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268A - 신호 송신 회로 - Google Patents

신호 송신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268A
KR20060048268A KR1020050048892A KR20050048892A KR20060048268A KR 20060048268 A KR20060048268 A KR 20060048268A KR 1020050048892 A KR1020050048892 A KR 1020050048892A KR 20050048892 A KR20050048892 A KR 20050048892A KR 20060048268 A KR20060048268 A KR 20060048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ength
signal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640B1 (ko
Inventor
도시오 도모나리
도시히로 구로시마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8Arrangements for 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6Arrangements for providing Galvanic isolation, e.g. by means of magnetic or capaci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2Arrangements for coupling to multiple lines, e.g. for differenti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8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특성 임피던스를 갖는 신호 송신 회로는 공통 모드 필터, 제1 용량성 소자, 제1 접속 라인, 제2 접속 라인 및 제2 접속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용량성 소자는 제1 단말을 갖는다. 상기 제1 접속 라인은 상기 공통 모드 필터의 한 출력을 상기 제1 용량성 소자에 접속한다. 상기 제2 접속 라인은 상기 공통 모드 필터의 다른 출력을 제2 용량성 소자에 접속한다. 상기 제1 접속 라인은 제1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2 접속 라인은 제2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1 길이 및 상기 제2 길이 각각은 상기 특성 임피던스를 변화시킬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있다.
특성 임피던스, 접속 라인, 용량성 소자, 신호 송신 회로, 케이블

Description

신호 송신 회로{SIGNAL TRANSMISSION CIRCUIT}
도 1은 송신 회로의 여러 부분의 특성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신 회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a)는 차동 모드에서 공통 모드 필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b)는 공통 모드에서 공통 모드 필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TDR 방법으로 특성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예시적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a)는 송신 경로에 불연속 점이 없는 경우 오실로스코프 상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b)는 송신 경로에 불연속 점이 있는 경우 오실로스코프 상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a)는 신호 송신 회로가 공통 모드 필터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의 특성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b)는 신호 송신 회로가 공통 모드 필터를 구비하는 경우의 특성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송신 경로 상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a)는 인쇄 회로 기판상에 장착된 칩 타입 공통 모드 필터 및 배리스터 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b)는 인쇄 회로 기판상에 장착된 칩 타입 공통 모드 필터 및 배리스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a)는 인쇄 회로 기판상에 장착된 리드 타입 공통 모드 필터 및 배리스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b)는 인쇄 회로 기판상에 장착된 리드 타입 공통 모드 필터 및 배리스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길이 d와 최소 특성 임피던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은 HDMI 케이블에 제공된 신호 송신 회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2는 DVD 플레이어에 제공된 신호 송신 회로를 나타내는 예시도.
본 발명은 신호 송신 회로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공통 모드 필터와 용량성 소자를 구비하는 신호 송신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기기들간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는 차동 송신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차동 송신은 디지털 신호를 한 쌍의 신호 라인 경로에 역위상으로 입력하여 신호 라인으로부터 생기는 방사 소음과 외부 소음을 없앨 수 있는 방법이다. 외부 소음이 없어지므로 전체 소음도 줄어든다. 신호가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신호를 더 작은 진폭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신호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이 짧아 져 신호를 고속으로 송신할 수 있다.
차동 송신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케이블 형태로는 USB, DVI, 및 더욱 많은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최신의 HDMI형을 들 수 있다. HDMI 케이블은 DVD 플레이어나 셋 톱 박스와 같은 디지털 송신기를 디지털 텔레비전 등에 접속하여 압축되지 않은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는 고속의 직렬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하나의 HDMI 케이블로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 모두를 고속으로 송신할 수 있다.
신호의 송신 속도가 증가하면, 신호 라인간의 차동 신호의 경미한 오프셋에 의해서도 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일본 특개 2001-85118호에는 케이블이나 다른 인터페이스에 공통 모드 초크 코일(common mode choke coil)을 설치하여 잡음을 줄이는 송신 회로가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고주파나 고속 펄스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송신 경로 상의 임피던스를 일치시켜야만 한다. 이 임피던스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임피던스의 불일치 부분에 영향을 받아 복귀 손상이 크게 발생하여 신호가 크게 감쇄된다. 더욱이 상기 영향에 의해 불필요한 방사 잡음도 발생한다.
배리스터, 캐패시터 또는 제너 다이오드 등의 용량성 소자는 통상적으로 인터페이스와 함께 디지털 텔레비전의 접속부에 정전기 방지 성분으로서 삽입된다. 도 1의 그래프는 송신 경로 상에 용량성 소자(1.1 pF)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송신 경로 상의 위치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를 도시한다. 통상적으로 캐패시턴스 성분이 증가하면 임피던스는 감소한다. 도 1에서는 캐패시턴스 성분이 정전기 방지 성분의 위치에서 상기 특성 임피던스가 감 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정전기 방지 성분의 위치에서 영향을 받아 잡음이 발생된다.
이러한 단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기 방지 용량성 소자에 의해 생기는 특성 임피던스의 강하를 완화시킬 수 있는 신호 송신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이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특성 임피던스를 가지며 공통 모드 필터, 제1 용량성 소자, 제1 접속 라인, 제2 접속 라인 및 제2 접속 라인을 포함하는 신호 송신 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공통 모드 필터는 코어, 상기 코어의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제1 및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제1 입력 및 제1 출력을 갖는다.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제2 입력 및 제2 출력을 갖는다.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에는 역위상의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제1 용량성 소자는 제1 단말을 갖는다. 상기 제1 접속 라인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다. 상기 제1 접속 라인은 제1 단부에만 상기 제1 출력이 접속된다. 상기 제1 접속 라인은 제2 단부에만 상기 제2 출력이 접속된다. 상기 제1 접속 라인은 제1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2 용량성 소자는 제2 단말을 갖는다. 상기 제2 접속 라인은 1차 단말 및 2차 단말을 갖는다. 상기 제2 접속 라인은 상기 1차 단부에만 상기 제2 출력이 접속된다. 상기 제2 접속 라인은 상기 2차 단부에만 상기 제2 단말이 접속된다. 상기 제2 접속 라인은 제2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1 길이 및 상기 제2 길이 각각은 상기 특성 임피던스를 변화시킬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 에 있다.
상기 제1 길이 및 상기 제2 길이 각각은 3mm 이내인 것이 양호하다.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 각각은 인쇄 회로 기판상에 형성된 패턴인 것이 양호하다.
상기 제1 용량성 소자 및 상기 제2 용량성 소자 각각은 배리스터인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신호 송신 회로를 갖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송신 회로는 특성 임피던스를 가지며 공통 모드 필터, 제1 용량성 소자, 제1 접속 라인, 제2 접속 라인 및 제2 접속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공통 모드 필터는 코어, 상기 코어의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제1 및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제1 입력 및 제1 출력을 갖는다.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제2 입력 및 제2 출력을 갖는다.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에는 역위상의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제1 용량성 소자는 제1 단말을 갖는다. 상기 제1 접속 라인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다. 상기 제1 접속 라인은 제1 단부에만 상기 제1 출력이 접속된다. 상기 제1 접속 라인은 제2 단부에만 상기 제2 출력이 접속된다. 상기 제1 접속 라인은 제1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2 용량성 소자는 제2 단말을 갖는다. 상기 제2 접속 라인은 1차 단말 및 2차 단말을 갖는다. 상기 제2 접속 라인은 상기 1차 단부에만 상기 제2 출력이 접속된다. 상기 제2 접속 라인은 상기 2차 단부에만 상기 제2 단말이 접속된다. 상기 제2 접속 라인은 제2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1 길이 및 상기 제2 길이 각각은 상기 특성 임피던스를 변화시킬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 에 있다.
상기 제1 길이 및 상기 제2 길이 각각은 3mm 이내인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신호 송신 회로를 갖는 케이블을 제공한다. 상기 송신 회로는 특성 임피던스를 가지며 공통 모드 필터, 제1 용량성 소자, 제1 접속 라인, 제2 접속 라인 및 제2 접속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공통 모드 필터는 코어, 상기 코어의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제1 및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제1 입력 및 제1 출력을 갖는다.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제2 입력 및 제2 출력을 갖는다.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에는 역위상의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제1 용량성 소자는 제1 단말을 갖는다. 상기 제1 접속 라인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다. 상기 제1 접속 라인은 제1 단부에만 상기 제1 출력이 접속된다. 상기 제1 접속 라인은 제2 단부에만 상기 제2 출력이 접속된다. 상기 제1 접속 라인은 제1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2 용량성 소자는 제2 단말을 갖는다. 상기 제2 접속 라인은 1차 단말 및 2차 단말을 갖는다. 상기 제2 접속 라인은 상기 1차 단부에만 상기 제2 출력이 접속된다. 상기 제2 접속 라인은 상기 2차 단부에만 상기 제2 단말이 접속된다. 상기 제2 접속 라인은 제2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1 길이 및 상기 제2 길이 각각은 상기 특성 임피던스를 변화시킬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제1 길이 및 상기 제2 길이 각각은 3mm 이내인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동일한 부분이나 성분들에 대해서는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지정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신 회로를 서술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신 회로를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HDMI 케이블(3)을 통해 DVD 플레이어(2)에 접속된 디지털 텔레비전(4)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신 회로(1)는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4)의 입력부에 제공된다. HDMI 케이블(3)은 커넥터(31 및 32)를 포함하는 차동 송신 형태의 케이블이다. 커넥터(32)는 신호 송신 회로(1)에 접속되고 커넥터(31)는 DVD 플레이어(2)에 접속된다. 디지털 신호는 HDMI(3) 및 신호 송신 회로(1)를 통해 DVD 플레이어(2)로부터 디지털 텔레비전(4)으로 고속으로 송신된다.
신호 송신 회로(1)는 인쇄 회로 기판상에 장착된 차동 송신 회로이며 신호 라인 D+ 및 D-, 공통 모드 필터(12), 배리스터(13 및 14), 커넥터(15)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라인 D+의 한 단부 및 상기 신호 라인 D-의 한 단부 각각은 HDMI 케이블(3)의 커넥터(32)에 접속되며, 다른 단부들 각각은 공통 모드 필터(12)의 입력에 접속된다. 공통 모드 필터의 출력(12)은 전도성 커넥터(15)를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4)에 접속된다.
또한, 정전기 방지 수단으로서 제공된 배리스터(13)의 한 단부 및 배리스터(14)의 한 단부 각각은 공통 모드 필터(12)의 출력에 접속된다. 배리스터(13)의 다른 단부 및 배리스터(14)의 다른 단부 각각은 접지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공통 모드 필터(12)로서 사용되는 필터는 TDK 사(社)에서 제조한 ACM 시리즈 필터로서 고주파 성분에서 낮은 부식성을 보인다. TDK 사에서 제조한 AVR 시리즈 배리스터 역시 배리스터(13 및 14)로서 사용된다.
다음, 공통 모드 필터(12)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공통 모드 필터(12)는 환형의 페라이트 코어(21) 및 2개의 신호 라인(22 및 23)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라인들은 함께 빽빽하게 묶여 있지만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상기 페라이트 코어(21) 주위에 다수 회 감겨 있다. 상기 신호 라인들(22 및 23)의 입력 단부들은 HDMI 케이블(3)의 커넥터(32)에 접속되어 있는 반면 출력 단부들은 디지털 텔레비전(4)에 접속되어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공통 모드 필터(12)를 신호용 차동 모드에서 사용한다. 도 3(a)는 차동 모드에서 공통 모드 필터(12)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모드에서는 상기 신호 라인(22 및 23)으로 신호(24)가 역위상으로 입력된다. 그러므로 상기 페라이트 코어(21) 내의 신호 라인(22 및 23)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25 및 26)은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여 서로 상쇄된다. 그 결과, 신호 라인(22 및 23)에 의해 발생된 자계(27)는 임피던스(인덕턴스)를 거의 발생하지 않아 신호가 쇠퇴함이 없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공통 모드 필터(12)를 공통 모드 잡음(28)용 공통 모드에서 사용한다. 도 3(b)는 공통 모드에서 공통 모드 필터(12)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모드에서는 신호 라인(22 및 23)의 동일 방향으로 공통 모드 잡음(28)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페라이트 코어(21) 내의 신호 라인(22 및 23)에 의해 발생된 자속(25 및 26)은 동 일 방향으로 진행하여 세기가 커진다. 그 결과, 신호 라인(22 및 23)에 의해 발생된 자계(27)는 고 임피던스를 발생하여 공통 모드 잡음(28)의 대부분이 출력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에서, 공통 모드 필터(12)는 신호를 쇠퇴시키지 않으면서 잡음만을 감쇄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DVD 플레이어(2)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어떠한 변화없이 디지털 텔레비전(4)으로 송신된다.
공통 모드 필터(12)에 의해 외부 잡음이 감소될 수는 있지만 신호 경로 상의 특성 임피던스의 불연속 점에서 반사된 신호들에 의해 생성되는 잡음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신호 경로 상의 특성 임피던스의 불연속 점에서 반사된 펄스를 측정하여 상기 신호 경로의 각각의 점에서 특성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TDR 방법을 사용한다.
도 4는 TDR 방법을 사용하여 송신 경로(10)의 특성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송신 경로(10)를 통해 수신기 IC(6)에 고속의 오실로스코프(5)가 접속된다. 송신 경로(10)에는 동축 케이블(7)과 신호 송신 회로(1)가 있다. 오실로스코프(5)는 TDR 모듈(51)에 의해 동축 케이블(7)의 한 단부에 접속된다. 동축 케이블(7)의 반대측 단부는 수신기 IC(6)에 접속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오실로스코프(5)로서 에이질렌트 86100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고 TDR 모듈(51)로서 TDR 모듈 54754를 사용한다. 수신기 IC(6)는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무제한의 입력 임피던스를 가져, 오실로스코프(5)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100% 반사한다. 동축 케이블(7)은 2개의 차동 신호 라인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차동 신호 라인은 50Ω의 특성 임피던스를 갖는다. 그러므로 동축 케이블(7)의 전체 특성 임피던스는 100Ω이다.
다음, 본 실시예에 따른 TDR 방법으로 특성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방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고속의 오실로스코프(5)가 스텝 전압 Ei를 발생하고 이 스텝 전압 Ei를 송신 경로(10)에 출력한다. 송신 경로(10) 상에는 특성 임피던스의 불연속적 점이 없기 때문에 수신기 IC(6)는 어떠한 변화없이 상기 스텝 전압 Ei를 반사한다. 그러므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의 오실로스코프(5) 상에는 스텝 전압 Ei만이 표시된다.
그렇지만, 송신 경로(10) 상에 상기 특성 임피던스의 불연속 점이 존재할 때는 이러한 불연속 점에서 상기 스텝 전압 Ei의 일부가 반사된다. 이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의 오실로스코프(5)에는 상기 스텝 전압 Ei에 반사 Er을 대수적으로 부가한 파가 표시된다. 상기 반사파 Er은 도 5(b)에서는 감해진다는 것에 유념하라. 상기 표시로부터, 상기 특성 임피던스의 불연속 점의 위치와 값을 알아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성 임피던스의 불연속 점의 위치는 상기 반사파 Er이 부가되기 전에 알 수 있고 상기 위치에서의 상기 특성 임피던스의 값은 상기 반사파 Er의 값에 따라 알 수 있다.
도 6(a)는 공통 모드 필터(12)를 구비하지 않는 송신 경로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에 따라 측정된 특성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b)는 공통 모드 필터(12)를 구비하는 송신 경로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에 따라 측정된 특성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예에서는 공통 모드 필터(12)로서 TDK 사에 제조한 ACM 2012D-900 필터를 사용하고 배리스터(13 및 14)로서 5가지의 상이한 캐패시턴스를 갖는 배리스터를 사용한다. 도 6(a)의 결과와 도 6(b)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임의 캐패시턴스의 배리스터(12 및 14)를 사용할 때는 공통 모드 필터(12)의 사용으로 특성 임피던스의 강하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의 그래프는 공통 모드 필터(12)를 구비하는 경우와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배리스터(13 및 14)에서 특성 임피던스의 최소값의 변화를 도시한다. 상기 최소값 특성 임피던스는 공통 모드 필터(12)를 사용할 때 배리스터(13 및 14)의 캐패시턴스에 관계없이 약 20Ω 정도 증가한다.
신호 송신 회로(1)에 전술한 공통 모드 필터(12)를 제공함으로써 특성 임피던스를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더욱 고화질의 영상 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송신 경로 상의 어떠한 점에서도 가능한 한 특성 임피던스가 일정한 것이 양호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공통 모드 필터(12)와 배리스터(13 및 14) 사이의 거리, 즉 커넥터(15)의 길이가 3mm 보다 길지 않게 설정된다. 여기서 길이 d는 공통 모드 필터(12)의 출력(123)과 배리스터(13)의 입력 단말(131) 간의 길이이며 그리고 공통 모드 필터(12)의 출력(124)과 배리스터(14)의 입력 단말(141) 간의 길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칩 타입의 공통 모드 필터(12)와 배리스터(13)가 인쇄 회로 기판상에 설치되었을 때의 길이 d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리드 타입의 공통 모드 필터(12)와 배리스터(13)가 인쇄 회로 기판상에 설치되었을 때의 길이 d를 도시한다. 도 8(a), 도 8(b), 도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모드 필터(12)의 출력(123)과 배리스터(13)의 입력 단말(131) 사이의 전기적 거리는 공통 모드 필터(12), 배리스터(13 및 14)가 인쇄 회로 기판상에 설치된 경우에 출력(123)의 엣지 A와 입력 단말(131)의 엣지 B를 접속하는 패턴에서의 길이 d를 나타낸다.
길이 d는 공통 모드 필터(12)의 출력(124)과 배리스터(14)의 입력 단말(141) 사이의 전기적 거리에 의해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표시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출력(123)과 입력 단말(131)이 사용된다는 것에 유념하라. 또한, 길이 d는 도 8(a), 도 8(b), 도 9(a) 및 9(b)에 직선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곡선의 길이를 포함한다. 이 경우, 길이 d는 곡선의 총 길이를 의미한다.
도 10은 TDR 방법을 사용하는 실험에서 측정된 최소 특성 임피던스와 상기 길이 d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상기 최소 특성 임피던스는 배리스터(13 및 14)의 캐패시턴스에 관계없이 상기 길이 d가 짧아질수록 높아진다. 특히, 상기 길이 d가 3mm를 초과할 때 상기 최소 특성 임피던스가 많이 감소한다. 환언하면, 최소 특성 임피던스의 큰 강하는 길이 d를 3mm 이내로 유지하는 경우에 억압될 수 있다.
그러므로 길이 d를 3mm 이내로 설정함으로써 최소 특성 임피던스의 큰 강하를 회피할 수 있으며 불일치된 특성 임피던스에 의해 야기되는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신호 라인(22 및 23)에 대한 길이 d가 동일하지 않아도 각각이 3mm 이내로 제공되면 달성될 수 있다. 동시에, 공통 모드 잡음의 억압 시에 공통 모드 필터의 고유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고속의 차동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때의 잡음의 표준은 특성 표준이 100±15Ω이 되어야 한다. 일부의 경우, 특성 임피던스는 표준 등급에 일치하여 유지될 수 없는데 왜냐하면 공통 모드 필터 및 배리스터가 장치가 효과적으로 동작하는 값으로 정상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특성 임피던스는 길이 d를 3mm 이내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표준 등급 내에 유지할 수 있다.
길이 d를 가능한 짧게 설정하면 특성 임피던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인쇄 회로 기판의 제약으로 인해 공통 모드 필터(12)가 배리스터(13 및 14)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길이 d를 적어도 3mm 이내로 설정함으로써 특성 임피던스의 불일치를 감소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신 회로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신호 송신 회로(1)가 HDMI 케이블(3)에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신호 송신 회로(1)는 케이블 자체에 또는 커넥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신호 송신 회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신호 송신 회로에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신 회로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신호 송신 회로(1)가 DVD 플레이어(2)에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신호 송신 회로(1)는 DVD 플레이어(2)의 출력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신호 송신 회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신호 송신 회로에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청구범 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주 및 정신을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예를 들어, 신호 송신 회로(1)의 위치는 전술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호 송신 회로(1)는 DVD 플레이어(2)의 출력 뒤나 디지털 텔레비전(4)의 제1 회로의 앞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 셋 톱 박스, 또는 그 밖의 디지털 송신 장치를 DVD 플레이어(2) 대신에 사용하여도 된다. DVI, USB, 또는 IEEE 등의 서로 다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케이블을 HDMI 케이블(3) 대신에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캐패시터, 튜너 다이오드 또는 그 밖의 용량성 소자를 배리스터(13) 대신에 사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송신 회로에 의하면 정전기 방지 용량성 소자에 의해 생기는 특성 임피던스의 강하를 완화시킬 수 있다.

Claims (8)

  1. 특성 임피던스를 갖는 신호 송신 회로에 있어서,
    코어, 상기 코어에 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제1 및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제1 입력 및 제1 출력을 가지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제2 입력 및 제2 출력을 가지며 상기 제1 입력 및 제2 입력에는 역위상의 신호가 입력되는 공통 모드 필터;
    제1 단자를 갖는 제1 용량성 소자;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말에만 상기 제1 출력이 접속되고 상기 제2 단말에만 상기 제1 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제1 접속 라인이 제1 길이를 갖는 제1 접속 라인;
    제2 단자를 갖는 제2 용량성 소자; 및
    1차 단말 및 2차 단말을 가지며, 상기 1차 단말에만 상기 제2 출력이 접속되고 상기 2차 단말에만 상기 제2 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제2 접속 라인이 제2 길이를 갖는 제2 접속 라인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길이 및 상기 제2 길이 각각은 상기 특성 임피던스를 변화시킬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 및 상기 제2 길이 각각은 3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 각각은 인쇄 회로 기판상에 형성되는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량성 소자 및 상기 제2 용량성 소자 각각은 배리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회로.
  5. 특성 임피던스를 갖는 신호 송신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코어, 상기 코어에 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제1 및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제1 입력 및 제1 출력을 가지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제2 입력 및 제2 출력을 가지며 상기 제1 입력 및 제2 입력에는 역위상의 신호가 입력되는 공통 모드 필터;
    제1 단자를 갖는 제1 용량성 소자;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말에만 상기 제1 출력이 접속되고 상기 제2 단말에만 상기 제1 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제1 접속 라인이 제1 길이를 갖는 제1 접속 라인;
    제2 단자를 갖는 제2 용량성 소자; 및
    1차 단말 및 2차 단말을 가지며, 상기 1차 단말에만 상기 제2 출력이 접속되고 상기 2차 단말에만 상기 제2 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제2 접속 라인이 제2 길이를 갖는 제2 접속 라인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길이 및 상기 제2 길이 각각은 상기 특성 임피던스를 변화시킬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 및 상기 제2 길이 각각은 3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특성 임피던스를 갖는 신호 송신 회로를 포함하는 케이블에 있어서,
    코어, 상기 코어에 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제1 및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제1 입력 및 제1 출력을 가지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제2 입력 및 제2 출력을 가지며 상기 제1 입력 및 제2 입력에는 역위상의 신호가 입력되는 공통 모드 필터;
    제1 단자를 갖는 제1 용량성 소자;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말에만 상기 제1 출력이 접속되고 상기 제2 단말에만 상기 제1 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제1 접속 라인이 제1 길이를 갖는 제1 접속 라인;
    제2 단자를 갖는 제2 용량성 소자; 및
    1차 단말 및 2차 단말을 가지며, 상기 1차 단말에만 상기 제2 출력이 접속되고 상기 2차 단말에만 상기 제2 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제2 접속 라인이 제2 길이를 갖는 제2 접속 라인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길이 및 상기 제2 길이 각각은 상기 특성 임피던스를 변화시킬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 및 상기 제2 길이 각각은 3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KR1020050048892A 2004-06-08 2005-06-08 신호 송신 회로 KR100702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69495A JP4162630B2 (ja) 2004-06-08 2004-06-08 信号伝送回路並びに同回路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ケーブル
JPJP-P-2004-00169495 2004-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268A true KR20060048268A (ko) 2006-05-18
KR100702640B1 KR100702640B1 (ko) 2007-04-02

Family

ID=3544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892A KR100702640B1 (ko) 2004-06-08 2005-06-08 신호 송신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95087B2 (ko)
JP (1) JP4162630B2 (ko)
KR (1) KR100702640B1 (ko)
CN (1) CN100417147C (ko)
TW (1) TWI2885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248A (ja) * 2006-01-11 2007-07-26 Aruze Corp 遊技機
JP4509954B2 (ja) * 2006-03-10 2010-07-21 株式会社東芝 配線基板
JP5204468B2 (ja) * 2007-11-30 2013-06-05 株式会社 Modaテクノロジー 低放射ノイズ電子機器、伝送線路接続ケーブル、および電子機器の放射ノイズ除去方法
WO2009144807A1 (ja) * 2008-05-30 2009-12-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送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受信装置
JP4866952B2 (ja) 2009-07-02 2012-02-01 Tdk株式会社 複合電子部品
WO2011095840A1 (en) * 2010-02-02 2011-08-11 Nokia Corporation Generation of differential signals
EP2448133B1 (en) * 2010-06-11 2014-02-19 Honda Motor Co., Ltd. Communication network
TWI381599B (zh) * 2010-06-18 2013-01-01 Univ Nat Taipei Technology 連接器
TWI496358B (zh) * 2011-11-14 2015-08-11 Hon Hai Prec Ind Co Ltd 電連接器
TWI574477B (zh) * 2012-08-01 2017-03-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資料傳輸線
JP2014160704A (ja) 2013-02-19 2014-09-04 Honda Motor Co Ltd コイル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2014204100A (ja) 2013-04-10 2014-10-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チョークコイルおよび電子機器
US10185002B2 (en) * 2015-06-04 2019-01-2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MRI common mode traps
CN107395150B (zh) * 2016-05-16 2022-12-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设备、差分信号线处理方法、差分信号线处理装置
CN106098240B (zh) * 2016-07-27 2017-08-29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一研究所 一种满足相位一致性要求的同轴半刚电缆组件
JP7423294B2 (ja) * 2019-12-12 202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配線基板および電子機器
WO2021187241A1 (ja) * 2020-03-19 2021-09-23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通信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3670A (en) 1969-03-21 1971-04-06 Ibm High-speed impedance-compensated circuits
JP2882266B2 (ja) * 1993-12-28 1999-04-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信号伝送装置及び回路ブロック
US6160472A (en) * 1995-03-24 2000-12-12 Tdk Corporation Multilayer varistor
JPH1168497A (ja) 1997-08-27 1999-03-09 Nec Corp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NL1011002C2 (nl) * 1999-01-12 2000-07-20 Univ Eindhoven Tech Versterkerschakeling.
JP4437599B2 (ja) 1999-07-12 2010-03-24 日立金属株式会社 差動伝送ケーブル並びにジョイント
KR100403541B1 (ko) * 2001-06-29 2003-10-30 설승기 전도성 전자파장애 제거를 위한 능동형 공통모드 이엠아이 필터
JP2003169098A (ja) 2001-09-21 2003-06-13 Murata Mfg Co Ltd ノイズ低減高周波回路
JP3742597B2 (ja) * 2002-01-31 2006-02-08 寛治 大塚 信号伝送システム
JP2003338722A (ja) 2002-05-20 2003-11-28 Tdk Corp ノイズ抑制回路
JP2004040444A (ja) 2002-07-03 2004-02-05 Concorde Denshi Kogyo:Kk Adsl用フィルタ
US6788558B2 (en) 2002-09-19 2004-09-07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Passive common mode filt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passive common mode filter
JP2005051496A (ja) 2003-07-28 2005-02-24 Kanji Otsuka 信号伝送システム及び信号伝送線路
US7385466B2 (en) 2004-03-30 2008-06-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fferential transmission circuit and common mode choke c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95087B2 (en) 2007-11-13
TW200614705A (en) 2006-05-01
CN1707871A (zh) 2005-12-14
JP4162630B2 (ja) 2008-10-08
KR100702640B1 (ko) 2007-04-02
JP2005354140A (ja) 2005-12-22
US20050270117A1 (en) 2005-12-08
CN100417147C (zh) 2008-09-03
TWI288510B (en)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640B1 (ko) 신호 송신 회로
US7557676B2 (en) Signal transmission circuit, electronic device, cable, and connector
JP4213695B2 (ja) 信号伝送回路
JP4012553B2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及び信号伝送回路
US7545652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differential signaling structure
KR101100348B1 (ko) 공통 모드 초크 코일
US20110127069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layout method thereof
JP5629313B2 (ja) 差動信号伝送線路、icパッケージおよびそれらの試験方法
JP4188892B2 (ja) コイル部品
JP2011077581A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実装構造及び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実装方法
WO2021192073A1 (ja) 回路基板及び電子機器
JP4213696B2 (ja) 信号伝送回路
US11303115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mitigation for differential signal channels
JP2007037065A (ja) 信号伝送回路、電子機器、ケーブル、及びコネクタ
US9069913B2 (en) Circuit topology for multiple loads
JP6395638B2 (ja) 無線装置
JP7497232B2 (ja) プリント回路板、プリント配線板、及び電子機器
Lin et al. Investigation on Degradation of Common Mode Noise Suppression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Array
CN112351577A (zh) 印刷电路板、印刷布线板和电子设备
JP2001084070A (ja) プリント配線基板及び電子機器のプリント配線基板
TW201916763A (zh) 電路佈線結構
JP2019146057A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の実装構造
JPH0430614A (ja) カラー・ディスプレイ信号出力回路
Mardiguian et al. Controlling Radiated Emissions at I/O Ports and External Cables
Based et al. AND8027/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