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724A - 종이로 만든 플레이키트 - Google Patents

종이로 만든 플레이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724A
KR20220042724A KR1020200125914A KR20200125914A KR20220042724A KR 20220042724 A KR20220042724 A KR 20220042724A KR 1020200125914 A KR1020200125914 A KR 1020200125914A KR 20200125914 A KR20200125914 A KR 20200125914A KR 20220042724 A KR20220042724 A KR 20220042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
plate
slit
coupl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404B1 (ko
Inventor
엄효정
Original Assignee
(주)플레이31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레이31 filed Critical (주)플레이31
Priority to KR1020200125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404B1/ko
Priority to PCT/KR2021/013185 priority patent/WO2022065967A1/ko
Publication of KR2022004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로 만든 플레이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재질로 형성되며, 판면에 복수개의 결합슬릿(130,140,150,160,170)이 형성된 플레이판(100)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결합슬릿(130,140,150,160,170)에 꽂혀지는 슬릿결합리브(520)가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플레이부재(500)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판(100)과 상기 플레이부재(500)는 종이를 이용해 제조되며, 상기 결합슬릿(130,140,150,160,170)은 상기 슬릿결합리브(520)에 대응되는 직선형태, 상기 슬릿결합리브(520)를 직교하는 두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십자형태, 상기 슬릿결합리브(520)를 세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Y자 형태, 상기 슬릿결합리브(520)를 내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원형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종이로 만든 플레이키트{PLAY KIT MADE BY PAPER}
본 발명은 플레이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종이로 제작된 다양한 플레이부재를 플레이판에 끼워 놀이활동과 학습활동을 병행할 수 있는 플레이키트에 관한 것이다.
아이들이 자라면서 손가락 근육을 발달시키고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놀이기구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놀이기구들 중 조립하며 원하는 모양을 만드는 블럭종류와 역할놀이를 하며 상상력과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인형이 널리 애용된다.
그러나, 블럭이나 인형 등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므로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휴대 및 보관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플라스틱블럭들은 잠시 놀고 방치될 경우 다양한 색상이 뒤섞여 재활용이 어려우며, 매립되면 섞는데 500년 이상 소요되고 소각하더라도 탄소배출과 함께 미세플라스틱 및 공기오염이 발생된다.
이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블럭은 환경호르몬이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될 수 있어 유아가 가지고 놀기에 안전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블럭이나 인형은 정해진 형상만으로 놀이를 해야하므로 만들거나 행할 수 있는 놀이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등록특허 제10-1823775호 "부분 형상 결합 구조의 접이 방식의 종이 완구" 공개특허 제10-2006-0108337호 "유아용 놀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놀이판 세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이를 이용해 만든 다양한 형상의 플레이부재를 플레이판에 착탈하며 놀이할 수 있는 플레이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와 주제를 다양하게 확장하여 놀이에 활용할 수 있는 플레이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상상력에 따라 스스로 플레이부재를 만들어 놀이에 활용할 수 있는 플레이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자원을 업사이클하여 제조되는 플레이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로 만든 플레이키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레이키트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재질로 형성되며, 판면에 복수개의 결합슬릿(130,140,150,160,170)이 형성된 플레이판(100)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결합슬릿(130,140,150,160,170)에 꽂혀지는 슬릿결합리브(520)가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플레이부재(500)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판(100)과 상기 플레이부재(500)는 종이를 이용해 제조되며, 상기 결합슬릿(130,140,150,160,170)은 상기 슬릿결합리브(520)에 대응되는 직선형태, 상기 슬릿결합리브(520)를 직교하는 두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십자형태, 상기 슬릿결합리브(520)를 세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Y자 형태, 상기 슬릿결합리브(520)를 내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원형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판(100)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각 플레이판(100)의 외주연에는 복수개의 결합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판(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판(10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높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200)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홈(120)에 삽입되는 판결합돌기(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플레이판(10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다리(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다리(300)는 이웃하는 플레이판(100)의 다리결합홈(120)에 양측의 판삽입단(310,330)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플레이판(100)은 원판을 일정 각도로 분할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판(100a)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중심축(400)의 주변으로 원판형태로 결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부재(500)는, 캐릭터, 동물, 식물, 건축물, 추상물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플레이부재본체(510)와, 상기 플레이부재본체(510)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슬릿결합리브(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부재본체(510)와 관련있는 형상의 보조플레이부재(5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부재본체(510)의 판면에는 상기 보조플레이부재(540)가 결합되는 보조슬릿(53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부재본체(510)는 상기 플레이판(100)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부재본체(510)의 상면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펼쳐지며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절첩입체부재(5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키트는 종이로 만든 플레이판에 복수개의 플레이부재를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거나 분리시켜 놀이에 이용할 수 있다.
플레이키트는 종이로 만들어지므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며 다양한 장소에서 놀이에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플레이부재와 플레이판을 이용해 종래 블럭놀이기구와 인형을 이용한 인형놀이 등을 포함한 다양한 놀이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인이 희망하는 형태로 종이를 잘라 본인만의 플레이부재를 만들 수 있어 플레이할 수 있는 주제에 제한 없이 놀이활동에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레이키트는 폐소재를 업사이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제품기획단계에서 폐소재 업사이클 적용방식을 고려하여 결합식 도안을 개발한 후 종이와 폐자원을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친환경적인 종이로 제조되므로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키트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키트로 놀이활동을 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키트의 플레이판에 형성된 결합슬릿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키트의 플레이판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예시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키트으 플레이부재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키트(1)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키트(1)를 이용한 활동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키트(1)는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의 플레이판(100)과, 플레이판(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양한 형상의 플레이부재(500)를 포함한다.
플레이판(100)의 판면에는 복수개의 결합슬릿(130,140,150,160,170)이 형성되고, 플레이부재(500)의 하부에는 슬릿결합리브(520)가 돌출 형성된다. 사용자는 슬릿결합리브(520)를 플레이판(100)의 희망하는 위치의 결합슬릿(130,140,150,160,170)에 꽂아 플레이부재(500)를 플레이판(100)에 고정시키거나, 플레이부재(500)를 플레이판(100) 밖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플레이판(100) 위에 본인이 희망하는 다양한 플레이부재(500)를 결합시켜 놀이에 이용할 수 있다.
플레이판(100)과 플레이부재(500)들은 모두 종이로 형성되므로 가볍고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
여기서, 플레이판(100)과 플레이부재(500)는 종이에 폐자원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폐자원을 업사이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키트 한 세트의 무게는 20g인데, 그 중 부품 3개를 버려지는 폐자원으로 활용하면 제품 한팩당 6g의 산업폐자원을 절감할 수 있고, 1000개를 판매하면 6000g의 자원폐기를 감소하고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이부재(500)는 판매자가 제공하는 형태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희망하는 형상을 일반 종이 또는 마분지에 그린 후 오려 본인이 직접 제작하여 만들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판(100) 위에 사용자가 상상하는 다양한 주제에 맞는 플레이부재(500)를 개수나 형상에 제한없이 결합시켜 놀이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플레이부재(500)를 붙였다 분리시키며 블럭놀이로 활용할 수 있으며, 플레이부재(500)를 활용하여 인형놀이 및 역활놀이도 수행할 수도 있다.
플레이판(100)은 복수개의 플레이부재(500)를 선택적으로 붙였다 뗏다 할 수 있는 놀이 공간을 제공한다. 플레이판(100)은 일정면적을 갖는 판본체(110,110a)와, 판본체(110,110a)의 테두리영역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120)과, 판본체(110,110a)의 내측 판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슬릿(130,140,150,160,170)을 포함한다.
판본체(110,110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각형 형태 판본체(110a)는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판본체(110,110a)의 크기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레이키트(1)에는 다양한 크기의 판본체(110,110a)와, 서로 다른 형상의 판본체(110,110a)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플레이판(100)은 반복사용이 가능하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종이의 양면에 방수코팅을 하여 제조된다.
결합슬릿(130,140,150,160,170)은 판본체(110,110a)의 내부 판면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플레이부재(500)를 판본체(110,110a)에 결합시킬 수 있게 한다. 결합슬릿(130,140,150,160,17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부재(500)에 형성된 슬릿결합리브(5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직선결합슬릿(130)과, 십자 형태로 형성되는 십자결합슬릿(140)과, "Y"자 형태로 형성되는 Y자결합슬릿(150)과, 슬릿결합리브(520)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 형태로 형성되는 원형결합슬릿(160)과, 일정 길이를 갖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플레이부재(50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직선이동슬릿(170)을 포함한다.
직선결합슬릿(130)은 슬릿결합리브(5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릿결합리브(520)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직선결합슬릿(130)은 슬릿결합리브(520)에 대응되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슬릿결합리브(520)가 끼워지게 된다. 이 때, 직선결합슬릿(130)은 슬릿결합리브(520) 보다 길이와 두께가 일정 길이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슬릿결합리브(520)를 쉽게 끼우고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도 4는 다양한 결합슬릿(130,140,150,160,170)들에 슬릿결합리브(520)가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십자결합슬릿(140)에 플레이부재(500)의 슬릿결합리브(520)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결합슬릿(140)은 수평슬릿(141)과 수직슬릿(143)이 직교하게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플레이부재(500)를 수평슬릿(141)에 끼우거나 수직슬릿(143)에 선택적으로 끼울 수 있다.
사용자는 십자결합슬릿(140)을 이용해 플레이판(100)의 동일한 위치에 플레이부재(500)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두 가지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슬릿(141)과 수직슬릿(143)의 길이(ℓ)와 폭(d)은 슬릿결합리브(520)의 길이(ℓ1)와 폭(d1)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b)는 Y자결합슬릿(150)에 플레이부재(500)의 슬릿결합리브(520)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Y자결합슬릿(150)은 서로 다른 세 방향으로 결합로(151,153,15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서로 다른 세 방향 중 어느 하나의 결합로(151,153,155)에 선택적으로 플레이부재(500)의 슬릿결합리브(520)를 결합시켜 플레이부재(500)의 결합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의 (c)는 판본체(110,110a)에 형성된 원형결합슬릿(160)에 슬릿결합리브(52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원형결합슬릿(160)은 슬릿결합리브(520)의 폭에 대응되는 직경 또는 폭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원형결합슬릿(160)에 슬릿결합리브(52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플레이부재(5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원형결합슬릿(160)은 플레이부재(500)를 제자리에서 회전시켜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직선이동슬릿(1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본체(110a)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슬릿(130,140,150,160,170)들 사이에 일정 길이를 갖는 직선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직선이동슬릿(170)은 타 결합슬릿(130,140,150,160,170)들과 간섭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판본체(110a)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직선이동슬릿(170)은 내부에 플레이부재(500)의 슬릿결합리브(520)가 끼워진 상태로 플레이부재(500)가 전후로 직선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부재(500)가 자동차나 사람, 또는 동물일 경우 직선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직선이동슬릿(170)을 이용할 경우, 플레이부재(500)가 정적인 상태에서 벗어나 동적인 상태로 움직일 수 있어 놀이활동이 다양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플레이판(100)이 바닥에 위치될 경우 판본체(110,110a)에 플레이부재(500)를 결합시키기 어려울 수 있으며, 플레이부재(500)를 결합시키기 위해 아이들이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플레이판(100)의 하부에 높이조절부재(2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부재(200)는 플레이판(100) 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 함체 형태로 형성되거나, 절곡된 벽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00)의 상부에는 결합홈(120)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판결합돌기(210)가 돌출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판(10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켜 플레이부재(500)를 결합시켜 놀이를 진행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00)에는 높이에 따라 복수개의 접힘선(220)이 구비되어 놀이상황에 따라 접힘선(220)을 접어 높이조절부재(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플레이판(100)을 서로 결합시켜 놀이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이 때, 이웃하는 플레이판(100)은 연결다리(300)에 의해 연결하여 위치를 구속할 수 있다.
연결다리(3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종이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연결다리(300)는 양쪽의 다리접힘선(320)을 기준으로 양단의 판삽입단(310,330)이 이웃하는 한 쌍의 플레이판(100)의 결합홈(120)에 끼워진다.
여기서, 함께 결합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판(100)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배치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각 플레이판(100)의 하부에 결합된 높이조절부재(200)의 접힘선(220)을 접어 각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h1>h2>h3).
서로 다른 높이의 플레이판(100)을 연결할 때, 연결다리(300)는 그에 맞게 접혀지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판(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이 부채꼴 형태로 분할된 복수개의 판본체(110b,110b',110b")를 포함할 수 있다. 부채꼴 형태의 판본체(110b,110b',110b")의 테두리영역에는 결합홈(120)이 형성되고, 가운데 영역에는 중심축(400)에 결합되는 축삽입홈(180)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판본체(110b,110b',110b")는 축삽입홈(180)이 중심축(400)에 맞닿게 위치되고, 이웃한 판본체(110b,110b',110b")는 중심축(400)을 중심으로 서로 측면이 연결다리(300)에 의해 연결되어 원형태로 결합된다.
이 때, 각각의 판본체(110b,110b',110b")는 동일한 형상의 결합슬릿(130,140,150,160,170)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상의 결합슬릿(130,140,150,160,17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중심축(400)은 하부에 기립부재(410)가 결합되어 지면에 수직하게 기립된다. 사용자는 원형태로 결합된 복수개의 판본체(110b)를 중심축(400) 중심으로 회전시키며 플레이부재(500)를 착탈시키며 놀이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판(100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본체(110,110a)의 주변으로 배경판(190)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렇게 배경판(190)이 판본체(110,110a)의 양측 및 후방에 결합되어 플레이판(100)을 연극무대처럼 활용할 수 있다.
이 때, 배경판(190)에도 다양한 형상의 결합슬릿(130,140,150,160,17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다양한 플레이부재(500)를 배경판(190)에 결합시켜 다양한 배경을 꾸밀 수 있다.
플레이부재(500)는 플레이판(100)에 결합되어 놀이에 활용된다. 플레이부재(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 동물, 식물, 사물, 건축물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부재(500)는 형상을 나타내는 플레이부재본체(510)와, 플레이부재본체(510)의 하부에 일정 길이 연장되어 결합슬릿(130,140,150,160,170)에 꽂혀지는 슬릿결합리브(520)를 포함한다.
플레이부재(500)는 판매자가 만들어 판매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본인이 희망하는 형상을 종이를 오려 직접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플레이부재본체(510)는 자체 형상만을 나타내게 제작될 수도 있고, 도 8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플레이부재(540)가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결합식 플레이부재본체(510a,510b)와 보조플레이부재(540)는 도 8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관있는 사물의 형태로 구비된다. 즉,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식 플레이부재(510a)는 나무이고, 보조플레이부재(540)는 열매나 꽃, 줄기 등의 관계일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식 플레이부재(510b)는 테이블이고, 보조플레이부재(540)는 테이블에 적재될 수 있는 컵이나 음식물일 수 있다.
결합식 플레이부재본체(510a,510b)의 판면에는 보조슬릿(530)이 복수개 관통형성되고, 보조플레이부재(540)의 하부에는 보조슬릿(530)에 결합되는 보조결합리브(541)가 돌출형성된다.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되 바와 같이 결합식 플레이부재(500)를 플레이판(100)에 결합시키고, 더불어 결합식 플레이부재(500)에 보조플레이부재(540)를 끼워 놀이에 활용할 수 있다.
이렇게 보조플레이부재(540)를 결합시켜 플레이부재(500)를 더욱 화려하게 꾸밀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플레이부재(500)가 사람인 경우, 옷이나 모자, 가방과 같은 의상이나 악세사리를 보조플레이부재로 만들어 인형꾸미기와 같은 놀이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플레이부재(500)는 모두 평면형태로 구비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부재(500)가 입체적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플레이부재(50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550)과, 지지판(550)의 상면에 저럽되게 형성된 절첩입체부재(55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550)의 하부에는 슬릿결합리브(52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슬릿결합리브(5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폭을 갖게 형성될 수도 있고,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판(550)은 일정 면적을 갖는 수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절첩입체부재(551)는 절첩선(551a)을 기준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형성된다. 절첩입체부재(551)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550)에 접혀져 있거나,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펼쳐지는 경우 절첩입체부재(551)의 내부에는 내부공간(553)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내부공간(553)에 플레이부재(500)를 수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절첩입체부재(551)는 사용자가 놀이상황에서 건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때, 플레이부재(500)를 내부공간(553)에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판(550)에는 바닥슬릿(55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부재(500)와 플레이판(100)은 판매자가 만들어서 제공한 것 외에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폐종이를 이용해 활용할 수도 있다.
즉, 우유팩을 씻어서 건조한 후 잘라서 플레이부재(500)와 플레이판(100)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휴지심 등도 플레이판 또는 높이조절부재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키트(1)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키트(1)는 복수개의 플레이판(100)과, 복수개의 플레이부재(500), 높이조절부재(200)와, 연결다리(30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플레이판(100)의 하부에 높이조절부재(200)를 배치하여 플레이판(100)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본인이 희망하는 플레이부재(500)를 플레이판(100)의 결합슬릿(130,140,150,160,170)에 끼워 놀이에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플레이판(100)에 다양한 플레이부재(500)를 결합시켜 크리스마스, 여름방학 등과 같은 주제에 맞는 그룹형태, 또는 동화나 이야기에 맞는 스토리 형태, 랜덤한 형태 등 다양하게 놀이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
일례로, 마을을 주제로 한 마을블럭을 플레이할 경우, 아이의 상상력에 따라 마을과 관련된 플레이부재(500)를 다양하게 배치하는 과정을 통해 공간 구성 능력을 키우고 보다 입체적인 조형감각을 키울 수 있다.
평면형상의 플레이부재(500는 도화지와 같은 상태로 아이의 상상에 따라 무한하게 변화할 수 있다. 스스로 책을 칠하고 꾸며 아이가 상상하는 세상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 수 있다. 주어진 것에서 더 큰 가능성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창의성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접을 수 있는 플레이부재(500)를 배치하여 아이가 만드는 놀이공간에 더욱 풍성한 이야기를 심을 수 있다. 마을 위에 평면플레이부재와 접이식 플레이부재를 배치하고 언제든지 자유롭게 이동하며, 다양한 각도와 방향을 익히며 유연하게 사고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놀이 과정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식 플레이부재본체(510a,510b)에 복수개의 보조슬릿(530)을 결합시켜 플레이부재(500)를 장식하거나 놀이를 좀 더 디테일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다양한 결합슬릿(130,140,150,160,170)을 이용해 플레이부재(500)를 결합시키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직선이동슬릿(170)을 이용해 플레이부재(500)를 플레이판(100)에 대해 직선이동시킬 수도 있다.
여러명의 사용자가 함께 놀이를 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플레이판(100)을 연결하여 놀이를 할 수도 있다. 이 때, 각 플레이판(100)은 서로 다른 높이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형태 판본체(110b)를 원형태로 연결하여 회전시키며 놀이에 활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판(190)이 형성된 플레이판(100)과 플레이부재(500)를 이용해 역할극 또는 연극 활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놀이과정에서 사용자, 즉 유아들은 종이로 만든 플레이판(100)과 플레이부재(500)를 만지고 끼우고 오려보며 시각, 청각, 촉각 자극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역할극을 하거나 끼우는 동작을 하면서 유아들의 창의력, 사고력 및 응용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키트는 종이로 만든 플레이판에 복수개의 플레이부재를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거나 분리시켜 놀이에 이용할 수 있다.
플레이키트는 종이로 만들어지므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며 다양한 장소에서 놀이에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플레이부재와 플레이판을 이용해 종래 블럭놀이기구와 인형을 이용한 인형놀이 등을 포함한 다양한 놀이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인이 희망하는 형태로 종이를 잘라 본인만의 플레이부재를 만들 수 있어 플레이할 수 있는 주제에 제한 없이 놀이활동에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플레이키트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플레이키트 100, 100b : 플레이판
110, 110a, 110b : 판본체 120 : 결합홈
130 : 직선결합슬릿 140 : 십자결합슬릿
141 : 수평슬릿 143 : 수직슬릿
150 : Y자결합슬릿 151,153,155: 결합로
160 : 원형결합슬릿 170 : 직선이동슬릿
180 : 축삽입홈 190 : 배경판
200 : 높이조절부재 210 : 판결합돌기
220 : 접힘선 300 : 연결다리
310,330 : 판삽입단 320 : 다리접힘선
400 : 중심축 410 : 기립부재
500 : 플레이부재 510 : 플레이부재본체
510a, 510b : 결합식 플레이부재본체 520 : 슬릿결합리브
530 : 보조슬릿 540 : 보조플레이부재
541 : 보조결합리브 550 : 지지판
551 : 절첩입체부재 551a : 절첩선
553 : 내부공간 555 : 바닥슬릿

Claims (7)

  1.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재질로 형성되며, 판면에 복수개의 결합슬릿(130,140,150,160,170)이 형성된 플레이판(100)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결합슬릿(130,140,150,160,170)에 꽂혀지는 슬릿결합리브(520)가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플레이부재(500)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판(100)과 상기 플레이부재(500)는 종이를 이용해 제조되며,
    상기 결합슬릿(130,140,150,160,170)은 상기 슬릿결합리브(520)에 대응되는 직선형태, 상기 슬릿결합리브(520)를 직교하는 두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십자형태, 상기 슬릿결합리브(520)를 세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Y자 형태, 상기 슬릿결합리브(520)를 내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원형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판(100)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각 플레이판(100)의 외주연에는 복수개의 결합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판(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판(10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높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200)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홈(120)에 삽입되는 판결합돌기(2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플레이판(10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다리(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다리(300)는 이웃하는 플레이판(100)의 다리결합홈(120)에 양측의 판삽입단(310,330)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플레이판(100)은 원판을 일정 각도로 분할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판(100)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중심축(400)의 주변으로 원판형태로 결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키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부재(500)는,
    캐릭터, 동물, 식물, 건축물, 추상물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플레이부재본체(510)와, 상기 플레이부재본체(510)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슬릿결합리브(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부재본체(510)와 관련있는 형상의 보조플레이부재(5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부재본체(510)의 판면에는 상기 보조플레이부재(540)가 결합되는 보조슬릿(5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키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부재본체(510)는 상기 플레이판(100)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부재본체(510)의 상면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펼쳐지며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절첩입체부재(55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키트.
KR1020200125914A 2020-09-28 2020-09-28 종이로 만든 플레이키트 KR102537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914A KR102537404B1 (ko) 2020-09-28 2020-09-28 종이로 만든 플레이키트
PCT/KR2021/013185 WO2022065967A1 (ko) 2020-09-28 2021-09-28 종이로 만든 플레이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914A KR102537404B1 (ko) 2020-09-28 2020-09-28 종이로 만든 플레이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724A true KR20220042724A (ko) 2022-04-05
KR102537404B1 KR102537404B1 (ko) 2023-06-01

Family

ID=8084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914A KR102537404B1 (ko) 2020-09-28 2020-09-28 종이로 만든 플레이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7404B1 (ko)
WO (1) WO20220659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9628B1 (ja) 2022-09-28 2023-11-14 曹仲標 創意的組み立て構造物
EP4344898A1 (en) * 2022-09-28 2024-04-03 Chung-Piao Tsao Creative assembly model structur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4080A (ja) * 1997-05-27 1998-12-08 Isotsupu:Kk 立体物素材
KR20060108337A (ko) 2005-04-12 2006-10-17 이원구 유아용 놀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놀이판 세트
CN104971506A (zh) * 2015-07-20 2015-10-14 李永行 可组装旋转玩具
KR101823775B1 (ko) 2016-08-10 2018-01-31 이승석 부분 형상 결합 구조의 접이 방식의 종이 완구
WO2018228649A1 (en) * 2017-06-12 2018-12-20 Ole Vestergaard Poulsen Self-supporting weaving-module building system
KR20190066693A (ko) * 2017-12-06 2019-06-14 이웅현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1183B2 (en) * 2003-05-07 2012-07-17 Matos Jose R Universal disc-shaped connector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4080A (ja) * 1997-05-27 1998-12-08 Isotsupu:Kk 立体物素材
KR20060108337A (ko) 2005-04-12 2006-10-17 이원구 유아용 놀이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놀이판 세트
CN104971506A (zh) * 2015-07-20 2015-10-14 李永行 可组装旋转玩具
KR101823775B1 (ko) 2016-08-10 2018-01-31 이승석 부분 형상 결합 구조의 접이 방식의 종이 완구
WO2018228649A1 (en) * 2017-06-12 2018-12-20 Ole Vestergaard Poulsen Self-supporting weaving-module building system
KR20190066693A (ko) * 2017-12-06 2019-06-14 이웅현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404B1 (ko) 2023-06-01
WO2022065967A1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49803A (en) Snap-fastener toy blocks
ES2843838T3 (es) Juguete de construcción robusto y versátil
KR102537404B1 (ko) 종이로 만든 플레이키트
US20130217296A1 (en) Modular toy system
US3789522A (en) Educational toy device
US3902270A (en) First and second toy modules, each mateable with similar modules and with each other
US5735520A (en) Fold-through picture puzzle
US20060178080A1 (en) Historic wooden adventure system and figures
KR100879263B1 (ko) 조립식 교육·완구용 블록 세트
Szekely Playground innovations and art teaching
US20170144081A1 (en) Themed building toy
GB2176125A (en) Toys
US20030111374A1 (en) Combined mixed media gift wrapping and decorative figure
KR102162953B1 (ko)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KR20200132071A (ko) 사물 표현이 가능한 유아 교육용 블록 교구
CN105709438A (zh) 一种手工益智组合玩具
CN205627107U (zh) 一种手工益智组合玩具
KR200271892Y1 (ko) 찍찍이가 모든 면에 붙어있는 블록완구
KR200218939Y1 (ko) 십교놀이 세트
KR200496173Y1 (ko) 입체 블록 형성용 놀이완구
Szekely Testing the world through play and art
US20220274033A1 (en) Interactive toys having standardized pieces and complying with educational methods, safety requirements and children's toy blocks
KR100561445B1 (ko) 도형 스케치북
Maekawa Art & Science of Geometric Origami: Create Spectacular Paper Polyhedra, Waves, Spirals, Fractals and More!(More than 60 Models!)
RU8265U1 (ru) Сборная игрушка в.ф.канева, имеющая вид куклы, птицы или животног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