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243B1 -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 Google Patents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243B1
KR101283243B1 KR1020110107341A KR20110107341A KR101283243B1 KR 101283243 B1 KR101283243 B1 KR 101283243B1 KR 1020110107341 A KR1020110107341 A KR 1020110107341A KR 20110107341 A KR20110107341 A KR 20110107341A KR 101283243 B1 KR101283243 B1 KR 101283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arm
spherical
tension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3309A (ko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이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진 filed Critical 이상진
Priority to KR1020110107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24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3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박 부재와 하박 부재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구 형상의 팔꿈치 구관절과, 상박 부재 및 하박 부재 각각의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수용홈과, 상박 부재의 수용홈과 하박 부재의 수용홈이 맞닿아 형성하는 홀의 형상에 대응되게 팔꿈치 구관절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와, 상박 부재와 몸체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구 형상의 어깨 구관절을 포함하는 구조로부터 미관을 해치지 않고 인체의 움직임에 최대한 가깝게 자연스러운 동작의 구현이 가능하며, 크고 작은 다양한 동작을 더욱 세밀하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ARM JOINT FOR BALL JOINT DOLL}
본 발명은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스러운 팔 구부림 자세의 구현이 가능하고 크고 정확하며 더욱 세밀한 동작의 구현 또한 가능하도록 하는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에 관한 것이다.
구체관절 인형은 관절이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어 다양한 동작을 표현할 수 있는 인간 또는 동물의 형상을 표현한 모형장난감을 말한다.
최근에는 종류에 따라 손가락 마디까지 구체관절로 연결되는 정교한 것도 제작되고 있으며, 메이크업, 의상, 안구, 가발 등 다양한 관련 분야에서 전문적인 기술을 지닌 기술자의 수도 증가할 뿐 아니라, 구체관절인형에 대한 관심이 단순히 수집하고 놀이를 위한 개념으로부터 탈피하여 현재는 아이 내지 애완용 동물같은 존재로 취급하는 매니아층이 대거 형성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구체관절 인형과 관련된 다수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며, 주로 인체의 움직임에 가장 가까운 자연스런 동작의 구현을 위한 관절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부분은 도 11과 같이 상박 부재(1)와 하박 부재(2) 각각에 구형 관절(1', 2')이 연장된 구조로, 도 12와 같이 옷(5)을 입혀서 상, 하박 부재(1, 2)를 절첩시키면 비교적 자연스러운 모습을 구현할 수는 있으나, 상박 부재(1)에 대한 하박 부재(2)의 가동 범위가 제한적인 관계로 크고 작은 다양한 동작의 세밀한 구현에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부분은 도 13과 같이 상박 부재(10)와 하박 부재(20) 사이에 두 개의 구를 연접시킨 형상의 관절(30, 일명 '바나나 관절')을 이용하여 연결한 구조로, 도 11 및 도 12에 비하여 상박 부재(10)에 대한 하박 부재(20)의 가동 범위를 보다 크게 하여 동작 구현의 다양성을 도모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나나 관절의 경우는 옷(50)을 입혀서 상, 하박 부재(10, 20)를 절첩시킬 경우 도 14와 같이 외관상 부자연스러운 문제가 있으므로, 까다로운 수요자의 요구에는 부응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인체의 움직임에 최대한 가깝게 자연스런 동작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크고 작은 다양한 동작을 세밀하면서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
등록실용 제20-0187072호(2000년04월14일) 공개특허 제10-2005-0047059호(2005년05월19일) 공개특허 제10-2006-0118865호(2006년11월24일) 등록특허 제10-0884653호(2009년02월12일) 등록실용 제20-0438421호(2008년02월04일) 등록실용 제20-0438669호(2008년02월20일) 등록특허 제10-0890263호(2009년03월17일) 등록특허 제10-0992530호(2010년11월01일) 일본공개특허 특개2005-52393호(2005년03월03일) 일본공개특허 특개2006-158542호(2006년06월22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미관을 해치지 않고 인체의 움직임에 최대한 가깝게 자연스러운 동작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크고 작은 다양한 동작을 더욱 세밀하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에 대하여 상박(上膊) 부재와 하박(下膊) 부재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에 있어서, 상박 부재와 하박 부재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구 형상의 팔꿈치 구관절과, 상박 부재 및 하박 부재 각각의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수용홈과, 상박 부재의 수용홈과 하박 부재의 수용홈이 맞닿아 형성하는 홀의 형상에 대응되게 팔꿈치 구관절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와, 상박 부재와 몸체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구 형상의 어깨 구관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상, 하박 부재의 수용홈이 형성하는 홀의 형상에 대응되는 돌기를 구비한 팔꿈치 구관절을 포함하는 구조로부터 미관을 해치지 않고 인체의 움직임에 최대한 가깝게 자연스러운 동작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몸체와 상박 부재 사이에 구 형상의 어깨 구관절이 배치되고, 상박 부재와 하박 부재 사이에 팔꿈치 구관절이 배치되는 구조로부터 기존의 구체관절 인형에 비하여 더욱 큰 가동 범위 내에서 크고 작은 다양한 동작을 더욱 세밀하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C 시점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중 각 구성부의 연결 부위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8은 도 1의 B-B' 단면 개념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의 사용 상태도
도 11 내지 도 14는 종래의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이하 미도시)에 대하여 상박(上膊) 부재(500)와 하박(下膊) 부재(600)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에 적용되는 것으로, 팔꿈치 구관절(100)과 수용홈(200, 200')과 돌기(300) 및 어깨 구관절(4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팔꿈치 구관절(100)은 상박 부재(500)와 하박 부재(600)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구 형상의 부재이다.
그리고, 수용홈(200, 200')은 상박 부재(500) 및 하박 부재(600) 각각의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 하박(500, 600) 부재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일직선 상에 정렬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후술할 돌기(300)와 접촉하게 된다.
돌기(300)는 상박 부재(500)의 수용홈(200)과 하박 부재(600)의 수용홈(200')이 맞닿아 형성하는 홀(300', 도 4 참고)의 형상에 대응되게 팔꿈치 구관절(100)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 후술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외관상 자연스러운 굽힘 동작의 구현을 위하여 마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어깨 구관절(400)은 상박 부재(500)와 몸체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구 형상의 부재로 몸체에 대하여 상박 부재(500)를 큰 가동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면서 크고 작은 다양한 동작을 세밀하고 정확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상박 부재(500)와 하박 부재(600)는 수용홈(200, 200')이 각각 형성된 가장자리의 반대측 가장자리가 상대적으로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함몰되도록 형성하여(도 3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화살표 방향 참조) 기존의 구체관절 인형에 비하여 더욱 큰 가동 범위로 회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사람이 상박에 대하여 하박을 최대한 붙이도록 팔을 구부리는 동작에 상응하는 자세의 구현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C 시점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중 각 구성부의 연결 부위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1의 B-B' 단면 개념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의 사용 상태도이다.
우선, 팔꿈치 구관절(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박 부재(500)와 하박 부재(600) 상호 간을 연결하면서 상박 부재(500)에 대하여 하박 부재(600)가 절첩 회동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하면 일측에 돌기(300)가 형성된 중공의 제1 구 본체(110)와, 돌기(300)의 돌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 구 본체(110)를 연통홀(120, 120')이 관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박 부재(500)에 대하여 하박 부재(600)가 절첩되는 방향을 따라 연통홀(120, 120')의 양측으로 위치 확인홈(130, 130')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확인홈(130, 130')은 상박 부재(500)에 대하여 하박 부재(600)가 절첩되는 회동 동작을 실시함에 있어서 정확한 절첩 회동 방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어깨 구관절(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와 상박 부재(500)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하면 중공의 제2 구 본체(410)에 상박 부재(500)와 연통되게 상박 연통홀(420)이 관통되고, 몸체와 연통되게 제2 구본체(410)에 몸체 연통홀(430)이 관통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박 연통홀(420)의 직경(d)은 어깨 구관절(400)에 대하여 상박 부재(500)의 가동 범위를 대폭 허용하기 위하여 몸체 연통홀(430)의 직경(d')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박 부재(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801)을 형성하는 손 부재(800)를 더 구비하고, 이러한 손 부재(800)를 하박 부재(600)와 구 형상의 손목 관절(900)로써 상호 연결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손목 관절(900)은 중공의 제3 구 본체(910)를 관통하여 하박 부재(600)와 손 부재(800)의 내부 공간이 상호 연통되게 손 연통홀(920, 920')이 형성되며, 손 연통홀(920, 920')은 후술할 텐션 부재(700) 등으로 연결되어 회동 동작을 허용할 수 있도록 제3 구 본체(9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ℓ, 도 8 참조)상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깨 구관절(400)은 도 5와 같이 제2 구 본체(410)의 내면에 양단부가 연결되는 제1 걸이봉(440)을 마련하여 제1 걸이봉(440)에 제1 걸림후크(450)를 고정시키고, 제1 걸림후크(450)로부터 상박 부재(500)를 관통하면서 탄성 변형을 허용하며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부재(700)를 연결시키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팔꿈치 구관절(100)은 도 6과 같이 연통홀(120, 120')을 통하여 양단 관통인 상박 부재(500)와 하박 부재(600)를 상호 연결하며 탄성 변형을 허용하면서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부재(700)를 배치시키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손목 관절(900)은 도 7과 같이 손 부재(800)의 내부 공간(801)에 양단부가 연결되는 제2 걸이봉(930)을 마련하여 제2 걸이봉(930)에 제2 걸림후크(940)의 일단부를 고정시키고, 제2 걸림후크(940)의 타단부는 제3 구 본체(910)에 내장되게 하며, 제2 걸림후크(940)의 타단부로부터 하박 부재(600)를 관통하면서 탄성 변형을 허용하며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부재(700)를 연결시키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텐션 부재(700)는 도 8과 같이 어깨 구관절(400)과 상박 부재(500)와 팔꿈치 구관절(100) 및 하박 부재(600)를 몸체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시켜 탄성 변형을 허용하면서 텐션을 유지하게 되며, 도 9와 같은 회동 동작을 구현함에 있어서도 정확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텐션 부재(700)는 또한 하박 부재(600)로부터 손목 구관절(900)을 거쳐 손 부재(800)까지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도면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을 이용하면 상박 부재(500)에 대한 하박 부재(600)의 회동 동작, 즉 사람이 상박에 하박을 최대한 붙이는 동작에 상응하는 자세를 도 10과 같이 옷(C)을 입힌 상태에서 구현하더라도 팔꿈치 구관절(100)의 제1 구 본체(110)로부터 돌출된 돌기(300)가 외관상 어색하고 부자연스런 모습을 커버함으로써 인체에 최대한 가까운 모습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미관을 해치지 않고 인체의 움직임에 최대한 가깝게 자연스러운 동작의 구현이 가능하며, 크고 작은 다양한 동작을 더욱 세밀하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을 하체와 연결되는 허벅지와 무릎 관절과 종아리와 발목 관절과 발로 이어지는 다리 관절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절첩하는 회동 동작을 수행하는 다양한 종류의 동물과 곤충 또는 로봇 등 기타 캐릭터의 관절부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팔꿈치 구관절 200, 200'...수용홈
300...돌기 400...어깨 구관절
500...상박 부재 600...하박 부재

Claims (10)

  1. 몸체에 대하여 상박(上膊) 부재와 하박(下膊) 부재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에 있어서,
    상기 상박 부재와 상기 하박 부재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구 형상의 팔꿈치 구관절;
    상기 상박 부재 및 상기 하박 부재 각각의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수용홈;
    상기 상박 부재의 수용홈과 상기 하박 부재의 수용홈이 맞닿아 형성하는 홀의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팔꿈치 구관절로부터 돌출되는 돌기; 및
    상기 상박 부재와 몸체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구 형상의 어깨 구관절;을 포함하며,
    상기 하박 부재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손 부재와,
    상기 하박 부재와 상기 손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구 형상의 손목 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손목 관절은,
    중공의 제3 구 본체와,
    상기 하박 부재와 상기 손 부재의 내부 공간이 상호 연통되게 상기 제3 구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손 연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손 연통홀은 상기 제3 구 본체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상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팔꿈치 구관절은,
    일측에 상기 돌기가 형성된 중공의 제1 구 본체와,
    상기 돌기의 돌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구 본체를 관통하는 연통홀과,
    상기 상박 부재에 대하여 상기 하박 부재가 절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연통홀의 양측으로 연장된 위치 확인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팔꿈치 구관절은,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양단 관통인 상기 상박 부재와 상기 하박 부재를 상호 연결하며 탄성 변형을 허용하면서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깨 구관절은,
    중공의 제2 구 본체와,
    상기 상박 부재와 연통되게 상기 제2 구본체에 관통된 상박 연통홀과,
    상기 몸체와 연통되게 상기 제2 구본체에 관통된 몸체 연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상박 연통홀의 직경은 상기 몸체 연통홀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어깨 구관절은,
    상기 제2 구 본체의 내면에 양단부가 연결되는 제1 걸이봉과,
    상기 제1 걸이봉에 고정되는 제1 걸림후크와,
    상기 제1 걸림후크로부터 상기 상박 부재를 관통하면서 탄성 변형을 허용하며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목 관절은,
    상기 손 부재의 내부 공간에 양단부가 연결되는 제2 걸이봉과,
    일단부는 상기 제2 걸이봉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3 구 본체에 내장되는 제2 걸림후크와,
    상기 제2 걸림후크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하박 부재를 관통하면서 탄성 변형을 허용하며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깨 구관절과 상기 상박 부재와 상기 팔꿈치 구관절 및 상기 하박 부재는 상기 몸체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면서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부재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박 부재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손 부재와,
    상기 하박 부재와 상기 손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구 형상의 손목 관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텐션 부재는 상기 하박 부재로부터 상기 손 부재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KR1020110107341A 2011-10-20 2011-10-20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KR101283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341A KR101283243B1 (ko) 2011-10-20 2011-10-20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341A KR101283243B1 (ko) 2011-10-20 2011-10-20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309A KR20130043309A (ko) 2013-04-30
KR101283243B1 true KR101283243B1 (ko) 2013-07-11

Family

ID=4844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341A KR101283243B1 (ko) 2011-10-20 2011-10-20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2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758U (ja) * 2000-11-16 2001-05-29 株式会社タカラ 人形の肘関節構造
KR20040065834A (ko) * 2003-01-16 2004-07-23 이민우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JP2006158542A (ja) * 2004-12-03 2006-06-22 Volks Inc 人形の脚部構造及び該脚部構造を備える人形
KR200438421Y1 (ko) * 2006-11-23 2008-02-14 조일형 구체 관절 인형용 관절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체 관절인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758U (ja) * 2000-11-16 2001-05-29 株式会社タカラ 人形の肘関節構造
KR20040065834A (ko) * 2003-01-16 2004-07-23 이민우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JP2006158542A (ja) * 2004-12-03 2006-06-22 Volks Inc 人形の脚部構造及び該脚部構造を備える人形
KR200438421Y1 (ko) * 2006-11-23 2008-02-14 조일형 구체 관절 인형용 관절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체 관절인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309A (ko) 201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7043B2 (ja) アニメーション人形のための延長リグ
JP5476441B1 (ja) 人形体の手首の関節構造、人形体の足首の関節構造、および人形体
JP2013540531A (ja) 玩具組立セット
JP3185443U (ja) 人形玩具の関節機構及び人形玩具
JP2011234986A (ja) 人形体の関節構造
EP1417010B1 (en) Flexible figure
JP2016077363A (ja)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KR20060035587A (ko) 종이제 인형
US20160206965A1 (en) Toy Figure with Articulating Limbs and Body
KR101283243B1 (ko)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CN114307178B (zh) 人形体和转动机构
JP2022176346A (ja) 人形体の手首の関節構造、人形体の足首の関節構造、および人形体
JP6818824B2 (ja) 人形体の足首の関節構造および人形体
CN208927581U (zh) 关节灵活的玩具娃娃
JP2003505220A (ja) 実物のような捩れミドリフ部を有する人形
KR101132806B1 (ko) 구체 관절 인형
KR200492418Y1 (ko)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
JP6381621B2 (ja) 人形体の手および人形体
JP2015097601A (ja) 人形玩具の胴体上部構造及び人形玩具
JP6411429B2 (ja)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TWM469110U (zh) 玩偶骨架
KR100526971B1 (ko) 요철형상의 관절부재
JP2014239811A (ja) 人形の関節構造
JP2020151174A (ja) 玩具
KR200480996Y1 (ko) 구체관절인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