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762A - 패널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와,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패널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와,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762A
KR20060034762A KR1020040083500A KR20040083500A KR20060034762A KR 20060034762 A KR20060034762 A KR 20060034762A KR 1020040083500 A KR1020040083500 A KR 1020040083500A KR 20040083500 A KR20040083500 A KR 20040083500A KR 20060034762 A KR20060034762 A KR 20060034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nel assembly
display area
assembly
conductiv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6021B1 (ko
Inventor
송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3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021B1/ko
Priority to JP2005234812A priority patent/JP2006120618A/ja
Priority to US11/250,393 priority patent/US20060082274A1/en
Priority to CNA2005101139671A priority patent/CN1783391A/zh
Publication of KR20060034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02Details
    • H01J17/28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1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02Details
    • H01J17/16Vessels;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패널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와,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 1 패널;과, 이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 2 패널;과, 제 1 패널과 제 2 패널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방전 전극;과, 방전 전극을 매립하는 유전체층상에 형성된 보호막층;과, 제 1 또는 제 2 패널중 적어도 어느 한 패널의 외면에 형성되며, 패널 중앙의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과, 패널 가장자리의 비표시 영역과의 온도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착된 열전도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에이징 공정시, 패널 조립체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온도 차이를 줄일 수 있음에 따라서, 패널 조립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패널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와,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Panel assembly and plasma display panel assembly applying the such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assembly}
도 1은 통상적인 패널 조립체를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패널 조립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도 3은 도 1의 패널 조립체를 영역별로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비교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각 영역에서의 온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
도 6는 도 5와 비교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각 영역에서의 온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패널 조립체 110...전면 패널
120...배면 패널 210...샤시 베이스
230...구동 회로부 240...플렉시블 프린티드 케이블
250...필터 조립체 260...케이스
270...필터 홀더
본 발명은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 조립체의 에이징시에 온도 편차에 의한 기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와 이에 따른 방법이 개선된 패널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와,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plasma display panel assembly)는 복수의 기판의 대향면에 각각의 방전 전극을 형성하고, 기판 사이의 밀폐된 방전 공간에 방전 가스를 주입한 상태에서, 각 방전 전극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여 방전 공간에 발생하는 자외선에 의하여 형광체층의 형광 물질을 여기시켜서 발광된 빛을 이용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 장치(flat display device)를 말한다.
이러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는 전면 패널과 이와 결합되는 배면 패널을 구비하는 패널 조립체와, 패널 조립체의 후방에 부착된 샤시 베이스와, 샤시 베이스의 후방에 부착된 구동 회로 기판과, 패널 조립체와 구동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렉시블 프린티드 케이블을 포함하고 있다.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면 패널의 경우에는, 전면 기판이 마련되고, 상기 전면 기판상에 다수의 제 1 방전 전극을 형성시킨다. 제 1 방전 전극상에는 이들을 매립하도록 제 1 유전 체층을 인쇄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 1 유전체층의 표면에는 보호막층을 형성시키게 된다.
배면 패널의 경우에는, 배면 기판이 마련되고, 상기 배면 기판상에 제 2 방전 전극을 형성시킨다. 제 2 방전 전극은 제 2 유전체층에 의하여 매립될 수 있다. 제 2 유전체층의 윗면에는 방전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을 형성시키고, 상기 격벽의 내측으로는 적,녹,청색의 형광체층을 도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 전면 및 배면 패널은 상호 정열된 상태에서 가장자리에 글래스 프릿트(glass frit)로 도포하여서 적정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호 봉착시키게 된다. 봉착된 패널 사이에 잔류하는 수분을 비롯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진공 상태에서 배기를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크세논-네온(Xe-Ne)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체를 봉입하고, 패널 조립체를 배기 장치로부터 분리한다. 이어서, 패널 조립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에이징(aging) 방전시키고, IC 칩을 장착하여서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에이징 공정은 팁-오프(tip-off)된 패널 조립체에 적정 시간동안 전류를 흘려 방전시켜서 패널 조립체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수행하는 공정이다.
일본 특개평 제04-14428호는 유지 전극과 데이터 전극 사이에 교대로 역위상의 구형파 전압을 인가하고 점등시키는 것에 의하여 에이징을 수행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개평 제03-317625호는 에이징에 의한 점등 얼룩의 박멸, 절연체층의 절연 파괴의 해소, 단시간에의 에이징을 가능하게 하는 에이징 방법을 제공하 고 있다. 일본 특개평 제03-308781호는 주사 전극 및 유지 전극에 교대로 인가하는 에이징 전압의 높이에 차이를 내여서, 에어징 효과를 손상시키는 일없이 낮은 전력으로 에이징을 행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일본 특개평 제02-231141호에는 형광체층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에이징의 소요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에이징 공정을 수행시에는 패널 조립체가 자주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패널 조립체가 파손되는 이유는 패널 조립체의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display area)과,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된 외부 단자와 접속되는 비표시 영역(non display area)간의 온도 차이에서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패널 조립체에 있어서, 에이징 공정시에 비표시 영역에서의 온도를 측정하여 보면 30℃ 정도로 측정되는 반면에, 표시 영역에서의 온도는 90℃로 측정이 된다. 이렇게 되면, 비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의 경계면에서의 온도 차이가 60℃ 정도에 이르게 되며, 이러한 온도 차이는 패널 조립체의 파손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이징시에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간의 온도 차이를 줄여서 패널 조립체의 파손을 줄일 수 있도록 구조와 이에 따른 방법이 개선된 패널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와,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패널 조립체는,
제 1 패널;
상기 제 1 패널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 2 패널;
상기 제 1 패널과 제 2 패널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방전 전극;
상기 방전 전극을 매립하는 유전체층상에 형성된 보호막층; 및
상기 제 1 또는 제 2 패널중 적어도 어느 한 패널의 외면에 형성되며, 패널 중앙의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과, 패널 가장자리의 비표시 영역과의 온도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착된 열전도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도매체는 고온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저온의 비표시 영역으로 온도를 전달가능한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열전도매체는 투명한 도전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열전도매체는 구리나, 알루미늄이나, 금이나, 은이나, 백금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열전도매체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다같이 커버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는,
전면 및 배면 패널이 결합된 패널 조립체;
상기 패널 조립체과 결합되는 샤시 베이스;
상기 패널 조립체의 각 단자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 회로부;
상기 패널 조립체와, 샤시 베이스와, 구동 회로부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중 적어도 어느 한 패널에 결합되며, 에이징 공정시 패널 조립체의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부터 가장자리의 비표시 영역으로 온도를 전달하는 열전도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도매체는 열전달을 위한 투명한 박막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열전도매체는 ITO막이나, 구리나, 은이나, 백금이나, 금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열전도매체는 패널 조립체와 샤시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을 각각 조립하는 단계;와,
전면 및 배면 패널을 봉착시키는 단계;와,
패널 내부를 진공 배기시키는 단계;와,
패널을 정격 전압 이상의 고압에서 에이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패널을 조립하는 단계에서는,
에이징시 패널 중앙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저온인 패널 가장자리의 비표시 영역으로 온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패널의 외면에는 고열전도율의 열전도매체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도매체는 패널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다같이 커버가능하도록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열전도매체는 고열전도성의 투명한 도전막을 코팅에 의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열전도매체는 고열전도성의 금속 필름을 부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패널 조립체(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 조립체(100)는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전면 패널(110)과 대향되게 배치된 배면 패널(16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면 패널(110)에는 전면 기판(11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면 기판(111)은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와 같은 투명한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면 기판(111)의 아랫면에는 기판의 X 방향을 따라서 X 및 Y 전극(112)(113)이 방전 셀내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X 전극(112)은 스트라이프형의 제 1 투명 전극 라인(112a)과, 상기 제 1 투명 전극 라인(112a)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된 제 1 버스 전극 라인 (112b)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Y 전극(113)은 상기 X 전극(112)과 마찬가지로 스트라이프형의 제 2 투명 전극 라인(113a)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라인(113a)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된 제 2 버스 전극 라인(113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전극 라인(112a)(113a)은 투명한 도전막, 예컨대 ITO막(Indium Tin Oxide Film)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버스 전극 라인(112b)(113b)은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전극 라인(112a)(113a)의 전기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도전성이 우수한 소재, 이를테면 은 페이스트(Ag past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X 및 Y 전극(112)(113)은 전면 유전체층(114)에 의하여 매립되어 있다. 상기 전면 유전체층(114)은 상기 X 및 Y 전극(112)(113)이 배치된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도포되거나, 전면 기판(111) 전 영역에 도포될 수도 있다. 상기 전면 유전체층(114)의 표면에는 마그네슘 옥사이드(MgO)와 같은 보호막층(115)이 증착되어 있다.
상기 배면 패널(160)에는 배면 기판(16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배면 기판(161)은 상기 전면 기판(11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면 기판(161)도 소다 라임 글래스과 같은 투명한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면 기판(161) 상에는 기판의 Y 방향을 따라서 스트라이프형의 어드레스 전극(16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162)은 상기 X 및 Y 전극(112)(11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162)은 인접한 방전 셀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162)은 배면 유전체층 (163)에 의하여 매립되어 있다.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110)(160) 사이에는 방전 공간을 구획하고, 인접한 방전 셀간의 크로스-토크(cross-talk)를 방지하기 위하여 격벽(164)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격벽(164)은 기판(160)의 X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제 1 격벽(164a)과, 기판(160)의 Y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제 2 격벽(164b)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격벽(164a)은 인접하게 배치된 제 2 격벽(164b)의 내측으로부터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격벽(164a)(164b)은 결합시 매트릭스형(matrix type)을 이루고 있다.
대안으로는, 상기 격벽(164)은 미앤더형(meander type)이나, 델타형(delta type)이나, 벌집형(honeycomb type)등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가 존재하며, 이로 인하여 구획된 방전 셀은 사각형 이외에 다른 형상의 다각형이나, 원형등 어느 하나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격벽(164)의 내측으로는 각 방전 셀별로 적,녹,청색의 형광체층(165)이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형광체층(165)은 방전 셀의 어느 영역에도 도포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164)의 내측으로 도포되어 있다.
상기 형광체층(165)은 각각의 방전 셀별로 코팅되어 있다. 적색의 형광체층은 (Y,Gd)BO3;Eu+3 으로 이루어지고, 녹색의 형광체층은 Zn2SiO4 :Mn2+으로 이루어지고, 청색의 형광체층은 BaMgAl10O17:Eu2+ 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패널 조립체(100)는 Y 전극(113)과 어드레스 전극(162)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서 방전 셀을 선택하고, X 및 Y 전극(112)(113)에 교대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서 전면 패널(110)의 표면으로부터 면방전이 일어나서 자외선이 발생되고, 선택된 방전 셀의 형광체층(165)으로부터 가시광이 방출되어서 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을 구현할 수가 있다.
도 2는 도 1의 패널 조립체(100)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200)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200)는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전면 패널(110)과 결합되는 배면 패널(160)을 구비하는 패널 조립체(1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00)의 후방에는 샤시 베이스(21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샤시 베이스(210)는 접착 부재에 의하여 패널 조립체(100)와 결합하고 있다. 상기 샤시 베이스(210)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샤시 베이스(210)의 상하부에는 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샤시 보강 부재(2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샤시 베이스(210)의 배면에는 복수의 구동 회로부(2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회로부(230)에는 다수의 전자 부품(231)이 실장되어 있다. 상기 구동 회로부(230)와 패널 조립체(100) 사이에는 플렉시블 프린티드 케이블(flexible printed cable, 2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렉시블 프린티드 케이블(240)은 패널 조립체(100)의 각 전극 단자와, 구동 회로부(230)의 커넥터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00)의 전방에는 필터 조립체(2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 조립체(250)는 패널 조립체(10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파나, 적외선이나, 네온 발광이나, 외광의 반사를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 조립체(250)에는 투명한 기판상에 외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사 방지 필름이 부착되고, 패널 조립체(100)의 구동중에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전자파 차폐층이 형성되고, 네온 발광과 화면 발광시 사용되는 불활성 기체의 플라즈마에 의한 근적외선의 불필요한 발광을 차폐하기 위하여 선택파장 흡수필름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00), 샤시 베이스(210), 구동 회로부(230) 및 필터 조립체(250)는 케이스(26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60)는 상기 필터 조립체(250)의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캐비넷(front cabinet, 261)과, 상기 구동 회로부(230)의 후방에 설치된 백 커버(back cover, 26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백 커버(262)의 상하단에는 다수의 벤트홀(vent hole, 26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필터 조립체(250)의 배면에는 필터 홀더(2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 홀더(270)는 프론트 캐비넷(261)에 대하여 필터 조립체(250)를 가압하는 프레싱부(pressing portion, 271)와, 상기 프레싱부(271)로부터 상기 패널 조립체(100) 방향으로 절곡된 픽싱부(fixing portion, 27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프론트 캐비넷(261)의 배면에는 필터 장착부(27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 장착부(273)에는 상기 픽싱부(272)가 대향되게 위치하고 있으며, 나사 결합에 의하여 상기 프론트 캐비넷(261)에 대하여 필터 조립체(250)를 고정하고 있다.
이때, 에이징시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에서의 온도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패널 조립체(100)의 외면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열전도매체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조립체(100)에는 구동시에 화상을 구현하는 영역인 표시 영역(D)과, 표시 영역(D)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외부 단자와의 전기적 접속을 하는 비표시 영역(ND)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표시 영역(D)에는 X 전극(112)과, Y 전극(113)과, 이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어드레스 전극(160)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패널 조립체(100)를 중앙 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 부분까지 5 영역(A,B,C,D,E)으로 분할하여 보면, 에이정 공정시에 정격 전압 이상으로 가해지는 고압으로 인하여 패널 조립체(100)의 중앙부(A)로부터 가장자리부(E)까지 각 부분별로 온도 차이가 난다. 특히,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D)과 접하는 경계부(C)(D)에서는 급격한 온도 차이(△T=TD-TND)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조립체(100)의 외면에는 열전도매체(3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전도매체(310)는 배면 기판(160)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표시 영역(D)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비표시 영역(ND)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열전달율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매체는 화상의 재현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투명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전도매체(3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존재가능한데, 배면 기판(160)의 외면의 전 영역에 투명한 도전막, 예컨대 ITO막을 코팅시키거나, 알루미늄이나, 구리나, 금이나, 백금중에서 선택된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필름을 부착시키거나, 금속 너깃(nugget)을 이용하여 증착시켜서 박막으로 형성시킬 수가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열전도매체(310)는 배면 기판(160)의 외면에 형성시킬 뿐만 아니라, 전면 기판(110)의 외면에도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전면 및 배면(110)(160)의 표면에 다 같이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때, 화상을 재현하는 방향이 전면 기판(110)의 전방쪽이라면, 배면 기판(160)의 외면으로 부착시키는 것이 화질을 보호하는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열전도매체(310)가 패널 조립체(100)의 표면에 부착하게 되면, 표시 영역(D)에서 발생한 높은 열량은 비표시 영역(ND)으로 전달되고, 그 결과로, 표시 영역(D)의 온도는 낮아지고, 비표시 영역(ND)의 온도는 높아져서, 두 영역에서의 온도 차이를 줄일 수가 있다.
본 출원인의 실험에 따른 에이징시 패널 조립체의 온도 변화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는 종래의 패널 조립체에 따른 비교예로서, 패널 조립체의 외면에 열전도매체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패널 조립체에 따른 실시예로 서, 패널 조립체의 외면에 열전도매체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이다.
또한, X 축은 도 3에 도시된 패널 조립체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 부분까지 5 영역(A, B, C, D, E)으로 분할한 것이고, Y 축은 온도를 가리킨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D)의 정중앙으로부터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D)의 경계부까지(A 내지 C)는 대략 30 내 4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반하여, 비표시 영역(ND)의 시작점(D)으로부터 패널 조립체(100)의 가장자리(E)까지는 90℃ 부근까지 온도가 급상승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패널 조립체에 따른 도 6의 경우에는 표시 영역(D)의 정중앙으로부터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D)의 경계부까지(A 내지 C)는 40℃ 부근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반하여, 비표시 영역(ND)의 시작점(D)으로부터 패널 조립체(100)의 가장자리(E)까지는 80℃ 부근까지 온도가 상승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의 비교예의 경우에는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D)의 온도 차이(△T=TD-TND)는 60℃ 정도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D)의 온도 차이(△T=TD-TND)는 40℃ 정도가 되어서 △T가 30% 정도가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른 에이징 공정시에 패널 조립체의 파손 개수는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전체개수 에이징시 파손개수
비교예 15개 6개
실시예 15개 1개
종래의 비교예의 경우, 전체 투입된 패널 조립체의 개수가 15개인데 비하여,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D)의 온도 차이가 60℃ 이상이 되어서 에이징시 패널 조립체의 파손개수는 6개가 되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전체 투입된 패널 조립체의 개수가 15개인데 비하여,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D)의 온도 차이가 40℃가 되어서 에이징시 패널 조립체의 파손개수는 1개가 되었다.
상기와 같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200)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면 패널(110)의 경우에는, 투명한 유리로 된 전면 기판(111)이 마련된다. 마련된 전면 기판(111)의 일면에는 제 1 투명 전극 라인(112a)과 제 2 투명 전극 라인(113a)이 교대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전극 라인(112a)(113a)의 일 가장자리에는 이들의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 1 버스 전극 라인(112b)과 제 2 버스 전극 라인(113b)이 형성된다.
이어서, X 및 Y 전극(112)(113)을 매립하기 위하여 전면 유전체층(114)이 인쇄되고, 상기 전면 유전체층(114)의 아랫면에는 방전 상태를 유지하고, 여분의 방전 전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보호막층(115)이 증착된다.
배면 패널(160)의 경우에는 투명한 유리로 된 배면 기판(161)이 마련된다. 상기 배면 기판(161)의 윗면에는 X 및 Y 전극(112)(1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드레스 전극(162)이 형성된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162)의 윗면에는 이를 매립하기 위하여 배면 유전체층(163)이 인쇄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면 유전체층(163)의 윗면에는 방전 셀을 구획하기 위하여 매트릭스형의 격벽(164)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164)은 스크린 인쇄법이나, 샌드 블라스트법이나, 드라이 필름법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시킬 수가 있다. 상기 격벽(164)이 형성되고 나면, 상기 격벽(164)의 내측으로 적,녹,청색의 형광체층(165)을 방전 셀별로 도포하게 된다.
이때, 배면 기판(161)의 외면에는 열전도매체(310)을 부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열전도매체(310)는 배면 기판(161)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그 외면에 부착시키거나, 배면 패널(160)의 완성후에 부착시킬 수도 있는등 어느 한 단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전면 및 배면 패널(110)(160)이 완성되고 나면, 이들을 조립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즉, 전면 및 배면 패널(110)(160)의 접합 및 봉착시키는 공정과, 배기 및 방전 가스를 주입시키는 공정과, 에이징시키는 공정과, 회로부를 부착시키는 공정을 들 수 있다.
우선, 전면 및 배면 패널(110)(160)은 서로 위치를 정열시키고, 클립과 같은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다음에, 전면 및 배면 패널(110)(160)의 대향되는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도포된 밀봉재의 일종인 글래스 프릿트를 적정 온도, 예컨대, 대략 500℃ 정도에서 열처리하여 상호 봉착시키게 된다.
이어서, 전면 및 배면 패널(110)(160)은 진공 배기 및 기체를 봉입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즉, 패널 조립체(100)는 대략 300℃ 이상의 온도 상태에서 별도로 마련된 배기 장치를 이용하여 배기를 수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내부에 존재하 는 수분을 비롯한 불순물이 이탈된다. 고진공이 얻어진 이후에는 바륨 및 지르코늄 게터를 고주파 유도 가열등의 방법으로 가열하여 활성화시킨다. 이들 게터는 소망하는 가스 이외의 가스를 흡착시킨다.
다음으로, 진공 상태의 두 패널(110)(160) 사이에 크세논, 네온, 헬륨등이 혼합된 방전 가스를 수 밀리그램 봉입하고, 패널 조립체(100)를 배기 장치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어서, 패널 조립체(100)의 각 전극(112)(113)에 정격 전압 이상의 고압을 인가하여서 보호막층(115) 표면을 활성화시키고, 패널 조립체(100)의 방전 특성을 안정화시키도록 에이징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주파수는 20 내지 50 KHz, 전압은 200 내지 350V 정도를 인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패널 조립체(100)의 외면에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투명한 금속 재질로 된 열전도매체(31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패널 조립체(100)의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D)의 온도 차이는 40℃ 전후로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D)의 경계부에서의 급격한 온도 차이로 인한 패널 조립체(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렇게, 패널 조립체(100)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에이징 방전시킨 다음, 게터를 절단하고, 회로부를 장착하여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200)를 완성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패널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와,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에이징 공정시, 패널 조립체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온도 차이를 줄일 수 있음에 따라서, 패널 조립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둘째, 에이징이 충분히 이루어지게 되어서, 방전 전압과 휘도 특성이 향상된다.
셋째, 보호막층의 표면을 활성화시켜서, 방전이 안정적으로 일어나 형광체층이 충분히 발광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제 1 패널;
    상기 제 1 패널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 2 패널;
    상기 제 1 패널과 제 2 패널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방전 전극;
    상기 방전 전극을 매립하는 유전체층상에 형성된 보호막층; 및
    상기 제 1 또는 제 2 패널중 적어도 어느 한 패널의 외면에 형성되며, 패널 중앙의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과, 패널 가장자리의 비표시 영역과의 온도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착된 열전도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매체는 고온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저온의 비표시 영역으로 온도를 전달가능한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매체는 투명한 도전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매체는 구리나, 알루미늄이나, 금이나, 은이나, 백금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매체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다같이 커버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층은 마그네슘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
  7. 전면 및 배면 패널이 결합된 패널 조립체;
    상기 패널 조립체과 결합되는 샤시 베이스;
    상기 패널 조립체의 각 단자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 회로부;
    상기 패널 조립체와, 샤시 베이스와, 구동 회로부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중 적어도 어느 한 패널에 결합되며, 에이징 공정시 패널 조립체의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부터 가장자리의 비표시 영역으로 온도를 전달하는 열전도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매체는 열전달을 위한 투명한 박막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매체는 ITO막이나, 구리나, 은이나, 백금이나, 금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매체는 패널 조립체와 샤시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11.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을 각각 조립하는 단계;와,
    전면 및 배면 패널을 봉착시키는 단계;와,
    패널 내부를 진공 배기시키는 단계;와,
    패널을 정격 전압 이상의 고압에서 에이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패널을 조립하는 단계에서는,
    에이징시 패널 중앙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저온인 패널 가장자리의 비표시 영역으로 온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패널의 외면에는 고열전도율의 열전도매체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매체는 패널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다같이 커버가능하도록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매체는 고열전도성의 투명한 도전막을 코팅에 의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매체는 고열전도성의 금속 필름을 부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
KR1020040083500A 2004-10-19 2004-10-19 패널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와,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 KR100626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500A KR100626021B1 (ko) 2004-10-19 2004-10-19 패널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와,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
JP2005234812A JP2006120618A (ja) 2004-10-19 2005-08-12 パネル組立体、これを用いたプラズマ表示装置の組立体、及びプラズマ表示装置組立体の製造方法
US11/250,393 US20060082274A1 (en) 2004-10-19 2005-10-17 Panel assembly, plasma display panel assembly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lasma display panel assembly
CNA2005101139671A CN1783391A (zh) 2004-10-19 2005-10-19 面板组件,等离子体显示面板组件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500A KR100626021B1 (ko) 2004-10-19 2004-10-19 패널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와,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762A true KR20060034762A (ko) 2006-04-25
KR100626021B1 KR100626021B1 (ko) 2006-09-20

Family

ID=3618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500A KR100626021B1 (ko) 2004-10-19 2004-10-19 패널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와,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082274A1 (ko)
JP (1) JP2006120618A (ko)
KR (1) KR100626021B1 (ko)
CN (1) CN17833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9627B2 (en) * 2006-06-28 2012-05-29 Samsung &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mmunications using multiple parallel encoders
US8111670B2 (en) * 2007-03-12 2012-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wireless high definition video data using remainder bytes
US7688908B2 (en) 2007-03-12 2010-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wireless high definition video data using a shortened last codeword
US9177503B2 (en) * 2012-05-31 2015-11-03 Apple Inc. Display having integrated thermal sensor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9253B2 (ja) * 1990-11-28 2002-02-25 富士通株式会社 フラット型表示装置の階調駆動方法及び階調駆動装置
US6097357A (en) * 1990-11-28 2000-08-01 Fujitsu Limited Full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JP3118907B2 (ja) * 1991-10-25 2000-12-18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冷却装置
DE69220019T2 (de) * 1991-12-20 1997-09-25 Fujitsu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Anzeigetafel
EP0554172B1 (en) * 1992-01-28 1998-04-29 Fujitsu Limited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JP3025598B2 (ja) * 1993-04-30 2000-03-27 富士通株式会社 表示駆動装置及び表示駆動方法
JP2891280B2 (ja) * 1993-12-10 1999-05-17 富士通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JP3234740B2 (ja) * 1994-06-09 2001-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3163563B2 (ja) * 1995-08-25 2001-05-08 富士通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98005A (ja) * 1996-01-19 1997-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JP3512586B2 (ja) * 1997-03-14 2004-03-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10116036A (ja) * 1996-10-09 1998-05-06 Fujitsu General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6255778B1 (en) * 1997-10-13 2001-07-03 Bridgestone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having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attached to front surface of display
JP3747306B2 (ja) * 1998-03-25 2006-02-22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329262A (ja) * 1998-05-14 1999-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424587B2 (ja) * 1998-06-18 2003-07-07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TW515103B (en) * 2000-07-24 2002-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miconductor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semiconductor thin film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02231140A (ja) * 2001-02-05 2002-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エージング方法および製造方法
WO2003044786A1 (en) * 2001-11-23 2003-05-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stack optical data storage medium and use of such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82274A1 (en) 2006-04-20
KR100626021B1 (ko) 2006-09-20
CN1783391A (zh) 2006-06-07
JP2006120618A (ja)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279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6021B1 (ko) 패널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와,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
KR10063723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 방법
KR10038305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86391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928643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incorporating combined heatproof and vibration damping sheet attached to driving circuit substrate
KR10074112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13458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20070228918A1 (en) Plasma display module
KR100869102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와, 이의 제조방법
KR10034639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KR10064763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1608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37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패널 조립체
KR2003006405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불순물 제거방법
KR1006476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870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8252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908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KR100268735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70107272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46768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2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패널 조립체
KR10063468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0452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