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627A -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 Google Patents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627A
KR20110105627A KR1020100024869A KR20100024869A KR20110105627A KR 20110105627 A KR20110105627 A KR 20110105627A KR 1020100024869 A KR1020100024869 A KR 1020100024869A KR 20100024869 A KR20100024869 A KR 20100024869A KR 20110105627 A KR20110105627 A KR 20110105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silkworm
body fluid
composition
silkworm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양
이원경
박상기
이헌식
박형국
황정욱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00024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5627A/ko
Publication of KR20110105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2Leeches; Worms, e.g. cestodes, tapeworms, nematodes, roundworms, earth worms, ascarids, filarias, hookworms, trichinella or taen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에의 분말 또는 추출물과는 차별되는 성분 및 효능을 갖는 누에의 체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체중을 감소시키고 혈중의 지질 농도를 저하시키며 운동성을 증진시키는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Anti-obesity composition containing silkworm hemolymph}
본 발명은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에의 체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체중을 감소시키고 혈중의 지질 농도를 저하시키며 운동성을 증진시키는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일반적으로 체내에 지방 조직이 과다한 상태인 것을 의미하며, 음식물로 섭취한 에너지가 신체활동 등으로 소비한 에너지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잉여의 에너지가 체지방으로 축적되는 현상이다. 오랜 시간에 걸쳐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체지방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면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증, 동맥경화증, 지방간 등의 각종 대사성 질환과 성인병이 유발되며, 이는 서구에서뿐만 아니라 우리 나라에서도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비만은 유전적 요인, 서구화되는 식생활에 의한 환경적 요인, 스트레스에 의한 심리적 요인, 에너지 대사의 이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그리고 그 종류는 원인에 따라서 과식과 운동 부족에 의한 단순 비만과 내분비성, 시상하부성, 유전성, 대사성 등에 의한 증후성 비만으로 나눌 수 있다.
비만도 평가에는 체중을 측정하는 방법, 피부주름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비만도 지수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한다. 신체 비만지수(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는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며, 서양인은 30 이상이지만 인종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우리 나라에서는 25 이상을 비만으로 평가한다.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 전 세계적으로 다각적인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비만 치료에는 크게 음식물의 섭취를 줄이는 식이요법,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는 운동요법이 있으며, 그 외에도 정신요법, 약물요법, 행동요법 또는 외과요법(위 축소수술, 지방 흡입술 등의 수술요법)이 있다.
대부분 비만 환자들은 생활 습관을 개선하여 식사량을 줄이고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통해 체중을 줄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식사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소의 조성에 따라 체중 감소 효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활 습관 개선 이외에도 약물을 통해 비만을 치료하기도 한다.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지방 연소 및 열 발생 촉진, 단백질 대사 저해, 식욕 억제 및 포만감 증진, 지방흡수 차단 그리고 음식물 섭취와 관련한 정서 조절 등의 기전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안전하고 효과적인 비만 개선을 위해서는 에너지 대사를 활성화시키고 운동을 통해 근육을 증가시켜 기초대사량 증가에 따른 에너지 소비를 촉진시키는 것과 동시에 부작용이 적은 비만 치료용 약제를 병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생체내의 에너지 대사 및 운동성을 증진시켜 비만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약물과 기능성 식품에 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누에는 누에 분말 또는 누에 추출물의 형태로 항비만, 숙취 해소, 에스트로겐 활성화, 성기능 강화, 혈당 강하 등에 사용되어 왔다. 특히 누에 분말 또는 누에 추출물은 당질분해 효소인 α-글리코시다제의 작용을 억제하여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 공복시 저혈당을 막아주어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는 결과가 한국공개특허 제2002-4191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누에의 분말 또는 추출물과는 차별되는 성분 및 효능을 가진 누에의 체액이 체중 감소 및 혈중 지질 농도 개선에 있어서 일반적인 누에 분말 및 추출물에 비해 보다 상승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누에 체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체중 감소, 체지방 감소, 운동성 증진 및 혈중 지질 개선을 통해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항비만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누에 체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항비만 조성물"은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체중 및 체지방 감소와 더불어 혈중 지질 농도 개선의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누에는 나비목 누에나방과에 속하는 누에나방의 유충을 말한다. 누에의 몸통은 원통형으로 머리, 가슴, 배의 세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몸은 젖빛을 띠며 연한 키틴질 껍질로 덮여 있어 부드러운 감촉을 준다. 누에는 뽕잎을 먹으면서 성장하여 4령잠(齡蠶)을 자고, 5령잠이 되면 급속하게 자라서 8㎝ 정도가 되며, 5령말이 되면 뽕 먹는 것을 멈추고 고치를 짓기 시작한다. 이러한 누에는 원래 비단을 생산하는데 이용되었으나, 당뇨와 고혈압에 효능이 알려지면서 누에 분말 또는 누에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이 출시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누에 체액"은 누에가 고치로 변하기 전에 필요한 영양분을 최대한 몸속에 액체 성분으로 저장할 시기인 5령 4 내지 5일의 누에에서 채취한 체액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누에 분말 또는 누에 추출물과는 그 성질을 달리한다. 누에 체액의 단백질을 전기영동하여 분석한 결과, 고등세포의 세포사멸 기작인 에이팝토시스(apoptosis)를 억제하는 30KDa 단백질 군이 발견되었다(BBRC, 2003, 308, 523-528). 이러한 30KDa 단백질은 지질다당질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30KDa 단백질이라는 특이적인 성분을 다량 포함하는 누에의 체액을 체중 감소, 체지방 감소, 운동성 증진 및 혈중 지질 개선을 통한 비만 예방 및 치료의 용도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에 체액의 30KDa 단백질은 누에 체액의 단백질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0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30KDa 단백질을 다량 포함하고 있는 누에 체액의 특성에 부합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누에 분말과 비교하여 상승된 항비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누에 체액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8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2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권장 최소 사용량 미만의 양으로 비만 예방 및 치료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고, 80 중량% 초과로 함유된 경우에는 누에 체액 사용 함량과 정비례하여 항비만 효과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므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에 체액은 녹차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녹차에는 에피카테킨(epicatechin), 에피카테킨갈레이트(epicatechin galate),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등의 인체에 유용하다고 알려진 카테킨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카테킨은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의 성분을 함유한 녹차는 동맥경화, 암, 신경계 질환의 예방과 함께 항산화 작용, 항염 작용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카테킨 중EGCG 성분은 1형 당뇨병 발병을 예방하고 혈중의 중성지방과 저밀도 콜레스테롤(LDL)을 낮추어 고지혈증과 동맥경화 등 성인병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다. 누에 체액과 녹차 추출물 혼합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두 가지 물질의 상호 작용을 통해 항비만 및 성인병 예방의 상승된 효과를 발생하기 위한 것이다. 단, 이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에 따른 누에 체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은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야채 음료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식품"은 식품의 생체 조절 기능을 강조한 식품으로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특정 목적에 작용 및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이다. 이러한 기능성 식품의 성분은 생체 방어와 신체 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 및 회복에 관계하는 신체 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하게 되며, 식품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 감미료 또는 기능성 원료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공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 과립, 분말, 캡슐, 액상의 용액, 환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여러 가지 향미제,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향미제가 있으며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과 같은 당알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g의 비율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나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무수 구연산과 같은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 제조를 위한 과육 등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첨가제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조성물 100중량부 당 0 내지 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중량부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에 따른 누에 체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은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가 가능하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누에 체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포함되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 등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텍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즈, 메틸 셀루로오즈,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즈, 미정질 셀룰로오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플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이산화규소 등의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환자의 상태 및 체중, 환자의 성별, 연령,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 배설 속도, 반응 감응성 등과 같은 요인들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체중 1㎏ 당 1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을 투여할 수 있으며, 이를 1일 1회 내지 수회,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3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나, 이러한 투여량 및 횟수는 어떠한 면에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구, 정맥, 근육 또는 피하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은 체중 및 체지방을 감소시키고, 혈중의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의 농도를 개선하여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할 뿐만 아니라, 고지혈증을 비롯한 비만에 의해 유발되는 대사성 질환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에 체액에 의한 체중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를 대상으로 8주간 누에 체액을 투여한 후의 체중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에 체액에 의한 혈중 지질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대상으로 8주간 누에 체액을 투여한 후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지질 농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에 체액에 의한 체지방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대상으로 누에 체액을 8주간 투여한 후 적출한 부고환 지방과 피하 지방의 무게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험예 1] 누에 체액의 추출 및 열처리 방법
누에의 생활환 중에서 5령 4 내지 5일째 되는 백옥잠(Bombyx mori)에서 체액을 채취하였다. 누에를 식품용 압축기를 이용하여 압축하여 체액성분을 분리하고(누에 체액 A), 나머지 체성분은 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누에 분말 B).
누에 체액은 흑화와 관련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등의 효소활성으로 인하여 공기중에 노출되면 멜라닌 색소를 형성하여 검게 변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채취한 누에 체액을 65℃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효소를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이를 10,000rpm에서 1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취하여 이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누에 체액에 함유되어있던 불순물이 불활성화되었다.
그리고 단백질 전기영동법에 의해 누에 체액 성분을 확인한 결과, 30KDa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누에 체액 상등액은 90 내지 95%의 수분과 10 내지 15%의 총 단백질을 일정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노란색을 띄는 점성이 있는 액체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 실시예 1] 캅셀제 제조
누에 체액을 주성분으로 하고, 경질 캡슐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인 이산화규소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여 표 1에 나타낸 함량으로 경질 캡슐을 제조하였다. 누에 체액 분말은 상기 실험예 1에서 얻은 상등액만을 취하여 -70℃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성분 배합비(중량%) 함량(㎎)
누에 체액 분말 80.0 400.0
녹차 추출물 18.0 90.0
이산화규소 1.0 5.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0 5.0
합계 100 500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누에 체액 분말, 녹차 추출물의 혼합물과 부형제를 교반기에서 균일하게 교반하여 과립화한 후에, 이를 경질 캡슐기에 주입하여 통상의 경질 캡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은 비만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식이섭취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통상의 경질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예로서, 본 발명의 제형 및 원료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2] 정제 제조
누에 체액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고, 정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인 유당 분말, 결정 셀룰로오즈,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즈(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HPMC)를 사용하여 표 2에 나타낸 함량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배합비(중량%) 함량(㎎)
누에 체액 분말 40.0 200.0
녹차 추출물 18.0 90.0
유당 분말 20.0 100.0
결정 셀룰로오즈 20.0 100.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0 5.0
HPMC 1.0 5.0
합계 100 500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누에 체액 분말, 녹차 추출물의 혼합물과 부형제를 교반기에서 균일하게 교반하여 과립화한 후에, 이를 타정기에 주입하여 통상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는 비만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식이섭취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통상의 타정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예로서, 본 발명의 제형 및 원료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3] 음료 제조
누에 체액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고, 음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천연 탄수화물이나 식품 보조 첨가제인 결정 과당, 무수 구연산, 비타민 C 및 정제수를 사용하여 표 3에 나타낸 함량으로 음료를 제조하였다.
성분 배합비(중량%)
누에 체액 분말 2.6
녹차 추출물 1.0
결정 과당 10.0
무수 구연산 0.4
비타민 C 0.1
정제수 85.9
합계 100.0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누에 체액 분말, 녹차 추출물의 혼합물 및 부형제를 고속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에, 정제수를 투입하여 혼합물이 부형제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혼합물을 고온 살균처리하여 병이나 캔에 투입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은 비만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식이섭취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통상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예로서, 본 발명의 제형 및 원료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실험예 2] 마우스를 이용한 누에 체액의 체중 감소 효과 확인
6주령의 수컷 생쥐(ICR 마우스) 56 마리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군은 8 마리로 이루어졌으며, 정상 사료를 공급한 대조군 1, 고지방 사료를 공급한 대조군 2, 고지방 사료와 함께 누에 체액(A)을 50, 100, 150, 200㎎/일로 경구투여한 처리군(1, 2, 3, 4) 및 고지방 사료와 함께 누에 분말(B)을 200㎎/일로 경구투여한 처리군 5를 포함하여 총 7군으로 나누었다.
누에 체액을 투여한 처리군(1, 2, 3, 4)의 경우, 상기 실험예 1에서 얻은 누에 체액을 생쥐용 존대(feeding needle)을 이용하여 각 군의 체중 평균에 따라 투여량을 계산하여 경구투여하였다. 처리군 5의 경우 누에 분말을 물에 녹여 경구투여하였으며, 대조군 2의 경우 순수한 물만을 경구투여하였다. 경구투여는 주 6일에 걸쳐 총 8주간, 매일 동일한 시간대에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동물이 섭취한 사료는 리서치 다이어트社(research diet, USA)에서 생산하였으며, 고지방 사료로는 전체 칼로리의 60%를 지방이 차지하도록 제작된 사료를 사용하였다. 대조군 1은 정상 사료를 섭취하였으며, 일반적인 조건에서 주령에 따른 체중 증가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군 2는 고지방 사료를 섭취하였으며, 고지방 식이에 따른 비만을 유도하여 각 시료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교대상으로 삼았다. 각 시료 처리군(처리군 1, 2, 3, 4, 5)의 경우, 고지방 사료를 공급하여 비만을 유도함과 동시에 누에 체액 및 누에 분말을 경구투여하였다. 체중은 매주 2회에 걸쳐 측정하였으며, 8주간의 투여 종료 후 체중의 변화량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표 4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분류 최종 체중(g) 표준편차 체중 증가율(%) p value
대조군 1 정상 사료 42.81 ±2.19 121.6
대조군 2 고지방 사료 53.00 ±5.65 150.6
처리군 1 고지방 사료+
누에 체액 50㎎
51.13 ±5.99 145.2 0.529
처리군 2 고지방 사료+
누에 체액 100㎎
50.00 ±7.56 142.0 0.384
처리군 3 고지방 사료+
누에 체액 150㎎
47.06* ±4.92 133.7 0.041
처리군 4 고지방 사료+
누에 체액 200㎎
47.38* ±4.74 134.6 0.048
처리군 5 고지방 사료+
누에 분말 200㎎
50.44 ±3.58 143.3 0.297
(* : p<0.05 vs 고지방 사료 대조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 대조군 2의 체중은 정상 사료 대조군 1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누에 체액 처리군(1, 2, 3, 4)의 체중은 고지방 사료 대조군 2에 비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누에 체액을 150㎎/일로 투여한 처리군 3의 체중이 고지방 사료 대조군 2에 비해 5.94g 감소하였으며, 이를 환산하면 약 16.9%의 체중 증가율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누에 체액을 200㎎/일로 투여한 처리군 4의 체중도 고지방 사료 대조군 2에 비해 5.62g 감소하였으며, 체중 증가율 또한 16.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tudent t-TEST 검정을 통해 고지방 사료 대조군 2의 체중과 시료 처리군(1, 2, 3, 4, 5)의 체중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누에 체액을 150㎎/일로 투여한 처리군 3 및 200㎎/일로 투여한 처리군 4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p=0.041, 0.048), 반면에 누에 분말 처리군 5는 고지방 사료 대조군 2에 비해 약 7.3%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유의차는 없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고지방 식이에 의해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를 대상으로 누에 체액을 150㎎/일로 투여시 가장 큰 체중 감소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200㎎/일로 투여하여도 체중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누에 체액이 누에 분말에 비해 더 작은 용량으로도 유의한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30KDa 단백질이 농축된 누에 체액이 누에 분말보다 더 우수한 항비만 소재라고 판단된다.
[ 실험예 3] 누에 체액에 의한 혈중 지질 농도 감소 확인
상기 실험예 2의 마우스를 대상으로 초기 혈액과 8주간의 투여가 끝난 후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헤파린 처리 후 원심분리하여 혈장(plasma)을 분리하였으며, 영동제약의 측정 키트를 사용하여 혈중 중성지방(triglyceride, TG), 총 콜레스테롤, LDL(low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표 5 및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이때 초기 혈액에서 측정한 각 지질의 농도를 100으로 하였다.
분류 TG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대조군 1 정상 사료 130.6 ±23.4 125.5 ±15.8 112.5 ±13.1
대조군 2 고지방 사료 90.3 ±27.6 175.2 ±30.7 161.0 ±22.2
처리군 1 고지방 사료+
누에 체액 50㎎
75.8 ±29.9 167.9 ±20.4 136.9** ±19.7
처리군 2 고지방 사료+
누에 체액 100㎎
50.8*** ±20.4 157.7 ±18.8 142.5* ±26.2
처리군 3 고지방 사료+
누에 체액 150㎎
51.2*** ±17.0 155.5* ±22.4 135.8** ±17.6
처리군 4 고지방 사료+
누에 체액 200㎎
51.9*** ±14.6 161.1 ±12.5 141.9* ±19.5
처리군 5 고지방 사료+
누에 분말 200㎎
62.5** ±13.7 168.5 ±30.8 158.5 ±20.6
(* : p<0.05, ** : p<0.01, *** : p<0.001 vs 고지방 사료 대조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누에 체액을 투여한 처리군 2, 3, 4의 혈중 중성지방(TG) 수치가 고지방 사료 대조군 2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그리고 누에 체액을 150㎎/일로 투여한 처리군 3의 혈중 콜레스테롤이 고지방 사료 대조군 2에 비해 증가율이 약 88% 수준으로 저하되었다(p<0.05). 또한, 누에 체액을 투여한 모든 처리군(1, 2, 3, 4)의 혈중 LDL-콜레스테롤이 고지방 사료 대조군 2에 비해 증가율이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며, 그 수치는 고지방 사료 대조군 2 증가율의 약 84 내지 88% 수준이었다(p<0.05).
반면, 누에 분말을 투여한 처리군 5의 혈중 중성지방(TG) 수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혈중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수치에서는 미미한 감소 경향성만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결과로부터, 누에 체액은 고지방 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의 혈중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수치를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저용량으로도 혈중의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4] 누에 체액에 의한 마우스 간 조직 및 지방 조직의 감소 확인
8주간의 투여가 끝난 후, 상기 실험예 3의 마우스를 부검하여 간 조직과 부고환 지방(epididymal adipose tissue), 피하 지방(subcutaneous adipose tissue), 내장 지방(mesentric adipose tissue), 신주위 지방(perirenal adipose tissue) 조직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지방 조직은 생리식염수로 씻은 후 수분을 제거하여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각 군의 평균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표 6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분류 간(g) 부고환 지방(g) 피하 지방(g) 내장 지방(g) 신주위 지방(g)
대조군 1 정상 사료 1.96±0.27 2.25±0.65 1.15±0.41 0.90±0.13 0.79±0.17
대조군 2 고지방 사료 1.81±0.33 3.61±0.85 2.58±0.98 1.34±0.54 1.28±0.46
처리군 1 고지방 사료+
누에 체액 50㎎
1.91±0.70 2.98±0.77 2.24±0.75 1.28±0.25 1.43±0.17
처리군 2 고지방 사료+
누에 체액 100㎎
1.75±0.61 3.05±1.30 2.20±1.10 1.24±0..27 1.28±0.41
처리군 3 고지방 사료+
누에 체액 150㎎
1.86±0.35 2.75±0.76 2.34±0.18 1.38±0.35 1.54±0.19
처리군 4 고지방 사료+
누에 체액 200㎎
1.88±0.65 2.91±1.13 2.16±0.72 1.12±0.25 1.34±0.14
처리군 5 고지방 사료+
누에 분말 200㎎
1.75±0.66 3.32±0.82 2.35±0.27 1.15±0.35 1.26±0.24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누에 체액 처리군(1, 2, 3, 4)이 고지방 사료 대조군 2에 비해 부고환 지방과 피하 지방의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누에 체액을 150㎎/일로 투여한 처리군 3의 부고환 지방의 무게는 고지방 사료 대조군 3의 76%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누에 체액을 200㎎/일로 투여한 처리군 4의 피하 지방의 무게는 고지방 사료 대조군의 약 84%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고지방 사료 대조군 2와 student t-TEST 검정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p>0.05).
누에 분말을 투여한 처리군 5에서는 뚜렷한 지방 조직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로써 고지방 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에 8주간 경구투여한 결과, 누에 체액에 의한 체지방량 증가 억제 경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5] 인체시험을 통한 누에 체액의 비만 예방 및 치료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을 바탕으로 누에 체액이 함유된 경질 캡슐 제형(누에 체액 1일 섭취량: 800㎎)으로 시험약을 제조하여 인체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피시험자는 신체 비만지수(BMI) 23 이상으로 과체중 범위에 속하는 일반인 20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고 피시험자 10명에게는 상기 시험약을 1회 2캡슐, 하루 1회, 8주간 섭취하게 하였으며, 식이 및 운동 등의 생활 습관은 평소대로 유지하게 하였다.
복용 전 및 8주간의 섭취 후에 체성분 측정기(inbody)를 사용하여 신체의 체중 및 체지방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체중(㎏) 체지방(㎏)
초기 평균 64.9 21.7
4주차 평균 64.7 21.6
8주차 평균 62.4 20.9
변화량 -2.5 -0.8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8주간의 복용이 끝난 후 전체 피험자의 평균 체중은 2.5㎏ 감소하였으며, 평균 체지방은 0.8㎏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누에 체액이 체중과 체지방을 감소시켜 비만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에 체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비만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누에 체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에 체액은 상기 누에 체액의 단백질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00중량%의 30KDa 단백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에 체액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80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향미제, 천연 탄수화물,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과립, 분말, 캡슐, 액상의 용액 및 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및 주사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00024869A 2010-03-19 2010-03-19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101056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69A KR20110105627A (ko) 2010-03-19 2010-03-19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69A KR20110105627A (ko) 2010-03-19 2010-03-19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627A true KR20110105627A (ko) 2011-09-27

Family

ID=4495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869A KR20110105627A (ko) 2010-03-19 2010-03-19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562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554B1 (ko) * 2013-06-19 2015-03-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누에 혈림프 유래 70kDa 단백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5745A (ko) * 2019-06-19 2020-12-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01019A1 (ko) * 2019-11-20 2021-05-2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잠 추출물을 이용한 개(canine) 지방유래줄기세포의 갈색 지방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분화 유도방법, 및 이를 포함한 체지방 감소 및 비만 예방용 반려동물 사료첨가물
KR102330441B1 (ko) * 2020-10-30 2021-11-2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삼 및 홍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사료 조성물
KR20230026882A (ko) 2021-08-18 2023-02-27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누에 혈림프 유래 저분자를 포함하는 모발 보호 및 수복용 화장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554B1 (ko) * 2013-06-19 2015-03-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누에 혈림프 유래 70kDa 단백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5745A (ko) * 2019-06-19 2020-12-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01019A1 (ko) * 2019-11-20 2021-05-2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잠 추출물을 이용한 개(canine) 지방유래줄기세포의 갈색 지방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분화 유도방법, 및 이를 포함한 체지방 감소 및 비만 예방용 반려동물 사료첨가물
KR102330441B1 (ko) * 2020-10-30 2021-11-2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삼 및 홍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사료 조성물
KR20230026882A (ko) 2021-08-18 2023-02-27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누에 혈림프 유래 저분자를 포함하는 모발 보호 및 수복용 화장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385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TWI329516B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multiple risk factor syndromes and visceral fat-type obesity
KR100795327B1 (ko) 근장력 증강제
EP1932533A1 (en) Composition for amelioration of body lipid
KR101640258B1 (ko)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10105627A (ko)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090025638A (ko) 항비만용 약제학적 조성물
EP289149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COMPLEX EXTRACT OF CRATAEGI FRUCTUS and CITRI PERICARPIUM AS AN ACTIVE INGREDIENT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OR LIPID-RELATED METABOLIC DISEASES
JP2009298769A (ja) 脂肪蓄積抑制用組成物
KR20240011214A (ko) 대사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N107613998A (zh) 作为有效成分含有阿魏菇水提取物的代谢性疾病的预防和治疗用药物组合物或健康功能性食品
KR20100088794A (ko) 새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 2형 당뇨병에 의한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23603B1 (ko) 녹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884059B1 (ko) 항산화 및 항동맥경화 활성을 갖는 다시마 분말 또는알긴산이 제거된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2239066B1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11364B1 (ko)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2436692B1 (ko)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CN1297301C (zh) 可可茶提取物用于制备预防及改善肥胖及其临床症状的药物及食品的应用
KR20100026600A (ko) 흑마늘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 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CN105106721A (zh) 一种具有降糖功效的保健品
KR100940133B1 (ko) 지각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조성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1695299B1 (ko) 필발 추출물,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용 또는 개선용 조성물
EP3235510A1 (en) Nutritional compositions for the management of glucose metabol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