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2679A -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2679A
KR20060072679A KR1020040111386A KR20040111386A KR20060072679A KR 20060072679 A KR20060072679 A KR 20060072679A KR 1020040111386 A KR1020040111386 A KR 1020040111386A KR 20040111386 A KR20040111386 A KR 20040111386A KR 20060072679 A KR20060072679 A KR 20060072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region
semiconductor device
low density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2753B1 (ko
Inventor
최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40111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753B1/ko
Priority to CNB2005100759696A priority patent/CN100429743C/zh
Priority to JP2005189129A priority patent/JP2006179854A/ja
Priority to US11/175,468 priority patent/US8105757B2/en
Publication of KR2006007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36Masks having proximity correction features; Preparation thereof, e.g.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OPC] design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8Process specially adapted to improve the resolution of the mas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9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using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영역에서 형성하는 패턴의 수가 다른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저밀도 패턴영역에 사진식각공정을 통해 메인 패턴을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공정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활성 영역과 인접하는 비활성 영역 위에 상기 메인 패턴의 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더미 패턴을 함께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저밀도 패턴영역의 메인 패턴 측면에 디자인 룰에 따라 반도체 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더미 패턴을 함께 형성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저밀도 패턴영역을 고밀도 패턴영역 또는 중간밀도 패턴영역과 같은 패턴 밀도가 되도록 하여 공정 마진을 향상시키고, 패턴의 임계영역 균일도를 향상시켜 반도체 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미패턴, 저밀도, 고밀도, 공정마진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도 1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의 밀도가 다른 패턴영역들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어시스트 피이처를 적용한 저밀도 패턴영역의 평면도.
도 3은 어시스트 피이처가 적용된 공정과 적용되지 않은 공정의 초점 깊이 공정 마진 차이를 보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더미 패턴을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식각 바이어스를 비교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노광공정 마진을 비교한 그래프와 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게이트 패턴 2 : 활성 영역
3 : 비트라인 콘택 5 : 더미 패턴
6 : 비활성 영역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 형성할 패턴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다른 부분 중 낮은 부분에 더미 패턴을 마련하되, 활성 영역이 아닌 인접하는 비활성 영역 위에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더미 패턴을 마련하여 식각 바이어스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패턴의 공정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의 제조공정은 특정한 박막을 증착하고,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그 박막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원하는 형상의 패턴을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패턴은 좁은 지역에 다수의 반복적인 패턴이 위치하는 고밀도 패턴영역, 넓은 지역에 소수의 패턴이 위치하는 저밀도 패턴영역, 그리고 고밀도와 저밀도의 중간밀도 패턴영역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의 밀도가 다른 패턴영역들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은 메인 패턴인 게이트 패턴, 도면 부호 2와 3은 각각 활성 영역과 비트라인 콘택을 가리킨다.
또한, 도 1에서 A영역은 고밀도 패턴영역, B는 중간밀도 패턴영역, C는 저밀도 패턴영역을 나타낸다.
상기 저밀도 패턴영역(C)은 고밀도 패턴영역(A)에 비하여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의 공정마진이 저하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보다 작은 파장, 다양한 RET(Resolution Enhancement Technology) 공정을 사용하고 있으나, 저밀도 패턴영역(C)은 초점 깊이(depth of focus) 공정의 마진에서 현격한 감소 현상을 발생시킨다.
또한 저밀도 영역(C)의 패턴에 대한 식각과정에서 고밀도 영역의 패턴(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바이어스를 적용되어 노광공정에서 보다 작은 공정마진으로 구현해야 하며, 노광후 포토레지스트의 프로파일이 열화되기 때문에 임계영역 균일도 또한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저밀도 패턴 영역(C)에 대한 임계영역 균일도 마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어시스트 피이처(assist feature)를 구비하는 노광 마스크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어시스트 피이처는 실제 웨이퍼 상에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초점 깊이 공정마진을 향상시키는 것이 적기 때문에 식각 바이어스의 제어와 임계영역 균일도 개선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도 2는 종래 어시스트 피이처를 적용한 저밀도 패턴영역 형성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패턴(1)의 측면부에 광이 투과되는 어시스트 피이처(4)가 마련된다.
이러한 어시스트 피이처(4)는 메인 패턴인 게이트 패턴(1)에 비하여 그 폭이 대단히 작으며, 노광 마스크에서만 나타나며 실제 웨이퍼 상에서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상기 어시스트 피이처(4)를 적용한 공정을 어시스트 피이처가 적용되지 않은 공정의 초점 깊이 공정 마진을 비교할 수 있도록 각 패턴의 밀도별 초점 깊이 공정마진을 나타낸 표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시스트 피이처(4)가 적용된 공정의 저밀도 패턴영영의 초점 깊이 공정마진은 어시스트 피이처(4)가 적용되지 않은 공정에 비하여 개선되었으나, 고밀도 패턴영역과 중간 밀도 패턴영역에 비해서는 보다 많은 개선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저밀도 패턴영역에서도 초점 깊이 공정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밀도 패턴영역의 식각 바이어스를 낮춰 임계영역 균일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한 영역에서 형성하는 패턴의 수가 다른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저밀도 패턴영역에 사진식각공정을 통해 메인 패턴을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공정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활성 영역과 인접하는 비활성 영역 위에 상기 메인 패턴의 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더미 패턴을 함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더미 패턴은 디자인 룰에 따라 상기 메인 패턴과의 이격거리, 더미 패턴 상호간의 이격거리 및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더미 패턴은 메인 패턴과 동일한 방향 또는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더미 패턴을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밀도 패턴영역에 메인 패턴인 게이트 패턴(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그 게이트 패턴(1)의 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 즉, 게이트 패턴(1)이 형성되어 있는 활성 영역(2)과 인접한 비활성 영역(6) 위에 복수의 더미 패턴(5)을 형성한다.
상기 더미 패턴(5)은 주위의 활성 영역(2), 비트라인 콘택(3) 등과의 디자인 룰을 고려하여 게이트 패턴(1)의 측면부에 소정의 거리 이격되도록 일정한 크기, 일정한 수로 형성한다.
예를 들어 메인 패턴인 게이트 패턴(1)의 크기가 150nm이고, 활성 영역(2)과 게이트 패턴(1) 사이의 디자인 룰이 100nm인 경우 활성 영역(2)의 끝단으로부터 100nm 이격된 위치인 비활성 영역 위에 게이트 패턴(1)과 동일 크기의 더미 패턴(5)을 형성한다.
또한 더미 패턴(5) 사이의 거리도 디자인 룰에 따라 적당하게 이격시켜야 한다.
상기 더미 패턴(5)의 형성에 따라 실질적으로 상기 저밀도 패턴영역은 중간밀도 또는 고밀도 패턴영역과 같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더미 패턴(5)은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어시스트 피이처를 사용하는 방식과는 달리 실제 웨이퍼 상에 형성되는 것이며, 이는 저밀도 패턴영역의 밀도를 실질적으로 높여 고밀도 또는 중간밀도 패턴영역과 같은 초점 깊이 공정 마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식각 바이어스는 인접 패턴과의 밀도에 크게 의존하는 것이며, 식각 바이어스는 밀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이며, 식각 바이어스의 값이 작을수록 높은 임계영역 균일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더미 패턴(5)을 메인 패턴인 게이트 패턴(1)의 측면부에 마련하여 밀도를 높여 식각 바이어스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식각 바이어스를 비교한 그래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각 바이어스는 종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식각 바이어스가 감소한 경우 얻어지는 효과는 목표한 임계영역 타겟이 150nm라고 가정하고, 식각 바이어스가 50nm이면, 노광공정에서 구현해야하는 임계영역은 100nm가 되며, 식각 바이어스가 그 보다 작은 20nm인 경우에는 노광공정의 130nm를 구현하면 되기 때문에 노광공정의 공정 마진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노광 공정의 공정마진의 차이를 도 6의 그래프와 표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에서 Isolated로 표시된 부분은 어시스트 피이처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 저밀도 영역에서의 공정 마진을 나타내며, 종래기술은 어시스트 피이처가 적용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초점 깊이 공정마진을 크게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마진의 향상은 반도체 장치의 수율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본 발명은 공정마진의 향상으로 인해 반도체 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더미 패턴(5)의 형성방향은 상기 게이트 패턴(1)과 동일한 방향이거나, 그 게이트 패턴(1)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가지는 다수의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 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밀도 패턴영역의 메인 패턴 측면에 디자인 룰에 따라 반도체 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더미 패턴을 함께 형성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저밀도 패턴영역을 고밀도 패턴영역 또는 중간밀도 패턴영역과 같은 패턴 밀도가 되도록 하여 공정 마진을 향상시키고, 패턴의 임계영역 균일도를 향상시켜 반도체 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정한 영역에서 형성하는 패턴의 수가 다른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저밀도 패턴영역에 사진식각공정을 통해 메인 패턴을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공정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활성 영역과 인접하는 비활성 영역 위에 상기 메인 패턴의 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더미 패턴을 함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은 디자인 룰에 따라 상기 메인 패턴과의 이격거리, 더미 패턴 상호간의 이격거리 및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은 메인 패턴과 동일한 방향 또는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KR1020040111386A 2004-12-23 2004-12-23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KR100732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386A KR100732753B1 (ko) 2004-12-23 2004-12-23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CNB2005100759696A CN100429743C (zh) 2004-12-23 2005-05-27 制造半导体器件的方法
JP2005189129A JP2006179854A (ja) 2004-12-23 2005-06-29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11/175,468 US8105757B2 (en) 2004-12-23 2005-07-06 Method of making a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386A KR100732753B1 (ko) 2004-12-23 2004-12-23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679A true KR20060072679A (ko) 2006-06-28
KR100732753B1 KR100732753B1 (ko) 2007-06-27

Family

ID=3661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386A KR100732753B1 (ko) 2004-12-23 2004-12-23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05757B2 (ko)
JP (1) JP2006179854A (ko)
KR (1) KR100732753B1 (ko)
CN (1) CN100429743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5080A1 (en) * 2006-06-30 2009-12-24 X-Fab Semiconductor Foundries Ag Transistor array with shared body conta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109507847A (zh) * 2018-12-27 2019-03-22 上海华力集成电路制造有限公司 光学临近效应修正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0317B2 (ja) * 2007-01-11 2013-06-2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1266913B (zh) * 2007-03-12 2010-05-26 旺宏电子股份有限公司 增进图案均匀度的方法
JP2008235350A (ja) * 2007-03-16 2008-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集積回路
US7926001B2 (en) * 2008-01-16 2011-04-12 Cadence Design Systems, Inc. Uniformity for semiconductor patterning operations
SG10201408775SA (en) 2014-12-29 2016-07-28 Globalfoundries Sg Pte Ltd Etch bias control
DE102015121044B4 (de) * 2015-12-03 2020-02-06 Infineon Technologies Ag Anschlussblock mit zwei Arten von Durchkontaktierungen und elektronische Vorrichtung, einen Anschlussblock umfassend
KR102417183B1 (ko) * 2016-02-25 2022-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형 메모리 장치, opc 검증 방법, 적층형 메모리 장치의 레이아웃 디자인 방법, 및 적층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2706A (ja) * 1996-09-10 1998-04-10 Sony Corp 露光方法、及び該露光方法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9980040591A (ko)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사진 식각 공정용 포토마스크
KR100230421B1 (ko) * 1997-04-22 1999-11-15 윤종용 반도체장치의 더미패턴 형성방법
JP2000077681A (ja) * 1998-09-03 2000-03-14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の製造方法
US6563148B2 (en) * 2000-04-19 2003-05-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device with dummy patterns
JP2002158278A (ja) * 2000-11-20 2002-05-31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設計方法
KR100498441B1 (ko) * 2001-04-17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근접 효과의 보정을 위한 마스크와 그 제조 방법
JP2003017390A (ja) * 2001-06-29 2003-01-17 Toshiba Corp 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パターン形成に用いるマスク
KR100732749B1 (ko) * 2001-12-28 2007-06-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미세 패턴 형성용 마스크
JP2003241362A (ja) * 2002-02-21 2003-08-27 Sony Corp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252909B2 (en) * 2002-04-18 2007-08-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to reduce CD non-uniformity in IC manufacturing
KR100523622B1 (ko) * 2003-02-04 2005-10-24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의 포토 마스크 형성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5080A1 (en) * 2006-06-30 2009-12-24 X-Fab Semiconductor Foundries Ag Transistor array with shared body conta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8455955B2 (en) * 2006-06-30 2013-06-04 X-Fab Semiconductor Foundries Ag Transistor array with shared body conta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109507847A (zh) * 2018-12-27 2019-03-22 上海华力集成电路制造有限公司 光学临近效应修正方法
CN109507847B (zh) * 2018-12-27 2022-02-01 上海华力集成电路制造有限公司 光学临近效应修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29743C (zh) 2008-10-29
CN1794418A (zh) 2006-06-28
US20060138462A1 (en) 2006-06-29
US8105757B2 (en) 2012-01-31
KR100732753B1 (ko) 2007-06-27
JP2006179854A (ja)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514B1 (ko)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이트형성방법.
US7202148B2 (en) Method utilizing compensation features in semiconductor processing
US6319644B2 (en) Methods of reducing proximity effects in lithographic processes
CN100416774C (zh) 在半导体器件中形成微图案的方法
US8105757B2 (en) Method of making a semiconductor device
TWI473143B (zh) 在半導體裝置中形成微型圖案之方法
US20020094688A1 (en)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s
US7651950B2 (en) Method for forming a pattern of a semiconductor device
US20060292497A1 (en) Method of forming minut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US20060134532A1 (en) Method for correcting mask pattern, photomask, method for fabricating photomask, electron beam writing method for fabricating photomask, exposure metho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US5888678A (en) Mask and simplified method of forming a mask integrating attenuating phase shifting mask patterns and binary mask patterns on the same mask substrate
KR20070069914A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US20050123845A1 (en) Method of adjusting deviation of critical dimension of patterns
KR20050077729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0741926B1 (ko) 폴리실리콘 패턴 형성 방법
US9329471B1 (en) Achieving a critical dimension target based on resist characteristics
TW202143327A (zh) 半導體圖案化製程
US6861178B2 (en) Phase shift mask, method of exposure, and method of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CN103578970A (zh) 制造半导体器件的方法
KR100265989B1 (ko) 반도체 장치의 폴리실리콘 패턴 형성방법
US824202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0390948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KR20020036384A (ko) 반도체 장치의 평탄화 방법
US6797635B2 (en) Fabrication method for lines of semiconductor device
KR101188265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