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996Y1 -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 Google Patents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996Y1
KR200481996Y1 KR2020140008608U KR20140008608U KR200481996Y1 KR 200481996 Y1 KR200481996 Y1 KR 200481996Y1 KR 2020140008608 U KR2020140008608 U KR 2020140008608U KR 20140008608 U KR20140008608 U KR 20140008608U KR 200481996 Y1 KR200481996 Y1 KR 200481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upled
arm
head
d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876U (ko
Inventor
오세기
Original Assignee
오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기 filed Critical 오세기
Priority to KR2020140008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99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9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4Dolls' hair or wigs; Eyelashes; Eyebrow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내부에 지지구가 결합된 몸체부, 상기 지지구에 일측이 지지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탄성체, 상기 머리부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관절축을 통해 절첩된 후 연장되는 타단의 단부가 상기 탄성체의 상부에서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일측이 결합된 팔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Paper Doll With Articulation Mechanism}
본 고안은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력을 가하면 종이인형이 특정한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머리, 몸, 팔, 다리 등과 같은 부품들을 관절구조로 결합한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형이라 함은 인간의 모습, 동물 또는 가공의 생물을 흉내내어 만들어진 완구 또는 장식품을 말한다.
한편, 종이인형은 인쇄되어 있는 부분품을 오려내거나 떼어내어 설명서에 따라 조립함으로써 놀이용 완구를 완성하는 것으로, 주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보다 복잡한 제품들도 개발되고 있다.
종이인형은 사용자가 종이 부분품을 접거나 풀로 붙이거나 끼워맞춤으로써 간편하면서도 완성도 높은 완구를 만드는 것으로 비행기, 배,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 글라이더, 로봇, 동물, 곤충, 건축물 등의 모형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종이인형은 제작 과정에서 상해의 위험이 없으며, 창의력을 높일 수 있고, 특히, 장난감에 쉽게 싫증을 느끼는 자녀에게 플라스틱 혹은 금속으로된 완구를 제공하는 부모의 입장에서 상당히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종이인형의 일예가 등록실용신안 제20-0285506호 "종이모형완구"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의 종이인형은, 캐릭터나 동,식물등이 프린팅되어 1차원적으로 마련된 바탕모형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부착구를 이용하여 보조모형을 부착함으로써, 바탕모형이 갖는 특징적인 부분을 2차원적으로 부각시키는 구성이다.
따라서, 흥미가 배가되고, 난이도를 다양화할 수 있어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사물에 대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인지도를 높이는 동시에 형상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어 창작학습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의 종이인형은 정지된 물체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표현성의 한계가 있고, 이에 따라 아이들이 쉽게 싫증을 느끼므로 오랫동안 가지고 놀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종이인형에 관절을 대신하는 철사 등을 결합시켜 종이인형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종이인형이 취하는 자세만 바뀔 뿐 역동적인 동작을 할 수 없는 아쉬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종이를 이용해 입체적인 인형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커팅라인을 통해 직접 뜯고, 자르고, 접고, 붙이는 작업을 통해 창의성, 창조성, 교육성 등이 발휘되는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작된 제품이 작동가능하여 직접 가지고 놀 수 있으므로 놀이용 교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곤충, 동물 등의 움직임, 상태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응용가능하므로 교육용 교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력을 가하면 작동이 가능하고,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이 가능한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한번 완성된 도안을 종이에 출력하여 사용하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중 찢김 등에 의한 파손이 있더라도 다시 제작하여 조립하기 쉬운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내부에 지지구가 결합된 몸체부와, 상기 지지구에 일측이 지지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탄성체와, 상기 머리부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관절축을 통해 절첩된 후 연장되는 타단의 단부가 상기 탄성체의 상부에서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일측이 결합된 팔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다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호 대칭되게 마련된 한 쌍의 가압지와, 상기 한 쌍의 가압지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가압지의 사이에 상호 대칭되게 마련되며 폭방향 중심에 접힘라인이 형성된 변형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팔부는, 상기 머리부에 일단이 결합된 상부암과, 상기 탄성체의 상부면에 일단이 맞닿게 위치되고 상기 상부암의 단부에 타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일측이 결합된 하부암과, 상기 상부암과 상기 하부암의 각각에 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관절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중첩되게 접은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은, 종이를 이용해 입체적인 인형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팅라인을 통해 직접 뜯고, 자르고, 접고, 붙이는 작업을 통해 창의성, 창조성, 교육성 등이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된 제품이 작동가능하여 직접 가지고 놀 수 있으므로 놀이용 교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곤충, 동물 등의 움직임, 상태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응용가능하므로 교육용 교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력을 가하면 작동이 가능하고,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한번 완성된 도안을 종이에 출력하여 사용하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중 찢김 등에 의한 파손이 있더라도 다시 제작하여 조립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작동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작동예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10)은, 캐릭터, 동물, 곤충, 식물 등 선택된 원하는 형상이 프링팅된 종이를 출력하여 커팅라인을 통해 직접 뜯어 조립하는 종이인형으로서, 머리부(100), 몸체부(200), 탄성체(300), 팔부(400) 및, 다리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머리부(100)는 곰의 머리부분에 해당하며, 하부에 위치된 육면체의 전방과 상부에 측면에서 본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인 육면체가 밑변을 통해 각각 결합되어 입체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머리부(100)는 전방에 결합된 육면체가 곰의 코와 입이 돌출되게 표현되고, 상부에 결합된 육면체가 곰의 얼굴이 입체적으로 표현되게 한 것이다.
머리부(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방 육면체의 전면과 상부측면에는 입과 코가 각각 프린팅된다. 또한, 상부 육면체의 전방측면에는 눈이 프린팅되고, 상부면에는 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가장자리 각각에 귀가 결합된다.
몸체부(200)는 머리부(100)의 하부에 위치되고, 내부에 지지구(230)가 결합된다.
몸체부(200)는 곰의 몸통부분에 해당하며, 대략적인 형상은 전후방에 상호 대칭되는 직사각형과, 양측면이 상호 대칭되는 직사각형이 상호 결합된 중공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된다.
몸체부(200)는 가압지(210), 변형지(220)로 이루어진다.
가압지(21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된다.
가압지(210)는 곰의 몸통에서 옆구리에 해당하며, 상부쪽 단부의 일부가 몸통의 내부를 향해 소정 각도로 하향경사지게 접혀진 상태로 마련된다.
변형지(220)는 한 쌍의 가압지(210)에 양단이 결합되어 한 쌍의 가압지(210)의 사이에 상호 대칭되게 마련되며, 폭방향 중심에 접힘라인(232)이 형성된다.
변형지(220)는 곰의 몸통에서 배와 등에 해당하며, 상부폭이 하부폭보다 큰 상관하협의 직사각형으로 마련된다.
접힘라인(232)은 변형지(220)의 폭 방향 중심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몸체부(200)의 양측에 위치된 가압지(210)를 눌렀을 때, 몸체부(200)의 전후방에 위치된 변형지(220)가 전방과 후방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해주는 접힘선에 해당한다.
탄성체(300)는 지지구(230)에 일측이 지지되어 몸체부(200)의 내부에 수용된다.
탄성체(300)는 몸체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중첩되게 접은 종이로써, 스프링의 구조가 되도록 종이를 여러 겹으로 접어 상부방향으로 쌓아올린 것을 말한다.
지지구(230)는 "M"자 형상으로 접힌 종이이며, 양단부를 한 쌍의 가압지(210)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시켜 몸체부(200)의 전방에서 바라본 형상이 몸체부(200) 내부의 하부에서 "ㅡ"자 형상이 되도록 마련시킨 것을 말한다. 이때, "ㅡ"자 형상으로 놓인 지지구(230)의 상부에 탄성체(300)를 안착시킨다.
팔부(400)는 머리부(100)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관절축(430)을 통해 절첩된 후 연장되는 타단의 단부가 탄성체(300)의 상부에서 결합되도록 몸체부(200)에 일측이 결합된다.
팔부(400)는 곰의 양팔에 해당하고, 몸체부(200)의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자 형상이 머리부(100)의 좌측에, ">"자 형상이 머리부(100)의 우측에 위치되게 결합되며, 이하, 본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은 ">"자 형상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팔부(400)는 상부암(410), 하부암(420), 관절축(430)으로 이루어진다.
상부암(410)은 ">"자 형상 팔부(400)에서 상하로 나뉜 양단부 중 상부쪽을 말하며, 머리부(100)에 일단이 결합된다.
상부암(410)은 몸체부(200)의 정면과 상부의 각각에서 바라본 단면이 "◁"자, "□"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자 형상의 하부면 일단이 일부돌출되어 머리부(100)의 측면에 결합된다.
하부암(420)은 탄성체(300)의 상부면에 일단이 맞닿게 위치되고, 상부암(410)의 단부에 타단이 결합되도록 몸체부(200)의 상부에 일측이 결합된다.
하부암(420)은 ">"자 형상의 팔부(400)에서 하부쪽을 말하며, 몸체부(200)의 정면과 하부의 각각에서 바라본 단면이 "▷"자, "□"자 형상으로 마련된다.
하부암(420)은 "▷"자 형상의 하부면 소정 위치가 가압지(210)의 상부에 경사지게 접힌 단부에 결합되어 몸체부(200)의 내부와 외부에 양단부가 위치된다.
이때, 하부암(420)은 몸체부(200)의 외부에 위치된 단부가 상부암(410)의 단부에 결합되며, 몸체부(200)의 내측에 위치된 단부는 상호 대칭되게 마련된 반대쪽 하부암(420)의 양단부 중 몸체부(200)의 내측에 위치된 단부에 결합된다.
한편, 하부암(420)과 하부암(420)이 결합되어 몸체부(200)의 내부에 위치된 단부의 형상은 "◁"자 형상과 "▷"자 형상이 마주하는 모습이며, 이때 결합은 "V" 형상으로 상부에 절개부(440)가 형성되도록 하부암(420)의 각각에 바닥면이 연결되게 결합된다.
관절축(430)은 상부암(410)과 하부암(420)의 각각에 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다.
즉, 관절축(430)은 전술된 하부암(420)의 양단부 중 몸체부(200)의 내측에 위치된 단부와 상부암(410)의 단부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접힘부이며, 팔부(400)에서 위팔과 아래팔을 이어주는 팔오금에 해당된다.
다리부(500)는 몸체부(200)에 결합되어 몸체부(200)를 지지한다.
다리부(500)는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ㄷ"자 형상의 양단부가 가압지(210)의 외측 하부면에 결합되어 몸체부(200)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마련된다.
다리부(500)는 곰 형상의 종이인형(10)이 지면 등의 장소에 앉은 자세를 취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몸체부(200)를 지지하며, 몸체부(200)로부터 이격되어 외측에 위치된 단부의 상부는 일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곰의 발을 표현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의 조립과 사용방법을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조립을 설명하면, 곰 형상이 프린팅된 종이를 출력하여 커팅라인을 통해 머리부(100), 몸체부(200), 탄성체(300), 팔부(400), 다리부(400)를 분리한다.
이후, 사용자가 직접 자르고, 접고, 붙이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이드선(미도시)을 이용해 머리부(100), 몸체부(200), 탄성체(300), 팔부(400), 다리부(400)를 각각의 형상에 맞게 조립한다.
다음, 몸체부(200)의 내부에 지지구(230)를 결합한 후 탄성체(300)를 몸체부(200)의 내부에 삽입하고, 팔부(400)를 가압지(210)의 각각에 단부에 결합시킨다.
이후, 가압지(210)에 결합된 팔부(400)의 양단부를 머리부(100)의 양측에 각각 결합시키고, 다리부(500)를 몸체부(200)에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곰 형상의 종이인형(10)을 다리부(500)를 이용하여 지면에 안착시키거나, 손으로 몸체부(200)를 잡아 든다.
이후, 가압지(210)를 몸체부(200)의 내부를 향해 양측에서 가압하면, 가압지(210)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몸체부(200)의 전후방에 위치된 각각의 변형지(220)가 접힘라인(232)을 통해 접혀지면서 전방과 후방을 향해 밀려난다.
동시에, 관절축(43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부암(410)과 하부암(420)의 단부가 상호 이격되게끔 이동되고, 몸체부(200)의 양측에 위치된 관절축(430)은 근접되게끔 몸체부(200)를 향해 이동된다.
이때, 머리부(100)는 상부암(410)에 의해 몸체부(200)로부터 이격되어 상부로 이동되며, 탄성체(300)는 하부암(420)에 의해 압축된다.
이후, 손을 높으면 탄성체(300)의 압축력을 통한 반발력으로 상부암(410)과 하부암(420)이 전술된 역동작으로 작동되어 머리부(100)가 몸체부(200)의 상부에 안착되게 원위치 된다.
이때, 탄성체(300)는 신축성 있는 고무재질이 아닌 종이로만 제작되어도 종이인형(10)의 반복적인 동작을 위한 기동성과 복원력을 충분히 제공한다.
여기서, 몸체부(200)의 상부에는 머리부(100)와 다른 형상의 머리(미도시)를 결합시키고, 상부암(410)에 결합된 머리부(100)가 이 머리(미도시)를 수용하도록 마련시켜, 머리부(100)가 상하 이동될 때 숨겨진 내용물 즉, 머리가 나오게 하는 응용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은 종이를 이용해 입체적인 인형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팅라인을 통해 직접 뜯고, 자르고, 접고, 붙이는 작업을 통해 창의성, 창조성, 교육성 등이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된 제품이 작동가능하여 직접 가지고 놀 수 있으므로 놀이용 교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곤충, 동물 등의 움직임, 상태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응용가능하므로 교육용 교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력을 가하면 작동이 가능하고,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한번 완성된 도안을 종이에 출력하여 사용하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중 찢김 등에 의한 파손이 있더라도 다시 제작하여 조립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종이인형 100: 머리부 200: 몸체부
210: 가압지 220: 변형지 230: 지지구
232: 접힘라인 300: 탄성체 400: 팔부
410: 상부암 420: 하부암 430: 관절축
500: 다리부

Claims (4)

  1.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내부에 지지구가 결합된 몸체부;
    상기 지지구에 일측이 지지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탄성체;
    상기 머리부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관절축을 통해 절첩된 후 연장되는 타단의 단부가 상기 탄성체의 상부에서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일측이 결합된 팔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다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호 대칭되게 마련된 한 쌍의 가압지와, 상기 한 쌍의 가압지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가압지의 사이에 상호 대칭되게 마련되며 폭방향 중심에 접힘라인이 형성된 변형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팔부는,
    상기 머리부에 일단이 결합된 상부암과, 상기 탄성체의 상부면에 일단이 맞닿게 위치되고 상기 상부암의 단부에 타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일측이 결합된 하부암과, 상기 상부암과 상기 하부암의 각각에 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관절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중첩되게 접은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KR2020140008608U 2014-11-24 2014-11-24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KR200481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608U KR200481996Y1 (ko) 2014-11-24 2014-11-24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608U KR200481996Y1 (ko) 2014-11-24 2014-11-24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76U KR20160001876U (ko) 2016-06-01
KR200481996Y1 true KR200481996Y1 (ko) 2016-12-05

Family

ID=56135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608U KR200481996Y1 (ko) 2014-11-24 2014-11-24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99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0579A (en) 1975-06-13 1977-01-04 Victor Joseph Gornall Animated clacker
JP3193599B2 (ja) * 1995-08-28 2001-07-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往復動圧縮機
KR100686603B1 (ko) * 2003-09-12 2007-02-26 버터플라이ㆍ스트로크ㆍ가부시키가이샤 종이제 인형
JP2011235041A (ja) * 2010-04-30 2011-11-24 Takada Shiki Seisakusho:Kk 立体的に変化する玩具の収納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0745A (en) * 1989-12-20 1991-06-04 General Electric Company Reaction wheel fricton compensation using dith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0579A (en) 1975-06-13 1977-01-04 Victor Joseph Gornall Animated clacker
JP3193599B2 (ja) * 1995-08-28 2001-07-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往復動圧縮機
KR100686603B1 (ko) * 2003-09-12 2007-02-26 버터플라이ㆍ스트로크ㆍ가부시키가이샤 종이제 인형
JP2011235041A (ja) * 2010-04-30 2011-11-24 Takada Shiki Seisakusho:Kk 立体的に変化する玩具の収納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76U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458B1 (ko) 종이모형완구
KR200481995Y1 (ko)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
KR200481996Y1 (ko)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US5470270A (en) Doll with baby-hugging capabilities
US2045830A (en) Costumed figure
US2585279A (en) Knee pony
US10987600B2 (en) Clothing for a two-dimensional doll
US8257132B2 (en) Doll kit
US5775971A (en) Three-dimensional folded carton action figures
US1066769A (en) Cut toy figure.
KR102162953B1 (ko)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JP3194827U (ja) 組立式立体玩具
CN212491522U (zh) 一种手工活动式纸袋玩偶教具
US20070270076A1 (en) Tricyle carriage toy with dual drive wheels and characterized cover
KR200285464Y1 (ko) 관절이 움직이는 종이모형완구
KR200420471Y1 (ko) 케이크 상자
KR100722959B1 (ko) 케이크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인형극 연출방법
JP3136638U (ja) 知育玩具用人型ブロック
KR20140123221A (ko) 동적 입체 모형 연결부의 스프링 연결 구조
KR20180061580A (ko) 직립형 페이퍼 토이
KR101529815B1 (ko) 페이퍼 토이 북
CN211963055U (zh) 一种人型立方体串智力玩具
US20180001222A1 (en) Shape Changing Toy Apparatus
US3091892A (en) Animated figure
JP4664317B2 (ja) 紙製人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