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939A -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헤드폰, 및 이들을 구비한시스템 - Google Patents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헤드폰, 및 이들을 구비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939A
KR20060103939A KR1020067012813A KR20067012813A KR20060103939A KR 20060103939 A KR20060103939 A KR 20060103939A KR 1020067012813 A KR1020067012813 A KR 1020067012813A KR 20067012813 A KR20067012813 A KR 20067012813A KR 20060103939 A KR20060103939 A KR 20060103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display
headphone
attachment
ey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6275B1 (ko
Inventor
노부유키 미야케
시게루 가토
마사키 오오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03724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96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03723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963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ublication of KR20060103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75Constructional details of television projection apparatus
    • H04N5/7491Constructional details of television projection apparatus of head mounted proj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표시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할 수 있는 돌출 위치와, 눈 앞에서 물러선 퇴피 위치 사이으로 이동할 수 있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시에 화상 표시부가 기울어지는 것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아암 (27) 이 이동 가능한 상태여도 회전 방향이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인 면 내에서의 회전에 관한, 수납 케이스 (31) 에 대한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회전을 막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아암 (27) 에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홈 (28a, 28b) 이 형성되고, 수납 케이스 (31) 내에는 이 홈 (28a, 28b) 에 접하는 가이드 롤러 (34a, 34a) 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폰, 디스플레이 아암, 가이드 롤러, 화상 표시부

Description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헤드폰, 및 이들을 구비한 시스템{NEAR­EYE DISPLAY DEVICE, HEADPHONE, AND SYSTEM PROVIDED WITH THESE}
기술분야
사용자의 눈 앞에서 화상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를 구비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이것에 장착되는 헤드폰, 및 이들을 구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사용자의 눈 앞에서 화상 표시하는 것으로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장치가 있다.
종래, 이러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이하의 비특허 문헌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이 비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장치는, 화상 표시부, 이 화상 표시부가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둥근 막대형의 디스플레이 아암, 이것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암 지지부 및 이 아암 지지부가 장착되어 있는 머리부 장착대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 지지부는, 디스플레이 아암을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아암을 수납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구속하기 위한 구속 나사를 가지고 있다. 수납 케이스에는, 디스플레이 아암이 삽입되는 아암용 관통 구멍과, 이 아암용 관통 구멍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구속 나사는, 이 나사 구멍에 삽입되고, 수납 케이스 내의 디스플레 이 아암을 눌러, 이것을 이동 불가능하게 구속한다.
이 장치를 사용할 때는, 우선, 머리부 장착대를 사용자의 머리부에 장착하고 나서, 구속 나사를 느슨하게 하고, 디스플레이 아암을 수납 케이스로부터 끌어당겨, 화상 표시부를 사용자의 눈 앞으로 유도한다. 그리고, 수납 케이스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아암의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아암을 약간 회전시켜, 화상 표시부의 경사를 조정한 뒤, 구속 나사를 수납 케이스에 삽입하고, 디스플레이 아암을 이동 및 회전 불가능하게 구속한다.
그 외에, 관련 기술로서는, 이하의 특허 문헌 1, 2, 3 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장치는, 머리부 장착대,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머리부 장착대의 오른쪽 눈 옆 및 왼쪽 눈 옆에는, 각각, 표시 디바이스 유닛의 기계적인 장착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장치는, 머리부 장착대의 오른쪽 눈 옆 및 왼쪽 눈 옆에는, 각각, 표시 디바이스 유닛의 기계적인 장착 구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른쪽 눈 옆에도 왼쪽 눈 옆에도 표시 디바이스 유닛을 배치할 수 있다.
특허 문헌 2 에 기재된 장치는, 사용자의 동작 등에 의한 화상 표시부의 흔들림에 의한 영향을 피하기 위해서, 화상 표시부에 사용자의 코부에 접촉 가능한 진동 방지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3 에 기재된 장치는, 사용자의 눈 앞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와, 사용자의 머리부에 장착되는 머리부 장착체와, 이 화상 표시부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아암과, 이 디스플레이 아암을 머리부 장착체에 장착하기 위한 결합 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 아암과 결합부의 접속 부분에 구면 시트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아암과 함께 이 디스플레이 아암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화상 표시부를 여러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비특허 문헌 1: Interactive Imaging Systems Second Sight, 1/2페이지, 2004 년 12 월 9 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iisvr.com/products_ mobility_Main.html>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74051호 도 2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143호 도 1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143호 도 2, 도 6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상의 비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화상 표시부의 중심이 디스플레이 아암의 축 상에 없기 때문에, 화상 표시부를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시켜 사용하고 있을 때, 화상 표시부의 무게에 의해, 디스플레이 아암의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고자 하는 힘이 발생하고, 화상 표시부가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장치 사용 중의 사용자의 머리부가 심하게 이동한 경우에는, 구속 나사를 다소 단단히 죄어 놓더라도, 화상 표시부가 때때로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시에 화 상 표시부가 아래로 기울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이것에 장착되는 헤드폰, 및 이것을 구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 1 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눈 앞에서 화상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를 구비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막대형을 이루고, 상기 화상 표시부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아암,
상기 화상 표시부가 상기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할 수 있는 돌출 위치와 그 눈 앞에서 물러선 퇴피 위치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암 지지부, 및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의 적어도 그 돌출 위치를 포함하는 그 돌출 위치 근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이 이동 가능한 상태여도, 회전 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길이 방향으로 대략 수직인 면 내에서의 회전에 관한, 상기 아암 지지부에 대한 그 디스플레이 아암의 회전을 막는 회전 방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회전 방지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고, 그 디스플레이 아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의 외주 형상이, 그 단면에 있어서의 중심으로부터 외주까지의 거리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는 회전 방지 형상부와, 상기 아암 지지부의 상기 회전이 불가능한 일부분으로서, 적어도 상기 돌출 위치 근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상기 회전 방지 형상부와 맞닿는 맞닿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회전 방지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고, 그 디스플레이 아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의 외주 형상이, 원과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 회전 방지 형상부와, 상기 아암 지지부의 상기 회전이 불가능한 일부분으로서, 적어도 상기 돌출 위치 근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상기 회전 방지 형상부와 맞닿는 맞닿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상기 단면의 외주 형상은, 상기 화상 표시부가 장착되어 있는 측의 선단 (先端) 측과, 그 선단측과 반대측의 기단 (基端) 측에서 형상이 상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상기 기단측이 상기 회전 방지 형상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4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상기 선단측의 상기 단면의 외주 형상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상기 홈을 형성하는 면에 접하는 가이드 롤러를 가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상기 홈을 갖는 부분이 상기 회전 방지 형상부를 이루고, 상기 가이드 롤러가 상기 맞닿음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아암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을 이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원의 구동 전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에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7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구동 전달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 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은 사용자의 머리부 형상을 따르도록 길이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만곡 형상에 대응한 궤적에서, 상기 화상 표시부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아암 지지부는, 상기 퇴피 위치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을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 11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부를 사이에 끼움으로써 그 머리부에 장착되는 머리부 장착체를 구비하고,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아암 지지부에 장착되어 있음과 함 께, 상기 머리부 장착체의 일부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어태치먼트 (attachment)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발명에 관련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눈 앞에서 화상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를 구비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머리부의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되고, 상기 화상 표시부가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아암과,
상기 화상 표시부가 상기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할 수 있는 돌출 위치와, 그 눈 앞에서 물러선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 자체의 만곡형상에 대응한 궤적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암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발명에 관련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이 상기 돌출 위치에 존재할 때, 상기 화상 표시부의 표시 화면이 상기 사용자의 눈과 대향하는 표시 가능 위치와, 그 표시 화면이 그 사용자의 눈의 시선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져 있는 비표시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그 화상 표시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에 장착되고,
상기 화상 표시부가 상기 표시 가능 위치에 있는지 상기 비표시 위치에 있는 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을 슬라이드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이 상기 돌출 위치에 존재할 때, 상기 화상 표시부가 상기 표시 가능 위치로부터 상기 비표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한 것이 상기 검지 수단에서 검지되면, 상기 구동원을 구동시켜서, 그 디스플레이 아암을 그 돌출 위치로부터 그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2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피커 및 그 스피커에 연결된 헤드폰 아암을 가지고, 머리부에 장착 가능한 헤드폰을 구비하고,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헤드폰에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어태치먼트를 가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헤드폰은, 서로, 전기적인 접속 및 절단이 가능한 전기 접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3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 12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부터 적어도 전력, 화상 신호, 음성 신호를 받는 외부 접속부를 가지고, 그 외부 접속부에서 받은 것 중, 적어도 그 음성 신호를 그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전기 접속부 (이하, 디스플레이 측 전기적 접속부로 한다) 를 통하여, 상기 헤드폰의 상기 전기 접속부 (이하,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로 한다) 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는, 단부에 전기적 접점을 갖는 헤드폰 케이블이어도 된다. 또한, 제 12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헤드폰은, 외부로부터 적어도 전력, 화상 신호, 음성 신호를 받는 외부 접속부를 가지고, 그 외부 접속부에서 받은 것 중, 적어도 그 음성 신호를 그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전기 접속부 (이하,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로 한다) 를 통하여,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전기 접속부 (이하,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로 한다) 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측 전기적 접속부는, 단부에 전기적 접점을 갖는 디스플레이 케이블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측 전기적 접속부는, 상기 어태치먼트에 형성되고, 그 어태치먼트를 상기 헤드폰에 장착할 때,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와 접속되도록 해도 된다.
제 14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 13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헤드폰의 좌우 각각에,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는 소정의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전기적 접점을 가지고,
좌우의 일방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의 상기 복수의 전기적 접점의 배열 순서는, 타방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의 복수의 전기적 접점의 배열 순서와는, 상기 헤드폰의 장착시에 있어서 상하 방향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5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 13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헤드폰의 좌우 각각에,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는 소정의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전기적 접점을 가지고,
좌우의 일방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의 상기 복수의 전기적 접점의 배열 순서는, 타방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의 복수의 전기적 접점의 배열 순서와는, 상기 헤드폰의 장착시에 있어서 전기적 접점이 배열되어 있는 면을 정면으로하여 보면 좌우 방향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6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어태치먼트는 그 어태치먼트가 장착되는 상기 헤드폰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폭 내에서 상대 이동 가능하고,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의 전기적 접점과 상기 디스플레이측 전기적 접속부의 전기적 접점 중, 어느 일방은 상기 일정한 방향에 대하여, 상기 일정한 폭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7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어태치먼트는, 자체가 변형되어 상기 헤드폰의 일부와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8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스피커의 머리부 접촉측과 반대측의 부분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9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 18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어태치먼트가 장착되는 상기 스피커의 부위에는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의 전기적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어태치먼트에는 상기 스피커의 상기 부위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의 전기적 접점과 접속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측 전기적 접속부의 전기적 접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0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어태치먼트에는 상기 화상 신호를 처리하여, 처리된 화상 신호를 상기 화상 표시부로 보내는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1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헤드폰은 상기 스피커로서 한 쌍의 스피커를 가지고, 상기 헤드폰 아암은 그 한 쌍의 스피커 상호를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스피커 각각에는 상기 어태치먼트가 장착되는 피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중, 일방의 스피커의 상기 피장착부에 상기 어태치먼트가 장착되었을 때, 타방의 스피커의 상기 피장착부에 장착되고, 그 피장착부를 가리는 외장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2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 21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어태치먼트에는 상기 스피커에 장착하였을 때, 그 스피커측에 공동부 (空洞部) 가 형성되고,
상기 외장 부재에는 상기 어태치먼트의 상기 공동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동일한 크기의 공동부가, 그 어태치먼트의 상기 공동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3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 템으로서,
상기 아암 지지부는, 상기 어태치먼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 17 항에 관련된 발명의 상기 끼워맞춤 수단은, 적어도 일부가 탄성재로 형성되고, 그 적어도 일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헤드폰의 헤드폰 아암을 파지 (把持) 하는 또는 상기 헤드폰의 스피커에 끼워 넣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끼워맞춤 수단은, 상기 헤드폰 아암의 일부를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기 위한 제 1 의 파지부 및 제 2 의 파지부와, 그 제 2 의 파지부를 그 제 1 의 파지부측으로 누르는 압압 (押壓) 부재를 가지고, 그 제 2 의 파지부의 이동에 의한 그 끼워맞춤 수단의 변형으로서, 그 제 1 의 파지부와 그 제 2 의 파지부의 사이에서 상기 헤드폰 아암의 일부를 파지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끼워맞춤 수단은,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측벽을 갖는 홈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 1 의 파지부는, 상기 홈 부재의 일방의 상기 측벽이고, 상기 압압 부재는, 상기 홈부의 타방의 상기 측벽에 나사 결합하고 있는 나사 부재 또는, 그 타방의 측벽에 장착되어 있는 탄성 부재이며, 상기 제 2 의 파지부는, 상기 나사 부재 또는 상기 탄성 부재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이상의 각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어태치먼트로부터 상기 아암 지지부에 이르기까지의 어느 하나의 부위는, 그 어태치먼트를 상기 헤드폰 아암에 장착하였을 때, 그 헤드폰 아암에 연결되어 있는 헤드폰 스피커를 그 아암 지지부가 피하기 위해서 그 헤드폰 스피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성분을 갖는 방향으 로 신장되는 롤오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이상의 각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어태치먼트에 대한 상기 화상 표시부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바꾸는 표시부 변위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상의 각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어태치먼트를 상기 헤드폰 아암에 장착하였을 때의 상하 방향에 관해서, 적어도 상기 화상 표시부의 외관 형상은 그 상하 방향에 대칭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이상의 각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어태치먼트를 상기 헤드폰 아암의 오른쪽 귀 측에 결합시켰는지, 왼측에 결합시켰는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 표시부는,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맞추어 출력 화상의 상하를 반전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검지 수단으로서는, 어태치먼트의 설치 위치에 따라 화상 표시부의 상하가 반전하기 때문에, 상하의 반전을 검지하는 중력 센서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 검지 수단으로는, 어태치먼트에 디스플레이측 전기적 접속부의 전기적 접점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 전기적 접점과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의 좌우의 전기적 접점 중 어느 하나 일방의 도통 상태를 검지하는 전류 센서도 고려될 수 있다.
제 24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아암 지지부에 형성되고, 헤드폰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어태치먼트와,
상기 어태치먼트에 형성되고, 그 어태치먼트가 상기 헤드폰에 장착되었을 때, 그 헤드폰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적 접점과 접속되는 전기적 접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5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4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어태치먼트에 대한 상기 화상 표시부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바꾸는 표시부 변위 수단이 그 어태치먼트에 형성되고,
상기 전기적 접속부는 도선을 가지고,
상기 전기적 접속부의 상기 도선은, 상기 어태치먼트 및 상기 표시부 변위 수단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6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머리부에 장착 가능한 헤드폰의 스피커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어태치먼트와,
상기 헤드폰에 형성된 회로에 대하여, 전기적인 접속 및 절단이 가능한 전기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7 항에 관련된 발명의 헤드폰은,
한 쌍의 스피커와, 그 한 쌍의 스피커 상호를 연결하는 헤드폰 아암을 구비 하고 있는 헤드폰으로서,
상기 헤드폰 아암의 상기 한 쌍의 스피커 각각의 측의 부위에, 사용자의 눈 앞에서 화상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를 갖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절단 가능하게 전기적 접속하는 전기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8 항에 관련된 발명의 헤드폰은,
제 27 항에 기재된 헤드폰으로서,
상기 헤드폰 아암의 상기 한 쌍의 스피커의 각각의 측의 부위에는,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피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장착부의 각각에는,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되었을 때, 그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적 접점과 접속되는 상기 전기적 접속부의 전기적 접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9 항에 관련된 발명의 헤드폰은,
스피커 및 그 스피커가 장착되어 있는 헤드폰 아암을 구비하고 있는 헤드폰으로서,
상기 스피커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를 갖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피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형성된 회로에 대하여, 전기적인 접속 및 절단이 가능한 전기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0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의 시야의 중심이 상기 화상 표시부의 화면 내에 있는 경우의 상기 시야의 외측 (外側) 이 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위치 또는 상기 아암 지지부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를 압압하는 예비 지지부와,
탄성력 및/또는 전자력 (電磁力) 에 의해, 상기 예비 지지부에 상기 머리부를 압압하는 압압력을 발생시키는 압압력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1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또는 상기 아암 지지부의, 해당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머리부의 측면 머리부 근방에 형성되고, 그 측면 머리부를 압압하는 예비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2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1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탄성력 및/또는 전자력에 의해, 상기 예비 지지부에 상기 측면 머리부를 압압하는 압압력을 발생시키는 압압력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3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0 항 및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예비 지지부는, 그 예비 지지부가 상기 머리부에 대하여 압압 가능한 압압 위치와, 그 예비 지지부가 상기 머리부에 대하여 압압 불가능한 퇴피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4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3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압압 위치의 상기 예비 지지부가 상기 머리부에 대하여 가하는 압압력의 값을 검출하는 압압력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압압력 발생 수단은, 상기 압압력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상기 값이 미리 정한 일정한 범위 내의 값을 유지하도록 상기 압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5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3 항 및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아암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지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화상 표시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지지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화상 표시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서 퇴피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이 상기 수납 위치에 존재할 때, 상기 예비 지지부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6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5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이 상기 돌출 위치에 존재하고 있을 때, 상기 예비 지지부가 상기 압압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7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0 항, 제 32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머리부에 장착되는 머리부 장착체에 상기 아암 지지부를 장착하는 어태치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압압력의 작용 방향과 상기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면 내에서, 그 어태치먼트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8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7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경사 조절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 또는 상기 아암 지지부에 대한 상기 예비 지지부의 돌출량을 조절하는 돌출량 조절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9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7 항 또는 제 36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경사 조절 수단은, 상기 어태치먼트와 상기 아암 지지부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의, 그 어태치먼트로부터 그 아암 지지부까지의 거리를 바꾸는 거리 조절 수 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0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7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압압력 발생 수단은, 상기 어태치먼트 또는 그 어태치먼트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상기 화상 표시부측을 그 압압력의 작용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1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7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압압력의 작용 방향과 상기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면 내에서, 그 어태치먼트에 대하여 상기 아암 지지부를 요동할 수 있게 장착하는 관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2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사용자의 머리부에 장착되는 머리부 장착체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와, 서로 상이한 방향의 복수의 가상축 둘레에, 상기 어태치먼트에 대하여 상기 아암 지지부를 요동할 수 있게 장착하는 관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절부는 복수의 가상축 중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축 둘레의 요동에 필요한 토크가, 다른 가상축 둘레의 요동에 필요한 토크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이상의 가상축이란, 실제로 축을 갖는 관절 구조의 회전 중심으로서의 축 뿐만 아니라, 실제의 축을 갖지 않는 관절 구조를 회전 중심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 43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42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관절부는 복수의 상기 가상축 중의 제 1 가상축 둘레에, 상기 어태치먼트에 대하여 상기 아암 지지부를 요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제 1 관절부와, 그 제 1 가상축에 대하여 수직의 제 2 가상축 둘레에, 그 어태치먼트에 대하여 그 아암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 2 관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4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43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제 1 관절은, 상기 어태치먼트에 대하여 고정 또는 일체 형성되어 있는 외측 부재와, 그 외측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1 가상축 둘레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요동측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 2 관절부는, 상기 아암 지지부에 대하여 고정 또는 일체 형성되어 있는 요동측 부재와, 그 요동측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2 가상축 둘레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기측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 1 관절의 상기 요동측 부재와, 상기 제 2 관절의 기측 부재는 동일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45 항에 관련된 발명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42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가상축 중, 상기 하나의 가상축은 상기 머리부 장착체가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에 장착되고, 상기 어태치먼트가 그 머리부 장착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화상 표시부가 연직 (鉛直) 아래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가상축이고,
상기 하나의 가상축 둘레의 상기 요동에 필요한 토크는 복수의 상기 가상축 중의 다른 가상축 둘레의 상기 요동에 필요한 토크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표시 디바이스 유닛의 신호 케이블의 일부가 머리부 장착대에 고정되어 있고, 머리부 장착대에 대한 표시 디바이스 유닛의 장착 위치를 변경할 수 있지만, 머리부 장착대가 헤드폰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경우, 이 머리부 장착대, 요컨대 헤드폰에 배선 케이블이 늘어지는 데다가 표시 디바이스 유닛에도 배선 케이블이 늘어져, 사용하기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발명 1, 2, 3 을 제공한다.
발명 1 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스피커 및 그 스피커에 연결된 헤드폰 아암을 가지고, 머리부에 장착 가능한 헤드폰과,
화상 표시부를 가지고, 상기 헤드폰에 장착 가능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헤드폰에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어태치먼트를 가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헤드폰은, 서로, 전기적인 접속 및 절단이 가능한 전기 접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 2 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눈 앞에서 화상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를 갖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헤드폰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어태치먼트,
상기 화상 표시부를 상기 어태치먼트와 연결하는 지지부, 및
상기 어태치먼트에 형성되고, 그 어태치먼트가 상기 헤드폰에 장착되었을 때, 그 헤드폰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적 접점과 접속되는 전기적 접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 3 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를 갖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머리부에 장착 가능한 헤드폰의 스피커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어태치먼트와,
상기 헤드폰에 형성된 회로에 대하여, 전기적인 접속 및 절단이 가능한 전기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특허 문헌 2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한쪽 눈에 의해 화상 표시부의 화상을 관찰할 때, 진동 고정이 사용자 눈의 시야의 중심부의 일부를 차단 해 주위 환경의 시인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 사정을 감안하여, 화상 표시부의 흔들림을 억제하면서, 주위의 시인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이하의 발명 4, 5 를 제공한다.
발명 4 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눈 앞에서 화상 표시를 행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
상기 화상 표시부를 상기 사용자의 눈 앞의 위치에서 지지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에 장착되는 머리부 장착부에 상기 지지부를 장착하는 어태치먼트,
상기 사용자의 시야의 중심이 상기 화상 표시부의 화면 내에 있는 경우의 상기 시야의 외측이 되는 상기 지지부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를 압압하는 예비 지지부, 및
탄성력 및/또는 전자력에 의해, 상기 예비 지지부에 상기 머리부를 압압하는 압압력을 발생시키는 압압력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 5 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눈 앞에서 화상 표시를 행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
상기 화상 표시부를 상기 사용자의 눈 앞의 위치에서 지지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에 장착되는 머리부 장착부에 상기 지지부를 장착하는 어태치먼트, 및
상기 지지부의, 상기 머리부 장착부가 장착되어 있는 상기 머리부의 측면 머리부 근방에 형성되고, 그 측면 머리부를 압압하는 예비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특허 문헌 3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디스플레이 아암과 결합부의 접속 부분에 형성한 구면 시트에 의해, 화상 표시부의 상하 방향으로의 요동과 좌우 방향의 요동을 실현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의 요동에 필요한 토크도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만약, 작은 힘으로 좌우 방향의 요동을 실현하기 위해서 요동에 필요한 토크를 작게 하면, 동시에, 상하 방향의 요동에 필요한 토크도 작아져 버려, 자중 (自重) 에 의해 화상 표시부가 자연스럽게 내려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반대로, 상하 방향의 요동에 필요한 토크를 크게 하면, 동시에, 좌우 방향의 요동에 필요한 토크도 커지고, 좌우 방향의 위치 조정이 어렵게 되어 버린다. 즉, 특허 문헌 3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화상 표시부의 위치 조정을 위한 조작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발명 6 을 제공한다.
발명 6 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눈 앞에서 화상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를 구비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에 장착되는 머리부 장착체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
일방의 단부가 상기 화상 표시부에 장착되고, 타방의 단부가 상기 어태치먼트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신장되어 있는 지지부, 및
서로 상이한 방향의 복수의 가상축 둘레에, 상기 어태치먼트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를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관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절부는, 복수의 가상축 중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축 둘레의 요동에 필요한 토크가, 다른 가상축 둘레의 요동에 필요한 토크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방지 수단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돌출 위치 근방에서 디스플레이 아암이 이동 가능한 상태여도, 회전 방향이 디스플레이 아암의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인 면 내에서의 회전에 관한, 아암 지지부에 대한 디스플레이 아암의 회전을 막을 수 있고, 이 디스플레이 아암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화상 표시부가 돌출 위치 근방에서 기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발명 1, 2, 3 에 의하면, 헤드폰에 공급하는 음성 신호 및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급하는 영상 신호를 하나의 케이블로 공급할 수 있고, 사용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발명 4, 5 에 의하면, 화상 표시부의 흔들림를 억제하면서, 주위의 시인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서술한 발명 6 에 의하면, 화상 표시부의 지지부를 어태치먼트 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관절부는, 복수의 가상축 둘레 중의 하나의 가상축 둘레의 요동에 필요한 토크가 다른 가상축 둘레의 요동에 필요한 토크와 상이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변위되는 것을 막고 또한 화상 표시부의 위치 조정을 위한 조작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돌출 위치의 상태) 의 요부 절취 평면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퇴피 위치의 상태) 의 요부 절취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있어서의 C-C 선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에 있어서의 D-D 선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어태치먼트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8 은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아암 및 그 지지부의 제 1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아암 및 그 지지부의 제 2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아암 및 그 지지부의 제 3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만곡된 막대형의 부재에 홈을 형성할 때, 홈의 형성 위치에 의한 가공 형태의 차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 는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아암 및 그 지지부의 제 4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13 은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아암 및 그 지지부의 제 5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14 는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아암 및 그 지지부의 제 6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5 는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아암 및 그 지지부의 제 6 변형예의 단면도로, 동 도 15(a) 는 도 14 에 있어서의 A-A 선에서의 디스플레이 아암의 단면과 슬라이드 슈의 단면을 나타내고, 동 도 15(b) 는 도 14 에 있어서의 B-B 선에서의 디스플레이 아암의 단면과 슬라이드 슈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 은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아암 및 그 지지부의 제 7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7 은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아암 및 그 지지부의 제 7 변형예의 단면도로, 동 도 17(a) 는 도 16 에 있어서의 A-A 선에서의 디스플레이 아암의 단면과 슬라이드 슈의 단면을 나타내고, 동 도 17(b) 는 도 16 에 있어서의 B-B 선에서의 디스플레이 아암의 단면과 슬라이드 슈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 은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아암 및 그 구동부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19 는 제 2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결합시) 의 사시도이다.
도 20 은 제 2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비결합시) 의 사시도이다.
도 21 은 도 19 에 있어서의 Ⅲ-Ⅲ 선 단면도이다.
도 22 는 제 2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23 은 제 2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어태치먼트의 제 1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24 는 제 2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어태치먼트의 제 2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25 는 제 2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헤드폰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26 은 제 3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 (결합시) 이다.
도 27 은 제 3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비결합시) 의 사시도이다.
도 28 은 제 3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29 는 제 4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비결합시) 의 사시도이다.
도 30 은 제 4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31 은 제 4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어태치먼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32 는 제 4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좌우의 피장착부에서의 전기적 접점의 배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3 은 제 4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34 는 제 4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변경 기구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35 는 제 5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6 은 제 5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37 은 제 6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8 은 제 6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스피커, 어 태치먼트, 변위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9 는 제 6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스피커, 외장 캡의 단면도이다.
도 40 은 제 6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변형예의 스피커, 어태치먼트의 단면도이다.
도 41 은 제 7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42 는 제 7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부 절취 평면이다.
도 43 은 제 7 실시 형태로서의 예비 지지부의 구동 기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4 는 제 7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45 는 제 8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돌출 위치의 상태) 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6 은 제 8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수납 위치의 상태) 의 사시도이다.
도 47 은 제 9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돌출 위치에 있어서의) 의 사시도이다.
도 48 은 제 9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비 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49 는 제 9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50 은 제 9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51 은 제 10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2 는 제 10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요부 절취 평면도이다.
도 53 은 도 12 에 있어서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54 는 제 10 실시 형태로서의 거리 조절구의 사시도이다.
도 55 는 제 1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6 은 제 1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부 절취 평면도이다.
도 57 은 도 56 에 있어서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58 은 제 11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의 관절부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헤드폰
11L, 11R … 스피커
12 … 헤드폰 아암
20 …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1 … 화상 표시부
22 … 표시 디바이스
23 … 광학계
24 … 표시부 위치 검지 센서
25 … 디스플레이 케이스
27, 27a, 27b, 27c, 27e, 27f … 디스플레이 아암
30 … 아암 지지부
31 … 수납 케이스
33 … 롤오프
34a, 34b, 34c … 가이드 롤러
34e, 34f … 슬라이드 슈
35a … 구동 롤러
35b … 아암 구동 모터
37a … 퇴피 검지 센서
37b … 돌출 검지 센서
38 … 제어계
39 … 화상 처리계
40 … 어태치먼트
50 … 변위 기구
110, 110a, 110b, 110c, 110d, 110e … 헤드폰
111 … 스피커
112 … 헤드폰 아암
114, 114a, 114b, 114c, 114L, 114R … 케이블 접속부
116 … 피장착부
120, 120b, 120c, 120d, 120e …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1 … 화상 표시부
122 … 표시 디바이스
124 … 표시 처리부
125 … 아암 구동 제어부
128 … 중력 센서
129 … 전원 회로
130 … 지지부
131 … 디스플레이 아암
136 … 수납 케이스
140, 140c, 140d, 140e … 어태치먼트
150, 150a, 150e … 변위 기구
151 … 볼
152 … 볼 수용부
153 … 플렉시블 와이어
160 … 컨트롤러
210, 210a … 헤드폰
211a, 211b … 좌·우 스피커
212a, 212b … 좌·우 귀걸이부
213, 213a … 헤드폰 아암
220, 220a …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21 … 지지부
222 … 화상 표시부
223 … 연결부
224 … 디스플레이 아암
225 … 수납부
227 … 어태치먼트
235 … 제어 유닛
236 … 모드 전환 스위치
227 … 어태치먼트
230 … 케이블
240, 240a … 예비 지지부
260 … 돌출량 조절부
265 … 거리 조절구
270 … 관절
245 … 압압력 발생 유닛
310: 화상 표시부
320: 지지부
330: 머리부 장착체
340: 어태치먼트
351: 제 1 관절부
355: 제 2 관절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각종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우선,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머리부 (H) 에 장착 가능한 헤드폰 (10) 과, 이 헤드폰 (10) 에 장착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 은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동일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돌출 위치의 상태) 의 요부 절취 평면도이며, 도 3 은 동일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퇴피 위치의 상태) 의 요부 절취 평면도이다.
이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헤드폰 (10) 은, 좌우의 스피커 (11L, 11R) 와, 좌우의 스피커 (11L, 11R) 상호를 접속하는 아암 (12) 을 구비하고 있다. 아암 (12) 의 양단부는, 사용자의 좌우의 귀에 각각 걸어지도록 만곡되어 있으며, 귀걸이부 (13L, 13R) 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헤드폰 (10) 은, 사용자의 후머리부에 아암 (10) 을 두르는 리어 아암식의 헤드폰이다.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는, 사용자의 눈 앞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 (21) , 이 화상 표시부 (21) 가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아암 (27), 이 디스플레이 아암 (27) 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암 지지부 (30), 및 이 아암 지지부 (30) 를 헤드폰 아암 (12) 에 장착하는 어태치먼트 (40) 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아암 (27) 은, 일정한 곡률 반경 (R) 에서 부드럽게 만곡된 막대형을 이루고 있고, 그 곡률 중심은, 이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를 사용자의 머리부 (H) 에 장착하였을 때, 이 머리부 (H) 내에 존재하게 되어 있다. 이 디스플레이 아암 (27) 은, 아암 지지부 (30) 내에 수용되도록 퇴피 위치 (d; 도 3) 와, 아암 지지부 (30) 로부터 돌출하여 화상 표시부 (21) 가 사용자의 눈 앞에서 화상 표시 가능한 돌출 위치 (c; 도 1, 2) 의 사이에서, 화상 표시부 (21) 가 이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만곡 형상에 대응한 궤적 (B) 에서 이동 가능하게 아암 지지부 (30) 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화상 표시부 (21) 는, 디스플레이 아암 (27) 이 돌출 위치 (c) 에 존재할 때, 화상 표시부 (21) 의 표시 화면이 사용자의 눈과 대향하는 표시 가능 위치 (a) 와, 이 표시 화면이 사용자의 눈의 시선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져 있는 비표시 위치 (b) 사이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디스플 레이 아암 (27) 의 길이는, 화상 표시부 (21) 가 표시 가능 위치 (a) 일 때, 그 표시 화면과 사용자의 눈 사이에 20㎜ 이상의 거리를 두는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이 20㎜ 이상이라는 수치는, 사용자가 안경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한 값이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아암 (27) 을 만곡 형상으로 하고, 이 만곡 형상에 대응한 궤적 (B) 를 그리도록 화상 표시부 (21) 를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머리부와 간섭하지 않고, 안전하게 화상 표시부 (21) 를 이동시킬 수 있다.
화상 표시부 (21) 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디바이스 (22), 이 표시 디바이스 (22) 가 표시한 화상을 사용자의 눈으로 유도하기 위한 광학계 (23), 이 화상 표시부 (21) 가 상기 서술한 표시 가능 위치인지 비표시 위치인지를 검지하는 표시부 위치 검지 센서 (24), 및 이들을 수납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25) 를 가지고 있다. 이 디스플레이 케이스 (25) 에는,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단부에 장착되는 장착부 (26) 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부 위치 검지 센서 (24) 는, 광학식 센서이고, 디스플레이 케이스 (25) 내에 주입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상대 위치 변화에서, 화상 표시부 (21) 가 표시 가능 위치인지 비표시 위치인지를 검지한다.
아암 지지부 (30) 는, 디스플레이 아암 (27) 을 수납 가능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 케이스 (31), 디스플레이 아암 (27) 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롤러 (34a, 34b), 디스플레이 아암 (27) 을 슬라이드시키는 구동 롤러 (35a), 이 구동 롤러 (35a) 를 회전시키는 아암 구동 모터 (35b), 디스플레이 아암 (27) 이 상기 서술한 퇴피 위치 (d) 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퇴피 검지 센서 (37a), 디스플레이 아암 (27) 이 상기 서술한 돌출 위치 (c) 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돌출 검지 센서 (37b), 및 아암 구동 모터 (35b) 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아암 구동 스위치 (36) 를 가지고 있다.
수납 케이스 (31) 의 내부 공간은,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만곡 형상에 대응하여 만곡되어 있다. 이 수납 케이스 (31) 의 일방의 단부 (이하, 전단 (前端) 이라고 한다) 측에는, 디스플레이 아암 (27) 이 출입하는 아암 삽입구 (32) 가 형성되고, 타방의 단부 (이하, 후단이라고 한다) 측에 롤오프 (3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롤오프 (33) 는, 어태치먼트 (40) 를 헤드폰 아암 (12) 에 결합시켰을 때, 헤드폰 (10) 의 스피커 (11L 또는 11R) 와 수납 케이스 (31) 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헤드폰 아암 (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수납 케이스 (31) 의 아암 삽입구 (32) 근방에서,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이동 경로 (B) 를 따른 위치에는, 디스플레이 아암 (27) 을 사이에 오도록 한 쌍의 가이드 롤러 (34a, 34b) 가 2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구동 롤러 (35a) 는, 전단부측의 가이드 롤러 (34a) 와 후단부측의 가이드 롤러 (34b) 사이로서, 만곡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내주측,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머리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서의 외주 형상은, 이 단면에 있어서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상이한 부분을 갖는, 다시 말하면 원형이 아닌,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본적으로는 대략 원형이지만, 만곡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내주측과 그 반대의 외주측에 홈 (28a, 28b) 이 형성된 형상이고, 회전 방지 형상부를 이룬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단면 형상을 원형상이 아닌 형상으로 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아암 (27) 이 그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축 둘레로 회전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내주측과 외주측의 홈 (28a, 28b) 은, 모두,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또한, 도 4 는 도 2 에 있어서의 C-C 선 단면을 나타내며, 도 5 는 도 2 에 있어서의 D-D 선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서술한 한 쌍의 가이드 롤러 (34a, 34a; 34b, 34b)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두, 회전 방지 형상부인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홈 (28a, 28b) 내에 접하고, 회전 방지 형상부에 접하는 맞닿음부를 이루고 있다. 각 가이드 롤러 (34a (34b)) 는, 수납 케이스 (31) 에 형성된 롤러축 (34c) 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구동 롤러 (35a) 도,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내주측의 홈 (28a) 의 바닥면에 접하고 있다. 이 구동 롤러 (35a) 는, 수납 케이스 (31) 내에 고정된 아암 구동 모터 (35b) 의 구동축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 롤러 (35a) 및 아암 구동 모터 (35b) 를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내주측에 배치함으로써,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량물이 사용자의 머리부에 가까워져, 머리부가 움직였을 때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데다, 디스플레이 아암의 외주측, 요컨대 머리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의 방향에 대한 수납 케이스 (31) 의 확장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어태치먼트 (40) 는,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등의 탄성을 갖 는 재료로, 단면이 C 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C 자의 개구의 간격 (d) 은, 단면이 타원형인 헤드폰 아암 (12) 의 단경 (r2) 보다 약간 크지만, 헤드폰 아암 (12) 의 장경 (r1) 보다 작다. 이 때문에, 헤드폰 아암 (12) 의 단경 (r2) 이 수직이 되도록 하고 나서, 도면 중의 X 방향으로부터 헤드폰 아암을 어태치먼트 (40) 의 개구에 근접시키면, 어태치먼트 (40) 내에 쉽게 헤드폰 아암 (12) 을 넣을 수 있다. 그 후, 헤드폰 아암 (12) 을 상대적으로 90° 회전시키면, 동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폰 아암 (12) 이 어태치먼트 (40) 내에 완전히 수용된다. 이 때, 어태치먼트 (40) 는 탄성 변형되어 약간 확장되어, 헤드폰 아암 (12) 을 확실하게 파지한다. 이로써,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는, 헤드폰 아암 (12) 에 장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폰 아암 (12) 을 단순히 파지함으로써,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가 헤드폰 아암 (12) 에 장착되기 때문에,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태치먼트 (40) 의 탄성 변형에 의해 헤드폰 아암 (12) 을 파지하고 있기 때문에, 헤드폰 아암 (12) 의 단면 형상이 다소 상이해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 (10) 에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용의 특수한 장착 구조가 없기 때문에, 헤드폰 단체에서의 사용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 (31) 의 롤오프 (33) 에는, 변위 기구 (5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변위 기구 (50) 는, 어태치먼트 (40) 에 대한 화상 표시부 (21) 의 상대적인 위치 및 방향을 바꾸는 것으로, 어태 치먼트 (40) 에 형성된 볼 (51) 과, 수납 케이스 (31) 의 롤오프 (33) 에 형성된 볼 수용부 (52) 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볼 (51) 과 볼 수용부 (52) 사이에는 일정 이상의 마찰력이 작용하고 있고, 볼 (51) 에 대하여 볼 수용부 (52) 에 일정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이 볼 (51) 에 대하여 볼 수용부 (52) 가 상대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변위 기구 (50) 를 볼 (51) 과 볼 수용부 (52) 를 가지고 구성함으로써, 삼차원 공간 내의 독립된 3 축의 각 축 둘레에서, 아암 지지부 (30) 및 이 아암 지지부 (30) 에 지지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아암 (27), 나아가 이 디스플레이 아암 (27) 에 장착되어 있는 화상 표시부 (21) 를 변위시킬 수 있다.
또, 이 변위 기구 (50) 는, 아암 지지부 (30) 에서 화상 표시부 (21) 까지의 사이에 형성해도, 지지부 (30) 중에 형성해도 된다. 다만, 변위 기구 (50) 자체에 중량이 있기 때문에, 어태치먼트 (40) 를 기준하는 모멘트를 가능한 한 줄이는 의미에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어태치먼트 (40) 와 아암 지지부 (30) 사이에 변위 기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 (50) 을 어태치먼트 (40) 측에 형성하였지만, 볼 (50) 을 수납 케이스 (31) 측에 형성하고, 볼 수용부 (52) 를 어태치먼트 (40) 측에 형성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7 은, 이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회로 구성도이다.
아암 지지부 (30) 의 수납 케이스 (31) 에는, 상기 서술한 구동 롤러 (35a), 아암 구동 모터 (35b), 퇴피 검지 센서 (37a), 돌출 검지 센서 (37b) 와, 아암 구 동 스위치 (36) 외에, 각 센서 (24, 37a, 37b) 및 아암 구동 스위치 (36) 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아암 구동 모터 (35b) 를 제어하는 제어계 (38) 와, 외부 컨트롤러 (C) 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화상 표시부 (21) 의 표시 디바이스 (22) 에 화상 신호를 보내는 화상 처리계 (39)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헤드폰 (10) 에는, 외부 컨트롤러 (C) 로부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를 통하여 헤드폰 (10) 에 음성 신호를 보내도록 해도 된다. 또, 반대로, 외부 컨트롤러 (C) 로부터 헤드폰 (10) 에 대하여, 음성 신호 외에 화상 신호나 제어 신호 등을 보내고, 이들 중, 화상 신호나 제어 신호 등을 헤드폰 (10) 으로부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에 보내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헤드폰 (10) 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중 일방에 모든 신호 등을 보내고, 거기에서 타방으로 필요한 신호 등을 보내는 경우에는, 양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절단 가능한 전기적 접속부를 양자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의 조작 및 그 때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의 어태치먼트 (40) 를 헤드폰 아암 (12) 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장착한다. 그리고, 이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가 장착된 헤드폰 (10) 을 머리부에 장착한다. 또, 이 때,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화상 표시부 (21) 가 비표시 위치 (b) 에 존재하고, 디스플레이 아암 (27) 이 퇴피 위치 (d) 에 존재하고 있다.
다음으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의 아암 구동 스위치 (36) 를 누르면, 이 아암 구동 스위치 (36) 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계 (38) 가 검출하고, 제어계 (38) 로부터 아암 구동 모터 (35b) 에 아암 구동 제어 신호가 출력되고, 아암 구동 모터 (35b) 가 구동하여, 디스플레이 아암 (27) 이 돌출하기 시작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아암 (27) 및 화상 표시부 (21) 는,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만곡 형상에 맞는 궤적 (B) 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디스플레이 아암 (27) 이 돌출 위치 (c) 에 달하면, 돌출 검지 센서 (37b) 가 이것을 검지하여 제어계 (38) 에 그 상황을 알리고, 이 제어계 (38) 로부터의 돌출 오프 신호에 의해 아암 구동 모터 (35b) 가 멈추고, 디스플레이 아암 (27) 은 이 돌출 위치 (c) 에서 정지한다.
디스플레이 아암 (27) 이 돌출 위치 (c) 일 때,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부 (21) 를 비표시 위치 (b) 로부터 표시 가능 위치 (a) 에 수동으로 이동시키면, 이 위치 변화를 표시부 위치 검지 센서 (24) 가 검지하여, 제어계 (38) 에 그 상황을 알린다. 제어계 (38) 는, 화상 표시부 (21) 가 표시 가능 위치에 달한 것을 외부 컨트롤러 (C) 에 통지하면, 외부 컨트롤러 (C) 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가 화상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상태로 된 것을 인식한다. 이 상태일 때, 외부 컨트롤러 (C) 의 재생 버튼을 누르면, 이 외부 컨트롤러 (C) 로부터 화상 신호가 화상 처리계 (39) 에 보내지고, 이 화상 처리계 (39) 로부터 화상 표시부 (21) 의 표시 디바이스에 화상 신호가 보내져, 이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이 재생된다. 또, 당초, 아암 구동 스위치 (36) 를 누르는 대신 에, 외부 컨트롤러 (C) 의 재생 버튼을 누름으로써, 외부 컨트롤러 (C) 로부터 처음으로 아암 구동 제어 신호를 제어계 (38) 에 보내고, 이상의 일련의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해도 된다.
화상 재생을 중지할 때에는, 화상 표시부 (21) 를 표시 가능 위치 (a) 로부터 비표시 위치 (b) 에 수동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이 위치 변화를 표시부 위치 검지 센서 (24) 가 검지하고, 제어계 (38) 에 그 상황을 알린다. 제어계 (38) 는, 화상 표시부 (21) 가 비표시 위치 (b) 에 달한 것을 외부 컨트롤러 (C) 에 통지하고, 외부 컨트롤러 (C) 로부터의 영상 신호의 송신을 중지시킨다.
다음으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의 아암 구동 스위치 (36) 를 누르면, 이 아암 구동 스위치 (36) 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계 (38) 가 검출하고, 제어계 (38) 로부터 아암 구동 모터 (35b) 에 아암 구동 제어 신호가 출력되고, 아암 구동 모터 (35b) 가 구동하여, 디스플레이 아암 (27) 이 퇴피하기 시작한다. 이 퇴피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아암 (27) 은 자체의 만곡 형상에 맞는 궤적 (B) 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디스플레이 아암 (27) 이 퇴피 위치 (d) 에 달하면, 퇴피 검지 센서 (37b) 가 이것을 검지하여 제어계 (38) 에 그 뜻을 알리고, 이 제어계 (38) 로부터 퇴피 오프 신호에서 아암 구동 모터 (35b) 가 멈추어, 디스플레이 아암 (27) 은 이 퇴피 위치 (d) 에서 정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아암 (27) 및 화상 표시부 (21) 가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만곡 형상에 맞는 궤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디스플레이 아암 (27) 및 화상 표시부 (21) 가 사용자의 머리부를 따라 이동하고, 이들 과 사용자의 머리부와의 거리를, 이 머리부와 간섭하지 않는 최소한의 거리로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상 표시부 (21) 및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이동에 수반하여, 사용자의 머리부가 이동하여도, 화상 표시부 (21) 등이 다른 것에 접촉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표시부 (21) 에 의한 화상 표시를 행하지 않을 때, 디스플레이 아암 (27) 은 수납 케이스 (31) 내에 들어간 퇴피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머리부 장착대인 헤드폰 아암 (12) 과의 어태치먼트 (40) 를 기준으로 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의 모멘트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상 표시부 (21) 를 퇴피시켜서, 사용자의 양 눈의 시계 (視界) 를 확보하고 있는 시점에서, 사용자의 머리부가 움직여도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의 요동을 작게 할 수 있어,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의 장착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아암 (27) 에 홈 (28a) 을 형성하고, 이 홈 (28a) 의 바닥면에 가이드 롤러 (34a, 34b) 나 구동 롤러 (35a) 를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아암 (27) 이 이동하고 있든 있지 않든, 디스플레이 아암 (27) 이 그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축 둘레로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0) 의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회전 방지 형상부 및 그것에 맞닿는 맞닿음부에 관한 각종 변형예에 관하여, 도 8 ∼ 도 17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8 ∼ 도 10, 도 12, 도 13 은 도 2 에 있어서의 C-C 선 단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 은 만곡된 막대형의 부재에 홈을 형성할 때, 홈의 형성 위치에 따른 가공 형태의 상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 1 변형예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아암 (27a) 의 단면 형상을 거의 장방형으로 하고, 그 일측면에 홈을 형성한 것이다. 이 디스플레이 아암 (27a) 에 대하여, 내주측의 가이드 롤러 (34a) 가 디스플레이 아암 (27a) 의 일측면에 형성한 홈 (28a) 내면에 접하고, 외주측의 가이드 롤러 (34a) 가 디스플레이 아암 (27a) 의 다른 측면에 접해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아암 (27a) 의 단면 형상을 거의 장방형으로 하여도, 디스플레이 아암 (27a) 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축 둘레로, 디스플레이 아암 (27a) 이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홈은, 디스플레이 아암 (27a) 의 내주측만이라도, 본 변형예와 같이, 이 내주측의 홈 (28a) 에 가이드 롤러 (34a) 가 들어가 있으면, 디스플레이 아암 (27a) 의 길이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또, 디스플레이 아암의 홈은, 본 변형예 및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아암 (27, 27a) 의 내주측 및/또는 외주측, 바꿔 말하면, 좌우에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아암 (27, 27a) 의 상하에 형성하여도, 기본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시킨 막대형의 부재에 원반형의 가공 공구 (W1, W2) 로 홈을 형성하는 경우, 만곡시킨 막대형 부재의 내주측 및/또는 외주측에 홈 (G1) 을 형성할 때에는, 원반형의 가공 공구 (W1) 의 회전축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홈 (G1) 을 형성할 수 있는 데 비하여, 만곡시킨 막대형 부재의 내외 주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측에 홈 (G2) 을 형성할 때에는, 원반형의 가공 공구 (W2) 의 회전축의 방향을 가공 공구 (W2) 의 이동에 맞추어 차례로 바꿀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홈 가공면에서, 홈은 만곡된 디스플레이 아암의 내주측 및 또는 외주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및 3 의 변형예는,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아암 (27b, 27c) 의 단면 형상을 장방형으로 또는 장방형을 종횡으로 두 개 중첩한 형상으로 한 것으로, 홈을 형성하고 있지 않다. 이들 경우도, 이상의 실시 형태 및 제 1 변형예와 같이, 디스플레이 아암 (27b, 27c) 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축 둘레로, 디스플레이 아암 (27b, 27c) 이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만, 이들 변형예의 경우, 이상의 실시 형태 및 제 1 변형예와 상이하게 홈이 없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아암 (27b, 27c) 의 내외주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요컨대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의 위치에 가이드 롤러 (34c) 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제 4 및 제 5 변형예는,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아암 (27c, 27d) 의 단면 형상을 두 개의 원을 중첩한 형상으로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4 변형예의 디스플레이 아암 (27c) 은, 두 개의 원이 서로 접하는 단면 형상으로 한 것이고, 제 5 변형예의 디스플레이 아암 (27d) 은, 두 개의 원이 약간 떨어지고, 떨어진 부분을 연결한 단면 형상으로 한 것이다. 이들 각 변형예의 디스플레이 아암 (27c, 27d) 은, 모두 두 개의 원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원호 부분에서 홈 (28) 을 형성하고, 이 홈 (28) 에 가이드 롤러 (34a) 가 접촉되어 있 다.
제 6 및 7 변형예는, 도 14 ∼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아암 (27e, 27f) 의 화상 표시부가 장착되는 선단부 (s) 와 그 반대측의 기단부 (b) 에서 단면 형상이 상이함과 함께, 이 디스플레이 아암 (27e, 27f) 을 슬라이드 슈 (34e, 34f) 로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 이 슬라이드 슈 (34e, 34f) 는, 도 1 에 나타내는 아암 삽입구 (32) 에 장착되어 있다.
제 6 변형예의 디스플레이 아암 (27e) 은, 도 1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측 (s) 의 단면 형상이 원형을 이루고, 동 도 1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기단측 (b) 의 단면 형상이 타원형을 이룬다. 또, 동 도 15(a) 는 도 14 에 있어서의 A-A 선에서의 디스플레이 아암 (27f) 의 단면과 슬라이드 슈 (34e) 의 단면을 나타내고, 동 도 15(b) 는 도 14 에 있어서의 B-B 선에서의 디스플레이 아암 (27e) 의 단면과 슬라이드 슈 (34e) 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 아암 (27e) 이 삽입 통과되는 슬라이드 슈 (34e) 의 내주면 형상은, 디스플레이 아암 (27e) 의 기단측 (b) 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이고 또한 동일한 크기의 타원 형상이다. 이 때문에, 디스플레이 아암 (27e) 의 기단측 (b) 이 이 슬라이드 슈 (34e) 의 위치에 있을 때, 바꿔 말하면, 화상 표시부가 돌출 위치 근방에 있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아암 (27e) 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면에서의 각 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 방향이 이 수직인 면 내인 회전은, 모두 구속되어 길이 방향의 이동만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아암 (27e) 의 선단측 (s) 의 단면 형상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원형이고, 게다가 원형의 직경이 기단 측 (b) 의 타원 형상의 단축의 길이와 동일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아암 (27e) 의 선단측 (s) 이 슬라이드 슈 (34e) 의 위치에 있을 때, 바꿔 말하면, 화상 표시부가 퇴피 위치 근방에 있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아암 (27e) 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면에서의 각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지만, 회전 방향이 이 수직인 면 내인 회전은 구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화상 표시부가 돌출 위치 근방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아암 (27e) 의 이동 여부에 상관없이, 디스플레이 아암 (27e) 은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화상 표시부가 기울어져 버리는 경우가 없다. 한편, 본 변형예에서는, 화상 표시부 (27e) 가 퇴피 위치 근방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아암 (27e) 을 회전시켜, 화상 표시부를 수용되기 좋은 기울기로 할 수 있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퇴피 위치 근방에서 디스플레이 아암 (27e) 이 어떠한 자세여도, 돌출 위치에서는 화상 표시부는 정해진 자세가 된다. 나아가, 돌출 위치에서는, 디스플레이 아암 (27e) 으로부터의 도선이 수납 케이스 내에서 그다지 여유가 없어지고, 디스플레이 아암 (27e) 이 회전하면, 이 도선이 끊어질 우려가 있지만, 본 변형예와 같이, 돌출 위치 근방에서 디스플레이 아암 (27e) 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 도선의 절단을 막을 수 있다.
제 7 변형예의 디스플레이 아암 (27f) 은, 도 1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측 (s) 의 단면 형상이 원형을 이루고, 동 도 1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기단측 17(b) 의 단면 형상이 원호형을 이룬다. 또, 동 도 17(a) 는 도 16 에 있어서의 A-A 선에서의 디스플레이 아암 (27f) 의 단면과 슬라이드 슈 (34f) 의 단면을 나타내고, 동 도 (b) 는 도 16 에 있어서의 B-B 선에서의 디스플레이 아암 (27f) 의 단면과 슬라이드 슈 (34f) 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 아암 (27f) 이 삽입 통과되는 슬라이드 슈 (34f) 의 내주면 형상은, 디스플레이 아암 (27f) 의 기단측 (b) 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이고 또한 동일한 크기의 원호 형상이다. 이 때문에, 디스플레이 아암 (27f) 의 기단측 (b) 이 이 슬라이드 슈 (34f) 의 위치에 있을 때, 바꿔 말하면, 화상 표시부가 돌출 위치 근방에 있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아암 (27f) 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면에서의 각 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 방향이 이 수직인 면 내인 회전은, 모두 구속되어 길이 방향의 이동만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아암 (27f) 의 선단측 (s) 의 단면 형상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원형이고, 게다가 원형의 직경이 기단측의 원호의 높이 (현 (弦) 을 기준으로 한 높이) 와 동일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아암 (27f) 의 선단측 (s) 이 슬라이드 슈 (34f) 의 위치에 있을 때, 바꿔 말하면, 화상 표시부가 퇴피 위치 근방에 있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아암 (27f) 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면에서의 각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지만, 회전 방향이 이 수직인 면 내인 회전은 구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도, 제 6 변형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아암 (27) 을 이동시키는 아암 구동 모터 (35b) 의 장착 형태의 변형예에 관하여, 도 18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앞의 실시 형태에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 (31) 의 내면에, 아암 구동 모터 (35b) 의 케이싱 외주면 형상에 맞는 모터 고정벽을 높게 형성하고, 이 아암 구동 모터 (35b) 가 이동 및 요동하는 것을 막고 있지만, 본 변형예에서는, 이 모터 고정벽 (35c) 을 낮게 하고, 아암 구동 모터 (35b) 는 이동하지 않지만 그 선단측이 요동하게 함과 함께, 아암 구동 모터 (35b) 의 선단측을 디스플레이 아암 (27) 에 근접하는 방향에 스프링 (35d) 으로 탄성 지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앞의 실시 형태와 같이, 아암 구동 모터 (35b) 를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경우, 그 고정 위치 등을 매우 정확하게 정하지 않으면, 아암 구동 모터 (35b) 의 선단에 장착되는 구동 롤러 (35a) 와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접촉 압력을 소정의 접촉 압력으로 할 수 없다. 만약, 아암 구동 모터 (35b) 의 위치를 매우 정확하게 정하여도,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이동으로, 구동 롤러 (35a) 에 대한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상대 거리가 미묘하게 변하기 때문에, 접촉 압력이 변화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아암 (27) 과 구동 롤러 (35a) 의 접촉 압력을 일정하게 관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구동 롤러 (35a) 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아암 (27) 이 슬립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고, 디스플레이 아암 (27) 을 목적량 이동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변형예에서는, 아암 구동 모터 (35b) 의 선단측, 요컨대 구동 롤러 (35a) 가 디스플레이 아암 (27) 에 대하여 원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 구동 롤러 (35a) 를 스프링 (35d) 으로 디스플레이 아암 (27) 쪽에 탄성 지지함으로써, 구동 롤러 (35a) 와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접촉 압력을 목적의 접촉 압력이 되도록 관리하고 있다.
이상,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련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디스 플레이 아암은 이상의 실시 형태와 같이, 곡률이 일정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타원 외주의 일부와 같은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아암 (27) 의 만곡 형상에 화상 표시부 (21) 의 이동 궤적이 완전히 일치하지만, 만곡된 디스플레이 아암의 형상에 대응하여, 화상 표시부의 궤적이 거의 동일하게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는, 리어 아암식의 헤드폰 (10) 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두정부 (頭頂部) 에 아암을 회전시키는 헤드 아암식인 것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헤드폰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머리부를 좌우로부터 사이에 끼워 넣어 머리부에 장착되는 아암을 구비하고 있는 머리부 장착 장치라면, 스피커를 구비하고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제 2 실시 형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 19 ∼ 도 22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 1 실시 형태 또는 이 변형예와 동일하게, 헤드폰 아암의 회전을 막기 위한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19 는 본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결합시) 의 사시도이고, 도 20 은 동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비결합시) 의 사시도이고, 도 21 은 도 19 에 있어서의 Ⅲ-Ⅲ 선 단면도이고, 도 22 는 동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회로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도 19 및 도 20 에 나타내 는 바와 같이, 헤드폰 (110) 과, 이 헤드폰 (110) 에 장착 가능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폰 (110) 은, 좌우의 스피커 (111L, 111R), 좌우의 스피커 (111L, 111R) 상호를 접속하는 헤드폰 아암 (112), 좌우의 스피커 (111L, 111R) 에 형성되어 있는 귀걸이부 (113L, 113R), 및 헤드폰 아암 (112) 의 거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접속부 (외부 접속부 ; 114) 를 구비하고 있다. 이 헤드폰 (110) 은, 사용자의 후머리부에 헤드폰 아암 (112) 을 회전시키는 리어 (rear) 아암식의 헤드폰이다.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는, 사용자의 눈 앞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 (121), 헤드폰 아암 (112) 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 (140), 화상 표시부 (121) 를 어태치먼트 (140) 에 연결하는 지지부 (130), 및 헤드폰 (110) 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측 전기적 접속부로서의 케이블 (139) 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 (130) 는, 단면이 타원형인 막대형의 디스플레이 아암 (131) 과, 이 디스플레이 아암 (131) 을 수납하는 수납부 (133) 를 가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아암 (131) 은, 그 길이 방향의 형상이 사용자의 머리부 형상에 대응하여 만곡되어 있다. 수납부 (133) 는, 이 만곡된 디스플레이 아암 (131) 의 대부분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있다. 이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는, 이것을 사용자의 머리부에 장착하였을 때의 상하 방향에 관하여, 화상 표시부 (121) 의 표시 화면을 포함하여, 그 외관 형상이 상하 방향으로 대칭성을 가지고 있다.
수납부 (133) 는,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아암 (131) 을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 (136), 디스플레이 아암 (131) 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베어링 (137), 및 디스플레이 아암 (131) 을 이동시키는 구동 롤러 (138) 를 가지고 있다. 수납 케이스 (136) 에는, 일방의 단부측에 디스플레이 아암 (131) 이 침입하기 위한 아암 삽입 개구 (134) 가 형성되고, 타방의 단부에 헤드폰 (110) 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케이블 (디스플레이측 전기적 접속부 ; 139) 이 형성되고, 또한, 어태치먼트 (140) 와의 접속 부분에 롤오프 (135)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롤오프 (135) 는, 어태치먼트 (140) 를 헤드폰 아암 (112) 에 장착하였을 때, 헤드폰 (110) 의 스피커 (111L 또는 111R) 와 수납 케이스 (136) 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구동 롤러 (138) 에는, 후술하는 아암 구동 모터 (도 22 에 나타낸다) 가 접속되어 있다. 화상 표시부 (121) 는, 표시 디바이스 (122) 와, 그 광학계 (123) 를 가지고 있다.
어태치먼트 (140) 는,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수지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이고, 단면이 C 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헤드폰 아암 (112) 을 단순히 파지함으로써,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가 헤드폰 아암 (112) 에 기계적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기 위하여, 전용의 어태치먼트를 헤드폰측에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요컨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용의 헤드폰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헤드폰 (110) 의 케이블 접속부 (외부 접속부 ; 114) 에는, 도 22 에 나타내 는 바와 같이, 헤드폰 (110) 이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160) 가 접속된다. 이 컨트롤러 (160) 는, 헤드폰 (110) 의 케이블 접속부 (114) 와 접속되는 컨트롤러 케이블 (161), 외부로부터 화상 신호를 수신하는 화상 신호 수신단 (162),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신호 수신단 (163),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 (164), 화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기억해 두는 신호 기억부 (165),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 (166), 조작부 (164) 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 부에 제어 신호를 보내는 제어부 (167), 및 주전원 회로 (168) 를 가지고 있다. 컨트롤러 케이블 (161) 은, 전기적 접점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61a) 를 가지고 있고, 여기에, 앰프 (166) 로부터 음성 신호를 헤드폰 (110) 의 케이블 접속부 (114) 에 보내는 음성 신호선 (S1), 신호 기억부 (65) 및 화상 신호 수신단 (162) 으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헤드폰 (110) 의 케이블 접속부 (114) 에 보내는 화상 신호선 (I1), 제어부 (167) 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헤드폰 (110) 의 케이블 접속부 (114) 에 보내는 제어 신호선 (C1), 주전원 회로 (168) 로부터의 전력을 헤드폰 (110) 의 케이블 접속부 (114) 에 보내는 전원선 (P1) 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폰 (110) 의 케이블 접속부 (114) 에는, 컨트롤러 케이블 (161) 의 커넥터 (161a) 에 접속되는 컨트롤러측 커넥터 (115a) 와, 디스플레이 케이블 (139) 의 커넥터 (139a) 에 접속되는 디스플레이측 커넥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 ; 115b) 가 형성되어 있다. 컨트롤러측 커넥터 (115a) 와 디스플레이측 커넥터 (115b) 는, 화상 신호선 (I2), 제어 신호선 (C2), 전원선 (P2) 및 도시를 생략한 그라운드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 케이블 (161) 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 신호 선 (I1), 제어 신호선 (C1), 전원선 (P1) 및 그라운드선은, 각각 헤드폰 (110) 의 컨트롤러측 커넥터 (115a) 에 접속되어 있는 화상 신호선 (I2), 제어 신호선 (C2), 전원선 (P2) 및 그라운드선과, 커넥터 (161a, 115a) 를 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컨트롤러 케이블 (161) 에 형성되어 있는 음성 신호선 (S1) 은, 커넥터 (161a, 115a) 및 음성 신호선 (S2) 을 통하여, 각 스피커 (111R, 111L) 와 접속된다.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수납 케이스 (136) 내에는, 표시 디바이스 (122) 에 화상 신호를 보내는 표시 처리부 (124), 디스플레이 아암 (131) 을 이동시키는 아암 구동 제어부 (125), 상하 방향을 검지하여 검지 결과를 표시 처리부 (124) 에 알리는 중력 센서 (128), 및 이들 부위 (124, 125, 128) 및 표시 디바이스 (122) 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 (129) 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 구동 제어부 (125) 는, 디스플레이 아암 (131) 을 이동시키는 구동원으로서의 아암 구동 모터 (126) 와, 디스플레이 아암 (131) 의 전진 한계 위치 및 후퇴 한계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군 (127) 을 가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블 (139) 에는, 헤드폰 (110) 의 디스플레이측 커넥터 (115b) 의 화상 신호선 (I2) 과 커넥터 (139a) 를 통하여 접속되는 화상 신호선 (I3), 디스플레이측 커넥터 (15b) 의 제어 신호선 (C2) 과 커넥터 (139a) 를 통하여 접속되는 제어 신호선 (C3), 디스플레이측 커넥터 (115b) 의 전원선 (P2) 과 커넥터 (139a) 를 통하여 접속되는 전원선 (P3), 및 도시를 생략한 그라운드선이 형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블 (139) 의 화상 신호선 (I3) 은, 수납 케이스 (136) 내의 표시 처리부 (124) 와 접속되고, 디스플레이 케이블 (139) 의 제어 신호선 (C3) 은, 수납 케이스 (136) 내의 표시 처리부 (124) 및 아암 구동 제어부 (125) 와 접속되고, 디스플레이 케이블 (139) 의 전원선 (P3) 은, 수납 케이스 (136) 내의 1 전원 회로 (29) 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아암 (131) 에는, 수납 케이스 (136) 내의 표시 처리부 (124) 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표시 디바이스 (122) 에 보내기 위한 화상 신호선 (I4), 수납 케이스 (136) 내의 전원 회로 (129) 로부터의 전력을 표시 디바이스 (122) 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 (P4) 및 도시를 생략한 그라운드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트롤러 (160) 로부터의 음성 신호는 물론, 화상 신호, 제어 신호, 전력은, 모두 헤드폰 (110) 의 케이블 접속부 (114) 에 보내지고, 이 중 음성 신호는 헤드폰 (110) 의 각 스피커 (111R, 111L) 에 보내지고, 화상 신호, 제어 신호 및 전력은, 이 헤드폰 (110) 의 케이블 접속부 (114) 를 통하여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수납부 (133) 로 보내진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트롤러 (160) 로부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및 헤드폰 (110) 에 보내는 신호 등의 모두를 일단, 헤드폰 (110) 에 보냄으로써, 컨트롤러 (160) 로부터 신장되는 케이블의 개수를 적게 하고 있다.
헤드폰 (110) 과 함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어태치먼트 (140) 를 헤드폰 아암 (112) 에 기계적으로 장착한다. 이 때, 헤드폰 아암 (112) 의 우측 스피커 (111R) 근방과 좌측 스피커 (111L) 근방 중, 어느 부위에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어태치먼트 (140) 를 장착해도 된다. 계속해서, 디스플레이 케이블 (139) 을 헤드폰 (110) 의 디스플레이측 커넥터 (115b) 에 접속하 고, 헤드폰 (110) 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컨트롤러 케이블 (161) 을 헤드폰 (110) 의 컨트롤러측 커넥터 (115a) 에 접속하고, 컨트롤러 (160) 와 헤드폰 (110) 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 이상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와 헤드폰 (110) 의 기계적 장착 및 전기적 접속, 또한, 컨트롤러 (160) 와 헤드폰 (110) 의 전기적 접속은 그 순서를 불문한다.
그리고,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 헤드폰 (110) 을 머리부에 장착한다.
만약, 사용자가 영상과 함께 음성을 출력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컨트롤러 (160) 의 조작부 (164) 의 재생 버튼 등을 조작한다. 재생 버튼이 눌리면, 우선, 주전원 회로 (168) 로부터의 전력 및 제어부 (167) 로부터 아암 구동 제어 신호가 출력되고, 이 전력 및 신호가 헤드폰 (110) 의 케이블 접속부 (114) 를 통하여,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에 보내진다. 전력은,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전원 회로 (129) 에 보내진 후,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내의 각 부에 공급된다. 한편, 아암 구동 제어 신호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아암 구동 제어부 (125) 에 보내진다. 이 결과, 이 아암 구동 제어부 (125) 의 아암 구동 모터 (126) 가 구동하여, 디스플레이 아암 (112) 을 수납 위치로부터 표시 가능 위치까지 돌출시킨다. 아암 구동 제어부 (125) 의 센서군 (127) 이 전진 한계 위치 (= 표시 가능 위치) 를 검지하면, 그 뜻이 컨트롤러 (160) 의 제어부 (167) 에 전해지고, 이 제어부 (167) 로부터의 지시로, 신호 기억부 (165) 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 또는 화상 신호 수신 단 (162) 으로부터의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 수신단 (163) 으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헤드폰 (110) 의 케이블 접속부 (114) 에 출력된다.
컨트롤러 (160) 로부터의 음성 신호는, 헤드폰 (110) 의 각 스피커 (111R, 111L) 에 보내지고, 이 음성 신호에 대응한 음성이 재생된다. 또한, 컨트롤러 (160) 로부터 화상 신호는, 헤드폰 (110) 의 케이블 접속부 (114) 및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표시 처리부 (124) 를 통하여, 표시 디바이스 (122) 에 보내지고, 이 화상 신호에 대응한 화상이 재생된다.
만약,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어태치먼트 (140) 를, 헤드폰 아암 (112) 의 좌측 스피커 (111L) 근방의 부위로부터 분리하여, 헤드폰 아암 (112) 의 우측 스피커 (111R) 근방의 부위에 기계적으로 장착한 경우에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상하가 반전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는, 이것을 사용자의 머리부에 장착하였을 때의 상하 방향에 관하여, 화상 표시부 (122) 의 표시 화면을 포함하여, 그 외관 형상이 상하 방향에 대칭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좌우 장착 위치의 변경에 따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상하가 반전되어도, 위화감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좌우 장착 위치의 변경으로 화상 표시부 (120) 의 상하가 반전되어도, 이 상황을 중력 센서 (128) 가 검지하고, 표시 처리부 (124) 에 의해 자동적으로 표시 화상의 상하가 반전되어, 표시 화상의 상방이 상방에 표시되기 때문에,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좌우 장착 위치의 변경에 따르는 화상의 상하 반전이라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 (110) 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디스플레이 케이블 (139) 을 헤드폰 (110) 의 케이블 접속부 (114) 로부터 분리함과 함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어태치먼트 (140) 를 헤드폰 아암 (112) 으로부터 분리한다. 즉, 헤드폰 (110) 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해제한다. 게다가, 컨트롤러 (160) 로부터 음성 신호를 헤드폰 (110) 에 보냄으로써, 헤드폰의 각 스피커 (111R, 111L) 에 의해, 이 음성 신호에 대응한 음성이 재생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폰 (110) 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헤드폰 (110)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머리부 장착대인 헤드폰 아암 (112) 에 특별한 장착 기구를 형성하지 않아도,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를 기계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헤드폰 단체에서의 사용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트롤러 (160) 내에 앰프 (166) 를 형성하였지만, 헤드폰 (110) 내에 앰프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컨트롤러 (160) 로부터 헤드폰 (110) 내의 앰프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을 형성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수납부 (133) 에 표시 처리부 (124) 를 형성하였지만, 이 일부의 기능, 예를 들어, 표시 디바이스 (122) 의 구동 기능을 화상 표시부 (121) 에 형성해도, 또한, 표시 처리부 (121) 의 모든 기능을 화상 표시부 (121) 에 형성해도 된다. 즉,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각종 기능 부위의 일부, 컨트롤러 (160) 의 각종 기능 부위의 일부를, 적절하게 별도의 부위에 형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어태치먼트의 제 1 및 제 2 변형예에 관하여, 각각 도 23 및 도 24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23 은 제 2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어태치먼트의 제 1 변형예의 단면도이고, 도 24 는 동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어태치먼트의 제 2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제 1 변형예로서의 어태치먼트 (140a) 는,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측벽 (142a, 142b) 을 갖는 홈 부재 (141), 이 홈 부재 (141) 의 일방의 측벽 (이하, 제 1 파지부로 한다 ; 142a) 사이에서 헤드폰 아암 (112) 을 파지하는 제 2 파지부 (143), 및 제 2 파지부 (143) 를 제 1 파지부 (142a) 측으로 누르는 압압 부재로서의 나사 부재 (144) 를 가지고 있다.
홈 부재 (141) 는, 수납부 (133) 의 롤오프 (135) 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홈 부재 (141) 의 롤오프 (135) 측의 측벽 (142a) 이 제 1 파지부를 형성하고 있다. 홈 부재 (141) 의 타방의 측벽 (142b) 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압압 부재인 나사 부재 (144) 가 들어가 조여진다. 제 2 파지부 (143) 는, 이 나사 부재 (144) 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헤드폰 아암 (112) 에 이 어태치먼트 (140a) 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제 1 파지부 (142a) 와 제 2 파지부 (143) 사이에 헤드폰 아암 (112) 의 일부를 위치시키고, 나사 부재 (144) 를 조여, 제 1 파지부 (142a) 와 제 2 파지부 (143) 의 간 격을 좁히고, 양 파지부 (142a, 143) 에 의해 헤드폰 아암 (112) 을 파지시킨다.
제 2 변형예로서의 어태치먼트 (140b) 는,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압압 부재로서의 나사 부재 (144) 를 탄성 부재인 스프링 코일 (144b) 로 바꾼 것이다.
헤드폰 아암 (112) 에 이 어태치먼트 (140b) 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제 1 파지부 (142a) 와 제 2 파지부 (143) 사이를 넓혀, 스프링 코일 (144b) 을 수축시킨 후, 이 사이에 헤드폰 아암 (112) 의 일부를 위치시키면, 스프링 코일 (144b) 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파지부 (143) 가 제 1 파지부 (142b) 측으로 누르게 하여, 양 파지부 (142b, 143) 사이에서 헤드폰 아암 (12) 이 파지된다.
이상, 제 1 및 제 2 변형예에서도, 헤드폰 아암 (112) 을 단순히 파지함으로써,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를 헤드폰 아암 (112) 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변형예에서도, 제 2 파지부 (143) 의 이동에 의한 어태치먼트 (140a, 140b) 의 변형으로 헤드폰 아암 (112) 을 파지하고 있기 때문에, 헤드폰 아암 (112) 의 단면 형상이 다소 상이한 것이라도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10) 의 변형예에 관하여, 도 25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의 헤드폰 (110a) 은,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케이블 접속부 (114) 를 세 개로 분할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케이블 접속부 (114a, 114R, 114L) 는, 컨트롤러 (160) 로부터의 컨트롤러 케이블 (161) 이 접속되는 컨트롤러 케이블 접속부 (114a) 와,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케이블 (139) 이 접속되는 2 개의 디스플레이 케이블 접속부 (114R, 114L) 가 있다.
컨트롤러 케이블 접속부 (114a) 는,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케이블 접속부 (114) 와 동일한 위치, 요컨대, 헤드폰 아암 (112) 의 중앙에 형성되고, 2 개의 디스플레이 케이블 접속부 (114R, 114L) 는, 각각 좌우의 스피커 (111R, 111L) 와 컨트롤러 케이블 접속부 (114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각 디스플레이 케이블 접속부 (114R, 114L) 에는, 디스플레이 케이블 (139) 의 커넥터 (139a) 가 접속 가능한 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다. 각 디스플레이 케이블 접속부 (114R, 114L) 의 커넥터에는, 각각 도 22 를 사용하여 설명한 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컨트롤러 케이블 접속부 (114a) 의 커넥터로부터 전원선 (P2), 화상 신호선 (I2), 제어 신호선 (C2) 및 그라운드선이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2 개의 디스플레이 케이블 접속부 (114R, 114L) 를 좌우의 스피커 (111R, 111L)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이것에 접속되는 디스플레이 케이블 (139) 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26 ∼ 도 28 을 사용하여,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 3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26 은 제 3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 (결합시) 이고, 도 27 은 동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비결합시) 의 사시도이고, 도 28 은 동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회로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도 26 및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와 그 기계적 구성이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그 전원선이나 신호선 등의 배치가 상이하다.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b) 의 수납 케이스 (136) 에서, 헤드폰 아암 (131) 의 삽입구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헤드폰 (110b) 으로부터 신장되는 헤드폰 케이블 (119) 및 컨트롤러로부터 신장되는 컨트롤러 케이블 (161) 이 접속되는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 케이스 (136) 내에는,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표시 처리부 (124), 아암 구동 제어부 (125), 중력 센서 (128) 및 전원 회로 (129) 가 형성되어 있다. 컨트롤러 케이블 (161) 이 접속되는 접속부에는, 컨트롤러측 커넥터 (외부 접속부 ; 139c) 가 형성되고, 헤드폰 케이블 (119) 이 접속되는 접속부에는, 헤드폰측 커넥터 (139b) 가 형성되어 있다. 컨트롤러측 커넥터 (139c) 에는, 컨트롤러 케이블 (161) 의 화상 신호선 (I1) 과 커넥터 (161a) 를 통하여 접속되는 화상 신호선 (I2b) 과, 컨트롤러 케이블 (161) 의 제어 신호선 (C1) 과 커넥터 (161a) 를 통하여 접속되는 제어 신호선 (C2b) 과, 컨트롤러 케이블 (161) 의 전원선 (P1) 과 커넥터 (161a) 를 통하여 접속되는 전원선 (P2b) 과, 컨트롤러 케이블 (161) 의 음성 신호 (S1) 와 커넥터 (161a) 를 통하여 접속되는 음성 신호 (S2b) 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은 그라운드선도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컨트롤러측 커넥터 (139c) 로부터 신장되는 화상 신호선 (I2b) 에는 표시 처리부 (124) 가 접속되고, 제어 신호선 (C2b) 에는 표시 처리부 (124), 아암 구동 제어부 (125) 및 중력 센서 (128) 가 접속되고, 전원선 (P2b) 에는 전원 회로 (129) 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음성 신호선 (S2b) 및 그라운드선은 헤드폰측 커넥터 (139b) 에 접속되어 있다.
헤드폰 (110b) 의 케이블 접속부 (114b) 에는 헤드폰 케이블 (119) 이 형성되어 있고, 이 헤드폰 케이블 (119) 의 커넥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 ; 119b) 와,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b) 의 헤드폰측 커넥터 (디스플레이측 전기적 접속부 ; 139b) 가 접속되게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트롤러 (160) 로부터의 화상 신호, 음성 신호, 제어 신호 및 전력은, 모두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b) 에 보내지고, 이들 중 음성 신호만이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b) 를 경유하여 헤드폰 (110b) 에 보내지고, 나머지 신호 등은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b) 내에서 처리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트롤러 (160) 로부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b) 및 헤드폰 (110b) 에 보내는 신호 등의 모두를 일단,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b) 에 보냄으로써, 컨트롤러 (160) 로부터 신장되는 케이블의 개수를 적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헤드폰 (110b) 은,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b) 로부터 음성 신호만을 수신하고, 게다가 이 음성 신호의 수신에 헤드폰 케이블 (119) 을 사용하고, 또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b) 와의 기계적인 결합에는, 특별한 설치 구조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이 헤드폰 (110b) 으로서 일반적으로 시판되어 있는 헤드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 케이블 (119) 및 헤드폰 아암 (112) 중에 형성된 도선은, 우측 신호선, 좌측 신호선 및 그라운드선만이 되고, 헤드폰 케이블 (119) 및 헤드폰 아암 (112) 중에 형성된 도선은, 가는 것이어도 된다. 따라서, 헤드폰 (110b) 자체의 소형 경량화가 도모되어, 사용자의 장착시의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29 ∼ 도 33 을 사용하여,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 4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29 는 제 4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비결합시) 의 사시도이고, 도 30 은 동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요부 횡단면도이고, 도 32 는 동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어태치먼트의 종단면도이고, 도 33 은 동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좌우 피장착부에 있어서의 전기적 접점의 배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33 은 동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회로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도,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헤드폰 (110c) 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c) 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폰 (110c) 의 헤드폰 아암 (112) 의 거의 중앙부에는, 컨트롤러 케이블 (161) 이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부 (114c)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헤드폰 아암 (112) 의 좌우의 스피커 (111R, 111L) 옆의 각각에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c) 가 결합되는 피장착부 (116, 116) 가 형성되고, 이 피장착부 (116, 116) 에 복수의 전기적 접점 (116a, 116a, …) 이 형성되어 있다. 각 피장착부 (116, 116) 의 양측에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c) 의 헤드폰 아암 (112) 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볼록부 (117, 117) 가 형성되어 있다. 피장착부 (116) 의 전기적 접점 (116a) 은, 머리부 형상에 맞춘 원호형의 헤드폰 아암 (112) 의 외주측에 형성되고, 그 내주측에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c) 의 배플 (116b)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플 (116b) 은,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C 형의 어태치먼트 (140c) 의 C 의 개구폭에 맞는 폭으로, 전기적 접점 (116a) 과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도 31 은 피장착부 (116) 에 어태치먼트 (140c) 를 장착하였을 때의 이들 단면도이다.
도 30 에 나타내는 수납 케이스 (136) 의 단면도와 같이, 수납 케이스 (136) 의 롤오프 (135) 에는 변위 기구 (15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변위 기구 (150) 는, 어태치먼트 (140) 에 대한 화상 표시부 (121) 의 상대적인 위치 및 방향을 바꾸는 것으로, 어태치먼트 (140) 에 형성된 볼 (151) 과, 수납 케이스 (136) 의 롤오프 (135) 에 형성된 볼 수용부 (152) 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볼 (151) 과 볼 수용부 (152) 사이에는 일정 이상의 마찰력이 작용하고 있어, 볼 (151) 에 대하여, 볼 수용부 (152) 에 일정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이 볼 (151) 에 대하여, 볼 수용부 (152) 가 상대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 변위 기구 (150) 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도선이 형성되어 있다.
도 30 및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C 형의 어태치먼트 (140c) 의 내주면에는, 헤드폰 아암 (112) 의 피장착부 (116) 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전기적 접점 (116a, 116a, …) 과 접하는 복수의 전기적 접점 (145c, 145c, …) 이 형 성되어 있다. 이 전기적 접점 (145c) 에는, 신호선 또는 전원선을 형성하는 도선이 접속되어 있고, 이 도선이 어태치먼트 (140c) 및 볼 (151) 의 내부를 통하여 수납 케이스 (136) 내에 신장되어 있다.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c) 및 헤드폰 (110c) 의 신호선 등의 배선은, 도 3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제 2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다만, 헤드 아암 (112) 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c) 와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전기적 접점 (116a, 116a) 이 좌우의 2 개소에 있기 때문에, 헤드폰 (110c) 의 컨트롤러측 커넥터 (115c) 로부터 신장되는 전원선 (P2), 제어 신호선 (C2), 화상 신호선 (I2) 은 도중에서 분기하고, 2 개소의 전기적 접점 (116a, 116a) 까지 신장되어 있다. 헤드폰 아암 (112) 의 2 개소의 복수의 전기적 접점 (116a, 116a) 중 일방은,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c) 의 어태치먼트 (140c) 와 헤드폰 아암 (112) 의 기계적 결합시에, 이 어태치먼트 (140c) 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전기적 접점 (145c) 과 접촉한다. 또, 타방의 전기 접점 (116a) 에는, 화상 신호선 (I2) 을 전반 (傳搬) 하는 신호를 소비하는 종단 저항을 접속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표시 처리부 (124) 에 화상 신호를 공급시키고 있다. 실제로는, 외관상도 고려하여, 이 타방의 전기 접점 (116a) 에는 종단 저항체를 갖는 캡을 장착한다.
그런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c) 가, 헤드폰 아암 (112) 의 우측의 피장착부 (116) 에 결합하는 경우와, 좌측의 피장착부 (116) 에 결합하는 경우에서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c) 의 상하가 반전되기 때문에, 우측의 피 장착부 (116) 의 복수의 전기적 접점 (116a) 의 배열과, 좌측의 피장착부 (116) 의 복수의 전기적 접점 (116a) 의 배열을 바꿀 필요가 있다.
도 32 는, 좌측의 피장착부 (116) 및 우측의 피장착부 (116) 각각을, 전기적 접점이 배열되어 있는 면과 정면으로 마주보았을 때의 배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장착부 (116) 의 복수의 전기적 접점 (116a) 으로서, 접점 1 ∼ 접점 8 까지 존재하고, 좌측의 피장착부 (116) 에는 접점 1, 접점 2, 접점 3, 접점 4 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배열되고, 이들 접점군의 하측에 접점 5, 접점 6, 접점 7, 접점 8 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배열되어 있다고 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좌우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면,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c) 의 상하가 반전되고, 이 결과, 어태치먼트 (140c) 에 형성한 복수의 전기적 접점 (145c) 도 상하가 반전된다. 이 때문에, 우측의 피장착부 (116) 에는, 좌측의 피장착부 (116) 에서는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접점 5, 접점 6, 접점 7, 접점 8 이 상측에 배치되고, 좌측의 피장착부에서는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접점 1, 접점 2, 접점 3, 접점 4 가 하측에 배치된다. 또한, 우측의 피장착부 (116) 에 있어서, 접점 1, 접점 2, 접점 3, 접점 4 가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배열되고, 헤드폰 아암 (112) 이 신장되어 있는 방향에 접점 5, 접점 6, 접점 7, 접점 8 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배열된다.
즉, 헤드폰 (110c) 을 사용자의 머리부에 장착하였을 때, 대략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접점에 관해서는, 좌우의 피장착부 (116, 116) 에서 상하의 위치 관계가 반대로 되고, 헤드폰 (10c) 을 사용자의 머리부에 장착하였을 때, 대략 수평 방 향으로 배열되는 접점에 관해서는, 좌우의 피장착부 (116, 116) 에서 좌우의 위치 관계가 반대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도, 이상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헤드폰 (110c) 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c) 의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헤드폰 (110c)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 (110c) 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c) 의 기계적 어태치먼트 (140c) 에, 양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적 접점 (116a, 145c) 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양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이 불필요하게 되어,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 의 장착 위치의 변경에 따르는, 화상 표시부 (121) 의 상하의 반전을 중력 센서 (128) 로 검지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대신에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c) 의 어태치먼트 (120c) 의 복수의 전기적 접점 중 적어도 하나의 접점, 또는, 헤드폰 아암 (112) 의 좌우의 피장착부 (116) 의 복수의 전기적 접점 중 적어도 하나의 접점의 도통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를 형성해도 된다. 이 센서의 출력은,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중력 센서 (128) 의 출력과 마찬가지로, 표시 처리부 (124) 로 보내진다. 표시 처리부 (124) 는, 이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c) 가 우측에 장착되었는지, 좌측에 장착되었는지를 인식하여, 이것에 따라 화상의 상하를 반전시킨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기계적 어태치먼트 (140c) 대신에, 제 2 실시 형태에 있 어서의 제 1 및 제 2 변형예의 어태치먼트 (140a, 140b) 를 사용하고, 이것에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음으로, 이상의 제 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변위 기구 (150) 의 변형예에 관하여, 도 34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의 변위 기구 (150a) 는, 제 4 실시 형태의 변위 기구 (150) 에 있어서의 볼 (151) 대신에 플렉시블 와이어 (153) 를 사용한 것이다. 이 플렉시블 와이어 (153) 는, 가는 와이어를 엮어 일정한 굵기의 선 재료를 형성하고, 가는 와이어의 간극 및 일정한 굵기의 둘레에 수지를 충전하여, 일정한 힘을 가하면 변형되지만, 변형되어 버리면 재차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변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 플렉시블 와이어 (153) 의 일단은, 수납 케이스 (136) 의 롤오프 (135) 에 고정되고, 타단은 어태치먼트 (140c) 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볼 (151) 대신에 플렉시블 와이어 (153) 를 사용하여도, 이 플렉시블 와이어 (153) 가 여러 방향으로 변형됨으로써, 제 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삼차원 공간 내의 독립적인 3 축의 각 축 둘레에서, 지지부 (130) 및 이 지지부 (130) 에 지지되어 있는 화상 표시부 (121) 를 변위시킬 수 있다.
또, 제 4 실시 형태의 변위 기구 (150) 나 본 변형예의 변위 기구 (150a) 는, 앞서 서술한 각 실시 형태, 또한 후술하는 각 실시 형태에 적용해도 된다.
「제 5 실시 형태」
다음으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 5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 35 및 도 36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35 는 제 5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6 은 동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회로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도, 도 3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의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헤드폰 (110d) 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d) 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폰 (110d) 의 헤드폰 아암 (112) 의 좌우의 스피커 (111R, 111L) 옆의 각각에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d) 가 결합되는 피장착부 (116, 116) 가 형성되고, 이 피장착부 (116, 116) 에 복수의 전기적 접점 (116d, 116d, …) 이 형성되어 있다. 각 피장착부 (116, 116) 의 양측에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d) 의 헤드폰 아암 (112) 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볼록부 (117, 117) 가 형성되어 있다. 피장착부 (116) 의 전기적 접점 (116d) 은, 머리부 형상에 맞춘 원호형의 헤드폰 아암 (112) 의 외주측에 형성되고, 그 내주측에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d) 의 배플 (116b) 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헤드폰 (110d) 의 피장착부 (116) 와 결합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d) 의 어태치먼트 (140d) 는, 기본적으로 제 4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으로, 어태치먼트 (140d) 의 내주면에는, 헤드폰 아암 (112) 의 피장착부 (116) 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전기적 접점 (116d, 116d, …) 과 접하는 복수의 전기적 접점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기적 접점에는, 신호선 또는 전원선을 형성하는 도선이 접속되어 있고, 이 도선이 어태치먼트 (140d) 의 내부를 통하여, 수납 케이스 (136) 내에 신장되어 있다. 이 어태치먼트 (140d) 의 폭 (헤드폰 아암 (12) 이 신장되어 있는 방향의 길이 ; W2) 은, 헤드폰 아암 (112) 의 피장착부 (116) 의 폭 (W1) 보다 짧다. 따라서, 이 어태치먼트 (140d) 는 헤드폰 아암 (112) 의 피장착부 (116) 에 대하여, 헤드폰 아암 (112) 이 신장되어 있는 방향으로, (W1-W2) 의 길이분만큼 상대 이동 가능하다. 이 때문에, 피장착부 (116) 의 전기적 접점 (116d) 과 어태치먼트 (140d) 의 전기적 접점의 전기적 접속을 보증하기 위하여, 피장착부 (116) 의 전기적 접점 (116d) 의 헤드폰 아암이 신장되어 있는 방향의 길이를 (W1-W2) 이상의 길이로 하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헤드폰 (110d) 을 사용자의 머리부에 장착하였을 때,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접점에 관해서는, 좌우의 피장착부 (116, 116) 에서, 좌우의 위치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다.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c) 및 헤드폰 (110c) 의 신호선 등의 배선은, 도 3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제 3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다만, 헤드 아암 (112) 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d) 와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전기적 접점 (116d, 116d) 이 좌우의 2 개소에 있기 때문에, 헤드폰 (110d) 의 각 스피커 (111R, 111L) 로부터 신장되는 음성 신호선 (S3b) 은, 도중에서 분기하고, 2 개소의 전기적 접점 (116d, 116d) 까지 신장되어 있다. 헤드폰 아암 (112) 의 2 개소의 복수의 전기적 접점 (116d, 116d) 중 일방은,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d) 의 어태치먼트 (140d) 와 헤드폰 아암 (112) 의 기계적 결합시에, 이 어태치먼트 (140d) 에 형성 되어 있는 복수의 전기적 접점 (145d) 과 접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 4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폰 (110d) 에 대하여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d) 를, 헤드폰 아암 (112) 이 신장되어 있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 4 실시 형태보다도, 헤드폰 (110d) 에 대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d) 의 변위에 관한 자유도를 늘릴 수 있다.
「제 6 실시 형태」
다음으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 6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 37 ∼ 도 39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37 은 제 6 실시 형태로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8 은 동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스피커, 어태치먼트, 변위 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39 는 동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스피커, 외장 캡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도, 도 3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의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헤드폰 (110e) 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e)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회로 구성이나 신호선의 배선 등은, 기본적으로, 도 36 을 사용하여 설명한 제 5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동일하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는, 이상의 실시 형태와 상이하고, 헤드폰 (110e) 의 스피커 (111) 에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e) 가 장착되기 때문에, 제 4 실시 형태와는, 헤드폰 (110e) 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e) 의 전기적 접점의 위치가 상이하다.
헤드폰 (110e) 의 좌우의 스피커 (111R, 111L) 의 머리부 접촉측과 반대측에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e) 가 장착되는 피장착부 (118, 11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장착부 (118) 는, 도 3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의 개구 가장자리에, 내주측으로 돌출된 플렌지 (118a)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플렌지 (118a) 는 탄성을 갖는 수지로 형성되어, 변형 가능하다. 이 피장착부 (116, 116) 의 홈의 바닥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전기적 접점 (116d, 116d, …) 이 형성되어 있다.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e) 는, 사용자의 눈 앞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 (121) 와, 스피커 (111R, 111L) 의 피장착부 (118, 118) 에 장착 가능한 어태치먼트 (140e) 와, 화상 표시부 (121) 를 어태치먼트 (140e) 에 연결하는 지지부 (130) 를 구비하고 있다.
어태치먼트 (140e) 는, 도 3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피커 (111) 의 피장착부 (118) 에 끼워 넣을 수 있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어태치먼트 (140e) 는, 중공 (中空) 원통형의 어태치먼트 본체 (141e) 와, 피장착부 (118) 의 바닥면과 피장착부 (118) 의 플렌지 (118a) 사이에 들어가는 끼워맞춤 플렌지 (142e) 를 가지고 있다. 끼워맞춤 플렌지 (142e) 는, 어태치먼트 본체 (141e) 의 바닥부 (143e) 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이 어태치먼트 (140e) 를 스피커 (111) 에 장착할 때에는, 스피커 (111) 의 피장착부 (118) 의 플렌지 (118a) 를 탄성 변형시키고, 피장착부 (118) 의 바닥면과 플렌지 (118a) 사이에 어 태치먼트 (140e) 의 끼워맞춤 플렌지 (142e) 를 끼워 넣는다. 어태치먼트 본체 (140e) 의 바닥부 (143e) 에는, 스피커 (111) 의 전기적 접점 (116d) 에 접속되는 전기적 접점 (145d)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기적 접점 (145d) 은, 어태치먼트 (140e) 를 스피커 (111) 의 피장착부 (118) 에 장착하였을 때, 피장착부 (118) 의 전기적 접점 (116d) 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런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회로 구성이나 신호선의 배선 등은 제 5 실시 형태와 동일하고, 상이한 점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 케이스 (136) 내에 형성한 회로 구성의 일부를 중공의 어태치먼트 본체 (141e) 내에 형성한 점이다. 또한, 이들 회로가 형성된 회로 기판 (143) 에는, 컨트롤러 (160) 로부터 신장되는 컨트롤러 케이블 (161) 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어태치먼트 (140e) 의 전기적 접점 (145d) 에는, 이 컨트롤러 케이블 (161)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 신호선이 회로 기판 (143) 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 (143) 상의 각 회로 등 (124, 129) 으로부터는, 지지부 (130) 의 수납 케이스 (136) 내에 형성되어 있는 아암 구동 제어부 (125) 에 나타내는) 등에 연결하는 제어 신호선이나, 화상 표시부 (121) 에 연결하는 화상 신호선, 아암 구동 제어부 (125) 나 화상 표시부 (121) 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 등이 신장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 (130) 와 어태치먼트 (140e) 사이에는, 어태치먼트 (140e) 에 대한 지지부 (130) 및 화상 표시부 (121) 의 방향이나 위치를 바꾸는 변위 기구 (150e)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변위 기구 (150e) 는, 화상 표시부 (121) 를 상 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 이동용 회전축 부재 (151e) 와, 화상 표시부 (121) 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 이동 회전축 부재 (154e) 를 가지고 있다. 상하 이동용 회전축 부재 (151e) 는, 어태치먼트 (140e) 의 전기적 접점 (145d) 과는 반대측의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축부 (152e) 와, 이 축부 (152e) 로부터 지지부 (130) 측에 신장되어 있는 브래킷부 (153e) 를 가지고 있다. 좌우 이동 회전축 부재 (154e) 는, 상하 이동용 회전축 부재 (151e) 의 브래킷부 (153e) 및 수납 케이스 (136) 의 브래킷부 (136e) 를 관통하고 있다. 이 변위 기구 (150e) 는, 축 부분과 베어링 부분 사이에, 일정 이상의 마찰력이 작용하고 있어, 수납 케이스 (136) 측으로부터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축 부분에 대하여 베어링 부분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 스피커 (111R) 에도, 좌 스피커 (111L) 에도, 피장착부 (11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스피커 (111R) 에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e) 를 장착하였을 때에는, 좌 스피커 (111L) 의 피장착부 (118) 가 노출되어 버려,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e) 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측의 스피커 (111) 의 피장착부 (118) 를 덮기 위하여, 외장 캡 (140f) 을 구비하고 있다. 이 외장 캡 (140f) 은, 도 3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관상은 어태치먼트 (140e) 와 동일하고, 스피커 (111) 의 피장착부 (118) 에 끼워 넣는 플렌지부 (142f) 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외장 캡 (140f) 은, 어태치먼트 (140e) 와 마찬가지로 중공 구조이고, 그 내부에는 어태치먼트 (140e) 의 회로 기판 (143) 과 동일한 칸 막이 판 (143f) 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어태치먼트 (140e) 에 회로 기판 (143) 을 형성함으로써, 이 회로 기판 (143) 과 어태치먼트 본체 (141e) 의 바닥부 (143e) 사이에 공간 (Se) 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이 공간 (Se) 과 동일한 공간 (Sf) 을 외장 캡 (140f) 에 형성함으로써, 좌우의 스피커 (111L, 111R) 로부터의 음질을 동일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 3 및 제 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컨트롤러 (160) 로부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e) 및 헤드폰 (110e) 에 보내는 신호 등의 모두를 일단,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e) 에 보냄으로써, 컨트롤러 (160) 로부터 신장되는 케이블의 개수를 적게 하고 있다. 또한, 헤드폰 내에 화상 신호선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헤드폰을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외장 캡 (140f) 에 화상 신호를 소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종단 저항을 형성할 필요도 없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트롤러 (160) 로부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e) 및 헤드폰 (110e) 에 보내는 신호 등의 모두를 일단,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e) 에 보내도록 하고 있지만, 제 2 및 제 5 실시 형태와 같이, 컨트롤러 (160) 로부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e) 및 헤드폰 (110e) 에 보내는 신호 등의 모두를 일단, 헤드폰 (110e) 에 보내고, 이 헤드폰 (110e) 으로부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20e) 가 화상 신호나 전력을 받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체의 변형에 의해 스피커 (111) 에 어태치먼트 (140e) 를 장착하도록 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도 4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 (140e) 또는 스피커 (111) 중 어느 일방의 자석 (149) 을 형성하고, 타방에 철 등의 자성체를 형성하여, 스피커 (111) 에 어태치먼트 (140e) 를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스피커 (111) 의 피장착부 (118) 의 전기적 접점 (116d) 으로서, 복수의 전기적 접점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 복수의 전기적 접점을, 도 32 를 사용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아암 및 그 지지 형태의 각종 구성이나, 제 2 실시 형태 등에서 설명한 시스템의 회로 구성, 제 7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예비 지지부의 구성 등, 각 실시 형태 또는 이들 변형예에서 나타낸 구성을 본 실시 형태에 적용시켜도 된다.
「제 7 실시 형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 7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 41 ∼ 도 44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1 은,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사용자 (U) 의 머리부 (H) 에 장착한 경우의 외관의 사시도이다. 또, 본 실시 형태는, 머리부 (H) 란,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 (U) 의 목부를 포함하여, 목부로부터 위의 부분을 가리키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음성, 음악, 효과음 등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짐과 함께, 머리부 (H) 에 장착되는 헤드폰 (210) 과, 사용자 (U) 에 대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20) 를 갖는다. 또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20) 에는 케이블 (230) 이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 (230) 은, 도시 생략의 전원 공급 유닛 및 음향·화상 신호 생성 유닛으로부터, 전력과 음향·화상 신호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공급한다.
헤드폰 (210) 은, 우측 스피커 (211a) 와, 좌측 스피커 (211b) 와, 우측 귀걸이부 (212a) 와, 좌측 귀걸이부 (212b) 와, 우측 스피커 (211a) 및 좌측 스피커 (211b) 를 연결하는 헤드폰 아암 (213) 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우측 스피커 (211a) 및 좌측 스피커 (211b) 는, 음향 출력 기능을 가지고, 케이블 (230) 로부터의 음향 신호가 공급된다.
우측 귀걸이부 (212a) 는 우측 스피커 (211a) 에 접속되고, 우측 스피커 (211a) 가 머리부 (H) 에 밀착된 상태에서 장착되는 것을 보조한다. 또한, 좌측 귀걸이부 (212b) 는 좌측 스피커 (211b) 에 접속되고, 좌측 스피커 (211b) 가 머리부 (H) 에 밀착된 상태에서 장착되는 것을 보조한다.
헤드폰 아암 (213) 은, 탄력에 의해 사용자 (U) 의 머리부 (H) 를 사이에 끼움과 함께, 우측 스피커 (211a) 와 좌측 스피커 (211b) 를 연결하고 있다.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20) 는, 화상 표시부 (222), 화상 표시부 (222) 를 사용자 (U) 의 눈 앞의 위치에서 지지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 (221), 지지부 (221) 와 헤드폰 아암 (213) 을 결합하는 어태치먼트 (227), 지지부 (221) 에 형성된 예비 지지부 (240), 및 예비 지지부 (240) 에 형성된 머리부 압압 검출 센서 (250) 를 가지고 있다.
예비 지지부 (240) 는, 사용자 (U) 의 시야의 중심과 화상 표시부 (222) 의 화상의 중심이 일치하는 경우의 사용자 (U) 의 시야에 들어가지 않는 지지부 (221) 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화상 표시부 (222) 는 케이블 (230) 을 통하여 송신된 화상 신호를 재생하여 표시한다. 화상 신호의 재생·표시에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지지부 (221) 는 연결부 (223), 디스플레이 아암 (224), 및 수납부 (225) 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 (223) 은 화상 표시부 (222) 와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을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 (223) 는 볼 조인트를 사용하여, 연결부 (223) 를 중심으로 화상 표시부 (222) 의 화상 표시 방향을 연속적으로 변경 가능하게 해도 된다.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은 그 일단이 연결부 (223) 를 통하여 화상 표시부 (222) 에 연결되고, 그 타단측이 수납부 (225) 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은, 도 4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리부 (H) 에 대향하는 면에, 유지부 (224a), 핀 (224b), 및 스프링 장착부 (224c) 가 장착되어 있다. 또, 도 42 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은 관형의 아암이고, 머리부 (H) 의 측면 머리부로부터 안면부로의 곡선을 따라 커브를 이루고, 화상 표시부 (222) 및 연결부 (223) 의 중량을 견디는 강도를 가지고 있다.
수납부 (225) 는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예비 지지부 (240) 의 적어도 일부를, 그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부 (222) 가 사용자 (U) 의 눈 앞에서 퇴피하고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의 적어도 일부가 수납부 (225) 에 수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은 수납 위치에 있다고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아암 (224) 에 의해 화상 표시부 (222) 가 사용자의 눈 앞에 지지되는 경우 (도 41),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은 돌출 위치에 있다고 한다.
수납부 (225) 는 수납 케이스 (226), 디스플레이 아암 위치 검출 센서 (231), 지지부 구동 유닛 (232), 제어 유닛 (235), 및 모드 전환 스위치 (236) 를 가지고 있다.
수납 케이스 (226) 내의 수납 공간 (226a) 은 디스플레이 아암 (224), 및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을 따른 상태의 예비 지지부 (240) 를 수납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깊이를 가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아암 위치 검출 센서 (231) 는 압압 센서이다. 또, 이 센서 대신에, 제 1 실시 형태의 센서를 사용해도 된다. 디스플레이 아암 위치 검출 센서 (231) 의 장착 위치는, 수납 공간 (226a) 의 최오부 (最奧部) 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이 수납 위치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의 화상 표시부 (222) 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일단 (224d) 이, 수납 공간 (226a) 의 최오부를 압압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아암 위치 검출 센서 (231) 는 디스플레이 아암 (224) 으로부터의 압압을 검지하고,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이 수납 위치인 것을 검출한다.
지지부 구동 유닛 (232) 은 아암 구동 모터 (도시 생략) 와, 아암 구동 모터로의 전력선 및 제어 신호선 (도시 생략) 과, 모터축 (233) 과, 모터축 (233) 에 고정된 구동 롤러 (234) 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롤러 (234) 의 외연부는 만곡된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의 내주 측면에 접하고 있다. 구동 롤러 (234) 는 전동 모터로부터 모터축 (233) 에 주어진 회전력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을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 (236) 는 도 4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일부가 수납 케이스 (226) 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수납 케이스 (226) 를 붙인 채로 조작 가능하다. 이 모드 전환 스위치 (236) 에 따라,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의 슬라이드 조작을 수동으로 행하는 수동 모드와 전동에 의해 지지부 구동 유닛 (232) 을 기동하여 행하는 전동 모드와, 스위치 오프의 오프 모드의, 3 개의 모드를 전환한다. 또, 전동 모드, 및 수동 모드의 경우는 구동 롤러 (234) 의 회전을 멈추는 스토퍼는 해방된다.
도 43 은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의 일부, 예비 지지부 (240), 및 머리부 압압 검출 센서 (250) 의 단면도이다.
예비 지지부 (240) 는 머리부 (H) 를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압압하는 압압부 (401), 축부 (402), 스프링 장착부 (403), 및 축부 (402) 를 디스플레이 아암 (224) 에 장착하는 장착부 (405) 를 가지고 있다. 또한, 압압부 (401) 에는 머리부 (H) 에 대한 압압을 검출하는 머리부 압압 검출 센서 (250) 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이 압압부 (401) 내에는 머리부 (H) 의 움직임의 변화를 검출하는 움직임 센서 (407) 가 형성되어 있다.
압압부 (401) 는 구형이고, 축부 (402) 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압압부 (401) 는 머리부 (H) 를 압압한다.
축부 (402) 는 장착부 (405) 를 통하여, 유지부 (224a) 와 핀 (224b) 에 의해, 디스플레이 아암 (224) 에 요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예비 지지부 (240) 에 압압력을 발생시키는 압압력 발생 유닛 (245) 은 전자석 (451, 452) 과 스프링 (453) 을 가지고 있다. 전자석 (452) 은 축부 (402) 에 장착되고, 전자석 (451) 은 전자석 (452) 과 대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아암 (224) 에 장착되어 있다. 전자석 (451, 452) 에는 수납부 (225) 로부터 도시를 생략한 전력선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어 있다. 또한, 수납부 (225) 의 제어 유닛 (235) (도 4: 후술) 에 의해, 전자석 (451, 452) 에 대한 전류의 방향ㆍ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석 (451, 452) 이 서로 끌어당기거나, 서로 반발하려고 해도 전자력을 조정할 수 있다.
스프링 (453) 은 디스플레이 아암 (224) 상의 스프링 장착부 (224c) 에 그 일단이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 (453) 의 타단은 축부 (402) 상의 스프링 장착부 (403) 에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 (453) 은 압압부 (401) 가 핀 (224b) 을 회전축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아암 (224) 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요동 운동한 경우 (화살표 B 방향), 그 요동 운동을 상쇄하는 방향 (화살표 A 방향) 으로 스프링 (453) 의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압압부 (401) 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움직임 센서 (407) 는 자이로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움직임 센서 (407) 는 압압부 (401) 가 머리부 (H) 를 압압한 상태에서의, 머리부 (H) 의 움직임의 변화를 검출한다.
머리부 압압 검출 센서 (250) 는 압압부 (401) 의 표면에서 머리부 (H) 를 압압하는 부분에 장착되고, 그 압압력의 값을 검출한다.
움직임 센서 (407) 의 출력, 및 머리부 압압 검출 센서 (250) 의 출력은 각각 신호선을 통해 수납부 (225) 에 형성된 제어 유닛 (235) 으로 보내어진다 (도 44).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비 지지부 (240) 의 압압부 (401) 가 머리부 (H) 를 압압 가능한 위치에 있는 경우, 그 위치를 예비 지지부 (240) 의 압압 위치라고 한다. 또한, 예비 지지부 (240) 의 압압부 (401) 가 머리부 (H) 를 압압 불가능한 위치에 있는 경우, 그 위치를 예비 지지부 (240) 의 퇴피 위치라고 한다. 이 예비 지지부 (240) 는 압압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44 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동ㆍ제어에 관한 회로 블록도이다.
제어 유닛 (235) 은 수납부 (225) 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아암 위치 검출 센서 (231), 지지부 구동 유닛 (232), 및 모드 전환 스위치 (236) 와, 예비 지지부 (240) 에 배치된 움직임 센서 (407) 및 압압력 발생 유닛 (245) 과, 머리부 압압 검출 센서 (250) 와, 화상 표시부 (222) 각각에 신호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제어 유닛 (235) 은 그것들의 신호선을 통해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제어 유닛 (235) 은 머리부 압압 검출 센서 (250) 의 출력 S1 로부터, 압압값이 미리 정한 일정한 범위에 머무르도록, 압압력 발생 유닛 (245) 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 유닛 (235) 은 디스플레이 아암 위치 검출 센서 (231) 의 출력 S3 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이 돌출 위치 또는 수납 위치에 있도록, 지지부 구동 유닛 (232) 의 아암 구동 모터를 제어한다.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 개시에서 사용 종료까지의 제어, 및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블록간의 제어 신호는 기재하지 않고, 각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만을 기재한다.
(1) 사용자 (U) 는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머리부 (H) 에 장착한다.
(2) 사용자 (U) 는 모드 전환 스위치 (236) 에 의해 전동 모드와 수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전동 모드를 선택한 경우, (3) 제어 유닛 (235) 은 지지부 구동 유닛 (232) 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을 수납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빼낸다. 그 결과, 화상 표시부 (222) 는 한쪽의 눈 앞에서 지지된다.
수동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4) 제어 유닛 (235) 은 지지부 구동 유닛 (232) 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아암 (224) 에 대한 스토퍼를 오프로 한다. (5) 사용자 (U) 가 수동으로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을 수납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빼낸다.
이상의 (3) 또는 (4), (5) 가 행해지고 있는 과정에서, 이하의 (6) ∼ (7) 이 평행하게 행해진다.
(6) 디스플레이 아암 위치 검출 센서 (231) 는,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의 단부 (224d) 가 수납부 (225) 의 최오부로부터 떨어진 것을 검출하고, 제어 유닛 (235) 에 지지부 위치 검출 신호 S3 를 송신한다. (7) 제어 유닛 (235) 은 지지부 위치 검출 신호 S3 를 수신하고, 압압력 발생 유닛 (245) 을 제어하고, 예비 지지부 (240) 를 퇴피 위치로부터 압압 위치로 변위시킨다.
나아가, 이하의 제어ㆍ동작이 행해진다.
(8) 제어 유닛 (235) 은 머리부 압압 검출 센서 (250) 를 기동한다. (9) 제어 유닛 (235) 은 움직임 센서 (407) 를 기동한다. (10) 예비 지지부 (240) 의 압압부 (401) 는 머리부 (H) 의 측면 머리부에 대하여 압압을 행한다. (11) 머리부 압압 검출 센서 (250) 는 압압값을 검출하고, 제어 유닛 (235) 에 머리부 압압 검출 신호 S1 을 보낸다. (12) 제어 유닛 (235) 은 머리부 압압 검출 신호 S1 을 받아, 압압값이 미리 정한 일정한 범위에 든 경우, 화상 표시부 (222) 에 화상을 표시시킨다. (13) 제어 유닛 (235) 은, 또한, 압압력의 값이 미리 정한 일정한 범위로 유지되도록, 압압력 발생 유닛 (245) 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압압력 발생 유닛 (245) 으로의 전류를 제어하고, 전자석 (451, 452) 의 전자력을 조정한다.
사용자 (U) 가 화상의 관찰 종료를 의도한 경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ㆍ제어는 이하와 같아진다.
(14) 사용자 (U) 가 모드 전환 스위치 (236) 를 오프 모드의 위치로 되돌리 면, 제어 유닛 (235) 은 화상 표시부 (222) 에 화상 표시를 중지시킨다. (15) 제어 유닛 (235) 은 압압력 발생 유닛 (245) 을 구동하고, 예비 지지부 (240) 를 압압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행시킨다. (16) 사용자 (U) 가 전동 모드를 이용하고 있던 경우, 제어 유닛 (235) 은 지지부 구동 유닛 (232) 을 구동하고,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을 돌출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이행시킨다. 사용자 (U) 가 수동 모드를 이용하고 있던 경우, 사용자 (U) 는 수동에 의해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을 수납부 (225) 에 수납한다. 그 때, 예비 지지부 (240) 도 수납부 (225) 에 수납된다.
또, 제어 유닛 (235) 이 움직임 센서 (407) 의 움직임 검출 신호 S2 를 이용하여, 압압력 발생 유닛 (245) 을 제어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 (235) 이 움직임 센서 (407) 로부터의 움직임 검출 신호 S2 를 기초로, 머리부 (H) 의 움직임의 변화를 산출한다. 그 변화에 맞춰 제어 유닛 (235) 이 압압부 (401) 의 압압의 값이 미리 정한 일정한 범위에 머무르도록, 압압력 발생 유닛 (245) 을 컨트롤해도 된다. 또, 예비 지지부 (240) 의 퇴피 위치 및 압압 위치의 전환을 수동으로 행해도 된다. 그 경우, 모드 전환 스위치 (236) 의 수동 모드하에서 행하면 된다. 또한, 압압력 발생 유닛 (245) 에서는 전자석 (451, 452) 중 어느 일방을 철 등의 자성체로 해도 된다. 예비 지지부 (240) 를 압압 위치로 하는 경우에는 전자력을 오프로 하고, 스프링 (453) 의 탄성력만을 사용해도 된다. 예비 지지부 (240) 를 퇴피 위치로 하는 경우에는 전자석의 전자력을 제어하고, 탄성력보다 큰 전자력으로 자성체를 끌어당기면 된다. 나아가, 퇴피 위치를 유지하는 로크 기구를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220) 에서는, 도 4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 (U) 가 화상 표시부 (222) 의 화상을 관찰할 때의 시야의 외측이 되는, 디스플레이 아암 (224) 상의 수납부 (225) 측의 위치에, 예비 지지부 (240) 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예비 지지부 (240) 는 사용자 (U) 의 시야를 사용자 (U) 에게 불쾌감을 주는 정도로 차단하는 경우가 적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주위의 시인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예비 지지부 (240), 압압력 발생 유닛 (245), 이것들의 동작 등에 필요한 부위에 관한 구조는 다른 제 1 ∼ 6, 8 ∼ 11 의 실시 형태에 적용해도 된다.
「제 8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8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하여, 도 45 및 46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7 실시 형태와 동일한 예비 지지부 (240) 를,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이 아니라 수납부 (225) 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아암 (224) 에 형성되어 있는 유지부 (224a), 핀 (224b), 및 스프링 장착부 (224c) 는 새롭게 수납부 (225) 에 형성된다. 또한, 압압력 발생 유닛 (245) 의 전자석 (451) 은 수납부 (225) 상에 배치된다. 또한, 스프링 (453) 의 일단도 수납부 (225) 에 고정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제 7 실시 형태와 공통이다. 따라서, 공통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가 붙어 있다. 또한, 공통의 구성 요소, 및 그 동작ㆍ제어에 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45 에서는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이 돌출 위치에 있고, 수납부 (225) 에 요동할 수 있게 형성된 예비 지지부 (240) 가, 측면 머리부를 압압하는 압압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장착시의 동작은, (1) 사용자 (U) 의 모드 전환 스위치 (236) 의 선택에 의해,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은 수동 또는 지지부 구동 유닛 (232) 에서 돌출 위치로 계속 내보내진다 (화살표 A). (2) 그 과정에서, 제 7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어에 의해 압압력 발생 유닛 (245) 이 구동하고, (3) 예비 지지부 (240) 는 압압부 (401) 가 머리부 (H) 의 측면 머리부를 압압하는 압압 위치를 취한다 (화살표 B).
도 46 은,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이 수납 위치에 있는 경우의 외관의 사시도이다. 수납부 (225) 에 형성된 예비 지지부 (240) 는 퇴피 위치에 있다.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탈착시의 동작은, (1) 사용자 (U) 의 모드 전환 스위치 (236) 의 선택에 의해,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은 수동 또는 지지부 구동 유닛 (232) 에 의해 수납 위치에 수납된다 (화살표 C). (2)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이 수납되는 과정에서, 제 7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어에 의해 압압력 발생 유닛 (245) 이 구동하고, (3) 예비 지지부 (240) 는 퇴피 위치를 취한다 (화살표 D).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비 지지부 (240) 는 머리부 (H) 의 측면 머리부 를 압압한다. 그러나, 머리부 (H) 의 측면 머리부가 아니라, 좌 스피커 (11b) 를 압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머리부 센서 (407) 에 의해 머리부 (H) 의 움직임 변화를 검출해도 된다. 그리고, 머리부 (H) 의 움직임 변화에 대응한 예비 지지부 (240) 의 압압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한, 제 7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예비 지지부 (240) 의 퇴피 위치 및 압압 위치의 전환을 수동으로 행해도 된다. 그 경우, 모드 전환 스위치 (236) 의 수동 모드하에서 행해도 된다.
제 8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부 (225) 에 형성된 예비 지지부 (240) 에 의해, 측면 머리부를 압압하고 있다. 따라서, 예비 지지부 (240) 가 사용자 (U) 의 시야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예비 지지부 (240) 는 화상을 관찰 중인 사용자 (U) 의 시야에 들어오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220) 에서는 화상 표시부 (222) 의 흔들림을 억제하면서, 둘레의 시인성이 양호해진다.
「제 9 실시 형태」
제 9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하여, 도 47 및 48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로운 기구의 예비 지지부 (41) 를 수납부 (225) 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예비 지지부 (241) 가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장착 전에서부터 압압 가능한 압압 위치로 되어 있다. 그 외에는 제 2 실시 형태와 공통이다. 따라서, 공통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공통의 구성 요소, 및 그 동작에 관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47 에서는 디스플레이 아암 (224) 이 돌출 위치에 있고, 수납부 (225) 에 형성된 예비 지지부 (241) 가 압압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8 은 압압 위치에 있는 예비 지지부 (241) 및 수납부 (225) 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예비 지지부 (241) 는 원반형의 압압부 (411), 압압부 (411) 와 일단에서 연결하고 내부에 원통형의 중공부 (413) 를 갖는 원통 (412)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원통 (412) 의 개방 단부는, 수납부 (225) 에 형성된 원통 (412) 과 대략 동일 직경의 공동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예비 지지부 (241) 는 압압력 발생 유닛 (245a) 을 가지고 있다.
압압력 발생 유닛 (245a) 은 스프링 (453) 을 가지고 있다. 스프링 (453) 은 중공부 (413) 와 대략 동일 직경이다. 스프링 (453) 의 일단은 예비 지지부 (241) 의 스프링 장착부 (414) 에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 (453) 의 타단은, 수납부 (225) 의 공동부 바닥부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부 (258) 에 장착되어 있다.
예비 지지부 (241) 의 스프링 장착부 (414) 에 관련된 스프링 (453) 의 탄성력은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자세에 관계없이, 예비 지지부 (241) 가 압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정되어 있다.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도 47) 의 동작ㆍ제어는 제 8 실시 형태와 거 의 동일하다. 그러나, 예비 지지부 (241) 가, 장착 전부터 압압 가능한 압압 위치로 되어 있는 것이 상이하다. 요컨대, 사용자 (U) 는 압압 위치에 있는 예비 지지부 (241) 를 머리부 (H) 에 의해 밀어넣도록,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그 머리부 (H) 에 장착한다. 그 후의 장착 동작은 예비 지지부 (241) 가 항상 압압 가능한 압압 위치로 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 8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또, 수납부 (225) 의 공동부 바닥부 (도 48) 에 전자석을 형성하고, 압압부 (411) 의 일부에 철 등의 자성체를 형성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예비 지지부 (241) 를 퇴피 위치로 할 때에 스프링 (453)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전자력에 의해 압압부 (411) 를 공동부 바닥부의 전자석 쪽으로 가깝게 당기면 된다. 나아가, 예비 지지부 (241) 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부 (225) 의 공동부에 수납해도 된다. 또, 예비 지지부 (241) 를 압압 위치로 하기 위해서는 전자석에 의한 전자력을 오프로 하여, 스프링 (453) 의 탄성력만으로 예비 지지부 (241) 를 돌출시키면 된다.
제 9 실시 형태에서는, 제 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수납부 (225) 에 형성된 예비 지지부 (241) 에 의해, 측면 머리부를 압압하고 있다. 따라서, 예비 지지부 (241) 가 사용자 (U) 의 시야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예비 지지부 (241) 는 화상을 관찰 중인 사용자 (U) 의 시야에 들어오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화상 표시부 (222) 의 흔들림을 억제하면서, 주위의 시인성이 양호해진다.
도 49 는, 제 9 실시 형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 1 변형예에서는, 어태치먼트 (227) 는 수납부 (225) 를 헤드폰 아암 (213) 이 아니라 좌 스피커 (211b) 에 결합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동작은, 제 9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또, 이 어태치먼트 (227) 와 스피커 (211b) 의 설치 구조에 관해서는 상기 서술한 도 39 에 나타내는 구조여도 된다.
제 1 변형예에서는, 수납부 (225) 를 좌 스피커 (11b) 에 결합함으로써, 예비 지지부 (241) 가 화상을 관찰 중인 사용자 (U) 의 시야에 들어오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화상 표시부 (222) 의 흔들림을 억제하면서, 둘레의 시인성이 양호해진다.
도 50 은, 제 9 실시 형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 2 변형예에서는, 예비 지지부 (241) 가 머리부 (H) 가 아니라, 좌 스피커 (211b) 를 압압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동작은 제 9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제 2 변형예에서는, 예비 지지부 (241) 가 좌 스피커 (211b) 를 통하여, 머리부 (H) 에 압압을 가하기 때문에, 예비 지지부 (241) 가 화상을 관찰 중인 사용자 (U) 의 시야에 들어오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화상 표시부 (222) 의 흔들림을 억제하면서, 둘레 환경의 시인성이 양호해진다.
「제 10 실시 형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 10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 51 ∼ 54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51 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 이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52 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요부 절취 평면도이며, 도 43 은 도 42 에 있어서의 A-A 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도, 도 5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헤드폰 (10a) 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20a) 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폰 (210a) 은 우측 스피커 (211a), 좌측 스피커 (211b), 및 우측 스피커 (211a) 와 좌측 스피커 (211b) 를 연결하는 헤드폰 아암 (213a) 을 가지고 있다. 헤드폰 아암 (213a) 은, 이상의 실시 형태와 상이하고, 각 스피커 (211a, 211b) 의 옆에서 만곡되어 있고, 이 만곡 부분이 귀걸이부 (214) 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20a) 는 이상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화상 표시부 (222), 지지부 (221), 어태치먼트 (227), 및 예비 지지부 (240a) 를 구비하고 있다. 나아가,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20a) 는 도 5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비 지지부 (240a) 의 돌출량을 조절하는 돌출량 조절부 (260) 와, 어태치먼트 (227) 로부터 지지부 (221) 까지의 거리를 변경하는 거리 조절구 (265), 어태치먼트 (227) 에 대하여 지지부 (221) 를 요동할 수 있게 장착하는 관절 (270) 과, 예비 지지부 (240a) 에 압압력 F 를 발생시키는 압압력 발생 수단으로서의 스프링 코일 (275) 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 (221) 의 수납부 (225) 의 화상 표시부 (222) 측에는 예비 지지부 (240a) 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예비 지지부 (240a) 의 축부에는 수나사 (261) 가 형성되어 있고, 수납부 (225) 의 장착 부분에는 예비 지지부 (240a) 의 수나사 (261) 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 (262)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량 조절부 (260) 는, 이들 예비 지지부 (240a) 의 축부에 형성된 수나사 (261) 와 수납부 (225) 의 장착 부분에 형성된 암나사 (262) 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비 지지부 (240a) 는 축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수납부 (225) 에 대한 돌출량을 변경할 수 있다.
어태치먼트 (227) 에는, 도 52 및 도 5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 (221) 측으로 돌출된 볼록부 (227a) 가 형성되어 있다. 거리 조절구 (265) 는, 이 어태치먼트 (227) 의 볼록부 (227a) 에 끼워 넣는 끼워맞춤 오목부 (265b) 와, 어태치먼트 (227) 의 볼록부 (227a) 와 동일 형상의 볼록부 (265a) 를 가지고 있다. 이 거리 조절구 (265) 는, 도 5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것을 형성하거나, 또는 이것을 1 이상 형성하거나, 요컨대 이것을 중합하는 개수에 의해, 어태치먼트 (227) 와 지지부 (221) 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의, 어태치먼트 (227) 로부터 지지부 (221) 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관절 (270) 은, 도 52 및 도 5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 (227) 의 볼록부 (227a) 또는 거리 조절구 (265) 의 볼록부 (265a) 에 끼워 넣는 베어링 부재 (271) 와, 이 베어링 부재 (271) 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축부재 (272) 를 가지고 있다. 이 축부재 (272) 는, 일방의 단부측이 베어링 부재 (271) 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타방의 단부가 수납부 (225)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축부재 (272) 는,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머리부 (H) 에 장착하였을 때, 거의 연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 (22) 는 이 관절 (270) 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머리부 (H) 에 장착하였을 때의 수평면 내, 바꿔 말하면, 예비 지지부 (240a) 의 압압력 F 의 작용 방향과 어태치먼트 (227) 를 포함하는 면 내에서, 어태치먼트 (227) 에 대하여 Vθ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다.
스프링 코일 (275) 은, 도 5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절 (270) 의 축부재 (272) 를 기준으로 하여 화상 표시부측에 배치되고, 그 일방의 단부가 관절 (270) 의 베어링 부재 (271) 에 장착되고, 그 타방의 단부가 수납부 (225) 의 외주측의 내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 (275) 은 잡아 당겨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 (221) 와 함께, 이 지지부 (221) 에 형성되어 있는 예비 지지부 (240a) 를 머리부 (H) 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예비 지지부 (240a) 는, 이 코일 스프링 (75) 에 의해 머리부 (H) 에 대한 일정한 압압력 F 를 확보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거리 조절구 (265) 의 수량을 바꿈으로써, 및/또는 예비 지지부 (240a) 를 회전시킴으로써, 예비 지지부 (240a) 의 압압력 F 의 작용 방향을 포함하는 면 내, 요컨대, 장치 사용시에 있어서의 수평면 내에서 지지부 (221) 를 기울일 수 있다. 이 때문에, 머리부 (H) 에 대한 화상 표시부 (222) 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돌출량 조절부 (260) 를 형성함으로써 장치를 머리부 (H) 에 장착하고, 예비 지지부 (240a) 에 의한 압압력 F 가 작용하고 있는 상태여도, 머리부 (H) 에 대한 화상 표시부 (222) 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미세 조절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비 지지부 (240a) 의 압압력 F 의 작용 방향을 포함하는 면 내에서 지지부 (221) 를 기울이기 위해서, 거리 조절구 (265) 와 돌출량 조절부 (260) 를 형성하였지만, 어느 일방만이어도 된다. 다만, 거리 조절구 (265) 는 장치의 사용 전에 미리 형성해 둘 필요가 있는 한편, 돌출량 조절부 (260) 는 장치의 사용 전이든 사용 중이든 지지부 (221) 의 경사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일방만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장치의 사용 중이라도 지지부 (221) 의 경사를 변경할 수 있는 것, 요컨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량 조절부 (260) 만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돌출량 조절부 (260) 는 나사 구조에 의해 예비 지지부 (240a) 의 돌출량을 조절하는 것이지만, 예비 지지부 (240a) 의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면, 예를 들어, 캠 구조를 채용해도 되고, 전자석을 사용한 구조 등을 채용해도 된다. 나아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압력 발생 수단으로서 코일 스프링 (275) 을 사용하였지만, 이 코일 스프링 (275) 대신에 다른 탄성 부재나 전자석 등을 사용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거리 조절 수단으로서 거리 조절구 (265) 를 사용하였지만, 이 대신에, 돌출량 조절부와 마찬가지로 나사 구조 등을 채용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제 7 실시 형태 내지 제 10 실시 형태에 따르면, 둘레 환경의 시인성이 좋은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예비 지지부를 지지부에 형성함으로써, 예비 지지부가 화상 관찰 중인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가는 경우가 적어져,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둘레의 시인성이 양호해진다.
또, 제 7 에서 제 10 실시 형태에서는, 모두, 헤드폰의 좌측에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였지만, 이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머리부의 좌우 어느 측에도 장착할 수 있도록 해도 되고, 그것을 위하여 제어 유닛에서 표시 화상이 적절하게 전환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원을 외부에 형성하지 않고, 예를 들어, 수납부에 배터리를 형성해도 된다. 또, 음향ㆍ영상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해도 된다.
「제 11 실시 형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 11 실시 형태에 관하여,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 55 ∼ 도 58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5 는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6 은 동일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한 상태의 요부 절취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눈 앞에서 화상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 (310), 사용자의 머리부에 장착되는 머리부 장착체 (330), 이 머리부 장착체 (330) 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 (340), 및 일방의 단부가 화상 표시부 (310) 에 장착되고, 타방의 단부가 어태치먼트 (340) 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신장되어 있는 지지부 (320) 와, 어태치먼트 (340) 에 대하여 지지부 (320) 를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관절부 (351, 355) 를 가지고 있다.
머리부 장착체 (330) 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폰으로서, 좌우 한 쌍의 스피커 (331R, 331L) 와, 좌우의 스피커 (331R, 331L) 상호를 연결하는 헤드폰 아암 (332) 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지부 (320) 는, 일방의 단부가 화상 표시부 (310) 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아암 (321) 과, 이 디스플레이 아암 (321) 을 수납하는 아암 수납부 (322) 를 가지고 있다. 이 아암 수납부 (322) 는, 디스플레이 아암 (321) 이 거의 수납되어 있는 수납 상태와, 디스플레이 아암 (321) 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화상 표시부 (310) 를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시킬 수 있는 사용 상태로 변위 가능하게, 이 디스플레이 아암 (321) 을 지지한다.
도 57 은, 도 56 중의 A-A 선 단면도이다.
어태치먼트 (340) 는,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수지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이고, 단면이 C 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헤드폰 아암 (332) 을 파지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의 편의상, 어태치먼트 (340) 가 장착되어 있는 부위에서의 헤드폰 아암 (332) 이 신장되어 있는 방향의 축을 Z 축, 이 Z 축에 대하여 수직의 방향으로서, 어태치먼트 (340) 에 대하여 아암 수납부 (322) 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방향의 축을 H 축, Z 축 및 H 축에 수직인 축을 V 축으로 하고, Z 축 둘레의 방향을 Zθ, H 축 둘레의 방향을 Hθ, V 축 둘레의 방향을 Vθ 로 한다.
어태치먼트 (340) 는, 도 56 및 도 5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 (340) 에 대하여 지지부 (320) 를 Hθ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게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제 1 관절부 (351) 와, 어태치먼트 (340) 에 대하여 지지부 (320) 를 Vθ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게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제 2 관절부 (355) 를 가지고 있다.
제 1 관절부 (351) 는 어태치먼트 (340) 로부터 H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신 장되는 축부재 (352) 와, 이 축부재 (352) 를 H 축 둘레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 (353a) 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 2 관절부 (355) 는 지지부 (320) 의 아암 수납부 (322) 내에서 V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되는 축부재 (356) 와, 이 축부재 (356) 를 V 축 둘레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 (353b) 를 가지고 있다. 제 1 관절부 (351) 의 베어링 부재 (353a) 와 제 2 관절부 (355) 의 베어링 부재 (353b) 는 동일 베어링 부재 (353) 이다. 제 1 관절부 (351) 의 축부재 (352) 에 대하여 베어링 부재 (353a) 가 H 축 둘레로 상대 회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토크는, 제 2 관절부 (353) 의 축부재 (356) 에 대하여 V 축 둘레로 베어링 부재 (353b) 가 상대 회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토크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요컨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부 (310) 가 연직 상하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H 축 둘레의 토크는, 화상 표시부 (310) 가 좌우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V 축 둘레의 토크보다도 크고, 화상 표시부 (310) 가 자중 및 머리부의 상하 방향의 진동에 의해 쉽게 H 축 둘레로 회전하여 내려가 버리지 않는 토크로 되어 있다. 한편, 화상 표시부 (310) 가 좌우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V 축 둘레의 요동 토크는, 화상 표시부 (310) 가 머리부의 좌우 방향의 요동만으로 쉽게 V 축 둘레로 회전해 버리지 않는 토크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상과 같이 각 관절부 (351, 355) 에 있어서의 토크를 바꾸기 위해서, 제 1 관절부 (351) 의 축부재 (352) 와 베어링 부재 (353a) 사이의 마찰 계수와, 제 2 관절부 (355) 의 축부재 (356) 와 베어링 부재 (353b) 사이의 마 찰 계수가 변하도록, 각 관절의 접동 부분의 재질을 선정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부 (320) 를 요동하기 위한 H 축 둘레의 토크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일단, 지지부 (320) 에 장착되어 있는 화상 표시부 (310) 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조정한 후, 화상 표시부 (310) 의 자중이나 머리부의 상하 방향의 요동에 의해, 화상 표시부 (310) 가 머리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경우는 없다. 또한, 지지부 (320) 를 요동하기 위한 V 축 둘레의 토크는 비교적 작기 때문에, 지지부 (320) 에 장착되어 있는 화상 표시부 (10) 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폰 아암 (332) 에 대하여 어태치먼트 (340) 를 Z 축 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표시부 (310) 의 Z 축 둘레의 위치 조정, 요컨대, 화상 표시부 (310) 의 화면 경사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관절 구조를 지지부 (320) 의 단부에 집중시켰기 때문에, 화상 표시부 (310) 를 여러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조작을 쉽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 (320) 와 어태치먼트 (340) 사이에 화상 표시부 (310) 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관절부를 형성하고, 지지부 (320) 의 중간 부분에 화상 표시부 (310) 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관절부를 형성한 경우, 일방의 관절부를 동작시키는 과정에서 타방의 관절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 두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관절 구조를 일부분에 집중시킴으로써, 배경 기술의 란에서 설명한 특허 문헌 3 에 기재된 기술과 같이, 여러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면 시트를 갖는 관절부와 마찬가지로 화상 표시부 (310) 를 이동시킬 때에 복수의 관절 구조 중의 1 개를 고정시켜 두는 것과 같은 조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복수의 관절부 (351, 355) 중 하나의 관절부 (351) 의 토크를 다른 관절부 (355) 의 토크보다도 크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이상의 실시 형태와 같이, 축부재 (351, 356) 와 베어링 부재 (353) 를 형성하는 재료를 선정하는 방법이 있지만, 그 외에, 도 5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재 (351) 와 베어링 부재 (353) 사이에, O 링 등의 토크 조정 부재 (357) 를 개재시키는 방법이나, 축부재 (51) 와 베어링 부재 (53) 중 어느 일방에 복수의 요철을 형성하여, 마찰 계수를 바꾸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관절부 (351) 로서 어태치먼트 (340) 에 축부재 (352) 를 형성하였지만, 어태치먼트 (340) 에 베어링 부재를 형성해도 되고, 제 2 관절부 (55) 로서 지지부 (20) 의 아암 수납부 (22) 에 축부재 (56) 를 고정하였지만, 이 아암 수납부 (322) 에 베어링 부재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제 1 관절부와 제 2 관절부의 공유 부재는, 제 1 관절부의 베어링 부재 및 제 2 관절부의 베어링 부재에 각각 끼워 넣는 축을 갖는 축부재가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머리부 장착체 (330) 의 헤드폰 아암 (332) 에 대하여 어태치먼트 (340) 가 착탈 가능하지만, 헤드폰 아암 (332) 에 대하여 착탈 불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복수의 관절부 (351, 355) 를 갖는 변위 기구를, 제 1 ∼ 제 10 실시 형태, 및 이것들의 각 변형예에 적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45)

  1. 사용자의 눈 앞에서 화상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를 구비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막대형을 이루고, 상기 화상 표시부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아암,
    상기 화상 표시부가 상기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할 수 있는 돌출 위치와 그 눈 앞에서 물러선 퇴피 위치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암 지지부, 및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의 적어도 그 돌출 위치를 포함하는 그 돌출 위치 근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이 이동 가능한 상태여도, 회전 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길이 방향으로 대략 수직인 면 내에서의 회전에 관한, 상기 아암 지지부에 대한 그 디스플레이 아암의 회전을 막는 회전 방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고, 그 디스플레이 아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의 외주 형상이, 그 단면에 있어서의 중심으로부터 외주까지의 거리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는 회전 방지 형상부와,
    상기 아암 지지부의 상기 회전이 불가능한 일부분으로서, 적어도 상기 돌출 위치 근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상기 회전 방지 형상부와 맞닿는 맞닿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고, 그 디스플레이 아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의 외주 형상이, 원과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 회전 방지 형상부와,
    상기 아암 지지부의 상기 회전이 불가능한 일부분으로서, 적어도 상기 돌출 위치 근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상기 회전 방지 형상부와 맞닿는 맞닿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상기 단면의 외주 형상은, 상기 화상 표시부가 장착되어 있는 측의 선단측과, 그 선단측과 반대측의 기단측에서 형상이 상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상기 기단측이 상기 회전 방지 형상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상기 선단측의 상기 단면의 외주 형상은, 원형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상기 홈을 형성하는 면에 접하는 가이드 롤러를 가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상기 홈을 갖는 부분이 상기 회전 방지 형상부를 이루고, 상기 가이드 롤러가 상기 맞닿음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을 이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원의 구동 전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에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기재된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 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은 사용자의 머리부 형상을 따르도록 길이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만곡 형상에 대응한 궤적에서, 상기 화상 표시부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지지부는, 상기 퇴피 위치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을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부를 사이에 끼움으로써 그 머리부에 장착되는 머리부 장착체를 구비하고,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아암 지지부에 장착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머리부 장착체의 일부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어태치먼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피커 및 그 스피커에 연결된 헤드폰 아암을 가지고, 머리부에 장착 가능한 헤드폰을 구비하고,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헤드폰에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어태치먼트를 가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헤드폰은, 서로, 전기적인 접속 및 절단이 가능한 전기 접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에서 적어도 전력, 화상 신호, 음성 신호를 받는 외부 접속부를 가지고, 그 외부 접속부에서 받은 것 중, 적어도 그 음성 신호를 그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전기 접속부 (이하, 디스플레이측 전기적 접속부로 한다) 를 통하여, 상기 헤드폰의 상기 전기 접속부 (이하,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로 한다) 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의 좌우 각각에,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는 소정의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전기적 접점을 가지고,
    좌우의 일방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의 상기 복수의 전기적 접점의 배열 순서는, 타방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의 복수의 전기적 접점의 배열 순서와는, 상기 헤드폰의 장착시에 있어서 상하 방향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의 좌우 각각에,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는 소정의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전기적 접점을 가지고,
    좌우의 일방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의 상기 복수의 전기적 접점의 배열 순서는, 타방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의 복수의 전기적 접점의 배열 순서와는, 상기 헤드폰의 장착시에 있어서 전기적 접점이 배열되어 있는 면을 정면으로 마주보면 좌우 방향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는 그 어태치먼트가 장착되는 상기 헤드폰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폭 내에서 상대 이동 가능하고,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의 전기적 접점과 상기 디스플레이측 전기적 접속부의 전기적 접점 중, 어느 일방은 상기 일정한 방향에 대하여, 상기 일정한 폭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어태치먼트는, 자체가 변형되어 상기 헤드폰의 일부와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18.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스피커의 머리부 접촉측과 반대측의 부분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가 장착되는 상기 스피커의 부위에는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의 전기적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어태치먼트에는 상기 스피커의 상기 부위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헤드폰측 전기적 접속부의 전기적 접점과 접속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측 전기적 접속부의 전기적 접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에는 상기 화상 신호를 처리하여, 처리된 화상 신호를 상기 화상 표시부로 보내는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은 상기 스피커로서 한 쌍의 스피커를 가지고, 상기 헤드폰 아암은 그 한 쌍의 스피커 상호를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스피커 각각에는 상기 어태치먼트가 장착되는 피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중, 일방의 스피커의 상기 피장착부에 상기 어태치먼트가 장착되었을 때, 타방의 스피커의 상기 피장착부에 장착되고, 그 피장착부를 가리는 외장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에는 상기 스피커에 장착하였을 때, 그 스피커측에 공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장 부재에는 상기 어태치먼트의 상기 공동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동일한 크기의 공동부가, 그 어태치먼트의 상기 공동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23.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지지부는, 상기 어태치먼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지지부에 형성되고, 헤드폰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어태치먼트와,
    상기 어태치먼트에 형성되고, 그 어태치먼트가 상기 헤드폰에 장착되었을 때, 그 헤드폰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적 접점과 접속되는 전기적 접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에 대한 상기 화상 표시부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바꾸는 표시부 변위 수단이 그 어태치먼트에 형성되고,
    상기 전기적 접속부는 도선을 가지고,
    상기 전기적 접속부의 상기 도선은, 상기 어태치먼트 및 상기 표시부 변위 수단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 1 항에 있어서,
    머리부에 장착 가능한 헤드폰의 스피커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어태치먼트와,
    상기 헤드폰에 형성된 회로에 대하여, 전기적인 접속 및 절단이 가능한 전기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27. 한 쌍의 스피커와, 그 한 쌍의 스피커 상호를 연결하는 헤드폰 아암을 구비하고 있는 헤드폰으로서,
    상기 헤드폰 아암의 상기 한 쌍의 스피커의 각각의 측의 부위에, 사용자의 눈 앞에서 화상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를 갖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절단 가능하게 전기적 접속하는 전기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아암의 상기 한 쌍의 스피커의 각각의 측의 부위에는,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피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장착부의 각각에는,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되었을 때, 그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적 접점과 접속되는 상기 전기적 접속부의 전기적 접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29. 스피커 및 그 스피커가 장착되어 있는 헤드폰 아암을 구비하고 있는 헤드폰 으로서,
    상기 스피커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를 갖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피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형성된 회로에 대하여, 전기적인 접속 및 절단이 가능한 전기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야의 중심이 상기 화상 표시부의 화면 내에 있는 경우의 상기 시야의 외측이 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위치 또는 상기 아암 지지부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를 압압하는 예비 지지부와,
    탄성력 및/또는 전자력에 의해, 상기 예비 지지부에 상기 머리부를 압압하는 압압력을 발생시키는 압압력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 또는 상기 아암 지지부의, 당해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머리부의 측면 머리부 근방에 형성되고, 그 측면 머리부를 압압하는 예비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탄성력 및/또는 전자력에 의해, 상기 예비 지지부에 상기 측면 머리부를 압압하는 압압력을 발생시키는 압압력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33. 제 30 항 및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지지부는, 그 예비 지지부가 상기 머리부에 대하여 압압 가능한 압압 위치와, 그 예비 지지부가 상기 머리부에 대하여 압압 불가능한 퇴피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위치의 상기 예비 지지부가 상기 머리부에 대하여 가하는 압압력의 값을 검출하는 압압력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압압력 발생 수단은, 상기 압압력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상기 값이 미리 정한 일정한 범위 내의 값을 유지하도록 상기 압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35.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지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화상 표시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지지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화상 표시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서 퇴피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이 상기 수납 위치에 존재할 때, 상기 예비 지지부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이 상기 돌출 위치에 존재하고 있을 때, 상기 예비 지지부가 상기 압압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37. 제 30 항, 제 32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머리부에 장착되는 머리부 장착체에 상기 아암 지지부를 장착하는 어태치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압압력의 작용 방향과 상기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면 내에서, 그 어태치먼트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조절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 또는 상기 아암 지지부에 대한 상기 예비 지지부의 돌출량을 조절하는 돌출량 조절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39. 제 37 항 또는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조절 수단은, 상기 어태치먼트와 상기 아암 지지부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의, 그 어태치먼트로부터 그 아암 지지부까지의 거리를 바꾸는 거리 조절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40. 제 37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력 발생 수단은, 상기 어태치먼트 또는 그 어태치먼트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의 상기 화상 표시부측을 그 압압력의 작용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41. 제 37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력의 작용 방향과 상기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면 내에서, 그 어태치먼트에 대하여 상기 아암 지지부를 요동할 수 있게 장착하는 관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4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부에 장착되는 머리부 장착체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와,
    서로 상이한 방향의 복수의 가상축 둘레에, 상기 어태치먼트에 대하여 상기 아암 지지부를 요동할 수 있게 장착하는 관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절부는 복수의 가상축 중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축 둘레의 요동에 필요한 토크가, 다른 가상축 둘레의 요동에 필요한 토크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복수의 상기 가상축 중의 제 1 가상축 둘레에, 상기 어태치먼트에 대하여 상기 아암 지지부를 요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제 1 관절부와, 그 제 1 가상축에 대하여 수직의 제 2 가상축 둘레에, 그 어태치먼트에 대하여 그 아암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 2 관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절은, 상기 어태치먼트에 대하여 고정 또는 일체 형성되어 있는 기측 부재와, 그 기측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1 가상축 둘레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요동측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 2 관절부는, 상기 아암 지지부에 대하여 고정 또는 일체 형성되어 있는 요동측 부재와, 그 요동측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2 가상축 둘레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기측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45. 제 42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가상축 중, 상기 하나의 가상축은 상기 머리부 장착체가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에 장착되고, 상기 어태치먼트가 그 머리부 장착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암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화상 표시부가 연직 아래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가상축이고,
    상기 하나의 가상축 둘레의 상기 요동에 필요한 토크는 복수의 상기 가상축 중의 다른 가상축 둘레의 상기 요동에 필요한 토크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7012813A 2003-12-26 2004-12-24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헤드폰, 및 이들을 구비한시스템 KR101196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34294 2003-12-26
JP2003434294 2003-12-26
JPJP-P-2004-00002834 2004-01-08
JP2004002834 2004-01-08
JPJP-P-2004-00010781 2004-01-19
JP2004010781 2004-01-19
JPJP-P-2004-00103723 2004-03-31
JP2004103724A JP4389631B2 (ja) 2004-01-19 2004-03-31 ニアアイディスプレイ装置
JPJP-P-2004-00103724 2004-03-31
JP2004103723A JP4389630B2 (ja) 2004-03-31 2004-03-31 ニアアイディスプレイ装置
PCT/JP2004/019352 WO2005064930A1 (ja) 2003-12-26 2004-12-24 ニアアイディスプレイ装置、ヘッドホン、及びこれらを備えた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939A true KR20060103939A (ko) 2006-10-04
KR101196275B1 KR101196275B1 (ko) 2012-11-06

Family

ID=3474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813A KR101196275B1 (ko) 2003-12-26 2004-12-24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헤드폰, 및 이들을 구비한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060238878A1 (ko)
EP (1) EP1699237B1 (ko)
KR (1) KR101196275B1 (ko)
WO (1) WO2005064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1519A1 (ja) * 2002-12-24 2004-07-22 Nikon Corporation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5256738B2 (ja) * 2005-09-29 2013-08-07 株式会社ニコン コンテンツデータ再生システムおよびそのコンテンツデータ再生システム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
US7732694B2 (en) * 2006-02-03 2010-06-08 Outland Research, Llc Portable music player with synchronized transmissive visual overlays
JP4572848B2 (ja) * 2006-03-14 2010-11-04 株式会社ニコン 頭部装着型ディスプレイ
JP4618177B2 (ja) * 2006-03-24 2011-01-26 株式会社ニコン 位置調整ガイダンス方法
CN101444087B (zh) * 2006-05-09 2011-06-08 株式会社尼康 头戴式显示器
US20080144264A1 (en) * 2006-12-14 2008-06-19 Motorola, Inc. Three part ho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CN102047686B (zh) 2008-04-07 2013-10-16 美国高思公司 在无线网络间转换的无线耳机
US8963804B2 (en) * 2008-10-30 2015-02-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near-to-eye display
FR2942343B1 (fr) * 2009-02-16 2012-10-12 Airbus France Ensemble d'equipement pour aeronef comprenant un capteur video et au moins deux dispositifs de visualisation tete haute
US9503555B2 (en) * 2009-10-21 2016-11-22 Symbol Technologies, Llc Mounting device couplable to a human head
US9285589B2 (en) 2010-02-28 2016-03-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R glasses with event and sensor triggered control of AR eyepiece applications
US9128281B2 (en) 2010-09-14 2015-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yepiece with uniformly illuminated reflective display
US8472120B2 (en) 2010-02-28 2013-06-25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near-eye display glasses with a small scale image source
US9229227B2 (en) 2010-02-28 2016-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e-through near-eye display glasses with a light transmissive wedge shaped illumination system
US9341843B2 (en) 2010-02-28 2016-05-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e-through near-eye display glasses with a small scale image source
US9091851B2 (en) 2010-02-28 2015-07-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ght control in head mounted displays
US9097891B2 (en) 2010-02-28 2015-08-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e-through near-eye display glasses including an auto-brightness control for the display brightness based on the brightness in the environment
US8467133B2 (en) 2010-02-28 2013-06-18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display with an optical assembly including a wedge-shaped illumination system
US9134534B2 (en) 2010-02-28 2015-09-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e-through near-eye display glasses including a modular image source
US10180572B2 (en) 2010-02-28 2019-01-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R glasses with event and user action control of external applications
US8482859B2 (en) 2010-02-28 2013-07-09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near-eye display glasses wherein image light is transmitted to and reflected from an optically flat film
US9366862B2 (en) 2010-02-28 2016-06-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content to a group of see-through near eye display eyepieces
US9097890B2 (en) 2010-02-28 2015-08-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rating in a light transmissive illumination system for see-through near-eye display glasses
US9759917B2 (en) 2010-02-28 2017-09-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R glasses with event and sensor triggered AR eyepiece interface to external devices
US9182596B2 (en) 2010-02-28 2015-11-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e-through near-eye display glasses with the optical assembly including absorptive polarizers or anti-reflective coatings to reduce stray light
US8488246B2 (en) 2010-02-28 2013-07-16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near-eye display glasses including a curved polarizing film in the image source, a partially reflective, partially transmitting optical element and an optically flat film
US20150309316A1 (en) 2011-04-06 2015-10-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r glasses with predictive control of external device based on event input
US8477425B2 (en) 2010-02-28 2013-07-02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near-eye display glasses including a partially reflective, partially transmitting optical element
US9129295B2 (en) 2010-02-28 2015-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e-through near-eye display glasses with a fast response photochromic film system for quick transition from dark to clear
WO2011106797A1 (en) 2010-02-28 2011-09-01 Osterhout Group, Inc. Projection triggering through an external marker in an augmented reality eyepiece
US9223134B2 (en) 2010-02-28 2015-12-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cal imperfections in a light transmissive illumination system for see-through near-eye display glasses
US20120249797A1 (en) 2010-02-28 2012-10-04 Osterhout Group, Inc. Head-worn adaptive display
US8666208B1 (en) * 2010-11-05 2014-03-04 Google Inc. Moldable waveguide with embedded micro structures
US8994610B2 (en) * 2010-11-08 2015-03-31 Symbol Technologies, Inc. User configurable headset
US9285592B2 (en) 2011-08-18 2016-03-15 Google Inc.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USD666237S1 (en) 2011-10-24 2012-08-28 Google Inc. Wearable display device
US8681426B2 (en) * 2011-11-04 2014-03-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teerable near-to-eye display and steerable near-to-eye display system
US20130176626A1 (en) * 2012-01-05 2013-07-11 Googl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US8976085B2 (en) * 2012-01-19 2015-03-10 Google Inc.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US8971023B2 (en) * 2012-03-21 2015-03-03 Google Inc. Wearable computing device frame
US9529197B2 (en) * 2012-03-21 2016-12-27 Google Inc.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US9075249B2 (en) * 2012-03-07 2015-07-07 Google Inc. Eyeglass frame with input and output functionality
US9858030B2 (en) * 2012-03-08 2018-01-02 Virtual Goggles Inc. Headset with binary display and integrated computing system
US9277334B1 (en) 2012-03-21 2016-03-01 Google Inc. Wearable computing device authentication using bone conduction
USD718305S1 (en) 2012-03-22 2014-11-25 Google Inc. Wearable display device
USD712451S1 (en) 2012-09-25 2014-09-02 Google Inc. Removably attachable lens
US9134548B1 (en) 2012-09-28 2015-09-15 Google Inc. Retention member for a lens system
US20160004082A1 (en) * 2013-02-12 2016-01-07 Virtual Goggles Inc. Headset with Binary Display and Integrated Computing System
US9128284B2 (en) 2013-02-18 2015-09-08 Google Inc. Device mountable lens component
USD721758S1 (en) 2013-02-19 2015-01-27 Google Inc. Removably attachable lens
USD741857S1 (en) * 2013-03-11 2015-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mobile device
US9298011B2 (en) * 2013-05-21 2016-03-29 Kopin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 eyewear display
US20150097759A1 (en) * 2013-10-07 2015-04-09 Allan Thomas Evans Wearable apparatus for accessing media content in multiple operating mode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491365B2 (en) * 2013-11-18 2016-11-08 Intel Corporation Viewfinder wearable, at least in part, by human operator
US10409079B2 (en) 2014-01-06 2019-09-10 Avegant Cor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a plate
US10303242B2 (en) 2014-01-06 2019-05-28 Avegant Corp. Media chai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D746817S1 (en) 2014-01-28 2016-01-05 Google Inc. Glasses frame
USD747315S1 (en) 2014-01-28 2016-01-12 Google Inc. Glasses frame
US9915812B2 (en) * 2014-02-14 2018-03-13 Kopin Corporation Compact folding lens display module
US9294739B1 (en) 2014-06-06 2016-03-22 Google Inc. Magnetically coupled waterproof hinge with integrated multi-stage button and state detection
KR102209512B1 (ko) 2014-06-30 2021-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글래스 타입 단말기
US9965030B2 (en) * 2014-07-31 2018-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glasse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via the wearable glasses
CN106199963B (zh) * 2014-09-01 2019-09-2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计算机程序
US9690005B2 (en) * 2014-09-26 2017-06-27 Shenzhen Checkpoint Security Electronics Co., Ltd Wireless metal detector having headset with display and camera
US10380779B2 (en) * 2014-12-25 2019-08-13 Sony Corporation Wear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9823474B2 (en) 2015-04-02 2017-11-21 Avegant Corp.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with a wider field of view
US9995857B2 (en) 2015-04-03 2018-06-12 Avegant Corp.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focal modulation
JP6647036B2 (ja) * 2015-12-24 2020-02-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装置
CN107209378B (zh) * 2015-12-31 2020-06-02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头戴式显示设备及头戴式显示系统
EP3400471A4 (en) * 2016-01-06 2019-09-04 Vuzix Corporation HEAD-MOUNTED DISPLAY WITH SWIVEL DISPLAY
JP6792621B2 (ja) 2016-01-06 2020-11-25 ビュージ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Vuzix Corporation 旋回する結像光ガイドを有する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EP3410172A4 (en) * 2016-01-26 2019-09-25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HEADSET DEVICE, HEADSET DEVICE, AND SEPARATION CONTROL PROCEDURE FOR A HEAD-MOUNTED DEVICE
JP6551278B2 (ja) * 2016-03-25 2019-07-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20170285685A1 (en) * 2016-04-04 2017-10-05 Guy A. Mascaro Heat Dissipating Structures and Mobility Apparatus for Electronic Headset Frames
US20170363874A1 (en) 2016-06-21 2017-12-21 Symbol Technologies, Llc Modular heads up display assemblies
US10690918B2 (en) 2016-12-19 2020-06-23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Nasa Optical head-mounted displays for laser safety eyewear
US10579135B2 (en) * 2017-01-27 2020-03-03 Otoy, Inc. Headphone based modular VR/AR platform with rotating display
US11002437B2 (en) 2017-12-07 2021-05-11 First-Light Usa, Llc Head-mounted illumination devices
US11144125B2 (en) 2017-12-07 2021-10-12 First-Light Usa, Llc Hands-free switch system
US11067802B1 (en) 2019-01-15 2021-07-2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Full human field of view (FOV) wrap around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with a convex display device
CA3176984A1 (en) * 2020-05-01 2021-11-04 Mark Harris Wearable near-to-eye vision systems
US11553313B2 (en) 2020-07-02 2023-01-10 Hourglass Medical Llc Clench activated switch system
US11698678B2 (en) 2021-02-12 2023-07-11 Hourglass Medical Llc Clench-control accessory for head-worn devices
EP4327186A1 (en) 2021-04-21 2024-02-28 Hourglass Medical LLC Methods for voice blanking muscle movement controlle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8966A (ja) 1985-09-09 1987-03-14 Horiuchi:Kk ス−プ等の添加料
JPS62203796A (ja) 1986-03-05 1987-09-08 三菱電機株式会社 産業用ロボツト装置
US5003300A (en) * 1987-07-27 1991-03-26 Reflection Technology, Inc. Head mounted display for miniature video display system
US5815126A (en) * 1993-10-22 1998-09-29 Kopin Corporation Monocular portable communication and display system
WO1995011473A1 (en) 1993-10-22 1995-04-27 Kopin Corporation Head-mounted display system
US7310072B2 (en) 1993-10-22 2007-12-18 Kopin Corporation Portable communication display device
JPH09184098A (ja) 1995-12-28 1997-07-15 Suzuki Motor Corp 電着塗装用ハンガー
JPH09261556A (ja) 1996-03-21 1997-10-03 Olympus Optical Co Ltd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JPH1074051A (ja) * 1996-08-30 1998-03-17 Shimadzu Corp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2000066618A (ja) 1998-08-25 2000-03-03 Shimadzu Corp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2000003143A (ja) * 1998-06-15 2000-01-07 Shimadzu Corp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2000111828A (ja) * 1998-10-06 2000-04-21 Sharp Corp 装着型画像表示装置
JP2000172370A (ja) 1998-12-02 2000-06-2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JP2000330070A (ja) 1999-05-25 2000-11-30 Shimadzu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用頭部ホルダ
JP2001108935A (ja) * 1999-08-05 2001-04-20 Olympus Optical Co Ltd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JP2002041188A (ja) * 2000-07-27 2002-02-08 Olympus Optical Co Ltd 小型表示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US6747611B1 (en) * 2000-07-27 2004-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act optical system and packaging for head mounted display
JP2002152626A (ja) * 2000-11-10 2002-05-24 Sanyo Electric Co Ltd 携帯テレビ電話
JP2002165156A (ja) * 2000-11-27 2002-06-07 Canon Inc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情報表示システム
JP4598966B2 (ja) 2001-02-06 2010-12-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頭部装着型映像音声再生システム
JP2002247483A (ja) * 2001-02-16 2002-08-30 Olympus Optical Co Ltd 映像表示装置の筐体保持構造
JP4461624B2 (ja) * 2001-03-01 2010-05-1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映像観察装置
JP2002350771A (ja) * 2001-05-25 2002-12-04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4010909B2 (ja) 2002-08-22 2007-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JP3797962B2 (ja) 2002-08-22 2006-07-19 三菱電機株式会社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JP2004233779A (ja) * 2003-01-31 2004-08-19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4321083B2 (ja) * 2003-01-31 2009-08-26 株式会社ニコン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04233780A (ja) * 2003-01-31 2004-08-19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6776483B1 (en) * 2003-01-29 2004-08-17 Jin-Feng Wu Spectacles having angle adjustable function
JP2004282194A (ja) * 2003-03-13 2004-10-07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64930A1 (ja) 2005-07-14
EP1699237A4 (en) 2009-03-11
US20060238878A1 (en) 2006-10-26
KR101196275B1 (ko) 2012-11-06
US20100188314A1 (en) 2010-07-29
US8362974B2 (en) 2013-01-29
EP1699237A1 (en) 2006-09-06
EP1699237B1 (en)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275B1 (ko) 니어 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헤드폰, 및 이들을 구비한시스템
US6762885B1 (en) Head-mounted display
US8362972B2 (en) Head-mounted display
US8378925B2 (en) Video display device
JP2008118401A (ja) ヘッドホン
US20080309587A1 (en) Head mount display
JP5055585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EP3454107B1 (en) Head-mounted display
JP2010078726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WO2007105544A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CN100544414C (zh) 可佩戴显示单元、耳机和设有它们的系统
JP2007258913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06203264A (ja) ニアアイ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これを構成するニアアイ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ヘッドホン
JP2007251593A (ja) 映像付与装置
EP4240007A1 (en) Display device
JP4389631B2 (ja) ニアアイ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283408A (ja) ヘッドホン
JP2007325105A (ja) 携帯表示装置
JPH1175140A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制御装置
JP2005210702A (ja) ニアアイ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システム
JP2007266870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4572537B2 (ja) ニアアイ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システム
JP2007251308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07251509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07251306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