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701Y1 -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 - Google Patents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701Y1
KR200387701Y1 KR20-2005-0008478U KR20050008478U KR200387701Y1 KR 200387701 Y1 KR200387701 Y1 KR 200387701Y1 KR 20050008478 U KR20050008478 U KR 20050008478U KR 200387701 Y1 KR200387701 Y1 KR 200387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paper
coupled
paper doll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규
Original Assignee
박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규 filed Critical 박대규
Priority to KR20-2005-0008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7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8Dolls of flat paper to be cut-out, folded, or cloth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계된 종이를 자르고, 접고, 말아 붙여서 사람이나 동물 등과 같은 각종 입체적인 캐릭터를 형상화한 종이 인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호 연결되어 관절을 형성하는 하부마디의 상단이 관통된 상태에서 그 상단 양측에 일정넓이로 일체 기립 형성된 부착편; 상기 관절을 형성하는 상부마디의 끝단이 둥글게 절첩된 상태에서 양측으로 관통되는 회전축공; 및 상기 회전축공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양단이 상기 부착편에 부착되는 회전축; 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으로서, 입체적으로 형상화된 종이 인형의 각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여 보다 동적이고 다양한 형상의 표출이 가능한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Paper doll having ratatable joint}
본 고안은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에 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이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동물 등과 같은 각종 입체적인 캐릭터를 형상화하되, 이와 같이 입체적으로 형상화된 종이 인형의 각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한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종이 인형은 평면상에 다양한 캐릭터를 도안한 형태로 제공되거나, 설계된 각 부분을 자르고 붙이는 작업을 통해서 입체적으로 정형화된 형태로 제공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즉, 합성수지나 나무 또는 금속과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인형의 경우 입체적인 형상화와 아울러, 각 관절이 회전되도록 형성됨으로서 동적이고 다양한 형태로의 변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종이 인형의 경우 절첩하여 입체적인 형상으로의 표현은 가능하나, 그 각 부분을 연결하는 관절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형성함에 있어서 많은 제한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관절 부분에 별도의 부재를 연결하여 형성하거나, 아예 관절을 고정하여 정형화된 상태로 제공하는 것이 보통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종이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동물 등과 같은 각종 입체적인 캐릭터를 형상화하되,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오직 종이만을 이용하여 자르고 접고 말아 붙이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입체적으로 형상화된 종이 인형의 각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한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이 인형의 머리, 가슴, 팔, 다리를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인물의 케릭터화, 현존하는 연예인등을 케릭터화하여 애니메이션, 광고, 연속동작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모든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관절과 형상화시킨 종이 인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은 설계된 종이를 자르고 접고 말아 붙여서 사람이나 동물 등과 같은 각종 입체적인 캐릭터를 형상화한 종이 인형에 있어서, 상호 연결되어 관절을 형성하는 하부마디의 상단이 관통된 상태에서 그 상단 양측에 일정넓이로 일체 기립 형성된 부착편; 상기 관절을 형성하는 상부마디의 끝단이 둥글게 절첩된 상태에서 양측으로 관통되는 회전축공; 및 상기 회전축공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양단이 상기 부착편에 부착되는 회전축; 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종이 인형의 몸통은 머리와 양쪽 팔이 결합되는 흉부와 골반이 결합되는 복부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흉부의 내부에는 양측 팔의 어깨관절이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상부회전축관이 형성되는 한편, 복부의 내부에는 골반과 결합된 회전축 상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하부회전축관이 형성되면서 동시에, 상기 상·하부회전축관의 중앙에는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하부 수직연결관이 각각 부착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종이 인형의 머리 하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흉부 상측에는 목이 돌출 형성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절을 형성하는 상기 회전축은 여러 번 절첩되어 그 외주면의 단부가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팔 관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다리 관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골반 관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몸통 관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관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나 동물 등의 캐릭터를 형성하는 머리(10), 흉부(20), 복부(30), 골반(40), 팔(50) 및 다리(60)를 연결하는 각 관절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각 부분이 결합 및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도면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종이 인형은 입체적인 사람의 형상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입체적인 동물, 로봇 등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설계된 종이를 자르고 접고 말아서 이루어진 입체적인 형상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의 특징부는 최초 종이 상에 입체적인 인형의 형상을 설계하는 것으로부터 이루어진다.
이에, 본 고안의 인형은 크게 머리(10)와 몸통을 이루는 흉부(20)와 복부(30), 복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골반(40), 상기 흉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팔(50) 및 상기 골반의 양측에 결합되는 다리(6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골반(40), 팔(50) 및 다리(60)를 형성하는 각 관절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인 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편의상 각 관절의 하부에 형성되는 마디를 하부마디라 하고, 해당 관절의 상부에 형성되는 마디를 상부마디라 통칭한다.
먼저, 상호 연결되어 관절을 형성하는 하부마디의 상단은 관통되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그 상단 양측에는 일정넓이로 일체 기립 형성된 부착편(10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부착편(100)은 후술되는 관절의 회전축(300)을 부착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300)의 단부와 같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부착편(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하부마디의 설계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를 절개 후 접착부분을 부착하여 입체적으로 형성시 그 상단의 양측에 일체로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부착편(100)이 형성된 하부 관절의 상단은 후술되는 상부 관절의 하부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관절을 형성하는 상부마디의 끝단은 둥글게 절첩된 상태에서 양측으로 관통되는 회전축공(20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공(200)은 후술되는 관절의 회전축(300)이 관통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300)의 단부와 같은 크기로서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공(200)이 형성된 상부마디의 단부는 상기 하부 관절에 결합시 원활하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둥글게 절첩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부마디의 회전축공(20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해당 상부마디를 종이 상에 설계함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를 절개 후 접착부분을 부착하여 입체적으로 형성함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300)은 상부마디의 회전축공(200)에 결합됨과 동시에, 그 양단이 상기 하부마디의 양측 부착편(100)에 부착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300)은 상부마디와 하부마디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마디가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축(300)을 상부마디의 회전축공(200)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300)의 양측 단부를 하부마디의 양측 부착편(100)에 부착함으로서 상기 상부마디가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300)은 상부마디의 회전축공(200)과 밀착되어 상호 마찰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번 절첩되어 그 외주면의 단부가 톱니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톱니 형상이 회전축공(200)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관절의 절곡된 상태를 보다 안전하게 유지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부착편(100), 회전축공(200) 및 회전축(300)으로 이루어진 관절의 구성은 골반(40), 팔(50), 다리(60) 등의 각 절곡되는 관절에 적용된다.
한편, 본 고안이 적용된 종이 인형의 몸통은 상기 머리(10)와 양쪽 팔(50)이 결합되는 흉부(20)와 골반(40)이 결합되는 복부(30)로 구분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흉부(20)의 내부에는 양측 팔(50)의 어깨관절(52)이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상부회전축관(22)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복부(30)의 내부에는 골반(40)과 결합된 회전축(300) 상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하부회전축관(32)이 형성되는 바, 상기 상·하부회전축관(22, 32)의 중앙에는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하부수직연결관(24, 34)이 각각 부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흉부(20)로부터 양측 팔(50)이 분리 가능할 뿐만 아니라, 흉부(20)와 복부(30)의 분리가 가능함으로서 흉부(20)와 양측 팔(50)의 교체가 가능한 구성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머리(10)는 그 하부에는 결합공(12)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흉부(20)의 상측에는 목(26)이 일체로 형성되어 머리(10)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흉부(20)의 목(26)으로부터 머리(10)의 간편한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이 인형은 최초 종이 상에 입체적인 인형의 형상을 설계시 각 부분에 해당하는 관절의 부착편(100)과 회전축공(200)이 동시에 설계되며, 아울러, 상기 회전축(300)과 상·하부회전축관(22, 32) 및 상·하부수직연결관(24, 34)의 설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인형의 설계시 절첩되어 상호 부착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일반적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설계된 각 부분을 절개하여 절첩한 후 각 접착부분을 접착함으로서 입체적인 형상을 형성한다. 이어, 해당 골반(40), 팔(50) 및 다리(60)의 각 관절에 해당 회전축(300)을 결합하여 상호 관절 결합을 완료한다. 마지막으로 관절 결합이 완료된 인형의 머리(10), 흉부(20), 복부(30), 골반(40), 팔(50) 및 다리(60) 각 부분을 끼워 결합함으로서 각 관절의 회전이 가능한 동적인 종이 인형을 완성하게 되며, 이와 같이 완성된 각 부분은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을 통해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모양, 색상, 재질 등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에 의하면 종이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동물 등과 같은 각종 입체적인 캐릭터를 형상화하되,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오직 종이만을 이용하여 자르고 접고 붙이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인형의 각 관절이 다양한 각도로의 회전이 가능함으로서 보다 동적이고 다양한 형상을 표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종이 인형의 머리, 가슴, 팔, 다리를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교체 가능함으로서, 여러 형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팔 관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다리 관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골반 관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몸통 관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관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머리 12: 결합공
20: 흉부 22: 상부회전축관
24: 상부 수직연결관 26: 목
30: 복부 32: 하부회전축관
34: 하부 수직연결관 40: 골반
50: 팔 52: 어깨관절
60: 다리 100: 부착판
200: 회전축공 300: 회전축

Claims (4)

  1. 설계된 종이를 자르고 접고 붙여서 사람이나 동물 등과 같은 각종 입체적인 캐릭터를 형상화한 종이 인형에 있어서,
    상호 연결되어 관절을 형성하는 하부마디의 상단이 관통된 상태에서 그 상단 양측에 일정넓이로 일체 기립 형성된 부착편; 상기 관절을 형성하는 상부마디의 끝단이 둥글게 절첩된 상태에서 양측으로 관통되는 회전축공; 및 상기 회전축공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양단이 상기 부착편에 부착되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종이 인형은 몸통은 머리와 양쪽 팔이 결합되는 흉부와 골반이 결합되는 복부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흉부의 내부에는 양측 팔의 어깨관절이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상부회전축관이 형성되는 한편, 복부의 내부에는 골반과 결합된 회전축 상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하부회전축관이 형성되면서 동시에, 상기 상·하부회전축관의 중앙에는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하부수직연결관이 각각 부착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갖는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종이 인형의 머리 하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흉부 상측에는 목이 돌출 형성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을 형성하는 상기 회전축은 여러 번 절첩되어 그 외주면의 단부가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
KR20-2005-0008478U 2005-03-29 2005-03-29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 KR200387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478U KR200387701Y1 (ko) 2005-03-29 2005-03-29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478U KR200387701Y1 (ko) 2005-03-29 2005-03-29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718A Division KR100607832B1 (ko) 2005-03-29 2005-03-29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701Y1 true KR200387701Y1 (ko) 2005-06-21

Family

ID=4368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478U KR200387701Y1 (ko) 2005-03-29 2005-03-29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7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531B1 (ko) 2015-12-02 2016-02-05 송명석 종이 모형 완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531B1 (ko) 2015-12-02 2016-02-05 송명석 종이 모형 완구
WO2017095064A1 (ko) * 2015-12-02 2017-06-08 송명석 종이 모형 완구
US10905965B2 (en) 2015-12-02 2021-02-02 Myeungseok SONG Paper model to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3315B2 (en) Toy figure with a magnetized joint
KR101780600B1 (ko) 인형체의 견관절 구조
JP6030615B2 (ja)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US20150190722A1 (en) Planar-part-based toy assembly set
CN109069938A (zh) 建造玩具
JP3671048B2 (ja) 紙製人形
JP2019030684A (ja)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KR200387701Y1 (ko)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
KR100607832B1 (ko)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
JPH0316713Y2 (ko)
KR100924226B1 (ko) 관절 인형
CN210521753U (zh) 一种折叠拼接机器人玩具
JP3922812B2 (ja) 関節可動人形に於ける肩部の構造
JP2006346261A (ja) シート製可動式模型
JP6411429B2 (ja)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KR200438421Y1 (ko) 구체 관절 인형용 관절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체 관절인형
KR200285464Y1 (ko) 관절이 움직이는 종이모형완구
KR200294946Y1 (ko)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
CN217567416U (zh) 一种多功能玩具公仔
KR200470226Y1 (ko) 관절 인형의 몸통부
CN213942096U (zh) 多角度活动的娃娃关节结构
KR100383683B1 (ko) 종이를 이용한 완구
CN211912706U (zh) 变脸玩具
CN213965145U (zh) 防拔插连接的骨架结构及应用其的娃娃关节结构
USD1022088S1 (en) Exercise machine arm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