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732A -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732A
KR20060037732A KR1020040086779A KR20040086779A KR20060037732A KR 20060037732 A KR20060037732 A KR 20060037732A KR 1020040086779 A KR1020040086779 A KR 1020040086779A KR 20040086779 A KR20040086779 A KR 20040086779A KR 20060037732 A KR20060037732 A KR 20060037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capacitor
organic
film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3685B1 (ko
Inventor
이헌정
구재본
서민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6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685B1/ko
Priority to JP2005229823A priority patent/JP4181154B2/ja
Priority to US11/253,198 priority patent/US7655943B2/en
Priority to CN2005101168797A priority patent/CN1773717B/zh
Publication of KR20060037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40Organic transistors
    • H10K10/46Field-effect transistors, e.g.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OTFT]
    • H10K10/462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 H10K10/466Lateral bottom-gate IGFETs comprising only a single g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40Organic transistors
    • H10K10/46Field-effect transistors, e.g.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OTFT]
    • H10K10/462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 H10K10/468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characterised by the gate dielectrics
    • H10K10/474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characterised by the gate dielectrics the gate dielectric comprising a multi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7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 H01L21/0217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characterised by the metal
    • H01L21/0218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characterised by the metal the material containing tantalum, e.g. Ta2O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7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 H01L21/0219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the material having a perovskite structure, e.g. BaTiO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6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 H01L21/31604Deposition from a gas or vapou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6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 H01L21/31604Deposition from a gas or vapour
    • H01L21/31637Deposition of Tantalum oxides, e.g. Ta2O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6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 H01L21/31691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with perovskit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 절연막은 유기절연막을 사용하고 캐패시터 유전막은 무기절연막을 사용하므로써, 박막 트랜지스터의 절연특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충분한 캐패시턴스를 확보할 수 있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캐패시터영역과 트랜지스터영역을 구비한 기판과; 상기 기판중 트랜지스터영역에 형성되고, 게이트전극, 반도체층 및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기판중 캐패시터영역에 형성되고, 하부전극과 상부전극을 구비하는 캐패시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드레인 전극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표시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의 하부 또는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은 적어도 유기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의 상, 하부전극사이에 형성되는 캐패시터 유전막은 무기 절연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TF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400, 400 : 기판 311, 411, 511 : 게이트 전극
317, 417, 517 : 하부전극 321, 421, 521 : 게이트 절연막
327, 427, 527 : 유전막 350, 450, 550 : 반도체층
341, 345, 441, 445, 541, 545 : 소오스/드레인 전극
347, 447, 547 : 상부전극 360, 460, 560 : 보호막
370, 470, 570 : 애노드전극 395, 495, 595 : 캐소드전극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게이트 절연막은 유기절연막을 사용하고 캐패시터 유전막은 무기 절연막을 사용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소자로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OTFT, organic thin film transistor)는 반도체층으로 실리콘막 대신에 유기막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유기막의 재료에 따라 올리고티오펜(oligothiophene), 펜타센(pentacene) 등과 같은 저분자 유기물 박막 트랜지스터와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계열 등과 같은 고분자 유기물 박막 트랜지스터로 분류된다.
국내특허 공개공보 2004-0028010호에는 게이트 절연막으로 사용되는 유기고분자막에 광배향기를 도입하여 유기활성막의 배향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유기 절연막을 게이트 절연막으로 사용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제안되었다. 또한, 국내특허공보 2004-0049110호에는 게이트 절연막상부에 형성 되는 절연막에 트렌치홈을 형성하고 상기 트렌치홈에 유기 반도체층을 형성하여 소자특성을 개선시킨 박막 트랜지스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스위칭 소자로 사용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적어도 2개의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예를 들어 하나의 스위칭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나의 구동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캐패시터 그리고 상, 하부전극사이에 유기막층이 개재된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상기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한정하여 단면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0)상에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및 유기전계발광소자가 형성된다.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전극(111)과, 게이트 절연막(121)상에 형성된 소오스/드레인 전극(141), (145) 및 기판상에 형성된 반도체층(150)을 구비한다. 캐패시터는 상기 기판(100)상에 형성되는 하부전극(117)과, 상기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드레인 전극(141), (145)중 소오스전극(141)에 연결되는 상부전극(147)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전극(117)과 상부전극(147)사이에 캐패시터 유전막(125)이 개재되어 있다.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보호막(160)상에 형성되어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141), (145)중 드레인 전극(145)에 비어홀(165)을 통해 연결되는 하부전극인 애노드전극(170)과, 유기막층(190) 및 기판전면에 형성되는 상부전극인 캐소드전극(195)을 구비한다. 보호막(160)상에는 상기 애노드전극(170)의 일부분을 노출시키 는 개구부(185)를 구비하는 화소분리막(180)을 구비한다. 상기 개구부(185)에 의해 노출되는 애노드전극(170)상에 유기막층(190)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게이트전극(111)과 캐패시터의 하부전극(117) 및 기판상에 절연막(120)이 형성되는데, 절연막(120)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과 캐패시터의 유전막으로 작용한다. 즉, 상기 절연막(120)중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111)과 반도체층(130)사이에 개재된 부분(121)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으로 작용하고, 캐패시터의 상부전극(147)과 하부전극(117)사이에 개재된 부분(125)은 캐패시터의 유전막으로 작용한다.
상기 캐패시터의 충분한 캐패시턴스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하부전극(117)과 상부전극(147)사이에 존재하는 캐패시터 유전막(127)으로 유전율이 높은 물질을 사용하거나, 상기 전극(117, 147)의 면적을 증대시키거나 또는 상, 하부전극(147), (117)사이에 존재하는 유전막의 두께를 감소시켜 주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상, 하부 전극(147), (117)의 면적을 증대시키는 방법은 하나의 화소당 캐패시터가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되어 개구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상, 하부전극(147), (117)사이에 위치하는 유전막(125)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상대적으로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121)의 두께가 감소하기 때문에 박막 트랜지스터의 절연특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높은 캐패시턴스를 얻기 위해서는 상, 하부 전극(147), (117)사이에 높은 유전율을 갖는 절연막을 사용하여야 하지만, 종래의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에서는 상기 절연막(120)으로 유전율이 낮은 유기절연막을 사용하기 때문에, 캐패시턴스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으로 적어도 유기 절연막을 사용하고 캐패시터의 유전막으로 무기 절연막을 사용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절연특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충분한 캐패시턴스를 확보할 수 있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구율의 저하없이 높은 캐패시턴스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절연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캐패시터영역과 트랜지스터영역을 구비한 기판과; 상기 기판중 트랜지스터영역에 형성되고, 게이트전극, 반도체층 및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기판중 캐패시터영역에 형성되고, 하부전극과 상부전극을 구비하는 캐패시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드레인 전극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표시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의 하부 또는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은 적어도 유기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의 상, 하부전극사이에 형성되는 캐패시터 유전 막은 무기 절연막을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유기 절연막 하부에 형성되는 무기 절연막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유기 절연막상부에 형성되는 무기 절연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캐패시터 유전막으로 사용되는 무기 절연막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으로 사용되는 유기 절연막과 같거나 얇은 두께를 갖는다.
상기 캐패시터 유전막으로 사용되는 무기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질화막으로부터 선택되는 절연막 또는 고유전율의 무기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폴리이미드, BCB, 파릴렌, PVP 및 광경화성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절연막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캐패시터영역과 트랜지스터영역을 구비한 기판과; 상기 기판중 트랜지스터영역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기판중 캐패시터영역에 형성된 캐패시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표시소자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과 캐패시터의 유전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캐패시터영역상에 하부전극을 구비하고 트랜지스터영역에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는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캐패시터 영역에 무기 절연막을 구비하는 캐패시터 유전막을 형성하고, 트랜지스터영역상에 적어도 유기절연막을 구비하는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과 캐패시터 유전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기판전면에 유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캐패시터 영역에 대응하는 유기 절연막을 제거하 는 단계와; 상기 유기 절연막이 제거된 캐패시터영역에 무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유기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 유전막은 무기 절연막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과 캐패시터 유전막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은 기판전면에 무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랜지스터 영역에 대응하는 무기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무기 절연막이 제거된 트랜지스터영역에 유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유기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 유전막은 무기 절연막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과 캐패시터 유전막을 형성하는 또 다른 방법은 기판전면에 무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무기 절연막상에 유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캐패시터 영역에 대응하는 유기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무기 절연막과 유기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 유전막은 무기 절연막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과 캐패시터 유전막을 형성하는 또 다른 방법은 기판전면에 유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캐패시터영역에 대응하는 유기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와; 기판전면에 무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무기 절연막과 유기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 유전막은 무기 절연막을 포함한다.
상기 캐패시터영역의 유기 절연막은 레이저 어블레이션 공정, 사진식각공정 및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부터 선택되는 공정에 의해 제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나의 화소에 대한 평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게이트라인(210), 데이터라인(220) 및 전원라인(230)과, 상기 게이트라인(210), 데이터라인(220) 및 전원라인(230)에 의해 한정되는 화소영역(245) 및 상기 화소영역(245)에 배열되는 화소(240)를 구비한다.
상기 화소(240)는 하나의 스위칭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250) 및 하나의 구동 유기박막 트랜지스터(270)와, 하나의 캐패시터(260) 및 애노드전극(370)을 하부전극으로 구비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칭 유기박막 트랜지스터(250)는 상기 게이트라인(210)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251)과, 반도체층(253) 및 소오스/드레인 전극(255), (257)을 구비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251)과 소오스/드레인 전극(255), (257)사이에는 유기 절연막으로 된 게이트 절연막(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캐패시터(260)는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250)의 드레인 전극(257)에 연결되는 하부전극(317)과, 상기 하부전극(317)과 오버랩되어 상기 전원라인(230)에 연결되는 상부전극(347)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전극(317)과 상부전극(347)사이에는 무기 절연막(도 3의 327에 해당함)이 캐패시터 유전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270)는 상기 캐패시터(260)의 하부전극(317)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311)과, 반도체층(350) 및 상기 전원라인(230)에 연결된 소오스전극(341) 및 상기 화소전극(370)에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345)을 구비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311)과 소오스/드레인 전극(341), (345)사이에는 유기 절연막(도 3의 321에 해당함)이 형성되어진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은 유기 절연막으로 구성되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절연특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캐패시터의 유전막은 무기 절연막으로 구성되어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하나의 화소중 구동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및 유기전계 발광소자(EL)에 한정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리, 실리콘 및 플라스틱 등과 같은 기판(300)의 트랜지스터영역상에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311)과, 캐패시터영역에 캐패시터의 하부전극(317)이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하부전극(317)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캐패시터영역을 제외한 기판상에 절연막(320)으로 유기 절연막이 형성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영역이라 함은 기판중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캐패시터영역이라 함은 기판중 캐패시터가 형성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절연막(320)중 트랜지스터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예를 들어 게이트상부의 부분(321)은 게이트 절연막으로 작용한다. 상기 절연막(320)은 벤조사이클로부탄(BCB, benzocyclobutene), 폴리이미드, 파릴렌 및 폴리비닐페놀(PVP, polyvinylphenol)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절연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기절연막(320)으로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 또는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와 같은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절연막(320)은 박막 트랜지스터에 요구되는 적절한 두께로 형성되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절연특성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캐패시터영역에 해당하는 기판상에는 캐패시터 유전막(327)으로 무기 절연막이 형성된다. 상기 캐패시터 유전막(327)은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질화막 등과 같은 무기 절연막 또는 Ta2O5, Y2O3, TiO2, BST, PZT 및 BZT 들과 같은 고유전율의 무기절연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게이트 절연막(321)으로 유기 절연막을 형성하고, 캐패시터의 유전막(327)으로 상기 게이트 절연막(321)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무기 절연막을 형성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절연특성과 충분한 캐패시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즉, 트랜지스터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으로서 요구되는 두께로 유기 절연막을 형성하고, 캐패시터영역에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321)으로 사용되는 유기 절연막과 동일한 두께를 갖으며 유전율이 높은 무기 절연막(327)을 캐패시터 유전막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종래의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에 비하여 높은 캐패시턴스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캐패시터 유전막(327)과 게이트 절연막(320)을 동일한 두께로 형성하여 절연특성을 유지하고 캐패시턴스를 증가시켰으나, 다른 예로서 상기 유기 절연막(320)은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요구되는 적합한 두께로 형성하고, 무기 절연막(327)은 상기 유기 절연막(320)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보다 더 캐패시턴스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311)의 양측과 오버랩되도록 유기 절연막(320)상에 소오스/드레인 전극(341), (345)이 형성되며,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341), (345)중 상기 소오스전극(341)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상부전극(347)이 형성된다. 상기 캐패시터 상부전극(347)은 소오스/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전극(317)과 오버랩되도록 무기절연막(327)으로 된 캐패시터 유전막상에 형성된다.
기판상에 유기 반도체층(350)을 형성한다. 도 3에서는 유기 반도체층(350)이 기판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반면에, 도 2에서는 유기 반도체층(350)이 패턴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는데, 이는 유기 반도체층(350)과 게이트 전극(311) 및 소오스/드레인 전극(341), (345)과의 구조적인 관계를 평면적으로 보여주기 위함이다. 상기 유기 반도체층(3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판상에 전면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패턴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반도체층(350)은 펜타센(pentacene), 테트라센(tetracene), 안트라센(anthracene), 나프탈렌(naphthalene), 알파-6-티오펜, 페릴렌(perylene) 및 그 유도체, 루브렌(rubrene) 및 그 유도체, 코로넨(coronene) 및 그 유도체, 페릴렌 테트라카르복실릭디이미드(perylene tetracarboxylic diimide) 및 그 유도체, 페릴렌 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perylene tetracarboxylic dianhydride) 및 그 유도체, 폴리티오펜 및 그 유도체, 폴리파라페릴렌비닐렌 및 그 유도체, 폴리플로렌 및 그 유도체, 폴리티오펜비닐렌 및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유기막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반도체층(350)상에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341), (345)중 하나를 노출시키는 비어홀(365)을 구비한 보호막(360)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막(360)상에는 상기 비어홀(365)을 통해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341), (345)중 드레인 전극(345)에 연결되는 화소전극인 애노드전극(370)이 형성된다.
기판상에 상기 애노드전극(370)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385)를 구비하는 화소분리막(380)이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385)내의 애노드전극(370)상에 유기막층(390)이 형성되고, 기판전면에 캐소드전극(395)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막층(370)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유기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정공 장벽층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유기막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으로 유기 절연막을 형성하고, 캐패시터 유전막을 무기 절연막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게이트 절연막과 캐패시터 유전막을 서로 다른 종류의 절연막으로 형성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절연특성을 유지하고 충분한 캐패시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하나의 화소중 구동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및 유기 전계 발광소자(EL)에 한정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III-III 선에 대응하는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게이트 절연막이 유기절연막과 무기 절연막의 적층구조를 갖으며 캐패시터 유기전막은 무기 절연막으로 구성되는 것만이 다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판(400)상에 게이트 전극(411)과, 일 예로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캐패시터의 하부전극(417)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411)과 하부전극(417) 및 기판상에 무기 절연막(430)이 전면 형성된다. 상기 무기 절연막(430)으로는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질화막과 같은 절연막과 Ta2O5, Y2O3, TiO2, BST, PZT 및 BZT 들과 같은 고유전율의 절연막으로부터 선택되는 막을 포함한다.
기판중 캐패시터영역을 제외한 무기 절연막(430)상에 유기 절연막(420)이 형성된다. 유기 절연막(420)은 BCB, 폴리이미드, 파릴렌 및 PVP 으로부터 선택되는 절연막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기 절연막(420)은 레이저 어블레이션방식 또는 사진식각법에 의한 패터닝방법에 의해 캐패시터영역을 제외한 무기 절연막(430)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기절연막(420)으로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 또는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와 같은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유기 절연막(420)은 레이저 어블레이션방식 또는 노광 및 현상공정을 통한 패터닝방법에 의해 캐패 시터영역을 제외한 무기 절연막(430)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사진식각공정이라 함은 통상적인 감광막을 이용한 포토리소그라피공정을 의미한다. 노광 및 현상공정은 광경화성 수지를 패터닝하기 위한 방법으로 감광막없이 노광공정 및 현상공정만으로 패터닝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상기 무기 절연막(430)중 상기 하부전극(417)에 대응하는 부분(427)은 캐패시터 유전막으로 작용하고, 상기 무기절연막(430)중 상기 게이트전극(411)에 대응하는 부분(425a)과 상기 유기 절연막(420)중 상기 게이트전극(411)에 대응하는 부분(420a)은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421)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421)은 무기 절연막(425a)과 유기절연막(420a)의 하이브리드(hybrid) 구조를 갖으며, 캐패시터의 유전막(427)은 무기절연막(430)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므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절연특성을 유지하고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캐패시터 유전막(427)이 무기 절연막(430)만으로 구성되어 종래의 게이트 절연막(121)으로 사용되는 절연막(120)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게 되어 보다 큰 캐패시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유기절연막(420)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411)의 양측과 오버랩되도록 소오스/드레인 전극(441), (445)이 형성되고,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441), (445)중 상기 소오스전극(441)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상부전극(447)이 무기 절연막(430)상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전극(447)은 소오스/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부전극(417)과 오버랩되도록 무기 절연막(430)상에 형성된다.
기판상에 유기 반도체층(450)이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층(450)상에 유기절연막으로 된 보호막(460)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막(460)상에는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441), (445)중 드레인 전극(445)에 비어홀(465)을 통해 연결되는 애노드전극(470)이 형성된다. 상기 애노드전극(470)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485)를 구비한 화소분리막(480)이 보호막(460)상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485)에 의해 노출되는 애노드전극(470)상에는 유기막층(490)이 형성되며, 기판전면에 상부전극(495)인 캐소드전극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으로 무기 절연막과 유기 절연막을 형성하고, 캐패시터 유전막을 무기 절연막으로 종래의 게이트 절연막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여 줌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의 절연특성을 유지하고 충분한 캐패시턴스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하나의 화소중 구동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및 유기전계 발광소자(EL)에 한정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III-III 선에 대응하는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와 동일하게 게이트 절연막은 유기 절연막과 무기 절연막의 하이브리드구조를 갖으며 캐패시터 유기전막은 무기 절연막으로 구성된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유기 절연막(520)상에 무기 절연막 (525)이 적층되는 구조만이 상이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기판(500)상에 게이트 전극(511)과 일 예로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캐패시터 하부전극(517)이 형성되고, 캐패시터 영역을 제외한 기판(500)상에 유기 절연막(520)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 절연막(520)으로 BCB, 폴리이미드, 파릴렌 및 PVP 로부터 선택되는 절연막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기 절연막(520)은 레이저 어블레이션방식 또는 사진식각법에 의한 패터닝방법에 의해 캐패시터영역을 제외한 기판(500)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기절연막(520)으로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 또는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와 같은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유기 절연막(520)은 레이저 어블레이션방식 또는 노광 및 현상공정을 통한 패터닝방법에 의해 캐패시터영역을 제외한 무기 절연막(430)상에 형성된다.
이어서, 기판전면에 무기 절연막(525)을 증착한다. 상기 무기절연막(525)은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질화막으로부터 선택되는 절연막과 Ta2O5, Y2O3, TiO2, BST, PZT 및 BZT 들과 같은 고유전율의 절연막으로부터 선택되는 막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절연막(520)중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511)에 대응하는 부분(525a)과 상기 무기 절연막(530)중 상기 게이트(511)에 대응하는 부분(520a)은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521)으로 작용하고, 상기 무기 절연막(530)중 상기 캐패시터 하부전극(517)에 대응하는 부분(527)은 캐패시터 유전막으로 작용한다.
이로써, 트랜지스터영역에는 유기절연막(525a)과 무기 절연막(520a)의 하이 브리드 구조를 갖는 게이트 절연막(521)이 형성되고, 캐패시터 영역에는 무기 절연막(527)으로 된 캐패시터 유전막이 형성되므로, 절연특성 및 캐패시턴스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캐패시터 유전막(527)이 무기 절연막(525)만으로 구성되어 종래의 게이트 절연막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캐패시턴스를 보다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511)의 양측과 오버랩되도록 무기 절연막(530)상에 소오스/드레인 전극(541), (545)이 형성되며, 소오스/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캐패시터 상부전극(547)이 무기절연막(530)상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전극(547)은 상기소오스/드레인 전극(541), (545)중 소오스전극(541)에 연결되고, 캐패시터 하부전극(517)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541), (545) 및 무기 절연막(530)상에 유기 반도체층(550)이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층(550)상에 유기 보호막(560)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막(560)상에 비어홀(565)을 통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545)에 연결되는 화소전극인 애노드전극(570)이 형성된다. 상기 애노드전극(570)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585)를 구비한 화소분리막(580)이 기판상에 형성된다. 상기 화소분리막(580)에 형성된 개구부(585)내의 애노드전극(570)상에 유기막층(590)을 형성하고, 기판전면에 캐소드전극(595)을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이 유기 절연막 및 무기절연막의 하이브리드구조를 갖으며, 캐패시터 유전막이 무기 절연막을 구비하므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절연특성을 유지하고 충분한 캐패시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캐패시터 유전막이 종래의 캐패시터 유전막으로 사용되는 게이트 절연막 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므로 캐패시턴스를 보다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로서, 박막 트랜지스터와 캐패시터에 한정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a 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판(300)상에 게이트 전극물질을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여 트랜지스터영역에 게이트 전극(311)을 형성하고, 캐패시터 영역에 캐패시터 하부전극(317)을 형성한다.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게이트전극(311) 및 캐패시터 하부전극(317) 형성시 도 2의 게이트 라인(210)도 형성되어진다.
이어서, 게이트 전극(311)과 캐패시터 하부전극(317)을 포함하는 기판(300)상에 유기 절연막(320a)을 증착한다. 상기 유기절연막(320a)으로 BCB, 파릴렌, 폴리이미드 및 PVP 등과 같은 유기막을 사용하거나 또는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한다.
이어서, 상기 유기절연막(320a)중 캐패시터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레이저 어블레이션 처리(Laser ablation treatment, LAT) (301)를 한다. 따라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유기 절연막(320a)중 캐패시터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레이저 어블레이션되어 제거된다.
상기 유기 절연막(320a)중 캐패시터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거하는 방법 으로는 통상적인 사진식각공정을 통해 패터닝하여 캐패시터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만을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유기절연막(320a)으로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노광 및 현상공정을 통해 유기 절연막(320a)중 캐패시터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거할 수도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판전면에 무기 절연막(330)을 증착한 다음, 도 6d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기 절연막(320a)이 제거된 캐패시터영역에만 남도록 패터닝하여 캐패시터 유전막으로 사용되는 무기 절연막(327)을 형성한다. 따라서, 캐패시터영역에는 캐패시터 유전막으로 무기 절연막(327)이 형성되고, 트랜지스터영역에는 게이트 절연막(321)으로 유기 절연막이 형성된다.
이후 공정은 통상적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는 유기절연막으로 된 게이트 절연막(321)을 형성한 다음 무기 절연막으로 된 캐패시터 유전막(327)을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무기 절연막으로 된 캐패시터 유전막(327)을 형성한 다음 유기 절연막으로 된 게이트 절연막(321)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게이트 전극(411)과 캐패시터 하부전극(417)을 기판(400)상에 형성된 다음 기판전면에 무기 절연막(430)을 증착하고, 상기 무기 절연막(430)상에 유기 절연막(420)을 증착한 다음 캐패시터 영역에 대응하는 유기 절연막(420)을 제거한다. 상기 캐패시터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의 유기 절연막(420)은 레이저 어블레이션 처리, 감광막을 이용한 사진식각방법 또는 노광 및 현상공정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트랜지스터영역에서는 무기 절연막(425a)과 유기절연막(420a)의 하이드브리드구조를 갖는 게이트 절연막(421)이 형성되고, 캐패시터영역에서는 무기 절연막(430)으로 된 캐패시터 유전막(427)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공정은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게이트 전극(511)과 캐패시터 하부전극(517)을 기판(500)상에 형성한 다음 기판전면에 유기 절연막(520)을 전면 증착한다. 상기 유기 절연막(520)중 캐패시터 영역에 대응하는 유기 절연막(520)을 제거한다. 상기 캐패시터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의 유기 절연막(520)은 레이저 어블레이션 처리, 감광막을 이용한 사진식각방법 또는 노광 및 현상공정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유기 절연막(520)을 포함하는 기판전면에 무기 절연막(530)을 전면증착한다. 이로써, 트랜지스터영역에서는 유기 절연막(520a)과 무기절연막(525a)의 하이브리드구조를 갖는 게이트 절연막(521)이 형성되고, 캐패시터영역에서는 무기 절연막(530)으로 된 캐패시터 유전막(527)이 형성된다. 이후 공정은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텀 콘택구조를 갖는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탑 콘택구조를 갖는 유기박막 트랜 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탑게이트구조를 갖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에서도 게이트 절연막을 유기막으로 형성하고 캐패시터 유전막을 무기막으로 형성하여, 절연특성 유지 및 캐패시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위칭소자로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를 스위칭 소자로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평판표시장치에 적용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절연특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충분한 캐패시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에 따르면, 게이트 절연막으로는 유기절연막을 사용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절연특성을 유지하고, 캐패시터 유전막으로는 무기 절연막을 사용하여 충분한 캐패시턴스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캐패시터영역과 트랜지스터영역을 구비한 기판과;
    상기 기판중 트랜지스터영역에 형성되고, 게이트전극, 반도체층 및 소오스/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기판중 캐패시터영역에 형성되고, 하부전극과 상부전극을 구비하는 캐패시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드레인 전극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표시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의 하부 또는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은 적어도 유기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의 상, 하부전극사이에 형성되는 캐패시터 유전막은 무기 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으로 유기반도체층을 사용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유기 절연막 하부에 형성되는 무기 절연막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유기 절연막상부에 형성되는 무기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유전막으로 사용되는 무기 절연막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으로 사용되는 유기 절연막과 같거나 얇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유전막으로 사용되는 무기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질화막으로부터 선택되는 절연막 또는 고유전율의 무기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폴리이미드, BCB, 파릴렌, PVP 및 광경화성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6. 캐패시터영역과 트랜지스터영역을 구비한 기판과;
    상기 기판중 트랜지스터영역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기판중 캐패시터영역에 형성된 캐패시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표시소자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과 캐패시터의 유전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캐패시터영역상에 하부전극을 구비하고 트랜지스터영역에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는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캐패시터 영역에 무기 절연막을 구비하는 캐패시터 유전막을 형성하고, 트랜지스터영역상에 적어도 유기절연막을 구비하는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으로 유기반도체층을 사용 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유전막으로 사용되는 무기 절연막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으로 사용되는 유기 절연막과 같거나 얇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과 캐패시터 유전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기판전면에 유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캐패시터 영역에 대응하는 유기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 절연막이 제거된 캐패시터영역에 무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유기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 유전막은 무기 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영역의 유기 절연막은 레이저 어블레이션 공정, 사진식각방법 및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부터 선택되는 공정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과 캐패시터 유전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기판전면에 무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랜지스터 영역에 대응하는 무기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무기 절연막이 제거된 트랜지스터영역에 유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유기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 유전막은 무기 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영역의 유기 절연막은 레이저 어블레이션 공정, 사진식각방법 및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부터 선택되는 공정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과 캐패시터 유전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기판전면에 무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무기 절연막상에 유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캐패시터 영역에 대응하는 유기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무기 절연막과 유기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 유전막은 무기 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영역의 유기 절연막은 레이저 어블레이션 공정, 사진식각방법 및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부터 선택되는 공정에 의해 제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과 캐패시터 유전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기판전면에 유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캐패시터영역에 대응하는 유기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와;
    기판전면에 무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무기 절연막과 유기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 유전막은 무기 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영역의 유기 절연막은 레이저 어블레이션 공정, 사진식각공정 및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부터 선택되는 공정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40086779A 2004-10-28 2004-10-28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그의 제조방법 KR100683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779A KR100683685B1 (ko) 2004-10-28 2004-10-28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그의 제조방법
JP2005229823A JP4181154B2 (ja) 2004-10-28 2005-08-08 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を備える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1/253,198 US7655943B2 (en) 2004-10-28 2005-10-18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OTF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2005101168797A CN1773717B (zh) 2004-10-28 2005-10-27 有机场致发光显示装置及构造该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779A KR100683685B1 (ko) 2004-10-28 2004-10-28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732A true KR20060037732A (ko) 2006-05-03
KR100683685B1 KR100683685B1 (ko) 2007-02-15

Family

ID=36260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779A KR100683685B1 (ko) 2004-10-28 2004-10-28 유기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55943B2 (ko)
JP (1) JP4181154B2 (ko)
KR (1) KR100683685B1 (ko)
CN (1) CN177371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735B1 (ko) * 2005-12-09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039294B2 (en) 2006-09-11 2011-10-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sulating layer,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using the insulating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US8901563B2 (en) 2011-03-14 2014-12-0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81008A (ko) * 2015-12-31 2017-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661B1 (ko) * 2007-03-21 2008-07-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223725B1 (ko) 2011-01-10 2013-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20181613A1 (en) * 2011-01-19 2012-07-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for Forming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s With Protective Spacers
TWI492389B (zh) * 2012-07-13 2015-07-11 Au Optronics Corp 畫素結構及畫素結構的製作方法
JP2014032983A (ja) * 2012-08-01 2014-02-20 Sony Corp 半導体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3824866A (zh) * 2014-03-03 2014-05-2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液晶显示面板
WO2017142817A1 (en) * 2016-02-18 2017-08-24 Sxaymiq Technologies Llc Backplane structure and process for microdriver and micro led
JPWO2017208923A1 (ja) * 2016-05-31 2019-03-28 凸版印刷株式会社 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629797B (zh) 2017-05-09 2018-07-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薄膜電晶體及其光電裝置
CN110265443B (zh) * 2019-06-20 2022-03-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00C (zh) * 1996-11-26 2004-05-05 三星电子株式会社 薄膜晶体管基片及其制造方法
KR100248392B1 (ko) * 1997-05-15 2000-09-01 정선종 유기물전계효과트랜지스터와결합된유기물능동구동전기발광소자및그소자의제작방법
GB9808061D0 (en) * 1998-04-16 1998-06-17 Cambridge Display Tech Ltd Polymer devices
KR100390680B1 (ko) * 2001-07-25 2003-07-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3810681B2 (ja) * 2001-12-20 2006-08-16 シャープ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101511B2 (ja) * 2001-12-27 2008-06-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KR100426031B1 (ko) * 2001-12-29 2004-04-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능동행렬 유기전기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4103905A (ja) * 2002-09-11 2004-04-02 Pioneer Electronic Corp 有機半導体素子
KR100524552B1 (ko) * 2002-09-28 2005-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게이트 절연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KR100498543B1 (ko) * 2002-11-07 2005-07-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25460B1 (ko) * 2002-12-05 2009-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735B1 (ko) * 2005-12-09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039294B2 (en) 2006-09-11 2011-10-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sulating layer,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using the insulating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US8901563B2 (en) 2011-03-14 2014-12-0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81008A (ko) * 2015-12-31 2017-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685B1 (ko) 2007-02-15
US7655943B2 (en) 2010-02-02
JP2006128623A (ja) 2006-05-18
JP4181154B2 (ja) 2008-11-12
CN1773717B (zh) 2011-06-01
US20060091395A1 (en) 2006-05-04
CN1773717A (zh)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1154B2 (ja) 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を備える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47693B1 (ko)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과 유기 박막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US8258004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919778B2 (en) Making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s
EP1657751B1 (en)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485507B2 (en) Organic thin-film transistor,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flat panel display having the same
CN101926016B (zh) 有机薄膜晶体管、有源矩阵有机光学器件及其制造方法
US7138682B2 (en) Organic thin-film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26129B1 (ko)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11505687A (ja) 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有機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70379B1 (ko)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7704B1 (ko)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및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방법
KR20090010699A (ko)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26957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KR20100027828A (ko)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10212326A (ja) 半導体装置
KR100787439B1 (ko)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502B1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박막트랜지스터 및 이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240653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59124B1 (ko)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디스플레이 장치
KR100659126B1 (ko)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1117713B1 (ko)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과 유기 박막트랜지스터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KR20080029769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