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815A - 워크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워크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815A
KR20060049815A KR1020050059694A KR20050059694A KR20060049815A KR 20060049815 A KR20060049815 A KR 20060049815A KR 1020050059694 A KR1020050059694 A KR 1020050059694A KR 20050059694 A KR20050059694 A KR 20050059694A KR 20060049815 A KR20060049815 A KR 20060049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workpiece
atmospheric
suction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7025B1 (ko
Inventor
도모유키 고지마
세이지 요시자와
겐지 미즈노
아키히사 고다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Publication of KR20060049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크(work) 수납 홈으로의 워크 장전율이 변동해도 워크 수납구 내의 흡인 압력의 변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워크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워크 반송 장치는 테이블 베이스(2)와, 테이블 베이스(2) 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둘레 가장자리에 복수의 워크 수납 홈(4)이 설치된 반송 테이블(3)을 구비하고 있다. 테이블 베이스(2)의, 반송 테이블(3) 측의 면에 고리 형상 부압 홈(9)이 설치되고, 반송 테이블(3)의, 테이블 베이스(2) 측의 면에 흡인 홈(5)이 설치되어 있다. 테이블 베이스(2)에 흡인 홈(5)에 연통하는 고리 형상 대기 홈(11)과, 대기측에 연통하는 제 1 대기 도입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워크, 워크 반송 장치, 대기 도입 구멍, T-조인트

Description

워크 반송 장치{WORK CONVEYANC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 반송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워크 반송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 반송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워크 반송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워크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6은 워크 장전율에 대한 흡인 압력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워크 반송 장치
2: 테이블 베이스
3: 반송 테이블
4: 워크 수납 홈
5: 흡인 홈
6: 워크 공급부
7: 측정부
8: 배출부
8a: 배출 구멍
9: 고리 형상 부압 홈
10: 흡인 연통 구멍
11: 고리 형상 대기 홈
12: 제 1 대기 도입 구멍
13: 제 2 대기 도입 구멍
14: 진공 배관
14a: 진공 발생원
15: T-조인트(joint)
16: 유량 조정 수단
17: 대기 도입관
w: 워크
본 발명은 반송 테이블에 설치된 복수의 워크 수납 홈에 워크를 흡인 유지하여 반송하는 워크 반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워크 수납 홈으로의 워크의 장전율(裝塡率)이 변동해도 워크 수납 홈 내의 흡인 압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워크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워크(전자 부품)를 흡인하면서 반송하는 워크 반송 장치로서, 일본 국 특개소54-126719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58-16971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8-136463호 공보 등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의 워크 반송 장치는 복수의 워크를 동시에 흡인하여 반송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워크를 동시에 복수 흡인하는 장치에 있어서, 최근 워크의 고정밀도화에 따라, 예를 들면, 워크의 분류기라면 더욱 흡인 대상 개수가 증가한다. 또한, 워크의 반송 도중에 워크는 측정되고, 그 결과에 의거하여 소정 개소에서 많은 워크가 배출된다. 따라서, 워크 반송 장치의 흡인 압력의 변동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이하, 그 흡인 압력의 변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의 워크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워크 반송 장치의 워크 수납 홈 내에 워크를 장전했을 때의 워크 장전율에 대한 흡인 압력의 변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 반송 장치는 테이블 베이스(2)와, 테이블 베이스(2)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둘레 가장자리에 복수의 워크 수납 홈(4)이 설치된 반송 테이블(3)을 구비하고 있다. 테이블 베이스(2)에는 진공 배관(14)을 통하여 진공 발생원(14a)에 연통(連通)되는 고리 형상 부압(負壓) 홈(9)이 설치되고, 또한 반송 테이블(3)에는 워크 수납 홈(4)과 고리 형상 부압 홈(9)을 연통하는 흡인 홈(5)이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 형상 부압 홈(9)은 테이블 베이스(2)에 깎아 설치되고, 이 고리 형상 부압 홈(9)은 복수의 흡인 연통 구멍(10)을 통하여 부압 흡인 수단인 진공 발생원(14a)에 연통하는 진공 배관(14)에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워크 반송 장치에서의 고리 형상 부압 홈(9) 내의 흡인 압력 p에 대해서, 도 6에 의해 설명한다. 도 6은 워크 수납 홈(4)에 워크(w)가 전혀 장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장전율 0%)로부터 모든 워크 수납 홈(4)에 워크(w)가 장전된 상태(장전율 100%)에 대응하는 고리 형상 부압 홈(9) 내의 흡인 압력 p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워크 수납 홈(4) 내에 워크(w)가 전혀 장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흡인 압력을 워크(w)의 흡인이 가능한 최저한의 흡인 압력 P1으로 설정하면, 워크(w)의 장전에 의해 빈 워크 수납 홈(4)이 감소한 경우, 흡인 압력 P가 급격하게 상승한다.
다음에, 모든 워크 수납 홈(4)에 워크(w)가 장전되면 흡인 압력이 부압 공급 수단인 진공 발생원(14a)의 공급 능력 또는 부압 조정기에 의해 설정된 최고 부압력 P2에 달하고, 최저 부압력 P1과 최고 부압력 P2의 차이가, 예를 들면, 몇 배로 되는 압력 변동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워크 장전율이 증가하여 부압력이 급격하게 증가하면 워크 수납 홈(4) 내에서 워크(w)의 흡인력이 증가하여, 배출부에서 워크 수납 홈(4) 내의 워크(w)를 확실하게 배출할 수 없다.
한편, 배출부에서, 최고 부압력 P2에서도 워크 수납 홈(4) 내의 워크(w)가 충분히 배출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외력으로서 워크를 향하여 분사하는 배출 에어 압력을 설정하면, 최저 부압력 P1 근방에서는 워크 수납 홈(4) 내에서 워크(w)의 흡착력에 비해 배출 압력이 지나치게 강하여 워크를 급격하게 비산시켜 워크(w)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고리 형상 부압 홈(9) 내의 흡인 압력의 변동에 의해 반송 테이블(3)과 테이블 베이스(2) 사이의 간극의 흡인력이 크게 변하고, 반송 테이블(3)과 테이블 베이스(2) 사이의 마찰이 발생 또는 증대하여 반송 테이블(3)의 회전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워크의 장전 및 배출을 행한 경우라도 워크 수납 홈 내의 흡인 압력의 변동을 작게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안정된 흡인 압력으로 워크 수납 홈 내에 워크를 흡인하여 장전할 수 있으며, 이 워크를 워크 수납 홈 내에 유지하여 반송하고, 또한 워크 수납 홈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워크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테이블 베이스와, 테이블 베이스 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둘레 가장자리에 복수의 워크 수납 홈이 설치된 반송 테이블을 구비하고, 테이블 베이스의 반송 테이블에 근접하는 면에 진공 배관을 통하여 진공 발생원에 연통하는 고리 형상 부압 홈이 설치되고, 반송 테이블의 테이블 베이스에 근접하는 면에 각 워크 수납 홈과 고리 형상 부압 홈을 연통하는 흡인 홈이 설치되며, 흡인 홈에, 대기측에 연통하는 대기 급기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이다.
본 발명은, 대기 급기 수단은 테이블 베이스에 설치되어 흡인 홈과 연통하는 고리 형상 대기 홈과, 고리 형상 대기 홈과 대기측을 연통하는 제 1 대기 도입 구 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이다.
본 발명은, 대기 급기 수단은 반송 테이블에 설치되어 흡인 홈과 대기측을 연통하는 제 2 대기 도입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이다.
본 발명은, 대기 급기 수단은 진공 배관에 접속되고, 대기측에 연통된 대기 도입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이다.
본 발명은 대기 도입관에 유량 조정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워크 반송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 반송 장치(1)는 테이블 베이스(2)와, 테이블 베이스(2) 위에 매우 약간의 간극을 갖고 근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둘레 가장자리에 복수의 워크 수납 홈(4)이 설치된 반송 테이블(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테이블 베이스(2)의, 반송 테이블(3)에 근접하는 면에 고리 형상 부압 홈(9)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고리 형상 부압 홈(9)은 테이블 베이스(2)에 설치된 복수의 흡인 연통 구멍(10)에 연통되고, 각 흡인 연통 구멍(10)은 진공 배관(14)을 통하여 진공 발생원(14a)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반송 테이블(3)의, 테이블 베이스(2)에 근접하는 면에 각 워크 수납 홈(4)과 고리 형상 부압 홈(9)을 연통하는 흡인 홈(5)이 설치되고, 이 흡인 홈(5)에 의해 워크 수납 홈(4) 내부가 부압으로 유 지되도록 되어 있다.
흡인 홈(5)은 반송 테이블(3)의 워크 수납 홈(4)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리 형상 부압 홈(9)에 연통된 후, 내측을 향하여 더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흡인 홈(5)의 내측 끝은 테이블 베이스(2)에 설치된 고리 형상 대기 홈(11)에 연통되어 있다. 이 고리 형상 대기 홈(11)은 테이블 베이스(2)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 1 대기 도입 구멍(12)을 통하여 대기측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고리 형상 대기 홈(11)과 제 1 대기 도입 구멍(12)에 의해 대기 흡기 수단이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 공급 수단(6a)에 의해 워크 공급부(6)로부터 워크 수납 홈(4)에 공급된 워크(w)는 워크 수납 홈(4) 내에 흡인 유지되고, 반송 테이블(3)에 의해 회전 반송되는 과정에서, 측정부(7)에서 전기적 특성이 측정된다. 그 후, 워크 수납 홈(4) 내의 워크(w)는 배출부(8)에서 전기적 특성에 따른 배출 구멍(8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 테이블(3)에 설치된 복수의 워크 수납 홈(4)은 각각 흡인 홈(5)을 통하여 부압 공급 수단인 고리 형상 부압 홈(9)에 연통되고, 또한 흡인 홈(5)은 대기 급기 수단인 고리 형상 대기 홈(11)에 연통되어 있다. 고리 형상 부압 홈(9) 및 고리 형상 대기 홈(1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블 베이스(2)에 깎아 설치되고, 원형의 반송 테이블(3)과 동심(同心)을 이루는 동심원의 고리 형상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고리 형상 부압 홈(9)은 테이블 베이스(2)를 관통하여 설치된 복수의 흡인 연통 구멍(10)에 나사 결합된 진공 배관(14)을 통하여 진공 발생원(14a)에 접속되고, 대기 흡기 수단인 고리 형상 대기 홈(11)은 테이블 베이스(2)를 관통하여 설치된 복수의 제 1 대기 도입 구멍(12)에 의해 대기 개방되어 있다.
또한, 흡인 홈(5)은 반송 테이블(3)의 테이블 베이스(2)와 대향하는 하면(下面)에 워크 수납 홈(4)마다 깎아 설치된 미소 단면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워크 수납 홈(4)으로부터 고리 형상 부압 홈(9) 및 고리 형상 대기 홈(11)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음에,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서, 워크 공급 수단(6a)으로부터 워크 공급부(6)에 공급된 워크(w)는 반송 테이블(3)의 워크 수납 홈(4) 내에 순차적으로 장전되고, 워크 수납 홈(4) 내에서 고리 형상 부압 홈(9)에 연통된 흡인 홈(5)의 부압에 흡인되어 유지된다. 그 후, 워크 수납 홈(4) 내의 워크(w)는 반송 테이블(3)의 회전(화살표 방향)에 따라 반송된다.
그 후, 측정부(7)에서 워크 수납 홈(4) 내의 워크(w)에 대하여 전기적 측정이 행해지고, 이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워크 수납 홈(4) 내의 워크(w)는 배출부(8)의 배출 구멍(8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배출된다.
다음에, 이 사이의 워크 수납 홈(4) 내의 압력 변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반송 테이블(3)의 워크 수납 홈(4)에 워크(w)가 장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흡인 홈(5)의 외측 단부는 워크 수납 홈(4) 내에서 대기 개방되어 있고, 내측 단부는 고리 형상 대기 홈(11)에 연통되어 대략 대기 개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 이, 고리 형상 부압 홈(9)은 흡인 홈(5)의 대기 개방되어 있는 외측 단부와 내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흡인 연통 구멍(10)에 나사 결합된 진공 배관(14)을 통하여 고리 형상 부압 홈(9) 내의 공기가 흡인되어 부압화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복수의 제 1 대기 도입 구멍(12)을 통하여 대기 개방된 고리 형상 대기 홈(11) 내부의 기압은 워크 수납 홈(4)의 대기압에 비해 약간 낮아진다. 또한, 흡인 홈(5)에 의해 직선적으로 대기 개방되어 있는 워크 수납 홈(4)에 대하여, 고리 형상 대기 홈(11) 측의 흡기 방향은 흡인 홈(5)과 직각 방향으로 되는 것과 더불어, 제 1 대기 도입 구멍(12)은 흡인 홈(5)에 비해 수가 적고 또한 단면적이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워크 수납 홈(4) 측의 통기(通氣) 저항에 비해 고리 형상 대기 홈(11) 측의 통기 저항이 커진다. 이 때문에, 고리 형상 부압 홈(9)에는 주로 워크 수납 홈(4) 측으로부터 대기가 흡기되고, 워크(w)가 워크 수납 홈(4)에 흡인되기 쉽게 되어 있다.
반송 테이블(3)의 워크 수납 홈(4) 내에 워크(w)가 흡인 유지되면 워크 수납 홈(4) 측의 흡인 홈(5)의 외측 단부가 폐쇄되어 대기 유입이 정지하지만, 고리 형상 대기 홈(11) 측으로부터의 흡기가 행해지기 때문에 진공도의 상승이 억제되고, 고리 형상 부압 홈(9) 내의 부압은 워크(w)가 흡인 유지되기 전의 상태에 비해 진공도가 약간 높은 정도의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복수의 워크 수납 홈(4)으로의 워크 장전율의 여하를 불문하고, 대기 도입 구멍(12)이 없는 상태에 비해 워크 수납 홈(4) 내로의 흡인 압력을 충분히 안정화시키는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고리 형상 대기 홈(11)을 설치하고, 제 1 대기 도입 구멍(12)으로부터 대기를 도입함으로써, 고리 형상 부압 홈(9)에 직접 대기를 도입한 경우에 비해, 도입 대기에 의해 워크마다의 부압반(負壓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해판을 설치함으로써, 고리 형상 부압 홈(9)에 직접 대기 도입 구멍을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3에 의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테이블 베이스(2)에 고리 형상 대기 홈(11)과 흡인 홈(5)을 깎아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워크 수납 홈(4)과 고리 형상 부압 홈(9)의 대략 중간 위치에 반송 테이블(3)의 상면(上面)으로부터 하면측을 향하여 흡인 홈(5)에 연통하는 미소 단면의 제 2 대기 도입 구멍(13)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첨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 워크(w)가 워크 수납 홈(4) 내에 장전되면 흡인 유지에 수반하여 폐쇄된 흡인 홈(5)에 제 2 대기 도입 구멍(13)으로부터 대기가 흡기된다. 이것에 의해, 고리 형상 부압 홈(9) 내의 부압을 안정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 2 대기 도입 구멍(13)이 반송 테이블(3)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 2 대기 도입 구멍(13)을 상면측이 하면측에 대하여 반송 테이블(3)의 회전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4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 워크 수납 홈(4)마다 대기를 흡기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대기 도입 구멍(12, 13)을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 배관 (14)에 T-조인트(15)를 통하여 대기측에 연통된 대기 도입관(17)이 접속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첨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 테이블 베이스(2)를 관통한 흡인 연통 구멍(10)이 설치되고, 이 흡인 연통 구멍(10)에 진공 배관(14)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진공 배관(14)과 진공 발생원(14a) 사이에 직선 조인트 측을 부압 통로로 하는 T-조인트(15)가 삽입되고, T-조인트(15)의 분기 조인트 측에 대기 도입관(17)이 접속되어 있다. 대기 도입관(17)은 유량 조정 수단(16)을 통하여 대기 개방되어 있다.
도 4에서, 워크 수납 홈(4)에 워크(w)가 장전되면 대기 연통 구멍(10)으로부터 진공 배관(14) 내로의 흡기량이 감소하여 고리 형상 부압 홈(9)의 부압이 변동하려고 한다. 이 경우, 대기 연통 구멍(10) 측으로부터의 흡기가 감소한 분을 유량 조정 수단(16)을 통하여 대기 도입관(17)으로부터 진공 배관(14) 내에 급기할 수 있고, 고리 형상 부압 홈(9) 내의 부압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 배관(14)에 대기 도입관(17)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고가인 압력 제어 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고 고리 형상 부압 홈(9) 내의 흡인 압력을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간편하고 저렴한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유량 조정 수단(16) 측으로부터의 급기량이 비교적 대량으로 되므로, 진공 발생원(14a)은 그 공급 용량에 여유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T-조인트(15)는 분기 수단의 일례로서, 진공 배관(14) 측의 통기 저항을 작고, 대기 도입관(17) 측의 통기 저항을 크게 할 수 있으면, T-조인트(15) 이 외의 분기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워크의 장전 및 배출에 따르는 워크 수납 홈 내의 흡인 압력의 변동을 작게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안정된 흡인력에 의해 워크 수납 홈 내에 워크를 흡인하여 장전할 수 있고, 이 워크 수납 홈 내에 워크를 유지하여 반송하고, 또한 워크 수납 홈으로부터 워크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Claims (5)

  1. 테이블 베이스와,
    상기 테이블 베이스 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둘레 가장자리에 복수의 워크(work) 수납 홈이 설치된 반송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 베이스의 반송 테이블에 근접하는 면에 진공 배관을 통하여 진공 발생원에 연통(連通)하는 고리 형상 부압(負壓) 홈이 설치되고,
    상기 반송 테이블의 테이블 베이스에 근접하는 면에 상기 각 워크 수납 홈과 고리 형상 부압 홈을 연통하는 흡인 홈이 설치되며,
    상기 흡인 홈에, 대기(大氣)측에 연통하는 대기 급기(給氣)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급기 수단은 상기 테이블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흡인 홈과 연통하는 고리 형상 대기 홈과, 이 고리 형상 대기 홈과 대기측을 연통하는 제 1 대기 도입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급기 수단은 상기 반송 테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흡인 홈과 대기측을 연통하는 제 2 대기 도입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급기 수단은 진공 배관에 접속되고, 대기측에 연통된 대기 도입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도입관에 유량 조정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
KR1020050059694A 2004-07-26 2005-07-04 워크 반송 장치 KR100757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17064 2004-07-26
JP2004217064A JP4372634B2 (ja) 2004-07-26 2004-07-26 ワーク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815A true KR20060049815A (ko) 2006-05-19
KR100757025B1 KR100757025B1 (ko) 2007-09-07

Family

ID=3590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694A KR100757025B1 (ko) 2004-07-26 2005-07-04 워크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72634B2 (ko)
KR (1) KR100757025B1 (ko)
CN (1) CN100591595C (ko)
TW (1) TWI2819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6138B2 (ja) * 2006-05-24 2008-02-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ワーク搬送装置及び電子部品搬送装置
JP4079179B2 (ja) * 2006-06-02 2008-04-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ワーク搬送装置及び電子部品搬送装置
CN103771131B (zh) * 2012-10-19 2016-12-21 深南电路有限公司 物料取放装置
CN103043437A (zh) * 2012-12-27 2013-04-17 佛山市顺德区容桂睿诚机械模具厂 吸放轮
TWI752602B (zh) * 2020-08-25 2022-01-11 萬潤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元件搬送方法及裝置
CN113579118B (zh) * 2021-08-18 2023-04-18 湖北永瑞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线束的裁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6463A (ja) * 1994-11-10 1996-05-31 Taiyo Yuden Co Ltd 外観検査装置
KR200181029Y1 (ko) 1997-06-28 2000-05-15 정영경 물병의 흡입구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72634B2 (ja) 2009-11-25
KR100757025B1 (ko) 2007-09-07
CN1733576A (zh) 2006-02-15
TW200604078A (en) 2006-02-01
CN100591595C (zh) 2010-02-24
TWI281903B (en) 2007-06-01
JP2006036422A (ja)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025B1 (ko) 워크 반송 장치
CN100519105C (zh) 真空抽吸单元
US20100025905A1 (en) Pneumatically actuated area vacuum gripper
JP2008087910A (ja) 非接触搬送装置
WO2009090775A1 (ja) 真空発生装置
US7931042B2 (en) Vacuum suc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721840B1 (ko) 진공 흡인 시스템
TW201350413A (zh) 搬送保持具及搬送保持裝置
KR101081068B1 (ko) 워크 반송장치 및 전자부품 반송장치
KR100658480B1 (ko) 워크 반송 배출 시스템
EP2316763A2 (en) Sheet take out apparatus and sheet processing apparatus
KR20160066861A (ko) 연료전지 차량의 배기구 구조
JP2016101641A (ja) 締結部品の搬送装置
US20210252720A1 (en) Non-contact transport device
US20220033208A1 (en) Transport device
JP2000110800A (ja) エジェクタ
EP3725414A1 (en) Air/oil mist generator
KR102066685B1 (ko) 워크 이송 회전 테이블
JP2021084214A (ja) 吸引装置
EP3725415A1 (en) Air/oil mist generator
US20210323175A1 (en) Two-stage ejector
CN111745629A (zh) 驱动装置以及输送装置
JP3223246U (ja) 電子デバイスの吹き出し排出装置
CN211929463U (zh) 气浮式吸取装置
JP4910284B2 (ja) 方向選別装置および方向選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