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924A - 양이온, 양이온성 중합체, 고체 화합물 및 전분을 포함하는미용 조성물, 및 미용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양이온, 양이온성 중합체, 고체 화합물 및 전분을 포함하는미용 조성물, 및 미용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924A
KR20060090924A KR1020060007733A KR20060007733A KR20060090924A KR 20060090924 A KR20060090924 A KR 20060090924A KR 1020060007733 A KR1020060007733 A KR 1020060007733A KR 20060007733 A KR20060007733 A KR 20060007733A KR 20060090924 A KR20060090924 A KR 20060090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tarch
wax
carbon atoms
fat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빠스칼 라즈리
로랑 슈스노
베로니끄 마슈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0450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09092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20060090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9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8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nitrogen, e.g. amodimethicone, trimethyl silyl amodimethicone or dimethicone propyl PG-betai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05Y2900/15Balcony gla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수성 매질 내에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하나 이상의 전분, 바람직하게는 개질 전분, 특정 양이온성 전하를 갖는 하나 이상의 비실리콘 양이온성 중합체, 및 35 ℃ 이상의 용융점을 갖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비중합성 고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또한 케라틴 물질 및 특히 모발의 처리를 위한 미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개선된 컨디셔닝 효과, 특히 모발끝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미용 조성물

Description

양이온, 양이온성 중합체, 고체 화합물 및 전분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및 미용 처리 방법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 A CATIONIC POLYMER, A SOLID COMPOUND AND A STARCH, AND COSMETIC TREATMENT PROCESS}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하나 이상의 개질 전분, 높은 양이온성 전하를 갖는 하나 이상의 비실리콘 (non-silicone) 양이온성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특정 비이온성 비중합성 (non-polymeric) 고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 상세하게는 모발 컨디셔너에 관한 것이며, 케라틴 물질, 특히 모발의 처리를 위한 미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기 물질 (atmospheric agent) 의 작용하, 또는 염색, 탈색 및/또는 퍼머와 같은 기계적 또는 화학적 트리트먼트의 작용 하에 다양한 정도로 민감화된 (즉, 손상되고/되거나 취약화된) 모발은 종종 엉킴을 풀고 스타일링하기가 어렵고, 부드러움이 부족하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특히 전분 또는 셀룰로오스와 같은 증점용 폴리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은 이미 케라틴 물질, 특히 모발의 처리에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은 헹굼성 문제, 안정성 문제, 케라틴 물질 상에 골고루 펴바르기 어려움 및 불충분한 미용적 특성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모발의 엉킴을 푸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모발에 부드러움 및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모발과 같은 케라틴성 물질의 세정 또는 케어용 조성물에 양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실리콘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이미 권장되어 왔다. 상기 목적을 위한 양이온성 중합체 또는 양이온들의 사용은 각종 단점을 갖고 있다. 모발에 대한 그의 고친화성으로 인해, 반복되는 사용동안 상기 중합체의 일부가 다량으로 모발에 침적되어, 불쾌함, 무게감과 모발의 뻣뻣함, 그리고 스타일링에 영향을 미치는 섬유간 접착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효과를 초래한다.
더욱이, 민감화된 모발을 위해 사용되는 케어가 대개 손상이 심한 모발끝의 처리에 불충분할 수 있다.
요약하면, 현재의 컨디셔닝 미용 조성물은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매우 민감화된 모발에 대한 매우 양호한 미용 특성을 갖는 미용 조성물을 얻고자 하였다.
본 출원인은 이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전분, 바람직하게는 개질 전분, 특정 양이온성 전하를 갖는 비실리콘 양이온성 중합체, 및 특정 비이온성 비중합성 고체 화합물의 조합물이 상기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기 조성물로 처리된 모발은 매끄럽고, 쉽게 풀어지며, 윤기있고, 유연하 고, 뭉치지 않으며, 잔류감 없이 부드러운 감촉을 갖는다. 모발이 자연스럽고, 무게감 없는 외관을 갖는다. 모근부터 모발끝까지 균일하게 매끄럽다. 모발끝의 갈라짐이 적다.
더욱이, 이러한 효과가 장시간 지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수성 매질 내에,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하나 이상의 전분, 바람직하게는 개질 전분, 5 meq./g 이상의 양이온성 전하 밀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비실리콘 양이온성 중합체, 및 35 ℃ 이상의 용융점을 갖고/갖거나 40 ℃ 의 온도 및 1 S- 1 의 전단률에서 1 Pa.s 이상의 점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비중합성 고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신규 미용 조성물이 이제 제안된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상기 언급된 조성물을 사용하여 케라틴 물질, 특히 모발을 처리하기 위한 미용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모발 컨디셔너로서의 상기 조성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기타 주제, 특징, 양태 및 잇점은 후술할 상세한 설명 및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좀더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민감화된 모발" 은 외부의 물리적 작용 (빛, 열, 웨이브 등), 기계적 작용 (반복되는 송풍 건조, 빗질 또는 브러싱 등) 또는 화학적 작용 (산화 반응 염색, 탈색, 퍼머, 스트레이트 퍼머 등) 을 겪은 모발을 의미한 다. 이러한 유형의 작용 중, 특히 화학적 작용의 유해성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학적 작용에 의해 민감화된 모발에 특히 효과적이다.
"하나 이상" 이란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 즉 1, 2, 3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이란 용어는 모든 케라틴 물질, 예컨대 피부, 모발, 손톱, 속눈썹, 눈썹, 또는 입술 및 기타 신체와 얼굴 부위에서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매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그 자체로 잘 알려져 있는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임의로 폴리옥시알킬렌화된 1 차, 2 차 또는 3 차 지방산 아민 염과 4 차 암모늄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비중합성이다.
4 차 암모늄염으로서, 특히 하기를 예로 들 수 있다:
- 하기 화학식 (V) 의 화합물:
Figure 112006005803781-PAT00001
[식 중,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기호 R1 내지 R4 는, 탄소수 1 내지 30 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라디칼, 또는 아릴 또는 알킬아릴과 같은 방향족 라디칼을 나타 내고; 상기 지방족 라디칼은 여기에 산소, 질소, 황 및 할로겐과 같은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방족 라디칼은, 예를 들어, 탄소수 약 1 내지 30 의 (C1-C30)알킬, 알콕시, C2-C6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아미드, (C12-C22)알킬아미도(C2-C6)알킬, (C12-C22)알킬아세테이트 및 히드록시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며; X- 는 할라이드,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락테이트, (C2-C6)알킬 술페이트, 및 알킬- 또는 알킬아릴-술포네이트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임];
- 이미다졸린의 4 차 암모늄염, 예컨대 하기 화학식 (VI) 의 화합물:
Figure 112006005803781-PAT00002
[식 중, R5 는 탄소수 8 내지 30 의 알케닐 또는 알킬 라디칼, 예를 들어 우지 또는 코코넛의 지방산 유도체를 나타내고, R6 은 수소 원자, C1-C4 알킬 라디칼 또는 탄소수 8 내지 30 의 알케닐 또는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R7 은 C1-C4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R8 은 수소 원자 또는 C1-C4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X- 는 할라이드,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락테이트, 알킬 술페이트, 알킬술포네이트 또는 알킬아릴술포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이고, R5 및 R6 은 바람직하게는 우지 지방산 유도체와 같은 탄소수 12 내지 21 의 알케닐 또는 알킬 라디칼의 혼합물 을 나타내고, R7 은 메틸을 나타내고, R8 은 수소를 나타냄].
그러한 제품으로는, Goldschmidt 사에서 "Varisoft®" W575PG 라는 제품명로 시판되는 쿼터늄-27 (CTFA 2002) 또는 쿼터늄-87 (CTFA 2002) 또는 쿼터늄-83 (CTFA 2002) 를 예로 들 수 있다;
- 화학식 (VII) 의 디 4 차 (diquarternary) 암모늄염:
Figure 112006005803781-PAT00003
[식 중, R9 는 약 탄소수 16 내지 30 의 지방족 라디칼을 나타내고,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R10, R11, R12, R13 및 R14 는 수소 및 탄소수 1 내지 4 의 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되고, X- 는 할라이드, 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에틸 술페이트 및 메틸 술페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임].
상기 디 4 차 암모늄염에는 특히 프로판탤로우디암모늄 디클로라이드가 포함된다;
- 하기 화학식 (VIII) 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 관능기를 포함하는 4 차 암모늄염:
Figure 112006005803781-PAT00004
[식 중:
R15 는 C1-C6 알킬 라디칼 및 C1-C6 히드록시알킬 또는 디히드록시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되고;
R16 은 하기로부터 선택되고:
-
Figure 112006005803781-PAT00005
라디칼,
-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C1-C22 탄화수소계 라디칼 R20,
- 수소 원자,
R17 은 하기로부터 선택되고:
-
Figure 112006005803781-PAT00006
라디칼,
-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의 C1-C6 탄화수소계 라디칼 R22,
- 수소 원자,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R17, R19 및 R21 은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C7-C21 탄화수소계 라디칼로부터 선택되고;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r, n 및 p 는 2 내지 6 의 정수이고;
y 는 1 내지 10 의 정수이고;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x 및 z 는 0 내지 10 범위의 정수이고;
X- 는 단일 (simple) 또는 복합 (complex), 유기 또는 무기 음이온이며;
단, x + y + z 합은 1 내지 15 이고, x 가 0 이면 R16 은 R20 을 나타내고, z 가 0 이면 R18 은 R22 를 나타냄].
R15 알킬 라디칼은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으며, 더욱 특히 선형이다.
바람직하게, R15 메틸, 에틸, 히드록시에틸 또는 디히드록시프로필 라디칼, 더욱 특히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을 나타낸다.
유리하게는, x + y + z 합은 1 내지 10 이다.
R16 이 탄화수소계 라디칼 R20 인 경우, 이는 길게 하여 12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거나 또는 짧게 하여 1 내지 3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R18 이 탄화수소계 라디칼 R22 인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 1 내지 3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유리하게,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R17, R19 및 R21 은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C11-C21 탄화수소계 라디칼, 더욱 특히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C11-C21 알킬 및 알케닐 라디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x 및 z 는 0 또는 1 이다.
유리하게, y 는 1 이다.
바람직하게,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r, n 및 p 값은 2 또는 3 이고, 더욱 특히 2 이다.
음이온인 X- 는 바람직하게는 할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또는 요오다이드) 또는 C1-C4 알킬 술페이트, 더욱 특히 메틸 술페이트이다. 그러나, 메탄술포네이트, 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토실레이트, 유기산에서 유래된 음이온, 예컨대 아세테이트 또는 락테이트, 또는 에스테르 관능기를 함유한 암모늄염과 양립가능한 기타 임의의 음이온을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인 X- 는 더욱 특히 클로라이드 또는 메틸 술페이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더욱 특히 다음 조건의 화학식 (VIII) 의 암모늄염을 사용할 수 있다:
[식 중:
R15 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을 나타내고,
x 및 y 는 1 이고;
z 는 0 또는 1 이고;
r, n 및 p 는 2 이고;
R16 은 하기로부터 선택되고:
-
Figure 112006005803781-PAT00007
라디칼,
- 메틸, 에틸 또는 C14-C22 탄화수소계 라디칼,
- 수소 원자;
R18 은 하기로부터 선택되고:
-
Figure 112006005803781-PAT00008
라디칼,
- 수소 원자;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R17, R19 및 R21 은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C13-C17 탄화수소계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C13-C17 알킬 및 알케닐 라디칼로부터 선택됨].
유리하게, 상기 탄화수소계 라디칼은 선형이다.
화학식 (VIII) 의 화합물의 예로서, 아실옥시에틸-디메틸암모늄, 디아실옥시에틸-히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 모노아실옥시에틸디-히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 트리아실옥시에틸-메틸암모늄, 모노아실옥시에틸-히드록시에틸-디메틸암모늄의 염 (특히 클로라이드 또는 메틸 술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아실 라디칼은 바람직하게 14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며, 더욱 특히 팜유 또는 해바라기 오일 등의 식물성 오일에서 유래된다. 상기 화합물이 몇가지 아실 라디칼을 함유할 경우, 이러한 라디칼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이들 생성물은 지방산, 또는 식물 또는 동물 유래의 지방산 혼합물로의, 임의로는 옥시알킬렌화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또는 알킬디에탄올아민 또는 알킬디이소프로판올아민의 직접 에스테르화, 또는 이들의 메틸 에스테르의 트랜스에스테르화에 의해 수득된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후, 알킬화제, 예컨대 알킬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 할라이드), 디알킬 술페이트 (바람직하게는 디메틸 또는 디에틸 술페이트), 메틸 메탄술포네이트, 메틸 파라-톨루엔술포네이트, 글리콜 클로로히드린, 또는 글리세롤 클로로히드린을 이용한 4 차화(quaternization) 를 수행한다.
상기 화합물은, 예를 들어, Dehyquart® (Cognis 사제), Stepanquat® (Stepan 사제), Noxamium® (Ceca 사제) 또는 Rewoquat® WE 18 (Rewo-Goldschmidt 사제) 라는 제품명으로 판매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바람직하게는 다량의 디에스테르 염을 포함하는 4 차 암모늄 모노-, 디- 및 트리에스테르 염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암모늄염의 혼합물로서, 예컨대 15 내지 30 중량% 의 아실옥시에틸-디히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 메틸 술페이트, 45 내지 60 % 의 디아실옥시에틸(히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 메틸 술페이트 및 15 내지 30 % 의 트리아실옥시에틸-메틸암모늄 메틸 술페이트, 임의로 부분 수소화된 팜유에서 유래된 탄소수 14 내지 18 의 아실 라디칼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특허 US-A-4 874 554 및 US-A-4 137 180 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 관 능기를 포함하는 암모늄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4 차 암모늄염 중에서, 화학식 (V) 에 대응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특히 테트라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 예컨대 알킬 라디칼이 약 12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디알킬디메틸암모늄 또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특히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또는 벤질디메틸스테아릴암모늄 클로라이드를, 또는 다르게는, 팔미틸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미리스틸 아세테이트)암모늄 클로라이드 (제품명 Ceraphyl®70 (ISP 사제) 로 시판되는 쿼터늄-70 (CTFA 2002) 에 해당함) 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더욱 특히 바람직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4 차 암모늄염, 특히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쿼터늄-83, 쿼터늄-87, 베헤닐아미도프로필-2,3-디히드록시프로필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팔미틸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들) 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 중량%, 더욱 특히 0.2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조성물에는 양이온성 전하 밀도가 5 밀리당량/그램 (meq./g)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meq./g 의 범위인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중합체가 포함된다.
중합체의 양이온성 전하 밀도는, 이 중합체가 완전히 이온화되는 조건 하에서, 중합체의 질량 단위당 양이온성 전하의 몰수에 해당된다. 이는 중합체의 구조 즉,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구조 및 이들의 몰 또는 중량 비율이 알려진 경우, 계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이는 또한 Kjedahl 방법에 의해 실험적으로 측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양이온성 전하 밀도가 5 meq./g 이상인 양이온성 중합체는 이미 모발의 미용 특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그 자체로 공지된 모든 조성물, 즉, 특히 특허 출원 EP-A-0 337 354 및 프랑스 특허 출원 FR-A-2 270 846, 2 383 660, 2 598 611, 2 470 596 및 2 519 863 에 기재된 것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양이온성 중합체" 는 양이온기, 및/또는 양이온기로 이온화될 수 있는 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중합체를 나타낸다.
양이온성 중합체는, 주요 중합체쇄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거나 이에 직접 부착된 측면 치환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1 차, 2 차, 3 차 및/또는 4 차 아민기를 포함하는 단위를 함유한 것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이온성 중합체는 대략 500 내지 5 ×106, 바람직하게는 대략 103 내지 3 ×106 의 수평균 질량을 갖는다.
더 특별하게 언급될 수 있는 양이온성 중합체로는, 폴리아민, 폴리아미노 아미드 및 폴리 4 차 (polyquaternary) 암모늄 형의 중합체가 있다. 이들은 공지 의 생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언급될 수 있는 폴리아민, 폴리아미노아미드 및 폴리 4 차 암모늄 형태의 중합체는 프랑스 특허 2 505 348 및 2 542 997 에 기재된 것들이다. 상기 중합체 중에서, 하기가 언급될 수 있다:
(1) 4 차화되거나 4 차화되지 않은 비닐피롤리돈/ 디알킬아미노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 피페라지닐 단위 및 직쇄 또는 분지쇄를 포함하는 히드록시알킬렌 라디칼 또는 2 가 알킬렌으로 이루어지고, 임의로 산소, 황 또는 질소 원자에 의해 또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에 의해 가로막힌 중합체, 또한 상기 중합체의 산화 및/또는 4 차화 생성물 [상기 중합체는 특히, 프랑스 특허 2 162 025 및 2 280 361 에 기재되어 있음];
(3) 특히 산성 화합물과 폴리아민의 중축합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폴리아미노 아미드 [상기 폴리아미노 아미드는 에피할로히드린, 디에폭시드, 이무수물, 불포화 이무수물, 비스-불포화 유도체, 비스-할로히드린, 비스-아제티디늄, 비스-할로아실디아민, 비스-알킬 할라이드로 가교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비스-할로히드린, 비스-아제티디늄, 비스할로아실디아민, 비스-알킬 할라이드, 에피할로히드린, 디에폭시드 또는 비스-불포화 유도체와 반응하는 2 관능성 화합물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올리고머로 가교될 수 있고; 가교제는 폴리아미노 아미드의 아민기 당 0.025 내지 0.35 몰 범위의 비율로 사용되고; 상기 폴리아미노 아미드는 알킬화되거나, 하나 이상의 3 차 아민 관능기를 함유하는 경우 4 차화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는 특히, 프랑스 특허 2 252 840 및 2 368 508 에 기재되어 있음];
(4)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을 폴리카르복실산과 축합시킨 후 2 관능제로 알킬화하여 생성된 폴리아미노아미드 유도체 [예를 들어, 아디프산/디알킬아미노히드록시알킬디알킬렌트리아민 중합체를 들 수 있는데, 여기서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4 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을 나타낸다. 상기 중합체는 프랑스 특허 1 583 363 에 기재되어 있음].
(5) 두 개의 1 차 아민기 및 하나 이상의 2 차 아민기를 함유하는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을 디글리콜산 및 탄소수 3 내지 8 의 포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되는 디카르복실산과 반응시켜 수득된 중합체 [폴리알킬렌 폴리아민 및 디카르복실산 간의 몰비는 0.8 : 1 내지 1.4 : 1 이고; 상기로부터 생성된 폴리아미노 아미드를 폴리아미노 아미드의 2 차 아민기에 대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몰비가 0.5:1 내지 1.8:1 이 되도록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시킨다. 상기 중합체는 특히 미국 특허 3 227 615 및 2 961 347 에 기재되어 있음].
(6) 알킬디알릴아민 또는 디알킬디알릴암모늄의 시클로중합체, 예컨대 하기 화학식 (VI) 또는 (VI') 에 대응하는 단위를 함유하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Figure 112006005803781-PAT00009
(식 중, k 및 t 는 0 또는 1 이고, k + t 의 합은 1 이고; R1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0 및 R11 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 의 알킬기, 알킬기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5 인 히드록시알킬기, 저급 아미도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10 및 R11 은,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헤테로시클릭기, 예컨대 피페리딜 또는 모르폴리닐을 나타내고; Y- 는 음이온, 예컨대 브로마이드, 클로라이드, 아세테이트, 보레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비술페이트, 비술파이트,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임).
[상기 중합체는 특히 프랑스 특허 2 080 759 및 그의 추가 증명서 2 190 406 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Ondeo-Nalco 사에서 제품명 "Merquat 100" 으로 시판중인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단독중합체, 및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아크릴아미의 공중합체가 언급될 수 있음].
(7) 하기 화학식에 대응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디 4 차 암모늄 중축합체:
Figure 112006005803781-PAT00010
[화학식 (VII) 중,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R13, R14, R15 및 R16 은 탄소수 1 내지 20 의 지방족, 지환족 또는 아릴지방족 라디칼 또는 저급 히드록시알킬지방족기를 나타내거 나, 대안적으로 R13, R14, R15 및 R16 은 함께 또는 별개로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질소가 아닌 제 2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헤테로고리를 구성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R13, R14, R15 및 R16 은 니트릴, 에스테르, 아실 또는 아미드기 또는 -CO-O-R17-D 또는 -CO-NH-R17-D 기 (식 중, R17 은 알킬렌기이고, D 는 4 차 암모늄기임) 으로 치환된 선형 또는 분지형 C1-C6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A1 및 B1 은 탄소수 2 내지 20 의 폴리메틸렌기를 나타내고, 상기 폴리메틸렌기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일 수 있고, 주쇄에 연결되거나 삽입되어, 하나 이상의 방향족 고리 또는 하나 이상의 산소 또는 황 원자 또는 술폭시드, 술폰, 디술피드, 아미노, 알킬아미노, 히드록실, 4 차 암모늄, 우레이도, 아미드 또는 에스테르기를 함유할 수 있고,
X- 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으로부터 유래된 음이온을 나타내고;
A1, R13 및 R15 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두개의 질소 원자와 함께 피페라진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A1 이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렌 또는 히드록시알킬렌기를 나타내는 경우, B1 은 또한 (CH2)n-CO-D-OC-(CH2)n- 기를 나타내고, 상기 식 중, D 는 하기를 나타낸다:
a) 화학식 -O-Z-O- 의 글리콜 잔기 {식 중, Z 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계 기 또는 하기 식 중 하나에 대응하는 기를 나타낸다:
-(CH2-CH2-O)x-CH2-CH2-
- [CH2-CH(CH3)-O]y-CH2-CH(CH3) -
(식 중, x 및 y 는 제한된 고유 중합도를 나타내는 1 내지 4 의 정수, 또는 평균 중합도를 나타내는 1 내지 4 의 임의의 수를 나타냄)};
b) 피페라진 유도체와 같은 비스-2 차 디아민 잔기;
c) 화학식 -NH-Y-NH- 의 비스-1 차 디아민 잔기 (식 중, Y 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계 기, 또는 대안적으로 2 가 라디칼 -CH2-CH2-S-S-CH2-CH2- 를 나타냄);
d) 화학식 -NH-CO-NH- 의 우레일렌기].
[바람직하게는, X- 는 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와 같은 음이온이다.
상기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1000 내지 100000 의 수평균 분자 질량을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중합체는 특히 프랑스 특허 2 320 330, 2 270 846, 2 316 271, 2 336 434 및 2 413 907 및 미국 특허 2 273 780, 2 375 853, 2 388 614, 2 454 547, 3 206 462, 2 261 002, 2 271 378, 3 874 870, 4 001 432, 3 929 990, 3 966 904, 4 005 193, 4 025 617, 4 025 627, 4 025 653, 4 026 945 및 4 027 020 에 기재되어 있다.
보다 특별하게는 하기 화학식에 대응하는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6005803781-PAT00011
(식 중,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R1, R2, R3 및 R4 는 대략 탄소수 1 내지 4 의 알킬 또는 히드록시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n 및 p 는 대략 2 내지 20 범위의 정수이고, X- 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으로부터 유래된 음이온임).
특히 바람직한 화학식 (a) 의 한 화합물은, R1, R2, R3 및 R4 가 메틸기를 나타내고 n = 3, p = 6 이고 X = Cl 인 화합물이며, 이는 INCI (CTFA) 명명법에 따라 헥사디메트린 클로라이드로 공지되어 있음].
(8) 하기 화학식 (VIII) 의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 4 차 암모늄 중축합체:
Figure 112006005803781-PAT00012
[식 중,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R18, R19, R20 및 R2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 에틸, 프로필, β-히드록시에틸, β-히드록시프로필 또는 -CH2CH2(OCH2CH2)pOH 기를 나타내고 (식 중, p 는 0 또는 1 내지 6 의 정수임), 단, R18, R19, R20 및 R21 은 동시에 수소 원자를 나타내지는 않음),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r 및 s 는 1 내지 6 의 정수이고,
q 는 0 또는 1 내지 34 의 정수이고,
X 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A 는 디할라이드기를 나타내거나, 바람직하게는 -CH2-CH2-O-CH2-CH2- 를 나타냄].
[상기 화합물들은 특허 출원 EP-A-122 324 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제품들 중에서, 예를 들어, Miranol 사에서 시판되는 "Mirapol® A 15", "Mirapol® AD1", "Mirapol® AZ1" 및 "Mirapol® 175" 를 들 수 있음].
(9) 하기의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유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Figure 112006005803781-PAT00013
[식 중:
R22 기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를 나타내고,
A2 기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 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 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R23, R24 및 R25 기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8 의 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R26 및 R27 기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6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2 - 는 음이온, 예를 들어, 메토술페이트 (methosulfate) 또는 할라이드, 예컨대 염소 또는 붕소를 나타냄].
[해당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공단량체(들) 은, 질소에 저급 알킬, 알킬 에스테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비닐피롤리돈, 또는 비닐 에스테르가 치환된 아크릴 아미드, 메타크릴 아미드, 디아세톤 아크릴 아미드, 아크릴 아미드 및 메타크릴 아미드 류에 속함].
(10) 비닐피롤리돈 및 비닐 이미다졸의 4 차 중합체.
(11) 가교된 메타크릴로일옥시(C1-C4)알킬트리(C1-C4)알킬암모늄 염 중합체, 예컨대 메틸 클로라이드로 4 차화된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동종중합에 의해, 또는 메틸 클로라이드로 4 차화된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에 의해 수득된 중합체 (상기 동종중합 또는 공중합 후 올레핀계 불포화를 함유하는 화합물, 특히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와 가교됨).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타 양이온성 중합체는 폴리알킬렌이민, 특히 폴리에틸렌이민, 비닐피리딘 또는 비닐피리디늄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 폴리아민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축합물, 4 차 폴리우레일렌 및 키틴 유도체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양이온성 중합체 중 디알킬디알루미늄할라이드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및 디 4 차 암모늄 또는 폴리 4 차 암모늄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중축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된 양이온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 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분은 보다 특별하게는 무수글루코오스 단위의 기본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의 형태인 거대 분자이다. 이들 단위의 수 및 이들의 조립 (assembly) 이 아밀로오스 (선형 중합체) 및 아밀로펙틴 (분지형 중합체) 을 구분가능하게 한다. 아밀로오스 및 아밀로펙틴의 상대적 비율과 이들의 중합도는 전분의 식물 유래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전분 분자의 식물 유래는 곡식 또는 덩이 줄기 작물일 수 있다. 따라서, 전분은,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쌀 전분, 카사바 전분, 보리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수수 전분 및 완두 전분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전분은 바람직하게 개질된다. 전분은 특히 하기 반응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화학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개질될 수 있다: 예비 호화 (pregelatinization), 산화, 가교, 에스테르화, 에테르화, 아미드화, 열 처리.
보다 특히, 이러한 반응은 하기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 전분 그래뉼의 분해 (splitting) 에 의한 예비 호화 (예를 들어, 건조 드 럼에서 건조 및 가열);
- 카르복실기를 전분 분자에 도입하여 전분 분자를 해중합시키는 강력한 산화제를 사용한 산화 반응 (예를 들어, 하이포아염소산 나트륨을 사용하여 전분 수용액을 처리하는 것에 의함);
- 전분 분자의 히드록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화제를 사용한 가교
(예를 들어, 글리세릴 및/또는 포스페이트기와 함께 결합될 것임);
- 관능기, 특히, C1-C6 아실(아세틸), C1-C6 히드록시알킬(히드록시에틸 또는 히드록시프로필), 카르복시메틸 또는 옥테닐숙신산의 그래프팅을 위한 알카리성 매질에서의 에스테르화.
인산 이전분 (distarch phosphate: Am-O-PO-(OX)-O-Am 형) 또는 인산 삼전분 (tristarch phosphate: Am-O-PO-(O-Am)2 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특히 인산 일전분 (monostarch phosphate: Am-O-PO- (OX)2 형) 의 인 화합물로 가교되어 수득될 수 있다.
X 는 특히 알칼리 금속 (예를 들어, 나트륨 또는 칼륨), 알칼리토금속 (예를 들어, 칼슘 또는 마그네슘) 암모늄염, 아민염, 예를 들어, 모노에탄올 아민, 디에탄올 아민, 트리에탄올 아민, 3-아미노-1,2-프로판디올, 또는 기초 아미노산, 예컨대 리신, 아르기닌, 사르코신, 오르니틴 또는 시트룰린 유래의 암모늄염을 나타낸다.
인 화합물은, 예를 들어,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나트륨 오르토포스페 이트,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또는 나트륨 트리메타포스페이트일 수 있다.
인산 이전분, 또는 인산 이전분을 많이 포함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것인데, 이들은, 예를 들어, Avebe 사제 Pregel VA-70-T AGGL (젤라틴화 히드록시프로필 카사바 인산 이전분), Pregel TK1 (젤라틴화 카사바 인산 이전분) 및 Pregel 200 (젤라틴화아세틸 카사바 인산 이전분), 또는 National Starch 사제 Structure Zea (젤라틴화 옥수수 인산 이전분) 의 제품으로 시판된다.
바람직한 전분은 1 회 이상의 화학적 개질, 예컨대 1 회 이상의 에스테르화를 거친 전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쪽성 전분 역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들 양쪽성 전분은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기 및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기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기 및 양이온성 기는 전분 분자 중 동일한 반응성 부위 또는 상이한 반응성 부위에 결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반응성 부위에 결합된다. 음이온성 기는 카르복실, 포스페이트 또는 술페이트형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이다. 양이온성 기는 1 차, 2 차, 3 차 또는 4 차 아민형일 수 있다.
양쪽성 전분은 특히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112006005803781-PAT00014
Figure 112006005803781-PAT00015
[화학식 중:
St-O 는 전분 분자를 나타내고,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R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 라디칼을 나타내고,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R' 는 수소 원자, 메틸 라디칼 또는 -COOH 기를 나타내고,
n 은 2 또는 3 의 정수이고,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M 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예컨대 Na, K, Li 또는 NH4, 4 차 암모늄 또는 유기 아민을 나타내고,
R"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8 의 알킬 라디칼을 나타냄].
이러한 화합물은 특허 US 5 455 340 및 4 017 460 에 특히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된다.
전분 분자는 전분을 갖는 임의의 식물 원천, 예컨대 특히 옥수수, 감자, 귀리, 쌀, 타피오카, 수수, 보리 또는 밀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상기한 전분의 가수분해물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전분은 바람직하게는 감자로부터 유래된다.
화학식 (I) 또는 (II) 의 전분이 특히 사용된다. 2-클로로-에틸아미노디프로이온산으로 개질된 전분, 즉, 화학식 (I) 또는 (II) 의 전분 중 R, R', R" 및 M 이 수소 원자이고, n 이 2 인 전분이 보다 특별하게 사용된다. 바람직한 양쪽성 전분은 클로로에틸아미도디프로피온산 전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개질된 전분(들) 은 최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 보다 특히 1 내지 10 중량% 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 화합물은 결정질, 비정질 또는 페이스트일 수 있다.
용융점은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250 ℃, 보다 특별하게는 40 내지 150 ℃ 이다.
이러한 고체는, 40 ℃ 의 온도 및 1 S- 1 의 전단률에서, 1 Pa.s 내지 1000000 Pa.s, 바람직하게는 10 Pa.s 내지 1000 Pa.s 범위의 점도를 갖는다.
점도 측정은 약 40 ℃ 에서, Carri-Med CSL2-500 점도계를 사용하여 실시되 었다.
용융점은 DSC 에 의해 또는 Kofler 벤취 (bench) 에서 측정될 수 있다. 용융점은 시차주사열량계 (DSC) 에서 10 ℃/분의 승온 속도에서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용융점은 측정 동안 흡열 용융 피크에 해당하는 온도이다.
35 ℃ 이상의 용융점을 갖는 비이온성 비중합성 고체 화합물은 특히 옥시에틸렌화되거나 또는 옥시에틸렌화되지 않은 지방 알콜, 지방 에스테르, 미네랄 왁스 및 기타 유기 왁스 (지방 에스테르 및 지방 알콜 제외),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알콜은 바람직하게는 선형 및 포화이고, 12 내지 40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지방 알콜은 바람직하게는 R-OH 구조를 갖고, 여기서 R 은 C12-C24 알킬기를 나타낸다.
언급될 수 있는 예로는, 미리스틸 알콜,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및 베헤닐 알콜과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지방 알콜이란 지방 알콜들의 혼합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는 시판되는 제품에서, 다수의 지방 알콜종이 혼합물의 형태로 공존할 것임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지방 알콜은 옥시알킬화되지 않고/않거나 글리세롤화되지 않는다. 이러한 지방 알콜은 동물성 또는 식물성 왁스의 성분일 수 있다.
지방 에스테르는 탄소수 10 이상의 카르복실산 및 모노알콜 또는 폴리올의 에스테르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에스테르는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또는 트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카르복실산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30 이고, 보다 특히 탄소수 12 내지 24 이다. 알콜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30 이고, 보다 특히 탄소수 12 내지 24 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지방 에스테르는 탄소수 10 이상의 모노카르복실 지방산의, 그리고, 탄소수 10 이상의 모노알콜의 에스테르이다.
언급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에는 세틸 미리스테이트 및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가 포함된다.
지방 에스테르는 동물성 또는 식물성 왁스의 성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왁스는 실온 (약 25 ℃) 에서 고체이고, 가역적인 고체/액체 상변화를 하고, 약 40 ℃ 초과 200 ℃ 이하의 용융점을 갖고, 고체 상태에서 비등방적 결정 구조를 갖는 지질용해성 화합물이다. 일반적으로, 왁스 결정의 크기는, 결정이 빛을 회절시키고/시키거나 산란시켜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다소 불투명하고 흐린 외관을 갖도록 하는 크기이다. 왁스를 이의 용융점으로 가져오면, 이를 오일에 혼화하여 미시적으로 균일한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혼합물의 온도를 실온으로 되돌리면, 혼합물의 오일에서 왁스의 재결정이 얻어지고, 이는 미시적으로 또한 거시적으로도 탐지가 가능하다 (단백광).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왁스로서, 식물 유래의 왁스, 예컨대 밀랍, 경 랍, 라놀린 왁스 및 라놀린 유도체; 식물성 왁스, 예컨대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오우리쿠리 왁스, 일본 왁스, 코코아 버터 왁스, 코르크 섬유 왁스 또는 사탕수수 왁스; 미네랄 왁스, 예를 들어, 파라핀 왁스, 바셀린 왁스, 갈탄 왁스 또는 미세결정질 왁스, 지랍, 올리브 왁스, 쌀겨 왁스, 수소화 호호바 왁스 또는 꽃의 순수 (absolute) 왁스, 예컨대 Bertin (프랑스) 사제 까막까치밥나무꽃의 순수 왁스, 동물성 왁스, 예를 들어, 밀랍, 또는 개질 밀랍 (세라벨리나: cerabellina);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기타 왁스 또는 왁스 출발 물질, 특히 마린 (marine) 왁스, 예컨대 Sophim 사 참조번호 M82 의 제품, 및 이들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또한 언급될 수 있는 유기 왁스에는 아마이드 관능기 및 특히 천연 또는 합성 세라마이드가 포함된 왁스가 포함된다.
왁스의 정의는, 예를 들어, 문헌 [P.D. Dorgan 저, Drug and Cosmetic Industry, 1983 년 12월, pp. 30-33] 에 언급되어 있다.
왁스(들) 은 특히,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에스파르토풀 왁스, 파라핀 왁스, 지랍, 식물성 왁스, 예를 들어 올리브 왁스, 쌀 왁스, 수소화 호호바 왁스 또는 꽃의 순수 왁스, 예컨대 Bertin (프랑스) 사제 까막까치밥나무꽃의 순수 왁스, 동물성 왁스, 예를 들어, 밀랍, 또는 개질 밀랍;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기타 왁스 또는 왁스 출발 물질, 특히 마린 (marine) 왁스, 예컨대 Sophim 사 참조번호 M82 의 제품으로부터 선택된다.
고체 화합물(들) 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존 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이외의 계면활성제를 임의 함유한다.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대략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추가의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그 자체로 공지된 화합물이고 (특히 이에 관해 "Handbook of Surfactants", M.R. Porter 저, Blackie & Son (Glasgow 및 London) 출판, 1991, pp. 116 - 178 참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이의 성질은 중요한 특징이 아니다. 따라서, 이들은 특히 (이하, 비제한적 열거) 폴리에톡실화, 폴리프로폭실화 또는 폴리글리세롤화된, 예를 들어 탄소수 8 내지 18 의 지방 사슬을 갖는 산, 지방 알콜, 알킬페놀 또는 α-디올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기의 수가 특히 2 내지 50 이고 글리세롤기의 수가 특히 2 내지 30 인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공중합체,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지방 알콜과의 축합물;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사이드 2 내지 30 몰의 폴리에톡실화 지방 아미드, 평균 1 내지 5, 및 특히 1.5 내지 4 로 글리세롤기를 함유하는 폴리글리세롤화 지방 아미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사이드 2 내지 30 몰의 폴리에톡실화 지방 아민; 에틸렌 옥사이드 2 내지 30 몰의 소르비탄의 옥시에틸렌화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의 지방산 에스 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시드, N-알킬글루카민 유도체, 아민 옥사이드, 예컨대 (C10-C14)알킬아민 옥사이드 또는 N-아실아미노프로필모르폴린 옥사이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비세정 (non-washing) (세제 사용무) 조성물이고,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 중량% 미만, 보다 특별하게는 1 중량% 미만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또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컨디셔닝제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들은 실리콘, 양이온성 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성 중합체 제외), 카르복실 지방 에스테르 (본 발명에 따른 것들 제외), 식물성 오일, 광유 및 합성 오일, 예컨대 폴리(α-올레핀),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실리콘은 조성물에 가용성 또는 불용성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불용성인 폴리유기실록산일 수 있다. 이들은 오일, 왁스, 수지 또는 검 (gum) 의 형태일 수 있다. 이들은 순수 또는 에멀젼, 분산액 또는 마이크로에멀젼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기폴리실록산은 더욱 자세히는 Walter Noll 저 "Chemistry and Technology of Silicones" (1968 년, 아카데미 출판사) 에 정의된다. 이들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non-volatile)일 수 있다.
이들이 휘발성인 경우, 실리콘은 특히 용융점 60 ℃ 내지 260 ℃ 인 것들, 더욱 특히 하기로부터 선택된다:
(i) 실리콘 원자수 3 내지 7,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 의 시클릭 실리콘. 이들로는, 예를 들어, 특히 Union Carbide 사제 "Volatile Silicone 7207" 또는 Rhodia 사에서 "Silbione 70045 V 2" 의 제품명으로 시판되는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Union Carbide 사제 "Volatile Silicone 7158" 및 Rhodia 사에서 "Silbione 70045 V 5" 의 제품명으로 시판되는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또한 하기 화학 구조를 갖는 디메틸실록산/메틸알킬실록산 형의 고리공중합체 (cyclocopolymer), 예컨대 Union Carbide 사제로 시판되는 "Silicone Volatile FZ 3109" 가 언급될 수 있다:
Figure 112006005803781-PAT00016
또한 시클릭 실리콘과 유기실리콘 화합물의 혼합물, 예컨대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과 테트라트리메틸실릴펜타에리트리톨의 혼합물 (50/50) 및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과 옥시-1,1'-비스(2,2,2',2',3,3'-헥사트리메틸실릴옥시)네오펜탄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ii) 실리콘 원자를 2 내지 9 개 함유하고 25 ℃ 에서 점도가 5 ×10-6 ㎡/s 이하인 선형 휘발성 실리콘. 이것은 예를 들어, 특히 Toray Silicone 사에서 "SH 200" 의 제품명으로 시판되는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이다. 상기 범주에 속하는 실리콘은 또한 Cosmetics and Toiletries, Vol. 91, Jan. 76, pp. 27-32, 중에 출간된 논문, Todd & Byers 저 "Volatile Silicone Fluids for Cosmetics" 에 기재되어 있다.
특히 언급될 수 있는 비휘발성 실리콘에는 폴리알킬실록산, 폴리아릴실록산, 폴리알킬아릴실록산, 실리콘 검 및 수지, 유기관능기로 개질된 폴리유기실록산, 및 또한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유기개질된 실리콘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실리콘이고, 탄화수소계 기를 통해 그 구조 내에 하나 이상의 유기관능기를 함유한다.
유기개질된 실리콘 중,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유기실록산이 언급될 수 있다:
- C6-C24 알킬기를 임의 포함하는 폴리에틸렌옥시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옥시기, 예컨대 Dow Corning 사에서 제품명 DC 1248 로 시판되는 디메티콘 코폴리올 또는 Union Carbide 사에서 Silwet® L 722, L 7500, L 77 및 L 711 오일, 및 Dow Corning 사에서 제품명 Q2 5200 으로 시판되는 (C12)알킬메티콘 코폴리올로 알려진 제품;
-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예컨대 Genesee 사에서 제품명 GP 4 Silicone Fluid 및 GP 7100 으로 시판되는 제품, 또는 Dow Corning 사에서 제품명 Q2 8220 및 Dow Corning 929 또는 939 로 시판되는 제품. 치환된 아민기는, 특히, C1-C4 아미노알킬기임;
- 티올기, 예컨대 Genesee 사에서 제품명 "GP 72 A" 및 "GP 71" 로 시판되는 제품.
- 알킬화기, 예컨대 Goldschmidt 사에서 제품명 Abil Wax® 2428, 2434 및 2440 과 SWS Silicones 사에서 제품명 "Silicone Copolymer F-755" 로 시판되는 제품.
- 히드록시화기, 예컨대 프랑스 특허 출원 FR-A-85/16334 에 기재된 히드록시알킬 관능기를 함유하는 폴리유기실록산;
- 아실옥시알킬기, 예컨대 예를 들어, 특허 US-A-4 957 732 에 기재된 폴리유기실록산;
- 카르복실산 형 음이온성기, 예컨대 예를 들어, Chisso Corporation 사의 EP 186 507 에 기재된 제품, 또는 알킬카르복실 형 음이온성기, 예컨대 Shin-Etsu 사의 X-22-3701E제품;
2-히드록시알킬 술포네이트; 2-히드록시알킬 티오술페이트, 예컨대 Goldschmidt 사에서 제품명 "Abil® S201" 및 "Abil® S255" 로 시판되는 제품;
- 히드록시아실아미노기, 에컨대, 특허 출원 EP 342 834 에 기재된 폴리유기실록산. 예를 들어, Dow Corning 사제 Q2-8413 이 언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실리콘의 예에는 아미노 또는 알콕시화기를 함유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알킬아릴실록산 및 폴리디메틸실록산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또한 하나 이상의 액체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예 를 들어, 퍼셀린 오일 (스테아릴 옥타노에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2-옥틸도데실 락테이트,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트리도데실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세틸 네오펜타노에이트 및 이소아라취딜 네오펜타노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또한 하나 이상의 식물성 오일, 예컨대 스위트아몬드 오일, 아보카도 오일, 피마자유,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해바라기 오일, 맥아 오일, 참기름, 땅콩 오일, 포도씨 오일, 대두유, 평지씨 오일, 홍화 오일, 코코넛 오일, 옥수수 오일, 헤이즐넛 오일, 쉐버터 (shea butter), 팜유, 살구씨 오일 및 야라보 (beauty-leaf)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특히 언급될 수 있는 광유에는 액체 파라핀 및 액체 바셀린이 포함된다.
추가의 컨디셔닝제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보다 특별하게는 0.3 내지 5 중량% 범위의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함유된다.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은 바람직하게는 수성이고, 물, 또는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 (예컨대 C1-C4 저급 알콜,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tert-부탄올 또는 n-부탄올; 폴리올,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롤; 폴리올 에테르; C5-C10 알칸; 및 이들의 혼합물) 과 물의 혼합물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수성인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은 조성물의 총 량에 대하여 30 내지 98 중량% 로 나타낸다.
용매는 조성물의 총 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 중량% 범위의 농도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pH 는 2 내지 8 이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또한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첨가제, 예컨데, 음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중합체, 비중합성 증점제 (thickener), 예를 들어, 산 또는 전해질, 불투명제, 진주 광택제, 비타민, 프로비타민, 예컨대 판테놀, 방향제, 염료, 유기 또는 미네랄 입자, 보존제 및 pH 안정화제가 함유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물성을 저해시키지 않는 임의의 첨가제 및 이들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조성물의 총 량에 대하여 0 내지 20 중량% 범위의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헹구어내는 (rinse-out) 또는 헹구지 않는 (leave-in) 컨디셔너, 퍼머, 스트레이트 퍼머, 염색 또는 탈색 조성물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르게는 모발의 염색, 탈색, 퍼머 또는 스트레이트 전 또는 후, 또 다르게는 퍼머 또는 스트레이트 퍼머 작업의 두 단계 사이에 적용되는 헹구어내는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모발 컨디셔너, 케어 제품, 딥-다운 케어 (deep-down care) 마스크 또는 두피 처리 로션 또는 크림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헹구어내는 또는 헹구지 않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구현예에 따르면, 조성물은 특히, 민감화된 모발을 위한 모발 컨디셔너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 모발 컨디셔너는 헹구어내는 또는 헹구지 않는 모발 컨디셔너일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헹구어내는 모발 컨디셔너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조성물은 젤, 밀크, 크림, 에멀션, 묽거나 농후한 로션, 또는 폼 (foam) 의 형태일 수 있으며, 피부, 손발톱, 속눈썹, 입술, 및 특히 모발에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 특히 분무기 (vaporizer), 펌프식 병 또는 에어로졸 용기에 포장되어 분무 형태로 또는 무스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포장 형태는 특히 모발 트리트먼트용 스프레이, 래커 (lacquer) 또는 무스를 수득하는데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피부 또는 모발과 같은 케라틴 물질을 처리하는 미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미용 조성물의 유효량을 케라틴 물질에 적용한 후, 임의로는 이를 일정 시간 방치하여 작용하도록 하고, 이후 임의로 이를 헹구어내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세정은, 예를 들어, 물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은 모발 또는 임의의 기타 케라틴 물질의 처리, 컨디셔닝 및 케어를 가능하게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증하는 것으로, 어떠한 접근으로도 본 발명을 한 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내지 3
하기의 헹구어내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05803781-PAT00017
이러한 조성물을 매우 민감화된 모발에 적용하였다. 모근부터 모발끝까지 미용 특성 (모발의 엉킴 풀기, 매끄러움 및 유연성) 이 우수하고, 균일하였다.
2 회의 적용 사이 모발이, 부드럽고, 유연하고, 매끄럽게 유지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처리한 모발은 매끄럽고, 쉽게 풀어지며, 윤기있고, 유연하고, 뭉치지 않으며, 잔류감 없이 부드러운 감촉을 갖는다. 모발이 자연스럽고, 무게감 없는 외관을 갖는다. 모근부터 모발끝까지 균일하게 매끄럽다. 모발끝의 갈라짐이 적다. 더욱이, 이러한 효과가 장시간 지속된다.

Claims (36)

  1.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내에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하나 이상의 전분, 5 meq./g 이상의 양이온성 전하 밀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비실리콘 (non-silicone) 양이온성 중합체, 및 35 ℃ 이상의 용융점을 갖고/갖거나 40 ℃ 의 온도 및 1 S-1 의 전단률에서 1 Pa.s 이상의 점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비중합성 고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임의 폴리옥시알킬렌화된 1 차, 2 차 또는 3 차 지방산 아민 염과 4 차 암모늄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4 차 암모늄염이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하기 화학식 (V) 의 화합물:
    Figure 112006005803781-PAT00018
    [식 중,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기호 R1 내지 R4 는, 탄소수 1 내지 30 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라디칼, 또는 아릴 또는 알킬아릴과 같은 방향족 라디칼 을 나타내고; X- 는 할라이드,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락테이트, (C2-C6)알킬 술페이트, 알킬술포네이트 및 알킬아릴술포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임];
    - 이미다졸린의 4 차 암모늄 염;
    - 화학식 (VII) 의 디 4 차 (diquaternary) 암모늄염:
    Figure 112006005803781-PAT00019
    [식 중, R9 는 탄소수 약 16 내지 30 의 지방족 라디칼을 나타내고,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R10, R11, R12, R13 및 R14 는 수소 및 탄소수 1 내지 4 의 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되고, X- 는 할라이드, 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및 메틸 술페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임];
    -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 관능기를 포함하는 4 차 암모늄염.
  4. 제 3 항에 있어서, 이미다졸린의 4 차 암모늄염이 하기 화학식 (VI) 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Figure 112006005803781-PAT00020
    [식 중, R5 는 탄소수 8 내지 30 의 알케닐 또는 알킬 라디칼, 예를 들어 우지 (tallow) 지방산 유도체를 나타내고, R6 은 수소 원자, C1-C4 알킬 라디칼 또는 탄소수 8 내지 30 의 알케닐 또는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R7 은 C1-C4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R8 은 수소 원자 또는 C1-C4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X- 는 할라이드,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락테이트, 알킬 술페이트, 알킬술포네이트 및 알킬아릴술포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이고; 바람직하게는 R5 및 R6 은 탄소수 12 내지 21 의 알케닐 또는 알킬 라디칼의 혼합물, 예를 들어, 우지 지방산 유도체를 나타내고, R7 은 메틸을 나타내고, R8 은 수소를 나타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쿼터늄-83, 쿼터늄-87, 베헤닐아미도프로필-2,3-디히드록시프로필-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팔미틸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 중량% 범위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중합체가 5 내지 20 meq./g 범위의 양이온성 전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중합체가 디알킬디알릴암모늄 할라이드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및 디 4 차 암모늄 또는 폴리 4 차 암모늄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중축합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중합체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 범위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분이 옥수수 전분, 쌀 전분, 카사바 전분, 보리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수수 전분 및 완두 전분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분이 화학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개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분이 하기 반응 중 하나 이상을 통해 개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예비 호화 (pregelatinization), 산화 반응, 가교, 에스테르화, 에테르화, 아미드화, 열 처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분이 1 회 이상의 에스테르화를 통해 개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분이 인산 전분 (starch phosphate) 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분이 양쪽성 전분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쪽성 전분이 클로로에틸아미도디프로피온산 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분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 범위의 농도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화합물이 옥시에틸렌화되거나 또는 옥시에틸렌화되지 않은 지방 알콜, 지방 에스테르, 미네랄 왁스, 유기 왁스 (지방 에스테르, 지방 알콜 제외) 및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화합물이 식물성 또는 동물성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화합물이 선형 지방 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화합물이 포화 지방 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화합물이 R-OH (여기서, R 은 탄소수 12 내지 24 의 임의 히드록실화 알킬 라디칼임) 구조를 갖는 지방 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화합물이 미리스틸 알 콜, 세틸 알콜, 베헤닐 알콜 및 스테아릴 알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 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4. 제 18 항에 있어서, 지방 에스테르가 탄소수 10 이상의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및 모노알콜 또는 폴리올의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5. 제 24 항에 있어서, 지방 에스테르가 탄소수 10 이상의 모노카르복실 지방산의 에스테르, 및 탄소수 10 이상의 모노알콜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6. 제 25 항에 있어서, 지방 에스테르가 세틸 미리스테이트 및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7.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왁스가 밀랍, 경랍, 라놀린 왁스 및 라놀린 유도체;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오우리쿠리 왁스, 일본 왁스, 코코아 버터, 코르크 섬유 왁스 또는 사탕수수 왁스; 파라핀 왁스, 바셀린 (petroleum jelly) 왁스, 갈탄 왁스 또는 미세결정질 왁스, 지랍, 올리브 왁스, 쌀겨 왁스, 수소화 호호바 왁스 또는 꽃의 순수 (absolute) 왁스, 밀랍 또는 개질 밀랍 (세라벨리나: cerabellina), 및 천연 또는 합성 세라마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화합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 의 농도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컨디셔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0. 제 29 항에 있어서, 추가 컨디셔닝제가 실리콘, 본 발명의 양이온성 중합체 외의 양이온성 중합체, 액체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식물성 오일, 광유 및 합성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수성 매질은 물, 또는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와 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2. 제 31 항에 있어서,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tert-부탄올 또는 n-부탄올과 같은 C1-C4 저급 알콜; 알킬렌 글리콜,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올 에테르; C5-C10 알칸,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음이온성, 또는 양쪽성 중합체, 증점제 (thickener), 예를 들어, 산 또는 전해질, 불투명제, 진주 광택제, 비타민, 판테놀과 같은 프로비타민, 방향제, 염료, 유기 또는 미네랄 입자, 보존제 및 pH 안정화제와 같은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4. 제 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발 컨디셔너, 모발의 퍼머, 스트레이트 퍼머, 염색 또는 탈색용 조성물, 또는 퍼머 또는 스트레이트 퍼머작업의 두 단계 사이에 적용되는 헹구어내는 (rinse-out) 조성물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5. 제 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헹구어내는 모발 컨디셔너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6. 제 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용 조성물의 유효량을 케라틴 물질에 적용한 후, 임의로 헹구어내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과 같은 케라틴 물질의 처리를 위한 미용 방법.
KR1020060007733A 2005-02-11 2006-01-25 양이온, 양이온성 중합체, 고체 화합물 및 전분을 포함하는미용 조성물, 및 미용 처리 방법 KR200600909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1414A FR2881954B1 (fr) 2005-02-11 2005-02-11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cation, un polymere cationique, un compose solide et un amidon et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FR0501414 2005-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924A true KR20060090924A (ko) 2006-08-17

Family

ID=3504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733A KR20060090924A (ko) 2005-02-11 2006-01-25 양이온, 양이온성 중합체, 고체 화합물 및 전분을 포함하는미용 조성물, 및 미용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698326B1 (ko)
JP (1) JP2006219493A (ko)
KR (1) KR20060090924A (ko)
CN (1) CN100469350C (ko)
AT (1) ATE476175T1 (ko)
BR (1) BRPI0600308A (ko)
DE (1) DE602006015871D1 (ko)
ES (1) ES2350359T3 (ko)
FR (1) FR2881954B1 (ko)
PL (1) PL169832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12349B (zh) * 2007-08-16 2011-05-18 峰胜集团有限公司 具有去头屑和调理功效的香波组合物
DE102007060528A1 (de) * 2007-12-13 2009-06-18 Henkel Ag & Co. Kgaa Haarkonditionierende Mittel mit Imidazolinen und ausgewählten Siliconen und/oder kosmetischen Ölen
JP5575453B2 (ja) * 2009-10-28 2014-08-20 株式会社ミルボン 毛髪処理剤
FR2952533B1 (fr) * 2009-11-13 2012-01-1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conditionnement des cheveux contenant un melange de particules creuses, d'amidon et de tensioactif cationique
ES2660699T3 (es) * 2009-12-18 2018-03-23 L'oréal Procedimiento para el tratamiento de fibras de queratina
DE102010041496A1 (de) * 2010-09-28 2012-03-29 Beiersdorf Ag Haarnachbehandlungsmittel in Sprayform (leave-in) mit Imidazolinen
FR2976481B1 (fr) * 2011-06-20 2013-11-08 Oreal Composition et procede de traitement utilisant des particules de pierre ponce, un amidon et un tensioactif cationique particulier
WO2014059676A1 (en) * 2012-10-19 2014-04-24 L'oreal Composition comprising an oxydized ester modified starch
JP6225007B2 (ja) 2012-12-26 2017-11-01 花王株式会社 ゲル状毛髪化粧料
JP6599236B2 (ja) * 2012-12-27 2019-10-30 ロレアル ケラチン繊維をケアするための組成物並びにケラチン繊維をクレンジング及びコンディショニングするためのその使用
JP7297541B2 (ja) * 2012-12-27 2023-06-26 ロレアル ケラチン繊維をケアするための組成物並びにケラチン繊維をクレンジング及びコンディショニングするためのその使用
RU2746990C2 (ru) * 2015-05-01 2021-04-23 Л'Ореаль Применение активных агентов при хи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е
US20190008750A1 (en) * 2015-08-14 2019-01-10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ic surfactant, a fatty alcohol, an amphoteric surfactant, a starch derivative, and a cationic conditioning polymer
WO2017091797A1 (en) 2015-11-24 2017-06-01 L'oreal Compositions for treating the hair
US11135150B2 (en) 2016-11-21 2021-10-05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hemically treated hair
US11433011B2 (en) 2017-05-24 2022-09-06 L'oreal Methods for treating chemically relaxed hair
BR102017028213B1 (pt) 2017-12-27 2022-07-19 Loccitane Do Brasil S.A. Composição cosmética compreende óleo de licuri, uso da dita composição e método cosmético
CN113616552A (zh) 2017-12-29 2021-11-09 欧莱雅 用于改变毛发颜色的组合物
US11090249B2 (en) 2018-10-31 2021-08-17 L'oreal Hair treatment compositions, methods, and kits for treating hair
JP2020180062A (ja) * 2019-04-24 2020-11-05 ロレアル 加工デンプン/c13〜c15脂肪酸/クレイの組合せ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1378A (en) 1939-08-30 1942-01-27 Du Pont Pest control
US2273780A (en) 1939-12-30 1942-02-17 Du Pont Wax acryalte ester blends
US2261002A (en) 1941-06-17 1941-10-28 Du Pont Organic nitrogen compounds
US2388614A (en) 1942-05-05 1945-11-06 Du Pont Disinfectant compositions
US2375853A (en) 1942-10-07 1945-05-15 Du Pont Diamine derivatives
US2454547A (en) 1946-10-15 1948-11-23 Rohm & Haas Polymeric quaternary ammonium salts
US3206462A (en) 1962-10-31 1965-09-14 Dow Chemical Co Quaternary poly(oxyalkylene)alkylbis(diethylenetriamine) compounds
CH491153A (de) 1967-09-28 1970-05-31 Sandoz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euen kationaktiven, wasserlöslichen Polyamiden
IT1035032B (it) 1970-02-25 1979-10-20 Gillette Co Composizione cosmetica e confezione che la contiente
LU64371A1 (ko) 1971-11-29 1973-06-21
FR2280361A2 (fr) 1974-08-02 1976-02-27 Oreal Compositions de traitement et de conditionnement de la chevelure
GB1394353A (en) 1972-06-29 1975-05-14 Gillette Co Hair treating composition
LU68901A1 (ko) 1973-11-30 1975-08-20
FR2368508A2 (fr) 1977-03-02 1978-05-19 Oreal Composition de conditionnement de la chevelure
US4025627A (en) 1973-12-18 1977-05-24 Millmaster Onyx Corporation Microbiocidal polymeric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US3874870A (en) 1973-12-18 1975-04-01 Mill Master Onyx Corp Microbiocidal polymeric quarternary ammonium compounds
US3929990A (en) 1973-12-18 1975-12-30 Millmaster Onyx Corp Microbiocidal polymeric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DK659674A (ko) 1974-01-25 1975-09-29 Calgon Corp
CH611156A5 (ko) 1974-05-16 1979-05-31 Oreal
US4005193A (en) 1974-08-07 1977-01-25 Millmaster Onyx Corporation Microbiocidal polymeric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US3966904A (en) 1974-10-03 1976-06-29 Millmaster Onyx Corporation Quaternary ammonium co-polymers for controlling the proliferation of bacteria
US4026945A (en) 1974-10-03 1977-05-31 Millmaster Onyx Corporation Anti-microbial quaternary ammonium co-polymers
US4025617A (en) 1974-10-03 1977-05-24 Millmaster Onyx Corporation Anti-microbial quaternary ammonium co-polymers
US4001432A (en) 1974-10-29 1977-01-04 Millmaster Onyx Corporation Method of inhibiting the growth of bacteria by the application thereto of capped polymers
US4027020A (en) 1974-10-29 1977-05-31 Millmaster Onyx Corporation Randomly terminated capped polymers
US4025653A (en) 1975-04-07 1977-05-24 Millmaster Onyx Corporation Microbiocidal polymeric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T365448B (de) 1975-07-04 1982-01-11 Oreal Kosmetische zubereitung
US4017460A (en) 1975-12-10 1977-04-12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Corporation Novel starch ethers
CH599389B5 (ko) 1975-12-23 1978-05-31 Ciba Geigy Ag
GB1567947A (en) 1976-07-02 1980-05-21 Unilever Ltd Esters of quaternised amino-alcohols for treating fabrics
LU76955A1 (ko) 1977-03-15 1978-10-18
LU78153A1 (fr) 1977-09-20 1979-05-25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a base de polymeres polyammonium quaternaires et procede de preparation
FR2470596A1 (fr) 1979-11-28 1981-06-12 Oreal Composition destinee au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a base de polymeres amphoteres et de polymeres cationiques
LU83349A1 (fr) 1981-05-08 1983-03-24 Oreal Composition sous forme de mousse aerosol a base de polymere cationique et de polymere anionique
LU83876A1 (fr) 1982-01-15 1983-09-02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stinee au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et procede de traitement de celles-ci
LU84708A1 (fr) 1983-03-23 1984-11-14 Oreal Composition epaissie ou gelifiee de conditionnement des cheveux contenant au moins un polymere cationique,au moins un polymere anionique et au moins une gomme de xanthane
JPS59187095A (ja) * 1983-04-08 1984-10-24 ライオン株式会社 2液型毛髪及び繊維処理剤組成物
DE3375135D1 (en) 1983-04-15 1988-02-11 Miranol Inc Poly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S61148184A (ja) 1984-12-22 1986-07-05 Chisso Corp 片末端カルボキシル基含有シロキサン化合物
FR2589476B1 (fr) 1985-10-30 1988-06-17 Rhone Poulenc Spec Chim Additif silicone pour polychlorure de vinyle
LU86429A1 (fr) 1986-05-16 1987-12-16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renfermant un polymere cationique et un polymere anionique comme agent epaississant
DE3623215A1 (de) 1986-07-10 1988-01-21 Henkel Kgaa Neue quartaere ammoniumverbindungen und deren verwendung
US5013763A (en) * 1987-11-30 1991-05-07 The Andrew Jergens Company Wash-off-resistant skin preparation
MY105119A (en) 1988-04-12 1994-08-30 Kao Corp Low irritation detergent composition.
DE68920775T2 (de) 1988-05-17 1995-06-08 Dow Corning Ltd Behandlung von faserigen Materialien.
FR2641185B1 (fr) 1988-12-29 1991-04-05 Oreal Composition de rasage pour la peau a base de polyorganosiloxanes a fonction acyloxyalkyle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JP3352722B2 (ja) * 1992-08-26 2002-12-03 日澱化學株式会社 糖類のアルケニルコハク酸エステルを含有する化粧料
US5455340A (en) 1994-02-02 1995-10-03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Starches modified with amino-multicarboxylates
US5756077A (en) * 1996-09-13 1998-05-26 Avlon Industries, Inc. Hair protectan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serving chemically processed hair during subsequent chemical processing
FR2779648B1 (fr) * 1998-06-15 2001-07-20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se presentant sous forme de solide et pouvant etre deformable
FR2803745B1 (fr) * 2000-01-13 2002-03-15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 amidon amphotere et un agent conditionneur cationique et leurs utilisations
US20030099691A1 (en) * 2001-11-16 2003-05-29 Susan Lydzinski Films containing starch
DE10216500A1 (de) * 2002-04-11 2003-10-23 Beiersdorf Ag Haarpflegemittel
JP4072458B2 (ja) * 2003-05-14 2008-04-09 日本エヌエスシー株式会社 化粧料用水性組成物及びそれを含んで成る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69350C (zh) 2009-03-18
BRPI0600308A (pt) 2007-02-21
EP1698326B1 (fr) 2010-08-04
EP1698326A2 (fr) 2006-09-06
EP1698326A3 (fr) 2006-09-27
FR2881954B1 (fr) 2007-03-30
PL1698326T3 (pl) 2010-10-29
ES2350359T3 (es) 2011-01-21
DE602006015871D1 (de) 2010-09-16
CN1853610A (zh) 2006-11-01
JP2006219493A (ja) 2006-08-24
ATE476175T1 (de) 2010-08-15
FR2881954A1 (fr) 200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0924A (ko) 양이온, 양이온성 중합체, 고체 화합물 및 전분을 포함하는미용 조성물, 및 미용 처리 방법
US20060182702A1 (en) Composition containing a cation, a cationic polymer, a solid compound and a starch, and cosmetic treatment process
RU2234910C2 (ru) Косме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аминосиликон и загущающий агент,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KR100878730B1 (ko) 양이온, 고체 지방 물질 및 소르비탄 에스테르를 함유하는화장 조성물, 및 화장 처리 방법
US7740873B2 (en) Composition comprising a quaternary silicone and a liquid fatty alcohol and method of treatment
JP4131487B2 (ja) 両性デンプンとカチオン性コンディショナーを含有する化粧品用組成物及びその用途
US20050069511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 starch and an ester and the use thereof
US7157413B2 (en) Detergent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n anionic surfactant, an amphoteric, cationic, and/or nonionic surfactant, and a polysacchardie, and use thereof
US20020034487A1 (en) Detergent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 specific amphoteric starch, and uses thereof
JP2003146868A (ja) アミノシリコーンと増粘剤を含有する化粧品用組成物及びその用途
US20040120914A1 (en) Composition containing a quaternary silicone, a cation and two cationic polymers and method of use
JP2006022120A (ja) アニオン性界面活性剤、両性又は非イオン性界面活性剤及び多糖類を含む洗浄化粧品組成物とその用途
ES2280706T3 (es) Composicion cosmetica que comprende una silicona cuaternaria, un tensioactivo cationico, dos polimeros cationicos y procedimiento de tratamiento cosmetico.
JP4053429B2 (ja) スターチホスファートとカチオン性ポリマーを含有する化粧品用組成物とその用途
JP2002363040A (ja) 脂肪アルコールの混合物を含む毛髪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及び毛髪を処置する化粧方法
ES2342119T3 (es) Composiciones cosmeticas que contienen un almidon y un diester graso de peg y su utilizacion.
ES2317443T3 (es) Composicion de lavado y de acondicionamiento de las fibras querantinicas que contienen un carboxialquilalmidon, utilizacion de la misma y procedimiento.
JP3986022B2 (ja) 真珠光沢剤としてのシクロデキストリンの用途及び真珠光沢組成物
US20180071196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modified polysaccharides and uses thereof
JP2007119475A (ja) オキシエチレン化ソルビタンエステル、カチオン性ポリマー、及び固形脂肪物質を含む化粧品組成物、並びに美容処理方法
KR100878729B1 (ko) 양이온, 액체 지방 물질 및 소르비탄 에스테르를 함유하는화장 조성물, 및 화장 처리 방법
JP2004035556A (ja) 第4級シリコーンと液状脂肪アルコール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及び美容処理方法
US20050158262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ic agent, a polymer comprising a hetero atom and an oil, and cosmetic treatment process
MXPA06001276A (en) Composition containing a cation, a cationic polymer, a solid compound and a starch, and cosmetic treatment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