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971B1 - 요철형상의 관절부재 - Google Patents

요철형상의 관절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971B1
KR100526971B1 KR1020050038004A KR20050038004A KR100526971B1 KR 100526971 B1 KR100526971 B1 KR 100526971B1 KR 1020050038004 A KR1020050038004 A KR 1020050038004A KR 20050038004 A KR20050038004 A KR 20050038004A KR 100526971 B1 KR100526971 B1 KR 100526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bent
joint member
doll
doll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규
Original Assignee
최봉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규 filed Critical 최봉규
Priority to KR1020050038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인형의 관절구조를 개선한 관절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형완구의 머리, 몸체, 팔, 다리 등의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절곡가능한 부위에 설치되는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양측에 각각의 연결부재에 결합고정되는 원통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중앙부분에 형성된 요철형상의 절곡부와, 상기 고정부와 절곡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된 심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고정부보다 지름이 적은 원통형상의 절곡체와, 상기 절곡체 외둘레로 적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 링형상의 원판이 형성된 형태판으로 구성한 것이며, 상기 인형완구를 구성하는 각각의 연결부재와,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 일측 또는 양측에 관절설치홈들을 형성하고, 상기 관절설치홈들에 결합설치하여 각각의 연결부재를 연결형성하도록 관절부분들에 설치되는 관절부재들을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이용하여 유기적으로 연결구성함으로써, 인형완구의 다양한 포즈를 손쉽게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 및 조립이 편리한 요철형상의 관절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요철형상의 관절부재{A JOINT CONSTITUTION OF RUGGEDNESS-SHAPE}
본 발명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인형완구의 관절구조를 개선한 관절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형완구의 머리, 몸체, 팔, 다리 등의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절곡가능한 부위에 설치되는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양측에 각각의 연결부재에 결합고정되는 원통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중앙부분에 형성된 요철형상의 절곡부와, 상기 고정부와 절곡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된 심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고정부보다 지름이 적은 원통형상의 절곡체와, 상기 절곡체 외둘레로 적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 링형상의 원판이 형성된 형태판으로 구성한 것이며, 상기 인형완구를 구성하는 각각의 연결부재와,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 일측 또는 양측에 관절설치홈들을 형성하고, 상기 관절설치홈들에 결합설치하여 각각의 연결부재를 연결형성하도록 관절부분들에 설치되는 관절부재들을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이용하여 유기적으로 연결구성함으로써, 인형완구의 다양한 포즈를 손쉽게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 및 조립이 편리한 요철형상의 관절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방적으로 인형완구는 동물과 인체형상의 사람 및 로봇형상 등으로 제작되어 왔고, 이러한 인형완구의 경우 하나 이상의 관절이 형성되어 인형완구를 다양한 포즈로 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인형완구 중 대다수는 인체형상의 인형완구로 제작되어 다양한 의복을 입힐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포즈를 취하기 용이하도록 관절부위에 절곡이 가능한 관절부재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포즈를 취하는 인체형상의 인형완구를 제작하여 왔다.
이때, 상기 대다수의 인형완구의 관절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왔으나, 크게 고무줄의 탄성을 이용한 탄성관절부재나, 볼베어링으로 이용한 구체관절부재 및 힌지를 이용한 화전관절부재를 이용하여 인형완구의 관절을 회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포즈를 취하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은 관절부재는 부품의 갯수가 많아 제작 및 조립이 어렵거나 외부의 충격이나 사용자(어린이의 경우)의 부주의에 의해서 즉, 인형완구의 관절부재의 절곡되는 회전각도를 넘어서까지 힘을 가하여 인형완구의 관절부재가 파손이나 관절부재를 구성하는 연결구성의 결합부분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인형완구의 연결부재들을 관통하는 철사와 같은 재료로 형성된 심재를 이용하여 몸체에 팔, 다리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팔은 팔꿈치에서 구부러질 수 있게 형성되며, 다리는 무릎에서 구부러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관절부위의 구조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위해 연결부재인 몸체, 팔, 다리, 머리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그 내부를 관통하는 금속제 심재 (철사)를 매설하고 인형완구의 연결부재가 심재로 결합고정된 상태의 기초 뼈대가 구성되면 그 기초 뼈대를 인형완구의 형상에 맞는 성형틀에 넣어 인형완구의 외피부를 사출성형하였다.
특히, 이와 같은 발명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63-35277 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처럼, 팔부 또는 다리부를 합성수지재 외피층과, 이 외피층 내부에 연질수지층을 형성하고, 또 연질수지층 내부에 철사 등의 가요성 심재를 매설한것으로, 내부의 심재가 소성변형하기 때문에 탄성인형체는 인간과 동일하게 몸의 일부가 구부러지고 또 구부러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할 수 있음으로써, 표면은 유연하면서 구부린 상태가 유지되므로 인형완구가 보다 사실적이 된다.
그러나 상기 심재로 사용되는 철사와 같은 경우 '<' 모양으로 구부린 후에 반대 '<' 모양으로 다시 구부렸을 때, 그 성질에 의해 동일한 부분이 구부러지는 것이 아니라 상이한 부분이 구부러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한번 구부린 부분은 반대측으로 구부려도 교정되지 않고 구부러진 상태가 그대로 유지가 된다.
이처럼, 한쪽으로 구부렸을 때와 그 반대측으로 구부렸을 때 구부러지는 위치가 변하기 때문에 부자연스러운 것 외에, 관절부위가 변형하거나 그 길이가 짧아지기도 하는 문제점과 함께, 철사 등의 금속제 심재를 직접 구부리면 합성수지제의 심재와는 달리 'U' 자형이 아니라 'L' 자형 또는 'V' 자형과 같이 급각도로 구부러지므로 이 부분에만 응력이 집중되어 심재가 파손되어 끊어지는 문제점과 함께 탄성인형체의 내부에서 심재가 끊어지면 그 단부가 피부 부분을 뚫고 외부로 노출될 경우 사용자 특히 어린이가 상해를 입는 위험성이 있으며, 또한 관절 이외의 부분도 구부러지질 수 있어 인형완구의 포즈가 부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탄성인형체의 인서트 성형에서는 심재를 성형용 금형의 중심에 유지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그 이유는, 금형의 성형공간에 심재를 부유시킨 상태에서 고정할 필요가 있으나, 심재를 이렇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팔다리에 대응하는 심재의 끝 부분을 성형공간의 가장자리에 고정하기만 하는 것으로는 불충분하다. 동체부 내에 매설되는 심재도 부유시켜야 한다. 성형재료가 주입될 때의 주입압은 매우 높기 때문에, 심재를 확실하게 고정시켜 두지 않으면 성형재료 주입시에 심재가 성형재료의 유입압에 의해 움직이게 되어 성형공간의 중심에서 한쪽으로 쏠리거나 내벽에 닿거나 하기 쉽다. 따라서, 성형된 탄성인형체의 표면에 심재가 노출되거나, 심재가 인형 체의 중심에서 벗어나거나 하여 부자연스럽게 구부러지는 등의 결점이 있어, 제품의 수율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10-0466910호(면칭:탄성인형체 및 그 제조방법)가 발명되었고, 그 기술구성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인형체는 동체부 (10) 와 팔부 (20) 와 다리부 (30) 를 구비하며, 각 내부에 골격부재 (70) 를 매설하고 있다. 골격부재 (70) 는 관절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된 금속제의 제 1 심재 (80), 및 선단부 및 인접하는 관절간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된 경질합성수지제의 제 2 심재 (90) 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심 재 (80) 와 제 2 심재 (90) 는 연결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제 1 심재 (80) 는 합성수지 (60a) 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골격 부재 (70) 는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부부재 (60)에 의해 피복되어 구성됨으로서, 인형완구의 관절부분이 절곡되어 구부러져야 할 부위에서 구부러지고 구부러지면 안 되는 부위에서는 구부러지지 않는 자연스러운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으며 소형화할 수 있고, 구부러졌을 때 심재의 일부에 응력이 집중하는 일이 없어 안전하고 내구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사람의 형상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동작 및 포즈와 사람의 피부에 가까운 감촉을 얻을 수 있으며, 내부에 매설되는 심재 (골격부재) 를 인형체 각부의 중심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2중으로 심재를 구성하여 절곡되는 관절부분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여전히 절곡되는 절곡각이 클 경우 2중의 심재를 이용하더라도 제1심재의 일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될 수 있고, 인형완구를 일체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형완구의 절곡부위에 외피와 심재가 일채로 형성되어 있어 외피의 탄성력에 의해 관절부위가 절곡된 형태로 유지지 되지 못하고 그 펴지면서 인형완구의 포즈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형완구의 관절부분에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형완구의 다양한 포즈를 손쉽게 취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관절부재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형완구의 절곡된 관절부분이 자연스럽게 표현될 뿐만 아니라 그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 및 조립이 편리한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기술수단으로,
인형완구의 머리, 몸체, 팔, 다리 등의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절곡가능한 부위에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양측에 각각의 부위를 이루는 연결부재에 고정결합되는 원통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중앙부분에 형성된 요철형상의 절곡부와, 상기 고정부와 절곡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된 심재로 이루어진 관절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고정부보다 지름이 적은 원통형상의 절곡체와, 상기 절곡체 외둘레로 적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 링형상의 원판이 형성된 형태판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인형완구의 관절부분을 절곡하여 다양한 포즈를 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인형완구를 구성하는 각각의 연결부재와,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관절설치홈들을 형성하고, 상기 관절설치홈들에 결합설치하여 각각의 연결부재를 연결형성하도록 관절부분들에 설치되는 관절부재들을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이용하여 유기적으로 연결구성하고; 상기 인형완구의 얼굴연결부재와 몸체연결부재를 연결하는 목관절과, 상기 몸체연결부재와 팔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어깨관절부재 및, 상기 몸체연결부재와 다리연결부재를 연결하는 대퇴관절부재만을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로 형성하며; 상기 인형완구의 팔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상박연결부재와 하박연결부재를 연결형성하는 팔꿈치관절부재 및 하박연결부재와 손연결부재를 연결형성하는 손목관절부재만을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로 형성하며; 상기 인형완구의 다리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상퇴연결부재와 하퇴연결부재를 연결형성하는 무릅관절부재 및 하퇴연결부재와 발연결부재를 연결형성하는 발목관절부재만을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로 형성하며; 상기 인형완구의 몸체연결부재를 구성하는, 흉부연결부재와 둔부연결부재를 연결형성하는 허리관절부재만을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도시한 작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상의 관절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상의 관절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형완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형완구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형완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형완구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형완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형완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절부재(1)는 인형완구의 머리, 몸체, 팔, 다리 등의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절곡가능한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원통형상의 고정부(11)는 양측에 형성되어 각각의 인형완구의 이루는 연결부재에 고정결합되고, 요철형상의 절곡부(12)는 상기 고정부(11)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심재(13)는, 상기 고정부(11)와 절곡부(12)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절곡부(12)는, 상기 고정부(11)보다 지름이 적은 원통형상의 절곡체(121)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체(121) 외둘레로 적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 링형상의 형태판(122)이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심재(13)는, 양측에 고정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131)을 형성하고, 심재(13)가 절곡된 형상을 유지하고 파손을 방지하기위해 인성이 높고 탄성이 낮은 금속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관절부재(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12)에 형성된 링형상의 형태판(122)의 개수와 이격거리에 따라 절곡되는 각도를 달리하는 것이고, 관절부재(1)의 최고 절곡각도는 이격된 링형상의 형태판(122)들의 끝단부가 모두 맞닫게 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절부재(1)가 최대한 절곡되더라도 내부에 설치된 심재(13)는 절곡부(12)에 형성된 형태판(122)에 의해 "C"형상의 완만한 경사각을 갖도록 만곡을 그리며 절곡부(12)가 절곡됨으로서, 절곡된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심재(1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9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관절부재(1)의 절곡부의 링형상의 형태판(122)은 다양한 변화가 가능한 것이나, 절곡부(12)는 형성된 링형상의 형태판(122)을 적정거리 이격되게 다수개 형성함으로서, 절곡부(12)가 절곡되었을 때 완만하게 절곡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태판(122)의 일측 단면형상이 원형, 타원, 삼각, 사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태판(122)이 제작 가능 할 것이나, 절곡되는 각도에 따라 절곡부(12)의 형상의 변화를 가장 잘 나타내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형태판(122)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도 11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형완구(2)를 설명하면, 인형완구(2)의 연결부재들(21~24)의 명칭구분은 크게 얼굴연결부재(21)와 몸체연결부재(22) 및 팔연결부재(23)와 다리연결부재(24)로 구분되고 이를 더욱 정확히 구분하면, 몸체연결부재(22)는 흉부연결부재(221)와 둔부연결부재(222)로 나누어지고, 팔연결부재(23)는 상박연결부재(231)와 하박연결부재(232) 및 손연결부재(233)로 나누어지며, 다리연결부재(24)는 상퇴연결부재(241)와 하퇴연결부재(242) 및 발연결부재(243)로 나누어진다.
이때, 상기 몸체연결부재(22)는 흉부연결부재(221)와 둔부연결부재(222)를 연결형성하는 허리관절부재(1-8)로 이루어지고, 상기 팔연결부재(23)는 상박연결부재(231)와 하박연결부재(232)를 연결형성하는 팔꿈치관절부재(1-4) 및 하박연결부재(232)와 손연결부재(233)를 연결형성하는 손목관절부재(1-5)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연결부재(24)는 상퇴연결부재(241)와 하퇴연결부재(242)를 연결형성하는 무릅관절부재(1-6) 및 하퇴연결부재(242)와 발연결부재(243)를 연결형성하는 발목관절부재(1-7)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얼굴연결부재(21)와 몸체연결부재(22)는 목관절부재(1-1)를 이용하여 연결형성하고, 상기 팔연결부재(23)와 몸체연결부재(22)는 어깨관절부재(1-2)를 이용하여 연결형성하며, 상기 다리연결부재(24)와 몸체연결부재(22)는 대퇴관절부재(1-3)를 이용하여 연결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한 각각의 연결부재(21~24)를 연결하는 각각의 관절부재(1-1~1-8)는, 양측에 고정부(11)를 형성하고, 중앙에 절곡부(12)를 형성하며,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된 심재(13)로 이루어진 요철형상의 관절부재(1)를 이용한 것이다.
이때, 상기 요철형상의 관절부재(1)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1)는, 각각의 부위에 해당하는 각각의 연결부재(21-24)의 설치공에 결합설치하여 고정하고, 상기 절곡부(12)는 요철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요철형상은 중앙에 고정부(11)보다 작은 지름의 절곡체(121)를 형성하고, 그 외둘레에 적정거리 이격된 원판 링형상의 형태판(122)을 다수개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요철형상의 관절부재(1)에 형성된 절곡부(12)가 요철형상으로 형성된 것은, 인형완구(2)에 사용자가 옷등을 입혀 인형완구(2)의 관절부분을 절곡하여 다양한 포즈를 취하기 위해, 부위를 이루는 각각의 연결부재(21~24)를 연결하는 관절부재(1)가 절곡하여 그 형상이 사람의 관절과 유사하게 절곡되어짐으로서, 인형완구(2)의 외부로 나타나는 관절부분의 형상이 자연스럽게 표현되도록 하기위한 것일 뿐만아니라, 관절부재(1)에 무리한 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완만한 곡선을 형성하여 절곡되도록 하여 연결부재들(21~24)에 결합된 관절부재(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요철형상의 관절부재(1)는 사람의 인체형상이나 동물의 형상 및 로보트와 같은 절곡이 가능하게 관절이 형성된 다양한 형상의 인형완구(2)에 사용이 가능 할 것이다.
또한, 인형완구(2)는 그 기능에 따라 부위별로 절곡되는 관절에 제한을 두어 제작자가 원하는 인형완구(2) 형상에 각각의 관절부재(1)는 전체 관절부위에서 부터 각각 일부분만을 한정적으로 설치가 가능 할 것이다.
그 예를 들자면 몸체연결부재(22)와 얼굴연결부재(21)를 연결하는 목관절부재만(1-1)을 설치하여 인형완구(2)가 얼굴만을 절곡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고, 발연결부재(24)중 상퇴연결부재(241)와 하퇴연결부재(242)사이에 설치되는 무릅관절부재(1-6)만을 설치하여 인형완구의 무릅부분만을 절곡가능한 인형완구(2)를 제작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인형완구(2)에 설치되는 관절부재(1)의 제한된 설치는 인형완구(2) 제작자의 의동에 따라 그 포즈를 다리하는 정도에 따라 제작자가 선택적으로 설치가 가능할 것이다.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형완구(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연결부재들(21~24)와 관절부재(1)를 감싸도록 연질의 합성수지(실리콘)를 이용한 외피(3)를 더 형성함으로써, 관절부재(1)가 절곡되었을 때 보다 유연한 형상으로 관절부위(1)가 형성됨은 물론, 사용자가 인형완구(2)를 파지하였을 때의 느낌이 좋도록 한 것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용하여 인형완구의 연결부재들을 연결하고 절곡되는 관절부분에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인형완구의 다양한 포즈를 손쉽게 취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상기 요철형상의 관절부재가 절곡될 때 요철형상의 절곡부가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절곡되도록 하여 심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형완구의 관절부분에 설치된 요철형상의 관절부재가 설치되는 인형완구는 외부에 표현되는 인형완구의 관절부분이 자연스럽게 형성됨과 동시에, 인형완구의 구성요소가 단순하여 제조 및 조립이 편리함과 함께 생산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인형완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인형완구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상의 관절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상의 관절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형완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형완구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형완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형완구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형완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형완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Claims (7)

  1. 양측에 각각의 인체부위를 이루는 연결부재에 고정결합되는 원통형상의 고정부(11)와, 상기 고정부(11) 중앙부분에 형성된 요철형상의 절곡부(12)와, 상기 고정부(11)와 절곡부(12)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된 심재(13)로 이루어진 관절부재(1)로 구성되어 인형완구의 머리, 몸체, 팔, 다리의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절곡가능한 부위에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12)를, 상기 고정부(11)보다 지름이 적은 원통형상의 절곡체(121)와,
    상기 절곡체(121) 외둘레로 적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 링형상으로 형성된 형태판(122)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형상의 관절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50038004A 2005-05-06 2005-05-06 요철형상의 관절부재 KR100526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004A KR100526971B1 (ko) 2005-05-06 2005-05-06 요철형상의 관절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004A KR100526971B1 (ko) 2005-05-06 2005-05-06 요철형상의 관절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6971B1 true KR100526971B1 (ko) 2005-11-08

Family

ID=3730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004A KR100526971B1 (ko) 2005-05-06 2005-05-06 요철형상의 관절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9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854A (ko)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컴퍼니 블록 완구
KR20220161898A (ko)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블록 완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1791U (ko) * 1977-05-02 1978-11-29
JPS6097067U (ja) * 1983-12-08 1985-07-02 九州積水工業株式会社 マネキン構造体
JPS62139576U (ko) * 1986-02-27 1987-09-03
JPH03107996A (ja) * 1989-09-22 1991-05-08 Seiko Epson Corp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H03107996U (ko) * 1990-02-21 1991-11-06
JP2000279647A (ja) * 1999-03-30 2000-10-10 Takara Co Ltd 弾性人形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1791U (ko) * 1977-05-02 1978-11-29
JPS6097067U (ja) * 1983-12-08 1985-07-02 九州積水工業株式会社 マネキン構造体
JPS62139576U (ko) * 1986-02-27 1987-09-03
JPH03107996A (ja) * 1989-09-22 1991-05-08 Seiko Epson Corp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H03107996U (ko) * 1990-02-21 1991-11-06
JP2000279647A (ja) * 1999-03-30 2000-10-10 Takara Co Ltd 弾性人形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854A (ko)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컴퍼니 블록 완구
KR20220161898A (ko)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블록 완구
WO2022255555A1 (ko) 2021-05-31 2022-12-08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블록 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7762B2 (en) Animation puppet
US7479054B2 (en) Flexible dolls and posable action figures
US4932919A (en) Posable figure with continuous skin
JP4500220B2 (ja) 人形の球状関節
EP1509293B1 (en) Flexible toy figure with wire armature
JP2013540531A (ja) 玩具組立セット
EP1417010B1 (en) Flexible figure
GB2180769A (en) Toy action figure
KR100526971B1 (ko) 요철형상의 관절부재
CN212038988U (zh) Bjd娃娃公仔
JP2004222935A (ja) ソフトビニル製大型可動人形の骨格構造および該骨格構造を有するソフトビニル製大型可動人形
JP2021191557A (ja) 人形体の屈曲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人形体並びに人形体の製造方法
JP6144119B2 (ja) 人形の関節構造
JP2021191557A5 (ko)
CN209714282U (zh) 一种组装玩具公仔
KR200271897Y1 (ko) 복제 인형
KR20120020727A (ko) 구체관절이 형성된 인형
KR200320752Y1 (ko) 복제 인형
CN213965145U (zh) 防拔插连接的骨架结构及应用其的娃娃关节结构
CN213942096U (zh) 多角度活动的娃娃关节结构
CN111744213A (zh) 防拔插连接的骨架结构及应用其的娃娃关节结构
JPH0310791Y2 (ko)
JPH0247995Y2 (ko)
KR0136771Y1 (ko) 인형의 팔구조
JPH04114395U (ja) 人形玩具の可動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