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953B1 -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953B1
KR102162953B1 KR1020190086433A KR20190086433A KR102162953B1 KR 102162953 B1 KR102162953 B1 KR 102162953B1 KR 1020190086433 A KR1020190086433 A KR 1020190086433A KR 20190086433 A KR20190086433 A KR 20190086433A KR 102162953 B1 KR102162953 B1 KR 102162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y
paper
play equipment
puppet play
pup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범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토리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토리나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토리나라
Priority to KR1020190086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9/00Puppet, marionette, or shadow shows or theat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8Picture books with additional toy effects, e.g. pop-up or slide displa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는, 임의의 스토리를 어린이가 인형극 놀이를 통해 스스로 구성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평면 상에 그려진 전개도 이미지를 절취하여 접었을 때 텔레비전 형태의 테두리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 종이 판지; 상기 텔레비전 형태의 테두리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테두리 프레임의 전면 개방부를 통해 임의의 스토리를 텔레비전 방송처럼 표출하기 위한 다수의 오브젝트들이 인쇄된 제2 종이 판지; 및 상기 텔레비전 형태의 테두리 프레임 내부에 다수의 특정 오브젝트들 뒤쪽에 배치되며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배경 이미지가 인쇄된 제3 종이 판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Story complete type of paper TV puppet play equipment}
본 발명은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가 놀이기구에 함께 포함된 미완성 스토리북을 읽고 완성되지 아니한 나머지 스토리를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를 통해 인형극 놀이를 하면서 스스로 창의적으로 구성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은 여러 가지 동화책을 읽음으로써 동화 속의 내용들을 오래 동안 기억하고 상상력을 배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동화책들은 일반적으로 글과 그림으로 구성되어진 스토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스토리를 직접 또는 부모님이 읽어줌으로써 내용을 학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동화책을 직접 읽거나 읽어주는 방식으로는 미리 짜여진 스토리를 따라가면서 책 속에 인쇄된 글과 그림에 의한 내용을 그대로 학습하는 형태이므로 어린이들에게 생동감있게 스토리를 전달하여 지속적으로 흥미를 부가하고, 아울러 어린이들에게 동화책 속의 스토리를 벗어나 스토리에 제한되지 않는 상상력과 창의력을 자극하는 데에는 다소 한계가 있었다.
한편, 어린이들에게 생동감있게 스토리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나무나 종이, 헝겊,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인형(人形)을 이용하여 구연동화나 인형극을 연출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 보다 스토리를 생동감있게 전달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에 대한 발명, 즉, 한국공개특허 제2019-0066693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함)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따르면, 종이 접기를 통해 다양한 형상을 갖는 캐릭터를 완성하고, 상기 종이 접기 과정을 통해 아이들에게 재미와 아이들의 두뇌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종이접기를 이용하여 인형극 세트장을 조립하여 동화를 구현하기 때문에 종이 접기용 완구와 조립식 완구, 동화 구현을 위한 인형극 완구를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도 되기에 구매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개시된 발명은 어린이들이 동화 구현 시 생동감있게 내용과 스토리를 전달해 줄 수는 있겠으나, 동화 구현 역시 동화책에서 미리 짜여진 스토리를 구현하는 것이므로 어린이들에게 동화책 속의 스토리를 벗어나 스토리에 제한되지 않는 상상력과 창의력을 자극하는 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어린이가 놀이기구에 함께 포함된 미완성 스토리북을 읽고 완성되지 아니한 나머지 스토리를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를 조립한 뒤, 상기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를 통해 인형극 놀이를 하면서 스스로 창의적으로 구성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임의의 스토리를 어린이가 인형극 놀이를 통해 스스로 구성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평면 상에 그려진 전개도 이미지를 절취하여 접었을 때 텔레비전 형태의 테두리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 종이 판지; 상기 텔레비전 형태의 테두리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테두리 프레임의 전면 개방부를 통해 임의의 스토리를 텔레비전 방송처럼 표출하기 위한 다수의 오브젝트들이 인쇄된 제2 종이 판지; 및 상기 텔레비전 형태의 테두리 프레임 내부에 다수의 특정 오브젝트들 뒤쪽에 배치되며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배경 이미지가 인쇄된 제3 종이 판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임의의 스토리는 본론 또는 결말이 정해지지 않은 미완성의 스토리로서, 제1,2,3 종이 판지와 함께 상기 미완성 스토리 및 삽화가 인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완성 스토리북이 함께 제공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종이 판지의 전개도 이미지는, 사각형의 일정 면적을 갖는 후면부; 상기 후면부의 좌우측 양단에 제1 접힘선을 기준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측면부; 상기 후면부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일단에 제2 접힘선을 기준으로 연장 형성되며 좌우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에 “
Figure 112019073306126-pat00001
”자 형태의 절취선 및 접힘선을 갖는 커버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커버를 “
Figure 112019073306126-pat00002
”자 형태로 절취한 후 상기 접힘선을 후면부쪽으로 말아 접었을 때 개방부가 형성되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상면부 반대쪽 일단에 연장 형성된 저면부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종이 판지의 다수의 오브젝트들은, 사람이나 동물 등의 캐릭터가 그려지거나 캐릭터의 스티커가 부착되는 대략 원형의 캐릭터 오브젝트; 상기 캐릭터 오브젝트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거나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막대 형상을 갖는 무빙 스틱; 상기 무빙 스틱의 캐릭터 오브젝트 반대쪽 일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거나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핸들; 및 식물이나 바위, 구름 등이 그려진 사물 오브젝트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캐릭터 오브젝트와 무빙 스틱은 상면부의 슬롯을 통해 끼워진 상태로 전면 개방부를 통해 전방으로 표출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버의 중단에는 제5,6,7 접힘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5,6,7 접힘선을 후면부쪽으로 말아 접은 경우 접혀진 상면이 개방부의 하단선과 일치되는 높이를 갖는 스테이지를 구성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측면부에는 “ㄴ”자 형태로 꺾인 측면 슬롯이 더 형성되고, 상기 측면 슬롯을 통해 사물 오브젝트들이 측면 슬롯과 동일한 형태로 접혀진 후 삽입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물 오브젝트들과 제3 종이 판지는 스테이지 위에 안착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무빙 스틱의 중단부에는 상면부의 슬롯에 끼워진 후 걸림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구비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토퍼는 분리형으로, 가운데 부분에 무빙 스틱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지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토퍼는 일체형으로, 무빙 스틱의 일부가 “U”자 형태로 절개되고, 상기 절개된 부분을 무빙 스틱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벌린 후 무빙 스틱을 상면부의 슬롯에 끼워 걸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완성 스토리는 일례로, “네가 원하는 색과 무늬는 뭐야?”처럼 미완성 스토리의 말미가 질문형으로 종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어린이가 놀이기구에 함께 포함된 미완성 스토리북을 읽고 완성되지 아니한 나머지 스토리를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를 조립한 뒤, 상기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를 통해 인형극 놀이를 하면서 스스로 구성해 봄으로써 상기한 과정을 통해 정해진 스토리에 의한 주입식 학습이 아니라 다양한 스토리를 직접 완성하면서 창의력과 상상력, 지속적인 흥미를 가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를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종이 판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종이 판지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종이 판지를 보인 평면도
도 5a, 5b 및 5c는 본 발명에 따라 캐릭터 오브젝트와 무빙 스틱이 상면부 슬롯에 끼워져 걸쳐진 상태도로서, 도 5a는 끼움방식의 분리형 스토퍼가 적용된 예, 도 5b는 절취방식의 일체형 스토퍼가 적용된 예, 도 5c는 접기방식의 일체형 스토퍼가 적용된 예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미완성 스토리북을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인 상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내지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를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종이 판지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종이 판지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종이 판지를 보인 평면도이다.
먼저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임의의 스토리, 특히 스토리가 완성되지 않은 미완성 스토리북(20, 도 6 참조)을 어린이가 읽고 함께 동봉된 인형극 놀이기구(10)를 조립한 뒤 상기 인형극 놀이기구(10)를 통해 미완성 스토리를 어린이 스스로가 완성해 보도록 구성된 어린이용 학습 교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형극 놀이기구(10)는 여러 장의 종이 판지(100, 200, 300)를 잘라 접어 조립했을 때 전체가 텔레비전과 흡사한 외관 이미지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인형극 놀이기구(10)의 전면부(140)에는 개방부(140a)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인형극 놀이기구(10)의 내부에는 미완성 스토리북(20)에 등장하는 캐릭터, 예컨대 사람이나 동물 등의 각종 캐릭터가 그려진 캐릭터 오브젝트(210), 식물이나 바위 등이 그려진 사물 오브젝트(250), 또한 숲속 풍경이나 바닷속 풍경 등의 배경 이미지가 그려진 제3 종이 판지(300)가 어우려져 텔레비전처럼 전면 개방부(140a)를 통해 함께 표출되어진다.
이 때, 상기 캐릭터 오브젝트(210)는 상면부(130)를 통해 마리오네트 인형극 형태로 어린이가 무빙 스틱(220)을 손으로 잡고 동작시킬 수 있게 구성되며, 이에 따라 어린이들이 캐릭터 오브젝트(210)의 대화를 창의적으로 지어내 말로 이야기하면서 상기 캐릭터 오브젝트(210)를 뛰거나 걷는 등의 동작을 부여할 수가 있어 인형극 놀이기구(10)와 함께 제공되는 스토리북(20)의 미완성 스토리를 이어서 완성해 나갈 수 있게 된다.
수풀이나 바위 등의 사물 오브젝트(250)의 경우, 측면부(120)에 형성된 “ㄴ”자 형태로 꺾인 측면 슬롯(120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측면 슬롯(120a)을 통해 사물 오브젝트(250)들이 상기 측면 슬롯(120a)과 동일한 형태로 접혀진 후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물 오브젝트(250)들은 스토리 상황에 맞추어 수풀이나 바위 등의 사물 오브젝트(250)를 바꿔가면서 다른 장소를 표출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캐릭터 오브젝트(210)와 사물 오브젝트(250), 제3 종이 판지(300)는 어떠한 그림도 없는 백지(白紙)일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백지 위에 어린이가 스토리북(20)의 내용에 걸맞게 캐릭터와 사물 이미지 등을 직접 그려넣거나 또는 이미지 스티커 등을 붙여 이미지를 직접 표현할 수도 있다.
도 2내지 도4를 참조하면, 도 1에서의 조립된 인형극 놀이기구(10)는, 여러 장의 종이 판지, 즉 제1,2,3 종이 판지(100, 200, 300), 위에 그려진 이미지를 잘라 접어 조립함으로써 완성된다.
도 2는 제1 종이 판지(100)의 예시로서, 제1 종이 판지(100)는 평면 상에 그려진 텔레비전 형태의 전개도 이미지를 잘라 접어 텔레비전 형태의 테두리 프레임을 구성하는 판지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종이 판지(100)의 전개도 이미지는, 먼저 사각형의 일정 면적을 갖는 후면부(110); 상기 후면부의 좌우측 양단에 제1 접힘선(111)을 기준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대략 사다리꼴 모양의 측면부(120); 상기 후면부의 하단에 제2 접힘선(112)을 기준으로 연장 형성되며 좌우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슬롯(130a)이 형성된 상면부(130); 상기 상면부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에 “
Figure 112019073306126-pat00003
”자 형태의 절취선(141a)을 갖는 커버(141)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커버를 절취선에 따라 절취한 후 후면부(110)쪽으로 말아 접었을 때 도 1의 개방부(140a)가 형성되는 전면부(140); 및 상기 전면부의 상면부(130)쪽 제3 접힘선(131) 반대쪽 일단에 연장 형성된 저면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부(140)와 저면부(150)의 사이에는 외관상의 미감을 위해 제4 접힘선(15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제2 종이 판지(200)의 예시로서, 제2 종이 판지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인형극 놀이기구(10)에 이용되는 각종 캐릭터를 표현하는 캐릭터 오브젝트(210); 상기 캐릭터 오브젝트를 마리오네트 인형극 타입으로 움직임을 부여하기 위한 무빙 스틱(220); 상기 무빙 스틱을 손으로 집기 위한 삼각형 모양의 핸들(230); 수풀이나 바위, 구름 등의 사물을 표현하는 사물 오브젝트(250); 상기 무빙 스틱(220)을 도 2의 상면부(130) 슬롯(130a)에 걸쳐지도록 하는 스토퍼(240) 등으로 구성되는 판지이다.
이 때, 상기 도 3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라, 캐릭터 오브젝트(210)와 무빙 스틱(220), 핸들(230), 스토퍼(240)가 각각 별도로 인쇄된 상태로 인형극 놀이기구(10)를 조립할 때 이 들을 제2 종이 판지(200)에서 절취한 후 서로 결합하여 인형극을 진행할 수 있게끔 구성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캐릭터 오브젝트(210)와 무빙 스틱(220), 핸들(230)을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후술할 도 5b의 예시와 같이 별도의 스토퍼(240)를 구비하지 않고 무빙 스틱(220) 중단부분을 “U”자 형태로 절취한 후 상기 절취한 부분을 무빙 스틱(220)에서 멀어지도록 일측으로 벌리는 형태의 일체형 스토퍼(242)를 형성한 경우에도 이러한 도 5a의 분리형 스토퍼(240)와 마찬가지로 스토퍼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c의 예시와 같이 스틱을 이중으로 구성하고 마주보는 면에 오시가공을 하여 두 면을 마름모형으로 접어서 스토퍼를 형성하도록 하는 접기방식의 일체형 스토퍼가 적용될 수 도 있다.
이로써, 어린이들은 상기 캐릭터 오브젝트(210)와 사물 오브젝트(250)들을 상기 텔레비전 형태의 인형극 놀이기구(10) 내부에 배치한 상태로 텔레비전 방송처럼 인형극 놀이를 진행하면 되는 것이다.
도 4는 배경 이미지가 인쇄된 제3 종이 판지(300)를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다.
상기 제3 종이 판지(300)는 사각형 형태의 넓은 판지로서, 상기 상면부(130)에 형성된 다수의 슬롯(130a) 중 후면부(110)쪽 맨 뒤의 슬롯(130a)에 삽입됨으로써 텔레비전 형태의 인형극 놀이기구(10)의 배경 이미지로서 기능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3 종이 판지(300)는 도 4a처럼 특정의 배경 이미지(예컨대, 바닷속 또는 숲속 등)가 인쇄될 수도 있고, 도 4b처럼 어떠한 이미지도 인쇄되지 아니한 백지(白紙)로 제공됨으로써 어린이가 원하는 배경 이미지를 마음껏 그려 넣을 수 있게도 구성이 가능하다.
이 때, 어린이가 마음껏 스토리를 창작해 볼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스토리북(10)에 인쇄된 배경 이미지 삽화와 일치 또는 유사한 여러 장의 제3 종이 판지(300)와 함께 어린이가 직접 배경 이미지를 그려 넣을 수 있는 백지(白紙) 형태의 제3 종이 판지(300)도 여러 장 함께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도 5a, 5b 및 5c는 본 발명에 따라 캐릭터 오브젝트와 무빙 스틱이 상면부 슬롯에 끼워져 걸쳐진 상태도로서, 도 5a는 끼움방식의 분리형 스토퍼가 적용된 예, 도 5b는 절취방식의 일체형 스토퍼가 적용된 예, 도 5c는 접기방식의 일체형 스토퍼가 적용된 예의 상태도이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도 5a의 실시예에서는, 분리형 스토퍼(240)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240)의 절개선(240a)에 무빙 스틱(220)을 끼운 후, 상면부(130)의 슬롯(130a)에 상기 캐릭터 오브젝트(210)를 삽입하여 스토퍼(240)가 슬롯(130a)에 걸쳐지게 한다. 이 때 어린이는 캐릭터 오브젝트(210)의 행잉(hanging) 높이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240)를 손으로 잡고 무빙 스틱(220)의 위아래로 위치를 조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a에서 상기 스토퍼(240)는 사각형의 작은 판지로 표현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얼마든지 형상을 다채롭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무빙 스틱(220)의 일부(242a)를 “U”자 형태로 절개하여 일체형 스토퍼(242)를 형성하고, 상기 일체형 스토퍼(242)의 “U”자형 절개부를 무빙 스틱(22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일측 또는 양측으로 벌리면 상기 일체형 스토퍼(242)가 상면부(130)의 슬롯(130a)에 걸쳐지게 구성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일체형 스토퍼(242)는 도 5a의 분리형 스토퍼(240)처럼 위아래로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가 없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일체형 스토퍼(242)는 무빙 스틱(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아래로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무빙 스틱(220)을 따라 위아래 다른 높이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일체형 스토퍼(242)를 임의로 적절하게 벌려 행잉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도 5c의 예시와 같이 무빙 스틱(220)을 이중으로 구성하고 마주보는 면에 오시가공을 하여 두 면을 마름모형으로 접어서 스토퍼를 형성하도록 하는 접기방식의 일체형 스토퍼가 적용될 수 도 있는데, 도 5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무빙 스틱(220)을 따라 위아래 다른 높이에 다수의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미완성 스토리북을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미완성 스토리북(20)은 여러 가지 스토리를 담고 있는 여러 권의 책자가 인형극 놀이기구(10)와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각 스토리북에 담겨진 임의의 스토리는 미완성 스토리이다.
상기 미완성 스토리는 본론 또는 결말이 정해지지 않은 스토리(줄거리)로서, 앞서의 제1,2 및 3 종이 판지와 함께 상기 미완성 스토리 및 삽화가 인쇄된 여러 권의 미완성 스토리북(20)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어린이들이 상기 미완성 스토리를 읽고 인형극 놀이를 하면서 스토리를 자유롭게 완성해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미완성 스토리는 예컨대, 도 6에서 예시된 것처럼, “네가 원하는 색과 무늬는 뭐야?”처럼 스토리북의 말미가 질문형으로 종결되어 어린이들이 다음 스토리에 대한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하게 되는 것이다.
이 밖에도 미완성 스토리의 다른 실시예로, 미완성 스토리북(20)에는 삽화만이 표현되어 있고, 스토리(글) 부분은 공백(空白)으로 둠으로써 어린이가 삽화를 보면서 적절한 스토리(글)를 상상하고 직접 구성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할 수도 있는 등 어린이의 호기심과 상상력, 나아가 스토리를 창작해 보고 싶은 욕구를 다양한 형태로 유도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10)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인 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면부(140)의 커버(141)는 하단선을 제외하고 좌우 및 상단선이 절취된 “
Figure 112019073306126-pat00004
”자 형태의 절취선(14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형극 놀이기구(10)를 조립 시 상기 “
Figure 112019073306126-pat00005
”자 절취선(141a)을 따라 전면부(140)에서 커버(141)를 떼어낸 후 후면부(110)쪽으로 제5,6,7 접힘선(141b, 141c, 141d)을 말아 접음으로써 스테이지(142)가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커버(141)는 접혀진 상태에서 스테이지(142)가 전면 개방부(140a)의 하단선과 일치되는 높이의 평평한 스테이지(142)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스테이지(142)가 구성되면 상술한 사물 오브젝트(250)들 및 제3 종이 판지(300)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배경을 구성하는 사물 오브젝트(250) 및/또는 제3 종이 판지(300)의 하단이 상기 스테이지(142)를 누르게 되어 상기 스테이지(142)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져 인형극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지 앞서 기술된 일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장치의 세부 구성이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부가 및 삭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명시하는 바이다.
10 : 인형극 놀이기구 20 : 미완성 스토리북
100 : 제1 종이 판지 110 : 후면부
120 : 측면부 130 : 상면부
140 : 전면부 141 : 커버
142 : 스테이지 150 : 저면부
200 : 제2 종이 판지 210 : 캐릭터 오브젝트
220 : 무빙 스틱 230 : 핸들
240 : 스토퍼 250 : 사물 오브젝트
300 : 제3 종이 판지

Claims (13)

  1. 임의의 스토리를 어린이가 인형극 놀이를 통해 스스로 구성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에 있어서,
    평면 상에 그려진 전개도 이미지를 절취하여 접었을 때 텔레비전 형태의 테두리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 종이 판지;
    상기 텔레비전 형태의 테두리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테두리 프레임의 전면 개방부를 통해 임의의 스토리를 텔레비전 방송처럼 표출하기 위한 다수의 오브젝트들이 인쇄된 제2 종이 판지; 및
    상기 텔레비전 형태의 테두리 프레임 내부에 다수의 특정 오브젝트들 뒤쪽에 배치되며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배경 이미지가 인쇄된 제3 종이 판지를 포함하되,
    제 1 종이 판지의 전개도 이미지는,
    사각형의 일정 면적을 갖는 후면부; 상기 후면부의 좌우측 양단에 제1 접힘선을 기준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측면부; 상기 후면부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일단에 제2 접힘선을 기준으로 연장 형성되며 좌우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에 “
    Figure 112020086498168-pat00017
    ”자 형태의 절취선 및 접힘선을 갖는 커버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커버를 “
    Figure 112020086498168-pat00018
    ”자 형태로 절취한 후 상기 접힘선을 후면부쪽으로 말아 접었을 때 개방부가 형성되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상면부 반대쪽 일단에 연장 형성된 저면부를 포함하는,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스토리는 본론 또는 결말이 정해지지 않은 미완성의 스토리로서, 제1,2,3 종이 판지와 함께 상기 미완성 스토리 및 삽화가 인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완성 스토리북이 함께 제공되는,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종이 판지의 다수의 오브젝트들은,
    사람이나 동물 등의 캐릭터가 그려지거나 캐릭터의 스티커가 부착되는 원형의 캐릭터 오브젝트;
    상기 캐릭터 오브젝트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거나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막대 형상을 갖는 무빙 스틱;
    상기 무빙 스틱의 캐릭터 오브젝트 반대쪽 일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거나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핸들; 및
    식물이나 바위, 구름 등이 그려진 사물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오브젝트와 무빙 스틱은 상면부의 슬롯을 통해 끼워진 상태로 전면 개방부를 통해 전방으로 표출되는,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중단에는 제5,6,7 접힘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5,6,7 접힘선을 후면부쪽으로 말아 접은 경우 접혀진 상면이 개방부의 하단선과 일치되는 높이를 갖는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는 “ㄴ”자 형태로 꺾인 측면 슬롯이 더 형성되고, 상기 측면 슬롯을 통해 사물 오브젝트들이 측면 슬롯과 동일한 형태로 접혀진 후 삽입되는,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 오브젝트들과 제3 종이 판지는 스테이지 위에 안착되는,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스틱의 중단부에는 상면부의 슬롯에 끼워진 후 걸림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구비되는,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분리형으로, 가운데 부분에 무빙 스틱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지인,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일체형으로, 무빙 스틱의 일부가 “U”자 형태로 절개되고, 상기 절개된 부분을 무빙 스틱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벌린 후 무빙 스틱을 상면부의 슬롯에 끼워 걸치는,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무빙 스틱을 이중으로 구성하고 마주보는 면에 오시가공을 하여 두 면을 마름모형으로 접어서 스토퍼를 형성하도록 하는 접기방식의 일체형 스토퍼인,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완성 스토리는 일례로, “네가 원하는 색과 무늬는 뭐야?”처럼 미완성 스토리의 말미가 질문형으로 종결되는,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KR1020190086433A 2019-07-17 2019-07-17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KR102162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33A KR102162953B1 (ko) 2019-07-17 2019-07-17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33A KR102162953B1 (ko) 2019-07-17 2019-07-17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953B1 true KR102162953B1 (ko) 2020-10-13

Family

ID=7288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433A KR102162953B1 (ko) 2019-07-17 2019-07-17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9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7941A (ko) * 1998-05-19 1999-12-27 그렉 지에기엘레브스키 마찰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136Y1 (ko) * 2001-11-08 2002-01-31 주식회사 유유트레이딩 배경판이 구비된 종이접기용 놀이용구
KR20190066693A (ko) * 2017-12-06 2019-06-14 이웅현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136Y1 (ko) * 2001-11-08 2002-01-31 주식회사 유유트레이딩 배경판이 구비된 종이접기용 놀이용구
KR20190066693A (ko) * 2017-12-06 2019-06-14 이웅현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7941A (ko) * 1998-05-19 1999-12-27 그렉 지에기엘레브스키 마찰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953B1 (ko)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Bhroin " A Slice of Life":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Art, Play and the" Real" Life of the Young Child.
KR100879263B1 (ko) 조립식 교육·완구용 블록 세트
KR101258559B1 (ko) 유아용 이야기 교구 세트
Shafer Origami to Astonish and Amuse: Over 400 Original Models, Including Such" Classics" as the Chocolate-Covered Ant, the Transvestite Puppet, the Invisible Duck, and Many More!
Bronner Material folk culture of children
Irvine How to make super pop-ups
KR102105371B1 (ko)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KR20160055452A (ko) 입체 책
WO2021010523A1 (ko)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KR100722959B1 (ko) 케이크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인형극 연출방법
Yoshizawa Akira Yoshizawa, Japan's Greatest Origami Master: Featuring over 60 Models and 1000 Diagrams by the Master
KR200420471Y1 (ko) 케이크 상자
Boriss-Krimsky The creativity handbook: A visual arts guide for parents and teachers
KR101529815B1 (ko) 페이퍼 토이 북
Robinson The Origami Bible: A Practical Guide to the Art of Paper Folding
US1460700A (en) Combined picture book and puzzle
KR100782165B1 (ko) 쿠키상자
Harris A unique pedagogical project contextualised within a children's art exhibition
JP3258766B2 (ja) 絵本おもちゃ
CN212333218U (zh) 一种戏剧盒子
Azzità Origami Arts and Crafts
Miyazaki Play and art in a Japanese early childhood setting
JP2009000948A (ja) カードブック
KR200423613Y1 (ko) 쿠키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