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788Y1 - 차창 햇빛가림장치 - Google Patents

차창 햇빛가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788Y1
KR200397788Y1 KR20-2005-0020490U KR20050020490U KR200397788Y1 KR 200397788 Y1 KR200397788 Y1 KR 200397788Y1 KR 20050020490 U KR20050020490 U KR 20050020490U KR 200397788 Y1 KR200397788 Y1 KR 200397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eat belt
fixed
pillar
auto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숙
Original Assignee
이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숙 filed Critical 이상숙
Priority to KR20-2005-0020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7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7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91Foldable sun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햇빛으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차창 햇빛가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자동차 B필라에 설치된 안전벨트 지지구를 관통하여 상기 안전벨트 지지구의 고정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차창을 차광하는 차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햇빛가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차창 햇빛가림장치는 차종에 구분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차광부재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차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창 햇빛가림장치{SUN VISOR}
본 고안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햇빛으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차창 햇빛가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자동차 B필라에 설치된 안전벨트 지지구를 관통하여 상기 안전벨트 지지구의 고정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차창을 차광하는 차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햇빛가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름철에는 태양광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외선이 강하고, 이와 같은 강한 자외선을 직접 받을 경우 피부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고 또한 차내와 같이 실내가 밀폐되는 경우에는 차내의 온도를 상승시켜 차량의 냉방장치를 보다 강하게 작동시킴으로써, 자원의 낭비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의 유리창에 필름을 코팅하였으나 이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종에 구분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차광부재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차광할 수 있는 차창 햇빛가림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자동차 B필라에 설치된 안전벨트 지지구를 관통하여 상기 안전벨트 지지구의 고정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차창을 차광하는 차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햇빛가림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몸체의 하단에 상기 자동차 B필라에 형성된 안전벨트의 입출부에 삽입고정되는 연장판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햇빛가림장치.
또한, 상기 몸체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차광부가 설치되는 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고정부는 상기 안전벨트 지지구가 관통되는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와 연통되고 상기 안전벨트 지지구의 고정핀에 고정되는 고정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햇빛가림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몸체의 고정판의 일측에 형성된 가로방향의 가이드슬릿부와, 상기 가이드슬릿부를 따라 좌우 이동되어 자동차 B필라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좌우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측면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햇빛가림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차양부는 상기 몸체의 측면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차양부재와, 상기 차양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자동차 윈도우 등에 흡착고정되는 흡착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햇빛가림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양부재는 복수의 단위 차양부재가 접철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햇빛가림장치.
특히, 상기 차양부재의 복수의 단위 차양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양부재의 복수의 단위 차양부재의 일측부에 자성부재가 구비되어 인접한 단위 차양부재간에 자기력에 의한 결합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양부재는 스파이럴 스프링이 결합된 회전봉에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차창 햇빛가림장치를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차창 햇빛가림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차창 햇빛가림장치(10)의 차광부(50)가 절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차창 햇빛가림장치(10)의 배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차창 햇빛가림장치(1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B필라에 고정결합되는 몸체(30)와, 상기 몸체(30)의 측면에 결합되어 자동차의 윈도우를 차광하는 차광부(5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30)는 자동차 B필라에 설치된 안전벨트 지지구를 관통하여 상기 안전벨트 지지구의 고정핀에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벨트 지지구를 관통하여 안전벨트 지지구의 고정핀에 고정되는 고정부(350)를 갖는 고정판(310)과, 상기 고정판(310)의 양측부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되는 측판(330a)(330b)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350)는 상기 안전벨트 지지구를 관통시키는 관통구(352)와, 상기 관통구(352)와 연통되고 상기 안전벨트 지지구를 자동차 B필라에 고정하는 고정핀의 외주면을 수용하여 고정되는 고정구(35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30)를 상기 안전벨트 지지구에 간편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상기 관통구(352)와 몸체(30)의 하단 사이에 슬릿(312)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312)은 상기 몸체(30)를 자동차 B필라에 고정설치시 상기 안전벨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안전벨트 지지구를 자동차 B필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그 상태에서 간편하게 상기 몸체(30)를 상기 안전벨트 지지구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30)에는 더욱 몸체(30)를 자동차 B필라에 유동없이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측면고정부(37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고정부(370)는 도 3과 같이 상기 몸체(30)의 고정판(310) 일측에 형성된 가로방향의 가이드 슬릿부(372)와, 상기 가이드 슬릿부(372)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 자동차 B필라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좌우고정부재(374)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슬릿부(372)는 상기 좌우고정부재(374)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기능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좌우고정부재(374)가 효과적으로 자동차 B필라의 양측면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제1가이드 슬릿(372a)과, 제2가이드 슬릿(372b)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슬릿부(372)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며 고정되는 좌우고정부재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단부에 숫나사부재가 형성된 고정편(374)과, 상기 고정편의 숫나사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재(376)로 구성된다.
도 4는 몸체의 상하에 각각 측면고정부(374)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상기 측면고정부(374)를 도 4와 같이 몸체의 고정판(310) 상하에 각각 형성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30)의 하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판(390)을 도 1과 같이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장판(390)에는 상기 관통구(352)에 형성되는 슬릿(312)이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연장판(390)은 자동차 B필라의 하부에 형성된 안전벨트의 입출부에 삽입고정되는 부분으로써 상기 몸체(30)가 상기 자동차 B필라로부터 좌우로 유동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몸체(30)의 측면에 설치되는 차광부(50)는 자동차의 윈도우를 차광하기 위한 것으로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차창 햇빛가림장치(10)의 차광부(50)는 도 1과 같이 복수의 단위 차광부재(510a, 510b, 510c)가 접철되도록 결합되는 차광부재(510)와, 상기 차광부재(510)의 일단에 형성되어 자동차의 윈도우 등에 흡착고정되는 흡착구(530)로 구성된다.
도 1에서는 차광부(50)의 차광부재(510)를 복수의 단위 차광부재(510a, 510b)를 이용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으나 차광부재를 회전봉에 권취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길이를 조절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단위 차광부재를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기력에 의하여 접철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과 같이 상기 단위 차광부재(510a, 510b, 510c)의 일측에 자성부재(552)를 각각 결합하여 인접한 상기 단위 차광부재(510a, 510b, 510c)간에 자기력의 인력에 의한 결합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위 차광부재(510a, 510b, 510c)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도 접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단위 차광부재 사이에 탄성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 자성부재(552) 대신에 도 5와 같이 탄성부재(554)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차광부재(510a, 510b, 510c)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복수의 단위 차광부재(510a, 510b, 510c)가 접철되도록 할 수 도 있다.
탄성부재(554)를 이용하여 복수의 단위 차광부재(510a, 510b, 510c)가 접철되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인접한 단위 차광부재간에 각각 탄성부재를 연결하거나, 복수의 단위 차광부재에 각각 일측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탄성부재를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양단의 단위 차광부재에 고정되도록 형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단위 차광부재(510a, 510b, 510c)를 자기력 또는 탄성력에 의하여 접철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유리를 차광하지 않을 경우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차광부재를 접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5에서는 몸체(30)의 양측면에 각각 차광부(50)를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측면에 한하여 차광부(50)를 형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도 6a는 몸체(30)의 일측면에 차광부(50)가 형성된 차창 햇빛가림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차광부재가 접철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몸체(30)의 좌측면에 한하여 차광부(50)를 형성하였으나 우측면에 한하여 차광부(50)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7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차창 햇빛가림장치(10)를 자동차 B필라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자동차 B필라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광부(50)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차창 햇빛가림장치(10)의 몸체(30)를 도 7a와 같이 안전벨트 지지구(950)에 상기 고정부(350)의 관통구(352)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몸체(30)를 하측으로 하강시키면 상기 고정부(350)의 고정구(354)가 안전벨트 지지구(950)의 고정핀(952)에 걸림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30)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판(390)이 자동차 B필라(910)에 형성된 안전벨트의 입출부(930)에 삽입고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몸체(30)가 자동차 B필라(910)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측면고정부(370)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30)를 더욱 유동없이 자동차 B필라(910)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자동차의 차창에 유입되는 햇빛 등을 차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b와 같이 소망하는 길이 만큼 상기 복수의 단위 차광부재(510)를 당겨 상기 일단부에 위치한 단위 차광부재(510)에 고정설치된 흡착구(530)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차광부재(510)를 자동차의 차창(970)에 흡착고정함으로써 간편하게 자동차의 차창을 차광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인 차창 햇빛가림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차광부재가 인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차광부(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인 차창 햇빛가림장치(10)는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제1실시예와 달리 몸체(30)의 양측면에 차광부재가 장착된 수용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320)는 일측에 개구부(322)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는 양단에 스파이럴 스프링(324)이 설치된 회전봉(322)이 회전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회전봉(322)의 외주면에는 차광부재(510)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차광부재(510)의 타단은 상기 수용부(320)의 개구부(322)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차광부재(510)의 일단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324)의 회전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차광부재(510)가 상기 회전봉(322)에 권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광부재(510)의 일단부에는 차창에 흡착 고정시키기 위한 흡착구(5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몸체(30)의 양측면에 각각 수용부(320)를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 일측면에 한하여 수용부(320)를 형성할 수 도 있다.
도 11a는 몸체(30)의 일측면에 수용부(320)가 형성된 차창 햇빛가림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b는 차광부재(510)가 인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인 차창 햇빛가림장치(10)를 자동차 B필라(910)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b는 일측의 차광부재(510)를 인출하여 차창(970)에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c는 양측의 차광부재(510)를 인출하여 차창(970)에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차창 햇빛가림장치는 자동차 B필라에 설치된 안전벨트 지지구를 관통하여 상기 안전벨트 지지구의 고정핀에 고정되는 고정핀을 갖는 몸체를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차창 햇빛가림장치를 자동차 B필라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하단에 안전벨트의 입출부에 삽입고정되는 연장판이 형성되고, 또한 자동차 B필라의 측면에 고정되는 측면고정부가 상기 고정판에 구비됨으로써, 몸체를 보다 유동없이 자동차 B필라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측면에 접철 또는 권취 등의 방법에 의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차광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차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운전석 차창 또는 조수석 차창 등 일측면만 한정하여 차창 햇빛가림을 할 수 있는 등 필요에 따라 세분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설치 조작이 간편하고, 차종에 구분없이 활용될 수 있는 호환성이 크나큰 장점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차창 햇빛가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차창 햇빛가림장치의 차광부가 절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차창 햇빛가림장치의 배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몸체의 상하에 각각 측면고정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단위 차광부재 사이에 탄성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몸체의 일측면에 차광부가 형성된 차창 햇빛가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차광부재가 접철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차창 햇빛가림장치를 자동차 B필라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자동차 B필라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광부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인 차창 햇빛가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차광부재가 인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차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몸체의 일측면에 수용부가 형성된 차창 햇빛가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b는 차광부재가 인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인 차창 햇빛가림장치를 자동차 B필라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b는 일측의 차광부재를 인출하여 차창에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c는 양측의 차광부재를 인출하여 차창에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차창 햇빛가림장치 30: 몸체
310: 고정판 330: 측판
350: 고정부 370: 측면고정판
390: 연장판 50: 차광부
510: 차광부재 530: 흡착구

Claims (9)

  1. 자동차 B필라에 설치된 안전벨트 지지구를 관통하여 상기 안전벨트 지지구의 고정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차창을 차광하는 차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햇빛가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에 상기 자동차 B필라에 형성된 안전벨트의 입출부에 삽입고정되는 연장판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햇빛가림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차광부가 설치되는 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고정부는 상기 안전벨트 지지구가 관통되는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와 연통되고 상기 안전벨트 지지구의 고정핀에 고정되는 고정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햇빛가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고정판의 일측에 형성된 가로방향의 가이드슬릿부와, 상기 가이드슬릿부를 따라 좌우 이동되어 자동차 B필라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좌우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측면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햇빛가림장치.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는 상기 몸체의 측면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차양부재와, 상기 차양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자동차 윈도우 등에 흡착고정되는 흡착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햇빛가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재는 복수의 단위 차양부재가 접철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햇빛가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재의 복수의 단위 차양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햇빛가림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재의 복수의 단위 차양부재의 일측부에 자성부재가 구비되어 인접한 단위 차양부재간에 자기력에 의한 결합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햇빛가림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재는 스파이럴 스프링이 결합된 회전봉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햇빛가림장치.
KR20-2005-0020490U 2005-07-12 2005-07-12 차창 햇빛가림장치 KR200397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490U KR200397788Y1 (ko) 2005-07-12 2005-07-12 차창 햇빛가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490U KR200397788Y1 (ko) 2005-07-12 2005-07-12 차창 햇빛가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788Y1 true KR200397788Y1 (ko) 2005-10-07

Family

ID=43698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490U KR200397788Y1 (ko) 2005-07-12 2005-07-12 차창 햇빛가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7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7904A (en) Window curtain assembly having a tension spring retraction mechanism
KR200397788Y1 (ko) 차창 햇빛가림장치
US20120256442A1 (en) Sun protection apparatus for automobile driver or passenger
KR20140012907A (ko) 자동차유리 차광용 롤블라인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환기장치
KR20180054270A (ko) 투과율 가변구조를 갖는 도어커튼 장치
CN219749478U (zh) 一种遮阳板总成及移动车辆
KR100534340B1 (ko) 자동차용 블라인드 장치
CN211493616U (zh) 下拉式遮阳板
KR20120003963U (ko) 차량용 차광장치
KR0119669Y1 (ko) 차창의 차양기구
KR950006006Y1 (ko) 자동차용 차양막
US9434240B1 (en) Ultraviolet radiation responsive sun visor
KR200169787Y1 (ko) 자동차 전면유리용 차광장치
KR200417676Y1 (ko) 자동차 사이드윈도우용 선바이저
KR20220000966U (ko) 차량 햇빛 가리개
KR100512126B1 (ko) 자동차의 가변 차양장치
KR200284107Y1 (ko) 이중 리트랙터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블라인드
KR19980039512U (ko)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
KR200232713Y1 (ko) 자석을이용한자동차용차광막조립체
WO2018002689A1 (en) Ultraviolet radiation responsive sun visor
KR950006004Y1 (ko) 차량용 차양장치
KR920000328Y1 (ko) 자동차의 차양장치
CN112238737A (zh) 侧窗平移式滑盖装置
KR20190088741A (ko) 다단 인출식 가림판을 갖는 차량용 썬바이저
KR101307865B1 (ko) 차량용 전동식 썬바이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