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6217A - 낚싯대용 장대 - Google Patents

낚싯대용 장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217A
KR20060056217A KR1020050022505A KR20050022505A KR20060056217A KR 20060056217 A KR20060056217 A KR 20060056217A KR 1020050022505 A KR1020050022505 A KR 1020050022505A KR 20050022505 A KR20050022505 A KR 20050022505A KR 20060056217 A KR20060056217 A KR 20060056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rod
hollow
top guid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유키 오소레다
카즈마 타니구치
키요히코 마츠모토
유키노부 시오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60056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2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2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조작성의 자유도를 획득하면서, 물고기의 입질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프리프레그 시트를 맨드릴에 돌려 감아, 소성(燒成) 후 소정 길이로 재단하여 중공상(中空狀) 장대(1C)를 구성한다. 이 중공상 장대(1C)의 외주(外周)면에 낚싯줄 가이드(3)를 장착한다. 한편, 금속제의 추(2)를 중공상 장대(1C)의 내부 공간(1a)의 내주(內周)벽을 따른 원추대상(圓錐臺狀)으로 형성한다. 이 형성한 원추대상의 추(2)를 장대 기단측 개구(開口)에서 내부 공간(1a) 내로 끼워 넣고, 추(2)를 내주벽에 접착 고정한다.
중공상 장대, 중실상 장대, 수선대, 추, 테이퍼부

Description

낚싯대용 장대{ROD FOR FISHING ROD}
도 1은 중공상 장대의 내부에 추를 수납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며, (a)는 수선대의 측면도, (b)는 (a)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중공상 장대의 내부에 추를 수납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a)는 수납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수납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중실상 장대에 고비중 프리프레그를 돌려 감은 상태를 도시하며, (a)는 감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감은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탑 가이드를 원통상의 동일 외경부에 형성한 탑 가이드 장착부에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a)는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b)는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5는 탑 가이드를 원기둥상의 동일 외경부에 형성한 탑 가이드 장착부에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a)는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b)는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수선대를 2분할 하여, 그 2분할 한 장대끼리의 사이에 추를 끼움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a)는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b)는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수선대
1C, 6, 10A, 10B: 중공상 장대
1D: 중실상 장대
2, 11: 추
3, 4: 낚싯줄 가이드
6C, 7C: 탑 가이드 장착부
9: 고비중 판상체
본 발명은, 외주(外周)면에 낚싯줄 가이드를 장착한 수선대 등에 사용되는 낚싯대용 장대에 관한 것이다.
낚싯대의 수선대 등은,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를 혼합하고, 그 혼합 강화 섬유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含浸)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소정의 테이퍼(taper) 형상을 한 맨드릴에 감아, 소성(燒成)하여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2002-335817호 공보 (단락 번호 [0029] 및, 도 7 등)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를 돌려 감아 형성한 장대는, 프리프레그 고유의 강성(剛性)을 가지게 되어, 장대의 휨새가 정해지게 된다.
따라서 장대의 구부러짐의 정도가 정해지기 때문에, 조작성의 자유도가 낮은 면이 있었다. 또한 물고기의 입질을 쉽게 파악하기 위하여, 극단적으로 장대의 선단이 유연하고 쉽게 휘는 수선대를 구성하면, 횡풍(橫風)을 받아도 장대 선단이 휘어지기 쉬워져, 오히려, 입질을 파악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성의 자유도를 획득하면서, 물고기의 입질을 쉽게 파악하는 낚싯대의 장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성〕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중공상(中空狀) 장대의 외주면에 낚싯줄 가이드를 장착하는 것과 함께, 그 중공상 장대의 내부 공간의 축선 방향의 일부에, 고비중물(高比重物)을 장착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낚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손잡이대를 약간 상하 좌우로 흔드는 조작을 하여도, 고중량물의 관성력에 의하여, 고비중물을 장착한 장대의 진동이 크게 되고 또한 가진력을 더할 수 있었던 손잡이대와는 다른 위상으로 진동하게 되어, 장대의 휨새가 일정한 것에 한정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물고기의 입질이 있으면, 고비중물의 관성력으로 크게 장대가 진동하 고, 작은 입질이더라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단, 횡풍 등을 받아도, 장대 전체에 그 횡풍이 작용하고, 고비중물이 허리의 강함을 발휘하기 때문에, 장대 선단에 작용하는 물고기의 입질을 받은 경우 정도는, 장대는 휨이 생기지 않는다.
〔효과〕
낚싯대에 단순하지 않은 휨새를 구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이 장대 조작의 자유도와 편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함께, 입질도 파악하기 쉽고, 횡풍 등의 외란(外亂)에 강한 낚싯대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고비중물이 금속제의 추인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고비중물이 금속제의 추인 점으로부터, 중공상의 장대 내에 수납할 때나 고비중물을 제작할 때에 취급이 용이하다.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중실상(中實狀) 장대의 외주면에 낚싯줄 가이드를 장착하는 것과 함께, 그 중공상 장대의 외주면의 축선 방향의 일부에, 고비중 판상체(板狀體)를 감아 장착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여기서, 중량 판상체를 중실 장대의 외주면에 감는 것은, 청구항 1, 2에서 기재한 고비중물을 중공 장대 내에 설치한 경우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진다.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중실상 장대가 축선을 따라 묶은 강화 섬유의 다발을 수지액 내로 들어가게 하여 수지를 함침시킨 후 다이스(dice)로 뽑아 내어 소정 길이로 재단한 것이며, 고비중 판상체가 상기 중실상 장대의 강화 섬유보다 고비중의 강화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를 돌려 감아 형성된 것인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진다. 즉, 고비중물과 같은 관성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중실상 장대에 사용된 강화 섬유보다는 고비중의 강화 섬유를 사용한 프리프레그를 돌려 감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작용 효과를 중실상 장대에서도 달성할 수 있었다.
청구항 5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중공상 장대가 수선대이고, 상기 수선대의 장대 선단부에 장대 기단측으로 일정 길이의 동일 외경(外徑)의 탑 가이드 장착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탑 가이드 장착부보다 장대 기단측 부분을 외경이 대경화하는 테이퍼상의 것으로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청구항 1, 2에 대응한 작용 효과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진다. 즉, 중공상의 수선대를 외경이 장대 기단측만큼 대경화하는 테이퍼상의 것으로 형성하면서, 장대 선단부를 일정 외경의 것으로 형성하여, 탑 가이드를 밀착성이 좋게 그 장착부에 끼워 넣을 수 있어, 탑 가이드의 장착 상태를 강고하고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중실상 장대가 수선대이고, 상기 수선대의 장대 선단부에 장대 기단측으로 일정 길이의 동일 외경의 탑 가이드 장착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탑 가이드 장착부보다 장대 기단측 부분을 외경이 대경화하는 테이퍼상의 것으로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청구항 5에 관련되는 발명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진다. 즉, 탑 가이드의 장착 상태를 강고하고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는 탑 가이드 장착부를, 중실상 장대에 대해서도 실시할 수 있었다.
<실시예>
〔제1 실시예〕
수선대(1)로서 중공상 장대 내에 고비중물로서의 추(2)를 수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를 장대의 둘레 방향으로 혼합하고, 혼합 강화 섬유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시트를 소정의 패턴으로 재단한 것을 2장 준비한다. 상기한 프리프레그 시트와 강화 섬유의 혼합 방향이 다른 것, 즉, 혼합 방향을 장대의 축선 방향으로 설정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소정의 패턴으로 재단한 것을, 상기한 2장의 것으로 끼워 넣도록 한다.
상기한 3장의 패턴을 겹쳐, 맨드릴에 돌려 감아, 소성 후 소정 길이로 재단하여 중공상 장대(1C)를 구성한다. 한편, 금속제의 추(2)를 중공상 장대(1C)의 내 부 공간(1a)의 내주(內周)벽을 따른 원추대상(圓錐臺狀)으로 형성한다. 이 형성한 원추대상의 추(2)를 장대 기단측 개구(開口)에서 내부 공간(1a) 내로 끼워 넣고, 추(2)를 내주벽에 접착 고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중공상 장대(1C)의 내부 공간(1a)의 축선 방향의 일부에, 고비중물로서의 추(2)를 장착할 수 있다. 중공상 장대(1C)에 대하여 후기하는 탑 가이드(4) 및 낚싯줄 가이드(3) 등을 장착하고 마무리 도장(塗裝) 등을 실시하여 수선대(1)를 구성한다.
〔제2 실시예〕
수선대(1)로서 중실상 장대(1D)에 고비중물로서의 고비중 판상체(9)를 돌려 감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중실상 장대(1D)에 대해서는 다음와 같이 제작한다.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묶은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의 다발을 열경화성 수지의 액 내로 들어가게 하여 수지를 함침시킨 후 다이스로 뽑아 낸다. 뽑아 낸 봉상체(棒狀體)에 대해서 장대 기단측만큼 대경화하는 테이퍼상의 외주면에 연마 가공을 실시하고, 연마 가공 후 소정 길이로 재단하여, 중실상 장대(1D)를 구성한다.
한편, 고비중 판상체(9)를 제작하기 위하여, 탄소 섬유 등보다 고비중인 텅스텐 섬유 등을 도입한다. 그리고, 이 텅스텐 섬유를 크로스로 배향하고, 그 배향한 텅스텐 섬유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고비중 판상체(9)로서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패턴으로 재단한 고비중 판상체(9)를 상기한 중실상 장대(1D)의 외주면의 축선 방향 중간 위치에 돌려 감는다. 고비중 판상체(9)로서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돌려 감은 중실상 장대(1D)에 대해서 후기하는 탑 가이드(4) 및 낚싯줄 가이드(3) 등을 장착하고 마무리 도장 등을 실시하여 수선대(1)를 구성하는 점은, 중공상 장대와 동일하다.
〔제3 실시예〕
상기한 두 개의 실시예에 더하여, 다음와 같은 형태를 더한 것을 설명한다. 즉, 수선대(1)에 있어서의 탑 가이드(4)의 장착 부분의 개량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탑 가이드(4)의 보스부(4A)의 내주면 형상에 맞추어, 수선대(1)의 장대 선단부의 축선 방향 일정 길이에 걸쳐 동일 외경의 원통(圓筒)면을 형성하고, 이 원통면부를 탑 가이드 장착부(6C)로 한다.
상기한 탑 가이드 장착부(6C)의 형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맨드릴의 장대 선단부에 동일 외경의 원통면 부분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장대 기단측에 축선 방향으로 긴 완경사 테이퍼부를 형성한다.
한편, 맨드릴에 돌려 감는 프리프레그 시트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준비한다.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를 장대의 둘레 방향으로 혼합하고, 혼합 강화 섬유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시트를 소정의 패턴으로 재단한 것을 2장 준비한다. 상기한 프리프레그 시트와 강화 섬유의 혼합 방향이 다른 것, 즉, 혼합 방향을 장대의 축선 방향으로 설정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소정의 패턴으로 재단한 것을, 상기한 2장의 것으로 끼워 넣도록 한다.
여기에, 패턴 형상으로서는, 맨드릴의 형상에 맞추어, 장대의 둘레 방향에 대응하는 가로폭을 일정하게 한 정폭 부분과 완경사면을 구비한 완경사부를 구비하 도록, 변형 패턴이 채용되어 있다.
이들 3장의 패턴을 겹쳐 맨드릴에 돌려 감아, 중공상 장대(6)를 구성한다. 중공상 장대(6)를 형성 후, 그 중공상 장대(6)의 장대 선단부에 동일 외경의 원통상 부분이 생겨, 탑 가이드 장착부(6C)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탑 가이드 장착부(6C)의 외주면과 탑 가이드(4)의 보스부(4A)의 내주면이 동일 지름의 원통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탑 가이드(4)를 탑 가이드 장착부(6C)에 외측에서 감합 장착한 경우에, 간극(間隙)없이 장착할 수 있다. 탑 가이드(4)를 장착한 중공상 장대(6)에 도장 등을 실시하여 수선대(1)를 구성한다.
이 제3 실시예로서는, 제1 실시예나 제2 실시예에서 도시한 추(2)나 고비중 판상체(9)를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4 실시예〕
여기서는, 제3 실시예에서 도시한 중공상 장대(6)에 탑 가이드 장착부(6C)를 형성하는 것을 대신하여, 중실상 장대(7)에 탑 가이드 장착부(7C)를 장착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묶은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의 다발을 열경화성 수지의 액 내로 들어가게 하여 수지를 함침시킨 후 다이스로 뽑아 낸다. 뽑아 낸 봉상체에 대해서 장대 기단측만큼 대경화하는 테이퍼상의 외주면에 연마 가공을 실시하고, 연마 가공 후 소정 길이로 재단하여, 중실상 장대(7)를 구성한다. 이 중실상 장대(7)의 장대 선단측 부분에는, 탑 가이드 장착부(7C)를 형성해야 하고, 외경을 일정하게 한 원기둥상의 동일 외경부를 연마하여 형 성한다.
이상과 같이, 원기둥상의 동일 외경부에 형성한 탑 가이드 장착부(7C)에 탑 가이드(4)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탑 가이드(4)의 보스부(4A)의 내주면과 원기둥상의 동일 외경부와의 밀착도를 높게 하여 탑 가이드(4)를 장착할 수 있다.
이 제3 실시예로서는, 제1 실시예나 제2 실시예에서 도시한 추(2)나 고비중 판상체(9)를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른 실시예〕
(1) 추(2)로서는, 고비중인 스테인레스 등을 재료로 하는 것이 무방하지만, 이것에 상당하는 비중을 가지는 것이면 무방하다.
(2) 수선대(1)에 추(11)를 장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제의 수선대(1)의 대략 절반의 길이의 제1 중공상 장대(10A)와 제2 중공상 장대(10B)를 준비하여, 추(11)를 양 중공상 장대(10A, 10B)에서 끼워 넣고, 제1 중공상 장대(10A), 추(11), 제2 중공상 장대(10B)를 축선 방향으로 순차 연결하여 수선대(1)를 구성한다. 이 경우에, 추(11)와 양 중공상 장대(10A, 10B)를 연결하기 위하여, 추(11)의 장대 선단측과 장대 기단측에 감합(嵌合)용의 돌출부(11A, 11B)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제1 중공상 장대(10A)의 장대 기단, 및 제2 중공상 장대(10B)의 장대 선단에, 상기 돌출부(11A, 11B)를 내감합하는 감합공(10a, 10b)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돌출부(11A)를 감합공(10a)에, 돌출부(11B)를 감합공(10b)에 감합시켜 접착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양 중공상 장대(10A, 10B) 간에 추 (11)를 끼움 고정할 수 있다. 접착 고정한 후에는, 양 중공상 장대(10A, 10B)와 추(11)의 외주면이 매끄럽게 연결되도록 연마 가공 등을 실시한다.
제1, 제2 중공상 장대(10A, 10B)를 대신하여, 중실상 장대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추(2)나 고비중 판상체(9)를 장착하는 대상으로서, 수선대(1)에 대하여 실시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지만, 2번대나 3번대 등에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4)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비중 판상체(9)로서, 텅스텐을 강화 섬유로 하는 프리프레그를 채용하였지만, 고비중 판상체(9)로서 철제의 윤체(輪體)를 중실상 장대(1D)에 외측에서 감합하여 고착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싯대의 장대의 조작성의 자유도를 획득할 수 있고, 물고기의 입질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Claims (6)

  1. 중공상(中空狀) 장대의 외주(外周)면에 낚싯줄 가이드를 장착하는 것과 함께, 그 중공상 장대의 내부 공간의 축선 방향의 일부에, 고비중물(高比重物)을 장착하고 있는 낚싯대용 장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중물이 금속제의 추인 낚싯대용 장대.
  3. 중실상(中實狀) 장대의 외주면에 낚싯줄 가이드를 장착하는 것과 함께, 그 중공상 장대의 외주면의 축선 방향의 일부에, 고비중 판상체(板狀體)를 감아 장착하고 있는 낚싯대용 장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실상 장대가 축선을 따라 묶은 강화 섬유의 다발을 수지액 내로 들어가게 하여 수지를 함침(含浸)시킨 후 다이스(dice)로 뽑아 내어 소정 길이로 재단한 것이며, 고비중 판상체가 상기 중실상 장대의 강화 섬유보다 고비중의 강화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를 돌려 감아 형성된 것인 낚싯대용 장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상 장대가 수선대이고, 상기 수선대의 장대 선단부에 장대 기단측으로 일정 길이의 동일 외경(外徑)의 탑 가이드 장착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탑 가이드 장착부보다 장대 기단측 부분을 외경이 대경화하는 테이퍼(taper)상의 것으로 형성하고 있는 낚싯대용 장대.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실상 장대가 수선대이고, 상기 수선대의 장대 선단부에 장대 기단측으로 일정 길이의 동일 외경의 탑 가이드 장착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탑 가이드 장착부보다 장대 기단측 부분을 외경이 대경화하는 테이퍼상의 것으로 형성하고 있는 낚싯대용 장대.
KR1020050022505A 2004-11-19 2005-03-18 낚싯대용 장대 KR200600562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35830 2004-11-19
JP2004335830A JP4518554B2 (ja) 2004-11-19 2004-11-19 釣り竿用の竿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217A true KR20060056217A (ko) 2006-05-24

Family

ID=3662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505A KR20060056217A (ko) 2004-11-19 2005-03-18 낚싯대용 장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18554B2 (ko)
KR (1) KR20060056217A (ko)
CN (1) CN1775014B (ko)
TW (1) TW2006165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839A (ko) * 2014-03-26 2015-10-06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원투대 및 원투대의 초릿대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5778A (ja) * 2009-12-25 2011-07-14 Ever Green International:Kk 釣竿及びトップガイド並びに錘
JP5997983B2 (ja) * 2012-08-31 2016-09-2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JP5887250B2 (ja) * 2012-10-30 2016-03-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JP5982258B2 (ja) * 2012-10-30 2016-08-3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1062B2 (ja) * 1991-04-19 1999-06-2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 竿
JP4379654B2 (ja) * 2000-02-25 2009-12-09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JP2002315475A (ja) * 2001-04-20 2002-10-29 Shimano Inc 穂先竿
US20020174591A1 (en) * 2001-05-25 2002-11-28 Lybarger Michael A. Damage resistant fishing rod
JP2002354969A (ja) * 2001-05-30 2002-12-10 Daiwa Seiko Inc 外ガイド付き釣竿
JP4730802B2 (ja) * 2001-09-13 2011-07-20 株式会社シマノ 穂先竿
JP3892695B2 (ja) * 2001-10-01 2007-03-14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JP4395446B2 (ja) * 2003-01-24 2010-01-06 株式会社シマノ 釣竿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839A (ko) * 2014-03-26 2015-10-06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원투대 및 원투대의 초릿대의 제조 방법
US10383319B2 (en) 2014-03-26 2019-08-20 Globeride, Inc. Casting rod and method of fabricating tip rod of casting r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18554B2 (ja) 2010-08-04
TW200616537A (en) 2006-06-01
CN1775014A (zh) 2006-05-24
JP2006141284A (ja) 2006-06-08
TWI331896B (ko) 2010-10-21
CN1775014B (zh)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6217A (ko) 낚싯대용 장대
TW201408197A (zh) 釣線導引器的固定構件及釣竿
KR100879904B1 (ko) 장대의 제조 방법
EP1502503B1 (en) Fishing rod
KR101198119B1 (ko) 초릿대
JP3216728B2 (ja) ゴルフクラブ用シャフト
KR101286026B1 (ko) 초릿대
KR20070011067A (ko) 초릿대
JP2788416B2 (ja) 中通し竿
KR20070008378A (ko) 초릿대
JPH1119251A (ja) バドミントンラケット
JPH0829037B2 (ja) 釣り竿を形成すべく互いに嵌合される熱硬化性樹脂含浸補強繊維において管状要素を具現化する管状要素具現化方法
JP2542352B2 (ja) 釣竿の製造法
JP2009207616A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153496A5 (ko)
JPH05161727A (ja) ゴルフクラブ用シャフトセット
JP2002233274A (ja) 釣 竿
JPH1015130A (ja) ゴルフクラブパター用シャフト
JP4743475B2 (ja) 釣り竿用竿体及び釣り竿
JP2005040075A (ja) 釣竿
JPH051384Y2 (ko)
JP2001314139A (ja) 竿 体
JP2001299158A (ja) 釣 竿
JP2001314142A (ja) 竿体の嵌合構造
JP2000317022A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