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3922A - 변화하는 투명도를 갖는 롤업 윈도우 차양 - Google Patents

변화하는 투명도를 갖는 롤업 윈도우 차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3922A
KR20060053922A KR1020050065663A KR20050065663A KR20060053922A KR 20060053922 A KR20060053922 A KR 20060053922A KR 1020050065663 A KR1020050065663 A KR 1020050065663A KR 20050065663 A KR20050065663 A KR 20050065663A KR 20060053922 A KR20060053922 A KR 20060053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window
transparency
shade
sun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란드 쉬나이더
우베 게르트 하이네
요아힘 헤바르트
한스 코흔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뢰코나 텍스틸베르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뢰코나 텍스틸베르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053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9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1Blind sheets, e.g. shape of sheets, reinforcements in sheets,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characterised by weave density or surface weigh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자동차용 롤업(roll-up) 윈도우 차양(shade)에서, 롤업 차양 웨브의 투명도는 표면 영역에 걸쳐서 볼 때 이방성이다. 원하는, 그리고 필요한 투명도에 따라, 투명도는 윈도우의 저면 에지의 영역에서 보다 양호한 투명도가 제공되도록 윈도우의 상부 에지로부터 윈도우의 저면 에지로 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투명도는 윈도우의 후방 에지로부터 윈도우의 전방 에지로 변한다. 윈도우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게 최상의 투명도가 제공된다.
롤업 윈도의 차양, 차양 웨브, 표면 영역, 윈도우, 투명도

Description

변화하는 투명도를 갖는 롤업 윈도우 차양{Roll-up window shade varying transparency}
도 1은 후방 우측 측면 도어의 내측에서 관찰한, 차량의 후방 영역의 절단 사시도.
도 2는 롤업 윈도우 차양을 위한 지지부의 실시예와 함께 롤업 윈도우 차양의 구동 원리를 각 단면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업 차양과 관련하여, 위로부터 본 차량의 지붕의 절단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루프 4 : 후방 윈도우
7 : 우측 후방 측면 도어 15 : 후방 좌석 선반
16 : 측면 윈도우 20 : 윈도우 문턱
21, 22 : 롤업 차양 23 : 후방 윈도우 롤업 차양
25 : 롤업 차양 웨브 26 : 슬롯
27 : 안내 레일 28 : 권취 샤프트
29 : 스프링 모터(구동 장치) 36 : 안내 홈
37, 38 : 안내 튜브
본 발명은 변화하는 투명도를 갖는 자동차용 롤업 윈도우 차양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롤업 윈도우 차양(roll-up window shade)은 과도한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방식에서, 눈부심과, 내부의 과도한 가열도 회피된다. 내부의 과도한 가열의 회피는 공조 시스템을 갖는 차량에도 중요하며, 그 이유는 공조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냉방 출력이 햇빛 차양의 사용을 통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롤업 윈도우 차양의 권취 샤프트는 공간상의 이유로, 차체 또는 도어의 윈도우 아래에 수납된다. 다른 한편, 태양은 그 광선이 롤업 윈도우 차양에 의해 감소될 필요가 있을 때, 다소 가파른 각도에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원하는 차단 효과가 실현되도록 롤업 차양을 완전히 당겨내어야 할 필요가 있다. 저면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롤업 차양을 예로서, 후방 윈도우에서, 단지 3/4 정도만 당겨내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그 이유는 다량의 불쾌한 햇빛이 여전히 윈도우의 상부 에지에서 윈도우 영역의 1/3의 나머지 갭을 통해 도입되기 때문이다.
롤업 윈도우 차양의 차양 재료의 투명도는 원하는 차단 효과에 의존한다. 무엇보다도 이는 예로서, 후방 롤업 윈도우 차양에서, 후방 윈도우를 통한 투명도가 롤업 윈도우 차양이 당겨졌을 때, 현저히 감소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롤업 윈도우 차양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 내부를 주시하는 사람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여기서, 롤업 윈도우 차양은 또한 비록 실제로 단 일부만으로도 충분하다 하더라도, 완전히 당겨져야만 한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시작하여, 본 발명의 문제점은 특정 차량 및 특정 구동 요구 조건에 보다 양호하게 적응되는 차량 윈도우를 위한 롤업 차양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 문제점은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의 특징을 갖는 롤업 윈도우 차양에 따라 해결된다.
신규한 롤업 윈도우 차양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윈도우 인근에 장착될 수 있는 권취 샤프트가 사용된다. 전기 구동부에 의해, 또는 손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권취 샤프트로부터 당겨질 수 있는 롤업 차양 웨브는 일 에지에 의해 권취 샤프트에 부착된다. 권취 샤프트 자체는 권취 샤프트상으로 롤업 차양 웨브를 권취하여 권취 샤프트가 권취될 수 있게 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새로운 유형의 롤업 윈도우 차양에서, 표면 영역에 걸쳐서 볼 때, 롤업 차양 웨브는 투명도가 균일하지 않다. 대신에, 투명도는 일 에지로부터 다른 에지로 변화한다. 예로서, 후방 롤업 윈도우 차양의 경우에, 윈도우의 상부 에지의 영역에서 투명도는 저면 에지의 부근에서 보다 작다. 따라서, 한편으로 햇빛에 대한 바람직한 차단 효과가 달성되고, 다른 한편으로 외측으로부터의 관찰에 대한 부정적 인 영향이 최소로 유지된다. 특히, 균일한 광 스크리닝을 나타내는 롤업 차량 차양에서 가능한 것 보다 차단하기에 적절한 영역에서 심지어 보다 강한 광 스크리닝을 제공하는 능력이 발생한다.
동일한 관계가 또한 상부 영역에서, 저면 영역에 비해 보다 강한 광 스크리닝이 바람직한 롤업 측면 윈도우 차양에도 적용된다. 이는 외측에 대한 보다 양호한 관찰을 가능하게 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햇빛이 충분히 최소화될 수 있게 한다. 태양의 위치에 따라서, 수차의 결과로서 매우 투명한 영역을 통해 비교적 작은 양의 햇빛이 차량의 내부로 직접적으로 비추어진다.
롤업 차양 웨브가 차량의 종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즉, 윈도우의 전방 에지로부터 후방 에지로 변화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경우에, 다른 측부상에서, 이들이 롤업 차양의 보다 어두운 영역 뒤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거의 보이지 않으면서, 외측에 대한 양호한 관찰을 차량 후부의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발생한다.
롤업 차양의 구조에 따라, 변화하는 투명도는 롤업 차양의 자유 에지로부터 권취 샤프트를 향한 방향으로 또는 롤업 샤프트 웨브의 일 종방향 에지로부터 다른 종방향 에지를 향한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다. 어떤 구조가 선택되는지는 투명도 구배의 원하는 방향 및 상기 구배의 방향에 대한 권취 샤프트의 위치에 의존한다.
섬유/쓰레드 재료로 이루어진 롤업 차양에서, 롤업 차양 웨브의 변화하는 투명도는 투명도에 따라 쓰레드/섬유 밀도를 변경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변화하는 섬유-쓰레드 밀도는 패브릭(fabric)이 사용될 때, 원하는 방식으로 씨실과 날실 밀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또는 스티치(stitch)의 미세도를 변경하거나, 또는 스티치된 재료, 예로서 편물 페브릭이 사용될 때, 쓰레드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가능하다. 천공된 필름으로 형성된 롤업 차양 웨브에 대하여, 구경이 변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인쇄를 통해 투명도를 변화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예로서, 필름의 베이스 캐리어는 실질적으로 유리 만큼 투명하지만, 필름상의 인쇄는 점진적으로 투명도가 감소한다. 마지막으로, 인쇄를 위해 개별 라인으로 구성되는 바와 같이, 특정 거리로부터 더 이상 인지될 수 없도록하는 미세도를 갖는 소정의 임의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투명도의 변화는 연속적으로 또는 급격히 실현될 수 있다. 본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선택되는 변화는 최초 기술적 요구조건에 의존하며, 다른 유형이 차량의 전체 화상에 통합되는 범위에 의존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개선형은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도면의 설명을 연구함으로써 본 기술에 숙련된 자가 추론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의 일련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주제의 실시예는 도면에 예시되어 있다.
도 1은 PKW(승용차)의 절단된 후방 단면을 도시한다. 도면은 우측 내부 영역의 모습을 예시하며, 이는 도시되지 않은 좌측 내부 영역에 대해 경면 대칭이다. 도시는 단순화되어 있다. 따라서, 예로서, 브레이스 및 부착 수단과 같은 본체 내부 구조물은 도시되어 있지 않고, 그 이유는 그 도시가 본 발명의 이해에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차체의 도시는 마찬가지로 개략화되어 있으며, 여기서 중공 공간 은 인지할 수 없다.
도시된 차체 섹션(1)은 루프(2)를 가지며, 이로부터 측부에서, B-컬럼(3)이 도시되지 않은 플로어 조립체에 아래로 이어진다. 대응하는 B-컬럼은 차량의 파단된 측부상에 연상될 수 있다. 루프(2)는 그 후방 에지에서 후방 윈도우(4)로 전이한다. 측부에서, 후방 윈도우는 C-컬럼(5)에서 종결하며, 이는 B-컬럼(3)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C-컬럼(5)은 내부 라이닝(6)을 지지한다.
B-컬럼(3)과 C-컬럼(5) 사이에서 우측 후방 측면 도어(7)는 공지된 방식으로 B-컬럼(3)에 힌지결합된다.
우측 후방 측면 도어(7)의 레벨에는, 후방 벤치 좌석(8)이 존재하고, 이는 좌석 표면(9)과 후방 좌석 등받이(11)를 포함한다. 후방 좌석 표면(9)은 플로어 조립체에 속하는 베이스면(12)상에 놓이고, 그 전방에는 발 공간(13)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 좌석 선반(15)은 후방 좌석 등받이(11)의 상부 에지의 레벨에서, 후방 윈도우(4)의 저면 에지로 연장한다.
우측 후방 측면 도어는 전형적인 세단형 방식으로 측면 윈도우(16)를 구비한다. 측면 윈도우(16)는 대략 수직 브레이스(17)에 의해 실질적인 직사각형 윈도우 패널(18)과 대략 삼각형 윈도우 패널(19)로 분할된다. 저면 단부에서, 두 개의 패널(18, 19)은 연속적 윈도우 문턱(sill)(20)에 의해 경계설정된다.
윈도우 패널(18)내의 윈도우 창유리는 공지된 방식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공지된 방식으로 수직 브레이스(17)내에서 안내된다. 삼각형 윈도우 패널(19)내의 윈도우 창유리는 고정되어 있다.
윈도우 패널(18, 19)은 각각 관련된 롤업 차양 웨브(21, 22)에 의해 차단된다. 두 개의 롤업 차양 웨브(21, 22)를 위한 구동 메카니즘은 윈도우 문턱(20) 아래의 도어(7) 내부에 위치된다.
내측에는 후방 윈도우(4)의 전방에 후방 윈도우 롤업 차양(23)이 존재한다. 측방향 안내 레일(27) 중 하나 및 후방 좌석 선반(15)내의 슬롯(26)을 통해 당겨지는 후방 윈도우 롤업 차양(23)의 부분적으로 당겨진 차양 웨브(25)를 볼 수 있다. 안내 레일(27)은 후방 좌석 등받이(11) 뒤의 후방 좌석 선반(15)에서 시작하며, 윈도우 측면 에지와 나란하게 연장한다. 다른 안내 레일은 경면 대칭 관계로 배열되어 있다.
후방 윈도우 롤업 차양(23)의 원론적 디자인은 도 2에 이어진다.
롤업 차양 웨브(25)가 일 에지에 고착되는 권취 샤프트(28)는 도 2에 이어지고, 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후방 좌석 선반(15) 아래에 장착된다. 권취 샤프트(28)는 권취 샤프트(28)상에 롤업 차양 웨브(25)를 권취하도록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동 장치로 작용하는 스프링 모터(29)에 의해 편의된다. 이를 위해, 나선형 스프링이 제공되며, 이는 일 단부가 차체에 견고히 고정되고, 다른 단부가 권취 샤프트(28)에 고정된다.
롤업 차양 웨브(25)는 대략 사다리꼴 윤곽을 가지며, 권취 샤프트(28)로부터 떨어진 그 에지상에 관형 행거(31)를 구비한다. 단부편(32, 33)이 그들이 끼워접어넣어질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되는 추출 프로파일 또는 보우는 관형 행거(31)를 통해 안내된다. 단부편(32, 33)은 안내 요소(35)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목부(34)를 가지며, 안내 요소는 짧고 원통형이며 이 목부에 연결된다. 안내 요소(35)는 후방 윈도우(4)의 두 측면 에지와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는 안내 레일(27)내에서 이동한다.
각 안내 레일(27)은 롤업 차양 웨브(25)를 향한 방향으로 안내 슬롯내로 개구하는 언더컷 안내 홈(36)을 포함한다.
각 안내 레일(27)의 하부 단부는 두 개의 가요성 푸시 소자(39, 41)가 내굴성(kink-resistant) 방식으로 안내되는 안내 튜브(37, 38)에 연결된다. 가요성 푸시 소자(39, 41)는 서플렉스 샤프트라 지칭된다. 이들은 스크류형 리브에 의해 둘러싸여진 원통형 코어를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라운드형 치형부를 갖는 가요성 치형 래크의 형태가 얻어진다.
안내 튜브(37, 38)는 안내 레일(27)을 기어형 모터(42)에 연결한다. 기어형 모터(42)는 영구 여자식 DC 모터(43) 및 트랜스미션(44)으로부터 조립되며, 그 출력 샤프트(45)상에는 스퍼 피니언 기어(46)가 견고하게 배치되어 있다. 기어(46)는 포지티브 결합 상태로 두 개의 푸시 소자(39, 41)와 맞물린다. 푸시 소자(39, 41)는 접선 방향으로 스퍼 피니언 기어(46)의 직경방향 대향 측부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통과하며, 이 방식으로 대응 보어 구멍(47, 48)내로 안내된다.
기어형 모터(42)를 작동시킴으로써, 푸시 소자(39, 41)는 전방향으로 또는 수축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푸시된다. 단부편(32, 33)은 푸시 소자(39, 41)의 이동에 따른다. 이들 안내편은 푸시 소자(39, 41)의 자유 단부에 대해 접촉하여 유지 되며, 이들은 스프링 모터(29)의 도움으로 안내 홈(36)내에 위치되어 있다.
도 2에서 더 상세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롤업 차양 웨브(25)의 표면은 총 3개 영역 50, 51, 52로 분할된다. 영역의 분할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영역 50, 51, 52는 롤업 차양 웨브(25)의 좌측으로부터 우측 에지로 연장한다. 이들은 롤업 차양 웨브(25)의 종방향, 즉 롤업 차양 웨브(25)의 운동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중첩 배열되어 있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영역 50의 투명도는 가장 작아야 하며, 도 1에서, 가장 강한 광 스크리닝의 영역, 즉 영역 50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영역 51에서, 투명도는 다소 크고, 영역 52에서 투명도는 실질적으로 전혀 감소되지 않거나, 단지 매우 약간만 감소된다.
사용시, 이는 태양이 급준한 위치에 있고, 롤업 차양 웨브(25)가 직접적으로 후방 윈도우(4)의 상부 에지에 바로 인접하게 당겨질 때에, 유입하는 햇빛이 매우 강하게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영역 다음에는 감소가 다소 약하며, 후방 좌석 선반(15)에 바로 인접한 가장 낮은 영역에서는 어떠한 현저한 광 스크리닝도 달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서로 다른 영역으로의 분할은 후방의 관찰에 덜 중요한 부분이 가능한 작은 유입하는 햇빛을 가능하게 하도록 매우 강하게 차단될 수 있게 한다. 후방에 대한 관찰에 다소 중요한 영역 51에서, 투명도는 후방에 대한 관찰의 사용성과 차단 효과 사이의 절충을 나타낸다. 후방 좌석 선반(15) 바로 위에 위치되고, 후방에 대한 관찰에 가장 중요한 영역 52에서, 투명도는 실질적으로 감소되지 않는 다. 여기서 여전히 도입될 수 있는 햇빛은 단지 작은 양 만큼 가열에 기여하며, 태양이 영역 52을 통해 실질적으로 방해받지 않고 진입할 수 있을지라도, 특히, 후방에 앉은 승객의 편안함은 태양에 의해 더 이상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
롤업 차양 웨브(25)를 구성하는 재료에 따라, 소정의 변화하는 투명도를 획득하기 위해, 다른 조치가 고려될 수 있다. 예로서, 부호 53에, 페브릭(fabric)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패브릭은 예로서, 영역 50의 쓰레드 밀도를 영역 51에서 보다 크게 하고, 순차적으로, 영역 51에서도 영역 52에서 보다 크게 함으로써 투명도가 변화할 수 있다.
페브릭에서 변화하는 투명도를 달성하는 다른 가능성은 예로서, 거의 검정으로 착색된 영역 50에서 날실을 사용하는 반면에, 영역 51에는 단지 회색으로 착색된 날실을 사용하며, 영역 52에서는 전혀 착색되지 않게 함으로써 발생된다. 이러한 구성은 페브릭의 "매시 폭"을 불변상태로 유지하면서, 쓰레드의 영역에서 광 투과율을 변경한다.
두 가지의 조합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변화하는 투명도를 얻기 위하여 페브릭을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호 54에서, 롤업 차양 웨브(25)로부터의 컷아웃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다른 불투명 필름의 구멍에 의해 투명해진다. 이 경우에, 예로서 필름은 영역 50에서 어떠한 구멍도 갖지 않으며, 따라서 완전히 불투명하고, 영역 51에서는 비교적 작은 구멍을 가질 수 있으며, 영역 52에서는 작은 구멍 갭을 갖는 큰 구멍이 사 용된다.
영역 50에서 완전한 차단이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에, 여기에도 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부호 55에서, 롤업 차양 웨브(25)로부터의 컷아웃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비천공상태이지만 투명한 필름을 포함한다. 필름의 변화하는 투명도는 필름에 검은색 선으로 구성된 패턴을 인쇄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선 패턴은 선이 가장 낮은 투명도를 갖는 영역 50에서 서로 매우 근접하고, 영역 52에서의 투명도는 어떠한 인쇄도 전혀 제공하지 않음으로서 최대가 될 수 있다. 소정의 다른 적절한 패턴도 가능하다.
특히, 인쇄를 사용할 때, 영역 50 내지 52는 서로 매끄럽게 전이될 수 있으므로, "그레이 스케일"이 생성된다. 이 용어는 완전히 검정으로부터 백색으로의 밀도나 투명도의 전이로서 포토그래피(photography) 분야에서 이해된다.
마지막으로, 부호 56에서, 롤업 차양 웨브(25)로부터의 컷아웃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스티치된 재료, 예로서 편물 재료로 제조된다. 여기서, 변화하는 투명도는 쓰레드 밀도와 조합하여 매시 폭을 선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착색 또는 인쇄는 투명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가능하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변화하는 투명도의 개별 영역은 권취 샤프트(28)의 축에 평행하게, 즉 차량이 서있는 지면 위로 롤업 차양의 증가하는 높이와 함께 감소하는 투명도를 나타낸다. 수직 방향에 대해 변화하는 투명도는 롤업 차양 웨브(21, 22)를 갖는 도시된 롤업 측면 윈도우 차양으로도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결국 실질적인 직사각형 롤업 차양 웨브(21)가 그 단부에서 롤업 후방 윈도우 차양(23)의 롤업 차양 웨브(25)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예시적 설명 없이도 이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또한 투명도가 변화하는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롤업 차양 웨브(22)의 영역에서의 투명도가 가장 낮다. 안내 레일(17)의 부근의 롤업 차양 웨브(21)에 대하여 동일 투명도가 달성된다. 대조적으로, B-컬럼(3) 근방의 롤업 차양 웨브(21)의 투명도가 최상이며, 즉, 여기서 어떠한 광 스크리닝도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투명도는 차량의 종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변화하며, 투명도는 수직 방향으로 등방성이다.
롤업 차양 웨브(21, 22)의 변화하는 투명도는 변화하는 점의 밀도로 도 1에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변화하는 투명도는 후방에 앉은 사람이 전방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외측에 대해 양호한 시계를 가질 수 있게 하면서, 그 또는 그녀가, 롤업 차양이 측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주시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외측으로부터 측면으로 관찰되지 않게 한다.
롤업 차양 웨브(22)를 위한 구동부는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참조하고 있는 DE 103 54 233.7 A1호에 기술되어 있다.
DE 103 54 233.78 A1에의 전체적인 고찰이 개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롤업 차양 웨브(21)의 권취 샤프트는 윈도우 문턱(2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는 롤업 차양이 권취 샤프트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투명도 구배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롤업 차양 웨브(22)의 종방향 에지 중 하나에 인접한 투명도가 다른 종방향 에지의 인접부, 즉 저면 에지에 인접한 부분 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전기 작동식 롤업 윈도우 차양과 관련하여 설명되었다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이런 구동부에만 제한하여야할 필요는 없다. 대신에, 수동 조작식 롤업 차양이 권취 방향에 수직 또는 평행한 방향으로 변화하는 변화 투명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런 롤업 차양은 두 개의 안내 레일(27)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들 대신에, 행거(31)의 추출 프로파일은 추출 프로파일을 인출하고, 이를 관련된 윈도우 에지에 인접한 적절한 위치에 걸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후크 및/또는 하나의 핸들을 구비한다.
이런 해법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따라서, 여기서 상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으며, 그 이유는 이들이 본 발명의 주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관련된 롤업 차양의 가동 에지를 위한 구동부 대신에, 전기 모터를 권취 샤프트에 결합하는 것 및 권취 샤프트(2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예로서 코드에 의해, 추출 프로파일 또는 안내편을 당기는 인장 스프링으로서 스프링 모터로서 사용되는 스프링(29)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주로 측면 윈도우 및 후방 윈도우와 관련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이는 이들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자동차의 윈도우는 일반적으로, 루프(2)에서 부호 6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유리 루프 또는 슬라이딩 선루프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공지된 방식에서, 롤업 차양은 유리 루프(60)를 통해 도입하는 광을 변화시키기 위해, 유리 루프(60) 아래에서 당길 수 있다. 여기서, 순차적으로, 롤업 차양에 변화하는 투명도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서 당겨진 롤업 차양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미 설명된 롤업 차양의 영역 50, 51, 52는 이동 방향으로 투명도가 변화하는 상태로 하나씩 배열된다. 최저 투명도는 전방 에지에서 달성되고, 최대 투명도는 유리 루프의 후방 에지의 영역에 제공된다. 따라서, 차량의 후방 영역에서 다량의 광을 제공하고, 운전자는 위로부터의 직접 햇빛에 대하여 보호되는 것이 가능하다.
자동차용 롤업 윈도우 차양에서, 롤업 차양 웨브의 투명도는 표면 영역에 걸쳐서 볼 때 이방성이다. 원하는, 그리고 필요한 투명도에 따라, 투명도는 윈도우의 저면 에지의 영역에서 보다 양호한 투명도가 제공되도록 윈도우의 상부 에지로부터 윈도우의 저면 에지로 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투명도는 윈도우의 후방 에지로부터 윈도우의 전방 에지로 변한다. 윈도우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게 최상의 투명도가 제공된다.

Claims (21)

  1. 상부 에지와 저면 에지를 갖는 자동차 윈도우(4, 16)용 롤업 윈도우 차양(23)으로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권취 샤프트(28)와, 상기 권취 샤프트(28)에 일 에지가 부착된 롤업 차양 웨브(21, 22, 25)와, 상기 롤업 차양 웨브(21, 22, 25)를 권취하도록 상기 권취 샤프트(28)를 이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권취 샤프트(28)를 위한 구동 장치(29)를 가지며,
    상기 자동차 윈도우(4, 16)의 전방으로 당겨진 롤업 차양 웨브(21, 22, 25)에 대해, 상기 상부 에지의 인근의 투명도가 차량 윈도우의 저면 에지의 인근에서 보다 작도록 그 투명도가 그 표면 영역에 걸쳐서 변화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2. 차량의 후방 단부 방향에서 전방 에지와 후방 에지를 갖는 자동차 윈도우(4, 16)용 롤업 윈도우 차양(23)으로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권취 샤프트(28)와, 상기 권취 샤프트(28)에 일 에지가 부착된 롤업 차양 웨브(21, 22, 25)와, 상기 롤업 차양 웨브(21, 22, 25)를 권취하도록 상기 권취 샤프트(28)를 이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권취 샤프트(28)를 위한 구동 장치(29)를 가지며,
    상기 자동차 윈도우(4, 16)의 전방으로 당겨진 롤업 차양 웨브(21, 22, 25)에 대해, 상기 후방 에지의 인근의 투명도가 차량 윈도우의 전방 에지의 인근에서 보다 작도록 그 투명도가 그 표면 영역에 걸쳐서 변화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3. 차량의 후방 단부 방향에서 전방 에지와 후방 에지를 갖는 자동차 윈도우(4, 16)용 롤업 윈도우 차양(23)으로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권취 샤프트(28)와, 상기 권취 샤프트(28)에 일 에지가 부착된 롤업 차양 웨브(21, 22, 25)와, 상기 롤업 차양 웨브(21, 22, 25)를 권취하도록 상기 권취 샤프트(28)를 이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권취 샤프트(28)를 위한 구동 장치(29)를 가지며,
    상기 자동차 윈도우(4, 16)의 전방으로 당겨진 롤업 차양 웨브(21, 22, 25)에 대해, 상기 전방 에지의 인근의 투명도가 차량 윈도우의 후방 에지의 인근에서 보다 작도록 그 투명도가 그 표면 영역에 걸쳐서 변화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샤프트(28)는 상기 자동차 윈도우(4, 16)의 상부 에지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샤프트(28)는 상기 자동차 윈도우(4, 16)의 저면 에지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샤프트(28)는 후방 에지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샤프트(28)는 전방 에지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도는 상기 롤업 차양 웨브(21, 22, 25)의 일 에지로부터 다른 에지로 급격히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도는 일 에지로부터 다른 에지로 반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티치된 재료, 바람직하게는 편물 페브릭으로 구성된 상기 롤업 차양 웨브(21, 22, 25)의 상기 투명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매시 폭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업 차양 웨브(21, 22, 25)는 상기 투명도를 변화시키도록 서로 다르게 착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업 차양 웨브(21, 22, 25)는 상기 투명도에 따라 밀도가 변화하는 상태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업 차양 웨브(21, 22, 25)는 상기 투명도에 따라 변화하는 쓰레드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공된 필름으로 형성된 상기 롤업 차양 웨브(21, 22, 25)는 투명도에 따라 변화하는 구멍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공된 필름으로 형성된 상기 롤업 차양 웨브(21, 22, 25)는 상기 투명도에 따른 투과성 패턴으로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1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업 차양 웨브(21, 22, 25)는 수동 조작식 롤업 윈도우 차양이고,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롤업 차양 웨브(21, 22, 25)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권취 샤프트(28)로부터 떨어진 상기 롤업 차 양 웨브(21, 22, 25)의 자유 에지에 현가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샤프트(28)로부터 떨어진 상기 롤업 차양 웨브(21, 22, 25)의 에지가 푸시 소자(39, 41) 또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롤업 차양 웨브(21, 22, 25)를 당겨내도록 작동되는 추출 프로파일(32, 3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전기 모터(42)가 적어도 하나의 푸시 소자(39, 41)와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1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모터가 상기 권취 샤프트(28)와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2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업 차양 웨브(21, 22, 25)는 가려질 상기 윈도우(4, 16)의 표면 영역에 대응하는 윤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 윈도우 차양.
  2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윈도우는 측면 윈도우, 후방 윈도우 또는 선루프나 유리 루프에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업 윈도우 차양.
KR1020050065663A 2004-07-28 2005-07-20 변화하는 투명도를 갖는 롤업 윈도우 차양 KR200600539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36649A DE102004036649A1 (de) 2004-07-28 2004-07-28 Fensterrollo mit unterschiedlicher Lichtdurchlässigkeit
DE102004036649.7 2004-07-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922A true KR20060053922A (ko) 2006-05-22

Family

ID=3505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663A KR20060053922A (ko) 2004-07-28 2005-07-20 변화하는 투명도를 갖는 롤업 윈도우 차양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021723A1 (ko)
EP (1) EP1621382A1 (ko)
JP (1) JP2006036200A (ko)
KR (1) KR20060053922A (ko)
CN (1) CN1755060A (ko)
DE (1) DE102004036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48324A1 (de) * 2006-10-06 2008-04-10 Bos Gmbh & Co. Kg Laderaumabdeckung
DE102007012281A1 (de) * 2007-03-09 2008-09-11 Bos Gmbh & Co. Kg Automatisch betätigbares Seitenfensterrollo
DE102007029290B4 (de) * 2007-06-18 2011-07-28 BOS GmbH & Co. KG, 73760 Flexible Schutzabdeckung
DE202010001633U1 (de) 2010-02-01 2011-06-09 Rökona-Textilwerk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Wirkerei - Ausrüstung, 72072 Abschattungstextilmaterial und Verglasungsanordnung eines Kraftfahrzeuges
CN103465755A (zh) * 2012-06-07 2013-12-25 芜湖市金鼎网络科技有限公司 汽车变色天窗
JP6533106B2 (ja) 2015-06-22 2019-06-19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ェード装置
CN105480059B (zh) * 2015-12-14 2017-09-15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窗用卷帘系统
CN108121384A (zh) * 2018-01-22 2018-06-05 五邑大学 可根据光照强度智能控制的遮阳棚控制系统
DE102020101052A1 (de) 2020-01-17 2021-07-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Windschutzscheibenverdunkelung für eine als Combinerscheibe gebildete Windschutzscheibe eines Fahrzeugs
DE102020124342A1 (de) 2020-09-18 2022-03-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onnenschutzvorrichtung für eine Scheibe eines Kraftfahrzeugs
US20230191882A1 (en) * 2021-12-16 2023-06-22 Taiya Wilder Automatic Window Shad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77341A (fr) * 1934-06-21 1935-02-16 Dispositif contre l'éblouissement
US3183033A (en) * 1962-08-13 1965-05-11 Stulbach Nathan Anti-glare shield for motor vehicle windshields
DE19538551C1 (de) * 1995-10-17 1996-10-24 Webasto Systemkomponenten Gmbh Sonnenschutz für ein Fahrzeugdach
DE29611374U1 (de) * 1996-06-29 1996-09-05 Warema Renkhoff Gmbh & Co Kg Sonnenschutzanlage
NL1013031C2 (nl) * 1998-09-16 2000-07-13 Marco Johannes Cristina Van Am Duolight verticale lamellenjaloezie.
DE19960032A1 (de) * 1999-12-13 2001-07-05 Erik Salatsch Auf- und abwickelbares Rollo
DE20105483U1 (de) * 2001-03-29 2001-06-28 Sattler Ag Graz Lichtschutztextil
AU2002334242A1 (en) * 2001-10-08 2003-04-22 Miklos Papp Device for reflecting electromagnetic waves to a regulable extent and method for the metallization of a film
DE10354233A1 (de) 2003-11-19 2005-06-30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Konturte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55060A (zh) 2006-04-05
US20060021723A1 (en) 2006-02-02
JP2006036200A (ja) 2006-02-09
EP1621382A1 (de) 2006-02-01
DE102004036649A1 (de)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3922A (ko) 변화하는 투명도를 갖는 롤업 윈도우 차양
KR100828442B1 (ko) 이중 구동 기구를 구비한 권취식 윈도우 셰이드
US5404926A (en) Roller shade for non-rectangular openings
US6293616B1 (en) Modular rail for roof and windshield
JP5563204B2 (ja) フレキシブルな保護カバー
US6695381B2 (en) Windup window shade with variable shading effect
KR100895206B1 (ko) 만곡 또는 비-장방형 차창용 블라인드
US3445135A (en) Perforated sun visor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EP2039550A2 (en) Sunshade device
US20060082192A1 (en) Window and sun shade module for vehicle
GB2472901A (en) Motor vehicle with a windscreen, a roof screen and a pull-out roller blind
US8371637B2 (en) Motor vehicle with panorama screen and pull-out roller blind
DE4018862A1 (de) Cabriolet mit einem windschutz
KR20110046972A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DE102008017198A1 (de) Kraftfahrzeug mit einer Panoramafensterscheibe und einer Sonnenblendenschutzeinrichtung
JP4921647B2 (ja) ルーフ開口と2個のリッドを備えた車両ルーフ
US7121610B2 (en) Combination shade and handle device
US20080315615A1 (en) Electric side-window roll-up shade
CN113492657A (zh) 遮光装置
JP4166518B2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装置
CN115122881A (zh) 遮光装置和车辆
JP2001341525A (ja) ロールスクリーン式車両用サンシェード構造
KR19980039210U (ko) 자동차 후방유리용 선바이저
KR19980039512U (ko)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
JP2001341526A (ja) ロールスクリーン式車両用サンシェー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