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531B1 - 종이 모형 완구 - Google Patents

종이 모형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531B1
KR101592531B1 KR1020150170605A KR20150170605A KR101592531B1 KR 101592531 B1 KR101592531 B1 KR 101592531B1 KR 1020150170605 A KR1020150170605 A KR 1020150170605A KR 20150170605 A KR20150170605 A KR 20150170605A KR 101592531 B1 KR101592531 B1 KR 101592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d
leg
shap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명석
Original Assignee
송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명석 filed Critical 송명석
Priority to KR1020150170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531B1/ko
Priority to PCT/KR2016/013525 priority patent/WO2017095064A1/ko
Priority to US15/779,733 priority patent/US1090596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8Dolls of flat paper to be cut-out, folded, or cloth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모형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형성된 접는선과 절개선을 이용하여 다각면체의 형태를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바디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hole)이 형성된 헤드 유닛; 상기 헤드 유닛의 하부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 체결되는 헤드 체결부와, 팔 유닛이 삽입 체결되는 홀을 포함하는 바디 유닛; 끝단부에 상기 바디 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팔 유닛; 상기 바디 유닛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기 바디 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절개선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 및 지지 유닛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 공간을 포함하는 다리 유닛; 및 상기 다리 유닛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 공간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종이 모형 완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종이 모형 완구 {PAPER MODEL TOY}
본 발명은 종이 모형 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각 부위별 회전이 가능하고, 서로 다른 종이 모형 완구간에 체결 또는 도킹이 가능하여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종이 모형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이 모형 완구는 일반적으로 종이를 이용하여 사람, 동물, 인형, 자동차 등의 모형을 완구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종이 모형 완구는 종이와 접착제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종이 모형 완구는 일반적으로 종이를 접어서 특정 형태를 구현하고, 이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전체적인 형상을 완성하게 되므로, 각 구성요소간의 회전이나 각 관절의 회전이 불가능하였다.
일부 종이 모형 완구의 경우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작하기 위하여 끼움 방식의 형태로 만들어진 종이 모형 완구도 있으나, 각 구성요소나 관절부위를 끼움 방식으로 제작한 종이 모형 완구의 경우에는 회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완성된 서로 다른 종이 모형 완구를 체결하여 세트 완구를 형성하거나, 기본 종이 모형 완구에 다양한 장식품이나 장신구를 체결하여 보다 다채로운 캐릭터를 보여줄 수 있는 종이 모형 완구는 개발되지 않았다.
등록실용신안 20-028550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각 부위별 회전이 가능하고, 서로 다른 종이 모형 완구간에 체결 또는 결합이 가능하여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종이 모형 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형성된 접는선과 절개선을 이용하여 다각면체의 형태를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바디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hole)이 형성된 헤드 유닛; 상기 헤드 유닛의 하부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 체결되는 헤드 체결부와, 팔 유닛이 삽입 체결되는 홀을 포함하는 바디 유닛; 끝단부에 상기 바디 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팔 유닛; 상기 바디 유닛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기 바디 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절개선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 및 지지 유닛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 공간을 포함하는 다리 유닛; 및 상기 다리 유닛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 공간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 하는 종이 모형 완구가 제공된다.
상기 헤드 유닛은 다각면체의 형태로 형성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 유닛의 헤드 체결부가 삽입될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삽입홀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 삽입홀은 상기 바디 유닛에 체결된 헤드부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는 캐릭터의 얼굴 모양이 인쇄되며, 전체적으로 다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형태의 다각형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헤드 전면부; 상기 헤드 전면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크기 및 형태가 상기 헤드 전면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헤드 후면부; 및 상기 헤드 전면부와 상기 헤드 후면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헤드 측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 유닛은 전체적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 개방부의 끝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헤드 체결부; 및 상기 바디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팔 유닛의 체결부가 삽입 체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팔 삽입홀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 체결부는 상기 바디부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헤드 체결부의 측부 라인은 만곡진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팔 유닛은 일측부가 개방된 바(bar) 형태로 길게 형성된 팔 베이스부; 및 상기 팔 베이스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팔 베이스부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리 유닛은 상기 바디 유닛의 하부에 체결되며, 전체적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바디 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절개선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다리부; 및 상기 지지 유닛이 삽입되기 위하여, 하부면은 개방되게 형성되는 지지 유닛 삽입홀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유닛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홀로 구성된 제1 지지부; 및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 체결되는 다리 결합부로 구성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서로 다른 종이 모형 완구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 유닛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 유닛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 공간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다리 삽입부; 상기 다리 삽입부의 하단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형성되며, 다른 종이 모형 완구의 삽입홈에 삽입 체결되는 결합 돌기부; 및 상기 다리 삽입부의 하단 타측으로부터 돌출 연장형성되며, 결합되는 종이 모형 완구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 유닛의 헤드부의 크기 및 형태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마스크 베이스와, 상기 마스크 베이스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일 측에 형성된 마스크 결합홀에 삽입 고정되는 마스크 결합 돌기로 구성된 마스크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각 부위별 회전이 가능하고, 서로 다른 종이 모형 완구간에 체결 또는 결합이 가능하여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모형 완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모형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모형 완구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4a는 종이 모형 완구의 헤드 유닛의 전개도이며, 도 4b는 헤드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5a는 종이 모형 완구의 바디 유닛의 전개도이며, 도 5b는 바디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6a는 종이 모형 완구의 팔 유닛의 전개도이며, 도 6b는 팔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7a는 종이 모형 완구의 다리 유닛의 전개도이며, 도 7b는 다리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8a는 종이 모형 완구의 지지 유닛의 전개도이며, 도 8b는 지지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9a는 종이 모형 완구의 결합 유닛의 전개도이며, 도 9b는 결합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10는 종이 모형 완구의 바디 유닛에 결합 유닛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결합 유닛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종이 모형 완구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모형 완구의 마스크 유닛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모형 완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모형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모형 완구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 모형 완구는 헤드 유닛(100), 바디 유닛(200), 팔 유닛(300), 다리 유닛(400) 및 지지 유닛(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모형 완구의 재질은 종이, 코팅막이 도포된 종이 또는 접기가 가능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는 종이를 예로서 설명한다.
헤드 유닛(10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또는 다각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바디 유닛(2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hole)이 형성된다. 이러한 헤드 유닛(100)은 미리 형성된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직육면체 또는 다각면체의 형태를 만들고, 체결 돌기와,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절개선을 이용하여 조립하게 된다.
바디 유닛(200)은 전체적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바디 유닛(200)의 상부에는 헤드 유닛(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 체결되는 헤드 체결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다리 유닛(400)과 체결하기 위한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돌기 하단부에는 다리 유닛의 체결 부위가 삽입 체결되는 절개선이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 유닛(200)의 측면에는 각각의 팔 유닛(300)이 삽입 체결되는 홀(hole)이 형성된다.
바디 유닛(200) 역시 미리 형성된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를 만들고, 체결 돌기와,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절개선을 이용하여 조립하게 된다.
팔 유닛(300)은 일측부가 개방된 바(bar) 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끝단부에는 바디 유닛(200)의 측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팔 유닛은 미리 형성된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모양을 형성한다.
다리 유닛(400)은 바디 유닛(200)의 하부에 체결되며, 전체적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다리 유닛(400)의 상부에는 바디 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절개선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다리 유닛(400)의 하부는 지지 유닛(500)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 공간이 형성된다.
지지 유닛(500)은 다리 유닛(40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 공간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부와 이러한 돌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 구성된다. 지지 유닛(500)의 지지부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돌출부는 지지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된다.
도 4a는 종이 모형 완구의 헤드 유닛의 전개도이며, 도 4b는 헤드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헤드 유닛(100)은 다각면체의 형태로 형성된 헤드부(150)와, 헤드부(15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바디 유닛의 헤드 체결부가 삽입될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삽입홀(170)로 구성된다. 바디 삽입홀(170)은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바디 유닛에 체결된 헤드부(150)가 원활하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헤드부(150)는 헤드 전면부(110), 헤드 후면부(120) 및 헤드 측면부(130)로 구성된다.
헤드 전면부(110)는 캐릭터의 얼굴 모양이 인쇄되며, 전체적으로 다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형태의 다각형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헤드 후면부(120)는 헤드 전면부(110)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크기 및 형태가 헤드 전면부(110)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헤드 측면부(130)는 헤드 전면부(110)와 헤드 후면부(120)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헤드 전면부(110)는 헤드 전면 베이스(111) 및 헤드 전면 베이스(111)로부터 돌출 연장되게 형성되는 헤드 전면 체결 돌기(112)로 구성되며, 헤드 후면부(120)역시 헤드 후면 베이스(121) 및 헤드 후면 베이스(121)로부터 돌출 연장되게 형성되는 헤드 후면 체결 돌기(122)로 구성된다.
헤드 측면부(130)는 헤드 측면 베이스(131)와, 헤드 측면 베이스(13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헤드 측면 날개(132)와, 헤드 측면 날개(132)의 내부 영역에 형성되며, 헤드 전면 체결 돌기(112)와 헤드 후면 체결 돌기(122)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측면 체결 절개선(133)과, 헤드 측면부의 형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돌출 형성되는 헤드 측면 체결돌기(134) 및 헤드부에 장식을 삽입 고정시키기 위하여 절개된 장식 체결 절개선(135)를 포함한다.
도 5a는 종이 모형 완구의 바디 유닛의 전개도이며, 도 5b는 바디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바디 유닛(200)은 바디부(210), 헤드 체결부(220) 및 팔 삽입홀(230)을 포함한다.
바디부(210)는 전체적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 개방부의 크기가 상부 개방부의 크기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된다.
헤드 체결부(220)는 바디부(210)의 상부 개방부의 끝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헤드 체결부(220)는 바디부(21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위치한다. 이러한 헤드 체결부(220)는 측부 라인이 만곡진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헤드 유닛(100)의 바디 삽입홀(170)의 직경은 헤드 체결부(220)의 가장 넓은폭을 지닌 부위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헤드 체결부(220)가 바디 삽입홀(170)에 삽입 체결되면 헤드 체결부(220)의 돌출 부위로 인하여 헤드부가 잘 빠지지 않고, 일정 힘을 주어서 잡아 당겨야 탈착되며,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 진다.
팔 삽입홀(230)은 바디부(2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팔 유닛(300)의 체결부가 삽입 체결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팔 삽입홀(23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팔 유닛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바디부(2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바디부(210)는 바디 베이스(211), 바디 날개(212), 바디 체결돌기(213), 바디 체결 절개선(214) 및 다리 결합 절개선(215)을 포함한다.
바디 베이스(211)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의 플레이트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고, 바디 날개(212)는 바디 베이스(211)의 하부와 측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바디 체결돌기(213)는 바디 베이스(211)의 측면 타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바디 날개(212)에 형성된 바디 체결 절개선(214)에 삽입 체결된다. 다리 결합 절개선(215)은 바디 베이스(211)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바디 날개(212)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한다.
도 6a는 종이 모형 완구의 팔 유닛의 전개도이며, 도 6b는 팔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팔 유닛(300)은 팔 베이스부(310)와 팔 체결부(320)를 포함한다.
팔 베이스부(310)는 일측부가 개방된 바(bar) 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팔 체결부(320)는 팔 베이스부(310)의 단부에 형성되며, 팔 베이스부(3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팔 체결부(320)는 팔 체결돌기(321)와, 팔 체결돌기(321)의 양측부에 형성된 팔 날개(322)로 구성되며, 팔 날개(322)는 접는선에 따라 접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팔 체결부(320)는 바디부(210)에 형성된 팔 삽입홀(230)에 삽입 체결된다. 팔 날개(322)로 인하여 팔 유닛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팔 유닛(300)의 끝단부 즉, 팔 체결부(320)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액세서리 예를 들면, 총 또는 칼 등을 삽입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단부에는 팔 유닛의 삽입홈에 대응되는 크기의 돌기가 형성되며, 이러한 돌기가 팔 유닛의 끝단부의 공간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도 7a는 종이 모형 완구의 다리 유닛의 전개도이며, 도 7b는 다리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다리 유닛(400)은 다리부(410)와 지지유닛 삽입홀(420)로 구성된다.
다리부(410)는 바디 유닛(200)의 하부에 체결되며, 전체적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다리부(410)의 상부에는 바디 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절개선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다리부(410)의 하부면은 개방되게 형성되어, 지지 유닛(500)이 삽입되기 위한 지지 유닛 삽입홀(420)이 형성된다.
다리부(4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리부(410)는 다리 베이스(411), 다리 날개(412), 다리 체결 돌기(413), 다리 체결 절개선(414) 및 바디 결합 돌기(415)를 포함한다.
다리 베이스(411)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의 플레이트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고, 일부 플레이트는 V 커팅 홈이 형성된다. 다리 날개(412)는 다리 베이스(411)의 상부와 측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다리 체결돌기(413)는 다리 베이스(411)의 측면 타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다리 날개(412)에 형성된 다리 체결 절개선(414)에 삽입 체결된다. 다리 체결 절개선(414)은 다리 베이스(411)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다리 날개(412)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한다. 바디 결합 돌기(415)는 다리 베이스(41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바디 유닛의 다리 결합 절개선(215)에 삽입 고정되어, 다리 유닛과 바디 유닛을 결합한다.
도 8a는 종이 모형 완구의 지지 유닛의 전개도이며, 도 8b는 지지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지지 유닛(500)은 제1 지지부(510)와 제2 지지부(52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510)는 제1 지지 플레이트(511)와 삽입홀(512)을 포함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511)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며, 삽입홀(512)은 제1 지지 플레이트(511)의 중앙에 장방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삽입홀(512)의 크기는 이하의 다리 결합 돌출부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제2 지지부(520)는 제2 지지 플레이트(530)와 다리 결합 돌출부(540)로 구성된다. 제2 지지 플레이트(530)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며, 다리 결합부(540)는 제2 지지 플레이트(530)로부터 돌출되게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다리 결합부(540)는 다리 유닛(400)의 지지 유닛 삽입홀(420)에 삽입되게 체결된다.
다리 결합 돌출부(540)는 제1 결합돌기(541), 제1 결합돌기 절개선(542), 제2 결합돌기(543) 및 제2 결합돌기 절개선(544)으로 구성된다. 제1 결합돌기(541)는 제2 지지 플레이트(530)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되며, 제2 결합돌기(543)은 제2 지지 플레이트(530)의 타측(즉, 제1 결합돌기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된다. 제1 결합돌기 절개선(542)은 제1 결합돌기(541)의 상부면 일부가 절개되게 형성되고, 제2 결합돌기 절개선(544)은 제2 결합돌기(543)의 하부면 일부가 절개되도록 형성된다. 다리 결합 돌출부(540)는 접는선(F5)에 따라 접고, 제1 결합돌기 절개선(542)과 제2 결합돌기 절개선(544)을 상호 끼움으로써 형성된다.
도 9a는 종이 모형 완구의 결합 유닛의 전개도이며, 도 9b는 결합 유닛의 조립도이며, 도 10는 종이 모형 완구의 바디 유닛에 결합 유닛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결합 유닛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종이 모형 완구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결합 유닛(600)은 다리 삽입부(610), 결합 돌기부(620) 및 받침부(630)를 포함한다.
다리 삽입부(610)는 전체적으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며, 다리 유닛(400)의 지지유닛 삽입홀(420)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지지유닛 삽입홀(420)에 삽입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결합 돌기부(620)는 다리 삽입부(610)의 하단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형성된다. 결합 돌기부(620)는 다른 종이 모형 완구의 삽입홈에 삽입 체결되어 서로 다른 종이 모형 완구가 결합되도록 한다.
받침부(630)는 다리 삽입부의 하단 타측으로부터 돌출 연장형성되며, 결합되는 종이 모형 완구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리 삽입부(6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리 삽입부(610)는 다리 삽입부 베이스(611), 다리 삽입부 날개(612), 다리 삽입부 체결돌기(613) 및 다리 삽입부 체결절개선(614)을 포함한다.
다리 삽입부 베이스(611)는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다리 삽입부 날개(612)는 다리 삽입부 베이스(6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다리 삽입부 체결절개선(614)은 다리 삽입부 날개(612)의 내측 중앙 영역에 형성된다. 다리 삽입부 체결돌기(613)는 다리 삽입부 베이스(611)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다리 삽입부 체결절개선(614)에 삽입 체결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살펴보면, 서로 다른 종이 모형 완구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지지 유닛(500)을 분리한 후, 지지 유닛(500)의 자리에 결합 유닛(600)을 삽입 체결한 후, 결합 유닛(600)을 다른 종이 모형 완구의 결합홈에 삽입 체결한 상태가 도시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모형 완구의 마스크 유닛을 나타낸 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마스크 유닛(700)은 헤드부에 삽입 체결하는 방식으로 종이 모형 완구의 다양한 얼굴 표정의 연출 또는 마스크의 착용을 통하여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 유닛(700)은 마스크 베이스(710) 및 마스크 결합 돌기(720)를 포함한다. 마스크 베이스(710)는 헤드 유닛의 헤드부(150)의 크기 및 형태에 상응하게 형성되며, 마스크 결합 돌기(720)는 마스크 베이스(7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헤드부(150)의 일 측에 형성된 마스크 결합홀(180)에 삽입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모형 완구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헤드 유닛
200 : 바디 유닛
300 : 팔 유닛
400 : 다리 유닛
500 : 지지 유닛
600 : 결합 유닛
700 : 마스크 유닛

Claims (11)

  1. 종이 모형 완구에 있어서,
    미리 형성된 접는선과 절개선을 이용하여 다각면체의 형태를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바디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hole)이 형성된 헤드 유닛;
    상기 헤드 유닛의 하부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 체결되는 헤드 체결부와, 팔 유닛이 삽입 체결되는 홀을 포함하는 바디 유닛;
    끝단부에 상기 바디 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팔 유닛;
    상기 바디 유닛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기 바디 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절개선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 및 지지 유닛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 공간을 포함하는 다리 유닛; 및
    상기 다리 유닛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 공간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모형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은,
    다각면체의 형태로 형성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 유닛의 헤드 체결부가 삽입될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모형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삽입홀은 상기 바디 유닛에 체결된 헤드부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모형 완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캐릭터의 얼굴 모양이 인쇄되며, 전체적으로 다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형태의 다각형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헤드 전면부;
    상기 헤드 전면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크기 및 형태가 상기 헤드 전면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헤드 후면부; 및
    상기 헤드 전면부와 상기 헤드 후면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헤드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모형 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유닛은,
    전체적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 개방부의 끝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헤드 체결부; 및
    상기 바디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팔 유닛의 체결부가 삽입 체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팔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모형 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체결부는 상기 바디부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헤드 체결부의 측부 라인은 만곡진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모형 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 유닛은,
    일측부가 개방된 바(bar) 형태로 길게 형성된 팔 베이스부; 및
    상기 팔 베이스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팔 베이스부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모형 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유닛은,
    상기 바디 유닛의 하부에 체결되며, 전체적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바디 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절개선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다리부; 및
    상기 지지 유닛이 삽입되기 위하여, 하부면은 개방되게 형성되는 지지 유닛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모형 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홀로 구성된 제1 지지부; 및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 체결되는 다리 결합부로 구성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모형 완구.
  10.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종이 모형 완구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 유닛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 유닛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 공간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다리 삽입부;
    상기 다리 삽입부의 하단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형성되며, 다른 종이 모형 완구의 삽입홈에 삽입 체결되는 결합 돌기부; 및
    상기 다리 삽입부의 하단 타측으로부터 돌출 연장형성되며, 결합되는 종이 모형 완구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모형 완구.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의 헤드부의 크기 및 형태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마스크 베이스와, 상기 마스크 베이스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일 측에 형성된 마스크 결합홀에 삽입 고정되는 마스크 결합 돌기로 구성된 마스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모형 완구.
KR1020150170605A 2015-12-02 2015-12-02 종이 모형 완구 KR101592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605A KR101592531B1 (ko) 2015-12-02 2015-12-02 종이 모형 완구
PCT/KR2016/013525 WO2017095064A1 (ko) 2015-12-02 2016-11-23 종이 모형 완구
US15/779,733 US10905965B2 (en) 2015-12-02 2016-11-23 Paper model to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605A KR101592531B1 (ko) 2015-12-02 2015-12-02 종이 모형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531B1 true KR101592531B1 (ko) 2016-02-05

Family

ID=55353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605A KR101592531B1 (ko) 2015-12-02 2015-12-02 종이 모형 완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05965B2 (ko)
KR (1) KR101592531B1 (ko)
WO (1) WO201709506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575B1 (ko) * 2016-06-28 2016-10-05 (주)박스툰 종이 입체 완구
KR101712052B1 (ko) * 2016-04-07 2017-03-03 (주)라온스퀘어 가공 캐릭터를 포함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05707B1 (ko) * 2016-12-19 2018-10-10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페이퍼 토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8293A1 (en) * 2019-02-15 2020-08-20 Joel Weinshanker Craft model
US11958658B1 (en) * 2020-01-22 2024-04-16 Foldables LLC Flat packaging and packaging methods
KR200495877Y1 (ko) * 2020-11-09 2022-09-08 주식회사 토단 마트료시카 인형 접기용 종이
USD988426S1 (en) * 2021-03-30 2023-06-06 Mattel-Mega Holdings (Us), Llc Figur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701Y1 (ko) 2005-03-29 2005-06-21 박대규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
KR100924226B1 (ko) 2009-07-30 2009-11-02 우희권 관절 인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243A (en) * 1911-05-04 1911-07-18 Edward Tinkham Gibson Toy.
US6120344A (en) * 1996-05-09 2000-09-19 Brown; Jerry L. Three-dimensional folded carton action figures
KR100383683B1 (ko) * 2000-03-03 2003-05-14 정동현 종이를 이용한 완구
KR100589302B1 (ko) * 2000-11-28 2006-06-14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적응형 방송 레이더 시스템용의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84249A (ko) * 2002-04-26 2003-11-01 주식회사 다진시스템 관절이 움직이는 종이모형완구
KR200285506Y1 (ko) 2002-05-08 2002-08-14 김윤희 종이모형완구
JP3671048B2 (ja) * 2003-09-12 2005-07-13 バタフライ・ストローク・株式會社 紙製人形
US20060135032A1 (en) * 2004-12-22 2006-06-22 Horizon Group-Usa Three-dimensional coloring product
US20080289992A1 (en) * 2007-05-24 2008-11-27 Gingerhaus, Llc Kit for Making Decorative Structures and Method Relating Thereto
KR20120067874A (ko) * 2010-12-16 2012-06-26 양수영 다수개의 편으로 결합되는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
US8979608B2 (en) * 2011-06-06 2015-03-17 Lo-Res Labs LLC Folded block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US9289695B2 (en) * 2011-10-15 2016-03-22 Really Brothers, Llc Folding toy figurin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9339735B2 (en) * 2014-07-14 2016-05-17 Foldems LLC Three dimensional folded figures with rotating joints
US20160129362A1 (en) * 2014-11-06 2016-05-12 Jazwares, LLC Paper craft model with articulating element
TWM508355U (zh) * 2015-05-21 2015-09-11 Glory Innovations Inc 組合玩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701Y1 (ko) 2005-03-29 2005-06-21 박대규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
KR100924226B1 (ko) 2009-07-30 2009-11-02 우희권 관절 인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052B1 (ko) * 2016-04-07 2017-03-03 (주)라온스퀘어 가공 캐릭터를 포함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662575B1 (ko) * 2016-06-28 2016-10-05 (주)박스툰 종이 입체 완구
KR101905707B1 (ko) * 2016-12-19 2018-10-10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페이퍼 토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5064A1 (ko) 2017-06-08
US20200306656A1 (en) 2020-10-01
US10905965B2 (en)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531B1 (ko) 종이 모형 완구
US9314707B2 (en) Magnetic building tiles
US9289695B2 (en) Folding toy figurin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200404644Y1 (ko) 조립식 퍼즐 축구공에 있어서 퍼즐 연결구조
US9339735B2 (en) Three dimensional folded figures with rotating joints
KR101588557B1 (ko) 레고형 삼각 고양이 놀이 구조물
EP3095496A1 (en) Assembly toy
KR101419914B1 (ko) 고양이 블록
US6439945B1 (en) Octopus-shaped built-up toy
US4244538A (en) Spool
KR102105371B1 (ko)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US6439953B1 (en) Three-dimensional built-up toy with freely connectable bases
US20140227938A1 (en) Building block unit, assembling structure and base having the same
CN209790880U (zh) 一种皮影装置
KR101823775B1 (ko) 부분 형상 결합 구조의 접이 방식의 종이 완구
KR20180061580A (ko) 직립형 페이퍼 토이
US20110165820A1 (en) Doll kit
KR20120067874A (ko) 다수개의 편으로 결합되는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
JP2005342124A (ja) 組立玩具
KR100846916B1 (ko) 조립식 교육·완구용 놀이 집
US11305203B2 (en) Craft model
US20170072332A1 (en) Method for making the three-dimensional paper model and paper model obtained through same method
CN212119026U (zh) 压缩可回弹玩具
JP3124626U (ja) 多機能パネル
KR200217168Y1 (ko) 손가락 삽입용 접기모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