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418Y1 -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 - Google Patents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418Y1
KR200492418Y1 KR2020200001251U KR20200001251U KR200492418Y1 KR 200492418 Y1 KR200492418 Y1 KR 200492418Y1 KR 2020200001251 U KR2020200001251 U KR 2020200001251U KR 20200001251 U KR20200001251 U KR 20200001251U KR 200492418 Y1 KR200492418 Y1 KR 200492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keleton
hand
human body
skelet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788U (ko
Inventor
이용범
Original Assignee
이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범 filed Critical 이용범
Priority to KR2020200001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41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7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7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4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0Frames, stands, or wheels for dolls or toy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Prosthes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는, 인체의 움직임과 동일 또는 유사한 움직임을 가지는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체와 유사한 다섯개의 손가락으로 이루어지는 손가락부; 상기 손가락부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손뭉치부; 및 상기 손뭉치부에 형성되며 상기 인체모형인형의 팔 부위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HAND BONE STRUCTURE OF HUMAN FIGURE DOLL}
본 고안은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손의 움직임과 유사한 움직임이 가능한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 등의 형태와 유사하게 만들어진 인형은 몸통, 팔다리 및 머리 부분이 따로 제작된 후, 이들을 조립하는 후작업에 의해서 복제 인형으로 완성된다. 이러한 복제 인형은 사용자들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종래 인형은 인체의 골격구조와 유사한 골격구조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인체와 유사한 움직임을 가지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제작되는 인형의 경우 인체의 관절과 유사하게 제작하여 인체의 움직임과 유사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인형의 손가락의 경우에는 인체의 손과 같은 마디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손가락을 굽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정도는 인체의 손의 움직임과 유사한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손가락을 굽히는 것과 같은 간단한 동작만 가능할 뿐 손가락을 오므렸다 펴거나 주먹을 쥐는 것과 같이 실제 사람의 손과 같은 세밀한 움직임을 구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이에 사용자의 요구를 완벽하게 만족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6-0001782호 (고안의 명칭: 사람의 손가락 특성을 모사하는 손가락 로봇, 공개일: 2016.05.25.)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인체의 손의 움직임과 최대한 유사한 움직임을 가질 수 있는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인체의 움직임과 유사한 움직임을 가지는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체와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제1 손가락, 제2 손가락, 제3 손가락, 제4 손가락 및 제5 손가락을 포함하는 손가락부; 상기 손가락부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손뭉치부; 및 상기 손뭉치부에 형성되며 상기 인체모형인형의 팔 부위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손가락 내지 상기 제5 손가락은 각각 상기 손뭉치부와 연결되어 손바닥 부위를 형성하는 제1 골격부; 상기 제1 골격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골격부; 상기 제2 골격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골격부; 및 상기 제3 골격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골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손가락은 상기 손뭉치부와 연결되어 손바닥 부위를 형성하는 제1 골격부; 상기 제1 골격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골격부; 및 상기 제2 골격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골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손가락의 제1 골격부는 상기 손뭉치부와 연결되는 일단부가 절곡 형성되되, 상기 제1 손가락이 상기 손뭉치부의 내측 또는 손바닥을 향해서 접히거나 오므려지도록 상기 제1 손가락의 상기 제1 골격부의 상기 일단부는 절곡 형성되고 절곡된 상기 일단부가 상기 손뭉치부와 볼 조인트 형태의 관절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손가락, 상기 제4 손가락 및 상기 제5 손가락 각각의 상기 제1 골격부는 상기 손뭉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손가락 및 상기 제3 손가락 각각의 상기 제1 골격부는 관절 없이 상기 손뭉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손뭉치부에 대해 회동하지 않는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는 인체의 손골격구조와 매우 유사한 관절부를 가지기 때문에 인체의 손의 실제 움직임 특성과 유사한 형태로 움직일 수 있다. 더욱이,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는 다섯개의 손가락이 결합되는 손뭉치부와 첫번째 손가락, 네번째 손가락 및 다섯번째 손가락이 볼 조인트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손가락을 오므리거나 주먹을 쥐는 것과 같은 세밀한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는 손뭉치부에 결속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손골격구조에 피부를 형성할 때 손골격구조와 피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의 손가락부의 관절부의 일부가 접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인체모형인형의 손이 주먹을 쥘 때의 손골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100, 이하 '손골격구조'라 함)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의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의 손가락부의 관절부의 일부가 접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인체모형인형의 손이 주먹을 쥘 때의 손골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골격구조(100)는 다섯개의 손가락으로 이루어지는 손가락부(120), 손가락부(120)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손뭉치부(110) 및 손뭉치부(110)에 형성되며 인체모형인형의 팔 부위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30)는 손목 관절부(미도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손가락부(120)는 사람의 인체와 동일하게 다섯개의 손가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가락부(120)는 제1 손가락(122), 제2 손가락(123), 제3 손가락(124), 제4 손가락(125) 및 제5 손가락(12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손가락(122)은 인체의 엄지 손가락을 의미하고, 제2 손가락(123)은 집게 손가락, 제3 손가락(124)은 가운데손가락, 제4 손가락(125)은 약지, 제5 손가락(126)은 새끼 손가락을 의미한다.
또한, 손가락부(120)는 손뭉치부(1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1 골격부(122a)(123a)(124a)(125a)(126a), 제1 골격부(122a)(123a)(124a)(125a)(126a)와 연결되는 제2 골격부(122b)(123b)(124b)(125b)(126b), 제2 골격부(122b)(123b)(124b)(125b)(126b)와 연결되는 제3 골격부(123c)(124c)(125c)(126c), 제3 골격부(123c)(124c)(125c)(126c)와 연결되는 제4 골격부(122d)(123d)(124d)(125d)(126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골격구조(100)는 인체의 손골격과 거의 비슷한 형태 또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제2 손가락(123), 제3 손가락(124), 제4 손가락(125) 및 제5 손가락(126) 각각은 제1 골격부(123a)(124a)(125a)(126a), 제2 골격부(123b)(124b)(125b)(126b), 제3 골격부(123c)(124c)(125c)(126c) 및 제4 골격부(122d)(123d)(124d)(125d)(126d)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엄지 손가락에 해당하는 제1 손가락(122)은 상술한 제3 골격부가 없이 제1 골격부(122a), 제2 골격부(122b) 및 제4 골격부(122d)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골격부(122a)(123a)(124a)(125a)(126a), 제2 골격부(122b)(123b)(124b)(125b)(126b), 제3 골격부(123c)(124c)(125c)(126c) 및 제4 골격부(122d)(123d)(124d)(125d)(126d)는 서로 이웃하는 골격부와 볼 조인트(ball-joint)의 형태의 관절(미도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골격부(122a)(123a)(124a)(125a)(126a), 제2 골격부(122b)(123b)(124b)(125b)(126b), 제3 골격부(123c)(124c)(125c)(126c) 및 제4 골격부(122d)(123d)(124d)(125d)(126d)가 서로 볼 조인트 형태의 관절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서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골격부(122a)(123a)(124a)(125a)(126a), 제2 골격부(122b)(123b)(124b)(125b)(126b), 제3 골격부(123c)(124c)(125c)(126c) 및 제4 골격부(122d)(123d)(124d)(125d)(126d)가 서로 이웃하는 골격부와 볼 조인트 형태의 관절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골격구조(100)는 인체의 손움직임과 매우 유사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손가락부(120)의 다섯 손가락들 중에서, 제2 손가락(123) 및 제3 손가락(124)을 제외하고 제1 손가락(122), 제4 손가락(125) 및 제5 손가락(126)의 각각의 제1 골격부(122a)(125a)(126a)는 손뭉치부(11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볼 조인트 형태의 관절로 손뭉치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손뭉치부(110)에는 3개의 결속부(112)가 형성되고, 각각의 결속부(112)에 제1 손가락(122), 제4 손가락(125) 및 제5 손가락(126)의 제1 골격부(122a)(125a)(126a)의 관절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골격구조(100)를 가지는 인체모형인형의 크기는 약 30cm 정도의 작은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인체모형인형의 손을 작고 세밀하게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작은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100)에 제2 손가락(123) 및 제3 손가락(124)를 손뭉치부(11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현하기에는 형태 상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제2 및 제3 손가락(123, 124)의 제1 골격부(123a,124a)는 관절 없이 손뭉치부(11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손가락(122)은 그 일단부(122c)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손가락(122)의 제1 골격부(122a)의 일단부(122c)는 절곡 형성되어 손뭉치부(11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손가락(122)의 제1 골격부(122a)의 일단부(122c)가 거의 90도로 절곡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손가락(122)이 손뭉치부(110)의 내측으로 접히거나 또는 오므려 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내지 제5 손가락(123,124,125,126)과 달리 제1 손가락(122)의 제1 골격부(122a)의 일단부(122c)가 절곡되고 이 절곡된 일단부(122c)가 손뭉치부(110)와 볼 조인트 형태의 관절로 연결됨으로써 제1 손가락(122)이 손뭉치부(110)의 손바닥을 향해서 오므려질 수 있다. 즉, 제1 손가락(122)이 펴진 상태에서 제1 손가락(122)이 손뭉치부(110)의 손바닥을 향해서 오므려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골격구조(100)는 제1 손가락(122), 제4 손가락(125) 및 제5 손가락(126)이 손뭉치부(110)에 대해 볼 조인트 형태의 관절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의 손가락부(120)를 구성하는 제1 골격부(122a)(123a)(124a)(125a)(126a), 제2 골격부(122b)(123b)(124b)(125b)(126b), 제3 골격부(123c)(124c)(125c)(126c) 및 제4 골격부(122d)(123d)(124d)(125d)(126d)가 서로 이웃하는 골격부와 볼 조인트 형태의 관절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인체의 손의 움직임과 동일하게 주먹을 쥐거나 손가락을 오므리는 것과 같은 움직임을 거의 흡사하게 구현할 수 있다.
손뭉치부(110)는 손가락부(120)가 연결되는 부재이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골격구조(100)가 인체의 손골격과 유사하게 구현되었지만, 손뭉치부(110)의 경우에는 인체에 없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서, 손뭉치부(110)는 인체의 손바닥 부분과 유사하게 형성되지만, 손뭉치부(110)와 인체의 손바닥은 전혀 다른 구성일 수 있다. 왜냐하면, 인체의 손골격의 경우, 각각의 손가락뼈가 바로 손목과 직결되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의 손뭉치부(110)와 같은 구성이 필요가 없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골격구조(100)에서 손뭉치부(110)는 다섯 손가락을 포함하는 손가락부(120)가 굽혀지거나 모아지는 것을 더욱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손뭉치부(110)와 제2 내지 제5 손가락(123,124,125,126)의 제1 골격부(123a,124a,125a,126a)는 손바닥 부분을 형성한다. 제2 내지 제5 손가락(123,124,125,126)의 제2 내지 제4 골격부는 손가락 부분을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점선으로 표시된 손가락 부분에는 제2 내지 제5 손가락(123,124,125,126)의 제2 내지 제4 골격부가 포함되고, 손가락 부분과 연결부(130) 사이의 손바닥 부분에는 손뭉치부(110)와 제2 내지 제5 손가락(123,124,125,126)의 제1 골격부(123a,124a,125a,126a)가 포함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손가락의 제1 골격부(122a)도 손바닥 부분에 포함된다.
손가락부(120)의 끝 즉, 손뭉치부(110)와 연결된 부분과 마주 보는 끝에서부터 손가락 마디를 제1 마디, 제2 마디 및 제3 마디라고 하면, 제2 내지 제4 손가락(123,124,125,126)의 제4 골격부(123d,124d,125d,126d)는 손가락의 제1 마디에 해당하고, 제3 골격부(123c,124c,125c,126c)는 손가락의 제2 마디에 해당하며, 제2 골격부(123b,124b,125b,126b)는 손가락의 제3 마디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1 손가락(122)은 제4 골격부(122d)가 손가락의 제1 마디에 해당하고 제2 골격부(122b)가 제2 마디에 해당한다. 제1 손가락(122)의 경우 2마디인 이유는 인체의 엄지손가락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다.
한편, 제1 손가락(122), 제2 손가락(123), 제3 손가락(124), 제4 손가락(125) 및 제5 손가락(126)의 회동 각도는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손가락(122), 제2 손가락(123), 제3 손가락(124), 제4 손가락(125) 및 제5 손가락(126)은 손등을 향해서는 회동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움직임 제한 역시 실제 인체의 손의 움직임과 동일한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손등 쪽 즉, 손뭉치부(110)에 제1 손가락이(122)이 연결된 쪽과 반대쪽을 향해서는 손가락부(120)가 회동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해서 각각의 관절에 스토퍼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수단(122e)(123e)(124e)(125e)(126e)에 의해 손가락부(120)의 회동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수단(122e)(123e)(124e)(125e)(126e)은 손가락부(120)를 구성하는 제1 골격부(122a)(123a)(124a)(125a)(126a), 제2 골격부(122b)(123b)(124b)(125b)(126b), 제3 골격부(123c)(124c)(125c)(126c)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스토퍼수단(122e)(123e)(124e)(125e)(126e)이 제2 골격부(122b)(123b)(124b)(125b)(126b)가 연결되는 제1 골격부(122a)(123a)(124a)(125a)(126a)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 부분에만 스토퍼수단이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즉, 스토퍼수단은 제2 골격부(122b)(123b)(124b)(125b)(126b)가 연결되는 제1 골격부(122a)(123a)(124a)(125a)(126a)의 타단부, 제3 골격부(123c)(124c)(125c)(126c)가 연결되는 제2 골격부(122b)(123b)(124b)(125b)(126b)의 타단부, 제4 골격부(123d)(124d)(125d)(126d)가 연결되는 제3 골격부(123c)(124c)(125c)(126c)의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수단(122e)(123e)(124e)(125e)(126e)은 제1 골격부(122a)(123a)(124a)(125a)(126a)의 타단부, 제2 골격부(122b)(123b)(124b)(125b)(126b)의 타단부 및 제3 골격부(123c)(124c)(125c)(126c)의 타단부 중 손등 쪽에 대응하는 상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2 골격부(122b)(123b)(124b)(125b)(126b), 제3 골격부(123c)(124c)(125c)(126c) 및 제4 골격부(122d)(123d)(124d)(125d)(126d)가 상측 즉, 손등 방향으로 어느 정도 회동되면, 제2 골격부(122b)(123b)(124b)(125b)(126b)의 일단부가 제1 골격부(122a)(123a)(124a)(125a)(126a)의 타단부에 형성된 스토퍼수단(122e)(123e)(124e)(125e)(126e)에 걸려서 상측 즉, 손등 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게 되고, 제3 골격부(123c)(124c)(125c)(126c)의 일단부가 제2 골격부(122b)(123b)(124b)(125b)(126b)의 타단부에 형성된 스토퍼수단(122e)(123e)(124e)(125e)(126e)에 걸려서 상측 즉, 손등 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게 되며, 제4 골격부(122d)(123d)(124d)(125d)(126d)의 일단부가 제3 골격부(123c)(124c)(125c)(126c)의 타단부에 형성된 스토퍼수단(122e)(123e)(124e)(125e)(126e)에 걸려서 상측 즉, 손등 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게 된다. 즉, 제1 골격부(122a)(123a)(124a)(125a)(126a), 제2 골격부(122b)(123b)(124b)(125b)(126b), 제3 골격부(123c)(124c)(125c)(126c)의 타단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수단(122e)(123e)(124e)(125e)(126e)에 의해 제2 골격부(122b)(123b)(124b)(125b)(126b), 제3 골격부(123c)(124c)(125c)(126c) 및 제4 골격부(122d)(123d)(124d)(125d)(126d)의 상측 방향으로의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제1 골격부(122a)(123a)(124a)(125a)(126a)는 손뭉치부(110)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의 회동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손가락(122)의 제1 골격부(122a), 제4 손가락(125)의 제1 골격부(125a), 제5 손가락(126)의 제1 골격부(126a)는 손뭉치부(110)의 손등 쪽에 돌출 형성된 결속부(112)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의 회동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참고로, 제2 손가락(123) 및 제3 손가락(124)의 제1 골격부(123a)(124a)는 손뭉치부(110)와 볼 조인트 형태의 관절을 통해 연결되지 않으므로 회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별도로 회동 각도를 제한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제1 손가락(122)의 제1 골격부(122a), 제4 손가락(125)의 제1 골격부(125a), 제5 손가락(126)의 제1 골격부(126a)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것은 손뭉치부(110)에 형성된 결속부(112) 일 수 있다.
결속부(112)는 제1 손가락(122), 제4 손가락(125) 및 제5 손가락(126)을 손뭉치부(110)에 대해 연결하는 것 뿐만 아니라 제1 손가락(122)의 제1 골격부(122a), 제4 손가락(125)의 제1 골격부(125a), 제5 손가락(126)의 제1 골격부(126a)가 상측 즉, 손등 방향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결속부(112)에 결합된 제1 손가락(122)의 제1 골격부(122a), 제4 손가락(125)의 제1 골격부(125a), 제5 손가락(126)의 제1 골격부(126a)가 상측 즉, 손등 방향으로 어느 정도 회동되면, 제1 손가락(122)의 제1 골격부(122a), 제4 손가락(125)의 제1 골격부(125a), 제5 손가락(126)의 제1 골격부(126a)의 일단부가 결속부(112)에 걸려서 더 이상 상측 즉, 손등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결속부(112)는 스토퍼수단과 마찬가지로 손등 쪽에 대응하는 상부가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손뭉치부(110)에는 분리방지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분리방지부(114)는 손뭉치부(110)에 구멍(hole)의 형태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방지부(1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골격구조(100)를 덮는 피부(102)가 형성될 때 손골격구조(100)로부터 피부(10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골격구조(10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고 손골격구조(100)를 덮도록 형성되는 피부(102)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손뭉치부(110)에 분리방지부(114)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손골격구조(100)에 피부(102)가 형성될 경우에 피부(102)가 손골격구조(1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손골격구조(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부(102)가 손골격구조(100)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분리되면, 제1 손가락(122)을 손뭉치부(110)의 손바닥을 향해서 오므리는 움직임을 할 때, 피부(102)가 골격에서 분리되어 바깥 쪽으로 부풀어 오를 수 있다. 손골격구조(100)에 대해서 인체의 손의 움직임과 유사한 움직임을 할 때 피부(102)도 인체의 손 피부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피부(102)가 손골격구조(100)와 밀착되지 않으면 실체 인체의 피부와 같은 상태가 되지 않는다.
여기서, 손뭉치부(110)에 분리방지부(114)가 형성된 상태로 손골격구조(100)에 피부(102)가 형성되면 분리방지부(114)을 통해 형성된 피부(102)가 통과되게 된다. 이에 따라, 분리방지부(114)에 의해 손골격구조(100)의 손등 쪽 및 손바닥 쪽이 서로 연결되어 손골격구조(100)에 형성된 피부(102)가 손골격구조(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방지부(114)는 손뭉치부(110)의 윗면(손등 쪽)과 아랫면(손바닥 쪽)을 관통하는 구멍의 형태를 가진다. 손골격구조(100)에 피부(102)를 형성하기 위해서, 먼저 손 모양을 가지는 형틀에 손골격구조(100)를 넣고 용융 상태의 실리콘을 형틀에 주입한 후 식히면 손골격구조(100)를 덮는 피부(10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용융 상태의 실리콘이 분리방지부(114)에도 주입되기 때문에 손등 쪽 피부와 손바닥 쪽 피부가 분리방지부(114)에서 서로 연결됨으로써, 피부(102)가 손골격구조(10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손가락부(120)가 연결된 손뭉치부(110)에는 연결부(130)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손가락부(120)가 연결된 손뭉치부(110)가 인체모형인형(미도시)의 팔 부위와 연결되는 손목 관절부이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결부(130)는 인체모형인형과 연결되어 인체모형인형에 대해 손골격구조(100)를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100)는 인체의 손골격구조와 유사한 관절부를 가지기 때문에 인체의 손의 실제 행동 특성과 유사한 형태로 움직일 수 있다. 더욱이,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는 다섯개의 손가락이 결합되는 손뭉치부와 첫번째 손가락, 네번째 손가락 및 다섯번째 손가락이 볼 조인트 형태의 관절로 연결되기 때문에 오므리거나 주먹을 쥐는 것과 같이 실제 인체의 움직임과 매우 유사한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
110: 손뭉치부
112: 결속부
114: 분리방지부
120: 손가락부
122: 제1 손가락
122a, 123a, 124a, 125a, 126a: 제1 골격부
122b, 123b, 124b,125b,126b: 제2 골격부
122c: 일단부
123c, 124c, 125c, 126c: 제3 골격부
122d, 123d, 124d, 125d, 126d: 제4 골격부
122e, 123e, 124e, 125e, 126e: 스토퍼수단
123: 제2 손가락
124: 제3 손가락
125: 제4 손가락
126: 제5 손가락
130: 연결부

Claims (1)

  1. 인체의 움직임과 유사한 움직임을 가지는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체와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제1 손가락, 제2 손가락, 제3 손가락, 제4 손가락 및 제5 손가락을 포함하는 손가락부;
    상기 손가락부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손뭉치부; 및
    상기 손뭉치부에 형성되며 상기 인체모형인형의 팔 부위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손가락 내지 상기 제5 손가락은 각각 상기 손뭉치부와 연결되어 손바닥 부위를 형성하는 제1 골격부; 상기 제1 골격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골격부; 상기 제2 골격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골격부; 및 상기 제3 골격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골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손가락은 상기 손뭉치부와 연결되어 손바닥 부위를 형성하는 제1 골격부; 상기 제1 골격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골격부; 및 상기 제2 골격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골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손가락의 제1 골격부는 상기 손뭉치부와 연결되는 일단부가 절곡 형성되되, 상기 제1 손가락이 상기 손뭉치부의 내측 또는 손바닥을 향해서 접히거나 오므려지도록 상기 제1 손가락의 상기 제1 골격부의 상기 일단부는 절곡 형성되고 절곡된 상기 일단부가 상기 손뭉치부와 볼 조인트 형태의 관절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손가락, 상기 제4 손가락 및 상기 제5 손가락 각각의 상기 제1 골격부는 상기 손뭉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손가락 및 상기 제3 손가락 각각의 상기 제1 골격부는 관절 없이 상기 손뭉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손뭉치부에 대해 회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
KR2020200001251U 2020-04-10 2020-04-10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 KR200492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251U KR200492418Y1 (ko) 2020-04-10 2020-04-10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251U KR200492418Y1 (ko) 2020-04-10 2020-04-10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340U Division KR20200000658U (ko) 2018-09-18 2018-09-18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788U KR20200000788U (ko) 2020-04-20
KR200492418Y1 true KR200492418Y1 (ko) 2020-10-08

Family

ID=7045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251U KR200492418Y1 (ko) 2020-04-10 2020-04-10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41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2664B2 (ja) 2008-12-03 2014-05-07 国立大学法人 奈良先端科学技術大学院大学 ロボットハンド
JP2017051841A (ja) 2016-12-22 2017-03-16 株式会社バンダイ 人形体の手および人形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752Y1 (ko) * 2003-04-29 2003-07-22 이인봉 복제 인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2664B2 (ja) 2008-12-03 2014-05-07 国立大学法人 奈良先端科学技術大学院大学 ロボットハンド
JP2017051841A (ja) 2016-12-22 2017-03-16 株式会社バンダイ 人形体の手および人形体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0752호(2003.7.22. 공고) 1부.
일진과학, SOMSO 손 골격 모형(움직이는 관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788U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819B1 (ko) 이음매없는 가죽으로 피복된 형상 모조품
US5257873A (en) Articulated doll joint
US6494763B1 (en) Life-like doll
JP5476441B1 (ja) 人形体の手首の関節構造、人形体の足首の関節構造、および人形体
JP5797244B2 (ja) 人形体の関節構造
KR200492418Y1 (ko)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
US20080194176A1 (en) Means of simulating natural movement and poses in posable figures
CN114432714A (zh) 玩具部件和人形玩具
CN114432711A (zh) 人形状玩具和关节构造
US4186517A (en) Doll with arm-actuated fingers
JP7157223B2 (ja) 人形体の手および人形体
KR20200000658U (ko) 인체모형인형의 손골격구조
CN114432712B (zh) 模型部件和关节构造
CN114307178B (zh) 人形体和转动机构
JP2006346261A (ja) シート製可動式模型
JP6818824B2 (ja) 人形体の足首の関節構造および人形体
JP6568629B2 (ja) 人形体の手および人形体
US20130102224A1 (en) Stuffed Hand Puppet Doll With External Finger Tip Holding Belt Or Strap
JP6381621B2 (ja) 人形体の手および人形体
CN208927581U (zh) 关节灵活的玩具娃娃
KR101283243B1 (ko) 구체관절 인형용 팔 관절
JP6999020B2 (ja) 人形体の手および人形体
KR101039646B1 (ko) 일체형 모형 인형 및 그 제조 방법
JP6069233B2 (ja) 人形体の手首の関節構造、人形体の足首の関節構造、および人形体
JP6955614B2 (ja) 人形体の手および人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