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587A - 종이제 인형 - Google Patents

종이제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5587A
KR20060035587A KR1020057018944A KR20057018944A KR20060035587A KR 20060035587 A KR20060035587 A KR 20060035587A KR 1020057018944 A KR1020057018944 A KR 1020057018944A KR 20057018944 A KR20057018944 A KR 20057018944A KR 20060035587 A KR20060035587 A KR 20060035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joint
body portion
upper arm
pape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8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6603B1 (ko
Inventor
토모히로 야수이
Original Assignee
버터플라이ㆍ스트로크ㆍ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터플라이ㆍ스트로크ㆍ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버터플라이ㆍ스트로크ㆍ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5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8Dolls of flat paper to be cut-out, folded, or cloth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Toy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제의 인간의 움직임에 보다 가까운 움직임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며 용이하게 제작가능한 종이제 인형을 제공하는 것으로, 몸통부(1)를 통형상으로 형성해서 축선을 세로방향으로 하여 배치하고,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한 좌우의 어깨 관절부재(5,5)를, 상기 몸통부(1)와 어깨 관절부재(5)의 중간벽부(5a)를 관통하는 제 1 연결부재(52)에 의해 상기 몸통부(1)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통형상으로 형성된 위팔 부재(31)의 기단부를, 상기 어깨 관절부재(5)의 1쌍의 측벽부(5b,5b) 사이에 끼워 지지시켜서, 측벽부(5b)와 위팔 부재(31)를 관통하는 제 2 연결부재(34)에 의해 상기 어깨 관절부재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통형상으로 형성한 넓적다리 부재(41)를, 그 넓적다리 부재(41)와 상기 몸통부(1)의 측면의 접촉부분에서 제 3 연결부재(48)에 의해 상기 몸통부(1)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종이제 인형{PAPER DOLL}
본 발명은, 두꺼운 종이를 구부려서 형성한 복수의 부분을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종이제 인형에 관한 것이다.
머리부나 몸통체, 좌우 양팔 및 양다리 등의 각종 부분을 서로 움직일 수 있게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인형은 매우 일반적으로 보여지는 것이지만, 이러한 인형 중, 두꺼운 종이를 오려내고, 오려낸 종이를 구부리거나 붙이거나 해서 가공하여, 스스로 입체적인 인형을 형성할 수 있는 종이제 인형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이제 인형에 있어서는, 인간에 가까운 움직임을 실현하기 위해서, 인형의 어깨나 팔꿈치, 다리 넓적다리, 무릎 등의 관절부분에서, 팔이나 다리를 구부려지도록 되어 있는 것도 많지만, 이러한 종류의 인형은, 관절부분의 움직임이 매우 기계적이고 부자연스러운 것이 통상이며, 실제의 인간과 같은 유연한 관절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것이 어렵고, 종이 제작이라는 점에서 움직임에 일정한 제한이 있다라는 사실을 근거로 해도, 실제의 인간의 움직임과 크게 동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관절부분에서 움직일 수 있는 조립식의 종이제 인형은, 관절부분의 구성이 복잡화되는 경향에 있어, 이것이 인형 전체 의 제작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되어 있는 경우가 있었다.
특허문헌1: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59-73993호공보
특허문헌2: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59-76294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68314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기술적 과제는, 종이제 인형에 있어서, 실제의 인간의 움직임에 보다 가까운 움직임을,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종이제 인형은, 종이를 구부려서 형성한 가요성이 있는 복수의 부분을 연결함으로써 구성된 종이제 인형으로서, 상기 복수의 부분이, 몸통부와, 머리부와, 좌우의 팔과, 좌우의 다리와, 상기 팔을 몸통부에 부착하기 위한 좌우의 어깨 관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는, 통형상을 하고 있으며, 축선을 세로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어깨 관절부재는, 대략 U자 형상을 하고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측면에 접촉하는 중간벽부와, 외측을 향해 개방되는 1쌍의 측벽부를 갖고, 좌우의 어깨 관절부재가 중간벽부에서 상기 몸통부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팔은,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된 위팔 부재와 팔뚝 부재와 손목부재를 갖고, 적어도 위팔 부재가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 위팔 부재의 기단부가 상기 어깨 관절부재의 1쌍의 측벽부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고, 이들 측벽부와 위팔 부재가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다리는,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된 넓적다리 부재와 종아리 부재와 발 부재를 갖고, 적어도 넓적다리 부재가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 넓적다리 부재가 상기 몸통부의 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몸통부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종이제 인형에 의하면, 팔이나 다리를 몸통부에 대해서 움직였을 때에,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어깨 관절부재가 휘거나, 통형상으로 형성된 몸통부나 위팔 부재, 넓적다리 부재가 휘거나 찌부러지거나 하여 변형됨으로써, 각 관절부분이 유연한 움직임을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인형과 같이 기계적이며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적어지고, 인간에 보다 가까운 움직임을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형태에 의하면, 상기 몸통부가, 통형상이며 가장 큰 단면 사이즈를 갖는 가슴부재와, 통형상이며 중간의 단면 사이즈를 갖는 배 부재와, 통형상이며 가장 작은 단면 사이즈를 갖는 허리부재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가슴부재에는, 그 좌우 양측면에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오목부의 위치에서 상기 어깨 관절부재가 이 가슴부재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허리부재에 상기 다리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종이제 인형에 있어서는, 종이를 구부려서 형성한 가요성이 있는 복수의 부분이, 연결부재에 의해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좌우의 어깨 관절부재가, 상기 몸통부와 이들 어깨 관절부재의 상기 중간벽부를 관통하는 제 1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몸통부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위팔 부재의 기단부가, 상기 어깨 관절부재의 1쌍의 측벽부와 상기 위팔 부재를 관통하는 제 2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어깨 관절부재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넓적다리 부재가, 상기 몸통부를 관통하는 제 3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몸통부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인형의 관절부분을, 연결해야 할 부분의 각각의 연결부분을 연결부재로 관통시킨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인형의 제작이 용이하고, 또한 부분의 교환 작업도 간단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구성 형태에 의하면, 상기 팔은, 상기 어깨 관절부재와 위팔 부재의 연결부분을 덮는 어깨부재를 추가로 갖고 있으며, 이 어깨부재는 U자 형상으로 구부려져, 상기 어깨 관절부재에 상기 제 2 연결부재에 의해 회전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구성 형태에 의하면, 상기 다리는, 상기 넓적다리 부재와 종아리 부재의 연결부분을 덮는 대략 U자 형상의 무릎부재와, 종아리 부재와 발 부재의 연결부분을 덮는 대략 U자 형상의 발목 덮개부재를 추가로 갖고 있으며, 상기 무릎부재는, 상기 넓적다리 부재와 종아리 부재를 연결하는 제 4 연결부재에 의해 이들 양 부재의 연결부분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발목 덮개부재는, 상기 종아리 부재와 발 부재를 연결하는 제 5 연결부재에 의해 이들 양 부재의 연결부분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각 연결부재는, 연질화된 표면을 갖는 철사에 의해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 상기 철사의 단부를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부려서 형성한 빠짐방지용 구부림부를 갖고,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적어도 일단측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를 상기 구부림부 상에 감아서 형성한 권취부와, 상기 구부림부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귀(耳)부를 갖고 있어서, 상기 구부림부를 회전시켜 권취부의 감기수를 늘림으로써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연결부재의 표면이, 비닐 코팅에 의해 연질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제 인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제 인형을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제 인형의 분해 사시도이다. 단, 손목 연결부재 이외의 연결부재는 생략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제 인형의 상반부분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종이제 인형의 상반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단, 머리부 및 오른팔의 각각의 일부, 및 어깨부재는 생략하고 있다.
도 6은 어깨 관절부재를 회전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단, 가슴부재, 어깨 관절부재, 왼팔 이외는 생략하고 있다.
도 7은 팔을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제 인형의 하반부분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연결부재에 있어서의 빠짐방지수단의 형성방법의 제 1 상태를 나타내 는 설명도이다.
도 1O은 연결부재에 있어서의 빠짐방지수단의 형성방법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연결부재에 있어서의 빠짐방지수단의 형성방법의 제 3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어깨 관절부재 및 팔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단, 가슴부재, 어깨 관절부재, 왼팔 이외는 생략하고 있다.
도 13은 팔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통부 2 : 머리부
3 : 팔 4 : 다리
5 : 어깨 관절부재 5a : 중간벽부
5b : 측벽부 11 : 가슴부재
11a : 오목부 12 : 허리부재
13 : 배 부재 21 : 목부
22 : 머리부 하반부재 23 : 머리부 상반부재
24 : 얼굴부재 25 : 머리부 연결부재
31 : 위팔 부재 32 : 팔뚝 부재
32a : 통부 32b : 팔꿈치 연결판
32c : 팔꿈치 판 33 : 손목부재
34 : 제 2 연결부재 34a : 구부림부
34b : 권취부 34c : 귀부
35 : 팔꿈치 연결부재 36 : 손목 연결부재
41 : 넓적다리 부재 42 : 종아리 부재
42a : 무릎 연결판 42b : 무릎판
42c : 발목 연결판 42d : 발목판
43 : 발 부재 44 : 무릎부재
45 : 발목 덮개부재 46 : 제 4 연결부재
47 : 제 5 연결부재 48 : 제 3 연결부재
51 : 어깨부재 52 : 제 1 연결부재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실시예의 종이제 인형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1장의 두꺼운 종이에 인쇄된 각 부분의 전개도를 각각 소정의 형상으로 오려냄과 아울러, 그들을 소정의 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가요성이 있는 부분을 복수 형성하고, 그들 부분을 연결 도구로서의 연결부재로 서로 움직일 수 있게 연결함으로써 구성한 것으로, 몸통부(1)와, 머리부(2)와, 좌우의 팔(3,3)과, 좌우의 다리(4,4)와, 각 팔(3,3)을 몸통부(1)에 부착하기 위한 좌우의 어깨 관절부재(5,5)를 갖고 있다.
상기 몸통부(1)는, 전체적으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축선을 세로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상이며 가장 큰 단면 사이즈를 갖고서 몸통부(1)의 상부측을 형성하고, 상기 팔(3,3)이 연결되는 가슴부재(11)와, 통형상이며 가장 작은 단면 사이즈를 갖고서 몸통부(1)의 하부측을 형성하고, 상기 다리(4,4)가 연결되는 허리부재(12)와, 통형상이며 중간의 단면 사이즈를 갖고서 몸통부(1)의 중간부를 형성하는 배 부재(13)를 갖고, 이들 가슴부재(11), 배 부재(13), 허리부재(12)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슴부재(11), 허리부재(12) 및 배 부재(13)는, 모두 축선과 직교하는 횡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상인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가슴부재(11), 배 부재(13), 허리부재(12)의 순서로, 단면의 종횡치수가 순차적으로 작게 되고, 축선방향의 길이 치수가 순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 부재(13) 내에는 허리부재(12)의 상부측이 소정의 간극을 통해서 수용되고, 가슴부재(11) 내에 상기 배 부재(13)의 상부측이 소정의 간극을 통해서 수용되어 있고, 각 부재(11,12,13)가, 그들의 측면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연결부재(52)에 의해, 그들의 상부측의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때, 배 부재(13) 및 허리부재(12)는, 그들의 상단이 가슴부재(11)의 상단 개구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가슴부재(11) 내에서 상기 제 1 연결부재(52)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즉, 상기 몸통부(1)는, 가슴부재(11) 내에 배 부재(13) 및 허리부재(12)의 상부측이 각각 소정의 간극을 통해서 순차적으로 대략 동축에 수용되고, 가슴부재(11)의 하단 개구로부터 배 부재(13)의 하부측이 돌출함과 아울러, 상기 배 부재(13)의 하부 개구로부터 허리부재(12)의 하부측이 돌출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슴부재(11) 내에서, 허리부재(12) 및 배 부재(13)가, 상기 제 1 연결부재(52)를 축으로 하여 회전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머리부(2)는, 전체적으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축선을 세로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몸통부(1)와 연결되는 통형상의 목부재(21)와, 그 목부재(21)의 상부측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형상의 머리부 하반부재(22) 및 머리부 상반부재(23)와, 인형의 얼굴의 그림이 그려져 있고, 상기 머리부 상반부재(23)의 외면에 부착되어 머리부(2)의 정면을 형성하는 만곡판 형상의 얼굴부재(24)를 갖고 있다. 상기 목부재(21) 및 머리부 각 부재(22,23)는, 머리부 상반부재(22), 머리부 하반부재(23), 목부재(21)의 순서로, 통의 단면 사이즈가 순차적으로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목부재(21)는, 상기 몸통부(1)의 허리부재(12)의 통의 단면 사이즈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측이 상기 허리부재(1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몸통부(1)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목부재(21) 및 머리부 각 부재(22,23)는, 모두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머리부 상반부재(23), 머리부 하반부재(22), 목부재(21)의 순서로, 그 지름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머리부 하반부재(22) 내에는 목부재(21)의 상부측이 소정의 간극을 통해서 수용됨과 아울러, 머리부 상반부재(23) 내에는 상기 머리부 하반부재(22)의 상부측이 끼워맞춤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머리부 상반부재(23)에 있어서의 정면으로부터 좌우 양측면에 이르는 외면에는 만곡한 얼굴부재(24)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머리부(2)를 구성하는 이들 각 부재(21,22,23,24)는, 목부재(21), 머리부 각 부재(22,23), 및 얼굴부재(24)의 양 단부를 상기 머리부(2)의 상기 제 1 연결부재(52)와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는 머리부 연결부재(2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목부재(21)의 하부측은, 상기 머리부 하반부재(22)의 하단 개구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몸통부(1)의 허리부재(12)의 내부에 소정의 간극을 통해서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제 1 연결부재(52)가 관통해서 상기 몸통부(1)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목부재(21)가, 상기 몸통부(1)에 대하여, 상기 제 1 연결부재(52)를 축으로 하여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머리부 하반부재(22), 머리부 상반부재(23) 및 얼굴부재(24)가, 상기 목부재(21)에 대하여, 상기 머리부 연결부재(25)를 축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어깨 관절부재(5,5)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전체적으로 대략 U자 형상의 만곡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몸통부(1)의 가슴부재(11)의 측면에 접촉하는 중간벽부(5a)와, 그 중간벽부(5a)의 양측에 연이어 형성되어 외측 즉 좌우방향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팔(3)의 연결에 제공하는 1쌍의 측벽부(5b,5b)를 일체로 갖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어깨 관절부재(5,5)에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만곡판 형상의 어깨부재(51)가, 그 개방측을 어깨 관절부재(5)의 개방측과 대향시키도록 배치되고, 측벽부(5b,5b)와 팔(3)의 연결부분을 덮어서 숨기도록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이 어깨부재(51)는, 대향하는 1쌍의 측벽에 있어서의 개방측의 내면을, 상기 어깨 관절부재(5)에 있어서의 1쌍의 측벽부(5b,5b)의 외면에 접촉시켜서, 그 접촉부분을 관통하는 제 2 연결부재(34)에 의해, 상기 어깨 관절부재(5)에 대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1쌍의 어깨 관절부재(5,5)는, 상기 몸통부(1)와 상기 목부재(21)와 각 어깨 관절부재(5)에 있어서의 중간벽부(5a)의 꼭대기부를 관통하는 상기 제 1 연결부재(52)에 의해, 상기 몸통부(1)의 좌우 양측면에 대하여 상기 제 1 연결부재(52) 둘레로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몸통부(1)의 가슴부재(11)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좌우 양측면에,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만곡한 오목부(11a,11a)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1쌍의 어깨 관절부재(5,5)가, 이들 오목부(11a,11a)의 바닥에 있어서, 상기 바닥을 통해서 관통하는 상기 제 1 연결부재(52)에 의해, 상기 가슴부재(11)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11a)는, 어깨 관절부재(5)의 중간벽부(5a)와 대략 같은 곡률로 만곡하고 있어서, 통상의 상태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깨 관절부재(5)가, 그 중간벽부(5a)의 꼭대기부를 상기 오목부(11a)의 바닥을 따르게 한 상태에서, 상기 오목부(11a)에 유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팔(3,3)과 함께 어깨 관절부재(5,5)를, 상기 제 1 연결부재(52)를 축으로 하여 회전이동시킨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벽부(5a)가, 오목부(11a)를 따라 그 양측(전후측)에 형성된 융기 부분에 올라타고, 그것이 저항이 되어, 가슴부재(11)에 대한 어깨 관절부재(5)의 회전 이동 각도가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어깨 관절부재(5)의 가슴부재(11)에 대한 회전이동에 대하여, 인간의 어깨의 회전이동 제한에 근사한 제한을 부여함으로써,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보다 인간다운 어깨의 움직임을 실현할 수 있게 되어 있다.(도 7 참조)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오목부(11a)의 폭이나 곡률은, 어깨 관절부재(5)가 가슴부재(11)에 대하여 전후로 각각 45°정도밖에 회전이동하지 않도록 설정하고 있지만, 어깨 관절부재(5)의 필요한 회전 이동 각도나 그 중간벽부(5a)의 곡률 등을 고려한 후에,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팔(3,3)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어깨 관절부재(5)에 기단부가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형상의 위팔 부재(31)와, 상기 위팔 부재(31)의 선단부에 기단부가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형상의 팔뚝 부재(32)와, 상기 팔뚝 부재(32)의 선단에 배치되는 판형상의 손목부재(33)를 각각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위팔 부재(31)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팔뚝 부재(32)는, 전체적으로 단면 대략 직사각형상의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측에 형성된 통부(32a)와, 기단측에 있어서 상기 통부(32a)의 대향하는 양측판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위팔 부재(31)와의 연결에 제공되는 1쌍의 팔꿈치 연결판(32b,32b)과, 동일하게 기단측에 있어서 통부(32a)의 배면판에 연이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1쌍의 팔꿈치 연결판(32b,32b) 사이에 가설되어, 상기 팔뚝 부재(32)가 위팔 부재(31)의 후방으로 회전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팔꿈치 판(32c)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팔뚝 부재(32)에 있어서는, 팔꿈치 판(32c)과 대향하는 면이 개방되어 있고, 기단측의 단면이 정면측으로 개구하는 대략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정면측의 개구에는, 팔뚝 부재(32)를 위팔 부재(31)에 대하여 전방으로 회전이동시켰을 때에, 위팔 부재(31)가 수용되게 되어 있 다.
상기 위팔 부재(31)는, 그 기단부가 상기 어깨 관절부재(5)의 1쌍의 측벽부(5b,5b)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어 있어서, 이들 측벽부(5b,5b)와 위팔 부재(31)와 상기 어깨부재(51)에 있어서의 1쌍의 측벽을 관통하는 상기 제 2 연결부재(34)에 의해, 어깨 관절부재(5)에 대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어깨 관절부재(5)에 대한 위팔 부재(31)의 회전이동에 따라, 상기 어깨부재(51)도 어깨 관절부재(5)에 대하여 위팔 부재(3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상기 제 2 연결부재(34)에 의한 어깨 관절부재(5)와 위팔 부재(31)의 연결부분이 항상 어깨부재(51)에 의해 덮여져 숨겨지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어깨부재(51)는, 어깨 관절부재(5)에 대한 위팔 부재(31)의 상방으로의 회전 이동 각도를 제한하는 기능도 겸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팔뚝 부재(3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기단부에 형성된 1쌍의 팔꿈치 연결판(32b,32b) 사이에 위팔 부재(31)의 선단부를 끼워 지지하고, 이들 위팔 부재(31)와 팔꿈치 연결판(32b,32b)에 팔꿈치 연결부재(35)를 관통시킴으로써, 위팔 부재(31)에 대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목부재(3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목 연결부재(36)의 일단에 부착되어 있어서, 그 손목 연결부재(36)의 중간부분을 상기 팔뚝 부재(32)의 통부(32a) 내에 삽입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손목 연결부재(36)의 타단을 상기 팔꿈치 연결부재(35)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감음으로써, 상기 팔뚝 부재(32)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1쌍의 다리(4,4)는, 도 1 및 도 3,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상기 몸통부(1)의 허리부재(12)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통형상의 넓적다리 부재(41)와, 그 넓적다리 부재(41)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통형상의 종아리 부재(42)와, 그 종아리 부재(42)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발 부재(43)와, 상기 넓적다리 부재(41)와 종아리 부재(42)의 연결부분을 덮으며 그 연결부분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만곡판 형상의 무릎부재(44)와, 종아리 부재(42)와 발 부재(43)의 연결부분을 덮으며 그 연결부분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만곡판 형상의 발목 덮개부재(45)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넓적다리 부재(41)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종아리 부재(4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단면 대략 직사각형상의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기단측에, 상기 넓적다리 부재(41)와의 연결에 제공하는 좌우 1쌍의 무릎 연결판(42a,42a)과, 정면측에 배치되어서, 종아리 부재(42)가 넓적다리 부재(41)의 전방으로 회전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무릎판(42b)을 일체로 구비하고, 한편, 그 선단측에는, 상기 발 부재(43)와의 연결에 제공하는 좌우 1쌍의 발목 연결판(42c,42c)과, 배면측에 배치되어서, 발 부재(43)가 종아리 부재(42)의 후방으로 회전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발목판(42d)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아리 부재(42)에 있어서는, 무릎판(42b) 및 발목판(42d)과 대향하는 면이 각각 개방되어 있고, 기단측의 단면은 배면측으로 개구하는 대략 U자 형상이며, 그 배면측의 개구에는, 종아리 부재(42)를 넓적다리 부재(41)에 대하여 후방으로 회전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넓적다리 부재(41)가 수용되게 되어 있고, 한편, 선단측의 단면은 정면측으로 개구하는 대략 U자 형상이며, 그 정면측의 개구로부터는, 상기 발 부재(43)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무릎부재(44)는, 무릎관절에 상당하는 상기 넓적다리 부재(41)와 종아리 부재(42)의 연결부분을, 그 연결부분의 정면으로부터 좌우 양측면에 걸쳐서 덮어 숨기는 것이며,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발목 덮개부재(45)는, 발목의 관절에 상당하는 종아리 부재(42)와 발 부재(43)의 연결부분을, 그 연결부분의 정면으로부터 좌우 양측면에 걸쳐서 덮어 숨기는 것이며, 동일하게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 부재(43)는, 선단이 폐쇄된 각이 진 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발바닥에 상당하는 외주면이, 이 인형이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의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넓적다리 부재(41,41)는, 도 1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들의 기단부를 상기 허리부재(12)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좌우 측면에 각각 접촉시켜, 양 접촉부분과 허리부재(12)를 관통하는 제 3 연결부재(48)에 의해, 상기 허리부재(12)에 대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좌우의 넓적다리 부재(41,41)와 배 부재(12)는, 상기 제 3 연결부재(48)를, 한쪽의 넓적다리 부재(41)의 내면측에서, 배 부재(12)를 통과하여, 다른쪽의 넓적다리 부재(41)의 내면측으로, 상기 제 1 연결부재(52)와 대략 평행하게 관통시킴으로써, 서로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종아리 부재(42)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기단부에 형성된 1쌍의 무릎 연결판(42a,42a) 사이에 넓적다리 부재(41)의 선단부를 끼워 지지 하고, 이들 넓적다리 부재(41)와 무릎 연결판(42a,42a)에 제 4 연결부재(46)를 관통시킴으로써, 넓적다리 부재(41)에 대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무릎부재(44)도, 그 양단부 내면을 상기 종아리 부재(42)에 있어서의 양 무릎 연결판(42a,42a)의 외면에 각각 접촉시켜서, 그 접촉부분에 있어서 상기 양단부를 상기 제 4 연결부재(46)에 의해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넓적다리 부재(41)와 종아리 부재(42)의 연결부분에 대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 부재(43)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종아리 부재(42)의 선단부에 형성된 1쌍의 발목 연결판(42c,42c) 사이에 끼워 지지되고, 이들 발 부재(43)와 발목 연결판(42c,42c)에 제 5 연결부재(47)를 관통시킴으로써, 종아리 부재(42)에 대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발목 덮개부재(45)도, 그 양단부 내면을 상기 종아리 부재(42)에 있어서의 양 발목 연결판(42c,42c)의 외면에 각각 접촉시켜서, 그 접촉부분에 있어서 상기 양단부를 상기 제 5 연결부재(47)에 의해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종아리 부재(42)와 발 부재(43)의 연결부분에 대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각 연결부분에 이용되는 제 1 ~ 제 5 연결부재(52,34,48,46,47), 머리부 연결부재(25), 팔꿈치 연결부재(35), 손목 연결부재(36)는, 모두 금속 선조(線條)의 표면이 비닐 코팅에 의해서 연질화된 철사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연결부분에 있어서 각 연결부재와 각 부분과의 사이에 적당한 마찰이 부여되어서, 연결부분에 있어서의 각 부분의 회전이동을 저해하는 일없이, 인형을 임의인 자세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손목 연결부재(36) 이외의 모든 연결부재는, 그들의 양단부에, 각 연결부분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빠짐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연결부재(34)를 예로 들면, 상기 빠짐방지수단은,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34)의 양단부에, 철사의 단부를 연결부재(34)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부려서 형성한 빠짐방지용 구부림부(34a)와, 연결부재(34)에 있어서의 상기 구부림부(34a)에 연속하는 단부를 상기 구부림부(34a) 상에 감아서 형성한 권취부(34b)와, 구부림부(34a)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귀부(34c)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빠짐방지수단의 형성방법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연결부재(34)의 단부를 구부려서, 단부 전체적으로 대략 T자 형상으로 되도록 구부림부(34a) 및 귀부(34c)를 형성하고, 계속해서,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귀부(34c)를 펀치 등으로 회전 조작해서 구부림부(34a)를 회전시켜, 연결부재(34)의 전체의 길이가 적당하게 될 때까지 권취부(34b)의 감기수를 늘림으로써 행해져, 연결부재(34)의 고정과 길이의 조정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종이제 인형에 있어서는, 예컨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형의 어깨 관절의 부분을 움직였을 경우에는, 대략 U자 형상의 어깨 관절부재(5) 및 통형상의 가슴부재(11)가 각각 탄력적으로 휘거나 찌부러지거나 하여 변형됨으로써,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형의 팔의 관절의 부분을 움직였을 경우에는, 팔뚝 부재(32)의 통부(32a)가 위팔 부재(31)와의 접촉부분에서 탄력적으로 찌부러지거나, 혹은 팔꿈치 연결판(32b)이 휘거나 함으로써,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형의 넓적다리 관절의 부분을 몸통부(1)의 측방으로 움 직였을 경우에는, 통형상의 넓적다리 부재(41)의 기단부가 허리부재(12)에 접촉해서 탄성적으로 찌부러짐으로써, 종이제 인형의 어깨 관절이나 팔의 관절이나 넓적다리 관절의 연결부분이 각각 인간의 어깨 관절이나 팔의 관절이나 넓적다리 관절의 움직임에 보다 가까운 유연한 움직임을 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형의 각 개소, 특히 각 관절부분에서 연결된 각 부분이 그 움직임에 따라 변형됨으로써, 인형의 각 관절부분이 인간의 관절의 움직임에 보다 가까운 유연한 움직임을 하기 때문에, 종래의 인형과 같이 기계적이고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적어지고, 종이제 인형에, 보다 인간에 가까운 움직임을 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인형의 관절을 형성하는 연결부분이, 연결해야 할 부분을 연결부재로 관통시킨 비교적 단순한 구성이며, 또한 연결부재의 빠짐방지와 길이 조절을 간단하고 또한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부분끼리의 연결 작업이 간단하고, 결과적으로 인형의 제작도 용이하다. 또한, 사용중에 있어서, 연결부분에 있어서의 각 부분의 연결이 견고해지거나, 반대로 느슨하게 되거나 하더라도, 빠짐방지수단의 귀부를 회전 조작해서 권취부의 감기수를 증감함으로써, 연결부분의 견고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각 부분의 수리나 교환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어깨부재(51)나 무릎부재(44), 발목 덮개부재(45)를 부착하고 있지만, 이들 부재는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고, 또한, 설치한 경우이여도, 이 실시예에 나타내어진 형상이나 크기일 필요는 없고, 각 연결부분의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인 형상이나 크기로 할 수 있다. 또한, 얼굴부재(24)의 형상이나 얼굴의 그림, 손목부재의 형상, 또는 인형의 외측 표면의 모양 등에 대해서도 임의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손목 연결부재(36) 이외의 각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구부림부, 권취부, 귀부를 모두 구비한 빠짐방지수단이 형성되어 있지만, 일단에 구부림부만으로 이루어지는 빠짐방지수단을 설치함과 아울러, 타단에 구부림부, 권취부, 귀부로 이루어지는 빠짐방지수단을 설치하고, 그 타단측에서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해도 좋다.

Claims (7)

  1. 종이를 구부려서 형성한 가요성이 있는 복수의 부분을 연결함으로써 구성된 종이제 인형으로서, 상기 복수의 부분은 몸통부, 머리부, 좌우의 팔, 좌우의 다리, 및 상기 팔을 몸통부에 부착하기 위한 좌우의 어깨 관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는, 통형상을 하고 있으며, 축선을 세로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어깨 관절부재는, 대략 U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몸통부의 측면에 접촉하는 중간벽부와, 외측을 향해 개방하는 1쌍의 측벽부를 갖고, 좌우의 어깨 관절부재가 중간벽부에서 상기 몸통부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팔은,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된 위팔 부재와 팔뚝 부재와 손목부재를 갖고, 적어도 위팔 부재가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 위팔 부재의 기단부가 상기 어깨 관절부재의 1쌍의 측벽부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고, 이들 측벽부와 위팔 부재가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다리는,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된 넓적다리 부재와 종아리 부재와 발 부재를 갖고, 적어도 넓적다리 부재가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 넓적다리 부재가 상기 몸통부의 측면에 접촉하고, 그 몸통부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제 인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통형상이며 가장 큰 단면 사이즈를 갖는 가 슴부재, 통형상이며 중간의 단면 사이즈를 갖는 배 부재, 및 통형상이며 가장 작은 단면 사이즈를 갖는 허리부재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가슴부재에는, 그 좌우 양측면에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오목부의 위치에서 상기 어깨 관절부재가 이 가슴부재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허리부재에 상기 다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제 인형.
  3. 제1항에 있어서, 종이를 구부려서 형성한 가요성이 있는 복수의 부분을, 연결부재로 움직일 수 있게 연결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의 어깨 관절부재는, 상기 몸통부와 이들 어깨 관절부재의 상기 중간벽부를 관통하는 제 1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몸통부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위팔 부재의 기단부는, 상기 어깨 관절부재의 1쌍의 측벽부와 상기 위팔 부재를 관통하는 제 2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어깨 관절부재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넓적다리 부재는, 상기 몸통부를 관통하는 제 3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몸통부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제 인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팔은, 상기 어깨 관절부재와 위팔 부재의 연결부분을 덮는 어깨부재를 추가로 갖고 있으며, 이 어깨부재는 U자 형상으로 구부려져, 상기 어깨 관절부재에 상기 제 2 연결부재에 의해 회전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제 인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상기 넓적다리 부재와 종아리 부재의 연결부분을 덮는 대략 U자 형상의 무릎부재와, 종아리 부재와 발 부재의 연결부분을 덮는 대략 U자 형상의 발목 덮개부재를 추가로 갖고 있으며,
    상기 무릎부재는, 상기 넓적다리 부재와 종아리 부재를 연결하는 제 4 연결부재에 의해 이들 양 부재의 연결부분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발목 덮개부재는, 상기 종아리 부재와 발 부재를 연결하는 제 5 연결부재에 의해 이들 양 부재의 연결부분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제 인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부재는, 연질화된 표면을 갖는 철사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 상기 철사의 단부를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부려서 형성한 빠짐방지용 구부림부를 갖고,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적어도 일단측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를 상기 구부림부 상에 감아서 형성한 권취부와, 상기 구부림부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귀부를 갖고 있어서, 상기 구부림부를 회전시켜서 권취부의 감기수를 늘림으로써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제 인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부재의 표면은 비닐 코팅에 의해 연질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제 인형.
KR1020057018944A 2003-09-12 2004-08-31 종이제 인형 KR100686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21710A JP3671048B2 (ja) 2003-09-12 2003-09-12 紙製人形
JPJP-P-2003-00321710 2003-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587A true KR20060035587A (ko) 2006-04-26
KR100686603B1 KR100686603B1 (ko) 2007-02-26

Family

ID=3043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8944A KR100686603B1 (ko) 2003-09-12 2004-08-31 종이제 인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727045B2 (ko)
EP (1) EP1666111B1 (ko)
JP (1) JP3671048B2 (ko)
KR (1) KR100686603B1 (ko)
CN (1) CN1842361B (ko)
AT (1) ATE476235T1 (ko)
DE (1) DE602004028491D1 (ko)
HK (1) HK1096892A1 (ko)
TW (1) TWI247621B (ko)
WO (1) WO20050257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366A (ko) * 2020-10-28 2022-05-06 (주)델로 관절 구조를 포함하는 토이 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5798A (ja) * 2005-11-16 2007-06-07 Kokuyo Co Ltd 玩具
JP4664317B2 (ja) * 2007-01-19 2011-04-06 バタフライ・ストローク・株式會社 紙製人形
US9033577B2 (en) * 2008-10-14 2015-05-19 American Greetings Corporation Gift bags with removable, configurable and wearable parts
US9339735B2 (en) * 2014-07-14 2016-05-17 Foldems LLC Three dimensional folded figures with rotating joints
KR200481996Y1 (ko) * 2014-11-24 2016-12-05 오세기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TWM508355U (zh) * 2015-05-21 2015-09-11 Glory Innovations Inc 組合玩具
JP6126185B2 (ja) 2015-10-22 2017-05-10 株式会社バンダイ 人形体の関節構造
KR101592531B1 (ko) * 2015-12-02 2016-02-05 송명석 종이 모형 완구
JP6218866B2 (ja) * 2016-01-28 2017-10-25 株式会社バンダイ 木製フィギュア
CN107376381B (zh) * 2017-08-30 2023-05-02 上海艺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板组装玩具的可动结构
CN108015778B (zh) * 2017-12-04 2023-08-04 深圳市优必选科技有限公司 肩甲结构以及机器人
US11958658B1 (en) 2020-01-22 2024-04-16 Foldables LLC Flat packaging and packaging methods
JP7213373B1 (ja) 2022-01-28 2023-01-26 株式会社メガハウス 玩具体、及び、玩具セット
JP7168805B1 (ja) * 2022-03-11 2022-11-09 株式会社バンダイ 模型玩具、及び可動構造
JP7194852B1 (ja) * 2022-05-10 2022-12-22 株式会社バンダイ 模型玩具、及び関節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420601A (en) * 1914-10-06 1915-09-09 Samuel Follick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oy Figures, Animals, or similar Toys.
US1422840A (en) * 1920-02-24 1922-07-18 Grasse Consuelo De Jointed lay figure, model, or doll
US2149254A (en) * 1934-12-12 1939-03-07 Wilbert R Corswirt Constructional figure
US3010253A (en) * 1958-01-17 1961-11-28 Robert K Ostrander Jointed doll
US2927400A (en) * 1958-02-03 1960-03-08 Oraleah L Bailey Animated figure
US3634966A (en) * 1970-03-27 1972-01-18 Robert K Ostrander Jointed doll
DE2320465A1 (de) * 1973-04-21 1974-11-07 Klaus Barth Spielzeugfiguren, insbesondere tierfiguren aus einem sich selbsttragenden flexiblen material
FR2278370A1 (fr) * 1974-03-18 1976-02-13 Salins Jean Jeu didactique d'assemblage
US3942284A (en) * 1974-03-18 1976-03-09 Mego Corporation Doll with seven spherical torso joints and five appendages held by three-secured elastic members
GB1496789A (en) 1975-10-13 1978-01-05 Zil Creations Ltd Toy constructional kits
JPS5271499U (ko) * 1975-11-21 1977-05-27
JPS5271499A (en) 1975-12-08 1977-06-14 Morita Kagaku Kogyo Improvement of solubility of steviocide
US4279099A (en) * 1979-12-10 1981-07-21 Mattel, Inc. Figure toy
GB8404029D0 (en) * 1984-02-16 1984-03-21 Bois Azad L Du Paper toys
US4798317A (en) * 1987-10-01 1989-01-17 John Lonczak Mannequin formed of sheet material
JP2883933B2 (ja) 1989-07-01 1999-04-19 株式会社リコー ビスアゾ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35062U (ko) * 1989-08-18 1991-04-05
JP2561016Y2 (ja) * 1992-06-30 1998-01-28 株式会社タカラ 組み合わせ玩具
JPH0741266B2 (ja) 1993-04-15 1995-05-10 海洋工業株式会社 浄水装置
US6120344A (en) * 1996-05-09 2000-09-19 Brown; Jerry L. Three-dimensional folded carton action figures
JP3048763U (ja) * 1997-11-10 1998-05-22 株式会社小学館 組立て玩具用ペーパークラフト
JP2001128835A (ja) * 1999-11-05 2001-05-15 Fairyland:Kk ワイヤー状塑性体とこれを使用した製品
JP3070126U (ja) * 1999-12-02 2000-07-18 貴裕 米村 多面体を用いた立体的な紙模型
WO2001085400A2 (en) * 2000-05-09 2001-11-15 Hasbro, Inc. Self-stabilizing walking apparatus that is capable of being reprogrammed or puppeteered
JP3341213B2 (ja) * 2000-10-13 2002-11-05 株式会社ボークス 人形玩具
JP3726023B2 (ja) * 2001-01-31 2005-12-14 株式会社メガハウス 人形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366A (ko) * 2020-10-28 2022-05-06 (주)델로 관절 구조를 포함하는 토이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2361A (zh) 2006-10-04
ATE476235T1 (de) 2010-08-15
EP1666111A4 (en) 2008-10-29
US7727045B2 (en) 2010-06-01
WO2005025709A8 (ja) 2005-08-25
EP1666111B1 (en) 2010-08-04
HK1096892A1 (en) 2007-06-15
JP2004000774A (ja) 2004-01-08
TWI247621B (en) 2006-01-21
TW200510047A (en) 2005-03-16
WO2005025709A1 (ja) 2005-03-24
US20070128974A1 (en) 2007-06-07
JP3671048B2 (ja) 2005-07-13
EP1666111A1 (en) 2006-06-07
CN1842361B (zh) 2010-10-13
DE602004028491D1 (de) 2010-09-16
KR100686603B1 (ko) 2007-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603B1 (ko) 종이제 인형
US11167409B2 (en) Action robot
JP3185443U (ja) 人形玩具の関節機構及び人形玩具
JP2011234986A (ja) 人形体の関節構造
EP1887896B1 (en) Costume with flexure element
JP2014532519A (ja) モデル
JP2019030684A (ja)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JP2013255858A (ja) 人形体の関節構造
JPH1176627A (ja) 人 形
JP2023021401A (ja) 模型部品、及び関節構造
JP2023133100A (ja) 玩具部品及び人形玩具
JP2006346261A (ja) シート製可動式模型
JP2022058319A (ja) 人形体の関節構造
JP6818824B2 (ja) 人形体の足首の関節構造および人形体
KR101132806B1 (ko) 구체 관절 인형
KR102564205B1 (ko)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JP7062736B2 (ja) 人形体の関節構造
JP7157223B2 (ja) 人形体の手および人形体
JP7460840B1 (ja) 模型玩具、及び構造体
KR101283243B1 (ko)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CN114712866A (zh) 人形体和关节构造
CN117919728A (zh) 模型玩具和可动构造体
JP2022028002A (ja) 人形体の手および人形体
JP3147001U (ja) 人形用構成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人形体
JP2020189188A (ja) 人形体の手および人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