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253A - 패키지 - Google Patents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253A
KR20060091253A KR1020060013881A KR20060013881A KR20060091253A KR 20060091253 A KR20060091253 A KR 20060091253A KR 1020060013881 A KR1020060013881 A KR 1020060013881A KR 20060013881 A KR20060013881 A KR 20060013881A KR 20060091253 A KR20060091253 A KR 20060091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film material
opening
film
opening st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3865B1 (ko
Inventor
토오루 이치카와
켄지 나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ublication of KR20060091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83A pair of interconnecting rigid strips made of plastic material, e.g. one or both being provided with a handle or 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55Peelable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34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with special means f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with means for reclo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패키지는 밀착된 주변 테두리부의 내부에 내용물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필름재를 서로 겹치고, 겹쳐친 필름재의 주변 테두리부를 밀착하여 만들어지며, 상기 밀착된 주변 테두리부에 쉬운 박리를 위한 처리를 실시하여, 패키지의 개봉시에 밀착된 주변 테두리부가 서로 분리 및 박리되는 포장체를 갖는다. 밀착된 주변 테두리부의 한쪽 외측에 개봉 개시부가 형성되어, 필름재는 이 개봉 개시부에서 서로 분리되고, 개봉 개시부를 형성하는 필름재의 내측면과 외측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구비된다.
패키지, 포장체

Description

패키지{PACK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키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패키지의 종방향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A"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응집박리 타입의 쉬운 박리를 위한 처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층간박리(적층막 박리)타입의 쉬운 박리를 위한 처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계면박리 타입의 쉬운 박리를 위한 처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7a 내지 7c는 패키지를 개봉하는 순서를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필름재를 둘로 접어서 형성한 패키지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패키지의 종단면도.
도 10은 돌기부로서 구성되는 선형 부재의 접착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선형 부재가 필름재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상부와 바닥부에 아크(원호 또는 라운드)부를 갖는 패키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패키지의 개봉 개시부인 테이퍼진 전방단부를 갖는 패키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제 1실시예의 것과는 다른 형태의 돌기가 구비된 개봉 개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사람의 손가락을 끼우는 노치(notch)가 형성된 돌기부재로서 선형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파형(波形)으로 형성된 돌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돌기부재가 패키지의 개봉 개시부의 외측면에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의 사시도.
도 18은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패키지를 복수개 겹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돌기부재를 구비하지 않은 패키지를 복수개 겹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1C, 1D:포장체 2, 3, 20:필름재
4, 5, 6, 22, 23:밀착부 9, 25:수용부
10, 10a, 30, 45, 50, 60:개봉 개시부
11, 12, 31, 32, 46, 47, 51, 52, 61, 62, 65, 67:돌기부
37:필름재 38:선형 부재
본 발명은 서로 겹쳐진 필름재를 상호 박리시켜서 개봉하는 패키지 또는 패키지 백에 관한 것이다.
일부 패키지 또는 패키지 백(편의상 이하에서는 "패키지"라 칭함)은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되는 내부 공간부를 갖는 패키지 형상을 제공하도록 2개의 재료를 서로 겹쳐서 그들의 주변 테두리부를 밀착하는 구조를 가지며, 내부 공간부는 내용물 수용부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패키지로서, 밀착부에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하는 처리를 실시하고, 이 밀착부에 대해서 2개의 부재를 상호 박리시킴으로써, 패키지를 개봉하도록 구성한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그러한 패키지의 일예가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6-4846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패키지는 개구부를 갖는 용기와, 이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개구부의 주변 테두리부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뚜껑은 그의 주변 테두리부를 통해 플랜지부에 밀착된다. 또한, 밀착 플랜지부와 뚜껑부를 분리 또는 박리시켜, 용기로부터 뚜껑이 분리되도록 하 위해서 이 밀착부에 쉬운 분리를 위한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2장의 필름재를 겹친 다음 밀착하여 패키지를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크기에 맞추어 패키지의 크기 자체를 작게 만들면, 밀착부의 박리가 힘들어지고, 그로 인해서 패키지의 개봉이 어려워진다. 즉, 패키지를 작게 하면 개봉 개시부(즉, 박리 개시부)가 작아지며, 따라서 이러한 패키지는 손이 큰 사람이나, 젖은 손으로 개봉하는 경우에는 개봉하기가 힘들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재를 겹쳐서 밀착하여 형성하고, 패키지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개봉 개시부를 갖는 패키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밀착된 주변 테두리부의 내부에 내용물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필름재를 서로 겹치고, 겹쳐친 필름재의 주변 테두리부를 밀착하여 만들어지며, 상기 밀착된 주변 테두리부에 쉬운 박리를 위한 처리를 실시하여, 패키지의 개봉시에 밀착된 주변 테두리부가 서로 분리 및 박리되는 포장체와; 상기 밀착된 주변 테두리부의 한쪽 외측에 형성된 부분으로, 이 부분에서 상기 필름재가 서로 분리되는 개봉 개시부와; 개봉 개시부를 형성하는 필름재의 내측면과 외측면 중 한쪽 이상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에 의해서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를 상기 필름재의 양쪽 표면에 구비해도 된다. 또, 상기 돌기의 위치는 서로 이동해도 된다.
상기 패키지에 있어서, 개봉 개시부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패키지는, 내측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제공하도록 2장의 별개의 필름재를 서로 겹치고, 겹쳐진 필름재의 주변 테두리부를 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키지는, 1장의 필름재를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접히도록 하고, 접힌 필름재는 접힌 일측 테두리부 이외의 주변 테두리부에서 겹쳐져서 밀착되고, 상기 개봉 개시부는 상기 접힌 일측 테두리부와 대응하는 테두리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는 히트 시일 처리를 통한 고온의 공기, 또는 접착 공정을 통해 필름재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개봉 개시부에 배치되고, 직사각형, 원형 등의 단면을 갖는 돌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돌기부재는 개봉 개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실질적으로 전체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돌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기는 개봉 개시부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만곡된 돌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겹쳐진 필름재들을 밀착시켜서 형성한 밀착부를 분리 및 박리시켜서 패키지를 개봉할 때, 손가락으로 개봉 개시부를 쉽게 집을 수 있다. 즉, 패키지의 개봉을 위해 손가락을 거는 돌기가 개봉 개시부에 구비되어 있어, 패키지의 밀착부는 쉽게 개봉된다. 돌기가 필름재의 내측면에 형성될 경우에, 겹쳐진 필름재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밀착된 패키지를 쉽게 개봉할 수 있다. 따라서, 손이 큰 사람이 개봉하는 경우나 젖은 손으로 개봉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또, 개봉 동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 밀착부의 박리강도를 크게 하여, 밀폐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를 구비하지 않은 종래의 패키지라면, 1500g/15mm 이상의 힘으로 개봉시키는 패키지를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관련된 패키지에서는 500 내지 2000g/15mm의 힘으로 개봉되는 패키지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착된 패키지의 개봉을 쉽게 하기 위하여, 개봉 개시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패키지의 상부 밀착 테두리부로부터 연장되는 개봉 개시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패키지를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필름재의 양을 절약할 수 있어 이익적이다.
또한, 상기 돌기의 높이, 즉, 개봉 개시부의 두께가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의 두께와 동일하게 만들어진 구조에 있어서, 패키지를 겹쳐놓을 경우에, 높이가 균형을 이루면서 겹쳐질 수 있으므로, 상자로 포장되는 패키지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본질 및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의 도시를 참고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부"는 개구가 형성된 패키지의 상부측에 상응하며, "하부"는 패키지의 하부측에 상응함을 주목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1A)를 나타낸다.
이 패키지(1A)는, 직사각형 형상의 2장의 필름재(2, 3)를 중첩시키는 방식으 로 겹쳐서 구성한 것이다. 이 패키지(1A)는, 패키지(1A)의 바닥 테두리부, 양측 테두리부 및 상측 테두리부에서 일정한 폭으로 밀착되어 있는 밀착부(4, 5, 6)를 갖는다. 또한, 상측 밀착부(6)는 그의 상단 테두리부보다 약간 안쪽에 형성되어 있고, 이 밀착부(4, 5, 6)로 둘러싸인 내측 공간부는 내용물(M)을 수용하는 수용부(9)로서 형성되어 있다.
패키지(1A)의 일측부를 이루는 상측 테두리부에는, 개봉 개시부(10)(밀착부의 개봉 조작이 시작되는 부분)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봉 개시부(10)는 패키지(1A)(즉, 패키지(1A)의 일부)를 형성하는 필름재(2, 3)로 이루어지며, 상술한 상단 테두리부보다 약간 안쪽에서 상측 밀착부로부터 약간 외측으로 연장하여 만든 것이다.
이 패키지(1A)는 정제, 콘택트렌즈, 피임구 등의 작은 물품, 샴푸나 젤리와 같은 액상의 유체, 또는 약품이나 조미료와 같은 분말체를 수용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 패키지(1A)는, 개봉 개시부(10)로부터 2장의 필름재(2, 3)를 서로 분리한 다음, 밀착부(4, 5, 6)을 박리시킴으로써 개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들 밀착부(4, 5, 6)는 쉬운 박리를 위한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또한, 쉬운 박리를 위한 상기 처리에 의해, 밀착된 상태에서 패키지(1A)의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개봉시에는 밀착된 필름재(2, 3)를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응집박리 타입, 적층막 박리(층간박리) 타입, 계면박리 타입과 같은 다양한 타입을 채용할 수 있다.
응집박리 타입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층(7) 자체가 파괴되어 분리되는 타입으로, 시일재가 양쪽의 필름재(2, 3)에 남는다. 층간박리 타입이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동 압출로 적층필름(2, 3)을 형성하고, 서포트층(8)과 시일층(7) 간의 접착강도를 약하게 하여, 개봉시에 서포트층(8)과 시일층(7)이 분리되는 타입이다. 그리고, 계면박리 타입이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층(7) 전체가 한쪽의 필름재(2 또는 3)와 결합되고 다른쪽의 필름재(3 또는 2)로부터 분리되는 타입이다. 이러한 계면박리 타입으로서는, 간단히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와 같은 접착성 수지를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패키지(1A)에는 이하에 열거하는 특성이 요구된다.
1. 무미, 무취, 무독일 것.
2. 기계에 대한 적용성이 좋을 것. 특히, 히트 시일성(온도, 압력, 시간)의 적용성 범위가 넓을 것.
3. 트리밍, 커팅 성능이 뛰어날 것.
4. 젤리형상의 물질을 포함한 유체용 패키지(1A)에 적용할 경우에는, 우수한 시일 관통 오물(즉, 오물이나 불순물에 대한 우수한 시일성) 및 협잡물 시일성이 좋을 것.
5. 치수의 변화가 적을 것. 특히, 장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수축 추종성을 가질 것.
6. 내용물(M)을 패키지(1A)의 외부로부터 보이게 할 경우에는 투명성을 가질 것.
7. 500 내지 2000g/15mm 범위의 박리강도 갖고, 용도에 따라 개별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을 것.
8. 박리강도가 가열살균 조건이나 사용조건 등의 변화에 대해서도 안정적이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지 않을 것.
9. 내용량에 대한 우수한 강도를 가질 것. 즉, 가열살균시에 내용물(M)에 포함된 유지(油脂)에 의해 오렌지 껍질형상으로 되지 않을 것.
10. 박리시에 노킹, 필링(peeling) 잡음이 없고, 원활하게 박리시킬 수 있을 것.
11. 박리면에 실처럼 늘어나거나 얇은 막이 잔류하는 어떠한 페더링(feathering)도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박리면이 깨끗할 것.
그 밖에도, 인쇄필름과의 라미네이트에 의해, 컬 발생(curling), 피치(pitch) 불량과 같은 결함도 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일형상, 실러(sealer) 등과의 적합성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개봉 개시부(10)에 대해서 추가로 설명한다.
개봉 개시부(10)는, 필름재(2, 3)의 일부가 밀착되지 않고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각 대향 필름재(2, 3)의 내측면에는, 돌기 또는 돌기부재(11, 12)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돌기(11, 12)는, 필름재(2, 3)들의 사이에 틈을 제공하고, 필름재(2, 3)를 손가락으로 집어서 이들을 서로 분리시키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돌기(11, 12)는, 그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패키지(1A)의 횡방향, 즉 폭방향으로 각기 연장되는 선형 돌기부재로 형성된다.
이들 돌기(11, 12)는 그 위치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부착되는 위치가 서로 약간 이동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1A)의 도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에 배치된 필름재(2)에 형성된 돌기(11)가, 하측에 배치된 필름재(3)에 형성된 돌기(12)보다도, 패키지(1A)의 상측(도면에서 보아 우측) 테두리로 위치가 이동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기(11, 12)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개봉 개시부(10)의 두께를 매우 얇게 하면서, 필름재(2, 3)들 사이에 확실하게 틈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돌기(11, 12)는 고온의 공기나 히트 시일(heat-seal)에 의해 필름재(2, 3)상에 돌기(11, 12)를 접착시킴으로써 필름재 위에 부착된다. 또, 돌기(11, 12)를 접착제로 접착시키거나, 수지재를 필름재(2, 3)에 사출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여러 가지 실시예에 관련된 돌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술한 돌기 형성방법이나 공정들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패키지(1A)를 만들기 위한 필름재(2, 3)로서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2㎛/AL(알루미늄) 20㎛/PET 12㎛/CPP(캐스트 폴리프로필렌) 60㎛로 이루어지는 적층필름을 사용한다. CPP 60㎛는 쉬운 박리를 위한 처리용으로서 필름재(2, 3)의 각 내측면에 접착된 필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만든 패키지(1A)는, 도 7a 내지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개봉한다.
우선,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봉 개시부(10)를 구성하고 있는 필름재 (2, 3)의 일부를 각각 손가락으로 집고, 필름재(2, 3)를 서로 분리시킨다. 이 때, 개봉 개시부(10)에는, 돌기부재(11, 12)가 각 필름재(2, 3)의 대향되는 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름재(2, 3)들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어 있어, 용이하게 각각의 필름재(2, 3)을 손가락으로 집을 수 있다. 또, 필름재(2, 3)를 손가락으로 집었을 때, 돌기부재(11, 12)가 손가락에 걸려, 그립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이 때문에, 손가락으로 집어서 필름재(2, 3)를 분리시키는 것이 한층 용이해진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재(2, 3)의 분리가 진행되면, 양측 및 상측 밀착부(5, 6)가 박리되어, 내용물(M)이 표출된다. 또한, 필름재(2, 3)를 더욱 분리시키면, 모든 밀착부(4, 5, 6)가 박리되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재(2, 3)가 완전히 분리되어 개봉 동작이 종료된다.
이하, 밀착부의 박리강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돌기 또는 돌기부재(11, 12)를 형성하지 않은 패키지에서는, 개봉시의 조작도 고려하여 약 500 내지 1500g/15mm의 강도로 박리되도록 밀착시켜야 한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1A)에서는, 돌기(11, 12)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집기 쉽도록 함으로써, 백의 개봉동작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약 2000g/15mm 정도까지 박리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박리강도를 높임으로써, 높은 밀봉성을 구비한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패키지의 개봉이 쉬워짐으로써 개봉 개시부(10)의 뿌리부분을 구성하는 상측 밀착부(6)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용부(9)의 내부 용량을 유지하면서도, 패키지(1A)의 전체 종방향 길이를 짧고 콤 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패키지(1A)를 완성시키기 위해 필요한 재료의 양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2장의 필름재(2, 3)를 서로 겹쳐서 부착한 패키지를 예로 설명했지만,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장의 필름재를 동일한 두부분으로 포개어 패키지(1B)를 구성해도 된다.
도 8 또는 도 9에 나타낸 이 실시예에 있어서, 패키지(1B)는 1장의 필름재(20)를 그 중앙부분에서 둘로 접어서 구성한 것이다. 둘로 접을 때에 형성되는 접선부(21)를 패키지(1B)의 바닥부로 하고, 그의 대향 부분을 패키지(1B)의 상부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접은 필름재(20)의 상측 테두리의 약간 안쪽부터 양측테두리 및 상측 테두리부는 각각, 양측 및 상측 밀착부(22, 23)로서 그들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서로 밀착된다. 이들 접선부(21)와 양측 밀착부(22) 및 상측 밀착부(23)로 둘러싸인 내측 부분이, 내용물(M)을 수용하는 수용부(25)로서 제공된다.
그리고, 패키지(1B)의 상측 테두리부에는 패키지(1B)를 개봉시키기 위한 개봉 개시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봉 개시부(30)도 필름재(20)의 일부로서, 상술한 패키지(1B)의 상측 밀착부(23)보다 약간 외측으로 연장시켜서 만든 것이다.
이 패키지(1B)에 대해서도 밀착부(22, 23)는, 상술한 패키지(1A)와 같이 쉬운 박리를 위한 처리가 실시되었고, 또, 필름재(20)가 서로 대향하는 개봉 개시부(30)의 내측면에는 돌기(31, 3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2개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돌기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을 예로 설명했지만, 원형 등의 다른 단면을 갖는 부재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방식으로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도 10은 원형 단면을 갖는 선형 부재(38)를 필름재(37)에 부착하는 공정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이 공정에 있어서, 패키지를 구성하는 띠형상의 필름재(37)는 가이드롤러(35)에 의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됨과 동시에, 돌기로서의 선형 부재(38)는 가이드롤러(35)에 의해 선형 부재(38)의 축방향으로 안내되고 있다. 가이드롤러(35)의 원주면 부분에서, 선형 부재(38)는 필름재(37)의 폭방향의 일측단부 또는 양측단부에서 표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가이드롤러(35)의 상방에는 노즐(36)을 갖는 히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노즐(36)은 가이드롤러(35)의 외주면을 향하고 있다. 이 히터의 노즐(36)로부터 고온의 공기가 분출되어, 선형 부재(38) 및 필름재(37)를 가열한다. 이 때문에, 선형 부재(38)는 가이드롤러(36)로 안내되는 동안에 분출된 고온의 공기에 의해 가열되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재(37)와 접촉하는 선형 부재의 하부면이 필름재(37)에 접착된다.
원형 단면을 갖는 선형 부재(38)를 사용하면,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선형 부재에 비해, 필름재(37)와 접촉되는 부분에서 선형 부재(38)는 높은 면(지지)압을 갖는다. 또, 원형 단면을 갖는 선형 부재(38)는 필름재(37)와 접촉되는 부분이 작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의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선형 부재에 비해서 같은 열량으로도 쉽게 용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원형 단면을 갖는 선형 부재(38)에서는, 이러한 공정으로 필름재(37)에 효과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 패키지 1개분의 크기로 절단된 필름재와, 패키지 1개분의 크기로 절단된 선형 부재를 사용하고, 열공정을 통해서 선형 부재를 가열하여 필름재의 표면에 접착해도 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원형 단면을 갖는 선형 부재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사각형 형상뿐만 아니라, 반원형상의 것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의 소정 간격마다 노치(notch)를 갖거나, 파형으로 형성된 부재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고온의 공기 및 히트 시일방법에 의해 선형 부재를 필름재에 접착시킨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선형 부재를 접착제로 접착시켜도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패키지의 외형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직사각형 이외의 다른 외형을 갖는 다른 패키지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키지(1C)는 바닥부(41) 및 개봉 개시부(45)를 형성하는 상측 테두리부를 가지며, 이들 모두는 라운드 또는 원호형상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대향된 필름재의 내측면에 부착된 돌기(46, 47)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선형뿐만 아니라, 패키지(1C)의 상측 테두리부를 따라 패키지 백의 형상을 제공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도 13은 개봉 개시부(50)로서 형성되고, 외측으로 테이퍼진 상측 테두리부를 갖는 패키지(1D)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테이퍼진 개봉 개시부(50)를 갖는 도 13에 도시한 패키지(1D)용 개봉 개시부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선형 돌기 대신에, 포인트 돌기 또는 부분 돌기(51, 52)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패키지는 직사각형 개봉 개시부(60)를 지닌 직사각형상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겹쳐진 필름재의 내측면 상에는 각각, 포인트 또는 짧은 선형 돌기(61, 62)가 형성되고, 패키지의 폭방향으로는 돌기(61, 62)가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겹쳐진 필름재 사이에 틈을 형성함으로써 개봉 개시부(60)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약간 이동한 정렬 형태를 갖는 개봉 개시부(60)를 형성한다.
또한,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돌기(65, 67)에 손가락을 거는 원형 홈부(66, 68)을 형성해도 된다. 도 15는 돌기(65)에 원호형상의 노치(66)를 형성한 것이고, 도 16은 돌기부 자체를 원형의 파형(68)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손가락을 걸 수 있는 원형 홈부(66, 68)을 갖는 돌기(65, 67)를 형성함으로써, 손가락과 돌기부의 접촉을 선접촉으로 할 수 있어, 집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개봉 개시부(10a)를 구성하고 있는 필름재(2, 3) 부분의 외측면에 돌기(11, 12)를 부착해도 된다. 이 실시예의 패키지(70)는, 패키지 그 자체가 패키지(1A)와 동일 구조이다. 이 때문에, 도 17에서는 도 1의 패키지(1A)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패키지(70)는 개봉 개시부(10a)에 있어서, 돌기(11, 12)가 필름재(2, 3)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패키지(1A)와의 배열과 상이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의 패키지는 앞에서 언급한 바에 추가하여, 추가적인 특징 및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은 상술한 복수의 패키지(1A)가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각 패키지(1A)에 있어서, 돌기(11, 12)의 높이는 개봉 개시부(10)의 두께(t2)가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9)의 두께(t1)와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된다. 그와 같이 설정한 돌기(11, 12)의 높이로 인해서, 적층한 패키지(1A)의 개봉 개시부의 전체 두께는 적층된 내용물 수용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패키지(1A)를 상자에 넣는 작업시에 특히 유리하다.
한편, 도 19는 돌기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패키지(80)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개봉 개시부(81)는 작은 두께(t4)를 갖고, 내용물 수용부(82)는 두께(t4)보다 큰 두께(t3)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패키지(80)는 적층되며, 적층된 패키지(80)의 바닥부는 원호형상으로 펼쳐지므로, 패키지(80)를 상자에 넣으려고 할 때에 어느 정도는 불리하며 번거로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의 형성은 다수의 패키지의 적층시에 높이의 조절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만들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대안으로, 돌기는 필름재의 양면에 형성함이 없이, 필름재의 한면 상에만 형성 또는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키지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개봉 개시부를 갖는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밀착된 주변 테두리부의 내부에 내용물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필름재를 서로 겹치고, 겹쳐친 필름재의 주변 테두리부를 밀착하여 만들어지며, 상기 밀착된 주변 테두리부에 쉬운 박리를 위한 처리를 실시하여, 패키지의 개봉시에 밀착된 주변 테두리부가 서로 분리 및 박리되는 포장체와;
    상기 밀착된 주변 테두리부의 한쪽 외측에 형성된 부분으로, 이 부분에서 상기 필름재가 서로 분리되는 개봉 개시부와;
    개봉 개시부를 형성하는 필름재의 내측면과 외측면 중 한쪽 이상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패키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필름재의 양쪽 표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3. 제 2항에 있어서,
    필름재의 양쪽 표면에 형성된 상기 돌기는 서로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개시부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상기 수용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5. 제 1항에 있어서,
    내측에 내용물을 수용시키는 수용부를 제공하도록 상기 2장의 별개의 필름재는 서로 겹쳐지고, 겹쳐친 필름재의 주변 테두리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6. 제 1항에 있어서,
    1장의 필름재가 중앙부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접히고, 접힌 필름재가 겹쳐진 다음, 접힌 일측 테두리부 이외의 주변 테두리부에서 서로 밀착되고, 개봉 개시부는 상기 접은 일측 테두리부의 대향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고온의 공기에 의한 부착 공정을 통해 필름재의 표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히트 시일 처리를 통해 필름재의 표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패키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접착제에 의해 필름재의 표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개봉 개시부에 배치된 돌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재는 개봉 개시부가 형성된 부분에 실질적으로 전체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돌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원형 단면을 갖고 개봉 개시부에 배치된 돌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재는 개봉 개시부가 형성된 부분에 실질적으로 전체가 횡방향으 로 연장되는 선형 돌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개봉 개시부가 형성된 부분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만곡된 돌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KR1020060013881A 2005-02-14 2006-02-13 패키지 KR101213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36281A JP4832769B2 (ja) 2005-02-14 2005-02-14 包装体
JPJP-P-2005-00036281 2005-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253A true KR20060091253A (ko) 2006-08-18
KR101213865B1 KR101213865B1 (ko) 2012-12-18

Family

ID=36102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881A KR101213865B1 (ko) 2005-02-14 2006-02-13 패키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061897B2 (ko)
EP (1) EP1690803B1 (ko)
JP (1) JP4832769B2 (ko)
KR (1) KR101213865B1 (ko)
AU (1) AU2006200413A1 (ko)
DE (1) DE602006001597D1 (ko)
HK (1) HK1094439A1 (ko)
RU (1) RU2006104518A (ko)
SG (1) SG125185A1 (ko)
TW (1) TWI36654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000A (ko) * 2013-05-07 2016-01-13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필름 적층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7269B2 (ja) * 2006-12-28 2012-10-24 株式会社ダイワパックス イージーピール包装袋
GB0711827D0 (en) * 2007-06-18 2007-07-25 Brown Charles N Protective container
US7681732B2 (en) 2008-01-11 2010-03-23 Cryovac, Inc. Laminated lidstock
US8292076B2 (en) * 2010-06-22 2012-10-23 Ethicon, Inc. Sealed pouches for medical devices having textured opening flanges and methods therefor
SG189573A1 (en) * 2011-10-18 2013-05-31 Menicon Singapore Pte Ltd Contact lens secondary packaging and methods
SG189572A1 (en) 2011-10-18 2013-05-31 Menicon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stage sealing of contact lens packaging
US20180134475A1 (en) * 2012-10-18 2018-05-17 Menicon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Stage Sealing of Contact Lens Packaging
USD883655S1 (en) * 2013-05-31 2020-05-12 Maria Lotosky-Compton Medical pouch for endoscopic tools
US20150217921A1 (en) * 2014-02-06 2015-08-06 Novos LLC Manageable Substance Applicator Delivery Container
USD766076S1 (en) * 2015-01-23 2016-09-13 A&A Global Imports, Inc. Plastic bag package
USD856792S1 (en) * 2017-03-31 2019-08-20 Central Bag And Burlap Co. Bag
US11229266B2 (en) 2019-01-22 2022-01-25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Tessellating blister packages for contact lenses
US11136176B2 (en) 2019-01-22 2021-10-05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Contact lens blister package with lens cradle
US11267643B2 (en) 2019-01-22 2022-03-08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Contact lens dispenser
US11419397B2 (en) 2019-01-22 2022-08-23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Push-up contact lens blister package
US11253035B2 (en) 2019-01-22 2022-02-22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Blister package for contact lens
US11673733B2 (en) * 2019-07-12 2023-06-13 Church & Dwight Co., Inc. Separable package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4116A (en) * 1957-05-06 1960-09-27 Johnson & Johnson Rupturable seal package with sterilized moist contents
US2973859A (en) * 1959-04-20 1961-03-07 Johnson & Johnson Adhesive bandage
US3726057A (en) * 1969-08-19 1973-04-10 Cenco Medican Ind Inc Suture packaging
BE754944A (fr) * 1969-08-19 1971-02-01 Philip Morris Inc Emballage steri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DE7026745U (de) * 1970-07-16 1970-11-12 Braun Fa B Packung fuer chirurgiesches nahtmaterial.
DE7435910U (de) * 1974-10-26 1975-02-20 Gundermann Unionpack Folienverpackung fuer Medikamente
JPS5413678A (en) * 1977-06-30 1979-02-01 Taikisha Kk Organic solvent contained exhaust gas reusing system in painting facility
JPS6038542Y2 (ja) 1980-01-08 1985-11-18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レンズ収納ケ−ス
US4444310A (en) * 1982-07-26 1984-04-2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egmented multi-product package assembly
JPS60139760A (ja) * 1983-12-27 1985-07-24 Yamada Kagaku Kogyo Kk 発色性記録材料
JPS61188962A (ja) * 1985-02-18 1986-08-22 Sanyo Electric Co Ltd Cmos半導体装置
US5009828A (en) * 1985-09-26 1991-04-23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of forming a reclosable container with grip strip
US4849606A (en) * 1987-12-23 1989-07-18 S. C. Johnson & Son, Inc. Tamper-resistant container utilizing a flexible seal
US4998621A (en) * 1989-08-11 1991-03-12 Frank Meehan Package for a liquid sample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packaging a liquid sample
US5092684A (en) * 1991-03-04 1992-03-03 Illinois Tool Works Inc. Post-applied zipper base with grip strip
US5259904A (en) * 1992-05-08 1993-11-09 Minigrip, Inc. Oscillating grip strip for recloseable plastic bag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JPH0648468A (ja) 1992-07-22 1994-02-22 Idemitsu Petrochem Co Ltd 易開封性容器
JPH0692388A (ja) 1992-09-03 1994-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集合体
JPH07112746A (ja) * 1993-10-19 1995-05-02 Idemitsu Petrochem Co Ltd 易開封性密封袋
US5527112A (en) * 1994-04-15 1996-06-18 Dowbrands L.P. Adhesive closure for flexible bag
USD356889S (en) * 1994-04-21 1995-04-04 Abrams Richard W Contact lens package
USD357115S (en) * 1994-04-21 1995-04-11 Abrams Richard W Contact lens package
US5857572A (en) 1995-12-21 1999-01-12 Bird; Gerald C. Component carrier tape
US5944189A (en) * 1996-04-24 1999-08-31 Ferag Ag Sample bags having thickened regions
JP2000007020A (ja) 1998-06-17 2000-01-11 Nitto Denko Corp チップ型電子部品用キャリア材及びその製造法
JP4220027B2 (ja) * 1998-09-18 2009-0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体
US6210038B1 (en) * 1998-11-03 2001-04-03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Closure arrangement having a peelable seal indicator
JP2000219230A (ja) * 1999-01-27 2000-08-08 Kao Corp 容 器
US6029808A (en) * 1999-01-29 2000-02-29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Primary package for contact lens
USD462900S1 (en) * 2001-01-23 2002-09-17 Kao Corporation Package
JP2002302158A (ja) * 2001-04-02 2002-10-15 Fujimori Kogyo Co Ltd 包装容器
JP2003070851A (ja) 2001-09-06 2003-03-11 Seiko Epson Corp 治療管理方法及び治療管理システム
US6929128B2 (en) * 2003-06-12 2005-08-16 Marietta Corporation Product sampler packet assembly with enhanced burst strength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60054514A1 (en) * 2004-09-16 2006-03-16 Michael Tokarski Contact lens package
US20060213783A1 (en) * 2005-03-22 2006-09-28 Michael Tokarski Ophthalmic lens package
US7422105B2 (en) * 2005-12-30 2008-09-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ckaged tampon and applicator assembly
US8459445B2 (en) * 2006-07-21 2013-06-11 Menicon, Co., Ltd. Colored contact lens primary packaging
US8622206B2 (en) * 2006-09-08 2014-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el-to-open packages
US7477366B2 (en) * 2006-12-07 2009-01-13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Contact lens blister packages and methods for automated inspection of hydrated contact lens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000A (ko) * 2013-05-07 2016-01-13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필름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6540B (en) 2012-06-21
JP2006219176A (ja) 2006-08-24
US20060182909A1 (en) 2006-08-17
SG125185A1 (en) 2006-09-29
US8061897B2 (en) 2011-11-22
HK1094439A1 (en) 2007-03-30
EP1690803A1 (en) 2006-08-16
AU2006200413A1 (en) 2006-08-31
DE602006001597D1 (de) 2008-08-14
RU2006104518A (ru) 2007-09-20
TW200640759A (en) 2006-12-01
KR101213865B1 (ko) 2012-12-18
JP4832769B2 (ja) 2011-12-07
EP1690803B1 (en)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865B1 (ko) 패키지
JP5985636B2 (ja) 栓または蓋によって閉じられる容器を密封する新規タブシールおよびそのタブシールの製造方法
JP2008522912A (ja) パッケージング
JPH07112746A (ja) 易開封性密封袋
RU2334661C2 (ru) Герметичная упаковка для разливаемых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JP7123054B2 (ja) スパウトキャップ、スパウトおよびスパウト付き容器
TWI500560B (zh) 具有包含一折斷蓋的單一本體之包裝
JP6044048B2 (ja) 再密封が可能なブリスター包装容器
CN116177023A (zh) 管容器及其制造方法
KR19980063678A (ko) 포장체 및 포장체의 제조 방법
JP7018704B2 (ja) 自立袋の製造方法
JP5988545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8273632A (ja) 外気の侵入を阻止する注出ノズルを有する包装袋
JP6925178B2 (ja) スパウト付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内容物入りスパウト付包装袋
JPH0776354A (ja) 易開封テープ貼り密封袋
JP2004026169A (ja) 易開封性包装袋
JP7243234B2 (ja) 包装体
JP6459575B2 (ja) 包装袋
JP4082950B2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の製袋方法
FR2462351A1 (fr) Sachet sterilisable
JP7445941B2 (ja) 包装握り飯
JP3924173B2 (ja) 商品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40209606A1 (en) Dispensing port
JP4296626B2 (ja) チャック付き密封用包装材及びチャック付き密封包装体
JP3637023B2 (ja) 商品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