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946Y1 -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 - Google Patents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946Y1
KR200294946Y1 KR2020020022876U KR20020022876U KR200294946Y1 KR 200294946 Y1 KR200294946 Y1 KR 200294946Y1 KR 2020020022876 U KR2020020022876 U KR 2020020022876U KR 20020022876 U KR20020022876 U KR 20020022876U KR 200294946 Y1 KR200294946 Y1 KR 200294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bottom plate
joint
paper
paper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로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로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로보트
Priority to KR2020020022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9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946Y1/ko
Priority to PCT/KR2003/000444 priority patent/WO2004011116A1/en
Priority to AU2003210032A priority patent/AU2003210032A1/en
Priority to CNA038182904A priority patent/CN1671448A/zh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종이 로봇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은 상호 대향하는 양면에 인접되도록 각각 결착홈을 형성하고 다른 상호 대향하는 양면에 걸림홈을 형성하는 저판부, 회전구 및 저판부와 회전구를 연결시키는 연결봉으로 구성되는 회전관절부; 회전구가 형성된 면에서 회전관절부에 씌워질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고 저판부의 걸림홈과 결착될 수 있도록 걸림편을 형성하는 회전관절덮개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구를 집어서 고정시키는 집게발을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하고 회전구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는 회전구고정부 및 회전구고정부를 상면 중앙에 위치시키고 상호 대향하는 양면에 인접되도록 각각 결착홈을 형성하며 다른 상호 대향하는 양면에 걸림홈을 형성하는 저판부로 구성되는 고정관절부; 및 회전구고정부가 형성된 면에서 고정관절부에 씌워질 수 있도록 중앙에 회전구고정부의 상단면 모양의 구멍을 형성하고 저판부의 걸림홈과 결착될 수 있도록 걸림편을 형성하는 고정관절덮개부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에 의하면, 종이 로봇을 쉽게 분리/해체시킬 수 있으므로 소지하여 다니기에 편리하고, 종이 로봇으로 하여금 다양한 자세를 취하게 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들이 더욱 흥미롭게 종이 로봇을 가지고 놀 수 있다.

Description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Plastic joint for paper robot toy}
본 고안은 종이 로봇 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된 종이 로봇이 다양한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머리, 팔, 다리, 몸통 등과 같은 각 부분품들을 결합시키는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에 관한 것이다.
모델지에 인쇄되어 있는 부분품을 오려내거나 떼어내어 설명서에 따라 조립함으로써 놀이용 완구를 완성하는 조립식 종이완구 제품은 주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보다 복잡한 제품들도 개발되고 있다.
조립식 종이완구는 모델지를 책으로 엮어서 설명서를 곁들인 것으로서, 사용자는 종이 부분품을 접거나 풀로 붙이거나 끼워맞춤으로써 간편하면서도 완성도 높은 완구를 만들 수 있다. 가령, 조립식 종이완구를 이용하면, 비행기, 배,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 글라이더, 로봇, 동물, 곤충, 건축물 등의 모형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식 종이완구는 제작 과정에서 상해의 위험이 없으며, 창의력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어린이는 장난감에 쉽게 싫증을 느끼므로 부모가 자녀의 요구대로 플라스틱제 혹은 금속제 완구를 구매하는 것은 가격면에서 부담스러우나, 조립식 종이완구는 한권의 책에서 다양한 완구를 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저렴하다.
그러나, 종래의 종이완구는 정지된 물체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표현성의 한계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아이들이 쉽게 싫증을 느끼므로 오랫 동안 가지고 놀 수가 없었다. 예를 들면, 로봇이나 인형의 경우 움직일 수 있게 제작하여도 종이 재질의 특성상 쉽게 파손되므로 아이들이 다루기에는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이 로봇의 머리, 몸통, 팔 및 다리의 이음과 팔·다리의 각 관절을 연결하고 자유롭게 회전함으로써 종이 로봇으로 하여금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의 결합분해도이다.
도 1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의 결합도이다.
도 1c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이 종이 로봇의 판부위에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측면투시도이다.
도 1d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관절이 종이 로봇의 무릎에 설치되었을 때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e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관절이 종이 로봇의 면부위에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결합분해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의 결합 분해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의 결합도이다.
도 2c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이 종이 로봇의 내외면에서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관절이 함께 사용되어 제작된 종이 로봇의 일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회전관절부 12: 회전관절부 저판부
12a: 결착홈 12b: 걸림홈
14: 연결봉 16: 회전구
20: 회전관절덮개부 24: 회전관절덮개부 걸림편
30: 고정관절덮개부 34: 고정과절덮개부 걸림편
40: 고정관절부 42: 회전구고정부
44: 고정관절부 저판부 44a: 결착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의 제1실시예는 사각 판형으로서, 상호 대향하는 양면에 인접되도록 각각 결착홈을 길게 형성하고 다른 상호 대향하는 양면에 걸림홈을 형성하는 저판부, 회전구 및 저판부에 이격되어 회전구가 위치되도록 저판부와 회전구를 연결시키는 연결봉으로 구성되는 회전관절부; 회전구가 형성된 면에서 회전관절부에 씌워질 수 있도록 중앙에 회전구의 지름보다 큰 구멍을 형성하고 저판부의 걸림홈과 결착될 수 있도록 걸림편을 형성하는 회전관절덮개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구를 집어서 고정시키는 집게발을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하고 회전구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는 회전구고정부 및 사각 판형으로서, 회전구고정부를 상면 중앙에 위치시키고 상호 대향하는 양면에 인접되도록 각각 결착홈을 길게 형성하며 다른 상호 대향하는 양면에 걸림홈을 형성하는 저판부로 구성되는 고정관절부; 및 회전구고정부가 형성된 면에서 고정관절부에 씌워질 수 있도록 중앙에 회전구고정부의 상단면 모양의 구멍을 형성하고 저판부의 걸림홈과 결착될 수 있도록 걸림편을 형성하는 고정관절덮개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의 제2실시예는 둘레면에 상호 대칭되도록 걸림홈을 두 개 이상 형성하는 저판부, 회전구 및 저판부와 이격되어 회전구가 위치되도록 저판부와 회전구를 연결시키는 연결봉으로 구성되는 회전관절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구를 집어서 고정시키는 집게발을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하고 회전구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는 회전구고정부 및 회전구고정부를 상면 중앙에 위치시키고 둘레면에 상호 대칭되도록 걸림홈을 두 개 이상 형성하는 저판부로 구성되는 고정관절부; 및 판형으로서, 회전구가 형성된 회전관절부의 뒤편 혹은 회전구고정부가 형성된 고정관절부의 뒤편으로부터 회전관절부 혹은 고정관절부에 씌워질 수 있도록 걸림홈에 결착되는 걸림편을 형성하는 회전관절덮개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의 제1실시예)
도 1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100)의 결합분해도이다.
도 1a에 의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이하에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관절"이라 한다)(100)은 회전관절부(10), 회전관절덮개부(20), 고정관절부(40) 및 고정관절덮개부(30)로 구성된다.
우선, 회전관절부(10)는 저판부(12), 회전구(16) 및 연결봉(14)으로 구성되는데, 사각판형인 저판부(12)는 상호 대향하는 양면에 인접되도록 각각 결착홈(12a)을 길게 형성하고 다른 상호 대향하는 양면에 걸림홈(12b)을 형성한다. 여기서, 결착홈(12a)은 종이 로봇의 구성품(가령, 다리, 팔 등의 관절 부위)과의 결착을 위한 것이고, 걸림홈(12b)은 회전관절덮개부(20)와의 결착을 위한 것이다.
회전구(16)는 고정관절부(40)에 삽입/결착되어 회전하는 구성부로서,연결봉(14)은 회전구(16)가 저판부(12) 중앙 상면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저판부(12) 및 회전구(16)를 연결시킨다.
회전관절덮개부(20)는 회전구(16)가 형성된 면으로부터 회전관절부(10)에 씌워질 수 있도록 중앙에 회전구(16)의 지름보다 큰 구멍(22)을 형성하고, 저판부(12)의 걸림홈(12b)과 결착될 수 있도록 걸림편(24)을 형성한다.
고정관절부(40)는 회전구고정부(42) 및 저판부(44)로 구성되는데, 회전구고정부(42)는 회전구(16)를 집어서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집게발(42a)을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하고, 회전구(16)의 회전 공간(42b)을 제공한다.
고정관절부(40)의 저판부(44)는 사각 판형으로서, 회전구고정부(42)를 상면 중앙에 위치시키고 상호 대향하는 양면에 인접되도록 각각 결착홈(44a)을 길게 형성한다. 또한, 회전관절부(10)의 저판부(12)와 같이 결착홈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상호 대향하는 양면에 걸림홈(44b)을 형성하고 있다. 고정관절부(40)의 저판부(44)가 형성하는 결착홈(44a)은 종이 로봇의 구성품과의 결착을 위한 것이고, 걸림홈(44b)은 고정관절덮개부(30)와의 결착을 위한 것이다.
고정관절덮개부(30)는 회전관절덮개부(2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회전구고정부(42)를 관통하여 고정관절부(40)에 씌워질 수 있도록 중앙에 회전구고정부(42)의 상단면(上斷面) 모양의 구멍(도 1a에 의하면, 직사각형 모양의 구멍)(32)을 형성하고, 저판부(44)의 걸림홈(44b)과 결착될 수 있도록 걸림편(34)을 형성한다.
도 1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100)의 결합도이다.
도 1b에 의하면, 회전관절부(10)의 회전구(16)는 고정관절부(40)의 회전구고정부(42)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회전관절덮개부(20)는 회전구(16)를 관통시켜서 상면측으로부터 회전관절부(10)에 결착된다. 또한, 고정관절덮개부(30)는 회전구고정부(42)를 관통시켜서 상면측으로부터 고정관절부(40)에 결착된다. 그러나, 도 1b에 의한 회전관절부(10)와 회전관절덮개부(20) 및 고정관절부(40)와 고정관절덮개부(30)의 결합 위치는 상하로 바뀌어도 상관이 없다.
도 1c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100)이 종이 로봇의 판부위에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측면투시도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관절(100)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종이 로봇의 무릎 관절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도 1c에 의하면, 고정관절부(40)는 종이 로봇의 종아리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판(a3, a4)을 결착홈(44a)에 각각 삽입시키고 그 끝단을 구부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관절덮개부(30)는 회전구고정부(42)를 관통하여 상단으로부터 고정관절부(40)에 결착함으로써 종이 로봇의 종아리에 단단하게 결착되도록 한다. 즉, 종아리 부위판의 구부러진 끝단은 고정관절덮개부(30)에 의하여 압박되므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회전관절부(10)는 종이 로봇의 허벅지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판(a1, a2)을 결착홈(12a)에 각각 삽입시키고 전술한 설명과 같이 회전관절덮개부(20)를 통하여 그 끝단을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종이 로봇과 결착된다.
즉, 도 1c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관절(100)은 면과 면 혹은 면과 판을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판과 판을 결합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d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관절(100)이 종이 로봇의 무릎에 설치되었을 때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e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관절(100)이 종이 로봇의 면부위에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결합분해도이다.
도 1e에 의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관절(100)이 전술한 설명과는 다른 방법으로 종이 로봇과 결합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도 1c 내지 도 1d에서는 종이 로봇의 판부위에 결합되는 것과는 다르게 도 1e에서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관절(100)이 종이 로봇의 면부위에 결합된다.
즉, 종이 로봇의 면부위들(a5, a6)은 각각 회전관절부(10) 및 회전관절덮개부(20) 사이와, 고정관절부(40) 및 고정관절덮개부(30) 사이에 삽입되어 결착된다. 이렇게 종이 로봇의 면부위들(a5, a6)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관절(100)과 결착되기 위해서는 회전관절덮개부(20)의 걸림편(24)과 고정관절덮개부(30)의 걸림편(34)을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들과 회전구(16) 및 회전구고정부(42)를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들을 각각 형성시켜야 한다.
또한, 이러한 결합 구조를 가지는 경우 회전관절부(10)의 저판부(12)에 형성된 결착홈(12a)과 고정관절부(40)의 저판부(44)에 형성된 결착홈(44a)은 종이 로봇의 어떤 부위도 삽입시키지 않고, 종이 로봇의 면부위(a5, a6)를 관통한 걸림편(24, 34)이 반대측의 걸림홈(12b, 44b)에 결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의 제2실시예)
도 2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200)의 결합 분해도이다.
도 2a에 의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이하에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관절"이라 한다)(200)은 회전관절부(60), 고정관절부(70) 및 이들에 각각 결착되는 관절덮개부(50)로 구성된다.
우선, 회전관절부(60)는 저판부(62), 회전구(66) 및 연결봉(64)을 구비하는데, 저판부(62)는 둘레면에 상호 대칭되도록 걸림홈(62a)을 두 개 형성하고, 연결봉(64)은 회전구(66)가 저판부(62) 중앙 상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저판부(62)와 회전구(66)를 연결시킨다. 회전구(66)는 고정관절부(70)에 삽입되고 이탈되지 않은채로 그 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관절(200)의 저판부(62)는 원형판의 형태를 가진다.
관절덮개부(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이로봇의 종이면(a7)상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고정관절부(70) 및 회전관절부(60)의 저면으로부터 결착됨으로써 고정관절부(70) 및 회전관절부(60)가 각각 종이로봇에 결합되도록 한다.
관절덮개부(50)는 원판형의 몸체(52)에 걸림편(54)을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하여 회전관절부(60)의 걸림홈(62a)에 결착된다. 이 때, 관절덮개부(50)는 종이 로봇을 구성하는 소정 판의 내부 면에 위치하고, 회전관절부(60)는 판의 외부에 위치하며, 걸림편(54)이 판의 구멍을 관통하여 내/외면에서 결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관절(200)은 면과 면을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가령 종이 로봇의 상체와 하체 혹은 팔과 몸통 등을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고정관절부(70)는 회전고정부 및 저판부(74)로 구성되는데, 회전고정부는 회전구(66)를 집어서 고정시킴으로써 회전구(66)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집게발(72a)을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하고, 회전구(66)의 회전 공간(72b)을 제공한다.
저판부(74)는 회전구고정부(72)를 상면 중앙에 위치시키고 둘레면에 상호 대칭되도록 걸림홈(74a)을 두 개 이상 형성한다.
고정관절부(70)는 전술한 관절덮개부(50)를 하나 더 구비하여 종이판(a8)의 내/외부로 결착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회전관절부(60)가 관절덮개부(50)와 결착되는 구조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200)의 결합도이다.
도 2b에 의하면, 회전관절부(60)의 회전구(66)는 고정관절부(70)의 회전구고정부(72)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관절덮개부(50)는 두 개가 구비되어 각각 회전관절부(60) 및 고정관절부(70)의 저면측에서 결착되어 있다.
도 2c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200)이 종이 로봇의 내외면에서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관절(100, 200)이 함께 사용되어 제작된 종이 로봇의 일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에 의하면, 종이 로봇의 상체부와 하체부, 양팔의 어깨부와 상체부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관절(200)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양팔의 각 관절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관절(100)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에 의하면, 종이 로봇을 쉽게 분리/해체시킬 수 있으므로 소지하여 다니기에 편리하고, 종이 로봇으로 하여금 다양한 자세를 취하게 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들이 더욱 흥미롭게 종이 로봇을 가지고 놀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은 로봇의 종류에 상관없이 손쉽게 관절부를 끼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사각 판형으로서, 상호 대향하는 양면에 인접되도록 각각 결착홈을 길게 형성하고 다른 상호 대향하는 양면에 걸림홈을 형성하는 저판부, 회전구 및 상기 저판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회전구가 위치하도록 상기 저판부와 회전구를 연결시키는 연결봉으로 구성되는 회전관절부;
    상기 회전구가 형성된 면에서 상기 회전관절부에 씌워질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회전구의 지름보다 큰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저판부의 걸림홈과 결착될 수 있도록 걸림편을 형성하는 회전관절덮개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구를 집어서 고정시키는 집게발을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회전구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는 회전구고정부 및 사각 판형으로서, 상기 회전구고정부를 상면 중앙에 위치시키고 상호 대향하는 양면에 인접되도록 각각 결착홈을 길게 형성하며 다른 상호 대향하는 양면에 걸림홈을 형성하는 저판부로 구성되는 고정관절부; 및
    상기 회전구고정부가 형성된 면에서 상기 고정관절부에 씌워질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회전구고정부의 상단면 모양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저판부의 걸림홈과 결착될 수 있도록 걸림편을 형성하는 고정관절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
  2. 둘레면에 상호 대칭되도록 걸림홈을 두 개 이상 형성하는 저판부, 회전구 및상기 저판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회전구가 위치하도록 상기 저판부와 회전구를 연결시키는 연결봉으로 구성되는 회전관절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구를 집어서 고정시키는 집게발을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회전구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는 회전구고정부 및 상기 회전구고정부를 상면 중앙에 위치시키고 둘레면에 상호 대칭되도록 걸림홈을 두 개 이상 형성하는 저판부로 구성되는 고정관절부; 및
    판형으로서, 상기 회전구가 형성된 회전관절부의 뒤편 혹은 상기 회전구고정부가 형성된 고정관절부의 뒤편으로부터 회전관절부 혹은 고정관절부에 씌워질 수 있도록 상기 걸림홈에 결착되는 걸림편을 형성하는 관절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
KR2020020022876U 2002-07-31 2002-07-31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 KR200294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876U KR200294946Y1 (ko) 2002-07-31 2002-07-31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
PCT/KR2003/000444 WO2004011116A1 (en) 2002-07-31 2003-03-07 Plastic joint for paper toy
AU2003210032A AU2003210032A1 (en) 2002-07-31 2003-03-07 Plastic joint for paper toy
CNA038182904A CN1671448A (zh) 2002-07-31 2003-03-07 用于纸制玩具的塑料接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876U KR200294946Y1 (ko) 2002-07-31 2002-07-31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946Y1 true KR200294946Y1 (ko) 2002-11-14

Family

ID=3422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876U KR200294946Y1 (ko) 2002-07-31 2002-07-31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294946Y1 (ko)
CN (1) CN1671448A (ko)
AU (1) AU2003210032A1 (ko)
WO (1) WO2004011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14212A1 (en) * 2014-04-30 2015-11-05 Hasbro, Inc. Toy building element
JP6156772B2 (ja) * 2015-12-18 2017-07-05 株式会社ボークス 可動関節構造及び該可動関節構造を備えたフィギュ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71448A (zh) 2005-09-21
AU2003210032A1 (en) 2004-02-16
WO2004011116A1 (en)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3315B2 (en) Toy figure with a magnetized joint
US4274224A (en) Toy figure having movable limb members
JP2006262944A (ja) ブロック玩具
US4103451A (en) Doll with neck detachably secured between opposed baby means portions
JPH07185139A (ja) 人形またはあやつり人形の体のための関節構造体の改良
JP2013540532A (ja) 玩具組立セット
US20170014727A1 (en) Joint brick for building block
US4642064A (en) Assemblage toy
EP1291051A2 (en) Three-dimensional toy built up with freely connectable parts
KR200294946Y1 (ko)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
JPH0246956Y2 (ko)
JPS6341025Y2 (ko)
KR200437902Y1 (ko) 종이 완구용 관절
KR200315927Y1 (ko) 종이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
JPS6341032Y2 (ko)
JPH0336393Y2 (ko)
JPH0235348Y2 (ko)
KR200285464Y1 (ko) 관절이 움직이는 종이모형완구
JPH02234Y2 (ko)
JP3068314U (ja) 可動式ペ―パ―クラフト
JPH05317525A (ja) 関節接合おもちゃ
JPS6341031Y2 (ko)
CN220632974U (zh) 关节积木结构及玩具
JPH0219186Y2 (ko)
JPH022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