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995Y1 -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 - Google Patents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995Y1
KR200481995Y1 KR2020140008604U KR20140008604U KR200481995Y1 KR 200481995 Y1 KR200481995 Y1 KR 200481995Y1 KR 2020140008604 U KR2020140008604 U KR 2020140008604U KR 20140008604 U KR20140008604 U KR 20140008604U KR 200481995 Y1 KR200481995 Y1 KR 200481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aper
skeleton
doll
de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874U (ko
Inventor
오세기
Original Assignee
오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기 filed Critical 오세기
Priority to KR2020140008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995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8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9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 복수개의 가이드선이 형성된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가이드선이 형성된 제2 몸체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제1 및 제2 몸체에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몸체가 외력으로 변형될 때 접힘되며, 접힘된 단부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하이동되는 뼈대와, 상기 제1 및 제2 몸체의 결합을 통해 상기 몸체에 마련되는 걸림부에 끼워져 상기 몸체가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Possible Modifications And Restoration Of Paper Dolls}
본 고안은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었다가 외력을 제거하면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형이라 함은 인간의 모습, 동물 또는 가공의 생물을 흉내내어 만들어진 완구 또는 장식품을 말한다.
인형은 행복을 부르고 재액(災厄)을 쫓는 종교적인 의미, 어린아이의 장난감, 문화의 발달에 따라 미(美)의 추구를 위한 감상의 목적 등에 맞춰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진다.
인형의 제작을 위한 다양한 재료 중 하나로 종이가 있으며, 종이로 만들어진 인형의 일예가 등록특허 10-1254458호 "종이모형완구"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의 종이인형은 평평한 받침종이, 몸통부와 다리부와 머리지지부 및 꼬리부가 한 장의 종이에 형성된 몸통종이, 몸통종이의 머리지지부에 접착되어 전면에 동물의 얼굴이 형성된 머리종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몸통부의 양측단에는 다리접지선이 형성되어 다리부가 연결되고, 선단에는 제1 지지접지선이 형성되어 머리지지부가 연결되며, 후단에는 꼬리접지선이 형성되어 꼬리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평평한 면을 갖는 장소에 놓을 수 있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머리종이의 상부를 뒤로 살짝 누르면 머리지지부가 제1 지지접지선을 중심으로 전후로 까닥거리면서 움직임에 따라 머리종이 또한 전후로 까닥거리게 된다.
이러한 종이인현의 움직임은 사용자의 호기심을 유발시키고, 마치 애완동물의 머리를 쓰다듬는 듯한 느낌을 주어 애완동물을 키우는 듯한 느낌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의 종이인형은 입체적인 형상과 특정 부위를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움직임이 극히 제한적이어서 쉽게 싫증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특정 부위가 움직이긴 하나 직접 가지고 놀 수 없어 관상용에 가깝고, 움직임이 역동적이지 못하여 창의성, 창조성 등을 키우고자 하는 놀이교재로써 아쉬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종이를 이용해 입체적인 인형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커팅라인을 통해 직접 뜯고, 자르고, 접고, 붙이는 작업을 통해 창의성, 창조성, 교육성 등이 발휘되는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작된 제품이 작동가능하여 직접 가지고 놀 수 있으므로 놀이용 교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곤충, 동물 등의 움직임, 상태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응용가능하므로 교육용 교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동을 위해 제공된 외력을 제거하면 자체복원력으로 원래형상이 되고, 특정 외력에 반응하여 역동적인 동작이 가능한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동의 기본적인 메커니즘을 놀이를 통해 익히고, 보다 어려운 작동 메커니즘으로 응용 및 활용할 수 있는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한번 완성된 도안을 종이에 출력하여 사용하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중 찢김 등에 의한 파손이 있더라도 다시 제작하여 조립하기 쉬운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상기 및 기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복수개의 가이드선이 형성된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가이드선이 형성된 제2 몸체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제1 및 제2 몸체에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몸체가 외력으로 변형될 때 접힘되며, 접힘된 단부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하이동되는 뼈대와, 상기 제1 및 제2 몸체의 결합을 통해 상기 몸체에 마련되는 걸림부에 끼워져 상기 몸체가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뼈대에 결합되고, 상기 뼈대가 상하이동될 때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회동되는 머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는 상기 외력을 통해 변형된 후 상기 탄성체에 의해 복원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하는 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몸체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 결합된 몸체접착부와, 일단이 상기 몸체접착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몸체를 향하도록 돌출된 걸쇠접착부와, 내부에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걸쇠접착부의 단부와 상기 걸쇠접착부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기 몸체접착부의 소정 위치에 양단이 각각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위치된 반대쪽 상기 걸쇠접착부의 측면 단부에 결합된 걸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을 제공한다.
상기 몸체에는 팔, 다리, 꼬리, 날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머리부는, 상기 제1 몸체에 일단이 결합된 상기 뼈대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단부에 위치된 고정머리부와, 상기 제2 몸체에 일단이 결합된 상기 뼈대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머리부를 향해 회동되는 가동머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몸체가 변형될 때 상기 제1 몸체에 형성된 걸림홈에 상기 걸쇠가 관통되어 상기 제2 몸체의 외측면에 지지됨으로써 걸림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은, 종이를 이용해 입체적인 인형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팅라인을 통해 직접 뜯고, 자르고, 접고, 붙이는 작업을 통해 창의성, 창조성, 교육성 등이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된 제품이 작동가능하여 직접 가지고 놀 수 있으므로 놀이용 교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곤충, 동물 등의 움직임, 상태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응용가능하므로 교육용 교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동을 위해 제공된 외력을 제거하면 자체복원력으로 원래형상이 되고, 특정 외력에 반응하여 역동적인 동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작동의 기본적인 메커니즘을 놀이를 통해 익히고, 보다 어려운 작동 메커니즘으로 응용 및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한번 완성된 도안을 종이에 출력하여 사용하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중 찢김 등에 의한 파손이 있더라도 다시 제작하여 조립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강아지 형상을 접목시킨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머리부가 수용되는 예를 좀비형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머리부가 맞닿는 예를 늑대형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스위치가 결합된 예를 곰형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스위치가 결합된 예를 문어형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스위치 및 두개의 탄성체가 결합된 예를 펭귄형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사용된 뼈대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사용되는 스위치의 상세한 확대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강아지 형상을 접목시킨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사용된 뼈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10)은, 캐릭터, 동물, 곤충, 식물 등 선택된 원하는 형상이 프링팅된 종이를 출력하여 커팅라인을 통해 직접 뜯어 조립하는 종이인형으로서, 몸체(100), 뼈대(200), 탄성체(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100)는 캐릭터, 동물, 곤충, 식물 등의 몸통을 말하며 제1 몸체(110), 제2 몸체(120)로 이루어진다.
몸체(100)는 몸통의 정면을 담당하는 제1 몸체(110)와 몸통의 후면을 담당하는 제2 몸체(120)가 결합되어 입체적으로 마련된다.
제1 몸체(110)는 내부에 복수개의 가이드선(112)이 형성된다.
가이드선(130)은 몸체(100)의 형상에 맞춰 사용자가 제1 몸체(110)를 직접 자르고, 접고, 붙이고,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이드라인을 말한다. 이 가이드선(130)을 통해 제1 몸체(110)는 몸체(100)의 형상에 맞춰 특정형상으로 마련된다.
가이드선(130)은 몸체(100)의 형상에 맞춰 제1 몸체(110)의 다양한 위치에 위치되며 직선, 곡선, 나선, 꺾은선, 교차 등 다양하게 마련된다.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가이드선(130)이 형성된다.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와 동일하게 접고, 붙이고, 연결할 수 있는 가이드선(130)이 내부에 형성되고, 이 가이드선(130)을 이용해 제2 몸체(120)는 특정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 몸체(110)의 일측면에 결합됨으로써 몸체(100)는 입체감을 갖는다.
한편, 몸체(100)에는 캐릭터, 동물, 곤충, 식물 등의 몸통의 형상에 맞춰 팔, 다리, 꼬리, 날개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제2 실시예에서 후술될 머리부(400) 대신하여 머리가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도 있다.
물론, 몸체(100)에는 옷, 껍질, 털, 비늘, 잎 등이 결합되거나 그림으로 그려질 수 있으며, 이는 종이인형(10)의 형상에 따른 특징을 보다 구체화시켜 사실성과 시각성으로 인한 호기심을 유발하는데 유용하다.
뼈대(200)는 몸체(100)의 형이 유지되게 하는 골격에 해당하며, 제1 및 제2 몸체(110, 120)에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어 몸체(100)가 외력으로 변형될 때 접힘되고, 접힘된 단부가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이동된다.
뼈대(200)는, 도 7을 참조하면, 몸체(100)의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이 "<" 형인 삼각괄호 형상으로 마련되며, 길이방향의 양단이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중심측에 꺾임단부(210)가 마련된다.
뼈대(200)는 꺾임단부(210)를 필요에 따라 몸체(100)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이 ">"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며, "<" 형상 또는 ">"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본 명세서의 편의상 제1 타입이라 지칭하며, 이는 도 7의 <a>에 해당한다.
꺾임단부(210)는 뼈대(200)가 겹쳐져 꺾이는 단부 즉, 겹쳐진 부분의 꼭지점에 해당하며, 이 꼭지점 부분이 몸체(100)가 외력에 의해 변형될 때 각변화를 통해 몸체(100)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뼈대(200)는 접힘된 단부 즉, 꺾임단부(210)에 제1 및 제2 몸체(110, 120)의 평행면에 평행하도록 마련되는 이동지(220)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이동지(220)는 제1 및 제2 몸체(110, 120)의 꺾임단부(210)를 형성하기 전에 포개접어 형성하거나 별도의 종이를 결합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뼈대(200)는 이동지(220)를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하는 꺾임단부(210)의 좌우측에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마련시킬 수 있으며, 이를 본 명세서의 편의상 제2 타입이라 지칭하며, 이는 도 7의 <b>에 해당한다.
뼈대(200)는 두개의 뼈대(200)가 하나의 이동지(220)의 양측에 결합된 구조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뼈대(200)는 하나의 이동지(220) 양단부에 두개의 뼈대(200)가 각각의 꺽임단부(210)를 통해 결합된 대략 ">ㅡ<" 형상으로 마련된 것으로, 이를 본 명세서의 편의상 제3 타입이라 지칭하며, 이는 도 7의 <c>에 해당한다.
또한, 뼈대(200)는 제3 타입의 변형으로, 제1 몸체(110)에 결합되는 단부와 단부를 상호 연결하고, 제2 몸체(110, 120)에 결합되는 단부와 단부를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접착지(230)가 각각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뼈대(200)의 접착지(230)는 몸체(100)에 뼈대(200)를 결합하기 위한 접촉면을 크게함으로써 결속력 강화 및 몸체(100)의 형을 유지하기 위한 강도를 증가시킨다. 이를, 본 명세서의 편의상 제4 타입이라 지칭하며, 이는 도 7의 <d>에 해당한다.
뼈대(200)는 대략 전술된 4가지 타입으로 마련되어 종이인형(10)의 특징에 맞춰 적절하게 사용하며, 도 7의 <e>, <f>, <g>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타입을 적절하게 변형하여 종이인형(10)이 특별한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체(300)는 신축성이 있는 링형상의 고무재질 즉, 고무줄로 마련되며, 제1 및 제2 몸체(110, 120)의 결합을 통해 몸체(100)에 마련되는 걸림부(140)에 끼워져 몸체(100)가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한다.
탄성체(3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및 제2 몸체(110, 120)가 결합된 몸체(100)의 경계면 중 모서리에 해당하는 부분 즉, 몸체(100)의 내측으로 절개된 홈을 형성시킨 걸림부(140)의 각각에 걸어 몸체(100)의 외부에 마련된 것을 말한다.
여기서, 걸림부(140)는 제1 및 제2 몸체(110, 1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탄성체(300)가 신축되는 동안 경계면으로 삽입되어 몸체(100)를 제1 및 제2 몸체(110, 120)로 분리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탄성체(300)는, 몸체(10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몸체(110, 120) 중 어느 하나의 접착면을 접착시키지 않고 몸체(100)의 내부에서 상호 대칭되도록 일부 빼어낸 후, 각각의 단부에 걸어줌으로써 몸체(100)의 내부에 마련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도 6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의 조립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강아지 형상이 프린팅된 종이를 출력하여 커팅라인을 통해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 및 머리를 분리한다.
이때,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는 강아지의 배와 등에 각각 해당하며, 제2 몸체(120)에는 다리 및 꼬리가 일체로 마련된다.
이후, 가이드선(130)을 이용해 제1 및 제2 몸체(110, 120)를 강아지 형상에 맞춰 접은 후, 몸체(100)의 내측면에 도 7의 <e>에 도시된 뼈대(200)를 결합한 후 제1 및 제2 몸체(110, 120)를 결합한다.
이후, 강아지의 전방에 해당되는 꺾임단부(210)에 강아지의 머리를 붙이고, 걸림홈(150)에 탄성체(300)를 끼움으로써 조립이 완성된다.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강아지의 다리가 지면에 안착되도록 종이인형(10)을 위치시키고, 등 부분을 지면을 향해 가압하면 제1 및 제2 몸체(110, 120)가 맞닿도록 몸체(100)가 납작해지면서 머리는 등을 향해 회동된다. 즉, 강아지는 엎드린 상태가 된다.
이후,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체(300)의 복원력으로 강아지 인형은 원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의하면, 종이를 이용해 입체적인 인형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팅라인을 통해 직접 뜯고, 자르고, 접고, 붙이는 작업을 통해 창의성, 창조성, 교육성 등이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된 제품이 작동가능하여 직접 가지고 놀 수 있으므로 놀이용 교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곤충, 동물 등의 움직임, 상태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응용가능하므로 교육용 교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동을 위해 제공된 외력을 제거하면 자체복원력으로 원래형상이 되고, 특정 외력에 반응하여 역동적인 동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작동의 기본적인 메커니즘을 놀이를 통해 익히고, 보다 어려운 작동 메커니즘으로 응용 및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한번 완성된 도안을 종이에 출력하여 사용하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중 찢김 등에 의한 파손이 있더라도 다시 제작하여 조립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제2 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머리부가 수용되는 예를 좀비형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머리부가 맞닿는 예를 늑대형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스위치가 결합된 예를 곰형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스위치가 결합된 예를 문어형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스위치 및 두개의 탄성체가 결합된 예를 펭귄형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사용된 뼈대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에 사용되는 스위치의 상세한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10)은 뼈대(200)의 단부에 결합되어 뼈대(200)의 상하이동을 통해 몸체(100)의 단부에서 회동되는 머리부(400) 및, 몸체(100)에 마련되어 몸체(100)가 외력에 의해 변형된 후 탄성체(300)에 의해 복원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하는 스위치(500)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10)은 몸체(100), 뼈대(200), 탄성체(300), 머리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머리부(400)는 몸체(1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뼈대(200)에 결합되고, 뼈대(200)가 상하이동될 때 몸체(100)의 단부에서 회동된다.
머리부(400)는 고정머리부(410), 가동머리부(420)로 이루어지고, 전술된 뼈대(200)의 4가지 타입중 제3 타입과 제4 타입에 결합되는게 바람직하며, 후술되는 뼈대(200)는 제4 타입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머리부(410)는 제1 몸체(110)에 일단이 결합된 뼈대(20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몸체(100)의 단부에 위치된다.
고정머리부(410)는 이동지(220)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 뼈대(200)중 제1 몸체(110)에 결합된 뼈대(200)에 결합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꺾임단부(210)와 제1 몸체(110)에 결합된 접착지(230) 사이의 뼈대(200)에 위치된다.
가동머리부(420)는 제2 몸체(120)에 일단이 결합된 뼈대(20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머리부(410)를 향해 회동된다.
가동머리부(420)는 고정머리부(410)가 결합된 뒤쪽에 위치되도록 꺾임단부(210)와 제2 몸체(120)에 결합된 접착지(230) 사이의 뼈대(200)에 위치된다.
가동머리부(420)는 꺾임단부(210)와 제2 몸체(120)에 결합된 접착지(230) 사이의 전체면에 결합되고, 꺾임단부(210)가 이동되면 제2 몸체(120) 단부의 결합축을 중심으로 고정머리부(410)를 향해 전후로 회동된다.
이때, 가동머리부(420)는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고정머리부(410)를 수용하는 형상으로 마련하거나, 고정머리부(410)의 상부면에 맞닿는 형상 등 자유로운 형상변경이 가능하다.
몸체(100)는 외력을 통해 변형된 후 탄성체(300)에 의해 복원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하는 스위치(500)가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500)는, 도 8을 참조하면, 몸체접착부(510), 걸쇠접착부(520), 지지부(530), 걸쇠(540)로 이루어진다.
몸체접착부(510)는 박판상으로 마련된 종이로써, 제1 몸체(110)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 결합된다.
몸체접착부(510)는 4가지 타입의 뼈대(200)를 갖는 종이인형(10)에 모두 결합가능하고, 뼈대(200)에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제1 몸체(11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몸체접착부(510)는 제1 및 제2 몸체(110, 120)에 자유롭게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으나, 종이인형(10)의 외관 및 특징에 맞춰 몸체(100)의 후방쪽 내측면에 위치되는게 바람직하다.
걸쇠접착부(520)는 일단이 몸체접착부(5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몸체(120)를 향하도록 돌출된다.
걸쇠접착부(520)는 박판상으로 마련된 몸체접착부(510)의 일측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몸체접착부(510)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타단이 제2 몸체(120)를 향해 돌출되게 마련된다.
지지부(530)는 내부에 절곡부(532)가 형성되도록 걸쇠접착부(520)의 단부와 걸쇠접착부(520)에 일정거리 이격된 몸체접착부(510)의 소정 위치에 양단이 각각 결합된다.
지지부(530)는 걸쇠접착부(520)에 대칭되는 위치의 몸체접착부(510) 타측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몸체접착부(510)를 향하는 걸쇠접착부(520)의 내측면에 타단이 결합된다.
여기서, 지지부(530)는 걸쇠접착부(520)에 결합될 때 지지부(530)의 측면과 걸쇠접착부(520)의 측면이 맞닿도록 단부가 접힘되어 결합되며, 이는 접촉면적을 넓혀 견고한 결합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걸쇠(540)는 지지부(530)가 위치된 반대쪽 걸쇠접착부(520)의 측면 단부에 결합된다.
걸쇠(540)는 지그재그로 접어 적층된 구조이며, 적층된 길이방향 양측면 중 일측면이 걸쇠접착부(520)의 측면 단부에 위치되게 결합되고, 타측면은 외측을 향한다.
스위치(500)는 몸체(100)가 변형될 때, 제1 몸체(110)에 형성된 걸림홈(150)에 걸쇠(540)가 관통되어 제2 몸체(120)의 외측면에 지지됨으로써 걸림고정된다.
걸림홈(150)은 스위치(500)의 단부가 제1 몸체(110)에 관통된 후 걸쇠(54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몸체(110)에 형성시킨 홈을 말한다.
스위치(5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및 제2 몸체(110, 120)가 상호 맞닿도록 외력에 의해 몸체(100)가 변형될 때, 지지부(530)와 걸쇠접착부(520)가 결합된 스위치(500)의 단부가 걸림홈(150)에 삽입되고, 걸쇠(540)는 걸림홈(150)을 통과하여 몸체(100)의 외측에 위치된다.
이때, 걸쇠(540)의 외측면은 걸림홈(150)이 형성된 제1 몸체(110)의 가장자리에 맞닿아 슬라이딩 되면서 걸림홈(150)에 관통된다.
이후, 외력이 제거되면, 제1 및 제2 몸체(110, 120)가 이격되도록 탄성체(300)에 의해 몸체(100)가 복원되고, 걸쇠(540)의 적층된 측면이 걸림홈(150)이 형성된 제1 몸체(110)의 외측가장자리에 걸림고정되어 스위치(500)는 몸체(100)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걸쇠(540)는 걸림홈(150) 관통시에 절곡부(532)를 통해 소정 경사로 접힘된 지지부(530)의 복원력으로 관통전의 원위치로 위치됨으로써 측면이 제1 몸체(110)의 가장자리에 맞닿게 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의 조립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좀비형상이 프린팅된 종이를 출력하여 커팅라인을 통해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 및 머리부(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종이를 분리한다.
이후, 가이드선(130)을 이용해 제1 몸체(110), 제2 몸체(120) 및 머리부(400)를 좀비형상에 맞춰 접은 후, 몸체(100)의 내측면에 도 7의 <f>에 도시된 뼈대(200)를 결합한 후 제1 및 제2 몸체(110, 120)를 결합한다.
다음, 좀비의 머리에 해당되는 뼈대(200) 중 꺾임단부(210)를 기준으로 전방쪽 뼈대(200)에 고정머리부(410)를 결합하고, 후방쪽 뼈대(200)에 팔이 일체로 마련된 가동머리부(420)를 각각 결합한다.
이때, 하부에 위치된 이동지(220)의 단부에는 별도로 마련된 다리와 발을 결합하고, 탄성체(300)를 걸림홈(150)에 끼우면 조립이 완성된다.
여기서, 탄성체(300)는 가동머리부(420)가 회동될 수 있도록, 걸림부(140)의 상부에 위치된 탄성체(300) 일부분을 고정머리부(410)가 결합된 이동지(220)의 뒤편까지 당겨서 걸어준다.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좀비인형을 들고 있거나, 다리와 발을 이용해 지면에 세워진 상태에서 배와 등을 동시에 누른다.
이후, 외력에 의해 팔이 일체로 마련된 가동머리부(420)가 만세를 하듯 후방을 향해 회동되고, 가동머리부(420)의 내부에 위치하던 고정머리부(410)가 공개된다.
이후, 외력을 제거하면 압착된 몸체(100)가 탄성체(300)에 의해 원상태된다. 즉, 가동머리부(420)가 전방을 향해 회동되면서 고정머리부(410)를 수용하는 원위치가 된다.
이후, 전술된 동작을 일회 또는 반복을 통하여 역동적인 변형을 볼 수 있다.
도 3은 늑대형상이 프린팅된 종이를 조립하여 종이인형(10)을 만든 것으로, 이 늑대인형은 조립과 사용이 전술된 좀비인형과 대동소이하다.
차이점은, 늑대의 다리와 꼬리가 제2 몸체(120)에 일체로 마련되고, 엉덩이 부분을 이용하여 지면에 안착된다.
또한, 머리부(400)의 가동머리부(420)가 고정머리부(410)를 수용하지 않고, 고정머리부(410)에 맞닿도록 마련되며, 몸체(100)에 결합된 뼈대(200)는 도 7의 <g>에 도시된 뼈대(200)를 사용한다.
이때, 머리부(400) 내에 위치된 이동지(220)의 단부에는 양이 그려진 종이를 결합시켜 머리부(400)의 개방 즉, 가동머리부(420)가 회동될 때 동시에 회동되어 나타난다.
도 4는 곰형상이 프린팅된 종이를 조립하여 종이인형(10)을 만든 것으로, 이 곰인형은 제1 실시예의 강아지인형과 대동소이하다.
차이점은, 뼈대(200)를 도 7의 <a>에 도시된 뼈대(200)를 이용하여 몸체(1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하고, 몸체(100) 내부에 전술된 스위치(500)가 결합된 점이다.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곰인형의 배와 등 즉, 제1 및 제2 몸체(110, 120)가 밀착되도록 몸체(100)를 가압하여 스위치(500)를 걸림홈(150)에 체결한다.
이후, 스위치(500)가 책상, 지면 등을 향하도록 곰인형을 던지면, 걸쇠(540)가 걸림홈(150)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탄성체(300)의 복원력으로 인형이 튀어 오른다.
이때, 제1 및 제2 몸체(110, 120)가 이격되면서 몸체(100)가 원상태로 복원된다.
도 5는 문어형상이 프린팅된 종이를 조립하여 종이인형(10)을 만든 것으로, 이 문어인형은 도 4의 곰인형과 대동소이하다.
차이점은, 문어의 다리가 몸체(100)의 하부에 위치된 뼈대(200)에서 연장되게 일체로 마련된 것으로, 이와 관련하여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문어인형을 제1 및 제2 몸체(110, 120)가 밀착되도록 몸체(100)를 가압하여 스위치(500)를 걸림홈(150)에 체결한다.
이후, 문어인형을 도 4의 곰인형을 던지는 방법과 동일하게 던지면, 인형이 팅기면서 복원되고, 책상, 지면 등에 도달할 때면 뼈대(200)로부터 연장된 다리가 완충작용을 하여 몸체(100)가 상부에 위치되게 다리를 통해 안착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문어인형의 다리를 이용하여 책상, 지면 등에 스위치(500)가 체결된 상태로 세워놓고, 문어인형을 전방에서 밀어 넘어뜨리면 후방에 위치된 걸쇠(540)가 책상, 지면 등에 부딪히면서 몸체(100)는 복원된다.
이때, 문어인형의 다리가 지면에 밀착됨으로써 문어인형이 팅길수 있는 발판역할을 함과 동시에 문어인형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게하며, 종이인형이 다리에 의해 지면에 안착될 때 몸체(100)가 상부에 위치되게 된다.
도 6은 펭귄형상이 프린팅된 종이를 조립하여 종이인형(10)을 만든 것으로, 이 펭귄인형은 도 4의 곰인형의 사용방법과 대동소이하다.
차이점은, 펭귄인형의 머리와 몸을 각각 입체적으로 마련하고, 머리의 하부면과 몸의 상부면을 결합시켜 상하로 대칭되게 결합시킨 2단구조의 형태로 마련된 것이다.
머리와 몸의 각각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6각형으로 마련되고, 머리와 몸에 각각의 측면에는 사다리꼴의 밑변이 상호 결합된 형상 즉, 상부쪽은 사다리꼴 하부쪽은 역사다리꼴의 형상이 상하로 결합된 형상이 6각형의 변에 하나씩 위치되게 마련된다.
이때, 머리와 몸의 측면중 사다리꼴의 밑변이 상호 결합된 부분은 사다리꼴과 역사다리꼴의 윗변에 각각 해당하는 부분보다 외측에 위치되며, 사다리꼴 형상 대신에 3각, 4각, 5각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으로 마련해도 무방하다.
여기서, 머리와 몸에 각각의 측면 중심 즉, 사다리꼴의 밑변 부분에는 가이드선(130)이 형성되어 머리와 몸에서 각각 한번씩 총 두번 중첩되게 마련된다. 이때, 머리와 몸에 각각의 측면에는 측면끼리 맞닿은 세로방향의 경계면이 절개되어있어 중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펭귄인형의 머리와 몸의 내부에는 탄성체(300)가 각각 마련된다.
탄성체(300)는 종이인형의 측면에 사다리꼴의 밑변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시켜 종이인형의 내부에 위치된 단부중 상호 대칭되는 위치의 단부에 각각 걸어준다. 이때, 단부의 가장자리에는 탄성체(300)를 걸어줄 수 있는 홈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펭귄인형의 내부에는 전술된 스위치(500)가 구비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펭귄인형 머리의 상단 하부면에 스위치(500)가 결합되고, 펭귄인형 몸의 바닥면에 스위치(500)가 걸림고정되는 걸림홈(150)이 형성된다. 이때, 종인인형 중심의 결합면 즉, 머리의 바닥면과 몸의 상부면이 맞닿은 결합면에는 걸쇠(540)가 관통되는 별도의 홈이 형성되는게 바람직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은, 종이를 이용해 입체적인 인형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팅라인을 통해 직접 뜯고, 자르고, 접고, 붙이는 작업을 통해 창의성, 창조성, 교육성 등이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된 제품이 작동가능하여 직접 가지고 놀 수 있으므로 놀이용 교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곤충, 동물 등의 움직임, 상태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응용가능하므로 교육용 교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동을 위해 제공된 외력을 제거하면 자체복원력으로 원래형상이 되고, 특정 외력에 반응하여 역동적인 동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작동의 기본적인 메커니즘을 놀이를 통해 익히고, 보다 어려운 작동 메커니즘으로 응용 및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한번 완성된 도안을 종이에 출력하여 사용하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중 찢김 등에 의한 파손이 있더라도 다시 제작하여 조립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
100: 몸체 110: 제1 몸체 120: 제2 몸체
130: 가이드선 140: 걸림부 150: 걸림홈
200: 뼈대 210: 꺾임단부 220: 이동지
230: 접착지 300: 탄성체 400: 머리부
410: 고정머리부 420: 가동머리부 500: 스위치
510: 몸체접착부 520: 걸쇠접착부 530: 지지부
532: 절곡부 540: 걸쇠

Claims (7)

  1. 삭제
  2. 내부에 복수개의 가이드선이 형성된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가이드선이 형성된 제2 몸체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제1 및 제2 몸체에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몸체가 외력으로 변형될 때 접힘되며, 접힘된 단부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하이동되는 뼈대;
    상기 제1 및 제2 몸체의 결합을 통해 상기 몸체에 마련되는 걸림부에 끼워져 상기 몸체가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뼈대에 결합되고, 상기 뼈대가 상하이동될 때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회동되는 머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는 상기 외력을 통해 변형된 후 상기 탄성체에 의해 복원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하는 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몸체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 결합된 몸체접착부와, 일단이 상기 몸체접착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몸체를 향하도록 돌출된 걸쇠접착부와, 내부에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걸쇠접착부의 단부와 상기 걸쇠접착부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기 몸체접착부의 소정 위치에 양단이 각각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위치된 반대쪽 상기 걸쇠접착부의 측면 단부에 결합된 걸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팔, 다리, 꼬리, 날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제1 몸체에 일단이 결합된 상기 뼈대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단부에 위치된 고정머리부와, 상기 제2 몸체에 일단이 결합된 상기 뼈대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머리부를 향해 회동되는 가동머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몸체가 변형될 때 상기 제1 몸체에 형성된 걸림홈에 상기 걸쇠가 관통되어 상기 제2 몸체의 외측면에 지지됨으로써 걸림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
KR2020140008604U 2014-11-24 2014-11-24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 KR200481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604U KR200481995Y1 (ko) 2014-11-24 2014-11-24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604U KR200481995Y1 (ko) 2014-11-24 2014-11-24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74U KR20160001874U (ko) 2016-06-01
KR200481995Y1 true KR200481995Y1 (ko) 2016-12-05

Family

ID=5613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604U KR200481995Y1 (ko) 2014-11-24 2014-11-24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9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692B1 (ko) * 2019-10-01 2024-04-23 주식회사 드림트리오 종이시트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페이퍼토이
KR102231106B1 (ko) * 2019-10-01 2021-03-23 주식회사 잼팩토리 종이시트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페이퍼토이
KR20210075742A (ko) 2019-12-13 2021-06-23 김시완 Diy 방식의 퍼즐 조립형 케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숙면 유도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172B2 (ja) * 1992-05-22 2000-09-04 バイオメディカル・センサーズ・リミテッド 光を送信及び返信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0579A (en) * 1975-06-13 1977-01-04 Victor Joseph Gornall Animated clacker
JP2714170B2 (ja) * 1989-08-26 1998-02-16 松下電工株式会社 浴室における照明装置
JPH0384172U (ko) * 1989-12-16 1991-08-27
KR19980056978U (ko) * 1997-01-27 1998-10-15 조영목 유희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172B2 (ja) * 1992-05-22 2000-09-04 バイオメディカル・センサーズ・リミテッド 光を送信及び返信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74U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26917C (en) Reversible toy
KR200481995Y1 (ko)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
US3183622A (en) Novelty folding device
KR200481557Y1 (ko) 거치형 페이퍼 토이
KR200481996Y1 (ko)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US10987600B2 (en) Clothing for a two-dimensional doll
US20110165820A1 (en) Doll kit
CN206499874U (zh) 一种蝎子形变形玩具
JP3197475U (ja) 訓練用ダミー人形
KR20180061580A (ko) 직립형 페이퍼 토이
KR101823775B1 (ko) 부분 형상 결합 구조의 접이 방식의 종이 완구
USD865081S1 (en) Foldable toy ape
CN206549155U (zh) 一种狮子形变形玩具
US20180001222A1 (en) Shape Changing Toy Apparatus
JP3194827U (ja) 組立式立体玩具
JP5982661B2 (ja) 知育玩具セット
KR20140123221A (ko) 동적 입체 모형 연결부의 스프링 연결 구조
KR102437653B1 (ko) 치매 예방을 위한 소근활동 교구재
US20230012049A1 (en) Wooden Human Figurine
US3091892A (en) Animated figure
CN211963055U (zh) 一种人型立方体串智力玩具
KR200484762Y1 (ko)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US2730365A (en) Stick horse
KR200285464Y1 (ko) 관절이 움직이는 종이모형완구
CN212491522U (zh) 一种手工活动式纸袋玩偶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