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767A - 기능성 음료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능성 음료 및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767A
KR20060115767A KR1020067017985A KR20067017985A KR20060115767A KR 20060115767 A KR20060115767 A KR 20060115767A KR 1020067017985 A KR1020067017985 A KR 1020067017985A KR 20067017985 A KR20067017985 A KR 20067017985A KR 20060115767 A KR20060115767 A KR 20060115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allergic rhinitis
functional
methylated catechin
d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1834B1 (ko
Inventor
히로시 나가이
마사아키 야스에
마리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아사히인료 가부시키가이샤
도꾸리쯔 교세이호징 노우교 · 쇼쿠힝 산교 기쥬쯔 소고 겡뀨 기꼬우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인료 가부시키가이샤, 도꾸리쯔 교세이호징 노우교 · 쇼쿠힝 산교 기쥬쯔 소고 겡뀨 기꼬우,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인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5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23L33/11Plant sterols or derivatives thereof, e.g. phytoster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4Decongestants or antiallerg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5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other than with oxygen or sulphur atoms in position 2 or 4
    • C07D311/60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other than with oxygen or sulphur atoms in position 2 or 4 with aryl radicals attached in position 2
    • C07D311/62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other than with oxygen or sulphur atoms in position 2 or 4 with aryl radicals attached in position 2 with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3, e.g. anthocyanid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rds (AREA)
  • Otolaryngology (AREA)
  • Immu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Abstract

알레르기성 비염을 억제하고, 또한 고지혈증과 그의 파생질환, 즉 동맥경화증, 비만증, 간질환의 예방·치료에 유효한 기능성 음료 및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기의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메틸화 카테킨을, 알레르기성 비염 억제제 및 항고지혈증제로서 유효성분량 함유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63884076-PCT00009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메틸기 중 어느 하나이고, X1,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다.]
기능성 음료, 메틸화 카테킨, 알레르기성 비염 억제제, 항고지혈증제, 담, 간기능 개선제

Description

기능성 음료 및 조성물{Physiologically functional drinks and compositions}
본 발명은, 알레르기 증상의 억제 및 고지혈증과 그의 파생질환, 즉 동맥경화증, 비만증, 담(膽), 간(肝)질환의 예방·치료에 유효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도한 면역반응의 하나인 알레르기는, 식물, 동물, 미생물, 음식물, 화학물질 등의 「알레르겐(allergen)」이라고 불리우는 원인물질에 의해 발증한다. 특히 알레르기성 비염은, 화분증(花粉症)으로 대표되는 상기도(上氣道) 알레르기 질환으로서, 재채기 발작, 맑은 콧물, 코막힘(鼻閉)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일본 전국에서 화분증 환자 만으로도 1300만명이라고 말하여지고 있어, 큰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알레르기 증상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히스타민 등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는 화학 전달성 물질이, 마스트 세포(mastocyte)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 히스타민 방출을 억제하기 위해, 종래부터 여러 가지의 항알레르기제가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면, 우롱차(烏龍茶)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를 억제하는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제나, 삼나무(杉)로부터 착취(搾取)한 기름에 항히스타민제를 배합한 것을, 삼나무 화분증의 예방약 및 치료약으로서 사용한 것 등이 검토되고 있었다(특허문헌 1, 2 참조). 또한, 허브를 일본차(日本茶)에 혼합한 화분증 서플리먼트 드링크도 검토되어 왔다(특허문헌 3 참조).
또한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라,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비만을 비롯한 생활습관병은 매년 증가 경향에 있다. 예를 들면, 일본인의 2/3는 이 생활습관병으로 사망하고 있다고 말하여지고 있어, 큰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 중에서 고지혈증은, 식사의 고칼로리화, 운동부족, 기초대사의 저하 등, 여러 가지의 요인이 원인이 되어 혈액 중의 중성 지방치나 총콜레스테르치가 상승하는 질환이지만, 특히 중성 지방치의 상승이 여러 가지의 중증 질환, 즉 파생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중성 지방치의 상승은, 지방세포의 비대, 간세포의 중성 지방 축적 및 동맥경화 이발성(易發性) 리포단백 증가를 촉진시킨다. 그리고, 지방세포의 비대는 비만증, 간세포의 중성 지방 축적은 지방간을 거쳐 간염이나 간경변의 발증 리스크를 높인다. 또한, 동맥경화 이발성 리포단백이란, 렘넌트 유사 리포단백-콜레스테롤(remnant like particles-cholesterol)과 소립자(小粒子) LDL-콜레스테롤을 가리키지만, 이들은 마크로파지나 혈관 내피세포에 흡수되기 쉽기 때문에, 혈중 농도의 증가는 동맥경화의 발증 리스크를 높인다.
즉, 혈액 중의 중성 지방치를 건강한 정상의 범위로 컨트롤한다고 하는 것은, 고지혈증의 파생질환인 동맥경화증, 비만증, 간질환 등의 발증을 억제하는 것 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종래부터 고중성 지방혈증을 예방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약제나 식품 등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면, 찻잎(茶葉) 중의 카테킨류는, 항산화작용, 동맥경화 억제작용, 혈압상승 억제작용, 혈당상승 억제작용 등, 다양한 작용이 있는 것이 실증되어 있기 때문에, 찻잎의 분말 등을 건강식품의 원료에 사용함으로써, 기초대사를 향상시키고, 지방의 연소를 촉진시킴으로써 비만을 예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10-17587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23484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348339호 공보
비특허문헌 1: 마츠무라 케이이치로 「차의 과학」 아사쿠라쇼텐(2000)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추출물은, 비염의 증상을 억제할 수 없고,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예방 및 치료약은, 체내에 삼나무 화분이 들어간 경우에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더욱이, 이 예방 및 치료약에 항히스타민제를 배합한 경우, 졸음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기 때문에, 상시(常時) 복용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화분증 서플리먼트 드링크는, 허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독특한 풍미(風味)를 내어, 누구에게나 맞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지방의 연소를 촉진시켜, 비만증을 예방하기 위해 카테킨류가 유효한 것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알레르기 증상의 억제와 고지혈증과 그의 파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의 양쪽 효과를 갖는 약제나 음식품에 대해서는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 알레르기 증상과 고지혈증은 전혀 다른 병이기 때문에, 이들의 양쪽에 효과적인 물질이 있다고는 생각하기 어려웠다. 또한, 찻잎은 종류에 따라서는 함유되어 있는 화학성분이 다르고, 또한 그 종류도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카테킨류는 이성화체(異性化體)를 많이 갖기 때문에, 어떤 카테킨이 어떤 질병에 유효한지의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알레르기성 비염을 억제하고, 또한 고지혈증과 그의 파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기능성 음료 및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 등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어느 종류의 찻잎 중에, 알레르기성 비염을 억제시키고, 또한 고지혈증과 그의 파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카테킨성분이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여, 이하와 같은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에 이르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메틸화 카테킨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로서, 상기 메틸화 카테킨을 알레르기성 비염 억제제, 항고지혈증제 및 담, 간기능 개선제로서 유효성분량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Figure 112006063884076-PCT00001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메틸기 중 어느 하나이고, X1,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다.]
(1)의 발명에 의하면, 메틸화 카테킨을 음료에 유효성분량 함유함으로써, 알레르기성 비염의 억제 및 고지혈증과 그의 파생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테킨류에는 항산화작용, 동맥경화 억제작용, 혈압상승 억제작용, 혈당상승 억제작용, 살균작용, 항균작용, 소취작용(消臭作用) 등 여러 가지의 효과를 가진다.
그 중에서도,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메틸화 카테킨은, 이들의 작용효과 중 특히, 항알레르기 작용 및 중성 지방의 저감이 우수하다. 중성 지방의 저감에 의해, 렘넌트 유사 리포단백-콜레스테롤이나 소립자 LDL-콜레스테롤의 생합성이 억제되기 때문에 동맥경화가 예방되고, 더욱이 지방세포의 중성 지방 축적이 억제됨으로써 비만증의 발증 리스크가 저감된다.
또한, 중성 지방은 간 리파아제에 의해 지방산과 글리세린으로 분해되어 간세포에 흡수되기 때문에, 혈청 중의 중성 지방치의 상승은 지방간, 더 나아가서는 간염이나 간경변의 리스크를 높이지만, (1)의 발명에 의하면, 메틸화 카테킨 음료에 유효성분량을 함유함으로써, 중성 지방치가 억제되기 때문에, 이들의 담, 간기능 장애를 예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알레르기」란, 생체 내에 침입한 이물질을 공격하는 항체가 과잉으로 생산되어, 정상세포를 끌어들여 일어나는 과잉의 면역반응을 말한다. 알레르기에는 몇 가지의 타입이 있다. 예를 들면, IgE 항체에 의한 과잉반응에서는, 어느 특정의 알레르겐(화분, 단백질, 진드기, 집먼지 등)에 반응하는 IgE 항체가 과잉으로 생산되어, 마스트 세포의 표면에 부착된다. 그곳으로 재차 알레르겐이 도달하고 항체가 가교(架橋)되면, 마스트 세포는 활성화되고, 화학 전달물질인 히스타민, 류코트리엔(leukotriene) 등의 염증물질을 발생시켜 화분증,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나 천식 등을 일으킨다. 화분증이란, 눈이나 코 등의 점막에 염증 등이 일어나는 증상을 말한다.
또한, 「알레르기성 비염」이란, 어느 종류의 물질 섭취 또는 접촉에 의해 생체 내에 항체가 만들어지고, 동일한 물질의 재섭취 또는 재접촉에 의해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나 병적 증상이 나타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일종으로서, 특히 화분이나 실내 먼지 등의 항원에 대하여 알레르기 반응으로서 비점막(鼻粘膜)에 발생하는 염증을 말한다. 삼나무나 노송나무 등의 화분에 의한 화분증이나 진드기, 집먼지에 의한 통년성(通年性) 알레르기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알레르기성 비염 억제제」란, 전술한 바와 같은 알레르기성 비염의 증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항고지혈증제, 항비만제, 간질환 치료제란, 각각 고지혈증, 비만증, 간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들의 효과는 본 발명의 메틸화 카테킨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메틸화 카테킨이,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비염 억제제」, 「항고지혈증제」 및 「담, 간기능 개선제」인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는, 어느 의미에서는 이들의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는 것이 된다.
또한, 「고지혈증」이란, 혈청 중의 중성 지방 또는 콜레스테롤이 기준치 이상이 되는 질환을 의미하고, 그의 파생질환에는 동맥경화증, 비만증, 지방간을 포함하는 간질한이 해당된다. 비만증은, 추가로 당뇨병이나 고혈압증 등의 생활습관병의 원인이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유효성분량」이란, 알레르기 증상 및 중성 지방치를 억제하는 유효성분이, 충분한 효과를 나타낸다고 판단되는 경우의 함유량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음료 100 ㎖당 메틸화 카테킨을 1 ㎎ 내지 30 ㎎ 함유한다.
(2)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음료는, 찻잎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음료인 기능성 음료.
(2)의 발명에 의하면, 찻잎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함으로써, 차를 마신다고 하는 일상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는 행위에 의해, 간이(簡易)하게 알레르기성 비염을 억제하고, 또한 고지혈증, 비만증, 담, 간질환 등의 생활습관병을 예방할 수 있다. (2)의 발명의 음료는, 추출물을 캔, 페트병 등에 채운 것이어도 된다.
(3)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음료 100 ㎖당, 상기 메틸화 카테킨을 1 ㎎ 내지 30 ㎎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3)의 발명에 의하면, 음료 100 ㎖ 중의 메틸화 카테킨의 함유량을 상기의 양으로 함으로써, 떫은 맛이 적고, 마시기 쉬운 음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메틸화 카테킨의 함유량이 30 ㎎ 이상이면 「쓰고 떫은 맛」이 증가하기 때문에, 음료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1 ㎎ 이하이면 충분한 효과를 나타낼 수 없다.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틸화 카테킨은, 「베니후우키(Benifuuki)」, 「베니후지(Benifuji)」, 「베니호마레(Benihomare)」, 「야에호(Yaeho)」, 「스루가와세(Surugawase)」, 「유타카미도리(Yutakamidori)」, 「가나야미도리(Kanayamidori)」, 「오쿠무사시(Okumusashi)」, 「세이신-타이판(Seishin-taipan)」, 「세이신-우롱(Seishin-oolong)」, 「베니바나(Benibana)」, 「베니히카리(Benihikari)」, 「야마카이(Yamakai)」, 「야마미도리(Yamamidori)」, 「가라베니(Karabeni)」, 「코우순(Koushun)」, 「소우후우(Souhuu)」 및 「오쿠미도리(Okumidori)」,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찻잎 유래의 것인 기능성 음료.
(4)의 발명에 의하면, 메틸화 카테킨은, 「베니후우키」, 「베니후지」, 「베니호마레」, 「야에호」, 「스루가와세」, 「유타카미도리」, 「가나야미도리」, 「오쿠무사시」, 「세이신-타이판」, 「세이신-우롱」, 「베니바나」, 「베니히카리」, 「야마카이」, 「야마미도리」, 「가라베니」, 「코우순」, 「소우후우」 및 「오쿠미도리」 등의 품종의 찻잎 고유의 것이기 때문에, 이들의 찻잎을 사용함으로써, 알레르기성 비염을 억제하고, 또한 중성 지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틸화 카테킨을 함유하는 찻잎으로서 상기 품종의 찻잎을 들었지만, 특별히 이들의 품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음료는, 알레르기성 비염을 억제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내용의 표시 및/또는 고지혈증, 담, 간기능 개선에 유효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내용의 표시를 부가한 것인 기능성 음료.
(5)의 발명에 의하면, 알레르기성 비염을 억제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내용의 표시 및/또는 중성 지방을 저감시키기 때문에 사용되는 내용의 표시를 부가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음료의 효능에 대한 인상을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6) 하기의 화학식 1에서 나타내어지는 메틸화 카테킨을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메틸화 카테킨을, 알레르기성 비염 억제제 및 항고지혈증제로서 유효성분량 함유하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63884076-PCT00002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메틸기 중 어느 하나이고, X1,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다.]
(6)의 발명에 의하면, 메틸화 카테킨을 조성물에 유효성분량 함유함으로써, 알레르기성 비염의 억제 및 중성 지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음료 이외의 형태에서의 섭취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증상이나 용도, 목적에 맞추어 상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조성물」이란, 본 발명의 찻잎을 추출한 추출물에 종래 공지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얻어진 것을 말한다. 이 조성물은, 사람 및 동물의 음식용으로 제조한 것을 포함한다. 고형물에 한정되지 않고, 유동성(流動性)을 가지는 액체나 겔 등이어도 된다. 이 조성물은 식품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비염 억제제」, 「항고지혈증제」를 포함하는 영양 서플리먼트를 식품으로서 제공해도 되며, 정제(錠劑)의 형상을 하고 있어도 된다.
(7) (6)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음식품, 내복약, 도포약, 코양치제. 점비약(nasal drop), 화장품 또는 눈의 세정제인 조성물.
(7)의 발명에 의하면, 조성물을 상기의 것으로 함으로써, 보다 직접적으로 메틸화 카테킨을 섭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에 의하면, 알레르기성 비염을 억제하고, 졸음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며, 또한 누구에게나 맞는 풍미를 갖는다. 또한 알레르기성 비염을 억제함과 동시에, 중성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차를 마신다고 하는 일상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는 행위에 의해, 간이하게 알레르기성 비염을 억제하고, 또한 고지혈증, 비만증, 담, 간질환 등의 생활습관병을 예방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각 피험자의 일지(日誌)로부터 산출한 외관상의 비염 중증도(重症度)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각 피험자의 콧물 중 호산구 수의 변동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각 피험자의 혈중 중성 지방량의 변동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각 피험자의 총 빌리루빈의 변동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능성 음료의 제조]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는, 하기에 기재된 소정의 찻잎 유래의 메탈화 카테킨 성분을 알레르기성 비염 억제 유효성분 및 중성 지방 저감제로 하는 기능성 음료이다. 이 찻잎을 끓인 물로 침출(浸出)하여 얻은 차를 마심으로써, 알레르기성 비염을 억제하고, 또한 중성 지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틸화 카테킨」이란,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서, 메틸화된 카테킨 및 정제시의 불가피 성분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메틸화 카테킨은 주로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3-O-(3-O-메틸)갈레이트(이하, EGCG3"Me라고 한다), 에피카테킨(epicatechin)-3-O-(3-O-메틸)갈레이트(이하, ECG3"Me라고 한다), 에피카테킨-3-O-(4-O-메틸)갈레이트(이하, ECG4"Me라고 한다), 에피갈로카테킨-3-O-(4-O-메틸)갈레이트(이하, EGCG4"Me라고 한다), 갈로카테킨(gallocatechin)-3-O-(3-O-메틸)갈레이트(이하, GCG3"Me라고 한다), 카테킨-3-O-(3-O-메틸)갈레이트(이하, CG3"Me라고 한다), 카테킨-3-O-(4-O-메틸)갈레이트(이하, CG4"Me라고 한다), 또는 갈로카테킨-3-O-(4-O-메틸)갈레이트(이하, GCG4"Me라고 한다) 및 이들의 이성화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틸화 카테킨의 일반적인 효과는, 화학 전달물질인 히스타민 등의 염증물질의 방출을 멈추게 하여, Ⅰ형, Ⅳ형 알레르기를 억제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63884076-PCT00003
여기에서, EGCG3"Me, ECG3"Me, ECG4"Me, EGCG4"Me, GCG3"Me, CG3"Me, CG4"Me 또는 GCG4"Me의 함유량은, 음료 100 ㎖당 1~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 ㎎이다. 함유량이 1 ㎎ 보다 적으면, 알레르기성 비염의 증상을 억제하는 효과 및 중성 지방을 억제하는 효과가 저하된다. 함유량이 30 ㎎ 보다 많으면, 「쓰고 떫은 맛」이 증가하여, 음용(飮用)에 적 합하지 않다. 또한, 이 「쓰고 떫은 맛」을 해소하는 수단이 있으면 30 ㎎ 보다 많이 포함해도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함유량에 대해서는, 메틸화 카테킨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조제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메틸화 카테킨은, 소정의 찻잎 유래의 것이다. 메틸화 카테킨을 함유하고 있는 찻잎으로서는, 「베니후우키」, 「베니후지」, 「베니호마레」, 「야에호」, 「스루가와세」, 「유타카미도리」, 「가나야미도리」, 「오쿠무사시」, 「세이신-타이판」, 「세이신-우롱」, 「오바-우롱(Ohba-oolong)」, 「호우오우탄소우(Hououtansou)」, 「호우오우스이센(Houousuisen)」, 「하쿠요우탄소우스이센(Hakuyoutansousuisen)」, 「코시코우(Kohshikou)」, 「부이스이센(Buisuisen)」, 「베니바나」, 「베니히카리」, 「야마카이」, 「야마미도리」, 「가라베니」, 「코우순」 및 「오쿠미도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찻잎을 단일종 또는 복수종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는, 상기의 메틸화 카테킨이 충분한 알레르기성 비염 억제효과, 및 항고지혈증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산화방지제, 향료, 각종 에스테르류, 유기산류, 유기산염류, 무기산류, 무기산염류, 무기염류, 색소류, 유화제, 보존료, 조미료, 감미료, 산미료(酸味料), 과즙 추출물류, 야채 추출물류, 화밀(花蜜) 추출물류, pH 조정제, 품질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단독, 또는 병용하여 배합해도 된다.
예를 들면 감미료로서는, 설탕, 포도당, 과당, 이성화 액당, 글리시리진(glycyrrhizin), 스테비아, 아스파탐(aspartame), 프락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 당 등을 들 수 있다. 산미료로서는, 천연성분으로부터 추출한 과즙류 외에, 구연산, 주석산(酒石酸), 말산(malic acid), 유산(乳酸), 푸마르산, 인산을 들 수 있다. 구연산 또는 말산을 음료 중에 0.1~5 g/L, 바람직하게는 0.5~2 g/L 함유하는 것이 좋다. 산화방지제로서는, L-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나트륨, 에리소르빈산, 에리소르빈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음료 중에, 0.005~0.5 질량%, 바람직하게는 0.01~0.1 질량% 함유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에 사용되는 용기는, 일반적인 음료와 동일하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형용기(이른바 PET병), 금속캔, 금속박이나 플라스틱 필름과 복합된 종이용기, 병 등의 통상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용기는, 예를 들면, 금속캔과 같이 용기에 충전(充塡) 후, 가열 살균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식품위생법에 정해진 소정의 살균 조건에서 제조된다. PET병, 종이용기와 같이 레토르트(retort) 살균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미리 상기와 동등한 살균 조건, 예를 들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등으로 고온 단시간 살균 후, 일정 온도까지 냉각시켜, 용기에 충전하는 등의 방법이 채용된다. 또한 무균 하에서, 충전된 용기에 별도의 성분을 배합하여 충전해도 된다. 추가로, 산성 하에서 가열 살균 후, 무균 하에서 pH를 중성으로 되돌리는 것이나, 중성 하에서 가열 살균 후, 무균 하에서 pH를 산성으로 되돌리는 등의 조작도 가능하다.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정의 찻잎 유래의 메틸화 카테킨 성분을 알레르기성 비염 억제 유효성분 및 중성 지방 저감제로 하는 조성물이다. 이 조성물은, 상기의 찻잎으로부터 메틸화 카테킨을 종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얻어진다. 추출시의 농도는, 용매의 융점 보다 높고, 비점(沸點) 보다 낮은 온도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물에서는 10℃ 내지 100℃, 에탄올 및 메탄올에서는 10℃ 내지 40℃가 바람직하다. 추출시간은 10초 내지 24시간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건조시킨 찻잎을 파쇄, 분쇄 등에 의해 분말화 처리한 것에,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추출물 또는 그의 처리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용매로서는, 물: 저급 알코올류,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에테르류, 예를 들면 에틸에테르, 디옥산; 케톤류, 예를 들면 아세톤 등을 들 수 있지만, 물, 에탄올, 또는 물-에탄올 혼합용매가 바람직하다.
얻어진 추출물은, 그대로 본 발명의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화학분리 정제수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액-액 분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흡착 칼럼 크로마토크래피, 분배 칼럼 크로마토크래피, 겔 여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이온 교환 칼럼크로마토그래피, 전기영동이나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들의 분리 정제수단을 조합시켜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 식품 등과 같은 각종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의약으로서는,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고지혈증, 비만증, 담, 간질환의 치료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식품으로서는, 특정 보건용 식품, 특수영양식품, 영양보조식품, 건강식품 등에 식품첨가물로서 배합할 수 있다. 첨가대상의 식품으로서는, 각종 식품에 가능하다. 음료로서는, 특정 보건용 식품, 특수영양식품, 영양보조식품으로서의 음료나 그 밖의 영양음료, 건강음료, 각종 건강차, 그 밖의 음료 등에 배합할 수 있다. 다른 식품으로서는 과자류, 빵, 면류, 콩 가공품, 유제품, 달걀 가공품, 반죽제품, 유지(油脂), 조미료 등을 들 수 있다. 화장품으로서는, 화분증 증상의 완화나 예방의 목적 또는 슬리밍의 목적으로, 스킨케어 제품, 파운데이션이나 메이크업 제품 등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다.
의약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그대로, 또는 물 등으로 희석하여, 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는 이들을 공지의 의약용 담체와 함께 제제화(製劑化)함으로써 조제된다. 예를 들면, 시럽제 등의 경구 액상제제로서, 또는 추출물, 분말 등으로 가공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배합하여,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散劑) 등의 경구 고형제제로서 투여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담체로서는, 제제 소재로서 관용의 각종 유기 또는 무기 담체물질이 사용되고, 고형제제에 있어서의 부형제(賦形劑), 활택제, 결합제, 붕괴제, 액상제제에 있어서의 용제, 부형제, 현탁화제, 결합제 등으로 배합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방부제, 항산화제, 착색제, 감미제 등의 제제 첨가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공지의 의약용 담체를 사용하여, 코양치제, 점비약 또는 눈의 세정제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 알레르기성 비염 억제효과의 검토]
찻잎 「베니후우키」는 30배량의 순수(純水)를 사용하여, 90℃에서 추출을 행하여 얻은 추출액을, 중조(重曹) 등의 수질조정제 및 비타민 C를 첨가 혼합하였다. 살균하고 밀봉용기(본 실시예에서는 250 ㎖ 종이팩)에 질소 충전하여 시험음료 1로 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로서, 찻잎 「야부키타(Yabukita)」를 메틸화 카테킨 이외의 성분함량이 시험음료 1과 동량이 되도록 순수로 매스업(mass up)하고, 중조 등의 수질조정제, 비타민 C를 첨가 혼합하였다. 혼합액을 살균하고 밀봉용기 중에 질소 충전하여 시험음료 2로 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동일한 비료예로서, 「보리차」를 메틸화 카테킨 이외의 성분함량이 시험음료 1과 동량이 되도록 순수로 매스업하고, 중조 등의 수질조정제, 비타민 C를 첨가 혼합하였다. 혼합액을 살균하고 밀봉용기 중에 질소 충전하여 시험음료 3으로 하였다.
시험음료 1 내지 3에 포함되는 메틸화 카테킨류의 함유량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63884076-PCT00004
[실시예 2: 알레르기성 비염 억제효과의 검토]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한 피험음료가, 화분증상을 억제하는지에 대해서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은 경도(輕度)의 통년성 비염환자를 1군 20~23명으로 하고, 각각의 군에 시험음료 1 내지 3을 12주간 섭취시켜, 비염의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은 종합의과학연구소에 위탁하고, 시험의 프로토콜은 종합의과학연구소와 아사히인료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도꾸리쯔 교세호징 노우교·세이부쯔께이 토쿠세이산교 기쥬쯔 겡뀨 기꼬우의 공동으로 설계하였다.
피험자에게는 시험음료 1 내지 3을 각각 250 ㎖ 용기에 든 음료를 1일 2병씩(500 ㎖/일) 음용시켰다. 피험자에게는 음용 개시 2주 전부터 음용기간이 종료된 4주 후(16주째)까지 매일 알레르기 일지를 쓰게하고, 일본 알레르기학회의 진단기준에 따라서 중증도 스코어를 산출하였다. 시험은, 이중맹검(double blind)(피험자와 담당의사의 양쪽이 소속되는 시험군을 알지 못한다)으로 행하였다. 3주마다 수치를 평균화하고, 외관상의 비염 중증도(Nasal Symptomatic Score)를 산출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중의 기호, 사각형은 시험음료 1을 나타내고, 원은 시험음료 2, 삼각형은 시험음료 3을 나타낸다.
음용 개시 6주째 이후에 대조군인 시험음료 2 및 3의 2군에 있어서 증상이 부활한 것에 대하여, 시험음료 1군에서는 증상의 개선이 유지되었다.
또한, 콧물 중 호산구 수도 감소가 인정되었다. 이상으로부터 「베니후우키」의 알레르기 개선작용이, 「보리차」, 「야부키타」를 상회하여, 「베니후우키」의 유효성이 검증되었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또한, 도 1과 동일하게 도 중의 기호 사각형은 시험음료 1을 나타내고, 원은 시험음료 2, 삼각형은 시험음료 3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알레르기성 비염에 대한 인간에서의 효과가 확인된 알레르기성 비염 억제음료의 제공이 가능해졌다.
[실시예 3: 중성 지방의 저감효과의 검토]
공복시의 중성 지방치가 100~350 ㎎/dL의 건강한 정상 성인 10명을 5명씩 2군(모두 남성 4명, 여성 1명)으로 나누어, 시험음료 1 또는 비교예 2의 시험음료 3을 6주간 섭취시켰다. 각 음료는 250 mL의 용기에 넣고, 1일에 2병씩(500 ㎖/일) 음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시험 개시시와 음용 종료시에 하룻밤 절식(絶食) 후의 중성 지방치(평균±SD값)를 측정하였다. 이 때의 결과를 표 2 및 도 3에 나타낸다. 이에 따라, 메틸화 카테킨을 포함하지 않는 시험음료 3의 섭취는 혈청 중성 지방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에 대하여, 메틸화 카테킨을 함유하는 시험음료 1은 중성 지방치를 유의(有意)하게 저하시켰다.
Figure 112006063884076-PCT00005
[실시예 4: 담, 간기능의 시정효과의 검토]
총 빌리루빈치 1.1의 통년성 알레르기 비염환자 9명을 5명(베니후우키), 4명(플라세보: 야부키타)씩 2군으로 나누고, 실시예 1의 시험음료 1 또는 비교예 1의 시험음료 2를 4주간 섭취시켰다. 각 음료는 250 mL의 용기에 넣고, 1일에 6병(150 ㎖/일) 음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시험 개시시와 음용 종료시에 하룻밤 절식 후의 총 빌리루빈치(평균±SD값)를 측정하였다. 이 때의 결과를 표 3 및 도 4에 나타낸다. 이에 따라 항고지혈증제 및 담, 간기능 개선제로서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도 확인되었다.
Figure 112006063884076-PCT00006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메틸화 카테킨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로서,
    상기 메틸화 카테킨을, 알레르기성 비염 억제제, 항고지혈증제, 및 담, 간기능 개선제로서 유효성분량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화학식 1]
    Figure 112006063884076-PCT00007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메틸기 중 어느 하나이고, X1,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음료는, 찻잎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음료인 기능성 음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음료 100 ㎖당, 상기 메틸화 카테킨을 1 ㎎ 내지 30 ㎎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화 카테킨은, 「베니후우키」, 「베니후지」, 「베니호마레」, 「야에호」, 「스루가와세」, 「유타카미도리」, 「가나야미도리」, 「오쿠무사시」, 「세이신-타이판」, 「세이신-우롱」, 「오바-우롱」, 「베니바나」, 「베니히카리」, 「야마카이」, 「야마미도리」, 「가라베니」, 「코우순」, 「소우후우」 및 「오쿠미도리」, 또는 이들 혼합물의 찻잎 유래의 것인 기능성 음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음료는, 알레르기성 비염을 억제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내용의 표시 및/또는 고지혈증, 담, 간기능 개선에 유효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내용의 표시를 부가한 것인 기능성 음료.
  6.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메틸화 카테킨을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메틸화 카테킨을, 알레르기성 비염 억제제 및 항고지혈증제로서 유효성분량 함유하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63884076-PCT00008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메틸기 중 어느 하나이고, X1,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음식품, 내복약, 도포약, 코양치제, 점비약, 화장품 또는 눈의 세정제인 조성물.
KR1020067017985A 2004-02-06 2005-02-04 기능성 음료 및 조성물 KR100841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30490 2004-02-06
JP2004030490 2004-02-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171A Division KR100842634B1 (ko) 2004-02-06 2005-02-04 기능성 음료 및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767A true KR20060115767A (ko) 2006-11-09
KR100841834B1 KR100841834B1 (ko) 2008-06-26

Family

ID=348359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171A KR100842634B1 (ko) 2004-02-06 2005-02-04 기능성 음료 및 조성물
KR1020067017985A KR100841834B1 (ko) 2004-02-06 2005-02-04 기능성 음료 및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171A KR100842634B1 (ko) 2004-02-06 2005-02-04 기능성 음료 및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28299A1 (ko)
JP (3) JPWO2005074960A1 (ko)
KR (2) KR100842634B1 (ko)
CN (1) CN1913911A (ko)
WO (1) WO20050749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7097A (ja) * 2005-09-15 2007-03-29 Tsumura & Co 鼻用組成物
US9101160B2 (en) 2005-11-23 2015-08-11 The Coca-Cola Company Condiments with high-potency sweetener
JP4997523B2 (ja) * 2006-01-13 2012-08-08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抗アレルギー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品、外用剤、化粧料
JP2007320864A (ja) * 2006-05-30 2007-12-13 Toshihiko Osawa 非アルコール性脂肪肝炎予防・治療用組成物
JP2008094797A (ja) * 2006-10-16 2008-04-24 Morinaga & Co Ltd 肥満抑制剤及び該肥満抑制剤を含む高脂肪含有飲食品
US8017168B2 (en) 2006-11-02 2011-09-13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rubisco protein, rubiscolin, rubiscolin derivatives, ace inhibitory peptid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JP2008178319A (ja) * 2007-01-23 2008-08-07 Asahi Soft Drinks Co Ltd 容器入り茶飲料群の製造方法
JP5424533B2 (ja) * 2007-01-23 2014-02-26 アサヒ飲料株式会社 容器入り茶飲料群の製造方法
JP5128826B2 (ja) * 2007-02-07 2013-01-23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新規なメチル化カテキン及びそれを含む組成
FR2923718B1 (fr) * 2007-11-15 2009-12-18 Caudalie Compositions de derives polyphenoliques flavonoidiques et leurs applications pour lutter contre les pathologies et le vieillissement des organismes vivants
JP5419296B2 (ja) * 2008-03-28 2014-02-19 静岡県公立大学法人 メチル化カテキン含有発酵茶飲料
EP2486808B1 (en) * 2009-10-06 2017-03-08 Morinaga & Co., Ltd. Polyphenol compound absorption promoter and utilization of same
JP2012031101A (ja) * 2010-07-30 2012-02-16 Kurume Univ 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炎の改善用組成物
JP6105940B2 (ja) * 2013-01-09 2017-03-29 アサヒ飲料株式会社 酸性飲料及び耐熱性好酸性菌の増殖抑制方法
CN109221551A (zh) * 2018-11-20 2019-01-18 广西中医药大学 一种降血脂抗氧化保健茶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2842A (ja) * 1985-08-05 1987-02-12 Norin Suisansyo Chiyagiyou Shikenjo 遠赤外線による半醗酵茶の製造法
JPH06101096B2 (ja) * 1987-02-18 1994-12-12 三洋電機株式会社 磁気ヘッド
JP3546312B2 (ja) * 1994-02-18 2004-07-28 二六 村松 紅茶等の製造工程における茶葉の発酵方法
JPH10234301A (ja) * 1997-02-27 1998-09-08 Meiji Seika Kaisha Ltd 緑茶飲料
JPH11107A (ja) * 1997-06-12 1999-01-06 Res Inst For Prod Dev 高カテキン類含有チャ葉
JP3038373B2 (ja) * 1997-10-29 2000-05-08 農林水産省 野菜・茶業試験場長 γ−アミノ酪酸含量の高い茶の製造法
JP3724618B2 (ja) * 1997-11-18 2005-12-07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グミキャンデイ組成物
JP3637355B2 (ja) * 1998-11-20 2005-04-13 独立行政法人農業・生物系特定産業技術研究機構 抗アレルギー剤
JP3569180B2 (ja) * 1999-11-19 2004-09-22 株式会社 伊藤園 茶の苦渋味低減方法
JP2001253879A (ja) * 2000-03-09 2001-09-18 Shizuoka Prefecture カテキン類のアルキル誘導体
JP3403400B1 (ja) * 2001-09-28 2003-05-06 花王株式会社 容器詰飲料
JP2003171297A (ja) * 2001-12-07 2003-06-17 Ito En Ltd 血中ビリルビン濃度低下剤及び黄疸治療・予防剤
JP2004105078A (ja) * 2002-09-18 2004-04-08 Bio Oriented Technol Res Advancement Inst 抗アレルギー成分を含有する機能性飲食品
US20040202732A1 (en) * 2003-04-11 2004-10-14 Brown William Stewart Composition to promote weight loss
JP2004337110A (ja) * 2003-05-19 2004-12-02 Mitsui Norin Co Ltd 細胞保護剤およびその保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21040A (ja) 2011-02-03
US20070128299A1 (en) 2007-06-07
KR20080014145A (ko) 2008-02-13
JP5825772B2 (ja) 2015-12-02
KR100841834B1 (ko) 2008-06-26
KR100842634B1 (ko) 2008-06-30
JPWO2005074960A1 (ja) 2007-09-13
JP2014114303A (ja) 2014-06-26
CN1913911A (zh) 2007-02-14
WO2005074960A1 (ja)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834B1 (ko) 기능성 음료 및 조성물
US2012005213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US20180104299A1 (en) Use of saffron and/or safranal and/or crocin and/or picrocrocin and/or derivatives thereof as a satiation agen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KR19980702533A (ko) 프로시아니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비만제
WO2010010949A1 (ja) リパーゼ阻害剤
JP5261808B2 (ja) 脂肪蓄積抑制剤、医薬品及び脂肪蓄積抑制作用を新たに付与する方法
WO2007125644A1 (ja) 脂質吸収阻害剤
JP4205870B2 (ja) 生活習慣病予防・改善剤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JP4494033B2 (ja) 血清コレステロール低下剤、飲食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05627A (ko)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JP2011195530A (ja) タンパク質糖化抑制剤
Fahey Health benefits of apple cider vinegar and other common vinegars: A review
Marnewick Antioxidant properties of Rooibos (Aspalathus linearis)–in vitro and in vivo evidence
JP2021100421A (ja) 肝機能改善用組成物及び肝機能改善用食品組成物
JP6105186B2 (ja) 膵リパーゼ阻害剤
JP2019180412A (ja) 経口組成物
KR101695299B1 (ko) 필발 추출물,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용 또는 개선용 조성물
EP3235510A1 (en) Nutritional compositions for the management of glucose metabolism
JP2019176828A (ja) 経口組成物
KR101533910B1 (ko)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658403B1 (ko) 천연 당 시럽 및 그 제조 방법
JP7452874B2 (ja) 経口組成物
JP2006083106A (ja) 血中中性脂肪濃度上昇抑制作用を有する薬剤及び飲食物
JP2011132147A (ja) 濃縮赤ワインエキスを有効成分とする中性脂肪吸収阻害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