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693A -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693A
KR20190066693A KR1020170166368A KR20170166368A KR20190066693A KR 20190066693 A KR20190066693 A KR 20190066693A KR 1020170166368 A KR1020170166368 A KR 1020170166368A KR 20170166368 A KR20170166368 A KR 20170166368A KR 20190066693 A KR20190066693 A KR 20190066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age
support
character
d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5371B1 (ko
Inventor
이웅현
Original Assignee
이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웅현 filed Critical 이웅현
Priority to KR1020170166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3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9/00Puppet, marionette, or shadow shows or theat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일면에 인쇄된 절개 표시선의 내측에서 유색상으로 무대 구현부, 복수 개의 인형 캐릭터 및 하나 이상의 지지대가 인쇄되는 종이 재질의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고, 무대 구현부는 베이스 기판의 절개 표시선을 따라 절개 및 분리되고, 하나 이상의 접힘선에 따라 접힘되어 무대 형상으로 성형되고, 복수 개의 인형 캐릭터는 지지대에 체결되어 무대의 양측벽 사이에 공간에 조립되고,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중심부를 따라 연장된 접힘선을 중심으로 접혀져 양측 끝단이 무대 구현부의 양 측벽에 조립되어 복 수개의 인형 캐릭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ASSEMBLY TYPE OF PUPPET SHOW PLAYING TOY USING PAPER FOLDING}
본 발명은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의 놀이기구에는 인형이나, 종이접기, 조립완구가 가장 보편화 되어 있다. 이 중 인형(人形, doll)은 흙, 나무, 종이, 헝겊이나 고무, 셀룰로이드, 비닐 등으로 만든 사람 형상의 완구 또는 장식품으로부터 동물의 모습을 형상화한 완구에 이르기까지 그 형태와 모습은 다양하다.
인형들은 어린이들을 위한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연출을 위하여 다양한 캐릭터 모습을 갖기에 어린이들은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에 등장하는 인형의 움직임과 전달되는 이야기를 통해 내용을 이해하게 된다.
또한 종이접기는 종이를 접음으로서 다양한 형상을 갖는 캐릭터나 형상이 완성되어가는 과정을 통하여 아이들에게 재미를 줄 수 있고, 조립완구는 여러 형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그림을 완성해가는 과정에서 재미를 줄 수 있고, 아이들의 두뇌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형극, 종이접기, 퍼즐 놀이기구는 서로 별개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체 제품을 구매해야되고, 종이접기나 퍼즐의 경우에는 1회 완성되면 그 이후부터 재사용이 불가능하거나 흥미를 잃어버리기에 매번 다른 제품을 재구매해야 되기에 비용지출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20-2016-0000875(2016.03.1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6410호(2012.08.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 접기와 조립완구 및 인형극의 구현이 모두 가능한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 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일면에 인쇄된 절개 표시선의 내측에서 유색상으로 무대 구현부, 복수 개의 인형 캐릭터 및 하나 이상의 지지대가 인쇄되는 종이 재질의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고, 무대 구현부는 베이스 기판의 절개 표시선을 따라 절개 및 분리되고, 하나 이상의 접힘선에 따라 접힘되어 무대 형상으로 성형되고, 복수 개의 인형 캐릭터는 지지대에 체결되어 무대의 양측벽 사이에 공간에 조립되고,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중심부를 따라 연장된 접힘선을 중심으로 접혀져 양측 끝단이 무대 구현부의 양 측벽에 조립되어 복 수개의 인형 캐릭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이접기를 이용하여 인형극 세트장을 조립하여 동화를 구현할 수 있어 종이 접기용 완구와, 조립식 완구와, 동화 구현을 위한 인형극 완구를 별도 구매하지 않아도 되기에 구매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 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무대 구현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지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캐릭터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조립된 놀이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인형 캐릭터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인형 캐릭터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인형 캐릭터의 다른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인형 캐릭터의 또 다른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 예 및 실시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 예 및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 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종이 재질의 베이스 기판(100)과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절개됨에 따라 인형극 무대를 표시하는 무대 구현부(200)와, 인형 캐릭터(400)와, 무대 구현부(200)에 조립되어 캐릭터를 지지하는 지지대(300)를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1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종이 패널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절개하도록 표시되는 절개 표시선(101)을 통하여 무대 구현부(200), 인형 캐릭터 및 지지대(300)는 베이스 기판(10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가위나 칼을 이용하여 베이스 기판(100)에 형성된 절개 표시선(101)을 따라 무대 구현부(200), 인형 캐릭터 및 지지대(300)를 절개하여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무대 구현부(200)와 인형 캐릭터(400) 및 지지대(300)는 베이스 기판(10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제공되는 것으로서 접힘 및 절개 가능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무대 구현부(200)는 다 수개의 접힘선(251, 252, 253)이 형성되며, 접힘선(251, 252, 253)을 따라 순차적으로 접힘되는 방식으로 성형되어 무대 형상으로 조립된다.
지지대(300)는 접혀진 상태에서 무대 구현부(200)에 조립된다. 여기서 지지대(300)는 인형 캐릭터(400)가 끼움 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인형 캐릭터(400)는 소정의 형상(예를 들면, 동물, 사람, 식물, 외계인, 장식물, 구조물, 장치)을 갖도록 형성되어 지지대(300)에 끼움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 중, 무대 구현부(200)와, 인형 캐릭터(400) 및 지지대(300)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무대 구현부(20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대 구현부(200)는 베이스 기판(100)에서 형성된 절개 표시선(101)을 따라 절개되고, 다각형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접힘선(251, 252, 253, 254)이 형성된다. 그리고, 무대 구현부(200)는 접힘선(251~254)에 의해 구획되어 무대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판(210)과, 일측판(220) 및 타측판(220')과, 전면판(230)을 형성한다. 여기서 무대 구현부(200)는 일측부터 배면판(210)과, 일측판(220) 전면판(230) 및 타측판(220') 순으로 연장된다.
아울러, 배면판(210)은 일측에서 일측판(220)과의 사이를 구획하는 제1 접힘선(251)을 따라 접힘되어 타측판(220')에 끼움 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 돌기(270)가 형성된다.
일측판(220)은 배면판(210)과 전면판(230) 사이에서 제1 및 제2 접힘선(251, 252)에 의해 구획된다. 여기서 일측판(220)은 제2 접힘선(252)을 따라 접혀지면, 직립된 일측 벽면을 형성한다.
전면판(230)은 일측판(220)과 타측판(220') 사이에서 제2 및 제3 접힘선(252, 253)에 의해 구획되고, 무대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일부가 절개되어 전면판(230)을 통하여 배면판(210)이 시야에 잡힐 수 있도록 절개 형성된다.
타측판(220')은 전면판(230)과의 사이에 제2 접힘선(252)을 통하여 구획된다. 타측판(220')은 제3 접힘선(253)을 따라 전면판(230)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무대의 타측 벽을 형성한다.
즉, 일측판(220)과 타측판(220')은 무대의 양측 벽면을 이루고, 전면판(230)과 배면판(210) 사이에 인형 캐릭터(400)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무대 구현부(200)는 일측판(220)과 타측판(220')에서 지지대(300)가 조립될 수 있도록 복 수개의 무대 결합 절개선(261)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복 수개의 무대 결합 절개선(261)은 서로 그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무대 결합 절개선(261a, 261a')은 전면판(230)측에 가깝게 형성되고, 제2 무대 결합 절개선(261b, 261b')은 제1 무대 결합 절개선(261a, 261a')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서 배면판(210)측으로 가깝게 형성된다.
또한, 무대 구현부(200)는 배면판(210)의 일측 끝단이 끼움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타측판(220')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결합판(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면판(210)과 결합판(240) 사이에는 제4 접힘선(254)이 형성되고, 그 제4 접힘선(254)에는 배면판(210)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 돌기(270)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끼움 절개선(262)이 형성된다.
여기서, 무대 결합 절개선(261)과 끼움 절개선(262)은 칼과 같은 치구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그어짐에 따라 절개된 상태를 이룬다.
도 3은 인형 캐릭터(400)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지지대(30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인형 캐릭터(400)는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유색상으로 인쇄되며, 외측에서 절개 표시선(101)이 형성된다. 따라서 인형 캐릭터(400)는 절개 표시선(101)을 따라 절개되어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이탈된다. 여기서 인형 캐릭터(400)는 지지대(300)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하향 연장된 캐릭터 끼움판(41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300)는 베이스 기판(100)에서 절개 표시선(101)을 갖고 유색상으로 인쇄된다. 따라서 지지대(300)는 가위와 같은 치구에 의해 절개되어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지지대(300)는 중심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선(313)이 형성되는 지지대 본체(310)와, 지지대 본체(310)의 양측 끝단에서 각각 돌출되는 끼움단(330)과, 지지대 본체(310)에서 하향 돌출되어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걸림돌기(340)가 형성된다.
지지대 본체(310)는,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접힘선(313)을 중심으로 제1판(311)과 제2판(312)으로 구획되며, 예를 들어 제1판(311)이 회전되면서 배면이 제2판(312)의 배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무대 구현부(200)에 조립된다.
여기서 지지대 본체(310)의 접힘선(31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판(311)이 회전됨에 따라 상단을 이룬다.
여기서, 지지대 본체(310)는 접힘선(313)에 의해 접혀진 상단에 인형 캐릭터(400)가 조립될 수 있도록 제1 캐릭터 결합 절개선(321)이 형성된다. 즉, 제1 캐릭터 결합 절개선(321)은 접힘선(313)에서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복 수개가 형성되며, 이와 같은 제1 캐릭터 결합 절개선(321)은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형 캐릭터(400)의 하측에서 연장되는 제1캐릭터 끼움판(410)이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지지대(300)는 지지대 본체(310)의 제1판(311) 또는 제2판(312)에서 인형 캐릭터(4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판(311) 또는 제2판(312)에서 절개된 제2 캐릭터 결합 절개선(322)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지지대 본체(310)의 상단에서 인형 캐릭터(400)를 끼울수 있고, 동시에 지지대 본체(310)를 이루는 제1판(311) 또는 제2판(312)에 추가적으로 인형 캐릭터(400)를 끼울 수 있다.
아울러, 끼움단(330)은 제1판(311)과 제2판(312)이 상호 걸쳐지면서 하단에서 상향된 단차를 이룬다. 이와 같은 끼움단(330)은 일측판(220)과 타측판(220')에 각각 형성되는 무대 결합 절개선(261)에 끼움된다.
또한, 걸림단은 제1판(311)의 하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일측판(220) 또는 타측판(220')의 벽면에 걸림되어 지지대(300)의 끼움단(330)이 무대 결합 절개선(261)에서 설정된 길이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스토퍼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의 조립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완성된 인형극 무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인형 캐릭터(400)와 지지대(300)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인형 캐릭터(400)와 지지대(300)의 다른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가위를 이용하여 베이스기판(100)에 표시된 절개 표시선(101)을 따라서 무대 구현부(200)와, 지지대(300) 및 인형 캐릭터(400)를 절개하여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무대 구현부(200)의 배면판(210)과 일측판(220) 사이와, 일측판(220)과 전면판(230), 전면판(230)과 타측판(220'), 타측판(220')과 결합판(240) 사이의 접힘선(251~254)을 따라 배면판(210)과 일측판(220)과 전면판(230)과 타측판(220') 및 결합판(240)을 각각 접어서 사각형의 무대를 형성한다.
이때, 사용자는 배면판(210)의 일측 끝단에서 돌출 형성된 끼움 돌기(270)를 타측판(220')과 결합판(240) 사이의 제4 접힘선(254)을 따라 형성된 끼움 절개선(262)에 삽입시킨다. 따라서 무대 구현부(200)는 상하측이 개방되고, 전후좌후측에서 직립된 벽면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이 절개되어 인형 캐릭터(400)가 설치되는 무대가 개방되는 인형극 무대가 완성된다,.
또한, 사용자는 지지대(300)의 중심부에 연장된 접힘선(313)을 따라서 제1판(311)을 회전시켜 제1판(311)과 제2판(312)이 상호 밀착시킨다. 따라서 지지대(300)는 접힘선(313)을 따라 형성된 제1 캐릭터 결합 절개선(321)이 상단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인형 캐릭터(400)의 하측에서 연장된 제1캐릭터 끼움판(410)을 제1캐릭터 결합 절개선(321)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인형 캐릭터(400)가 지지대(300)에 체결 시킨 후 사용자는 무대 구현부(200)의 양측벽에 형성된 무대 결합 절개선(261)을 통하여 무대 구현부(200)(즉, 인형극 무대)에 지지대(300)를 조립한다.
즉, 사용자는 지지대(300)의 양측 끼움단(330)을 일측판(220)과 타측판(220')에 각각 형성된 무대 결합 절개선(261)에 각각 삽입하여 무대 구현부(200)에 지지대(300)를 조립한다.
따라서, 무대 구현부(200)의 내측에서 인형 캐릭터(400)가 설치되는 인형 무대가 완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300)가 설치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인형 캐릭터(400)를 인형극에 출연시킬 수 있고, 더욱이 지지대(300)는 제1판(311) 또는 제2판(312)에서 제2캐릭터 결합 절개선(322)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인형 캐릭터(40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는 배면판(210)에 복 수개의 배면 끼움 절개선(211)을 더 포함 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인형 캐릭터(400')를 배면판(210)의 배면 끼움 절개선(211)에 끼움으로 다양한 상황(예를 들면, 공중에 위치된 캐릭터)에 대한 연출이 가능하다.
이때 인형 캐릭터(400')는 끝단에서 절곡될 수 있도록 접힘선(411')이 형성된 캐릭터 절곡 끼움판(4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인형 캐릭터(400')의 캐릭터 절곡 끼움판(410')에 형성된 접힘선을 중심으로 캐릭터 절곡 끼움판(410')을 절곡시킨 뒤에 배면 끼움 절개선(211)에 삽입하여 무대의 공중에 위치된 인형 캐릭터(400')를 구현한다.
또는 배면판(210)의 배면 끼움 절개선(211)은 그 높이가 다른 복 수개를 구비함에 따라 다양한 인형 캐릭터(400')의 출현과 상황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인형 캐릭터(400)의 캐릭터 끼움판(4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인형 캐릭터(400)의 캐릭터 끼움판(4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캐릭터 끼움판(410)은 도 10의 (a)와 같이 제2 캐릭터 결합 절개선(322)을 통하여 제2판(31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판(412)과, 삽입판(412)을 중심으로 각각 형성된 돌기판 절개선(411)을 따라 절개되어 제2판(312)의 외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외측판(413)으로 분할될 수 있다.
삽입판(412)과 외측판(413)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판 절개선(411)을 통하여 구획되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판(412)이 제2판(312)의 제2캐릭터 결합 절개선(322)을 통하여 제2판(312)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한 쌍의 외측판(413)은 제2판(312)의 외면에 밀착된다. 즉, 캐릭터 끼움판(410)은 엇갈림식 끼움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지지대(300)와의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이 접기와, 조립 완구와, 인형극이 요소를 모두 갖춘 완구임에 따라 종래와 같이 조립완구와 인형극, 종이 접기용 완구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놀이 기구를 구매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조립, 인형극, 종이 접기의 특성을 모두 갖춤에 따라 각자 완구들만의 장점을 모두 갖출 수 있어 아이들의 두뇌 및 인성 형성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베이스 기판 101 : 절개 표시선
200 : 무대 구현부 210 : 배면판
220 : 일측판 220' : 타측판
230 : 전면판 240 : 결합판
251, 252, 253, 254, 313 : 접힘선 261 : 무대 결합 절개선
262 : 끼움 절개선 270 : 끼움 돌기
300 : 지지대 310 : 지지대 본체
311: 제1판 312 : 제2판
321, 322 : 캐릭터 결합 절개선 330 : 끼움단
340 : 걸림돌기 400 : 인형 캐릭터
410 : 캐릭터 끼움판 411 : 돌기판 절개선
412 : 삽입판 413 : 외측판

Claims (5)

  1. 일면에 인쇄된 절개 표시선(101)의 내측에서 유색상으로 무대 구현부(200), 복 수개의 인형 캐릭터(400) 및 하나 이상의 지지대(300)가 인쇄되는 종이 재질의 베이스 기판(100)을 포함하고,
    무대 구현부(200)는 베이스 기판의 절개 표시선을 따라 절개 및 분리되고, 하나 이상의 접힘선(251~254)에 따라 접힘되어 무대 형상으로 성형되고,
    복 수개의 인형 캐릭터(400)는 지지대에 체결되어 무대의 양측벽 사이에 공간에 조립되고,
    하나 이상의 지지대(300)는 중심부를 따라 연장된 접힘선을 중심으로 접혀져 양측 끝단이 무대 구현부(200)의 양 측벽에 조립되어 복 수개의 인형 캐릭터(40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무대 구현부(200)는
    배면을 이루는 배면판(210);
    배면판(210)과 제1 접힘선(251)을 통해 구획되어 성형 후 일측면을 이루는 일측판(220);
    일측판(220)과 제2 접힘선(252)에 의해 구획되어 성형후 전면을 이루는 전면판(230);
    전면판(230)과 제3 접힘선(253)에 의해 구획되어 성형 후 타측면을 이루는 타측판(220'); 및
    배면판(210)의 끝단에서 돌출되고, 타측판(220')의 끝단에 형성된 끼움 절개선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 돌기(270);를 포함하는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일측판(220)과 타측판(220')은
    지지대(300)의 양측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호 대향된 위치에서 절개된 복 수개의 무대 결합 절개선(261)을 포함하는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대(300)는
    중심부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된 접힘선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호 밀착되는 제1판(311)과 제2판(312)을 이루는 지지대 본체(310); 및
    지지대 본체(310)의 양측 하단에서 상향된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무대 구현부(200)의 양측판에 각각 형성된 무대 결합 절개선(261)에 삽입되는 끼움단(330);을 포함하는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지지대(300)는
    접힘선(313)을 따라 절개되어 인형 캐릭터(400)가 체결되는 복 수개의 캐릭터 결합 절개선(321)을 더 포함하는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 기구.







KR1020170166368A 2017-12-06 2017-12-06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KR102105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368A KR102105371B1 (ko) 2017-12-06 2017-12-06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368A KR102105371B1 (ko) 2017-12-06 2017-12-06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693A true KR20190066693A (ko) 2019-06-14
KR102105371B1 KR102105371B1 (ko) 2020-04-28

Family

ID=6684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368A KR102105371B1 (ko) 2017-12-06 2017-12-06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3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953B1 (ko) * 2019-07-17 2020-10-13 주식회사 스토리나라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WO2022065967A1 (ko) * 2020-09-28 2022-03-31 (주)플레이31 종이로 만든 플레이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136Y1 (ko) * 2001-11-08 2002-01-31 주식회사 유유트레이딩 배경판이 구비된 종이접기용 놀이용구
KR200273907Y1 (ko) * 2002-01-22 2002-04-27 정진환 간이 상품 진열대
KR101176410B1 (ko) 2009-06-01 2012-08-28 (주)애즐커뮤니케이션 놀이 교육 도구
KR101254458B1 (ko) * 2012-04-02 2013-04-12 장형순 종이모형완구
KR20160000875U (ko) 2014-09-04 2016-03-14 기준용 조립식 종이접기용 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136Y1 (ko) * 2001-11-08 2002-01-31 주식회사 유유트레이딩 배경판이 구비된 종이접기용 놀이용구
KR200273907Y1 (ko) * 2002-01-22 2002-04-27 정진환 간이 상품 진열대
KR101176410B1 (ko) 2009-06-01 2012-08-28 (주)애즐커뮤니케이션 놀이 교육 도구
KR101254458B1 (ko) * 2012-04-02 2013-04-12 장형순 종이모형완구
KR20160000875U (ko) 2014-09-04 2016-03-14 기준용 조립식 종이접기용 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953B1 (ko) * 2019-07-17 2020-10-13 주식회사 스토리나라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WO2022065967A1 (ko) * 2020-09-28 2022-03-31 (주)플레이31 종이로 만든 플레이키트
KR20220042724A (ko) * 2020-09-28 2022-04-05 (주)플레이31 종이로 만든 플레이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371B1 (ko)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32549S1 (en) Base frame for racing simulator cockpit
US20130072086A1 (en) Panel for constructing a child's playhouse and a child's playhouse incorporating the same
US20060135032A1 (en) Three-dimensional coloring product
KR101759053B1 (ko) 입체감을 갖는 색칠놀이 극장
AU2019253851A1 (en) Transforming Toy
KR20190066693A (ko)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EP1291051A2 (en) Three-dimensional toy built up with freely connectable parts
US2028377A (en) Toy menagerie cage
US6439953B1 (en) Three-dimensional built-up toy with freely connectable bases
KR102162953B1 (ko)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JP4219938B2 (ja) 切離し及び/又は組付け・分解可能な板状食材の構造
US1180591A (en) Cut-out toy.
KR101513243B1 (ko) 공간지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균형잡는 다용도 완구
WO2011006167A1 (en) Doll kit
KR20100024177A (ko) 조립식 교육ㆍ완구용 판재세트
ES2907137T3 (es) Disposición constructiva introducida en juguete interactivo
US3002316A (en) Rocking toy
WO2022176471A1 (ja) 組立玩具
JP3217482U (ja) ボードゲーム
KR200401686Y1 (ko) 다용도 딱지
TWI571295B (zh) 壓縮可回彈之變形玩偶及其板材
JP3239186U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
KR20180061580A (ko) 직립형 페이퍼 토이
JP5492678B2 (ja) 組み立て玩具
US1107757A (en) Toy t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