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508Y1 - 종이 모형 비행기 - Google Patents

종이 모형 비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508Y1
KR200194508Y1 KR2020000007930U KR20000007930U KR200194508Y1 KR 200194508 Y1 KR200194508 Y1 KR 200194508Y1 KR 2020000007930 U KR2020000007930 U KR 2020000007930U KR 20000007930 U KR20000007930 U KR 20000007930U KR 200194508 Y1 KR200194508 Y1 KR 200194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ieces
holes
predetermined pattern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전호성
허선희
Original Assignee
김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우 filed Critical 김현우
Priority to KR2020000007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5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5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01Making or assembling thereof, e.g. by folding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 모형 비행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비행기 동체의 하부와 상부를 형성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제1,제2,제3하부동체 및 제1,제2,제3상부동체와; 상기 제1,제2,제3상부동체와 상기 제1,제2,제3하부동체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조립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동체 지지대와; 제3상부동체의 양측면과 상면에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 뒷날개와 수직날개와; 제2하부동체의 양측면에 각각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 앞날개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앞날개의 하면에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각각 연결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다수의 엔진지지대 및 엔진과; 상기 제2하부동체의 하면에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연결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풀 등과 같은 접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종이 모형 비행기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종이 모형 비행기{MODEL AEROPLANE MADE OF PAPER}
본 고안은 종이 모형 비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체적으로 형성된 조립구멍과 조립편 등을 통해 풀 등의 별도 접착수단 없이 단지 상기 조립구멍과 조립편 등을 통한 끼움 결합만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종이 모형 비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종이 모형 비행기는, 종이를 모양에 맞춰 접은 다음, 접은 종이들을 풀 등의 별도 접착수단을 사용하여 접착시킴으로써 종이 모형 비행기를 완성(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방식의 종이 모형 비행기는, 풀 등의 별도 접착수단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종이 모형 비행기의 조립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체적으로 형성된 조립구멍과 조립편 등을 통해 풀 등의 별도의 접착수단 없이 단지 상기 조립구멍과 조립편 등을 통한 끼움 결합만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종이 모형 비행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제1하부동체와; 상기 제1하부동체의 선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제1상부동체와; 상기 제1상부동체의 후단에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연결되어 동체의 상부를 형성하며, 몸체에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제2, 제3상부동체와; 상기 제1하부동체의 후단에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연결되어 동체의 하부를 형성하며, 몸체에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제2, 제3하부동체와; 상기 제1, 제2, 제3상부동체와 상기 제1, 제2, 제3하부동체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동체 지지대와; 상기 제3상부동체의 양측면에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각각 연결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좌측 및 우측 뒷날개와; 상기 제3상부동체의 상면에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연결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수직날개와; 상기 제2하부동체의 양측면에 각각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연결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좌측 및 우측 앞날개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앞날개의 하면에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각각 연결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다수의 엔진지지대와; 상기 엔진지지대의 하부에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각각 연결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다수의 엔진과; 상기 제2하부동체의 하면에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연결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종이 모형 비행기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를 구성하는 제1상부동체와 제1하부동체를 도시한 전개도.
도 3은 도 2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를 구성하는 제2상부동체를 도시한 전개도.
도 5는 도 4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를 구성하는 제3상부동체를 도시한 전개도.
도 7은 도 6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를 구성하는 제2하부동체를 도시한 전개도.
도 9는 도 8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를 구성하는 제2하부동체 지지대를 도시한 전개도.
도 11은 도 10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를 구성하는 제3하부동체를 도시한 전개도.
도 13은 도 12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를 구성하는 동체 지지대를 도시한 전개도.
도 15는 도 14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를 구성하는 우측 앞날개를 도시한 전개도.
도 17은 도 16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를 구성하는 좌측 앞날개를 도시한 전개도.
도 19는 도 18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를 구성하는 좌측 뒷날개를 도시한 전개도.
도 21은 도 20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를 구성하는 우측 뒷날개를 도시한 전개도.
도 23은 도 22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를 구성하는 수직날개를 도시한 전개도.
도 25는 도 24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6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를 구성하는 엔진지지대를 도시한 전개도.
도 27은 도 26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8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를 구성하는 엔진 전위를 도시한 전개도.
도 29는 도 28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0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를 구성하는 엔진 후위를 도시한 전개도.
도 31은 도 30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2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의 받침대를 구성하는 제1기둥을 도시한 전개도.
도 33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의 받침대를 구성하는 제2기둥을 도시한 전개도.
도 34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의 받침대를 구성하는 하판을 도시한 전개도.
도 35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의 받침대를 구성하는 상판을 도시한 전개도.
도 36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 받침대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7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의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상부동체 20 : 제1하부동체
30 : 제2상부동체 40 : 제3상부동체
50 : 제2하부동체 56 : 제2하부동체 지지대
60 : 제3하부동체 70 : 동체 지지대
80,90 : 우, 좌측 앞날개 100,110 : 좌, 우측 뒷날개
120 : 수직날개 130 : 엔진지지대
140 : 엔진 전위 150 : 엔진 후위
200 : 받침대 210,220 : 제1, 제2기둥
230 : 하판 240 : 상판
11,88,98,152 : 절개홈 32,66,72 : 절개선
13,23,33,43,53,59,63,73,83,93,103,113,123,133,143,153,219,226,243 : 절곡선
14,24,34,36,44,54,64,74,84,94,104,114,124,134,136,137,144,154,216 : 조립편
217,218,223,224,234 : 조립편
15,25,35,45,55,65,75,85,95,105,115,125,135,145,146,155,215,225,245 : 조립구멍
58 : 지지편 87,97 : 한쌍의 연결편
213,214 : 상, 하부지지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의 사시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6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의 구성 부품을 발췌하여 도시한 전개도 및 접은 상태의 사시도들이다.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는 도 2 내지 도 36에 도시된 구성 부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제1상부동체(10)와 제1하부동체(20)를 구성하는 부품을 도시한 전개도로서, 제1상부동체(10)는 삼각형 몸체로 이루어지고, 삼각형 몸체의 일측에는 절개홈(11)이 형성되고, 삼각형 몸체의 가장자리 3면에는 각각 2개씩의 조립편(14)이 형성되며, 몸체에는 다수개의 절곡선(1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에는 하나의 조립구멍(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상부동체(10)의 일측에는 제1하부동체(20)의 일측이 일체로 연결되고, 이 제1하부동체(20)는 삼각형 몸체(21)와 사각형 몸체(22)로 이루어지며, 이들 몸체(21)(22)에는 다수의 절곡선(2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들의 가장자리에는 4개의 조립편(24)이 형성되며, 삼각형 몸체(21) 에는 4개의 조립구멍(25)이 형성되고, 사각형 몸체(22)에는 2개의 조립구멍(2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상부동체(10)와 제2하부동체(20)는 절곡선(13)(23)들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혀진다.
그리고 도 4는 제2상부동체(30)를 구성하는 부품의 전개도로서, 사각형 몸체(31)의 일측에 폭 방향으로 2개 절개선(32)이 형성되고, 사각형 몸체(31)에는 다수의 절곡선(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조립편(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사각형 몸체(31)의 일측에는 상기 제1상부동체(10)의 절개홈(11)에 끼워지는 결합편(36)이 형성되고, 이 결합편(36)에는 제1상부동체(10)에 형성된 조립구멍(15)에 끼워지는 하나의 조립편(34)이 형성되며, 사각형 몸체(31)에는 상기 제1상부동체(10)에 형성된 조립편(12)이 끼워지는 4개의 조립구멍(3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상부동체(30)는 절곡선(33)들을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혀진다.
그리고 도 6은 제3상부동체(40)를 구성하는 부품의 전개도로서, 일측에 비행기의 후미를 형성하는 삼각형부(42)가 형성된 직사각형 몸체(41)로 이루어지고, 몸체(41)의 가장자리 상면과 하면에는 다수의 조립편(44)이 형성되며, 몸체(41)에는 다수의 절곡선(4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41)의 일측에는 상기 제2상부동체(30)의 조립편(34)이 끼워지는 3개의 조립구멍(45)이 형성되며, 몸체(41)의 삼각형부(42)에는 후술하는 좌측 및 우측 뒷날개와 수직날개가 끼워지는 다수의 조립구멍(4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3상부동체(40)는 절곡선(43)들을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혀진다.
도 8은 제2하부동체(50)를 구성하는 부품의 전개도로서, 몸체(51)가 절곡선(53)에 의해 '??'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몸체(51)의 가장자리에 다수의 조립편(54)이 형성되며, 몸체(51)에는 다수의 조립구멍(5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하부동체(50)는 절곡선(53)들을 통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혀진다.
도 10은 제2하부동체 지지대(56)를 구성하는 부품의 전개도로서, 직사각형 몸체(57)로 이루어지고, 몸체(57)의 상측과 하측 가장자리에는 절곡선(59)을 통해 절곡되는 다수의 지지편(5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하부동체 지지대(56)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혀진다.
도 12는 제3하부동체(60)를 구성하는 부품의 전개도로서, 일측에 삼각형부(62)가 형성된 직사각형 몸체(61)로 이루어지고, 몸체(61)(62)에는 폭 방향으로 2개의 절개선(66)과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절곡선(63)이 형성되며, 몸체(61)(62)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조립편(64)이 형성되고, 몸체(61)(62)의 양측에는 2개씩 4개의 조립구멍(6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3하부동체(60)는 절곡선(63)들과 절개선(66)을 통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혀진다.
도 14는 동체 지지대(70)를 구성하는 부품의 전개도로서, 직사각형 몸체(71)로 이루어지고, 몸체(71)의 일측에 2개의 절개선(72)이 형성되고, 몸체(71)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곡선(73)과 다수의 조립구멍(75)이 형성되며, 몸체(7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조립편(7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동체 지지대(70)는 절개선(72)과 절곡선(73)들을 통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혀진다.
도 16은 우측 앞날개(80)를 구성하는 부품의 전개도로서, 몸체(81)에 다수의 절곡선(83)이 형성되고, 몸체(81)의 일측에는 다수의 조립구멍(85)이 형성되며, 몸체(81)의 일면 가장자리에는 몸체(81)가 상기 절곡선(83)을 통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구멍(85)에 끼워지는 조립편(84)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81)의 다른 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하부동체(50)의 측면에 형성된 조립구멍(55)에 끼워지는 3개의 조립편(84)이 형성되고, 몸체(81)의 또 다른 면에는 중간부에 절개홈(88)이 형성된 한쌍의 연결편(8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우측 앞날개(80)는 절곡선(83)들과 조립구멍(85) 및 조립편(84)들을 통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혀진다.
도 18은 좌측 앞날개(90)를 구성하는 부품의 전개도로서, 몸체(91)에 다수의 절곡선(93)이 형성되고, 몸체(91)의 일측에는 다수의 조립구멍(95)이 형성되며, 몸체(91)의 일면 가장자리에는 몸체(91)가 상기 절곡선(93)을 통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구멍(95)에 끼워지는 조립편(94)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91)의 다른 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하부동체(50)의 측면에 형성된 조립구멍(55)에 끼워지는 3개의 조립편(94)이 형성되고, 몸체(91)의 또 다른 면에는 중간부에 절개홈(98)이 형성된 한쌍의 연결편(9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좌측 앞날개(90)는 절곡선(93)들과 조립구멍(95) 및 조립편(94)들을 통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혀진다.
도 20은 좌측 뒷날개(100)를 구성하는 부품의 전개도로서, 몸체에 절곡선(103)이 다수 형성되고, 몸체의 일측에는 3개의 조립구멍(105)이 형성되며, 몸체의 일면 가장자리에는 몸체가 절곡선(103)들을 통해 접힌 상태에서 상기 3개의 조립구멍(105)에 끼워지는 3개의 조립편(104)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의 다른 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3상부동체(40)의 측면에 형성된 조립구멍(45)에 끼워지는 다수의 조립편(10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좌측 뒷날개(100)는 절곡선(103)들과 조립구멍(105) 및 조립편(104)들을 통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혀진다.
도 22는 우측 뒷날개(110)를 구성하는 부품의 전개도로서, 몸체에 절곡선(113)들이 형성되고, 몸체의 일측에는 3개의 조립구멍(115)이 형성되며, 몸체의 일면 가장자리에는 몸체가 절곡선(113)들을 통해 접힌 상태에서 상기 3개의 조립구멍(115)에 끼워지는 3개의 조립편(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의 다른 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3상부동체(40)의 측면에 형성된 조립구멍(45)에 끼워지는 다수의 조립편(114)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우측 뒷날개(110)는 절곡선(113)들과 조립구멍(115) 및 조립편(114)들을 통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혀진다.
도 24는 수직날개(120)를 구성하는 부품의 전개도로서, 몸체에 절곡선(123)들이 형성되고, 몸체의 일측에는 3개의 조립구멍(125)이 형성되며, 몸체의 일면 가장자리에는 몸체가 절곡선(123)들을 통해 접힌 상태에서 상기 3개의 조립구멍(125)에 끼워지는 3개의 조립편(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의 다른 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3상부동체(40)의 상면에 형성된 조립구멍(45)들에 끼워지는 다수의 조립편(12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수직날개(120)는 절곡선(123)들과 조립구멍(125) 및 조립편(124)들을 통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혀진다.
도 26은 엔진지지대(130)를 구성하는 부품의 전개도로서, 몸체에 절곡선(133)이 형성되고, 몸체의 일측에는 하나의 조립구멍(135)이 형성되며, 몸체의 일면에는 몸체가 절곡선(133)들을 통해 접힌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조립구멍(135)에 끼워지는 조립편(134)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의 다른 면에는 상기 앞날개(80)(90)에 형성된 조립구멍(85)(95)에 끼워지는 조립편(134)이 형성되고, 몸체의 또 다른 면에는 조립편(136)(13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엔진지지대(130)는 절곡선(133)들과 조립구멍(135) 및 조립편(134)을 통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혀진다.
도 28은 엔진 전위(140)를 구성하는 부품의 전개도로서, 직사각형 몸체의 일측에 원판(142)이 형성되고, 몸체에는 다수의 절곡선(143)이 형성되며, 몸체의 양측에는 상호 끼워지는 조립구멍(145)과 조립편(144)이 형성되고, 몸체(141)의 중간부에는 상기 엔진지지대(130)의 조립편(137)이 끼워지는 조립구멍(14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엔진 전위(140)는 절곡선(143)들과 조립구멍(145) 및 조립편(144)을 통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혀진다.
도 30은 엔진 후위(150)를 구성하는 부품의 전개도로서, 부채꼴 형상의 몸체에 다수의 절곡선(153)이 형성되고,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엔진지지대(130)의 조립편(138)이 끼워지는 절개홈(152)이 형성되며, 몸체의 양측에는 상호 끼워지는 조립구멍(155)과 조립편(15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엔진 후위(150)는 절곡선(153)들과 조립구멍(155) 및 조립편(154)을 통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혀진다.
도 32 내지 도 35는 받침대(2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전개도로서, 도 32는 받침대 제1기둥이고, 도 33은 받침대 제2기둥이며, 도 34는 받침대 하판이고, 도 35는 받침대 상판을 나타낸다.
받침대 제1기둥(210)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 형상의 제1몸체(211)와, 이 'X'자 형상의 제1몸체(211)의 교차부로부터 상하로 연장되는 'I'자 형상의 제2몸체(212)로 이루어지고, 이들 제1 및 제2몸체(211)(212)에는 절곡선(219)이 형성되며, 이들 제1 및 제2몸체(211)(212)의 하단부에는 하부지지판(213)이 각각 형성되고, 'I'자 형상의 몸체(211) 일측 상단부에는 상기 제2하부동체(50)의 바닥면과 조립되는 상부지지판(214)이 형성되며, 이 상부지지판(214)에는 상기 제2하부동체(50)의 바닥면에 형성된 조립구멍(55)에 끼워지는 조립편(2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X'자 형상의 몸체(211)와 'I'자 형상의 몸체(212) 및 상, 하부지지판(213)(214)의 가장자리에는 조립편(216)(218)과 조립구멍(215)이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다.
받침대 제2기둥(220)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자 형상의 몸체(221)로 이루어지고, 'I'자 형상의 몸체(221)에는 절곡선(226)이 형성되며, 몸체(221)의 하단부에는 하부지지판(222)이 형성되고, 하부지지판(222)과 'I'자 형상의 몸체(221) 가장자리에는 조립편(223)(224)과 조립구멍(225)이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다.
받침대 하판(230)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의 몸체(231)로 이루어지고, 몸체(231)의 가장자리에 다수의 조립편(234)이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대 상판(240)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의 몸체(241)로 이루어지고, 몸체(241)에는 상기 받침대 제1 및 제2기둥(210)(220)의 조립편(218)(224)이 끼워지는 조립구멍(245)이 형성되고, 몸체(241)의 가장자리에는 절곡선(243)에 의해 절곡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242)가 형성되며, 측면부(242)에는 상기 받침대 하판(230)의 조립편(234)이 끼워지는 다수의 조립구멍(24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받침대(200)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의 조립 과정을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모형 비행기의 분리 사시도인 도 3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동체 지지대(70)의 선단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제1상부동체(10)와 제1하부동체(20)를 조립편(14)(24)들과 조립구멍(75)들을 통해 조립하고, 이어서 제1상부동체(10)의 후단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제2상부동체(30)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제3상부동체(40)를 조립편(34)(36)(44)들과 절개홈(11) 및 조립구멍(15)(35)(45)(75)들을 통해 조립한 후, 동체 지지대(70)의 후측에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제3하부동체(60)를 조립편(64)들과 조립구멍(75)들을 통해 조립하여 비행기의 동체를 조립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제2하부동체(50)의 양측면에 형성된 조립구멍(55)에 도 17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우측 및 좌측 앞날개(80)(90)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연결편(87)(97)을 끼운 상태에서 이들 연결편(87)(97)들을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88)(98)을 통해 상호 걸림 연결하고, 제2하부동체(50)의 상측을 통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제2하부동체 지지대(56)를 제2하부동체(50)에 조립한다.
그리고 우측 및 좌측 앞날개(80)(90)가 조립된 제2하부동체(50)를 제1하부동체(20)와 제3하부동체(60) 사이의 동체 지지대(70)에 조립구멍(25)(65)(75)들과 조립편(54)들을 통해 조립한다.
그리고 제3상부동체(40)의 양측에는 도 21과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좌측 및 우측 뒷날개(100)(110)를 조립구멍(45)들과 조립편(104)(114)들을 통해 조립하고, 제3상부동체(40)의 상측에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수직날개(120)를 조립구멍(45)들과 조립편(124)들을 통해 조립한다.
그리고 우측 및 좌측 앞날개(80)(90)의 하면에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엔진지지대(130)를 조립편(134)(137)과 조립구멍(85)(95)을 통해 각각 조립하고, 이 각각의 엔진지지대(130)에 도 29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엔진 전위(140)와 엔진 후위(150)를 조립구멍(146)과 절개홈(152) 및 조립편(134)(136)을 통해 각각 조립한다.
그리고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받침대(200)의 제1기둥(210) 상측에 형성된 상부지지판(214)에 제2하부동체(50)를 조립편(217)과 조립구멍(55)을 통해 조립함으로써 종이 모형 비행기의 조립을 완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종이 모형 비행기에 의하면, 풀 등과 같은 접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종이 모형 비행기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제1하부동체와;
    상기 제1하부동체의 선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제1상부동체와;
    상기 제1상부동체의 후단에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연결되어 동체의 상부를 형성하며, 몸체에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제2, 제3상부동체와;
    상기 제1하부동체의 후단에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연결되어 동체의 하부를 형성하며, 몸체에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제2, 제3하부동체와;
    상기 제1, 제2, 제3상부동체와 상기 제1, 제2, 제3하부동체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동체 지지대와;
    상기 제3상부동체의 양측면에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각각 연결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좌측 및 우측 뒷날개와;
    상기 제3상부동체의 상면에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연결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수직날개와;
    상기 제2하부동체의 양측면에 각각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연결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좌측 및 우측 앞날개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앞날개의 하면에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각각 연결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다수의 엔진지지대와;
    상기 엔진지지대의 하부에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각각 연결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다수의 엔진과;
    상기 제2하부동체의 하면에 조립구멍과 조립편을 통해 연결되며,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몸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모형 비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앞날개의 일측에, 상기 제2하부동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조립구멍을 관통한 상태로 상호 걸림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동체의 내부에는 이들을 지지하는 제2하부동체 지지대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모형 비행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몸체에 다수의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형성된 엔진 전위와, 상기 엔진 전위의 후단에 끼워지며 몸체에 다수의 절곡선과 절개부가 형성된 엔진 후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모형 비행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몸체에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소정 패턴으로 형성된 제1기둥과,
    몸체에 절곡선과 조립구멍 및 조립편이 소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기둥과 조립되는 제2기둥과,
    상기 제1 및 제2기둥의 하부에 조립편과 조립구멍을 통해 조립되는 상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모형 비행기.
KR2020000007930U 2000-03-21 2000-03-21 종이 모형 비행기 KR200194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930U KR200194508Y1 (ko) 2000-03-21 2000-03-21 종이 모형 비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930U KR200194508Y1 (ko) 2000-03-21 2000-03-21 종이 모형 비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508Y1 true KR200194508Y1 (ko) 2000-09-01

Family

ID=1964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930U KR200194508Y1 (ko) 2000-03-21 2000-03-21 종이 모형 비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5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458B1 (ko) * 2012-04-02 2013-04-12 장형순 종이모형완구
CN114307185A (zh) * 2021-08-03 2022-04-12 武汉铁路职业技术学院 用于战斗机模型造型的柔性折叠与嵌套工艺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458B1 (ko) * 2012-04-02 2013-04-12 장형순 종이모형완구
CN114307185A (zh) * 2021-08-03 2022-04-12 武汉铁路职业技术学院 用于战斗机模型造型的柔性折叠与嵌套工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2048A (en) Structurally strong pallet facilitating easy manufacture fabricated from a stiff foldable material
GB2040673A (en) Knockdown seats of folded sheet material
KR920015004A (ko) 건물 유닛에 있어서의 접합부재 및 그 제조방법
EP3095496A1 (en) Assembly toy
JPH074170Y2 (ja) 中仕切付き箱
US5365857A (en) Pallet stringer
US11110368B2 (en) Structural element
KR200194508Y1 (ko) 종이 모형 비행기
US3462065A (en) Foldable carton and blank with triangle shaped corner
US4582286A (en) Easel display stand
US4793265A (en) Folding sectional table
JPH11157569A (ja) 梱包用コーナー材
KR200191191Y1 (ko)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
JPH0749998Y2 (ja) 紙製組立て玩具
KR20240030706A (ko) 지지대를 가지는 액자의 구조
JPS5937927Y2 (ja) 照明器具用シエ−ド
KR970001620Y1 (ko) 야외용 바둑판
KR20170006433A (ko) 유아 학습용 종이블록
JPH0390814U (ko)
KR200375160Y1 (ko) 가구 조립용 판넬
JPH1057185A (ja) 組立式スツール
KR20220062772A (ko) 유아 학습용 종이 블록
JP4205108B2 (ja) 間仕切り
KR200311783Y1 (ko) 가구용 절곡 판넬
KR200166178Y1 (ko) 앨범대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