어 있다.
기판(60)은 한쪽(도 2에서 하측)의 제 1 측판(70A) 외면(外面)의 위치보다 내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기판(60)은 제 1 측판(70A)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선(일점쇄선 A)보다 안쪽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6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투영면 내에 적어도 일부가 걸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기판(6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측면(29A)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선(일점쇄선 B)보다 안쪽 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다른 쪽(도 2에서 상측)의 제 2 측판(70B) 외측에는, 전장품으로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에 구비된 감광체 드럼(30)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62)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 모터(62)는 제 1 측판(70A)과 제 2 측판(70B)에 고정된 부착판(64)에 축지(軸支)되어 있다. 구동 모터(62)의 구동축(62A)은 감광체 드럼(30)의 회전축(30A)과, 연결부(66)에 의해 연결되고, 구동 모터(62)의 구동력이 감광체 드럼(30) 의 회전축(30A)에 전달되어 감광체 드럼(30)이 회전한다.
구동 모터(62)는 다른 쪽(도 2에서 상측) 제 1 측판(70A)의 외면의 위치보다 내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구동 모터(62)는 제 1 측판(70A)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선(일점쇄선 C)보다 안쪽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 모터(6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투영면 내에 적어도 일부가 걸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구동 모터(6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측면(29B)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선(일점쇄선 D)보다 안쪽 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실시예에 대해서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광 장치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 2 측판(70B)의 간격을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측판(70A)의 간격보다 좁게 하고, 그 제 2 측판(70B)의 외측에 전장품으로서의 기판(60) 및 구동 모터(62)를 배치하고 있다.
감광체 드럼(30)의 축 방향 길이는 화상을 형성하는 용지(P)의 폭보다 작게 할 수 없으므로, 감광체 드럼(30)을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폭을 작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가 장착되는 제 1 측판(70A)의 간격을 좁히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한편, 한 쌍의 제 2 측판(70B) 사이에 장착되는 노광 장치(34)는 감광체 드럼(30)과는 달리, 화상을 형성하는 용지(P)의 폭에 반드시 좌우되지 않고, 장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측판(70A)의 간격보다 노광 장치(34)가 장착되는 제 2 측판(70B)의 간격을 좁게 하고, 그 외측에 기판(60) 및 구동 모터(62)를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판(60) 및 구동 모터(62)를 측판의 외측에 배치한 경우에도 장치 전체의 폭을 작게 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판(60) 및 구동 모터(62) 등의 전장품을 측판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배선이 용이해지고, 또한 조립시에 일체화하기 쉬우며, 조립 후의 보수나 교환 등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측판(70A)의 간격을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케이싱 길이와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하고, 제 2 측판(70B)의 간격을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케이싱 길이보다도 짧고, 또한 제 2 측판(70B)의 간격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에 구비된 감광체 드럼(30)의 축 방향 길이보다도 짧다. 이 때문에, 또한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없애고, 장치 전체의 폭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프레임(70)은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간격이 다른 제 1 측판(70A) 및 제 2 측판(70B)을 구비하고 있어도, 강도를 손상하는 일 없이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판(70C)은 제 1 측판(70A)과 제 2 측판(70B)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에서, 제 1 측판(70A)과 제 2 측판(70B)에 대하여 굴곡된 굴곡 연결부를 구성하 고 있으므로, 제 1 측판(70A) 및 제 2 측판(70B)의 비틀림 강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레임(70)은 위쪽에서 보아 대략 H형 형상이었지만,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판(70D)이 없이 제 2 측판(70B)의 배면측을 연결하는 배면판(70F)을 구비하고, 제 1 측판(70A)의 전방측이 개구된 대략 コ자 형상일 수도 있다. 즉, 한 쌍의 제 1 측판(70A)과, 그 제 1 측판(70A)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의 한 쌍의 제 2 측판(70B)을 구비하는 프레임이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 1 측판(70A)과 한 쌍의 제 2 측판(70B)은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제 1 측판(70A) 및 제 2 측판(70B)은 각각 독립된 프레임으로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레임(70)은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반드시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본 발명의 프레임으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제일 수도 있고, 또한 프레임의 일부가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장품으로서 기판(60) 및 구동 모터(62)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의 전장품으로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화상 형성처리에 사용되는 센서나, 전원이나 기판 등을 배선하는 하니스(harness), 다른 기기와 접속하여 교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기타 구성 부품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그 구동 모터에 전력을 부여하는 전원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를 구비하는 구성이지만, 본 발명의 구성으로서는 단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일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제 2 측판(70B) 사이에는 노광 장치(34)가 배치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지만, 노광 장치(34)에 대체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공급되는 토너가 수용된 토너 카트리지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스 카트리지와는 별도로서 토너 카트리지를 갖는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체하여 감광체 드럼(30) 등이 장치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장치 전체의 폭을 작게 하여 장치의 소형화할 수 있다.

Claims (20)

  1.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사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측판과,
    상기 제 1 측판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 배치되는 다른 장치가 사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 2 측판과,
    상기 제 2 측판의 외측에 배치된 전장품(電裝品)
    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배치되는 다른 장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설치된 감광체를 노광하는 노광 장치, 또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공급되는 토너가 수용된 토너 카트리지인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판의 간격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케이싱 길이와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판의 간격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케이싱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판의 간격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구비된 화상 담지체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투영면 내에 적어도 일부가 걸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투영면 내에 적어도 일부가 걸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투영면 내에 적어도 일부가 걸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투영면 내에 적어도 일부가 걸리도 록 배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투영면 내에 적어도 일부가 걸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판과 상기 제 2 측판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판 및 상기 제 2 측판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측판 및 상기 제 2 측판이 굴곡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대략 H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측판 및 상기 제 2 측판이 굴곡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판과 상기 제 2 측판은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판과 상기 제 2 측판은 일부가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판과 상기 제 2 측판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판과 상기 제 2 측판은 굴곡 연결부로 연결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9.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사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측판과, 상기 제 1 측판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 배치되는 다른 장치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 2 측판을 일체로 설치한 프레임과,
    상기 제 2 측판의 외측에 배치된 전장품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측판과 상기 제 2 측판이 굴곡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대략 H자 형상 또는 대략 コ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장품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투영면 내에 적어도 일부가 걸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20.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적어도 감광체를 구비한 프로세스부가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측판과,
    상기 제 1 측판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 배치되는 다른 장치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 2 측판과,
    상기 제 2 측판의 외측에 배치된 전장품
    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0050111765A 2005-06-20 2005-11-22 화상 형성 장치 KR100740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79654 2005-06-20
JP2005179654A JP4765428B2 (ja) 2005-06-20 2005-06-20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441A true KR20060133441A (ko) 2006-12-26
KR100740158B1 KR100740158B1 (ko) 2007-07-18

Family

ID=3757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765A KR100740158B1 (ko) 2005-06-20 2005-11-22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95006B2 (ko)
JP (1) JP4765428B2 (ko)
KR (1) KR100740158B1 (ko)
CN (1) CN10047415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6221A (ja) * 2007-11-09 2009-05-2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側板保持治具、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256959B2 (ja) * 2008-09-19 2013-08-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1661243B (zh) * 2009-09-25 2011-12-28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形成装置的框架
JP6987512B2 (ja) * 2017-03-03 2022-01-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808807B2 (ja) * 2019-12-17 2021-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5319A (en) * 1986-08-05 1988-11-15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graphic apparatus
JPH01179168A (ja) * 1988-01-08 1989-07-1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EP0720343B1 (en) * 1994-12-28 2002-03-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H0943929A (ja) * 1995-05-19 1997-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写真複写装置
KR19980037685A (ko) * 1996-11-22 1998-08-05 박병재 차량의 보조 시트 록킹장치
JP3679259B2 (ja) * 1998-04-09 2005-08-03 シャープ株式会社 支持構造体
JP3728990B2 (ja) * 1999-08-31 2005-12-2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323525B1 (ko) * 1999-11-08 2002-02-19 박찬호 강관 성형장치
JP2002169353A (ja) * 2000-12-05 2002-06-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107545B2 (ja) * 2000-12-18 2008-06-25 株式会社リコー 電装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WO2003036267A2 (en) * 2001-10-19 2003-05-01 Monogen, Inc.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 cytology layer
JP2003208074A (ja) * 2002-01-11 2003-07-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4017375A (ja) * 2002-06-13 2004-01-22 Citizen Watch Co Ltd プリンタ
JP2004157463A (ja) * 2002-11-08 2004-06-03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3985710B2 (ja) * 2003-03-31 2007-10-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本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7123856B2 (en) * 2003-06-25 2006-10-17 Kyocera Mita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5037629A (ja) * 2003-07-18 2005-02-1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95006B2 (en) 2008-07-01
KR100740158B1 (ko) 2007-07-18
US20060285875A1 (en) 2006-12-21
CN100474157C (zh) 2009-04-01
JP2006350234A (ja) 2006-12-28
CN1885190A (zh) 2006-12-27
JP4765428B2 (ja)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0535B2 (ja) 画像形成装置
EP2256559B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29276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ユニット
JP200726115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69528A (ja) 画像形成装置
JP7353778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8031087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60133441A (ko) 화상 형성 장치
CN105068395B (zh) 成像设备和盒
JP6003342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00023523A (ko) 화상형성장치
JP5316109B2 (ja) 画像形成装置
JP5446193B2 (ja) 画像形成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842597B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including an overlap between portions of a photosensitive drum and an adjacent developer unit
US774272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mpactly arranged image forming devices
US2024013430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lurality of stations
EP2080623A2 (en) Line head and image form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1110747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62809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4109466A (ja) 画像形成装置
JP608620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6219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96427A (ja) 電子機器
JP501581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421151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