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631A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631A
KR20060131631A KR1020060052428A KR20060052428A KR20060131631A KR 20060131631 A KR20060131631 A KR 20060131631A KR 1020060052428 A KR1020060052428 A KR 1020060052428A KR 20060052428 A KR20060052428 A KR 20060052428A KR 20060131631 A KR20060131631 A KR 20060131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ounting force
upper thread
adjusting device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히로 오가타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1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기에서의 실장력의 변화점에서 안정된 장력변화를 수행시키는 것이다.
윗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실장력조절기(11), 실장력조절기(12)와, 실장력조절기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변화시키는 실장력 솔레노이드(14), 실장력 솔레노이드(15)를 각각 갖는 실장력조절장치(1, 2)가, 재봉기(100)의 윗실 경로(R)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각 실장력조절장치(1, 2)의 동작을 장력조정 제어수단(예컨대, 제어부(10))이 제어함으로써, 각 실장력조절장치(1, 2)가 각각 다른 장력을 윗실에 부여함에 따라, 윗실에 다양한 장력변화를 작용시켜, 완만하게 안정된 장력변화를 수행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의 변화를 나타낸 타임차트이다.
도 5는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의 타이밍을 나타낸 타임차트로서, (a)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의 타이밍을 나타낸 것이며, (b)는 제 2 실장력조절장치의 타이밍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의 타이밍을 나타낸 타임차트로서, (a)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의 타이밍을 나타낸 것이며, (b)는 제 2 실장력조절장치의 타이밍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봉제시에서의 실장력 솔레노이드 추력변경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단춧구멍박기 바늘땀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 1 실장력조절장치(실장력조절장치)
2 : 제 2 실장력조절장치(실장력조절장치)
3 : 천칭
10 : 제어부(설정수단, 장력조정 제어수단)
11 : 실장력조절기 12 : 실장력조절기
13 : 재봉기 모터
14 :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구동수단)
15 : 제 2 실장력 솔레노이드(구동수단)
16 : 조작패널(설정수단) 17 : 재봉기 기동 페달
18 : 바늘수 카운트 수단 32 : 가동트레이
33 : 고정트레이 36 : 코일
37 : 플런저 100 : 재봉기
100a : 재봉기 프레임 130 : 바늘대
131 : 재봉바늘 R : 윗실 경로
본 발명은, 윗실 경로 상에 복수의 실장력조절기를 갖는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윗실 경로 상에 2개의 실장력조절장치를 배치하여, 그 한쪽의 실장력조절장치를 봉제중에 전기적인 구동수단에 의해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변화시키는 구성(메인 실장력조절)으로 하고, 다른 쪽의 실장력조절장치를 스프링에 의해 비교적 약한 장력을 윗실에 부가하는 구성(서브 실장력조절, 프리텐션)으로 한 재봉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메인 실장력조절과 서브 실장력조절을 구성하는 2개의 실장력조절장치는, 메인 실장력조절의 실장력조절장치를 서브 실장력조절의 실장력조절장치에 대해 그 윗실 경로의 상류 측에 배치하거나, 혹은 그 하류 측에 배치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적인 구동수단에 의해 재봉 도중에서 윗실 장력을 변화시켜 재봉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단춧구멍박기 재봉기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춧구멍박기 바늘땀을 형성할 경우, 빗장박기부를 형성할 때에는 윗실의 장력을 작게 하여 봉제함으로써 윗실이 밑실에 끌어 당겨져 바늘땀 결절부가 천의 이면 측에 나타나도록 하는 한편, 좌우의 평행부를 봉제할 때에는 윗실의 장력을 높게 하여 봉제함으로써 밑실이 윗실에 끌어 당겨져 바늘땀 결절부가 천의 표면 측에 나타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0-300881호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메인 실장력조절과 서브 실장력조절을 조합시켜 배치한 구성에서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은 메인 실장력조절 뿐이기 때문에, 일단 메인·서브 실장력조절을 윗실 경로 상에 배치하면, 재봉 목적에 따른 장력변화 패턴에 신속히 대응할 수 없어, 봉제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가령, 윗실 경로의 상류 측에 메인 실장력조절, 하류 측에 서브 실장력조절을 배치했을 경우, 바늘땀 형성부와 메인 실장력조절의 경로가 길기 때문에, 그 경 로에서의 윗실의 신장이 허용되기 쉽고, 윗실의 장력변화가 바늘땀 형성부의 윗실부분에 전달되기 어렵기 때문에, 전기적인 구동수단을 동작시켜 메인 실장력조절의 장력설정을 변화시켰을 때, 윗실의 장력변화를 바늘땀 형성부의 윗실 부분에 작용시키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특히, 연장되기 쉬운 윗실의 경우에는, 윗실의 장력을 바늘땀 형성부에 대해 작용시키기까지 더욱 시간이 걸리게 되며, 또한 연장되기 어려운 윗실의 경우에는, 비교적 빠르게 윗실의 장력이 바늘땀에 대해 작용하게 된다. 즉, 윗실의 종류에 따라 윗실의 장력변화를 바늘땀에 대해 작용시키기까지의 시간에 편차가 있음으로써, 윗실의 종류마다 바늘땀의 상태(감촉이나 느낌)가 불균일해진다.
한편, 윗실 경로의 상류 측에 서브 실장력조절, 하류 측에 메인 실장력조절을 배치한 경우에는, 바늘땀 형성부와 메인 실장력조절의 경로가 짧기 때문에, 메인 실장력조절의 장력설정을 변화시킴에 따른 윗실의 장력변화를 바늘땀에 대해 빠르게 작용시킬 수 있는데, 그 경로에서의 윗실의 연장 허용량이 적기 때문에, 바늘땀 형성부의 윗실 부분에 급격한 장력변화를 작용시킨다.
특히, 빗장박기부에서 평행부로 이행할 때에는, 윗실 장력이 급격히 증가함으로써 지그재그형 바늘땀의 개시단이 헝클어져, 평행부를 깨끗한 산형상으로 형성할 수 없다.
한편, 평행부에서 빗장박기부로 이행할 때에는, 윗실 장력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어, 그때에 윗실의 연장이 한번에 개방되며, 천칭에 의한 윗실의 끌어올림량 이상으로 실이 풀려난 상태가 되어, 바늘땀이 헝클어져 지저분해진다. 또한, 그 여분으로 풀려난 윗실의 루프에 회전가마의 뾰족한 끝부분이 얽혀 2중 감김이 생기므로 실절단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은 재봉공정 중에 어떠한 실장력 변화패턴의 설정에도 대응하여 실장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서는, 일련의 봉제공정 중의 실장력 변화점에서, 안정된 신속한 장력변화를 수행시켜 봉제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윗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실장력조절기를 갖는 실장력조절장치가 실공급원으로부터 도출되어 재봉바늘에 삽입통과되는 윗실의 경로 상에 복수 배치된 재봉기로서, 상기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 각각에는, 전기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실장력조절기가 상기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변화시키는 구동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의 구동수단을 차례로 제어하여, 상기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변화를 조정하는 장력조정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재봉기의 윗실 경로에 복수 배치된 실장력조절장치가 각각 구동수단을 가지며, 그 구동수단의 동작을 장력조정 제어수단이 제어함으로써, 각 실장력조절장치가 각각 다른 장력을 윗실에 부여한다.
그리고, 각 실장력조절장치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이 조정됨으로써, 윗실에 다양한 장력변화를 작용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재봉기로서, 장력조정 제어수단은, 구동수단이 출력하는 추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작용을 나타내는 동시에, 장력조정 제어수단이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의 각각의 구동수단이 출력하는 추력을 제어함으로써, 구동수단이 실장력조절기에 작용하는 작용력, 작용량을 변화시켜 실장력조절기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재봉기로서, 장력조정 제어수단은, 구동수단이 동작하는 작동시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작용을 나타내는 동시에, 장력조정 제어수단이,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의 각각의 구동수단이 동작하는 작동시기를 제어함으로써, 구동수단이 실장력조절기에 작용하는 작용시간이나 타이밍을 변화시켜, 실장력조절기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재봉기로서,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는, 윗실 경로의 상류 측에 배치되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와, 윗실 경로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제 2 실장력조절장치로 이루어지며, 장력조정 제어수단은, 제 1 실장력조절장치와 제 2 실장력조절장치의 각각의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작용을 나타내는 동시에,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는, 윗실 경로의 상 류 측에 배치되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와, 윗실 경로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제 2 실장력조절장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윗실 경로에서의 실장력조절장치와 바늘땀 부분과의 경로의 길이 차이에 의해, 각 실장력조절장치가 각각 다른 장력을 윗실에 부여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재봉기로서, 장력조정 제어수단은, 제 1 실장력조절장치의 구동수단이 출력하는 추력과, 제 2 실장력조절장치의 구동수단이 출력하는 추력의 밸런스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작용을 나타내는 동시에, 장력조정 제어수단이, 제 1 실장력조절장치의 구동수단이 출력하는 추력과, 제 2 실장력조절장치의 구동수단이 출력하는 추력과의 밸런스를 조정함으로써, 각 구동수단이 실장력조절기에 작용하는 작용력, 작용량을 변화시켜 각 실장력조절장치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재봉기로서, 구동수단의 작용에 기초하여 실장력조절기 의해 윗실에 부여되는 장력에 관한 설정을 수행하는 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작용을 나타내는 동시에, 설정수단에 의해, 구동수단의 작용에 기초하여 실장력조절기에 의해 윗실에 부여되는 장력에 관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재봉기(100)는, 피봉제물에 버튼구멍용의 단춧구멍박기 바늘땀을 형성하는 단춧구멍박기 재봉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일례이다.
재봉기(100)는,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의 구동원인 재봉기 모터(13)와, 재봉기 모터(13)를 회전구동시키는 재봉기 기동 페달(17)과, 그 재봉기 모터(13)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바늘대(130)와, 바늘대(130)에 고정되는 재봉바늘(131) 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재봉기(100)는 실공급원으로부터 도출되어 재봉바늘(131)에 삽입통과되는 윗실이 통과하는 윗실 경로(R)에 배치되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1)와, 제 2 실장력조절장치(2)와, 천칭(3)과, 실안내(4, 5, 6, 7, 8)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재봉기(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늘대(130)를 구동하는 재봉기 모터(13)와 그 재봉기 모터(13)에 후술하는 제어부(10)로부터의 구동제어신호를 보내는 구동회로(13a)와, 윗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1)의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와 그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에 후술하는 제어부(10)로부터의 구동제어신호를 보내는 구동회로(14a)와, 윗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 2 실장력조절장치(2)의 제 2 실장력 솔레노이드(15)와 그 제 2 실장력 솔레노이드(15)에 후술하는 제어부(10)로부터의 구동제어신호를 보내는 구동회로(15a)와, 재봉기(100)를 조작하는 재봉기 기동 페달(17)과 그 재봉기 기동 페달(17)이 조작된 것에 기초하는 구동입력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10)에 보내는 입력회로(17a)와, 각종 설정 스위치 등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터치 지시된 각종 설정 스위치의 좌표에 기초하여 위치신호를 검출하는 터치패널에 의해 구성되는 조작패널(16)과, 봉제시의 바늘수를 계수하는 바늘수 카운트 수단(18)과, 상기 각 구성의 동작·처리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재봉기(100)는 재봉기 프레임(100a) 내에 동력전달기구가 배치되고, 회전이 자유로운 도시하지 않은 상축 및 도시하지 않은 하축을 가지고 있다. 상축(도시생략)은 재봉기 아암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하축(도시생략)은 재봉기 베드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축(도시생략)은 재봉기 모터(13)에 접속되며, 상기 재봉기 모터(13)에 의해 회동력이 부여된다. 또한, 하축(도시생략)은 도시하지 않은 연결기구를 통해 상축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축이 회동하면 상축의 동력이 연결기구(도시생략)를 통해 하축쪽으로 전달되어, 하축이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축(도시생략)의 전단(前端)에는, 상축의 회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바늘대(130)가 접속되어 있으며, 그 바늘대(130)의 하단에는 재봉바늘(13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축(도시생략)의 전단에는 가마(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축과 함께 하축이 회동하면, 재봉바늘(131)과 가마(도시생략)와의 협동에 의해, 실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어 재봉바늘(131)에 삽입통과되는 윗실과, 도시하지 않은 가마를 통해 공급되는 밑실(도시생략)에 의해, 피봉제물에 단춧구멍박기 바늘땀(도 8 참조)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 재봉기 모터(13), 상축(도시생략), 바늘대(130), 재봉바늘(131), 하축(도시생략), 가마(도시생략) 등의 접속 구성은 종래 공지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 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재봉기 모터(13)는, 재봉기 기동 페달(17)의 조작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제어부(10; MPU(10a))로부터 구동회로(13a)를 통해 보내지는 구동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도시하지 않은 상축을 회전시킨다. 이 상축은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를 통해 바늘대(13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재봉기 모터(13)에 의해 상축이 회전되면 바늘대(130)가 왕복운동하고, 그 바늘대(130)의 운동에 따라 바늘대(130)의 선단에 구비된 재봉기 바늘(131)이 왕복 이동하여 피봉제물을 봉제하는 운침(運針)구동한다.
재봉기 기동 페달(17)은 작업자가 재봉기(10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이다. 재봉기 기동 페달(17)은 기동 페달(17)이 조작된 움직임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입력회로(17a)를 통해, 작업자의 페달 밟기 조작, 밟기량에 따른, 기동, 구동속도, 정지 등의 지령을 구동입력신호로서 후술하는 제어부(10; MPU(10a))에 출력하고, 재봉기(100)를 구동시킨다.
조작패널(16)은, LCD 등의 표시장치와, 표시장치의 표면에 설치된 터치패널에 의해 구성되며, 설정수단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표시장치는, 후술하는 제어부(10; MPU(10a))로부터 출력되는 다양한 봉제정보(예컨대, 단춧구멍박기 바늘땀의 형상을 나타낸 도형, 1 바늘당의 재봉 피치량, 윗실의 장력에 관한 데이터 등)나 각종 스위치(설정 스위치, 입력 스위치) 등을 표시한다.
터치패널은, 전자유도식, 자기왜곡식(磁氣歪式), 감압식(感壓式) 등의 좌표 판독 원리에 의해 터치 지시된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한 좌표를 위치신호로서 후술하는 제어부(10; MPU(10a))에 출력한다.
그리고, 조작패널(16)에서 제 1 실장력조절장치(1)나 제 2 실장력조절장치(1)에 의해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에 관한 설정 데이터(예컨대, 장력에 대응하는 솔레노이드의 추력, 작동 타이밍, 작동시간)가 입력되고, 그 설정 데이터가 제어부(10)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천칭(3)은 도시하지 않은 상축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윗실을 실공급원측으로부터 바늘대(130; 재봉바늘(131))측으로 인출하도록 작용한다.
제 1 실장력조절장치(1)와, 제 2 실장력조절장치(2)는 윗실 경로(R)에서의 천칭(3)의 상류측(실공급원측)에 있어서, 윗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치로서, 제 1 실장력조절장치(1)는 윗실 경로(R)의 상류측이면서 제 2 실장력조절장치(2)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제 2 실장력조절장치(2)는 윗실 경로(R)의 하류측이면서 제 1 실장력조절장치(1)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실장력조절장치(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실장력조절기(11)와, 실장력조절기(11)에 작용하여 실장력조절기(11)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변화시키는 구동수단으로서의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를 가지고 있다.
실장력조절기(11)는 재봉기 프레임(100a)에 형성된 부착구멍(100b)에 끼움결합된 외부통부재(30)와, 외부통부재(30)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된 내부통부재(31)와, 내부통부재(31)의 선단측에 부착된 가동트레이(32)와, 외부통부재(30)에 고정된 고정트레이(33)와, 내부통부재(31)에 고정되어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에 연결되는 축부재(3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는 재봉기 프레임(100a)에 부착되는 코일지지체(38)에 배치된 코일(36)과, 코일(36)내에 삽입된 자성체로 이루어진 플런저(37)와, 플런저(37)에 연장설치되어 있는 로드(37a)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로드(37a)가 축부재(34)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는, 후술하는 제어부(10; MPU(10a))로부터 구동회로(14a)를 통해 보내지는 구동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코일(36)에 전류가 통전되면, 플런저(37)가 코일(36)내를 진퇴이동하고, 로드(37a)에 연결되어 있는 축부재(34)가 내부통부재(31)를 외부통부재(30)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시켜, 가동트레이(32)를 고정트레이(33)에 대해 이동시킨다. 그리고, 가동트레이(32)와 고정트레이(33)와의 사이에 끼워진 윗실에 장력을 부여한다.
또, 코일(36)에 통전되는 전류량에 따라, 코일(36)이 플런저(37)에 출력하는 추력이 변화되고, 그 추력에 기초하여 윗실에 부여되는 장력이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즉, 코일(36)이 플런저(37)에 커다란 추력을 출력함으로써, 가동트레이(32)가 고정트레이(33)에 강하게 끌어 당겨지면, 윗실은 가동트레이(32)와 고정트레이(33)와의 사이에 강하게 끼워지기 때문에, 보다 강한 장력이 부여되게 된다.
제 2 실장력조절장치(2)는, 실장력조절기(12)와, 실장력조절기(12)에 작용하여 실장력조절기(12)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변화시키는 구동수단으로서의 제 2 실장력 솔레노이드(15)를 가지고 있다.
또, 제 2 실장력조절장치(2)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1)와 동일한 구성이며,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인 MPU(10a; Micro Processor Unit)와, ROM(10b; Read Only Memory)과, RAM(10c; Random Access Memory)과, EEPROM(10d;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을 구비하고 있다.
MPU(10a)는 재봉기 기동 페달(17)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입력신호나, 조작패널(16)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신호나 데이터에 따라서, ROM(10b)에 저장되어 있는 단춧구멍박기 재봉기용의 각종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집중적으로 제어하고, 그 처리결과를 RAM(10c)내의 작업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RAM(10c)에 저장된 처리결과를 EEPROM(10d)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MPU(10a)는 재봉기(100)를 구성하는 각종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ROM(10b)에는 재봉기(100)의 제어 프로그램이나 제어 데이터, 각종 봉제에 관한 데이터가 기입되어 기억되어 있다. 특히, ROM(10b)은 단춧구멍박기 바늘땀의 봉제 패턴 데이터나,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에 따라 제 1 실장력조절장치(1)나 제 2 실장력조절장치(2)를 동작시키기 위한 실장력조절 데이터(예컨대, 출력하는 추력이나, 추력에 따른 전류량의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RAM(10c)에는 여러 가지의 작업메모리나 카운터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봉제동작중이나 설정처리중의 작업영역으로서 사용된다.
EEPROM(10d)은 조작패널(16)을 통해 입력된, 제 1 실장력조절장치(1)나 제 2 실장력조절장치(2)에 의해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에 관한 설정 데이터를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재봉기 기동 페달(17)이 조작됨에 따른 구동입력신호의 입력에 따라 재봉기 모터(13) 등을 구동하며, ROM(10b)에 기억되어 있는 봉제 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봉제물에 단춧구멍박기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재봉기의 각부를 통괄하여 제어하는 봉제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조작패널(16)을 통해 입력된, 제 1 실장력조절장치(1)나 제 2 실장력조절장치(2)에 의해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에 관한 설정 데이터를 EEPROM(10d)에 기억하여 설정하는, 설정수단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또, 제어부(10)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1)의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나, 제 2 실장력조절장치(2)의 제 2 실장력 솔레노이드(15)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 1 실장력조절장치(1)의 실장력조절기(11)나, 제 2 실장력조절장치(2)의 실장력조절기(12)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조정 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특히, 장력조정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부(10)는,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나 제 2 실장력 솔레노이드(15)가 출력하는 추력을 조정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제 1 실장력조절장치(1)나 제 2 실장력조절장치(2; 실장력조절기(11)나 실장력조절기(12))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한다.
또한, 장력조정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부(10)는,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나 제 2 실장력 솔레노이드(15)가 추력을 출력하거나 혹은 변경하는 작동시기인 작동 타이밍이나 작동시간을 조정하는 제어를 수행하여, 제 1 실장력조절장치 (1)나 제 2 실장력조절장치(2; 실장력조절기(11)나 실장력조절기(12))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한다. 또, 여기서 말하는 작동 타이밍이란, 실장력조절장치가 동작을 개시하는 타이밍이다. 또한, 작동시간이란, 실장력조절장치가 동작하는 몇초라고 하는 시간이나, 바늘대(130; 재봉바늘(131)이 동작하는 몇 바늘 만큼(分)이라는 기간에 대한 것이다.
또, 장력조정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부(10)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1)의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가 출력하는 추력(推力)과, 제 2 실장력조절장치의 제 2 실장력 솔레노이드(15)가 출력하는 추력의 밸런스를 조정하는 제어를 수행하여, 제 1 실장력조절장치(1)나 제 2 실장력조절장치(2; 실장력조절기(11)나 실장력조절기(12))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한다.
다음으로, 재봉기(100)가 단춧구멍박기 바늘땀을 형성할 때의, 제 1 실장력조절장치(1)와 제 2 실장력조절장치(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춧구멍박기 바늘땀을 형성하는 각 봉제부(a1 ~ a6)에 적합한 실장력을 설정하여 봉제를 수행한다
도 4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춧구멍박기 바늘땀을 형성할 때에,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P)의 변화를 나타낸 타임차트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시작(a1)은, 비교적 약한 장력을 윗실에 부여함으로써, 윗실과 밑실이 얽히기 쉽도록 하여 바늘땀을 안정시킨다.
다음으로, 재봉시작(a1)으로부터 좌측 평행부(a2)로 전환할 때에,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Pa로 올림으로써, 좌측 평행부의 바늘땀에 밑실이 나타나도록 한다.
다음으로, 좌측 평행부(a2)로부터 상측 빗장박기부(a3)로 전환할 때에,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Pb로 낮춤으로써, 상측 빗장박기부의 바늘땀에 윗실이 나타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측 빗장박기부(a3)로부터 우측 평행부(a4)로 전환할 때에,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Pa로 올림으로써, 우측 평행부의 바늘땀에 밑실이 나타나도록 한다.
다음으로, 우측 평행부(a4)로부터 하측 빗장박기부(a5)로 전환할 때에,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Pb로 낮춤으로써, 하측 빗장박기부의 바늘땀에 윗실이 나타나도록 한다.
다음으로, 하측 빗장박기부(a5)로부터 재봉종료(a6)로 전환할 때에, 비교적 강한 장력을 윗실에 부여함으로써, 윗실이나 밑실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재봉시작(a1)으로부터 좌측 평행부(a2)로 전환하는 타이밍(t1), 상측 빗장박기부(a3)로부터 우측 평행부(a4)로 전환하는 타이밍(t3), 하측 빗장박기부(a5)로부터 재봉종료(a6)로 전환하는 타이밍(t5)에서, 윗실에 부여되는 실장력이 급격히 증가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좌측 평행부(a2)로부터 상측 빗장박기부(a3)로 전환하는 타이밍(t2), 우측 평행부(a4)로부터 하측 빗장박기부(a5)로 전환하는 타이밍(t4)에서, 윗실에 부여되는 실장력이 급격히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장력의 급격한 증가나 저하는, 바늘땀의 상태가 헝클어지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100)에서는, 보다 완만하게 장력을 변화시키도록, 윗실에 장력(Pa)이나 장력(Pb)을 부여하도록 하여, 제 1 실장력조절장치 (1)와 제 2 실장력조절장치(2)를 동작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예컨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늘땀이 전환되는 소정의 타이밍(T)인 타이밍(t1)이나 타이밍(t3)에서,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Pa로 증가시킬 경우, 제 1 실장력조절장치(1)와 제 2 실장력조절장치(2)가 출력하는 추력을 조정하는 동시에, 각각의 실장력조절장치가 동작하는 작동시기를 어긋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타이밍(T)보다 빠른 작동 타이밍(예컨대, 0.5초, 3바늘만큼 등)에서 제 1 실장력조절장치(1;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를 동작시켜, 장력(Pa/2)에 상당하는 추력을 출력하도록 하는 동시에, 소정의 타이밍(T)에서 제 2 실장력조절장치(2; 제 2 실장력 솔레노이드(15))를 동작시켜, 장력(Pa/2)에 상당하는 추력을 출력하도록 한다.
즉, 재봉바늘(131)이나 바늘땀으로부터 더욱 먼 배치에 있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1)가, 윗실에 부여하는 소정 장력(Pa)의 절반인 장력(Pa/2)을 작용시켰을 때, 그 윗실 경로(R)에서의 윗실의 연장은 허용되기 쉬우므로, 제 1 실장력조절장치(1)가 추력을 변화시킨 것에 의한 윗실의 장력변화가 바늘땀에 대해 작용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그리고, 제 1 실장력조절장치(1)가 추력을 변화시킨 것에 의한 윗실의 장력변화가 바늘땀에 대해 작용하기 시작하는 타이밍(예컨대, 타이밍(T))에서, 제 2 실장력조절장치(2)가 윗실에 부여하는 소정 장력(Pa)의 절반인 장력(Pa/2)을 작용시킴으로써, 윗실에 장력(Pa)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설정 데이터인 작동 타이밍이나, 각 실장력조절장치가 출력하는 장력이 나 그 장력에 따른 추력은, 조작패널(16)을 통해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작동 타이밍을 바늘 수에 따라 설정하고,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와 제 2 실장력 솔레노이드(15)와의 구동 타이밍차를 3바늘 만큼으로 할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제가 개시되면, 최초의 봉제부(a1; 재봉시작)의 봉제가 실행된다(단계 S1). 그 재봉시작(a1)의 봉제가 소정의 작동 타이밍인 Tn(T1)의 3바늘 앞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바늘 수 카운트 수단(18)의 검출결과를 조합하여 판단하면서 봉제가 계속된다(단계 S2). 그리고, 봉제의 바늘수가 Tn-3에 도달하면,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를 제어하고, 봉제부(a1)의 봉제가 한창 이루어지는 도중에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가 실에 부하되어 있던 장력으로부터 미리 설정되어 있던 실장력에 대응하는 출력으로 추력을 변경한다(단계 S3).
그 후, 더욱 봉제가 계속되어 바늘 수가 작동 타이밍 Tn(T1)에 도달하면(단계S4),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에 계속해서 제 2 실장력 솔레노이드(15)를 제어하고, 봉제부(a1)의 봉제가 한창 이루어지는 도중에 제 2 실장력 솔레노이드(15)가 실에 부하되어 있던 장력으로부터 미리 설정되어 있던 실장력에 대응하는 출력으로 추력을 변경한다(단계 S5).
여기서, 제 1, 2 실장력 솔레노이드(14, 15)가 각각 추력을 변경·구동하여 봉제에 공급되어 있는 윗실이 원하는 실장력이 되는 것과 동시에 봉제부(a1)의 봉제가 종료하고, 최후의 봉제부(a6; 재봉종료)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 여기서, 재봉시작(a1) 봉제종료시에는 a6에 도달되어 있지 않기 때문 에, 단계 S7로 진행하여, 봉제부(a2; 좌측 평행부)의 봉제로 이행한다(단계 S7). 그 후, 마찬가지로 단계 S2로부터 단계 S6을 반복하여 재봉종료(a6)의 봉제까지 마치면, 실절단이 이루어진다(단계 S8). 이 때, 직전의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와 제 2 실장력 솔레노이드(15)와의 구동(추력변경)에 의해, 실은 실절단에 적합한 장력으로 조정되어 있다. 실절단이 종료하면, 버튼구멍박기 바늘땀의 봉제가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와 제 2 실장력 솔레노이드(15)를 단계적으로 제어하여, 급격한 장력변화를 억제하면서, 각 봉제부(a1 ~ a6)의 봉제를 각각 장력을 변화시키면서 수행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실장력의 각 전환점에서 제 2 실장력 솔레노이드(15)보다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를 3바늘 빠르게 구동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각 전환점마다 작동 타이밍의 타이밍 차(바늘 수나 시간 등)를 바꿔도 되고, 양 솔레노이드의 구동(추력변경)의 전후를 바꿔도 된다(구동의 전후를 전환할 경우, 장력변화는 급격한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장력의 전환점(작동 타이밍(T))과 각 봉제부의 재봉종료를 동시로 하였는데, 장력변환 후에 봉제부의 봉제가 한동안 계속되어도 되고, 봉제부로 이행하기 오래전에 장력을 바꿀 수도 있어, 작업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장력조정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부(10)가, 윗실에 부여하는 소정의 장력(Pa)을 2개로 분력(分力)하도록 하여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고, 제 1 실장력조절장치(1)와 제 2 실장력조절장치(2)에 각각 출력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한번 에 장력(Pa)을 윗실에 부여하는 것에 비해, 완만하게 장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재봉바늘(131)이나 바늘땀으로부터 더욱 먼 배치에 있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1)를 먼저 동작시킴으로써, 윗실의 연장이 허용되기 쉬워져, 보다 완만한 장력변화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늘땀이 전환되는 소정의 타이밍(T)인 타이밍(t2)이나 타이밍(t4)에 있어서,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Pb로 저하시킬 경우, 제 1 실장력조절장치(1)와 제 2 실장력조절장치(2)가 출력하는 추력을 조정하는 동시에, 각각의 실장력조절장치가 동작하는 작동시기를 어긋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타이밍(T)보다 빠른 작동 타이밍(예컨대, 0.5초, 3바늘 만큼 등)에서 제 1 실장력조절장치(1; 제 1 실장력 솔레노이드(14))를 동작시켜, 장력(Pb/2)에 상당하는 추력을 출력하도록 하는 동시에, 소정의 타이밍(T)에서 제 2 실장력조절장치(2; 제 2 실장력 솔레노이드(15))를 동작시켜, 장력(Pb/2)에 상당하는 추력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장력을 저하시키는 경우라도, 전술한 장력을 증가시키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완만하게 장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100)는,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로서 제 1 실장력조절장치(1)와 제 2 실장력조절장치(2)를 구비하는 동시에, 각각의 실장력조절장치가 출력하는 추력을 조정하거나, 각각의 실장력조절장치의 동작 타이밍을 어긋나게 함으로써,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보다 완만히 변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재봉기(100)는 재봉기에서의 실장력의 변화점인 타이밍(예컨대, 타 이밍(t1, t2, t3, t4)에 있어서, 급격한 장력변화를 저감시켜, 안정되게 장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재봉기에서는 1개의 액추에이터인 실장력조절장치에 의해, 윗실에 장력(Pa)을 부여하기 때문에, 실장력조절장치가 대형화되어, 그 실장력조절장치를 재봉기에 배치하는 위치에 제약이 생기거나, 배치한 경우에 돌출부가 생겨 봉제작업을 하는 데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재봉기(100)에서는, 2개의 액추에이터인 제 1 실장력조절장치와 제 2 실장력조절장치의 합력에 의해, 윗실에 장력(Pa)을 부여하기 때문에, 하나의 실장력조절장치당의 추력을 작게 할 수 있으며, 각 실장력조절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봉기 내부의 구동기구부의 틈새 등에, 소형의 실장력조절장치를 조립하기 쉬워지며, 외관적으로도 돌출부가 없어 말끔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재봉기의 조작성도 향상된다.
또한, 재봉기(100)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1)와 제 2 실장력조절장치(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실장력조절장치(1)와 제 2 실장력조절장치(2)의, 2개의 실장력조절장치가 각각 다른 추력을 출력하고, 각각 다른 장력을 윗실에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실장력조절장치가 각각 다른 장력을 윗실에 부여함으로써, 실공급원으로부터 윗실 경로를 따라 도출되는 윗실의 인출 용이함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재봉기(100)에서 천칭(3)이 윗실을 인출하기 쉬운 상태에서는 느슨한 바늘땀이 형성되고, 천칭(3)이 윗실을 인출하기 어려운 상태에서는 바늘땀이 단단 히 죄어져 팽팽한 바늘땀이 형성된다.
예컨대, 윗실에 「4」의 장력을 부여할 때에, 제 1 실장력조절장치(1)와 제 2 실장력조절장치(2)가 각각 「2」의 장력에 상당하는 추력을 출력할 경우, 윗실의 인출 용이함은 표준적이며, 표준적인 바늘땀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반해, 윗실에 「4」의 장력을 부여할 때에, 제 1 실장력조절장치(1)가 「1」의 장력에 상당하는 추력을 출력하고, 제 2 실장력조절장치(2)가 「3」의 장력에 상당하는 추력을 출력할 경우, 재봉바늘(131)이나 바늘땀에 보다 가까운 제 2 실장력조절장치(2)가, 제 1 실장력조절장치(1)보다 높은 장력을 윗실에 부여하게 되므로, 비교적 윗실을 인출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어, 바늘땀이 죄어져 팽팽한 바늘땀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제 2 실장력조절장치(2)가 출력하는 추력이 일정하며, 일정한 장력을 윗실에 부여할 경우, 제 1 실장력조절장치(1)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낮게 하면 느슨한 바늘땀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제 1 실장력조절장치(1)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높게 하면 팽팽한 바늘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실장력조절장치가 출력하는 추력을 다르게 하는 등 하여, 각각의 실장력조절장치(실장력 솔레노이드)가 출력하는 추력의 밸런스를 조정하는 동시에, 각 실장력조절장치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다르게 하는 등 하여, 각각의 장력의 밸런스를 조정함으로써, 바늘땀의 감촉이나 느낌을 변화시켜 조정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재봉기(100)는 단춧구멍박기 재봉기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봉제중에 실장력이 전환되는 재봉기라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보이스 코일 모터 등, 다른 구동장치여도 된다.
또한, 기타 구체적인 세부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윗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실장력조절기와, 실장력조절기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변화시키는 구동수단을 갖는 실장력조절장치가, 재봉기의 윗실 경로에 복수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윗실 경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가 각각 다른 장력을 윗실에 부여할 수 있다.
가령, 윗실 경로의 상류 측에 배치되는 실장력조절장치와, 윗실 경로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실장력조절장치를, 동일한 타이밍에서 동작시켜 동일한 실장력을 윗실에 부여했을 경우, 윗실 경로의 상류 측에 배치되는 실장력조절장치 쪽이, 실장력조절장치와 바늘땀 부분과의 경로가 길기 때문에, 그 경로에서의 윗실의 연장이 허용되기 쉬우므로, 윗실의 장력변화가 전달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윗실의 장력변화를 바늘땀에 대해 작용시키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한편, 윗실 경로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실장력조절장치 쪽이, 윗실의 장력변화를 바늘땀에 대해 빠르게 작용시킬 수 있다.
즉, 윗실 경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의 동작을 조합시킴으로써, 바늘땀에 대해 다양한 윗실의 장력변화를 작용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윗실 경로의 상류 측에 배치되는 실장력조절장치를 동작시킨 후에, 윗실 경로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실장력조절장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상류 측의 실장력조절장치에 의한 윗실의 장력변화가 바늘땀에 대해 작용하기 시작하는 타이밍에, 하류 측의 실장력조절장치에 의한 윗실의 장력변화가 바늘땀에 대해 작용시키도록 함으로써, 복수 단계(예컨대, 2 단계)의 장력변화를 바늘땀에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의 합력에 의한 장력을 윗실에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먼저 작용하는 상류 측의 실장력조절장치에 의한 윗실의 장력변화는, 윗실의 연장이 허용됨에 따라 비교적 천천히 작용하기 때문에, 바늘땀에 작용시키는 장력변화를 더욱 완만히 할 수 있다.
이로써, 이와 같이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재봉기는, 재봉기에서의 실장력의 변화점에서 윗실에 급격한 장력변화를 부여하지 않고, 완만하게 안정된 장력변화를 수행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장력조정 제어수단이 실장력조절장치의 구동수단이 출력하는 추력을 제어함으로써, 구동수단이 실장력조절기에 작용하는 작용력, 작용량을 변화시켜, 실장력조절기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이 조정됨으로써, 윗실에 다양한 장력변화를 작용시킬 수 있다.
가령,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의 합력으로서 출력할 때에, 한쪽의 실장력조절장치에 의한 장력을 강하게 하고, 다른 쪽의 실장력조절장치에 의한 장력을 약하게 하는 등 하여,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가 각각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이 다르도록 하거나,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가 각각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같아지도록 함으로써, 윗실에 다양한 장력변화를 작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윗실에 급격한 장력변화를 부여하지 않고, 완만한 장력변화를 수행시키도록, 실장력조절기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바늘땀의 형상이 헝클어지지 않고, 안정된 장력변화를 재봉기에 수행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장력조정 제어수단이, 실장력조절장치의 구동수단이 동작하는 작동시기를 제어함으로써, 구동수단이 실장력조절기에 작용하는 작용시간이나 타이밍을 변화시켜, 실장력조절기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윗실에 다양한 장력변화를 작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의 합력으로서 출력할 때에, 한쪽의 실장력조절장치에 의해 장력을 부여하는 타이밍을 빠르게 하고, 다른 쪽의 실장력조절장치에 의해 장력을 부여하는 타이밍을 느리게 하는 등 하거나, 한쪽의 실장력조절장치에 의해 장력을 부여하는 작용시간을 길게 하고, 다른 쪽의 실장력조절장치에 의해 장력을 부여하는 작용시간을 짧게 하는 등 함으로써, 윗실에 다양한 장력변화를 작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윗실에 급격한 장력변화를 부여하지 않고, 완만한 장력변화를 수행 시키도록, 실장력조절기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바늘땀의 형상이 헝클어지지 않고, 안정된 장력변화를 재봉기에 수행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는 윗실 경로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와, 윗실 경로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제 2 실장력조절장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윗실 경로에서의 실장력조절장치와 바늘땀 부분과의 경로의 길이 차이에 의해, 각 실장력조절장치가 각각 다른 장력을 윗실에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실장력조절장치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이 조정됨으로써, 윗실에 다양한 장력변화를 작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윗실 경로의 상류 측에 배치되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와, 윗실 경로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제 2 실장력조절장치를, 동일한 타이밍에서 동작시킨 경우, 제 1 실장력조절장치 쪽이, 실장력조절장치와 바늘땀 부분과의 경로가 길기 때문에, 그 경로에서의 윗실의 연장이 허용되기 쉬우므로, 윗실의 장력변화가 전달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윗실의 장력변화를 바늘땀에 대해 작용시키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한편, 제 2 실장력조절장치 쪽이, 실장력조절장치와 바늘땀 부분과의 경로가 짧기 때문에, 윗실의 장력변화를 바늘땀에 대해 빠르게 작용시킬 수 있다.
즉, 윗실 경로에 배치되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와 제 2 실장력조절장치의 동작을 조합시킴으로써, 바늘땀에 대해 다양한 윗실의 장력변화를 작용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를 동작시킨 후에 제 2 실장력조절장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제 1 실장력조절장치에 의한 윗실의 장력변화가 바늘땀에 대해 작용하기 쉬운 타이밍에, 제 2 실장력조절장치에 의한 윗실의 장력변화가 바늘땀에 대해 작용시키도록 함으로써, 2단계의 장력변화를 바늘땀에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실장력조절장치의 합력에 의한 장력을 윗실에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먼저 작용하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에 의한 윗실의 장력변화는, 윗실의 연장이 허용됨에 따라, 비교적 천천히 작용하기 때문에, 바늘땀에 작용시키는 장력변화를 보다 완만히 할 수 있다.
그리고, 윗실에 급격한 장력변화를 부여하지 않고, 완만한 장력변화를 수행시키도록, 각 실장력조절장치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바늘땀의 형상이 헝클어지지 않고, 안정된 장력변화를 재봉기에 수행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장력조정 제어수단이, 제 1 실장력조절장치의 구동수단이 출력하는 추력과, 제 2 실장력조절장치의 구동수단이 출력하는 추력과의 밸런스를 조정함으로써, 각 구동수단이 실장력조절기에 작용하는 작용력, 작용량을 변화시켜, 각 실장력조절장치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실장력조절장치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이 조정됨으로써, 윗실에 다양한 장력변화를 작용시킬 수 있다.
가령,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각 실장력조절장치의 합력으로서 출력할 때에, 제 1 실장력조절장치에 의한 장력을 강하게 하고, 제 2 실장력조절장치에 의한 장력을 약하게 하거나, 제 1 실장력조절장치에 의한 장력을 약하게 하고, 제 2 실장력조절장치에 의한 장력을 강하게 하거나, 또한 각 실장력조절장치가 각각 윗실 에 부여하는 장력을 동일하게 하거나 하도록, 각 구동수단이 출력하는 추력의 밸런스를 조정함으로써, 윗실에 다양한 장력변화를 작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구동수단이 출력하는 추력의 밸런스를 조정함으로써, 윗실 경로의 상류 측의 제 1 실장력조절장치와, 윗실 경로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제 2 윗실 장력조절장치가, 각각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의 밸런스를 조정함으로써, 실공급원으로부터 윗실 경로를 따라 도출되는 윗실의 인출 용이함을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재봉기에 있어서 윗실을 인출하기 쉬운 상태에서는 느슨한 바늘땀이 형성되고, 윗실을 인출하기 어려운 상태에서는 바늘땀이 죄어져 팽팽한 바늘땀이 형성된다.
이로써, 재봉기에 있어서 바늘땀의 감촉이나 느낌을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설정수단에 의해, 구동수단의 작용에 기초하여 실장력조절기에 의해 윗실에 부여되는 장력에 관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윗실에 급격한 장력변화를 부여하지 않고, 완만한 장력변화를 수행시키도록, 실장력조절기에 의해 윗실에 부여되는 장력에 관한 설정, 예컨대 실장력조절장치의 구동수단이 출력하는 추력의 설정이나, 실장력조절장치의 구동수단이 동작하는 작동시기를 설정하는 것으로, 각 실장력조절장치가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바늘땀의 형상이 헝클어지지 않고, 안정된 장력변화를 재봉기에 수행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윗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실장력조절기를 갖는 실장력조절장치가 실공급원으로부터 도출되어 재봉바늘에 삽입통과되는 윗실의 경로 상에 복수 배치된 재봉기로서,
    상기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 각각에는, 전기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실장력조절기가 상기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변화시키는 구동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의 구동수단을 차례로 제어하여, 상기 윗실에 부여하는 장력변화를 조정하는 장력조정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정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이 출력하는 추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정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이 동작하는 작동시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장력조절장치는, 상기 윗실 경로의 상류 측에 배치되는 제 1 실장력조절장치와, 상기 윗실 경로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제 2 실장력조절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력조정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실장력조절장치의 각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정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실장력조절장치의 구동수단이 출력하는 추력과, 상기 제 2 실장력조절장치의 구동수단이 출력하는 추력의 밸런스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20060052428A 2005-06-15 2006-06-12 재봉기 KR200601316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75034A JP4841870B2 (ja) 2005-06-15 2005-06-15 ミシン
JPJP-P-2005-00175034 2005-06-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631A true KR20060131631A (ko) 2006-12-20

Family

ID=3751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428A KR20060131631A (ko) 2005-06-15 2006-06-12 재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41870B2 (ko)
KR (1) KR20060131631A (ko)
CN (1) CN18805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99910B1 (en) * 2010-07-28 2016-11-30 NSD Corporation Sewing machine
CN107956050A (zh) * 2017-12-30 2018-04-24 宁波舒普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张紧力的夹线器
CN107956051A (zh) * 2017-12-30 2018-04-24 宁波舒普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面线张力的夹线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5308A (en) * 1971-12-09 1974-01-15 R Brandriff Apparatus for monitoring thread tension
JPS6029514B2 (ja) * 1977-03-11 1985-07-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ボタン孔縢りミシンにおける上糸張力付与装置
JP4010629B2 (ja) * 1998-03-05 2007-11-21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4132288B2 (ja) * 1998-09-22 2008-08-13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ロックミシンの自動糸調子装置
JP2001170385A (ja) * 1999-12-17 2001-06-26 Juki Corp ボタン穴かがり縫いミシン
JP4930815B2 (ja) * 2001-06-27 2012-05-16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4255644B2 (ja) * 2002-03-07 2009-04-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4186211B2 (ja) * 2003-06-12 2008-11-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糸調子ユニット及び糸調子ユニットを設けた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46095A (ja) 2006-12-28
CN1880538A (zh) 2006-12-20
CN1880538B (zh) 2012-07-04
JP4841870B2 (ja)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7438B2 (ja) ミシン
KR100228933B1 (ko) 재봉틀의 노루발 구동장치
EP0394601A1 (en) Adevice for disabling and enabling one or more needles in a quilting machine or a multi-needle embroidery machine
KR20060131631A (ko) 재봉기
JP4526956B2 (ja) ミシン
US8443744B2 (en) Sewing machine
KR100816564B1 (ko) 보턴마무리 재봉틀
JP4167116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及びボタン縫付方法
JP2015000082A (ja) 刺繍機
JP2006230465A (ja) 穴かがりミシン
KR100228930B1 (ko)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
JPH01121091A (ja) 針位置による糸締り補正ミシン
JP2001515967A (ja) 糸制御装置
JPH1147472A (ja) ミシンの制御方法
JP4392572B2 (ja) 穴かがりミシン
WO2023053506A1 (ja) ミシンの針板構造及びミシン
JP5519309B2 (ja)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JP3345286B2 (ja) パターン縫いミシン
JP2002018171A (ja) 縫い始めの糸抜け防止方法及び装置
JP2016504124A (ja) 少なくとも1つの本縫い回転ルーパーを備える刺繍機
JP2001137575A (ja) スプレッダー天秤の糸案内装置
JP2002102564A (ja) 模様縫い可能なミシン
JP2001070681A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の針糸案内装置
JPH04141190A (ja) 刺繍機能付きミシン
JP2004141652A (ja) ボタン付け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