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8973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973A
KR20060118973A KR1020050041441A KR20050041441A KR20060118973A KR 20060118973 A KR20060118973 A KR 20060118973A KR 1020050041441 A KR1020050041441 A KR 1020050041441A KR 20050041441 A KR20050041441 A KR 20050041441A KR 20060118973 A KR20060118973 A KR 20060118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uction
partition wall
ai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317B1 (ko
Inventor
송화규
이성철
오현준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1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317B1/ko
Priority to US11/367,342 priority patent/US7596829B2/en
Priority to EP06290587.2A priority patent/EP1741374B1/en
Priority to AU2006201707A priority patent/AU2006201707A1/en
Priority to CNA2006100766336A priority patent/CN1864613A/zh
Priority to RU2006114455/12A priority patent/RU2328202C2/ru
Publication of KR20060118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오물흡입공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조립체가 장착되는 모터실과, 모터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구를 구비하고, 모터실은, 배기구와 공기소통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기배출공 및 모터조립체와 공기배출공 사이에 설치되는 유로연장부재를 포함하며, 유로연장부재는 모터실 내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우회통로를 형성시키는 테두리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모터조립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배출공에 도달하기 전에 우회통로를 경유하도록 상기 유로연장부재에 의해 굴곡지게 안내됨으로써 모터조립체의 구동시 발생되는 구동소음이 청소기 본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청소기 본체, 모터실, 구동소음, 유로변경부재, 격벽

Description

진공청소기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제 3 격벽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3 격벽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청소기 본체 105 : 배기구
130 : 모터조립체 131 : 흡입모터
140 : 모터 하우징 145 : 제 2 돌출부
147 : 제 1 관통공 148 : 제 1 돌출부
150 : 모터실 160 : 제 1 격벽
170 : 제 2 격벽 175 : 제 1 지지부재
180 : 제 3 격벽 181 : 테두리
183 : 지지홈 185 : 제 2 지지부재
P1 : 제 1 유로 P2 : 제 2 유로
P3 : 제 3 유로 RP : 우회통로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조립체가 설치되도록 청소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진공청소기의 모터실에 관련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오물이 주변공기와 함께 흡입되도록 오물흡입공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조립체를 구비한다. 여기서, 모터조립체는 흡입팬을 구비하는 흡입팬부와, 흡입팬부를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몸체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몸체에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와의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구동되어 상기 흡입팬을 회전구동시키는 회전자가 내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모터조립체는 흡입팬의 회전시 발생되는 공기유동 및 진동에 의해 구동소음이 발생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구동소음은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외부로 전달된다. 이렇게 외부로 전달되는 구동소음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조용한 상태에서 청소를 해야 하는 공간에서는 진공청소기의 사용을 용이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은 높은 청소효율의 보장을 위해 흡입팬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흡입모터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에서는 더욱 심하게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진공청소기의 구동시 모터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진공청소기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개선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오물흡입공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조립체가 장착되는 모터실과, 상기 모터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실은, 상기 배기구와 공기소통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기배출공; 및 상기 모터실 내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우회통로를 형성시키는 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조립체와 공기배출공 사이에 설치되는 유로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모터조립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공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우회통로를 경유하도록 상기 유로연장부재에 의해 굴곡지게 안내된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실의 내벽과 상기 테두리 사이의 거리는 상기 모터실의 내벽과 상기 공기배출공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모터조립체로부터 배출되어 공기배출공을 향해 진행되는 공기가 상기 우회통로를 경유할 때 굴곡지게 진행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소음전달양의 감소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실은, 상기 오물흡입공과 연결되도록 관통형성된 공기흡입공 을 구비하고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격벽과, 상기 공기배출공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배기구의 사이를 가로막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 2 격벽을 구비하며, 상기 유로연장부재는 상기 제 2 격벽으로부터 연장된 제 1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격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 3 격벽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제 2 및 제 3 격벽의 사이에 소정 유로를 형성시킴으로써 모터조립체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우회통로 및 상기 유로를 경유하도록 굴곡지게 안내될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은 소음전달의 억제효과가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격벽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벽에 마련된 슬라이드 홈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모터 조립체는 흡입모터와 그 흡입모터의 외곽을 둘러싸는 모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제 3 격벽과 마주하는 후방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흡입모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경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 3 격벽의 테두리와 상기 모터실 내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관통공과 상기 모터실 내벽 사이의 간격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제 1 관통공을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우회통로를 향해 진행되기 위해서는 제 3 격벽에 의해 그 진행방향이 굴곡지게 전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소음전달량의 절감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제 3 격벽을 향해 돌출되는 제 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격벽은 상기 제 1 돌출부가 삽입지지되는 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유로연장부재가 모터조립체의 후방면을 지지하 는 기능까지 수행함으로써 모터실의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모터 하우징의 설치시 상기 공기흡입공에 삽입지지되며 상기 흡입모터로 흡입되는 공기가 경유하는 제 2 관통공이 관통형성된 제 2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방진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제 2 격벽의 사이 및 상기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제 3 격벽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방진재가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모터 하우징이 모터실 내부와 접촉되는 것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제 1 내지 제 3 격벽 각각에 연결되는 부위까지 방진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모터조립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청소기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로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3 격벽은 상기 모터실 바닥면과 마주하는 하단 테두리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모터실 바닥면에 접촉지지되는 제 2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제 3 격벽이 제 1 및 제 2 지지부재들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어 모터조립체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하우징은, 상기 모터몸체의 외곽을 일정 간격 이격되게 둘러싸서 제 1 유로를 형성시키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곽을 일정 간격 이격되게 둘러싸서 제 2 유로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상기 흡입팬부의 외곽을 둘러싸는 외부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하우징은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흡입팬부에 인접한 일부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유로변경부재와 마주하는 후방면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 나의 제 1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팬부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모터 몸체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유로와 상기 연결공과 상기 제 2 유로 및 상기 제 1 관통공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모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모터하우징으로부터 모터실로 배출되는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의 양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로변경부재의 표면에는 제 1 흡음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격벽의 표면에도 제 2 흡음부재가 설치되는 경우, 제 2 격벽 및 유로변경부재와 공기가 접촉될 때 제 2 격벽 및 유로변경부재의 표면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산란시킬 수 있어 상기 소음전달 방지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해 보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00)와, 흡입구 조립체(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구 조립체의 저면에는 오물흡입공(미도시)이 형성되며, 피청소면의 오물은 청소기 본체(100)의 구동시 주변공기와 함께 상기 오물흡입공을 통해 흡입된다. 이러한 흡입구 조립체는 직립형 진공청소기(Upright type vacuum cleaner)에 적용된 경우 청소기 본체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Canister type vacuum cleaner)에 적용된 경우 청소기 본체(100)에 관통형성된 삽입공(103)에 연결되는 연장관(미도시) 또는 연장호스(120)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공기소통가능하게 청소기 본체(100)와 연결된다.
청소기 본체(100)는 상기 오물흡입공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조립체(130)가 내장된다. 이러한 모터조립체(130)는 청소기 본체(100) 내부에 구획형성된 별도의 공간인 모터실(150)에 장착된다. 참고로, 참조부호 110은 집진실을 나타낸다. 상기 집진실(110)은 사이클론 집진장치 등과 같은 별도의 집진장치가 청소기 본체(100)의 외부에 구비되는 진공청소기에서는 설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모터실(150)은 삽입공(103)과 공기소통가능하게 연결되기만 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모터실(150)은 제 1 격벽(160)과 제 2 격벽(170)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 1 격벽(160)은 삽입공(103)과 집진실(110)을 경유하여 공기소통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기흡입공(161)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흡입공(161)에는 후술될 모터하우징(140)의 제 2 돌출부(145)가 삽입지지되며, 제 2 돌출부(145)는 모터하우징(140)에 내장되는 흡입모터(131)의 흡입팬부(132)와 공기소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관통공(143)을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모터하우징(140)의 전방부가 제 2 돌출부(145)와 공기흡입공(161)의 결합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모터하우징(140)의 전방부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체가 모터실(15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제 2 격벽(170)은 청소기 본체(100)의 외주면에 관통형성된 배기구(105)와 공기소통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기배출공(171)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모터조립체(130)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유로가 공기배출공(171)에 의해 일시적으로 좁아진 후 다시 확장되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100) 외부로 전달되는 모터조립체(130)의 구동소음양이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격벽(1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00)의 내주면에 돌출되는 슬라이드 돌기(153)들에 의해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15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하면, 청소기 본체(100) 내부에 제 2 격벽(170)을 형성시키기 위한 제조공정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모터조립체(130)는 흡입모터(131)와 모터하우징(140)을 포함한다. 모터하우징(140)은 흡입모터(131)를 둘러싼다. 흡입모터(131)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미도시)을 구비하는 흡입팬부(132)와, 상기 흡입팬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몸체(133)를 구비한다. 여기서, 모터몸체(133)는 고정자(미도시)와 상기 고정자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구동됨으로써 상기 흡입팬을 회전구동시키는 회전자(미도시)를 내장하며, 그 측벽에는 흡입팬부(132)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관통공(135)이 적어도 하나 관통형성된다. 모터하우징(140)은 전방면(144)에 돌출형성된 제 2 돌출부(145)와, 후방면(146)에 돌출형성된 제 1 돌출부(148)를 구비한다. 제 2 돌출부(145)는 제 1 격벽(160)의 공기흡입공(161)에 삽입지지되며, 제 1 돌출부(148)는 후술될 제 3 격벽(180)의 지지홈(183)에 삽입지지된다. 제 1 돌출부(148)의 내부에는 흡입모터(131)의 회전축부를 지지하는 방진재(149)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돌출부(145)도 고무와 같은 소정의 방진재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모터하우징(140)의 지지구조에 의하면, 모터하우징(140)의 측면이 모터실(150)의 내벽과 접촉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흡입모터(131)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청소기 본체(10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모터하우징(140)은 흡입모터(131)의 구동시 발생되는 구동 소음이 청소기 본체(100)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경감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의 모터하우징(140)은 내부하우징(141)과 외부하우징(142)을 구비한다. 내부하우징(141)은 모터몸체(133)의 외곽을 모터몸체(133)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서 모터몸체(133)와 내부하우징(141)의 사이에 제 1 유로(P1)를 형성시킨다. 아울러, 외부하우징(142)은 흡입모터(131)의 흡입팬부(132)와 내부하우징(141)의 외곽을 둘러싼다. 여기서, 외부하우징(142)은 내부하우징(141)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서 내부하우징(141)과 외부하우징(142)의 사이에 제 2 유로(P2)를 형성시킨다. 이러한 제 2 유로(P2)는 흡입팬부(132)와 인접한 내부하우징(141)의 일부분에 복수로 관통형성된 연결공(142a)을 통해 제 1 유로(P1)와 연결되며, 모터하우징(140)의 후방면(146)에 복수로 형성되는 제 1 관통공(147)들을 통해 모터실(150)과 연결된다. 상기 제 1 관통공(147)은 모터하우징(140)의 후방면(146)에 방사상으로 관통형성되며, 모터하우징(140)의 중심부로 진행될수록 큰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모터몸체(133)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제 1 유로(P1)와 제 2 유로(P2) 및 제 1 관통공(147)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굴곡지게 안내되어 모터실(150) 내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흡입모터(13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가 모터하우징(140) 내부에서 충분히 연장됨과 아울러 굴곡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모터하우징(140)의 외부로 전달되는 흡입모터(131)의 구동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실(150)로 배출된 공기는 배기구(105)를 통해 청소기 본체(100) 외부로 전달되는 구동소음의 절감이 가능하도록 배기구(105)까지 굴곡지 게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2 격벽(170)과 모터조립체(130)의 사이에 설치되는 유로연장부재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로연장부재로서 제 3 격벽(18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격벽(180)은 제 2 격벽(170)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제 2 격벽(170)과 제 3 격벽(180)의 사이에 일정 너비의 제 3 유로(P3)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3 격벽(180)의 테두리(181)들도 모터실(150)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모터실(150)의 내벽과 테두리(181)의 사이에 우회통로(RP)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제 3 격벽(180)의 테두리(181)와 모터실(150)의 내벽 사이의 거리(D1)는 공기배출공(171)과 모터실(150)의 내벽 사이의 거리(D2)보다 짧게 형성되고, 제 3 격벽(180)은 공기배출공(171)과 동축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3 격벽(180)의 테두리(181)와 모터실(150)의 내벽 사이의 거리(D1)는 모터하우징(140)의 후방면(146)에 형성된 제 1 관통공(147)들 중 최외곽에 배치된 제 1 관통공(147)과 모터실(150) 내벽 사이의 거리(D3)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모터하우징(140)의 제 1 관통공(147)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우회통로(RP) 및 제 3 유로(P3)를 경유하도록 굴곡지게 안내된 후 공기배출공(171) 및 배기구(105)를 통해 청소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하우징(14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굴곡지게 안내됨에 따라 청소기 본체(100)의 배기구(105)를 통해 흡입모터(131)의 구동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주파수 대역의 구동소음들이 청소기 본체(110)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될 수 있다. 특히, 6000Hz 이하의 저주파 소음들에 대한 전달억제가 다른 주파수대의 구동소음들보다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우회통로(RP) 및 제 3 유로(P3)의 형성이 판형상의 유로변경부재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터조립체(1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별도의 관부재 또는 덕트부재들 보다 모터실(150)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공기의 유동공간이 모터실(150) 내부에 충분하게 확보됨에 따라 상기 유로변경부재의 설치시 모터실(150) 내부의 공기유동제한에 의해 모터조립체(130)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부작용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3 격벽(180)은 제 1 및 제 2 지지부재(175)(185)에 의해 지지된다. 제 1 지지부재(175)는 제 2 격벽(170)으로부터 연장되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및 제 3 격벽(170)(180)의 사이에 제 3 유로(P3)가 형성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참고로, 참조부호 176은 제 1 지지부재(175)의 양끝단에 설치되는 방진재를 나타내며, 상기 방진재는 모터하우징(140)으로부터 제 3 격벽(180)까지 전달된 진동이 제 1 지지부재(175)를 통해 제 2 격벽(170)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지지부재(175)와 제 3 격벽(180)의 결합이 체결스크류(S)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제 1 지지부재(175)와 제 3 격벽(180)은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방진기능을 가진 재질의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러한 결합방법은 제 2 격벽(170)과 제 1 지지부재(175)의 결합에도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제 2 지지부재(185)는 모터실(150)의 바닥면(152)과 마주하는 제 2 격벽(170)의 하단 테두리(181)로부터 연장되어 제 3 격벽(180)의 설치시 모터실(150)의 바닥면(152)에 형성된 슬라이드 돌기(154)들에 의해 접촉지지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 3 격벽(180)의 설치시 제 3 격벽(180)의 하단에도 우회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지지부재(185)는 상호간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 3 격벽(180)의 설치시 제 2 지지부재(185)의 사이에 우회통로(RP)가 형성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2 및 제 3 격벽을 도시해 보인 것이다. 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3 격벽(180')은 표면에 복수로 돌출 형성된 제 1 흡음돌기(200)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격벽(170')의 표면에도 제 3 격벽(180)의 제 1 흡음돌기(200)와 동일한 구조의 제 2 흡음돌기(210)들이 돌출형성된다. 이들 흡음돌기(200)(210)들에 의하면, 우회통로(RP) 및 제 3 유로(P3)를 통해 진행하는 공기들이 제 2 격벽(170') 및 제 3 격벽(180')과 접촉될 때, 공기와 함께 전달되는 구동소음이 제 1 및 제 2 흡음돌기(200)(210)들에 의해 산란된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00) 외부로 전달되는 구동소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 및 제 3 격벽(170')(180')의 표면처리는 반드시 흡음돌기(200)(210)들의 형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2 및 제 3 격벽(170')(180') 각각의 표면에 흡음특성이 높은 스펀지와 같은 재질의 흡음부재(미도시)를 적층시키는 등 상술한 바와 같은 흡음돌기(200)(210)들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조립체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모터실의 공기배출공로 진행할 때 우회통로를 경유하도록 제 3 격벽에 의해 굴곡지게 안내된다. 이에 따라, 흡입모터의 구동시 발생되는 소음이 청소기 본체의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정숙한 상태에서 진공청소기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제 3 격벽이 모터 하우징의 측벽과 모터실의 내벽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모터 하우징의 후방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흡입모터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이 모터실의 내벽을 통해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도 억제함과 아울러 모터 하우징의 설치까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오물흡입공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조립체가 장착되는 모터실과, 상기 모터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구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실은,
    상기 배기구와 공기소통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기배출공; 및
    상기 모터실 내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우회통로를 형성시키는 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조립체와 공기배출공 사이에 설치되는 유로연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조립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공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우회통로를 경유하도록 상기 유로연장부재에 의해 굴곡지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실의 내벽과 상기 테두리 사이의 거리는 상기 모터실의 내벽과 상기 공기배출공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실은, 상기 오물흡입공과 연결되도록 관통형성된 공기흡입공을 구 비하고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격벽과, 상기 공기배출공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배기구의 사이를 가로막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 2 격벽을 구비하며,
    상기 유로연장부재는 상기 제 2 격벽으로부터 연장된 제 1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격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 3 격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벽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벽에 마련된 슬라이드 홈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조립체는 흡입모터와 그 흡입모터의 외곽을 둘러싸는 모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제 3 격벽과 마주하는 후방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흡입모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경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 3 격벽의 테두리와 상기 모터실 내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관통공과 상기 모터실 내벽 사이의 간격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조립체는 흡입모터와 그 흡입모터의 외곽을 둘러싸는 모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제 3 격벽을 향해 돌출되는 제 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격벽은 상기 제 1 돌출부가 삽입지지되는 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모터 하우징의 설치시 상기 공기흡입공에 삽입지지되며 상기 흡입모터로 흡입되는 공기가 경유하는 제 2 관통공이 관통형성된 제 2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방진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격벽은 상기 모터실 바닥면과 마주하는 하단 테두리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모터실 바닥면에 접촉지지되는 제 2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벽의 표면에 설치되는 제 2 흡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제 2 격벽의 사이 및 상기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제 3 격벽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방진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조립체는 흡입모터와 그 흡입모터의 외곽을 둘러싸는 모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모터는, 회전자 및 고정자를 구비하는 모터몸체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시 연동회전되어 상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하우징은, 상기 모터몸체의 외곽을 일정 간격 이격되게 둘러싸서 제 1 유로를 형성시키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곽을 일정 간격 이격되게 둘러싸서 제 2 유로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상기 흡입팬부의 외곽을 둘러싸는 외부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하우징은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흡입팬부에 인접한 일부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유로변경부재와 마주하는 후방면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팬부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모터 몸체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유로와 상기 연결공과 상기 제 2 유로 및 상기 제 1 관통공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모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변경부재의 표면에 설치되는 제 1 흡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050041441A 2005-05-18 2005-05-18 진공청소기 KR100676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441A KR100676317B1 (ko) 2005-05-18 2005-05-18 진공청소기
US11/367,342 US7596829B2 (en) 2005-05-18 2006-03-06 Vacuum cleaner
EP06290587.2A EP1741374B1 (en) 2005-05-18 2006-04-11 Motor chamber of vacuum cleaner
AU2006201707A AU2006201707A1 (en) 2005-05-18 2006-04-24 Vacuum cleaner
CNA2006100766336A CN1864613A (zh) 2005-05-18 2006-04-27 真空吸尘器
RU2006114455/12A RU2328202C2 (ru) 2005-05-18 2006-04-28 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441A KR100676317B1 (ko) 2005-05-18 2005-05-18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973A true KR20060118973A (ko) 2006-11-24
KR100676317B1 KR100676317B1 (ko) 2007-01-30

Family

ID=3691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441A KR100676317B1 (ko) 2005-05-18 2005-05-18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96829B2 (ko)
EP (1) EP1741374B1 (ko)
KR (1) KR100676317B1 (ko)
CN (1) CN1864613A (ko)
AU (1) AU2006201707A1 (ko)
RU (1) RU2328202C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321B1 (ko) * 2006-11-28 2007-09-0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팬 모터용 케이스 조립체
KR100844130B1 (ko) * 2006-12-06 2008-07-0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팬 모터용 케이스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318B1 (ko) * 2005-05-16 2007-01-3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모터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0837362B1 (ko) * 2006-10-31 2008-06-1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모터의 소음저감장치
GB2468299B (en) * 2009-03-03 2012-06-20 Dyson Technology Ltd Noise reduction arrangement for a cleaning appliance.
DE102010017543A1 (de) * 2010-06-23 2011-12-29 Surgicey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ombinierten optischen und nuklearen Bilderfassung
CN101862154B (zh) * 2010-06-28 2013-07-03 北京联合大学 吸物器
DE102011007206A1 (de) * 2011-04-12 2012-10-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Motoranordnung für ein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s Haushaltsgerät
CN102309285A (zh) * 2011-09-14 2012-01-11 江苏美的春花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静音吸尘器
US20130133155A1 (en) * 2011-11-28 2013-05-30 Julio C. Perez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noise suppression system
GB2506654B (en) 2012-10-05 2017-05-03 Dyson Technology Ltd Vibration isolation mount for an electric motor
US9451855B2 (en) * 2013-02-28 2016-09-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GB2513661B (en) * 2013-05-03 2016-03-16 Dyson Technology Ltd Vibration isolation mount
CN104414587A (zh) * 2013-09-06 2015-03-18 江苏美的春花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及其进气装置
EP2870905B1 (en) * 2013-11-11 2019-01-02 NELA razvojni center d.o.o. Podruznica OTOKI Vacuum cleaner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system
CN105193349B (zh) * 2015-10-12 2018-07-13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及其电机组件
WO2017092832A1 (en) * 2015-12-04 2017-06-08 Aktiebolaget Electrolux A vacuum cleaner
DK3238592T3 (da) * 2016-04-27 2021-07-19 Diversey Inc Støvsuger
JP2018064849A (ja) * 2016-10-21 2018-04-26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モジュールおよび掃除機
JP2022011174A (ja) * 2020-06-29 2022-01-17 株式会社マキタ クリーナ
DE102020134579A1 (de) * 2020-12-22 2022-06-23 Vorwerk & Co. Interholding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Haushaltsgerät mit einem Gebläse und einem Strömungskanal
IT202100008114A1 (it) * 2021-03-31 2022-10-01 Diversey Inc Apparecchiatura per la pulizia di pavimenti
EP4129135B1 (de) * 2021-08-03 2024-04-0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schalldämpfungs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7819A (en) * 1935-01-04 1938-02-08 Faber Ernst Vacuum cleaner
DE1628835A1 (de) 1966-04-02 1971-06-16 Altenburg Elektrowaerme Einrichtung zur Geraeuschminderung an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n Geraeten
US3866263A (en) * 1973-04-17 1975-02-18 Hoover Co Cleaner with auxiliary air flow
JPS5338164A (en) 1976-09-20 1978-04-07 Hitachi Ltd Electric vacuum cleaner
DE3815320C3 (de) 1988-05-05 1998-02-12 Aeg Hausgeraete Gmbh Staubsauger
SU1729479A1 (ru) 1988-11-09 1992-04-30 Киевско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Электробытприбор" Пылесос
SU1701266A1 (ru) 1988-12-26 1991-12-30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Охраны Труда Вцспс В Ленинграде Пылесос
US4970753A (en) * 1990-02-23 1990-11-20 Ryobi Motor Products Corp. Vacuum cleaner noise reducing arrangement
JP3047984B2 (ja) * 1990-04-18 2000-06-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
JPH054398A (ja) 1991-06-27 1993-01-14 Canon Inc シート搬送機構及び前記シート搬送機構を有する記録装置
KR930001867A (ko) * 1991-07-26 1993-02-22 배순훈 저소음 진공청소기
JPH066209A (ja) 1992-06-24 1994-01-14 Toshiba Corp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アレイ
KR950012122B1 (ko) 1993-07-12 1995-10-14 대우전자주식회사 저소음 진공청소기
US5513417A (en) * 1993-07-19 1996-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lenc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JP3345992B2 (ja) 1993-11-08 2002-11-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H07136083A (ja) 1993-11-19 1995-05-30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KR970009718A (ko) * 1995-08-31 1997-03-27 배순훈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를 길게한 흡음방
DE19616156C1 (de) 1996-04-23 1997-10-02 Fakir Werk Gmbh & Co Staubsauger
KR100233513B1 (ko) 1997-09-23 1999-12-01 구자홍 진공청소기의 공기유로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321B1 (ko) * 2006-11-28 2007-09-0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팬 모터용 케이스 조립체
KR100844130B1 (ko) * 2006-12-06 2008-07-0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팬 모터용 케이스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64613A (zh) 2006-11-22
EP1741374B1 (en) 2014-01-08
US7596829B2 (en) 2009-10-06
EP1741374A3 (en) 2008-03-05
RU2006114455A (ru) 2007-11-10
US20060260091A1 (en) 2006-11-23
KR100676317B1 (ko) 2007-01-30
EP1741374A2 (en) 2007-01-10
RU2328202C2 (ru) 2008-07-10
AU2006201707A1 (en)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317B1 (ko) 진공청소기
RU2374976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вления шума вентилятор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в пылесосе
CN104519779B (zh) 用于吸尘器中的真空马达的消声器系统
JP2009100840A (ja) 電動送風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20060122521A (ko) 진공청소기
KR100809738B1 (ko) 진공청소기
JP2010082167A (ja) 電気掃除機
JP5899399B2 (ja) 電気掃除機
JP5825325B2 (ja) 電気掃除機の消音構造
EP1579797B1 (en) Powered low-noise suction generating unit for a cleaning apparatus and apparatus with same
JP3864660B2 (ja) 電気掃除機
JP2007113477A (ja) 電動送風機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0354562A (ja) 電気掃除機
KR20090084595A (ko) 소음방지구조를 갖춘 송풍기
JPH07250789A (ja) 電気掃除機の消音装置
JP2007113476A (ja) 電動送風機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1286420A (ja) 電気掃除機
US20230045149A1 (en) Household appliance with a sound attenuator
JP2011250973A (ja) 電気掃除機
KR950012122B1 (ko) 저소음 진공청소기
KR200167702Y1 (ko) 진공청소기
CN115089047A (zh) 配备有消声腔的家用吸尘器
JPH0496721A (ja) 電気掃除機
KR100634790B1 (ko) 진공청소기
KR100767679B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