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235A -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 - Google Patents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235A
KR20060103235A KR1020060026953A KR20060026953A KR20060103235A KR 20060103235 A KR20060103235 A KR 20060103235A KR 1020060026953 A KR1020060026953 A KR 1020060026953A KR 20060026953 A KR20060026953 A KR 20060026953A KR 20060103235 A KR20060103235 A KR 20060103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optical fiber
outlet
fixing member
p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0146B1 (ko
Inventor
요시히로 소가키
요이치 구니모토
야스이치 기네카와
준 도쿠다
요시아키 감베
마사루 요시다
사토루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3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7Installation in buildings
    • G02B6/475Mechanical aspects of installing cables in ducts or the like for build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에 있어서 그의 안쪽깊이 치수가 작아지도록 해서, 얕은 형태의 벽내 매립 박스에도 여유를 갖고 수납 가능하게 하여,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안쪽깊이 치수가 작아도 설치 가능하게 한다. 매립 POF (Plastic Optical Fiber) 콘센트는 보디(1)의 배면에 장착되는 케이블 고정부재(7)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 고정부재(7)의 케이블 가이드면(7b)은 전면에서 배면을 향해 전면에 평행한 면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바와 같은 대략 반구면형상의 곡면과, 연직 방향으로 세워 마련하고 있고, 상면에서 보아 대략 V형으로, 전면에서 배면을 향해 중앙으로부터 좌우측 가장자리로 넓어지는 대략 원통면형상의 2개의 곡면을 조합해서 형성되어 있다. POF 케이블(10)은 플러그 삽입구(5)로부터 외부를 향해 케이블 고정부재(7)의 케이블 가이드면(7b)을 따르도록 해서, 대략 현권선형상으로 비틀어 구부려진 형상으로 케이블 고정부재(7)에 고정되고, 안쪽깊이 치수가 작아지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 {EMBEDDED OUTLET SOCKET FOR OPTICAL FIBER CA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매립 POF 콘센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a는 상기 콘센트를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상기 콘센트를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는 상기 콘센트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 도 3c는 배면도, 도 3d는 하면도.
도 4a는 상기 콘센트의 커버(2)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A­ A선 단면도, 도 4c는 배면도.
도 5a는 상기 콘센트에 POF 케이블(10)이 배치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b는 배면도.
도 6a는 도 5(a)의 커버(2)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b는 상기 콘센트에 POF 케이블(10)을 케이블 가이드면(7b)에 밀착하도록 배치했을 때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a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매립 POF 콘센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b는 배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매립 POF 콘센트의 케이블 고정부재(7)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a는 상기 콘센트를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b는 상기 콘센트를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a는 상기 콘센트의 커버(2)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b는 배면도.
도 11a는 상기 콘세트에 콘센트 플레이트(100)를 장착하고 커버(2)가 닫힌 경우의 정면도, 도 11b는 측면도.
도 12a는 상기 콘세트에 콘센트 플레이트(100)를 장착하고 커버(2)가 열린 경우의 정면도, 도 12b는 측면도.
도 13은 종래의 매립 POF 콘센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보디 1a: (보디(1)의)정면
1b: (보디(1)의)배면 1c: 축지지부
1f: 개구부 2: 커버
5: 플러그 삽입구 7: 케이블 고정부재
7b: 케이블 가이드면 7c, 7d: 고정부
7e: 기준선 7f: 리브
7g: 감기부 7h: 돌기부
10: POF(Plastic Optical fiber) 케이블(광파이버 케이블)
본 발명은 벽면이나 마루면 등에 매설되고, 외부로부터 예를 들면 POF (Plastic Optical fiber) 케이블 등의 광파이버 케이블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POF (Plastic Optical fiber) 케이블 등의 광파이버 케이블을 이용한 광통신이 사무실 등에서 이용되어 있으며, 광파이버 케이블끼리 접속하는 광파이버 케이블용 커넥터가 여러 가지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광파이버 케이블용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매립 POF 콘센트가 알려져 있다. 매립 POF 콘센트는 한쪽의 POF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단자가 마련되어 접속된 플러그 삽입구를 가지고 벽면이나 마루면에 매설되어 있다. 그리고, POF 콘센트에 다른쪽의 POF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됨으로써 양쪽의 POF 케이블이 서로 접속된다.
도 13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매립 POF 콘센트를 나타낸다. 이 매립 POF 콘센트는 보디(81)와, 보디(81)에 유지되는 플러그 삽입구(85)와, 보디(81)의 배면에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부재(87)를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부설되는 POF 케이 블(810)의 단부에 플러그 삽입구(85)가 접속단자가 마련되어 접속되는 것이다. 이 매립 POF 콘센트는 벽재(825)의 표면측으로 보디(81)의 정면이 향하도록 프레임체(821)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 고정부재(87)는 벽재(825)의 내측에 매설되어 있다. 또한, 벽재(825)의 이면측에는 벽내 매립 박스(820)가 부착되어, 케이블 고정부재(87)의 배면이 보호되어 있다.
보디(81) 및 케이블 고정부재(87)는 각각 POF 케이블(810)의 최소 구부림 반경과 대략 동일한 치수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 가이드면(81a, 87b)를 갖고 있다. 케이블 고정부재(87)는 보디(81)에 고정되는 고정부(87a)를 가지고 있으며, 이 케이블 가이드면(87b)이 케이블 가이드면(81a)에 연속하여 설치되도록 보디(81)에 고정되어 있다. 이 케이블 가이드면(81a, 87b)는 매립 POF 콘센트의 정면에서 배면을 향해 하나의 반원호형상의 케이블 가이드부를 구성하고 있다. POF 케이블(810)은 이 케이블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케이블 가이드면(81a, 87b)를 따르도록 매립 POF 콘센트의 정면에서 배면을 향해 반원형상으로 구부려져 이 매립 POF 콘센트에 배치되고, 고정부(87c)에서 협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POF 케이블(810)을 배치함으로써, POF 케이블(810)이 최소 구부림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구부려져 손상되거나, 또한, 이 POF 케이블(810)이 외부로부터 잡아당겨져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3-98383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매립 POF 콘센트에 있어서는 POF 케이블(810)이 매립 POF 콘센트의 정면에서 배면을 향해 반원형상으로 세로방향으로 감기도록 구 부러져 케이블 고정부재(87)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정면에서 배면을 항한 안쪽깊이의 치수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매립 POF 콘센트의 안쪽깊이의 치수가 크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벽내 매립 박스(820)보다도 얕은 형태의 벽내 매립 박스(920) 등은 POF 케이블(810) 및 케이블 고정부재(87)와 간섭하기 때문에 이용할 수 없고, 또한, 벽재(825)의 이면측에 충분한 간극이 없을 때에는 매립 POF 콘센트의 설치가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루어진 것으로서, 안쪽깊이 치수를 작게 함으로써 얕은 형태의 벽내 매립 박스에서도 여유있게 수납 가능하고, 설치 공간의 안쪽깊이 치수가 작아도 설치 가능한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정면 및 배면에 개구부를 갖는 보디와, 보디 정면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플러그가 삽입 가능하게 되는 플러그 삽입구와, 상기 보디 배면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보디 배면의 개구부에 부설되어 보디 내부의 플러그 삽입구에 접속되는 광파이버 케이블을 그의 구부림 반경이 최소 구부림 반경보다 커지도록 해서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는 상기 광파이버 케이블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부터 외부를 향해서 대략 현권선(弦卷線)형상으로 비틀어 구부리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케이블 가이드면과, 상기 보디 배면 단부 근방에 이 광파이버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가 상기 케이블 가이드면의 내측에서 상기 보디의 배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상기 보디에 축지지되고 상기 보디 정면의 개구부를 개폐자유롭게 마련된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는 상기 커버에 유지되어 있어 커버가 닫혀 있을 때에는 상기 보디 내부에 매립되고, 커버가 열려 있을 때에는 보디 정면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플러그 삽입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상기 케이블 가이드면이 상기 커버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플러그 삽입구로부터 고정부까지의 부분에 틈을 마련하여 광파이버 케이블을 가이드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상기 케이블 가이드면이 광파이버 케이블이 배치되는 소정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선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가 상기 케이블 가이드면의 광파이버 케이블이 배치되는 소정 위치 근방에 이 케이블 가이드면에 대략 수직으로 세워 마련하는 리브를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는 상기 케이블 가이드면이 전면에서 배면을 향해 전면에 평행한 면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바와 같은 대략 반구면형상의 곡면과, 연직 방향으로 세워 마련하고 있고 상면에서 보아 대략 V형으로, 전면에서 배면을 향해 중앙으로부터 좌우측가장자리쪽으로 넓어지는 대략 원통면형상의 2개의 곡면을 조합 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는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가 상기 리브의 배면측 단부 및/또는 전면측 단부로부터 상기 케이블 가이드면을 향해서 세워 마련된 돌기부를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는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가 배면측 단부에 광파이버 케이블을 감는 것이 가능하도록 단면이 대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감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매립 POF (Plastic Optical fiber) 콘센트(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이 매립 POF 콘센트는 보디(1)와, 보디(1)에 축지지되는 커버(2)와, 보디(1)에 커버(2)를 축지지하는 축(3)과, 커버(2)의 개폐 동작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4)과, 플러그 삽입구(5)와, 누름금구(6)와 케이블 고정부재(7)를 구비하고 있다. 이 매립 POF 콘센트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부설되는 POF 케이블(광파이버 케이블)(10)의 단부에 플러그 삽입구(5)가 접속단자가 마련되어 접속된다.
보디(1)는 배면(1b)의 위쪽에 개구부(1f) 및 정면(1a)의 개구부(1g)를 갖고 있다. 정면(1a)의 상부에는 커버(2)를 축지지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축지지부(1c)가 마련되어 있고, 정면(1a)의 하부에는 커버(2)를 걸기 위한 커버걸림부(1d)가 마 련되어 있다. 또한, 보디(1)의 배면(1b)의 개구부(1f)의 아래쪽에는 배면(1b)에 대략 연직으로 돌출하는 2개의 걸림돌기(1e)가 마련되어 있고 이 걸림돌기(1e)를 이용해서 케이블 고정부재(7)를 고정시킨다.
커버(2)의 상부에는 보디(1)의 축지지부(1c)의 구멍과 동축으로 되는 구멍을 갖는 경첩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2)는 축(3)이 보디(1)의 축지지부(1c)의 구멍과 커버(2)의 경첩부(2a)의 구멍을 연통하는 바와 같이 삽입되어 끼워짐으로써 보디(1)에 축지지된다. 커버(2)는 이 축(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되며, 보디(1)의 정면(1a)의 개구부(1g)를 개폐자유롭게 덮고 있다. 여기서, 커버(2)가 보디(1)에 축지지되는 부분에는 축(3)과 동일축으로 되어 커버(2)의 개폐 동작에 따라 비틀어지는 스프링(4)이 배치되어 있어 커버(2)가 보디(1)의 정면(1a)의 개구부(1g)를 여는 방향으로 커버(2)에 힘을 가하고 있다. 커버(2)가 닫힌 상태에서는 이 커버(2)의 하측이 보디(1)의 커버걸림부(1d)에 걸린 상태로 되어 있고, 커버걸림부(1d)가 외부로부터 조작됨으로써, 커버(2)의 하측의 걸림이 해제되어 커버(2)가 열린다. 커버(2)의 하부에는 보디(1)의 정면(1a)의 개구부(1g)를 향해 브래킷부(2b)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이 브래킷부(2b)의 내면은 플러그 삽입구(5)와 걸어맞추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서 플러그 삽입구(5)를 유지한다.
플러그 삽입구(5)는 예를 들면 SMI (Small Multimedia Interface) 형의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플러그가 꽂아 넣어지는 하부(5a)와, 이 하부(5a)와 연속으로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부설되는 POF 케이블(10)의 단부에 접속단자가 마련되는 상부 (5b)로 나뉘어져 있다. 이 플러그 삽입구(5)는 하부(5a) 및 상부(5b)가 모두 커버(2)의 브래킷부(2b)의 내면에 그 하부(5a)가 커버(2) 이면측의 하측에 면하도록 끼워 넣어진다. 누름금구(6)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삽입구(5)가 브래킷부(2b)에 배치되어 커버(2)의 이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브래킷부(2b)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고, 브래킷부(2b)의 외측으로부터 비틀어 넣어지는 나사(6a)에 의해서 브래킷부(2b)와 나사결합된다. 플러그 삽입구(5)는 브래킷부(2b)의 내면과 걸어맞추어져 누름금구(6)와 커버(2)의 이면에서 협지된 상태가 되어 커버(2)로부터 빠지지 않고 유지된다.
케이블 고정부재(7)는 보디(1)의 걸림돌기(1e)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7a)와, 케이블 가이드면(7b)과, 고정부(7c, 7d)를 갖고 있다. 이 케이블고정부재(7)는 그 중심을 통과하여 전면에 수직인 연직면에 대해 대칭형상이다. 케이블 가이드면(7b)은 전면에서 배면을 향해 전면에 평행한 면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바와 같은 대략 반구면형상의 곡면과, 연직 방향으로 세워 마련하고 있고, 상면에서 보아 대략 V형으로, 전면에서 배면을 향해 중앙으로부터 좌우측 가장자리쪽으로 넓어지는 대략 원통면형상의 2개의 곡면을 조합해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7c)는 케이블 고정부재(7)의 배면의 좌우 단부 근방에 1개소씩 마련되어 있으며, POF 케이블(10)을 협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은 폭의 단면이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7d)는 케이블 고정부재(7)의 배면의 중심부 하단 근방에 1개소 마련되어 있고, 고정부(7c)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POF 케이블(10)을 협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고정 부재(7)의 케이블 가이드면(7b)을 구성하는 대략 반구면형상의 곡면의 배면측 단부는 단면이 대략 타원형상(직선과 원호형상의 곡선으로 구성되는 형상을 포함함)으로 형성된 감기부(7g)로 되어 있으며, POF 케이블의 감기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결합부(7a)는 이 케이블 고정부재(7)의 중앙으로부터 하측의 케이블 가이드면(7b)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케이블 고정부재(7)는 케이블 고정부재(7)의 케이블 가이드면(7b)의 전면측의 부분보다도 배면측으로 되는 면에서 보디(1)의 배면(1b)과 접촉해서, 케이블 고정부재(7)의 걸어맞춤부(7a)가 보디(1)의 걸림돌기(1e)와 걸어맞춤해서 보디(1)에 장착된다. 케이블 고정부재(7)와 보디(1)가 고정되면, 케이블 고정부재(7)의 케이블 가이드면(7b)의 전면 부분이 보디(1)의 배면(1b)의 개구부(1f)로부터 보디(1)의 내부에 매립되고 커버(2)에 배치된 플러그 삽입구(5)의 상부에 근접한 상태로 된다.
이 매립 POF 콘센트는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재(25)의 표면측에 보디(1)의 정면이 향하도록 해서 프레임체(21)에 유지되어 벽재(25)에 매설되어 있고, 벽재(25)의 이면측으로부터 벽내 매립 박스(20)가 부착되는 것에 의해 배면이 보호되어 있다. 이 매립 POF 콘센트와 벽내 매립 박스(20)로 둘러싸인 내부에는 POF 케이블(10)이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보디(1)의 배면(1b)의 개구부(1f)로부터 보디(1) 내부에 부설되고, POF 케이블(10)의 단부에 플러그 삽입구(5)가 접속단자가 마련되어, POF 케이블(10)이 접속되어 있다.
이 POF 케이블(1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삽입구 (5)로부터 외부를 향해서 케이블 고정부재(7)의 케이블 가이드면(7b)을 따르도록 해서 배치되어 있고, 고정부(7c), 고정부(7d)의 순서로 각각 협지되어, 케이블 고정부재(7)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 가이드면(7b)을 따라 배치되는 것에 의해 POF 케이블(10)은 플러그 삽입구(5)로부터 외부를 향해 대략 현권선형상으로 비틀어 구부려진 형상으로 케이블 고정부재(7)에 고정된다. 이 매립 POF 콘센트의 사용시에 커버걸림부(1d)가 조작되어 커버(2)가 열리면,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2)의 이면 하측으로부터 플러그 삽입구(5)가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별도의 POF 케이블의 플러그가 이 플러그 삽입구(5)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케이블 가이드면(7b)은 POF 케이블(10)을 그의 구부림 반경이 최소 구부림 반경보다 커지도록 따르게 해서 배치시키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POF 케이블(10)에 외부로부터 잡아당겨지는 등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POF 케이블(10)이 그의 최소 구부림 반경 이하의 구부림 반경으로 구부려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POF 케이블(10)을 배치할 때, 예를 들면 POF 케이블(10)이 너무 길어 매립 POF 콘센트의 배면측에서 느슨해져 버리는 경우에는 POF 케이블(10)을 감기부(7g)에 감아서 그 길이가 조절된다. 즉, 이 매립 POF 콘센트는 POF 케이블(1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고 POF 케이블(10)의 부설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POF 케이블(10)이 케이블 고정부재(7)의 케이블 가이드면(7b)에 배치될 때, 이 POF 케이블(10)의 플러그 삽입구(5)로부터 고정부(7c)까지의 부분에 틈이 있도록 배치된다. 즉, 예를 들면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OF 케이블(10)이 케이블 고정부재(7)의 케이블 가이드면(7b)에 밀착해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도 5a, 도 5b 및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OF 케이블(10)이 케이블 가이드면(7b)에 접하면서도 커버(2)의 개폐상태에 따라서 유연성있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커버(2)의 개폐에 따라 플러그 삽입구(5)의 위치가 변할 때, POF 케이블(10)이 버티어 장력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커버(2)의 개폐 동작이 POF 케이블(10)의 장력에 의해서 방해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매립 POF 콘센트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부재(7)의 케이블 가이드면(7b)이 POF 케이블(10)을 플러그 삽입구(5)로부터 외부를 향해 대략 현권선형상으로 비틀어 구부려지도록 가이드하므로, 이 매립 POF 콘센트의 배면측으로의 POF 케이블(10)의 달아냄량(돌출량)이 적어져 안쪽깊이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이 매립 POF 콘센트를 얕은 형태의 벽내 매립 박스(20)에도 여유를 갖고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고 설치공간의 깊이 치수가 작아도 설치 가능해진다. 또한, 케이블 고정부재(7)가 케이블 가이드면(7b)의 내측에서 보디(1)의 배면(1b)에 장착되므로 보디(1)의 배면(1b)으로부터의 케이블 고정부재(7)의 달아냄량(돌출량)이 작아져, 매립 POF 콘센트의 안쪽깊이 치수를 더욱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POF 케이블(10)은 고정부(7c, 7d)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커버(2)의 개폐시에 POF 케이블(10)이 케이블 가이드면(7b)으로부터 떨어져 보디(1)에 스치는 일이 없어 POF 케이블(10)의 마모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부재(7)의 케이 블 가이드면(7b)의 POF 케이블(10)이 배치되는 소정 위치에 기준선(7e)을 표시해 두어도 좋다. 이 기준선(7e)은 POF 케이블(10)을 이 기준선(7e)을 따라 배치했을 때에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삽입구(5)로부터 고정부(7c)까지의 부분에서 틈이 있는 상태로 되는 위치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 가이드면(7b)에 기준선(7e)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POF 케이블(10)이 커버(2)의 개폐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용이하게 POF 케이블(10)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부재(7)의 케이블 가이드면(7b)의 POF 케이블(10)이 배치되는 소정 위치 근방에, 이 케이블 가이드면에 대략 수직으로 세워 마련되는 리브(7f)를 마련해도 좋다. 도 9(a) 및(b) 및 도 10(a) 및(b)는 이러한 케이블 고정부재(7)를 구비하는 매립 POF 콘센트를 나타낸다. 이 리브(7f)는 POF 케이블(10)이 상술한 바와 같이 틈이 있도록 케이블 가이드면(7b)에 배치될 때, POF 케이블(10)의 구부림 반경이 그 상태로부터 커지지 않도록 규제하는 위치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즉, POF 케이블(10)을 이 리브(7f)의 내면과 케이블 가이드면(7b)을 따르도록 해서 배치함으로써 POF 케이블(10)이 커버(2)의 개폐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용이하게 배치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이 매립 POF 콘센트의 케이블 고정부재(7)에는 상술한 고정부(7c) 대신에 리브(7f)의 배면측 단부에 케이블 가이드면(7b)을 향해서 돌기부(7h)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커버(2)의 개폐시에 POF 케이블(10)이 느슨하여 케이블 가이드면(7b)으로부터 떨어져도, 돌기부(7h)와 리브(7f)에 맞닿아 배면측이나 상면측으로 빠져 버리는 일이 없다. 따라서, POF 케이블(10)이 보디(1)에 스치거나 해 서 손상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돌기부(7h)는 리브(7f)의 전면측 단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리브(7f)의 배면측 단부 및 전면측 단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1a는 상기 POF 콘세트에 콘센트 플레이트(100)를 장착하고 커버(2)가 닫힌 경우의 정면도, 도 11b는 측면도이고, 도 12a는 커버(2)가 열린 경우의 정면도, 도 12b는 측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의 콘센트 플레이트(100)를 장착하여 상기 매립 POF 콘센트 설치시 커버(2)와 본체(1)의 일부만 외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미관을 좋게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범위를 변경하지 않은 범위에서 적절하게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 매립 POF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5)는 SMI형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의 규격에 대응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 매립 POF 콘센트는 커버(2)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플러그 삽입구(5)가 보디(1)에 대한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것이어도 좋다. 즉,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커버를 갖는 SC 리셉터클형의 콘센트나, 커버가 없는 콘센트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광파이버 케이블도 POF 케이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위 광코드나 인도어 케이블이어도 좋다. 즉, 어느 구성이어도,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부재(7)에 의해서 광파이버 케이블이 대략 현권선형상으로 비틀어 구부려져 고정됨으로써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의 안쪽깊이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고정부재의 케이블 가이드면이 광파이버 케이블을 플러그 삽입구에서 외부를 향해 대략 현권선형상으로 비틀어 구부려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광파이버 케이블의 최소 구부림 반경보다 큰 구부림 반경을 유지하면서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의 안쪽깊이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얕은 형태의 벽내 매립 박스에도 여유를 갖고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공간의 안쪽 깊이 치수가 작더라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케이블 고정부재가 케이블 가이드면의 내측에서 보디의 배면에 장착되므로 보디의 배면으로부터의 케이블 고정부재의 내뻗음량(돌출량)이 작아져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의 안쪽 깊이 치수를 더욱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플러그 삽입구가 커버가 닫혀 있을 때에는 보디 내부에 매립되고, 커버가 열려 있을 때에는 보디의 정면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는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에 있어서, 광파이버 케이블이 대략 현권선형상으로 구부려지도록 가이드되어 고정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의 안쪽 깊이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커버 개폐시에 광파이버 케이블이 케이블 가이드면으로부터 떨어져 보디에 스치지 않기 때문에, 광파이버 케이블의 마모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버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케이블 가이드면이 광파이버 케이블을 플러그 삽입구로부터 고정부까지의 부분에 틈이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커 버의 개폐에 수반하여 플러그 삽입구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광파이버 케이블이 버티어 장력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커버의 개폐 동작이 광파이버 케이블의 장력에 의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가이드면에 기준선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 기준선에 광파이버 케이블이 따르도록 하여, 광파이버 케이블이 커버의 개폐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용이하게 광파이버 케이블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케이블 가이드면의 광파이버 케이블이 배치되는 소정 위치 근방에 이 케이블 가이드면에 대략 수직으로 세워 마련하는 리브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 리브의 표면과 케이블 가이드면에 광파이버 케이블이 따르도록 하여 광파이버 케이블이 커버의 개폐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용이하게 광파이버 케이블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케이블 가이드면이 대략 반구면형상의 곡면과 대략 원통면형상의 2개의 곡면을 조합해서 형성되므로, 케이블 가이드면의 안쪽 깊이 치수를 광파이버 케이블의 구부림 반경을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의 안쪽 깊이 치수를 더욱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리브의 배면측 단부 및/또는 전면측 단부로부터 케이블 가이드면을 향해 돌기부가 세워 마련되어 있으므로, 커버 개폐시 등에 광파이버 케이블이 케이블 가이드면에서 떨어져도 돌기부에 맞닿는다. 따라서, 광파이버 케이블이 케이블 가이드면으로부터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파이버 케이블이 보디에 스치거 나 해서 손상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고정부재는 배면측 단부에 단면이 대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감기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광파이버 케이블이 너무 길어도 광파이버 케이블을 감기부에 감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에 부설되는 광파이버 케이블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져, 광파이버 케이블을 부착해서 부설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9)

  1. 정면 및 배면에 개구부를 갖는 보디와,
    보디의 정면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플러그가 삽입 가능하게 되는 플러그 삽입구와,
    상기 보디 배면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보디 배면의 개구부에 부설되어 보디 내부의 플러그 삽입구에 접속되는 광파이버 케이블을 그의 구부림 반경이 최소 구부림 반경보다 커지도록 해서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는 상기 광파이버 케이블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부터 외부를 향해서 대략 현권선형상으로 비틀어 구부려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케이블 가이드면과, 상기 보디 배면 단부 근방에 이 광파이버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블 가이드면의 내측에서 상기 보디 배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에 축지지되고 상기 보디 정면의 개구부를 개폐 자유롭게 마련된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는 상기 커버에 유지되어 있고 커버가 닫혀 있을 때에는 상기 보디 내부에 매립되고, 커버가 열려 있을 때에는 보디 정면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플러그 삽입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가이드면은 상기 커버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플러그 삽입구로부터 고정부까지의 부분에 틈이 있도록 광파이버 케이블을 가이드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가이드면은 광파이버 케이블이 배치되는 소정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선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블 가이드면의 광파이버 케이블이 배치되는 소정 위치 근방에 이 케이블 가이드면에 대략 수직으로 세워 마련하는 리브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가이드면은 전면에서 배면을 향해 전면에 평행한 면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바와 같은 대략 반구면형상의 곡면과, 연직 방향으로 세워 마련하고 있고 상면에서 보아 대략 V형으로, 전면에서 배면을 향해 중앙으로부터 좌우측 가장자리쪽으로 넓어지는 대략 원통면형상의 2개의 곡면을 조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는 상기 리브의 배면측 단부 및/또는 전면측 단부로부터 상기 케이블 가이드면을 향해 세워 마련된 돌기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는 배면측 단부에 광파이버 케이블의 감기가 가능하도록 단면이 대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감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
KR1020060026953A 2005-03-25 2006-03-24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 KR100780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89154 2005-03-25
JP2005089154 2005-03-25
JPJP-P-2005-00359010 2005-12-13
JP2005359010A JP4175365B2 (ja) 2005-03-25 2005-12-13 埋込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コンセン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235A true KR20060103235A (ko) 2006-09-28
KR100780146B1 KR100780146B1 (ko) 2007-11-27

Family

ID=3746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953A KR100780146B1 (ko) 2005-03-25 2006-03-24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175365B2 (ko)
KR (1) KR1007801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9458B2 (ja) * 2007-03-23 2011-10-2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ンセント、及び光コンセントへの光ファイバ収納方法
KR200459689Y1 (ko) 2011-02-11 2012-04-06 태형산업주식회사 무정전 교체단자대의 콘센트취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0996B2 (ja) * 1995-11-06 2003-01-07 株式会社日興電機製作所 光コンセント
JPH09243859A (ja) * 1996-03-08 1997-09-19 Sumitomo Wiring Syst Ltd 光コンセント
JP3896508B2 (ja) 2001-11-15 2007-03-22 昭和電線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情報コンセントシステム
JP3815479B2 (ja) * 2004-02-20 2006-08-30 松下電工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配線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75365B2 (ja) 2008-11-05
KR100780146B1 (ko) 2007-11-27
JP2006301576A (ja)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887B2 (en) Shutter assembly
US6885805B2 (en) Optical fiber guide device
US10731411B2 (en) End caps for architectural coverings
KR20060042953A (ko) 광섬유용 배선기구
JP6483786B1 (ja) 把持部材
JP4197588B2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用コンセントおよびプラグを含む組立体
KR100780146B1 (ko)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
JP4917505B2 (ja) 光ローゼット
JP2006235557A (ja) 光コンセント
JP4270255B2 (ja) 光ファイバー用コンセント
JP4305490B2 (ja) 光コンセント
JP4332097B2 (ja) 光コンセント
JP4380635B2 (ja) 成端箱
JP3882820B2 (ja) 光ファイバ用配線器具
JP4341624B2 (ja) 成端箱
JP2006308638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固定具
JP4255444B2 (ja) 光ケーブル接続部収納ボックス
JP3697238B2 (ja) 連結式ダクト
JP4933872B2 (ja) 光コネクタケース
JP2006106635A (ja) 光コンセント
JP5702219B2 (ja) 配線ボックス
JP4787714B2 (ja) 光ケーブル用クロージャ
JP2010128456A (ja) 光コネクタ
JP4215257B2 (ja) 光ファイバ余長収納部の構造
JP4281598B2 (ja) 光ファイバー用配線器具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