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512U -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 - Google Patents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512U
KR19980039512U KR2019960052583U KR19960052583U KR19980039512U KR 19980039512 U KR19980039512 U KR 19980039512U KR 2019960052583 U KR2019960052583 U KR 2019960052583U KR 19960052583 U KR19960052583 U KR 19960052583U KR 19980039512 U KR19980039512 U KR 199800395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im
sunshade
door
window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2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2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9512U/ko
Publication of KR19980039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51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38Storag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7End position holding means, e.g. suction cups, hooks on a vehicle, indentations on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61Tensioning systems for keeping the blind taut when in use, other than spr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10Roll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트림내부에 차단막을 탄발되게 권취내장 시켜 필요시 임의의 길이를 인출한 후 부착수단인 직물패스너 등으로 고정시켜서 차광할 수 있게 된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윈도우(24)를 커버할 수 있도록 이 윈도우(24)와 거의 같은 면적을 지니고 상단에는 걸림편(8)이 부착되어 있는 차단막(7)과, 이 차단막(7)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이 차단막(7)이 탄설되게 감기어 있는 권취관(4)이 내장된 차양장치(10)와, 이 차양장치(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도어트림(20)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함체(27)와, 상기 차단막(7)의 상단 및 상기 도어의 윈도우프래임(21) 상부에 각각 부착고정되어 있는 부착수단(9)(9')이 구비되어, 더운 여름철의 직사광선이 차실내로 직접 통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차실내의 온도상승이 방지되고 도어트림에 차단막이 항상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필요시에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운전자 및 승객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
본 고안은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도어트림내부에 차단막을 탄발되게 권취내장 시켜 필요시 임의의 길이를 인출한 후 부착수단인 직물패스너 등으로 고정시켜서 차광할 수 있게 된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유리는 직사광선이 쉽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햇빛이 자동차의 윈도우를 통과하여 차실내로 입사되었다. 그 결과로 차실내의 온도가 상승되었고 탑승객의 눈이 부시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햇빛의 자외선 등이 피부에 직접닿아 피부노화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까지는 자동차의 윈도우에 부착할 수 있는 햇빛가리개를 별도로 구입하여 더운 여름철에 사용하곤 하였다. 상기된 햇빛가리게에는 직물 등으로 형성된 차양막에 흡착구가 부착되어 윈도우에 붙일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블라인더형의 햇빛가리개도 제공되었다.
상기된 부착식의 햇빛가리개는 햇빛차단효과는 뛰어났으나 미관상 좋지않았으며 특히, 도어 윈도우의 상승 및 하강시에 도어트림의 상부에 걸리게 되어 떨어지거나 혹은 도어윈도우의 이동을 방해하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햇빛의 투과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윈도우에 얇은 필름을 부착하는 썬팅 등의 방법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고정부착식으로서 현행법상 불법이기 때문에 단속의 대상이 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필요시에만 차단막을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도어의 트림에 삽입된 차양장치를 제공하여 탑승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은, 상단에는 걸림편이 부착되어 있고 도어의 윈도우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차단막과, 이 차단막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이 차단막이 탄설되게 감기어 있는 권취관이 내장된 차양장치와, 이 차양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도어트림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함체와, 상기 차단막의 상단 및 상기 도어의 윈도우프래임 상부에 각각 부착고정되어 있는 부착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차양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고정캡 3: 횡관
4: 권취관 5: 스프링
6: 축간 7: 차단막
8: 걸림편 9: 부착수단
10: 차양장치 20: 도어트림
21: 윈도우프래임 27: 함체
28: 수용구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차양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 차양장치(10)는 양측 고정캡(2, 2')에 절결부(3')가 형성된 횡관(3)과, 이 횡관(3)내의 축간(6)이 고정되고 권취관(4)이 축간(6)에 스프링(5)으로 탄설되어 있으며, 권취관(4)에 일단을 고정시킨 차단막(7)의 타단에는 부착수단(9) 및 걸림편(8)이 부착되어서 임의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의 측 단면도이다. 도어는 외측패널(23), 내측패널(22), 윈도우프래임(21) 및 도어트림(20) 등으로 구성되는바, 본고안에 적용되는 차양장치(10)는 특히 도어트림(20)의 상부에 형성된 함체(27)의 수용구(28)에 수용된다. 한편, 상기 윈도우프래임(21)을 따라 윈도우(24)가 상승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 사시도로써, 본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여 보면 자동차의 주행중측면의 윈도우(24)를 통하여 직사광선이 차실내로 유입되는 경우에 그 빛을 차단하고 싶을때에는 도어트림(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함체(27)의 일측상부에 있는 걸림편(8)을 상부로 잡아당겨서 차단막(7)을 인출한다.
상기 차단막(7)을 완전히 인출하여 이 차단막(7)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수단(9)을 윈도우프래임(21)의 상부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수단(9')에 부착시킨다.
다시 차단막(7)을 원상시키려면 상기 부착수단(9)을 떼어낸 상태에서 손을 놓으면 코일스프링(5)(도 1 참조)의 탄발력에 의하여 차단막(7)이 권취관(4)에 권취되어 횡관(3)에 수용된다.
상기 부착수단(9)(9')은 통상의 스페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기타의 버튼식단추 또는 고리 등이 사용되어도 좋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에 의하면, 더운 여름철의 직사광선이 차실내로 직접 통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차실내의 온도상승이 방지되고 도어트림에 차단막이 항상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필요시에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운전자 및 승객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도어의 윈도우(24)를 커버할 수 있도록 이 윈도우(24)와 거의 같은 면적을 지니고 상단에는 걸림편(8)이 부착되어 있는 차단막(7)과,
    이 차단막(7)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이 차단막(7)이 탄설되게 감기어 있는 권취관(4)이 내장된 차양장치(10)와,
    이 차양장치(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도어트림(20)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함체(27)와,
    상기 차단막(7)의 상단 및 상기 도어의 윈도우프래임(21) 상부에 각각 부착고정되어 있는 부착수단(9)(9')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
KR2019960052583U 1996-12-20 1996-12-20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 KR199800395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583U KR19980039512U (ko) 1996-12-20 1996-12-20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583U KR19980039512U (ko) 1996-12-20 1996-12-20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512U true KR19980039512U (ko) 1998-09-15

Family

ID=5399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2583U KR19980039512U (ko) 1996-12-20 1996-12-20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951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5732A (ko) * 2003-01-16 2004-07-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5732A (ko) * 2003-01-16 2004-07-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9512U (ko)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
KR0140700Y1 (ko) 윈드실드로의 햇빛 차단장치
KR200182078Y1 (ko)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KR0127065B1 (ko) 자동차의 선루프 차양장치
KR940004680B1 (ko) 자동차용 차광장치
KR200397788Y1 (ko) 차창 햇빛가림장치
KR900006553Y1 (ko) 차량용 차광커텐의 고정장치
KR980007211U (ko) 햇빛 가리개
KR200146800Y1 (ko) 자동차 윈도우의 차양장치
KR870000571Y1 (ko) 자동차의 차양장치
KR200141668Y1 (ko) 컨버터블(convertible)차량용간이소프트탑
KR200185710Y1 (ko) 자동차의 선바이져
KR19980013385U (ko) 자동차의 도어 글라스 차단용 차양막
JPH08282272A (ja) 自動車用日光,紫外線防止器具
KR920000328Y1 (ko) 자동차의 차양장치
KR19980031321U (ko) 자동차의 선루프용 햇빛 가리개
KR20120003963U (ko) 차량용 차광장치
KR19980039210U (ko) 자동차 후방유리용 선바이저
KR20210000254U (ko) 차량용 차광장치
KR19980016169U (ko) 자동차의 뒷좌석용 차양장치
KR19980017544A (ko) 자동차용 햇빛 가리개
KR19980052920U (ko) 도어글래스의 선바이져
KR19980013398U (ko) 자동차의 리어 글라스 차단용 차양막
KR19980013399U (ko) 자동차의 리어 글라스 차단용 차양막
KR19980031322U (ko) 차량의 전면유리 햇빛가리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