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388A -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388A
KR20060098388A KR1020067009507A KR20067009507A KR20060098388A KR 20060098388 A KR20060098388 A KR 20060098388A KR 1020067009507 A KR1020067009507 A KR 1020067009507A KR 20067009507 A KR20067009507 A KR 20067009507A KR 20060098388 A KR20060098388 A KR 20060098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outer
unit
sensor
vehic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1834B1 (ko
Inventor
미르코 쉰들러
헬무트 슈마허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09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05B81/78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as part of a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05B81/77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comprising 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hand of a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82Kno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85Knob-attaching devic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11)에 고정되고 손잡이(20)가 장착된 지지체(10)로 구성된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손잡이는 잠금 해제 위치에서는 로크에 작용하는 반면, 로크의 잠금 위치에서는 작용하지 않는다. 로크의 제어를 위해, 도어 손잡이의 외부 영역에 배치된, 센서 면(sensor surface)을 갖는 외부 전극을 포함하는 정전용량형 센서(capacitive sensor)가 제공된다. 센서 면의 배치에 있어서 형상의 선택폭을 더 넓히기 위해, 센서 면(37)에 추가로 전달 면(transfer surface)(36)과 여자 면(excitation surface)(35)의 형태로 구현된 작용면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내부 전극을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내부 영역에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두 내부 전극 사이에는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외부 영역에서 작용하는 센서 면(37)의 전기장과 직렬로 접속되는 전기 커플링 영역(electric coupling field)(50.1)이 발생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EXTERNAL DOOR HANDLE, IN PARTICULA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제시된 유형의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은 도어의 겉과 안에 설치될 수 있는 전체 유닛을 의미한다. 이 유닛은 도어 내에서 제자리에 고정되게 부착된 지지체(support), 상기 지지체에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도어 겉면의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옆에 설치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 안에는 필요한 경우 로크 실린더와 다른 기능 부품들이 통합될 수 있다.
조작의 편리성을 더 높이기 위해, 차량의 잠금 장치 내에 정전용량형 센서를 제공하고, 상기 센서를 도어의 외부 손잡이 유닛의 손잡이에 통합시키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DE 196 17 938 C2). 상기 정전용량형 센서는 인증 확인에 기초하여 잠금 장치의 작동을 유발하고 차량에의 접근을 허가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공지된 이러한 장치에서는 인가된 사람이 ID 송신기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 그의 손이 손잡이에 접근하면 정전용량형 센서의 정전용량이 변동하고, 차량측 전자제어장치로 신호가 전송되며, 상기 신호가 송수신 장치를 통해 상기 ID 송신기의 검색 프로세스를 시작하고, 상기 ID 송신기와 전자제어장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시작된다. 이때, ID 송신기는 식별 코드를 전송하고, 인가된 사용자인 경우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긍정적 측면의(positive) 코드 비교가 실시되며, 잠금 장치가 차량으로의 접근을 허용한다. 움직이는 손잡이의 내부에 배치된 정전용량형 센서는 전기 접속 라인들과 플러그-인 커넥터를 이용한 신호 전송을 위해 차량측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되어야 한다.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는 손잡이에 할당된 결합부 및 지지체에 할당된 대응 결합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정전용량형 센서와 제어 유닛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항상 고정된 결합부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 결과, 정전용량형 센서의 배치에 있어서 형상의 선택폭이 좁아지고, 그 외에도 그러한 결합에는 조립 비용이 많이 들며 많은 부품이 필요하다.
또 다른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DE 101 53 142 C1)의 경우, 외부 영역에서 작용하는 2개의 외부 전극을 갖는 정전용량형 센서가 분리 가능한 하우징 유닛 내에 통합되고, 상기 하우징 유닛은 필요한 경우 지지체의 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두 외부 전극은 분리된 센서 면을 가지며, 상기 센서 면들 중 하나는 로크의 잠금 해제 기능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로크의 잠금 기능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센서 면을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서, 하우징 유닛은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적절하게 조립된 하우징을 포함해야 한다. 이는 센서 면의 배치에 있어서 형상의 선택폭을 좁게 만드는데, 그 이유는 센서 면이 배치되는 장소는 항상 접근이 용이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 있게 작용하는 센서 면을 포함하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언급한 유형의 저가의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을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에 언급된 조치들을 통해 달성되며, 상기 조치들의 의미를 하기에서 설명한다.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내부 영역에는 정전용량형 센서의 적어도 2개의 추가 내부 전극이 배치되며, 상기 추가 내부 전극은 내부의 전자 커플링 영역(coupling field)의 전달(전파)에 사용된다. 커플링 영역의 구성에 사용되는 제 1 전극의 작용면을 "여자 면(excitation surface)"이라고 칭한다. 또 다른 전극의 작용면은 외부로 작용하는 센서 면과 연결되므로, 커플링 영역의 "전달 면(transfer surface)"이라고 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두 내부 전극을 통해 용량성 접촉이 이루어진다. 전달 면과 여자 면 사이의 전기 커플링 영역은, 전기적 관점에서 볼 때, 센서 면과 직렬로 접속된다. 상기 전기 커플링 영역에 의해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부품들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공차 간격들이 문제없이 브리징되고, 센서 면들이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접촉되기 어려운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센서 면의 치수 및 배치의 설계시 선택의 폭이 커진다.
센서 면과 하나의 내부 전극의 전달 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외부 전극이 전달 면을 포함하는 하나의 내부 전극 및 센서 면과 일체로 제조됨으로써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일체형 부품은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대응 부품 내에 매우 간단하게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통합은 도전성 층들 또는 스트립들의 제공(부설, 주입 또는 도포)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조치들과 장점들은 종속 청구항, 하기의 설명 및 도면에 제시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이 다수의 실시예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도어에 장착된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하게 형성된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제 2 실시예이다.
도 3은 도 2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 3 실시예의 단편이다.
도 4는 기본적으로 도 1 및 도 2의 구성을 동시에 사용하는 제 4 실시예이다.
도어 내부(11)에서 도어 외판(13)의 뒷면(12)에 지지체(10)가 고정되어 있다. 도어 외판(13)의 겉면(14)에는 풀 핸들(pull handle)형 손잡이로 구현된 손잡이(2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의 한쪽 단부(21)는 지지체(10)의 위치 15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반면, 다른 쪽 단부(22)에는 암(23)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암(23)은 후크형으로 형성되어 도어 내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로크에 속하는 작용 부재(16)와 상호 작용한다.
로크는 도어를 열기 위한 손잡이(20)의 조작이 저지되는 잠금 위치와 화살표(24)의 방향으로 손잡이(20)가 작동되어 로크가 열리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손잡이의 작동 상태는 도면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면 부호 20'로 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작용 부재는 16'로 표시되고 일점쇄선으로 그려진 작용 위치에 도달한다.
도어 외판(13)의 겉면에서 손잡이(20)의 옆으로 상기 손잡이(20)의 외부 윤곽과 합치되는 덮개(25)가 부착되며, 상기 덮개는 바람직하게 지지체(10)에 고정된 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체(10)에 로크 실린더 샤프트(17)도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로크 실린더 샤프트의 말단(18)이 로크와 상호 작용한다. 로크 실린더 샤프트(17)의 정면(19)에서 덮개(25) 영역으로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키가 접근될 수 있다. 이러한 로크 실린더 샤프트(17)는 보통 차량 내 전자장치의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긴급한 경우에만 사용된다.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로크 실린더(17)가 아예 없거나, 샤프트 모형으로 대체될 수 있다.
지지체(10)의 뒷면(26)에는 메인 하우징(31)과 상기 메인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하우징 핑거(32)로 나뉘는 특수한 하우징 유닛(30)이 장착되어 있다. 핑거의 자유 단부(33)에는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외부 영역에 작용하는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또는 접촉 센서의 제 1 센서 면(27)이 배치되고, 예컨대 도면 부호 28의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은 상기 센서의 전자 부품들은 메인 하우징(31)의 내부에 통합된다. 상기 센서 면(27)은 로크의 잠금 기능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센서 면(27) 대신 접촉 스위치나 압력 스위치도 사용될 수 있다. 접근이 허가된 사용자의 손이 센서 면(27)에 근접하면, 로크의 잠금 기능이 작동된다. 그러므로 핑거 단부(33)는 덮개(25)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지지체(10)뿐만 아니라 도어 외판(13)도 상기 영역에 관통구(25)를 갖는다. 이 관통구(29)를 통해 풀 핸들형 손잡이(20)의 암(23)도 관통한다.
손잡이(20)는 바람직하게 공동(hollow)(42)을 가지며, 상기 공동의 내부에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외부 영역에서 작용하는 전극이 안전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극의 작용 센서 면에 도면 부호 "37"로 표시되어 있다. 이 센서 면(37)도 역시 정전용량형 센서에 속하나, 로크의 잠금 해제 기능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암(23)의 내부 단부 및 하우징 핑거(32)의 영역에는 "35" 및 "36"으로 표시된 작용면을 가진 2개의 내부 전극이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손잡이(20)의 정지 상태에서 상기 두 작용면(35, 36) 사이에 작은 틈(39)이 있다. 하우징측 작용면(35)은 하우징(30) 내에 도시된 전기 라인들(44)을 통해 손잡이측 센서 전극(37)의 전기 부품들(37)과 연결되어, 암(23) 내에 있는 다른 전극과 함께 상기 틈(39) 내에 앞서 언급한 커플링 영역(50.1)을 형성한다. 이 커플링 영역(50.1)은 도 1에 점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측 제 1 내부 전극의 작용면(35)은 "여자 면"이라고 하고, 암(23) 내에 제공되는 다른 내부 전극의 작용면은 "전달 면"이라고 한다. 이 전달 면(36)은 고정되어 있는 전기 라인(34)을 통해 손잡이(20) 내에 통합된 센서 면(37)과 연결된다. 센서 면(37)을 갖는 전극, 전달 면(36)을 갖는 전극 및 상기 두 전극 사이에 놓이는 전기 라인(3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손잡이의 제조시 사출성형 기술 또는 그와 유사한 기술에 의해 상기 손잡이 내부에 통합될 수 있다. 여자 면(35)에서 생성된 전압 및 전압 변동 추이는 유사한 방식으로 틈(39) 내에 존재하는 커플링 영역 브리지를 통해 센서 면(37)에 형성된다. 그와 반대로, 센서 면(37)의 영역에서 발생한 전기장의 변동은 2개의 무접촉 작용면(36, 35)을 통해 지지체(10) 내에 있는 부속 전자 센서 장치(38)로 전달된다. 전기 커플링 영역(50.1)은, 전기적 관점에서 볼 때, 센서 면(37)의 외부 영역에서 작용하는 외부 전기장에 직렬로 연결된다.
전자 센서 장치(38)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40)와 케 이블(41)을 통해 차량 내 전자 제어장치로 전송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전자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도어 내 로크 그리고, 차량 내에 중앙 잠금 장치가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나머지 모든 도어와 플랩을 열리도록 하는 제어 펄스가 송출된다.
물론 여자 면(35)과 전달 면(36)이 손잡이(20)와 지지체(10)의 다른 영역들에도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유닛(30)도 지지체의 다른 영역, 예컨대 앞서 언급한 로크 실린더(17)나 상기 로크 실린더에 제공된 샤프트 공동의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2개의 내부 전극 대신, 평상시에 서로 접촉되며 전압 및 신호의 전달에 쓰이는 접점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비접촉 내부 전극을 사용하면, 커플링 영역(50.1)의 형성에 사용되는 여자 면(35)과 전달 면(36) 사이에서 공차 보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손잡이가 움직여지지 않은 상태(20)에도 센서 면(37)을 통해 도어 로크의 잠금 해제가 가능하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도 2,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3가지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유사한 부품들에는 도 1과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다. 유사한 부품들에는 전술한 설명이 적용되므로,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에서는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외부 영역에서 작용하며 센서 면(47)을 갖는 외부 전극이 덮개(25) 내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는 앞에서 설명한 로크 실린더(17) 또는 유사한 모형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센서 면(47)에는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내 2개의 내부 전극이 할당되며, 상기 두 전극의 여자 면(45)과 전달 면(46)이 그들 사이에 도 2에 도트 음영(dot hatch)으로 표시되어 있는 전 기 커플링 영역(50.2)을 발생시킨다. 센서 면(47)과 전달 면(46)은 전기 도체(49)를 통해 서로 고정 연결된다. 이 부품들은 일체로 제조되는데, 이때 센서 면(47)과 전달 면(46)은 상기 도체의 단부면으로부터 형성된다.
여자 면(45)을 포함하는 또 다른 내부 전극은 전도성 연장부(48)를 가지며, 상기 전도성 연장부는 이미 설명한 유닛(30)의 하우징(31)으로 통하여 거기서 관련 전자 센서 장치(38)와 연결된다. 이 경우에도 전자 센서 장치(28, 38)를 포함하는 유닛(30)이 지지체(10)의 뒷면(26)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은 도어의 안쪽에서 수행된다.
도 2에서는 센서 면(47)이 덮개(25)의 내부면에 배치된다. 상기 센서 면(47)의 앞에 덮개(25)의 벽(51)이 놓이는데, 여기서 상기 벽은 완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이에 대한 대안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는 덮개(25)의 벽(51)이 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와의 결정적인 차이는, 덮개(25)의 외부면(53)에서 적어도 규정된 자리에 전도성 래커로 이루어진 층(52)이 도포되고, 상기 층의 외부면은 다시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외부 영역에서 작용하는 센서 면(57)을 형성한다는 점에 있다. 도 3에서도 역시 벽(51)의 내부면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곳에, 도 2와 관련하여 이미 기술한 여자 면(55)을 갖는 제 2 내부 전극이 배치된다. 이 전극도 연장부(54)를 가지며, 마찬가지로 유닛의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으로 연결된다.
도 4에서는, 이미 언급하였듯이, 변형된 도 1의 조치들과 도 2의 조치들이 동시에 사용된다. 이에 관해서는 이전의 관련된 설명이 적용된다. 여기서는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외부 영역에서 작용하는 2개의 상이한 센서 면(47, 67)이 존재하며, 상기 센서 면들은 인가된 사용자의 접근 또는 접촉시 차량에서 상이한 기능을 작동시킨다. 센서 면 47은, 이미 도 2와 관련하여 기술한 것처럼, 도어 내에 통합된 로크의 잠금 기능에 사용된다. 그에 반해, 다른 센서 면 67은 도 1에서처럼, 로크의 잠금 해제 기능에 사용된다. 그러나 도 1과는 하기와 같은 차이가 있다.
즉, 커플링 영역(50.2)의 여자 면(45)에 속하는 전극의 연장부(48)가 또 다른 전극(58)에 대해 절연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 두 연장부(48, 58)는 유닛(30)의 하우징(31)으로 통한다. 전극(58)의 외부 단부에는 도 4의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내에 추가의 전기 커플링 영역(50.4)을 발생시키는 여자 면(59)이 존재한다. 이 경우에도 전기 커플링 영역(50.4)에는 맞은편 내부 전극의 전달 면(56)이 종속되고, 상기 전달 면은 일체로 된 전기 도체(60)의 말단부로 형성된다.
도체(60)는 이미 도입부에서 기술한, 여기서도 풀 핸들 방식으로 형성된 손잡이(20)이 암(23)에 통합된다. 도체(60)의 외부 단부에는 이미 언급한 제 2 센서 면(67)이 존재한다. 이 센서 면(67)은 바람직하게 속이 비어 있는 손잡이(20)의 내부면(62)까지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손잡이(20)의 벽(61)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손잡이(20) 영역, 덮개(25) 영역 또는 다른 자리에 추가의 센서 면들이, 더 정확히 말하면 서로 공간상 및 작용상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간편한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려면, 각각 여자 면과 전달 면을 통해 전술한 내부 전기 커플링 영역을 발생시키는 내부 전극들에 상기 센서 면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가 할당되어야 한다. 인가된 사용자의 접근 또는 접촉시 차량에서는 상이한 기능들이 작동된다.
이미 설명한 로크의 잠금 기능 및 잠금 해제 기능 외에도, 관련된 센서 면들이 반응하면 예컨대 차량 내 또 다른 가동성 부품들이 열림 방향 및/또는 잠김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러한 가동성 부품들을 열고 잠그기 위해, 연속적인 접촉 또는 접근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단일 센서 면이 사용될 수도 있다. 차량의 가동성 부품으로는 하나 이상의 창문, 슬라이딩 루프, 트렁크 리드 또는 하나 이상의 차량 도어가 사용될 수 있다.
커플링 영역의 형성에 사용되는 전극들은 임의로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예컨대 도 4와 유사하게, 전극(58)을 늘여서 그곳의 전극 연장부(48) 옆으로 덮개(25)의 내부까지 계속 연결시킬 수 있고, 그곳에는 도 4의 50.4와 유사한 커플링 영역을 위해 덮개(25) 뒤에 이미 설명한 여자 면(59)이 놓이게 된다. 도 4에 "56"으로 표시된 전달 면을 가지며 센서 면(67)에 속하는 또 다른 내부 전극은 이 경우 덮개(25)에 인접한 손잡이(20)의 내부면에 배치된다. 본 대안예의 경우, 도 4의 전기 도체(60)는 더 이상 암(23)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사실상 상기 암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 및 도 4에 기술한, 덮개(25) 내부의 센서 면(47) 외에도, 차량 내 어떤 다른 기능을 작동시켜야 하는 또 다른 추가 센서 면이 덮개(25) 내에 상기 센서 면(47)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3 센서 면에도 역시 내부 전극들이 할당되고, 상기 내부 전극,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처럼 전극 연장부(48)는 손잡이 외부로 연장된다.
도 3에 따른 전도성 층(52)은 전도성을 띄도록 만들어진, 예컨대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 재료로도 형성될 수 있다. 외부면 대신, 도 3에서처럼, 그러한 전도성 층이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내부면에, 예컨대 손잡이(20)나 덮개(25) 또는 이 영역 내에 배치된 다른 부재들의 내부에 도포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상기 층은 센서 면의 기능뿐만 아니라 각각의 커플링 영역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달 면과 여자 면의 기능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 부호 목록*
10: 지지체
11: 도어 내부
12: 13의 뒷면
13: 도어 외판
14: 13의 겉면
15: 10에 20이 지지(장착)되는 자리
16: 도어 로크의 작용 부재(평상시(정지 위치))
16': 16의 작용 위치
17: 로크 실린더
18: 17의 말단부
19: 17의 정면
20: 손잡이, 풀 핸들형 손잡이(정지 위치)
20': 20의 작동 위치
21: 20의 제 1 단부, 지지 단부
22: 20의 제 2 단부, 작용 단부
23: 16을 위한 20의 암
24: 20의 작동을 나타내는 화살표
25: 덮개
26: 10의 뒷면
27: 제 1 센서 면, 로크 잠금을 위한 작용면
28: 전자 부품, 27을 위한 전자 센서 장치
29: 10과 13에 형성된 관통구
30: 27, 37을 위한 모듈러 유닛
31: 하우징, 30의 메인 하우징
32: 30의 하우징 핑거
33: 32의 핑거 단부
34: 36과 37 사이의 전기 라인
35: 제 1 내부 전극의 작용면, 50.1을 위한 여자 면
36: 제 2 내부 전극의 작용면, 50.1을 위한 전달 면
37: 제 2 센서 면, 로크 잠금 해제를 위한 작용면
38: 37을 위한 전기 부품, 전자 센서 장치
39: 35와 36 사이의 틈
40: 전기 암(female)/수(male) 커넥터
41: 40에 연결된 케이블
42: 37을 위한 20 내부의 공동
43: 23을 위한 10 내부의 가이드 면
44: 30 내에 35와 38 사이의 전기 라인
45: 50.2(도 2)를 위한 여자 면
46: 50.2(도 2)를 위한 전달 면
47: 센서 면(도 2, 도 4)
48: 45에서 형성된 전극 연장부(도 2, 도 4)
49: 46과 47 사이의 도체(도 2, 도 4)
50.1: 커플링 영역(도 1)
50.2: 커플링 영역(도 2)
50.3: 커플링 영역(도 3)
50.4: 커플링 영역(도 4)
51: 25의 벽(도 2)
52: 전도성 래커로 이루어진 층(도 3)
53: 25의 외부면(도 3)
54: 55에서 형성된 전극 연장부(도 3)
55: 50.3(도 3)을 위한 여자 면
56: 50.4(도 4)를 위한 전달 면
57: 52의 센서 면(도 3)
58: 56(도 4)을 위한 전극
59: 58의 여자 면(도 4)
60: 56, 67(도 4)을 위한 전기 도체
61: 20의 벽(도 4)
62: 20의 내부면(도 4)
67: 20 내 센서면(도 4)

Claims (25)

  1.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으로서,
    도어(11)에 고정 장착된 지지체(support)(1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10)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20)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11) 내부에 설치되어, 잠김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로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11)를 열기 위한 상기 손잡이(20)의 작동(24)은 상기 잠김 위치에서는 유효하지 않고, 상기 열림 위치에서 유효하며,
    상기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외부 영역에서 작용하는 외부 전극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정전용량형 전자 센서 장치(38, 38)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의 작용면(37)은 인가된 사용자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하므로 센서 면(sensor surface)(37)이라고 지칭되며,
    상기 인가된 사용자는 차량의 접근 허가 및/또는 운행 허가를 위한 능동적 또는 수동적 식별 수단을 소지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내부 영역에 상기 정전용량형 전자 센서 장치(28, 38)의 적어도 2개의 추가 내부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두 내부 전극 사이에는 적어도 평상시에, 즉 손잡이(20)가 작동되지 않을 때 전기 커플링 영역(electric coupling field)(50.1)이 형성되며,
    상기 두 내부 전극 중 한 전극의 작용면은 상기 전기 커플링 영역(50.1)을 형성하기 때문에 여자 면(excitation surface)(35)이라 칭해지고,
    또 다른 한 내부 전극의 작용면은 외부로 작용하는 센서 면(3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34), 상기 커플링 영역(50.1)의 전달 면(transfer surface)(36)이라 칭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외부면(53) 및/또는 내부면에 적어도 국부적으로 전도성 래커로 이루어진 층(52)이 도포되고,
    상기 래커층(52)은 상기 센서 면(57), 전달 면 및/또는 여자 면의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외부면 및/또는 내부면에 적어도 국부적으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전도성 층이 도포되고,
    상기 층은 상기 센서 면, 전달 면 및/또는 여자 면의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은 외부로 작용하는 서로 분리된 다수의 센서 면(67, 47) 및/또는 내부로 작용하는 전달 면(56, 46) 및/또는 여자 면(59, 45)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된 센서 면(67, 47)은 인가된 사용자의 접근 또는 접촉시 차량 내 로크 또는 다른 장치들의 상이한 기능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면들 중 하나(67)는 상기 로크의 잠금 해제에 사용되고, 다른 하나(47)는 상기 로크의 잠금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인가된 사용자의 접근 또는 접촉시 차량의 가동성 부품들을 열림 방향 및/또는 잠김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면들은 인가된 사용자의 연속적인 접근 또는 접촉시 상기 가동성 부품들을 선택적으로 열림 방향으로 작동시킨 다음 잠김 방향으로 작동시키거나, 또는 그 반대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성 부품에는 차량의 하나 이상의 창문, 슬라이딩 루프, 트렁크 리드 또는 하나 이상의 도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작용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 면(37, 67)이 상기 손잡이(2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 면(27, 47, 57)이, 상기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에서 상기 손잡이(20)의 옆에 배치된 덮개(25)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 로크를 잠그고 및/또는 열기 위해 및/또는 상기 가동성 부품들 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정전용량형 센서의 적어도 몇몇의 전자 부품들이 상기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손잡이에 또는 상기 손잡이 내부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12.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 로크를 잠그고 및/또는 열기 위해 및/또는 상기 가동성 부품들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정전용량형 센서(전자 센서 장치 28, 38)의 적어도 몇몇의 전자 부품(28, 38)이 상기 지지체(11) 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센서 장치(28, 38)는 상기 지지체(11)에 장착된 하우징 유닛(30)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30)은 미리 제조되어 상기 지지체(11)의 뒷면(26)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15.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30)은 미리 조립되어 상기 지지체에 장착된 샤프트(17)의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17)는 상기 지지체(11) 내에서 상기 손잡이(20)의 옆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16. 제 12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30)은 메인 하우징(31) 및 상기 메인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하우징 핑거(32)로 구성되고,
    상기 핑거의 단부(33)는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의 앞면 영역(25)에까지 이르고, 거기서 상기 로크의 잠금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센서 면(2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센서 장치(28, 38)는 상기 하우징 유닛(30)의 메인 하우징(31) 내에 통합되는 반면,
    상기 하우징 핑거(32)는 상기 지지체(11) 내에 있는 관통구(39)와 상기 도어의 하우징 외판(30)에 있는 구멍을 통해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18.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30)은 추후에 도어 내부(11)로부터 상기 도어 내에 고정된 지지체(11)의 뒷면으로 조립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지지체(11)의 뒷면으로부터 해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풀 핸들(pull handle)형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한쪽 단부(21)는 상기 지지체(11)에 지지되는 반면, 상기 손잡이의 다른 한쪽 단부(22)는 상기 로크와 상호 작용하는 암(23)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핑거(32)는 상기 암(23) 옆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플링 영역(50.1)을 위한 전달 면(36)은 상기 손잡이(20)의 암(23)의 내측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21.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플링 영역(50.1)을 위한 여자 면(35)은 상기 지지체(11)의 뒷면(26)에 부착된 하우징 유닛(30)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 면(35)은 상기 하우징 유닛(30)의 핑거(32)에 통합되고,
    상기 핑거(32)는 상기 손잡이가 작동되지 않을 때(20) 상기 암(23)의 윤곽 양상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23. 제 1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영역에서 작용하는 전극의 센서 면(67), 전달 면(56)을 갖는 내부 전극 및 이들을 연결하는 전기 도체(6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면(67), 전달 면(56) 및 도체(6)로 구성된 일체형 구조물이 상기 손잡이(20) 내 및/또는 상기 덮개(25)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구조물(67, 60, 56)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풀 핸들형 손잡이(20)의 암(23) 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KR1020067009507A 2003-10-16 2004-05-21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KR101051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3148719 DE10348719A1 (de) 2003-10-16 2003-10-16 Türauß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DE10348719.0 2003-10-16
PCT/EP2004/005473 WO2005047629A1 (de) 2003-10-16 2004-05-21 Türauss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388A true KR20060098388A (ko) 2006-09-18
KR101051834B1 KR101051834B1 (ko) 2011-07-25

Family

ID=34428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507A KR101051834B1 (ko) 2003-10-16 2004-05-21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48205B2 (ko)
EP (1) EP1673513B1 (ko)
KR (1) KR101051834B1 (ko)
CN (1) CN1867747B (ko)
DE (2) DE10348719A1 (ko)
WO (1) WO20050476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0172A (ko) * 2010-10-16 2013-09-09 아우디 아게 차량 도어 손잡이용 페인팅 보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8215B2 (ja) * 2003-10-29 2008-06-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人体検出装置
DE102004019571B4 (de) * 2004-04-22 2006-02-2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r elektrischen oder mechanischen Schließeinrichtung an einer Tür und/oder einer Klappe eines Fahrzeugs
WO2006013831A1 (ja) * 2004-08-05 2006-02-09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ドアハンドル装置
JP4600323B2 (ja) 2006-03-15 2010-12-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のドアハンドル
DE102006024292A1 (de) * 2006-05-24 2007-11-2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 zur elektrischen Betätigung eines Verschlusses an einer Klappe oder einer Tür in einem Fahrzeug
DE102006048375A1 (de) * 2006-10-09 2008-04-1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DE102007011080A1 (de) * 2007-03-07 2008-09-1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Außengriff an Türen oder Klappen von Fahrzeugen
EP1990486B1 (de) * 2007-05-08 2009-07-2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üraußengriffes
DE102007028898A1 (de) * 2007-06-22 2008-12-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uslösen von Funktionen in einem Fahrzeug
JP4751860B2 (ja) * 2007-07-27 2011-08-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ハンドル装置
DE102007059069A1 (de) 2007-12-07 2009-06-10 Volkswag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mit kapazitiven Sensoren und haptischer Rückmeldung
WO2009112310A1 (de) * 2008-03-13 2009-09-1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türaussengriff mit einem sensormodul
FR2942637B1 (fr) * 2009-03-02 2015-09-04 Valeo Securite Habitacle Poignee d'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JP2010216176A (ja) * 2009-03-18 2010-09-30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US8786401B2 (en) 2009-12-23 2014-07-22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ndable flush door handle for vehicle
DE102011008277B4 (de) 2011-01-11 2017-01-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Sensoreinheit zum berührungslosen Betätigen einer Fahrzeugtür
DE102011051165A1 (de) * 2011-06-17 2012-12-2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Handhabe eines beweglichen Teils mit einer Elektronikbaugruppe, die an unterschiedlichen Bauteilen angeordnet ist
DE102011055289A1 (de) * 2011-11-11 2013-05-1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Handhabe
DE102013104724A1 (de) * 2012-09-18 2014-03-2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icherheitssystem mit einem Unfallerkennungssensor
JP5932609B2 (ja) * 2012-11-08 2016-06-08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US9002584B2 (en) * 2013-03-19 2015-04-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in onset detection glazing auto-close
WO2016069310A1 (en) * 2014-10-29 2016-05-06 Adac Plastics, Inc. Decoupled handle switch
DE102017117926A1 (de) * 2017-08-07 2019-02-0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griffmodul
JP7067449B2 (ja) * 2018-12-12 2022-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構造
CN111335757B (zh) 2018-12-19 2021-10-15 麦格纳覆盖件有限公司 车门致动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28225A (fr) * 1937-10-23 1938-05-12 Motoculteur à chenille à voie très étroite
US4754255A (en) * 1984-03-12 1988-06-28 Sanders Rudy T User identifying vehicle control and security device
DE29623461U1 (de) * 1995-10-26 1998-07-23 Valeo Securite Habitacle System zum freihändigen Entriegeln und/oder Öffnen von Öffnungsvorrichtungen eines Kraftfahrzeuges
DE19617038C2 (de) * 1996-04-27 2000-11-30 Huf Huelsbeck & Fuerst Gmbh Schließsystem,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FR2778427B1 (fr) 1998-05-05 2000-06-23 Valeo Securite Habitacle Systeme de securite pour 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IT1305155B1 (it) * 1998-11-03 2001-04-10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per una porta di un veicolo.
US6529122B1 (en) * 1999-12-10 2003-03-04 Siemens Technology-To-Business Center, Llc Tactile sensor apparatus and methods
FR2802564B1 (fr) * 1999-12-21 2002-02-15 Valeo Securite Habitacle Systeme de securite d'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equipe de commutateurs sans actionnement mecanique
US6825752B2 (en) * 2000-06-13 2004-11-30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Effortless entry system and method
FR2828225B1 (fr) * 2001-08-01 2003-10-31 Valeo Electronique Poignee d'ouvra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12768A1 (de) 2001-12-12 2003-06-26 Witte Velbert Gmbh & Co Kg Im Kunststoffspritzgussverfahren insbesondere aus einem harten Kunststoff gefertigtes Betätigungselement
FR2833986B1 (fr) * 2001-12-26 2004-02-20 Valeo Electronique Poignee d'ouvrant avec capteur de presence
GB0201547D0 (en) * 2002-01-24 2002-03-13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Vehicle access control and start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0172A (ko) * 2010-10-16 2013-09-09 아우디 아게 차량 도어 손잡이용 페인팅 보조구
US9238248B2 (en) 2010-10-16 2016-01-19 Audi Ag Painting aid for a vehicle door ha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47629A1 (de) 2005-05-26
US20070182166A1 (en) 2007-08-09
KR101051834B1 (ko) 2011-07-25
DE502004011913D1 (de) 2010-12-30
EP1673513B1 (de) 2010-11-17
DE10348719A1 (de) 2005-05-12
US8248205B2 (en) 2012-08-21
CN1867747A (zh) 2006-11-22
CN1867747B (zh) 2010-12-22
EP1673513A1 (de)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8388A (ko)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유닛
KR101103466B1 (ko) 차량의 도어 및/또는 리드의 전기식 또는 기계식 잠금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US7445257B2 (en) Closing system for a door, lid or the like, particularly those of vehicles
CN101213577B (zh) 智能操作装置
KR100817426B1 (ko) 자동차의 개방 및 록킹 과정 개시 장치
JP4702638B2 (ja) 車両の扉及び/又ははね上げ蓋にある電気又は電気−機械錠掛け装置を操作する装置
US7126453B2 (en) Keyless system for actuating a motor-vehicle door latch
KR20080038327A (ko) 핸들 장치
US10907386B2 (en) Side door pushbutton releases
CN109885194A (zh) 用于滑动/敲击进入验证系统的触摸和手势板
KR101089854B1 (ko) 차체 또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전자식 또는 전자기계식접근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
US6657537B1 (en) Device for initiating an authorization request for a vehicle
US9745778B1 (en) Keyless entry handle and compressible spacer therefor
EP3375960B1 (en) Power locking door handle with capacitive sensing
JPH06167158A (ja) 自動車輌のドア開閉機密保持装置
KR20100072273A (ko) 자동차 잠금 장치
EP1696089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WO2006115159A1 (ja) 自動車
CN217841229U (zh) 用于车门的锁定装置
ES2117951A1 (es) Conjunto constituido por una cerradura de puerta de vehiculo automovil y sus organos de mando.
CN1875162A (zh) 门开关装置
US20230151650A1 (en) Vehicle with an unlocking mechanism, locking mechanism, and/or opening mechanism for an electronic lock
WO2020201786A1 (en) Sensor unit for a car locking system
CN114787473A (zh) 具有衬饰件的操作装置、车辆以及方法
CN111417762A (zh) 活动门的锁的简化闭锁和解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