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458B1 - 종이모형완구 - Google Patents

종이모형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458B1
KR101254458B1 KR1020120033849A KR20120033849A KR101254458B1 KR 101254458 B1 KR101254458 B1 KR 101254458B1 KR 1020120033849 A KR1020120033849 A KR 1020120033849A KR 20120033849 A KR20120033849 A KR 20120033849A KR 101254458 B1 KR101254458 B1 KR 101254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head
support
toy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순
Original Assignee
장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형순 filed Critical 장형순
Priority to KR1020120033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8Dolls of flat paper to be cut-out, folded, or cloth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0Frames, stands, or wheels for dolls or toy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별로 형성된 종이를 접지하고 접착해서 입체적인 모형의 완구를 간편히 만들 수 있는 종이모형완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이로 동물 모형의 완구를 만드는 종이모형완구에 있어서, 평평한 받침종이;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좌우 양측에 다리접지선으로 접지가능하게 연결되어 외측단이 상기 받침종이의 상면에 수직으로 접착되는 다리부, 상기 몸통부의 선단에 지지접지선으로 접지가능하게 연결되어 전후로 까닥거리는 머리지지부가 한 장의 종이로 형성된 몸통종이; 상기 머리지지부에 접착되어 전면에 동물의 얼굴이 인쇄된 머리종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종이모형완구{PAPER MODEL TOY}
본 발명은 종이모형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부위별로 형성된 종이를 접지하고 접착해서 입체적인 모형의 완구를 간편히 만들 수 있는 종이모형완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이모형완구는 종이를 접어서 동물, 곤충 및 로봇 등의 완구를 만드는 것으로서, 손을 이용하기 때문에 어린이의 오감을 발달시켜주고 두뇌를 계발시키며 창조성 및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종이모형완구는 종이를 자르거나 접어서 동물, 곤충 및 로봇 등을 단순히 평면적으로 나타내므로, 흥미가 떨어지고 창조성 등에 도움을 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는 달리, 동물, 곤충 및 로봇 등을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종이모형완구는 사실감을 나타내기 위해 주재료인 종이뿐만 아니라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진 다른 부재들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어린이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직접 만들기에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경제적인 측면에서 부담으로 이어지며 특정 부위를 움직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5506호(2002.07.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재료인 종이에 적합한 입체적인 모형의 완구를 간편히 만들고 특정 부위를 전후로 움직여서 흥미를 유발시키며 창조성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종이모형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종이로 동물 모형의 완구를 만드는 종이모형완구에 있어서, 평평한 받침종이;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좌우 양측에 접지가능하게 연결되어 외측단이 상기 받침종이의 상면에 수직으로 접착되는 다리부, 상기 몸통부의 선단에 제1 지지접지선으로 접지가능하게 연결되어 전후로 까닥거리는 머리지지부가 한 장의 종이로 형성된 몸통종이; 상기 머리지지부에 접착되어 전면에 동물의 얼굴이 형성된 머리종이;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상기 양측 다리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간격유지수단은, 어느 한 다리부의 선단에 접지가능하게 연결된 제1 간격유지부, 상기 제1 간격유지부의 일면에 접착되도록 다른 다리부의 선단에 접지가능하게 연결된 제2 간격유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상기 몸통종이는 상기 몸통부의 후단에 접지가능하게 연결된 꼬리부를 포함하여 한 장의 종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꼬리부에는 복수의 구부림접지선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위 또는 아래로 구부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종이의 양측에는 머리접힘 접지선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양측이 뒤로 접지되는데, 이때 상기 머리종이는 상부 양측에 귀접힘접지선으로 접지가능하게 연결된 귀부를 포함하여 한 장의 종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상기 받침종이와 몸통종이 및 머리종이는 한 장의 종이 내에 윤곽선을 따내는 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종이로 동물 모형의 완구를 만드는 종이모형완구에 있어서, 한 장의 종이에 형성된 머리와 몸통 및 꼬리가 복수의 접지선으로 접지되어 입체적인 동물 모형을 이루는 모형종이; 상기 모형종이를 수평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몸통의 밑면에 접착되는 수평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의 양측에 하향으로 접지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직을 유지하는 수직지지부, 상기 양측 수직지지부의 외측단에 상향으로 접지가능하게 연결된 접착부가 한 장의 종이로 형성된 지지종이; 상기 지지종이의 접착부가 접착되는 위치를 표시하도록 접착위치 표시부가 양측에 표시된 평평한 받침종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모형종이와 지지종이 및 받침종이는 한 장의 종이 내에 윤곽선을 따내는 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장의 종이에 형성된 각각의 구성요소를 떼어내서 접지하고 접착하는 과정을 통해 종이에 적합한 입체적인 모형의 완구를 간편히 만들고, 머리뿐만 아니라 몸통 또는 꼬리 등의 부분을 손가락으로 살짝 눌러서 까닥거리게 하여 애완동물의 머리를 쓰다듬고 키우는 듯한 느낌을 느끼도록 유도하여 사용자의 정서 함양을 기르는데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양측 다리부가 간격유지수단에 의해 그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며, 한 장의 종이에 각각의 구성요소가 떼어낼 수 있게 형성되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종이모형완구를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몸통종이의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머리종이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각 구성요소가 한 장의 종이에 형성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모형종이의 전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지지종이의 전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받침종이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각 구성요소가 한 장의 종이에 형성된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종이모형완구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받침종이(100), 몸통부(210)와 다리부(220)와 머리지지부(230) 및 꼬리부(240)가 한 장의 종이에 형성된 몸통종이(200), 몸통종이(200)의 머리지지부(230)에 접착되어 전면에 동물의 얼굴이 형성된 머리종이(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종이모형완구를 상세히 설명하는 데 있어서, 머리와 몸통 및 꼬리의 3부분으로 구분되는 척추동물 중 고양이를 하나의 모형으로 설명하지만, 이러한 모형은 고양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먼저, 받침종이(100)와 몸통종이(200) 및 머리종이(300)는 접지된 후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소정의 두께 및 적절한 강도를 갖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다.
받침종이(100)는 표면이 평평하고 적절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몸통종이(200)를 받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받침종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사각형, 오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 및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에는 다양한 모양 및 색채가 형성될 수 있다.
몸통종이(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210), 다리부(220), 머리지지부(230) 및 꼬리부(240)가 한 장의 종이에 형성된다.
몸통부(210)는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몸통부(210)의 양측단에는 다리접지선(212)이 형성되어 다리부(220)가 연결되고, 선단에는 제1 지지접지선(213)이 형성되어 머리지지부(230)가 연결되며, 후단에는 꼬리접지선(214)이 형성되어 꼬리부(240)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술한 각각의 접지선(212)(213)(214)과 후술하는 모든 접지선은 형누르기(Ambossing)를 통해 형성되는 요부(凹部)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종이의 일면에 인쇄되는 점선 또는 실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리부(220)는 고양이의 다리를 측면에서 투시한 모양으로 몸통부(210)의 좌측과 우측에 다리가 두 개씩 형성되어 다리접지선(212)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접지되고 하단은 받침종이(100)의 상면에 접착제로 접착된다. 그리고 다리부(220)는 간격유지수단에 의해 양측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는데, 이러한 간격유지수단은 좌측 다리부(220)의 선단에 제1 유지접지선(222)으로 연결된 제1 간격유지부(221)와, 우측 다리부(220)의 선단에 제2 유지접지선(224)으로 연결되어 제1 간격유지부(221)의 일면에 접착되는 제2 간격유지부(223)로 구현된다. 즉, 제1 간격유지부(221)의 일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제2 간격유지부(223)의 일면이 접착되어 양측 다리부(22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고 견고히 유지되는 것이다.
머리지지부(230)는 머리종이(300)를 지지하는 동시에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제1 지지접지선(213)을 중심으로 전후로 가볍게 까닥거려서 사용자의 호기심을 유발시킨다.
꼬리부(240)는 고양이의 꼬리를 평면에서 투시한 모양으로 몸통부(210)의 후단 중앙에 연결되어 꼬리접지선(214)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접지된다. 그리고 꼬리부(240)에는 복수의 구부림접지선(242)이 소정 간격-바람직하게는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위로 구부려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완만히 만곡된 모양을 유지하게 된다.
머리종이(3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양이의 머리모양으로 형성되어 머리지지부(230)의 전면에 도포된 접착제로 접착된다. 머리종이(300)의 전면에는 고양이의 얼굴-눈, 코, 입, 귀 등-이 형성되며, 여기에 색채가 인쇄를 통해 채색될 수 있다. 그리고 머리종이(300)의 양측에는 머리접힘 접지선(310)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머리종이(300)의 양측은 머리접힘 접지선(310)을 중심으로 뒤로 접지되어 삼차원의 공간적인 부피를 가지게 되므로 관찰자는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머리종이(300)의 상부 양측에는 귀부(320)가 외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귀부(320)는 그 사이를 연결하는 귀접힘접지선(321)을 중심으로 앞으로 접지되어 삼차원의 공간적인 부피를 가지게 되므로 관찰자는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상술한 받침종이(100)와 몸통종이(200) 및 머리종이(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장의 종이(P1)에 윤곽선을 따내는 형찍기(Die Cutting) 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각각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전체적인 조립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찍기 가공을 통해 한 장의 종이(P1)에 형성된 받침종이(100)와 몸통종이(200) 및 머리종이(300)를 떼어낸다.
이어서, 몸통종이(200)의 양측에 연결된 다리부(220)는 다리접지선(212)을 중심으로 아래로 접지하고, 머리지지부(230)는 제1 지지접지선(213)을 중심으로 위로 접지하며, 꼬리부(240)는 꼬리접지선(214)을 중심으로 위로 접지한다. 이때, 꼬리부(240)는 복수의 구부림접지선(242)을 중심으로 위로 접지하여 상향으로 완만히 만곡된 모양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1 간격유지부(221)는 제1 유지접지선(222)을 중심으로, 제2 간격유지부(223)는 제2 유지접지선(224)을 중심으로 접지한 상태에서, 제1 간격유지부(221)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제2 간격유지부(223)의 이면을 눌러서 접착한다. 이와 같이 제1 간격유지부(221)와 제2 간격유지부(223)가 접착제로 견고히 접착되면, 양측 다리부(220)는 그 사이의 간격이 유지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접지된 몸통종이(200)는 양측 다리부(220)의 하단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통해 받침종이(100)의 상면에 견고히 고정된다.
다음, 머리종이(300)의 양측에 형성된 머리접힘 접지선(310)을 중심으로 양측을 뒤로 접지하고, 귀접힘접지선(321)을 중심으로 귀부(320)를 앞으로 접지하여 입체적인 모양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머리지지부(230)의 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머리종이(300)의 이면을 머리지지부(230)에 눌러서 접착하는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종이모형완구는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은 평평한 면을 갖는 책상, 책꽂이, 식탁 등에 놓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머리종이(300)의 상부를 뒤로 살짝 누르면 머리지지부(230)가 제1 지지접지선(213)을 중심으로 전후로 까닥거리면서 움직임에 따라 머리종이(300) 또한 전후로 까닥거리게 되어, 사용자는 마치 애완동물의 머리를 쓰다듬는 듯한 느낌을 느낄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 애완동물을 키우는 듯한 느낌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한 장의 종이(P1)에서 떼어낸 받침종이(100)와 몸통종이(200) 및 머리종이(300)를 접지하고 접착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입체적인 동물 모형의 종이완구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종이모형완구는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물 모형의 모형종이(400), 모형종이(400)를 지지하는 지지종이(500), 지지종이(500)를 받치는 받침종이(600)를 포함한다.
모형종이(400)와 지지종이(500) 및 받침종이(600)는 접지된 후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소정의 두께 및 적절한 강도를 갖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다.
모형종이(400)는 동물모형 또는 인물이나 로봇의 모습을 디자인화한 캐릭터모형 등을 포함하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두며, 본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서는 그 중 도마뱀을 하나의 모형으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모형종이(400)는 한 장의 종이에 머리(410)와 몸통(420) 및 꼬리(430)의 3부분으로 구분되는 도마뱀을 하나의 모형으로 나타내었으며, 몸통(420)의 양측에 연결된 다리(440)와 선단에 연결된 머리(410) 및 후단에 연결된 꼬리(430)는 복수의 접지선(F)을 중심으로 위 또는 아래로 접지되어 입체감을 제공하게 된다.
지지종이(500)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부(510)와 수직지지부(520) 및 접착부(530)가 한 장의 종이에 형성된다. 지지종이(500)의 중앙에는 수평지지부(510)가 형성되고, 수평지지부(510)의 양측단에는 제2 지지접지선(512)이 형성되어 수직지지부(520)가 연결되며, 양측 수직지지부(520)의 외측단에는 접착접지선(522)을 통해 접착부(530)가 각각 연결된다.
수평지지부(510)의 표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모형종이(400)를 수평으로 고정되게 지지하고, 수직지지부(520)는 제2 지지접지선(512)을 중심으로 아래로 접지되어 대략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형상을 유지하며, 접착부(530)는 접착접지선(522)을 중심으로 위로 접지되어 후술하는 받침종이(600)의 접착위치 표시부(610)에 도포된 접착제로 접착되므로 양측 수직지지부(520)는 벌어지지 않는다. 즉, 접지된 지지종이(500)의 단면은 대략 ‘
Figure 112012026211863-pat00001
’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받침종이(600)는 표면이 평평하고 적절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지지종이(500)를 받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받침종이(6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원형, 오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 및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종이(600)의 표면에는 다양한 모양과 색채 및 접착위치 표시부(610)가 형성되는데, 여기서 접착위치 표시부(610)는 지지종이(500)의 접착부(530)가 접착되는 위치를 표시하도록 다른 색채로 채색되거나 선을 그어서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모형종이(400)와 지지종이(500) 및 받침종이(6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장의 종이(P2)에 윤곽선을 따내는 형찍기 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각각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전체적인 조립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찍기 가공을 통해 한 장의 종이(P2)에 형성된 모형종이(400)와 지지종이(500) 및 받침종이(600)를 떼어낸다.
이어서, 지지종이(500)의 수평지지부(510)를 수평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제2 지지접지선(512)을 중심으로 수직지지부(520)를 아래로 접지하고, 접착접지선(522)을 중심으로 양측 접착부(530)를 위로 접지하여 수평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받침종이(600)의 접착위치 표시부(610) 또는 지지종이(500)의 접착부(530) 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부(530)를 접착위치 표시부(610)에 눌러서 견고히 접착시키면, 양측 수직지지부(520)는 그 사이의 간격이 유지된다.
다음, 모형종이(400)에 형성된 복수의 접지선(F)을 중심으로 머리(410)와 꼬리(420) 및 다리(440) 등을 위 또는 아래로 접어서 입체적인 모양으로 형성한다.
계속해서, 지지종이(500)의 수평지지부(510)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모형종이(400)를 접착하는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종이모형완구는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은 평평한 면을 갖는 책상, 책꽂이, 식탁 등에 놓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머리(410), 꼬리(430), 다리(440) 등을 살짝 누르면 각각의 접지선(F)을 중심으로 상하로 까닥거리게 되어, 사용자는 마치 애완동물을 쓰다듬는 듯한 느낌을 느낄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 애완동물을 키우는 듯한 느낌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 대체, 부가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100, 600 : 받침종이 200 : 몸통종이
210 : 몸통부 220 : 다리부
230 : 머리지지부 240 : 꼬리부
300 : 머리종이 400 : 모형종이
500 : 지지종이 F : 접지선

Claims (9)

  1. 종이로 동물 모형의 완구를 만드는 종이모형완구에 있어서,
    평평한 받침종이;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좌우 양측에 접지가능하게 연결되어 외측단이 상기 받침종이의 상면에 수직으로 접착되는 다리부, 상기 몸통부의 선단에 제1 지지접지선으로 접지가능하게 연결되어 전후로 까닥거리는 머리지지부가 한 장의 종이로 형성된 몸통종이;
    상기 머리지지부에 접착되어 전면에 동물의 얼굴이 형성된 머리종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모형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측 다리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어느 한 다리부의 선단에 접지가능하게 연결된 제1 간격유지부, 상기 제1 간격유지부의 일면에 접착되도록 다른 다리부의 선단에 접지가능하게 연결된 제2 간격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모형완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종이는 상기 몸통부의 후단에 접지가능하게 연결된 꼬리부를 포함하여 한 장의 종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모형완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꼬리부에는 복수의 구부림접지선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위 또는 아래로 구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모형완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머리종이의 양측에는 머리접힘 접지선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양측이 뒤로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모형완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머리종이는 상부 양측에 귀접힘접지선으로 접지가능하게 연결된 귀부를 포함하여 한 장의 종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모형완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종이와 몸통종이 및 머리종이는 한 장의 종이 내에 윤곽선을 따내는 가공을 통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모형완구.
  8. 삭제
  9. 삭제
KR1020120033849A 2012-04-02 2012-04-02 종이모형완구 KR101254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849A KR101254458B1 (ko) 2012-04-02 2012-04-02 종이모형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849A KR101254458B1 (ko) 2012-04-02 2012-04-02 종이모형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458B1 true KR101254458B1 (ko) 2013-04-12

Family

ID=4844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849A KR101254458B1 (ko) 2012-04-02 2012-04-02 종이모형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45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082B1 (ko) 2014-09-22 2016-03-08 채덕병 학습용 또는 놀이용 페이퍼 크래프트 완구
EP3095496A1 (en) * 2015-05-21 2016-11-23 GloryInnovations, Inc. Assembly toy
KR101707974B1 (ko) 2015-09-21 2017-02-20 주식회사 삼쩜일사 페이퍼 크래프트 구동완구
KR20170031874A (ko)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삼쩜일사 종이모형을 이용한 조립식 구동완구
KR20180061580A (ko) 2016-11-30 2018-06-08 이환수 직립형 페이퍼 토이
KR20180071450A (ko) 2016-12-19 2018-06-28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페이퍼 토이
KR20190066693A (ko) * 2017-12-06 2019-06-14 이웅현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KR20220040673A (ko) 2020-09-24 2022-03-31 신명근 사용자 캐릭터 기반의 페이퍼 토이 자판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508Y1 (ko) * 2000-03-21 2000-09-01 김현우 종이 모형 비행기
KR200355674Y1 (ko) * 2004-03-31 2004-07-07 허훈 곤충모형 접기용 종이
JP3141670U (ja) * 2008-02-13 2008-05-22 辰也 市川 組み立て動物フィギュア付き三つ折りカード
KR20080004890U (ko) * 2007-04-20 2008-10-23 강경민 움직이는 종이 인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508Y1 (ko) * 2000-03-21 2000-09-01 김현우 종이 모형 비행기
KR200355674Y1 (ko) * 2004-03-31 2004-07-07 허훈 곤충모형 접기용 종이
KR20080004890U (ko) * 2007-04-20 2008-10-23 강경민 움직이는 종이 인형
JP3141670U (ja) * 2008-02-13 2008-05-22 辰也 市川 組み立て動物フィギュア付き三つ折りカード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082B1 (ko) 2014-09-22 2016-03-08 채덕병 학습용 또는 놀이용 페이퍼 크래프트 완구
EP3095496A1 (en) * 2015-05-21 2016-11-23 GloryInnovations, Inc. Assembly toy
KR20170031874A (ko)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삼쩜일사 종이모형을 이용한 조립식 구동완구
KR101707974B1 (ko) 2015-09-21 2017-02-20 주식회사 삼쩜일사 페이퍼 크래프트 구동완구
KR20180061580A (ko) 2016-11-30 2018-06-08 이환수 직립형 페이퍼 토이
KR20180071450A (ko) 2016-12-19 2018-06-28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페이퍼 토이
KR101905707B1 (ko) * 2016-12-19 2018-10-10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페이퍼 토이
KR20190066693A (ko) * 2017-12-06 2019-06-14 이웅현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KR102105371B1 (ko) * 2017-12-06 2020-04-28 이웅현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KR20220040673A (ko) 2020-09-24 2022-03-31 신명근 사용자 캐릭터 기반의 페이퍼 토이 자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458B1 (ko) 종이모형완구
US3205614A (en) Combined garment hanger, holder, doll and book
KR200481995Y1 (ko)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종이인형
US10987600B2 (en) Clothing for a two-dimensional doll
US2045830A (en) Costumed figure
KR102105371B1 (ko)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CN210251137U (zh) 一种立体棋子
CN105709438A (zh) 一种手工益智组合玩具
KR101529815B1 (ko) 페이퍼 토이 북
KR200481996Y1 (ko) 관절 메커니즘을 이용한 종이인형
CN205627107U (zh) 一种手工益智组合玩具
KR200473006Y1 (ko) 종이접기 세트
KR101823775B1 (ko) 부분 형상 결합 구조의 접이 방식의 종이 완구
CN204910758U (zh) 一种新型纸偶
KR100753978B1 (ko) 유아용 놀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놀이판 세트
JP3182814U (ja) 立体動物模型形成用皮革シート材及びこれを利用した立体動物模型
JP5982661B2 (ja) 知育玩具セット
KR20180061580A (ko) 직립형 페이퍼 토이
CN205801792U (zh) 一种新型透明包装盒
KR200475221Y1 (ko) 양말과 케이스 세트
US2193447A (en) Educational mechanical toy
KR20180001684U (ko) 놀이학습교구
JP3012355U (ja) カード型玩具
TWM492186U (zh) 摺紙熱氣球造型結構
KR200332281Y1 (ko) 유아용 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