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762Y1 -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 Google Patents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762Y1
KR200484762Y1 KR2020140008607U KR20140008607U KR200484762Y1 KR 200484762 Y1 KR200484762 Y1 KR 200484762Y1 KR 2020140008607 U KR2020140008607 U KR 2020140008607U KR 20140008607 U KR20140008607 U KR 20140008607U KR 200484762 Y1 KR200484762 Y1 KR 200484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per doll
coupled
doll
roll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875U (ko
Inventor
오세기
Original Assignee
오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기 filed Critical 오세기
Priority to KR2020140008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762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8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7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는 관통홈이 일측면에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면 소정 위치에 일단과 타단이 관통결합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에서 회동되는 구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는 상기 관통홈이 지면에 맞닿은 상태일 때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몸체의 바닥면이 지면에 맞닿도록 회동되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Paper Doll With Rolling Mechanism}
본 고안은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면 등에 안착된 종이인형에 외력을 가하면 구름을 통해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형이라 함은 인간의 모습, 동물 또는 가공의 생물을 흉내내어 만들어진 완구 또는 장식품을 말한다.
인형은 행복을 부르고 재액(災厄)을 쫓는 종교적인 의미, 어린아이의 장난감, 문화의 발달에 따라 미(美)의 추구를 위한 감상의 목적 등에 맞춰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진다.
인형의 제작을 위한 재료중 하나로는 종이가 있으며, 종이로 제작된 인형은 인간의 모습, 동물 또는 가공의 생물이 프린팅되어 마련되게 된다.
종이인형의 놀이방법은 의류 및 장신구 형태로 제작된 종이인형을 밸크로나 자석 및 접어서 거는식으로 결합시켜 놀거나, 가상의 환경을 임의로 설정한 후 상황에 맞도로 연출하면서 노는게 통상적이다.
종이인형의 일예가 등록실용 제20-0387658호 "벨크로식 조립 인형"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의 종이인형은 수개의 벨크로가 적당한 부위에 부착되고 앞,뒷면이 필름으로 코팅된 평면 형상의 코팅 인형과 코팅 조립 의류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이인형 및 조립용 의류 및 장신구의 적당한 부위에 접착식 벨크로를 부착하여 종이인형과 조립용 의류 및 장신구가 손쉽게 조립될 수 있으며, 벨크로에 의해 지속적으로 강력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평면형상의 종이인형의 앞,뒷면을 필름으로 코팅하여 종이인형이 쉽게 훼손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어린이들이 가지고 놀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의 종이인형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분실 및 파손 등의 방지를 위해 별도의 보관함 등에 보관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밸크로나 자석 및 접어서 거는 방식이 일반적이어서 놀이자체가 역동적이지 않으므로 쉽게 흥미를 잃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놀이 이외 사용할 수 없어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커팅라인을 통해 직접 뜯고, 자르고 , 접고, 붙이는 작업을 통해 창의성, 창조성, 교육성 등이 발휘되는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작된 제품이 작동가능하여 직접 가지고 놀 수 있어 놀이용 교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력을 받으면 특정 동작이 가능하고, 파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영구히 사용할 수 있는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할 때는 놀이를 위한 종이인형으로, 사용하지않을 때는 관상을 위한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한번 완성된 도안을 종이에 출력하여 사용하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중 찢김 등에 의한 파손이 있더라도 다시 제작하여 조립하기 쉬운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는 관통홈이 일측면에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면 소정 위치에 일단과 타단이 관통결합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에서 회동되는 구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구름체는,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인접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한 쌍으로 결합된 측벽, 상기 측벽의 외주면을 따라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외부에 위치되는 외벽 및 상기 외벽의 내측 바닥면에 마련되어 무게추 역할을 하는 수납함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는 상기 관통홈이 지면에 맞닿은 상태일 때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몸체의 바닥면이 지면에 맞닿도록 회동되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을 제공한다.
삭제
상기 외벽은 다각형상의 다수개의 절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은, 커팅라인을 통해 직접 뜯고, 자르고 , 접고, 붙이는 작업을 통해 창의성, 창조성, 교육성 등이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된 제품이 작동가능하여 직접 가지고 놀 수 있어 놀이용 교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력을 받으면 특정 동작이 가능하고, 파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영구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할 때는 놀이를 위한 종이인형으로, 사용하지않을 때는 관상을 위한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한번 완성된 도안을 종이에 출력하여 사용하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중 찢김 등에 의한 파손이 있더라도 다시 제작하여 조립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작동예.
도 3은 본 고안의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의 응용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작동예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10)은, 캐릭터, 동물, 곤충, 식물 등 선택된 원하는 형상이 프린팅된 종이를 출력하여 커팅라인을 통해 직접 뜯어 조립하는 종이인형으로서, 몸체(100), 구름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100)는 내부에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공간부(110)에 연통되는 관통홈(120)이 일측면에 형성된다.
몸체(100)는 펭귄형상으로 마련되며, 머리에 해당하는 상부의 단면이 사다리꼴인 육면체형상으로 마련되고, 몸에 해당하는 하부가 단면이 사각형인 육면체형상으로 마련된다.
몸체(100)의 상부 전방에는 펭귄의 입이 결합되고, 하부쪽 전방의 바닥면에는 발이 결합되며, 하부쪽 전방의 중심에는 바닥면의 내측을 향하는 경사면(130)을 갖는다. 이때 입과 발은 박판상의 종이로 마련된다.
공간부(110)는 몸체(100)의 내부 즉, 머리와 몸을 포함한 펭귄의 내부 전면에 속이 빈 공간을 말한다.
관통홈(120)은 몸체(100)의 하부쪽 후면 즉, 육면체형상으로 마련된 펭귄 몸의 뒷면이 개구된 것을 말한다.
한편, 몸체(100)는 관통홈(120)이 지면에 맞닿은 상태일 때 외력이 가해지면, 몸체(100)의 바닥면이 지면에 맞닿도록 회동되어 복원된다. 이와 과련된 사항은 후술될 사용방법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구름체(200)는 몸체(100)의 양측면 소정 위치에 일단과 타단이 관통결합된 회전축(300)에 결합되어 공간부(110)에서 회동된다.
여기서, 회전축(300)은 펭귄의 몸에 해당하는 몸체(100)의 하부쪽 내측면에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이 각각 관통결합되며, 결합위치는 대략 관통홈(120)에 인접되는 후상단의 소정 위치이다.
회전축(300)은 사각막대의 바(Bar) 타입으로 마련되며, 몸체(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40)을 통해 몸체(100) 내부에 횡방향으로 관통삽입된다.
회전축(300)은 몸체(100)를 관통한 양단에 박판상으로 마련된 펭귄의 팔이 각각 결합되며, 이 팔은 회전축(300)이 몸체(100)로부터 빠지지않도록 몸체(100)의 외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축(300)이 회전될 때 같이 회동된다.
구름체(200)는 대략 원기둥의 일부가 절단된 중공의 반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며, 측벽(210), 외벽(220), 수납함(230)으로 이루어진다.
측벽(210)은 몸체(100)의 내측면에 인접되도록 회전축(300)에 한 쌍으로 결합된다.
측벽(210)은 반원기둥인 구름체(200)의 양측면에 해당하며, 반원기둥의 절단된 면이 몸체(10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몸체(100)의 양측면에 인접되는 회전축(300)의 양측으로 각각 결합된다.
외벽(220)은 측벽(210)의 외주면을 따라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어 몸체(100)의 외부에 위치된다.
외벽(220)은 반원기둥인 구름체(200)의 외주면에 해당하며, 절단된 면을 제외한 구름체(200)의 외주면 전체에 마련되도록 일단과 타단이 측벽(210)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외벽(220)은 다각형상의 다수개의 절단면(222)으로 형성된다.
외벽(22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직사각형 형상인 다수개의 절단면(222) 중 각각의 절단면(222) 일측과 타측이 상호 연결되어 연장결합되며, 각각의 절단면(222)에 길이방향 양단이 측벽(21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결합된다.
이때, 외벽(220)은 각각의 절단면(222)이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측벽(2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데, 이는 측벽(210)에 외벽(220)을 붙일때 측벽(210)의 외주면 형상에 맞춰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수납함(230)은 외벽(220)의 내측 바닥면에 마련된다.
수납함(230)은 몸체(100)의 내측으로 외벽(220)의 단부를 접어 말아올려 결합시킨 것이며, 구름체(200)의 무게추 역할을 한다.
수납함(230)의 형상은 자유롭게 마련될 수 있고, 무게추의 기능을 위해 내부에 동전 등의 별도의 물체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의 조립 및 사용방법을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조립을 설명하면, 펭귄 형상이 프린팅된 종이를 출력하여 커팅라인을 통해 몸체(100), 구름체(200), 회전축(300), 및 입과 발을 분리한다.
다음, 몸체(100)와 구름체(200) 및 회전축(300)을 각각의 형상에 맞게 조립한다.
이때, 몸체(100)와 구름체(200) 및 회전축(300)의 내부에는 가이드선(20)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선(20)을 통해 각각의 형상에 맞춰 사용자가 직접 자르고, 접고, 붙이고, 연결할 수 있다.
다음, 관통홈(120)에 대응되는 구름체(200)의 양측면을 절단하고, 이 절단부위가 관통홈(120)에 대응되도록 구름체(200)를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시켜 회전축(300)에 결합한다.
이후, 회전축(300)의 단부에 펭귄의 팔을 결합하고, 몸체(100)에 입과 발을 결합시켜 조립을 완료한다.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펭귄의 배가 상부를 향하도록 펭귄의 등이 지면에 맞닿게 즉, 관통홈(120)이 지면에 맞도록 종이인형(10)을 기울여 눕힌다.
이후, 손가락 등으로 종이인형(10)에 미세한 외력을 가하면, 중력에 의해 항상 하부를 향하려는 수납함(330)으로 인해 구름체(200)가 회전되고, 이를 통해 몸체(100)가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회동되어 몸체(100)의 바닥면이 지면에 맞닿은 상태가 되게 일어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의 응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펭귄 형상의 종이인형(10)은, 타원형 구조로 마련된 알(400)의 내부에 종이인형(10)을 수용시켜 회전을 통해 숨겨진 내용물이 나타나게 한 것이다.
여기서, 종이인형(10)은 정면이 계란형상인 타원통으로 마련된다.
종이인형(10) 정면의 양측에는 팔이 각각 결합되고, 하측에는 발이 결합된다.
알(400)은 정면이 긴팔각형인 팔각통으로 마련되며, 긴팔각형의 8개의 선분 중 마주보는 선분이 길게 마련된 위치의 각각에 측면중 일측면을 바닥면(410)으로 하여 지면에 세워설치된다.
이때, 알(400)은 긴팔각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바닥면(410)을 제외한 높이방향으로 절개부(420)가 형성되며, 이 절개부(420)를 기준으로 좌우측 분리된다. 여기서, 바닥면(410)에 결합된 알(400)의 전면과 후면의 결합면(430)도 함께 절개되어 있다.
알(400)의 내부 바닥면(410)의 상부에는 전술된 수납함(330)에 해당되는 무게추(미도시)가 구비되며, 무게추(미도시)의 상부에는 종이인형(10)을 알(400)에 결합시키는 지지대(440)가 마련된다. 여기서, 지지대(440)는 스프링 역할을 하는 구부러진 종이이다.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알(400)을 바닥면(410)이 상부를 향하도록 거꾸로 세워 지면에 안착시킨다.
다음, 알(400)에 외력을 가하면, 측면이 지면에 맞닿으면서 알(400)이 반바퀴 회전됨과 동시에 알(400)이 양측으로 나뉘게 된다.
이때, 알(400)의 각진 측면을 통해 기동력과 정지력이 동시에 확보된다.
다음, 알(400)의 회전이 완료되어 바닥면(410)이 지면에 맞닿는 순간, 지지대(440)에 의해 종이인형(10)이 튀어 나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은커팅라인을 통해 직접 뜯고, 자르고 , 접고, 붙이는 작업을 통해 창의성, 창조성, 교육성 등이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된 제품이 작동가능하여 직접 가지고 놀 수 있어 놀이용 교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력을 받으면 특정 동작이 가능하고, 파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영구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할 때는 놀이를 위한 종이인형으로, 사용하지않을 때는 관상을 위한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번 완성된 도안을 종이에 출력하여 사용하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중 찢김 등에 의한 파손이 있더라도 다시 제작하여 조립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종이인형 20: 가이드선 100: 몸체
110: 공간부 120: 관통홈 130: 경사면
140: 삽입홈 200: 구름체 210: 측벽
220: 외벽 222: 절단면 230: 수납함
300: 회전축 400: 알 410: 바닥면
420: 절개부 430: 결합면 440: 지지대

Claims (4)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는 관통홈이 일측면에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면 소정 위치에 일단과 타단이 관통결합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에서 회동되는 구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구름체는,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인접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한 쌍으로 결합된 측벽, 상기 측벽의 외주면을 따라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외부에 위치되는 외벽 및 상기 외벽의 내측 바닥면에 마련되어 무게추 역할을 하는 수납함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는 상기 관통홈이 지면에 맞닿은 상태일 때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몸체의 바닥면이 지면에 맞닿도록 회동되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벽은 다각형상의 다수개의 절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4. 삭제
KR2020140008607U 2014-11-24 2014-11-24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KR200484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607U KR200484762Y1 (ko) 2014-11-24 2014-11-24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607U KR200484762Y1 (ko) 2014-11-24 2014-11-24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75U KR20160001875U (ko) 2016-06-01
KR200484762Y1 true KR200484762Y1 (ko) 2017-10-23

Family

ID=5613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607U KR200484762Y1 (ko) 2014-11-24 2014-11-24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76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2262A (ja) 2000-08-10 2002-02-19 Wakamatsu Mingei Seizo Oroshi:Kk 紙人形の製造方法
JP2003245026A (ja) 2002-02-25 2003-09-02 Nekojarashi Sangyo:Kk 猫のおもちゃ
US20040198159A1 (en) 2003-01-06 2004-10-07 Yang-Sheng Xu Mobile roly-poly-type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890U (ko) * 2007-04-20 2008-10-23 강경민 움직이는 종이 인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2262A (ja) 2000-08-10 2002-02-19 Wakamatsu Mingei Seizo Oroshi:Kk 紙人形の製造方法
JP2003245026A (ja) 2002-02-25 2003-09-02 Nekojarashi Sangyo:Kk 猫のおもちゃ
US20040198159A1 (en) 2003-01-06 2004-10-07 Yang-Sheng Xu Mobile roly-poly-type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75U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84078S1 (en) Playing surface for spinning top toy
USD884797S1 (en) Playing surface for spinning top toy
US2144751A (en) Figure toy container
JP3579656B2 (ja) 人形動作実演を容易にする人形陳列包装体
WO2019012843A1 (ja) 人形型玩具
US20080009217A1 (en) Novelty candy device
KR200484762Y1 (ko) 구름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KR200481995Y1 (ko)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
JP7219311B1 (ja) 玩具
US20110165820A1 (en) Doll kit
US3698128A (en) Amusement device producing sound with visual reinforcement
US1667606A (en) Toy novelty
KR20180061580A (ko) 직립형 페이퍼 토이
US1038057A (en) Advertising device.
US3432961A (en) Animated jigsaw puzzle toy
JP3136638U (ja) 知育玩具用人型ブロック
JP2020151174A (ja) 玩具
JPH0117342Y2 (ko)
JP7303602B2 (ja) 揺動構造、これを備えた首振り玩具及びパッケージ
US20160228782A1 (en) Novel dolls
US20230012049A1 (en) Wooden Human Figurine
JP2007135798A (ja) 玩具
CN210904944U (zh) 双指套玩偶
KR200313986Y1 (ko) 놀이용 완구
US10226712B2 (en) Walking animal toy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