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446A - 비유탕 한과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유탕 한과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446A
KR20060131446A KR1020050051894A KR20050051894A KR20060131446A KR 20060131446 A KR20060131446 A KR 20060131446A KR 1020050051894 A KR1020050051894 A KR 1020050051894A KR 20050051894 A KR20050051894 A KR 20050051894A KR 20060131446 A KR20060131446 A KR 20060131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roducing
snack
topping
syr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9977B1 (ko
Inventor
박수현
김현정
민병중
박윤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농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농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농심
Priority to KR1020050051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977B1/ko
Publication of KR2006013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2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06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63Coating or fill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주재료인 물에 불려 제분한 찹쌀가루와 부재료들을 혼합하여 증숙시켜 떡을 만든 후, 반죽기를 통과시켜 일정한 크기로 사출하여 -5 ∼ -10 ℃에서 냉동시키는 단계; 냉동물을 20℃의 상온에서 해동시킨 후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여 건조시켜서 반제품을 만드는 단계; 반제품을 비유탕으로 팽화시키는 단계; 팽화된 반제품에 식물성오일을 뿌리고, 시럽으로 코팅한 후 참깨 등을 포함하는 토핑재료로 토핑하고 건조시키는 단계;및 냉각한 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유탕 한과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유탕 한과스낵은 칩 형태로 제조하여 바삭바삭한 식감을 가지고, 유탕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기름으로 인한 느끼한 맛을 제거하여 담백하며 부담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다. 또한 시럽을 코팅한 후 건조시켜 완제품을 제조하기 때문에 눅진거리지 않고 제품끼리 달라붙는 품질 열화 문제를 해결하여 보존성이 향상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언제든지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
비유탕, 한과, 팽화, 시럽.

Description

비유탕 한과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NON-FRIED HANGUA SNACK AND METHOD FOR PREPARING IT}
본 발명은 조직감과 맛이 우수하며 보존성이 높은 비유탕 한과스낵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중인 한과는 쌀가루로 떡을 만들고 롤러로 압연, 절단하여 건조시킨 후 저온과 고온의 2단계 유탕과정으로 제조되며 물엿과 꿀 등의 액당 및 참깨 등을 코팅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한과는 첫째, 롤러에 의한 압연 후 절단하는 과정에서 호화된 찹쌀이 가지는 특유의 부착성 때문에 두께가 얇은 칩형태로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둘째, 2단계의 유탕과정을 거치므로 지방함량을 조절하기가 어렵고 기름의 느끼한 맛이 나며, 셋째, 액당을 코팅하고 이를 건조할 수 없으므로 식감이 눅진거리며 장기보관시 제품끼리 달라붙는 품질 열화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과를 칩 형태로 제조하여 바삭바삭한 식감을 가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유탕처리를 하지 않음으로써 기름으로 인한 느끼한 맛을 제거하여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한과스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눅진거리지 않고 제품끼리 달라붙지 않도록 하여 보존성이 향상된 한과스낵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유탕 한과스낵은, 주재료인 물에 불려 제분한 찹쌀가루를 증숙시켜 떡을 만든 후, 반죽기를 통과시켜 일정한 크기로 사출하여 -5 ∼ -10 ℃에서 냉동시키는 단계;상기 냉동물을 20℃의 상온에서 해동시킨 후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여 건조시켜서 반제품을 만드는 단계;상기 반제품을 비유탕으로 팽화시키는 단계;상기 팽화된 결과물에 식물성오일을 뿌리고, 시럽으로 코팅한 후 참깨 등을 포함하는 토핑재료로 토핑하고 건조시키는 단계;및 상온에서 냉각한 후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한과는 유과라고도 하므로 상세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한과로 통칭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제품을 해동시킨 후 0.5 ∼ 5.0 mm 두께의 얇은 칩 형태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삭바삭한 식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절단된 반제품은 수분함량이 전체 중량의 9.5%가 되도록 60℃ 열풍으로 건조되고 건조물은 비유탕으로 팽화시키고 전체 중량의 10 ∼ 50% 중량의 식물성 오일을 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비유탕 처리를 함으로써 기름으로 인한 느끼한 맛을 제거하여 담백하며 부담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 중량의 40% 중량으로 함유되도록 설탕, 물엿, 올리고당, 꿀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지는 1종 이상을 가열 용해시킨 70 ∼ 80Brix의 시럽으로 코팅한 후 토핑재료를 토핑하고 수분이 전체 중량의 2 ∼ 5%가 되도록 90 ∼ 120℃의 조건에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팽화 후 시럽을 코팅 건조시켜 완제품을 제조하기 때문에 눅진거리지 않고 일정시간이 경과되어도 제품들끼리 달라붙지 않도록 하여 보존성이 향상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유탕 한과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 공정: 반제품 제조 단계
물에 불려 제분한 찹쌀가루를 주원료로 하고 스팀믹서를 이용하여 증숙시키고 수분함량이 35 ∼ 42%인 떡을 만든다. 떡을 만드는 공정은 일반적인 떡 제조공정과 같으며 주재료로서 찹쌀가루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지만 감자전분, 기타 영양소를 보충해 줄 수 있는 성분, 향신료 또는 색을 내기 위한 천연색소 등의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떡을 반죽기를 통과시켜 지름 50 ∼ 80 mm 정도의 일정한 크기로 만들어 이를 -5 ∼ -10 ℃에서 냉동시킨다. 냉동된 떡을 20℃ 정도의 상온에서 2시간 해동하고, 수직 구동축이 장착된 회전형 드럼식의 슬라이서에서 0.5 ∼ 5.0 mm의 두께로 절단한 후 건조시켜 수분 8.5 ∼ 10.5% 를 포함하는 반제품을 제조한다.
2. 제 2 공정: 비유탕 팽화 및 조미단계
제 1 공정에 따라 제조된 반제품을 비유탕 공법으로 팽창시킨다. 팽창된 제품에 식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제품의 중량 대비 10 ∼ 50%의 식물성 오일을 뿌린다. 설탕, 물엿, 올리고당, 꿀 등을 주원료로 가열 용해시킨 70 ∼ 80Brix의 시럽 을 상기 오일이 뿌려진 제품의 중량 대비 40 ∼ 100% 로 코팅 한 후 참깨, 흑깨, 뻥쌀, 견과류 그릿츠 등의 토핑재료를 시럽이 코팅된 제품 중량대비 10 ∼ 25% 로 토핑한다. 그리고 바삭거리는 식감을 유지하고 제품끼리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90 ∼ 120℃의 조건에서 건조시켜 수분이 전체 제품 중량의 2 ∼ 5%가 되게 한다.
3. 제 3 공정: 냉각 및 포장 단계
상기 건조시킨 제품을 냉각시키고 소비자의 이용 및 유통상의 편의를 위하여 자동포장기로 일정량씩 포장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팽화 방법 및 팽화 온도에 따른 차이(원료량, 스팀믹서의 스팀압력은 동일)를 주면서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연속식 Baking Oven에 의한 팽화제조방법
물에 불려 제분한 찹쌀가루 80Kg, 감자전분 20Kg, 설탕 3Kg, 소금 0.7Kg에 12L의 정제수를 혼합, 스팀압력 0.3kgf/cm2, 8분의 조건으로 증숙하여 수분 36%의 떡을 제조하고 배출구의 지름이 8cm인 반죽기를 통과시켜 길이 10cm로 절단시킨 후-5℃로 4시간 냉동시킨다. 냉동된 떡을 20℃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 후 슬라이서를 이용하여 두께 1.5mm로 절단하고, 60℃ 열풍으로 5시간 건조하여 반제품의 수분을 9.5%로 조절한다.
반제품을 컨베이어가 설치된 연속식 Baking Oven에서 최고온도 240℃로 가열하며 전체 Baking 시간을 65초로 하여 제품을 팽화시킨다. 팽화된 제품에 품온 60℃의 식물성오일을 중량비 20%로 뿌리고, 설탕 69%, 올리고당 30%, 소금 1%의 배합비로 가열 용해시킨 75Brix의 시럽을 중량비 40% 코팅한 후 중량비 14%의 볶음참깨를 토핑하여 120℃의 건조기로 20분 건조시킨 후 수분함량을 5% 이하로 한다. 완성된 한과를 냉각한 후 자동포장기로 포장한다.
<실시예 2>:Baking 온도를 235℃로 변경하는 조건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Baking 온도를 245℃로 변경하는 조건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1>:Baking 온도를 220℃로 변경하는 조건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2>:Baking 온도를 250℃로 변경하는 조건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 하다.
연속식 Baking Oven의 팽화온도에 따른 비교
구분 팽화율(%) 팽화물의 형태 팽화물의 상태 팽화물 조직감
실시예 1 160 균일 양호 부드럽고 식감이 바삭(crispy)함
실시예 2 155 균일 양호 부드럽고 식감이 좋음
실시예 3 170 균일 양호 부드럽고 식감이 좋음
비교예 1 120 불균일 미팽창 딱딱하고 식감이 안좋음
비교예 2 180 약불균일 과팽창 부드럽고 쉽게 부서지며, 탄화취 발생
따라서,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Baking Oven에서 235 ~ 245℃ 로 가열할 때,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고온도 240℃로 가열했을 때 팽화물의 팽화 정도와 상태가 양호하며, 식감도 바삭바삭한 것을 알 수 있다.(표 1)
<실시예 4> 연속식 Parching기에 의한 팽화제조방법
물에 불려 제분한 찹쌀가루 80Kg, 감자전분 20Kg, 설탕 3Kg, 소금 0.7Kg에 12L의 정제수를 혼합, 스팀압력 0.3kgf/cm2, 8분의 조건으로 증숙하여 수분 36%의 떡을 제조하고 배출구의 지름이 8cm인 반죽기를 통과시켜 길이 10cm로 절단 시킨 후 ?5℃로 4시간 냉동시킨다. 냉동된 떡을 20℃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 후 슬라이서를 이용하여 두께 1.5mm로 절단하고, 60℃ 열풍으로 5시간 건조하여 반제품의 수분을 9.5%로 조절한다.
반제품을 연속식 parching기에서 최고온도 220℃로 가열하며 전체 parching 시간을 45초로 하여 제품을 팽화시킨다. 팽화된 제품에 품온 60℃의 식물성오일을 중량비 20%뿌리고, 설탕69%, 올리고당30%, 소금1%의 배합비로 가열 용해시킨 75Brix의 시럽을 중량비 40%로 코팅한 후 중량비 14%의 볶음참깨를 토핑하여 120℃의 건조기로 20분 건조 시킨 후 수분함량을 5% 이하로 한다. 위 제품을 상온까지 냉각한 후 자동포장기로 포장한다.
<실시예 5> Parching기의 온도를 225℃로 변경하는 조건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다.
<실시예 6> Parching기의 온도를 215℃로 변경하는 조건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다.
<비교예 3> Parching기의 온도를 200℃로 변경하는 조건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다.
<비교예 4> Parching기의 온도를 230℃로 변경하는 조건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다.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결과, 반제품을 연속식 parching기에서 215 ~ 225℃로 가열할때,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고온도 220℃로 가열한 경우에 팽화물의 형태와 조직감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표 2)
연속식 Parching의 팽화온도에 따른 비교
구분 팽화율(%) 팽화물의 형태 팽화물의 상태 팽화물 조직감
실시예 4 150 균일 양호 부드럽고 식감이 바삭(crispy)함
실시예 5 155 균일 양호 부드럽고 식감이 좋음
실시예 6 140 균일 양호 부드럽고 식감이 좋음
비교예 3 110 불균일 미팽창 딱딱하고 식감이 안좋음
비교예 4 175 약불균일 과팽창 부드럽고 쉽게 부서지며, 탄화취 심함
<실시예 7> 연속식 열풍팽창기(J-zone)에 의한 팽화제조방법
물에 불려 제분한 찹쌀가루 80Kg, 감자전분 20Kg, 설탕 3Kg, 소금 0.7Kg에 12L의 정제수를 혼합, 스팀압력 0.3kgf/cm2, 8분의 조건으로 증숙하여 수분 36%의 떡을 제조하고 배출구의 지름이 8cm인 반죽기를 통과시켜 길이 10cm로 절단 시킨 후 ?5℃로 4시간 냉동시킨다. 냉동된 떡을 20℃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 후 슬라이서를 이용하여 두께 1.5mm로 절단하고, 60℃ 열풍으로 5시간 건조하여 반제품의 수분을 9.5%로 조절한다.
반제품을 연속식 열풍팽창기(J-zone)에서 최고온도 250℃로 가열하며 전체 puffing시간을 35초로 하여 제품을 팽화 시킨다. 팽화된 제품에 품온 60℃의 식물성오일을 중량비 20%로 뿌리고, 설탕69%, 올리고당30%, 소금1%의 배합비로 가열 용해시킨 75Brix의 시럽을 중량비 40% 코팅한 후 중량비 14%의 볶음참깨를 토핑하여 120℃의 건조기로 20분 건조 시킨 후 수분함량을 5% 이하로 한다. 위 제품을 상온까지 냉각한 후 자동포장기로 포장한다.
<실시예 8> 열풍팽창기(J-zone)의 온도를 245℃로 변경하는 조건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다.
<실시예 9> 열풍팽창기(J-zone)의 온도를 255℃로 변경하는 조건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5> 열풍팽창기(J-zone)의 온도를 225℃로 변경하는 조건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다.
<비교예 6> 열풍팽창기(J-zone)의 온도를 265℃로 변경하는 조건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다.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결과, 반제품을 연속식 열풍팽창기(J-zone)에서 245 ~ 255℃로 가열할때,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고온도 250℃로 가열한 경우에 팽화물의 형태와 조직감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표 3)
연속식 열풍팽창기(J-zone)의 팽화온도에 따른 비교
구분 팽화율(%) 팽화물의 형태 팽화물의 상태 팽화물 조직감
실시예 7 165 균일 양호 부드럽고 식감이 바삭(crispy)함
실시예 8 160 균일 양호 부드럽고 식감이 좋음
실시예 9 155 균일 양호 부드럽고 식감이 좋음
비교예 5 125 불균일 미팽창 딱딱하고 식감이 안좋음
비교예 6 175 약불균일 과팽창 부드럽고 쉽게 부서지며, 탄화취 심함
본 발명에 의한 한과스낵은 칩 형태로 제조하여 바삭바삭한 식감을 가지며, 유탕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기름으로 인한 느끼한 맛을 제거하여 식감이 담백하며 부담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한과스낵은 팽화 후 시럽을 코팅하고 건조시켜 완제품을 제조하기 때문에 눅진거리지 않고 일정시간이 경과되어도 제품들끼리 달라붙지 않으며 보존성이 향상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언제든지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

Claims (11)

  1. 주재료인 물에 불려 제분한 찹쌀가루와 부재료들을 혼합하여 증숙시켜 떡을 만든 후, 반죽기를 통과시켜 일정한 크기로 사출하여 -5 ∼ -10 ℃에서 냉동시키는 단계;
    상기 냉동물을 20℃의 상온에서 해동시킨 후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여 건조시켜서 반제품을 만드는 단계;
    상기 반제품을 비유탕으로 팽화시키는 단계;
    상기 팽화된 결과물에 식물성오일을 뿌리고, 시럽으로 코팅한 후 참깨 등을 포함하는 토핑재료로 토핑하고 건조시키는 단계;및
    냉각한 후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유탕 한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로 감자전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유탕 한과스낵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을 해동시킨 후 0.5 ∼ 5.0 mm 두께의 얇은 칩 형태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유탕 한과스낵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된 반제품은 수분함량이 전체 중량의 8.5 ∼ 10.5% 가 되도록 60℃ 열풍으로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유탕 한과스낵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물을 베이킹 오븐으로 최고온도 240℃에서 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유탕 한과스낵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물을 연속식 parching기로 최고온도 220℃에서 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유탕 한과스낵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물을 연속식 열풍팽창기(J-zone)를 이용하여 최고온도 250℃에서 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비유탕 한과스낵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화물에 뿌려주는 식물성 오일은 전체 중량의 10 ∼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유탕 한과스낵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럽은 설탕, 물엿, 올리고당, 꿀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지는 1종 이상을 물을 가열 용해시킨 시럽이며 전체 중량의 40% 중량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유탕 한과스낵의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핑재료가 토핑된 후에는 수분이 전체 중량의 2 ∼ 5%가 되도록 90 ∼ 120℃의 조건에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유탕 한과스낵의 제조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유탕 한과스낵.
KR1020050051894A 2005-06-16 2005-06-16 비유탕 한과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69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894A KR100669977B1 (ko) 2005-06-16 2005-06-16 비유탕 한과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894A KR100669977B1 (ko) 2005-06-16 2005-06-16 비유탕 한과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446A true KR20060131446A (ko) 2006-12-20
KR100669977B1 KR100669977B1 (ko) 2007-01-19

Family

ID=3781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894A KR100669977B1 (ko) 2005-06-16 2005-06-16 비유탕 한과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9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5423A2 (en) * 2010-03-19 2011-09-22 Cj Cheiljedang Corporation Microwavable puffing rice sn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06345B1 (ko) * 2011-12-27 2014-06-13 씨제이제일제당 (주) 구운 한과 찹쌀 스낵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59966A (ko) * 2013-11-25 2015-06-03 롯데제과주식회사 손에 묻지 않는 토핑물 비스킷의 제조방법
KR20170071170A (ko) * 2015-12-15 2017-06-2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갈골한과명인식품 비유탕 처리를 이용한 한과 제조방법
KR102148926B1 (ko) * 2019-09-25 2020-08-28 주식회사 자인 성형미와 팽화미를 이용한 스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69B1 (ko) 2007-06-28 2008-01-30 박종래 한과 모재의 팽화장치
KR101025838B1 (ko) 2008-12-12 2011-03-30 김광순 떡라면용 건조 떡 및 그 제조방법
KR101458571B1 (ko) * 2013-07-04 2014-11-05 농업회사법인 당암명가당암전통생강한과 주식회사 비유탕 한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비유탕 한과
KR101913130B1 (ko) * 2017-01-09 2018-10-31 권유중 비유탕식 유과형 한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361B1 (ko) 2002-04-19 2004-08-21 주식회사농심 일반미 유과 스낵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5423A2 (en) * 2010-03-19 2011-09-22 Cj Cheiljedang Corporation Microwavable puffing rice sn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1115423A3 (en) * 2010-03-19 2012-03-29 Cj Cheiljedang Corporation Microwavable puffing rice sn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06345B1 (ko) * 2011-12-27 2014-06-13 씨제이제일제당 (주) 구운 한과 찹쌀 스낵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59966A (ko) * 2013-11-25 2015-06-03 롯데제과주식회사 손에 묻지 않는 토핑물 비스킷의 제조방법
KR20170071170A (ko) * 2015-12-15 2017-06-2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갈골한과명인식품 비유탕 처리를 이용한 한과 제조방법
KR102148926B1 (ko) * 2019-09-25 2020-08-28 주식회사 자인 성형미와 팽화미를 이용한 스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9977B1 (ko) 200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977B1 (ko) 비유탕 한과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US5372826A (en) Ready-to-eat cereal flak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6773734B2 (en) Process of making food bar
KR100815027B1 (ko) 생감자 원료로부터 박편화 가능한 감자 가루 반죽 제조 방법
JP2011526490A (ja) 食品用パン粉コーティング
CZ289494B6 (cs) Instantní obilné výrobky se zeleninou a způsob jejich výroby
JPH11196771A (ja) 幼児用スナック食品
JPH022313A (ja) 食品
KR101778862B1 (ko) 식물성 부재료를 포함하는 팽화과자 제조용 과립 및 이를 이용한 쌀 팽화과자의 제조 방법
US4873110A (en) Method for producing breakfast cereal
CZ288938B6 (cs) Způsob výroby strouhanky
KR102205589B1 (ko) 스틱 모양 구운 과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44363B1 (ko) 당함량이 높은 칩상 구운과자의 제조방법
KR20130075097A (ko) 구운 한과 찹쌀 스낵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0382B1 (ko) 멥쌀을 주원료로 하는 만두의 제조방법
US20050226971A1 (en) Coated food p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a swirl
KR100988366B1 (ko) 해바라기씨를 이용한 볼과자 제조 방법
RU2735871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астилы яблочной
KR101137501B1 (ko)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쌀국수의 제조방법
KR102227749B1 (ko) 유아용 과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유아용 과자
EP0626138B1 (en) Process for preparing ready-to-eat cereal flakes
EP3569071A2 (en) Bakery product with low water activity having enhanced flavor and eating features
JP3268388B2 (ja) 半生米菓の製造方法
CN111990521A (zh) 一种雪花酥及其制备方法
KR100454151B1 (ko) 비스켓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