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2183A -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 및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 및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2183A
KR20060042183A KR1020050015608A KR20050015608A KR20060042183A KR 20060042183 A KR20060042183 A KR 20060042183A KR 1020050015608 A KR1020050015608 A KR 1020050015608A KR 20050015608 A KR20050015608 A KR 20050015608A KR 20060042183 A KR20060042183 A KR 20060042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cuum insulator
ear
heat insulat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0445B1 (ko
Inventor
히로유끼 고바야시
구니나리 아라끼
Original Assignee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2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4Arrangements using dry fillers, e.g. using slag wool which is added to the object to be insulated by pouring, spreading, spraying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종래의 진공 단열재는 상기 진공 단열재에 형성되는「귀부」가,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의 충전 유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상기 귀부를 진공 단열재의 표면측으로 절곡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귀부는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을 포함하는 복층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당한 강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귀부는 절곡 후의 스프링백 등에 의해 변형되므로, 상기 진공 단열재의 표면과 상기 절곡된 귀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가 있고, 상기 간극부에 체류하는 대기압에 가까운 공기 분자의 열전도에 의해 고단열 성능을 가지게 될 진공 단열재의 통합 단열 성능을 감소시켜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코어재와 상기 코어재를 피복하는 외피재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재의 내부를 감압 밀봉하는 진공 단열재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의 코어재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을 귀부로 이루고, 상기 귀부를 진공 단열재 표면측에 포개어 밀착하도록 절곡시키고, 상기 절곡부의 상기 귀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 사이에 접착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귀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 사이의 공기층을 작게 하도록 상기 귀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을 밀착하였으므로, 종래 진공 단열재 주변에 형성되어 있던 진공 단열재보다 단열 성능이 나쁜 공기 분자가 체류하는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토탈적인 열 누설이 감소하는 진공 단열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성이 있는 외피재의 귀부가 진공 단열재 자신에 밀착되므로, 상기 진공 단열재 자신의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상기 진공 단열재 자신의 제조 공정이 나 운반 및 보관 공정 등의 핸들링에 의한 변형이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적으므로, 핸들링성이 좋은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사용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발포 단열재, 진공 단열재, 코어재, 외피재, 귀부

Description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 및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VACUUM INSULATION MATERIAL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냉장고의 주요부 종단면도.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A-A선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진공 단열재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진공 단열재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제조 공정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제조 공정 설명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제조 공정 설명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제조 공정 설명도.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제조 공정 설명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제조 공정 설명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평면 설명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도포 공정 설명도.
도13은 종래예의 진공 단열재의 주요부 사시도.
도14는 종래예의 진공 단열재의 주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외판
12 : 내판
13 : 발포 단열재
30, 40 : 진공 단열재
31, 41 : 코어재
32, 42 : 외피재
33, 43 : 귀부
34, 44 : 열용착부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65557호 공보
본 발명은,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 및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에 관한 종래의 방식으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방식이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시트 형상의 무기 섬유 집합체를 코어재로 하고, 코어재를 가스 차단성을 갖는 외피재로 피복하여 내부를 감압한 진공 단열재를 냉장고의 단열벽 내나 구획판벽 내에 배치하여 고내 온도 상승 억제에 의한 에너지 절약을 도모하고 있었다.
상기 종래예의 구성에서는, 진공 단열재를 상기 냉장고의 단열벽 내나 구획판벽 내에 배치하여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를 충전할 때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즉, 진공 단열재의 코어재를 가스 차단성을 갖는 외피재로 피복하고, 내부를 감압 밀봉할 때에는 상기 외피재의 코어재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이하「귀부」라 표시함)이 형성되고, 이 귀부에 의해 발포 단열재의 충전 유동이 저해되고 단열벽 내나 구획판벽 내에 발포 단열재의 미충전 부위나 충전 비중이 다른 단열벽층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술한 특허 문헌 1에서는 외피재의 귀부를 진공 단열재의 표면측으로 절곡하고 있었다(특허 문헌 1의 도2).
그러나, 외피재는 가스 차단성을 확보하기 위해 알루미늄박이나 알루미늄 증착층을 포함하는 복층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피재 자신에 강성이 있다. 또한, 귀부는 외피재가 이중으로 형성된 부분이므로, 절곡 후의 스프링백 등에 의해 변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의 표면과 절곡된 귀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가 있고, 그 간극부에 체류하는 통상압에 가까운(대기 압력에 가까움) 공기 분자의 열전도에 의해 고단열 성능을 가지게 될 진공 단열재의 통합 단열 성능을 감소시킨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하, 전술한 상세를 종래 방식의 일예인 도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부호 1은 진공 단열재이며, 진공 단열재(1)는 무기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코어재(2)와, 코어재(2)를 피복하는 가스 차단성을 갖는 복층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된 외피재(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외피재(3)는 진공 단열재를 고진공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중간층에 가스 차단성을 확보하기 위한 알루미늄박이나 알루미늄 증착층 등을 갖고, 그 최외층에 찔림에 견딜 수 있는 성질 갖는 나일론 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층을 갖고, 그 최내층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열용착 가능한 합성 수지층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복층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피재(3)는 그 자신이 강성을 갖고 있다. 게다가, 외피재(3)의 내부를 감압 밀봉할 때에 형성되는 외피재(3)의 코어재(2)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부분, 즉 귀부(3a)는 외피재(3)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당한 강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한 귀부(3a)는 그 자신의 강성에 의한 스프링백 등에 의해, 이 절곡된 귀부(3a)와 진공 단열재(1)의 표면(1a)이나 측벽 표면(1c)의 사이에 간극(1b)이나 간극(1e)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전술한 간극(1b)이나 간극(1e)이 생긴 진공 단열재(1)를 도시하지 않은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벽 내에 충전하면, 간극(1b, 1e) 내에 대기 압력에 가까운 공기가 체류된 상태에서 그 주위를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가 충전되므로, 간극(1b, 1e) 내에 체류된 공기 분자의 열전도에 의해 단열 성능이 저하되어, 고단열 성능을 갖는 진공 단열재(1)의 주변에 진공 단열재(1)보다 단열 성능이 낮은 부분[간극(1b, 1e)]이 형성되기 때문에, 토탈적으로 상기 단열벽의 통합 단열 성능을 감소시킨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진공 단열재(1)는 진공 단열재(1) 자신의 제조 공정이나 운반 및 보관 공정 등의 핸들링이나 보관 기간의 경과에 의해, 전술한 절곡한 귀부(3a) 자신의 강성에 의한 스프링백 등에 의해 귀부(3a)와 진공 단열재의 표면(1a)의 사이에 간극(3b)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는, 진공 단열재(1)는 진공 단열재(1) 자신의 제조 공정이나 운반 및 보관 공정 등의 핸들링에 의한 변형에 의해, 혹은 진공 단열재(1)를 냉장고에 조립해 넣을 때의 핸들링에 의한 변형에 의해 전술한 귀부(3a)에「변형」이나「주름」에 의한 간극(3c)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간극(3b, 3c)이 생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벽 내에 충전되면, 간극(3b, 3c) 내에 우레탄 등의 원액이 침입하여 상기 절곡된 귀부(3a) 자신이 국부적 혹은 전체적으로 변형되어 우레탄의 충전 유동을 저해시킬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귀부의 변형 방지로서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조립해 넣기 전에 고정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경우의 테이프에 의한 고정 방법에 대해, 도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도13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4의 (a)에 있어서, 귀부(3f)는 도1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피재(3)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당한 강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도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한 귀부(3f)는 그 자신의 강성에 의한 스프링백 등에 의해, 진공 단열재(1)의 표면(1f)이나 측벽 표면(1m)의 사이에 간극(1g)이나 간극(1h)이 생겨 버린다.
따라서, 간극(1g, 1h)의 크기 치수가 증가하지 않도록 접착 테이프(5)로 귀부(3f)와 진공 단열재의 표면(1f)을 고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접착 테이프(5)로 귀부(3f)가 고정되어 있어도 간극(1g, 1h)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진공 단열재(1)를 배치하여 발포 단열재를 충전하면, 간극(1g, 1h) 내에 체류된 통상압에 가까운(대기 압력에 가까움) 공기 분자의 열전도에 의해, 고단열 성능을 갖는 진공 단열재(1)의 주변에 진공 단열재(1)보다 단열 성능이 낮은 부분[간극(1g, 1h)]이 형성되므로, 토탈적으로 단열벽의 통합 단열 성능을 감소시킨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도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한 귀부(3n)가 진공 단열재의 측벽 표면(1p)측에만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이 절곡한 귀부(3n)는 그 자신의 강성에 의한 스프링백 등에 의해 절곡된 귀부(3n)와 측벽 표면(1p)의 사이에 간극(1r)이 생겨 버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간극(1r)에 체류된 대기 압력에 가까운 공기 분자의 열전도에 의해, 고단열 성능을 갖는 진공 단열재(1)의 주변에 상기 진공 단열재(1)보다 단열 성능이 낮은 부분[간극(1r)]이 형성되므로, 토탈적으로 상기 단열벽의 통합 단열 성능을 감소시킨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도14의 (a) 및 도14의 (b)에 도시한 귀부의 고정 테이프(5)는 통상 코일 권취 상태의 테이프를 풀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코일 권취 상태의 테이프를 쉽게 풀 수 있도록 그 표면(5a)에는 통상은 박리제가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테이프 표면(5a)과 전술한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의 접착력은, 진공 단열재 표면(1f)과 전술한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의 접착력보다 약하다. 따라서, 도14의 (a) 및 도14의 (b)에 도시한 귀부의 고정 테이프(5)를 갖는 진공 단열재를 포함한 단열벽의 강도가 약해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구성이 갖고 있던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진공 단열재의 통합 단열 성능의 감소를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에 기여하는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 및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코어재와 상기 코어재를 피복하는 외피재로 구성되어 상기 외피재의 내부를 감압 밀봉하는 진공 단열재에 있어서, 상기외피재의 코어재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을 귀부로 이루고, 상기 귀부를 진공 단열재 표면측에 포개어 밀착하도록 절곡시키고, 상기 절곡부의 상기 귀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의 사이에 접착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귀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의 사이의 공기층을 작게 하도록 상기 귀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을 밀착하였으므로, 종래 진공 단열재 주변에 형성되어 있던 진공 단열재보다 단열 성능이 나쁜 공기 분자가 체류하는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토탈적인 열 누설이 감소하는 진공 단열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성이 있는 외피재의 귀부가 진공 단열재 자신에 밀착되므로, 상기 진공 단열재 자신의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상기 진공 단열재 자신의 제조 공정이나 운반 및 보관 공정 등의 핸들링에 의한 변형이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적으므로 핸들링성이 좋은 진공 단열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코어재와 상기 코어재를 피복하여 열용착층을 갖는 외피재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재의 주연부를 상기 열용착층에 의해 열용착하여 상기 외피재의 내부를 감압 밀봉하는 진공 단열재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의 열용착부를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측에 포개어 밀착하도록 절곡시키고, 상기 절곡부의 상기 열용착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의 사이에 접착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열용착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 사이의 공기층을 작게 하도록 상기 열용착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을 밀착시켰으므로 종래 진공 단열재 주변에 형성되어 있던 진공 단열재보다 단열 성능이 나쁜 공기 분자가 체류하는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토탈적인 열 누설이 감소하는 진공 단열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성이 있는 외피재를 열용착한 상당한 강성이 있는 귀부가 진공 단열재 자신에 밀착되므로, 상기 진공 단열재 자신의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상기 진공 단열재 자신의 제조 공정이나 운반 및 보관 공정 등의 핸들링에 의한 변형이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적으므로 핸들링성이 좋은 진공 단열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외판과 내판을 구비하고, 상기 외판과 내판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상기 외판측 또는 상기 내판측에 진공 단열재를 배치하여 상기 진공 단열재 이외의 상기 공간에 발포 단열재를 충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진공 단열재를 코어재와 상기 코어재를 피복하는 외피재로 구성하고, 상기 외피재의 코어재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을 귀부로 이루고, 상기 귀부를 진공 단열재 표면측에 포개어 밀착하도록 절곡시키고 상기 절곡부의 상기 귀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의 사이에 접착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귀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 사이의 공기층을 작게 하도록 상기 귀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을 밀착시켰 으므로, 강성이 있는 외피재의 귀부가 진공 단열재 자신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진공 단열재 자신의 강도가 향상되고, 또한 귀부를 덮는 일이 없으므로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와의 접착 강도가 강한 진공 단열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진공 단열재를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 내에 설치한 상자 부재 강도가 강한 단열벽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코어재와 상기 코어재를 피복하는 외피재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재의 내부를 감압 밀봉하여 상기 외피재의 코어재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곳을 귀부로 이루고, 상기 귀부를 진공 단열재 표면측에 포개어지도록 절곡시키는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귀부 혹은 상기 귀부가 밀착되는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 혹은 상기 귀부와 상기 귀부가 밀착되는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에 접착 부재를 도포하는 도포 공정을 갖고, 상기 도포 공정에 의해 도포한 상기 접착 부재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과 상기 귀부를 접착하는 공정에서 접착하여 밀착시켰으므로, 종래 진공 단열재 주변에 형성되어 있던 진공 단열재보다 단열 성능이 나쁜 공기 분자가 체류하는 간극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토탈적인 열 누설이 감소하는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성이 있는 외피재로 이루어지는 귀부가 진공 단열재 자신에 밀착되므로 상기 진공 단열재 자신의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상기 진공 단열재 자신의 제조 공정이나 운반 및 보관 공정 등의 핸들링에 의한 변형이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적으므로 핸들링성이 좋은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접착 부재로서 합성 고무계의 열 용해 접착제를 사용하였으므로 접착 부재의 도포 작업이 용이해지고, 또한 도포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접착하는 공정의 작업 능률 향상 및 제조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접착 부재로서 합성 고무계의 열 용해 접착제를 사용하고, 상기 열 용해 접착제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킨 후에 냉각함으로써, 상기 열 용해 접착제의 온도를 외피재의 내열 온도 이하로 하여 상기 외피재에 도포하였으므로, 가스 차단성을 갖는 외피재의 과열 불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진공 단열재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냉장고의 주요부 종단면도이고,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A-A선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우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 10은 냉장고 상자 부재이고, 외판(11)과 내판(12)을 구비하여 외판(11)과 내판(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외판(11)측 또는 내판(12)측에 진공 단열재(30 혹은 40)를 설치하고, 진공 단열재(30 혹은 40) 이외의 공간에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13)를 충전하고 있다. 냉장고 상자 부재(10)는 그 내부에 냉장 온도실(14)과 제빙실이나 냉동실을 갖는 냉동 온도실(15)을 각각 구획 형성하고 있다. 부호 18은 냉장고를 소정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기 이고, 19는 냉각기(18)와 압축기(20)를 포함하여 도시하지 않은 일련의 냉동 사이클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관이다. 부호 16은 냉각기(18)에서 냉각한 냉기를 냉장고 고내로 순환시켜 소정의 저온 온도를 유지하는 송풍기이다. 부호 17은 송풍기(16)의 배선 코드이다.
진공 단열재(30)는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13)보다 열전도율이 작은 진공 단열재이고, 진공 단열재(3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어재(31)와 코어재(31)를 피복하는 외피재(32)로 구성되고, 외피재(32)의 내부를 감압 밀봉할 때에 외피재(32)의 코어재(31)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을 귀부(33)로 이루고, 귀부(33)를 진공 단열재 표면측에 포개어 밀착하도록 절곡시키고, 이 절곡부의 귀부(33)와 진공 단열재 표면의 사이에 접착 부재(36)를 개재시켜 귀부(33)와 진공 단열재 표면 사이의 공기층을 작게 하도록 형성하고, 귀부(33)가 발포 단열재(13)측이 되도록 발포 단열재(13)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진공 단열재(30)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진공 단열재(30)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3에 있어서, 부호 31은 단열성을 갖는 섬유 재료로 형성된 코어재이고, 32는 코어재(31)를 피복하는 가스 차단성을 갖는 복층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된 외피재이다. 외피재(32)는 진공 단열재(30)를 고진공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중간층에 가스 차단성을 확보하기 위한 알루미늄박이나 알루미늄 증착층 등을 갖고, 그 최외층에 찔림에 견딜 수 있는 성질 갖는 나일론 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층을 갖고, 그 최내층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열용착 가능한 합성 수지층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부호 33은 외피재(32)의 내부를 감압 밀봉할 때에, 외피재(32)의 코어재(31) 표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분인「귀부」이며, 귀부(33)를 진공 단열재 표면측(30a)으로 중합하여 밀착하도록 절곡시키고, 이 절곡부의 귀부(33)와 진공 단열재 표면(30a)의 사이에 접착 부재(36)를 개재시켜 귀부(33)와 진공 단열재 표면(30a) 사이의 공기층(30b)을 작게 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동시에, 절곡부의 귀부(33)와 진공 단열재 측벽 표면(30c)의 사이에 접착 부재(36)를 개재시켜 귀부(33)와 진공 단열재 측벽 표면(30c) 사이의 공기층(30e)을 작게 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부호 34는 전술한 열용착 가능한 합성 수지층부에서 열용착한 열용착부이며, 열용착부(34)는 전술한 귀부(33)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외피재(32)의 내부를 감압 밀봉하기 위해, 외피재(32) 주연부에 열용착부(34)를 형성하여 내부의 고진공도를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통상은 열용착부(34)는 귀부(33)의 일부로서 구성되지만, 외피재(32)를 2변을 절곡한 필로우형의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였을 때에는 열용착부(34)는 귀부(33)의 일부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않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층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된 상당한 강성을 갖는 귀부(33)가, 접착 부재(36)에 의해 진공 단열재에 고정 부착되기 때문에, 귀부(33)와 진공 단열재의 표면이나 측벽 표면 사이의 간극(30b)이나 간극(30e)의 크기가 감소하여 그 간극에 체류되는 단열 성능이 나쁜 공기층이 감소되므로, 토탈적인 열 누설이 감소되는 진공 단열재 및 상기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성이 있는 외피재의 귀부(33)가 진공 단열재 자신에 밀착되므로, 진공 단열재 자신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진공 단열재 자신의 제조 공정이나 운반 및 보관 공정 등의 핸들링에 의한 변형이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적기 때문에, 핸들링성이 좋은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구조에서는 전술한 귀부를 덮는 고정 테이프와 발포 단열재와의 접착력이 약했지만,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귀부(33)를 덮는 것이 없으므로, 귀부(33) 전체가 전술한 발포 단열재와 강력히 접착하기 위해, 또한 진공 단열재(30)가 강성이 있는 외피재의 귀부(33)에 의해 보강되기 때문에 상자 부재 강도가 강한 단열벽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36)는 귀부(33)의 단부로부터 진공 단열재(30)의 측부에 걸쳐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부(33) 중 진공 단열재 표면(30a)측으로 절곡된 부분이 접착 부재(36)에 의해 전면적으로 진공 단열재(30a)에 접착되어 있으면, 진공 단열재 표면(30a)에 있어서의 귀부(33)의 주름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진공 단열재(30)의 모서리부가 귀부(33)에 의해 덮이고, 이 모서리부가 귀부(33)와 접착 부재(36)에 의해 덮여 있으면 충돌에 의한 외피재(32)의 파손 방지의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측부까지 접착 부재(36)가 도포되어 있으면, 간극(30e)으로부터 어떠한 충격에 의해 접착 부재(36)에 의한 접착을 박리하는 방향으 로의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이를 방지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도4 및 전술한 도2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진공 단열재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4에 있어서, 부호 41은 단열성을 갖는 섬유 재료로 형성된 코어재이고, 42는 코어재(41)를 피복하는 가스 차단성을 갖는 복층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된 외피재이다. 외피재(42)는 진공 단열재(40)를 고진공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중간층에 가스 차단성을 확보하기 위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이나 알루미늄 증착층 등을 갖고, 그 최외층에 찔림에 견딜 수 있는 성질을 갖는 나일론 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층을 갖고, 그 최내층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나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등의 열용착 가능한 합성 수지층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부호 43은, 외피재(42)의 내부를 감압 밀봉할 때에 외피재(42)의 코어재(41) 표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분인「귀부」이며, 귀부(43)를 진공 단열재 측면벽 표면(40c)에 포개어 밀착하도록 절곡시키고, 이 절곡부의 귀부(43)와 진공 단열재 측면벽 표면(40c)의 사이에 접착 부재(46)를 개재시켜 귀부(43)와 진공 단열재 측면벽 표면(40c)의 사이의 공기층(40b)을 작게 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부호 44는 전술한 열용착 가능한 합성 수지층부에서 열용착한 열용착부이며, 열용착부(44)는 전술한 귀부(43)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외피재 (42)의 내부를 감압 밀봉하기 위해, 외피재(42) 주연부에 열용착부(44)를 형성하여 내부의 고진공도를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도4에 도시한 진공 단열재(40)의 두께 치수(T2)가 비교적 두꺼운 경우이며, 또한 외피재(42)의 구성을 주머니 형상으로 하지 않고, 2매의 시트 형상 외피재의 원료의 사이에 코어재(41)의 원료를 설치한 후, 이 시트 형상 외피재의 주연부(44)를 열용착함으로써 열용착부(44) 치수(L4)를 작게 하는 동시에 귀부(43) 치수(L3)를 작게 한 예이다.
이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층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된 상당한 강성을 갖는 귀부(43)가, 접착 부재(46)에 의해 진공 단열재에 고정 부착되기 때문에 귀부(43)와 진공 단열재의 측벽 표면 사이의 간극(40b)이나 간극(40e)의 크기가 감소하고, 그 간극에 체류하는 단열 성능이 나쁜 공기층이 감소하기 때문에 토탈적인 열 누설이 감소하는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성이 있는 외피재의 귀부(43)가 진공 단열재 자신에 밀착되므로, 진공 단열재 자신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진공 단열재 자신의 제조 공정이나 운반 및 보관 공정 등의 핸들링에 의한 변형이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적기 때문에, 핸들링성이 좋은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구조에서는 전술한 귀부를 덮는 고정 테이프와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와의 접착력이 약했지만,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귀 부(43)를 덮는 것이 없으므로 귀부(43) 전체가 전술한 발포 단열재와 강력히 접착되기 때문에, 또한 진공 단열재(40)가 강성이 있는 외피재의 귀부(43)에 의해 보강되기 때문에 상자 부재 강도가 강한 단열벽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귀부(43) 치수(L3)와 진공 단열재(40)의 두께 치수(T3)와의 관계에 의해 진공 단열재(40)측부 내에 귀부(43)의 단부가 접착되고, 진공 단열재 표면(40c)까지 귀부(43)가 닿지 않는 경우에는 진공 단열재 표면(40c) 중 어느 한 면(즉, 표면과 이면)에도 귀부에 의한 단차가 없어져, 귀부의 변형이나 주름에 의한 우레탄의 충전 유동을 저해하는 일도 없다. 또한, 평탄성이 좋아지므로 외판(11)에 진공 단열재를 접착하는 경우의 접착성이 향상되어, 귀부의 단차에 의한 외관에 미치는 영향도 없고 또한 접착면과 반대측의 발포 단열재의 유동성도 향상된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도5 내지 도11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도5 내지 도10에 의해 제조 공정예를 설명한다.
도5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제조 공정 설명도이며, 제조 공정순으로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5에 도시한 코어재 삽입 공정에 있어서, 부호 51a는 섬유 재료의 원면에 바인더를 붙여 형성하는 코어재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된 코어재 원료이다. 코어재 원료(51a)의 작성 방법예 중 하나로 서는, 예를 들어 원면으로서「인조 광물 섬유 보온재」(JISA9504)를 사용하고, 이 원면을 소정 매수 적층하여 상온 프레스 가공한 후, 붕산이나 인산 등의 무기 바인더액을 함침시킨다. 원면 중의 무기 바인더가 소정의 함침율이 되면, 이 무기 바인더가 함침된 원면을 열프레스 가공한 후, 130 ℃ 내지 150 ℃의 건조로 내에서 약 1시간 정도의 건조을 행하고 소정 치수로 절단하여 코어재 원료(51a)로 한다.
단, 코어재의 사용 용도에 따라 코어재 자신에 가요성을 갖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공정 후 바인더를 붙이지 않는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면으로 전술한 코어재 원료(51a)를 덮도록 형성하고, 코어재 원료(51a) 표면에 가요성을 갖는 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 52는 가스 차단성을 갖는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외피재이며, 외피재(52) 내에 코어재 원료(51a)를 배치한다.
또한, 코어재 원료(51a)를 외피재(52) 내에 배치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로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피재(52)를 주머니 형상으로 한 후, 이 주머니 형상 외피재의 개구(52a)로부터 코어재 원료(51a)를 삽입하는 방법이라도 좋고, 혹은 외피재(52)를 2매의 시트 형상으로 하여 이 시트 형상 외피재의 사이에 코어재 원료(51a)를 배치한 후, 이 2매의 시트 형상의 각 변을 용착하는 연속 성형 방식이라도 좋고, 혹은 필로우식 주머니 형상 외피재의 사이에 코어재 원료(51a)를 배치한 후, 주머니의 각 변을 용착하는 방식이라도 좋다.
다음에 도6에 대해 설명한다.
도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피재(52) 중에 코어재 원료(51a)를 배치한 상태 의 주요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부호 5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재 원료(51a)를 피복하는 가스 차단성을 갖는 복층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된 외피재이다. 외피재(52)는 진공 단열재를 고진공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중간층(52b)에 가스 차단성을 확보하기 위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이나 알루미늄 증착층 등을 갖고, 그 최외층(52c)에 찔림에 견딜 수 있는 성질을 갖는 나일론 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층을 갖고, 그 최내층(52a)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나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등의 열용착 가능한 합성 수지층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피재(52)는 복층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자신인 정도의 강성을 갖고 있다.
부호 54는 외피재(52)의 주연부를 열용착 가능한 합성 수지층에서 열용착한 열용착부이며, 그 폭 치수(L6이나 L8)는 후술하는 진공 단열재 내부의 고진공도를 장기간 유지하는 데 충분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L6 치수나 L8 치수는, 통상은 3 mm 내지 12 mm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도7의 감압 밀봉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은 외피재(52) 내에 코어재 원료(51a)를 배치한 후, 외피재(52) 내 및 코어재 원료(51a) 내를 소정의 고진공도까지 감압하고, 이 외피재의 입구(52a)(도5 중 부호 52a)부를 밀봉한 상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53은 외피재(52)의 내부를 전술한 바와 같이 감압 밀봉하였을 때에, 외피재(52)의 코어재(51b) 표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분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귀부」라 표시한다. 귀부(5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피재(52) 자신이 강성을 갖고 있으므로, 또한 귀부(53)는 강성을 갖는 외피재(52)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귀부(53)는 상당한 강성을 갖고 있다.
또한, 귀부(53)의 주연에 형성된 전술한 열용착부(54)는 상당한 강성을 갖는 귀부가 열용착되어 있으므로, 더 상당한 강성을 갖고 있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귀부(53)의 폭 치수(L5나 L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재 원료(51a) 내 및 외피재(52) 내를 소정의 고진공도까지 감압하여 밀봉하였을 때에, 도6에서 설명한 코어재 원료(51a)의 두께 치수(T3)가 도7에서 표시하는 코어재(51b)의 두께 치수(T4)로 압축(T4 < T3)되므로 전술한 열용착부 폭 치수(L6이나 L8)보다 커진다. 즉, L5 > L6, L7 > L8의 관계가 된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50)의 주변에 도시하지 않은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를 충전할 때에는, 귀부(53)가 발포 단열재의 충전 유동을 저해할 확률이 커지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귀부(53)를 진공 단열재(50)의 표면측으로 중합하도록 절곡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8의 도포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6 및 도7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8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되고, 고정용 지그(64) 상에 소정의 각도로 고정된 진공 단열재(50)의 귀부(53)에 접착 부재를 도포하는 도포 공정을 설명하는 것이며, 부호 61은 합성 고무계의 열 용해 접착제 등의 접착 부재(62)를 소정 온도로 융해하고 소정의 양을 토출하도록 구성된 노즐 기구이다. 부호 63은 접착 부재(62)를 소정의 온도까지 저하시키기 위한 냉각용 공기이며, 전술한 노즐 기구 (61)에 도시하지 않은 기구에 의해 부여되어 있다. 즉, 노즐 기구(61)로부터 토출된 직후의 고온의 접착 부재(62a)부의 온도(예를 들어 160 ℃ 정도)를 냉각하여 외피재 표면에 도달했을 때의 접착 부재(62c)부의 온도를 전술한 외피재 자신의 내열 온도 이하(예를 들어 80 ℃ 정도 이하)로 냉각할 수 있도록, 냉각용 공기(63)를 소정의 온도나 토출 풍량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냉각용 공기(63)를 소정의 경사 각도로 토출함으로써 접착 부재(62)가 노즐 기구(61)로부터 토출된 후에,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 형상부(62b)를 형성하도록 하면 외피재 자신의 내열 온도 이하(예를 들어 80 ℃ 정도 이하)로 쉽게 냉각할 수 있지만, 그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접착 부재(62)를 도포하는 위치로서는, 귀부 표면(53a) 뿐이라도 좋고, 혹은 이 귀부가 밀착되는 진공 단열재 표면(50c나 50a) 뿐이라도 좋고, 혹은 귀부 표면(53a)과 이 귀부가 밀착되는 진공 단열재 표면(50c나 50a)의 양방에 도포해도 좋다.
다음에 도9 및 도10의 절곡 및 접착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8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9 내지 도10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 부재가 도포된 진공 단열재(50)를 굽힘 고정용 하부 지그(66)와 굽힘 고정용 상부 지그(67)의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고정하고, 귀부(53)를 진공 단열재 표면측에 포개어지도록 절곡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부호 65는 귀부 절곡 기구이며, 귀부 절곡 기구(65)를 도9 내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시킴으로써, 귀부(53)를 진공 단열재 표면(50c나 50a)과 포개어지도록 절곡하고, 또한 전술한 도포 공정에서 도포한 접착 부재(62c)의 접착력에 의해 귀부(53)와 진공 단열재 표면(50c나 50a)을 밀착하고 있다.
환언하면, 귀부(53)와 진공 단열재 표면(50c나 50a) 사이의 공기층(50e나 50b)을 작게 하도록, 귀부(53)와 진공 단열재 표면(50c나 50a)을 밀착하도록 귀부 절곡 기구(65)로 상기 귀부(53)에 압박력을 가하면서, 귀부(53)를 절곡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11은 이상과 같이 제조한 진공 단열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 설명도이다.
도11에 있어서, 부호 50은 대략 직사각 형상을 한 진공 단열재(50)이며, 그 긴 변(50f)측의 귀부(53b)를 도5에서 도시한 전술한 접착 부재(62)를 사용하여 형성하고 있고, 그 짧은 변(50g)측의 귀부(53c)는 종래예와 동일한 고정 테이프(55)로 덮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11에 도시한 B-B선의 단면은 도10과 동일한 단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50) 주변에 도시하지 않은 발포 단열재를 충전하여 단열벽을 구성하는 경우, 이 발포 단열재 자신의 접착력에 의해 긴 변측의 귀부(53b)와 발포 단열재가 강력히 접착되기 때문에 단열벽의 강도가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5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귀부를 진공 단열재 표면측에 포개어지도록 절곡하고, 귀부 혹은 귀부가 밀착되는 진공 단열재 표면, 혹은 귀부와 귀부가 밀착되는 진공 단열재 표면에 접착 부재를 도포하는 도포 공정을 갖고, 이 도포 공정에 의해 도포한 접착 부재의 접착력에 의해 진공 단열재 표면과 귀부를 접착하는 공정에서 접착하여 밀착하였으므로, 종래 진공 단열재 주변에 형성되어 있던 진공 단열재보다 단열 성능이 나쁜 공기 분자가 체류하는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토탈적인 열 누설이 감소되는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성이 있는 외피재로 이루어지는 귀부가 진공 단열재 자신에 밀착되므로, 진공 단열재 자신의 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 단열재 자신의 제조 공정이나 운반 및 보관 공정 등의 핸들링에 의한 변형이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적어, 핸들링성이 좋은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로서 합성 고무계의 열 용해 접착제를 사용하였으므로 접착 부재의 도포 작업이 용이해지고, 또한 도포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접착하는 공정의 작업 능률 향상 및 제조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로서 합성 고무계의 열 용해 접착제를 사용하여, 열 용해 접착제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킨 후에 냉각함으로써, 열 용해 접착제의 온도를 외피재의 내열 온도 이하로 하여 외피재에 도포하였으므로, 가스 차단성을 갖는 외피재의 과열 불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해 도12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제3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도포 공정 설명도이며, 도8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도포 공정과 동일한 단면 설명도이다.
도12에 있어서, 부호 68은 합성 고무계의 열 용해 접착제 등의 접착 부재(69)를 소정 온도로 융해하고, 소정의 양을 복수개의 노즐로 동시에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노즐 기구이다. 부호 69는 복수개의 노즐로 동시에 토출된 접착 부재(69)를 소정의 온도까지 저하시키기 위한 냉각용 공기이며, 전술한 노즐 기구(68)에 도시하지 않은 기구에 의해 부여되어 있다. 즉, 노즐 기구(68)로부터 복수개의 노즐로 동시에 토출된 직후의 고온의 접착 부재(69a)부의 온도(예를 들어 160 ℃ 정도)를 냉각하여, 외피재 표면에 도달하였을 때의 접착 부재(69c)부의 온도를 외피재 자신의 내열 온도 이하(예를 들어 80 ℃ 정도 이하)로 냉각할 수 있도록 냉각용 공기(69)를 소정의 온도나 토출 풍량으로 설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포 공정 다음에, 전술한 도9 및 도10에서 설명한 절곡 및 접착 공정과 동일한 공정을 경유하여 귀부(53)를 진공 단열재(50) 자신에 밀착하는 것이다.
또한, 접착 부재(69)를 도포하는 위치로서는 진공 단열재(50)의 형상에 의해 귀부 표면(53a) 뿐이라도 좋고, 혹은 이 귀부가 밀착되는 진공 단열재 표면(50c나 50a) 뿐이라도 좋고, 혹은 귀부 표면(53a)과 이 귀부가 밀착되는 진공 단열재 표면(50c나 50a)의 양방에 동시에 도포해도 좋다. 즉, 도10에서 도시한 귀부(53)와 진공 단열재 표면(50c나 50a) 사이의 공기층 간극(50e나 50b)을 가장 작게 하도록 접 착 부재(69)를 도포하는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 부재로서 합성 고무계의 열 용해 접착제를 사용하여 열 용해 접착제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킨 후에 냉각함으로써, 열 용해 접착제의 온도를 외피재의 내열 온도 이하로 하여 외피재에 도포하였으므로, 가스 차단성을 갖는 외피재의 과열 불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외피재의 귀부와 진공 단열재 표면 사이의 공기층을 작게 하도록 귀부와 진공 단열재 표면을 밀착하였으므로, 종래 진공 단열재 주변에 형성되어 있던 진공 단열재보다 단열 성능이 나쁜 공기 분자가 체류하는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어, 토탈적인 열 누설이 감소하는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성이 있는 외피재의 귀부가 진공 단열재 자신에 밀착되므로, 진공 단열재 자신의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진공 단열재 자신의 제조 공정이나 운반 및 보관 공정 등의 핸들링에 의한 변형이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적으므로 핸들링성이 좋은 진공 단열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진공 단열재 자신의 강도가 향상되고 또한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와의 접착 강도가 강한 진공 단열재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진공 단열재를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 내에 설치한 상자 부재 강도가 강한 단열벽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 단열재의 통합 단열 성능의 감소를 방지하고 에너지 절약에 기여하는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 및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코어재와 상기 코어재를 피복하는 외피재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재의 내부를 감압 밀봉하는 진공 단열재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의 코어재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을 귀부로 이루고, 상기 귀부를 진공 단열재 표면측에 포개어 밀착하도록 절곡시키고, 상기 절곡부의 상기 귀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 사이에 접착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귀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 사이의 공기층을 작게 하도록 상기 귀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을 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2. 코어재와, 상기 코어재를 피복하여 열용착층을 갖는 외피재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재의 주연부를 상기 열용착층에 의해 열용착하여 상기 외피재의 내부를 감압 밀봉하는 진공 단열재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의 열용착부를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측에 포개어 밀착하도록 절곡시키고, 상기 절곡부의 상기 열용착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 사이에 접착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열용착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 사이의 공기층을 작게 하도록 상기 열용착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을 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3. 외판과 내판을 구비하고, 상기 외판과 내판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상기 외 판측 또는 상기 내판측에 진공 단열재를 배치하고, 상기 진공 단열재 이외의 상기 공간에 발포 단열재를 충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진공 단열재는 코어재와 상기 코어재를 피복하는 외피재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재의 코어재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을 귀부로 이루고, 상기 귀부를 진공 단열재 표면측에 포개어 밀착하도록 절곡시키고, 상기 절곡부의 상기 귀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 사이에 접착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귀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 사이의 공기층을 작게 하도록 상기 귀부와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을 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
  4. 코어재와 상기 코어재를 피복하는 외피재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재의 내부를 감압 밀봉하여 상기 외피재의 코어재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을 귀부로 이루고, 상기 귀부를 진공 단열재 표면측에 포개어지도록 절곡시키는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귀부 혹은 상기 귀부가 밀착되는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 혹은 상기 귀부와 상기 귀부가 밀착되는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에 접착 부재를 도포하는 도포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도포 공정에 의해 도포된 상기 접착 부재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진공 단열재 표면과 상기 귀부를 접착하는 공정에서 접착하여 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 부재로서 합성 고무계의 열 용해 접착제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접착 부재로서 합성 고무계의 열 용해 접착제를 사용하고, 상기 열 용해 접착제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킨 후에 냉각함으로써 상기 열 용해 접착제의 온도를 외피재의 내열 온도 이하로 하여 상기 외피재에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
KR1020050015608A 2004-05-19 2005-02-25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 및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KR100750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48505A JP4603817B2 (ja) 2004-05-19 2004-05-19 真空断熱材、及び真空断熱材を用いた冷蔵庫、並びに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JPJP-P-2004-00148505 2004-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183A true KR20060042183A (ko) 2006-05-12
KR100750445B1 KR100750445B1 (ko) 2007-08-22

Family

ID=3547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608A KR100750445B1 (ko) 2004-05-19 2005-02-25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 및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03817B2 (ko)
KR (1) KR100750445B1 (ko)
CN (1) CN10051662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521A (ko) * 2018-03-26 2019-10-07 오씨아이 주식회사 진공 단열재의 포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3483B2 (ja) * 2010-10-20 2015-07-01 株式会社東芝 断熱キャビネット
JP5851223B2 (ja) * 2011-12-06 2016-02-03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CN102564029A (zh) * 2012-03-20 2012-07-11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冰箱壳体及其成形方法和具有该壳体的冰箱
JP2014062562A (ja) * 2012-09-20 2014-04-10 Dainippon Printing Co Ltd 真空断熱材及び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JP6072716B2 (ja) * 2014-03-06 2017-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断熱扉
KR20170047955A (ko) * 2015-10-26 201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JP6614572B2 (ja) * 2015-12-11 2019-1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機
JP2017062110A (ja) * 2017-01-16 2017-03-3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2019109047A (ja) * 2019-04-12 2019-07-0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6995A (ja) * 1984-01-12 1985-08-02 松下冷機株式会社 断熱壁の製造方法
US4610745A (en) * 1985-02-01 1986-09-09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hot mel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o a heat sensitive web
JPH04337195A (ja) * 1991-05-14 1992-11-25 Hitachi Ltd 真空断熱材
JPH0798090A (ja) * 1993-09-30 1995-04-11 Toshiba Corp 真空断熱パネル及びその真空断熱パネルを使用した断熱箱体の製造方法
JPH07269781A (ja) * 1994-03-31 1995-10-20 Toshiba Corp 真空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真空断熱材を用いた断熱箱体
JPH09318238A (ja) * 1996-05-27 1997-12-12 Sanyo Electric Co Ltd 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JPH10141583A (ja) * 1996-11-15 1998-05-29 Sanyo Electric Co Ltd 断熱壁体
JP2001141178A (ja) * 1999-11-12 2001-05-25 Matsushita Refrig Co Ltd 真空断熱材,断熱容器,断熱容器の製造方法,断熱箱体、および断熱パネル
KR20010068519A (ko) * 2000-01-06 2001-07-23 구자홍 진공단열판넬의 금속성필름 융착말단부의 부착방법
JP2003156193A (ja) * 2001-09-05 2003-05-30 Matsushita Refrig Co Ltd 真空断熱材及び真空断熱材を用いた冷蔵庫
JP3563729B2 (ja) * 2002-04-25 2004-09-08 松下冷機株式会社 真空断熱材、並びに真空断熱材を用いた冷凍機器及び冷温機器
JP3490426B1 (ja) * 2002-05-31 2004-01-26 松下冷機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凍機器、冷温機器、ならびに真空断熱材芯材とその製造方法
JP2004044813A (ja) * 2003-11-05 2004-02-12 Matsushita Refrig Co Ltd 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521A (ko) * 2018-03-26 2019-10-07 오씨아이 주식회사 진공 단열재의 포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31000A (ja) 2005-12-02
CN1699818A (zh) 2005-11-23
CN100516625C (zh) 2009-07-22
KR100750445B1 (ko) 2007-08-22
JP4603817B2 (ja)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445B1 (ko)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 및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JP5608457B2 (ja) 真空断熱材及びこれを用いた冷蔵庫
JP4215701B2 (ja) 冷蔵庫
JP5492685B2 (ja) 真空断熱材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JP2010276310A (ja) 真空断熱材を備えた冷蔵庫
JP2009024922A (ja) 冷蔵庫
JP2007113748A (ja) 断熱壁の製造方法、並びに断熱ユニット及び断熱材
JP5865581B2 (ja) 冷蔵庫
JP2007064584A (ja) 冷蔵庫
JP4781235B2 (ja) 真空断熱材と冷蔵庫
JP5571610B2 (ja) 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真空断熱材及びこれを備えた冷蔵庫
JP4576197B2 (ja) 真空断熱材及び冷蔵庫
CN112161503A (zh) 一种复合隔热控温材料及其制作工艺
JP2008095465A (ja) 断熱パネル
JP3563729B2 (ja) 真空断熱材、並びに真空断熱材を用いた冷凍機器及び冷温機器
JP4852986B2 (ja) 断熱箱体
JPH11141796A (ja) 真空断熱パネル
JP4806720B2 (ja) 真空断熱材、及び真空断熱材を用いた冷蔵庫、並びに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JP4852987B2 (ja) 断熱箱体
JP7139480B2 (ja) 冷蔵庫
WO2014122939A1 (ja) 断熱パネル
JP2015055368A (ja) 真空断熱材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JP2008095464A (ja) 断熱パネル
JP6382596B2 (ja) 冷蔵庫
JP4443727B2 (ja) 真空断熱容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