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841A - 인롱계식 낚싯대 - Google Patents

인롱계식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841A
KR20060080841A KR1020050024746A KR20050024746A KR20060080841A KR 20060080841 A KR20060080841 A KR 20060080841A KR 1020050024746 A KR1020050024746 A KR 1020050024746A KR 20050024746 A KR20050024746 A KR 20050024746A KR 20060080841 A KR20060080841 A KR 20060080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fishing rod
thickness reduction
inlo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2109B1 (ko
Inventor
키요히코 마츠모토
쇼타로 타니가와
카즈마 타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60080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이음매부에서의 당기는 감과 고착 현상의 감소를 도모하면서, 낚싯대의 경량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인롱(印籠) 심재(5)를 원대(4)의 개구 내에 고정하는 것과 함께 그 원대(4)로부터 3번 장대(3)를 향하여 돌출하고 그 돌출 부분을 3번 장대에 삽입 이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인롱 심재(5)의 돌출 부분에서의 축선 방향 중간의 외주면(外周面)에, 인롱 심재(5)의 외경(外徑)을 축소하는 소경부(5A, 小徑部)를 형성하여 두께 축소부를 구성하고 있다.
낚싯대, 인롱계, 인롱 심재, 원대, 장대

Description

인롱계식 낚싯대{FISHING ROD INCLUDING JOINTS OF PROJECTION AND DEPRESSION}
도 1은 인롱계식 낚싯대를 도시하는 분해 측면도.
도 2는 두께 축소부로서 소경부를 형성한 인롱 심재를 장대에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며, (a)는 연결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b)는 연결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3은 두께 축소부로서 소경부를 2개소 형성한 인롱 심재를 장대에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며, (a)는 연결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b)는 연결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4는 두께 축소부로서 나선 홈을 형성한 인롱 심재를 장대에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며, (a)는 연결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b)는 연결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5는 두께 축소부로서 너어링 가공부를 형성한 인롱 심재를 장대에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며, (a)는 연결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b)는 연결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6은 두께 축소부로서 요입 노치부를 형성한 인롱 심재를 장대에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며, (a)는 연결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b)는 인롱 심 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두께 축소부로서 환상 홈을 형성한 인롱 심재를 장대에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며, (a)는 연결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b)는 인롱 심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두께 축소부로서 소경부와 너어링 가공부를 형성한 인롱 심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두께 축소부로서 환상 홈과 요입 노치부를 형성한 인롱 심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장대 선단측 장대
2, 3, 4   장대 기단측 장대
5      인롱 심재
5A      소경부
5B      기단부
5C      대경부
5D      나선 홈
5E      너어링 가공부
5F      요입 노치부
5G      환상 홈
본 발명은, 인롱(印籠) 심재를 장대 선단측 장대와 장대 기단측 장대의 한 쪽의 장대 내에 고정하는 것과 함께 그 장대 내로부터 상대측의 장대를 향하여 돌출하고 그 돌출 부분을 상대측 장대 내에 삽입 이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인롱계식(印籠繼式, 접합부의 재(材)의 한쪽 단의 일부를 돌출시키고, 다른쪽 단의 일부를 움푹 패게 하여 연결하는 방식)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인롱계식 낚싯대에 있어서, 인롱 심재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2002-119184호 공보 (단락 번호〔0016〕및, 도 2, 3)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 공개 2000-32881호(단락 번호〔0010〕및, 도 1)
인롱 심재가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측의 장대 내에 삽입되어 상대측 장대의 내주면(內周面)에 밀착한 결합 상태이면, 그 연결 부분(이음매 부분)은 상대측 장대와 인롱 심재가 이중 구조로 되기 때문에, 이 부분의 단면 2차 모멘트가 국부적으로 증대하여, 낚시 조작을 행하는 때에 이 연결 부분에서 장대의 곡률이 매끄럽게 연결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당기는 감을 크게 하고 있었다.
또한, 인롱 심재가 상대측의 장대 내에 삽입되어 상대측 장대의 내주면에 밀착한 결합 상태로 되기 때문에, 낚시 조작을 하는 동안에 인롱 심재의 상대측 장대 에의 결합 상태가 보다 강고하게 되는 고착 현상을 일으켜, 인롱 심재를 상대측 장대로부터 뽑아낼 때에 곤란하였다.
나아가서는, 경량화의 요청에도 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롱 심재의 외주면(外周面)에 간단한 구조를 더하는 것에 의하여, 이음매부에서의 당기는 감(感)의 감소, 고착 현상의 감소, 장대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인롱계식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성〕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인롱 심재의 상기 돌출 부분에서의 축선 방향 중간 위치의 외주면에, 상기 인롱 심재의 외경(外徑)을 축소하는 두께 축소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즉, 인롱 심재의 돌출 부분에 두께 축소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그 돌출 부분이 상대측 장대 내에 삽입된 경우에는, 두께 축소부는 소경(小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측 장대의 내주면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한편, 두께 축소부 이외의 부분이 상대측 장대의 내주면에 밀착한다.
따라서, 장대 선단측 장대와 장대 기단측 장대의 접속 상태는, 인롱 심재의 두께 축소부 이외의 부분의 밀착 상태에서 달성된다.
〔효과〕
이것에 의하여, 이음매부에서의 이중 구조에 기인하는 단면 2차 모멘트가 높 은 상태가 두께 축소부에 의하여 경감되어, 당기는 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인롱 심재와 상대측 장대의 접촉 면적을 두께 축소부의 형성에 의하여 저감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인롱 심재와 상대측 장대의 고착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두께 축소부에서 소경화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인롱 심재의 경량화가 도모되어, 낚싯대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게다가, 장대 선단측 장대와 장대 기단측 장대의 접속 상태는, 두께 축소를 시행하지 않은 부분의 밀착 상태에서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인롱 심재를 장대 선단측 장대와 장대 기단측 장대의 한 쪽의 장대 내에 고정하는 것과 함께 그 장대 내로부터 상대측의 장대를 향하여 돌출하고 그 돌출 부분을 상대측 장대 내에 삽입 이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인롱계식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인롱 심재에서의 상기 한 쪽의 장대 내에 고정된 기단 부분에서의 축선 방향 중간 위치의 외주면에, 다른 부분에 비해 소경의 두께 축소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청구항 1에 있어서는, 인롱 심재에서의 상대측 장대 내에 삽입되는 돌출 부분에 두께 축소부를 형성하였지만, 이 청구항 2에서는, 인롱 심재 자체가 한 쪽의 장대 내에 고정되어 있는 기단 부분에 두께 축소부를 설치한다. 이것에 의하여, 인롱 심재의 기단부(基端部)와 한 쪽 장대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저감되어, 상기한 당기는 감이 저감되는 것과 함께, 낚싯대의 경량화가 달성된다.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인롱 심재의 상기 돌출 부분 에서의 축선 방향 중간 위치의 외주면에, 상기 인롱 심재의 외경을 축소하는 두께 축소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인롱 심재에서의 상기 한 쪽의 장대 내에 고정된 기단 부분에서의 축선 방향 중간 위치의 외주면에, 다른 부분에 비해 소경의 두께 축소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즉, 인롱 심재의 돌출 부분에 두께 축소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그 돌출 부분이 상대측 장대 내에 삽입된 경우에는, 두께 축소부는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측 장대의 내주면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한편, 두께 축소부 이외의 부분이 상대측 장대의 내주면에 밀착한다.
따라서, 장대 선단측 장대와 장대 기단측 장대의 접속 상태는, 인롱 심재의 두께 축소부 이외의 부분의 밀착 상태에서 달성된다.
나아가, 기단 부분에도 두께 축소부를 설치하고 있다.
〔효과〕
이것에 의하여, 이음매부에서의 이중 구조의 상태가 두께 축소부에 의하여 경감되어 당기는 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한 쪽의 장대와 상대측 장대의 양방의 부분에서 두께 축소부가 단면 2차 모멘트의 저감에 기여하기 때문에, 한층, 당기는 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인롱 심재와 상대측 장대의 접촉 면적을 두께 축소부의 형성에 의하여 저감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인롱 심재와 상대측 장대의 고착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두께 축소부에서 소경화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인롱 심재의 경량화가 도모되 어, 낚싯대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두께 축소부가 나선 홈인 것이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즉, 인롱 심재의 돌출 부분에 나선 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그 돌출 부분이 상대측 장대 내에 삽입된 경우에는, 나선 홈의 부분은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측 장대의 내주면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한편, 나선 홈 이외의 부분이 상대측 장대의 내주면에 밀착한다.
따라서, 장대 선단측 장대와 장대 기단측 장대의 접속 상태는, 나선 홈 이외의 부분의 밀착 상태에서 달성된다.
게다가, 기단 부분에도 나선 홈을 설치하고 있다.
〔효과〕
이것에 의하여, 이음매부에서의 이중 구조의 상태가 나선 홈에 의하여 경감되어, 당기는 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한 쪽의 장대와 상대측 장대의 양방의 부분에서 나선 홈부가 단면 2차 모멘트의 저감에 기여하기 때문에, 한층 당기는 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인롱 심재와 상대측 장대의 접촉 면적을 나선 홈의 형성에 의하여 저감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인롱 심재와 상대측 장대의 고착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두께 축소부가 너어링(knuring) 가공면인 것이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이 가져오는 작용 효과와 동일하다.
청구항 6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두께 축소부가 원주 방향의 적어도 한 개소에 있어서 원주 방향의 일정 범위에서 또한 축선 방향의 일정 범위에 걸쳐 형성된 요입(凹入, 오목하게 들어감) 노치(notch)부인 것이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이 가져오는 작용 효과와 동일하다. 특히, 두께 축소부가 원주 방향의 적어도 한 개소에 있어서 원주 방향의 일정 범위에서 또한 축선 방향의 일정 범위에 걸쳐 형성된 요입 노치부이기 때문에, 인롱 심재의 상대측 장대의 내주면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저감할 수 있어, 고착 현상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상승한다.
청구항 7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두께 축소부가 축선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환상 홈인 것이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이 가져오는 작용 효과와 동일하다.
〔제1 실시예〕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탑 가이드(1A)와 중간 가이드(1B)를 구비한 수선대(1, 초릿대), 중간 가이드(2A)를 구비한 2번 장대(2), 중간 가이드(3A)를 구비한 3번 장대(3), 중간 가이드(4A)와 릴 시트(4B)를 구비한 원대(4)에 의하여, 인롱 계식 낚싯대(A)를 구성하고 있다. 2번 장대(2), 3번 장대(3), 원대(4)의 개구에는, 각각, 인롱 심재(5)가 돌출 설치되어 있어, 인롱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인롱 심재(5)는, 장대와 마찬가지로,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에 엑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prepreg)에 의하여 형성된 중실상(中實狀) 또는 통상의 주상체(柱狀體)를 나타내는 것이다.
인롱 심재(5)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롱 심재(5)는 서로 접합되는 장대 선단측 장대와 장대 기단측 장대에서의 장대 기단측 장대의 개구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장대 기단측 장대를 원대(4), 장대 선단측 장대를 3번 장대(3)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롱 심재(5)로서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기둥상 부재를 채용하고, 그 원기둥상 부재의 축선 방향 중간 위치에 그 축선 방향 일정 범위에 이르는 소경부(5A)를 형성하여, 두께 축소부를 설치하고 있다. 나머지 부분은 원기둥상 부재 자체의 외경을 유지하고 있는 기단부(5B)로 한다.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형상을 채용하는 인롱 심재(5)의 기단부(5B)를 원대(4)의 개구 내에 삽입하여 접착 고정한다. 원대(4)는 프리프레그를 소정의 제법으로 제조되지만, 개구 부분은 축선 방향의 일정 길이에 걸쳐 일정 내경(內徑)의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대(4)에 접착 고정된 인롱 심재(5)를 장대 선단측으로 돌출시키고, 돌출 부분에 상기한 소경부(5A)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소경부(5A)보다 한층 선단측에는 대경부(5C, 大徑部)가 남겨져 있고,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대경부(5C)와 소경부(5A)를 3번 장대(3)의 장대 기단부 내에 삽입하고, 대경부(5C)를 3번 장대(3)의 내주면에 압접시켜,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인롱 심재(5)는, 외주면을 일정한 외경으로 형성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되어 있지만, 원대(4)에 삽입 고정되는 기단부측만큼 대경으로 되도록, 외주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경사 부분을 가지고 형성한 인롱 심재(5)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소경부(5A)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하여, 프리프레그를 소정의 경사면을 구비한 맨드릴에 돌려 감아 작성되는 장대의 내주면을 따른 형상으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인롱 심재(5)의 대경부(5C)의 3번 장대(3)의 내주면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다.
〔제2 실시예〕
여기서 설명하는 것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에, 나아가 기단부(5B)에도 소경부(5A)를 설치하도록 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대(4)의 개구 내에 위치하는 기단부(5B)에도 소경부(5A)를 형성하고, 주로, 당기는 감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소경부(5A)를 2개소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대경부가 3개소 형성되게 되며, 선단측의 대경부(5C)는 3번 장대(3)의 장대 기단측의 내주면에 압접하여 접속 상태를 유지하고, 기단측의 대경부(5C)는 원대(4)의 개구측의 내주면에 접착 고정되며, 중간의 대경부인 기단부(5B)는 일부가 원대(4)의 개구에 고정되고, 선단측의 일부는 3번 장대의 장대 기단부에 대해서 삽입 이탈 가능하게 삽입 상태로 압접된다.
〔제3 실시예〕
여기서 설명하는 것은, 두께 축소부로서 나선 홈(5D)을 형성한 것을 설명한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대(4)에 접착 고정된 인롱 심재(5)를 장대 선단측으로 돌출시키고, 돌출 부분에 상기한 나선 홈(5D)이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나선 홈(5D)보다 한층 선단측에는 대경부(5C)가 남겨져 있고, 그 대경부(5C)와 나선 홈(5D)을 3번 장대(3)의 장대 기단부 내에 삽입하고, 나선 홈(5D)을 시행하고 있지 않은 대경부(5C)를 3번 장대(3)의 내주면에 압접시켜,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덧붙여,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제2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 홈(5D)을 원대(4) 내에 위치하는 기단부(5B)의 외주면에도 시행하여도 무방하다.
〔제4 실시예〕
여기서 설명하는 것은, 두께 축소부로서 너어링 가공부(5E)를 형성한 것을 설명한다. 즉,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대(4)에 접착 고정된 인롱 심재(5)를 장대 선단측으로 돌출시키고, 돌출 부분에 상기한 너어링 가공부(5E)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너어링 가공부(5E)보다 한층 선단측에는 대경부(5C)가 남겨져 있고, 그 대경부(5C)와 너어링 가공부(5E)를 3번 장대(3)의 장대 기단부 내에 삽입하고, 너어링 가공을 하고 있지 않은 대경부(5C)를 3번 장대(3)의 내주면에 압접시켜,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덧붙여,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제2 실시예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너어링 가공부(5E)를 원대(4) 내에 위치하는 기단부(5B)의 외주면에도 시행하여도 무방하다.
〔제5 실시예〕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롱 심재(5)로서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기둥상 부재를 채용하고, 그 원기둥상 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원기둥상 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가는 요입 노치부(5F, 5F)를 설치하고 있다. 요입 노치부(5F, 5F)는, 원기둥상 부재의 축선 방향의 일정 범위에서 또한 원주 방향의 일정 범위에 걸쳐 절취된 것으로, 두께 축소부를 형성하고 있다. 요입 노치부(5F)로서는, 180° 대각 위치에 설치하였지만, 원주 방향의 1개소이어도 무방하며, 혹은, 원주 방향의 3개소이어도 무방하다.
요입 노치부(5F)보다 한층 선단측에는 대경부(5C)가 남겨져 있고, 그 대경부(5C)와 요입 노치부(5F)를 3번 장대(3)의 장대 기단부 내에 삽입하고, 요입 노치 가공을 시행하고 있지 않은 대경부(5C)를 3번 장대(3)의 내주면에 압접시켜,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덧붙여,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제2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요입 노치부(5F)를 원대(4) 내에 위치하는 기단부(5B)의 외주면에도 시행하여도 무방하다.
〔제6 실시예〕
여기서 설명하는 것은, 두께 축소부로서 복수개의 환상 홈(5G)을 형성한 것을 설명한다. 즉,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대(4)에 접착 고정된 인롱 심재(5)를 장대 선단측으로 돌출시키고, 돌출 부분에 상기한 환상 홈(5G)이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환상 홈(5F)보다 한층 선단측에는 대경부(5C)가 남겨져 있고, 그 대경 부(5C)와 환상 홈(5F)을 3번 장대(3)의 장대 기단부 내에 삽입하고, 환상 홈(5G)을 시행하고 있지 않은 대경부(5C)를 3번 장대(3)의 내주면에 압접시켜,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덧붙여,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제2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 홈(5G)을 원대(4) 내에 위치하는 기단부(5B)의 외주면에도 시행하여도 무방하다.
〔다른 실시예〕
(1) 인롱 심재(5)로서 각 장대 기단측 장대의 개구로부터 돌출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으로부터 돌출시키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2) 상기한 실시예의 것은, 릴을 사용하지 않는 은어 장대 등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3) 상기한 구성에서는, 두께 축소부를 형성하는데, 소경부(5A) 등을 채용하는 것에 대해서 기재하였지만, 원대(4)로부터 돌출하는 부분과 기단부에 설치하는 두께 축소부로서는 동일한 형상의 것, 예를 들면, 소경부(5A)이면 어느 부분도 소경부(5A)를 채용하고 있는데, 상기한 5개의 형상의 것 중 다른 형상의 것을 조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 부분에 소경부(5A)를 설치하고, 기단부에는 너어링 가공부(5E)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 부분에 환상 홈(5G)을 설치하고, 기단부에는 요입 노치부(5F)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들 조합은, 이음매부에서의 고착 상태나 당기는 감, 혹은, 경량화 중 어느 것에 중점을 둘 것인가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롱 심재의 외주면에 간단한 구조를 더하는 것에 의하여, 이음매부에서의 당기는 감의 감소, 고착 현상의 감소, 장대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7)

  1. 인롱(印籠) 심재를 장대 선단측 장대와 장대 기단측 장대의 한 쪽의 장대 내에 고정하는 것과 함께 그 장대 내로부터 상대측의 장대를 향하여 돌출하고 그 돌출 부분을 상대측 장대 내에 삽입 이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인롱계식(印籠繼式, 접합부의 재(材)의 한쪽 단의 일부를 돌출시키고, 다른쪽 단의 일부를 움푹 패게 하여 연결하는 방식)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인롱 심재의 상기 돌출 부분에서의 축선 방향 중간 위치의 외주면(外周面)에, 상기 인롱 심재의 외경(外徑)을 축소하는 두께 축소부를 형성하고 있는 인롱계식 낚싯대.
  2. 인롱 심재를 장대 선단측 장대와 장대 기단측 장대의 한 쪽의 장대 내에 고정하는 것과 함께 그 장대 내로부터 상대측의 장대를 향하여 돌출하고 그 돌출 부분을 상대측 장대 내에 삽입 이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인롱계식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인롱 심재에서의 상기 한 쪽의 장대 내에 고정된 기단(基端) 부분에서의 축선 방향 중간 위치의 외주면에, 다른 부분에 비해 소경의 두께 축소부를 형성하고 있는 인롱계식 낚싯대.
  3. 인롱 심재를 장대 선단측 장대와 장대 기단측 장대의 한 쪽의 장대 내에 고정하는 것과 함께 그 장대 내로부터 상대측의 장대를 향하여 돌출하고 그 돌출 부분을 상대측 장대 내에 삽입 이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인롱계식 낚싯대에 있어 서, 상기 인롱 심재의 상기 돌출 부분에서의 축선 방향 중간 위치의 외주면에, 상기 인롱 심재의 외경을 축소하는 두께 축소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인롱 심재에서의 상기 한 쪽의 장대 내에 고정된 기단 부분에서의 축선 방향 중간 위치의 외주면에, 다른 부분에 비해 소경의 두께 축소부를 형성하고 있는 인롱계식 낚싯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축소부가, 나선 홈인 인롱계식 낚싯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축소부가, 너어링(knuring) 가공면인 인롱계식 낚싯대.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축소부가, 원주 방향의 적어도 한 개소에 있어서 원주 방향의 일정 범위에서 또한 축선 방향의 일정 범위에 걸쳐 형성된 요입(凹入, 오목하게 들어감) 노치(notch)부인 인롱계식 낚싯대.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축소부가, 축선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환상 홈인 인롱계식 낚싯대.
KR1020050024746A 2005-01-06 2005-03-25 인롱계식 낚싯대 KR101182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01564A JP4530353B2 (ja) 2005-01-06 2005-01-06 印籠継式釣竿
JPJP-P-2005-00001564 2005-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841A true KR20060080841A (ko) 2006-07-11
KR101182109B1 KR101182109B1 (ko) 2012-09-17

Family

ID=3679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746A KR101182109B1 (ko) 2005-01-06 2005-03-25 인롱계식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30353B2 (ko)
KR (1) KR101182109B1 (ko)
CN (1) CN1799351B (ko)
TW (1) TW2006240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2259B2 (ja) * 2007-10-18 2013-02-13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用竿体及び釣り竿
JP6470072B2 (ja) * 2015-03-10 2019-02-13 株式会社シマノ 筒状体の連結構造
EP3874945A4 (en) * 2018-10-29 2022-07-27 Globeride, Inc. FISHING ROD INCLUDING MULTIPLE CONNECTED ROD BODIES
JP6990168B2 (ja) * 2018-12-28 2022-01-1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複数の竿体が継合される釣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6827A (ja) * 1982-10-07 1984-04-16 藤井 敏孝 釣り竿
JPH0789812B2 (ja) * 1991-01-07 1995-10-0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75689A (ja) * 1996-09-03 1998-03-24 Shimano Inc 振出式中通竿
KR200196357Y1 (ko) * 1998-05-29 2000-10-02 박보국 낚시대의 낚시대롱간 연결구조
JP2000279063A (ja) * 1999-03-29 2000-10-10 Ryobi Ltd インロー継ぎ釣竿
JP2000295947A (ja) 1999-04-14 2000-10-24 Ryobi Ltd インロー継ぎ竿
JP2001314141A (ja) * 2000-05-09 2001-11-13 Ryobi Ltd 継式釣竿
CN2461286Y (zh) * 2000-12-08 2001-11-28 陈光威 插节渔竿
CN2462664Y (zh) * 2001-02-12 2001-12-05 河顺太 端部固定式多级伸缩鱼竿
JP2003265075A (ja) * 2002-03-18 2003-09-24 Daiwa Seiko Inc 釣 竿
TWI264276B (en) * 2002-06-19 2006-10-21 Shimano Kk Fishing rod and method for producing rod body
CN2588767Y (zh) * 2002-11-22 2003-12-03 叶杨秋月 钓竿结构
CN2617160Y (zh) * 2003-01-17 2004-05-26 陈慕珊 钓竿多变组合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9351B (zh) 2010-10-27
TWI345952B (ko) 2011-08-01
KR101182109B1 (ko) 2012-09-17
CN1799351A (zh) 2006-07-12
TW200624039A (en) 2006-07-16
JP2006187240A (ja) 2006-07-20
JP4530353B2 (ja) 201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422B1 (ko) 블라인드 패스너
KR101182109B1 (ko) 인롱계식 낚싯대
JP2008220213A (ja) 釣り竿
US5413338A (en) Golf club shaft and its manufacturing mandrel
KR102218747B1 (ko) 릴 시트 및 낚싯대
KR20070103665A (ko) 스피닝 릴 장착용의 릴 시트
JP2007039864A (ja) ビードコードにおける側線ワイヤの接続部材
US20060025247A1 (en) One Piece LaCrosse Stick
KR102180951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JP6898221B2 (ja)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3838558B2 (ja) 管状体
US10473144B2 (en) Bent tubular shaf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8017793A (ja) 伸縮式竿
JP2003287128A (ja) 2ピース型組合せオイルリング
JP2005095139A (ja) 釣糸ガイド
JP4601362B2 (ja) 釣り竿
JP2001352865A (ja) 竿体の連結構造
JP3065298B2 (ja) 分割箸
JP2004011743A (ja) 複合カムシャフ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27164B1 (ko) 쇽업소버의 헤드 캡
JP4247750B2 (ja) ボールねじ機構
JP2007252275A (ja) 釣竿
JP2022062434A (ja) コネクタ
JP2024032554A (ja) 釣竿、及び、継合構造の形成方法
JP2004305112A (ja) 竿体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