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5732A -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5732A
KR20040065732A KR1020030002883A KR20030002883A KR20040065732A KR 20040065732 A KR20040065732 A KR 20040065732A KR 1020030002883 A KR1020030002883 A KR 1020030002883A KR 20030002883 A KR20030002883 A KR 20030002883A KR 20040065732 A KR20040065732 A KR 20040065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insect net
insect screen
screen
fix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2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5732A/ko
Publication of KR20040065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7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방충망과, 방충망의 상단이 고정되는 권취롤과, 권취롤의 양단에 설치된 힌지축과, 방충망이 출납할 수 있도록 루프의 내측패널상에 천공된 슬롯과, 내측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힌지축 지지브래킷과, 양단이 상기 힌지축 지지브래킷과 상기 권취롤에 각각 지지되는 코일스프링과, 하나 이상의 제1고정단추가 구비되며 상기 방충망의 하단에 고정되는 바아와, 제1고정단추와 상호 착탈되도록 도어글래스 하부에 위치한 도어트림상에 고정되는 제2고정단추 및 윈도프레임의 양측단에 고정되며 방충망의 양측단이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구비된 가이드바아로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윈도우 개방시 차실내로의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Structure for installation of a mosquito net on a vehicle}
본 발명은 도어글래스 개방시 차실내로의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객이 승/하차할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어에는 도어글래스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도어글래스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날씨가 무더운 여름철 등에는 차실내의 냉방을 위하여 에어컨을 가동하거나, 혹은 도어글래스를 개방하여 차실내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때, 도어글래스를 개방해 놓을 경우 각종 해충이 차실내로 침입하게 되고, 특히, 밤에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이 많이 침입하기 때문에 탑승객에 적지않은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더운 여름철 도어글래스의 개방 시에도 해충이 차실내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충망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섹션방향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섹션방향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루프 11 : 내측패널
12 : 외측패널 13 : 슬롯
40 : 방충망 50 : 권취수단
51 : 권취롤 51a',51b';56a',56b' : 지지홈
53a,53b : 힌지축 55a,55b : 힌지축지지브래킷
56a,56b : 수용홈 57a,57b : 코일스프링
60 : 도어 62 : 윈도프레임
64 : 도어트림 68 : 가이드바아
70 : 고정수단 71,72 : 제1,2고정단추
74 : 바아(Bar) 80 : 도어글래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는 방충망;상기 방충망의 상단이 고정되는 권취롤; 상기 권취롤의 양단에 설치된 힌지축; 상기 방충망이 출납할 수 있도록 루프의 내측패널상에 천공된 슬롯; 상기 내측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힌지축 지지브래킷; 양단이 상기 힌지축 지지브래킷과 상기 권취롤에 각각 지지되는 코일스프링; 하나 이상의 제1고정단추가 구비되며 상기 방충망의 하단에 고정되는 바아; 상기 제1고정단추와 상호 착탈되도록 도어글래스 하부에 위치한 도어트림상에 고정되는 제2고정단추 및 윈도프레임의 양측단에 고정되며, 상기 방충망의 양측단이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구비된 가이드바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충망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A-A섹션방향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섹션방향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방충망(40)과, 방충망(40)을 권취시키는 권취수단(50) 및 방충망(40)을 펼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70)을 포함한다.
방충망(40)은 윈도프레임(62)으로 둘러싸인 개구영역을 완전하게 커버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권취수단(50)은 도어(60)의 상부에 위치한 루프(10)상에 취부된다. 상기 루프(10)는 내측패널(11)과 외측패널(15)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외측패널(11)(15)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패널(11)에는 방충망(40)이 출납하는 통로역할을 하는 장공 형태의 슬롯(13)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권취수단(50)은 방충망(40)의 상단이 고정되어 그 외주면상에 권취되는 권취롤(51)과, 상기 권취롤(51)의 양단에 결합된 한쌍의 힌지축(53a)(53b)과, 내측패널(11)의 상면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힌지축(53a)(53b)의 각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힌지축 지지브래킷(55a)(55b)과, 상기 힌지축(53a)(53b)의 외주에 구비되며 양 단부가 힌지축 지지브래킷(55a)(55b)과 권취롤(51)상에 각각 지지되는 코일스프링(57a)(57b)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힌지축 지지브래킷(55a)(55b)에는 힌지축(53a)(53b)의 일단이 수용 지지되는 수용홈(56a)(56b)이 형성되고, 코일스프링(57a)(57b)의 일단이 지지되는 지지홈(56a')(5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권취롤(51)의 양측면에도 상기 코일스프링(57a)(57b)의 타단이 지지되는 지지홈(51a')(51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스프링(57a)(57b)의 초기 상태는 방충망(40)이 권취롤(51)에 감긴 상태를 유지하며, 이후에 방충망(40)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소정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한편, 고정수단(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망(40)의 하단에 구비된 제1고정단추(71)와, 도어트림(Door trim;64)상에 취부되는 제2고정단추(72)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채용하고 있는 제1 및 제2고정단추(71)(72)는 암,수로 구성된 일명 '똑딱이 단추'가 채용되며, 제1고정단추(71)는 숫단추로, 제2고정단추(72)는 암단추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와 반대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1고정단추(7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방충망(40)의 하단에 결합된 바아(Bar;74)에 일정 간격을 두고서 배열 고정된다.
또한, 도어글래스(80) 하부에 근접된 도어트림(64)상에는 상기 제1고정단추(71)와 대응하여 상호 착탈되는 제2고정단추(72)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바아(74)는 제2고정단추(72)에 제1고정단추(71)를 착탈시 상기 제1고정단추(71)의 각 개소 마다 부분적인 착탈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연한 연성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아(74)는 방충망(40)의 전체적 형상을 유지시킬 뿐 아니라, 방충망(40)이 권취수단(50)을 통해 감길 때 내측패널(11)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지 않도록 내측패널(11)의 외면상에 걸리는 걸림턱의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필수적으로 상기 바아(74)의 크기를 상기 슬롯(13)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해야만 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단추(72)는 도어트림(64)의 외면상에 설치하여도 좋으나, 탑승객의 몸에 닿거나, 그 설치부위의 외관미를 고려하여 도어트림(64)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폭으로 요입하여 설치함으로써 외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프레임(62)의 양측면에는 방충망(40)의 양측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아(6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아(68)에는 상기 방충망(40)의 양측단이 끼워지는 가이드홈(69)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방충망(40)의 양측단은 상기 가이드홈(69) 내에 끼워져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본 실시예에서는 접어서 밖음질함).
따라서, 방충망(40)의 출납시 양측단이 가이드홈(69)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방충망(40)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방충망(40) 양측단을 완전히 폐쇄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바아(68)가 윈도프레임(62)상에 설치된 구조를 일예로 보여주고 있지만, 이 밖에 가이드바아(68)는 도어(60) 좌우측에 위치하는 프론트 필러(Front pillar)나 센터 필러(Center pillar), 혹은 리어 필러(Rear pillar) 등에 고정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가이드바아(68)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방충망(40)과 권취수단(50) 및 고정수단(70)의 크기가 변경되어야 함은 자명한 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전술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평상시, 방충망(40)은 권취수단(50)에 의해 감겨 있는 상태가 되고, 바아(74)는 내측패널(11) 외면에 걸려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도어(60)가 닫힌 상태에서 방충망(40)을 설치할 경우, 먼저, 사용자는 바아(74)를 일정 폭만큼 아래방향으로 잡아 당겨 방충망(40)의 양측단을 가이드바아(68)에 형성된 가이드홈(69)에 끼워 삽입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가이드바아(68)에 끼워진 방충망(40)을 계속하여 아래방향으로끌어내려 도어글래스(80) 하단부까지 위치시킨 후, 바아(74)에 구비된 제1고정수단(71)을 도어트림(64)의 제2고정단추(72)에 연속적으로 체결하게 되면 방충망(40)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후, 방충망(40)을 제거할 경우에는, 제1고정단추(71)를 제2고정단추(72)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코일스프링(57a)(57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방충망(40)이 권취롤(51)에 감기면서 방충망(40)이 원위치로 복원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도어글래스의 개방에 따른 차실내로의 해충의 칩입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제1고정단추와 제2고정단추로 이루어진 간단한 똑딱이식 착탈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방충망의 설치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방충망의 출납시 양측단이 가이드바아에 의해 연속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방충망의 전체적인 전개형상이 올바르게 유지됨과 아울러 윈도프레임과 방충망과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완전하게 폐쇄시킬 수 있다.
셋째, 방충망을 권취하는 권취수단을 루프 내부에 장착시킴으로써, 기존의 루프 내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여 장치구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차실내의 공간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설치부위의 외관도 해치지 않는다. 또한, 도어에는 별도의 큰 장치 구조물을 장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도어 주변의 공간 활용성을 제한하지 않는다.
넷째, 바아를 휨 또는 굽힘이 가능한 유연한 연성재로 구성함으로써 각 개소의 제1고정단추를 제2고정단추에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방충망;
    상기 방충망의 상단이 고정되는 권취롤;
    상기 권취롤의 양단에 설치된 힌지축;
    상기 방충망이 출납할 수 있도록 루프의 내측패널상에 천공된 슬롯;
    상기 내측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힌지축 지지브래킷;
    양단이 상기 힌지축 지지브래킷과 상기 권취롤에 각각 지지되는 코일스프링;
    하나 이상의 제1고정단추가 구비되며 상기 방충망의 하단에 고정되는 바아;
    상기 제1고정단추와 상호 착탈되도록 도어글래스 하부에 위치한 도어트림상에 고정되는 제2고정단추; 및
    윈도프레임의 양측단에 고정되며, 상기 방충망의 양측단이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구비된 가이드바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
KR1020030002883A 2003-01-16 2003-01-16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 KR20040065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883A KR20040065732A (ko) 2003-01-16 2003-01-16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883A KR20040065732A (ko) 2003-01-16 2003-01-16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732A true KR20040065732A (ko) 2004-07-23

Family

ID=3735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883A KR20040065732A (ko) 2003-01-16 2003-01-16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573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2114U (ja) * 1983-09-20 1985-04-12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開閉窓
JPH09193702A (ja) * 1996-01-16 1997-07-29 Honda Motor Co Ltd 車内カーテン
KR19980039512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2114U (ja) * 1983-09-20 1985-04-12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開閉窓
JPH09193702A (ja) * 1996-01-16 1997-07-29 Honda Motor Co Ltd 車内カーテン
KR19980039512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49209B1 (en) Pleated screens
KR0122375Y1 (ko) 승용차 커버
JP5702040B2 (ja) 網材を備えた開口部装置
JP3685334B2 (ja) 窓用遮蔽装置
KR20190028341A (ko) 차량용 텐트
JP5572191B2 (ja) 網材を備えた開口部装置
KR20040065732A (ko)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
KR20040065731A (ko)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
KR20040065733A (ko)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
KR200435394Y1 (ko) 별도의 안내레일이 필요없는 안전 방충망
KR20040065735A (ko)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
KR20120103256A (ko) 차량용 롤 블라인드
JP3430031B2 (ja) 日除け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窓用シャッター
JP3484699B2 (ja) 摺動式スクリーンユニット
KR20040065736A (ko)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
KR20040065734A (ko) 차량용 방충망 설치구조
JP3295451B2 (ja) 組付け網戸装置の組付構造
JP3354586B2 (ja) 組付け網戸装置
KR200256852Y1 (ko)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JP2002188377A (ja) オーニングシャッター
JP4520040B2 (ja) 支柱および商品取扱ドア
JP4332992B2 (ja) シャッターケースの構造
JPH10299349A (ja) シャッター付きサッシ装置
JP2000110462A (ja) スクリーン装置
KR200382870Y1 (ko) 천막형 모기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