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595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49595A KR20060049595A KR1020050051182A KR20050051182A KR20060049595A KR 20060049595 A KR20060049595 A KR 20060049595A KR 1020050051182 A KR1020050051182 A KR 1020050051182A KR 20050051182 A KR20050051182 A KR 20050051182A KR 20060049595 A KR20060049595 A KR 200600495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forming
- toner
- image
- developer
- forming apparatu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03G21/1832—Shielding members, shutter, e.g. light, heat shielding, prevention of toner scatter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3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vertic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장치 본체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 블랙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 빈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블랙 화상 형성 스테이션과, 그 이외의 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1개 이상의 비특정색 화상 형성 스테이션을 갖고, 블랙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감광체 드럼(103K)을 비특정색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감광체 드럼(103Y, 103M, 103C)보다도 연직 하방에 배치하고, 블랙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토너 카트리지(100K)의 용량을 비특정색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토너 카트리지의 용량보다도 크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토너 카트리지, 감광체 드럼, 반송 롤러, 구동 장치, 중간 전사 벨트
Description
도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 설명도.
도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 사시 설명도.
도3은 화상 형성 장치를 장치 전방측으로부터 본(도2의 화살표 X1 방향) 배치 설명도.
도4는 화상 형성 장치를 상방으로부터 본(도3의 화살표 Y1 방향) 단면 설명도.
도5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전방으로부터 본 토너 반송 형태 설명도.
도6은 화상 형성 장치를 전방으로부터 본 에어 풍로 설명도.
도7은 본체를 장치 횡방향(도5의 화살표 Z1 방향)으로부터 본 설명도.
도8은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를 상방으로부터 본 부분 설명도.
도9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의 본체 구동 전달 설명도.
도1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 설명도.
도1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전장 설명도.
도12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 설명도.
도1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 설명도.
도14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 사시 설명도.
도15는 종래 기술의 설명도.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48897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65088호 공보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하여 기록재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복사기,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에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이나 현상기 등을 일체화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하여 보수나 현상제(이하「토너」라 함)의 보급을 용이하게 한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체 드럼의 열화에 따른 내구 수명에 대응한 토너량을 내장할 필요가 있어, 카트리지 전체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작성하는 화상의 농도에 따라서 소비하는 토너량은 크게 다르다. 그로 인해, 어떤 일정량 감광체 드럼의 열화 및 토너량 소비가 발생된 시점에서 카트리지의 교환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제는 아직 사용할 수 있는 감광체 드럼이나 토너의 잔량이 있어도 일찍 카트리지를 교환하기 때문에 운전 비용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현상 기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를 분리하고, 각각의 카트리지를 장착 가능하게 한 화상 형성 장치가 실용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 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00)와,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00)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4개의 토너 카트리지(201)를 장치 본체(202)에 장착한다. 그리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00) 내의 감광체 드럼(200a)에 형성한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203)에 차례로 1차 전사한다. 또한, 그 1차 전사상을 시트 카세트(204)로부터 반송 롤러(205)에 의해 반송되는 전사재에 2차 전사부(206)에 있어서 2차 전사한다. 그리고, 그 전사재를 정착기(207)로 반송하여 토너상을 가열 정착한 후, 장치 상부의 배출부(208)로 배출한다(특허 문헌 1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토너 카트리지를 분할함으로써, 각각의 내구에 의한 소비에 따라서 각 카트리지 교환을 행하여 운전 비용을 낮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 흑백의 화상 형성 장치를 사용하고 있던 사용자에게 화상 형성 장치를 치환한 경우 항상 컬러 화상 형성을 행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흑백 화상의 화상 형성 빈도의 쪽이, 컬러 화상 형성 빈도보다 높은 경우도 있다.
이로 인해, 블랙의 토너 카트리지를 블랙 이외의 토너 카트리지의 용량보다도 크게 설정함으로써, 블랙의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 빈도를 저감시키거나 운전 비용을 저감시킨 화상 형성 장치도 실용화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4889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65088호 공보
그러나, 특정한 토너 카트리지의 용량을 크게 하면 그 부분이 돌출되어 버린다. 이를 돌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른 토너 카트리지 공간도 크게 하면 장치 본체가 대형화되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토너 카트리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되어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장치 본체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 특정색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 빈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표적인 수단은, 정전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 상의 정전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해 현상된 현상제상을 전사부에 있어서 전사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적어도 갖고, 상기 전사부의 수평 방향의 위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과,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대응한 보급용 현상제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현상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전사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전사부에 대해 연직 방향에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전사부가 연직 방향에서 가장 하 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용량은, 전사부가 상기 최하방의 전사부보다도 연직 방향 상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용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전사부가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용량을 다른 현상제 수용 용기의 용량보다도 크게 해도 장치 본체의 크기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사부가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로서 예를 들어 블랙 토너를 수납하도록 하면, 일반적으로 가장 화상 형성 빈도가 높은 블랙 단색 화상 형성시의 현상제 수용 용기의 교환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현상제 중량당 현상제 수용 용기 비용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블랙 단색 화상 형성시의 운전 비용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우선,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방식의 복수색 또는 풀컬러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 각 색에 따라서 감광체 드럼을 1열로 복수 배열하고, 각 감광체 드럼 상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에 차례로 겹쳐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이른바 인라인형 화상 형성 장치로 되어 있다.
도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 설명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1)에 있어서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직선 상에 배치된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와, 이에 대향 배치된 전사 수단인 전사 롤러(106)로 복수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이 구성된다. 그리고, 각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대응한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인 토너 카트리지(100)가 4개 구비되어 있다. 각 화상 형성 스테이션은, 도1의 우측으로부터 차례로 각각 옐로우색, 마젠타색, 시안색, 블랙색의 화상을 형성한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에는, 각각 상 담지체로서의 드럼형 전자 사진 감광체(이하,「감광체 드럼」이라 함)(10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감광체 드럼(103)의 주위에는 1차 대전기(104), 현상 수단(105), 전사 수단으로서의 전사 롤러(106), 드럼 클리너 장치(107)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1차 대전기(104)와 현상 수단(105) 사이의 하방에는 노광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노광 장치(113)가 설치되어 있다.
감광체 드럼(103)은 마이너스 대전의 OPC 감광체로 알루미늄제의 드럼 베이스 부재 상에 광도전층을 갖고 있고,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의 프로세스 스피드로 회전 구동된다.
1차 대전 수단으로서의 1차 대전기(104)는 대전 바이어스 전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인가되는 대전 바이어스에 의해 감광체 드럼(103)의 표면을 마이너스 극성의 소정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한다.
현상 수단(105)은 토너를 내장하고, 각각 각 감광체 드럼(103) 상에 형성되 는 각 정전 잠상에 각 색의 토너를 부착시켜 토너상으로서 현상(가시상화)한다.
1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각 전사 롤러(106)는, 중간 전사 벨트 유닛 내에 배치되고, 감광체 드럼(103)에 대향 가압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각 전사부가 형성된다.
드럼 클리너 장치(107)는 감광체 드럼(103) 상에서 1차 전사시 잔류된 전사 잔류 토너를 감광체 드럼(103)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 등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2)는 1차 대전기(104), 현상 수단(105), 드럼 클리너 장치(107)가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되어, 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의 상방에는 중간 전사 벨트(108)를 갖는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이 배치되어 있다. 이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은 회전 가능한 벨트 부재인 중간 전사 벨트(108)와, 2차 전사 대향 롤러를 겸하는 구동 롤러(109)와, 도시하지 않은 구동 롤러축 상의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시하지 않은 본체 상의 구동 기어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08)가 회전 구동된다. 구동 롤러(109)는 2차 전사 롤러(11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1차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중 최종의 감광체 드럼(103)으로부터 도1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중간 전사 벨트(108)에 전사된 상이 2차 전사되기까지의 이동 거리(R1)가 짧아져 퍼스트 프린트 시간이 빨라진다.
또한, 2차 전사 롤러(110)의 전사재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정착 롤러(111a) 와 가압 롤러(111b)를 갖는 정착 장치가 종패스 구성으로 설치되어 있다.
노광 장치(113)는, 부여되는 화상 정보의 시계열 전기 디지털 화소 신호에 대응한 발광을 행하는 레이저 발광 수단, 폴리건 미러, 반사 미러 등으로 구성되고, 각 감광체 드럼(103)에 노광을 행함으로써 각 1차 대전기(104)에서 대전된 각 감광체 드럼(103)의 표면에 화상 정보에 따른 각 색의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각 감광체 드럼(103)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 수단(105)에 의해 토너 현상하여 가시상화하고, 이를 중간 전사 벨트(108)에 차례로 1차 전사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이 화상 형성과 동기하여 시트 카세트(114) 또는 수동 트레이(115)로부터 반송 롤러(116)에 의해 전사 매체인 전사재를 2차 전사부로 반송하고, 2차 전사 롤러(110)로의 바이어스 인가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08) 상의 토너상을 전사재로 2차 전사한다. 또한, 그 전사재를 정착 장치(111a, 111b)에 의해 가열 정착한 후, 배출 롤러(117)에 의해 장치 상면의 배출부(118)로 배출하는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의 현상 수단(105)으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와 분리된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가 보급되도록 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토너 카트리지의 배치}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와 토너 카트리지(100)의 배치 구성과 토너 순환을 도2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 사시 설명도이다. 또한, 도면 중 화살표 X-X1 방향이 장치의 전후 방향이고, 화살표 Y 방향이 장치의 높이 방향, 화살표 Z 방향이 장치의 좌우 방향이다. 또한, 도3은 화상 형성 장치를 장치 전방측으로부터 본(도2의 화살표 X1 방향) 배치 설명도이고, 도4는 화상 형성 장치를 상방으로부터 본(도3의 화살표 Y1 방향) 단면 설명도이다[(a)는 본체 구동 없음, (b)는 본체 구동 있음].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2)는 본체 프레임(112) 내에 지지되고,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의 현상 수단(105)으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100)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와는 분리되어 본체 프레임(112)의 외측에 설치된 토너 보급 반송 수단(125)의 장착부에 장착되어 있다.
즉,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와 토너 카트리지(100)는 감광체 드럼(103)의 회전 축선 방향에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고, 또한 토너 카트리지(100)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2)보다도 장치 본체의 상방에 장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부호 12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102)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구동 수단)이고, 본체 프레임(112)의 Z 방향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126)와 대향하는 측이며, 토너 보급 반송 수단(125)의 하방에 화상 형성시에 높은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고압 전원 장치(127)와, 프로세스 카트리지(102)로부터 배출된 폐토너를 집적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장치 본체 전방(X 방향)에 토너 회수 박스(128)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의 길이 방향 한 쪽측에 구동 장치(126)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드럼 기어 등을 설치하고, 다른 쪽측에 고압 전원 장치(127) 와 접속되는 현상 바이어스 입력, 대전 입력 등의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의 F1부에서 보급된 토너는 토너 보급 반송 수단(125)의 제1 반송 스크류(129)와, 제2 반송 스크류(130)를 경유하여 그 하방에 위치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2) 내에 G1부에서 정량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도4에 도시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2) 내의 제1 교반 스크류(132)와 제2 교반 스크류(133)로 교반 반송된 토너가 현상 스크류로 코트되어 감광체 드럼(103)으로 흡착된다.
1차 전사되지 않고 감광체 드럼(103)에 남은 전사 잔류 토너(이하「폐토너」라 함)는 드럼 클리너 장치(107)(도1 참조)에서 회수되고, 폐토너 반송 수단(134)으로 반송된 폐토너가 H1부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2)로부터 배출된다. 이 배출된 폐토너가 반송 스크류를 회전시켜 폐토너를 반송하는 토너 배출 반송 수단으로서의 폐토너 반송 장치(131)로 이송되고, 도3에 도시한 폐토너 회수 박스(128)로 이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3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폐토너 반송 장치(131)가 본체 프레임(112) 외부에 있는 구성이지만,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토너 반송 장치(131)가 본체 프레임(112) 내에 있는 구성이라도 토너 순환은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에 의해, 구동 장치(126)와 토너의 순환 경로를 본체 프레임(112)에 있어서 대향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토너 비산에 의한 구동 기어 등의 구동 전달 정밀도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프레임(112) 내의 기 기 내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냉각 팬(137)에 의한 에어의 흐름(J1)이 구동 장치(126)측으로부터 토너 순환 경로측으로 흐르도록 배치함으로써 토너 비산에 의한 구동 기어 등의 정밀도 열화 방지 효과를 한층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폐토너 반송 수단(134)(도4 참조)은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2)를 장치 전후 방향(도7의 화살표 X-X1 방향)에 걸치고, 또한 토너 카트리지(1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2)로부터 H1부에서 폐토너의 인도를 행하여, 폐토너 반송 장치(131) 내의 폐토너를 폐토너 회수 박스(128)에 수납하고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2)로의 현상 바이어스, 대전 전류 등의 고압 입력은 도3에 도시한 고압 전원(127)으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의 현상 바이어스 입력 접점(135), 대전 입력 접점(136)을 거쳐서 직접 입력함으로써 고압 전원으로부터의 케이블을 폐지하여, 비용 절감과 누설 대책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배치와 각 토너 카트리지의 용량}
다음에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의 배치와 각 토너 카트리지(100)의 용량에 대해,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7은 본체를 장치 횡방향(도5의 화살표 Z1 방향)으로부터 본 설명도이고, 도8은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를 상방으로부터(도7의 화살표 Y1 방향) 본 부분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2)를 장착하는 장착부가 장치 전후 방향(도7의 화살표 X-X1 방향)에 있어서, 본체 전방측( 화살표 X 방향)으로 감에 따라서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각각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의 높이가 차례로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치 후방측(화살표 X1 방향)으로부터 전방측(화살표 X 방향)을 향해 차례로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차례로 옐로우 화상 형성 스테이션, 마젠타 화상 형성 스테이션, 시안 화상 형성 스테이션, 블랙 화상 형성 스테이션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옐로우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는 옐로우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2Y)와 옐로우 토너를 수납한 옐로우 토너 카트리지(100Y)가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마젠타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는 마젠타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2M)와 마젠타 토너를 수납한 마젠타 토너 카트리지(100M)가 장착되어 있다. 시안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는 시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2C)와 시안 토너를 수납한 시안 토너 카트리지(100C)가 장착되어 있다. 블랙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는 블랙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2K)와 블랙 토너를 수납한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컬러 화상은 상기 4색의 토너 화상을 겹쳐 중간 전사 벨트(108)에 전사함으로써 화상 형성하지만, 흑백 화상은 상기 4색 중 블랙 토너만으로 화상을 형성하고, 다른 3색은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4색의 토너 중 블랙 토너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아진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블랙을 특정색, 블랙 이외의 다른 색인 옐로우, 마젠타, 시안을 비특정색으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특정색 화상 형성 스테이션은 블랙 화상 형성 스테이션이고, 비특정색 화상 형성 스테이션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화상 형성 스테이션이 된다. 또한, 특정색 토너 카트리지는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이고, 비특정색 토너 카트리지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이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2(102Y, 102M, 102C, 102K)]를 장착하면, 블랙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감광체 드럼(103K)이 옐로우, 마젠타, 시안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각 감광체 드럼(103Y, 103M, 103C)보다도 연직 하방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상면으로부터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2(102Y, 102M, 102C, 102K)]까지의 높이 방향 공간은 블랙 화상 형성 스테이션이 가장 크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의 연직 방향 길이(높이)를 다른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의 연직 방향 길이(높이)보다 길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비특정색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의 연직 방향 길이는 3개 모두 동일하게 설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4개의 토너 카트리지[100(100Y, 100M, 100C, 100K)]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전후 방향(화살표 X-X1 방향) 및 장치 좌우 방향(화살표 Z-Z1 방향)의 사이즈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도7의 ××× 사선의 카트리지)는 다른 3개의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에 비해 높이 방향 사이즈가 큰 만큼 토너 용량이 크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의 높이 방향 치수를 다른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보다 길게 해도,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102K)로의 토너 공급 위치를 낮게 할 수 있다. 즉,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로부터 대응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2K)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위치(토너 공급을 수납하는 수납구)(G1K)가 다른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로부터 대응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2)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위치(G1Y, G1M, G1C)보다도 연직 하방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의 용량을 크게 해도 토너 카트리지(100K) 내의 토너를 연직 하방에 위치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2K)로 낙하시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프린트 출력 빈도가 높은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의 용량을 다른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보다 크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 빈도를 적게 하는 동시에 토너 카트리지의 운전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의 용량을 다른 카트리지(100Y, 100M, 100C)보다 크게 해도, 장치에 장착한 4개의 토너 카트리지[100(100Y, 100M, 100C, 100K)]의 상단부는 대략 같아진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100)의 상면을 평탄하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4개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연직 방향 높이가 차례로 낮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맞추어 각각의 감광체 드럼[103(103Y, 103M, 103C, 103K)]과 접촉하는 중간 전사 벨트(108)의 드럼 대향 평면이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상기 경사각(θ) = 15°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을 비스듬히 배치함으로써, 상하에 배치되어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와 토너 카트리지(100)의 장착 영역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블랙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2K)의 상방 영역의 일부에 걸리도록 인접하는 시안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토너 카트리지(100C)가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시안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2C)의 상방 영역의 일부에 걸리도록 인접하는 마젠타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토너 카트리지(100M)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마젠타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2M)의 상방 영역의 일부에 걸리도록 인접하는 시안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토너 카트리지(100C)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옐로우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2Y)의 상방 영역의 일부에 걸리도록 마젠타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토너 카트리지(100M)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방 영역에 링크되도록 인접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토너 카트리지를 배치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의 전후 방향(도7의 화살표 X-X1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전사 벨트(108)의 드럼 대향면 평면의 경사각(θ)으로서는, 5°≤ θ ≤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θ ≤ 45°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각(θ)이 상기 범위보다도 작으면 전술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와 토너 카트리지(100)의 링크 영역이 작아져, 장치의 전후 방향 사이즈가 커져 버린다. 한편, 상기 경사각(θ)이 상기 범위보다도 크면 화상 형성 장치의 높이가 높아져 버리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색 토너 카트리지인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는 다른 비특정색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보다 용량이 크지만, 3개의 비특정색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의 형상은 용량을 포함하여 동일하게 구성하면 좋다. 동일하면, 비특정색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를 수지로 사출 성형하는 경우에 동일한 금형을 이용하여 대량 생산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3개의 비특정색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동일 형상은 아니며, 오장착 방지용부인 키이부(160)의 위치가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를 장착하는 장치 본체의 장착부에는 상기 키이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끼워 맞춤부(16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 맞춤부(161)와 상기 키이부(160)의 위치는 각각의 색에 따라서 달라, 각각의 토너 카트리지를 색이 다른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상기 오장착 방지용 키이부(160)는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에도 설치되어 있고, 이 키이부(160)의 위치도 다른 비특정색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의 키이부(160)의 위치와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든 토너 카트리지(100)가 오장착 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비특정색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장착 방지용 키이부(160)의 위치만 다르다. 그로 인해, 완전히 동일한 금형을 이용하여 수지 성형할 수는 없다. 그러나, 금형을 분할하여 상기 키이부(160)의 부분만 다르게 하면, 주가 되는 금형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비특정색 토너 카트리지의 형상은 완전히 동일하지 않아도, 대략 동일하면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비특정색 토너 카트리지의 각 색에 대응한 복수의 키이부를 갖는 토너 카트리지를 공통의 금형에 의해 성형하여, 그 후에 불필요한 키이부를 니퍼 등에 의해 절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오장착 방지용 키이부의 위치가 다른 토너 카트리지라도 동일한 금형으로 수지 성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비특정색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는 대략 동일 형상(키이부의 위치를 제외함)이다. 즉, 도2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특정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의 감광체 드럼(103)의 회전축 방향인 장치 본체의 좌우 방향(도2의 화살표 Z 방향)의 치수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는, 비특정색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뿐만 아니라 특정색 토너 카트리지인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도 상기 감광체 드럼(103)의 회전축 방향의 치수는 다른 토너 카트리지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든 토너 카트리지를 장치 본체에 장착하였을 때에, 감광체 드럼(103)의 회전축 방향인 장치 본체의 좌우 방향(도2의 화살표 Z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없어진다. 이로 인해, 각 토너 카트리지로의 구동 전달 설계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의 구동 입력}
계속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2)로의 구동 입력 방법을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9의 (a)는 본체 상방으로부터 본 단면 설명도, 도9의 (b)는 드럼 기어의 이동 구성 단면 설명도, 도9의 (c)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주위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9의 (a) 및 도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장치(126) 내의 감광체 드럼(103)에 구동 전달하는 드럼 기어(138)가 화살표 Z-Z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 교환시에는 화살표 Z1측으로 이동하고, 본체 동작시는 화살표 Z측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이동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카트리지 교환용 커버의 개폐에 연동하여 화살표 Z-Z1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구동 전달된 구동력은 제1 드럼 기어(139), 제2 드럼 기어(140), 제3 드럼 기어(141)로 차례로 전달되어, 폐토너 반송 수단(134)을 구동한다.
다음에 현상 구동 전달은, 구동 장치(126)의 현상 기어(142)로부터 제1 현상 기어(143), 제2 현상 기어(144)로 구동 전달하여 현상 슬리브(120)를 구동한다. 또한, 제1 현상 기어(143)로부터 교반 기어(145, 146)로 구동 전달하여, 제1 교반 스크류(132), 제2 교반 스크류(133)를 회전시킨다.
{카트리지의 교환}
다음에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02), 토너 카트리지(100)의 교환 방법을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에 대해 토너 카트리지(100)는 상하 방향(화살표 Y 방향)에 있어서 상방이고, 또한 좌우 방향(화살표 Z 방향)에 있어서는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화살표 Z 방향(감광체 드럼의 회전 축선 방향)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와 토너 카트리지(100)가 분리된 것으로, 도10의 (a) 및 도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2)를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카트리지 교환용 커버(121, 122)를 개방한 후, 토너 카트리지(100)를 떼어 내는 일 없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의 교환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종래예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교환시에 우선 토너 카트리지를 취출하고, 그 후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교환할 필요가 없어져 직접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교환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교환성이 매우 향상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100)의 교환시에는, 토너 카트리지(100)는 감광체 드럼의 회전 축선 방향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와 떨어져 있고(도3 및 도4 참조), 본체 프레임(112)의 외측(화살표 Z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토너 카트리지(100)를 떼어 내었다고 해도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떨어진 토너(123)(도3 참조)는, 본체 프레임(112) 내의 노광 장치(113)로 떨어지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100) 교환시의 기기 내로의 토너 비산 방지와 노광 장치(113)로의 토너 낙하에 의한 광로(124) 폐색을 방지할 수 있어 화상 보증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노광 장치(113)를 본체 프레임(112) 내의 하방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설계 자유도가 증가하게 된다.
{전장 기판의 배치}
다음에, 도11을 참조하여 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장 배치 구성을 설명한다. 도11의 (a)는 본체 단면 구성, 도11의 (b)는 본체 후방 사시도이다.
본체 프레임(112)에 있어서, 구동 장치(126)와 대향하는 측에 고압 전원 장치(127)를 배치함으로써 전술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2)로의 대전 바이어스나 현상 바이어스의 고압 입력을 직접 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압 전원 장치(127)의 본체 외측에 5 내지 24V의 메인 전원 장치(147)를 배치하고 있다[도11의 (b) 참조].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2)의 비스듬히 경사지고 빈 본체 프레임(112) 내의 공간에 구동 모터의 온(ON)/오프(OFF) 등을 컨트롤하는 DC 컨트롤 장치(148)를 배치하고 있다[도11의 (a) 참조].
또한, 마찬가지로 고압 전원 장치(127)의 본체 외측에 DC 컨트롤 장치(148)의 본체 후방측(도11의 X3측)에서, 또한 DC 컨트롤 장치(148)의 기판(149)에 수직이 되도록 본체 컨트롤러 장치(150)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본체 컨트롤러 장치(150), 메인 전원 장치(147), 고압 전원(127)으로부터 DC 컨트롤 장치(148)가 제1 케이블(15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DC 컨트롤 장치(148)로부터 구동 장치(126) 내의 모터, 클러치, 센서 등이 제2 케이블(15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제1 케이블(151), 제2 케이블(152)도 본체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전원 배치 구성으로 함으로써, 구동 장치(126)와 메인 전원 장치(147), 고압 전원(127)으로의 제어를 행하는 DC 컨트롤러 장치(148)와 본체 컨트롤 러 장치(150)를, 본체 프레임(112)의 양측면의 부하에 균등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본체 프레임(112)의 공간을 이용하여 배치함으로써 본체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체 컨트롤러 장치(150)를 본체 후방측면(도11의 X3 측면)에 배치함으로써, 컨트롤러 장치(150) 내에 옵션을 접속하여 데이터를 축적 용량 상승과 프린트 신호 등의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는 하드디스크 장치(153)의 옵션 접속성이 매우 용이해진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여기서는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이 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전술한 제1 실시 형태는 감광체 드럼(103)에 형성한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108)에 1차 전사하고, 그 토너상을 전사재로 2차 전사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감광체 드럼(103)의 토너상을 전사재로 직접 전사하는 이른바 직접 전사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라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2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체 드럼(103)과 대향하여 회전하는 벨트 부재인 반송 벨트(200)의 드럼 대향면이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경사져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송 벨트(200)의 경사를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102Y, 102M, 102C, 102K)와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 가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스테이션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반송 벨트(200)에 전사재를 정전 흡착시켜, 각 감광체 드럼(103)에 형성한 각 색의 토너상을 차례로 전사재에 중첩 전사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도 가장 연직 하방에 블랙 프로세스 카트리지(102K)를 배치한다. 또한,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로부터 대응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수단으로의 토너 공급 위치(G1K)를 가장 연직 하방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의 연직 방향의 치수를 다른 색의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의 장치 전후 방향(도12의 화살표 X-X1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감광체 드럼의 회전축 방향인 장치 좌우 방향의 치수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수평면에 투영한 각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의 윤곽은 모두 동일하다. 이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의 인접 간격을 각 토너 공급 위치(G1Y, G1M, G1C, G1K)에 있는 토너 공급구의 인접 간격에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토너 공급 기구 중 일부는 공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 이외의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는 동일 용량, 동일 형상, 동일 부품이다. 이와 같이, 3색으로 공통화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 자체나 토너 충전 공정에서의 비용 절감을 도모하고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장치의 기본 구성도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여기서는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이 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1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 설명도이고, 도14는 그 전방 사시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본체 상부에 원고 판독 장치(300)를 구비한, 이른바 복사기의 형태를 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도13의 전사재가 장치 본체 전방에 있어서 장치 하부로부터 연직 상방을 향해 반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2Y, 102M, 102C, 102K) 및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는 본체 프레임[112(112a, 112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4개의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는 제1 실시 형태가 본체 프레임(11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던 데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 본체 프레임(112a, 112b)의 내측의 거의 전역에 걸쳐 화살표 A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거의 동일하며, 원통 형상의 용기가 배치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102Y, 102M, 102C, 102K)를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하는 경우에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의 본체 프레임(112a)의 개구부(301, 302)를 통해 각각 독립하여 화살표 A 방향으 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2Y, 102M, 102C, 102K)를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할 때에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108)를 파선의 위치까지 퇴피시킨 후에 인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가장 연직 하방에 블랙 화상 형성을 행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2K)를 배치하고, 그 토너 카트리지(100K)로부터 현상 장치로의 토너 공급 위치를 가장 연직 하방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의 연직 방향(Y 방향) 치수를 다른 색의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의 X 방향의 치수도 다른 색의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블랙 토너 카트리지(100K)의 토너 용량을 다른 색의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의 토너 용량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특정색을 블랙으로 하고, 그 이외의 옐로우, 마젠타, 시안을 비특정색으로 하였지만 특정색을 블랙 이외의 색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 빈도가 높은 특정한 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배치를 다른 색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보다도 연직 하방에 배치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한 특정색의 토너 카트리지의 용량을 크게 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 교환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비특정색 화상 형성 스테이션으로서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 토너상을 형성하는 3개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을 배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6색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비특정색 화상 형성 스테이션은 5개가 된다. 따라서, 비특정색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개수는 1개 이상이면 되며,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3개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감광체 드럼(103)과, 1차 대전기(104)와, 현상 수단(105)과, 감광체 드럼에 잔류한 토너를 제거하는 드럼 클리너 장치(107)와, 드럼 클리너 장치(107)에서 제거한 폐토너를 반송하는 폐토너 반송 수단(134)을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적어도 감광체 드럼(103)과 현상 수단(105)을 갖는 것이면 좋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다른 형태로서 감광체 드럼과 현상 수단과 드럼 클리너 장치를 일체화한 것, 감광체 드럼과 현상 수단과 1차 대전 수단을 일체화한 것, 감광체 드럼과 현상 수단을 일체화한 것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 본체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 특정색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 빈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 정전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 상의 정전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해 현상된 현상제상을 전사부에 있어서 전사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적어도 갖고, 상기 전사부의 수평 방향의 위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과,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대응한 보급용 현상제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현상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전사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전사부에 대해 연직 방향에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전사부가 연직 방향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용량은, 전사부가 상기 최하방의 전사부보다도 연직 방향 상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용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상 담지체와 상기 현상 수단은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구성되고,상기 복수의 현상제 수용 용기는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 담지체와 대향하여 회전 가능한 벨트 부재를 갖고,상기 벨트 부재의 상기 복수의 상 담지체와의 대향 평면이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현상제 수용 용기는 상기 각 현상제 수용 용기로부터 토너가 보급되는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보다도 연직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가 연직 방향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있어서의 보급용 현상제의 수납구의 위치가, 상기 전사부가 상기 최하방의 전사부보다도 연직 방향 상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있어서의 보급용 현상제의 수납구의 위치보다도 연직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가 연직 방향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상단부와, 상기 전사부가 최하방의 전사부보다도 연직 방향 상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상단부의 높이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가 연직 방향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연직 방향 길이가, 상기 전사부가 최하방의 전사부보다도 연직 방향 상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연직 방향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 수용 용기 중 상기 전사부가 연직 방향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 이외의 현상제 수용 용기의 형상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 수용 용기 중 상기 전사부가 연직 방향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 이외의 현상제 수용 용기는, 오장착 방지부의 형상만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 수용 용기는 상기 상 담지체의 회전축 방향의 치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가 연직 방향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은 블랙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전사부가 연직 방향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는 블랙 토너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가 연직 방향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상 담지체의 회전 중심은 전사부가 상기 최하방의 전사부보다도 연직 방향 상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상 담지체의 회전 중심보다도 연직 하방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178621 | 2004-06-16 | ||
JPJP-P-2004-00178621 | 2004-06-16 | ||
JPJP-P-2005-00114238 | 2005-04-12 | ||
JP2005114238A JP2006030957A (ja) | 2004-06-16 | 2005-04-12 | 画像形成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9595A true KR20060049595A (ko) | 2006-05-19 |
KR100651109B1 KR100651109B1 (ko) | 2006-12-01 |
Family
ID=3506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1182A KR100651109B1 (ko) | 2004-06-16 | 2005-06-15 |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502577B2 (ko) |
EP (1) | EP1607802B1 (ko) |
JP (1) | JP2006030957A (ko) |
KR (1) | KR100651109B1 (ko) |
CN (1) | CN1713083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89327B2 (ja) * | 2004-06-16 | 2011-05-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2006098508A (ja) * | 2004-09-28 | 2006-04-13 | Brother Ind Ltd | 画像形成装置 |
JP4844221B2 (ja) * | 2006-04-28 | 2011-12-28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トナーカートリッジ |
KR20080070384A (ko) * | 2007-01-26 | 2008-07-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컬러 인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JP4962092B2 (ja) | 2007-03-30 | 2012-06-27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4962094B2 (ja) * | 2007-03-30 | 2012-06-27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2009036820A (ja) * | 2007-07-31 | 2009-02-19 | Kyocera Mita Corp | 画像形成装置 |
JP2009036920A (ja) * | 2007-07-31 | 2009-02-19 | Brother Ind Ltd | 画像形成装置 |
JP4948489B2 (ja) | 2007-08-10 | 2012-06-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4525714B2 (ja) | 2007-08-10 | 2010-08-18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5067113B2 (ja) * | 2007-10-24 | 2012-11-07 |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2009122324A (ja) * | 2007-11-14 | 2009-06-04 | Fuji Xerox Co Ltd | 画像形成装置 |
JP4973464B2 (ja) * | 2007-11-19 | 2012-07-11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KR101099499B1 (ko) * | 2008-02-21 | 2011-1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 |
JP4780627B2 (ja) * | 2008-06-27 | 2011-09-28 | 株式会社沖データ |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US8170428B2 (en) * | 2008-12-09 | 2012-05-01 | Eastman Kodak Company | Method for interchanging components in a printing apparatus |
US20100232853A1 (en) * | 2009-03-10 | 2010-09-16 | Keiji Sasaki | Image forming apparatus |
JP4685179B2 (ja) * | 2009-06-23 | 2011-05-18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5413722B2 (ja) * | 2009-08-31 | 2014-02-12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 |
JP5691196B2 (ja) * | 2010-03-03 | 2015-04-01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5195803B2 (ja) | 2010-03-29 | 2013-05-1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KR101670915B1 (ko) | 2010-04-15 | 2016-11-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및 이의 소모품 장착구조 |
JP5441835B2 (ja) * | 2010-06-29 | 2014-03-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5768567B2 (ja) * | 2011-07-29 | 2015-08-26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KR101580841B1 (ko) * | 2011-11-17 | 2015-12-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JP6260129B2 (ja) | 2012-10-31 | 2018-01-17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064681B2 (ja) * | 2013-03-01 | 2017-01-25 | 株式会社リコー | 収納容器から現像剤を補給する現像剤補給装置、それが搭載される画像形成装置、および収納容器から粉体もしくは流体を搬送する搬送装置 |
JP6500456B2 (ja) * | 2015-01-28 | 2019-04-17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583149B2 (ja) * | 2016-06-08 | 2019-10-02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43233B1 (ko) * | 1997-07-31 | 2000-02-01 | 윤종용 | 화상형성장치용토너카트리지 |
US6198890B1 (en) * | 1999-10-06 | 2001-03-06 | Aetas Technology Corporation | Electrophotographic color printing arrangement with inclined photoreceptor path |
JP2001265088A (ja) | 2000-03-15 | 2001-09-28 | Fuji Xerox Co Ltd | トナー補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JP4351814B2 (ja) * | 2000-07-21 | 2009-10-28 | 株式会社リコー | カラー画像形成装置 |
JP4375699B2 (ja) * | 2000-09-14 | 2009-12-02 | 株式会社リコー | タンデム作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作像手段の配置方法 |
JP2002148897A (ja) | 2000-11-13 | 2002-05-22 | Fuji Xerox Co Ltd | 画像形成装置 |
DE60238808D1 (de) * | 2001-04-27 | 2011-02-17 | Ricoh Co Ltd | Bilderzeugungsvorrichtung mit verbesserter Tonerzufuhr |
US6487376B1 (en) * | 2001-07-10 | 2002-11-26 | Aetas Technology, Incorporated | Upgradeable imaging systems with configurable printing routines |
JP4190237B2 (ja) * | 2001-10-22 | 2008-12-03 | 株式会社リコー | カラー画像形成装置 |
US7079790B2 (en) * | 2001-10-26 | 2006-07-18 | Kyocera Corporation | Image forming apparatus |
US6799011B2 (en) * | 2001-11-05 | 2004-09-28 | Seiko Epson Corporation | Tandem-type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
JP3975109B2 (ja) * | 2002-04-11 | 2007-09-12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 |
JP2003302823A (ja) * | 2002-04-12 | 2003-10-24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 |
JP3741691B2 (ja) * | 2002-04-12 | 2006-02-01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 |
JP2004029057A (ja) * | 2002-06-21 | 2004-01-29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2004029211A (ja) * | 2002-06-24 | 2004-01-29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US6975830B2 (en) * | 2002-09-12 | 2005-12-13 | Ricoh Company, Limited |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waste toner recovery device |
JP4259074B2 (ja) * | 2002-09-17 | 2009-04-30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4422956B2 (ja) * | 2002-10-16 | 2010-03-03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機構 |
JP4205531B2 (ja) * | 2003-08-25 | 2009-01-07 | 株式会社リコー |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4689327B2 (ja) | 2004-06-16 | 2011-05-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
2005
- 2005-04-12 JP JP2005114238A patent/JP2006030957A/ja active Pending
- 2005-06-14 EP EP05012764.6A patent/EP1607802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5-06-14 US US11/151,307 patent/US750257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6-15 KR KR1020050051182A patent/KR10065110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6-16 CN CNA2005100789085A patent/CN1713083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50281591A1 (en) | 2005-12-22 |
KR100651109B1 (ko) | 2006-12-01 |
EP1607802A3 (en) | 2013-05-01 |
CN1713083A (zh) | 2005-12-28 |
JP2006030957A (ja) | 2006-02-02 |
EP1607802A2 (en) | 2005-12-21 |
US7502577B2 (en) | 2009-03-10 |
EP1607802B1 (en) | 2015-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51109B1 (ko) | 화상 형성 장치 | |
JP4689327B2 (ja) | 画像形成装置 | |
US7835672B2 (en) | Developing device, image carri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0990568B1 (ko) | 화상 형성 장치 | |
US7437105B2 (en) |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374939B2 (ja) |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KR101099499B1 (ko) |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장치 및 현상기 | |
US831146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476695B2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US7409174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featuring a toner supply opening positioned to avoid contamination of an exposure slit | |
US6996359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20090245878A1 (en) | Development cartridge, development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1085492B1 (ko) |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 |
JP7370856B2 (ja) | トナー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US8050575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hotosensitive cartridge | |
JP5533580B2 (ja) | 画像形成装置 | |
US7881641B2 (en) | Developing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4271864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1042624A (ja) |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22141548A (ja) | 画像形成装置 | |
JPH08190243A (ja) | 現像装置 | |
US20060198658A1 (en) | Method of refilling developer cartridge, develop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1100540A (ja) | 画像形成装置 | |
JPH04367870A (ja) | 画像形成装置 | |
JPH08339111A (ja) | カラー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