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0763A - 개봉 유지성 및 재밀봉성이 뛰어난 용기 밀봉용 덮개 - Google Patents

개봉 유지성 및 재밀봉성이 뛰어난 용기 밀봉용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763A
KR20060050763A KR1020050079433A KR20050079433A KR20060050763A KR 20060050763 A KR20060050763 A KR 20060050763A KR 1020050079433 A KR1020050079433 A KR 1020050079433A KR 20050079433 A KR20050079433 A KR 20050079433A KR 20060050763 A KR20060050763 A KR 20060050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d
container
half cut
pap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지 까가와
Original Assignee
가가와 아쓰코
세이지 까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50949A external-priority patent/JP465854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가와 아쓰코, 세이지 까가와 filed Critical 가가와 아쓰코
Publication of KR20060050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32B17/0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onded with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 B32B37/18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종이 시트층(204)과 컬성 플라스틱층(201)과 부분적 역박리층(25)을 가지고, 컬성 플라스틱층(201)보다 종이 시트층(204)을 아래쪽으로 하여 용기(1)에 밀봉되는 용기 밀봉용 덮개(2)로서, 외주 가장자리에 설치된 탭부(21)와, 탭부(21)의 양쪽으로 윗면 측에 설치된 한 쌍의 제1 하프 컷(23a, 23b)과, 제1 하프 컷(23a, 23b)의 도중에서 연장되어 아랫면 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하프 컷(27a, 27b)을 가지며, 부분적 역박리층(25)은 제1 및 제2 하프 컷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용기 밀봉용 덮개.
덮개, 컵라면, 개봉, 재밀봉, 뚜껑, 용기

Description

개봉 유지성 및 재밀봉성이 뛰어난 용기 밀봉용 덮개{CONTAINER-SEALING LID HAVING EXCELLENT OPEN-STATE-KEEPING CHARACTERISTICS AND RESEAL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이며, (b)는 윗면의 하프 컷(half cut)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c)는 아랫면의 하프 컷을 나타낸 저면도이며, (d)는 개봉에 의해 생성된 플랩부를 180˚ 펼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X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C-C 단면도이다.
도 6은, 덮개의 또 다른 층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컵라면 용기에 부착된 도 1의 덮개를 개봉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컵라면 용기에 부착된 도 1의 덮개를 개봉한 후, 재밀봉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이며, (b)는 개봉에 의해 생성된 플랩부를 180˚ 펼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이며, (b)는 개봉에 의해 생성된 플랩부를 180˚ 펼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나타내며, (a)는 둥근 인스턴트 볶음면 용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b)는 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네모난 인스턴트 볶음면 용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나타내며, (a)는 둥근 인스턴트 볶음면 용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b)는 개봉에 의해 생성된 플랩부를 180˚ 펼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컵라면 용기에 부착된 도 14의 덮개를 나타내며, (a)는 덮개를 부분적으로 개봉해 급탕용으로 세운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b)는 개봉한 덮개가 열려서, 반쯤 원래로 돌아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c)는 덮개의 반대측의 컬(curl)성 플라스틱 필름층을 개봉함으로써 부분적으로 개봉된 덮개가 재밀봉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덮개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덮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D-D 단면도이다.
도 20은, 용기에 부착된 도 17의 덮개가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덮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덮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E-E 단면도이다.
도 24는, 용기에 부착된 도 21의 덮개가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용기(본체)
1a - 상단 플랜지부
2 - 덮개
2a, 2b - 급탕구의 가장자리부
21 - 개봉용 탭
22a, 22b - 절단부
23a, 23b, 26a, 26b, 26a', 26b' - 제1 하프 컷
24a, 24b - 찢김 정지용 하프 컷
25, 25a, 25b - 부분적 역박리층
27, 27a, 27b - 제2 하프 컷
28, 28' - 마크
29a, 29b - 제1 하프 컷의 꺾인 곳
201 - 컬성 플라스틱(PBT) 필름층
202, 205, 209 - 접착층
203, 206, 210···폴리에틸렌층
204 - 종이 시트층
207 - 강성 플라스틱(PET)층
208 - 차광성 잉크층
211 - 밀봉제(sealant)층
3 - 플랩부
3a, 3b - 플랩의 가장자리부
31 - 전층부(全層部)
32, 32a, 32b - 컬성 플라스틱 필름층(및 종이 시트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
35 - 컬성 플라스틱층(및 종이 시트층)으로 이루어지는 컬 부분
121 - 박리용 탭부
122 - ㄷ자형 절단 눈금
123 - 절단부
125 - 박리성 수지
127 - 제3 하프 컷
221 - 박리용 탭부
222 - 박리용 탭부에 형성된 하프 컷
본 발명은 개봉 유지성 및 재밀봉성이 뛰어나서, 즉석 식품 등의 용기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덮개에 관한 것이다.
컵라면이나 즉석 볶음면과 같은 즉석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의 덮개는, 개봉시에 급탕이 용이하고, 3분 정도 유지하는 동안 쉽게 밀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봉시에 쉽게 급탕하기 위해서는, 개봉한 덮개가 강하고 쉽게 휘어서(curl), 개봉 상태가 유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 쉽게 재밀봉되기 위해서는, 덮개의 개봉부(플랩부)가 덮개의 잔류부 또는 용기 본체와 용이하게 걸어 맞추어져서, 플랩부가 밀봉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개봉 유지성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은 먼저,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1)의 상단 플랜지부(1a)에 밀봉되는 덮개(2)로서, 개봉용 탭부(21)과 개봉용 탭부(21)의 양측에 설치된 찢김 시점(22a, 22b)과 각 시점(22a, 22b)으로부터 찢김 방향으로 뻗는 직선형의 개봉용 하프 컷(23a, 23b)과 찢김 방향으로 튀어나오는 방향으로 형성된, 실질적으로 U 자형 또는 원호형의 찢김 정지용 하프 컷(24a, 24b)을 가지는 덮개를 제안했다(WO 2004/106189).
도 19(도 18의 D-D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2)는, 예를 들면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PBT 필름층(201), 접착층(202),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렌층(203), 종이 시트층(204), 접착층(205),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렌층(206), PET 필름층(207), 차광성 잉크층(208), 접착층(209),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 렌층(210) 및 밀봉제층(211)으로 이루어진다. 각 개봉용 하프 컷(23a, 23b)은, PBT 필름층(201), 접착층(202), 및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렌층(203)을 관통하여, 종이 시트 층(204)의 일부(종이 시트(204)의 두께의 적어도 약 30%)에 이르고 있다.
그러므로, 개봉용 탭부(21)를 들어올리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2)는 한 쌍의 개봉용 하프 컷(23a, 23b)에 따라 찢어져 밴드형 플랩부(3)가 생긴다. 플랩부(3)가 세워진 상태에서 급탕한 후, 플랩부(3)를 다시 밀봉하면, 덮개(2)의 급탕구의 측선부(2a, 2b)와 밴드형 플랩부(3)의 측선부(3a, 3b)가 걸어맞추어지고, 플랩부(3)는 확실하게 다시 밀봉된다.
그러나, 이 덮개(2)는 데드 홀드(dead hold)성 부여층으로서 종이 시트층(204)을 가지므로, 플랩부(3)의 상승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음을 알았다. 그러므로 본 출원인은, 플랩부(3)의 상승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도 21∼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1)의 상단 플랜지부(1a)에 열 밀봉되고 데드 홀드성을 가지는 덮개(2)로서, 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주로 PBT 필름층(201), 종이 시트층(204) 및 밀봉제층(211)을 가지고, 외주 가장자리의 일단에 탭부(21)가 형성되어 있고, 탭부(21)의 양측에 형성된 찢김 시점(22a, 22b)으로부터 아랫면 측을 개봉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프 컷(23a, 23b)과 탭부(21)의 외측에 설치된 부분적 역박리층(25a, 25b)을 가지는 덮개(2)를 제안했다(WO 2005/009868).
도 23(도 22의 E-E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2)는, 예를 들면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PBT 필름층(201), 접착층(202), 종이 시트층(204), 접착층(205), PET 필름층(206), 차광성 잉크층(208), 접착층(209) 및 밀봉제층(211)으로 이루어진다. 접착층(202)의 윗면 측에 부분적 역박리층(25a, 25b)이 형성되어 있다. 각 하프 컷(23a, 23b)은, 아래에서부터 밀봉제층(211), 접착층(209), 차광성 잉크층(208), PET 필름층(206), 접착층(205)을 관통하여, 종이 시트층(204)의 일부(종이 시트(204)의 두께 중 적어도 약 30%)에 이르고 있다.
그러므로, 개봉용 탭부(21)를 들어올리면,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이 시트 층(204)이 양 하프 컷(23a, 23b)에 따라 찢어지면서, 부분적 역박리층(25a, 25b)에 의하여 PBT 필름층(201)은 종이 시트 층(204)으로부터 격리된다. 따라서 플랩부(3)는, 가운데의 전층부(31)와 양단의 컬성 필름부(32a, 32b)로 이루어진다. 플랩부(3)가 세워진 상태에서 급탕한 후, 플랩부(3)를 재밀봉하면, 덮개(2)의 급탕구의 가장자리부(2a, 2b)와 밴드형 플랩부(3)의 측선부(3a, 3b)가 걸어 맞추어지고, 플랩부(3)가 재밀봉된다.
그러나, 플랩부(3)의 양단의 컬성 필름부(32a, 32b)는 컬성이 큰 PBT 필름으로 이루어지므로, 플랩부(3) 전체의 컬성도 크고, 덮개(2)의 측선부(2a, 2b)와 밴드형 플랩부(3)의 측선부(3a, 3b)의 걸어 맞춤에서도 플랩부(3)를 확실히 재밀봉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봉된 상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데드 홀드성을 가지고, 확실하게 재밀봉할 수 있는, 즉석 식품 등의 용기로 바람직한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감안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자는, (a) 덮개의 상하 양면에 하프 컷을 형성하는 동시에, 컬성 플라스틱층이 박리되는 부분적 박리부를 형성하면, 플랩부의 컬성이 크므로 개봉 유지성이 우수하며, 용기 본체에 잔류하는 덮개의 급탕구 가장자리부의 걸어 맞춤에 의한 재밀봉성도 우수하고, (b) 덮개를 중간 부분까지 전체적으로 개봉한 후에도, 생성된 플랩부의 반대측으로부터 컬성이 큰 플라스틱층을 박리하면, 플랩부의 컬이 억제되어, 재밀봉 상태로 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밀봉용 덮개는, 종이 시트층과 컬성 플라스틱층과 부분적 역박리층을 가지고, 상기 컬성 플라스틱층보다 상기 종이 시트 층을 아래쪽으로 하여 용기에 밀봉되는 용기 밀봉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외주 주위에 형성된 탭부와 상기 탭부의 양쪽으로 윗면 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하프 컷 및 상기 제1 하프 컷의 중간 부분에서 연장되어 아랫면 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하프 컷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적 역박리층은 상기 제1 하프 컷 및 상기 제2 하프 컷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용기 밀봉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프 컷은 상기 종이 시트층을 초과하는 깊이를 가지고, 상기 제2 하프 컷은 상기 부분적 역박리층까지의 깊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용기 밀봉용 덮개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하프 컷은, 상기 제2 하프 컷과 근접하는 지점에서 외측으로 꺾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용기 밀봉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컬성 플라스틱층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용기 밀봉용 덮개에 있어서, 윗면 측으로부터 컬성 플라스틱층, 종이 시트층, 접착층, 역찢김성 플라스틱층 및 밀봉제층을 가지고, 상기 부분적 역박리층은 상기 접착층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분적 역박리층은 상기 접착층의 윗면 또는 아랫면, 또는 상기 접착층과 동일한 면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분적 역박리층의 양측에는, 박리면에 종이 시트층이 노출되지 않게, 플라스틱(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필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기 밀봉용 덮개의 예에서는, 제2 하프 컷은 제1 하프 컷에 근접하는 지점으로부터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특히, 제2 하프 컷은 제1 하프 컷이 꺾인 지점에서부터 미세한 간격으로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용기 밀봉용 덮개는, 종이 시트층과 컬성 플라스틱층과 부분적 역박리층을 가지고, 상기 컬성 플라스틱층보다 상기 종이 시트 층을 아래쪽으로 하여 용기에 밀봉되는 용기 밀봉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외주 대각선 상의 위치에 설치된 제1 탭부 및 제2 탭부 및 상기 제2 탭부의 아랫면 측에 설치된 하프 컷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적 역박리층은 상기 하프 컷에서 중심 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탭부를 들어올려 상기 덮개를 도중까지 용기로부터 박리하여 플랩부를 생성한 후, 상기 제2 탭부를 들어올려 상기 부분적 역박리층으로부터 상기 컬성 플라스틱 층을 포함하는 부분을 상기 덮개로부터 박리하여, 상 기 플랩부가 실질적으로 재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덮개의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 17∼도 24에 나타낸 부위와 같은 부위에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부여했다. 따라서, 도 17∼도 24에 나타낸 덮개의 설명을 참조하라.
덮개의 구조
(1) 제1 덮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덮개를 나타낸다. 컵라면 용기(1)에 부착되는 덮개(2)는, 개봉용 탭부(21)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절단부(22a, 22b)와 한 쌍의 절단부(22a, 22b)로부터 개봉 방향으로 연장되고, 도중에 지점(29a, 29b)에서 꺾인 한 쌍의 제1 하프 컷(평행부 23a, 23b와 경사부 26a, 26b로 이루어짐)과 제1 하프 컷의 꺾인 곳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하프 컷(27a, 27b)을 가진다. 제1 하프 컷의 경사부(26a, 26b)와 제2 하프 컷(27a, 27b) 사이에 부분적 역박리층(25a, 25b)이 존재한다. 제2 하프 컷(27a, 27b)의 종단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교차하는 덮개(2)의 외주 가장자리에 마크(28, 28)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하프 컷(23a, 26a 및 23b, 26b)은 덮개(2)의 윗면 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2 하프 컷(27a, 27b)은 덮개(2)의 아랫면 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덮개(2)는, 컬성 플라스틱(PBT) 필름층(201), 접착층(202),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렌층(203), 종이 시트층(204),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렌층(206a), 접착층(205),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렌 층(206b), 강성 플라스틱(PET) 필름층(207), 차광성 잉크층(208), 접착층(209),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렌층(210) 및 밀봉제층(211)으로 이루어진다. 제1 하프 컷(23a, 26a 및 23b, 26b)은, 덮개(2)의 윗면 측으로부터 컬성 플라스틱(PBT) 필름층(201), 접착층(202), 폴리에틸렌층(203), 종이 시트층(204) 및 폴리에틸렌층(206a)을 관통하고, 접착층(205)에 도달한다. 단, 찢어지는 부분을 까끌까끌하게 하는 경우에는, 제1 하프 컷(23a, 26a 및 23b, 26b)이 종이 시트층(204)의 일부(예를 들면 두께 중 적어도 약 30%)에서 끝나도 좋다. 또 제2 하프 컷(27a, 27b)은, 덮개(2)의 아랫면 측으로부터 밀봉제층(211),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렌층(210), 접착층(209), 차광성 잉크층(208), 강성 플라스틱(PET) 필름층(207) 및 폴리에틸렌층(206b)을 관통하고, 접착층(205)에 도달한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종이 시트층(204)과 강성 플라스틱 필름층(207) 사이의 한 쌍의 폴리에틸렌층(206a, 206b) 사이에 접착층(205)이 형성되어 있고, 접착층(205)의 일부가 부분적 역박리층(25b)으로 되어 있다. 부분적 역박리층(25b)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 형상의 박리성 수지(125)가 접착층(205)에 균일하게 분포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부분적 역박리층은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접착층(205)의 윗면 측 또는 아랫면 측에 얇은 막 상태로 도포된 박리성 수지층을 사용해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덮개(2)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부분적 역박리층(25a, 25b)은, 컬성 플라스틱 필름층(201)과 종이 시트층(204)의 사이의 한 쌍의 폴리에틸렌층(203a, 203b)의 사이에 설치된 접착층(202)의 일부로서 형 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하프 컷의 평행부(도시하지 않음)는, 덮개(2)의 윗면 측으로부터 컬성 플라스틱 필름층(201), 폴리에틸렌층(203a), 접착층(202), 폴리에틸렌층(203b) 및 종이 시트층(204)을 관통하고, 접착층(205)에 도달하며, 또 경사부(26a, 26b)는, 덮개(2)의 윗면 측으로부터 컬성 플라스틱 필름층(201) 및 폴리에틸렌층(203a)을 관통하고, 접착층(202)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제2 하프 컷(27a, 27b)은, 덮개(2)의 아랫면 측으로부터 밀봉제층(211), 폴리에틸렌층(210), 접착층(209), 차광성 잉크층(208), 강성 플라스틱 필름층(207), 폴리에틸렌층(206), 접착층(205), 종이 시트층(204) 및 폴리에틸렌층(203b)을 관통하여, 접착층(202)에 도달한다.
그러므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봉용 탭부(21)를 끌어올리면, 덮개(2)는 용기(1)의 상단 플랜지부(1a)로부터 박리하고, 제1 하프 컷의 평행부(23a, 23b)를 따라 찢어져서 교점(29a, 29b)에 이르면, 제2 하프 컷(27a, 27b) 및 부분적 역박리층(25a, 25b)에 의해 종이 시트층(204)보다 윗면 측의 부분이 강성 플라스틱(PET) 필름층(207)보다 아랫면 측의 부분으로부터 분리된다. 제1 하프 컷의 평행부(23a, 23b)는 컬성 플라스틱 필름층(201)으로부터 폴리에틸렌층(206a)까지 관통하고 있으므로, 그 아래의 강성 플라스틱 필름층(207) 등은 용이하게 절단된다. 따라서, 잔류하는 덮개(2)에 생긴 급탕구는 미관이 우수한 선부(2a, 2b)를 가지는 동시에, 플랩부(3)도 미관이 우수한 선부(3a, 3b)를 가진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2)의 선부(2a, 2b)와 플랩부(3)의 선부(3a, 3b)는 단지 누르는 것만으로도 확실히 걸어 맞추어지므로, 플랩부(3)를 확실하게 재밀봉할 수 있다.
또 부분적 역박리층(25a, 25b)의 영역에서는, 플랩부(3)의 전층부(31)의 양측에는 실질적으로 컬성 플라스틱 필름층(201) 및 종이 시트층(204)으로 이루어지는 컬성 부분(32a, 32b)만이 붙으므로, 플랩부(3)의 컬성은 매우 크다. 따라서, 덮개(2)를 개봉한 상태에서, 컵라면 용기(1)는 급탕에 충분한 폭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덮개(2)는 개봉 유지성과 재밀봉성이 모두 뛰어나다.
(2) 제2 덮개
도 9에 나타낸 제2 덮개(2)는, 제1 하프 컷의 평행부(23a, 23b)와 제2 하프 컷(27a, 27b)이 거의 직선상에 있는 것 이외에는, 제1 덮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예의 덮개(2)에서는, 개봉용 탭부(21)를 들어올리면 플랩부(3)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3) 제3 덮개
도 10에 나타낸 제3 덮개(2)는, 제1 하프 컷의 경사부(26a, 26b)의 뒤에 평행부(26a', 26b')가 계속되어, 평행부(26a', 26b')의 종단부가 덮개(2)의 외주 가장자리에 도달하지 않으며, 평행부(26a', 26b')의 종단부의 바로 옆에 실질적으로 U 자형 또는 원호형의 찢김 정지용 하프 컷(24a, 24b)이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제1 덮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구조에서는, 제1 하프 컷이 전체적으로 길기 때문에, 우수한 재밀봉성을 가진다.
(4) 제4 덮개
도 11에 나타낸 제4 덮개(2)는 인스턴트 볶음면용 용기(1)에 부착하는 것이다. 이 덮개(2)는, 개봉용 탭부(21)의 대각선상의 반대측 외주에 용기 주입구 형 성용 탭부(121)를 가지고, 탭부(121)에 복수의 용기 주입구 형성용의 ㄷ자형 절단 눈금(122)과 양쪽의 절단면(123)을 가지는 것 이외에는, 제1 덮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28')는 용기 주입구 형성용 탭부(121)의 개봉 한계를 나타낸다.
ㄷ자형 절단 눈금(122) 자체는 일본 특개 2003-28588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된 것이다. 각 ㄷ자형 절단 눈금(122)은, 한 쌍의 직선과 그들의 원호형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절단 눈금(122)의 ㄷ자의 개구부는 덮개(2)의 내측을 향한다. 또 ㄷ자형 절단 눈금(122)의 선단은 덮개(2)의 밀봉부 내에 위치한다. 탭부(121)를 들어올리면, ㄷ자형 절단 눈금(122)에 둘러싸인 부분은 용기(1)의 상단 플랜지부(1a)에 밀봉된 채로 있으므로, 덮개(2)는 ㄷ자형 절단 눈금(122)의 직선부에서 직선형으로 끊어져 용기 주입구가 형성된다.
(5) 제5 덮개
도 12에 나타낸 제5 덮개(2)는, 네모난 인스턴트 볶음면용 용기(1)에 부착되는 것이다. 덮개(2)의 구조 자체는 제4 덮개와 같다.
(6) 제6 덮개
도 13에 나타낸 제6 덮개(2)는, 제1 하프 컷의 평행부(23a, 23b)와 경사부(26a, 26b)의 교점(29a, 29b)의 사이에 제2 하프 컷(27)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하프 컷(27)은 제1 하프 컷의 평행부(23a, 23b)와 대략 수직이다. 이외에는, 제6 덮개(2)는 제4 덮개와 동일하다.
제1 하프 컷의 경사부(26a, 26b)에서는, 부분적 역박리층(25)에 있어서의 박리력보다, 강성 플라스틱 필름층(207), 차광성 잉크층(208) 및 밀봉제층(211)의 파 단 강도가 현저하게 크기 때문에, 양 경사부(26a, 26b)와 제2 하프 컷(27)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서는 부분적 역박리층(25)에 의한 박리가 일어난다. 주로 컬성 플라스틱층(201)으로 이루어지는 부분(32)이 플랩부(3)의 근원이므로, 플랩부(3)는 큰 컬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 덮개(2)는 개봉 유지성 및 재밀봉성이 우수하다.
이 예에서는, 제1 하프 컷의 경사부(26a, 26b)는 매우 짧지만, 경사부(26a, 26b)는 부분적 역박리층(25)의 폭을 결정하므로, 플랩부(3)의 컬성이 필요한 정도에 따라 경사부(26a, 26b)의 길이 및 경사 각도를 적당히 결정할 수가 있다.
(7) 제7 덮개
도 14에 나타낸 제7 덮개(2)는, 대각 선상의 외주 가장자리에 개봉용 탭부(21)로써 박리용 탭부(221)를 가지고, 박리용 탭부(221)에는, 부분적 역박리층(25)에서의 박리를 확실하게 하는 하프 컷(222)이 덮개(2)의 아랫면 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부분적 역박리층(25)은 대략 중앙의 마크(28)의 약간 앞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부분적 역박리층(25)의 단부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분적 역박리층(25)의 덮개(2) 중에서의 위치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봉용 탭부(21)를 들어올려 덮개(2)를 마크(28)까지 용기(1)에서 박리하고, 생성된 플랩부(3)를 세워서 급탕한 후, 손을 떼면,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랩부(3)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려고 하지만, 데드 홀드성 때문에 약간 개봉한 채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박리용 탭부(221)를 들어올 려, 주로 컬성 플라스틱층(201) 및 종이 시트층(204)으로 이루어지는 컬성 부분(35)을 덮개(2)로부터 박리하면,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컬성 부분(35)은 현저하게 휘어져서(curl), 그 반동으로서 플랩부(3)는 용기(1)의 상단 플랜지부(1a)에 현저하게 근접한다. 그러므로, 급탕 후의 재밀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컬성 플라스틱층(201) 고유의 성질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8) 제8 덮개
도 16에 나타낸 제8 덮개(2)는, 도 11에 나타낸 제4 덮개(2)와 마찬가지로 인스턴트 볶음면용 용기(1)에 부착하는 것이다. 이 덮개(2)는, (a) 제1 하프 컷이, 절단면(22a, 22b)에서 연장되는 제1 평행부(23a, 23b)와 제1 평행부(23a, 23b)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경사부(26a, 26b)와 경사부(26a, 26b)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평행부(26a', 26b')로 이루어지고, (b) 제2 하프 컷(27)이 제1 하프 컷의 제1 평행부(23a, 23b)와 경사부(26a, 26b)의 교점에서 원호형으로 연장되고, (c) 제2 평행부(26a', 26b')의 연장선상에 미세한 간격을 가진 U 자형 또는 원호형의 찢김 정지용 하프 컷(24a, 24b)이 형성되어 있고, (d) ㄷ자형 절단 눈금(122)과 양쪽의 절단면(123)으로부터 제3 하프 컷(127)이 연장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제4 덮개(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제1 평행부(23a, 23b)와 경사부(26a, 26b)의 사이에는 미세한 간격(d)이 형성되어 있고, 제1 하프 컷과 제2 하프 컷(27)이 연결되지 않는다. 원호형의 제2 하프 컷(27)에 의해, 덮개(2)의 플랩을 열었을 때 제1 하프 컷의 제1 평행부(23a, 23b)와 제2 하프 컷(27)에 의해 생긴 급탕구가 반타원형이며, 제1 평행부(23a, 23b)와 제2 하프 컷(27) 사이에 하프 컷이 없는 부분이 있어도, 부드럽게 연결된다. 그러므로, 급탕구의 외관이 우수해 보인다. 또 제3 하프 컷(127)에 의해, 덮개(2)는 ㄷ자형 절단 눈금(122) 및 절단면(123)으로부터 직선형으로 끊어져 용기 주입구의 외관이 우수하게 형성된다.
덮개의 층 구성
본 발명의 덮개(2)의 층 구성이 한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도 2에 나타낸 예의 주요한 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a) 컬성 플라스틱 필름층
데드 홀드성을 부여하는 종이 시트층(204)의 외측에 설치하는 컬성 플라스틱 필름층(201)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가 바람직하다. PBT 필름은 데드 홀드성뿐만 아니라 가스 차단성 및 내열성도 우수하다. 또 사용이 끝난 후에 소각해도 유해 가스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후처리도 용이하다.
PBT 필름의 두께는 약 5∼50㎛인 것이 매우 적합하다. PBT 필름의 두께를 약 5㎛ 미만으로 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곤란하고, 약 50㎛ 초과해도 덮개의 제조 비용이 상승할 뿐, 의미가 없다. PBT 필름의 바람직한 두께는 10∼30㎛이다.
컬성 플라스틱 필름층(201)은, 탄성 복원력을 유지한 신장 상태에서 종이 시트(204)에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플랩부(3)에 컬성을 부여할 수 있다.
(b) 투명 수지 코팅층
PBT 필름층(201)의 윗면에 투명 수지 코팅층을 형성하면, PBT 필름층(201)은, 미세한 표면 요철이 흡수되어 투명성 및 높은 선영성을 가진다. 따라서, PBT 필름층(201)을 통해 보이는 인쇄층은 미려하고 선명해진다. 투명 수지는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중 어느 것이라도 되지만,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수용성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투명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은 음이온, 양이온, 아세탈 등에 의해 변성된 것이라도 좋고, 또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아세트산비닐 부분 겔화물 등도 양호하다.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는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수용성 투명 수지로서는,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자외선 경화성 불포화 아크릴 수지, 자외선 경화성 불포화 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수지 코팅층의 두께는 한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1∼5㎛가 바람직하고, 2∼4㎛가 더욱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 코팅층의 두께가 1㎛ 미만이면, 인쇄의 선명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고, 5㎛를 초과하면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c) 종이 시트층
종이 시트층(204)는, 데드 홀드성을 부여하는 층으로써 기능한다.
(d) 강성 플라스틱 필름층
강성 플라스틱 필름층(207)은 바람직하게는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덮개 (2)가 직선으로 찢어지는 성질을 높이기 위해서, PET 필름으로써 1축 배향 또는 배향도가 상이한 2축 배향의 PET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강성 플라스틱 필름층(207)에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형 자국 및/또는 다수의 미세공을 형성해도, 덮개(2)가 직선으로 찢어지는 성질을 향상시킨다. 덮개(2)가 찢어지는 방향은 제1 하프 컷(23a, 23b)과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두께는 필요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e) 차광성 잉크층
일광이나 자외선에 의한 즉석 식품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2)는 차광성 잉크층(208)을 가진다. 차광성 잉크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과 같은 흑색 또는 어두운색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잉크이면 되고, 특히 한정적이지 않다. 차광성 잉크층(208)은, 소각시에 환경에 악영향이 없고, 용기 내의 금속계 이물질을 금속 탐지기로 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도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차광성 잉크층(208) 대신, 알루미늄 박을 사용해도 좋다.
(f) 밀봉제층
용기 본체(1)의 상단 플랜지부(1a)에 열 밀봉하는 밀봉제층(211)은 밀봉제 필름 또는 핫 멜트(hot melt)로 이루어진다. 밀봉제 필름은, 폴리에틸렌,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이오노머(ionomer), 폴리스티렌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밀봉제층(211)은 이지 필성(easy peel)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제 필름으로써,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계 필름과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필름을 가지는 적층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층 폴리에틸렌 필름은, 예 를 들면 760FD(토레이合成필름(株) 제품)으로 시판되고 있다. 또 밀봉제 필름으로써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와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에틸렌과 탄소수 3∼18의α-올레핀의 직쇄상 공중합체[밀도(JIS K6922): 0.870∼0.910g/cm3, MFR(JIS K6921, 190℃, 2.16kg하중): 1∼100g/10분] 및 폴리스티렌 조성물로 이루어진 밀봉제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g) 접착층
접착층은 한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우레탄계 접착층(RU-40, 록페인트 株式會社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h) 부분적 역박리층
부분적 역박리층(25, 25a, 25b)을 형성하는 재료는,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부틸알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질화면(窒化綿) 등이다. 필요에 따라 소량의 실리콘, 왁스 등을 첨가해도 된다. 역박리층은 상기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를 종이 시트 또는 PBT 필름에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부분적 역박리층(25)은 접착층의 윗면 또는 아랫면에 도포하여 형성해도 되지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 형상의 역박리성 수지를 접착층 내에 균일하게 분포시켜도 된다. 부분적 역박리층(25)은 제1 및 제2 하프 컷과 정확하게 위치가 결정되어야만 하므로, 덮개의 원반(적층체)을 형성할 때, 종이 시트 또는 플라스틱 필름의 인쇄층과 정확하게 일치시켜 그라비아 인쇄 등의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부분적 역박리층의 층 내에서의 위치는, 박리한 어느 한 쪽의 컬성이 크다면 어디에 있어도 좋다. 또한, 부분적 역박리층의 크기는 필요로 하는 컬성에 따라 적당히 결정하면 된다. 또한, 제1 하프 컷 및 제2 하프 컷의 경사각은, 플랩부의 컬성과 역박리성과의 관계로부터 적당히 결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제1 용기 밀봉용 덮개는, 개봉에 의해 형성되는 플랩부가 덮개에 생긴 급탕구와 걸어 맞추어지는 찢어지는 부분과, 컬성이 큰 플라스틱층이 박리하는 부분적 박리부를 가지므로, 큰 컬성에 의한 우수한 개봉 유지성과 덮개의 급탕구의 가장자리와 플랩의 가장자리의 걸어 맞춤에 의한 우수한 재밀봉성을 동시에 가진다. 그러므로, 개봉시에는 급탕하기 쉽게 플랩부를 크게 세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보온시에는 플랩부를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리는 것만으로 덮개와 확실히 걸어 맞추어져서, 재밀봉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용기 밀봉용 덮개는, 한쪽의 탭부로부터 덮개를 도중까지 전체적으로 개봉하는 동시에, 형성된 플랩부의 반대측으로부터 컬성이 큰 플라스틱 층을 박리하는 만큼, 플랩부의 컬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급탕 후 간단하고, 확실하게 재밀봉 상태로 할 수 있다.

Claims (10)

  1. 종이 시트층과 컬(curl)성 플라스틱층과 부분적 역박리층을 가지고, 상기 컬성 플라스틱층보다 상기 종이 시트 층을 아래쪽으로 하여 용기에 밀봉되는 용기 밀봉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외주 주위에 형성된 탭부;
    상기 탭부의 양쪽으로 윗면 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하프 컷(half cut); 및
    상기 제1 하프 컷의 중간 부분에서 연장되어 아랫면 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하프 컷
    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적 역박리층은 상기 제1 하프 컷과 상기 제2 하프 컷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프 컷은 상기 종이 시트층을 초과하는 깊이를 가지고, 상기 제2 하프 컷은 상기 부분적 역박리층까지의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덮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하프 컷은, 상기 제2 하프 컷과 근접하는 지점에서 외측으로 꺾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덮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컬성 플라스틱층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덮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윗면 측으로부터 컬성 플라스틱층, 종이 시트층, 접착층, 역찢김성 플라스틱층 및 밀봉제층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적 역박리층은 상기 접착층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덮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 역박리층이 상기 접착층의 윗면 또는 아랫면, 또는 상기 접착층과 동일한 면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덮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 역박리층의 양측에 플라스틱 필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덮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프 컷이 상기 제1 하프 컷에 근접하는 지점으로부터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덮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프 컷이 상기 제1 하프 컷의 꺾어진 지점으로부터 미세한 간격을 두고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덮개.
  10. 종이 시트층과 컬성 플라스틱층과 부분적 역박리층을 가지고, 상기 컬성 플라스틱층보다 상기 종이 시트 층을 아래쪽으로 하여 용기에 밀봉되는 용기 밀봉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외주 대각선 상의 위치에 설치된 제1 탭부 및 제2 탭부; 및
    상기 제2 탭부의 아랫면 측에 설치된 하프 컷
    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적 역박리층은 상기 하프 컷에서 중심 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탭부를 들어올려 상기 덮개를 중간 부분까지 용기로부터 박리함으로써 플랩부가 생성된 후, 상기 제2 탭부를 들어올려 상기 부분적 역박리층으로부터 상기 컬성 플라스틱 층을 포함하는 부분이 상기 덮개로부터 박리되면, 상기 플랩부가 실질적으로 재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덮개.
KR1020050079433A 2004-08-30 2005-08-29 개봉 유지성 및 재밀봉성이 뛰어난 용기 밀봉용 덮개 KR200600507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50949A JP4658543B2 (ja) 2004-07-14 2004-08-30 開封保持性及び再封性に優れた容器密封用蓋体
JPJP-P-2004-00250949 2004-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763A true KR20060050763A (ko) 2006-05-19

Family

ID=3670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433A KR20060050763A (ko) 2004-08-30 2005-08-29 개봉 유지성 및 재밀봉성이 뛰어난 용기 밀봉용 덮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60050763A (ko)
CN (1) CN1757572A (ko)
TW (1) TW20061685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6526A (ko) * 2010-03-31 2013-08-02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가열 밀봉 패키징용의 재밀봉가능한 라미네이트
CN108146836A (zh) * 2017-12-28 2018-06-12 惠州宝柏包装有限公司 一种可重复开启的封口结构、包装容器和制备方法
US10710773B2 (en) 2009-09-11 2020-07-14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sealable laminate for heat sealed packaging
KR20210027026A (ko) * 2019-09-02 2021-03-10 정성현 개량형 용기의 뚜껑구조
CN114474941A (zh) * 2022-02-11 2022-05-13 金华市恒宇包装有限公司 一种环保无溶剂复合六层方便面沥水盖及其制备工艺
US11352172B2 (en) 2009-09-11 2022-06-07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sealable laminate for heat sealed packag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93632B2 (ja) * 2018-12-17 2023-06-20 東洋製罐株式会社 フィルムおよびパウチ
WO2021054263A1 (ja) * 2019-09-18 2021-03-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包装体及び容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0773B2 (en) 2009-09-11 2020-07-14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sealable laminate for heat sealed packaging
US11352172B2 (en) 2009-09-11 2022-06-07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sealable laminate for heat sealed packaging
KR20130086526A (ko) * 2010-03-31 2013-08-02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가열 밀봉 패키징용의 재밀봉가능한 라미네이트
CN108146836A (zh) * 2017-12-28 2018-06-12 惠州宝柏包装有限公司 一种可重复开启的封口结构、包装容器和制备方法
KR20210027026A (ko) * 2019-09-02 2021-03-10 정성현 개량형 용기의 뚜껑구조
CN114474941A (zh) * 2022-02-11 2022-05-13 金华市恒宇包装有限公司 一种环保无溶剂复合六层方便面沥水盖及其制备工艺
CN114474941B (zh) * 2022-02-11 2024-02-20 金华市恒宇包装有限公司 一种环保无溶剂复合六层方便面沥水盖及其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57572A (zh) 2006-04-12
TW200616856A (en)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0763A (ko) 개봉 유지성 및 재밀봉성이 뛰어난 용기 밀봉용 덮개
US7419559B2 (en) Method of making a closure seal for a container
WO2005009868A1 (ja) 開封保持性に優れた容器密封用蓋体
JP4826358B2 (ja) 湯切り機能付き蓋材
US20040248751A1 (en) Soap bar wrapper
JP2006199337A (ja) ガセット包装袋
US4745014A (en) Packaging material and sealing cap
JP5774270B2 (ja) 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チューブ容器
JP5964539B2 (ja) 蓋材およびその蓋材を用いた容器
WO2004106189A1 (ja) 即席食品用容器及びその容器を使用した即席食品
JP4158983B2 (ja) 開封保持性及び再封性に優れた容器密封用蓋体
JP4658543B2 (ja) 開封保持性及び再封性に優れた容器密封用蓋体
JP5262542B2 (ja) 蓋材及びその蓋材を用いた容器
JP4372303B2 (ja) 包装袋
JP4357897B2 (ja) シート状蓋体
JP2006137490A (ja) インスタント食品用容器
JP5739607B2 (ja) 蓋体
JP6436766B2 (ja) 袋体
US20190135520A1 (en) Rigid Packages Having Peelable Hermetic Seals
JPH02219769A (ja) 易開封性レトルト密封容器
JP4416279B2 (ja) 個別包装食品用包装材と包装体
JP2011148516A (ja) 蓋材
JP5671199B2 (ja) 包装容器の蓋材
JP4170415B2 (ja) 遮光性積層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包装用容器
JP6591836B2 (ja) 表示ラベル付き熱収縮性筒状ラベル、及びラベル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