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8687A - 외래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를 포함하는 에세리키아 종 또는코리네박리움 종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생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외래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를 포함하는 에세리키아 종 또는코리네박리움 종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생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8687A
KR20060078687A KR1020040116999A KR20040116999A KR20060078687A KR 20060078687 A KR20060078687 A KR 20060078687A KR 1020040116999 A KR1020040116999 A KR 1020040116999A KR 20040116999 A KR20040116999 A KR 20040116999A KR 20060078687 A KR20060078687 A KR 20060078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ysine
microorganism
phosphate dehydrogenase
corynebacterium
escherich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8748B1 (ko
Inventor
박영훈
나소연
김성준
이문수
Original Assignee
씨제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4011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748B1/ko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5/004625 priority patent/WO2006071086A1/en
Priority to CN2005800456723A priority patent/CN101094913B/zh
Priority to JP2007549267A priority patent/JP4592760B2/ja
Priority to US11/722,820 priority patent/US7566553B2/en
Priority to BRPI0519290-0A priority patent/BRPI0519290A2/pt
Priority to DE602005022490T priority patent/DE602005022490D1/de
Priority to EP05844809A priority patent/EP1831350B1/en
Priority to AT05844809T priority patent/ATE474912T1/de
Publication of KR20060078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0004Oxidoreductases (1.)
    • C12N9/0008Oxidoreductases (1.) acting on the aldehyde or oxo group of donors (1.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08Lysine; Diaminopimelic acid; Threonine; Val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02/00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aldehyde or oxo group of donors (1.2)
    • C12Y102/01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aldehyde or oxo group of donors (1.2) with NAD+ or NADP+ as acceptor (1.2.1)
    • C12Y102/01013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NADP+) (phosphorylating) (1.2.1.1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래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에 의하여 형질전환되고 L-라이신 생산능력을 갖는 에세리키아 종 (Escherichia sp.)과 코리네박테리움 종 (Corynebacterium sp.)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글리세르알데히드 3 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 대장균, 라이신

Description

외래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를 포함하는 에세리키아 종 또는 코리네박리움 종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Microorganism of escherichia sp, or corynebacterium sp. comprising foreign NADP dependent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ene and method for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클로스티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 유래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를 대장균에서 도입하는 데 사용된 발현 벡터 pCJ-gapN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대장균 발현 벡터 pQE30의 벡터 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외래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를 포함하는 에세리키아 종 (Escherichia sp.)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종 (Corynebacterium sp.)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L-라이신은 동물사료, 사람의 의약품 및 약제 산업에 사용되고 있으며, 산업 적으로 산업적으로 미생물을 이용하여 많이 생산되고 있는 것 아미노산 중의 하나이다. L-라이신의 생산균주로는 코리네박테리움 균주(Corynebacterium), 특히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이 발효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코리네박테리움 균주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른 미생물 균주를 이용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가 대장균을 이용하는 것이다. 대장균 균주 (Escherichia coli)는 학술적으로, 또한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그람음성 미생물이다. 대장균 균주는 그 동안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져 왔기 때문에 코리네박테리움 균주에 비해 많은 정보가 축적되어 있으며, 발효공정상 용의성등이 장점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야생형의 대장균 균주를 이용하여 다량의 L-아미노산 생성을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져 왔다.
그 중에서 재조합 DNA 기술을 이용하여 각각의 L-라이신 생합성-관련 유전자를 증폭시켜 L-라이신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고 L-라이신 생산 대장균 균주를 개량하려는 연구가 많이 있어 왔다 (EP0733710A1 및 EP0723011A1). 예를 들면, 아지노모토사의 유럽특허공개 EP1253195A1의 경우 대장균 균주의 아스파테이트 세미알데하이드 디히드로게나제 (aspartate semialdehyde dehyrogenase), 포스포에놀파이루베이트 카르복실라제 (phosphoenolpyruvate carboxylase), 트랜스히드로게나제 (transhydrogenase), 및 아스파타제 (aspartase)의 효소활성을 증가시켰을 경우 라이신의 생산성이 증가된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유럽특허공개 EP0733710A1에서는 dapAlysC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dapB 유전자의 강화뿐 아니라 외래 유전자인 ddh 도입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생체내에서 탄소 중앙 대사 과정중에서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이하 GAPDH)라는 효소는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데 해당과정에서 작용하는 NAD 의존적 GAPDH와 광합성시 탄소동화에 작용하는 NADP 의존적 GAPDH, 그리고 비인산화 NADP 의존적 GAPDH (nonphosphorylation NADP-dependent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이하 GapN)으로 나눌 수 있다 (Iddar, A 등, Protein Expr Purif. 25(3):519-26(2002)). 대장균내에서 L-라이신은 L-아스파테이트로부터 9 단계의 효소 반응 과정을 거쳐 합성이 되는데, 이 때 두 단계에서 NADPH를 필요로 한다. 즉 세포내의 NADPH의 농도는 L-라이신 합성에 영향을 미치며, 다량의 L-라이신 생산을 위해서는 세포내의 NADPH 양을 증가시킬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대장균에서 존재하지 않는 효소인 GapN을 도입하여 발현시켰을 경우, 세포내의 NADPH 양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Valverde, F 등은 클로스티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 (Clostridium acetobutylicum) 유래의 gapN 유전자를 대장균에 도입시켜 발현시킨 바 있다 (Valverde, F 등 FEBS Lett. 449 153-158 (1999)).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더라도 gapN 유전자를 L-라이신 생산능을 갖는 미생물에 도입하여 L-라이신의 생산력이 향상된 균주를 개발한 예는 없다.
본 발명자들은 클로스티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으로부터 유래된 gapN 유전자를 클로닝 한 후, L-라이신 생산균주에 도입하여 L-라이신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상기 균주의 L-라이신 생산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래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를 포함하는 L-라이신 생산능력을 갖는 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을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래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에 의하여 형질전환되고 L-라이신 생산능력을 갖는 에세리키아 종 (Escherichia sp.)과 코리네박테리움 종 (Corynebacterium sp.) 미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래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는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glyceraldehyde 3 phosphate)를 기질로 하여 3-포스포글리세레이트 (3-phosphoglycerate)로 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것이면 어느 것도 포함된다. 상기 외래 gapN 유전자의 예에는 옥수수 (진뱅크 허가번호: X75326)를 포함한 식물 및 클로스티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Clostridium acetobutylicum) (진뱅크 허가번호 NP_350239)를 포함하는 미생물로부터 유래한 유전자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세리키아 (Escherichia sp.) 종 미생물의 예는 에세리키아 콜라이 (Escherichia coli)가 될 수 있고, 코리네박테리움 종 (Corynebacterium sp.) 미생물의 예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코리네박테리움 써모아미노게네스 (Corynebacterium thermoaminogenes), 브리비박테리움 플라붐 (Brevibacterium flavum) 및 브리비박테리움 락토페르멘툼 (Brevibacterium lactofermentum)으로 이루어지는 종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생물이 될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에세리키아 (Escherichia sp.) 종 미생물은 에세리키아 콜라이 (Escherichia coli) CJ40226 (수탁번호 KCCM-10628)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는, 클로스티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 (Clostridium acetobutylicum)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 염기서열 (진뱅크 허가번호 NP_350239)을 포함하는 L-라이신 생산능을 갖는 대장균을 제공한다. 상기 유전자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대장균내에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전자를 벡터내에 도입하여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고, 상기 벡터를 대장균 내에 도입하여 형질전환된 대장균을 제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통상적인 방법 즉, 적절한 벡터에 제한효소 (BamHI)를 사용하여 상기 클로스티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 (Clostridium acetobutylicum)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 염기서열을 라이게이션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 제조시 사용가능한 벡터로는 박테리아, 바람직하기로는 에세리키아 (Escherichia) 속의 박테리아에서 자율적으로 증식할 수 있는 벡터로부터 유래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지벡터 또는 플라스미드 벡터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파지 벡터 또는 코스미드 벡터로서는, 예를 들면 pWE15, M13, λEMBL3, λEMBL4, λFIXII, λDASHII, λZAPII, λgt10, λgt11, Charon4A, Charon21A 등을 들 수 있고, 플라스미드 벡터로서는, 예를 들면 pBR계, pUC계, pBluescriptII계, pGEM계, pTZ계, pET계, pMal계, pQE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가 도입되는 에세리키아 (Escherichia sp.) 종 미생물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종 (Corynebacterium sp.) 미생물은 야생형 균주뿐만 아니라, L-라이신 생산능이 개선된 변이주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메티오닌 요구성, 쓰레오닌 유사체 (AHV: α-아미노-β-히드록시 발레릭산)에 대한 내성, 라이신 유사체 (AEC: S-(2-아미노에틸)-L-시스테인)에 대한 내성, 이소루이신 유사체(α-아미노부티릭에시드)에 대한 내성, 메티오닌의 유사체(에티오닌)에 대한 내성 등의 특성을 지닌 균주들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외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가 도입되는 에세리키아 (Escherichia sp.) 종 미생물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종 (Corynebacterium sp.) 미생물은 L-라이신 생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입된 상기 유전자의 카피수의 증가시키거나 유전자 조절서열 조작함으로써 L-라이신 생산능이 개선된 균주로 변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외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가 도입되는 에세리키아 (Escherichia sp.) 종 미생물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종 (Corynebacterium sp.) 미생물을 L-라이신을 생성하기에 적절한 조건하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라이신의 제조 방법을 제공 한다. L-라이신의 생산에 적합한 미생물의 배양조건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배양 조건 예를 들면 배지, 배양 온도 등이 선택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미생물에 따라 적절한 조건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L-라인신 생산을 수행할 수 있다. 배양물로부터 L-라이신의 회수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L-라이신의 분리 및 정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 및 재결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형질전환"은 DNA를 숙주로 도입하여 DNA가 염색체외 인자로서 또는 염색체 통합완성에 의해 복제가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형질감염"은 임의의 코딩 서열이 실제로 발현되든 아니든 발현 벡터가 숙주 세포에 의해 수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형질감염된 숙주" 및 "형질전환된 숙주"는 DNA의 세포로의 도입을 의미한다. 용어 "벡터"는 적합한 숙주 내에서 DNA의 발현을 실시할 수 있는 적합한 조절 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DNA 서열을 함유하는 DNA 제조물을 의미한다. 그러한 조절 서열은 전사를 실시하기 위한 프로모터, 그러한 전사를 조절하기 위한 임의의 오퍼레이터 서열, 적합한 mRNA 리보좀 결합 부위를 코딩하는 서열, 및 전사 및 해독의 종결을 조절하는 서열을 포함한다. 벡터는 플라스미드, 파지 입자, 또는 간단하게 잠재적 게놈 삽입물일 수 있다. 적당한 숙주로 형질전환되면, 벡터는 숙주 게놈과 무관하게 복제하고 기능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경우에 게놈 그 자체에 통합될 수 있다. 플라스미드가 현재 벡터의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이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플라스미드" 및 "벡터"는 때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용어 "조절 서열"이라는 표현은 특정한 숙주 생물에서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코딩 서열의 발현에 필수적인 DNA 서열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원핵생물에 적합한 조절 서열은 프로모터, 임의로 오퍼레이터 서열 및 리보좀 결합 부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균주 및 그를 이용한 L-라이신의 제조방법의 일 구체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세리키아 콜라이 (Escherichia coli) TF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2-0012444호)를 모균주로 사용하여 라이신 생산균주를 개발하기 위해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 구아니딘을 변이원으로 변이처리하였다. 지수기로 성장한 대장균을 0.1몰 포스페이트 완충용액 (pH 7.0) 혹은 0.1몰 시트레이트 완충액 (pH 5.5)에 현탁시키고 N-메틸-NN′-니트로-N-니트로소 구아니딘을 최종농도 200-500μg/ml이 되도록 첨가하여 30℃에서 10분내지 30분동안 처리하여 변이를 유발시켰다. 그 다음 라이신 유사체 (AEC: S-(2-아미노에틸)-L-시스테인)를 1∼30 g/l 농도로 첨가하여 최소평판한천배지에 변이처리된 균체액을 도말하여 30 ℃∼37 ℃에서 수일 배양하여 유사체 내성 균주들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균주들은 메티오닌 요구성, 쓰레오닌 유사체 (AHV: α-아미노-β-하이드록시 발레릭산)에 대한 내성, 라이신 유사체 (AEC: S-(2-아미노에틸)-L-시스테인)에 대한 내성, 이소루이신 유사체 (α-아미노부티릭에시드)에 대한 내성, 메티오닌의 유사체(에티오닌)에 대한 내성 등의 특성을 지닌 균주들이다. 이렇게 선별된 균주는 호기적 조건 (진탕배양: 250 rpm, 33℃ 의 온도 조건)하에서 60 시간 배양하여 라이신을 제조하였다.
L-아미노산은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후속으로 닌히드린 유도체화에 의해 분석할 수 있다(Spackman et al. Analytical Chemistry, 30, (1958), 1190).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 라이신 생산 대장균 균주 K225의 제조 및 특성의 확인
에세리키아 콜라이 (Escherichia coli) TF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2-0012444호)를 지수기까지 성장시킨 후 0.1 몰 포스페이트 완충용액 (pH 7.0) 혹은 0.1 몰 시트레이트 완충액 (pH 5.5)에 현탁시키고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 구아니딘을 최종농도 200-500μg/ml이 되도록 첨가하여 30 ℃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처리한 다음 라이신 유사체 (AEC: S-(2-아미노에틸)-L-시스테인)를 1-30g/l의 농도로 첨가된 최소평판한천배지에서 유사체 내성 균주들을 선별하였다. 이 균주를 CJ40225라 명명하였다. 이 균주에 대한 라이신 유도체에 대한 내성실험은 M9 최소배지에서 확인하였고 상대 생육 정도를 표 1에 나타냈었다.
표 1. 야생 대장균 균주, TF1와 CJ40225의 AEC에 대한 상대 생육 정도 (%)
균주 상대 생육 정도 (%) *
AEC 첨가농도 (g/l)
0 5 10 20 40
W3110 100 66.3 39.8 7.4 -
TF1 100 103.5 128.9 112.5 17.5
CJ40225 100 124.3 88.4 89.2 73.9
* 상대 생육 정도는 배양액을 56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AEC 첨가 농도가 0인 경우의 생육 정도를 100으로 기준하여 표시하였음.
M9 최소배지 : 포도당 4g, Na2HPO4ㆍ7H2O 12.8g, KH2 PO4 3g, NaCl 0.5g, NH4Cl 1g (공정수 1리터 기준)
선별된 균주 대장균 CJ40225의 L-라이신 생산성 측정을 위하여 대장균 CJ40225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하기의 종배지 25 ml을 함유하는 250 ml 코너-바플 플라스크에 대장균 생산 균주 TF1 및 대장균 CJ40225을 접종하고 33 ℃에서 60 시간 동안 진탕 배양 (250 rpm)하였다. 배양 종료 후 HPLC에 의해 L-라이신의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대장균 W3110, TF1 및 CJ40225에 대한 배양물 중의 L-라이신은 아래 표 2와 같다.
생산배지 (pH 7.0): 포도당 60g, 효모추출물 2g, (NH4)2SO4 17g, KH 2PO4 0.3g, K2HPO4 0.6g, NaCl 1g, MgSO4ㆍH2O 1g, FeSO 4ㆍH2O 10mg, MnSO4ㆍH2O 10mg, CaCO3 30g, L-이소루이신 0.05g, L-메티오닌 0.6g (공정수 1리터 기준)
표 2. 야생 대장균 균주, TF1 및 CJ40225의 플라스크 발효 결과
균주 라이신 염산염 농도 (g/l) 쓰레오닌 농도 (g/l)
W3110 - -
TF1 5.4 3.0
CJ40225 1.2 8.3
실시예 2 : 클로스트리디움 유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 ( gapN )의 검색 및 클로닝
클로스티리디움 유래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gapN)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이미 알려져 있다. 미국국립보건원 진뱅크(NIH GenBank)로부터 클로스티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 (Clostridium acetobutylicum)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 (gapN) 정보 (등록번호 NP_350239)를 확보하였다. 보고된 염기서열에 근거하여 서열번호 1과 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 하고 클로스티리디움 아세포부틸리쿰 ATCC 824 균주의 염색체 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수행하여, 1485 bp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 (gapN)를 증폭하였다. PCR 조건은 변성 94℃에서 30초, 어닐링 51℃에서 30초 및 중합 72℃에서 1 분을 25 회 수행하였다. 얻어진 PCR 산물을 TOPO Cloning Kit (Invitrogen 사)을 이용하여 대장균 플라스미드 pCR2.1에 클로닝하여 pCR-gapN 플라스미드를 얻었다.
실시예 3 :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 발현 벡터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가 포함된 벡터 pCR-gapN을 제한효소 BamHI으로 절단하여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단편만을 분리한 뒤 동일한 BamHI으로 절단된 대장균 발현 벡터 pQE30 (Qiagen 사)에 접합효소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벡터에 존재하는 박테이로파아지의 T5 프로모터에 의해 상기 유전자가 세포 내에서 발현이 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도 2는 상기 pQE30의 벡터 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다음, 대장균 DH5α 스트레인에 열충격법으로 형질전환을 실시하였고, 암피실린 100 μg/ml를 함유한 루리아 버타니(LB) 한천배지에 도포한 뒤 형질전환주를 선별 및 수득하였다. 각각의 형질전환주에서 발현벡터 pCJ-gapN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4 : pCJ-gapN로 형질전환된 대장균에서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단백질 발현의 확인
pCJ-gapN을 포함한 형질전환 균주인 대장균 DH5α(pCJ-CFK)를 항생제인 암피실린이 포함된 LB 배지에서 하루정도 배양한 다음, 배양액의 일부를 다시 암피실린이 포함된 LB 배지에 접종하여 초기 정체기까지 배양하였다. 초기정체기에 도달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세포만을 획득한 후 적당한 버퍼에 현탁한 뒤 초음파 파쇄법으로 세포를 파괴하고, 다시 고속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얻어진 상등액의 일부를 SDS-PAGE 방법에 의해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예상했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의 분자량인 52.5 Kd위치에 과발현된 단백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활성 측정
실시예 4에서 확인된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단백질이 실제로 세포 내에서 효소활성을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보완실험 (complementation test)를 실시하였다.
대장균의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의 활성이 없는 돌연변이 균주의 경우 배지 내에 탄소원으로 글리세롤과 숙신산을 첨가한 경우 성장하고 LB 배지에서는 성장을 못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 돌연변이 균주로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발현 벡터인 pCJ-gapN를 형질도입하였을 경우, 발현 벡터인 pCJ-gapN에 의해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 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가 발현되어 정상적인 효소활성을 나타낸다면 돌연변이 균주는 LB 배지에서도 성장을 할 수 있게 된다.
대장균의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의 활성이 없는 돌연변이 균주 DS122 (CGSC 스트레인 #7566)는 예일대학교 대장균 보관센터로부터 분양받은 후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발현 벡터인 pCJ-gapN을 열충격법에 의해 형질전환을 실시하여 글리세롤과 숙신산과 클로람페니콜이 포함된 최소배지에서 형질전환주를 선별 및 획득하였다. 이 형질전환주를 LB 배지에 도말하여 성장 유무를 확인한 결과, 돌연변이 균주와는 달리 성장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LB 배지에서 성장한 형질전환주를 실시예 4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SDS-PAGE를 통해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단백질의 발현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 pCJ-gapN을 포함하는 L-라이신 생산균주의 제조 및 L-라이신의 생산
실시예 5에서 확인된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발현 벡터 pCJ-gapN를 실시예 1에서 제작된 L-라이신 대장균 생산 균주인 CJ40225에 열충격법을 통해 형질전환하여 형질전환 균주를 획득하고 CJ40226이라고 명명하였다. 획득된 CJ40226 형질전환 균주들은 플라스미드가 있는지를 먼저 확인한 뒤, L-라이신 생산양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양한 후 배지 내 라이신 농도를 측정하였다. 생산된 L-라이신의 양은 하기 표 3과 같다. 대조군으로서, 대장균 CJ40225를 사용하였다.
표 3. 대장균 CJ40225 및 CJ40226으로부터 생산된 L-라이신의 생산량
균주 라이신 염산염 농도 (g/l)
CJ40225 8.3
CJ40226 10.8
본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로스트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 유래의 외래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를 포함하는 대장균 CJ40226은 상기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균주에 비하여 L-라이신의 생산력이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대장균 CJ40226을 부다페스트조약 하의 국제기탁기관인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04년 11월 30일에 기탁하였다 (수탁번호 KCCM-10628).
본 발명의 에세리키아 종 (Escherichia sp.)과 코리네박테리움 종 (Corynebacterium sp.) 미생물에 의하면, 현저하게 향상된 L-라이신 생산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L-라이신 생산방법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L-라이신을 생산할 수 있다.
<110> CJ Corporation <120> Microorganism of Escherichia sp. or Corynebacterium sp. comprising foreign NADP-dependent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ene and method for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130> PN059643 <160> 2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ggaccatagg gatcctttga aaata 25 <210> 2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tttctttata agtgtgagat tggattga 28

Claims (5)

  1. 외래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에 의하여 형질전환되고 L-라이신 생산능력을 갖는 에세리키아 종 (Escherichia sp.)과 코리네박테리움 종 (Corynebacterium sp.) 미생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는 진뱅크 허가번호 NP_350239의 뉴클레오티드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세리키아 (Escherichia sp.) 종 미생물은 에세리키아 콜라이 (Escherichia coli)이며, 코리네박테리움 종 (Corynebacterium sp.)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코리네박테리움 써모아미노게네스 (Corynebacterium thermoaminogenes), 브리비박테리움 플라붐 (Brevibacterium flavum) 및 브리비박테리움 락토페르멘툼 (Brevibacterium lactofermentum)으로 이루어지는 종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생물.
  4. 제3항에 있어서, 에세리키아 콜라이 (Escherichia coli) CJ40226 (수탁번호 KCCM-106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라이신의 생산방법.
KR1020040116999A 2004-12-30 2004-12-30 외래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를 포함하는 에세리키아 종 또는코리네박리움 종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생산하는 방법 KR100768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999A KR100768748B1 (ko) 2004-12-30 2004-12-30 외래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를 포함하는 에세리키아 종 또는코리네박리움 종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생산하는 방법
CN2005800456723A CN101094913B (zh) 2004-12-30 2005-12-29 包含外源的依赖nadp的甘油醛-3-磷酸脱氢酶基因的埃希氏菌种或者棒杆菌种微生物和使用其产生l-赖氨酸的方法
JP2007549267A JP4592760B2 (ja) 2004-12-30 2005-12-29 外来のnadp依存的グリセルアルデヒド−3−リン酸デヒドロゲナーゼ遺伝子を含むエシェリキア種またはコリネバクテリウム種の微生物、およびこれらを用いてl−リジンを生産する方法
US11/722,820 US7566553B2 (en) 2004-12-30 2005-12-29 Microorganism of Escherichia Sp, or Corynebacterium Sp, comprising foreign NADP dependent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ene and method for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PCT/KR2005/004625 WO2006071086A1 (en) 2004-12-30 2005-12-29 Microorganism of escherichia sp, or corynebacterium sp. comprising foreign nadp dependent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ene and method for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BRPI0519290-0A BRPI0519290A2 (pt) 2004-12-30 2005-12-29 microorganismos das espÉcies escherichia e corynebacterium e mÉtodo de produÇço de l-lisina
DE602005022490T DE602005022490D1 (de) 2004-12-30 2005-12-29 Mikroorganismus einer escherichia- oder corynebacterium-spezies mit einem fremdgen für nadp-abhängige glycerinaldehyd-3-phosphat-dehydrogenas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lysin damit
EP05844809A EP1831350B1 (en) 2004-12-30 2005-12-29 Microorganism of escherichia sp, or corynebacterium sp. comprising foreign nadp dependent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ene and method for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AT05844809T ATE474912T1 (de) 2004-12-30 2005-12-29 Mikroorganismus einer escherichia- oder corynebacterium-spezies mit einem fremdgen für nadp-abhängige glycerinaldehyd-3-phosphat- dehydrogenas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lysin dam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999A KR100768748B1 (ko) 2004-12-30 2004-12-30 외래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를 포함하는 에세리키아 종 또는코리네박리움 종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생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687A true KR20060078687A (ko) 2006-07-05
KR100768748B1 KR100768748B1 (ko) 2007-10-19

Family

ID=3661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999A KR100768748B1 (ko) 2004-12-30 2004-12-30 외래의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디히드로게나제 유전자를 포함하는 에세리키아 종 또는코리네박리움 종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생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566553B2 (ko)
EP (1) EP1831350B1 (ko)
JP (1) JP4592760B2 (ko)
KR (1) KR100768748B1 (ko)
CN (1) CN101094913B (ko)
AT (1) ATE474912T1 (ko)
BR (1) BRPI0519290A2 (ko)
DE (1) DE602005022490D1 (ko)
WO (1) WO200607108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4962A3 (ko) * 2009-07-08 2011-04-21 씨제이제일제당 (주) 외래종 유래의 글리세르알데하이드-3-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지나제의 활성을 획득한 코리네박테리움 속의 l-라이신 생산방법
KR102207867B1 (ko) * 2020-01-21 2021-01-26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하이드-3-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지나제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
WO2023106543A1 (ko) * 2021-12-06 2023-06-15 대상 주식회사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6667B2 (en) * 2006-08-29 2014-12-09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Increasing NADPH-dependent products
US20090233523A1 (en) * 2008-03-17 2009-09-17 Maria Pardo Dimensional foam brassiere
JP2010142200A (ja) * 2008-12-22 2010-07-01 Ajinomoto Co Inc L−リジンの製造法
CN105670982A (zh) * 2016-03-02 2016-06-15 廊坊梅花生物技术开发有限公司 重组菌株及其构建方法、应用
KR102011394B1 (ko) * 2017-07-19 2019-10-22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퓨트레신을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퓨트레신 생산방법
CN108048414A (zh) * 2017-12-19 2018-05-18 湖北工业大学 3-磷酸甘油醛脱氢酶及其多克隆抗体
CN114317468B (zh) * 2021-12-06 2023-10-20 嘉必优生物技术(武汉)股份有限公司 一种增强碳源代谢的大肠杆菌底盘细胞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4297A (ja) * 1984-05-18 1985-12-04 Toray Ind Inc L−リジンの製造法
KR920008382B1 (ko) 1990-12-31 1992-09-26 제일제당 주식회사 재조합 대장균에 의한 라이신 제조방법
US5876983A (en) 1993-08-24 1999-03-02 Ajinomoto Co., Inc. Mutant phosphoenolpyruvate carboxylase, its gene, and production method of amino acid
JPH07155184A (ja) 1993-12-08 1995-06-20 Ajinomoto Co Inc 発酵法によるl−リジンの製造法
US6713289B2 (en) 1999-10-05 2004-03-30 Degussa Ag Nucleotide sequences which code for the eno gene
DE19947791A1 (de) * 1999-10-05 2001-04-12 Degussa Neue für das eno-Gen codierende Nukleotidsequenzen
DE19959328A1 (de) 1999-12-09 2001-06-13 Degussa Neue für das zwa1-Gen codierende Nukleotidsequenzen
DK1253195T3 (da) 2000-01-21 2009-01-12 Ajinomoto Kk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L-lysi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4962A3 (ko) * 2009-07-08 2011-04-21 씨제이제일제당 (주) 외래종 유래의 글리세르알데하이드-3-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지나제의 활성을 획득한 코리네박테리움 속의 l-라이신 생산방법
KR102207867B1 (ko) * 2020-01-21 2021-01-26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하이드-3-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지나제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
WO2021150029A1 (ko) * 2020-01-21 2021-07-29 씨제이제일제당 (주)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하이드-3-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지나제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
WO2023106543A1 (ko) * 2021-12-06 2023-06-15 대상 주식회사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1350A4 (en) 2008-06-11
JP4592760B2 (ja) 2010-12-08
KR100768748B1 (ko) 2007-10-19
US7566553B2 (en) 2009-07-28
DE602005022490D1 (de) 2010-09-02
BRPI0519290A2 (pt) 2009-01-06
EP1831350A1 (en) 2007-09-12
US20080138882A1 (en) 2008-06-12
CN101094913B (zh) 2010-12-29
CN101094913A (zh) 2007-12-26
WO2006071086A1 (en) 2006-07-06
ATE474912T1 (de) 2010-08-15
EP1831350B1 (en) 2010-07-21
JP2008526196A (ja) 200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73042B2 (ja) 変異型アスパルトキナーゼ遺伝子
KR100526316B1 (ko) 아스파테이트 및 글루타메이트계열 아미노산의 미생물적제조방법과 이 방법에 사용되는 작용제
JP4035855B2 (ja) L−リジンの製造法
US7566553B2 (en) Microorganism of Escherichia Sp, or Corynebacterium Sp, comprising foreign NADP dependent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ene and method for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JP5618164B2 (ja) 外来種由来のグリセルアルデヒド−3−ホスフェートデヒドロゲナーゼの活性を獲得したコリネバクテリウム属のl−リシン生産方法
KR101996769B1 (ko) 변이형 호모세린 디하이드로게나제 및 이를 이용한 호모세린 또는 호모세린 유래 l-아미노산의 생산 방법
JP6625133B2 (ja) ピルビン酸デヒドロゲナーゼ変異体、それを含む微生物及びそれを用いるl−アミノ酸生産方法
CA3073177C (en) A novel promot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l-amino acid using the same
JPH07108228B2 (ja) 温度感受性プラスミド
KR100782867B1 (ko) L-리신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아 및 리신을 제조하는방법
US10253339B2 (en) Gluconate repressor variant, microorganism containing the same producing L-lysine, and method for producing L-lysine
JP2000236893A (ja) L−アミノ酸を製造する方法
KR101564753B1 (ko) 코리네형 세균 유래의 치환된 개시코돈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형질전환된 숙주세포 및 이를 이용한 아미노산의 생산방법
JP2009507505A (ja) 微生物を使用するアミノ酸産生法
EP1377674A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amino acids by fermentation using coryneform bacteria
JP2000270888A (ja) L−アミノ酸の製造方法
KR20220110412A (ko) 신규한 단백질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 생산 방법
KR101526047B1 (ko) 아미노트랜스퍼라제 활성 강화를 통하여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제조방법
RU2805253C1 (ru) Новый 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й полипептид с ослаблен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цитратсинтазы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L-аминокислоты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KR20220157144A (ko) 신규 프로모터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