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406A - 개봉 유지성이 우수한 용기 밀봉용 커버체 - Google Patents

개봉 유지성이 우수한 용기 밀봉용 커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406A
KR20060039406A KR1020057025505A KR20057025505A KR20060039406A KR 20060039406 A KR20060039406 A KR 20060039406A KR 1020057025505 A KR1020057025505 A KR 1020057025505A KR 20057025505 A KR20057025505 A KR 20057025505A KR 20060039406 A KR20060039406 A KR 20060039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container
layer
hot water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지 가가와
Original Assignee
가가와 아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가와 아쓰코 filed Critical 가가와 아쓰코
Publication of KR2006003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 B65D77/204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 B65D77/2056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the cover being weakened
    • B65D77/206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the cover being weakened so as to uncover one or more preformed openings made through some layers of the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41Pull tabs
    • B65D2577/205Pull tabs integral with the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75Lines of weakness or apertures
    • B65D2577/2091Lines of weakness or apertures in cover

Abstract

본 발명은 개봉 유지성이 우수한 용기 밀봉용 커버체에 관한 것으로서, 종이 시트(204)와, 컬(curl)성 플라스틱층(201)과, 부분적 용이박리층(23)을 가지고, 상기 종이 시트(204)가 상기 컬성 플라스틱층(201)보다 아래쪽에 형성되어 용기에 실링(sealing)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2)이며, 외주 에지에 형성된 개봉용 탭부(tap part)(21)와, 상기 개봉용 탭부(21)의 양측에 형성된 인렬(引裂;breaking )(22a,22b) 개시점을 구비하고,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23)은 상기 인렬 개시점의 인렬 방향 연장선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밀봉용 커버체, 종이 시트, 컬성 플라스틱층, 용이박리층, 인렬 개시점

Description

개봉 유지성이 우수한 용기 밀봉용 커버체 {COVER BODY FOR SEALING CONTAINER WITH EXCELLENT UNSEALING RETAINABILITY}
본 발명은 개봉(開封) 유지성이 우수하여, 즉석 식품 등의 용기에 사용하는데 바람직한 커버체(cover body)에 관한 것이다.
컵라면이나 즉석 야끼소바와 같은 즉석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의 커버체는, 개봉시에 열수(熱水)의 주입이 용이한 동시에, 3분정도 유지하는 동안 용이하게 밀봉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봉시에 열수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개봉한 커버체가 강하게 컬(curl)되어, 개봉 상태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 또 재봉(再封) 즉 다시 봉하는 것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커버체의 개봉부(플랩부)가 커버체의 잔류부 또는 용기 본체와 용이하게 걸어맞추어져, 플랩부가 밀봉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개봉 유지성에 관해서는, 일본국 특개 2002-302154호에는,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1)의 상단 플랜지부(1a)에 실링(sealing)되는 커버체(200)로서, 개봉용 탭부(21)와, 개봉용 탭부(21)의 양측에 형성된 인렬(引裂;breaking) 개시점(22a, 22b)을 가지는 커버체가 개시(開示)되어 있다. 커버체(200)는 적어도 데드 홀드성을 가지는 종이 시트 및 밀봉제 필름을 가지 는 적층 시트로 이루어지므로, 개봉용 탭부(21)를 들어 올리면,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체(200)는 인렬 개시점(22a, 22b)의 연장선(220a, 220b)에 따라 찢어져, 밴드형 플랩부(3)가 생긴다. 잔류한 커버체(2)의 측둘레부(2a, 2b) 및 밴드형 플랩부(3)의 측둘레부(3a, 3b)는, 종이 시트의 인렬면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뾰족뾰족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플랩부(3)가 일어선 상태에서 열수를 주입한 후, 플랩부(3)를 재봉하면, 커버체(200)의 뾰족뾰족한 측둘레부(2a, 2b)와 밴드형 플랩부(3)의 뾰족뾰족한 측둘레부(3a, 3b)가 걸어맞추어져, 플랩부(3)는 확실히 재봉된다. 그러나, 커버체(200)는 데드 홀드성 부여층으로서 종이 시트만을 가지므로, 플랩부(3)의 상승이 충분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본국 특개 2004-83099호는, 충분한 플랩부(3)의 상승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면으로부터 차례로 주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필름, 종이 시트, 및 밀봉제 필름을 가지는 적층 시트로 이루어지는 커버체(300)가 개시되어 있다.
커버체(300)는 데드 홀드성이 우수한 PBT 필름을 가지므로, 일본국 특개 2002-302154호에 기재된 커버체에 비하여, 플랩부(3)의 컬(curl)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커버체(300)는 플랩부(3)가 종이 시트로부터 하면 측의 부분을 전체면에 가지므로, 예를 들면 커버체(300)가 종이 시트로부터 하면 측에 강성(剛性)이 높은 수지 필름 등을 가지는 경우, 플랩부(3)의 상승이 충분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봉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충분한 데드 홀드성을 가지는 즉석 식품 등의 용기용으로 바람직한 커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감안하여 예의 연구의 결과, 본 발명자는, 커버체의 개봉에 의해 얻어지는 플랩부가 큰 컬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층을 전체면에 가지고, 전(全) 층부를 전체면에 갖지 않도록 부분적 용이박리층을 형성하면, 큰 컬성에 의한 우수한 개봉 유지성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제1 용기 밀봉용 커버체는, 종이 시트와, 컬성 플라스틱층과, 부분적 용이박리층을 가지고, 상기 종이 시트가 상기 컬성 플라스틱층보다 아래쪽에 형성되어 용기에 실링되는 것으로서, 외주 에지에 형성된 개봉용 탭부와, 상기 개봉용 탭부의 양측에 형성된 인렬 개시점을 가지고,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인렬 개시점의 인렬 방향 연장선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인렬 개시점으로부터 상기 커버체의 중심을 넘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체에는 당겨벗김 정지 마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인렬 개시점으로부터 상기 당겨벗김 정지 마크의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렬 개시점의 각 인렬 방향 연장선에 따라, 상기 커버체의 아래쪽에 개봉용 하프컷(half cut)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봉용 하프컷의 개시단(開始端)은 상기 인렬 개시점과 약간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체는, 상면으로부터 차례로 적어도 컬성 플라스틱 필름, 종이 시트 및 열 실링성 필름을 가지는 적층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봉용 하프컷은, 적어도 상기 적층 시트 중 상기 종이 시트에까지 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봉용 하프컷은, 상기 종이 시트의 두께 중 적어도 약 30%의 깊이까지 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용기 밀봉용 커버체는, 종이 시트와, 컬성 플라스틱층과, 부분적 용이박리층을 가지고, 상기 종이 시트가 상기 컬성 플라스틱층보다 아래쪽에 형성되어 용기에 실링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로서, 외주 에지에 형성된 개봉용 탭부와, 상기 개봉용 탭부의 하면 측에 형성된 탭부 박리용 하프컷과, 상기 탭부 박리용 하프컷으로부터 중심 측에서 상기 커버체의 아래쪽에 새겨진 열수 주입구 형성용 환형 하프컷을 가지고,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열수 주입구 형성용 환형 하프컷을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탭부 박리용 하프컷으로부터 상기 커버체의 중심을 넘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체에는 당겨벗김 정지 마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탭부 박리용 하프컷으로부터 상기 당겨벗김 정지 마크의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수를 주입한 후 열수를 배출하는 즉석 식품용 용기에 접착되는 본 발명의 제3 용기 밀봉용 커버체는, 제1 또는 제2 커버체의 특징 외에 하기의 특징을 가진다.
즉, 이 용기 밀봉용 커버체는 열수 배출구 형성용 탭부를 가지고, 상기 열수 배출구 형성용 탭부는 한쌍의 절취선과, 상기 한쌍의 절취선의 사이에 개방단을 내측을 향해 상기 커버체의 아래쪽에 새겨진 복수개의 실질적으로 U자형의 하프컷을 가지고, 각 U자형 하프컷은 한쌍의 직선부와 양 직선부의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취선 및 상기 U자형 하프컷의 선단은 모두 상기 커버체의 실링부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U자형 하프컷에 에워싸인 부분 및 상기 한쌍의 직선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열수 배출구 형성용 탭부의 개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직선의 사이에 열수 배출구 형성용 부분적 용이박리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체의 역인렬 방향은 상기 절취선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고, 따라서 상기 열수 배출구 형성용 탭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체를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당겨 벗기면, 상기 절취선 및 상기 U자형 하프컷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커버체가 찢어져 상기 열수 배출구 형성용 부분적 용이박리층보다 하면 측의 부분이 용기 본체의 상단 플랜지부에 밀착한 채로 잔류하고, 복수개의 열수 배출구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U자형 하프컷은 상기 커버체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 까지의 깊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수 배출구 형성용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U자형 하프컷으로부터 상기 열수 배출구 형성형 탭부용의 당겨벗김 정지 마크의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U자형 하프컷의 한쌍의 직선부는 앞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절취선의 선단에는 앞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진 한쌍의 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취선의 선단 및 상기 U자형 하프컷의 한쌍의 직선부의 선단은, 상기 커버체의 실링부의 중심선에 대하여서 외주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취선의 선단 및 상기 U자형 하프컷의 한쌍의 직선부의 선단의 상기 실링부 내에서의 위치는, 외주로부터 상기 실링부의 폭의 30∼50%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절취선의 각 선단으로부터 개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에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U자형 하프컷의 각 선단으로부터 개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에 따라, 상기 커버체의 아래쪽에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수를 주입한 후 열수를 배출하는 즉석 식품용 용기에 접착되는 본 발명의 제4 용기 밀봉용 커버체는, 제1 또는 제2 커버체의 특징 외에 하기의 특징을 가진다.
즉, 이 용기 밀봉용 커버체는, (a) 상기 개봉용 탭부와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직사각형의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이 커버체의 아래쪽에 새겨져 있고, (b)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개봉용 탭부의 인렬 개시점으로부터 개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봉용 탭부로부터 내측의 영역 또는 상기 커버체의 중심을 넘은 영역에서 연결되어 U자형을 이루고, 또한 상기 직사각형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을 에워싸고 있고, (c) 상기 U자형 부분적 용이박리층을 가지지 않는 영역과, 상기 U자형 부분적 용이박리층을 가지는 영역과의 경계 중 개봉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경계를 따라 층 분리용 하프컷이 커버체의 아래쪽에 새겨져 있다.
상기 U자형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이것을 가지지 않는 영역과의 경계 중 개봉 방향으로 직교하는 경계가, 커버체의 중앙부를 향해 만곡된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4 용기 밀봉용 커버체는 모두, 상기 컬성 플라스틱층으로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4 용기 밀봉용 커버체는 모두, 상면 측으로부터 컬성 플라스틱층, 종이 시트, 접착층, 강성 플라스틱 필름 및 밀봉제층을 가지고,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접착층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성 필름은, 1축 배향 또는 배향도가 상이한 2축 배향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접착층의 상면 또는하면, 또는 상기 접착층과 동일 면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의 양측에는, 박리면에 종이 시트가 노출되지 않도록, 접착성 플라스틱(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기 밀봉용 커버체는, 개봉에 의해 얻어진 플랩부가 큰 컬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층을 전체면에 가지고, 전 층부를 전체면에 갖지 않기 때문에, 큰 컬성에 의한 우수한 개봉 유지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개봉시에는 열수를 주입하기 용이하게 플랩부를 크게 기립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부분적 용이박리층을 종이 시트로부터 상면 측에 가지는 경우, 개봉에 의해 얻어진 플랩부에 종이 시트의 뾰족뾰족한 파단면이 노출되어, 종이 시트의 뾰족뾰족한 파단면의 걸어맞춤에 의한 우수한 재봉성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온시에는 플랩부를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리는 것만으로 커버체와 확실히 걸어맞추어, 재봉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분적 용이박리층을 종이 시트보다 상면 측에 가지는 커버체는 개봉 유지성과 재봉성의 양쪽이 우수하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커버체는, 열수를 주입하여 먹는 컵면 등의 즉석 식품용의 커버체로서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우수한 컬성을 가지는 커버체를 구비한 식품용 용기는, 즉석 식품 만아니고, 풍미(風味) 첨가제를 수용하기 위한 소형의 용기로서도 유용하다.
도 1은 컵라면 용기에 접착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용기 밀봉용 커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버체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 X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커버체의 다른 층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컵라면 용기에 접착한 도 1의 커버체를 개봉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컵라면 용기에 접착한 도 1의 커버체를 개봉한 후 재봉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버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커버체의 개봉에 의해 가능한 플랩부를 180˚넓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C-C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버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커버체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커버체의 열수 배출구 형성용 탭부 부근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커버체의 열수 배출구 형성용 탭부 부근을 나타낸 다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D-D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3의 E-E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은 도 13의 열수 배출구 형성용 탭부를 개봉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버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커버체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F-F 확대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G-G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인스턴트 야끼소바용 용기에 접착한 도 20의 커버체의 개봉에 의해 가능한 플랩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컵라면 용기에 접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6은 컵라면 용기에 접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7은 인스턴트 야끼소바용 용기에 접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커버체의 또 다른 층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커버체의 또 다른 층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0은 적층 시트로부터 복수개의 커버체를 천공(穿孔)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1은 컵라면 용기에 접착한 종래의 커버체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2는 컵라면 용기에 접착한 도 31의 커버체가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기 본체
1a: 상단 플랜지부
2, 200, 300: 커버체
2a, 2b, 2c: 종이 시트의 뾰족뾰족한 파단면
20: 적층 시트
201: 컬성 플라스틱 필름
202, 203, 203a, 203b, 205, 206, 206a, 206b, 209, 210: 접착층
204: 종이 시트
207: 강성 플라스틱 필름
208: 차광성 잉크층
211: 밀봉제 필름
212: 알루미늄박
21: 개봉용 탭부
22a, 22b: 인렬 개시점(절취선)
220a, 220b: 인렬 개시점의 연장선
221: 슬릿형 관통공
222: 다른 개봉용 탭부
23, 23a, 23b, 23c: 부분적 용이박리층
230: 경계
24a, 24b: 개봉용 하프컷
240a, 240b: 개봉용 하프컷의 개시단
24c: 열수 주입구 형성용 환형 하프컷
24d: 탭부 박리용 하프컷
24e: 층 분리용 하프컷
25: 실링부
25a: 실링부의 중심선
26, 260: 마크
27: 열수 배출구 형성용 탭부
28a, 28b: 절취선
280a, 280b: 절취선의 직선부
281a, 281b: 절취선의 선단 경사부
282: 연장선
283: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
29: U자형 하프컷
290: 연결부
291: 경사부
292: 연장선
293: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
293':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의 개시단
294: 열수 배출구 형성용 직사각형 하프컷
3: 플랩부
31: 플랩부의 전 층부
32, 32a, 32b: 컬성 부분
3a, 3b, 3c: 종이 시트 층의 뾰족뾰족한 파단면
10: 열수 배출구 형성용 탭부 부근에서 박리되는 부분(해칭 부분)
11: 밴드 편부
12: 열수 배출구
125: 박리성 수지
본 발명의 커버체의 구조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특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낸 부분과 같은 부분에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 따라서,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낸 커버체의 설명을 참조한다.
[1] 커버체의 구조
(1) 제1 커버체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커버체를 나타낸다. 컵라면 용기(1)에 접착되는 커버체(2)는, 개봉용(開封用) 탭부(21)와, 개봉용 탭부(21)의 양측에 형성된 인렬(引裂) 개시점(22a, 22b)을 가진다. 한쌍의 인렬 개시점(22a, 22b)의 인렬 방향 연장선(220a, 220b)의 외측에 부분적 용이박리층(23a, 23b)이 형성되어 있다. 인렬 개시점(22a, 22b)은 절취선이라도 노치라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렬 개시점(22a, 22b)으로서 절취선을 예로 들어, 다음에 설명한다.
한쌍의 절취선(22a, 22b)의 간격 d1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수(熱水)를 주입하는 컵면의 경우, 용기 본체(1)의 상단 플랜지부(1a)의 외경을 약 10cm로 하면, 절취선(22a, 22b)의 간격 d1는 약 4∼8c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먹을 때에 커버체(2)를 전체면 개봉하기 위하여, 커버체(2)에 또 하나의 개봉용 탭부를 외주 에지의 대향 위치에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절취선(22a,22b)의 선단은, 내용물의 밀봉 을 위하여, 커버체(2)의 실링부(25)(용기 본체(1)의 상단 플랜지부(1a))에 열 실링되는 부분)에 위치한다.
연속된 적층 시트(20)를 뚫어 커버체(2)를 고속으로 제조하는 경우의 공차(公差)는 약 1mm이므로, 한쌍의 절취선(22a, 22b)의 선단은, 커버체(2)의 실링부(25)의 중앙선(25a)보다 외측인 것이 바람직하고, 외주로부터 실링부(25)의 폭의 30∼ 50%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외주로부터 실링부(25)의 폭의 30∼40%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부분적 용이박리층(23a, 23b)은 커버체(2)의 중심 O를 넘는 위치까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적 용이박리층(23a, 23b)을 적어도 당겨벗김 정지 마크(26)의 위치까지 형성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선(220a, 220b)을 따라 개봉용 하프컷(24a, 24b)이 커버체(2)의 아래쪽에 새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봉용 하프컷(24a, 24b)을 형성함으로써, 커버체(2)의 인열 즉 찢어짐이 용이하게 된다. 단, 한쌍의 절취선(22a, 22b)과, 개봉용 하프컷(24a, 24b)의 개시단(240a, 240b)은 약간 이격되어 있지 않으면 않된다. 왜냐하면, 개봉전은 커버체(2)가 조금의 간극도 없이 용기 본체(1)에 열 실링되어 있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한쌍의 절취선(22a, 22b)과 개봉용 하프컷(24a, 24b)의 개시단(240a, 240b)의 거리 d2는 1∼1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2∼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개봉용 하프컷(24a, 24b)은, 커버체(2)의 중심 O를 넘는 위치까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봉용 하프컷(24a, 24b)을 당겨벗김 정지 마크(26)의 위치까지 형성한다.
커버체(2)의 층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커버체(2)는, 컬성 플라스틱(PBT) 필름(201),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렌층(203a), 접착층(202),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렌층(203b), 종이 시트(204), 접착층(205),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렌층(206), 강성 플라스틱(PET) 필름(207), 차광성 잉크층(208), 접착층(209),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렌층(210), 및 밀봉제층(211)으로 이루어진다. 부분적 용이박리층(23a, 23b)은 접착층(202)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개봉용 하프컷(24a, 24b)은, 커버체(2)의 하면으로부터 밀봉제층(211), 폴리에틸렌층(210), 접착층(209), 차광성 잉크층(208), 강성 플라스틱 필름(207), 폴리에틸렌층(206), 접착층(205)을 관통하여 종이 시트(204)의 일부에 도달하고 있다. 개봉용 하프컷(24a, 24b)은, 종이 시트(204)의 두께 d3의 적어도 약 30%에 상당하는 깊이 d4에 이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개봉용 하프컷(24a, 24b) 대신에, 연장선(220a, 220b)에 따른 미싱눈을 종이 시트(22)에만 형성해도 된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컬성 플라스틱(PBT) 필름(201)과 종이 시트(204)와의 사이의 한쌍의 폴리에틸렌층(203a, 203b) 사이에 접착층(202)이 형성되어 있고, 접착층(202)의 일부가 부분적 용이박리층(23b)으로 되어 있다. 부분적 용이박리층(23b)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형(点形)의 박리성 수지(125)가 접착층(202)에 균일하게 분포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층(202)의 상면 측 또는 하면 측에 박막형으로 도포된 박리성 수지층이 라도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커버체(2)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부분적 용이박리층(23a, 23b)은, 종이 시트(204)와 강성 플라스틱(PET) 필름(207) 사이의 한쌍의 폴리에틸렌층(206a, 206b)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205)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개봉용 하프컷(24a, 24b)은, 커버체(2)의 하면으로부터 밀봉제층(211), 폴리에틸렌층(210), 접착층(209), 차광성 잉크층(208), 강성 플라스틱 필름(207), 폴리에틸렌층(206b)을 관통하여, 접착층(205)에 도달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적층 시트(20)로 이루어지는 커버체(2)의 개봉용 탭부(21)를 끌어올리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체(2)는 용기(1)의 상단 플랜지부(1a)로부터 박리되고, 연장선(220a, 220b)에 따라 찢어져, 부분적 용이박리층(23a, 23b)에 의해 컬성 플라스틱(PBT) 필름(201)이 종이 시트(204)보다 하면 측의 부분으로부터 분리된다. 연장선(220a, 220b)에서는 종이 시트(204)가 찢어지므로, 잔류하는 커버체(2)의 측에 뾰족뾰족한 파단면(2a, 2b)이 생기는 것과 동시에, 플랩부(3)에도 뾰족뾰족한 파단면(3a, 3b)이 생긴다. 그러므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랩부(3)를 재봉했을 때, 커버체(2)의 뾰족뾰족한 파단면(2a, 2b)과 플랩부(3)의 뾰족뾰족한 파단면(3a, 3b)이 확실히 걸어맞추어져, 플랩부(3)의 재봉을 확실하게 한다.
커버체(2)를 구성하는 적층 시트(20)의 강성 플라스틱(PET) 필름(207)이 용이 인렬성을 가지는 경우, 개봉용 하프컷(24a, 24b)을 생략할 수 있다. 왜냐하면, 커버체(2)를 구성하는 적층 시트(20)의 강성 플라스틱(PET) 필름(207)이 용이 인렬 성을 가지는 경우, 그 역인렬 방향을 커버체(2)의 인렬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시킴으로써, 개봉용 탭부(21)를 가지고 커버체(2)를 박리할 때, 커버체(2)가 한쌍의 절취선(22a, 22b)으로부터 역인렬 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직선적으로 찢어지기 때문이다.
또 부분적 용이박리층(23a, 23b)의 영역에서는, 플랩부(3)의 전 층부(31)의 양측에는 실질적으로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으로 이루어지는 컬성 부분(32a, 32b)만이 붙으므로, 플랩부(3)의 컬성은 매우 크다. 따라서, 커버체(2)를 개봉한 채로의 상태에서, 컵라면 용기(1)는 열수를 주입하는데 충분한 폭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부분적 용이박리층(23a, 23b)을 종이 시트(204)로부터 상면 측에 가지는 커버체(2)는 개봉 유지성과 재봉성의 양쪽이 우수하다.
(2) 제2 커버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커버체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부재 또는 부분에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컵라면 용기(1)에 접착되는 커버체(2)는, 개봉용 탭부(21)와 탭부(21)의 하면 측에 형성된 탭부 박리용 하프컷(24d)과, 탭부 박리용 하프컷(24d)보다 중심 측에서 커버체(2)의 아래쪽에 새겨진 열수 주입구 형성용 환형 하프컷(24c)과, 열수 주입구 형성용 환형 하프컷(24c)을 에워싸도록 형성된 부분적 용이박리층(23)을 가진다.
열수 주입구 형성용 환형 하프컷(24c)은 열수를 주입하는데 충분한 크기를 가지면 된다. 열수 주입구 형성용 환형 하프컷(24c)은, 열수 주입구가 형성되도록 환형(環形)이면 되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원형 이외에 직사각형, 사다리 꼴 형상 등이라도 된다.
부분적 용이박리층(23)은 개봉용 탭(21)에 형성된 탭부 박리용 하프컷(24d)으로부터 커버체(2)의 중심 O를 넘는 위치까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적 용이박리층(23)을 적어도 당겨벗김 정지 마크(26)의 위치까지 형성한다.
도 12에 나타낸 예에서는, 커버체(2)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층 구성을 가지고, 부분적 용이박리층(23)은,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과 종이 시트(204)와의 사이의 한쌍의 폴리에틸렌층(203a, 203b) 사이의 접착층(202)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열수 주입구 형성용 환형 하프컷(24c) 및 탭부 박리용 하프컷(24d)은, 커버체(2)의 하면으로부터 밀봉제층(211), 폴리에틸렌층(210), 접착층(209), 차광성(遮光性) 잉크층(208), 강성 플라스틱 필름(207), 폴리에틸렌층(206), 접착층(205), 종이 시트(204)를 관통하여 접착층(202)에 도달하고 있다.
그러므로, 개봉용 탭부(21)를 끌어올리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적 용이박리층(23)에 의해 컬성 플라스틱(PBT) 필름(201)이 종이 시트(204)보다 하면 측의 부분으로부터 분리된다. 잔류하는 커버체(2)의 측에 뾰족뾰족한 파단면(2c)이 생기는 것과 동시에, 플랩부(3)에도 뾰족뾰족한 파단면(3c)이 생기므로, 제1 커버체와 마찬가지로 플랩부(3)의 재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 커버체와 마찬가지로, 부분적 용이박리층(23)의 영역에서는, 플랩부(3)의 전 층부(31)의 주위에는 실질적으로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으로 이루어지는 컬성 부분(32)만을 새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주입구 형성용 하프컷(283, 293)을 새김으로써, 커버체(2)의 인렬성이 향상된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체(2)의 실링성의 관점으로부터,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U자형 하프컷(29)의 각 경사부(291)의 선단과,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293)의 개시단(293')은, 실링부(25) 내에 있어서, 약간 이격되어 있지 않으면 않된다. 각 경사부(291, 291)의 각 선단과,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293)의 개시단(293')과의 거리 d9는 1∼1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2∼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각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283, 293)의 종단은, 상단 플랜지부로부터 수c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체(2)를 용이 인렬성을 가지는 적층 시트(20)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그 역인렬 방향을 커버체(2)의 인렬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열수 배출구 형성용 탭부(27)를 가지고 커버체(2)를 박리할 때, 커버체(2)는 한쌍의 절취선(28a, 28b)의 선단 및 각 U자형 하프컷(29)의 선단으로부터 역인렬 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직선적으로 찢어진다. 또 커버체(2)가 용이 인렬성을 가지는 경우,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283, 293)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예에서는, 커버체(2)는 도 4에 나타낸 적층 시트(20)와 같은 층 구성을 가지고, 부분적 용이박리층(23c)은, 종이 시트(204)와 강성 플라스틱 필름(207)와의 사이의 한쌍의 폴리에틸렌층(206a, 206b) 사이의 접착층(205)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U자형 하프컷(29)은, 커버체(2)의 하면으로부터 밀봉제층(211),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렌층(210), 접착층(209), 차광성 잉크층(208), 강성 플라스틱(PET) 필름(207) 및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렌층(206b)을 관통하 여, 접착층(205)에 도달하고 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283)은, 커버체(2)의 상면으로부터 종이 시트(204)의 일부에 도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종이 시트(204)의 두께 중 적어도 약 30%에 상당하는 깊이까지 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293)은, U자형 하프컷(29)과 동일하게, 커버체(2)의 하면으로부터 접착층(205)에 도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수 배출구 형성용 탭부(27)를 가지고 커버체(2)를 해칭으로 나타낸 부분(10)만 용기 본체(1)로부터 벗기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열수 배출구(12)가 얻어지고, U자형 하프컷(29)에 의해 에워싸인 부분 및 그 연장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밴드편부(11)는, 부분적 용이박리층(23c)에 의해 강성 플라스틱(PET) 필름(207)보다 하면 측의 부분이 용기 본체(1)의 상단 플랜지부(1a)에 밀착된 채로 잔류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체(2)에는, 용기 내의 즉석 식품(야끼소바 등)이 새지 않고 효율적으로 열수 주입이 가능한 위치에, 박리 한계를 나타내는 마크(26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크(260)의 위치는, 열수 배출구(12)의 길이가 약 1∼5cm로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적 용이박리층(23c)의 길이는, 형성해야 할 열수 배출구(1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하면 된다.
그리고, 제3 커버체는, 커버체(2)의 개봉 유지 기능에 관해서, 제2 커버체의 특징을 구비하는 것이라도 된다.
(4) 제4 커버체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커버체를 나타낸다. 도 20 및 (21)에 있어서 도 1 ∼ 도 3과 같은 부재 또는 부분에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커버체(2)는, (a) 개봉용 탭부(21)와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열수 배출구 형성용 직사각형 하프컷(294)이 커버체(2)의 아래쪽에 새겨져 있고, (b) 부분적 용이박리층(23)이 연장선(220a, 220b)을 경계로 하여 탭부(21)의 인렬 개시점으로부터 개봉 방향으로 연장되고, 커버체(2)의 중심 O을 넘은 영역에서 연결되어 U자형을 이루고, 또한 열수 배출구 형성용 직사각형 하프컷(294)을 에워싸고 있고, (c) U자형 부분적 용이박리층(23)을 갖지 않는 영역과, U자형 부분적 용이박리층(23)을 가지는 영역과의 경계 중 개봉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경계(230)에 따라 층 분리용 하프컷(24e)이 커버체(2)의 아래쪽에 새겨져 있는 이외에, 제1 커버체와 실질적으로 같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적 용이박리층(23)은, 이것을 갖지 않는 영역과의 경계(230)가, 커버체(2)의 중앙부를 향해 만곡된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적 용이박리층(23)은, 반드시 커버체(2)의 중심 O를 넘은 영역에서 연결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개봉용 탭부(21)보다 내측의 영역(탭부(21)로부터 중심 O까지의 영역)에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도 22에 나타낸 예에서는, 커버체(2)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층 구성을 가지고, 부분적 용이박리층(23)은,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과 종이 시트(204)와의 사이의 한쌍의 폴리에틸렌층(203a, 203b) 사이의 접착층(202)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층 분리용 하프컷(24e)은, 커버체(2)의 하면으로부터 밀봉제층(211), 폴리에 틸렌층(210), 접착층(209), 차광성 잉크층(208), 강성 플라스틱 필름(207), 폴리에틸렌층(206), 접착층(205), 종이 시트(204)를 관통하여 접착층(202)에 도달하고 있다. 또,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수 배출구 형성용 직사각형 하프컷(294)도 커버체(2)의 하면으로부터 접착층(202)에 도달하고 있다.
그러므로 야끼소바를 먹는 경우, 커버체(2)의 개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열수를 주입하고, 이어서 커버체(2)를 닫은 상태에서 소정 시간 유지한 후, 개봉용 탭(21)을 가지고 커버체(2)를 다시 개봉 방향으로 인장시키면,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적 용이박리층(23)에 의하여,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이 종이 시트(204)보다 하면 측의 부분으로부터 모두 분리되어, 열수 배출구(1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커버체는, 커버체(2)의 개봉 유지 기능에 관해서, 제2 커버체의 특징을 구비하는 것이라도 된다.
(5) 그 외의 예
제1 내지 제4 커버체의 형상은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변경시키지 않는 한 각종의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도 25는, 개봉용 탭부(21) 중 상단 플랜지부(1a)의 외프레임에 상당하는 위치에, 슬릿형 관통공(221)을 형성한 커버체(2)를 나타낸다. 이 커버체(2)는, 슬릿형 관통공(221) 이외에는 제1 커버체와 같다. 이 커버체(2)를 구비한 용기에서는, 개봉한 커버체(2)를 원래의 폐쇄 위치로 되돌렸을 때, 슬릿형 관통공(221)에 상단 플랜지부(1a)를 걸어맞추어지므로, 재봉성이 향상된다. 슬릿형 관통공(221) 대신에 절취선을 형성해도 된다.
도 26은, 커버체(2)에 슬릿형 관통공(221) 및 다른 탭부(222)를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이 커버체(2)는, 슬릿형 관통공(221) 및 탭부(222) 이외에는 제1 커버체와 같다. 슬릿형 관통공(221)에 탭부(222)를 걸어맞춤으로써, 커버체(2)의 개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7에 나타낸 커버체(2)는, 네모진 인스턴트 야끼소바용 용기(1)에 접착하는 것이며, 개봉용 탭부(21)와 열수 배출구 형성용 탭부(27)가 대략 대각선 상의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2)의 구조 자체는 제3 커버체와 같다.
제3 및 제4 커버체의 열수의 배출 기능에 관해서는, 일본국 특개평 2000-10914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열수 주입구를 가지는 영역에 부분적 용이박리층을 형성하고, 커버체(2)의 아래쪽에 부분적 용이박리층에 도달하는 열수 배출구 형성용의 복수개의 원형 하프컷을 새긴 구성으로 해도 된다
[2] 커버체의 층 구성
본 발명의 커버체(2)의 층 구성은 한정적은 아니지만,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예 이외의 바람직한 층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에 나타낸 적층 시트(20)는, 강성 플라스틱 필름(207)을 갖지 않는 이외는 도 4에 나타낸 적층 시트(20)와 같다. 도 29에 나타낸 적층 시트(20)는, 차광성 부여층으로서 차광성 잉크층(208) 대신에 알루미늄박(212)을 가지는 이외에는 도 4에 나타낸 예와 같다.
이하, 각 층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컬성 플라스틱 필름
본 발명의 커버체(2)는, 종이 시트(204)의 외측에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을 가진다.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PBN)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들 수 있다. PBT 필름 및 PET 필름은 시판품으로서 염가로 입수할 수 있다. 특히 PBT 필름은 데드 홀드성, 보향성(保香性), 가스 장벽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PBT 필름은, 기본적으로 1,4-부탄디올과 테레프탈산으로 이루어지는 포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단 열수축성 등의 물성(物性)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1,4-부탄디올 이외의 디올 성분, 또는 테레프탈산 이외의 카르본산 성분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해도 된다. 그와 같은 디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4-시클로 헥산 메타놀 등을 들 수 있다. 또 디카르본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 세바신산, 아디핀산, 아제라인산, 호박산 등을 들 수 있다. PBT 필름을 구성하는 PBT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도오레(주)로부터 상품명 「도레콘」이라고 시판되고 있는 호모 PBT 수지를 들 수 있다.
PET 필름은, 기본적으로 에틸렌글리콜과 테레프탈산으로 이루어지는 포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단 PET 필름의 특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에틸렌글리콜 이외의 디올 성분, 또는 테레프탈산 이외의 카르본산 성분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해도 된다. 그와 같은 디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1,4-부탄 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4-시클로 헥산 메타놀 등을 들 수 있고, 또 디카르본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 세바신산, 아디핀산, 아제라인산, 호박산 등을 들 수 있다. PET 필름은, 예를 들면 도오레(주)의 「루미라」나, 도요 방적(주)의 「동양방 에스테르 필름」이나, 니치카(주)의 「엔블렛 PC」 등과 같이, 통상 2축 연신(延伸) 필름으로서 시판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단일 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된다. 수지 성분의 조합으로서는, 복수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조합 외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그 특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한 것을 들 수 있다. 다른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폴리아미드(PA);폴리이미드(PI);폴리아미드이미드(PAI);폴리에테르 설폰(PES);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폴리카보네이트;폴리우레탄;불소 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폴리염화비닐;열가소성 일래스터머 등을 들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으로서 PBT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필름 원료인 PBT 수지가 폴리에틸렌을 함유하고 있으면, 필름 제조시의 성막성이 향상되고, 막두께의 균일성이 우수한 PBT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그 비율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전체를 100질량%로 하여 5∼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1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1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특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하는 용어 「PET 필름」 및 「PBT 필름」은 각각, PET 또는 PBT의 단체(單體)만아니라, PET 또는 PBT+다른 열가소성 수지 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은, 즉석 식품용 용기의 용도에 따라, 가소제, 산화방지제나 자외선 흡수제 등의 안정제, 대전 방지제, 계면활성제, 염료나 안료 등의 착색제, 유동성의 개선을 위한 윤활제, 무기 충전제 등의 첨가제를 적당히 함유해도 된다.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의 두께는 실용적으로는 약 5∼5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의 두께를 약 5μm 미만으로 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곤란하다. 또,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의 두께를 약 50μm 초과하면 비용이 높아진다. 바람직하게는 10∼30μm이다. 약 5∼50μm의 두께의 PBT 필름은 충분한 데드 홀드성, 보향성 및 가스 장벽성을 가진다.
PBT 필름의 열수축율은, MD(기계 방향) 및 TD(폭 방향)모두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수축율은 PBT 필름을 150°에서 10분간 가열함으로써 측정한 것이다. 열수축율이 2% 이하의 PBT 필름은, 공냉(空冷) 인플레이션 성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PBT 필름을 공냉 인플레이션 성형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WO 2004/026558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가 있다.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에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형 자국 및/또는 다수의 미세공을 형성하면, 커버체(2)의 직선 용이 파열성이 향상된다.
(2) 투명 수지 코팅층
PBT 필름(201)의 상면에 투명 수지 코팅층을 형성하면, PBT 필름(201)은, 미세한 표면 요철(凹凸)이 흡수되어 투명성 및 고선영성(高鮮映性)을 획득한다. 그러 므로, PBT 필름(201)을 통해 보이는 인쇄층이 미려하고 또한 선명해진다. 투명 수지는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중 어느 하나라도 되지만,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되는 점에서 수용성의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투명 수지로서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 셀룰로오스계 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 아크릴 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은 음이온, 양이온, 아세탈 등에 의해 변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폴리 초산비닐 부분 겐화물 등이라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重合度)는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수용성 투명 수지로서는,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자외선 경화성 불포화 아크릴 수지, 자외선 경화성 불포화 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수지 코팅층의 두께는 한정적은 아니지만, 1∼5μm가 바람직하고, 2∼4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 코팅층의 두께가 1μm 미만이면, 인쇄의 선명성의 향상이 불충분하고, 또 5μm을 넘으면 비용이 높아진다.
(3) 종이 시트
종이 시트(204)는, 데드 홀드성 부여층으로서 기능한다. 용지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고, 합성지도 포함한다. 종이 시트(204)의 무게는, 약 60∼120g/m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약 75∼110g/m2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종이 시트(204)의 무게가 약 60g/m2 미만이면, 종이 시트가 탄력이 너무 없어, 충분한 데드 홀드성을 부여할 수 없다. 한편, 종이 시트(204)의 무게를 약 120g/m2 넘게 해도, 비용이 높아질 뿐, 새로운 데드 홀드성의 향상은 인정되지 않는다.
(4) 강성 플라스틱 필름
강성 플라스틱 필름(207)은 바람직하게는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커버체(2)의 직선 용이 파열성을 높이기 위하여, PET 필름으로서 1축 배향 또는 배향도가 상이한 2축 배향의 PET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도가 상이한 2축 배향의 PET 필름은, 「엔블렛 PC」(유니치카(주))로서 시판되고 있다. 또 강성 플라스틱 필름(207)에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형 자국 및/또는 다수의 미세공을 형성하면, 커버체(2)의 직선 용이 파열성이 향상된다. 커버체(2)의 직선 용이 파열성의 방향은 개봉용 하프컷(24a, 24b)과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두께는 필요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된다.
(5) 차광성 부여층
일광이나 자외선에 의한 즉석 식품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체(2)는 차광성 잉크층(208) 또는 알루미늄박(212)을 가진다. 차광성 잉크(208)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과 같은 흑색 또는 암색(暗色)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잉크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차광성 잉크층(208)은, 소각 처리시에 환경에의 악영향이 없다는 이점을 가지는 동시에, 밀봉한 용기 내의 금속계 이물질의 탐지를 금속 탐지기에 의해 행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따라서, 즉석 식품의 안전성이 한층 더 높아질 뿐만 아니라, 금속 탐지기의 이용에 의해 검사 비용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알루미늄박(212)은 우수한 차광성, 가스 장벽성, 보향성 등을 가진다.
차광성 잉크층(208)의 두께는 잉크 중의 흑색 안료스는 염료의 농도에 의존하지만, 일반적으로 자외선 및 가시광선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는 정도이면 된다. 알루미늄박(212)의 두께는 3∼15μm가 바람직하고, 7∼12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6) 밀봉제층
용기 본체(1)의 상단 플랜지부(1a)에 열 실링하는 층은 밀봉제 필름(211) 또는 핫멜트층이다. 밀봉제 필름(211)은, 폴리에틸렌 필름,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 커버체(2)를 용기 본체(1)로부터 용이하게 박리 가능하도록, 밀봉제 필름(211)은 용이 벗김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밀봉제 필름(211)은 비교적 약한 열접착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핫멜트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밀봉제 필름(211)으로서 예를 들면 종이 시트(204) 측으로부터 차례로 폴리에틸렌 베이스 필름과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필름을 가지는 적층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폴리에틸렌 베이스 필름의 두께는 약 10∼40μm가 바람직하고, 약 20∼3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필름의 두께는 약 5∼20μm가 바람직하고, 약 7∼15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적층 폴리에틸렌 필름은, 예를 들면 760FD(도오레 합성 필름(주)제)로서 시판되고 있다. 또 밀봉제 필름(211)으로서는,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EVA)와 폴리에틸렌과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이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필름에 있어서, 폴리에틸렌으로서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이 바람직하다. 이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필름의 두께도 약 10∼40μm가 바람직하고, 약 20∼3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핫멜트층의 두께는 10∼50μm가 바람직하고, 20∼4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밀봉제 필름(211)으로서, 에틸렌과 탄소수 3∼18의 α-올레핀을 공중합하여 얻어진 직쇄상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밀도(JISK6922):0.870∼0.910g/cm3, MFR(JlS K6921, 190℃, 2.16kg 하중): 1∼100g/10분] 및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밀봉제 필름(일본국 특개 2004-26190호)을 들 수 있다. 이 밀봉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열 실링층을 가지는 커버체(2)를 용기 본체(1)에 열 실링하면, 밀봉성과 용이 개봉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커버체(2)에 우수한 직선 인렬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밀봉제 필름(211)에,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형 자국 및/또는 다수의 미세공을 형성해도 된다.
(7) 접착층
접착층에 특히 제한은 없지만, 접착성을 가지는 필름형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종이 시트(204)의 상면에 문자나 도안 등의 인쇄층을 가지는 경우,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과 종이 시트(204)를 접착하는 층(202) 및 (203(203a, 203b))에는 투명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접착제는 투명성을 가지는 것인 한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예를 들면 상품명 「록 본드 RU-40」, 록 페인트(주)제),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 수지(EVA), 폴리비닐 아세탈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부티랄(PVB 수지), 변성 PVB 등), 염화 비닐 수지 등 을 들 수가 있다.
종이 시트(204)보다 하층의 접착층(205, 206(206a, 206b), 208) 및 (209)에는, 핫멜트, 압출 라미네이션한 폴리에틸렌 등이 사용할 수 있다.
(8) 부분적 용이박리층
부분적 용이박리층(23)(23a, 23b, 23c)을 형성하는 재료는,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부티랄 수지, 염화 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초화면(硝化綿) 등이다. 필요에 따라 소량의 실리콘, 왁스 등을 첨가해도 된다. 용이박리층은 상기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를 종이 시트(204) 또는 PBT 필름(201)에 인쇄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부분적 용이박리층(23)은 접착층의 상면 또는 하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해도 되지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형의 목표 용이박리성 수지를 접착층 내에 균일하게 분포시켜도 된다. 부분적 용이박리층(23)은 각 하프컷(24a∼24e, 29, 283, 293) 및 (294)와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어 있지 않으면 않되므로, 커버체(2)의 원반(原盤)(적층 시트(20))를 형성할 때, 종이 시트(204) 또는 플라스틱 필름(201)의 인쇄층과 정합(整合)시켜 그라비아 인쇄 등의 방법에 의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각 필름의 예비 가공
(1) 선형 자국의 형성
커버체(2)의 용이 파열성을 높이기 위하여,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 강성 플라스틱 필름(207) 및 밀봉제 필름(2U) 중 적어도 하나에,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형 자국을 형성해도 된다.
필름 강도와 양호한 직선적 용이 파열성을 양립시키기 위하여, 선형 자국의 깊이는 각 필름의 두께의 1∼40%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0. 1∼1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 자국의 폭은 0. 1∼1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선형 자국끼리의 간격은 10∼20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필름(201, 207) 및 (211)에 선형 자국을 형성하는데, 예를 들면 WO 03/091003에 개시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다수의 모스 경도 5 이상의 미립자를 표면에 가지는 롤 또는 플레이트에, 연속 주행하는 필름을 가압하면서 슬라이드 접촉시킴으로써, 필름에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형 자국을 형성한다. 미립자로서는 다이아몬드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필름을 롤 또는 플레이트에 가압하는 수단으로서는, 공기를 분사 수단, 또는 필름에 슬라이드 접촉시키는 브러시가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진 선형 자국은 필름을 관통하고 있지 않으므로, 선형 자국을 형성한 PET 필름을 강성 플라스틱 필름(207)으로서 사용해도, 충분한 보향성 및 가스 장벽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선형 자국은 각 필름(201, 207) 및 (211) 중 적어도 한쪽 면에 전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각 필름(201, 207) 및 (211)은, 필름 자체의 배향성(配向性)에 관계없이 일방향의 직선적 용이 파열성이 부여되고, 임의의 부위로부터 선형 자국에 따라 직선적으로 찢어질 수 있다.
(2) 미세공의 형성
커버체(2)의 용이 파열성을 높이기 위하여,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 강성 플라스틱 필름(207) 및 밀봉제 필름(211) 중 적어도 하나에,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 에 의해 다수의 미세공을 전체면에 형성해도 된다.
미세공은, 0. 5∼100μm의 평균 개구 직경 및 약 500개/cm2 이상의 분포 밀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공의 분포 밀도가 약 5OO개/cm2 미만이면, 인렬성이 불충분하다. 필름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미세공의 분포 밀도는 1×103∼1×104개/cm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3∼5×103개/cm2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각 필름(201, 207) 및 (211)에 미세공을 형성하는 데,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063411호 및 일본국 특개 2002-59487호에 개시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063411호의 방법에서는, 예리한 코너부를 가지는 다수의 모스 경도 5 이상의 미립자가 표면에 부착된 제1 롤(상기 선형 자국 형성용 롤)과, 표면이 평활한 제2 롤 사이를 균일한 가압력을 받으면서 필름이 통과하므로, 필름에 미세공이 다수 형성된다. 제2 롤로서는, Ni도금, Cr도금 등을 행한 철계(鐵系) 롤, 스테인레스계 롤, 특수강 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미세공을 밀봉제 필름(211)에 형성하는 경우, 미세공은 관통공 또는 미관통공 중 어느 하나라도 된다. 미세공을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 또는 강성 플라스틱 필름(207)에 형성하는 경우, 용기의 밀봉성의 관점으로부터 미세공은 미관통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롤 및 제2 롤 사이의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관통공 및 미관통공의 한쪽 또는 양쪽을 형성할 수 있다.
[4] 커버체의 제조 방법
(1)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적층 시트(20)를 형성하는 경우, 장척(長尺)의 종이 시트(204)의 상면에 부분적 용이박리층(23a, 23b)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형성하고, 하면에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면 측에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을 적층하는 동시에 하면 측에 강성 플라스틱 필름(207)과 차광성 잉크층(208)과 밀봉제 필름(211)의 적층 필름을 적층한다. 각 필름(207) 또는 (211)에는, 필요에 따라 미리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형 자국 및/또는 다수의 미세공을 형성해도 된다. 각 필름(207) 또는 (211)의 용이 파열성 방향은 장척의 종이 시트(204)의 길이 방향과 일치시킨다.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을 종이 시트(204)에 적층하는 경우,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에 탄성 변형 영역(1∼3%의 신장도) 내의 MD 방향 연신을 행한 상태에서 종이 시트(204)에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적층 시트(20)에 컬성을 부여할 수 있다.
1∼3%의 연신을 행하는 데는,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에 10-20kgf/m폭의 장력이 걸리게 하면 된다.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을 연신하지 않고 종이 시트(204)로 접착하는 경우,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에 걸치는 장력은 5kgf/m폭 이하이다. 탄성변형 가능하게 연신할 수 있는 수지로서는, PBT가 매우 적합하다.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에 장력을 걸면서 종이 시트(204)로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시트(20)는,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에 반하는 컬성을 가지므로,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을 외측으로 하여 감겨진다. 이로써, 되감았을 때 적층 시트 (20)는 실질적으로 컬되지 않는다(물론 적층 시트(20)는 경시적으로는 컬된다). 적층 시트(20)는 당분간 평탄한 그대로이므로, 커버체(2)로의 구멍뚫기/열 실링의 작업에 지장은 없다. 열 실링한 커버체(2)가 용기 본체(1)로부터 박리되면, 커버체(2)는 컬된 상태로 된다.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으로서 PBT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PBT의 형상 기억성을 이용하여 적층 시트(20)에 컬 형상을 기억시킬 수 있다. 컬 형상을 기억한 PBT 적층 시트(20)를 제작하는 데는, 예를 들면 WO 2004/026577에 기재된 2가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제1 방법은, (a) PBT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20)를, 컬 형상으로 유지하면서 PBT의 유리 전이 온도 Tg 이하의 온도 T1에서 부형(賦形) 처리(냉간(冷間) 가공)하고, (b) 부형 적층 시트(20)를, Tg를 초과하는 온도 T2에서 평탄한 형상으로 변형되고, (c) Tg 이하의 온도 T3까지 냉각하여 평탄한 형상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또 제2 방법은, (a)(i) PBT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20)를 컬 형상으로 유지하면서 Tg초(超)∼융점 미만의 온도 T4에서 부형 처리하거나, (ii) PFT 필름을 컬 형상으로 유지하면서 온도 T4에서 부형 처리한 후, 종이 시트(204)를 포함하는 필름 적층체와 적층함으로써 컬 형상을 가지는 적층 시트(20)를 제작하고, (b) 부형 적층 시트(20)를 Tg 이하의 온도 T5까지 냉각하여 컬 형상으로 고정하고, (c) 부형 적층 시트(20)를 Tg초∼T4 미만의 온도 T6에서 평탄한 형상으로 변형시키고, (d) Tg 이하의 온도 T7까지 냉각하여 평탄한 형상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이들 방법으로 제작한 형상 기억 PBT 적층 시트(20)는 평탄하지만, 그 후 구멍뚫기 가공/열실링된 커버체(2)는 컬성을 회복하고 있으므로, 용기 본체(1)로부터 박리하면 컬된다.
(2) 구멍뚫기/하프컷 가공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 시트(20)를 컬성 플라스틱 필름(201) 측을 위로 하여 탑재하고, 복수개의 펀치에 의해 구멍뚫기/하프컷 가공을 행하면, 한번에 복수개의 커버체(2)를 제작할 수 있다. 구멍뚫기/하프컷 가공 자체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한쌍의 절취선(22a, 22b), 개봉용 하프컷(24a, 24b), U자형 하프컷(29), 및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283, 293, 294)의 방향은, 장척의 종이 시트의 길이 방향과 일치시킨다. 구멍뚫기 가공과 하프컷 가공은 동시에 행해도, 연속적으로 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변경하지 않는 한 각종의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분적 용이박리층의 층 내의 위치는, 박리한 한쪽이 큰 컬성을 가지는 한 어디라도 된다.
본 발명의 용기 밀봉용 커버체는, 개봉에 의해 얻어진 플랩부가 큰 컬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층을 전체면에 가지고, 전 층부를 전체면에 갖지 않기 때문에, 큰 컬성에 의한 우수한 개봉 유지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개봉시에는 열수를 주입하기 용이하게 플랩부를 크게 기립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부분적 용이박리층을 종이 시트로부터 상면 측에 가지는 경우, 개봉에 의해 얻어진 플랩부에 종이 시트의 뾰족뾰족한 파단면이 노출되고, 종이 시트의 뾰족뾰족한 파단면의 걸어맞춤에 의한 우수한 재봉성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온시에는 플랩부를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리는 것만으로 커버체와 확실히 걸어맞추어, 재봉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분적 용이박리층을 종이 시트로부터 상면 측에 가지는 커버체는 개봉 유지성과 재봉성 모두 우수하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커버체는, 열수를 주입하여 먹는 컵면 등의 즉석 식품용의 커버체로서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우수한 컬성을 가지는 커버체를 구비한 식품용 용기는, 즉석 식품 만아니고, 풍미 첨가제를 수용하기 위한 소형의 용기로서도 유용하다.

Claims (27)

  1. 종이 시트와, 컬(curl)성 플라스틱층과, 부분적 용이박리층을 가지고, 상기 컬성 플라스틱층으로부터 상기 종이 시트를 아래쪽으로 하여 용기에 실링(sealing)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로서, 외주 에지에 형성된 개봉용(開封用) 탭부(tap part)와, 상기 개봉용 탭부의 양측에 형성된 인렬(引裂;breaking) 개시점을 가지고,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인렬 개시점의 인렬 방향 연장선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인렬 개시점으로부터 상기 커버체의 중심을 넘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에는 당겨벗김 정지 마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인렬 개시점으로부터 상기 당겨벗김 정지 마크의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렬 개시점의 각 인렬 방향 연장선에 따라 상기 커버체의 아래쪽에 개 봉용 하프컷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용 하프컷의 개시단은 상기 인렬 개시점과 약간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상면으로부터 차례로 적어도 컬성 플라스틱 필름, 종이 시트 및 열 실링성 필름을 가지는 적층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봉용 하프컷은, 적어도 상기 적층 시트 중의 상기 종이 시트에 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용 하프컷은 상기 종이 시트 두께의 적어도 약 30%의 깊이까지 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8. 종이 시트와, 컬성 플라스틱층과, 부분적 용이박리층을 가지고, 상기 컬성 플라스틱층으로부터 상기 종이 시트를 아래쪽으로 하여 용기에 실링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로서,
    외주 에지에 형성된 개봉용 탭부와,
    상기 개봉용 탭부의 하면 측에 형성된 탭부 박리용 하프컷과,
    상기 탭부 박리용 하프컷으로부터 중심 측에서 상기 커버체의 아래쪽에 새겨진 열수 주입구 형성용 환형 하프컷
    을 가지고,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열수 주입구 형성용 환형 하프컷을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탭부 박리용 하프컷으로부터 상기 커버체의 중심을 넘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에는 당겨벗김 정지 마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탭부 박리용 하프컷으로부터 상기 당겨벗김 정지 마크의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상기 개봉용 탭부 외에 열수(熱水) 배출구 형성용 탭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열수 배출구 형성용 탭부는 한쌍의 절취선과, 상기 절취선의 사이에 개방단을 내측을 향해 상기 커버체의 아래쪽에 새겨진 복수개의 실질적으로 U자 형의 하프컷을 가지고, 각 U자형 하프컷은 한쌍의 직선부와 양 직선부의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취선 및 상기 U자형 하프컷의 선단은 모두 상기 커버체의 실링부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U자형 하프컷에 에워싸인 부분 및 상기 한쌍의 직선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열수 배출구 형성용 탭부의 개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직선의 사이에 열수 배출구 형성용 부분적 용이박리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의 용이 인렬 방향은 상기 절취선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고, 따라서 상기 열수 배출구 형성용 탭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체를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당겨 벗기면, 상기 절취선 및 상기 U자형 하프컷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커버체가 찢어져 상기 열수 배출구 형성용 부분적 용이박리층으로부터 하면 측의 부분이 용기 본체의 상단 플랜지부에 밀착한 채로 잔류하고, 복수개의 열수 배출구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식품용 용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하프컷은 상기 커버체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 까지의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식품용 용기.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 배출구 형성용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U자형 하프컷으로부터 상기 열수 배출구 형성용 탭부용의 당겨벗김 정지 마크의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하프컷의 한쌍의 직선부는 앞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절취선의 선단에는 앞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진 한쌍의 선부(線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의 선단 및 상기 U자형 하프컷의 한쌍의 직선부의 선단은 상기 커버체의 실링부의 중심선에 대하여 외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의 선단 및 상기 U자형 하프컷의 한쌍의 직선부의 선단의 상기 실링부 내에서의 위치는 외주로부터 상기 실링부의 폭의 30 ~ 50%의 범위 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의 각 선단으로부터 개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에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하프컷의 각 선단으로부터 개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에 따라 상기 커버체의 아래쪽에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2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상기 개봉용 탭부와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직사각형의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이 커버체의 아래쪽에 새겨져 있고, (b)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개봉용 탭부의 인렬 개시점으로부터 개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봉용 탭부로부터 내측의 영역 또는 상기 커버체의 중심을 넘은 영역에서 연결되어 U자형을 이루고, 또한 상기 직사각형 열수 배출구 형성용 하프컷을 에워싸고 있고, (c) 상기 U자형 부분적 용이박리층을 갖지 않는 영역과, 상기 U자형 부분적 용이박리층을 가지는 영역과의 경계 중 개봉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경계를 따라 층 분리용 하프컷이 커버체의 아래쪽에 새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 버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이것을 갖지 않는 영역과의 경계 중 개봉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경계가 커버체의 중앙부를 향해 만곡된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컬성 플라스틱층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면 측으로부터 컬성 플라스틱층, 종이 시트, 접착층, 강성 플라스틱 필름 및 밀봉제층을 가지고,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접착층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필름은, 1축 배향 또는 배향도가 상이한 2축 배향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식품용 용기.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은 상기 접착층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기 접착층과 동일 면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 용이박리층의 양측에 접착성 플라스틱 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커버체
KR1020057025505A 2003-07-25 2004-07-23 개봉 유지성이 우수한 용기 밀봉용 커버체 KR200600394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80364 2003-07-25
JPJP-P-2003-00280364 2003-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406A true KR20060039406A (ko) 2006-05-08

Family

ID=3410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505A KR20060039406A (ko) 2003-07-25 2004-07-23 개봉 유지성이 우수한 용기 밀봉용 커버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4353944B2 (ko)
KR (1) KR20060039406A (ko)
CN (1) CN1829642A (ko)
WO (1) WO20050098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301U (ko) * 2015-12-18 2017-06-28 대상 주식회사 실링 식별이 용이한 리드지와 이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8543B2 (ja) * 2004-07-14 2011-03-23 加川 敦子 開封保持性及び再封性に優れた容器密封用蓋体
US7850923B2 (en) 2005-05-04 2010-12-14 Bionostics, Inc. Container for maintaining stabilized control solution and container for single-use control solution including prior use indicator
JP4815978B2 (ja) * 2005-09-30 2011-11-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湯切り孔付き蓋材
ITTO20060070A1 (it) * 2006-02-02 2007-08-03 Soremartec Sa Confezione per bevande
TWI409058B (zh) * 2006-11-07 2013-09-21 Bionostics Inc 用於保存對照溶液並向醫療器材呈現對照溶液之液體容納系統
JP5510215B2 (ja) * 2010-08-03 2014-06-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蓋材
AT512261A1 (de) * 2011-11-30 2013-06-15 Wiesenegger Gmbh Verschlussfolie mit integrierter öffnung
US9028963B2 (en) 2012-09-05 2015-05-12 Selig Sealing Products, Inc. Tamper evident tabbed sealing member having a foamed polymer layer
CA2846164C (en) 2013-03-15 2020-11-10 Selig Sealing Products, Inc. Inner seal with a sub tab layer
CH708352A1 (de) * 2013-07-16 2015-01-30 Selig Sealing Product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stellen einer Aufreissnaht auf Verpackungsfolien.
DE102013015581B3 (de) * 2013-09-20 2014-10-02 Alfelder Kunststoffwerke Herm. Meyer Gmbh Dichtscheibe zur lnduktionsversiegelung eines Behälters
ES2762810T3 (es) 2014-02-05 2020-05-25 Selig Sealing Products Inc Miembro de obturación de aluminio doble provisto de lengüeta que indica la manipulación indebida
KR200481939Y1 (ko) * 2014-12-24 2016-11-29 대상 주식회사 개봉이 편리한 용기용 실링커버
JP2016155576A (ja) * 2015-02-25 2016-09-01 凸版印刷株式会社 蓋材とその製造方法
AU2016226216B2 (en) 2015-03-03 2020-09-24 Selig Sealing Products, Inc. Tabbed seal concepts
CN107531360B (zh) * 2015-05-11 2019-12-03 密封包装有限公司 容器封口体及其的制造方法
JP6659362B2 (ja) * 2016-01-08 2020-03-04 凸版印刷株式会社 紙製蓋材及び収納容器
US9656780B1 (en) * 2016-03-14 2017-05-23 Colgate-Palmolive Company Container seal with dual tabs
CN109863093B (zh) 2016-10-28 2021-11-26 赛利格密封产品公司 单铝显窃启指示拉片式密封构件
WO2018081533A1 (en) 2016-10-28 2018-05-03 Selig Sealing Products, Inc. Sealing member for use with fat containing compositions
US11866242B2 (en) 2016-10-31 2024-01-09 Selig Sealing Products, Inc. Tabbed inner seal
CN106419704A (zh) * 2016-12-13 2017-02-22 苍南县棋源包装科技有限公司 立柱式纸巾桶的盖子以及立柱式抽取纸巾
CN106473649A (zh) * 2016-12-13 2017-03-08 苍南县棋源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立柱式纸巾桶的盖子以及一种桶状抽取式纸巾
CN106691282A (zh) * 2016-12-13 2017-05-24 苍南县棋源包装科技有限公司 桶状抽取式纸巾
CN106473650A (zh) * 2016-12-13 2017-03-08 苍南县棋源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立柱式纸巾桶的盖子
AU2019302541A1 (en) 2018-07-09 2021-01-28 Selig Sealing Products, Inc. Tabbed seal with oversized tab
US11254481B2 (en) 2018-09-11 2022-02-22 Selig Sealing Products, Inc. Enhancements for tabbed seal
MY189728A (en) * 2018-11-16 2022-02-28 Kikuo Yamada Paper lid and method for producing paper lid
CN109648928A (zh) * 2018-12-29 2019-04-19 杭州顶正包材有限公司 带孔易揭膜、带孔易揭膜容器及制造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949B2 (ja) * 1980-08-27 1983-04-20 羽賀 昌一 集熱板の製造方法
JPS62127976A (ja) * 1985-11-29 1987-06-10 Kyocera Corp 画像記録処理装置
JPS63194176A (ja) * 1987-02-05 1988-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冷水装置の注水制御装置
JPH0717554A (ja) * 1993-06-30 1995-01-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再封性を有する蓋材
JP4179712B2 (ja) * 1999-08-27 2008-11-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即席食品等の容器
JP4441088B2 (ja) * 2000-09-29 2010-03-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
JP4644931B2 (ja) * 2000-11-22 2011-03-09 凸版印刷株式会社 湯切り機能付蓋材
JP4774592B2 (ja) * 2000-11-22 2011-09-14 凸版印刷株式会社 湯切り機能付蓋材
JP4724978B2 (ja) * 2001-08-02 2011-07-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湯切り孔付き蓋材
JP2003165567A (ja) * 2001-11-28 2003-06-10 Yoshikawa Kami Shoji Kk 蓋 材
JP2003170972A (ja) * 2001-12-04 2003-06-17 Fuji Seal Inc 蓋体付き容器の蓋体へのカール特性付与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301U (ko) * 2015-12-18 2017-06-28 대상 주식회사 실링 식별이 용이한 리드지와 이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53944B2 (ja) 2009-10-28
WO2005009868A1 (ja) 2005-02-03
CN1829642A (zh) 2006-09-06
JPWO2005009868A1 (ja) 2006-11-02
JP2009263010A (ja)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39406A (ko) 개봉 유지성이 우수한 용기 밀봉용 커버체
JP5423015B2 (ja) シュリンクラベル、シュリンクラベル用原反、シュリンクラベル付き容器、及びシュリンクラベル用原反の製造方法
JP4163191B2 (ja) プラスチック製蓋材を有するブリスターパック
KR101011359B1 (ko)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용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CA1069447A (en) Laminate film for use in vacuum packaging
US10232580B2 (en) Methods for securing a shrinkable film to a paperboard substrate and methods for making paperboard containers therefrom
US20170225423A1 (en) Methods for securing a shrinkable film to a paperboard substrate and methods for making paperboard containers therefrom
EP2294154A1 (en) A battery label and a battery
JP2009001007A (ja) 熱収縮性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50763A (ko) 개봉 유지성 및 재밀봉성이 뛰어난 용기 밀봉용 덮개
JP2009249002A (ja) シュリンクラベル用原反およびシュリンクラベル付き容器
JPWO2004106189A1 (ja) 即席食品用容器及びその容器を使用した即席食品
JP4906662B2 (ja) 易切開性多層容器
JP4544622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用途
WO2015002058A1 (ja) 包装材料、包装袋、包装容器及び包装体
JP4158983B2 (ja) 開封保持性及び再封性に優れた容器密封用蓋体
JP5810523B2 (ja) 円錐状包装体
JP7383910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蓋付容器及び電子レンジ加熱容器用の蓋体
JP2004182292A (ja) 蓋体を備えた食品用容器及びかかる容器入り食品
JP6048538B2 (ja) 円錐状包装体
JP2006027675A (ja) 熱収縮性ラベル、およびラベル付き容器
JP2012192953A (ja) 円錐状包装体
JP2005091594A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
JP2010173691A (ja) シュリンクラベル、シュリンクラベル用原反、シュリンクラベル付き容器、及びシュリンクラベル用原反の製造方法
JP2005254811A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を必須成分とす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を用いた紙容器用積層材と紙容器用被エンボス積層材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被エンボス積層材を用いた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