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5722A - 보안 시일 및 보안 시일 공급 시트 - Google Patents

보안 시일 및 보안 시일 공급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5722A
KR20060125722A KR1020067006949A KR20067006949A KR20060125722A KR 20060125722 A KR20060125722 A KR 20060125722A KR 1020067006949 A KR1020067006949 A KR 1020067006949A KR 20067006949 A KR20067006949 A KR 20067006949A KR 20060125722 A KR20060125722 A KR 20060125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al
security seal
transparent film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8573B1 (ko
Inventor
와따루 고오슈
요이찌 다까하시
미찌로 우스이
가즈히로 사사끼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5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G09F3/0292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tamper indicating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09F3/0341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label sea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86Ornamental, decorative, pattern, or indic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3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with release or antistick 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안 시일(1)은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2) 등의 화상 촬영 기기의 렌즈 부분(3)을 덮도록 박리 가능한 휴대로 부착할 수 있고, 박리하였을 때에 생기는 굴곡에 의해 흔적이 발현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 보안 시일(1)을 렌즈 부분(3)을 덮도록 부착해 두면 부정한 화상 촬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일 보안 시일을 박리하여 촬영을 시도한 경우에는, 다시 시일을 렌즈 부분을 덮도록 부착해도 시일에 박리한 흔적이 남아 부정 촬영을 인식할 수 있다.
보안 시일, 렌즈 부분, 휴대 전화, 시일 본체, 인쇄층, 투명 필름

Description

보안 시일 및 보안 시일 공급 시트{SECURITY SEAL AND SECURITY SEAL SUPPLY SHEET}
본 발명은 보안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 촬영 기기를 일시적으로 촬영 불가능하게 하여, 기밀성(confidentiality)이나 판권을 갖는 화상의 촬영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하는 보안 시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보안 시일으로서 다양한 것이 개발되고,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제품으로서 슬롯머신 등의 게임기를 예로 들면, 공장 출하의 시점으로부터 점포에 설치되기까지의 동안에, 포장 상자의 곤포를 개봉하여 게임기의 제어 부분 등을 개조하는 등의 부정 행위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출하시로부터 점포 배치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부정 개봉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9-19232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정 개조가 행해지기 쉬운 게임기의 제어 회로 기판을 덮개로 덮고, 그 덮개의 상부로부터 봉인 시일을 더 부착함으로써 무단 개봉을 방지하는 대책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포장 상자 등의 용기에 수납한 내용물의 변조 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개봉 사실이 없는 것을 보증하는 변조 방지 라벨이 사용되고 있다. 변조 방지 라 벨로서는, 라벨을 부착한 용기 등의 피착체로부터 라벨을 박리하면 피착체에 인쇄층의 일부 및 점착층이 잔류하고, 라벨 및 피착체 양방에 라벨을 박리한 흔적이 남는 것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2003-345255호 공보에는 라벨을 박리한 후 피착체에는 점착층이 남지 않고, 박리한 라벨에 흔적이 남아 그것을 다시 부착해도 흔적을 지울 수 없는 구성인 것이 제안되어 있다.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의 경우에는, 도촬 방지를 위해 셔터를 누를 때에「찰칵」,「포즈 취하세요」,「찍습니다」등의 음성이 반드시 나오도록 설정하여 도촬을 견제하도록 한 것이 있다.
최근, 고성능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나 카메라 부착 PDA의 등장에 의해, 부정 행위를 행하고자 하는 사람은 매우 간단하게 기밀 화상 및 문서 등을 촬영하여 순식간에 원하는 장소로 송신 가능해졌다. 부정 행위가 이루어지기 쉬운 장소는 각종 연구 시설, 관청, 기업, 미술관, 박물관, 학교, 시험회장, 전시회장, 영화관, 스포츠 경기장, 각종 상점, 서점, 백화점 등 많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에서는 셔터를 누를 때에 음성이 나오도록 설정한 것도 있지만, 이러한 음성은 혼잡 중에서는 도움이 되지 않고, 아무도 없는 장소에서는 당당하게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음성은 전자적인 것이므로 스피커 등의 음성 발생 소자를 파괴해 두거나, 혹은 소리가 나오지 않도록 소프트웨어를 다시 설정하면 전혀 견제가 되지 않는다.
당연한 것이지만 통상의 디지털 카메라는 음성이 나오도록 되어 있지 않고, 부정 촬영의 방지 대책은 채용되어 있지 않다. 부정 촬영을 방지하기 위해 입장할 때에 주의를 촉구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지만, 반드시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입장할 때에 휴대 전화나 디지털 카메라 등을 일시적으로 보관해 두는 운용도 행해지고 있지만, 휴대 전화나 디지털 카메라 등을 보관하고, 돌아갈 때에 반환한다는 것은 보관증의 발행이나, 깨뜨리지 않는 취급이나 보관이 필요해지는 것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휴대 전화의 경우에는, 보관한 측에서는 긴급한 연락을 취할 수 없거나, 휴대 전화에 들어 있는 개인 정보를 몰래 보는 것은 아닌지의 걱정도 생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촬영 금지 장소에 갖고 들어가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 촬영 기기에 대해 간단하게 부착하거나 제거할 수 있어, 부정한 화상 촬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보안 시일 및 보안 시일 공급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 촬영 기기에 의한 부정한 화상 촬영을 방지하기 위해 검토한 결과, 박리하였을 때에 생기는 굴곡에 의해 흔적이 남는 구성의 시일을 화상 촬영 기기의 렌즈 부분을 덮도록 부착해 두면 부정한 화상 촬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만일 그 시일을 박리하여 촬영을 시도한 경우에는 다시 시일을 렌즈 부분을 덮도록 부착해도 시일에 박리한 흔적이 남아 책임의 추구를 행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기기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보안 시일에 있어서 시일 본체와, 시일 본체의 이면에 설치된 점착층을 구비하고, 시일 본체는 표면측의 투명 필름과, 투명 필름의 이면에 설치된 패턴형의 박리층과, 박리층의 이면에 설치된 인쇄층을 갖고, 보안 시일을 기기로부터 박리하였을 때, 보안 시일이 굴곡되고 박리층이 투명 필름으로부터 이격되어 표면측에서 박리층이 눈으로 확인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이다.
본 발명은, 시일 본체의 박리층은 보안 시일을 평판형으로 복귀하였을 때에도 투명 필름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이다.
본 발명은, 시일 본체는 인쇄층의 이면에 설치된 쿠션층을 갖고, 쿠션층은 고화 상태에서 축소되는 응력을 갖고, 박리층이 투명 필름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박리층과 이 박리층에 대응하는 인쇄층의 영역을 인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이다.
본 발명은, 쿠션층은 박리층이 투명 필름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박리층과 이 박리층에 대응하는 인쇄층의 영역을, 이 인쇄층의 영역을 인쇄층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분리하여 인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이다.
본 발명은, 투명 필름과 박리층의 경계면 및 투명 필름과 인쇄층의 경계면은 요철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이다.
본 발명은, 기기는 렌즈 부분을 갖는 화상 촬영 기기로 이루어지고, 보안 시일은 이 렌즈 부분을 덮어 촬상 방지를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이다.
본 발명은 점착층에 렌즈 부분을 덮는 비점착성 영역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이다.
본 발명은, 비점착성 영역은 점착층에 마련된 보호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이다.
본 발명은, 보안 시일을 기기로부터 박리하였을 때 점착층은 기기에 남지 않고 시일 본체측에 모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이다.
본 발명은 박리지와, 이 박리지에 점착층을 거쳐서 설치된 복수의 시일 본체를 구비한 보안 시일 공급 시트를 구비하고, 시일 본체는 표면측의 투명 필름과, 투명 필름의 이면에 설치된 패턴형의 박리층과, 박리층의 이면에 설치된 인쇄층을 갖고, 보안 시일을 기기로부터 박리하였을 때, 보안 시일이 굴곡되고 박리층이 투명 필름으로부터 이격되어 표면측에서 박리층이 눈으로 확인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 공급 시트이다.
본 발명은 박리지 중 시일 본체의 대략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입에 의해 보호재 영역을 마련하고, 시일 본체를 박리지로부터 박리하였을 때 보호재 영역이 시일 본체측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 공급 시트이다.
본 발명의 촬영 방지용 보안 시일은, 이것을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 촬영 기기의 렌즈 부분을 덮도록 부착해 둠으로써 부정한 화상 촬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일 그 시일을 박리하여 촬영을 시도한 경우에는 다시 시일을 렌즈 부분을 덮도록 부착해도 시일에 박리한 흔적이 남아, 책임의 추구를 행할 수 있으므로 부정 행위를 행하는 사람을 효과적으로 견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촬영 기기로부터 박리하였을 때에는 점착층마다 깨끗하게 박리되고, 화상 촬영 기기에 점착제가 남지 않아 화상 촬영 기기의 외관을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보안 시일은, 또한 화상 촬영 기기의 렌즈 부분에 접하는 위치에 비점착성 영역을 마련하였으므로 렌즈 부분을 오염시키는 일이 없다.
시일 본체를 박리하였을 때에 생기는 굴곡에 의해, 투명 필름으로부터 박리층이 박리되고 상기 박리층에 대응하는 인쇄층의 영역이 다른 인쇄층의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어 박리층의 패턴이 시인(視認)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시일 본체에 박리한 흔적이 확실하게 남아, 보안 시일을 박리한 것을 용이하고 또한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투명 필름과 박리층의 경계면 및 투명 필름과 인쇄층의 경계면을 요철로 한 것에 의해 투명 필름으로부터 박리층이 박리되고, 박리층 상에 대응하는 인쇄층의 영역이 다른 인쇄층의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 박리층의 패턴이 한층 보기 쉬워져 박리한 흔적이 보다 명료해진다.
보안 시일 공급 시트는 대지(台紙)로부터 시일 본체를 박리함으로써, 그 시일 본체의 이면에 점착층이 존재하고, 또한 점착층의 일부 영역에 대지의 보호재 영역이 부착된 형태가 되고, 그 부착된 대지의 보호재 영역은 화상 촬영 기기의 렌즈 부분을 덮는 보호재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대지로부터 단순히 시일 본체를 박리함으로써 촬영 방지용 보안 시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보안 시일을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에 대해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
도2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보안 시일의 개략 표면도.
도2b는 보안 시일의 개략 단면도.
도2c는 보안 시일의 개략 이면도.
도3은 도2a 내지 도2c에 도시하는 보안 시일을 피착체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4는 도2a 내지 도2c에 도시하는 보안 시일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5는 도4에 도시하는 보안 시일을 박리할 때의 상태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6은 박리한 후의 보안 시일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7은 보안 시일을 제조 도중의 상태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8a는 보안 시일을 제조 도중의 상태로 도시하는 개략 표면도.
도8b는 보안 시일을 제조 도중의 상태로 도시하는 개략 이면도.
도9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보안 시일 공급 시트의 개략 표면도.
도9b는 보안 시일 공급 시트의 개략 이면도.
도10a는 도9a 내지 도9b에 도시하는 보안 시일 공급 시트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10b는 그 보안 시일 공급 시트의 대지로부터 시일 본체를 박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의 1A 및 1B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영 방지용 보안 시일을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등의 화상 촬영 기기에 대해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1의 1A에 있어서, 보안 시일(1)은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이하 피착체라 함)(2)의 렌즈 부분(3)을 덮도록 피착체(2)에 부착하고, 또한 박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의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안 시일(1)을 피착체(2)의 렌즈 부분(3)을 덮도록 부착해 둠으로써 화상 촬영을 방지할 수 있다. 보안 시일(1)을 박리하였을 때에는, 도1의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안 시일(1)에 박리한 것을 나타내는 문자 및 도안 등의 패턴(4)이 발현하고, 다시 피착체(2)에 부착해도 발현된 문자 및 도안 등의 패턴(4)은 시인 가능한 상태로 남고, 이에 의해 박리한 흔적을 남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보안 시일(1)을 피착체(2)의 렌즈 부분(3)을 덮도록 부착해 둠으로써 부정 촬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약 보안 시일(1)에 박리한 흔적이 남아 있었던 경우에는 부정 촬영이 있었을지도 모른다고 하여 적절한 대응을 채용할 수 있고, 박리한 흔적이 없는 경우에는 촬영 사실이 없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시일(1)의 사용 대상은 도시한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로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나 다른 카메라 등의 임의의 화상 촬영 기기로 할 수 있고, 또한 보안 시일(1)의 형상 및 치수는 사용 대상에 따라서 적절한 것으로 하면 되고, 띠형, 정사각형, 구형 등 다양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보안 시일(1)의 구조 및 재료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a는 보안 시일(1)의 개략 표면도, 도2b는 그 개략 단면도, 도2c는 그 이 면도이다. 보안 시일(1)은 피착체에 부착하는 데 적합한 형상 및 크기의 시일 본체(5)와, 그 이면 전체면에 설치된 점착층(6)과, 그 대략 중앙에 부착된 비점착성 영역을 구성하는 보호재(7)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보호재(7)는 보안 시일(1)을 피착체에 부착하였을 때에, 그 피착체의 렌즈 부분(3)(도1 참조)을 덮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렌즈 부분(3)을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비점착성의 표면을 구비한 것이다.
이 보안 시일(1)은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대지에 부착한 형태로 취급되고, 사용할 때에 대지로부터 박리하여 피착체에 부착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대지의 일부로 보호재(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는 보안 시일(1)의 시일 본체(5)와 점착층(6)을 더 확대하여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2b 및 도4에 있어서 시일 본체(5)는 투명 필름(10)과, 그 이면에 원하는 패턴으로 형성된 박리성을 갖는 박리층(11)과, 투명 필름(10)의 이면 및 박리층(11)을 덮도록 형성된 인쇄층(12)과, 인쇄층(12)을 덮도록 형성된 쿠션성과 피막성을 구비한 쿠션층(13)을 구비하고 있고, 그 쿠션층(13)의 표면에 점착층(6)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 필름(2)의 표면에 특수한 매트 가공을 실시해도 좋다.
투명 필름(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투명한 고분자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면 인라인제 막 역접착 코트 처리품이 이용되고 있다. 표면에 오리지널 인쇄를 실시해 두어도 좋다.
박리층(11)은 시일 본체(5)를 박리할 때에 시일 본체에 생기는 굴곡에 의해 투명 필름(10)으로부터 박리되는 박리성을 구비한 것이다. 박리층(11)의 재료로서는, 구체적으로는 UV(자외선 경화형) 실리콘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되지만,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실리콘계, 불소 수지계, 매트 입자계,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등 고급 알코올인 아크릴산아스테르로 대표되는 유지계, 니트로셀룰로오스로 대표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에테르계로 박리층(11)을 형성해도 좋다. 박리층(11)에 부여하는 패턴은「VOID」,「개봉 완료」등의 문자, 혹은 적당한 도안 및 지문 등으로 할 수 있고, 철판 인쇄, 플렉소 인쇄 및 스크린 인쇄 등에 의해 형성한다. 이에 의해, 박리시에 이들 문자 및 도안 등의 패턴이 부상한다.
인쇄층(12)은 피착체(2)에 부착한 보안 시일(1)을 피착체(2)로부터 박리하였을 때에 나타나는 인쇄를 실시한 것이고, 보안 시일(1)을 박리하였을 때에 투명 필름(10)으로부터 박리되는 박리층(11)의 패턴을 표시한다.
쿠션층(13)은 축소되는 응력을 갖고 있고, 투명 필름(10)에 인쇄층(12)을 거쳐서 접착되어 있는 쿠션층(13)의 면의 일부가 박리층(11)의 박리 등에 의해 해방되면, 이 부분이 축소되어 비가역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 쿠션층(13)은 UV 수지 또는 핫멜트 및 드라이 라미네이트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동일 라인 상에서 처리할 수 있는 코팅층을 도포, 또는 라미네이트함으로써 형성된다. 쿠션층(13)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및 폴리머의 아크릴모노머 용해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및 폴리머의 아크릴모노머 용해물 등은 도포 후 축소되는 응력을 갖고 고화되므로, 상기한 쿠션층(13)에 요구되는 특성을 구 비하고 있다.
점착층(6)은 시일 본체(5)를 피착체(2)에 대해 박리 가능한 형태로 부착하기 위한 것이고, 박리하였을 때에는 점착층(6)이 피착체(2)에 남지 않고 시일 본체(5)와 함께 깨끗하게 박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6)은, 구체적으로는 쿠션층(13)의 표면에 고무 탄성을 가진 각종 점착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점착제(6)의 종류 및 점착 특성은 피착체의 표면 특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정하면 된다.
보안 시일(1)의 사용에 있어서는, 이 보안 시일(1)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재(7)를 피착체(2)의 렌즈 부분(3)을 덮도록 피착체(2)의 하우징에 부착된다. 피착체(2)의 렌즈 부분(3)이 보호재(7)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촬영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렌즈 부분(3)에는 보호재(7)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보호재(7)가 렌즈 부분(3)을 보호하게 되고, 렌즈 부분(3)에 점착제(6)가 부착되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일이 없다.
피착체(2)에 부착된 보안 시일(1)을 박리하고자 하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안 시일(1)이 굴곡되고, 그때 투명 필름(10)의 굴곡에 박리층(11)이 완전히 추종되지 않고 박리층(11)이 투명 필름(10)으로부터 박리된다. 이때 쿠션층(13)이 갖고 있던 축소 응력에 의해 박리층(11) 및 그 위의 박리층(11)에 대응하는 인쇄층(12)의 영역(12a)이 쿠션층(13)측으로 인입되고, 그 인쇄층(12)의 영역(12a)은 투명 필름(10) 이면에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인쇄층(12)의 영역(12b)으로부터 절단된다. 그리고, 박리된 박리층(11) 및 그 위의 인쇄층(12)의 영역(12a)은 쿠션층(13)의 비가역적인 탄성 변형에 의해 쿠션층(13) 내로 물려 들어간 상태로 유지되고, 그 상태에서 보안 시일(1)이 피착체(2)로부터 박리된다.
즉,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리된 후의 보안 시일(1)은 보안 시일(1)을 원래의 똑바른 평판 상태로 복귀시켜도, 쿠션층(13)의 비가역적인 탄성 변형에 의해 박리층(11) 및 그 위의 인쇄층(12)의 영역(12a)은 투명 필름(10)으로부터 이격되어 쿠션층(13) 내로 물려 들어간 상태로 유지되고, 투명 필름(10)과 박리층(11) 사이에 간극(S)이 생겨 인쇄층(12)의 영역(12a)과 인쇄층(12)의 영역(12b) 사이에서 투명 필름(10)으로부터의 위치 어긋남이 생긴 상태가 유지된다. 이로 인해, 박리층(11)을 설치한 인쇄층(12)의 영역(12a)은 간극(S)의 존재에 의해 반투명과 같이 되어 인쇄층(12)의 영역(12a)의 색이 변화된다. 한편, 박리층(11)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인쇄층(12)의 영역(12b)은 투명 필름(10)에 밀착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원래의 색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박리층(11)에서 형성한「VOID」등의 패턴이 발현되어 박리된 흔적이 남는다. 발현된「VOID」등의 패턴은 이 보안 시일(1)을 다시 피착체(2)에 부착하였다고 해도 지워지지 않고, 따라서 피착체(2)에 보안 시일(1)이 부착되어 있어도, 그 표면을 봄으로써 박리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 보안 시일(1)을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등의 피착체(2)에 부착해 둠으로써 부정한 촬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보안 시일(1)을 박리하여 촬영하였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사용 후에는 보안 시일(1)을 피착체(2)로부터 박리하여 버리면 된다. 이때, 보안 시일(1)은 점착층(6) 및 보호 재(7)와 함께 피착체로부터 깨끗하게 박리되므로, 피착체(2)에는 점착층(6), 인쇄층(12), 박리층(11) 등이 남지 않고, 피착체의 렌즈 부분이나 하우징 등에 어떠한 잔류 찌꺼기도 생기지 않는다. 이로 인해, 피착체의 외관을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피착체의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부여하는 일이 없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투명 필름(10)과 박리층(11)의 경계면 및 투명 필름(10)과 인쇄층(12)의 경계면을 단순히 평활하게 하고 있지만, 평활면을 이용하는 대신에 투명 필름(10)과 박리층(11)의 경계면 및 투명 필름(10)과 인쇄층(12)의 경계면에 배 모양 등의 요철을 형성해 두어도 좋다.
이러한 요철을 형성해 두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필름(10)과 박리층(11) 사이에 간극(S)이 생겼을 때에 박리층(11)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인쇄층(12)의 영역(12b)에서는 색의 변화가 생기지 않지 않는 데 반해, 박리층(11)을 설치하고 있는 인쇄층(12)의 영역(12a)에서는 인쇄층(12)의 영역(12a)에 대한 투명도가 한층 저하된다. 이에 의해, 박리층(11)에서 형성한「VOID」등의 패턴이 한층 명확하게 발현되어, 보다 인식하기 쉬워지는 것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보안 시일(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7의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필름(10)을 형성하기 위한 넓은 면적의(연속 띠형 혹은 절단지형) 필름(예를 들어, 매트 가공 필름)(10A)을 준비하고, 이 필름(10A)의 이면에 박리 효과가 있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박리층(11)을 인쇄한다. 다음에, 박리층(11)을 덮도록 원하는 색수의 인쇄[인쇄층(12)]를 실시한다. 그 후 인쇄층(12)을 덮도록 UV 수지 또는 핫멜트, 드라이 라미네이트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동일 라인 상에서 처리할 수 있는 쿠션성과 피막성을 갖는 코팅층[쿠션층(13)]을 도포 또는 라미네이트한다. 그리고 쿠션층(13)을 덮도록 점착제([점착층(6)]를 도포한다.
계속해서, 점착층(6)에 이형지(15) 혹은 이형 필름을 라미네이트하고, 그 후 표면측[투명 필름(10A)측]으로부터 제조하고자 하는 보안 시일(1)(도2 참조)의 형상의 절삭날로 절삭하고[점착층(6)까지 날을 넣음], 도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측에 다수의 절입부(16)를 넣는다. 또한, 이면측[이형지(15)측]으로부터 보호재(7)(도2 참조)의 형상의 절삭날로 절삭하고[점착층(6)까지 날을 넣음],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측에 다수의 절입부(17)를 넣는다. 여기서, 절입부(17)를 넣는 위치는 표면측의 절입부로 둘러싸인 영역의 대략 중앙이 되도록, 즉 도2b 및 도2c에 도시하는 보안 시일(1)의 이면의 보호재(7)를 부착하는 위치가 되는 데 정해 둔다.
그 후, 표면측의 필름(10A)의 불필요한 부분 및 그것에 접착되어 있는 인쇄층(12), 쿠션층(13) 및 점착층(6) 등을 제거한다. 이에 의해, 도7의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형지(15) 상에 투명 필름(10), 박리층(11), 인쇄층(12) 및 쿠션층(13)을 적층한 구조의 시일 본체(5)가 섬형으로 점착층(6)을 거쳐서 부착된 구조가 된다. 그 후, 이형지(15)를 원하는 납입 형태로 절단한다. 이에 의해, 도9a 및 도9b에 도시하는 형태의 보안 시일 공급 시트(20)가 제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보안 시일 공급 시트(20)는 이형지(15)로 형성되는 대지의 표면에 점착층(6)을 거쳐서 박리 가능하게 복수의 시일 본체(5)를 섬형으로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시일 본체(5)는 피착체(2)의 렌즈 부분(3)을 덮도록 피착체(2)에 부착 가능한 크기를 갖는 동시에, 피착체로부터 박리하였을 때에 생기는 굴곡에 의해 표면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흔적을 발현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대지(15)에는, 도9b, 도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 본체(5)를 피착체(2)에 부착할 때에 렌즈 부분(3)을 덮는 위치가 되는 영역을 둘러싸도록 절입부(17)가 형성되고, 시일 본체(5)를 대지(15)로부터 박리하였을 때에 대지(15)의 절입부(17)로 둘러싸인 영역(보호재 영역)(7)이 시일 본체(5)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사용에 있어서는, 보안 시일 공급 시트(20)로부터 도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시일 본체(5)를 박리함으로써 시일 본체(5)의 이면에 점착층(6)이 존재하고, 그 대략 중앙에 대지(15)의 일부가 보호재(7)로서 부착된 구조의 보안 시일(1)이 형성된다. 이 보안 시일(1)은 휴대 전화 등의 피착체(2)에 부착된다.
또한, 대지(15)로부터 시일 본체(5)를 박리할 때에 시일 본체(5)가 굴곡될 가능성은 있지만, 대지(15)는 이형지 혹은 이형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일 본체(5)에 대한 접착력은 매우 약하고, 이로 인해 박리해도 그 흔적을 발현하지 않아 지장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보안 시일(1)의 렌즈 부분(3)에 대향하는 위치에 대지(15)의 일부를 보호재(7)로서 부착하고, 렌즈 부분(3)에 오염이나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보호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 구성 대신에 점착층(6)에 종이, 필름 및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보호용 라벨을 보호재(7)로서 부여하고, 그 후에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을 부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보호재(7)를 이용하는 대신에, 시일 본체(5)의 렌즈 부분(3)에 대응하는 영역에 점착층(6)을 형성하지 않고, 비점착성의 표면으로 해 두어도 렌즈 부분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박리하였을 때에 그 흔적을 생기게 하기 위한 시일 본체(5)로서 도4 내지 도6에 도시하는 구조의 것을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박리하였을 때의 굴곡에 의해 가려져 있었던 문자 및 모양 등이 나타나거나, 반대로 문자 및 모양 등이 탈락하는 것 등에 의해 박리된 흔적을 남길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다른 구조의 것도 적절하게 사용 가능하다.

Claims (11)

  1. 기기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보안 시일에 있어서,
    시일 본체와,
    시일 본체의 이면에 설치된 점착층을 구비하고,
    시일 본체는 표면측의 투명 필름과, 투명 필름의 이면에 설치된 패턴형의 박리층과, 박리층의 이면에 설치된 인쇄층을 갖고,
    보안 시일을 기기로부터 박리하였을 때, 보안 시일이 굴곡되고 박리층이 투명 필름으로부터 이격되어 표면측에서 박리층이 눈으로 확인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
  2. 제1항에 있어서, 시일 본체의 박리층은 보안 시일을 평판형으로 복귀시켰을 때에도 투명 필름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
  3. 제1항에 있어서, 시일 본체는 인쇄층의 이면에 설치된 쿠션층을 갖고,
    쿠션층은 고화 상태에서 축소되는 응력을 갖고, 박리층이 투명 필름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박리층과 이 박리층에 대응하는 인쇄층의 영역을 인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
  4. 제3항에 있어서, 쿠션층은 박리층이 투명 필름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박리 층과 이 박리층에 대응하는 인쇄층의 영역을, 이 인쇄층의 영역을 인쇄층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분리하여 인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
  5. 제1항에 있어서, 투명 필름과 박리층의 경계면 및 투명 필름과 인쇄층의 경계면은 요철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
  6. 제1항에 있어서, 기기는 렌즈 부분을 갖는 화상 촬영 기기로 이루어지고,
    보안 시일은 이 렌즈 부분을 덮어 촬상 방지를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
  7. 제1항에 있어서, 점착층에 렌즈 부분을 덮는 비점착성 영역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
  8. 제7항에 있어서, 비점착성 영역은 점착층에 설치된 보호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
  9. 제1항에 있어서, 보안 시일을 기기로부터 박리하였을 때, 점착층은 기기에 남지 않고 시일 본체측에 모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
  10. 박리지와,
    이 박리지에 점착층을 거쳐서 설치된 복수의 시일 본체를 구비한 보안 시일 공급 시트를 구비하고,
    시일 본체는 표면측의 투명 필름과, 투명 필름의 이면에 설치된 패턴형의 박리층과, 박리층의 이면에 설치된 인쇄층을 갖고,
    보안 시일을 기기로부터 박리하였을 때, 보안 시일이 굴곡되고 박리층이 투명 필름으로부터 이격되어 표면측에서 박리층이 눈으로 확인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 공급 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박리지 중 시일 본체의 대략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입부에 의해 보호재 영역을 마련하고, 시일 본체를 박리지로부터 박리하였을 때, 보호재 영역이 시일 본체측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일 공급 시트.
KR1020067006949A 2004-02-12 2005-01-26 보안 시일 및 보안 시일 공급 시트 KR101088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34732A JP3793203B2 (ja) 2004-02-12 2004-02-12 撮影防止用セキュリティシール及び撮影防止用セキュリティシール供給シート
JPJP-P-2004-00034732 2004-02-12
PCT/JP2005/000971 WO2005078685A1 (ja) 2004-02-12 2005-01-26 セキュリティシール及びセキュリティシール供給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722A true KR20060125722A (ko) 2006-12-06
KR101088573B1 KR101088573B1 (ko) 2011-12-05

Family

ID=3485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949A KR101088573B1 (ko) 2004-02-12 2005-01-26 보안 시일 및 보안 시일 공급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64259B2 (ko)
JP (1) JP3793203B2 (ko)
KR (1) KR101088573B1 (ko)
CN (1) CN100543802C (ko)
TW (1) TW200529111A (ko)
WO (1) WO200507868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759B1 (ko) * 2007-08-24 2014-06-17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첩부시트
KR101670506B1 (ko) * 2015-12-15 2016-10-28 마영훈 탄창 보안용 봉인 시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692B1 (ko) * 2002-12-06 2011-04-07 인튜어티브 서지컬 인코포레이티드 긴 샤프트를 포함하는 장치
EP1766454A2 (en) * 2004-07-02 2007-03-28 Data Abstraction (PTY) Ltd. A seal for a camera lens
SG132560A1 (en) * 2005-11-08 2007-06-28 Tay Ko Khee Security system and method
SG141282A1 (en) * 2006-09-28 2008-04-28 Nanyang Polytechnic Disabling camera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8242188A (ja) * 2007-03-28 2008-10-09 R:Kk 盗撮防止ラベル
CN101783093A (zh) * 2009-01-16 2010-07-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标签装置及使用该标签装置的电路板
DE102012019543A1 (de) * 2012-08-27 2014-02-27 Trautwein Gmbh & Co. Siegel
FI126349B (en) * 2012-12-31 2016-10-14 Suunto Oy Electronic device case
US9984595B2 (en) * 2013-09-17 2018-05-29 JoAnne M. Snow Security sticker and method for banking cards
WO2015189764A1 (en) * 2014-06-09 2015-12-17 Ashish Anand Automated verification of optical randomness in security label
CN105489111A (zh) * 2014-09-16 2016-04-13 深圳市百年防伪科技有限公司 一种防拍照封印标签、制备方法及其应用
US9854142B2 (en) * 2014-09-19 2017-12-26 Andrew J. Freeze Security door for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WO2016174579A1 (en) * 2015-04-29 2016-11-03 Khalifa University of Science, Technology & Research (KUSTAR) Device for inhibiting operation of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KR20170011733A (ko) 2015-07-24 2017-02-02 마영훈 보안 시일 테이프 자동 공급장치
JP2017029498A (ja) * 2015-08-04 2017-02-09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USD808457S1 (en) 2016-05-13 2018-01-23 Sol Pals, Llc Webcam cover
US10317776B2 (en) 2016-05-13 2019-06-11 Sol Pals, Llc Camera obstructing device
US9829770B1 (en) 2016-05-13 2017-11-28 Sol Pals, Llc Camera obstructing device
USD810180S1 (en) 2016-05-13 2018-02-13 Sol Pals, Llc Webcam cover
USD836154S1 (en) 2016-05-13 2018-12-18 C-Slide Holdings, Llc Webcam cover with stone element
USD807947S1 (en) 2016-06-10 2018-01-16 Sol Pals, Llc Sliding webcam cover
JP2018097324A (ja) * 2016-12-12 2018-06-21 雅絵 森 電子機器用ステッカー
US10816878B2 (en) * 2017-01-30 2020-10-27 Kameron Miller Electronic device privacy cover
USD940720S1 (en) 2017-04-25 2022-01-11 C-Slide Holdings, Llc Mic block with leash hole
WO2018200058A1 (en) 2017-04-25 2018-11-01 Sol Pals, Llc Port lock system and apparatus
KR20190042366A (ko) 2017-10-16 2019-04-24 삼영에코텍 주식회사 탄통 보안용 봉인 시일
CN108182867B (zh) * 2017-12-26 2023-07-21 竹林伟业科技发展(天津)股份有限公司 一种防伪标签及其制作方法
US10990124B2 (en) * 2018-01-29 2021-04-27 Madelyn Murphy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camera lens identifier
DE102018112763B3 (de) * 2018-05-29 2019-06-19 Yusuf Güzel Nachrüst-Ausspähschutz
EP3726506B1 (de) * 2019-04-19 2022-10-26 Securikett Ulrich & Horn GmbH Versiegelungsfolie
EP3971872A1 (de) * 2020-09-21 2022-03-23 Hueck Folien Gesellschaft m.b.H. Sicherheitselement mit manipulationsnachweis
KR102539322B1 (ko) 2022-12-13 2023-06-01 조미순 탄알 분실 예방 및 탄알집 보안용 봉인 시일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3083A (en) * 1955-01-04 1955-03-01 William J Gross Adhesive bandage
US4032679A (en) * 1972-04-27 1977-06-28 Shiro Kojima Sticker
US4584219A (en) * 1984-11-09 1986-04-22 Baartmans Hans R Web of labels
JP2590945B2 (ja) 1987-10-19 1997-03-19 ミノルタ株式会社 白色トナー
JPH071663Y2 (ja) * 1987-12-29 1995-01-18 株式会社共和 封緘用粘着テープまたはラベル
CA2134521A1 (en) 1993-11-02 1995-05-03 Raymond R. Gosselin Tamper-indicating label
JP4435312B2 (ja) 1996-10-08 2010-03-17 凸版印刷株式会社 不正防止シール
JP2000035761A (ja) 1998-05-11 2000-02-02 Shoichi Tezuka 目隠しシ―ル供給シ―ト
US6282374B1 (en) * 1999-07-26 2001-08-28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having label-stopped optical system
JP3068860U (ja) 1999-11-10 2000-05-26 王佳實業股▲分▼有限公司 剥がし防止用シ―ト
US6731952B2 (en) * 2000-07-27 2004-05-04 Eastman Kodak Company Mobile telephone system having a detachable camera / battery module
JP2002271665A (ja) * 2001-03-12 2002-09-20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用レンズカバー
JP2002318405A (ja) * 2001-04-20 2002-10-31 Canon Inc 光学系のバリア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3979090B2 (ja) * 2001-12-28 2007-09-19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型電子機器
US20030122957A1 (en) * 2001-12-31 2003-07-03 Emme Niels Peter Mobile terminal with digital camera and method of capturing images
JP4112279B2 (ja) 2002-05-23 2008-07-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凹凸パターンの多面複製原版の製造方法
JP3690673B2 (ja) * 2002-05-28 2005-08-31 シーレックス株式会社 改ざん防止ラベル及び改ざん防止ラベルの製造方法
JP3629488B1 (ja) * 2003-09-24 2005-03-16 株式会社エーアイ 盗撮防止ラベ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759B1 (ko) * 2007-08-24 2014-06-17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첩부시트
KR101670506B1 (ko) * 2015-12-15 2016-10-28 마영훈 탄창 보안용 봉인 시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29111A (en) 2005-09-01
US7964259B2 (en) 2011-06-21
KR101088573B1 (ko) 2011-12-05
US20060077287A1 (en) 2006-04-13
CN100543802C (zh) 2009-09-23
TWI334117B (ko) 2010-12-01
JP2005227445A (ja) 2005-08-25
WO2005078685A1 (ja) 2005-08-25
CN1918613A (zh) 2007-02-21
JP3793203B2 (ja)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573B1 (ko) 보안 시일 및 보안 시일 공급 시트
US4968063A (en) Transparent tamper-indicating document overlay
US20080233326A1 (en) Adhesive cover for consumer devices
JP2003345255A (ja) 改ざん防止ラベル及び改ざん防止ラベルの製造方法
US20130083395A1 (en) Screen Protector
CN104821136A (zh) 一种一次性防伪标签及防伪方法
KR101684376B1 (ko) 보안테이프
EP1614088B1 (en) Security arrangement
JP2002040946A (ja) 再貼付不正使用防止ラベル
EP0349537A1 (en) Adhesive sheet material
JP2001121852A (ja) スクラッチ隠蔽層付カード
JP4892775B2 (ja) 不正使用防止ラベル
JP3131580U (ja) 隠蔽シール
US106142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patient information on medical prescription labels
JP3104796U (ja) 携帯式撮影装置用のレンズカバー
JP2008242188A (ja) 盗撮防止ラベル
JP6212857B2 (ja) カード
JP7214307B2 (ja) 不正検知シール、及び、不正検知シールセット
JP2001525774A (ja) フラットな重要物品を封入するためのケースならびにこのようなケース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8197615A (ja) 隠蔽シール
JPH0540537Y2 (ko)
JP2009208320A (ja) 足跡鑑識用シート
JP2001294261A (ja) 隠蔽剥離層付き包装材料
JP4735143B2 (ja) 回折構造層付シール
JP2006053308A (ja) 封印シ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